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809B1 - 지질대사개선제 - Google Patents

지질대사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809B1
KR100458809B1 KR1019970703000A KR19970703000A KR100458809B1 KR 100458809 B1 KR100458809 B1 KR 100458809B1 KR 1019970703000 A KR1019970703000 A KR 1019970703000A KR 19970703000 A KR19970703000 A KR 19970703000A KR 100458809 B1 KR100458809 B1 KR 10045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phospholipid
lecithin
hydrolyzat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3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832A (ko
Inventor
고로 호리
가즈히로 마쓰오까
이와오 사또
사또시 나가오까
Original Assignee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와 핫꼬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706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2Peptides of undefined number of 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80Past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sewhere, e.g. cakes, biscuits or cook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24Organic nitrogen compounds
    • A21D2/26Proteins
    • A21D2/268Hydrolysates from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0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21D2/32Phosphat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23J3/16Vegetable proteins from soy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23J3/18Vegetable proteins from w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3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 A23J3/32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 A23J3/34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using chemical agents usin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7/00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 A23L13/67Reformed meat products other than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02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in sol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Zoology (AREA)
  • Diabet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 인지질의 함유량이 10 중량% 이상인 단백질과 인지질의 결합물 또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인지질의 결합물, 그 결합물로 이루어진 지질 대사 개선제 또는 그 결합물을 함유해서 이루어진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질 대사 개선제 및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질 대사 개선제
본 발명은 지질 대사 개선제 및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지질 대사는 식물 유래의 트리글리세리드를 주체로 하는 지방을 생체내에서 이화 (분해), 동화 (축적) 하는 과정을 가리키고, 광의로는 지질의 에너지화 반응, 지방산의 생합성, 아실글리세롤의 생합성, 인지질의 대사, 콜레스테롤의 대사 등을 함유하는 것이다 [영양학을 위한 생화학, 산자끼 (三埼) 아사히 저, 아사꾸라쇼뗑 (1993), 제 123-134 페이지].
최근에, 성인병, 그 중에서도 심장혈관계의 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급증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 발증의 위험률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의 상관이 지적되고 있다. 이런 중에, 식품 성분에 의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내리려고 하는 시도가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혈중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내리는 단백질로 부청 (whey) 단백질 [Agric. Biol. Chem., 55 , 813 (1991)], 대두 단백질 [Atherosclerosis, 72 , 115 (1988)], 유청 단백질 (일본국 특개평 5-176713 호 공보), 대두 단백 가수분해물 [J. Nutr., 120 , 977 (1990)] 등이 알려져 있다.
또, 난황 인지질이 혈중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gric. Biol. Chem., 53 , 2469 (1989)].
또한, 락토알부민, 콜라겐, 대두 단백질 또는 소맥 글루텐과 대두 레시틴 (0, 2.5 및 5 %) 의 조합에 의해 혈중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는 시도가 실시되고 있다 [Nutr. Rep. Int., 28 , 621 (1983)].
6 %의 대두 레시틴을 함유한 조직상의 대두 단백질을 사용하여 혈중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Ann. Nutr. Metab., 29 , 348 (1985)].
본 발명은 결합 인지질의 함유량이 10 중량% 이상인 단백질과 인지질의 결합물 또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인지질의 결합물, 그 결합물로 이루어진 지질 대사 개선제 또는 그 결합물을 함유해서 이루어진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로는 동물, 식물, 미생물에서 유래한 것, 바람직하게는 소맥, 대두, 옥수수, 우유에서 유래한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맥, 대두에서 유래한 것이 사용된다. 이 중에서, 소맥에서 유래한 단백질로서는 소맥 글루텐을 들 수 있다. 소맥 글루텐, 대두 단백 등은 시판되고 있어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인지질로서는 포스파티딜 콜린,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포스파티딜 세린, 스핑고미엘린, 포스파티딘산 등의 이외에, 이들 혼합물인 레시틴 등이 사용된다.
레시틴으로는 동물, 식물, 미생물에서 유래한 것, 바람직하게는 뇌, 간장, 난황, 대두, 효모에서 유래한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두, 난황에서 유래한 것이 사용된다.
레시틴은 그대로의 것을 사용해도 좋지만, 포스포리파아제 등의 효소로 처리해서 수득되는 효소 처리 레시틴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이들은 시판되고 있어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 인지질이란, 석유 에테르 등의 비극성 유기 용매로 처리해도 단백질과 결합하는 인지질을 말한다.
