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044B1 - 스웨이-요 모션 가이드모듈 - Google Patents

스웨이-요 모션 가이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044B1
KR101972044B1 KR1020160164491A KR20160164491A KR101972044B1 KR 101972044 B1 KR101972044 B1 KR 101972044B1 KR 1020160164491 A KR1020160164491 A KR 1020160164491A KR 20160164491 A KR20160164491 A KR 20160164491A KR 101972044 B1 KR101972044 B1 KR 10197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rail
motion
present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178A (ko
Inventor
구태영
Original Assignee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4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0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1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drive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7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5/00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cinem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웨이-요(Sway-Yaw) 모션 가이드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피동부(예컨대 모션체어)의 구동에 있어서, 직선운동인 스웨잉 모션과 곡선운동인 요잉 모션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동부의 스웨잉(Swaying)모드 및 요잉(Yawing)모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모듈로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된 직선구간과 상기 직선구간으로부터 이어지는 곡선구간을 가지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접하며 움직이는 가이드휠을 포함하는 가이드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웨이-요 모션 가이드모듈 {SWAY-YAW MOTION GUIDE MODULE}
본 발명은 스웨이-요(Sway-Yaw) 모션 가이드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피동부(예컨대 모션체어)의 구동에 있어서, 직선운동인 스웨잉 모션과 곡선운동인 요잉 모션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영화관은 영상물을 상영하는 시설로서, 종래에는 단순히 스크린에 영상을 투영하여 관람객들이 영상물을 관람하도록 하였으나, 최근에는 영상 콘텐츠에 사실감을 더하기 위하여 3D입체 영상물의 보급은 물론 3D입체 영상물의 상영과 더불어 더욱 다양한 특수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액션영화에서 폭발장면의 경우 폭발 후폭풍의 효과를 바람으로 표현하여 관람객에게 제공하거나, 영상화면에서 음식이 나왔을 때 이에 대응되는 음식냄새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내는 기술을 3D영상에 기술이 더해졌다(+1D)는 의미에서 4D라 부르고 있으며, 좀 더 정확하게는 디지털2D/3D 영사화면에 액 분사, 발향, 가진 등의 다양한 특수 효과를 부가한 형태로서 4D라 칭한다. 4D 기술은 관람객들이 앉는 의자나 상영관 내에 설치된 장치들을 이용하여 구현하게 된다.
4D 구현을 위해 구비된 관람객용 의자를 모션체어(Motion Chair)라 하며, 마이스 티클러(Mice Tickler, 다리 등을 간질거리는 효과), 백 틱(Back Tic, 의자 속의 장치가 등부분을 툭 치는 효과), 버톡(Buttock, 의자 속의 장치가 엉덩이를 툭 치는 효과), 쉐이커(Shaker, 4종류의 진동효과), 드롭 등과 같은 의자움직임(Motion, 전후좌우상하로 이동하는 효과)에 의한 모션효과와, 물분사, 페이스 에어(Face Air) 및 넥 에어(Neck Air), 바람, 연기, 조명 등의 환경효과를 포함하여 약 20여가지의 특수효과를 구현하고 있다.
