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724A -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 Google Patents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724A
KR20150142724A KR1020140070592A KR20140070592A KR20150142724A KR 20150142724 A KR20150142724 A KR 20150142724A KR 1020140070592 A KR1020140070592 A KR 1020140070592A KR 20140070592 A KR20140070592 A KR 20140070592A KR 20150142724 A KR20150142724 A KR 20150142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cium
powder
milk
nanocrystal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상기
곽해수
이윤경
조남영
김태진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724A/ko
Publication of KR2015014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3/00Preservation of milk or milk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6Homogenis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굴 패각으로부터 추출하여 건조시킨 칼슘 분말을 분쇄하여 나노칼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정제수에 상기 나노칼슘 분말을 첨가한 후 균질화시켜 나노칼슘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칼슘 분산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교반시켜 나노칼슘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용화 나노칼슘이 포함된 음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용화 나노칼슘은 음료에 첨가시 분산성이 안정하고 체내에서 칼슘의 흡수율을 높여 주므로, 칼슘원을 필요로 하는 갱년기 골다공증,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발육 또는 일반인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Method for manufacturing of soluble nanocalcium and nanocalcium-supplemented bever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굴 패각으로부터 추출하여 건조시킨 칼슘 분말을 분쇄하여 나노칼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정제수에 상기 나노칼슘 분말을 첨가한 후 균질화시켜 나노칼슘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칼슘 분산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교반시켜 나노칼슘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용화 나노칼슘이 포함된 음료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칼슘 섭취량은 2010년 한국영양학회의 한국인영양섭취기준에 의하면 1~5세의 경우 390~470㎎, 6~11세는 580~670㎎, 12~19세는 660~800㎎, 그리고 20세 이상은 700~800㎎을 권장하고 있다. 다른 영양소는 권장 섭취량에 접근하고 있으나 칼슘은 부족한 섭취를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는 우리가 주로 애용하는 식단의 구성에서 칼슘을 충분히 공급하기에는 제한된 음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칼슘의 급원 식품으로는 멸치, 뱅어포 등의 뼈째 먹는 생선, 짙은 녹색 야채, 두류, 곡류, 해조류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특히 우유, 요구르트, 치즈 등은 칼슘의 가장 좋은 급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칼슘의 급원으로 동물성 식품의 섭취량은 41%, 식물성 식품의 섭취량은 59%로, 동물성보다는 식물성 식품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다. 특히 동물성 칼슘의 주 급원이라 할 수 있는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량은 90.2㎎으로 18.2%에 불과했다. 그리고 국제적으로 각 국가 국민들의 칼슘섭취량을 비교해 보면, 우유 및 유제품을 제외한 다른 식품으로부터 섭취하는 칼슘의 양은 1일 평균 300~400㎎ 정도로 비슷하지만, 우유 및 유제품으로부터의 칼슘의 섭취는 우리나라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유제품이 칼슘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체내 이용률도 우수함으로 유제품으로부터 얼마의 칼슘을 섭취하는가에 따라 총 칼슘 섭취량이 결정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칼슘강화 우유가 시중에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식품 중 칼슘 급원으로서의 가치는 그 함량뿐 아니라 체내 이용성에 의해서 평가되고 있으며, 칼슘의 체내 이용성은 칼슘염의 형태, 체내 요구도, 연령, 신체생리상태 및 단백질, 인산, 수산, 지방 등의 여러 가지 식이 인자에 의해 다양하게 영향을 받는다.
칼슘의 체내 이용성은 칼슘이 소장벽의 세포로 얼마나 통과되는가 하는 것이 중요한데, 장내 칼슘 흡수는 주로 pH가 낮은 산성환경의 소장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능동적 수송기전과 pH가 알칼리성인 소장 하부에서 농도 차에 의해 일어나는 확산기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칼슘의 흡수율은 성인기에는 30% 내외, 소아 및 청소년기는 섭취량의 약 40%만이 흡수되는데 (Recker RR, Bammi A, Barger-Lux J, Heaney RP. 1988. Calcium absorbability from milk products, an imitation milk, and calcium carbonate. Am J Clin Nutr 47: 93-95), 한국인의 경우 평균 12~46% 정도 흡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렇듯 칼슘은 흡수율이 낮기 때문에 칼슘의 식이섭취량도 중요하지만, 섭취한 칼슘의 흡수를 증진시키는 것도 중요하며, 칼슘의 흡수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78558호는 유청칼슘 60 ~ 80 중량% 와 증점다당류 3.0 ~ 35.0 중량%, PH안정제 0.2 ~ 5.0 중량%을 넣고 혼합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결과물 20 ~40 중량%에 대하여 정제수 60 ~ 80 중량%를 가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의 결과물을 습식 분쇄기에 넣고 평균입도 0.1 ~ 10.0㎛에 달할 때까지 