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108A - 승마기구용 요동장치 - Google Patents

승마기구용 요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108A
KR20170017108A KR1020150110521A KR20150110521A KR20170017108A KR 20170017108 A KR20170017108 A KR 20170017108A KR 1020150110521 A KR1020150110521 A KR 1020150110521A KR 20150110521 A KR20150110521 A KR 20150110521A KR 20170017108 A KR20170017108 A KR 20170017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flow
cam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아론
Original Assignee
김아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아론 filed Critical 김아론
Priority to KR1020150110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108A/ko
Publication of KR2017001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기구용 요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힌지부(BH)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된 베이스 유동 프레임(20);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모터(M)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메인 유동캠(30); 상기 메인 유동캠(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전후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는 메인 유동 프레임(40);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베이스 유동캠(50); 상기 베이스 유동캠(50)과 베이스 프레임(10) 사이에 연결되어 베이스 힌지부(BH)를 기준으로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좌우 회동시키는 베이스 유동링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마기구용 요동장치{Shaking device for riding exercised implement}
본 발명은 승마기구용 요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승마기구를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승마시와 같은 운동 효과를 줄 수 있으면서도 승마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간소화되게 구현하고 기존에 비하여 상당히 견고하게 설계된 새로운 승마기구용 요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마는 사람이 직접 말을 타서 여러 가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평소에 사용하지 않는 근육을 사용하게 되어 운동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동물과의 유대감을 증대시키고, 야외에서 행해진다는 점에서 많은 흥미를 유발시킨다.
또한, 승마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으며, 승마를 하게 되면 올바른 자세를 위해 상체를 곧게 세우게 되고, 이로 인해 상체가 바르게 교정되며, 반복된 요동 운동으로 허리가 유연해지고 튼튼해지며, 달리기의 효과를 주어 폐활량이 늘어나고, 전신에 긴장감과 운동감을 주며 특히, 장 기능 및 골반이 강화되며 신체 각 부분의 평형감각과 유연성이 길러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신운동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승마를 하기 위해서는 승마장이라는 특수한 환경을 필요로 하며,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이 실제로 승마를 즐길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승마의 현실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승마를 즐길 수 있으며, 승마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승마 운동 기구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승마기구는 대부분 사용자가 착석하는 승마 시트부가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어서 승마 운동 효과가 기대한 만큼 잘 나오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 및 좌우 이동 운동이 가능한 승마기구가 나오기는 하였으나 좌우 회동 운동이 가능한 승마기구는 나와 있지 않아서 승마 운동의 효과를 기대한 만큼 거두기에는 미흡한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승마기구는 얼마 사용하지 못하고 잦은 고장이 발생되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잦은 고장이 누적되어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에는 고장이 빈번할 뿐만 아니라 생산비용이 고가이고 사용자가 상하운동의 단순화 또는 상하 좌우 운동의 단순화로 인하여 실제 승마를 하는 느낌을 가질 수 없고 운동 효과도 미흡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49268호(2004.04.22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413861호(2014.06.24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승마기구를 다양한 운동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승마시와 같은 운동 효과를 충분히 만족스럽게 줄 수 있으면서도 승마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간소화되게 구현됨은 물론 기존에 비하여 상당히 구조가 견고하게 설계되어 잦은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를 방지하며 생산 비용도 많이 나가지 않아서 여러 가지 면에서 바람직한 새로운 구성의 승마기구용 요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베이스 유동 프레임;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모터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메인 유동캠; 상기 메인 유동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을 기준으로 전후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는 메인 가동 