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900B1 -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 Google Patents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900B1
KR101220900B1 KR1020100059521A KR20100059521A KR101220900B1 KR 101220900 B1 KR101220900 B1 KR 101220900B1 KR 1020100059521 A KR1020100059521 A KR 1020100059521A KR 20100059521 A KR20100059521 A KR 20100059521A KR 101220900 B1 KR101220900 B1 KR 10122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rank
guide
rotation
upp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430A (ko
Inventor
하동원
이완표
Original Assignee
하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동원 filed Critical 하동원
Priority to KR1020100059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900B1/ko
Priority to DE112010005434.7T priority patent/DE112010005434B4/de
Priority to JP2013502444A priority patent/JP5824508B2/ja
Priority to PCT/KR2010/008054 priority patent/WO2011122753A1/ko
Priority to US13/637,121 priority patent/US8827822B2/en
Publication of KR2011013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탑승하는 체감용 운동기계에 사용되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안착몸체가 제1 운동장치 유닛 및 제2 운동장치 유닛의 작동 상태와 제1 크랭크 모터 및 제2 크랭크 모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향 및 크기의 파형을 이루며 움직일 수 있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CRANK APPARATUS SET FOR VIRTUAL REALITY MOTION SIMULATOR}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탑승하는 체감용 운동기계에 사용되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안착몸체가 제1 운동장치 유닛 및 제2 운동장치 유닛의 작동 상태와 제1 크랭크 모터 및 제2 크랭크 모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향 및 크기의 파형을 이루며 움직일 수 있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에 관한 것이다.
중력하에서는 사람, 말, 보트, 스키 및 자동차 등 거의 모든 물체의 움직임은 다양한 속도변화와 이에 따른 각기 다른 길이, 진폭을 가진 파형의 연속이므로 실감나는 체감용 운동기계를 만들려면 기본적으로 파형의 속도, 길이 및 진폭을 서로 독립적으로 실시간으로 끊김이 없이 조절하여 서로 다른 형태의 파형을 계속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체감용 운동기계들은 주로 유압실린더를 활용하여 4축 또는 6축을 활용하여 오르막, 내리막 등의 방향성을 느낄 수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고 변화된 파형의 리듬을 체감할 수 있는 것은 없고, 또한 가격 역시 상당히 고가이고 크기도 상당히 큰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체감용 운동기계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속도의 변화와 진폭이 다른 파동을 끊어짐이 없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으로서, 가상 현실 기술(Virtual realitic)의 체감부분에 중요한 기초 원천 기술에 속하고 다양한 콘텐츠들을 접목하여 아케이드게임, 의료, 교육 및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활용범위가 넓은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1 운동장치 유닛(U1)에 연결되는 제1 하측 로드(1110), 상하 방향을 통과하는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에 연결되는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 및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에 연결되는 제1 상측 로드(1120)를 포함하는 제1 크랭크(1100);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2 운동장치 유닛(U2)에 연결되는 제2 하측 로드(1210), 상하 방향을 통과하는 제2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에 연결되는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 및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에 연결되는 제2 상측 로드(1220)를 포함하는 제2 크랭크(1200); 상기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상측 로드(1120)에 설치되는 제1 리니어 가이드(1130); 제1 크랭크 모터(116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에 안착되는 제1 수평 이동체(1140); 상기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 상측 로드(1220)에 설치되는 제2 리니어 가이드(1230); 제2 크랭크 모터(126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리니어 가이드(1230)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제2 리니어 가이드(1230)에 안착되는 제2 수평 이동체(1240); 일측부에 상기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에 의한 안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이 형성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2 수평 이동체(1240)에 고정 연결되는 안착몸체(1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단이 상기 제1 수평 이동체(1140)에 고정 연결되며, 타측단에 상기 제1 크랭크 모터(1160)가 고정 장착되는 제1 크랭크 모터 장착대(1150); 상기 제1 크랭크 모터(116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판(1170); 상기 제1 크랭크 모터(1160)의 작동시 상기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되도록, 일측단이 상기 제1 회전판(117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 상측 로드(1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회전바(1180); 일측단이 상기 제2 수평 이동체(1240)에 고정 연결되며, 타측단에 상기 제2 크랭크 모터(1260)가 고정 장착되는 제2 크랭크 모터 장착대(1250); 상기 제2 크랭크 모터(126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판(1270); 상기 제2 크랭크 모터(1260)의 작동시 상기 제2 수평 이동체(1240)가 상기 제2 리니어 가이드(1230)를 따라 안내되도록, 일측단이 상기 제2 회전판(127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 상측 로드(12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회전바(128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회전판(1170)에 돌출되는 제1 회전판 돌출축(1172); 상기 제1 회전바(1180)의 일측단이 상기 제1 회전판 