분쇄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져, 유청칼슘의 분쇄와 동시에 분쇄입자의 코팅을 실행하여 고분산성 유청칼슘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산성 유청칼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칼슘의 분산성 외에 체내흡수율은 평가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과는 기술적 구성이 상이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칼슘의 평균입도를 나노화한 칼슘 분말을 안정적으로 유화 및 분산시켜 음료에 첨가함으로써 체내에서 칼슘의 흡수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유 또는 유음료의 칼슘의 흡수를 증진시키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 패각으로부터 추출하여 건조시킨 칼슘 분말을 분쇄하여 나노칼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정제수에 상기 나노칼슘 분말을 첨가한 후 균질화시켜 나노칼슘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칼슘 분산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교반시켜 나노칼슘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칼슘 분말은 100 내지 500㎚의 평균입도를 갖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더욱 구체적으로 폴리글리세린 스테아린산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용화 나노칼슘이 포함된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는 우유, 요구르트, 두유, 과실 음료, 탄산 음료, 이온 음료, 커피 및 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굴 패각으로부터 추출하여 건조시킨 칼슘 분말을 분쇄한 나노칼슘 분말 및 폴리글리세린 스테아린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칼슘 흡수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상기 칼슘 흡수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또는 유음료의 칼슘 흡수가 증진된 우유 또는 유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용화 나노칼슘은 음료에 첨가시 분산성이 안정하고 체내에서 칼슘의 흡수율을 높여 주므로, 칼슘원을 필요로 하는 갱년기 골다공증,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발육 또는 일반인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용화 나노칼슘은 우유 또는 유음료의 칼슘의 흡수를 증진시키는 효과도 있으므로, 단순히 칼슘을 강화한 음료에 비해 칼슘 결핍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수산업 부산물인 굴 패각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칼슘을 관찰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서 사용한 일반칼슘을 관찰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칼슘의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분산성을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칼슘의 계면활성제의 처리시간에 분산성을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칼슘의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른 분산성을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칼슘의 흡수율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칼슘의 생체이용율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칼슘을 첨가한 칼슘강화우유의 pH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칼슘을 첨가한 칼슘강화우유의 분산성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굴 패각으로부터 추출하여 건조시킨 칼슘 분말을 분쇄하여 나노칼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정제수에 상기 나노칼슘 분말을 첨가한 후 균질화시켜 나노칼슘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칼슘 분산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교반시켜 나노칼슘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굴 패각으로부터 칼슘을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굴 패각은 분말화한 것을 동의보감에서는 '모려'라 하는데, 임상에서 이러한 모려는 정액을 수렴하고 양기를 키우고 땀을 멈추게 함으로, 현기증, 남자의 조루증, 저절로 땀나는 자한증, 식은 땀나는 도한증, 사타구니 땀나는 음한증 및 낭습증, 부인의 대하, 자궁출혈에 활용되고 장기적으로 복용하면 골절이 강해져 골다공증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굴 패각의 칼슘은 흡수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칼슘제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굴 패각은 칼슘을 추출하기에 앞서 분쇄하여 표면적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쇄시에 사용하는 분쇄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볼 밀(ball mill), 슈퍼 밀(super mill), 오토마이저 밀(automizer mill), 마이크로젯 밀(micro-jet mill), 핀 크러셔(pin crusher), 클로이드 밀(colloid mill) 등을 이용하여 분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추출용매는 에탄올,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증류수 등으로부터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액상 칼슘을 가열하면 상기 추출용매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가열온도는 추출용매의 종류에 따라 70~290℃의 온도에서 가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굴 패각으로부터 추출한 액상 칼슘을 건조시켜 분말화한다 .
상기 건조공정은 굴 패각으로부터 추출한 액상 칼슘을 분말화하는 공정으로, 분무건조기, 동결건조기, 피막건조기, 드럼건조기, 진공건조기, 열풍건조기, 저온건조기 등의 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한다.
다음으로, 건조시킨 칼슘 분말을 분쇄하여 나노칼슘 분말을 제조한다.