프레임;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베이스 유동캠; 상기 베이스 유동캠과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어 베이스 힌지부를 기준으로 베이스 유동 프레임을 좌우 회동시키는 베이스 가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기구용 요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승마기구용 요동장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승마기구를 다양한 운동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승마시와 같은 운동 효과를 충분히 만족스럽게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후 방향 승마 운동과 좌우 방향 승마 운동을 사용자에게 느끼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충분히 만족스러운 승마 운동 효과를 주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승마기구용 요동장치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와 베이스 유동 프레임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와 베이스 유동 프레임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승마기구용 요동장치를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측면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승마기구용 요동장치와 승마 시트부가 결합된 승마기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의한 승마기구 요동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승마기구용 요동장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이 베이스 프레임(10)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힌지부(BH)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된 베이스 유동 프레임(20)과, 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모터(M)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메인 유동캠(30)과, 이 메인 유동캠(30)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전후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는 메인 유동 프레임(40)과, 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베이스 유동캠(50)과, 이 베이스 유동캠(50)과 베이스 프레임(10) 사이에 연결되어 베이스 힌지부(BH)를 기준으로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좌우 회동시키는 베이스 유동링크(60)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승마기구(승마 운동기구)를 지면에 고정하는 메인 고정 프레임에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프레임(10)은 메인 고정 프레임에 연결된 복수개의 레그부(12)와, 이 레그부(12)에 구비된 상판부(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판부(14)에는 로워 연결 샤프트(16)가 구비된다. 로워 연결 샤프트(16)의 양단부가 브라켓 등에 의해 상판부(14)에 지지된다. 로워 연결 샤프트(16)는 상판부(14)의 좌우 양쪽 위치 상면에 배치된다. 즉, 좌우 두 개의 로워 연결 샤프트(16)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상판부(14) 상면에 대칭되도록 배치된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상판부(14)에 결합된 지지 하우징부(22)와, 이 지지 하우징부(22)에 결합된 연결 지지 프레임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하우징부(22)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상판부(14)에 베이스 힌지부(BH)를 매개로 연결된 바텀판(22A)과, 이 바텀판(22A)의 양단부에 구비된 상향 연장되며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측면판(2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판(22A)은 양쪽 측단부 사이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베이스 힌지부(BH)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의 상판에 바텀판(22A)의 중앙부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 힌지부(BH)를 매개로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의 지지 하우징부(22)가 베이스 프레임(10)의 레그부(12)에 구비된 상판부(14)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바텀판(22A)의 양쪽 측단부에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판(22B)으로 구성된 지지 하우징부(22)가 베이스 힌지부(BH)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힌지부(BH)를 기준으로 지지 하우징부(22)가 베이스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 프레임부(24)는 한 쌍의 나란한 사이드 연결블록(24A)과, 이러한 사이드 연결블록(24A)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바아(24B)를 포함한다. 이때, 사이드 연결블록(24A)은 한 쌍의 상부 사이드 연결블록(24AU)과 하부 사이드 연결블록(24AL)으로 구성된다. 상부 사이드 연결블록(24AU)과 하부 사이드 연결블록(24AL)은 서로 마주하는 저면과 상면에 각각 반원형의 베어링홈(24G)이 구비된다. 한 쌍의 상부 사이드 연결블록(24AU)은 한 쌍의 너트 바아와, 이 너트 바아에 결합된 볼트에 의해 서로 나란하게 연결된다. 또한, 한 쌍의 하부 사이드 연결블록(24AL)도 한 쌍의 너트 바아와, 이 너트 바아에 결합된 볼트에 의해 서로 나란하게 연결된다. 한 쌍의 상부 사이드 연결블록(24AU)에는 볼트홀이 내외측면으로 관통되고, 상기 너트 바아에는 양단부에 나사홀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 사이드 연결블록(24AU)의 볼트홀에 결합된 볼트를 너트 바아 양단부의 나사홀에 결합하면 한 쌍의 상부 사이드 연결블록(24AU)이 너트 바아와 볼트에 의해 서로 나란하게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한 쌍의 상부 사이드 연결블록(24AU) 사이에 배치된 너트 바아는 두 개이다. 