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378B1 -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 Google Patents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378B1
KR100458378B1 KR1019970019177A KR19970019177A KR100458378B1 KR 100458378 B1 KR100458378 B1 KR 100458378B1 KR 1019970019177 A KR1019970019177 A KR 1019970019177A KR 19970019177 A KR19970019177 A KR 19970019177A KR 100458378 B1 KR100458378 B1 KR 100458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output shaft
locking
clutch mechanism
outpu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471A (ko
Inventor
야수오 쉬미주
카쑤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373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667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8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1422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7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lutch means between driving element, e.g. motor, and driven element, e.g. steering column or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lutch means between driving element, e.g. motor, and driven element, e.g. steering column or steering gear
    • B62D5/0439Controllable frict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8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 F16D41/1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with self-actuated reversing
    • F16D41/105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with provision for altering the freewheeling action with self-actuated reversing the intermediate members being of circular cross-section, of only one size and wedging by rolling movement not having an axial component between inner and outer races, one of which is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타에 필요한 육체적 노력 또는 힘을 감소시키고 운전자에게 안락한 조향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는 전동모터(5) 및 스티어링휠(2)에 연결된 출력축(15)을 포함하는 스티어링시스템(11∼15)에 마찰클러치기구(41, 51)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세트의 마찰클러치기구(41, 51)는 입력부재(32b); 출력축(15)에 연결된 출력부재(34); 복수개의 테이퍼상 공간(61); 테이퍼상 공간(61)에 배치된 잠금부재(62); 테이퍼상 공간(61)의 압력 접합부재(65); 스티어링핸들(2)에 연결된 위치조절부재(64)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부재(64)의 회전은 입력부재(32b)와 출력부재(34)를 선택적으로 연결/단락하고, 방사상으로 움직이는 입력부재(32b)와 출력부재(34)가 잔여 마찰클러치기구(41, 51)의 잠금부재(62)와의 마찰 결합력을 감소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배치가 자유롭고, 적은 힘으로 단락될 수 있었고 출력 부재가 독립되어 높은 생산성으로 쉽게 제조될 수 있고,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 복귀하여 클러치기구의 단락이 확실성 높게 반복되고, 부드럽고 안전한 변위로 클러치 단락조작의 확실성 개선에 효과적이고, 또한 방음성을 개선시킨다.

Description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본 발명은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는 조향핸들의 조타 또는 회전에 필요한 육체적 노력 또는 힘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운전자에게 안락한 조향감을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타입의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는 스티어링토크에 비례하여 전동모터에 의해 발생된 보조토크가 기계식클러치를 통해 스티어링 시스템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런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의 일 예가 일본국 특개소 64-69829호의 "클러치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는 전동모터에 연결된 실린더형 외주부재, 스티어링휠에 연결된 다각형의 내주부재를 포함한 축, 및 내면부와 외면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장치를 포함한다. 클러치장치는 동일원상에 배치된 복수개의 마찰 클러치 기구로 구성된다. 