나노칼슘 분말 제조시에 사용하는 분쇄기는 굴 패각의 분쇄시에 사용한 분쇄기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세분쇄 기술로는 건식과 습식방식이 있는데, 건식의 경우에는 1 마이크론(㎛)이 한계로 알려져 있으나 습식분쇄에서는 나노사이즈의 분쇄가 가능하며, 미세분쇄 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굴 패각으로부터 추출하여 건조시킨 칼슘 분말을 평균입도가 100 내지 500㎚가 될 때까지 분쇄하여 나노칼슘 분말을 제조한다.
이때 칼슘의 평균입도가 100㎚미만이면 칼슘 입자의 표면적이 증가하고 입자가 서로 잘 뭉치는 현상이 발생되어 칼슘 입자의 분산성이 저해되고, 칼슘의 평균입도가 500㎚를 초과하면 입자 크기가 커짐에 따라 신속히 가라앉아 이 또한 분산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정제수에 상기 나노칼슘 분말을 첨가한 후 균질화시켜 나노칼슘 분산액을 제조한다.
상기 균질화 공정은 나노칼슘을 수중에 유화시키기 전에 충분히 분산시키는 공정으로, 초음파 균질기, 고압 균질기, 회전 균질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제수에 상기 나노칼슘 분말을 첨가한 후 초음파 균질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균질화시켰으며, 균질화 단계 이후에 상온에 방치함으로써 나노칼슘 분말을 정제수에 충분히 분산시켰다.
다음으로, 나노칼슘 분산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교반시켜 나노칼슘 유화액을 제조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레시친 등의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이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는 거대분자로서 겔 형성능과 유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칼슘과 공존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칼슘과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상호간의 작용과 반작용은 칼슘의 침전(Precipitation)과 부유(Floating)를 억제하게 되어 칼슘의 유화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0.3~0.5% (v/v)가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3% (v/v) 미만이면 칼슘을 분산시키기에 충분한 제타 전위가 형성되지 않고,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5% (v/v)를 초과하여도 칼슘의 분산성 향상 효과가 미비하며 계면활성제 과다 처리에 의한 악영향이 일어나기 쉽다.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나노칼슘 분산액을 패들, 터빈, 프로펠러, 고속 임펠러, 호모 믹서 등의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시켜 균일한 나노칼슘 유화액을 제조한다.
이때 균일한 나노칼슘 유화액을 얻기 위해서는 교반기의 교반날개 원주속도가 중요한데, 0.5m/s 미만인 경우 미립자 슬러리를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기 어렵고, 50m/s를 초과하면 반응장치를 대형화해야 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방법으로 제조된 가용화 나노칼슘이 포함된 음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용화 나노칼슘의 칼슘흡수 증진 용도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우유 또는 음료의 칼슘이 체내로의 흡수가 증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나노칼슘 분말의 제조
굴 패각으로부터 추출하여 건조시킨 칼슘 분말을 분쇄하여, 나노 크기의 입자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나노칼슘의 입자크기를 살펴보기 위하여 SEM(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나노칼슘 입자는 둥근 형태로 입자 주변에 분쇄에 의해 형성된 작은 입자들이 달라붙어 있는 미세구조를 나타내었으며, 서로 잘 뭉치는 성질 때문에 SEM으로 입자크기를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도 1).
입도 분석기(Particle size analyzer)를 이용하여 분석한 나노칼슘 입자의 크기는 200~300㎚ 정도로 분포되었다.
비교예 1 : 일반칼슘 분말의 제조
굴 패각으로부터 추출하여 건조시킨 칼슘 분말을 분쇄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상기 일반칼슘의 입자크기를 살펴보기 위하여 SEM(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도 2),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일반칼슘 입자의 크기는 20~200㎛정도로 측정되었다.
제조예 2 : 칼슘 분산액의 제조
정제수에 상기 제조예 1의 나노칼슘과 상기 비교예 1의 일반칼슘 분말을 5~10% (w/v)로 각각 첨가하고 초음파 균질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균질화시킨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칼슘 분말을 정제수에 충분히 분산시켰다.
시험예 1 : 계면활성제에 따른 칼슘의 분산성
계면활성제에 따른 칼슘의 분산성을 알아보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칼슘 분산액과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칼슘 분산액의 제타 전위를 측정하였다.
계면활성제는 polyglycerol monostearate (PGMS),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PSML), decaglycerinemonoleate (DGML), HLB 13의 polyglycerolfatty acid ester (PGFE)를 사용하였고,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칼슘 분산액에 0.5% (v/v)가 되도록 첨가하여 상온에서 800rpm으로 교반하면서 24시간 방치하여 반응시켰다.
상기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칼슘 분산액과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칼슘 분산액을 각각 2㎖ 취하여 3차 증류수 20㎖에 분산시켜 100배 희석한 용액을 Delsa nano C (Beckman coulter, inc., Fullerton, CA, USA)를 이용하여 제타 전위를 측정하였다. 제타 전위는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고,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칼슘 분산액의 제타 전위는 6~7㎷로 칼슘입자가 금방 가라앉았으며, 계면활성제로서 친수성이 강한 (HLB값이 16 이상) PSML을 첨가하여 교반하였을 때에도 계면활성제를 넣지 않고 반응시켰을 때와 비교하였을 때 제타 전위가 조금 높아졌지만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PGMS와 PSML 보다 친수성은 조금 약하지만 친수성 성분이 강한 계면활성제인 DGML과 PGFE로 분산시켰을때 PSML의 계면활성제와 비슷하게 분산성이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때 일반칼슘 분말이 나노칼슘 분말에 비해 분산성이 조금 높았지만 입자가 크기 때문에 금방 가라앉았다.