돌출축(117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전바(1180)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제1-1 베어링(1181); 상기 제1 상측 로드(1120)에 돌출되는 제1 상측 로드 돌출축(1122); 상기 제1 회전바(1180)의 타측단이 상기 제1 상측 로드 돌출축(112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전바(1180)의 타측단에 설치되는 제1-2 베어링(1182); 상기 제2 회전판(1270)에 돌출되는 제2 회전판 돌출축(1272); 상기 제2 회전바(1280)의 일측단이 상기 제2 회전판 돌출축(127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회전바(1280)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제2-1 베어링(1281); 상기 제2 상측 로드(1220)에 돌출되는 제2 상측 로드 돌출축(1222); 상기 제2 회전바(1280)의 타측단이 상기 제2 상측 로드 돌출축(122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회전바(1280)의 타측단에 설치되는 제2-2 베어링(1282);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에 외삽되는 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10); 상기 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1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10)에 내삽되는 제1 좌우 이동 안내봉(1510);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에 외삽되는 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20); 상기 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2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20)에 내삽되는 제2 좌우 이동 안내봉(1520); 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는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의 상단부에 탑재되는 제1 테이퍼 베어링(1100T)에 지지되며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는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의 상단부에 탑재되는 제2 테이퍼 베어링(1200T)에 지지되며 상기 제2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1 운동장치 유닛(U1)에 연결되는 제1 하측 로드(1110), 상하 방향을 통과하는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에 연결되는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 및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에 연결되는 제1 상측 로드(1120)를 포함하는 제1 크랭크(1100);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2 운동장치 유닛(U2)에 연결되는 제2 하측 로드(1210), 상하 방향을 통과하는 제2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에 연결되는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 및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에 연결되는 제2 상측 로드(1220)를 포함하는 제2 크랭크(1200); 상기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상측 로드(1120)에 설치되는 제1 리니어 가이드(1130); 제1 크랭크 모터(116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에 안착되는 제1 수평 이동체(1140); 일측부에 상기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에 의한 안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이 형성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2 상측 로드(1220)에 고정 연결되는 안착몸체(1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에 관한 것인데, 일측단이 상기 제1 수평 이동체(1140)에 고정 연결되며, 타측단에 상기 제1 크랭크 모터(1160)가 고정 장착되는 제1 크랭크 모터 장착대(1150); 상기 제1 크랭크 모터(116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판(1170); 상기 제1 크랭크 모터(1160)의 작동시 상기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되도록, 일측단이 상기 제1 회전판(117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 상측 로드(1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회전바(1180);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1 운동장치 유닛(U1)에 연결되는 제1 하측 로드(1110) 및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와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에 연결되는 제1 상측 로드(1120)를 포함하는 제1 크랭크(1100);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2 운동장치 유닛(U2)에 연결되는 제2 하측 로드(1210),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와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에 연결되는 제2 상측 로드(1220)를 포함하는 제2 크랭크(1200); 일측부에 상기 제1 상측 로드(112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이 형성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2 상측 로드(1220)에 고정 연결되는 안착몸체(1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운동장치 유닛 및 제2 운동장치 유닛의 작동 상태에 따라 안착몸체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 크랭크 모터와 제2 크랭크 모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안착몸체가 제1 하측 로드 및 제2 하측 로드가 형성하는 평면을 통과하는 다양한 파형의 움직임을 형성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안착몸체가 제1 운동장치 유닛 및 제2 운동장치 유닛의 작동 상태와 제1 크랭크 모터 및 제2 크랭크 모터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향 및 크기의 파형을 이루며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실시예1이 적용된 체감용 운동기계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크랭크 장치 셋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3 및 도4는 도2의 주요부의 상세도.
도5는 실시예2의 크랭크 장치 셋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6 및 도7은 도5의 주요부의 상세도.
도8은 실시예3의 크랭크 장치 셋의 주요부의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실시예1이 적용된 체감용 운동기계의 사시도를, 도2는 도1의 크랭크 장치 셋의 주요부의 정면도를, 도3 및 도4는 도2의 주요부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1은 제1 크랭크(1100), 제1 리니어 가이드(1130), 제1 수평 이동체(1140), 제1 크랭크 모터 장착대(1150), 제1 회전판(1170), 제1 회전바(1180), 제2 크랭크(1200), 제2 리니어 가이드(1230), 제2 수평 이동체(1240), 제2 크랭크 모터 장착대(1250), 제2 회전판(1270), 제2 회전바(1280), 안착몸체(1300)를 포함한다.
