KR100761746B1 -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 Google Patents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746B1
KR100761746B1 KR1020060129037A KR20060129037A KR100761746B1 KR 100761746 B1 KR100761746 B1 KR 100761746B1 KR 1020060129037 A KR1020060129037 A KR 1020060129037A KR 20060129037 A KR20060129037 A KR 20060129037A KR 100761746 B1 KR100761746 B1 KR 10076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icycle
riding
driving
spok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철
Original Assignee
박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철 filed Critical 박주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ycling, i.e. arrangements on or for real b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자전거의 주행을 담당하는 전,후륜이나, 또는 후륜에 충격을 흡수하고 탄성력을 발생하는 완충부(쇽업쇼버)와, 휠의 외형을 구성하는 스포크와 지지스포크상에 구비되는 외부림(접지면 뼈대)을 경사각으로 조립하고, 상기 스포크상에 부착되는 외부림을 반분한 다음 절첩되도록 결합하여 보조스포크와 코일스프링의 유기적인 동작으로 작동되는 작동림(접어지는 뼈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바퀴를 자전거에 결합하여 특정지어진 각도로 바퀴가 회전할 때마다 상,하 낙차운동을 하게 유도함으로, 자전거의 탑승자가 페달을 구동하여 주행 또는 제자리 주행함에 따라, 휠의 작동림과 완충부가 상호 유기적으로 동작하면서 승차자의 인체가 상하로 요동하여 실제 승마와 동일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발명한 것으로서, 소화운동을 돕게 하고 노폐물 배출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신 스포츠 운동용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휠,스포크,프레임,윤활재,회전사이클,작동림,완충부,반분.쇽업쇼버,사우드.

Description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Equestrian or Health Combination Bicycle}
도1, 승마효과를 가지는 주행용 자전거 개략구조도.
도2, 승마효과를 가지는 헬스용 자전거 개략구조도.
도3, 일회전시 4사이클의 승마효과를 가지는 휠(후륜)의 구성 개념도.
도4, 4사이클 작동 휠(스포크프레임이 90도 간격)의 구성 개략구조도.
도5, 3사이클 작동 휠(스포크프레임이 120도 간격)의 구성 개략구조도.
도6, 작동림 구성개략도.
도7, 완충부(쇽업쇼버) 구성개략도.
도8, 완충부(쇽업쇼버)의 동작 구조 개략도.
도9, 작동림의 동작 구조 개략도.
도10, 탑승의자(안장)의 구조 개략도.
도11, 스포크(25,26)와 휠(20a)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휠의 구조 개략도.
[도면부호의 설명]
A 작동림(또는 스포크), B 완충부, R 후륜회전방향, M 모터, 1 상승점(낙차 상승 점), 2 하강점(낙차 하강 점),
10 전륜(앞바퀴), 11 전륜 축 사우드(바퀴의 결합부재), 12 핸들(또는 핸들 축),
20 후륜(또는 바퀴, 뒷바퀴), 20a 휠(바퀴의 프레임 또는 뼈대), 21 휠 축(바퀴의 결합부), 22 후륜 축 사우드(바퀴의 결합부재), 22a 마찰부재(베어링), 23 완충부(또는 쇽업쇼버), 23a 쇼버사우드, 23b 완충부 결합부재, 25 스포크(힘살의 뼈대), 25a 체결부(스포크 체결 부재), 26 지지스포크(힘살의 보조뼈대), 27 작동림 보조 스포크(작동림을 지지하는 보조뼈대),
30 구동부(동력발생장치), 31 페달의 구름발판, 32 동력전달장치(예:체인),
40 탑승의자(또는 안장), 41 사우드(안장의 지지 축), 42 사우드 체결부재(예:볼트,너트), 43 리테너(박킹), 45 스넵키(철판으로 된 키), 50 실린더(안장의 지지 축 사우드가 결합 되는 관), 51 탄성부재(예:코일형 스프링),
70 런링머신(다수의 롤러와 벨트로 형성된 구름벨트). 71 지지대(런링머신 거치대). 75 거치프레임.