모션체어에서 모션에 관련된 효과로는 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피칭(Pitching, 종동요),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링(Rolling, 횡동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히빙(Heaving, 상하동요) 등이 제공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5269호 '4D 극장용 의자조립체의 구동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하 외란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발명을 개시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피칭, 롤링 및 히빙의 동작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는 있는데, 선행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모션체어는 위의 기본적인 몇 가지 동작만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에, 종래의 모션체어는 공간상의 움직임 중 일부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관람객들에게 충분한 모션효과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5269호 '4D 극장용 의자조립체의 구동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보다 다양한 자유도에 의해 모션체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화관을 이용하는 관람객들에게 보다 다양한 모션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모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모션체어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피칭(Pitching, 종동요), 롤링(Rolling, 횡동요), 히빙(Heaving, 상하동요)의 움직임에 더하여,
모션체어에 평면상에서의 직선적 움직임인 스웨잉(Swaying, 좌우동요)모션과 평면상에서 회전적 움직임인 요잉(Yawing, 수평동요) 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피동부의 스웨잉(Swaying)모드 및 요잉(Yawing)모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모듈로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된 직선구간과 상기 직선구간으로부터 이어지는 곡선구간을 가지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접하며 움직이는 가이드휠을 포함하는 가이드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직선구간은 상기 피동부의 스웨잉(Swaying)모드를 안내하고, 상기 곡선구간은 상기 피동부의 요잉(Yawing)모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곡선구간의 전방곡면과 후방곡면 중 어느 하나의 곡률반지름은 균일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곡률반지름은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곡선구간의 전방곡면과 후방곡면 모두 불균일한 곡률반지름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휠은 상기 곡선구간의 전방곡면과 후방곡면에 각각 접하는 전방 휠과 후방휠을 포함하며,
전방휠과 후방휠을 연결하는 가이드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방곡면과 후방곡면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가이드로드가 관통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레일로 구분되며,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제2가이드레일 사이에는 기울임지지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울임지지수단은 제1가이드레일의 하부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로드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곡선구간이 불균일한 곡선반지름을 갖지 않고도 피동부의 요잉모션이 가능하도록 길이가 가변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휠은 상기 피동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가이드모듈은 상기 하중지지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열처리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보다 다양한 자유도에 의해 모션체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화관을 이용하는 관람객들에게 보다 다채로운 모션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피동부(모션체어)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피칭, 롤링, 히빙의 움직임에 더하여, 평면상에서의 직선움직임인 스웨잉 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관람객들에게 보다 현실적인 모션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웨잉 모션과 더불어 회전움직임인 요잉 모션을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공간상에서 피동부의 움직임을 더욱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장치 내에서 구동수단(예컨대 크랭크아암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의 큰 각도로 움직이는 경우)의 움직임에 따라 스웨잉 모션과 요잉 모션이 함께 구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관람객들에게 최적의 모션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웨이-요 모션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와 피동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모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웨이-요 모션장치에 대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 X축은 스웨이-요 모션장치 및 가이드부의 폭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Y축은 스웨이-요 모션장치 및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Z축은 스웨이-요 모션장치 및 가이드부의 높이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참고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의 피칭(Pitching)은 Y축(수평축)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할 수 있으며, 롤링(Rolling)은 X축(전후축)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할 수 있고, 히빙(Heaving)은 Z축(상하축)을 기준으로 위아래방향으로 왕복하는 운동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스웨잉(Swaying)은 Y축 방향으로 좌우동요하는 움직임을 의미할 수 있고, 요잉(Yawing) 동작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평동요 움직임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의 요잉(Yawing)은 Z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하는 수평동요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발명 가이드 모듈 특유의 형상으로부터 기인한다. 