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845B1 - 액상 영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상 영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845B1
KR100306845B1 KR1019990008169A KR19990008169A KR100306845B1 KR 100306845 B1 KR100306845 B1 KR 100306845B1 KR 1019990008169 A KR1019990008169 A KR 1019990008169A KR 19990008169 A KR19990008169 A KR 19990008169A KR 100306845 B1 KR100306845 B1 KR 100306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ate
protein
calcium
solubility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102A (ko
Inventor
신제호
서종교
이석기
심재헌
김상교
백영진
Original Assignee
이은선
주식회사 한국야쿠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선, 주식회사 한국야쿠르트 filed Critical 이은선
Priority to KR101999000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845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영양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백질급원의 용해성을 향상시키고 단백질의 응고를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각 성분의 흡수, 특히 칼슘의 흡수를 극대화한 액상 영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 (dipotassiumphosphate)와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sodium hexametaphosphate)로 이루어진 복합인산염의 첨가량과 구성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조성물의 pH를 조정하고 단백질급원의 용해를 용이하게 하며 단백질의 응고를 억제하여 제품에 안정성을 부여하며, 또한 칼슘원으로서의 젖산칼슘과 인,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을 제품의 안정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조건으로 조성함으로써 칼슘의 체내흡수를 최적화한 액상 영양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영양조성물은 각종 영양소를 균형있게 공급함은 물론 칼슘의 체내흡수를 최적화하여 영양부족 또는 편식으로 인하여 성장이 지연되는 청소년의 성장을 보조하는 영양식품, 골다공증의 위험이 있는 갱년기 여성의 보충식, 소화 흡수가 불량한 노인의 영양식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상 영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luid nutritive composition and its method of preparation}
본 발명은 액상 영양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영양소를 균형있게 공급하는 것은 물론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복합인산염을 적절히 첨가함으로써 단백질급원의 용해를 용이하게 하고 단백질의 응고를 억제하여 각 성분간의 안정성을 최적화하고 각 성분의 흡수, 특히 칼슘의 체내흡수를 극대화한 액상 영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업적인 환자용 유동식에 있어서는 카제인 또는 분리대두단백 등의단백질원과 옥수수유 등의 유지류, 그리고 말토덱스트린, 정백당 등의 탄수화물을 비롯한 3대 영양소에 비타민과 미네랄성분을 첨가하여 유동식을 제조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출원된 것으로는 환자용 유동영양식의 제조방법(한국특허출원 94-035893), 영양보급용 조성물(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 3-94655호)과 영양 액제 조성물(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 3-103154호) 등이 있고, 공고된 특허로는 식인병환자를 위한 영양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한국 특허공고 97-5903)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영양조성물들은 특별한 기능보다는 주로 영양의 균형있는 공급에만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미네랄과 단백질이 공존하는 유동식에 있어서는 제조시 단백질 급원의 수용성이 낮아 정제수에 단백질급원 (분리대두단백, 카제인)을 용해시키기 어렵다는 제조공정상의 문제점이 있고 또한 살균과정을 거치면서 단백질이 다시 응고되어 제품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체내 칼슘흡수와 관련한 종래 연구에 의하면, 젖산칼슘은 일반 유동 영양식에서 보충하는 칼슘급원(탄산칼슘, 인산칼슘, 카제인칼슘)과 달리 수용성이 우수하며, 체내 대퇴부 침착률에 있어서도 젖산칼슘을 100으로 할 때, 탄산칼슘 89, 제2인산칼슘 56, 피틴산칼슘 50, 옥살산칼슘 11 등으로 나타나므로 단연 우수한 소재임이 알려져있다(식품첨가물(食品添加物), 1989, 도서출판 밝음, 지성규, p.87).
또한, 칼슘의 체내 흡수는 주로 소장에서의 능동수송에 의하므로 칼슘이 효과적으로 체내에 흡수되려면 장관내에서 가용상태로 존재하여야하며, 만일, 장내의pH가 알칼리성으로 변하면 칼슘은 침전하기 쉬운 상태가 되어 이용성이 낮아질 뿐만아니라 이러한 불용성 칼슘염의 형성은 영양가의 저하와 요로결석을 유발할 위험성을 높인다는 것이 알려져있다(Sato, T., H.Naito. 1985. Kagaku to Seibutsu. 23:418-422; Watanabe, M., S.Arai. 1985. Cited from iwasaki. 1991. Genetic engineering and fermented milk-challenges for the health science. In function of fermented milks. Edited by Nakazawa, Y. And Hosono. Elsevior Applied Science. London.). 그러나, 우유중의 카제인에서 분리된 씨피피(cpp : casein phosphate peptide)는 소장에서 칼슘을 가용화시키는 리간드(ligand)의 역할을 함으로써 칼슘의 체내흡수를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와 관련하여 Sato와 Naito는 (Sato T., T. Noguchi, and H. Naito. Abstr. Annunal Meeting of the Japanese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p.158, 1984.) bovine 베타-카제인 (β-casein)으로부터 얻어진 씨피피가 칼슘과 결합하여 장 점막세포로의 흡수를 촉진하며 칼슘흡수 및 대퇴부의 칼슘 축적을 촉진시켰다고 보고하였다. 즉, β-casein중 인(P)과 결합한 세린(serine)이 많이 존재하는 영역은 소화효소에 의해 쉽게 가수분해되지 않으며, 소장내의 칼슘침전을 억제시켜 궁극적으로 가용성 칼슘함량을 증가시켜 회장에서의 칼슘흡수를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체내 칼슘흡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미네랄 조성중 특히 칼슘과 인 및 마그네슘의 함량에 대한 연구보고가 있다(한국영양학회지, vol.23, 1990, 설민형, 이종숙, 김을상, 서울지역 수유부의 모유의 수유기간별 칼슘, 인, 마그네슘 함량에 관한 연구, p.115-123; 한국영양학회지, vol.24, 1991, 윤태헌, 태원찬, 이정선, 수유기간의 경과에 따른 한국인의 인유의 칼슘 및 인 함량의 변화, p.206-218; 한국영양학회지, vol.25, 1992, 안홍석, 최미경, 표영희, 수유기간별 모유의 주요 무기질 및 미량원소 함량변화, p.123-131; Avioli LV. 1988. Calcium and phosphorus. In Shils ME, Young VR, eds.