도2를 참조하면 제1 크랭크(1100)는 제1 하측 로드(1110),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 및 제1 상측 로드(1120)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제1 하측 로드(1110)는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1 운동장치 유닛(U1)에 연결된다. 즉, 제1 하측 로드(1110)는 제1 운동장치 유닛(U1)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하거나, 상하로 이동하거나, 좌우 이동하는 동시에 상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하측 로드(11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1 하측 로드(1110)에는 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10)가 외삽된다. 또한, 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1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제1 하측 로드(111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10)에는 제1 좌우 이동 안내봉(1510)이 내삽된다. 한편, 제1 운동장치 유닛(U1)은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하여 출원된 '원운동 물체의 회전 반경이 변경 가능한 운동 장치(출원번호:KR10-2010-0029071)'일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는 상하 방향을 통과하는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측단이 제1 하측 로드(1110)에 연결된다. 즉,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는 제1 하측 로드(1110)의 상단부에 탑재되는 제1 테이퍼 베어링(1100T)에 지지되며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은 제1 하측 로드(1110)의 횡단면과 수직을 이루며 제1 하측 로드(1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선일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1 상측 로드(1120)는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측단이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에 연결된다. 즉, 제1 상측 로드(1120)는 수평 방향으로 끼워지는 제1 핀(1120P)에 의하여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은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과 직교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선일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는 상기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제1 상측 로드(1120)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이란 상기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1 수평 이동체(1140)는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되며 상기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에 안착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1 크랭크 모터 장착대(1150)는 일측단이 제1 수평 이동체(1140)에 고정 연결되는데, 그 타측단에는 제1 크랭크 모터(1160)가 고정 장착된다.
도3을 참조하면 제1 회전판(1170)은 제1 크랭크 모터(1160)에 연결된 제1 크랭크 모터 축(1160C)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회전판(1170)은 제1 크랭크 모터(1160)의 작동시 제1 크랭크 모터 축(1160C)이 회동함에 따라 제1 크랭크 모터 축(1160C)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제1 회전바(1180)는 일측단이 제1 회전판(117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이 제1 상측 로드(1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회전판(1170)의 외측면에는 제1 회전판 돌출축(1172)이 돌출 설치되고, 제1 회전바(1180)의 일측단에는 제1 회전바(1180)의 일측단이 제1 회전판 돌출축(117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제1-1 베어링(1181)이 설치된다. 또한, 제1 상측 로드(1120)에는 제1 회전바(1180) 방향으로 제1 상측 로드 돌출축(1122)이 돌출 설치되고, 제1 회전바(1180)의 타측단에는 제1 회전바(1180)의 타측단이 제1 상측 로드 돌출축(112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제1-2 베어링(1182)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1 크랭크 모터(1160)의 작동하여 제1 크랭크 모터 축(1160C)이 회동함에 따라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된다. 한편, 제1 크랭크 모터(1160)의 작동시 항상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제1 상측 로드 돌출축(1122)은 제1 수평 이동체(1140)와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의 어떤 상대 위치에서도 제1 크랭크 모터 축(1160C)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도2를 참조하면 제2 크랭크(1200)는 제2 하측 로드(1210),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 및 제2 상측 로드(1220)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제2 하측 로드(1210)는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2 운동장치 유닛(U2)에 연결 설치되는데, 제1 하측 로드(110)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다. 즉, 제2 하측 로드(1210)는 제2 운동장치 유닛(U2)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하거나, 상하로 이동하거나, 좌우 이동하는 동시에 상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하측 로드(12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2 하측 로드(1210)에는 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20)가 외삽된다. 또한, 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2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제2 하측 로드(121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20)에는 제2 좌우 이동 안내봉(1520)이 내삽된다. 한편, 제2 운동장치 유닛(U2)은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하여 출원된 '원운동 물체의 회전 반경이 변경 가능한 운동 장치(출원번호:KR10-2010-0029071)'일 수 있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는 상하 방향을 통과하는 제2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측단이 제2 하측 로드(1210)에 연결된다. 