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618B1 - 연결형 자전거 - Google Patents

연결형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618B1
KR101286618B1 KR1020100124804A KR20100124804A KR101286618B1 KR 101286618 B1 KR101286618 B1 KR 101286618B1 KR 1020100124804 A KR1020100124804 A KR 1020100124804A KR 20100124804 A KR20100124804 A KR 20100124804A KR 101286618 B1 KR101286618 B1 KR 10128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eparation
separation shaft
front wheel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3710A (ko
Inventor
홍정표
Original Assignee
홍정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표 filed Critical 홍정표
Priority to KR1020100124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6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61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형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앞바퀴가 장착되는 앞바퀴프레임; 상기 앞바퀴프레임에 연장되게 마련된 제1분리축; 및 앞바퀴를 고정하는 앞바퀴축 및 뒷바퀴를 고정하는 뒷바퀴축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분리축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분리축;을 포함하며, 두 자전거를 연결형으로 사용시에는 한 자전거의 상기 앞바퀴축의 제2분리축을 상기 앞바퀴프레임의 상기 제1분리축으로 분리한 후, 상기 제1분리축을 다른 자전거의 뒷바퀴축의 제2분리축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형 자전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결형 자전거는 통상의 1인승 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면 다인승 자전거로 모든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모든 자전거가 일시에 구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형 자전거{A Bicycle Being Connectable to one another}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자전거를 직렬로 연결하여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자전거를 함께 구동할 수 있도록 한 연결형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이륜차로서, 앞바퀴와 뒷바퀴, 이들 바퀴들을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과, 방향을 조절하는 핸들과, 사람이 앉는 안장과, 바퀴를 구동하는 페달 등으로 구성된다.
자전거는 사람이 두 발로 페달을 밟아 생긴 힘으로 인해 바퀴가 회전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근거리 이송수단이나 운동기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자전거는 통상 1인승 형태로 제작되므로 한 사람만 탑승할 수 있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사람이 함께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2대의 자전거를 일렬로 연결한 형태로 바퀴가 3개가 장착된 형태의 커플 자전거가 이미 출시되어 공원이나 유원지 등에서 레저용으로 커플이나 가족들에게 인기를 받고 있다.
그런데 커플 자전거는 자전거 거치대에 주차하거나 혼자서 운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에게는 보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연인이나 가족단위로 동네 주변을 산책할 경우에는 손쉽게 이용하지 못하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통상의 1인승 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면 다인승 자전거로 모든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모든 자전거가 일시에 구동될 수 있는 상호 연결이 가능한 연결형 자전거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나아가 통상 커플 자전거는 지면상에서 바퀴 3개가 나란하게 움직이도록 하나의 프레임에 장착되므로 경사면, 비탈면, 웅덩이 등에서 중앙에 위치한 바퀴가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없어 충격에 약하거나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사면, 비탈면, 웅덩이 등에서 중앙에 위치한 바퀴가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인 연결형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바퀴가 장착되는 앞바퀴프레임; 상기 앞바퀴프레임에 연장되게 마련된 제1분리축; 및 앞바퀴를 고정하는 앞바퀴축 및 뒷바퀴를 고정하는 뒷바퀴축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분리축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분리축;을 포함하며, 두 자전거를 연결형으로 사용시에는 한 자전거의 상기 앞바퀴축의 제2분리축을 상기 앞바퀴프레임의 상기 제1분리축으로 분리한 후, 상기 제1분리축을 다른 자전거의 뒷바퀴축의 제2분리축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형 자전거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형 자전거는 상기 제1분리축과 제2분리축에 마련되어 상기 제1분리축 및 제2분리축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제1분리축 또는 제2분리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삽입공; 상기 삽입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1분리축 또는 제2분리축 중 어느 하나의 내측 공간부에 마련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 탄성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1분리축 또는 제2분리축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삽입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구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제1분리축 및 제2분리축에 마련된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며 제1분리축 및 제2분리축을 상호 결합하는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제1분리축 또는 제2분리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턱; 상기 걸림턱에 체결되도록 다른 제1분리축 또는 제2분리축에 마련된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형 자전거는 상기 앞바퀴프레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부에 마련되는 안장; 및 상기 안장의 배면에 배치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를 높이조절가능하게 지지하는 높이조절바를 가지며 상기 어느 한 자전거의 분리된 앞바퀴를 거치하여 고정시키는 바퀴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형 자전거는 상기 앞바퀴프레임에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핸들; 및 상기 회동축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핸들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핸들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형 자전거는 통상의 1인승 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면 다인승 자전거로 모든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모든 자전거가 일시에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종래 하나의 프레임에 바퀴 3개가 모두 장착된 커플 자전거와 달리 주차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사면, 비탈면, 웅덩이 등에서 가운데 위치한 바퀴가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자전거의 수명이 연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형 자전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다른 자전거와의 연결을 위해 앞바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두 대의 연결형 자전거가 상호 연결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형 자전거의 체결부에 대한 제1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형 자전거의 체결부에 대한 제2 실시예.