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8th ed. Lea & Febiger. p.142-158; National research Council, Food and Nutrition board. 1989.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10th edition.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p.174-194). 이 보고서에 의하면 생리적으로 칼슘의 체내흡수가 극대화될 수 있는 조성비는 칼슘과 인의 비율이 2.3~1.1:1, 칼슘과 마그네슘의 비율이 4:1로 알려졌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영양조성물 제조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단백질급원의 용해성을 향상시키고 단백질 응고를 방지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단백질을 포함하는 각종 영양소를 균형있게 공급하는 것은 물론 각 성분간의 안정성을 최적화하여 각 성분의 흡수, 특히 칼슘의 흡수를 극대화하여 칼슘의 균형있는 공급이 특히 필요한 청소년, 골다공증의 위험이 있는 갱년기의 여성, 노인 등의 영양식 또는 보조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는 액상 영양조성물을 제공하고자 본 연구에 착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단백질급원의 용해성을 향상시키고 단백질의 응고를 방지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는 액상 영양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네랄과 단백질이 공존하는 유동식에 있어서 각 성분간의 안정성을 최적화하도록 조성함으로써 각 성분의 흡수, 특히 칼슘의 흡수를 극대화한 액상 영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복합인산염의 첨가에 따른 단백질응고물 형성정도를 침전량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 (dipotassiumphosphate)와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sodium hexametaphosphate) 로 이루어진 복합인산염의 첨가량과 구성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조성물의 pH를 조정하고 단백질급원의 용해를 용이하게 하며 단백질의 응고를 억제하여 조성물에 최적의 안정성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네랄과 단백질이 공존하는 액상 영양조성물에 있어서, 칼슘급원으로 수용성이 우수한 젖산칼슘을 사용하고, 씨피피를 칼슘과 전량 반응할 수 있는 양으로 첨가하고, 전체적인 미네랄 조성에서 칼슘과 인의 비율을 2.3∼1:1로 조정하고 칼슘과 마그네슘의 비를 4:1로 조정하여 칼슘흡수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조성물을 구성하고; 조성물의 전체적인 pH를 신선한 우유의 pH인 6.5∼6.7에 근접하도록 제조하고; 여기에 인산염을 복합적으로(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와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 첨가함으로써 조성물의 안정성을 최적화하여 각 성분의 흡수 특히 칼슘의 흡수를 극대화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조성물에 있어서 pH를 6.5~6.7에 근접하도록 제조하는 것은 지방의 유화성이 뛰어나고 각종 염류의 침전이 없으며 5대 영양소를 고루 보유하고 있는 완전식품인 신선한 우유의 pH에 근접하도록 함으로써 조성물에 안정성을 부여하고 특히 조성물에 포함된 우유 유래 카제인 및 시피피 등이 최대한 원상태로 보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크게 단백질급원을 용해시키는 공정; 탄수화물급원과 지방급원을 용해시키는 공정; 비타민과 미네랄급원을 용해시키는 공정 및 기타 균질, 살균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공정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정 Ⅰ
정제수에 복합인산염(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와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를 혼합한 것)을 각각 0.001∼5중량% 용해시킨 후, 40~70℃로 가온하고, 분리대두단백을 교반하여 용해시킨 다음, 온도를 60~80℃로 유지하고 카제인나트륨을 상기 혼합액에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배합 초기에 첨가하는 복합인산염은 단백질급원의 용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단백질급원의 용해성은 복합인산염의 전체적인 첨가량,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와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의 구성비 및 그에 따른 pH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며, 또한 용해온도와 첨가되는 단백질급원의 종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분리대두단백과 카제인나트륨을 정제수에 용해시키는 경우, 복합인산염의 전체적인 함량은 0.01∼5중량%가 바람직하고, 복합인산염중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75중량% 이고, pH 7.9∼8.3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용해온도는 분리대두단백은 40~70℃, 카제인나트륨은 60~8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합인산염은 조성물의 제조후 단백질의 응고를 막기 위해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와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의 구성비가 1:1이고 각각의 첨가량은 0.01∼0.5 중량%의 범위에서 제품내 유리 2가 양이온을 완전히 킬레이팅할 수 있는 양이 바람직하다.
공정 Ⅱ
탄수화물급원으로서 당을 상기 공정 Ⅰ의 혼합액에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별도의 용기에 옥수수유와 유화제를 혼합하고 혼합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50~70℃로 가온한 후 이를 상기 혼합액에 첨가하여 교반, 유화시킨다.
당으로는 정백당, 포도당, 말토덱스트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안정제로는 카라기난(Carrageenan), 구아검(Guagum) 등과 같은 통상의 안정제를 1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유화제로는 모노글리세라이드, 다이글리세라이드 등을 포함하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통상의 유화제를 1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정 Ⅲ
상기 공정 Ⅱ의 혼합액에 지용성 비타민(비타민A 아세테이트, 비타민D3등)을 용해시킨 후, 정제수에 예비 용해시킨 수용성 비타민혼합물(비타민E,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비타민B12, 비타민C, 엽산, 나이아신 등을 포함)을 상기 혼합액에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정제수에 완전히 용해시킨 수용성이 우수한 복합미네랄(젖산철, 젖산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을 상기 혼합액에 용해시킨 후, 산화아연를 용해시키고 정제수 잔부를 가하여 조성물 전체의 함량을 조절한다.