100 프레임(자전거의 뼈대). 111 거치대(실내 운동용 승마 헬스 자전거 핸들의 연장된 사우드 축 결합부)
200 타이어(예:작동림과 외부림의 외피),
230 완충부외부림(또는 림 예:타이어가 결합되는 완충부의 외부 뼈대), 231 완충부1차스프링, 232 완충부2차스프링, 233 완충부3차스프링, 235 완충부보조스포크,
250 스포크외부림(또는 림, 예:타이어가 결합되는 스포크의 외부 뼈대), 250a 작동림(예:접어졌다 펴지는 뼈대), 251 작동림절첩(예:작동림을 유동적으로 결합하는 부재) 255 체결부장공(결합부의 천공된 구멍),
300 회전사이클(타원으로 형성된 바퀴가 회전하는 원호).
본 발명은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 바퀴의 회전축에 편심축을 장치하지 않고, 바퀴 또는 휠이 일정 폭으로 회전할 때마다 완충부(도3B)와, 작동림(도3A)이 상호 유기적으로 상,하 낙차운동이 전개되도록 하여, 회전각도에 따라 승차자가 요동치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자전거는 후륜 구동에 의해 추진되고, 전·후방에 설치된 휠은 그 중심부에 설치된 축을 기점으로 진원을 그리면서 회전되어 바퀴가 접촉되는 지면에 대해 축 또는 휠이 평행한 상태로 주행된다. 이러한 자전거는 이동수단이나 운반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이르러 레저 및 스포츠용으로 더욱더 각광을 받고 있으나, 승차시 느끼는 단조로움으로 인하여, 휠의 중심축을 편심지게 구성하여 자전거가 주행시 더울렁거리는 요동을 치게 구성한 특허 공개공보 10-1986-0001742 호 또는 10-1998-0029044호 또는 20-1998-0002472호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의 승마효과 자전거는 바퀴가 360도 회전되어야 탑승자가 한번 울렁거리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반면, 인체가 낙차를 느끼는 요동을 치는 것이 아니고 위아래로 울렁거리는 효과만 제공할 뿐 승마운동의 효과를 제공하 지 못하고 있으며, 회전사이클이 너무 크기 때문에 실용적인 실시와 스포츠 효과를 가지기에는 현실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에 개시된 편심축 자전거 또는 승마형 자전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전거의 전.후 휠 중 선택된 휠(20a)에 탄성부재(231,232,233)와, 쇽업쇼버(23) 등으로 이루어지는 완충부(도3,B 또는 부호 23)와, 스포크(25,26) 및 보조스포크(27)와 작동림(도3 A 또는 부호250a)으로 이루어져, 휠이 일정한 폭으로 회전할 때마다 승차자의 신체가 상,하로 출렁이며 요동을 칠 수 있게 구성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운동효과를 가질 수 있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 휠의 360도 진원을 세분하여, 180도(2사이클)로 구분하거나, 120도(3사이클), 또는 90도(4사이클), 75도(5사이클), 60도(6사이클)로 구분하여 스포크(25,26,27)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스포크와 스포크 간격 사이에 완충부(23)를 더 구비하며, 스포크(25,26,27)와 연계된 외부의 림(250)상에 작동림(250a)을 구비하여, 바퀴(20)가 축사우드(22)로 부터 일정각도(예;60,75,90,120,180도)로 회전할 때마다 작동림(250a)이 한번 씩 동작하여 완충부(23)가 내부로 밀려 들어갔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기를 반복하므로 승차자가 상,하로 낙차 요동을 느낄 수 있고,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증강하기 위하여 안장(40)의 저면에 1,2차 코일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탄성부재(51) 등의 부가장치 를 구비하여 상호 배가운동을 하게 유도하므로서, 실제 승마를 하는 효과와 동일한 승마 헬스용 운동기구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구는 스포츠 운동을 목적으로 승차한 사람에게 짧은 시간의 사용에도 인체의 전반부가 실제 승마와 동일한 운동효과를 가질 수 있어 소화불량 해소 및 노폐물 제거 등의 웰빙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승마,헬스겸용 자전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내용을 설명한 것이다.