한 쌍의 하부 사이드 연결블록(24AL)에도 역시 볼트홀이 내외측면으로 관통되어 있어서, 하부 사이드 연결블록(24AL)의 볼트홀에 결합된 볼트를 다른 너트 바아 양단부에 구비된 나사홀에 결합하면 한 쌍의 하부 사이드 연결블록(24AL)도 너트 바아와 볼트에 의해 서로 나란하게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한 쌍의 하부 사이드 연결블록(24AL) 사이에 배치된 너트 바아도 두 개이다. 상기 너트 바아가 연결바아(24B)가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상부 사이드 연결블록(24AU)과 한 쌍의 하부 사이드 연결블록(24AL)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볼트 결합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볼트 결합홀에 볼트를 결합함으로써 상부 사이드 연결블록(24AU)과 하부 사이드 연결블록(24AL)들을 연결하여 상기 사이드 연결블록(24A)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사이드 연결블록(24AU)의 반원형 베어링홈(24G)과 하부 사이드 연결블록(24AL)의 반원형 베어링홈(24G)이 만나서 베어링홀을 형성한다. 베어링홀은 사이드 연결블록(24A)의 측면에서 볼 때에 가운데에 하나 전후에 각각 하나씩 총 3개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 지지 프레임부(24)는 지지 하우징부(22)의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연결 지지 프레임부(24)의 주요부인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연결블록(24A)이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지지 하우징부(22)의 좌우 양?P 측면판(22B)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 하우징부(22)의 내부에 연결 지지 프레임부(24)가 내장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서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은 지지 하우징부(22)의 내부에 연결 지지 프레임부(24)가 내장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이 베이스 힌지부(BH)를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유동 프레임(40)은 후술하는 메인 유동캠(30)의 회전에 따라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전후 상하 방향으로 요동된다. 메인 유동 프레임(40)은 하측으로 전후 두 개의 레그(42)가 구비되고, 각 레그(42)의 하단부에는 양단부로 연통된 단면 원형의 캠슬리브(44)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유동캠(30)은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모터(M)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메인 유동캠(30)이 회전한다. 상기 메인 유동 프레임(40)의 레그(42) 하부측에 구비된 캠슬리브(44)에 메인 유동캠(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레그(42)는 메인 유동 프레임(40)에 전후 두 개의 레그(42)가 구비되고, 각 레그(42)의 하단부에는 단면 원형의 캠슬리브(44)가 구비되는데, 각각의 캠슬리브(44)에 단면 원형의 바아 형상인 메인 유동캠(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메인 유동캠(30)은 양단부에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메인 편심 캠핀(32)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메인 편심 캠핀(32)이 베어링(BE)에 의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의 주요부인 사이드 연결블록(24A)에 형성된 베어링홀에 상기 메인 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된 베어링(BE)이 결합된다.
정리하면,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베이스 힌지부(BH)를 매개로 베이스 프레임(10)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메인 유동 프레임(40)은 베이스 힌지부(BH)와 교차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캠슬리브(44)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메인 유동캠(30)의 양단부측 외주면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의 전후 방향과 교차되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동시에 상기 메인 유동캠(30)의 다른 외주면은 메인 유동 프레임(40)의 캠슬리브(4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편심 캠핀(32)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에 메인 유동캠(30)이 편심 회전하는 캠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메인 유동 프레임(40)의 캠슬리브(44)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캠슬리브(44)는 메인 유동 프레임(40)에 고정되고 메인 유동캠(30)만 회전하게 된다. 두 개의 메인 유동캠(30)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편심회전하는 캠 기능하게 됨으로써 축보스에 상기 메인 유동캠(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메인 유동 프레임(40)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전후 상하 방향으로 요동될 수 있게 된다. 메인 유동캠(30)의 양단부에 구비된 메인 편심 캠핀(32)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메인 유동캠(30)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타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캠 작동을 하게 되므로, 메인 유동 프레임(40)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전후 상하 방향으로 요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메인 유동캠(30)의 양단부에는 메인 편심 캠핀(32)이 구비되고, 메인 편심 캠핀(32)은 메인 유동캠(30)의 회전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유동캠(30)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메인 유동캠(30)에는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모터(M)의 모터축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모터(M)의 모터축에 연결된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기어는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 편심 캠핀(3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동력전달수단은 메인 유동캠(30)의 양단부에 돌출된 메인 편심 캠핀(32)에 중심부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연결 지지 프레임부(24)의 사이드 연결블록(24A) 바깥면에 배치된 워엄 휘일과, 이 워엄 휘일 외주면의 기어치에 결합된 워엄을 포함할 수 있다. 