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020B1 - 승마용 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승마용 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020B1
KR101456020B1 KR1020130029266A KR20130029266A KR101456020B1 KR 101456020 B1 KR101456020 B1 KR 101456020B1 KR 1020130029266 A KR1020130029266 A KR 1020130029266A KR 20130029266 A KR20130029266 A KR 20130029266A KR 101456020 B1 KR101456020 B1 KR 101456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ding
information
unit
inpu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659A (ko
Inventor
강대희
이원식
최승욱
Original Assignee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9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02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4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04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jolting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75Input for modifying training controls during worko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승마용 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에는, 구동장치 및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승마기; 상기 승마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승마기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승마기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작동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장치에는, 상기 승마기의 본체에 제공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고삐 및 사용자의 발을 놓을 수 있는 등자가 포함되고, 상기 고삐의 당기는 방향 또는 상기 등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장치를 통한 정보의 입력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마용 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Horse rid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승마용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마라 함은 말과 함께하는 운동으로 말의 움직임에 적응하면서 신체적 적응능력을 발전시켜 균형 감각을 발달시키고 몸의 유연성을 길러 신체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이다.
그리고, 승마는 신체를 바르게 교정해 주고 허리가 유연해지며 신체의 리듬감을 길러주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신 집중력을 기르고 폐활량이 늘어나며 담력을 길러줄 수 있으며, 특히 여성들에게는 몸매 관리에 좋고 골반이 튼튼해질 수 있는 운동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승마는 아직까지 대중화되지 않아서 비용이 많이 들고, 승마 가능한 장소까지의 이동거리가 멀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승마는 낙마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하는 바, 안전하게 승마를 할 수 있을 때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승마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여 실제로 말을 타지 않은 상태에서 그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승마용 운동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승마용 운동장치의 경우, 단순히 말 형상을 가지는 조형물 내부에 단순히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운동을 하게끔 구성되어, 사용자의 흥미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등록 특허번호 10-1225814호 (발명의 명칭 : 승마 운동기구)는, 말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의 내부에 구동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도록 다수의 작동 모드가 구비되는 승마용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에는, 구동장치 및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승마기; 상기 승마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승마기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승마기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작동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장치에는, 상기 승마기의 본체에 제공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고삐 및 사용자의 발을 놓을 수 있는 등자가 포함되고, 상기 고삐의 당기는 방향 또는 상기 등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장치를 통한 정보의 입력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의 제어방법에는, 승마기의 전원이 ON 되고 작동 준비모드로 돌입되는 단계; 승마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제 1 작동정보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제 1 작동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승마기의 작동준비 상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승마기에 구비되는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2 작동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작동정보 및 제 2 작동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정보에 기초하여, 승마기의 구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승마기에 탑승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승마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고 다수의 작동모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흥미가 유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마기에 다수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승마기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와 승마 장치간에 인터페이스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마기에 구비되어 있는 고삐 또는 등자를 이용하여, 말의 이동방향 또는 이동속도를 조절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실제 말을 타고 있는 것과 같은 현실감 있는 승마 운동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입력장치가 필요없이, 사용자는 승마기에 탑승한 상태에서 고삐 또는 등자를 이용하여, 승마 장치의 다수의 작동모드에 관한 선택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마기에는 자세를 교정하여 주는 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로 승마기에 탑승하고 있을 때에는, 이를 외부에 알려주어 사용자가 자세를 용이하게 교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마기에 구비되는 구동장치는, 승마 장치의 작동모드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제어됨으로써, 박진감 있는 승마 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 승마 레벨(난이도) 또는 승마 속도(평보, 속보, 구보, 습보)등에 따라서, 복수의 구동부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속도가 달라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기의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의 작동시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10)에는,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말 형상의 승마기(100)와, 상기 승마기(100)의 전방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승마용 운동장치(10)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0)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향하여 영상 정보를 투사하는 프로젝터(300)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기 승마용 운동장치(10)를 "승마장치(10)"라 이름한다.
상기 승마장치(10)에는, 상기 승마기(100)와 디스플레이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50)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승마장치(10)에는, 상기 제어장치(50)와 승마기(100)를 연결하는 연결선(6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마기(100)와 제어장치(50)는 유선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게 구서구성된다.