스웨잉(Swaying)-요잉(Yawing)의 복합 모드는 Y축 방향의 좌우동요 움직임과 Z축을 중심으로 편심회전 움직임이 함께 또는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웨이-요 모션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와 피동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웨이-요 모션장치는 가이드부(200)와 가이드부(200)에 설치되는 구동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00)에는 피동부(100)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부(200)와 구동부(210)의 각 구성은 피동부(100)에 다양한 모션효과를 구현하도록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피동부(100)는 가이드부(200)에 의해 다양한 자유도(degree of freedom)를 가지고 움직이는 요소로서 가이드부(20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부(100)에는 모션체어용 시트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부(200)는 기본적으로 프레임(201)과 복수 개의 지지대(202, 203, 204)의 뼈대에 구동부(210) 및 가이드모듈(220, 230)이 배치되어 모션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대(202, 203, 204)는 프레임(201)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하기 위한 차원에서 마련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스틸(steel)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형상과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후술하는 제2실시예, 제3실시예, 제4실시예에서는 구동부(210)가 위치하는 부근의 지지대(203)가 생략될 수도 있다. 다만, 프레임(201)과 복수 개의 지지대(202, 203, 204)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동부(210)와 가이드모듈(220, 230)에는 모션장치의 구동 중 진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 확보 측면에서 프레임(201)에 웰딩(또는 브레이징), 볼트체결 등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션장치의 주요 특징은, 상기 구동부(210)가 상기 가이드부(200)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피동부를 직진 운동시키며, 상기 피동부 높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피동부를 편심 회전(곡선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직진 운동은 스웨잉(swaying), 회전 운동은 요잉(yawing)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서의 곡선운동은 직진운동 동작 이후에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이 가능케 하기 위한 본 발명 모션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은, 가이드부 내부에 특유 형상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가이드모듈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가능케 하기 위하여 본 발명 모션장치에는 구동부(210)가 배치되고, 구동부(210)는 크랭크 구동 방식, 실린더 구동 방식, 리니어 모터 구동 방식, 스크류 모터 구동 방식 등 여러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면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구동 방식을 그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부(210A)는, 크랭크 모듈(Crank Module, 211)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크랭크 모듈은 크랭크축(Crank shaft, 211a); 상기 크랭크축(211a)의 종단부에서 상기 가이드부(200)의 일측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크랭크아암(Crank arm, 211b, 211c); 및 상기 크랭크아암(211b, 211c)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피동부(100)에 연결되는 크랭크핀(Crank pin, 211d);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랭크아암(211b, 211c)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절편이 링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편(211b), 제2절편(211c)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절편(211b)은 일단이 크랭크축(211a)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절편(211c)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절편(211c)은 일단이 제1절편(211b)과 연결되고 타단은 크랭크핀(211d)과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본 발명의 크랭크아암(211b, 211c)은 상기 가이드부(200)의 폭방향에 대한 상기 크랭크아암(211b, 211c)의 각도변화를 통해서 상기 피동부(100)를 움직이게 하고, 스웨잉 모드와 요잉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이드부(200)의 폭방향에 대한 크랭크아암(211b, 211c)의 각도변화란, 도 3의 가상의 기준선(l)을 기준으로 크랭크아암(211b, 211c)의 각도변화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아암(211b, 211c)이 상기 가이드부(200)의 폭방향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의 큰 각도로 구동 되는 경우, 상기 피동부(100)에 대하여 스웨잉 모드와 요잉모드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요소인 스웨이-요 모션 가이드모듈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가이드모듈(220, 230)은 피동부(100)의 스웨잉(Swaying)모드 및 요잉(Yawing)모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모듈로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된 직선구간과 상기 직선구간으로부터 이어지는 곡선구간을 가지는 가이드레일(221, 231)과, 상기 가이드레일(221, 231)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접하며 움직이는 가이드휠(223, 224, 233, 2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이드모듈은 한쌍 구비되어 모션체어 내부에, 모션체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가이드모듈(230)을 일 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모듈(230)에는 내부에 가이드레일(231)이 배치되는데, 가이드레일(231)은 상면에서 보아 대략 자루가 긴 '낫(scythe)'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231)은 스웨잉 모드(직선운동) 구현을 위해 구동부(210)와 가까운 쪽은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요잉 모드(곡선운동) 구현을 위해 구동부(210)와 먼 쪽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모듈(230)은 가이드부(20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동부(100)의 스웨잉(Swaying) 모드 및 요잉(Yawing) 모드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모듈(230)의 직선구간은 상기 피동부의 스웨잉(Swaying)모드를 안내하고, 상기 곡선구간은 상기 피동부의 요잉(Yawing)모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곡선구간은 전방곡면과 후방곡면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모듈(230)은, 상기 가이드모듈(23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31); 및 상기 피동부(10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가이드레일과 접하며 이동하는 가이드휠(233, 234)을 포함하며, 나아가 상기 가이드휠(233, 234)은 상기 가이드레일(231)의 전방곡면에 위치하는 전방휠(234)과 상기 가이드레일(231)의 후방곡면에 위치하는 후방휠(233)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레일(231)에는 가이드홀(232)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휠과 후방휠을 연결하는 가이드로드(235)가 상기 가이드홀(232)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로드(235)는 가이드홀(232)을 관통하여 전방휠과 후방휠을 연결한다.