공정 Ⅳ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와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를 혼합 및/또는 각각 사용하여 상기 공정 Ⅲ에서 얻은 조성물의 pH를 6.5-6.7로 조정한 후, 균질하고, 살균 열처리한 후, 25∼30℃로 냉각시켜 목적하는 조성물을 얻는다.
배합 후기에 복합인산염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단백질 응고가 일어나지 않는 안정한 pH 범위에 들도록 하는데, 인산염(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의 첨가량이 0.06중량% 이상일 때 단백질의 응고는 극소화되고, 제품은 어느정도 안정성을 나타내게 된다. 최종제품내 칼슘과 인의 바람직한 비율인 2.3:1 내지 1:1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수준을 고려하면 바람직한 복합인산염의 첨가량은 0.03∼0.15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중량%이다. 본 공정에서 살균처리는 통상 105∼120℃에서 5∼15분간 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제조되는 본 조성물의 바람직한 조성을 예시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그러나, 본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식이 목적, 대상 및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각 성분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고 조성물 전체의 안정성과 유효성분의 체내흡수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 구성성분의 함량은 조정될 수 있다. 즉, 당뇨환자나 열량을 제한하여야 하는 환자에의 투여를 목적으로 할 경우 정백당과 같은 당성분은 조성물에서 제외되거나 극히 제한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조성물에는 식이 대상의 기호에 따라 향미제, 식용색소 등의 첨가제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성 분 함 량(중량%)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 0.001~5
소디움포스페이트 0.001~5
분리대두단백 0.1~5
카제인나트륨 0.1~5
정백당 0.1~20
안정제(구아검(Guagum), 카라기난(Carrageenan) 등 통상의 안정제로부터 1이상 선택된 것) 0.01~5
지방 0.01~5
유화제(모노글리세라이드, 다이글리세라이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등 통상의 유화제로부터 1이상 선택된 것) 0.01~1
말토덱스트린 0.1~50
씨피피 0.01~5
비타민A 아세테이트 0.0001~0.05
비타민D3 0.0001~0.05
비타민E 0.0001~0.05
비타민B1 0.0001~0.05
비타민B2 0.0001~0.05
비타민B6 0.0001~0.05
비타민B12 0.0001~0.05
엽산 0.0001~0.05
나이아신 0.0001~0.05
젖산철 0.0001~0.05
젖산칼슘 0.01~5
염화마그네슘 0.01~1
염화칼륨 0.01~1
산화아연 0.0001~0.5
정제수 잔부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조예
(ⅰ) 정제수에 복합인산염(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와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를 혼합한 것) 0.1g을 용해시킨 후, 온도를 60℃로 상승시켜 분리대두단백 2.0g을 교반하면서 용해시키고, 온도를 70℃로 유지하고 카제인나트륨 상기 혼합액에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ⅱ) 정백당 3.4g에 안정제(구아검) 0.1g을 예비혼합한 것을 상기 (ⅰ)의 혼합액에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별도의 용기에 옥수수유 2.10g, 중쇄중성지방분말 0.84g, 모노글리세라이드 0.04g을 혼합하고 혼합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60℃로 가온한 후, 예비 배합한 말토덱스트린 12g, 씨피피 0.02g을 상기 혼합액에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이를 상기 유화제를 함유한 옥수수유 혼합액에 첨가하여 교반, 유화시켰다.
(ⅲ) 상기 (ⅱ)에서 얻은 혼합액에 비타민A 아세테이트 0.00087g, 비타민D30.00054g, 비타민E 0.00294g을 용해시킨 후, 정제수에 비타민B10.00024g, 비타민B20.00024g 비타민B60.00023g 비타민B120.00003g, 비타민C 0.01398g, 엽산 0.00054g, 나이아신 0.00240g을 예비 용해시킨 수용성비타민 혼합물을 상기 혼합액에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별도로 정제수에 복합인산염 0.01g, 산화아연 0.0008g, 염화마그네슘 0.0600g, 젖산철 0.0032g, 젖산칼슘 0.23600g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이를 상기 혼합액에 용해시키고, 정제수 잔부를 가하여 조성물 전체를 100g으로 하였다.
(ⅳ)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혼합액의 pH를 6.5로 조정한 후, 혼합물을 균질하고, 120℃에서 5분간 고온살균한 다음, 30℃로 냉각시켜 액상 영양조성물을 만들었다.
실시예 2
단백질급원의 용해온도 선정시험
단백질급원의 용해에 있어서 최적의 온도를 선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정제수 1000㎖, 분리대두단백 20g, 카제인나트륨 20g을 사용하였으며 교반조건은 300rpm이었다. 정제수 온도는 20~80℃ 범위에서 10℃간격으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이때 동일한 시료를 두개씩 제조하여 용해성 관찰과 흡광도 측정에 각각 사용하였다.
단백질급원으로서 분리대두단백을 정제수에 용해시키는 경우, 카제인 나트륨을 정제수에 용해시키는 경우, 분리대두단백과 카제인나트륨을 연속으로 용 해시키는 경우(분리대두단백을 정제수에 투입한 후 3분 경과 후에 카제인나트륨을 투입)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백질급원의 용해순서에 있어서 분리대두단백을 우선한 것은 분리대두단백이 카제인나트륨보다 쉽게 용해하기 때문이었다.