다만, 상기 제어장치(50)와 승마기(100)는 무선 통신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로, 무선 통신방식으로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및 지그비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프로젝터(300)로부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을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와는 달리, 상기 프로젝터(300)가 생략되고, 상기 제어장치(50)에 직접 연결되어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승마기(100)에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안장(120) 및 사용자가 파지하는 고삐(130)와, 사용자가 발을 얹을 수 있는 등자(140)가 포함된다. 상기 고삐(130)와 등자(140)는,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말 형상을 가지는 조형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제 말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는 지지부(115)에 의하여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5)는 상기 본체(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장(120)은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실제 말을 탈 때 구비되는 안장으로 구성되거나, 이에 대체하여 쿠션 재질이 포함되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삐(130)는, 상기 본체(110) 중 말의 입 부분 형상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안장(12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고삐(130)를 양손으로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삐(130)는, 상기 승마장치(10)가 작동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서 확인되는 말의 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삐(130)를 좌측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말의 위치가 좌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고삐(130)를 우측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말의 위치가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삐(130)를 양측 방향으로 동시에 당기면 말의 이동 속도가 감소될 수 있고, 일정시간 이상 양측 방향으로 동시에 당기면 말의 움직임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삐(130)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하여 승마장치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다수의 선택 가능한 입력부 중 어느 하나의 입력부를 선택하고자 할 때, 활성화 되는 입력부를 변경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선택 가능한 제 1 입력부와, 상기 제 1 입력부의 우측에 있는 제 2 입력부 및 상기 제 2 입력부의 우측에 있는 제 3 입력부가 포함될 때, 상기 제 1 입력부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상기 고삐(130)를 우측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제 2 입력부가 활성화 될 수 있고, 다시 고삐(130)를 우측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제 3 입력부가 활성화 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입력부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상기 고삐(130)를 양측 방향으로 동시에 당기면 활성화 된 입력부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장치(50)는 그에 해당하는 소정의 명령(작동 정보)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등자(140)는 말의 이동속도를 증가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사용자가 상기 등자(140)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10)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게 되면, 상기 말의 이동속도는 증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승마기(100)에 구비되는 구동장치(500)의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위 고삐(130)와 관련된 설명에서, 활성화 된 입력부를 선택할 경우, 상기 고삐(130)를 양측 방향으로 당기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더불어 상기 등자(140)를 차는 조작을 통하여 상기 입력부가 선택될 수도 있다.
상기 승마기(100)에는, 상기 안장(120), 고삐(130) 및 등자(140)의 조작을 인식하는 센서부(15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센서부(150)에는, 상기 안장(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승마기(100)에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센서(151) 및 사용자가 상기 안장(120)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무릎 또는 종아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2 센서(152)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센서(152)는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안장(120)에 앉아 상기 제 1 센서(151)가 작동되면,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 준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센서(151)가 사용자의 탑승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장치(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및 구동장치(5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센서(152)는 사용자의 승마 자세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이해된다. 사용자가 무릎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센서(152)가 구비되는 부분을 가압한 상태에 있을 때, 정확한 탑승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마장치(10)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승마 자세가 올바르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는 자세의 교정이 필요하다는 소정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50)에는, 상기 고삐(130)가 연결되는 본체(110)의 일부분, 즉 말의 입부분 형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3 센서(153) 및 사용자가 상기 등자(140)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10)를 가압할 때 가압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4 센서(154)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센서(153) 및 상기 제 4 센서(154)는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센서(153)는, 상기 고삐(130)의 조작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사용자가 말의 이동방향을 변경하거나 정지하고자 할 때,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표시된 입력부의 활성화 여부를 선택하고자 할 때 상기 고삐(130)를 조작하면, 상기 제 3 센서(153)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50)에 감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4 센서(154)는, 상기 등자(140)의 조작을 감지하는 "박차 센서"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사용자가 상기 등자(140)를 조작하면, 상기 제 4 센서(154)는 사용자의 가격 또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4 센서(154)가 작동되면, 상기 