즉,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는 제2 하측 로드(1210)의 상단부에 탑재되는 제2 테이퍼 베어링(1200T)에 지지되며 상기 제2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2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은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과 평행을 이루는 직선인데, 제2 하측 로드(1210)의 횡단면과 수직을 이루며 제2 하측 로드(1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선일 수 있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제2 상측 로드(1220)는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측단이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에 연결된다. 즉, 제2 상측 로드(1220)는 수평 방향으로 끼워지는 제2 핀(1220P)에 의하여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은 상기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평행한 직선인데,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과 직교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선일 수 있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제2 리니어 가이드(1230)는 상기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제2 상측 로드(1220)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이란 상기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제2 수평 이동체(1240)는 제2 리니어 가이드(1230)를 따라 안내되며 상기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2 리니어 가이드(1230)에 안착된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제2 크랭크 모터 장착대(1250)는 일측단이 제2 수평 이동체(1240)에 고정 연결되는데, 그 타측단에는 제2 크랭크 모터(1260)가 고정 장착된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제2 회전판(1270)은 제2 크랭크 모터(1260)에 연결된 제2 크랭크 모터 축(1260C)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회전판(1270)은 제2 크랭크 모터(1260)의 작동시 제2 크랭크 모터 축(1260C)이 회동함에 따라 제2 크랭크 모터 축(1260C)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도4를 참조하면 제2 회전바(1280)는 일측단이 제2 회전판(127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이 제2 상측 로드(12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제2 회전판(1270)의 외측면에는 제2 회전판 돌출축(1272)이 돌출 설치되고, 제2 회전바(1280)의 일측단에는 제2 회전바(1280)의 일측단이 제2 회전판 돌출축(127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제2-1 베어링(1281)이 설치된다. 또한, 제2 상측 로드(1220)에는 제2 회전바(1280) 방향으로 제2 상측 로드 돌출축(1222)이 돌출 설치되고, 제2 회전바(1280)의 타측단에는 제2 회전바(1280)의 타측단이 제2 상측 로드 돌출축(122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제2-2 베어링(1282)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2 크랭크 모터(1260)가 작동하여 제2 크랭크 모터 축(1260C)이 회동함에 따라 제2 수평 이동체(1240)가 제2 리니어 가이드(1230)를 따라 안내된다. 한편, 제2 크랭크 모터(1260)의 작동시 항상 제2 수평 이동체(1240)가 제2 리니어 가이드(1230)를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제2 상측 로드 돌출축(1222)은 제2 수평 이동체(1240)와 제2 리니어 가이드(1230)의 어떤 상대 위치에서도 제2 크랭크 모터 축(1260C)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안착몸체(1300)는 일측부에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이 형성되는데,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에는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에 의한 안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1 수평 이동체(1140)는 제1 크랭크 모터 장착대(1150)에 고정 설치되는 관형상의 슬라이더(1140-1)가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에 끼워짐으로써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안착몸체(1300)의 타측부에는 제2 수평 이동체(1240)가 고정 연결된다. 제2 수평 이동체(1240)는 제2 크랭크 모터 장착대(1250)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수평 이동체 연결대(1240-1)가 안착몸체(1300)에 고정됨으로써 안착몸체(1300)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1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를 참조하면 제1 운동장치 유닛(U1, 도1 참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제1 하측 로드(111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2를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제2 운동장치 유닛(U2, 도1 참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제2 하측 로드(1210)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2를 참조하면 제1 수평 이동체(1140)는 슬라이더(1140-1)를 통하여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제2 수평 이동체(1240)는 제2 수평 이동체 연결대(1240-1)를 통하여 안착몸체(1300)에 고정 체결된다. 따라서, 안착몸체(1300)는 제1 운동장치 유닛(U1, 도1 참조) 및 제2 운동장치 유닛(U2, 도1 참조)의 작동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파형을 이루며 좌우 이동하거나, 상하 이동하거나, 좌우 이동하는 동시에 상하 이동하게 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는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1 하측 로드(1110)에 연결되어 있고,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는 상기 제2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2 하측 로드(111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크랭크 모터(1160) 작동시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되고, 제2 크랭크 모터(1260) 작동시 제2 수평 이동체(1240)가 제2 리니어 가이드(1230)를 따라 안내된다. 즉, 제1 크랭크 모터(1160)와 제2 크랭크 모터(1260)의 작동 상태에 따라 안착몸체(1300)는 제1 하측 로드(1110) 및 제2 하측 로드(1210)가 형성하는 평면(도2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2가 도시된 지면)을 통과하는 다양한 파형의 움직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1의 안착몸체(1300)는 제1 운동장치 유닛(U1, 도1 참조) 및 제2 운동장치 유닛(U2, 도1 참조)의 작동 상태와 제1 크랭크 모터(1160)와 제2 크랭크 모터(1260)의 작동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향 및 크기의 파형을 이루며 움직일 수 있다.