흡광도는 시료를 seive(600um, standard testing seive No.30)로 30초간 여과한 후 20℃로 조정한 다음, 엄 등(식품과학회지 Vol 29, No 4, 1997, 엄대현, 장학길, 김우정, No4, pp.730~736.)의 방법에 따라 광전비색계(Spectrophotometer, BECKMAN. U.S.A)를 사용하여 600nm의 조건에서 측정한 후 비교하였다. 이때, 각 여액은 정제수를 사용하여 적절한 농도로 희석한 후(분리대두 단백 수용액은 5배 희석, 카제인나트륨 수용액은 여액 그대로, 분리대두단백과 카제인나트륨혼합 수용액은 10배 희석)사용하였다. 여액의 희석배수 및 용해성관찰과 흡광도 측정 시간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단백질 급원 용해성 측정 시간
희석배수 용해성관찰 흡광도측정 비 고
5 4분 3분 측정시간은 정제수에 단백질급원을 투입한 후부터임
1 5분 4분
10 5분 4분
가:분리대두단백의 용해실험
나:카제인나트륨의 용해실험
다:분리대두단백과 카제인나트륨 혼합 용해실험
실험결과는 표 3, 표 4 및 표 5와 같다.
분리대두단백은 50℃에서 투입후 3분이내에 불용성입자가 관측되지 않았고 흡광도는 50℃이상에서 더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카제인나트륨은 70℃에서 투입후 4분이내에 불용성입자가 관측되지 않았고 흡광도는 70℃이상에서 더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분리대두단백과 카제인나트륨 혼합은 70℃에서 투입후 4분이내에 불용성입자가 관측되지 않았고 흡광도는 70℃이상에서 더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펩타이드가 물에 용해됨에 있어서 아미노산 상호간에 강하게 작용하는 양전하와 음전하의 상호 이온격자를 해리시키는데 큰 열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이론과 부합되는 결과이다(Albert L. Lehninger. 1988. Principle of biochemistry. Worth publishers. INC.).
따라서 용해시 적정온도는 분리대두단백은 50~70℃, 카제인 나트륨은 70~80℃, 분리대두단백과 카제인나트륨 혼합의 경우에는 70℃임을 알 수 있었다.
온도별 분리대두단백의 용해성 관찰 및 흡광도
20℃ 30℃ 40℃ 50℃ 60℃ 70℃ 80℃
분리대두단백 용해성 - - ± + + + +
흡광도(O.D) 0.7666 0.7736 0.7839 0.8115 0.8101 0.8153 0.8135
+:잘 용해됨(투입후 3분이내 불용성(不溶性)입자가 관측되지 아니함)
±:보통임(투입후 4분이내에 불용성(不溶性)입자가 관측되지 아니함)
-:용해성이 떨어짐(투입후 4분 경과후에도 불용성(不溶性)입자가 관측됨)
온도별 카제인나트륨의 용해성 관찰 및 흡광도
20℃ 30℃ 40℃ 50℃ 60℃ 70℃ 80℃
카제인나트륨 용해성 - - - - ± + +
흡광도(O.D) 0.1670 0.1678 0.1685 0.1800 0.2210 0.3266 0.3267
+:잘 용해됨(투입후 4분이내 불용성(不溶性)입자가 관측되지 아니함)
±:보통임(투입후 5분이내에 불용성(不溶性)입자가 관측되지 아니함)
-:용해성이 떨어짐(투입후 5분 경과후에도 불용성(不溶性)입자가 관측됨)
온도별 분리대두단백과 카제인나트륨 혼합의 용해성관찰 및 흡광도
20℃ 30℃ 40℃ 50℃ 60℃ 70℃ 80℃
분리대두단백 +카제인나트륨 용해성 - - - + ± + +
흡광도(O.D) 0.5600 0.5599 0.5664 0.5756 0.5875 0.6642 0.6553
+:잘 용해됨(투입후 4분이내 불용성(不溶性)입자가 관측되지 아니함)
±:보통임(투입후 5분이내에 불용성(不溶性)입자가 관측되지 아니함)
-:용해성이 떨어짐(투입후 5분 경과후에도 불용성(不溶性)입자가 관측됨)
실시예 3
복합인산염의 혼합비 선정시험
단백질급원의 용해를 최적화하기 위해 초기 배합시에 첨가되는 복합인산염의 적정한 혼합비를 선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일반적으로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는 pH조절, 단백질 분산 등의 효과를 나타내고 정제수에 용해하면 pH9.0 상태를 유지하며,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는 pH완충제, 킬레이팅작용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있으며 정제수에 용해하면 pH7.0상태를 유지한다(식품첨가물, 1989, 도서출판 밝음, 지성규, p.246,503.).
단백질의 용해성은 구성 아미노산의 조성, 단백질의 구조, 분자량, pH, 온도, 염의 존재(종류 및 농도에 따라 다름)등 상호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대부분의 단백질은 등전점(Isoelectric point)부근에서 용해성이 최소화되지만 염의 첨가에 의하여 등전점에서도 용해성을 보이기도 한다(Fox, P. F. and Codon, J. J. 1982. Food proteins. Applied science publishers, LTD. p.81). 이는 물에서는 글로불린 입자가 극성기 상호간의 작용으로 용해성이 떨어지지만 염이 첨가되면 분자간의 극성이 이온에 의하여 마스킹(masking)되고 글로불린의 용해는 보다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백질의 최적의 용해상태를 탐색하기 위하여 몇가지 조건을 고정시킬 필요성이 있었으며, 이에따라 복합인산염의 첨가농도는 일반적인 사용량의 범위내에서(식품첨가물(食品添加物), 1989, 도서출팜 밝음. 지성규, p.258) 3가지로 조정(0.09중량%(0.9g), 0.12중량%(1.2g), 0.15중량%(1.5g))한 후 구성하는 인산염의 혼합비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첨가하였다. 즉, 정제수를 70℃로 유지하면서 1000㎖의 용액내에 복합인산염의 농도가 0.09~0.15중량%로 되도록 첨가한 후, 각 단백질급원의 용해성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온도조건, 복합인산염 첨가 및 흡광도와 용해성 측정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조건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흡광도 및 용해성 측정시간 조건은 표 6과 같다.
