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503B1 - 개선된 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503B1
KR100466503B1 KR10-2002-0024950A KR20020024950A KR100466503B1 KR 100466503 B1 KR100466503 B1 KR 100466503B1 KR 20020024950 A KR20020024950 A KR 20020024950A KR 100466503 B1 KR100466503 B1 KR 100466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mixed solution
supplement
less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229A (ko
Inventor
유재흥
육순학
김원
백두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가농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가농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가농바이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2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22Inorganic additives, e.g. minerals, trace elements; Chlorination or fluoridation of milk; Organic salts or complexes of metals other than natrium or kalium; Calcium enrichment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2200/00Spe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78Calci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는 액상 칼슘 보충용 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난용성의 천연 난각 칼슘에 분산제, 침전방지제 및 증류수를 첨가하여 균질하게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얻는 단계; 여기서 얻은 혼합용액을 0.3mm 이하의 비드를 갖는 비드-밀(Bead-Mill)에 투입하여 상기 혼합용액의 d50값이 0.2㎛ 이하로, d90값이 0.4㎛ 이하가 되도록 초미세로 습식분쇄하는 단계; 및 액상의 고분산성 칼슘 보충제의 칼슘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1,000×g∼10,000×g의 원심력으로 탈수단계를 수행하는 추가 공정을 도입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산성 칼슘 보충제는 우유, 두유, 요구르트, 쥬스 등과 같은 칼슘 강화용 식품음료에 적용시에 엉김 현상이나, 응집 또는 침전이 발생하지 않아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고, 인체가 필요로 하는 칼슘의 체내흡수를 최적화하여 영양부족 또는 편식으로 인하여 성장이 지연되는 청소년의 성장을 보조하는 영양식품, 골다공증의 위험이 있는 갱년기 여성의 보충식, 소화 흡수가 불량한 노인의 칼슘 보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aqueous solution of calcium supplementary additive with improved dispersion stability and calcium concentration}
본 발명은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는 액상의 고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좀더 구체적으로는 난용성의 천연 난각 칼슘 분체에 분산제, 침전방지제 및 증류수를 첨가하여 균질하게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얻는 단계; 여기서 얻은 혼합용액을 0.3mm 이하의 비드를 갖는 비드-밀(Bead-Mill)에 투입하여 상기 혼합용액의 d50값이 0.2㎛ 이하로, d90값이 0.4㎛ 이하가 되도록 초미세로 습식분쇄하는 단계; 및 액상의 고분산성 칼슘 보충제의 칼슘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1,000×g∼10,000×g의 원심력으로 탈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액상의 고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칼슘은 인체 내에서 5번째로 가장 풍부한 원소이다. 칼슘은 신경 및 근육 기능을 포함한 많은 생리 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칼슘의 영양성 및 대사성 결핍이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은 놀라운 것은 아니다. 신체 칼슘의 약 90%는 뼈 조직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칼슘 결핍에 의한 많은 부작용은 골격 시스템의 구조, 기능 및 통합성에서의 결함으로 명백히 드러난다.
칼슘은 인체에 없어서는 안되는 미네랄로서 골격과 치아의 유지 및 신경 흥분, 근육 수축, 혈액응고, 산소활성 등의 조절 작용을 한다. 칼슘이 인체 내에 부족할 때에는 여러 부작용이 생기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어린이의 성장 장애, 골다공증, 구루병, 골연화증, 치아의 약화 등이 있다.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미네랄인 칼슘은 음식을 통해 흡수하는 방법밖에 없는데, 현대인의 식이 습관으로서는 하루에 필요로 하는 칼슘량을 채우기 힘들어 칼슘 보충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으며, 특히 성장기의 어린이, 폐경기 이후의 여성, 노인 등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로서 대두되어져 왔다.
칼슘 공급원으로서 대표적인 식품으로는 우유, 우골, 어골, 난각, 굴껍질, 해조류 등이 있으며, 이중 우유는 다양한 영양소를 지닌 자연 식품으로서 특히 칼슘, 단백질, 비타민등이 풍부하여 매우 효과적이며 안전한 칼슘원으로서 애용되어져 왔다. 그리하여 우유에 보다 많은 칼슘을 강화 시켜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인체에 부족한 칼슘을 공급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어져 왔다.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 제 1989-700004호에는 주성분으로 시트르산과, 수산화칼슘, 탄산칼슘과 산화칼슘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칼슘 화합물로 구성되는 조성물로써 특히 물에 용해되어 용해성 칼슘 시트레이트를 함유하는 액상의 식이칼슘 보충제가 게시되어 있다.