그러나 계면활성제인 PGMS를 사용하여 반응시켰을 때에는 제타 전위의 수치가 14~15㎷까지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어 PGMS로 칼슘을 분산하였을 때 가장 안정하다고 사료된다.
시험예 2 : 계면활성제의 처리시간에 따른 칼슘의 분산성
계면활성제의 처리시간에 따른 칼슘 분말의 분산성을 알아보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적용하여 처리 시간별로 칼슘 분산액의 제타 전위를 측정하였다.
계면활성제는 polyglycerol monostearate(PGMS)를 사용하였고,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칼슘 분산액에 0.5% (v/v)가 되도록 첨가하여 상온에서 800rpm으로 교반하면서 0, 12, 24, 36시간 방치하여 반응시켰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시간이 0일 때에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을 때와 유사한 수치를 나타냈으며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제타전위가 20㎷에 가깝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24시간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고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p>0.05) 처리시간이 24시간일 때 가장 분산이 잘 이루어졌다고 사료된다.
시험예 3 :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른 칼슘의 분산성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른 칼슘 분말의 분산성을 알아보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적용하여 농도별로 칼슘 분산액의 제타 전위를 측정하였다.
계면활성제는 polyglycerol monostearate(PGMS)를 사용하였고,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칼슘 분산액에 전체 부피 대비 0, 0.25, 0.5, 0.75, 1.0% (v/v)가 되도록 첨가하여 상온에서 800rpm으로 교반하면서 24시간 방치하여 반응시켰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친수성이 강한 PGMS 계면활성제를 0, 0.25, 0.5, 0.75, 1.0% (v/v)를 넣었을 때 칼슘의 분산성을 측정한 결과,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타 전위의 값이 상승되어 분산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0.5%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 제타 전위의 값이 약 20㎷로 거의 유사하였으며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예 4 : 입자크기에 따른 칼슘 흡수율
칼슘 분말이 인공위장과 인공소장에서 얼마나 흡수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Luan 등과 Papagianni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인공 위액에서 pH와 효소에 의한 반응 시간에 따른 칼슘 흡수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칼슘 분말 0.3g을 20mL 증류수와 혼합하여, 6M HCl으로 각각 pH 2, pH 4로 조정한 후, 소화효소인 pepsin solution (1g/0.1M HCl 25mL) 0.25mL을 넣고, 이 용액을 체내에서의 조건과 유사한 환경에서 반응시키는 체온과 연동운동의 효과를 주기 위해 shaking water bath에서 37℃, 75rpm으로 shaking 하면서 반응시간대별로 인공 위액상 흡수되는 칼슘의 양을 ICP-OES (OPTIMA 7300 DV, Perkinelmer INC, Walthama, MA, USA)으로 정량하였다.
소장에서의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5N NaOH로 각각 pH 6, pH 8로 조정한 후, pancreatin (0.04g)와 deoxycholic acid(bile salt, 0.25g)을 0.1M NaHCO3 10mL에 녹인 용액을 0.3g을 첨가하였다. 37℃에서 100rpm 속도로 shaking 하면서 반응시간 별로 흡수된 칼슘의 양을 ICP-OES (OPTIMA 7300 DV, Perkinelmer INC, Walthama, MA, USA)으로 정량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공위장인 pH 2, pH 4에서 나노칼슘은 2%를 흡수하였으며, 일반칼슘은 0.7%정도의 칼슘만 흡수를 하였다. 인공소장인 pH 6과 pH 8에서도 인공위장과 마찬가지로 나노칼슘은 2%이상을 흡수하여 일반칼슘의 2배 이상이 흡수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나노칼슘의 분말이 일반칼슘 분말에 비해 체내 흡수량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5 : 입자크기에 따른 칼슘 생체이용률
SD rat male을 미리 1일 정도 굶겨서 공복상태로 만들었고, Krebs-Henseleit Bicarbonate(KHB) buffer를 준비하여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KHB buffer 성분은 25mM NaHCO3, 118mM NaCl, 4.7mM KCl, 1.2mM MgSO4, 1.2mM NaH2PO4, 1.2mM CaCl2, 26.3uM Na2EDTA, 10mM Glucose 이다. 얼기 직전의 상태의 KHB buffer를 5% CO2/95% O2 로 포화시켜 준비하였다. SD rat을 ether 마취시킨 후 개복하여 장을 적출한 후, 바로 5% CO2/95% O2 로 포화시킨 Ice-cold 상태의 KHB buffer에 넣어두었다. 주사기를 이용하여 KHB buffer로 장을 세척하였고, 위 바로 밑으로부터 10cm 되는 지점을 실로 묶었다. 묶은 지점으로부터 위쪽으로 1cm되는 부분과 아래쪽으로 12cm되는 지점을 잘라내었고, 장을 뒤집어 준 후 뒤집은 장에 KHB buffer (1mL)을 넣었다. 처음 묶는 부분으로부터 밑으로 10cm 되는 지점을 실로 묶어준다. 50mL conical tube 에 0.1% 시료를 넣고 KHB buffer로 30mL을 맞춘 후 소화효소와 유사하게 37℃에서 shaking시켜주면서 CO2/95% O2 로 포화시켰다. 이를 KHB buffer에 everted sac을 넣어주고 80-100rpm 속도로 shaking 시키고, 5% CO2/95% O2 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면서 반응 시간별로 꺼내어서 칼슘함량을 ICP-OES (OPTIMA 7300 DV, Perkinelmer INC, Walthama, MA, USA)으로 정량하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노칼슘분말의 생체이용율은 반응시간 10분에서 250mg/L를 60분 후에는 800mg/L으로 흡수량이 증가하는 것을 보였으며, 일반칼슘분말의 생체이용율은 반응시간 10분에서 150mg/L를 60분 후에는 600mg/L으로 증가하지만, 나노칼슘 분말의 생체이용율에 비하여 칼슘의 흡수량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일반칼슘분말을 이용하여 생체에 섭취하는 것보다 나노칼슘분말을 섭취하는 것이 생체의 흡수율을 증가시키므로 일반분말에 비해 나노분말을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라고 사료된다.
