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649B1 -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 Google Patents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649B1
KR100673649B1 KR1020050039082A KR20050039082A KR100673649B1 KR 100673649 B1 KR100673649 B1 KR 100673649B1 KR 1020050039082 A KR1020050039082 A KR 1020050039082A KR 20050039082 A KR20050039082 A KR 20050039082A KR 100673649 B1 KR100673649 B1 KR 100673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icycle
riding
spok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602A (ko
Inventor
박주철
Original Assignee
박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철 filed Critical 박주철
Priority to KR102005003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649B1/ko
Publication of KR2006011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63B21/01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including rotating or oscillating elements rubbing against fix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자전거의 주행을 담당하는 전,후륜휠이나, 또는 후륜 휠에 충격을 흡수하고 탄성력을 발생하는 완충부(쇽업쇼버)와 완충부 외부림(바퀴)과 휠을 지지하는 스포크와 스포크상에 구비되는 외부림(바퀴)을 경사각으로 조립하고, 스포크상에 부착되는 외부림을 반분한다음 절첩으로 연결하여 보조스포크와 코일스프링의 유기적인 동작으로 작동되는 작동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휠(바퀴)을 자전거에 장치하여 특정지어진 각도로 휠이 회전할때마다 상,하 낙차운동을 하게 유도함으로, 자전거의 탑승자가 페달을 구동하여 주행 또는 회전함에 따라, 휠의 작동림과 완충부가 상호 유기적으로 동작하면서 승차자의 인체가 실제 승마와 동일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소화운동을 돕게하고 노폐물 배출효과를 얻을수 있는 스포츠 운동용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휠,스포크,프레임,윤활재,회전사이클,작동림,완충부,반분.쇽업쇼버,샤우드.

Description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Equestrian or Health Combination and Bicycle}
1, 승마효과를 가지는 주행용 자전거 개략구조도.
2, 승마효과를 가지는 헬스용 자전거 개략구조도.
3, 일회전시 4사이클의 승마효과를 가지는 휠(후륜)의 구성 개념도.
4, 4사이클 작동휠(스포크프레임이 90도 간격)의 구성 개략구조도.
5, 3사이클 작동휠(스포크프레임이 120도 간격)의 구성 개략구조도.
6, 작동림 구성개략도.
7, 완충부(쇽업쇼버) 구성개략도.
8, 완충부(쇽업쇼버) 동작 구조도.
9, 작동림 동작 구조도.
10, 안장쿠션부 구조개략도.
[도면부호의 설명]
A 작동림, B 완충부, R 후륜회전방향, M 모터, 1 상승점, 2 하강점, 10 전륜(휠), 11 전륜축(결속부), 12 핸들(핸들축), 20 휠(후륜), 21 보조휠, 22 후륜축(휠축), 23 완충부(쇽업쇼버), 23a 쇼버샤우드, 25 스포크프레임, 25a 체결부, 26 지지스포크, 27 작동림보조스포크, 30 페달기어, 31 페달발판, 32 체인, 40 안장, 41 안장 지지축, 42 지지축체결볼트,너트, 43 리테너, 45 스넵키, 50 안장 결합부, 51 안장쿳숀용 스프링, 70 런링머신롤러. 71 런링머신지지대. 75 거치프레임. 100 자전거 프레임. 200 림외피부(고무,또는튜브), 230 완충부외부림, 231 완충부1차스프링, 232 완충부2차스프링, 233 완충부3차스프링, 235 완충부보조스포크, 250 스포크프레임외부림, 250a 작동림, 251 작동림절첩, 255 체결부장공, 300 회전사이클(원).