예컨대, 우유에 있어서는 칼슘을 강화시킬 목적으로 유산칼슘, 염화칼슘등의 수용성 무기 또는 유기산 칼슘형태의 칼슘, 탄산칼슘 혹은 인산 칼슘 등의 수불용성 무기 형태의 칼슘이 첨가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용액의 무기 또는 유기산 칼슘형태의 칼슘은 우유중의 단백질의 안정성을 저해하기 쉽고, 일정량이상의 배합이 곤란하기 때문에 칼슘원료로서 다량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수불용성 무기형태의 칼슘은 수불용성이기 때문에 우유중의 단백질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일이 없으로 첨가량의 관점으로는 다량으로 사용하기가 가능하기는 하나, 그 무기형태의 칼슘은 전반적으로 비중이 2.7이상으로 높고, 우유중에 분산시킬 경우 단시간에 침전하기 때문에 식품으로서 의미관상 바람직하지 않으며, 결국 그 첨가량은 제한되어 다량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식품용도, 가령 우유 중에 사용되는 무기형태의 칼슘제 슬러리의 조제방법으로는 탄산 칼슘 제조공정에 있어서 건조분말화 공정을 행하지 않는 슬러리 형상 탄산칼슘 혹은 슬러리 형상 탄산칼슘에 HLB10이상의 친수성 유화제를 첨가한 것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탄산칼슘의 분산성을 개량하는 방법(특개소 64-69513호)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유청칼슘(Whey calcium),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등의 난용성 칼슘들은 우유속에서 침전되는 문제점이 있고, 젖산칼슘(Calcium lactate), 구연산칼슘(Calcium citrate), 초산칼슘(Calcium acetate)등의 수용성 칼슘들은 일정량 이상 첨가시 맛의 변화가 심할 뿐 아니라 우유내의 카제인 단백질과의 반응으로 인한 응집발생 및 열처리 과정에서의 점도의 증가 및 겔화로 인한 쓴맛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칼슘 강화를 위한 첨가제로서의 사용을 어렵게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우유 및 기타 여러 음료에 첨가하였을 때 응집, 침전이 발생하지 않고 풍미를 해치지 않는 천연의 칼슘원을 이용하여 분산성이 매우 우수한 칼슘 보충제 개발에 대한 연구를 광범위하게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천연의 난각에 식용성의 분산제 및 침전방지제를 첨가한 후 비드-밀로 초미세 입자로 분쇄하여 분산력을 강화시킨 고분산성 칼슘 보충제를 개발하였으며, 비드-밀을 이용한 초미세 입자 분쇄 공정시 점도 증가로 인한 제약 때문에 칼슘농도 15%이상의 고농도 액상 칼슘 보충제의 개발이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심분리 및 농축공정(탈수공정)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진행하여, 그 결과로서 고분산성 및 고농도의 칼슘 보충제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고분산성 및 고농도의 칼슘 보충제는 총중량 대비 칼슘농도 20%∼30중량%사이가 되게끔 제조할 수 있으며, 분말 형태로 제조된 칼슘 첨가물들이 가지는 우수한 칼슘농도와 액상형태로 제조된 칼슘 첨가물들이 가지는 우수한 용해도 및 분산도의 장점 모두를 가지는 효율적이며 우수한 칼슘 보충제를 제공한다.