제어장치(50)는 상기 구동장치(50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서 활성화 된 입력부가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승마장치(10)에는,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경과된 시간 또는 잔여시간을 적산하는 타이머(410)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모드에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승마장치(10)는 상기 타이머(410)에 의하여 적산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은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승마장치(10)에는,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20)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메모리부(420)에는, 작동모드에 관한 정보, 즉 승마 레벨에 관한 정보, 승마속도에 관한 정보 또는 승마장치의 사용가이드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모드에 관한 정보에는, 승마 레벨, 승마속도, 승마시간등의 정보에 따라 조합될 수 있는 작동정보라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승마장치(10)에는,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을 위하여 조작 가능한 리모컨(430, remote controller)이 더 포함된다. 상기 리모컨(430)에는,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을 위하여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구비된다. 상기 리모컨(430)은, 승마기(100)외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구비되는 부가적인 악세서리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리모컨(430)은, 상기 제어장치(50), 승마기(100) 또는 디스플레이부(200)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마장치(10)에는, 비상정지 입력부(450)가 더 포함된다. 승마장치(10)의 이용간 비상상황이 발생하거나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안전을 위하여 상기 비상정지 입력부(450)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비상정지 입력부(450)를 입력하면, 상기 승마장치(10)가 비상 정지될 수 있다. 상기 비상정지 입력부(450)는 상기 본체(110) 또는 리모컨(430)에 별도로 구비거나, 상기 고삐(130)를 일정시간 지속하여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비상정지 입력부(450)가 입력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승마장치(10)에는, 상기 센서부(150), 타이머(410), 메모리부(420) 및 리모컨(430)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어장치(5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마장치(10)에는, 상기 승마기(100)의 움직임을 위하여 구동되는 구동장치(5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구동장치(500)에는, 구동력 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구동부(510), 제 2 구동부(520) 및 제 3 구동부(560)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장치(500)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승마장치(10)에는, 디스플레이부(200)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는,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10) 및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70)가 포함된다. 상기 입력부(270)는 상기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일 구성요소로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도록 상기 표시부(210)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에 관한 정보에는, 작동모드에 관한 정보, 승마 레벨에 관한 정보, 승마속도에 관한 정보 또는 승마장치의 사용가이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승마장치(10)의 전원을 ON시키고 작동을 위한 준비모드에 돌입한다. 이 때, 상기 전원을 ON 하기 위하여 상기 리모컨을 이용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상기 승마기(100)에 탑승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이 ON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준비모드"라 함은, 일례로, 상기 승마기(100) 및 디스플레이부(200)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초기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의 작동모드로서 이해될 수 있다(S11).
사용자가 상기 승마기(100)에 탑승하면, 상기 센서부(150)를 통하여 승마장치(10)의 작동을 위한 제 1 작동정보가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작동정보는, 승마장치의 작동준비를 위하여 요구되는 기초 정보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작동정보에는, 사용자가 상기 안장(120)에 안착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또는 사용자의 자세가 바르게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센서(151)를 통하여 상기 안장(120)에 소정의 무게가 감지되면 사용자의 탑승을 인식하게 되며, 상기 제 2 센서(152)를 통하여 사용자의 무릎이 정확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의 바른 자세를 인식하게 된다(S12).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는, 감지된 제 1 작동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준비 상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작동준비 상태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의 탑승이 완료되어, 승마장치의 이용이 가능한 상태를 알리는 정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는,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 모드를 입력 또는 선택하기 위한 메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는, 탑승자의 자세에 관한 정보, 즉 상기 제 2 센서(152)를 통한 감지 결과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탑승자로 하여금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환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센서(152)를 통한 감지는, 상기 승마장치(10)가 작동되는 중에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만약 작동중에 사용자가 잘못된 자세를 취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사용자에게 자세 교정을 위한 알림 메세지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S13).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구비되는 선택 가능한 다수의 입력부를 통하여, 제 2 작동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작동정보란,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입력되어야 하는 정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작동정보는, 상기 승마기(100)에 구비되는 입력 장치(130,14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고삐(130)를 우측, 좌측 또는 양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조작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입력부 중 일 입력부를 활성화 또는 선택하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등자(140)를 차는 행위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입력부 중 일 입력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S14).