결합 인지질량은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인지질의 결합물의 총 인지질량 및 그 결합물을 석유 에테르 등의 비극성 유기 용매로 처리하면 그 유기 용매 중에서 추출되는 인지질 (이하 유리 인지질이라 한다) 을 각각 정량하고, 수득된 총 인지질량과 유리 인지질의 차이로 산출된다.
결합 인지질의 함유량은 결합물 중에 함유된 결합 인지질량의 비율 (중량%)로 산출된다.
본 발명의 결합물은 결합 인지질을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50 % 함유한다.
단백질과 인지질의 결합물은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해도 좋지만, 단백질과 인지질을 바람직하게는 물의 존재하에서, 혼합 교반기를 사용하여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해 인지질 10 ~ 10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해 인지질 20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 4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해서 본 발명의 결합물을 제조하면, 결합물 중의 결합 인지질의 함유량이 높아지고, 또한 결합 인지질량이 총 인지질량을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져 바람직하다. 이 제조 방법으로는 단백질에, 물에 분산시킨 인지질 분산액을 첨가시키고, 실온에서 강력 혼합기 (50 ~ 200 rpm) 또는 호모지나이저 (5,000 ~ 15,000 rpm) 등을 사용하는 혼합 방법이 예시된다.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인지질의 결합물은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인지질을 혼합하거나, 단백질과 인지질을 혼합해서 수득되는 결합물의 단백질 부분을 수성 매체 중에 가수분해해서 제조된다.
단백질의 가수분해물로는 단백질을 수성 매체 중에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을 갖는 효소 또는 산에 의한 처리 등을 해서 가수분해한 것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수분해물 중에 분자량이 5,000 ~ 3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 20,000 의 수난용성물 (水難溶性物) 을 들 수 있다.
이 수난용성물은 예를 들면 다음 방법으로 수득된다. 단백질을 물에 분산시킨 후, 염산 또는 가성 (苛性) 소오다로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을 갖는 효소의 최적 pH 부근으로 조정한다.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을 갖는 효소를 기질 단백질에 대해 0.5 ~ 2 % 첨가시키고, 효소의 최적 pH, 최적 온도에서 20 ~ 30 시간 반응시킨다. 반응 후, 85 ~ 95 ℃에서 1 시간 정도 가열시키고, 효소 반응을 정지시킨 후, 가성 소오다 또는 염산으로 중화시킨다. 이어서, 원심 분리함으로써 수난용성물을 수득한다.
수성 매체로는 물, 완충액, 알콜류, 에스테르류, 케톤류, 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지만, 물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을 갖는 효소로는 펩신, 트립신, 판크레아틴, 파파인 등을 들 수 있다.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인지질의 결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물의 존재하에서 혼합 교반기를 사용하여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인지질을 단백질의 가수분해물 100 중량부에 대해 인지질 10 ~ 10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단백질의 가수분해물 100 중량부에 대해 인지질 20 ~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 4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해서 본 발명의 결합물을 제조하면, 결합 인지질의 함유량이 많아지고, 또한 결합 인지질량이 총 인지질량을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져 바람직하다. 이 제조 방법으로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에, 물에 분산시킨 인지질 분산액을 첨가시키고, 실온에서 강력 혼합기 (50 ~ 200 rpm) 또는 호모지나이저 (5,000 ~ 15,000 rpm) 등을 사용하는 혼합 방법이 예시된다.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인지질의 결합물은 단백질 대신에 단백질과 인지질의 결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해서 그 결합물의 단백질 부분을 가수분해함으로써, 분자량 5,000 ~ 30,000, 바람직하게는 10,000 ~ 20,000 의 수난용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결합물의 단백질 부분의 가수분해는 수성 매체 중에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을 갖고 있는 효소로 처리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인지질의 결합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단백질과 인지질을 혼합해서 수득된 결합물의 단백질 부분을 수성 매체 중에서 가수분해해서 제조하는 방법 쪽이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인지질을 혼합해서 제조하는 방법보다도 단백질의 회수율이 좋고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결합물은 반응 혼합물로 그대로, 또는 반응 혼합물에서 결합물을 단리, 정제해서 이것을 사용해도 좋고, 그 반응 혼합물 또는 그 결합물을 건조 (동결 건조, 분무 건조 등) 처리한 후에 분쇄해서 이것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결합물 중에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인지질의 결합물 쪽이 단백질과 인지질의 결합물보다도 지질 대사를 개선하는 효과에서 양호하다.
본 발명의 지질 대사 개선제는 정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캡슐제, 시럽제, 장용제, 트로치제, 드링크제 등 어느 제형의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제의 투여 형태는 특히 한정되어 있지 않지만,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의 경우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그대로 제로 투여해도 좋지만, 식품 또는 의약으로 허용할 수 있는 부형제와 함께 일반적인 제제 방법을 사용해서 제제화한 것을 투여해도 좋다.