실제로, 탄산칼슘입자는 그 식품중에 있어서의 분산상태가 매우 양호하지 않을 경우, 장기간의 액체식품보존 동안에 식품용기 저부로 침전해 버려, 우유, 쥬스류 액체식품을 음용함에 있어서 그 침전물이 음용자에게 불쾌감, 불청결감을 부여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칼슘의 강화목적으로 종래 기술로 조제된 탄산칼슘 등의 무기입자를 첨가하여 시판되고 있는 액체식품류는 그 무기입자의 식품 중에 있어서의 분산안정기간이 짧기 때문에 그 무기입자의 첨가량은 극소량에 한정될 필요가 있고, 또 일반소비자가 구입후 1~2일간에 반드시 식용에 사용될 만한 액체식품에 제한될 필요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한 유통경제성이 우수하고 또한 우유 등의 식품에의 첨가제로서 적합한 고분산성을 갖는 식품첨가용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및 그 칼슘 보충제를 첨가, 조제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목적은 고분산성 뿐만 아니라 분말 형태로 제조된 칼슘 첨가물들이 가지는 우수한 칼슘농도와 액상형태로 제조된 칼슘 첨가물들이 가지는 우수한 용해도 및 분산도의 장점 모두를 가지는 효율적이며 우수한 칼슘농도 20%이상의 고농도 칼슘 보충제를 얻기 위하여 추가로 탈수단계를 포함하는 식품첨가용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및 그 고농도 칼슘 보충제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칼슘 보충제는 우유, 두유, 요구르트, 쥬스 등과 같은 칼슘 강화용 식품음료에 적용시, 엉김 현상이나, 응집 또는 침전이 발생하지 않아 인체가 필요로 하는 칼슘의 체내흡수를 최적화하여 영양부족 또는 편식으로 인하여 성장이 지연되는 청소년의 성장을 보조하는 영양식품, 골다공증의 위험이 있는 갱년기 여성의 보충식, 소화 흡수가 불량한 노인의 칼슘 보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오랜기간동안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분쇄기를 거쳐 8㎛~15㎛크기로 분말화시킨 난각칼슘에 식용성의 분산제, 침전방지제 및 증류수를 균질하게 혼합한 후에, 0.3mm 이하의 비드(bead)를 사용하여 비드-밀(bead-mill)로 습식 분쇄함으로서 얻어 지는 액상의 고분산성 식품첨가용 칼슘 보충제를 개발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에서 얻어진 액상의 고분산성 칼슘 보충제의 칼슘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원심분리를 이용한 탈수단계를 공정을 추가로 도입함으로써 고분산성 및 고농도 식품첨가용 칼슘 보충제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의 고분산성 칼슘 보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우유, 우골, 어골, 난각, 굴껍질, 해조류 등의 천연 칼슘원을 분쇄기로 평균 입도크기가 8㎛∼15㎛가 되도록 1차 분쇄하고;
상기 분말상의 난각칼슘에 분산제, 침전방지제 및 증류수를 첨가하여 균질하게 혼합하여 얻은 혼합용액을 비드 크기가 0.3mm인 비드-밀(Bead-Mill)에 투입하여 상기 혼합용액의 d50값이 0.2㎛ 이하로, d90값이 0.4㎛ 이하가 되도록 초미세로 습식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고분산성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에서 제조된 액상의 고분산성 칼슘 보충제를 원심분리를 이용한 탈수공정을 추가함으로써 고분산성 및 고농도의 액상 칼슘 보충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혼합 용액은 분말상의 난각칼슘, 분산제, 침전방지제 및 적량의 증류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천연칼슘원으로는 우유, 우골, 어골, 난각, 굴껍질, 해조류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칼슘원으로서 가농바이오(주)에서 생산하는 분말상의 난각칼슘(상품명: 에그칼(eggCAL), 칼슘 함량 38%)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칼슘을 함유하는 모든 천연칼슘원료를 칼슘원으로서 사용가능하다. 천연 칼슘원을 분쇄기로 평균 입도크기가 8㎛∼15㎛가 되도록 1차 가공한 후에 분산제와 침전방지제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난각칼슘은 혼합용액의 총 중량%를 기준으로 10 내지 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0~50중량%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 및/또는 에멀젼화제로는 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또는 검 아라빅중에서 선택되며, 필요에 따라 1이상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가 있다. 혼합용액중의 분산제의 함량은 총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의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1~3%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혼합용액에 사용되는 침전방지제로는 분산제로는 폴리 솔베아트 또는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가 사용된다. 