상기 제 1 작동정보 및 제 2 작동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작동정보가 감지되어 승마장치(10)가 작동준비 상태에 돌입하고, 상기 제 2 작동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승마장치(10)의 일 작동모드가 결정되면, 결정된 작동모드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50)는 상기 승마기(100)의 구동장치(5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S15).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500)의 작동은 설정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구동장치(500)의 작동, 즉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은 종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시간의 경과여부는 상기 타이머(410)에 의하여 적산될 수 있다(S16).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기의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50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동장치(500)에는, 상기 안장(120)의 하측에 제공되어 본체(110)를 지지하는 본체 지지부(501) 및 상기 본체 지지부(501)의 하측에 제공되는 복수의 구동부(510,520)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구동부(510,520)는 상기 본체(110)가 전후 방향으로 요동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구동부로서 이해된다.
상기 복수의 구동부(510,520)에는, 제 1 구동부(510) 및 상기 제 1 구동부(520)의 후측에 제공되는 제 2 구동부(52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구동부(510) 및 제 2 구동부(520)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구동부(510)를 상기 본체(110)의 전방측에 제공되는 "전방 구동모터"라 하고, 상기 제 2 구동부(520)를 상기 본체(110)의 후방측에 제공되는 "후방 구동모터"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510)와 제 2 구동부(520)는 동력 전달장치에 의하여 상기 본체 지지부(50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장치의 구조는, 상기 제 1 구동부측과 제 2 구동부측이 유사하므로, 상기 제 1 구동부측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동력 전달장치에는, 상기 제 1 구동부(510)의 구동축(511)에 결합되는 링크부재(512)가 포함된다. 상기 링크부재(512)의 대략 중심부가 상기 구동축(5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512)의 양측 단부는 상기 구동축(5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512)의 양측 단부 중 일 단부, 즉 링크 단부(513)에는, 링크 연결부(51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링크 연결부(514)의 단부는 상기 링크 단부(513)에 연결된다.
상기 링크부재(51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링크 연결부(514)는 상기 링크 단부(513)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 또는 상기 링크 단부(513)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512), 링크 단부(513) 및 링크 연결부(514)는 상기 제 2 구동부(520) 측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장치에는, 상기 링크 연결부(514)에 결합되는 제 1 구동 전달부(515)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구동부(520)측에는, 상기 링크 연결부(514)에 결합되는 제 2 구동 전달부(52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구동 전달부(515) 및 제 2 구동 전달부(525)는 상기 링크 연결부(514)에 각각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 전달부(515)의 단부와, 상기 제 2 구동 전달부(525)의 단부는 구동 결합부(530)에 의하여 결합된다. 즉, 상기 구동 결합부(530)는 상기 제 1 구동 전달부(515)의 단부와 제 2 구동 전달부(525)의 단부가 결합되는 부분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구동 전달부(515)와 제 2 구동 전달부(525)가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 지지부(501)의 하측에는, 연결 브라켓(540)이 결합된다. 상기 제 1 구동 전달부(515)와 제 2 구동 전달부(525)는 상기 연결 브라켓(5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구동 전달부(515)에는, 상기 연결 브라켓(540)에 결합되는 제 1 브라켓 결합부(516)가 제공되며, 상기 제 2 구동 전달부(525)에는, 상기 연결 브라켓(540)에 결합되는 제 2 브라켓 결합부(526)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브라켓(540)에는, 상기 구동 결합부(5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동 공간부(545)가 포함된다. 상기 이동 공간부(545)는, 상기 연결 브라켓(5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 전달부(515)와 제 2 구동 전달부(525)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 결합부(530), 즉 상기 제 1 구동 전달부(515)의 단부 및 상기 제 2 구동 전달부(525)의 단부는 상기 이동 공간부(545)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500)에는, 제 3 구동부(560, 도 3 참조)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구동부(560)는 상기 본체(110)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여지거나, 요동치도록 구비되는 구동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560)는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구동부(560)의 구동축은 상기 제 1 구동부(510) 및 제 2 구동부(520)의 구동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56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본체(110)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여지도록 하는 구성 및 그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제 1,2 구동부(510,520)의 구동에 따른 전후 방향의 기울여짐을 위한 구성 및 그 동작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구동부(510) 및 제 2 구동부(5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본체 지지부(501)의 움직임이 제어되는 과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구동부(510) 및 제 2 구동부(5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 지지부(501)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모습이 도시된다. 이 때, 상기 제 1 구동부(510)의 회전속도와, 상기 제 2 구동부(520)의 회전속도는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제 1 구동부(510)는 반시계 방향으로 제 1 설정속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 2 구동부(520)는 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 1 설정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구동 전달부(515) 및 제 2 구동 전달부(525)는 상방으로 회전하며, 상기 구동 결합부(530)는 상기 이동 공간부(545)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연결 브라켓(540)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본체 지지부(501)도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본체(110)는 위로 이동하므로, 사용자는 위로 튕기는 느낌을 받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6의 상태에서 상기 제 1 구동부(510) 및 제 2 구동부(5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 지지부(501)가 상방으로 더 이동되는 모습이 도시된다. 도 7의 상태에서, 상기 제 1,2 구동부(510,520)가 더 회전하게 되면, 도 8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구동부(51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 2 구동부(5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부(510)의 회전속도와, 상기 제 2 구동부(520)의 회전속도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1,2 구동부(510,5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 전달부(515) 및 제 2 구동 전달부(525)는 도 6의 경우에 대비하여 상방으로 더 회전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연결 브라켓(540)은 상방으로 더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본체 지지부(501)도 상방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본체 지지부(501)에 의하여 지지되는 본체(110)는 위로 이동하므로, 사용자는 도 6에 비하여 위로 더 튕기는 느낌을 받게 된다.