도 1은 승마효과를 제공하는 주행용 자전거의 개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승마효과를 제공하는 실내 헬스운동용 자전거의 개략구조도 이며, 도 3은 상기 실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구성 개념도 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상술한 주행용 자전거 고유의 기능과 더불어 간략한 부가 장치를 추가함으로서 실내운동용 승마 헬스자전거와, 주행용 자전거의 고유 기능과, 승마 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헬스겸용 자전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도1,2)으로는, 바퀴(20,또는 후륜)와, 탑승의자(40,안장)의 구성에 있으며 상세 설명하지 않은 기타의 구성은 통상적인 자전거의 구성과 유사하다.
또한 지면(땅) 위를 자력으로 구동부(30)의 페달을 구동하여 주행하는 자전 거(도1)나, 배터리 또는 엔진 등 자력 이외의 구동원으로 지면(땅) 위를 주행하는 이동장치가 모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고, 각각 주행과 승마효과를 동시에 제공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먼저 승마, 헬스 운동용 자전거(도1)의 외형을 형성하는 뼈대의 프레임(도1,100)과,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게 축과 실린더 및 탄성부재와 방석으로 구성되는 탑승의자(안장 40)와, 전륜(10,앞바퀴)을 지지 결합하고 주행 방향을 선택하는 핸들(12)과,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30)와,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 된 주행동력을 바퀴(20)의 휠(20a)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32)와, 상기 동력전달장치(32)에 의하여 전달되는 동력을 후륜(20)에서 입력받는 휠축(21)과 입력부재(예:레칫기어) 및 축 사우드(22)로 구성되는 바퀴(20)의 휠(20a)이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승마 헬스용 자전거(도1)가 형성된다.
상기의 후륜 바퀴(20)는 원형으로 구성되는 휠(20a)과, 휠 내부에 일단의 마찰부재(22a)와, 마찰부재 수용부 휠축(21) 및 구동부(30)에서 발생 된 주행동력을 입력받는 동력입력부 (예:레칫기어,도면미도시)와, 축사우드(22,결합부재)로 이루어져 자전거의 프레임(100)상에 결합되게 구성하고, 상기 휠(20a,21)상에 휠을 지지하는 스포크(25,힘살의 뼈대)를 90도(도1) 간격으로 4개(도 1,3,4) 설치하고 상기 스포크(25)를 지지할 지지스포크(26)를 특정 간격으로 스포크(25) 보다는 조금 짧게 부설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의 스포크(25,도3 A)와 스포크(25,도3 A) 사이 2/1 지점에 완충부(23,쇽업쇼버)를 설치하여 외형적인 바퀴(20 도4)가 구성된다.
도 4는 4 사이클 바퀴의 휠(20a)의 구성개략도 이고, 도 5는 3 사이클 바퀴 의 휠(20a)의 구성개략도 이다. 상기도면을 참고하여 1도 및 2도 실시의 구성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휠(20a)상에 개설되는 스포크(25,26,27)와 완충부(23)는 적용되는 수에따라 3,4,5 등의 사이클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부재의 외부 접지면을 형성하는 림(230,250)은 타원(300)으로 형성되는 금속판을 6 등분하거나(도5) 또는 8등분(도4)한 크기 이내로 림(230,2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림(230,250)을 반분한 중앙부에 절첩(도6,251)을 구비하여 일측이 상,하로 유동되는 작동림(250a)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림(250a)은 작동림을 지지할 코일형 스프링(270)과 보조스포크(27)를 구비하여 휠(20a)과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의 휠(20a)에 결합된 보조스포크(27)는 상,하로 유동이 자유롭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림(230,250)의 중앙 상부면으로 스포크(25,26,27)와 또는 완충부(23)의 보조스포크(235)와 결합되는 체결부장공(도6,255)을 구비하여 결합부재(25a)로 결합되고, 스포크(25,26,27)에 결합되는 림(250)은 지지스포크(26)와 45도 내외의 경사각도로 림(250)이 결합되어 스포크(25,26,27)상에 형성되는 외부림(250, 타이어의 뼈대)이 이루어진다.