폴리솔베이트 또는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의 사용량은 혼합용액 총 중량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가능하며, 2∼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식분쇄를 위해 사용되는 물의 사용량은 혼합용액의 총 중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첨가하면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말화상의 난각칼슘을 0.3mm 이하의 비드(bead)를 이용하여 d50값을 0.2㎛ 이하로, d90값을 0.4㎛ 이하로 습식 분쇄하는 초미세화 공정에서는 독일 NETZSCH 사의 LabStar(LS1)를 사용하였고, 0.3mm의 비드(bead)는 또레이사(Toray Co., Ltd.)의 Torayceram Yttria beads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탈수단계는 원심분리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탈수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원심분리 공정은 1,000×g ∼ 10,000×g 의 g-force 값으로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000×g ∼ 4,000×g 사이의 g-force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콜로이드 입자의 크기는 1~100nm 정도이며 이 범위내에 있을 때 용매 분자들의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에 의해 콜로이드 입자들이 떠있게 되어 분산이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난용성의 물질인 난각칼슘도 이와 비슷한 수준까지 분쇄한다면 우유나 기타 음료내에서 콜로이드와 유사한 분산능을 보여 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1㎛ 이하로 분쇄된 난각칼슘은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에 의해 입자간의 응집(aggregation) 이 일어나서 큰 덩어리의 응집체가 되어 분쇄한 결과를 다시 원점으로 돌리게 되므로 분산능을 저해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가 난각칼슘의 입도가 d50이 0.2㎛ 이하, d90가 0.4㎛ 이하가 되게 분쇄하였을 때 응집이 일어나 큰 덩어리의 응집체를 형성함으로서 분산능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쇄 입자 표면을 활성화시키는 계면활성제적 성질도 가지는 침전 방지제 및 분산제를 도입하게 되었다. 이렇게 함으로서 난각칼슘의 입도가 d50이 0.2㎛ 이하, d90가 0.4㎛ 이하가 되게 분쇄한 후 응집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분쇄 후의 입자크기를 그대로 유지시킴으로서 분산능을 현저히 증진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천연 칼슘원 및 분산제, 침전방지제는 모두 식품용 등급 이상을 사용하였으며 식품 첨가물공전상의 허가된 재료만을 이용하였다.
이하 각종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분산제로서 메틸셀룰로오스 25g을 증류수 2,900g에 교반시키면서 30분간 용해시켜 투명한 용액을 얻었다. 여기에 침전방지제인 폴리솔베이트(상표명: SOLFA-T200) 30g을 첨가하여 5분간 균질하게 교반한 후, 난각칼슘[가농바이오사, 상품명: 에그칼(eggCAL)] 1,500g을 첨가하고 20분간 교반하여 균질하게 액상의 혼합용액을 얻었다.
상기 혼합 용액을 0.3 mm 비드(bead)를 이용하여 LabStar(LS1)에서 습식 분쇄 하였다. 매 30분 마다 입도를 측정하며 2시간 동안 습식 분쇄를 수행하여 d50이 0.19이고, d90가 0.39인 액상의 고분산성 칼슘 혼합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2]
검 아라빅 150g을 증류수 1,500g에 교반시키면서 30분간 용해시켜 투명한 용액을 얻었다. 여기에 폴리솔베이트(상표명: SOLFA-T200) 24g을 첨가하여 5분간 교반한 후 난각칼슘(에그칼) 800g을 첨가하고 20분간 교반하여 균질하게 혼합된 액상의 고분산성 혼합용액을 얻었다.
상기 혼합 용액을 0.3 mm 비드(bead)를 이용하여 LabStar(LS1)에서 습식 분쇄하였다. 매 30분마다 입도를 측정하며 2시간 동안 습식 분쇄를 수행하여 d50이 0.19이고, d90가 0.39 인 액상의 고분산성 칼슘 혼합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3]
젤라틴 75g을 증류수 2000g에 교반을 시키면서 30분간 용해 시켜 갈색빛을 띄는 용액을 얻었다. 여기에 SOLFA-T200 24g을 첨가하여 5분간 교반한 후 난각칼슘(에그칼) 800g을 첨가하고 20분간 교반하여 균질하게 혼합된 액상의 고분산성 칼슘 혼합용액을 얻었다.
상기 혼합 용액을 0.3 mm 비드(bead)를 이용하여 LabStar(LS1)에서 습식분쇄 하였다. 매 30분 마다 입도를 측정하였으며, 2시간 동안 습식 분쇄를 수행하여 d50이 0.19이고, d99가 0.38인 액상 상태의 칼슘 혼합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4]
검 아라빅 120g을 증류수 1,500g에 교반시키면서 30분간 용해시켜 투명한 용액을 얻었다. 여기에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24g을 첨가하여 5분간 교반한 후 난각칼슘(에그칼) 800g을 첨가하고 20분간 교반하여 균질하게 혼합된 액상의 혼합용액을 얻었다.