부형제로는 솔비톨, 락토스, 글루코스, 유당 등의 당류, 덱스트린, 전분, 탄산 칼슘, 황산 칼슘 등의 무기물, 결정 셀룰로스, 증류수, 참깨 기름, 옥수수 기름, 올리브유, 면실유 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제제화할 때에는 결합제, 활택제, 분산제, 현탁제, 유화제, 희석제, 완충제, 항산화제, 세균 억제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투여량은 연령, 성별, 질환 정도, 투여 형태, 투여 회수, 제형 등에 의해 다르지만,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구 투여의 경우, 2 ~ 100 g/일을 1 ~ 4 회로 나누어서 투여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 필요에 따라 상기 제한외의 투여량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지질 대사 개선제는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제로 사용되는 것 이외에, 지방간,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 경화증, 비만증, 당뇨병, 심근경색 등의 질환 치료 및 예방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결합 인지질의 함유량이 10 % 이상인 단백질의 가수분해물과 인지질의 혼합물을 식품 원료에 0.1 %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30 % 함유하도록 첨가시키고, 일반적인 식품의 제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가공,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에는 추가로 단백질, 당류, 지방, 미량 원소, 비타민류, 유화제, 향료 등을 배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 성분이 갖고 있는 생체 방어, 신체 리듬 조절, 질병 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신체 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해 충분히 발현할 수 있도록 설계해서 가공된 식품을 말한다.
식품 종류로는 쥬스류, 청량 음료수, 차류, 유산균 음료, 빙과, 우유, 유제품 (버터, 치즈, 요구르트, 가공 우유, 탈지 우유 등), 육류, 육류 제품 (햄, 소세지, 햄버거 등), 어류, 어류 제품 (어묵, 오뎅류, 소세지 등), 계란, 계란 제품 (계란말이, 계란 두부 등), 과자류 (쿠키, 젤리, 스낵 과자 등), 빵류, 면류, 절임류, 훈제품, 건물 (乾物), 조림, 염장품 (
Figure pct00001
藏品), 스프류, 조미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의 형태로는 통상 식품의 형태 이외에, 자연 유동식, 반소화태 영양식, 성분 영양식, 드링크 영양식 등의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지질 대사, 특히 콜레스테롤 대사를 개선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 이외에, 지방간,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 경화증, 비만증, 당뇨병, 심근 경색 등의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해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성인의 섭취량으로는 2 ~ 100 g/일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에 대한 시험예를 나타낸다.
시험예 1
시험방법
5 주령된 wistar 계 수컷쥐를 사용하여 시판되는 고형사료 [MF : 오리엔탈고오보 고오교사 제] 를 3 일간 부여하고 체중에 유의차가 생기지 않도록 1 군 6 마리로 나누어서 실시하였다. 각 시험군에 사용되는 사료는 표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단백질은 단백질 수준이 20 % 가 되도록 배합하고, 추가로 각 시험군의 총 중량이 같아지도록 자당을 첨가해서 조제하였다. 각 시험군과 함께 사료를 동일한 양씩 부여해서 10 일간 사육한 후, 혈청 총 콜레스테롤, 혈청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 간장 총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2
결과를 제 2 표에 표시한다.
[표 2]
Figure pct00003
표에서 알 수 있듯이, 혈청 총 콜레스테롤에 관해서는, 시험군 3 및 4 는 시험군 2 와 거의 동일한 값이나, 혈청 HDL 콜레스테롤에 관해서는 시험군 1 및 2 에 비하여 증가하고 있다. 이들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혈청 HDL 콜레스테롤의 관계를 동맥 경화 지수에서 보면, 시험군 3 및 4 의 동맥 경화 지수는 시험군 1 및 2 의 그것에 비해 크며, 혈청 중의 콜레스테롤이 대사 개선되었다. 또한 간장 총 콜레스테롤에 관해서도, 시험군 3 및 4 는 시험군 1 및 2 에 비해 감소하였다. 또한 시험군 사이에서 섭식량 및 체중 증가에 유의차는 볼 수 없었다.
시험예 2
각 시험군에 사용되는 사료로서 표 3 에 나타낸 사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 과 동일하게 시험을 실시해서 표 4 에 나타낸 결과를 얻었다.
[표 3]
Figure pct00004
[표 4]
Figure pct00005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시험군 6 은 시험군 5 와 동맥 경화 지수는 동일하나, 간장 총 콜레스테롤은 감소하였다. 또한, 시험군 사이에서 섭식량 및 체중 증가에 유의차는 볼 수 없었다.