실시예2
실시예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에 관한 것이다.
도5는 실시예2의 크랭크 장치 셋의 주요부의 정면도를, 도6 및 도7은 도5의 주요부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1 및 도5를 참조하면 실시예2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크랭크(1100), 제1 리니어 가이드(1130), 제1 수평 이동체(1140), 제1 크랭크 모터 장착대(1150), 제1 회전판(1170), 제1 회전바(1180), 제2 크랭크(1200) 및 안착몸체(1300)를 포함한다.
도5를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크랭크(1100)는 제1 하측 로드(1110),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 및 제1 상측 로드(1120)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하측 로드(1110)는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1 운동장치 유닛(U1)에 연결된다. 또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하측 로드(1110)에는 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10)가 외삽되고, 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10)에는 제1 좌우 이동 안내봉(1510)이 내삽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는 상하 방향을 통과하는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측단이 제1 하측 로드(1110)에 연결된다. 즉,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는 제1 하측 로드(1110)의 상단부에 탑재되는 제1 테이퍼 베어링(1100T)에 지지되며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상측 로드(1120)는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측단이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에 연결된다. 즉, 제1 상측 로드(1120)는 수평 방향으로 끼워지는 제1 핀(1120P)에 의하여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는 상기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제1 상측 로드(1120)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수평 이동체(1140)는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되며 상기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에 안착된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크랭크 모터 장착대(1150)는 일측단이 제1 수평 이동체(1140)에 고정 연결되는데, 그 타측단에는 제1 크랭크 모터(1160)가 고정 장착된다.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회전판(1170)은 제1 크랭크 모터(1160)에 연결된 제1 크랭크 모터 축(1160C)에 연결된다.
도6 및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회전바(1180)는 일측단이 제1 회전판(117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이 제1 상측 로드(1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회전판(1170)의 외측면에는 제1 회전판 돌출축(1172)이 돌출 설치되고, 제1 회전바(1180)의 일측단에는 제1 회전바(1180)의 일측단이 제1 회전판 돌출축(117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제1-1 베어링(1181)이 설치된다. 또한, 제1 상측 로드(1120)에는 제1 회전바(1180) 방향으로 제1 상측 로드 돌출축(1122)이 돌출 설치되고, 제1 회전바(1180)의 타측단에는 제1 회전바(1180)의 타측단이 제1 상측 로드 돌출축(112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제1-2 베어링(1182)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1 크랭크 모터(1160)의 작동하여 제1 크랭크 모터 축(1160C)이 회동함에 따라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된다. 한편, 제1 크랭크 모터(1160)의 작동시 항상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제1 상측 로드 돌출축(1122)은 제1 수평 이동체(1140)와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의 어떤 상대 위치에서도 제1 크랭크 모터 축(1160C)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도5를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2 크랭크(1200)는 제2 하측 로드(1210),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 및 제2 상측 로드(1220)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2 하측 로드(1210)는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2 운동장치 유닛(U2)에 연결 설치되는데, 제1 하측 로드(110)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2 하측 로드(1210)에는 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20)가 외삽되고, 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20)에는 제2 좌우 이동 안내봉(1520)이 내삽된다.
도5 및 도7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는 상하 방향을 통과하는 제2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측단이 제2 하측 로드(1210)에 연결된다. 즉,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는 제2 하측 로드(1210)의 상단부에 탑재되는 제2 테이퍼 베어링(1200T)에 지지되며 상기 제2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5 및 도7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2 상측 로드(1220)는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측단이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에 연결된다. 즉, 제2 상측 로드(1220)는 수평 방향으로 끼워지는 제2 핀(1220P)에 의하여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안착몸체(1300)는 일측부에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이 형성되는데,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에는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에 의한 안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1 수평 이동체(1140)는 제1 크랭크 모터 장착대(1150)에 고정 설치되는 관형상의 슬라이더(1140-1)가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에 끼워짐으로써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안착몸체(1300)의 타측부에는 제2 상측 로드(1220)의 상측부가 고정 연결된다.
즉, 실시예2는 실시예1과 달리 제2 리니어 가이드(1230), 제2 수평 이동체(1240), 제2 크랭크 모터 장착대(1250), 제2 회전판(1270) 및 제2 회전바(1280)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
기타, 설명하지 않은 사항은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에 준한다.
실시예3
실시예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에 관한 것이다.