본 발명은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 휠의 회전축에 편심축을 장치하지 않고, 휠이 일정폭으로 회전할때마다 완충부와 작동림이 상호 유기적으로 상,하 낙차운동을 하게 구성하여, 회전각도에 따라 승차자가 요동치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자전거는 후륜 구동에 의해 추진되고, 전·후방에 설치된 휠은 그 중심부에 설치된 축을 기점으로 진원을 그리면서 회전되어 휠이 접촉되는 지면에 대해 축 또는 휠이 평행한 상태로 이동된다. 이러한 자전거는 이동수단이나 운반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이르러 레저 및 스포츠용으로 더욱더 각광을 받고 있으나, 승차시 느끼는 단조로움으로 인하여, 휠의 중심축을 편심지게 구성하여 자전거가 주행시 더울렁 거리는 요동을 치게 구성한 특허 공개공보 10-1986-0001742 호 또는 10-1998-0029044호 또는 20-1998-0002472 호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의 승마효과 자전거는 바퀴가 360도 회전되어야 일 효과를 가질수는 있으나, 인체가 낙차를 느끼는 요동을 치는 것이 아니고 위아 래로 움직이는 효과만 제공할뿐 승마운동의 효과가 없으며, 회전사이클이 너무 크기 때문에 실용적인 실시와 스포츠 효과를 가지기에는 현실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에 개시된 편심축 자전거 또는 승마형 자전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전거의 전.후 휠 중 적어도 후륜 휠(20)을 코일형 탄성스프링(231,232,233)과 쇽업쇼버(23)등으로 이루어진 완충부(23)와 스포크(25,26) 및 보조스포크(27) 장치와 작동림(250a)으로 이루어져, 휠이 일정한 폭으로 회전할때마다 승차자의 신체가 상,하로 출렁이며 요동을 칠수있게 구성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운동효과를 가질수 있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 휠의 360도 진원을 세분하여, 180도(2사이클)로 구분하거나, 120도(3사이클), 또는 90도(4사이클) 60도(6사이클)로 구분하여 스포크프레임(25)을 구비하고 상기 스포크(25)와 스포크(25) 사이에 완충부(23)를 구비하며, 스포크(25,26)와 연계된 외부의 림(250)상에 작동림 (250a)을 구비하여, 휠(20)이 축(22)으로부터 일정각도(예;60,90,120,180도)로 회전할때마다 작동림(250a)이 한번씩 동작하여 완충부(23)가 내부로 밀려 들어갔다가 다시 원위치로 상승하기를 반복하므로 승차자가 상,하로 낙차 요동을 느낄수 있고,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완하기 위하여 안장(40)의 저면에 1,2차 코일스프링(51)을 장치하여 상호 배가운동을 하게 유도함으로서, 실제 승마를 하는 효과와 동일한 승 마 헬스용 자전거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스포츠 운동을 목적으로 승차한 사람에게 짧은 시간을 주행해도 인체의 전반부가 실제 승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수 있어 소화불량 해소 및 노폐물 제거등의 웰빙효과를 가질수 있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승마,헬스겸용 자전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내용을 설명한 것이다.
도 1은 승마효과를 제공하는 주행용 자전거의 개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승마효과를 제공하는 헬스용 자전거의 개략구조도이며. 도3은 상기 실시의 이해를 돕기위한 구성 개념도이다. 상기에서 주행용 자전거 고유의 기능과 더불어 간단한 방법으로 실내운동용 헬스자전거와 주행용 자전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자전거를 활용한 승마 헬스겸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휠(20,바퀴)과 안장(40)의 구성에 있으며. 휠은 진원으로 구성되는 휠(20)과 보조휠(21)로 이루어지며 보조휠(21) 내부에 일단의 마찰부재와 축으로 이루어져 자전거의 프레임(100)상에 결합되게 구성하고, 상기 휠(20,21)상에 휠을 지지하는 스포크프레임(25,힘살,)을 90도(도1) 간격으로 4개 설치하고 상기 스포크프레임(25,이하 스포크)을 지지할 지지스포크(26)를 특정 간격으로 스포크프레임(25)보다는 조금 짧게 부설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의 스포크(25)와 스포크(25) 사이 45도상에 완충부(23,쇽업쇼버)를 설치하여 외형적인 휠(후륜,20)이 구성 된다.
도4는 4사이클 작동 휠의 구성개략도이고, 도5는 3사이클 작동 휠의 구성개략도이다. 상기도면을 참고하여 1도 및 2도 실시의 구성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휠(20,21)상에 개설되는 스포크(25,26)의 외부 바퀴를 형성하는 림(250)은 진원(300)으로 형성되는 금속판을 6등분하거나(도5) 또는 8등분(도4)한 크기 이내로 림(250)이 형성되며, 상기의 림(250)을 반분한 중앙부에 절첩(도6,251)을 구비하여 일측이 상,하로 유동되는 작동림(250a)으로 구분되고, 상기 작동림(250a)은 작동림을 지지할 코일형 스프링(270)과 보조스포크(27)를 구비하여 휠(20)과 결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의 휠(20)에 결합된 보조스포크(27)는 상,하로 유동이 자유롭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림(250)의 중앙 상부면으로 스포크(25)와 결합되는 체결부장공(도6,25a)을 개설하여 볼트로 결합되고, 그 전방에 지지스포크(26)와 결합되는 체결부장공(255)이 구비되어 지지스포크(26)와 45도 이내의 경사각도로 림(250)이 결합되어 스포크(25,26,27)상에 형성되는 외부림(250,바퀴)이 이루어진다.