시험예 3
각 시험군에 사용되는 사료로 표 5 에 나타낸 사료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시험예 1 과 동일하게 시험을 실시해서 표 6 에 나타낸 결과를 얻었다.
[표 5]
Figure pct00006
[표 6]
Figure pct00007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시험군 8 및 9 는 시험군 7 에 비해 동맥 경화 지수가 크며, 혈청 중의 콜레스테롤이 대사 개선되었다. 또한, 간장 총 콜레스테롤에 관해서도 시험군 8 및 9 는 시험군 7 에 비해 매우 감소하였고, 또 시험군 8 은 시험군 9 보다 감소하였다. 또한, 시험군 사이에서 섭식량 및 체중 증가에 유의차는 볼 수 없었다.
시험예 4
시험예 1 에서 표 7 에 나타낸 사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 과 동일하게 해서 표 8 에 나타낸 결과를 얻었다.
[표 7]
Figure pct00008
[표 8]
Figure pct00009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시험군 12 ~ 14 는 시험군 10 및 11 에 비해 동맥 경화 지수가 크며, 혈청 중의 콜레스테롤이 대사 개선되었다. 또한, 간장 총 콜레스테롤에 관해서도, 시험군 12 ~ 14 는 시험군 10 및 11 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시험군 13 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시험군 사이에서 섭식량 및 체중 증가에 유의차는 볼 수 없었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의 태양을 설명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예 1
레귤러 글루텐 A (소맥 글루텐 : 붕게사제, 결합 인지질 함량 : 0.3 %) 1 kg 에 에르마이저 AC (효소 처리 레시틴 ; 교오와 학꼬 고오교사 제) 의 5 % 수 분산액 2.4 L 를 첨가하였다. 이것을 빵용 믹서로 실온에서 10 분간 혼합 반죽 (100 r.p.m) 해서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해서 약 1.1 kg 의 단백질 · 인지질 결합체 (결합 인지질 함량 : 10 %, 유리 인지질 함량 : 1.0 %) 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프로믹 P (분리 대두 단백질 : 교오와 학꼬 고오교사 제, 결합 인지질 함량 : 1.0 %) 1 kg 에, 에르마이저 AC 의 2.5 % 분산액 10 L 를 첨가하였다. 이것을 실온에서 10 분간 고속 교반 (10,000 r.p.m) 해서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해서 1.1 kg 의 단백질 · 인지질 결합체 (결합 인지질 함량 : 20 %, 유리 인지질 함량 : 1.0 %) 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 에서 에르마이저 AC 대신에 SLP-화이트 [정제 대두 레시틴 : 쓰루 - 레시틴사 제] 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해서, 약 1.1 kg 의 단백질 · 인지질 결합체 (결합 인지질 함량 : 20 %, 유리 인지질 함량 : 1.0 %)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서 수득된 단백질 · 인지질 결합체 1 kg 을 9 L 의 물에 분산시킨 후, 2 N 염산으로 pH 2 로 조정하였다. 펩신 [활성도 ; 1 : 10,000 (활성도 1 : 10,000 이란 염산 산성 50 ℃ 에서 2 시간에 본품 1 g 이 10,000 g 의 난백 단백질을 가수분해하는 활성을 나타냄), 나까라이테스크사] 을 단백질 · 인지질 결합체에 대해 1 % 첨가시키고, 37 ℃ 에서 24 시간 반응시킨 후, 90 ℃ 에서 1 시간 가열하고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액을 2 N 가성 소오다로 중화시킨 후, 원심 분리하였다. 수득된 침전물에 물을 첨가해서 재차 원심 분리하였다. 이 조작을 2 회 반복해서 침전물의 세정을 행하였다. 이것을 동결 건조 시킨 후에 분쇄해서, 수난용성을 나타내는 단백질·인지질 결합체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분자량 : 약 15,000, 결합 인지질 함량 : 10 %, 유리 인지질 함량 : 0.3 %) 을 200 g 수득하였다. 분자량의 측정은 소듐도데실술페이트 (SDS) - 폴리아크릴아미드겔 전기 영동법에 의한다 (이하, 분자량의 측정은 같은 방법에 의한다).
실시예 5
실시예 4 에서, 실시예 1 에서 수득된 단백질 · 인지질 결합체 대신에 실시예 2 에서 수득된 단백질·인지질 결합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실시해서 수난용성 단백질·인지질 결합체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분자량 : 약 15,000, 결합 인지질 함량 : 20 %, 유리 인지질 함량 : 0.5 %) 을 200 g 수득하였다.