희석배수 용해성관찰 흡광도측정 비고
5 3분 2분 측정시간은 정제수에 단백질급원을 투입한 직후부터임
1 4분 3분
10 4분 3분
가:분리대두단백의 용해실험
나:카제인나트륨의 용해실험
다:분리대두단백과 카제인나트륨 혼합 용해실험
선행되는 실험으로서 복합인산염이 흡광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복합인산염은 일반적으로 정제수에 용해될 경우 완전 용해되어 600㎚의 파장에서는 흡광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예상되었다. 공실험(BLANK)으로 구성 인산염의 혼합비를 달리하는 복합인산염이 0.15중량%의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한 후 총량이 1000㎖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 시료들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는 예상과 일치 하였고 그 결과는 표 7과 같았다. 따라서, 복합인산염 자체는 흡광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인산염이 정제수의 흡광도에 미치는 영향
DP:SHMP 100:0 85:15 75:25 65:35 50:50 35:65 25:75 15:85 0:100
O.D. 0.0001 0.0001 0.0000 -0.0001 0.0001 0.0001 0.0003 -0.0001 0.0002
DP: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
SHMP: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
분리대두단백의 용해성에 관한 실험결과는 아래의 표 8 a,b,c와 같다. 전반적으로 복합인산염을 가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용해시간이 단축되었으며, 복합인산염의 전체 농도가 어느정도 변화하더라도 용해전후 정제수의 pH조정 작용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복합인산염중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의 비율이 50%이상인 경우, 즉 pH가 8.3이하인 조건에서 전체적인 용해성이 향상되었으며, 이 범위에서는 용해 전후의 pH차이가 다른 범위에 비하여 작았다.
분리대두단백의 용해성(복합인산염 0.09중량%)
DP:SHMP 100:0 85:15 75:25 65:35 50:50 35:65 25:75 15:85 0:100
용해전pH 9.23 8.88 8.79 8.55 8.33 8.16 7.98 7.86 7.47
용해후pH 8.26 8.25 8.24 8.18 8.16 8.14 8.12 8.11 8.10
용해성 - - - ± + + + + +
O.D 0.5913 0.5981 0.5926 0.6850 0.8133 0.8122 0.8107 0.8187 0.8142
+ : 잘용해됨(투입후 2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보통임(투입후 3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 용해성이 떨어짐(투입후 3분 경과후에도 불용성 입자가 관찰됨)
분리대두단백의 용해성(복합인산염 0.12중량%)
DP:SHMP 100:0 85:15 75:25 65:35 50:50 35:65 25:75 15:85 0:100
용해전pH 9.22 8.89 8.76 8.56 8.30 8.00 7.90 7.56 7.40
용해후pH 8.28 8.28 8.26 8.19 8.17 8.16 8.14 8.13 8.11
용해성 - - - ± + + + + +
O.D 0.5891 0.5874 0.5909 0.6803 0.8120 0.8106 0.8098 0.8171 0.8135
+ : 잘용해됨(투입후 2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보통임(투입후 3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 용해성이 떨어짐(투입후 3분 경과후에도 불용성 입자가 관찰됨)
분리대두단백의 용해성(복합인산염 0.15중량%)
DP:SHMP 100:0 85:15 75:25 65:35 50:50 35:65 25:75 15:85 0:100
용해전pH 9.22 8.91 8.73 8.57 8.26 7.97 7.83 7.40 7.33
용해후pH 8.29 8.28 8.28 8.20 8.20 8.19 8.18 8.17 8.14
용해성 - - - ± + + + + +
O.D 0.5890 0.5896 0.5920 0.6786 0.8120 0.8122 0.8114 0.8157 0.8125
+ : 잘용해됨(투입후 2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보통임(투입후 3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용해성이 떨어짐(투입후 3분 경과후에도 불용성 입자가 관찰됨)
카제인나트륨의 용해성에 관한 실험결과는 아래의 표 9a, b, c와 같다. 전반적으로 복합인산염을 가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용해시간에 단축되었다. 또한, 복합인산염중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의 비율이 50~75%의 경우, 즉 pH가 7.9~8.3인 조건에서 용해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용해성이 우수한 범위에서는 용해전후의 pH변화폭이 크지 않았다.