도 6는 본 발명의 연결형 자전거의 체결부에 대한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형 자전거의 핸들고정부에 대한 일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형 자전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다른 자전거와의 연결을 위해 앞바퀴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두 대의 연결형 자전거가 상호 연결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형 자전거의 체결부에 대한 제1 실시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형 자전거의 체결부에 대한 제2 실시예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연결형 자전거의 체결부에 대한 제3 실시예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형 자전거의 핸들고정부에 대한 일 형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형 자전거(1)는 프레임(100)과, 앞바퀴(3)가 장착되는 앞바퀴프레임(310)과, 뒷바퀴(5)가 장착되는 뒷바퀴프레임(150)과, 앞바퀴(3)를 조절하는 핸들(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00)은 자전거의 몸체를 형성하며 상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부분에는 안장(200)이 결합되고, 뒷 부분에는 뒷바퀴(5)가 장착될 수 있는 뒷바퀴프레임(150)이 배치된다.
앞바퀴(3)는 앞바퀴프레임(3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앞바퀴프레임(3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프레임(100)의 전면 영역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중공관(305)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앞바퀴프레임(310)은 앞바퀴(3)를 양측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분기된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앞바퀴(3)는 다른 자전거와의 결합을 위해 앞바퀴프레임(310)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기된 한 쌍의 앞바퀴프레임(3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분리축(410)이 연장되게 마련되고, 앞바퀴축(30)에는 상기 제1분리축(41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분리축(430)이 장착된다.
여기서 제2분리축(430)은 앞바퀴(3)를 고정하는 앞바퀴축(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제2분리축(430)은 앞바퀴축(30) 뿐만 아니라 뒷바퀴(5)를 고정하는 뒷바퀴축(50)에도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런데 뒷바퀴축(50)에 결합되는 제2분리축(430)은 앞바퀴축(30)에 결합되는 것과 달리, 베어링(440, 도 4 내지 도 6 참조)을 이용하여 뒷바퀴축(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베어링(440)은 다수의 볼(441)을 가지며 뒷바퀴축(50)에 대해 제2분리축(430)이 공회전할 수 있도록 자유도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도면에는 제1분리축(410)과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설명의 편의상 베어링(440)에 장착된 제2분리축(430)이 모두 윗방향을 향하도록 도시되었으나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여기서 뒷바퀴축(50)에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체인과 연결되는 다수의 스프로킷이 함께 장착되므로, 상기 뒷바축(50)에 장착된 제2분리축(430)는 스프로킷이 장착된 부분을 감싸듯이 일부 영역이 절곡된 형상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뒷바퀴(5)에 위치한 제2분리축(430)은 다른 두 자전거를 연결형으로 사용시에는 한 자전거의 앞바퀴(3)가 분리된 제1분리축(410)과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두 자전거를 연결형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호 결합되어 있는 앞바퀴(3)의 영역의 제2분리축(430)을 제1분리축(41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바퀴(3)가 분리된 자전거(좌측)의 상기 제1분리축(410)을 다른 자전거(우측)의 뒷바퀴축(50)의 제2분리축(430)에 결합함으로써, 두 자전거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분리축(410)과 제2분리축(430)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분리축(410) 및 제2분리축(430)에는 다양한 형태의 체결부(500, 501, 5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도 1 및 도 3의 "A","B" 영역에 도시된 체결부(500, 501, 502)를 이용하여 제1분리축(410) 및 제2분리축(430)을 연결하는 방법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체결부(500)는 제1분리축(410) 또는 제2분리축(43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삽입공(510)과, 상기 삽입공(510)이 형성되지 않은 제1분리축(410) 또는 제2분리축(430) 중 어느 하나의 내측 공간부에 마련된 스프링(530)과, 상기 스프링(530)에 탄성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1분리축(410) 또는 제2분리축(430)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삽입공(51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구슬(5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제1분리축(410)에는 다수의 삽입공(510)이 표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고, 제2분리축(430)에는 삽입공(510)에 삽입되도록 스프링(530)이 의해 탄성지지되는 다수의 구슬(52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분리축(410)의 지름은 상기 제2분리축(4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더 크게 마련된다.