원료 단백질 및 수득된 단백질·인지질 결합체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함유된 단백질에 관해, 각각 켈다알법을 사용해서 질소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이것에 환산 계수로 6.25 를 곱해서 단백질의 중량으로 하고, 원료 단백질에 대한 그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함유된 단백질의 회수율을 산출한 바 19.1 % 였다.
실시예 6
실시예 4 에서, 실시예 1 에서 수득된 단백질 · 인지질 결합체 대신에 실시예 3 에서 수득된 단백질·인지질 결합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실시해서 수난용성물 단백질·인지질 결합체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분자량 : 약 15,000, 결합 인지질 함량 : 20 %, 유리 인지질 함량 : 0.5%) 을 200 g 수득하였다.
실시예 7
레귤러 글루텐 A (결합 인지질 함량 : 0.3%) 1 kg 을 9 L 의 물에 분산시킨 후 2 N 염산으로 pH 2 로 조정하였다. 펩신 [활성도 ; 1 : 10,000, 나까라이테스크사] 을 레귤러 글루텐 A 에 대해 1 % 첨가시키고, 37 ℃ 에서 24 시간 반응시킨 후, 90 ℃ 에서 1 시간 가열하고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액을 2N 가성 소오다로 중화시킨 후, 원심 분리하였다. 수득된 침전물에 물을 첨가하고 재차 원심 분리하였다. 이 조작을 2 회 반복해서 침전물의 세정을 행하였다. 이것을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해서 200 g 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분자량 : 약 15,000) 을 수득하였다. 이 단백질 가수분해물 200 g 에 에르마이저 AC 의 2.5 % 분산액, 1.0 L 를 첨가시키고 고속 교반 (10,000 r.p.m.) 해서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해서, 220 g 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인지질 결합체 (결합 인지질 함량 : 10 %, 유리 인지질 함량 : 1.0 %) 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8
프로믹 P (결합 인지질 함량 : 1.0 %) 1 kg 을 9 L 의 물에 분산시킨 후, 2 N 염산으로 pH 2 로 조정하였다. 펩신 [활성도 ; 1 : 10,000, 나까라이테스크사] 을 프로믹 P 에 대해 1 % 첨가시키고, 37 ℃ 에서 24 시간 반응시킨 후, 90 ℃ 에서 1 시간 가열하고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액을 2 N 가성 소오다로 중화시킨 후, 원심 분리하였다. 수득된 침전물에 물을 첨가하고 재차 원심 분리하였다. 이 조작을 2 회 반복해서 침전물의 세정을 행하였다. 이것을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해서 200 g 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분자량 : 약 15,000) 을 수득하였다. 이 단백질 가수분해물 200 g 에 에르마이저 AC 의 2.5 % 분산액, 2.0 L 를 첨가시키고, 고속 교반 (10,000 r.p.m.) 해서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해서 250 g 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인지질 결합체 (결합 인지질 함량 : 20 %, 유리 인지질 함량 : 1.0 %) 를 수득하였다.
원료 단백질 및 수득된 단백질 가수분해물·인지질 결합체에 함유된 단백질의 회수율에 관해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해서 원료 단백질에 대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인지질 결합체에 함유된 단백질의 회수율을 산출한 바 12.4 % 였다.
실시예 9
실시예 8 에서, 에르마이저 AC 대신에 SLP-화이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하게 해서 250 g 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인지질 결합체 (결합인지질 함량 : 20 %, 유리 인지질 함량 : 1.0 %) 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프로믹 P (결합 인지질 함량 : 1.0 %) 1 kg 과 SLP-화이트 250 g 을 혼합해서, 1250 g 의 단백질과 인지질의 혼합물 (결합 인지질 함량 : 0.8 %, 유리 인지질 함량 : 20 %) 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레귤러 글루텐 A (결합 인지질 함량 : 0.3 %) 1 kg 과 에르마이저 AC 110 g 을 혼합해서, 1110 g 의 단백질과 효소 처리 레시틴의 혼합물 (결합 인지질 함량 : 0.3 %, 유리 인지질 함량 : 10 %) 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프로믹 P (결합 인지질 함량 : 1 %) 1 kg 을 9 L 의 물에 분산시킨 후, 2 N 염산으로 pH 2 로 조정하였다. 펩신 [활성도 ; 1 : 10,000, 나까라이테스크사] 을 프로믹 P 에 대해 1 % 첨가시키고, 37 ℃ 에서 24 시간 반응시킨 후, 90 ℃ 에서 1 시간 가열하고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액을 2 N 가성 소오다로 중화시킨 후, 원심 분리하였다. 수득된 침전물에 물을 첨가시키고 재차 원심 분리하였다. 이 조작을 2 회 반복해서 침전물의 세정을 행하였다. 이것을 동결 건조시킨 후, 분쇄해서 200 g 의 단백질 가수분해물 (분자량 약 15,000) 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수득된 단백질 가수분해물 1 kg 과 SLP-화이트 250 g 을 혼합해서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인지질의 혼합물 1250 g (결합 인지질 함량 : 0.8 %, 유리 인지질 함량 : 20 %)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0
다음 배합에 의해 햄버거 (2 인분) 를 제조한다.