또한 스포크(도3,A)와 스포크(도3,A)사이 2/1 간격(도3,B)에 구비되는 완충부(23)는, 작동유 또는 작동가스가 구비된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 장치되는 사우드(23a)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일반적인 운송장치의 쇽업쇼버와 유사한 쇽업쇼버(23)를 휠축(21)과 휠(20a)상에 결합하고, 외부 접지면(땅과 접촉되는 면)을 담당할 림(230)은 타원(300)을 6등분(도5)하거나 또는 8등분(도4)한 크기 이내로 림(230)을 형성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증,가감할 수 있다.
상기의 림(230) 중앙부에 체결부장공(255)을 구비하여 쇽업쇼버의 샤우드(23a)와 결합되게 구성하고, 림(230)의 좌,우측단에 보조스포크(235)와 결합되는 체결부장공(255)를 각각 구비한 다음 보조스포크(235)와 결합되게 하고, 상기의 보조스포크(235)는 휠(20)과 결합되게 구성한 다음, 충격흡수와 탄성 반발력을 담당할 1,2,3차 코일형 스프링(231,232,233)을 투입하여 이를 림(230)과 휠(20a)에 최종적으로 결합하여 완충부(23)가 형성된다.
상기한 림(230,250)의 외부 지면(땅) 접지면 타이어(250a)는 신축성 있는 고무나 튜브를 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신축성 있는 고무만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4,5도 실시와 비례되게 완충부(23)나 스포크(25)를 각각 2개 구비하여 낙차 파장이 큰 2 사이클의 휠(20a)을 구성하거나, 5,6개를 구비하여 낙차파장이 작은 휠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휠(도4,5의 20a)을 통상적인 자전거에 결합하면 주행용 승마자전거가 이루어진다(도1)
다음은 제2 실시 예인 2도 실시의 실내 헬스용 승마자전거는 상기 1도 실시의 주행용 승마자전거의 전륜(10,앞바퀴)을 배제하고, 자전거 프레임(100)상에 구비된 핸들(12)의 사우드 축을 조금 길게 연장하여 평판으로 형성되는 거치프레임(75) 상에 구비되는 거치대(111)에 핸들(12)의 축(11)을 볼트 등 결합부재로 결합되게 구성하고, 후륜(20) 아래쪽에 다수의 롤러와 벨트를 조합하여 형성되는 런 링머신(70)를 장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후륜(20) 저면에 구비되는 런링머신(70)은 거치프레임(75) 상에 구비되는 지지대(도2,71)상에 거치 된 후 지지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1도 실시예의 자전거에서 전륜(10)이 배제된 2도 실시예의 자전거를 런링머신(70)이 거치된 거치프레임(75) 상에 탑재 결합하여 2도 실시예의 실내용 승마 헬스 자전거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런링머신(70)에 탑재된 실내 승마 헬스용 자전거에 사용자가 탑승하여 자전거의 페달의 구름발판(31)을 구동하게 되면 구동부(30)의 동력전달장치(32)의 동력전달로 후륜(20)에 장치된 동력입력장치(예:레칫기어)를 경유해 동력을 전달받은 후륜의 바퀴(20)와 휠(20a)이 주행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런링머신(70)은 주행방향 후 측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적용된 휠(도4,5)의 특성대로 요동 낙차가 적당한 사이클(도4,도5)을 형성하면서 승마효과를 내게 되고, 이때 자전거의 안장(40) 저면에 장치된 탄성부재(51)의 도움으로 상기의 승마효과를 배가시켜주는 상승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안장은 통상적인 자전거의 안장을 의미하며, 도 10에 실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장(40)은 방석을 지지하는 축(41) 사우드와 실린더(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안장(40)을 지지하는 축(41) 사우드를 적어도 20cm 내지는 최고 60cm 내외로 길게 형성하고 중앙 하단부를 단을 지게 구성하며 단이 형성된 위치에 탄성부재(51,코일형 스프링)가 투입되도록 구성하며, 축(41)사우드의 하단 마감부에 볼트,너트 등으로 형성되는 체결부재(4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자전거의 프레임(100)상에 구비되는 안장(40)의 실린더(50)는 일 측이 밀폐화 된 원형의 관 파이프를 일정길이로 구비하고, 관 내경의 표면이 매끄럽도록 면치하여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한 다음, 상단부에 리테너(43,박킹)가 삽착 될 수 있는 요홈의 개설과 삽착된 리테너(43)의 탈출방지를 위한 스넵키(45)와 키자리의 요홈을 개설하여 이루어지고, 실린더(50)의 하단에도 상기와 같은 리테너 삽착홈(43)과 스넵키 삽착요홈(45)을 개설한 다음, 실린더(50)의 하단 중앙에 안장의 축 사우드(41)가 통과하도록 요 홈을 천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이 구비된 실린더(50)에 리테너(43)를 삽착하고 스프링 등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51)를 투입한 다음 안장에 결합된 축 사우드(41)을 투입하면서 급유(예:그리스)를 병행한 다음 하단부의 체결부재(42)로 결합하여 완성된다.