상기 혼합 용액을 0.3 mm 비드(bead)를 이용하여 LabStar(LS1)에서 습식 분쇄하였다. 매 30분마다 입도를 측정하며 2시간 동안 습식 분쇄를 수행하여 d50이 0.17이고, d90가 0.35 인 액상의 고분산성 칼슘 혼합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5]
검 아리빅 143g을 증류수 2860g에 교반시키면서 30분간 용해시켜 투명한 용액을 얻었다. 여기에 여기에 폴리솔베이트(상표명: SOLFA-T200) 47.5g을 첨가하여 5분간 교반한 후 난각칼슘(상품명: 에그칼) 950g을 첨가하고 20분간 교반하여 균질하게 혼합된 액상의 칼슘 혼합용액을 얻었다.
상기 혼합 용액을 0.3 mm 비드(bead)를 이용하여 LabStar(LS1)에서 습식분쇄 하였다. 매 30분 마다 입도를 측정하였으며, 2시간 동안 습식 분쇄를 수행하여 d50이 0.16이고, d99가 0.35인 액상의 고분산성 칼슘 혼합 용액을 얻었다.
상기 액상의 고분산성 칼슘 혼합용액을 고속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100×g 로 원심분리하여 머드팩 형태의 칼슘 함량 26%의 고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를 얻었다.
[적용예 1]
상기 실시예 2의 칼슘 혼합용액 1.0g(칼슘 함량 125mg)을 125㎖의 증류수에 첨가해서 분산능을 측정하였다.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 성상을 관찰한 결과 침전이 일어나지 않는 우수한 분산능이 시각적으로 관찰되었다.
[적용예 2]
상기 실시예 2의 칼슘 혼합용액 1.0g(칼슘 함량 125mg)을 125㎖의 시유(서울우유)에 첨가 하였다. 1분간 교반한 후 성상을 관찰하고 맛의 변화를 검사하였다.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 성상을 관찰한 결과 우수한 분산능을 보이며 맛의 변화도 거의 감지할 수 없었다.
[적용예 3]
상기 적용예 2의 열처리시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100℃에서 1분간 가열한 후 성상을 관찰하고 맛의 변화를 검사하였다.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한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외관상 차이가 없었으며 맛의 변화도 거의 감지할 수 없었다.
[적용예 4]
상기 실시예 5의 고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 1.0g(칼슘 함량 260mg)을 260㎖의 증류수에 첨가해서 분산능을 측정하였다.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 성상을 관찰한 결과 침전이 일어나지 않는 우수한 분산능이 시각적으로 관찰되었다.
[적용예 5]
상기 실시예 5의 고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저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4℃에서 냉장 보관한 후 30일간 입도 변화를 측정하였고, 입도의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칼슘 보충제는 우유, 두유, 요큐르트, 쥬스 등과 같은 칼슘 강화용 식품음료에 적용 시 맛, 냄새, 색깔의 변화가 없고, 엉김현상이나, 응집 또는 침전이 발생하지 않는 고분산성 및 고농도 액상 칼슘 보충제를 제공함으로써, 인체가 필요로 하는 칼슘의 체내흡수를 최적화하여 영양부족 또는 편식으로 인하여 성장이 지연되는 청소년의 성장을 보조하는 영양식품, 골다공증의 위험이 있는 갱년기 여성의 보충식, 소화 흡수가 불량한 노인의 칼슘 보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액상의 칼슘 보충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평균 입도크기가 8㎛∼15㎛인 분말상의 난각칼슘에 분산제, 침전방지제 및 증류수를 첨가하여 균질하게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얻는 단계;
    상기에서 얻은 혼합용액을 0.3mm 이하의 비드를 갖는 비드-밀(Bead-Mill)에 투입하여 상기 혼합용액의 d50값이 0.2㎛ 이하로, d90값이 0.4㎛ 이하가 되도록 초미세로 습식분쇄하는 단계;
    1,000×g∼10,000×g의 원심력으로 탈수(농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고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은 10.0~70.0 중량%의 난각칼슘, 0.1~10.0 중량%의 분산제, 0.1~10.0 중량%의 침전방지제에 총중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여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고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또는 검 아라빅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고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방지제는 폴리솔베이트 또는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고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서 얻은 액상의 고분산성 칼슘 보충제를 우유, 두유, 요구르트, 쥬스 등에 첨가하여서 얻어진 식품 음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농축) 공정으로부터 제조되는 고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칼슘 함량은 20 내지 30중량%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의 고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KR10-2002-0024950A 2001-09-03 2002-05-07 개선된 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KR100466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782A KR20020023637A (ko) 2001-09-03 2001-09-03 개선된 분산성을 가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KR1020010053782 2001-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229A KR20030020229A (ko) 2003-03-08