정리하면, 상기 제 1,2 구동부(510,5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 장치(500)는 도 5의 상태에서 도 8의 상태에 이르기까지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상태에서 상기 제 1,2 구동부(510,520)가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본체 지지부(501)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다시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상기 본체 지지부(501)의 상하 이동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2 구동부(510,520)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본체 지지부(501)의 상하 이동속도는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2 구동부(510,520)의 회전속도가 낮으면, 말이 "평보"하는 것과 같이, 위 아래로 튕기는 속도가 늦는 반면, 상기 제 1,2 구동부(510,520)의 회전속도가 높으면, 말이 "속보", "구보" 또는 "습보"하는 것과 같이, 위 아래로 튕기는 속도는 빨라지게 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제 1 구동부(510)가 제 1 설정속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2 구동부(520)가 제 2 설정속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본체 지지부(501)의 앞부분이 위로 들리는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설정속도는 상기 제 2 설정속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설정속도는 0 또는 그 이상의 속도값일 수 있다.
반면에, 도 10을 참조하면,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제 1 구동부(510)가 제 3 설정속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2 구동부(520)가 제 4 설정속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본체 지지부(501)의 뒷부분이 위로 들리는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4 설정속도는 상기 제 3 설정속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설정속도는 0 또는 그 이상의 속도값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도 10은 상기 제 1 구동부(5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2 구동부(5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제 1 구동부(510)는 시계 방향 회전, 제 2 구동부(520)는 반시계 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 1,2 구동부(510,520)가 모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2 구동부(510,520)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속도에 따라 승마기(100)의 움직임 방향, 움직임 형태 또는 속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다양한 작동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의 작동시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가 ON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는,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10)가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10)에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로그인 화면(212)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계정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할 수 있다. 최초 사용자는 회원가입을 한 후 로그인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표시부(210)에는, 다수의 메인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선택부(220)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세히, 상기 메뉴 선택부(220)에는, 승마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보법(Gait)", 승마 난이도를 설정할 수 있는 "등급(Level)", 승마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자유외승(Free ride)", 상기 승마장치(10)의 작동방법 또는 이용방법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작동설명(Tutorial)"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메뉴가 표시되면, 상기 보법(Gait) 메뉴가 활성화 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고삐(130)를 우측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활성화 된 메뉴를 우측, 즉 등급, 자유외승, 작동설명 메뉴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고삐(130)를 양측 방향으로 당기거나, 상기 등자(140)를 차는 조작에 의하여, 활성화 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작동설명 메뉴를 선택한 경우,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성이 표시된다. 도 13은 상기 등자(140)의 조작에 관한 정보, 도 14는 무릎자세의 교정에 관한 정보, 도 15는 상기 고삐(130)의 조작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210)에는, 승마기의 형상을 보여주는 승마기 표시부(214)와, 상기 승마기 표시부(214)에 구비되며 상기 승마기(100)의 제 4 센서(154)를 나타내는 제 4 센서 표시부(214a)가 포함된다.