도6은 상기에서 인용한 스포크(25)와 지지스포크(26) 및 보조스포크(27)가 바퀴(20)의 휠(20a) 상에 결합 되는 구조와 상기 스포크(25,26,27)상에 결합되는 외부림(250)과, 작동림(250a)이 절첩(도6,251)에서 접어질 때의 작동구조를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완충부(23,쇽압쇼버)와, 휠축(21)의 내부구조 및 휠(20a)과 휠축(21)상에 완충부(23)가 결합 되는 구조를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완충부(23)상에 결합되는 스프링(231,232,233)은 보조스포크(235)와 쇽압쇼버 사우드(23a)에 개별적으로 삽착이 가능하고, 휠(20a) 상에 결합되는 보조 스포크(235)의 T자 상단부는 볼트,너트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휠축(21)상에 결합되는 쇽압쇼버(23)의 결합부(23b 참조)는 한개의 돌기를 형성한 다음 볼트 체결구 홈을 천공하여 구성할 수 있고, 휠축(21)상에 구비되는 돌기는 두개를 형성하여 볼트(23b) 체결구 홈을 천공하여 볼트(23b)로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휠(20a)과 휠축(21)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단부로 구비되는 휠축(21)은 구형 볼베어링 일단으로 이루어지는 마찰부재(22a)와 자전거의 프레임(100)과 결합하는 후륜 축 사우드(22)는 상기 마찰부재를 수용하고 좌,우측에 나사 산이 구비되는 양 볼트형 결합부재로 형성된다.
도 8과 도 9는 상기 제1,2 실시예의 바퀴(20)에 대한 휠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전거에 탑승한 사용자가 페달의 구름발판(31 이하 페달)을 작동하여 바퀴(20)가 주행방향으로 회전하면 지면에 먼저 닿는 작동림(도8,250a)이 도면 위쪽으로 후퇴하여 올라가게 되고 곧이어 완충부(23)의 외부림(230)에 지면이 닿으면 쇽업쇼버(23)가 작동하면서 도면 상단부로 일시 후퇴하게 되어 1 사이클의 낙차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일시적으로 후퇴했던 완충부(도9,23)는 코일스프링(231,232,234)의 탄성력으로 복원력을 얻게 되고, 페달(31)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바퀴(20)는 다시 스포크(25,26.27)상에 부착된 외부림(250)으로 지면 접촉이 넘어가게 되는데, 이때 스포크(25,26,27)상에 경사지게 결합 된 외부림(250)이 상승점으로 올라가기 쉽게하여 회전운동을 도와주는 역할을 반복하게 되고. 회전운동과 낙차운동이 반복되면 서 자전거에 탑승한 승차자는 신체가 상,하로 파장되는 요동을 일으키고, 상기의 요동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역할을 안장(40) 저면에 장치된 사우드(41)와 탄성부재(51)가 담당하게 되는데, 도 10은 탑승의자(40)인 안장을 확대 도시한 개략구조도 이다.