실시예 1 : 칼슘 유화액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칼슘 분산액(나노칼슘, 일반칼슘 분산액)에 계면활성제 PGMS를 0.5% (v/v)가 되도록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800rpm으로 교반시켜 반응시켜서, 칼슘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9 : 칼슘강화우유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칼슘 유화액을 0.5, 1.0, 1.5, 2.0% (v/v)의 농도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우유에 첨가하여 4℃에서 16일간 저장하였다 (표 1).
첨가 칼슘농도
(% (v/v))
칼슘입자 크기
일반칼슘 나노칼슘
0.5 실시예 2 실시예 6
1.0 실시예 3 실시예 7
1.5 실시예 4 실시예 8
2.0 실시예 5 실시예 9
실시예 2~9의 칼슘강화우유를 개봉하지 않고, clean bench에서 첨가물을 실린지로 주입하여 외부의 영향을 최소화하였으며, 4일 간격 (0, 4, 8, 12, 16일)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 얻어진 모든 결과들은 SAS program (SAS Institu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분산분석 (ANOVA) 하였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최소 유의차 검정 (LSD)으로 통계 처리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 로 하였다.
시험예 6 : 칼슘강화우유의 pH 측정
저장기간(0~16일) 중 실시예 2~9에서 제조한 칼슘강화우유의 pH는 pH meter (Orion 900A, Boston,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칼슘을 강화하지 않은 일반우유를 대조군으로 하여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16일 저장기간 동안 본 발명의 칼슘강화우유의 pH의 범위는 6.63~6.88이었으며, 이것은 신선한 우유의 pH 범위에 포함된다. 칼슘의 함량이 높을수록 pH가 약간 낮게 측정되었으며, 칼슘의 입자크기와는 무관하였다. 특히 칼슘 유화액을 0.5% (v/v)와 1.0% (v/v)첨가한 우유는 저장기간 동안 pH가 6.7~6.68로 대조군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나노칼슘을 가용화하여 우유에 첨가 시 품질에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7 : 칼슘강화우유의 분산성 측정
저장기간(0~16일) 동안 칼슘강화우유 속에서 칼슘이 얼마나 분산이 잘되어 있는지 측정하였다. 실시예 2~9에서 제조한 칼슘강화우유 2㎖를 취하여 3차 증류수 20㎖에 분산시켜 100배 희석한 용액을 Delsa nano C (Beckman coulter, inc., Fullerton, CA, USA)를 이용하여 제타 전위를 3회 측정하였고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도 9).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첨가한 칼슘의 함량이 높을수록 저장기간 동안의 분산성은 감소하였다. 0.5~1.0% (v/v)첨가한 나노칼슘 입자는 제타 전위가 20~30㎷로 일반칼슘 입자에 비해 안정화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저장기간 12일 이후에는 20㎷이하로 칼슘 분말이 서서히 가라앉는 것으로 보여졌다. 따라서 나노칼슘을 이용한 본 발명의 칼슘강화우유는 저장기간 동안 안정하다고 사료된다.
시험예 8 : 칼슘강화우유의 칼슘 함량 측정
저장기간(0~16일) 동안 칼슘강화우유의 칼슘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9에서 제조한 칼슘강화우유 및 대조군 우유 0.5㎖를 상온화 한 후, HNO3 5㎖를 가하여 10분간 방치한 후 50℃에서 가열하면서 H2O2 50㎕를 천천히 가한 후 온도를 150℃ 까지 올리면서 8~10분간 농축하여 갈색 연기가 나지 않고 맑은 색 연기가 나면 시료의 분해가 완료되어 분해된 시료는 10분간 방냉한 후 3차 증류수를 가하여 10배 희석하여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ICP-OES, OPTIMA 7300 DV, Perkinelmer INC, Walthama, MA, USA)로 칼슘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표 2).
칼슘강화우유 칼슘 함량 (㎎/ℓ)
0일
(저장기간)
4일
(저장기간)
8일
(저장기간)
12일
(저장기간)
16일
(저장기간)
대조군 1.08±0.06f1 ) 1.11±0.02f 1.10±0.04e 1.16±0.11f 1.16±0.09e
실시예 2 2.85±0.29e 2.77±0.35e 2.95±0.08d 2.97±0.05e 2.99±0.01d
실시예 3 5.15±0.12d 5.12±0.17d 5.14±0.04c 5.17±0.19d 5.17±0.10c
실시예 4 6.68±0.41c 6.63±0.35c 6.61±0.33b 6.83±0.23c 6.67±0.11b
실시예 5 9.31±0.35b 9.24±0.86b 9.35±0.54a 9.19±0.04b 9.23±1.03a
실시예 6 3.16±0.03e 3.15±0.19e 3.12±0.14d 3.15±0.177e 3.17±0.08d
실시예 7 5.32±0.22d 5.20±0.28d 5.35±0.49c 5.35±0.18d 5.34±0.47c
실시예 8 6.99±0.08c 7.06±0.08c 7.17±0.39b 7.09±0.02c 7.05±0.01b
실시예 9 9.38±0.66b 9.32±0.06ab 9.27±0.37a 9.37±0.37b 9.30±0.42a
* 같은 열(column)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냄 (p<0.05).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우유의 칼슘의 함량은 1.08 ㎎/ℓ이었고, 칼슘강화우유의 칼슘 함량은 첨가된 칼슘 분산액에 농도 의존적으로 일정하게 증가하였으며 저장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일반칼슘(실시예 2~5)에 비해 나노칼슘(실시예 6~9)을 첨가한 경우 칼슘의 함량이 조금 높은 양을 보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시험예 9 : 칼슘강화우유의 색도 측정
저장기간(0~16일) 동안 칼슘강화우유의 색도는 Hunter 색도계 (Minolta CT0310, Tokyo, Japan)를 사용하여 밝은 정도(명도)를 나타내는 L-value (lightness), 붉은색 정도(적색도)를 나타내는 a-value (redness), 노란색 정도(황색도)를 나타내는 b-value (yellowness)를 처리군(대조군 및 실시예 2~9) 별로 8회 반복 측정하였고,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한 표준 백색판 (standard plate)의 L, a, b 값은 각각 97.75, -0.38, 1.88이었다.