또한 스포크(25)와 스포크(25)사이 45도(도4) 또는 60도(도5)상에 구비되는 완충부(23)는, 유압유가 구비된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 장치되는 샤우드(23a)로 이루어져 형성되는 일반적인 운송장치의 쇽업쇼버(23)를 보조휠(21)과 휠(20)에 결합하고, 외부 바퀴를 담당할 림(230)은 진원(300)을 6등분(도5)하거나 또는 8등분(도4)한 크기 이내로 림(230)을 형성하고, 상기의 림(230) 중앙부에 체결부장공 (255)을 구비하여 쇽업쇼버의 샤우드(23a)와 결합되게하고, 림(230)의 좌,우측단에 보조스포크(235)와 결합되는 체결부장공(255)를 각각 구비한다음 보조스포크(235)와 결합되게 하고, 상기의 보조스포크(235)는 휠(20)과 결합되게 구성한다음, 충격과 탄성을 담당할 1,2,3차 코일형 스프링(231,232,233)을 투입하여 이를 림(230)과 휠(20)에 최종적으로 결합하여 완충부(23)가 형성된다.
상기의 림(230,250,250a) 외부는 신축성있는 고무나 튜브를 관착하여 형성할수도 있고 신축성 있는 고무만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4,5도 실시와 비례되게 완충부(23)나 스포크(25)를 각각2개 구비하여 낙차 파장이 큰 2사이클의 휠을 구성하거나, 5,6개를 구비하여 낙차파장이 작은 휠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휠(도4,5)을 통상적인 자전거에 결합하면 주행용 승마자전거가 이루어진다(도1)
또한 2도 실시의 헬스용 승마자전거는 상기 1도실시의 주행용 승마자전거의 전륜(10)을 절제하고, 자전거 프레임(100)상에 구비된 핸들(12)의 파이프 축을 조금길게 구비하여 평판으로 형성되는 거치프레임(75)상에 구비된 거치대(111)에 볼트결합(11)하고, 후륜(휠) 아래쪽에 통상적인 런링머신롤러(70)를 장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후륜휠(20) 저면에 구비되는 런링머신롤러(70)는 거치프레임(75)좌,우측으로 구비되는 런링머신지지대(도2,71)상에 거치되어 지지되게 볼트결합되 어 이루어지고, 상기 런링머신롤러(70)에 탑재된 헬스용자전거에 사용자가 탑승하여 자전거의 페달(31)을 구동하게되면 시계반대방향으로 휠(20)이 회전하게되고, 런링머신롤러는 도면우측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적용된 휠(도4,5)의 특성되로 요동 낙차가 적당한 사이클(도4,도5)을 형성하면서 승마효과를 내게되고, 이때 자전거의 안장(40) 저면에 장치된 코일스프링(51)의 도움으로 상기의 승마효과를 배가시켜주는 상승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안장은 통상적인 자전거의 안장을 의미하며, 도10에 실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안장(40)은 방석을 지지하는 축(41)과 결합부(50)를 개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안장(40)을 지지하는 축(41)을 적어도 20cm 내지는 최고 60cm 이내로 길게 형성하고 중앙 하단부를 단을지게 구성하며 단이진 위치에 코일스프링이 투입되도록 구성하며, 축(41)의 하단 마감부에 볼트피치와(42) 너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자전거의 프레임(100)상에 구비되는 안장(40)의 결합부(50)는 일측이 막힌 원형의 파이프를 30cm 길이 이내로 구비하고, 내경의 표면이 매끄럽도록 면치하여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한 다음, 상단부에 리테너(43)가 삽착될 수 있는 요홈의 개설과 삽착된 리테너(43)의 탈출방지를 위한 스넵키(45)와 키자리의 요홈을 개설하여 이루어지고, 결합부(50)의 하단에도 상기와 같은 리테너 삽착홈(43)과 스넵키 삽착요홈(45)을 개설한다음, 결합부(50)의 하단 중앙에 안장의 지지축(41)이 통과 하도록 요홈을 천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이 구비된 결합부(50)에 리테너(43)를 결착하고 코일스프링(51)을 투입한다음 안장에 결합된 지지축(41)을 투입하면서 급유(구리스)를 병행한다음 하단부의 결합너트(42)로 체결되어 완성된다.