도 11은 상술한 바퀴(20)의 휠(20a)이 일체형 판으로 구성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먼저 상술한 실시 예의 스포크(25,26)는 일체형 휠(도11,20a)에 비하여 변형이 쉬운 반면,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휠(20a)과 스포크(25,26)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본 실시예의 휠은 변형이 없는 반면 무게가 무거울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주행용 승마자전거나, 헬스자전거는 사용자가 짧은 시간만 활용해도 신진대사가 원활해지므로 폐활량 증가 효과와 소화운동을 돕게 되고 노폐물 배출 등의 웰빙 효과가 증대되는 승마겸용 헬스자전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2도 실시의 헬스용 승마자전거에 있어서, 런링머신(70)에 전동모터(도2,M)를 연계 구비하여 회전력을 제공받으면 승차자는 안장(40)에 않자 있기만 해도 승마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본 발명의 바퀴(20)와 안장(40)을 스쿠터나 오토바이 등에도 부착하거나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완충부(23)는 유압형식의 쇽업쇼버 또는 가스형식의 가스쇼버 등을 적용 할 수도 있고, 휠(20a) 또는 스포크(25,26)와 보조스포크(27,235)의 변형방지를 위한 방지부재(예: 보조스포크)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일체형의 휠 (도11)을 구성할 수도 있고, 전륜, 또는 후륜이 복수(한 개 이상)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각 결합부에 마찰부재(예:붓싱 또는 베어링)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일 실시 예는 바람직한 실시예만을 서술한 것이므로, 본원 발명의 사상 및 청구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자전거의 휠 또는 바퀴 상에 운동사이클을 크게 또는 작게 또는 적당하게 동작 되는 작동림과 완충부로 구성된 바퀴(20)를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자전거로서, 상기 자전거의 바퀴가 일 회전시 수회의 파장이 일어나는 낙차운동이 전개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짧은 시간의 활용해도 신진대사가 원활해지므로 폐활량 증가 효과와 소화운동을 돕게 되고 노폐물 배출 등의 웰빙 효과가 증대되는 승마겸용 헬스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지면(땅) 위를 자력으로 페달 구동하여 주행하는 자전거나, 배터리 또는 엔진 등 자력 이외의 구동원으로 지면(땅) 위를 주행하여 승마효과를 제공하는 운동기구에 있어서,
    승마, 헬스 운동용 기구의 외형을 형성하는 뼈대의 프레임(도1,100)과,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게 축 사우드와 실린더 및 탄성부재와 방석으로 구성되는 탑승의자(안장 도10,40)와,
    전륜(앞바퀴)을 지지 결합하고 주행 방향을 선택하는 조향 핸들(12)과,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예:30)와,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 된 주행동력을 전륜 또는 후륜 휠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32)와,
    상기 동력전달장치(32)에 의하여 전달되는 동력을 입력받는 휠축(21)을 포함한 구성부재(22,22a,예;레칫기어)로 형성되는 휠(20a)과,
    상기의 휠(20a)은 적어도 2/1 이상 분할(예:180도,120도,90도) 구분된 다음, 휠의 외경을 형성할 키 높이의 스포크(25)와,
    상기 스포크(25)가 변형되지않게 지지하는 지지스포크(26)와,
    상기 스포크(25)와, 지지스포크(26)상에 결합되는 외부림(250)은 전,후방으로 구분하여 절첩화(도6,251)한 작동림(도6,250a)과,
    상기 작동림이 접어졌을 때 이를 복원하는 탄성부재(270,예:스프링)와, 보조 스포크(27)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주행방향의 일 측이 높은 키 높이로 경사지게 지지스포크(26)와 스포크(25)상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작동림(250a)을 포함한 외부의 림(250)과,
    상기에서 분할된 휠(20a)의 스포크(도3,A)와 스포크(도3,A) 사이의 2/1 중앙에는, 작동오일 또는 작동가스와 실린더 및 사우드로 형성되는 쇽업쇼버와, 복원력을 갖는 탄성부재(예:스프링) 및 쇽업쇼버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조스포크(235)와, 상기부재를 수용하고 지면과 접지되는 외부림(230)으로 구성되는 완충부(2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휠(20a) 또는 바퀴(20)와,
    상기 부재들을 기구적 경로로 결합하여 형성된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도1)와,
    상기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에 결합 된 하나(1개) 이상의 전륜 또는 후륜이 특정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작동림(250a)과, 완충부(23)의 작용으로 탑승자의 인체가 상,하로 파장이 일어나고 낙차운동이 전개되는 자전거와,