칼슘강화
우유
저장기간 (일)
0 4 8 12 16




명도
(L-value)
대조군 88.86±0.391) aA2 ) 88.73±0.20aA 88.83±0.21aA 88.79±0.14aA 88.83±0.24aA
실시예 2 88.69±0.35 aA 88.75±0.30 aA 88.90±0.14 aA 88.86±0.16 aA 88.87±0.17 aA
실시예 3 88.87±0.25 aA 88.75±0.29 aA 88.82±0.17 aA 88.86±0.22 aA 88.82±0.19 aA
실시예 4 88.87±0.28 aA 88.73±0.36 aA 88.77±0.29 aA 88.79±0.22 aA 88.80±0.16 aA
실시예 5 88.90±0.15 aA 88.74±0.23 aA 88.74±0.26 aA 88.79±0.18 aA 88.83±0.18 aA
실시예 6 88.85±0.22 aA 88.83±0.22 aA 88.80±0.21 aA 88.83±0.18 aA 88.85±0.16 aA
실시예 7 88.82±0.23 aA 88.73±0.25 aA 88.73±0.12 aA 88.87±0.14 aA 88.85±0.17 aA
실시예 8 88.82±0.15 aA 88.76±0.20 aA 88.73±0.24 aA 88.85±0.19 aA 88.83±0.15 aA
실시예 9 88.79±0.31 aA 88.74±0.42 aA 88.71±0.25 aA 88.85±0.18 aA 88.85±0.15 aA




적색도
(a-value)




대조군 2.57±0.07 aA 2.57±0.04 aA 2.59±0.09 aA 2.58±0.10 aA 2.56±0.06 aA
실시예 2 2.55±0.09 aA 2.55±0.07 aA 2.60±0.06 aA 2.59±0.08 aA 2.58±0.08 aA
실시예 3 2.52±0.10 aA 2.53±0.02 aA 2.61±0.07 aA 2.60±0.04 aA 2.58±0.04 aA
실시예 4 2.52±0.10 aA 2.56±0.07 aA 2.59±0.02 aA 2.61±0.09 aA 2.58±0.07 aA
실시예 5 2.53±0.08 aA 2.54±0.04 aA 2.59±0.09 aA 2.59±0.10 aA 2.59±0.05 aA
실시예 6 2.53±0.05 aA 2.54±0.07 aA 2.59±0.09 aA 2.59±0.08 aA 2.58±0.04 aA
실시예 7 2.54±0.06 aA 2.55±0.05 aA 2.62±0.09 aA 2.59±0.10 aA 2.60±0.06 aA
실시예 8 2.54±0.05 aA 2.53±0.05 aA 2.61±0.08 aA 2.58±0.09 aA 2.59±0.08 aA
실시예 9 2.53±0.05 aA 2.55±0.04 aA 2.63±0.05 aA 2.57±0.10 aA 2.61±0.09 aA



황색도
(b-value)


대조군 2.66±0.09aB 2.69±0.14 aB 2.81±0.17 aB 3.03±0.18 aA 3.05±0.07 aA
실시예 2 2.61±0.21aC 2.67±0.18 aC 2.82±0.11 aBC 2.99±0.14 aAB 3.03±0.10 aA
실시예 3 2.59±0.11 aB 2.66±0.17 aB 2.81±0.14 aB 3.02±0.14 aA 3.04±0.13 aA
실시예 4 2.62±0.18 aB 2.64±0.16 aB 2.79±0.17 aB 3.01±0.10 aA 3.02±0.08 aA
실시예 5 2.59±0.13 aB 2.66±0.07 aB 2.80±0.17 aB 2.99±0.14 aA 3.03±0.12 aA
실시예 6 2.54±0.09 aB 2.66±0.13 aB 2.76±0.14 aB 2.97±0.05 aA 3.00±0.14 aA
실시예 7 2.54±0.11 aC 2.63±0.15 aC 2.81±0.14 aBC 2.98±0.15 aAB 3.05±0.17 aA
실시예 8 2.56±0.10 aC 2.62±0.14 aC 2.83±0.15 aB 2.97±0.10 aAB 2.99±0.05 aA
실시예 9 2.55±0.09 aC 2.66±0.12 aBC 2.78±0.14 aB 3.00±0.13 aA 3.02±0.10 aA
* 평균 ± 표준편차 : 각 시료(우유)에서 8번 측정한 값
* A~D 행(row)과 a~c 열(column)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사후 검정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냄 (p<0.05).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칼슘강화우유의 명도(L-value)는 88.86±0.39에서 88.88±0.17로 첨가한 칼슘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졌지만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0~16일) 동안에도 칼슘 농도에 따른 명도 수치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적색도(a-value)는 16일 저장기간 동안과 칼슘 농도별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황색도(b-value)는 칼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저장기간 동안도 마찬가지로 증가하였으며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우유의 명도(L-value)는 소비자의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 본 실험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칼슘강화우유는 칼슘을 첨가하지 않은 일반 우유와 비교할 때 나노칼슘을 가용화함으로 인하여 우유의 품질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시험예 10 : 칼슘강화우유의 관능 평가
저장기간(0~16일) 동안 칼슘강화우유의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2~9에서 제조한 칼슘강화우유와 대조군 우유를 훈련된 10명의 관능요원에 의하여 저장기간 동안 (0, 4, 8, 12, 16일) 외관(appearance), 풍미(flavor), 맛(taste)에 대해 관능평가에 적합한 15℃에서 5점법으로 평가하였다 (표 4).
저장기간
(일)
칼슘강화
우유
외관 풍미
분산성 흙 냄새 떫은맛 쓴맛