양파 : 1/2 개
간고기 : 100 g
물 : 29.2 g
라아드 : 11.8 g
실시예 5 에서 수득된 수난용성물 : 9 g
계란 : 1 개
빵가루 : 소량
조미료 : 소량
실시예 11
다음 배합에 의해 쿠키 (30 개분) 를 제조한다.
박력분 : 100 g
전분 : 74 g
물 : 14 g
실시예 5 에서 수득된 수난용성물 : 9 g
베이킹파우더 : 작은 스푼 2
소금 : 작은 스푼 1/2
계란 : 1 개
버터 : 80 g
우유 : 큰 스푼 2
꿀 : 소량
실시예 12
다음 배합에 의해 음료용 분말 프로틴을 제조한다.
실시예 5 에서 수득된 수난용성물 : 80 g
카제인 나트륨 : 17.5 g
L - 발린 : 0.5 g
피롤린산 제 2 철 (철원) : 0.1 g
포스칼 EFC (칼슘원 : 닉꼬 파인 프로덕트사) : 1 g
비타민 믹스 (메르크사) : 1 g
음료로 하는 경우에는 본품 20 g 을 물 180 ml 에 분산시킨다.
실시예 13
다음 배합에 의해 정제 (태블레트정) 를 제조한다.
실시예 5 에서 수득된 수난용성물 : 2 g
분당 : 2.6 g
아스코르빈산 : 150 mg
시트르산 : 0.1 g
자당 스테아린산 에스테르 : 150 mg
항료 : 15 mg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질 대사 개선제 및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비극성 유기용매로 처리하여도 단백질과 결합하고 있는 인지질의 함유량이 20 내지 50 중량%이고, 단백질이 소맥, 대두, 옥수수 혹은 우유에서 유래하는 단백질 또는 그 가수분해물이며, 또한 인지질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미엘린, 포스파티딘산, 레시틴 및 효소처리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인지질인, 단백질과 인지질과의 결합물로 이루어지는 지질 대사 개선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약리학적으로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분산제, 현탁제, 유화제, 희석제, 완충제, 항산화제 또는 세균억제제와 함께 투여가능한 형태인 지질 대사 개선제.
  3. 비극성 유기용매로 처리하여도 단백질과 결합하고 있는 인지질의 함유량이 20 내지 50 중량%이고, 단백질이 소맥, 대두, 옥수수 혹은 우유에서 유래하는 단백질 또는 그 가수분해물이며, 또한 인지질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미엘린, 포스파티딘산, 레시틴 및 효소처리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인지질인, 단백질과 인지질과의 결합물로 이루어지는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약리학적으로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분산제, 현탁제, 유화제, 희석제, 완충제, 항산화제 또는 세균억제제와 함께 투여가능한 형태인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제.
  5. 비극성 유기용매로 처리하여도 단백질과 결합하고 있는 인지질의 함유량이 20 내지 50 중량%이고, 단백질이 소맥, 대두, 옥수수 혹은 우유에서 유래하는 단백질 또는 그 가수분해물이며, 또한 인지질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미엘린, 포스파티딘산, 레시틴 및 효소처리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인지질인, 단백질과 인지질과의 결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지질 대사 개선용 식품.
  6. 제 5 항에 있어서, 결합물의 함유량이 0.1 내지 50 중량% 인 지질 대사 개선용 식품.
  7. 비극성 유기용매로 처리하여도 단백질과 결합하고 있는 인지질의 함유량이 20 내지 50 중량% 이고, 단백질이 소맥, 대두, 옥수수 혹은 우유에서 유래하는 단백질 또는 그 가수분해물이며, 또한 인지질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미엘린, 포스파티딘산, 레시틴 및 효소처리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인지질인, 단백질과 인지질과의 결합물을 함유하는 지질 대사 개선제.