도8은 실시예3의 크랭크 장치 셋의 주요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1 및 도8을 참조하면 실시예3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크랭크(1100), 제2 크랭크(1200) 및 안착몸체(1300)를 포함한다.
도8을 참조하면 제1 크랭크(1100)는 제1 하측 로드(1110) 및 제1 상측 로드(1120)를 포함한다. 즉, 실시예3은 실시예1과 달리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하측 로드(1110)는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1 운동장치 유닛(U1)에 연결된다. 또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1 하측 로드(1110)에는 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10)가 외삽되고, 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10)에는 제1 좌우 이동 안내봉(1510)이 내삽된다.
도8을 참조하면 제1 상측 로드(1120)는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측단이 제1 하측 로드(1110)에 연결된다. 즉, 제1 상측 로드(1120)는 수평 방향으로 끼워지는 제1 핀(1120P)에 의하여 제1 하측 로드(1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8을 참조하면 제2 크랭크(1200)는 제2 하측 로드(1210) 및 제2 상측 로드(1220)를 포함한다. 즉, 실시예3은 실시예1과 달리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1을 참조하면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2 하측 로드(1210)는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2 운동장치 유닛(U2)에 연결 설치되는데, 제1 하측 로드(110)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제2 하측 로드(1210)에는 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20)가 외삽되고, 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20)에는 제2 좌우 이동 안내봉(1520)이 내삽된다.
도8을 참조하면 제2 상측 로드(1220)는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그 하측단이 제2 하측 로드(1210)에 연결된다. 즉, 제2 상측 로드(1220)는 수평 방향으로 끼워지는 제2 핀(1220P)에 의하여 제2 하측 로드(12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8을 안착몸체(1300)는 일측부에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이 형성되는데,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에는 제1 하측 로드(1120)의 상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1 하측 로드(1120)는 제1 하측 로드(1120)에 고정 설치되는 관형상의 슬라이더(1140-1)가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에 끼워짐으로써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안착몸체(1300)의 타측부에는 제2 상측 로드(1220)의 상측부가 고정 연결된다.
즉, 실시예2는 실시예1과 달리 제1 리니어 가이드(1130), 제1 수평 이동체(1140), 제1 크랭크 모터 장착대(1150), 제1 회전판(1170), 제1 회전바(1180), 제2 리니어 가이드(1230), 제2 수평 이동체(1240), 제2 크랭크 모터 장착대(1250), 제2 회전판(1270) 및 제2 회전바(1280)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
기타, 설명하지 않은 사항은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바에 준한다.
U1:제1 운동장치 유닛 U2:제2 운동장치 유닛
1100:제1 크랭크 1100C:제1 크랭크 연결대
1100T:제1 테이퍼 베어링
1110:제1 하측 로드 1120:제1 상측 로드
1122:제1 상측 로드 돌출축
1130:제1 리니어 가이드 1140:제1 수평 이동체
1150:제1 크랭크 모터 장착대 1160:제1 크랭크 모터
1170:제1 회전판 1172:제1 회전판 돌출축
1180:제1 회전바 1181:제1-1 베어링
1182:제1-2 베어링
1200:제2 크랭크 1200C:제2 크랭크 연결대
1200T:제2 테이퍼 베어링
1210:제2 하측 로드 1220:제2 상측 로드
1222:제2 상측 로드 돌출축
1230:제2 리니어 가이드 1240:제2 수평 이동체
1250:제2 크랭크 모터 장착대 1260:제2 크랭크 모터
1270:제2 회전판 1272:제2 회전판 돌출축
1280:제2 회전바 1281:제2-1 베어링
1282:제2-2 베어링
1300:안착몸체 1310:제1 이동체 안내봉
1410: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 1420: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
1510:제1 좌우 이동 안내봉 1520:제2 좌우 이동 안내봉

Claims (8)

  1.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1 운동장치 유닛(U1)에 연결되는 제1 하측 로드(1110), 상하 방향을 통과하는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에 연결되는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 및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에 연결되는 제1 상측 로드(1120)를 포함하는 제1 크랭크(1100);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2 운동장치 유닛(U2)에 연결되는 제2 하측 로드(1210), 상하 방향을 통과하는 제2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에 연결되는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 및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에 연결되는 제2 상측 로드(1220)를 포함하는 제2 크랭크(1200);
    상기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상측 로드(1120)에 설치되는 제1 리니어 가이드(1130);
    제1 크랭크 모터(116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에 안착되는 제1 수평 이동체(1140);
    상기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 상측 로드(1220)에 설치되는 제2 리니어 가이드(1230);
    제2 크랭크 모터(126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리니어 가이드(1230)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제2 리니어 가이드(1230)에 안착되는 제2 수평 이동체(1240);