제1분리축(410)과 제2분리축(430)을 결합시에는 도 4에 우측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리축(430)이 제1분리축(410)에 삽입되면서 구슬(520)이 삽입공(510)이 삽입되고, 스프링(530)은 삽입된 구슬(520)을 탄성지지하므로 결합된 제1분리축(410)과 제2분리축(430)은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분리축(410)과 제2분리축(430)을 분리할 경우에는 구슬(520)을 내측으로 밀게되면, 스프링(530)이 압축되므로 제2분리축(430)은 제1분리축(410) 내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구슬(520) 및 삽입공(510)의 개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구슬(520)은 구 형상이 아니고 봉 또는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체결부(501)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제1분리축(410)과, 상기 제1분리축(410)을 감싸도록 끼워지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540)과, 상기 커플링(540)에 의해 나사체결되면서 제1분리축(410)과 연결되는 제2분리축(4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분리축(410)은 제2분리축(43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제2분리축(430)의 지름과 커플링(540)의 내경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분리축(410)의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된 단턱(511)이 형성되고, 커플링(540)의 상단부에는 상기 단턱(511)이 걸리게 되는 걸림턱(5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커플링(540)은 제1분리축(410)에 헐겁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지만, 도 5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하강하더라도 제1분리축(410)에 대해 분리되지 않는다.
여기서 커플링(540)의 내측에는 나사산(542)이 형성되는데 하단부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분리축(430)의 외면에는 상기 커플링(540)의 나사산(542)에 체결되는 나사산(531)이 형성되는데, 상단부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제1분리축(410)과 제2분리축(430)을 결합시에는 도 5에 우측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리축(430)이 커플링(540)에 어느 정도 삽입된 상태에서 커플링(540)의 나사를 회전시키면 제1분리축(410)과 제2분리축(430)의 단부를 서로 밀착되도록 상호 결합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상기 체결부(502)는 제1분리축(410) 또는 제2분리축(43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턱(560)과, 상기 걸림턱(560)에 체결되도록 다른 제1분리축(410) 또는 제2분리축(430)에 마련된 걸림쇠(5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도 상기 제1분리축(410)과 제2분리축(430)의 지름은 서로 동일한 것이 제1분리축(410)의 하단부 지름이 제2분리축(430)보다 크게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분리축(410)과 제2분리축(430)을 결합시에는 도 6에 우측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리축(410)의 내측에 제2분리축(430)의 단부를 삽입시킨후 걸림쇠(550)를 걸림턱(560)에 회동시켜 체결함으로써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체결부(500, 501, 502)에 의해 제1분리축(410)과 제2분리축(430)은 쉽게 착탈되므로 사용자는 연결형 자전거(1)를 2개 또는 그 이상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주지할 것은 본 발명의 연결형 자전거(1)는 제2분리축(430)은 앞바퀴축(30) 또는 뒷바퀴축(50)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형으로 사용될 경우에 가운데 바퀴(5)는 바퀴의 회전방향으로 자유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종래 하나의 프레임(100)에 바퀴 3개가 모두 장착된 커플 자전거와 달리 경사면, 비탈면, 웅덩이 등에서 가운데 위치한 바퀴가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자전거의 수명이 연장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에 상부에 마련되는 안장(200)에는 어느 한 자전거의 분리된 앞바퀴(3)가 거치될 수 있는 바퀴거치대(600)가 마련된다.