상기 표시부(210)에는, 상기 등자(140)의 조작에 관한 설명을 보여주는 구동설명 표시부(213) 및 상기 등자(140)의 조작에 관한 시뮬레이션 내용을 동영상으로 보여주는 동영상 표시부(215)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10)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내용에 관한 조작설명 표시부(216)가 포함된다. 일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설명 표시부(216)에는, 상기 고삐(130)는 다수의 입력부 중 활성화 된 입력부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좌우로 이동하여 조작할 수 있다는 정보와, 특정 입력부를 선택하고자 할 경우 상기 등자(140)를 조작할 수 있다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3과 같은 디스플레이부(200)가 표시된 이후, 도 14의 화면으로 전환되기 위하여, 사용자는 상기 등자(140)를 조작하거나, 상기 고삐(130)를 우측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 15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00)로 전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210)에는, 승마기의 형상을 보여주는 승마기 표시부(214)와, 상기 승마기 표시부(214)에 구비되며 상기 승마기(100)의 제 2 센서(152)를 나타내는 제 4 센서 표시부(214a)가 포함된다.
상기 표시부(210)에는, 승마자세에 관한 설명을 보여주는 구동설명 표시부(213), 상기 승마자세에 관한 시뮬레이션 내용을 동영상으로 보여주는 동영상 표시부(215) 및 사용자가 현재 올바른 승마자세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자세교정 표시부(213b)가 더 포함된다.
만약, 사용자가 잘못된 승마자세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제 2 센서(152)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자세교정 표시부(213b)에는 자세를 교정할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세교정 표시부(213b)의 색상이 변하거나, 깜빡거릴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자세교정 표시부(213b)에 표시된 경고사항을 확인하여, 승마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210)에는, 상기 고삐(130)의 사용에 관한 설명을 보여주는 구동설명 표시부(213)와, 상기 고삐(130)의 조작에 관한 시뮬레이션 내용을 동영상으로 보여주는 동영상 표시부(215) 및 상기 고삐(130)의 조작여부 또는 당기는 힘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고삐조작 표시부(217)가 포함된다.
상기 고삐조작 표시부(217)에는, 레벨화 된 그래프와, 상기 고삐(130)를 조작할 때 힘의 경중에 따라 상기 그래프 내에서 회전하는 화살표가 포함된다. 상기 고삐조작 표시부(217)를 고삐 조작 게이지(gauge)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고삐조작 표시부(217)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제 3 센서(153)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당겼을 때 상기 화살표가 어느 정도의 각도로 회전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 3 센서(153)의 민감도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였을 때 상기 고삐(130)가 최대로 당겨지는 것으로 인식되는지 확인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민감도를 조정하고 싶은 경우, 상기 제 3 센서(153)의 감도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00)의 화면에서, 상기 보법(Gait) 메뉴를 선택하면, 도 16과 같은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성이 표시된다. 도 16에 표시된 디스플레이부(200)를 이용하여, 보법에 관한 작동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표시부(210)에는, 승마장치(10)의 작동모드 중, 말의 이동속도에 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보법 선택 표시부(230)가 포함된다.
상기 보법 선택 표시부(230)에는, 말의 이동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다수의 단계를 나타내는 보법에 관한 입력부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입력부에는, 좌측부터 차례로 "평보", "속보", "구보" 및 "습보"를 나타내는 입력부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고삐(130) 또는 등자(140)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입력부 중 일 입력부를 활성화 시키거나,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보법에 따라, 상기 제 1,2 구동부(510,520)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방향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법 선택 표시부(230)에 포함된 다수의 보법 중 일 보법을 선택하면, 세부 보법에 관한 다수의 입력부가 포함되는 세부보법 선택 표시부(235)가 활성화 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법 중 "평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세부보법 선택 표시부(235)에는, 세부 보법으로서 "수축평보", "중간평보" 또는 "신장평보"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입력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고삐(130) 또는 등자(140)등을 이용하여, 세부 보법에 관한 상기 다수의 입력부 중 일 입력부를 활성화 시키거나, 선택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은 디스플레이부(200)의 화면에서, 상기 등급(Levle) 메뉴를 선택하면, 도 17과 같은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성이 표시된다. 도 17에 표시된 디스플레이부(200)를 이용하여, 승마의 등급에 관한 작동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표시부(210)에는, 승마장치(10)의 작동모드 중, 승마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입력부를 구비하는 레벨 선택 표시부(240)가 포함된다.