    일측부에 상기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에 의한 안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이 형성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2 수평 이동체(1240)에 고정 연결되는 안착몸체(1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단이 상기 제1 수평 이동체(1140)에 고정 연결되며, 타측단에 상기 제1 크랭크 모터(1160)가 고정 장착되는 제1 크랭크 모터 장착대(1150);
    상기 제1 크랭크 모터(116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판(1170);
    상기 제1 크랭크 모터(1160)의 작동시 상기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되도록, 일측단이 상기 제1 회전판(117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 상측 로드(1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회전바(1180);
    일측단이 상기 제2 수평 이동체(1240)에 고정 연결되며, 타측단에 상기 제2 크랭크 모터(1260)가 고정 장착되는 제2 크랭크 모터 장착대(1250);
    상기 제2 크랭크 모터(126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판(1270);
    상기 제2 크랭크 모터(1260)의 작동시 상기 제2 수평 이동체(1240)가 상기 제2 리니어 가이드(1230)를 따라 안내되도록, 일측단이 상기 제2 회전판(127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 상측 로드(12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회전바(12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판(1170)에 돌출되는 제1 회전판 돌출축(1172);
    상기 제1 회전바(1180)의 일측단이 상기 제1 회전판 돌출축(117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전바(1180)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제1-1 베어링(1181);
    상기 제1 상측 로드(1120)에 돌출되는 제1 상측 로드 돌출축(1122);
    상기 제1 회전바(1180)의 타측단이 상기 제1 상측 로드 돌출축(112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전바(1180)의 타측단에 설치되는 제1-2 베어링(1182);
    상기 제2 회전판(1270)에 돌출되는 제2 회전판 돌출축(1272);
    상기 제2 회전바(1280)의 일측단이 상기 제2 회전판 돌출축(127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회전바(1280)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제2-1 베어링(1281);
    상기 제2 상측 로드(1220)에 돌출되는 제2 상측 로드 돌출축(1222);
    상기 제2 회전바(1280)의 타측단이 상기 제2 상측 로드 돌출축(1222)과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회전바(1280)의 타측단에 설치되는 제2-2 베어링(128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에 외삽되는 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10);
    상기 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1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10)에 내삽되는 제1 좌우 이동 안내봉(1510);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에 외삽되는 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20);
    상기 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2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2 하측 로드 안내 바디(1420)에 내삽되는 제2 좌우 이동 안내봉(15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는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의 상단부에 탑재되는 제1 테이퍼 베어링(1100T)에 지지되며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는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의 상단부에 탑재되는 제2 테이퍼 베어링(1200T)에 지지되며 상기 제2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6.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1 운동장치 유닛(U1)에 연결되는 제1 하측 로드(1110), 상하 방향을 통과하는 제1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에 연결되는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 및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1 크랭크 연결대(1100C)에 연결되는 제1 상측 로드(1120)를 포함하는 제1 크랭크(1100);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2 운동장치 유닛(U2)에 연결되는 제2 하측 로드(1210), 상하 방향을 통과하는 제2 크랭크 연결대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에 연결되는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 및 수평 방향을 통과하는 제2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상기 제2 크랭크 연결대(1200C)에 연결되는 제2 상측 로드(1220)를 포함하는 제2 크랭크(1200);
    상기 제1 상측 로드 회전 중심선과 동일한 수평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상측 로드(1120)에 설치되는 제1 리니어 가이드(1130);
    제1 크랭크 모터(1160)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에 안착되는 제1 수평 이동체(1140);
    일측부에 상기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에 의한 안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이 형성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2 상측 로드(1220)에 고정 연결되는 안착몸체(1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7. 제6항에 있어서,
    일측단이 상기 제1 수평 이동체(1140)에 고정 연결되며, 타측단에 상기 제1 크랭크 모터(1160)가 고정 장착되는 제1 크랭크 모터 장착대(1150);
    상기 제1 크랭크 모터(116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판(1170);