  8. 제 7 항에 있어서,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분산제, 현탁제, 유화제, 희석제, 완충제, 항산화제 또는 세균억제제를 함유하는 지질 대사 개선제.
  9. 비극성 유기용매로 처리하여도 단백질과 결합하고 있는 인지질의 함유량이 20 내지 50 중량%이고, 단백질이 소맥, 대두, 옥수수 혹은 우유에서 유래하는 단백질 또는 그 가수분해물이며, 또한 인지질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미엘린, 포스파티딘산, 레시틴 및 효소처리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인지질인, 단백질과 인지질과의 결합물을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분산제, 현탁제, 유화제, 희석제, 완충제, 항산화제 또는 세균억제제를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제.
  11. 비극성 유기용매로 처리하여도 단백질과 결합하고 있는 인지질의 함유량이 20 내지 50 중량%이고, 단백질이 소맥, 대두, 옥수수 혹은 우유에서 유래하는 단백질 또는 그 가수분해물이며, 또한 인지질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미엘린, 포스파티딘산, 레시틴 및 효소처리 레시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인지질인, 단백질과의 결합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용 식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결합물의 함유량이 0.1 내지 50 중량% 인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용 식품.
KR1019970703000A 1995-09-06 1996-09-06 지질대사개선제 KR100458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892895 1995-09-06
JP95-228928 1995-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832A KR970706832A (ko) 1997-12-01
KR100458809B1 true KR100458809B1 (ko) 2005-09-08

Family

ID=1688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3000A KR100458809B1 (ko) 1995-09-06 1996-09-06 지질대사개선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90702B2 (ko)
EP (1) EP0790060B1 (ko)
JP (1) JP3599347B2 (ko)
KR (1) KR100458809B1 (ko)
CN (1) CN1136007C (ko)
AT (1) ATE253927T1 (ko)
AU (1) AU721852C (ko)
CA (1) CA2204406C (ko)
DE (1) DE69630666T2 (ko)
WO (1) WO19970090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9138A1 (fr) * 1998-08-12 2000-02-24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Compositions a finalite nutritionnelle pour prevenir ou traiter l'hyperlipoproteinemie
JP2002226394A (ja) * 2001-02-01 2002-08-14 Meiji Milk Prod Co Ltd 脂質代謝改善組成物
FI20012553A0 (fi) * 2001-12-21 2001-12-21 Raisio Benecol Oy Syötävät koostumukset
CN102240040B (zh) * 2002-04-18 2014-12-24 孟山都技术有限公司 用于减少心血管疾病风险的油体缔合蛋白质的组合物和方法及其用途
FI20031004A0 (fi) * 2003-07-03 2003-07-03 Raisio Benecol Oy Uusi syötävä koostumus
JP4891522B2 (ja) * 2003-10-03 2012-03-07 株式会社ファンケル 血清got、gpt改善剤
WO2006045008A2 (en) * 2004-10-19 2006-04-27 Cargill, Incorporated Meat having increased level of hdl
BRPI0707045A2 (pt) * 2006-03-24 2011-04-12 Unilever Nv produto alimentìcio e uso de um produto alimentìcio
JP5273722B2 (ja) * 2007-02-02 2013-08-28 国立大学法人佐賀大学 アディポネクチン上昇剤
FI122252B (fi) * 2008-01-04 2011-10-31 Valio Oy Koostumus maksa-aineenvaihdunnan parantamiseksi ja diagnostinen menetelmä
JP2012140396A (ja) * 2010-12-16 2012-07-26 Nisshin Seifun Group Inc コレステロール低下用組成物
US9510613B2 (en) 2011-05-02 2016-12-06 Lion Corporation Panaxadiol-containing composition
DE102014218053B4 (de) * 2014-09-10 2019-05-29 Sivantos Pte. Ltd. Hörinstrument mit Stromversorgungseinheit und Stromversorgungseinheit für ein Hörinstru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2632A (ja) * 1984-12-26 1986-07-11 Dai Ichi Seiyaku Co Ltd 抗動脈硬化剤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7916A (ja) * 1983-11-01 1985-05-31 Ajinomoto Co Inc コレステロ−ル低下又は上昇抑制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S625920A (ja) * 1985-07-02 1987-01-12 Showa Sangyo Kk コレステロ−ル降下剤
GB8616041D0 (en) 1986-07-01 1986-08-06 Unilever Plc Phosphatide-containing compositions
JPH0618626B2 (ja) 1987-05-16 1994-03-16 株式会社中埜酢店 レシチン−蛋白質複合体からなる乳化剤
JP2673887B2 (ja) * 1987-08-24 1997-11-05 日清製油株式会社 化粧料
JPH0452017Y2 (ko) 1987-09-30 1992-12-08
US5171737A (en) 1989-03-03 1992-12-15 The Liposome Company, Inc. Emulsions
JP2718809B2 (ja) 1989-07-06 1998-02-25 株式会社サム研究所 修飾生物活性蛋白
US5109118A (en) 1989-07-06 1992-04-28 Yutaka Mizushima Modified biologically active proteins
JPH0748992B2 (ja) * 1990-04-16 1995-05-31 日本油脂株式会社 血栓防止用粉末組成物
JP2618540B2 (ja) 1991-03-26 1997-06-11 キユーピー株式会社 蛋白複合体
US5344822A (en) * 1992-08-12 1994-09-06 The Rogosin Institute Methods useful in endotoxin prophylaxis and therapy
JPH0662425B2 (ja) * 1992-12-02 1994-08-17 生化学工業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含有血中脂質低下剤
US5785984A (en) 1993-02-05 1998-07-28 Kao Corporation Taste-modifying method and bitterness-decreasing method
JP2574989B2 (ja) 1993-08-09 1997-01-22 鹿島建設株式会社 シールド工法におけるセグメント位置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NL9400757A (nl) 1994-05-06 1995-12-01 Campina Melkunie Bv Door hydrolysaten gestabiliseerde hitte-stabiele olie-in-water emulsies.