상기 레벨 선택 표시부(230)에는, 승마의 난이도가 점점 어려워지는 다수의 단계를 나타내는 등급에 관한 입력부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입력부에는, 좌측부터 차례로 "초급", "중급", "고급" 및 "전문가"를 나타내는 입력부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고삐(130) 또는 등자(140)등을 이용하여, 등급에 관한 다수의 입력부 중 일 입력부를 활성화 시키거나, 선택할 수 있다.
승마에 관한 등급이 결정되면, 상기 레벨 선택 표시부(230)의 일측에 표시되는 시간선택 표시부(245)가 활성화 될 수 있다.
상기 시간선택 표시부(245)에는, 승마의 탑승시간이 점점 길어지는 다수의 단계를 나타내는 시간에 관한 입력부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입력부에는, 좌측부터 차례로 "5분", "10분", "15분" 및 "20분"을 나타내는 입력부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고삐(130) 또는 등자(140)등을 이용하여, 시간에 관한 다수의 입력부 중 일 입력부를 활성화 시키거나, 선택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2 내지 도 17을 통하여 설정된 승마장치(10)의 작동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승마기(100)가 작동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구성이 도시된다. 즉, 상기 메인 메뉴에서 "자유외승"을 선택하였을 경우, 도 18과 같은 화면이 도시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표시부(210)에는, 말의 형상을 나타내는 승마기 표시부(254)와, 소정 작동모드에 따른 상기 승마기(100)의 작동후 잔여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표시부(250)와, 승마자세의 유지여부를 나타내는 승마자세 표시부(252)와, 말의 속도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속도 표시부(256)와, 승마 운동간 소모되는 열량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열량소모 표시부(257) 및 승마 운동거리를 나타내는 승마거리 표시부(258)가 포함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는, 승마 장치(10)의 작동모드 또는 작동조건에 관한 상태정보, 작동 진행정보등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가이드 할 수 있다.
승마 운동간 올바른 승마자세가 유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승마자세 표시부(252)가 활성화 되어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승마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순히 승마기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현실감 있는 승마운동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건강 또는 능력등에 따라, 승마장치의 작동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맞춤형 승마장치의 구현이 가능하고, 사용자 이용간 안전사고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상기 승마장치(10)는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고, 다수의 승마장치(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게임(game)의 형식을 이용하여, 다수의 승마장치(10)가 레이싱(racing)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10 : 승마장치 50 : 제어장치
100 : 승마기 110 : 본체
120 : 안장 130 : 고삐
140 : 등자 150 : 센서부
151 : 제 1 센서 152 : 제 2 센서
153 : 제 3 센서 154 : 제 4 센서
200 : 디스플레이부 210 : 표시부
270 : 표시부 300 : 프로젝터
400 : 제어부 410 : 타이머
420 : 메모리부 430 : 리모컨
500 : 구동장치 510 : 제 1 구동부
520 : 제 2 구동부

Claims (20)

  1. 구동장치 및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승마기;
    상기 승마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승마기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승마기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작동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장치에는, 상기 승마기의 본체에 제공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고삐 및 사용자의 발을 놓을 수 있는 등자가 포함되고,
    상기 고삐의 당기는 방향 또는 상기 등자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장치를 통한 정보의 입력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승마용 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기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장; 및
    상기 안장의 하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탑승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센서가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기에는,
    상기 승마기 본체 중, 사용자의 무릎 또는 종아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의 승마 자세의 교정여부를 감지하는 제 2 센서가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기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고삐; 및
    상기 고삐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고삐의 조작 방향 또는 상기 고삐의 조작하는 힘을 감지하는 제 3 센서가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기에는,
    사용자의 발을 놓을 수 있는 등자; 및
    상기 등자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등자의 조작여부를 감지하는 제 4 센서가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기가 설정모드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작동 경과시간 또는 잔여시간을 적산하는 타이머가 더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에는,
    상기 승마기의 본체의 전방에 제공되는 제 1 구동부;
    상기 제 1 구동부의 후측에 제공되는 제 2 구동부; 및
    상기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회전운동 하는 링크부재가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상이하게 제어하여, 상기 승마기의 움직임 방향, 움직임 형태 또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에는,
    상기 승마기의 좌우 방향으로의 기울임을 위하여 구동되는 제 3 구동부가 더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구동부의 구동축은,
    상기 제 1,2 구동부의 구동축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기의 작동에 관한 정보에는,
    작동모드에 관한 정보, 승마 레벨에 관한 정보, 승마속도에 관한 정보 또는 승마장치의 사용가이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기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 표시부에는,
    작동 잔여시간을 보여주는 시간 표시부; 및
    사용자의 승마자세에 대한 교정여부를 알려주는 승마자세 표시부;
    승마거리를 표시하는 승마거리 표시부가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다수 개가 구비되고,
    다수의 입력부 중 활성화 되는 입력부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승마기에 구비되는 고삐 또는 등자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기의 작동간 비상상황 발생시, 입력 가능한 비상정지 입력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비상정지 입력부가 입력되면, 안전을 위하여 상기 승마기가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장치.