0





대조군 1.00±0.00d1 ) 1.00±0.00c 1.00±0.00c 1.00±0.00b
실시예 2 1.57±0.53c 1.57±0.53ab 1.71±0.49bc 1.14±0.38ab
실시예 3 2.29±0.49b 1.86±0.69a 2.14±1.07bc 1.29±0.49ab
실시예 4 2.57±0.53ab 1.86±0.38a 2.43±0.79a 1.29±0.49ab
실시예 5 2.71±0.49a 1.86±0.38a 2.71±0.95a 1.43±0.53a
실시예 6 1.00±0.00d 1.14±0.38bc 1.29±0.49c 1.00±0.00b
실시예 7 1.00±0.00d 1.14±0.38bc 1.29±0.49c 1.00±0.00b
실시예 8 1.14±0.38d 1.29±0.49bc 1.43±0.53c 1.00±0.00b
실시예 9 1.14±0.38d 1.29±0.49bc 1.57±0.53c 1.00±0.00b





4





대조군 1.00±0.00d 1.00±0.00c 1.00±0.00e 1.00±0.00d
실시예 2 2.29±0.49c 2.14±0.38b 1.86±0.38bcd 1.29±0.49cd
실시예 3 3.00±0.58b 2.29±0.76b 2.00±0.00bc 1.57±0.53bc
실시예 4 3.29±0.49b 2.57±0.79b 2.14±0.38b 1.86±0.69b
실시예 5 2.71±0.49a 1.86±0.38a 2.71±0.49a 3.00±1.00a
실시예 6 1.00±0.00d 1.14±0.38c 1.43±0.53de 1.00±0.00d
실시예 7 1.00±0.00d 1.14±0.38c 1.43±0.53de 1.00±0.00d
실시예 8 1.14±0.38d 1.43±0.53c 1.57±0.53cde 1.00±0.00d
실시예 9 1.14±0.38d 1.43±0.53c 1.71±0.49bcde 1.00±0.00d





8





대조군 1.00±0.00d 1.00±0.00d 1.00±0.00d 1.00±0.00d
실시예 2 3.00±0.00c 2.43±0.53c 2.00±0.00bc 2.00±0.00c
실시예 3 3.57±0.53b 2.86±0.90bc 2.00±0.00bc 2.29±0.49b
실시예 4 4.43±0.53a 3.29±0.49b 2.29±0.49b 2.43±0.53b
실시예 5 4.71±0.49a 4.00±0.00a 3.00±0.58a 3.57±0.53a
실시예 6 1.00±0.00d 1.14±0.38d 1.43±0.53d 1.00±0.00d
실시예 7 1.00±0.00d 1.14±0.38d 1.43±0.53d 1.00±0.00d
실시예 8 1.14±0.38d 1.43±0.53d 1.57±0.53d 1.00±0.00d
실시예 9 1.14±0.38d 1.43±0.53d 1.71±0.49d 1.00±0.00d





12





대조군 1.00±0.00e 1.00±0.00d 1.00±0.00e 1.00±0.00d
실시예 2 3.86±0.38b 3.43±0.53c 3.00±0.00bc 3.00±0.00c
실시예 3 5.00±0.00a 3.86±0.90bc 3.00±0.00bc 3.29±0.49b
실시예 4 4.86±0.38a 4.29±0.49b 3.29±0.49b 3.43±0.53b
실시예 5 5.00±0.00a 5.00±0.00a 4.00±0.58a 4.57±0.53a
실시예 6 2.00±0.00d 1.14±0.38d 2.43±0.53d 1.00±0.00d
실시예 7 2.00±0.00d 1.14±0.38d 2.43±0.53d 1.00±0.00d
실시예 8 3.14±0.38c 1.43±0.53d 2.43±0.53d 1.00±0.00d
실시예 9 3.43±0.53c 1.43±0.53d 2.71±0.49d 1.00±0.00d