가이드레일(231)을 상면에서 보았을 때, 가이드 휠이 접하게 되는 곡선 부분은 가이드 레일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는데 전방 또는 후방의 어느 한쪽의 곡선 부분은 일정한 곡률 반지름을 갖도록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곡선 부분은 일정하지 않은 곡률 반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원 발명 모션장치의 자연스러운 요잉(Yawing)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가이드레일(231)에는 가이드홀(23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홀(232)도 가이드레일(231)과 마찬가지로 직선영역과, 곡선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부(예컨대 크랭크모듈)의 구동 시에 상기 가이드휠(233, 234)이, 가이드레일(231)에 형성된 가이드홀(232)을 따라 움직이게 되어 스웨잉 모드(직선운동) 구현 및 요잉 모드(곡선운동)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들어 크랭크모듈(211)에서 크랭크아암의 구동각에 따라 모션의 거리(가동범위)가 결정이 되기 때문에, 크랭크아암의 구동각이 작을 때에는 가이드휠(233, 234)이 가이드홀(232)의 직선영역에서만 움직여 피동부(100)가 스웨잉 모션으로서 움직이게 된다. 이와 달리 크랭크아암의 구동 가능한 각도 범위가 클 때에는 제1가이드휠(233, 234)이 가이드홀(232)의 곡선영역까지 움직일 수 있어, 스웨잉과 요잉 모션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휠은 상기 피동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와, 가이드로드가 연결되는 로드지지부와, 상기 피동부와 접촉 고정되기 위한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이드휠은 외륜회전형 볼 트랜스퍼(Ball Transfer)가 해당될 수 있다. 가이드휠은 피동부(100)의 하중을 지지하며 가이드레일(231)을 따라 외륜이 회전하며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휠은 하중지지부(234a)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가이드부 저면과 접촉하는 볼(B), 볼(B)의 외측부에 위치하고 가이드레일(231)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외륜(W), 볼(B)과 외륜(W) 사이에 게재된 볼베어링(b)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볼(B) 및 외륜(W)의 구성에 의해 모션장치 구동중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중지지부(234a) 상부에는 가이드로드(235)가 관통 형성되는 로드지지부(234b)가 배치되고, 로드지지부(234b) 상부에는 피동부(100)와 접촉 고정되기 위한 고정핀(234c)이 배치된다.
고정핀(234c)에는 피동부(100)가 접촉 고정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크랭크핀(221d)이 피동부(100)의 중심 측 하단과 접촉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데, 고정핀을 통해 다른 4곳의 지점에서 피동부(100)의 하단과 접촉 고정되어 하중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피동부(100)의 모션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최초 정지모드에서는 가이드휠(233, 234)이 가이드부(200)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된 위치에 위치하게 되지만, 최초 위치가 아닌 스웨잉 모드 또는 요잉 모드에서는 가이드휠(233, 234)의 상대적인 위치가 가이드부(200)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된 상태를 벗어나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랭크모듈의 내부에 포함된 크랭크아암이 제1 설정각도(-θ1 내지 + θ1) 이내의 범위에서 구동되어 상기 피동부(100)가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하는 스웨잉모드; 제2 설정각도(-θ2 내지 -θ3 또는 +θ3 내지 +θ2) 이내의 범위에서 구동되어 상기 피동부(100)가 수평동요하도록 하는 요잉모드; 제3 설정각도(-θ4 내지 +θ4) 이내의 범위에서 구동되어 상기 피동부(100)가 스웨잉과 요잉을 동작을 함께하는 복합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하는 제어모드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면, 크랭크아암이 제1설정각도(-20도 내지 +20도) 범위에서 1 cycle 순환주기로 움직일 때 피동부(100)는 스웨잉 동작을 하게 되며, 크랭크아암이 제2설정각도(-70도 내지 -30도 또는 +30도 내지 +70도) 범위에서 1 cycle 순환주기로 움직일 때, 피동부(100)는 요잉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크랭크아암이 제3설정각도(-70도 내지 +70도) 범위에서 1cycle 순환주기로 움직일 때, 피동부(100)는 스웨잉 동작과 요잉 동작이 함께 구현된다. 참고로 여기서 +, -의 부호는 도 3에 도시된 가상의 선 l(가이드부의 폭방향) 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 여기서 설명한 실시예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울임지지수단과 플레이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모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은 상기 가이드로드가 관통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231a)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레일(231c)로 구분되며, 상기 제1가이드레일(231a)과 제2가이드레일(231c) 사이에는 기울임지지수단(23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와 도 6b는 모션체어가 피칭(pitching)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모션체어가 피칭(pitching)할 때, 가이드휠(233, 234)에는 각각 크기가 서로 다른 하중이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해 가이드로드(235)가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가이드로드(235)와 맞닿게 되는 제1가이드레일(231a) 측에는 상당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모션체어 전체의 내구성을 좌우하게 된다.