카제인나트륨의 용해성(복합인산염 0.09중량%)
DP:SHMP 100:0 85:15 75:25 65:35 50:50 35:65 25:75 15:85 0:100
용해전pH 9.23 8.88 8.79 8.55 8.33 8.16 7.98 7.86 7.47
용해후pH 7.16 7.11 7.10 7.07 7.02 7.01 7.01 7.00 6.88
용해성 - - - ± + + + + ±
O.D 0.2967 0.2727 0.2979 0.3162 0.3266 0.3268 0.3272 0.3266 0.3174
+: 잘용해됨(투입후 3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보통임(투입후 4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용해성이 떨어짐(투입후 4분 경과후에도 불용성 입자가 관찰됨)
카제인나트륨의 용해성(복합인산염 0.12중량%)
DP:SHMP 100:0 85:15 75:25 65:35 50:50 35:65 25:75 15:85 0:100
용해전pH 9.22 8.89 8.76 8.56 8.30 8.00 7.90 7.55 7.40
용해후pH 7.15 7.11 7.09 7.08 7.03 7.02 7.01 7.00 6.87
용해성 - - - ± + + + ± ±
O.D 0.2684 0.2757 0.2964 0.3159 0.3261 0.3288 0.3279 0.3254 0.3133
+ : 잘용해됨(투입후 3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보통임(투입후 4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 용해성이 떨어짐(투입후 4분 경과후에도 불용성 입자가 관찰됨)
카제인나트륨의 용해성(복합인산염 0.15중량%)
DP:SHMP 100:0 85:15 75:25 65:35 50:50 35:65 25:75 15:85 0:100
용해전pH 9.22 8.91 8.73 8.57 8.26 7.97 7.83 7.40 7.33
용해후pH 7.16 7.13 7.10 7.07 7.03 7.00 7.00 6.99 6.88
용해성 - - - ± + + + ± ±
O.D 0.2597 0.2746 0.2960 0.3100 0.3263 0.3229 0.3221 0.3200 0.3122
+: 잘용해됨(투입후 3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보통임(투입후 4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용해성이 떨어짐(투입후 4분 경과후에도 불용성 입자가 관찰됨)
표 10a, b, c는 분리대두단백과 카제인나트륨을 연속적으로 용해시키며 비교한 결과이다. 전반적으로 복합인산염을 가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용해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복합인산염중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의 비율이 50~75%의 경우, 즉 pH7.9~8.3인 조건에서 용해성이 향상되었으며, 용해성에 우수한 범위에서는 용해전후의 pH변화폭이 크지 않았다.
분리대두단백과 카제인나트륨의 용해성(복합인산염 0.09중량%)
DP:SHMP 100:0 85:15 75:25 65:35 50:50 35:65 25:75 15:85 0:100
용해전pH 9.23 8.88 8.79 8.55 8.33 8.16 7.98 7.86 7.47
용해후pH 7.36 7.32 7.30 7.19 7.09 7.04 7.03 6.98 6.84
용해성 - - - ± + + + ± ±
O.D 0.5525 0.5544 0.5572 0.6187 0.6757 0.6725 0.6791 0.6584 0.6541
+ : 잘용해됨(카제인나트륨 투입후 3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보통임(카제인나트륨 투입후 4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 용해성이 떨어짐(카제인나트륨 투입후 4분 경과후에도 불용성 입자가 관찰됨)
분리대두단백과 카제인나트륨의 용해성(복합인산염 0.12중량%)
DP:SHMP 100:0 85:15 75:25 65:35 50:50 35:65 25:75 15:85 0:100
용해전pH 9.22 8.89 8.76 8.56 8.30 8.00 7.90 7.55 7.40
용해후pH 7.35 7.30 7.30 7.20 7.10 7.02 7.01 6.97 6.85
용해성 - - - ± + + + ± ±
O.D 0.5529 0.5564 0.5575 0.5940 0.6808 0.6756 0.6811 0.6522 0.6651
+ : 잘용해됨(카제인나트륨 투입후 3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보통임(카제인나트륨 투입후 4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 용해성이 떨어짐(카제인나트륨 투입후 4분 경과후에도 불용성 입자가 관찰됨)
분대두단백과 카제인나트륨의 용해성(복합인산염 0.15중량%)
DP:SHMP 100:0 85:15 75:25 65:35 50:50 35:65 25:75 15:85 0:100
용해전pH 9.22 8.91 8.73 8.57 8.26 7.97 7.83 7.40 7.33
용해후pH 7.36 7.32 7.31 7.21 7.10 7.04 7.00 6.99 6.88
용해성 - - - ± + + + ± ±
O.D 0.5458 5486 0.5511 0.6154 0.6827 0.6723 0.6774 0.6627 0.6541
+ : 잘용해됨(카제인나트륨 투입후 3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보통임(카제인나트륨 투입후 4분이내에 불용성 입자가 보이지 않음)
-: 용해성이떨어짐(카제인나트륨 투입후 4분 경과후에도 불용성 입자가 관찰됨)
상기 실시예 3으로부터 분리대두단백과 카제인나트륨을 정제수에 용해시킴에 있어서 복합인산염중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의 비율이 50~75%, pH7.9~8.3의 조건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pH변화 시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에 복합인산염의 혼합비와 농도를 달리하여 첨가하고 이에 따른 pH변화를 관찰하였다.
표 11a, b, c는 각각 복합인산염의 농도가 0.05중량%, 0.10중량%, 0.15중량%인 실험결과이다.
제품의 pH(복합인산염 0.05중량%)
DP:SHMP 100:0 85:15 75:25 65:35 50:50 35:65 25:75 15:85 0:100
제품 pH 6.50 6.46 6.44 6.42 6.35 6.21 6.19 6.20 6.19
제품의 pH(복합인산염 0.10중량%)
DP:SHMP 100:0 85:15 75:25 65:35 50:50 35:65 25:75 15:85 0:100
제품 pH 6.49 6.47 6.45 6.45 6.34 6.20 6.20 6.20 6.19
제품의 pH(복합인산염 0.15중량%)
DP:SHMP 100:0 85:15 75:25 65:35 50:50 35:65 25:75 15:85 0:100
제품pH 6.51 6.50 6.47 6.45 6.36 6.22 6.21 6.20 6.19
따라서, 실시예 3에 따른 단백질급원의 용해성을 고려할 때, 최종제품의 pH가 6.5(신선한 우유의 pH)에 가장 근접한 제품을 얻기위한 복합인산염의 바람직한 혼합비는 50:50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3에서 일부 제품이 살균후 단백질 응고 현상을 보였으므로, 이에 대한 세부실험이 요구되었다.