바퀴거치대(600)는 탑승자가 앉게 되는 안장(200)의 배면에 배치되는 등받이(610)와, 상기 등받이(610)를 높이조절가능하게 지지하는 높이조절바(620)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1인승으로 이용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인승으로 이용될 경우 앞좌석에서는 등받이(610)가 엉덩이 및 허리를 받칠 수 있는 정도로 높이조절바(62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뒷좌석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바(620)를 상승시켜 앞바퀴(3)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앞바퀴(3)는 별도의 고정끈, 철사 등으로 바퀴거치대(6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형 자전거(1)가 상호 연결되면 뒤에 위치한 자전거의 핸들(300)은 고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들(300)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핸들고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고정부(700)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바퀴프레임(310)에서 연장된 핸들연결축(303) 상부에 마련되는 고정레버일 수 있다.
핸들연결축(300)의 상부 영역에는 양측으로 핸들(300)이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핸들연결축(300)의 하부에는 상기 앞바퀴프레임(310)에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100)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축(305)이 마련된다.
상기 회동축(305)은 프레임(100)의 전면 영역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중공관(305)에 삽입 설치되면서 핸들(300)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핸들고정부(700)는 이러한 회동축(305)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고정레버를 통해 회동축(305)을 조임으로써 회동하지 않게 하거나 프레임(100)에서 연장된 바(bar)를 회동축(305) 상부에 고정시킴으로써 핸들고정부(700)를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형 자전거(1)는 통상의 1인승 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면 다인승 자전거로 모든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모든 자전거가 일시에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종래 하나의 프레임에 바퀴 3개가 모두 장착된 커플 자전거와 달리 경사면, 비탈면, 웅덩이 등에서 가운데 위치한 바퀴가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자전거의 수명이 연장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연결형 자전거 3 : 앞바퀴
5 : 뒷바퀴 30 : 앞바퀴축
50 : 뒷바퀴축 100 : 프레임
150 : 뒷바퀴프레임 200 : 안장
300 : 핸들 303 : 핸들연결축
305 : 앞바퀴프레임 회동축 310 : 앞바퀴프레임
410 : 제1분리축 430 : 제2분리축
500, 501, 502 : 체결부 510 : 삽입공
520 : 구슬 530 : 스프링
511, 531 : 나사산 550 : 걸림쇠
560 : 걸림턱 600 : 바퀴거치대
610 : 등받이 620 : 높이조절바
700 : 핸들고정부

Claims (7)

  1. 앞바퀴가 장착되는 앞바퀴프레임;
    상기 앞바퀴프레임에 연장되게 마련된 제1분리축; 및
    앞바퀴를 고정하는 앞바퀴축 및 뒷바퀴를 고정하는 뒷바퀴축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분리축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분리축;
    상기 제1분리축과 제2분리축에 마련되어 상기 제1분리축 및 제2분리축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구비하며,
    두 자전거를 연결형으로 사용시에는 한 자전거의 상기 앞바퀴축의 제2분리축을 상기 앞바퀴프레임의 상기 제1분리축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1분리축을 다른 자전거의 뒷바퀴축의 제2분리축에 결합하며,
    상기 체결부는 제1분리축 또는 제2분리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삽입공;
    상기 삽입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1분리축 또는 제2분리축 중 어느 하나의 내측 공간부에 마련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 탄성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제1분리축 또는 제2분리축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삽입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구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형 자전거.
  2. 삭제
  3. 삭제
  4. 앞바퀴가 장착되는 앞바퀴프레임;
    상기 앞바퀴프레임에 연장되게 마련된 제1분리축; 및
    앞바퀴를 고정하는 앞바퀴축 및 뒷바퀴를 고정하는 뒷바퀴축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분리축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분리축;
    상기 제1분리축과 제2분리축에 마련되어 상기 제1분리축 및 제2분리축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구비하며,
    두 자전거를 연결형으로 사용시에는 한 자전거의 상기 앞바퀴축의 제2분리축을 상기 앞바퀴프레임의 상기 제1분리축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1분리축을 다른 자전거의 뒷바퀴축의 제2분리축에 결합하며,
    상기 체결부는 제1분리축 및 제2분리축에 마련된 나사산; 및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며 제1분리축 및 제2분리축을 상호 결합하는 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형 자전거.