KR100466503B1 true KR100466503B1 (ko) 2005-01-15

Family

ID=197138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782A KR20020023637A (ko) 2001-09-03 2001-09-03 개선된 분산성을 가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KR10-2002-0024950A KR100466503B1 (ko) 2001-09-03 2002-05-07 개선된 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782A KR20020023637A (ko) 2001-09-03 2001-09-03 개선된 분산성을 가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02363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238A (ko) * 1992-05-14 1994-03-21 마루오 기헤에 고분산성을 갖는 식품첨가용 칼슘제의 제조방법 및 그 칼슘제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9980079267A (ko) * 1996-06-24 1998-11-25 미우라아끼라 수불용성 칼슘염용 분산제 및 이 분산제를 함유하는 음료
JPH11276132A (ja) * 1998-03-31 1999-10-12 Japan Tobacco Inc カルシウム強化乳入り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83622A (ja) * 1998-07-16 2000-03-28 Takehara Kagaku Kogyo Kk 食品用炭酸カルシウムと炭酸マグネシウムを含む混合エマルジ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238A (ko) * 1992-05-14 1994-03-21 마루오 기헤에 고분산성을 갖는 식품첨가용 칼슘제의 제조방법 및 그 칼슘제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19980079267A (ko) * 1996-06-24 1998-11-25 미우라아끼라 수불용성 칼슘염용 분산제 및 이 분산제를 함유하는 음료
JPH11276132A (ja) * 1998-03-31 1999-10-12 Japan Tobacco Inc カルシウム強化乳入り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83622A (ja) * 1998-07-16 2000-03-28 Takehara Kagaku Kogyo Kk 食品用炭酸カルシウムと炭酸マグネシウムを含む混合エマルジ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637A (ko) 2002-03-29
KR20030020229A (ko) 200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2113B2 (ja) 食品添加剤スラリー組成物及びパウダー組成物、並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JP4484992B2 (ja) 食品添加剤スラリー組成物及びパウダー組成物、並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US5766330A (en) Method of suspending insoluble calcium in protein composition
JP6320355B2 (ja) 易吸収性カルシウム液、易吸収性カルシウム粉末、易吸収性カルシウム含有飲料
JP4673235B2 (ja) 鉄強化食品用組成物
KR20040045443A (ko) 식품첨가제 슬러리 조성물 및 파우더 조성물, 및 이것들을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JP3189901B2 (ja) 高分散性を有する食品添加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JP2012100615A (ja) 鉄強化乳飲料用組成物
KR100466503B1 (ko) 개선된 분산성 및 고농도 칼슘 보충제의 제조방법
JP4833176B2 (ja) 鉄強化飲食品用組成物
KR20040027988A (ko) 식품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0127646B1 (ko) 식이섬유식품 및 그 제조방법
JP4539520B2 (ja) 飲料の製造方法
KR101023637B1 (ko) 미네랄 조성물
KR100698897B1 (ko) 식품첨가용 칼슘제 슬러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3247173B2 (ja) 高分散性を有する食品添加用カルシウム剤パウダーの製造方法、及び該パウダー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JP4287544B2 (ja) ドロマイト微粒子分散飲料
JP2003235511A (ja) 食品添加用カルシウム剤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食品添加用カルシウム剤組成物
KR20150142724A (ko)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100839211B1 (ko) 고분산성 철분제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084524B2 (ja) 飲料もしくはペースト状食品、及び懸濁液
KR100306845B1 (ko) 액상 영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1493454A1 (en) Biomaterials for nerve reconstruc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271172B2 (ja) マグネシウム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CN117770320A (zh) Dha羊奶奶酪棒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