  17. 승마기의 전원이 ON 되고 작동 준비모드로 돌입되는 단계;
    승마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제 1 작동정보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제 1 작동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승마기의 작동준비 상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
    상기 승마기에 구비되는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 2 작동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작동정보 및 제 2 작동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정보에 기초하여, 승마기의 구동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동정보는 상기 승마기의 작동준비를 위하여 요구되는 기초 정보이며, 사용자의 탑승여부에 관한 정보 또는 승마자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작동정보는 상기 승마기의 작동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정보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기의 입력장치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고삐 및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는 등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고삐 또는 등자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029266A 2013-03-19 2013-03-19 승마용 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56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266A KR101456020B1 (ko) 2013-03-19 2013-03-19 승마용 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266A KR101456020B1 (ko) 2013-03-19 2013-03-19 승마용 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706A Division KR101457577B1 (ko) 2014-04-29 2014-04-29 승마용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659A KR20140114659A (ko) 2014-09-29
KR101456020B1 true KR101456020B1 (ko) 2014-11-03

Family

ID=5175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266A KR101456020B1 (ko) 2013-03-19 2013-03-19 승마용 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3220B (zh) * 2015-02-10 2019-04-05 全注植 定制式骑马运动器材的运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0207A (ko) * 2010-09-18 2012-03-28 이성기 라이드봇용 안장
KR20120040169A (ko) * 2012-03-08 2012-04-26 유동진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KR20120103922A (ko) * 2011-03-11 2012-09-20 김미화 승마형 운동기구의 제어방법
KR20130000863U (ko) * 2011-07-27 2013-02-06 김우진 스크린 승마 연습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0207A (ko) * 2010-09-18 2012-03-28 이성기 라이드봇용 안장
KR20120103922A (ko) * 2011-03-11 2012-09-20 김미화 승마형 운동기구의 제어방법
KR20130000863U (ko) * 2011-07-27 2013-02-06 김우진 스크린 승마 연습기구
KR20120040169A (ko) * 2012-03-08 2012-04-26 유동진 승마운동기구용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659A (ko) 201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592B1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JP6384436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2383021B1 (en) Apparatus for the assisted performance of a fitness exercise
KR101195386B1 (ko) 승마형 운동기구의 제어방법
JP4270113B2 (ja) 揺動型運動装置
JP6323419B2 (ja) 歩行訓練装置
JP4915599B2 (ja) 運動装置
KR19990006638A (ko) 승마 게임기
CN111819109B (zh) 座椅
KR101188136B1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JP6524991B2 (ja) 訓練システム、および足関節トルク推定方法
KR101188137B1 (ko) 승마운동 시뮬레이터
KR101457577B1 (ko) 승마용 운동장치
KR101929579B1 (ko)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KR101456020B1 (ko) 승마용 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10222A (ko) 승마형 운동기구
GB2450887A (en) Horse riding training aid
KR200444410Y1 (ko) 승마형 운동기구
JP2010075622A (ja) 受動運動器
KR101773882B1 (ko) 승마용 운동장치
KR101606669B1 (ko) 승마용 운동장치
CN111686417B (zh) 平衡训练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GB2482269A (en) A powered horse riding training aid with a pivoting neck directly linked to the base
KR101592410B1 (ko) 승마용 운동장치
KR102211948B1 (ko) 체감형 타동운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