워엄 기어는 워엄 휘일과 워엄으로 구성되는데, 워엄 휘일의 중심부가 메인 유동캠(30)의 양단부에 구비된 메인 편심 캠핀(32)에 동축적으로 결합되고, 워엄은 모터(M)의 모터축에 구비되거나 모터(M)의 모터축에 커넥터와 같은 연결수단으로 연결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유동 프레임(40)의 좌우 양쪽 한 쌍의 사이드 연결블록(24A)에 각각 하나씩 총 두 개의 워엄 휘일이 배치된다. 이러한 워엄 휘일이 모터(M)의 모터축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DG)가 되고, 이러한 구동기어(DG)에 후술하는 베이스 유동캠(50)의 종동기어(SG)가 치합된다. 물론, 상기 구동기어(DG)는 워엄 휘일 이외에도 모터(M)의 모터축에 구동적으로 연결된 감속기어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속기어가 구동기어(DG)로 채용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모터(M)의 모터축 회전에 의해 구동기어(DG)가 회전하고, 구동기어(DG)의 회전에 따라 베이스 유동캠(50)에 동축적으로 결합된 종동기어(SG)가 회전할 수 있는 기어군은 모두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 채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모터(M)는 베이스 프레임(10)의 내부에 장착되어 모터축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의 전후단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모터(M)의 모터축에 연결된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 유동캠(30) 양단부의 메인 편심 캠핀(32)에 중심부가 연결된 종동 스프로켓과, 상기 구동 스프로켓과 종동 스프로켓 사이에 연결된 체인과, 상기 메인 편심 캠핀(32)에 동축적으로 결합된 상기 구동기어(DG) 및 종동기어(SG)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유동캠(50)은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유동캠(50)의 양단부에는 베이스 편심 캠핀(52)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유동캠(50)의 회전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베이스 편심 캠핀(52)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유동캠(50)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 유동캠(50)의 외주면에 베어링(BE)이 구비되는데,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사이드 연결블록(24A)의 가운데에 형성된 베어링홀에 상기 베어링(BE)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유동캠(50)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베이스 유동캠(50) 양단부의 베이스 편심 캠핀(52)은 타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캠 작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유동캠(50)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종동기어(SG)의 중심부가 결합되는데, 상기 베이스 유동캠(50)의 양단부에 구비된 베이스 편심 캠핀(52)이 종동기어(SG)의 바깥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의 지지 하우징부(22)를 구성하는 좌우 양쪽의 측판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 유동캠(50)과 베이스 프레임(10) 사이에 연결되어 베이스 힌지부(BH)를 기준으로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좌우 회동시키는 베이스 유동링크(6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링크 링체(62)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의 상단부측 링크 링체(62)는 힌지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 유동캠(50)의 양단부에서 돌출(즉, 종동기어(SG)의 바깥면에서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의 좌우 양쪽 측판 바깥면으로 돌출)된 베이스 편심 캠핀(5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의 상단부측 링크 링체(62)와 상기 베이스 유동캠(50)의 베이스 편심 캠핀(52) 사이의 힌지부는 베어링(BE)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 유동캠(50) 양단부의 베이스 편심 캠핀(52)에 베어링(BE)이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BE)이 베이스 유동링크(60) 상단부측의 링크 링체(62)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의 상단부측 링크 링체(62)와 베이스 유동캠(50)의 베이스 편심 캠핀(52) 사이의 힌지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의 하단부측 링크 링체(6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구비된 로워 연결 샤프트(16)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베이스 유동링크(60)의 하단부측 링크 링체(62)의 내주면과 로워 연결 샤프트(16) 사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또한, 상기 링크 링체(62)의 내주면과 베이스 프레임(10)에 구비된 로워 연결 샤프트(16)의 외주면 사이에는 탄성이 있는 재질(고무나 실리콘 등)의 링부재(RM)가 개재된다.