US5578639A (en) * 1994-07-01 1996-11-26 Warner-Lambert Company PLA2 inhibitors and their use for inhibition of intestinal cholesterol absorption
DE60012301D1 (de) 1999-01-22 2004-08-26 Hunza Di Pistolesi Elvira & C Lipoproteinkomplexe und zusammensetzungen, die diese enthalt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2632A (ja) * 1984-12-26 1986-07-11 Dai Ichi Seiyaku Co Ltd 抗動脈硬化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60725A1 (en) 2006-07-20
EP0790060A1 (en) 1997-08-20
CN1161001A (zh) 1997-10-01
US7790702B2 (en) 2010-09-07
JP3599347B2 (ja) 2004-12-08
CA2204406A1 (en) 1997-03-13
CA2204406C (en) 2008-11-25
WO1997009059A1 (fr) 1997-03-13
KR970706832A (ko) 1997-12-01
ATE253927T1 (de) 2003-11-15
AU721852C (en) 2001-08-30
EP0790060A4 (en) 2000-12-13
AU6890296A (en) 1997-03-27
AU721852B2 (en) 2000-07-13
CN1136007C (zh) 2004-01-28
DE69630666T2 (de) 2004-09-30
EP0790060B1 (en) 2003-11-12
DE69630666D1 (de)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0702B2 (en) Lipid metabolism improving agent
US5447732A (en) High-absorption mineral-containing composition and foods
IL130710A (en) Method to prepare food seasoning, food ingredient and food item compositions, seasoning and use thereof
KR20040079912A (ko) 혈청 지질 프로필을 개선하고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을예방하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물 및 식물 스테롤을함유하는 조성물
WO2008062559A1 (fr) Supplément diététique, agent anti-fatigue, activateur d'endurance physique, aliment fonctionnel, ou produit cosmétique
KR20060082015A (ko) 난유래 골 강화 조성물
EP0605757B1 (en) Compositions and goods containing minerals and poly-gamma-glutamic acid
KR100565160B1 (ko) 신규단백질결합물
EP2127663A1 (en) Adiponectin production enhancer
US20090093406A1 (en) Vegetable Protein Concentrate Having a Reduced Insoluble Dietary Fiber Content and Increase Amount of Soluble Dietary Fiber Content
JP2862418B2 (ja) 脂質代謝改善に有効な機能性食品
RU2352146C2 (ru) Композиция (варианты) и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из овса
US20020182250A1 (en) Lipid metabolism improving agent
JP2939301B2 (ja) 経口摂取組成物
AU719336B2 (en) A whey mineral of high zinc content
JPH08173093A (ja) 食品用組成物、苦味低減化法、及び栄養食品
CN1315413C (zh) 用于食欲控制的组合物和相关方法
AU764747B2 (en) Lipid metabolism improving agent
WO2005082166A1 (ja) ミネラル強化用組成物
JP4039713B2 (ja) 酸化防止剤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した食品又は飼料
JP2004337177A (ja) 脂質代謝改善剤
JP2004337177A5 (ko)
US20040265426A1 (en) Process for producing miso
JP3695388B2 (ja) 混合物、プレミックス、パンおよびパンの製造法
JP5060691B2 (ja) 栄養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