또한, 모션체어는 예컨대 상영되는 영상에 맞추어 매우 역동적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제1가이드레일(231a)과 가이드로드(235) 사이에 빈번한 마찰이 발생하는 바 모션체어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로드(235)의 업하중이 제1가이드레일(231a)에 작용하는 부분에 기울임지지수단(231b)을 설치하여 모션체어의 수명을 상향시키고자 한다. 즉, 기울임지지수단(231b)은 제1가이드레일(231a)의 하부에 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레일(231c)에는 가이드로드(235)를 통해 전해지는 하중이 크지 않으므로 이부분에는 기울임지지수단(231b)을 설치할 필요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마찰이 잦은 상황을 고려할 때, 기울임지지수단(231b)은 예컨대 MC 나일론 T5.0과 같은 마모방지소재임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231d)는 가이드레일(231)과 가이드휠(233, 234)의 하부에 위치한 평판으로서, 가이드레일(231)은 플레이트(231d) 상부에 위치가 고정되어 움직이진 않지만, 가이드휠(233, 234)은 모션체어의 움직임에 따라 플레이트(231d) 상부에서 역동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때, 잦은 마찰로 인해 열 손실이 크게 되므로 가이드휠(233, 234)의 하중지지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그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한가지 방법으로서, 가이드휠의 하중지지부가 베어링 강이면 플레이트(231d) 또한 이와 비슷한 경도를 갖춘 열처리된 재질로 형성하여 가이드모듈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영역(H1, H2)은 가이드휠이 움직이는 직선구간의 영역을 표시한 것으로서 이 부분에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이드휠이 움직이는 곡선구간의 영역에도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도 8과 도 9를 참조로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31)은 직선곡선과 곡선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곡선구간의 전방곡면과 후방곡면 중 어느 하나의 곡률반지름은 균일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곡률반지름은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곡선구간의 전방곡면과 후방곡면 모두 불균일한 곡률반지름을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전방곡면은 제1원심(O1)을 중심으로 하고 곡률반지름(R1)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후방곡면은 제1원심(O1) 이외에 제2원심(O2a)을 포함하는 비균일한(복합) 곡률반지름(R2a, R2b, R2c)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후방곡면이 제1원심(O1)을 중심으로 하고 균일한 곡률반지름을 갖도록 형성되고 전방곡면이 제1원심(O1) 이외에 제2원심(O2a)을 포함하는 비균일한(복합) 곡률반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의 곡선구간의 양쪽 곡면을 모두 복합적인 곡률반지름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의 곡선구간의 일부 곡면을 비균일 곡률반지름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스웨잉 모드와 요잉 모드 간의 원활한 전환이 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후방곡면에 비균일(복합) 곡률반지름과 전방곡면에는 균일한 곡률반지름을 갖는 가이드레일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가이드레일을 사이에 두고서, 가이드레일과 후방곡면과 전방곡면에 각각 접촉된 전방휠(234)과 후방휠(233)이 가이드로드(235)를 매개로써 서로 연결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별 다른 조치 없이 전방곡면과 후방곡면의 곡률반지름을 모두 균일하게만 제조한다면, 직선운동 구간인 스웨잉 모드에서는 큰 관련이 있지는 않으나, 곡선운동 구간인 요잉 모드에서는 가이드로드(235)의 유효길이보다 더 폭이 넓은 영역을 지나게 되므로 곡률반지름의 미세한 조정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가이드휠(233, 234), 가이드로드(235) 그리고 기울임지지수단(231b) 등 여러 구성요소에 강한 충격이 가해짐과 동시에 원활한 곡선운동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위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로드는 상기 가이드레일 곡선구간의 어느 한 곡면에서 불균일한 곡률반지름을 갖지 않고도 피동부의 요잉모션이 가능하도록 길이가 가변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직선운동 구간에서는 가이드로드(235)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되, 곡선운동 구간에서는 가이드로드(235)의 길이에 변화를 주어 원활한 곡선운동으로의 전환이 되도록 한다.