도6은 상기에서 인용한 스포크프레임(25)과 지지스포크(26) 및 보조스포크(27)가 휠(20)상에 결합되는 구조와 상기 스포크(25,26,27)상에 결합되는 림(250)과 작동림(250a)의 구조를 개략도시한 것이다.
도7은 완충부(23,쇽압쇼버)의 체결구조와 휠(20)상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것이다. 상기의 완충부(23)상에 결합되는 스프링(231,232,233)은 보조스포크(235)와 쇽압쇼버 샤우드(23a)에 개별적으로 삽착이 가능하고, 휠(20)상에 결합되는 보조스포크(235)의 T자 상단부는 볼트,너트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보조휠(21)상에 결합되는 쇽압쇼버(23)의 결합부는 한개의 돌기를 형성한다음 볼트 체결구 홈을 천공하여 이루어지고, 보조휠(21)상에 구비되는 돌기는 두개를 형성하여 볼트(23b) 체결구 홈을 천공하여 볼트(23b)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도면 상단부로 구비되는 휠축(22,후륜축)은 구형 볼베어링(22a) 일단으로 이루어지는 마찰부재와 자전거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양측(좌,우)나사산이 구비되는 볼트형 축으로 구비된다.
도8과 도9는 상기 1,2실시의 휠(20,바퀴)에 대한 작동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전거에 탑승한자가 페달(31)을 구동하여 휠(2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지면에 먼저닿은 작동림(250a)이 도면 위쪽으로 후퇴하여 올라가게 되고 곧이어 완충부(23)의 외부림(230)에 지면이 닿으면 쇽업쇼버(23)가 작동하면서 도면 상단부로 일시 후퇴하게 되어 일사이클의 낙차 운동을 하게된다. 또한 일시적으로 후퇴했던 완충부(23)는 코일스프링(231,232,234)의 탄성력으로 복원력을 얻게되고 페달(31)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휠(20)은 다시 스포크(25,26)상에 부착된 외부림(250)으로 지면 접촉이 넘어가게 되는대, 이때 스포크(25,26)상에 경사지게 결합된 외부림(250)이 상승점으로 올라가기 쉬웁게하여 회전운동을 도와주는 역활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운동과 낙차운동이 반복되면서 자전거에 탑승한 승차자는 신체가 상,하로 출렁이게 되고, 상기의 출렁임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도와주는 역활을 안장(40) 저면에 장치된 축(41)과 코일스프링(51)이 담당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주행용 승마자전거나, 헬스자전거는 사용자가 짧은시간만 활용해도 신진대사가 원활해지므로 폐활량 증가 효과와 소화운동을 돕게되고 노폐물 배출등의 웰빙효과가 증대되는 승마겸용 헬스자전거를 제공하게 되는것이다.