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는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의 좌우 양쪽에 하나씩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두 개의 베이스 유동링크(60)가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의 좌우 양쪽에 대칭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베이스 유동링크(60)의 상단부와 하단부측 링크 링체(62)는 각각 상기 베이스 유동캠(50)의 베이스 편심 캠핀(52)과 베이스 프레임(10)의 로워 연결 샤프트(16)에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의 하단부측 링크 링체(62)와 베이스 프레임(10)의 로워 연결 샤프트(16)가 베이스 유동링크(60)의 하단부측 힌지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는 베이스 유동캠(50)에 힌지부(H)를 매개로 상단부가 연결되고 하단부는 베이스 프레임(10)에 힌지부(H)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상하 힌지부(H)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의 회동 작동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의 승강 작동을 하면서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이 하측의 베이스 힌지부(BH)를 기준으로 좌우 회동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모터(M)가 베이스 프레임(10)의 내부에 장착되어 모터축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의 전후단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모터(M)의 모터축에 연결된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 유동캠(30) 양단부의 메인 편심 캠핀(32)에 중심부가 연결된 종동 스프로켓과, 상기 구동 스프로켓과 종동 스프로켓 사이에 연결된 체인과, 상기 메인 편심 캠핀(32)에 동축적으로 결합된 상기 구동기어(DG) 및 종동기어(SG)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스프로켓이 모터의 모터축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종동 스프로켓이 동축적으로 결합된 메인 유동캠(30)의 메인 유동 캠핀(32)이 회전하면서 메인 유동캠(30)을 캠 운동(타원 궤적을 따라 회전)시키므로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인 유동 프레임(40)의 전후 상하 운동과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의 좌우 회동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승마기구용 요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M)의 모터축이 회전하면 메인 유동캠(30)의 양단부에 구비된 메인 편심 캠핀(32)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데, 상기 메인 편심 캠핀(32)이 메인 유동캠(30)의 회전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메인 유동캠(30)은 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타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캠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메인 유동캠(3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메인 유동 프레임(40)이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메인 유동 프레임(40)의 하부에 구비된 단면 원형의 슬리브 형태인 캠슬리브(44)에서 단면 원형 샤프트 형상의 메인 유동캠(30)만 회전하고 동시에 메인 유동캠(30)이 타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캠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메인 유동 프레임(4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도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이 전후 이동 및 상하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 위에 장착된 승마 시트부(28)도 전후 이동 및 상하 이동을 하게 되어서, 승마 시트부(28)에 앉아있는 사용자는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승마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는 베이스 프레임(10)에서 상하로 세워져서 배치된 상태에서 베이스 유동링크(60)의 상단부가 베이스 유동캠(50)의 양단부에 구비된 베이스 편심 캠핀(52)에 힌지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편심 캠핀(52)은 베이스 유동캠(50)의 회전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베이스 유동캠(50)이 회전하면 베이스 편심 캠핀(52)이 타원형 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캠 작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 유동링크(60)가 하단부의 힌지부(즉, 베이스 유동링크(60) 하단부측의 링크 링체(62)와 베이스 프레임(10)에 구비된 로워 연결 샤프트(16) 사이의 연결 부분)를 기즌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과 메인 유동 프레임(40)을 베이스 유동 프레임(20) 하단부의 베이스 힌지부(BH)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메인 유동 프레임(40)의 상부에 장착된 승마 시트부(28)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승마 시트부(28)에 착석한 사용자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는 승마 운동도 즐길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의 상단부는 베이스 유동캠(50)의 중심부에서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의 하단부에 구비된 링크 링체(62)는 베이스 프레임(10)에 구비된 로워 연결 샤프트(16)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 하단부측의 링크 링체(62) 내주면과 로워 연결 샤프트(16) 사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 유동캠(5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베이스 유동링크(60)는 하단부의 스페이스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을 기준으로 360° 회동할 수 있으며, 베이스 유동링크(60)가 360° 방향으로 회동하면 베이스 유동링크(60)가 좌우 방향으로도 회동되는 것이며, 이처럼 베이스 유동링크(60)가 좌우 회동하면, 베이스 유동링크(60)에 베이스 유동캠(50)을 매개로 연결된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이 하단부의 베이스 힌지부(BH)를 기준으로 좌우 회동될 수 있고,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이 하단부의 베이스 힌지부(BH)를 중심으로 좌우 회동되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장착된 