실시예 5
단백질응고현상의 원인시험
실시예 4에서 나타난 단백질응고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시예 4의 단백질 응고 현상은 수용성이 우수한 젖산칼슘으로부터 유래된 Ca++과 기타 미네랄급원에서 유리된 Mg++, Fe++등이 단백질성분의 분자구조에 들어있는 카르복실기와 R-group들간에 전기적 상호작용을 형성하고 이로 인하여 살균과정을 지난 후 단백질 응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일반적으로 +2가, +3가의 금속이온은 단백질응고를 일으키는데 효과가 크다. 특히 대두단백질의 glycine은 2가의 칼슘이온이나 마그네슘이온의 존재하에 쉽게 응고된다(신제 유가공학, 1986, 향문사, 이재영, 유재현, 강국희, p.101;식품화학,
1986, 형설출판사, 이규한, p.119). 따라서, 실시예 4에서 나타난 일부 제품의 단백질 응고 현상은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의 농도에 따른 킬레이팅작용(유리 2가
양이온들을 포집하는 작용)의 정도차이라고 사료된다. 즉,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의 농도가 일정량 이하가되면 킬레이팅 작용이 약화되고 유리 2가 양이온이 제품내에서 단백질급원과 응고를 형성한다는 사실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복합인산염중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와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를 실시예 4에서 결정한 혼합비(1:1)로 구성한 후 전체함량을 달리하면서 제품에 적용하였다. 복합인산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일정하게 사용하여 제품을 제조한 후 그 성상을 관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품으로부터 시료 10㎖를 취하고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제거한 다음 침전물의 양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도 2과 같다.
도 2로부터 복합인산염의 첨가량이 0.06중량%이상일 때, 침전량은 극소화되며 어느정도 제품의 안정성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종제품의 칼슘과 인의 바람직한 비율인 2.3:1 내지 1:1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수준을 고려하면 바람직한 복합인산염의 첨가량은 0.03~0.15중량%이었다.
표 12는 제품의 조직상태에 관한 실험결과로서 복합인산염이 0.06중량%이상 첨가된 경우에는 유화성 및 안정성에 이상을 나타내지 않는데 반하여, 0.06중량%이하로 첨가된 경우에는 단백질의 염에 의한 응고작용을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인산염의 첨가량은 0.06~0.15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중량%임을 알 수 있었다.
복합인산염 첨가량에 따른 제품 조직비교
복합인산염(중량%) 조직상태
00.020.060.100.140.180.220.26 전체적인 단백질 응고 발생, 연두부조직미세한 단백질 응고입자가 부유됨유화성, 안정성 이상없음유화성, 안정성 이상없음유화성, 안정성 이상없음유화성, 안정성 이상없음유화성, 안정성 이상없음유화성, 안정성 이상없음
실시예 6
최종 pH 조정 및 보존성
실시예 5의 복합인산염 첨가량을 적용하여 실시예 1의 함량으로 제품 배합을 맞춘 후 제3공정 이후에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를 농도를 달리하면서 첨가하여 최종제품의 pH가 6.5에서 6.7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조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3와 같았다. 제2인산칼륨 0.05중량% 첨가시 바람직한 pH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때 전체적인 칼슘과 인의 비율이 1:1로 조정되므로 최적의 배합량을 결정할수 있었다. 상기 배합으로 제품을 제조한 후 상온에서 12개월 보존한 결과 단백질 응고의 품질 결함은 없었다.
배합후기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의 첨가량에 따른 제품의 pH 변화
디포타시움 포스페이트 0 0.025 0.05 0.075 0.10
제품pH 6.35 6.38 6.51 6.80 7.02
실시예 7
지방함량 조절과 보존성
실시예 6에 있어서, 지방급원인 옥수수유를 혼합액에 첨가하기 전에 중쇄중성지방분말(medium chain triglyceride: 카프릭엑시드와 카프릴릭엑시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물) 0.1 중량%에서 5중량%까지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부족되는 지방을 옥수수유로 충족하므로써 전체 지방함량을 0.1 중량%에서 5중량%까지 조절하였다. 상기 배합으로 제조한 제품을 상온에서 12개월 보존한 결과 단백질 응고의 품질결함은 없었다.
실시예 8
단백질함량 조절과 보존성
실시예 7에 있어서, 단백질급원중 분리대두단백의 함량을 15 내지 85중량%까지 조정하고 부족되는 단백질은 카제인나트륨으로 충족하므로써 전체 단백질함량을 15중량%에서 85중량%까지 조절하였다. 상기 배합으로 제조한 제품을 상온에서 12개월 보존한 결과 품질결함은 없었다.
본 발명은 미네랄과 단백질이 공존하는 액상 영양조성물에 있어서 복합인산염을 적정량 조절 첨가함으로써 조성물의 pH를 조정하고 단백질급원의 용해를 용이하게 하며 단백질의 응고를 억제하여, 각종 영양소를 균형있게 공급함은 물론 특히 칼슘의 체내흡수가 최적화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상 영양조성물은 영양부족 또는 편식으로 인하여 성장이 지연되는 청소년의 성장을 보조하는 영양식품, 골다공증의 위험이 있는 갱년기 여성의 보충식, 소화흡수가 불량한 노인의 영양식 등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미네랄과 단백질이 공존하는 유동식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Claims (4)

  1. 미네랄과 단백질을 함유하는 액상 영양조성물에 있어서,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dipotassiumphosphate)와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 (sodium hexametaphosphate)로 이루어진 복합인산염을 첨가함으로써 단백질급원의 용해를 용이하게 하고 단백질의 응고를 방지하는 미네랄 및 단백질을 함유한 액상 영양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는 0.01∼5중량%, 상기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 0.01∼5중량%을 첨가하면서, 상기 복합인산염에 대해서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는 50∼75%가 되게 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 및 단백질을 함유한 액상 영양조성물.