16





대조군 1.00±0.00e 1.00±0.00b 1.00±0.00e 1.00±0.00d
실시예 2 4.43±0.53b 4.57±0.53a 4.00±0.00bc 4.00±0.00c
실시예 3 5.00±0.00a 4.57±0.53a 4.00±0.00bc 4.29±0.49b
실시예 4 5.00±0.00a 5.00±0.00a 4.29±0.49b 4.43±0.53b
실시예 5 5.00±0.00a 5.00±0.00a 4.29±0.38a 5.00±0.00a
실시예 6 3.00±0.00d 1.14±0.38b 3.43±0.53d 1.00±0.00d
실시예 7 3.00±0.00d 1.14±0.38b 3.43±0.53d 1.00±0.00d
실시예 8 4.00±0.00c 1.43±0.53b 3.43±0.53d 1.00±0.00d
실시예 9 4.43±0.53b 1.43±0.53b 3.71±0.49cd 1.00±0.00d
* 대단히 강하다 (5 점), 보통 (3 점), 대단히 약하다 (1 점)
* 같은 열(column) 안의 다른 철자 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냄 (p<0.05).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기간 동안 대조군 우유와 실시예 2~9에서 제조한 칼슘강화우유의 분산성은 나노칼슘(실시예 6~9) 입자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반칼슘(실시예 2~5) 입자의 경우는 칼슘 농도가 높을수록 분산이 되지 않고 가라앉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저장기간이 12일 이후부터는 나노칼슘 분말도 높은 농도에서는 가라앉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또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p<0.05).
칼슘 분말 특유의 흙 냄새(Earthy flavor)는 일반칼슘 분말에서 강하게 났으며, 나노칼슘 분말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조금 높아졌지만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떫은맛(Astringency taste)의 경우는 일반칼슘과 나노칼슘 둘 다 농도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지만(p<0.05), 칼슘 첨가량 0.5, 1.0% (v/v)에서는 크게 느껴지지 않았다. 이는 칼슘을 가용화할 때 계면활성제의 영향으로 사료된다.
쓴맛(Bitterness taste)의 경우는 일반칼슘 분말을 첨가한 우유(실시예 2~5)에서 칼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장기간이 길어 질수록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나노칼슘 입자를 첨가한 우유(실시예 6~9)의 경우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결론적으로 일반칼슘을 분산하여 첨가하였을 때와 비교해보면 나노칼슘을 분산하였을 때 낮은 농도 0.5, 1.0% (v/v)에서 저장기간 동안 분산성도 좋았을 뿐만 아니라 떫은맛과 쓴맛에서도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0.5, 1.0% (v/v)의 나노칼슘 분산액을 첨가하였을 때 관능적인 면에서 가장 적절하고, 품질적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Claims (8)

  1. 굴 패각으로부터 추출하여 건조시킨 칼슘 분말을 분쇄하여 나노칼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정제수에 상기 나노칼슘 분말을 첨가한 후 균질화시켜 나노칼슘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칼슘 분산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후 교반시켜 나노칼슘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칼슘 분말은 100 내지 500㎚의 평균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는 폴리글리세린 스테아린산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용화 나노칼슘이 포함된 음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우유, 요구르트, 두유, 과실 음료, 탄산 음료, 이온 음료, 커피 및 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7. 굴 패각으로부터 추출하여 건조시킨 칼슘 분말을 분쇄한 나노칼슘 분말 및 폴리글리세린 스테아린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칼슘 흡수 증진용 조성물.
  8. 제7항의 칼슘 흡수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 또는 유음료의 칼슘 흡수가 증진된 우유 또는 유음료.
KR1020140070592A 2014-06-11 2014-06-11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20150142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592A KR20150142724A (ko) 2014-06-11 2014-06-11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592A KR20150142724A (ko) 2014-06-11 2014-06-11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724A true KR20150142724A (ko) 2015-12-23

Family

ID=5508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592A KR20150142724A (ko) 2014-06-11 2014-06-11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27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771A (ko) 2018-12-19 2020-06-3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KR20200106354A (ko) 2019-03-04 2020-09-1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771A (ko) 2018-12-19 2020-06-3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KR20200106354A (ko) 2019-03-04 2020-09-1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526730A (ja) フィールドビーンタンパク質組成物
JP4673235B2 (ja) 鉄強化食品用組成物
WO2006114840A1 (ja) 乳蛋白質を含有する鉄組成物
KR20150142724A (ko)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EP2968070A1 (en) Product and method for improving bioavailability of therapeutic compounds
JP2005073695A (ja) 高分散性乳清カルシウ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042977B2 (ja) 食品添加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4833176B2 (ja) 鉄強化飲食品用組成物
KR101457333B1 (ko) 생대두 미세분말을 이용한 무첨가 무조정 두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첨가 두유
CA2531029C (en) Mineral composition
JP4856042B2 (ja) 加熱殺菌済みパスタソース
JP6546405B2 (ja) カルシウム強化食品
KR100698897B1 (ko) 식품첨가용 칼슘제 슬러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235511A (ja) 食品添加用カルシウム剤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食品添加用カルシウム剤組成物
KR100839211B1 (ko) 고분산성 철분제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287544B2 (ja) ドロマイト微粒子分散飲料
JP4073054B2 (ja) 炭酸マグネシウム分散液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分散液を含む飲料
JP2009089679A (ja) 加熱殺菌済みパスタソース
JP3454077B2 (ja) 水不溶性カルシウム塩用分散剤および該分散剤を含有する飲料
JP2004147616A (ja) 水難溶性ミネラル用分散剤
JP3629589B2 (ja) 再懸濁型粉末状カルシウム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食品組成物
JP4916621B2 (ja) ミネラル強化用組成物の製造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食品
JP7021396B2 (ja) 鉄含有組成物
JP3271172B2 (ja) マグネシウム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6959669B2 (ja) 炭酸カルシウム、食品添加用炭酸カルシウム製剤及び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