    상기 낙차운동을 탑승의자(안장,40)에서 배가(증가)시킴을 특징으로 구성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2. 기구(예:넌링머신) 위를 자력으로 페달 구동하여 제자리 주행하는 자전거나, 배터리나 전원 또는 엔진 등 자력 이외의 구동원으로 기구 위를 제자리 주행하여 승마효과를 제공하는 운동기구에 있어서,
    승마, 헬스 운동용 기구의 외형을 형성하는 뼈대의 프레임(도1,100)과,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게 축 사우드와 실린더 및 코일형 탄성부재와 방석으로 구성되는 탑승의자(안장 40)와,
    탑승자가 양손으로 중심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도2,12)와,
    제자리 주행을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30)와,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 된 주행동력을 후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32)와,
    상기 동력전달장치(32)에 의하여 전달되는 동력을 후륜에서 입력받는 휠축(21)을 포함한 구성부재(예:22,22a, 레칫기어)로 형성되는 휠(20a)과,
    상기의 휠(20a)은 적어도 2/1 이상 분할(예:180도,120도,90도) 구분된 간격에 바퀴(20)의 외경을 형성할 키 높이의 스포크(25)와,
    상기 스포크(25)가 변형되지않게 지지하는 지지스포크(26)와,
    상기 스포크(25)와, 지지스포크(26)상에 결합되는 외부림(250)은 전,후방으로 구분하여 절첩화(도6,251)한 작동림(도6,250a)과,
    상기 작동림이 접어졌을 때 이를 복원하는 탄성부재(270)와, 보조스포크(27)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주행방향의 일측이 높은 키 높이로 경사지게 지지스포크(26)와 스포크(25)상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작동림(250a)을 포함한 외부의 림(250)과,
    상기에서 분할된 휠(20a)의 스포크(도3,A 참조)와, 스포크(도3,A참조) 사이의 2/1 간격 중앙에는, 작동오일 또는 작동가스와 실린더 및 사우드로 형성되는 쇽업쇼버와, 복원력을 갖는 탄성스프링 및 쇽업쇼버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조스포 크(235)와, 상기부재를 수용하고 기구(예:런닝머신) 위의 접지면과 접지되는 외부림(230)으로 형성되는 완충부(2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휠(20a) 또는 후륜(20)과,
    상기부재를 기구적 경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와,
    상기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의(도2)의 저면에 일정크기로 구비되는 거치프레임(75)과,
    다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기구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재 및 벨트로 형성되는 런닝머신(70)과,
    상기 런닝머신(70)이 거치프레임(75)상에 거치 결합 된 다음, 그 상단에 상기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가 탑재되고, 손잡이(도2,12)의 연장된 축(11)이 거치대(111)에 유동적으로 결합 되어 형성되는 제자리운동용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도2)와,
    상기의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에 사용자가 탑승하여 구동부(30)를 작동하면 바퀴(20)와 런링머신(70)이 동기회전하고, 상기 바퀴(20)가 특정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상기 바퀴(20)의 휠(20a)상에 구비된 작동림(250a)과 완충부(23)의 작용으로 탑승자의 인체가 상,하로 파장이 일어나고 낙차운동이 전개되는 실내운동용 자전거와,
    상기 낙차운동을 탑승의자(안장,40)에서 배가(증가)시킴을 특징으로 구성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3. 제1항 내지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20a)은, 휠(20a)과 스포크(25,26) 또는 완충부(23)의 비틀림이나 변형방지를 위하여, 스포크(25,26)와, 휠(20a)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예:도11참조), 보조 부재 (예:27,235)가 바퀴(20) 또는 휠(20a) 상에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는, 구성 부재 각 결합부에 마찰 부재(예;붓싱)와, 상기 구비된 마찰 부재에 윤활재 급유가 더 이루어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5. 제2항에 있어서,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도2)는, 런링머신(70)를 구동하는 전동모터(도2,M)가 거치프레임(도2,75)상에 더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으로 런링머신(70) 또는, 바퀴(20)를 동기회전시켜 승마효과를 더 갖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의 프레임(100)상에 구비되는 안장(40)의 실린더(50)는 상기 실린더 상에 윤활재(예;그리스) 급유 구와, 급유 된 윤활재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지부재(예:박킹)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7. 