상술한 2도실시의 헬스용 승마자전거에 있어서, 런링머신롤러(70)에 전동모터(도2,M)를 구비하여 구동력을 얻으면 승차자는 안장(40)에 않자 있기만 해도 승마운동효과를 얻을수 있고, 본 발명의 휠(20)과 안장(40)을 스쿠터나 오토바이 등에도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완충부(23)나 휠(20) 또는 스포크(25,26)의 변형방지를 위한 다양한 변형 방지부재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고, 각 결합부에 마찰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다만 본원 발명의 구성범위와 청구범위안에서의 다양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은 진원으로 이루어지는 휠상에 운동사이클을 크게도 할 수 있고 적개도 할수 있는 휠(20)을 선택적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짧은시간만 활용해도 회전운동과 낙차운동이 반복되어 신진대사가 원활해지므로 폐활량 증가 효과와 소화운동을 돕게되고 노폐물 배출등의 웰빙효과가 증대되는 승마겸용 헬스자전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9)

  1. 통상적인 자전거나, 외부동력으로 구동력을 얻는 이송수단용 장치를 포함한 헬스운동용 자전거에 있어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휠(20)과, 그 내측으로 위치하는 보조휠(21)과, 보조휠(21) 내부에 구비되는 마찰부재와, 양측단에 볼트, 너트의 결합부로 구비되는 휠축(22)과, 상기 휠축(22)상에 구동력을 전달받는 수단과,
    상기 휠(20,21)의 180도, 또는 120도, 또는 90도, 또는 75도, 또는 60도, 또는 45도상에 휠(20,바퀴)의 외경을 형성할 크기로 구비되는 스포크프레임(25)과,
    상기 스포크프레임(25)을 지지할 지지스포크(26)는, 스포크프레임(25)보다 조금 짧게 구비되고, 그 전방에 위치하여 이루어지는 지지스포크(26)와,
    상기 스포크프레임(25)의 일측은 휠(20)을 관통하여 보조휠(21)에 각각 결합되고, 일측은 지면과 접촉되면서 경사지게 결합되는 외부림(250)과,
    상기 외부림(도4,230,250)은, 원(도4,300)을 기준으로 스포크프레임(25)이 구비되는 수(예;2~7개/2)에 따라 분할한 크기 내외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스포크(25,26)상에 결합되는 외부림(250)은, 외부림(250)을 반분하여 절첩(도6,251)화 결합되고, 그 우측단은 지지스포크(26)와, 중앙부는 스포크프레임(25)과 결합되고 좌측단은 보조스포크(27)와 결합 된 다음, 보조스포크(27)에 코일스프링(270)을 투입하고 이를 휠(20)에 유동적으로 결합하여 형성되고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복원력을 갖는 작동림(250a)과,
    유압작동유와 실린더 및 샤우드로 형성되는 쇽업쇼버(23)가 바퀴(20,휠)의 외경과 비례한 키 크기로 구비된 다음, 실린더 상단은 보조휠(21)상에 결합되고, 실린더 하단은 휠(20)상에 결합되며, 돌출된 샤우드(23a)는 외부림(230)과 결합되게 구성되고, 상기를 보조할 다수개의 보조스포크(235)로 이루어지며, 보조스포크(235)의 일측단은 휠(20)상에 유동되게 결합 된 다음, 보조스포크(235)와 쇽업쇼버 샤우드(23a)에 코일스프링을 투입하고, 상기에서 구성된 외부림(230)과 체결부재로 결합하여 코일스프링(231,232,233)의 탄성력으로 복원력을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완충부(23)와,
    상기의 완충부(23)를 휠(20)상에 구비된 스포크프레임(25)과, 스포크프레임(25) 2/1 사이의 중앙에 장치하여 이루어지는 휠(20,바퀴)과,
    차체의 후방 프레임(100)상에 구비되는 안장(40)은, 상부의 방석(안장)과 방석을 지지하는 지지축(41)과, 상기의 지지축(41)은 적어도 20cm 내지 최대 60cm 내외의 길이로 상,하단부로 구분하고, 상기 하단부에는 코일스프링(51)과, 하단부 저면에는 볼트와, 나사로 형성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축(41)을 결합하는 결합부(50)는 하단이 밀폐화 된 실린더형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 중앙에 안장지지축(41)과 결합되는 결합구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에 지지축(41)과 코일스프링(51)을 투입한 다음, 상기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안장(40)과,
    상술한 부품 부재를 기구적 경로로 조합하여 형성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도1,도2)와, 상기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도1,도2)는 휠(20,바퀴)이 특정 각도로 회전할때마다 작동림(250a)과, 완충부(23)가 상,하로 낙차운동이 전개되고, 상기 운동을 안장(40)에서 배가(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는, 전륜(도2,10)이 제거되고 제거된 전륜의 높이만큼 연장 확대하여 구성되는 핸들(12)의 축과,
    상기 자전거(도2)의 저면에는 거치프레임(75)이 일정크기로 구비되고, 거치프레임(75)상에 롤러와 롤러축 및 벨트와 마찰부재 및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런링머신롤러(70)와,
    상기 런링머신롤러(70)를 탑재하는 거치대(71)가 거치프레임(75)의 후방 좌,우측면에 구비된 다음, 상기 거치대(71)에 런링머신롤러(70)가 탑재 거치되고,
    상기 거치프레임(75)의 전방 중앙에는 상기 핸들(12)의 축(11)과 결합되는 거치대(111)가 구비된 거치프레임(75)상에, 상기 헬스용 승마자전거(도2)가 탑재된 다음, 핸들(12)의 축(11)이 거치대(111)에 유동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실내운동용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와,