  3. (a) 정제수에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와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복합인산염을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 0.01∼5중량%,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 0.01∼5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40∼70℃로 가온시킨 후, 분리대두단백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온도를 60∼80℃로 유지하면서 카제인나트륨을 가하여 용해시키는 공정;
    (b) 상기 공정(a)에서 얻은 혼합액에 탄수화물원으로서 당을 가해 용해시키고, 별도로 옥수수유와 유화제를 혼합하고 투명해질 때까지 50~70℃로 가온한 후 이를 상기 혼합액에 가하여 유화시키는 공정;
    (c) 상기 공정(b)에서 얻은 유화된 혼합액에 지용성 비타민을 용해시킨 후, 여기에 별도로 정제수에 용해시킨 수용성비타민과 별도로 정제수에 용해시킨 미네랄 수용액을 혼합하는 공정; 및
    (d) 상기 공정(c)에서 얻은 혼합액에 디포타시움포스페이트와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를 각각 첨가하거나 또는 혼합 첨가하여 혼합액의 pH를 6.5∼6.7로 조정한 후, 균질하고, 살균 열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액상 영양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a)에서 상기 복합인산염에 대해서 소디움헥사메타포스페이트는 50∼75%가 되게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영양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990008169A 1999-03-11 1999-03-11 액상 영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06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169A KR100306845B1 (ko) 1999-03-11 1999-03-11 액상 영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169A KR100306845B1 (ko) 1999-03-11 1999-03-11 액상 영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102A KR20000060102A (ko) 2000-10-16
KR100306845B1 true KR100306845B1 (ko) 2001-09-24

Family

ID=1957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169A KR100306845B1 (ko) 1999-03-11 1999-03-11 액상 영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431B1 (ko) 2015-05-26 2017-05-22 남양유업 주식회사 살균 공정 중 파울링 감소를 위한 영유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8955B2 (en) * 2001-12-12 2006-05-23 Korea University Foundation Soybean phosphopeptide calciu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CN116920075B (zh) * 2023-09-15 2024-01-02 潍坊市人民医院(潍坊市公共卫生临床中心) 一种肠内营养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077A (ko) * 1988-11-30 1990-06-02 동양폴리에스터 주식회사 폴리에스터 혼섬사의 제조방법
US5340603A (en) * 1993-08-30 1994-08-23 Abbott Laboratories Nutritional product for human infants having chronic lung disease
JPH07308172A (ja) * 1994-02-01 1995-11-28 Meiji Seika Kaisha Ltd 低カルシウム吸収者用カゼインホスホペプチド含有飲食品
JPH08196236A (ja) * 1995-01-19 1996-08-06 Terumo Corp 液状栄養食および高カロリー栄養剤
KR970005903A (ko) * 1995-07-21 1997-02-19 한승준 자동차의 경적음레벨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077A (ko) * 1988-11-30 1990-06-02 동양폴리에스터 주식회사 폴리에스터 혼섬사의 제조방법
US5340603A (en) * 1993-08-30 1994-08-23 Abbott Laboratories Nutritional product for human infants having chronic lung disease
JPH07308172A (ja) * 1994-02-01 1995-11-28 Meiji Seika Kaisha Ltd 低カルシウム吸収者用カゼインホスホペプチド含有飲食品
JPH08196236A (ja) * 1995-01-19 1996-08-06 Terumo Corp 液状栄養食および高カロリー栄養剤
KR970005903A (ko) * 1995-07-21 1997-02-19 한승준 자동차의 경적음레벨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431B1 (ko) 2015-05-26 2017-05-22 남양유업 주식회사 살균 공정 중 파울링 감소를 위한 영유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102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17604B (zh) 掩蔽营养素味道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2651249B1 (en) Method for making whey protein composition with a reduced astringency
KR101361379B1 (ko) 영양 조성물
US20070148321A1 (en) Mineral-containing acidic protein drink
KR20040016983A (ko) 장관 제형
WO2016174651A2 (en) Liquid nutri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micellar casein and hydrolysed whey protein
AU1692499A (en) Gelled food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9386791B2 (en) Dairy product and process
US4931300A (en) Antimicrobial food composition
JP5384333B2 (ja) ホエイタンパク質を高濃度で含む液状栄養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BRPI0620517A2 (pt) produto alimentìcio, aditivo contendo cálcio e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o produto alimentìcio
EP0590073A4 (en) Stabilized antimicrobial food composition
KR101397863B1 (ko) 고농도의 나트륨을 함유한 액상 영양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EP1225814B1 (en) Fibrous-liponutritional complexe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1158873A1 (en) Ferric fortification for foods and drinks
KR100306845B1 (ko) 액상 영양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750467B2 (ja) ペプチド混合物及び経腸栄養組成物
JP6330263B2 (ja) 酸性液状食品組成物
JP5665009B2 (ja) 液状乳化栄養組成物
WO200103203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alcium fortification of dairy products and oleaginous foods
JP2001316278A (ja) 液状経腸栄養組成物
EP1150580A1 (en) Calcium supplemented food products and novel calcium-containing ingredient
US20220408760A1 (en) Liquid food composition comprising pea or fava bean proteins and improved mineral profile for nutrition
JP3616965B2 (ja) 飲食品
EP1792543A1 (en) Magnesium fortified food product and addi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