가동 베이스 패널(26)과 승마 시트부(28)가 좌우 회동되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승마 시트부(28)에 착석한 사용자가 좌우 회동 승마 운동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의 하단부측 링크 링체(62) 내주면과 베이스 프레임(10)의 로워 연결 샤프트(16)의 외주면 사이에는 탄성이 있는 링부재(RM)이 끼워져서 상기 링크 링체(62) 내주면과 로워 연결 샤프트(16)의 외주면 사이의 상기 스페이스를 차지하고 있는데, 상기 링부재(RM)가 누르는 힘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탄성 재질(고무나 실리콘 등)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의 하단부측 링크 링체(62)가 베이스 프레임(10)의 로워 연결 샤프트(16) 외주면으로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원주 궤적을 따라 이동하고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가 베이스 프레임(10)에 연결된 하단부를 기준으로 원주 궤적 이동과 상하 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베이스 힌지부(BH)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에 연결된 베이스 유동 프레임과 상기 메인 유동 프레임 및 승마 시트부(28)가 상기 베이스 힌지부(BH)를 기준으로 베이스 프레임(10)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승마 시트부(28)에 착석한 사용자는 좌우 회동 승마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승마기구용 요동장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승마기구를 다양한 운동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승마시와 같은 운동 효과를 충분히 만족스럽게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후 방향 승마 운동과 좌우 방향 승마 운동을 사용자에게 느끼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충분히 만족스러운 승마 운동 효과를 주게 된다. 특히, 기존과 다르게 좌우 방향으로의 회동 운동이 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하여 더 만족스럽과 더 실감나는 승마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모드의 승마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를 기존에 비하여 간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작시의 코스트 절감 등의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승마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조가 상당히 견고하게 설계되어 잦은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고, 잦은 고장이 없는 만큼 유지 관리에 있어서도 기존에 비하여 아주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모터(M)가 베이스 프레임(10)의 내부에 장착되어 모터축이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의 전후단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모터(M)의 모터축에 연결된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 유동캠(30) 양단부의 메인 편심 캠핀(32)에 중심부가 연결된 종동 스프로켓과, 상기 구동 스프로켓과 종동 스프로켓 사이에 연결된 체인과, 상기 메인 편심 캠핀(32)에 동축적으로 결합된 상기 구동기어(DG) 및 종동기어(SG)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스프로켓이 모터의 모터축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종동 스프로켓이 동축적으로 결합된 메인 유동캠(30)의 메인 유동 캠핀(32)이 회전하면서 메인 유동캠(30)을 캠 운동(타원 궤적을 따라 회전)시키므로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인 유동 프레임(40)의 전후 상하 운동과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의 좌우 회동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동력전달수단이 차이점이 있지만 기능과 효과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기능 및 효과와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기능과 효과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베이스 프레임 12. 레그부
14. 상판부 16. 로워 연결 샤프트
20. 베이스 유동 프레임 22. 지지 하우징부
22A. 바텀판 22B. 측면판
BH. 베이스 힌지부 24. 연결 지지 프레임부
24A. 사이드 연결블록 24B. 연결바아
24G. 베어링홈 30. 메인 유동캠
32. 메인 편심 캠핀 40. 메인 유동 프레임
42. 레그 44. 캠슬리브
50. 베이스 유동캠 52. 베이스 편심 캠핀
60. 베이스 유동 링크 62. 링크 링체
RM. 링부재

Claims (7)

  1.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힌지부(BH)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장착된 베이스 유동 프레임(20);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모터(M)의 모터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메인 유동캠(30);
    상기 메인 유동캠(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기준으로 전후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는 메인 유동 프레임(40);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베이스 유동캠(50);