또한, 보충적인 방법으로서, 곡률반지름의 조정 이외에도 가이드휠(233, 234)의 외륜(W)을 우레탄과 같은 고탄성의 소재로 제작하여, 모드 변속 충격을 흡수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균일, 불균일(복합) 곡률반지름의 정확한 수치 및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하고, 당업자라면 균등한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스웨이-요(Sway-Yaw) 모션 가이드모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피동부
220, 230 : 가이드모듈
221, 231 : 가이드레일
231a : 제1가이드레일
231b : 기울임지지수단
231c : 제2가이드레일
231d : 플레이트
223, 224, 233, 234 : 가이드휠
235 : 가이드로드

Claims (12)

  1. 피동부의 스웨잉(Swaying)모드 및 요잉(Yawing)모드를 안내하는 가이드모듈로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피동부가 수평축(Y축) 방향으로의 좌우동요하는 스웨잉모드를 안내하는 직선구간과, 상기 직선구간으로부터 이어지며 상기 피동부가 수직축(Z축)을 중심으로 편심회전하는 요잉모드를 안내하는 곡선구간을 가지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곡선구간의 전방곡면과 후방곡면에 각각 접하며 움직이는 전방휠과 후방휠을 포함하는 가이드휠; 및
    상기 전방휠과 후방휠을 연결하는 가이드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가이드로드가 관통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레일로 구분되고,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제2가이드레일 사이에는 기울임지지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휠은 상기 피동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열처리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방곡면과 후방곡면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모듈.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지지수단은 제1가이드레일의 하부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구간의 전방곡면과 후방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곡률반지름은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드는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모듈.
KR1020160164491A 2016-12-05 2016-12-05 스웨이-요 모션 가이드모듈 KR101972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491A KR101972044B1 (ko) 2016-12-05 2016-12-05 스웨이-요 모션 가이드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491A KR101972044B1 (ko) 2016-12-05 2016-12-05 스웨이-요 모션 가이드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178A KR20180064178A (ko) 2018-06-14
KR101972044B1 true KR101972044B1 (ko) 2019-04-24

Family

ID=6262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491A KR101972044B1 (ko) 2016-12-05 2016-12-05 스웨이-요 모션 가이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2887A (zh) * 2019-03-21 2019-06-18 东莞市宝城家具有限公司 可前移或后退的联排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54318U (zh) * 2011-07-21 2012-03-07 杭州佳合舞台设备有限公司 演出用观众椅
US20160096114A1 (en) * 2014-10-07 2016-04-07 Universal City Studios Llc Actuatable motion bas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634A (ja) * 1993-06-23 1995-01-13 Hitachi Metals Ltd 遊戯用揺動椅子
KR101485269B1 (ko) 2013-12-23 2015-01-21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4d 극장용 의자조립체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154318U (zh) * 2011-07-21 2012-03-07 杭州佳合舞台设备有限公司 演出用观众椅
US20160096114A1 (en) * 2014-10-07 2016-04-07 Universal City Studios Llc Actuatable motion bas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178A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7114B1 (ko) 밸런스 훈련장치
US9353903B2 (en) Motion simulator
JP6592168B2 (ja) ベッド、椅子またはソファー用台座
US10668395B1 (en) Motion simulator
KR101972044B1 (ko) 스웨이-요 모션 가이드모듈
KR101413861B1 (ko)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장치
JP6178952B1 (ja) 揺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遊戯施設
CN106052067A (zh) 一种空调摆叶限位机构及空调器
JP2022523132A (ja) モーション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102129441B1 (ko) 스웨이-요 모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조립체
KR102014816B1 (ko) 스웨이-요 모션 가이드모듈
CN101994214A (zh) 针织机中的驱动和导向装置
CN103681117B (zh) 具有调整了的力-位移特征曲线的继电器
TWI796669B (zh) 搖擺裝置
CN215232077U (zh) 乘骑式运动模拟平台
JP2020174903A (ja) 身体運動用振動機
CN112755540A (zh) 乘骑式运动模拟平台
KR101962005B1 (ko) 4d 체어용 모션 베이스
KR102133397B1 (ko) Xy축 모션 시스템
KR101428676B1 (ko) 훈련 장치
JP6920960B2 (ja) 身体運動用振動機
KR101514619B1 (ko)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KR20200005173A (ko) 모션 시뮬레이터
KR20090036174A (ko) 라이드봇의 안장 어셈블리
KR101242077B1 (ko) 전동 실린더를 이용한 안마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안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