제1항 내지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휠(20a) 상에 구비되는 완충부(23)는, 스포크(힘살)와, 보조스포크(보조힘살) 및 이에 결합 되는 탄성부재(예:코일형 스프링)로 완충부(2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면(땅)이나 기구(70)에 접지되는 외부의 림(230,250,250a)의 외부 타이어(200)는 신축성 있는 고무 또는 고무와 튜브로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9. 제1항 내지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의 구동부(30)는, 모터와 배터리, 또는 엔진과 연료의 사용으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30)와,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한 동력은 동력전달장치(32)를 경유해 후륜(20)에 전달되어 주행 추진력을 더 얻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10.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면(땅)이나 기구(70)에 접지되는 외부의 림(230,250,250a)의 외부 타이어(200)는, 신축성 있는 고무 또는 고무와 튜브가 360도 일체형으로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KR1020060129037A 2006-11-11 2006-12-15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KR100761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1327 2006-11-11
KR1020060111327 2006-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746B1 true KR100761746B1 (ko) 2007-10-04

Family

ID=3941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037A KR100761746B1 (ko) 2006-11-11 2006-12-15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6532A (zh) * 2016-12-09 2017-03-08 惠州真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起伏运动自行车的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287A (ja) 1997-02-04 1998-08-18 Nagaoka Kinzoku Kogyo Kk 自転車用トレーナ
KR20050022891A (ko) * 2003-08-27 2005-03-08 이승흥 승마형 헬스 자전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6287A (ja) 1997-02-04 1998-08-18 Nagaoka Kinzoku Kogyo Kk 自転車用トレーナ
KR20050022891A (ko) * 2003-08-27 2005-03-08 이승흥 승마형 헬스 자전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6532A (zh) * 2016-12-09 2017-03-08 惠州真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起伏运动自行车的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6669B2 (en) Exercise cycle with planetary gear system and rolling recoiled lateral motion system
CN107428390B (zh) 旋转传递机构以及具备该旋转传递机构的自行车
JP4456179B2 (ja) 自転車
JP5189103B2 (ja) サドルのない自転車
US5145477A (en) Spring saddle cycle
US9381395B2 (en) Stationary articulated bicycle
US7670230B2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balance training apparatus
CN103025390A (zh) 可调整摆角及高度的自行车的车座结构及具备所述车座结构的健身脚踏车
JP3282077B2 (ja) 人力駆動機構
KR101014362B1 (ko) 2인승 자전거
KR100761746B1 (ko)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CN210078833U (zh) 自助驱动型游乐运动设备
WO2008056962A1 (en) Horseback riding type bicycle
KR100673649B1 (ko)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KR20090043309A (ko) 승마형 자전거
JP2004182133A (ja) 自転車
KR20090059269A (ko) 전신운동용 소형자전거
CN109663270A (zh) 一种健身自行车
CN104071270B (zh) 漂移自行车
CN107697222B (zh) 一种采用弹簧动力的新型健身代步车
CN208181343U (zh) 一种新型自行车
AU2015202279B2 (en) Exercise cycle with planetary gear system and rolling recoiled lateral motion system
Patel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Treadmill Bicycle
KR100934100B1 (ko) 페달 구동 자전거 장치
KR200346172Y1 (ko) 페달없는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