    상기 제1 크랭크 모터(1160)의 작동시 상기 제1 수평 이동체(1140)가 상기 제1 리니어 가이드(1130)를 따라 안내되도록, 일측단이 상기 제1 회전판(117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1 상측 로드(11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회전바(11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8.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1 운동장치 유닛(U1)에 연결되는 제1 하측 로드(1110) 및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와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하측 로드(1110)에 연결되는 제1 상측 로드(1120)를 포함하는 제1 크랭크(1100);
    좌우 이동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측단이 체감용 운동기계의 제2 운동장치 유닛(U2)에 연결되는 제2 하측 로드(1210),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와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하측 로드(1210)에 연결되는 제2 상측 로드(1220)를 포함하는 제2 크랭크(1200);
    일측부에 상기 제1 상측 로드(112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이동체 안내봉(1310)이 형성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2 상측 로드(1220)에 고정 연결되는 안착몸체(1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KR1020100059521A 2010-03-31 2010-06-23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KR10122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521A KR101220900B1 (ko) 2010-06-23 2010-06-23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DE112010005434.7T DE112010005434B4 (de) 2010-03-31 2010-11-15 Roboter zur körperlichen Wahrnehmung, bei dem verschiedene 3D-Wellenformen mit einer Trajektorie einer atypischen Kurve erzeugbar sind
JP2013502444A JP5824508B2 (ja) 2010-03-31 2010-11-15 非定型曲線の軌跡を有する様々な3次元波形が生成される体感用ロボット
PCT/KR2010/008054 WO2011122753A1 (ko) 2010-03-31 2010-11-15 비정형 곡선의 궤적을 지닌 다양한 3차원 파형이 생성되는 체감용 로봇
US13/637,121 US8827822B2 (en) 2010-03-31 2010-11-15 Robot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that generates various 3D-waveforms of the non-fixed curved traject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521A KR101220900B1 (ko) 2010-06-23 2010-06-23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430A KR20110139430A (ko) 2011-12-29
KR101220900B1 true KR101220900B1 (ko) 2013-01-11

Family

ID=4550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521A KR101220900B1 (ko) 2010-03-31 2010-06-23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361A (ko) * 2014-05-29 2015-12-09 (주)젠아트 가변 하모닉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8990A1 (en) * 2003-01-17 2004-07-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Balance practicing machine
KR20040087463A (ko) * 2003-04-08 2004-10-14 정승주 승마용 운동기구
US20060073939A1 (en) 2004-10-01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ocking exercise apparatus
JP2006204946A (ja) 2006-03-27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バランス訓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8990A1 (en) * 2003-01-17 2004-07-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Balance practicing machine
KR20040087463A (ko) * 2003-04-08 2004-10-14 정승주 승마용 운동기구
US20060073939A1 (en) 2004-10-01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ocking exercise apparatus
JP2006204946A (ja) 2006-03-27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バランス訓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361A (ko) * 2014-05-29 2015-12-09 (주)젠아트 가변 하모닉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 장치
KR101577966B1 (ko) 2014-05-29 2015-12-16 (주)젠아트 가변 하모닉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430A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3265U (ja) 脚部運動フィットネス機器進行導引構造
CN205434907U (zh) 一种结合虚拟现实技术的自行车训练系统
CN1531670A (zh) 具有缆绳驱动的力反馈和四个接地致动器的接口装置
CN2892214Y (zh) 一种由人体姿态操作的娱乐机
CN200966872Y (zh) 滑板式运动装置
KR101220900B1 (ko) 체감용 운동기계의 크랭크 장치 셋
CN101739129B (zh) 一种具有抓持力反馈的四自由度柔索驱动人机交互装置
CN203258311U (zh) 一种防颈椎病的电脑显示器运动支架
WO2002102200A1 (en) Motion simulation pad
CN101168088B (zh) 腿部运动器材
CN204965812U (zh) 一种医疗培训二维仿真手术装置
CN104900124B (zh) 基于磁阻尼器的微创手术仿真装置
TW201446312A (zh) 旋轉運動器材
KR101028134B1 (ko) 비정형 곡선의 궤적을 지닌 다양한 3차원 파형이 생성되는 체감용 로봇
JP5824508B2 (ja) 非定型曲線の軌跡を有する様々な3次元波形が生成される体感用ロボット
CN202584530U (zh) 医疗仿真手术剪培训装置
KR101186948B1 (ko) 원운동 물체의 회전 반경이 변경 가능한 운동 장치
CN101344997A (zh) 具有缆绳驱动的力反馈和四个接地致动器的接口装置
CN202961784U (zh) 一种乒乓球教学辅助装置
CN213252909U (zh) 一种三自由度可滑行虚拟现实滑冰模拟器
CN108635733B (zh) 一种高安全性的全向运动机
CN203060665U (zh) 健身器脚踏的改进结构
CN202983053U (zh) 扭腰回荡机
CN202289317U (zh) 活氧踏步机
JP3136255U (ja) 腰部鍛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