    상기 베이스 유동캠(50)과 베이스 프레임(10) 사이에 연결되어 베이스 힌지부(BH)를 기준으로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을 좌우 회동시키는 베이스 유동링크(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기구용 요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베이스 힌지부(BH)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메인 유동 프레임(40)은 상기 베이스 힌지부(BH)와 교차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캠슬리브(44)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상기 메인 유동캠(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의 전후 방향과 교차되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메인 유동캠(30)은 상기 메인 유동 프레임(40)의 상기 캠슬리브(4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기구용 요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동캠(30)은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 유동캠(30)에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모터(M)의 모터축이 연결되고, 상기 메인 유동캠(30)의 양단부에는 메인 편심 캠핀(32)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 편심 캠핀(32)은 상기 메인 유동캠(30)의 회전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편심 캠핀(32)에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의 상단부가 힌지부(H)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의 하단부에 구비된 링크 링체(6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구비된 로워 연결 샤프트(16)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링크 링체(62)의 내주면과 상기 로워 연결 샤프트(16) 사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 스페이스가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기구용 요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동링크(60)의 하단부에 구비된 링크 링체(62)의 내주면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에 구비된 로워 연결 샤프트(16)의 외주면 사이에는 탄성이 있는 재질의 링부재(RM)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기구용 요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M)의 모터축에 연결된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기어는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 편심 캠핀(3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기구용 요동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M)의 모터축에 연결된 구동 스프로켓;
    상기 베이스 유동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 유동캠(30)에 중심부가 편심되게 연결된 종동 스프로켓;
    상기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종동 스프로켓 사이에 연결된 체인;
    상기 메인 편심 캠핀(32)에 동축적으로 결합된 구동기어(DG);
    상기 베이스 유동캠(50)의 베이스 편심 캠핀(52)에 중심부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DG)에 치합된 종동기어(SG);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기구 요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동 프레임(40)에는 승마 시트부(28)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기구 요동장치.
KR1020150110521A 2015-08-05 2015-08-05 승마기구용 요동장치 KR20170017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521A KR20170017108A (ko) 2015-08-05 2015-08-05 승마기구용 요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521A KR20170017108A (ko) 2015-08-05 2015-08-05 승마기구용 요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108A true KR20170017108A (ko) 2017-02-15

Family

ID=5811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521A KR20170017108A (ko) 2015-08-05 2015-08-05 승마기구용 요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710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268Y1 (ko) 2004-01-30 2004-05-04 김영민 승마기
KR101413861B1 (ko) 2014-02-21 2014-07-04 주식회사 라이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268Y1 (ko) 2004-01-30 2004-05-04 김영민 승마기
KR101413861B1 (ko) 2014-02-21 2014-07-04 주식회사 라이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승마 운동 기구용 요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5460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JP3988642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CN101095644B (zh) 模拟气功循环振动健身训练装置
US20080103034A1 (en) Balance Fitness Machine
JP4483815B2 (ja) 揺動型運動装置
US7670230B2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balance training apparatus
JP2001286578A5 (ko)
CN101164640A (zh) 平衡运动装置
JP2007275138A (ja) 着座型運動装置
KR101236003B1 (ko) 승마 운동기구
KR20170017108A (ko) 승마기구용 요동장치
JP3885819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JP3132137U (ja) 乗馬型運動器具
JP3983267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CN2920340Y (zh) 可滑行及上下摆动的平衡训练运动装置
KR200429681Y1 (ko) 승마운동기구
CN110251363B (zh) 一种拉筋脚机
JP5033236B2 (ja) 運動装置
JP4595860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101066280B1 (ko) 헬스 바이크의 전후좌우 요동 안장구조
CN2905031Y (zh) 电动骑马机的主体结构
JP3885820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CN220530651U (zh) 一种动物动作模拟式游艺机驱动机构
KR20090003105U (ko) 승마운동기
JP5426635B2 (ja) 着座型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