    상기의 자전거에 사용자가 탑승하여 페달(31)을 구동하면 휠(20)과, 런링머신롤러(70)가 동기회전하면서, 상기 휠(20)상에 구비된 작동림(250a)과 완충부(23)가 동작하면서 상,하 낙차운동을 전개하고, 상기운동을 안장(40)에서 배가(증가)시켜 승마효과를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휠(20)과 스포크프레임(25) 및 완충부(23)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방지수단(예;보조스포크나 보조림)이 상기 휠(20)상에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를 형성하는 부품 부재의 각 결합부에는 마찰부재(예;붓싱,등)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5.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는 런링머신롤러(70)를 구동하는 전동모터(도2,M)가 거치프레임(도2,75)상에 더 구비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으로 런링머신롤러(70)와, 휠(20)을 동기회전시켜 승마효과를 더 갖는 것에 특징이 있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는 차체의 프레임(100)상에 구비되는 안장(40)의 결합부(50)상에 윤활재(예;구리스) 급유구와, 상기 급유구로 급유된 윤활재의 유출을 방지하는 부재(도10,4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는 휠(20,21)상에 구비되는 완충부(23,쇽업쇼버)의 쇽업쇼버를 제거하고, 지지스포크와 보조스포크 및 보조스포크(235)상에 결합되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완충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는 휠(20)의 외부를 담당하는 외부림(230,250)의 외피(200)가 신축성 있는 고무, 또는 고무와 튜브로 형성되고 외부림상에 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9. 제1항 또는 제2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의 휠(20,21)상에 구비되는 완충부(23)는, 다수개의 실린더형 파이프가 보조휠(21)과 휠(20)상에 더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형 파이프에 결합되는 스포크형 사우드와, 상기 사우드에 결합되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완충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KR1020050039082A 2005-05-11 2005-05-11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KR100673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082A KR100673649B1 (ko) 2005-05-11 2005-05-11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082A KR100673649B1 (ko) 2005-05-11 2005-05-11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602A KR20060116602A (ko) 2006-11-15
KR100673649B1 true KR100673649B1 (ko) 2007-01-29

Family

ID=3765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082A KR100673649B1 (ko) 2005-05-11 2005-05-11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6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836B1 (ko) * 2006-05-03 2007-07-03 강신묵 탄성바가 형성된 레저용 바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602A (ko)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72124T3 (es) Bicicleta de ejercicio con el sistema de engranaje planetario y sistema de movimiento lateral retrocedido rodante
JPWO2009054161A1 (ja) 自転車
JP6615610B2 (ja) 特徴的な駆動アセンブリを備えた自転車
US6540244B1 (en) Human-powered driving mechanism
US20060103105A1 (en) Standing cycle
KR100673649B1 (ko)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US6247714B1 (en) Recumbent cycle with improved suspension
US20100059963A1 (en) Dual-drive bicycle
CN210078833U (zh) 自助驱动型游乐运动设备
KR100761746B1 (ko) 승마 헬스겸용 자전거
KR101286618B1 (ko) 연결형 자전거
CN218777633U (zh) 一种脚踏式蹬地车
KR100733836B1 (ko) 탄성바가 형성된 레저용 바퀴
CN106864656A (zh) 山地自行车
CN218662245U (zh) 一种两轮载人工具
CN201816712U (zh) 一种自行车助力组件
KR101128842B1 (ko) 무한궤도형 자전거
KR101157842B1 (ko) 핸들구동형 자전거
CN105882867A (zh) 一种脚踏车
Kumar et al. Design, Fabrication and Analysis of Spokeless Wheel
CN107187533B (zh) 全方位自行车及多人全方位自行车
CN207055816U (zh) 康复用自行车
Swarna Kiran Design and fabrication of foldable bicycle
AU2015202279B2 (en) Exercise cycle with planetary gear system and rolling recoiled lateral motion system
CN113928466A (zh) 一种运动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