  5. 앞바퀴가 장착되는 앞바퀴프레임;
    상기 앞바퀴프레임에 연장되게 마련된 제1분리축; 및
    앞바퀴를 고정하는 앞바퀴축 및 뒷바퀴를 고정하는 뒷바퀴축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분리축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분리축;
    상기 제1분리축과 제2분리축에 마련되어 상기 제1분리축 및 제2분리축을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구비하며,
    두 자전거를 연결형으로 사용시에는 한 자전거의 상기 앞바퀴축의 제2분리축을 상기 앞바퀴프레임의 상기 제1분리축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1분리축을 다른 자전거의 뒷바퀴축의 제2분리축에 결합하며,
    상기 체결부는 제1분리축 또는 제2분리축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턱;
    상기 걸림턱에 체결되도록 다른 제1분리축 또는 제2분리축에 마련된 걸림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형 자전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형 자전거는
    상기 앞바퀴프레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부에 마련되는 안장; 및
    상기 안장의 배면에 배치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를 높이조절가능하게 지지하는 높이조절바를 가지며 상기 분리된 앞바퀴를 거치하여 고정시키는 바퀴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형 자전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형 자전거는
    상기 앞바퀴프레임에서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핸들; 및
    상기 회동축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핸들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핸들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형 자전거.
KR1020100124804A 2010-12-08 2010-12-08 연결형 자전거 KR10128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804A KR101286618B1 (ko) 2010-12-08 2010-12-08 연결형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804A KR101286618B1 (ko) 2010-12-08 2010-12-08 연결형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710A KR20120063710A (ko) 2012-06-18
KR101286618B1 true KR101286618B1 (ko) 2013-07-24

Family

ID=4668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804A KR101286618B1 (ko) 2010-12-08 2010-12-08 연결형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170B1 (ko) 2017-12-08 2018-12-24 주식회사 빅버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148B1 (ko) * 2020-06-05 2021-07-12 김용겸 캐리어가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00343A (en) 1918-01-16 1919-04-15 James A Carswell Bicycle-coupling.
JPS5034949U (ko) * 1973-07-26 1975-04-14
US5372371A (en) * 1993-05-26 1994-12-13 Larson; Scott M. Apparatus and methodology for temporarily converting single bicycles into a bicycle built for two
KR19990033140A (ko) * 1997-10-23 1999-05-15 박규동 다인승 자전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00343A (en) 1918-01-16 1919-04-15 James A Carswell Bicycle-coupling.
JPS5034949U (ko) * 1973-07-26 1975-04-14
US5372371A (en) * 1993-05-26 1994-12-13 Larson; Scott M. Apparatus and methodology for temporarily converting single bicycles into a bicycle built for two
KR19990033140A (ko) * 1997-10-23 1999-05-15 박규동 다인승 자전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170B1 (ko) 2017-12-08 2018-12-24 주식회사 빅버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WO2019112173A1 (ko) * 2017-12-08 2019-06-13 주식회사 빅버디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710A (ko) 201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059B1 (ko) 접철식 자전거
KR101206502B1 (ko) 배터리 및 페달 구동용 접이식 자전거
US8434775B2 (en) Wheelchair having torsion-acting shock absorption and detachable drive train
CN205010404U (zh) 折叠式站坐两用电动滑板车
CN101678870B (zh) 并骑式脚踏车
KR20150115768A (ko) 사용자 추진 탑승 차량
US20130001917A1 (en) Mobile Ergonomic Exercise Tricycle Apparatus and Method
CN108791627A (zh) 一种具有投篮装置的三轮车
KR101286618B1 (ko) 연결형 자전거
US6247714B1 (en) Recumbent cycle with improved suspension
KR200459089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US7188849B2 (en) Child transport vehicle and carrier adapted therefor
ES2320653T3 (es) Bicicleta plegable.
CN210078833U (zh) 自助驱动型游乐运动设备
CN102743835A (zh) 供运动设备使用的可调节框架
CN202180885U (zh) 脚踏童车
JP3180257U (ja) サドル及びサドルを有する自転車
WO1995021006A1 (en) Scooter for descending rough terrain
KR200475512Y1 (ko) 이인승 자전거
KR101269824B1 (ko) 운동 기구
KR101837955B1 (ko) 탈부착 가능한 간이의자용 자전거 안장
KR20150102278A (ko) 재활훈련이 가능한 휠체어 결합 자전거
KR102142748B1 (ko) 앞바퀴 굴림 안전 자전거
KR100818128B1 (ko) 레저용 롤러와 이를 이용한 레저용 롤러보드
CN218198737U (zh) 一种能保持平衡的多人骑行水上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