각 클러치기구는 실린더형 외주부의 내면과 다각형 내주부의 외면과의 사이에 쐐기형 공간(테이퍼형 공간), 쐐기형 공간 내에 배치된 롤러쌍, 각 롤러사이에 작용하는 스프링, 및 롤러를 제 위치에 있게 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롤러는 원주방향 내에서 리테이너의 운동에 감응하여 외주부와 내주부를 선택적으로 연결 및 단락(클러치장치를 연결 및 단락하기 위해)한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휠의 스티어링 조작의 초기단계(예를 들어, 스티어링휠이 일 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역회전 일으키는 때 발생되는)에서 단지 아주 적은 스티어링토크가 발생되고, 따라서 모터는 작동되지 않는다. 그래서 보조토크가 클러치장치에 전달되지 않으며, 따라서 롤러를 잠그기 위해 필요한 마찰력보다 큰 힘이 클러치장치를 단락하기 위해 제공되어야 한다. 이 클러치 해제력은 가능한한 작아 운전자가 편안한 스티어링 감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어떤 이유에 의해 필요성이 발생될 때, 클러치장치는 모터에서 스티어링시스템으로 보조토크의 전달이 지속되는 동안일지라도 부드럽게 연결 해지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클러치 해제작동은 통상보다 큰 클러치 해제력을 필요로 하여 운전자에게 큰 부담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수동 조작력으로 부드럽게 연결해지 할 수 있는 기계식클러치를 포함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티어링토크에 따른 보조토크를 발생시키는 전동모터 및 스티어링휠에 연결된 출력축을 포함하는 스티어링시스템에 보조토크를 전달하는 복수세트의 마찰클러치기구를 포함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를 제공한다. 마찰클러치기구는 전동모터에 연결된 입력부재; 이들 사이에 한정된 환상공간을 가지는 입력부재와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출력축에 연결된 출력부재; 입력부재 및 출력부재의 일 내면과 입력부재 및 출력부재의 다른 외면과의 사이에 한정된 복수개의 테이퍼상 공간; 테이퍼상 공간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각 입력 및 출력부재를 선택적으로 연결 및 단락하는 복수개의 잠금부재; 테이퍼상 공간의 테이퍼된 방향으로 잠금부재를 압력 접합하는 복수개의 압접부재; 잠금부재를 위치 제어하는 스티어링핸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회전 가능한 위치조절부재로 구성된다. 위치조절부재의 회전에 응하여 마찰클러치기구의 잠금부재는 내면과 외면사이에서 쐐기형 연결의 안쪽 및 바깥쪽으로 움직여 입력부재와 출력부재를 선택적으로 연결 및 단락하고 이에 의해 전동모터로부터 출력축으로 보조토크가 전달된다. 입력부재와 출력부재는 이들이 상호 방사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마찰 클러치기구의 복수세트 중 선택된 하나가 위치조절부재의 회전에 감응하여 단락될때, 입력부재 및 출력부재는 마찰클러치기구의 잔여세트 중의 잠금부재로부터 가하여진 힘에 의해 방사상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바뀌어 진다. 이 상대적 운동으로 마찰클러치기구의 잔여세트의 잠금부와 입력 및 출력부재의 내면 및 외면사이의 마찰결합력이 감소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잠금부재의 부분이 출력부재로부터 단락될 때, 각각의 잠금부재로부터 출력부재로 적용된 힘 또는 압력은 균형을 잃게된다. 그래서, 잔여 잠금부재는 출력부재를 입력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재배치되게 한다. 이러한 출력 부재의 재배치로 잔여 잠금부재와 출력부재사이에 작용하는 마찰결합력은 약해지거나 감소된다. 이것은 압접부재의 힘보다 조금 큰 작은 힘으로 잔여 잠금부재를 단락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찰클러치기구는 일시에 모든 마찰클러치 기구를 단락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훨씬 적은 힘으로 즉시 단락할 수 있다.
적당하기로는, 출력부재 및 출력축은 구조적으로 각각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된 두개의 분리부재로 구성되고, 출력부재는 출력축 상에 장착되어 그들이 방사상으로 출력축에 대해 재배치될 수 있다. 잠금부재와 입력 및 출력부재와의 사이에서 안전한 쐐기형 연결을 확보하기 위해, 출력부재는 일반적으로 복잡한 형상과 구조를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출력축과 출력부재는 각각으로부터 구조적으로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부재는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율로 손쉽게 제작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는 동일 원상에 배치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마찰클러치기구의 선택된 한 세트를 위치 제어하는 것에 사용된 위치조절부재의 선택된 하나가 잔여 위치조절부재의 것보다 큰 원주길이를 갖도록 하여 마찰클러치기구의 선택된 하나가 마찰클러치기구의 잔여세트에 앞서 단락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치조절부재사이의 원주길이 차이의 이점에 의해, 마찰클러치기구의 선택된 하나는 잔여 마찰클러치기구의 단락에 앞서 즉시 단락상태로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찰클러치기구의 선택된 세트의 단락은 즉시 잔여 마찰클러치기구의 단락이 따르고 그래서, 일시에 모든 마찰클러치기구의 단락에 필요한 힘보다 아주 적은 힘으로 단락이 수행된다.
출력부재는 마찰클러치기구의 잔여세트의 잠금부재와 연결하도록 적용된 결합면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이 결합면은 출력부재의 변위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마찰클러치기구의 선택된 세트가 단락될 때 방사상으로 출력부재의 부드러운 재배치가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배치는 클러치 단락조작의 확실성을 증가하는데 유용하다.
더욱이,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는 출력부재를 출력축으로 압력 접합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기구가 완전히 단락될 때, 출력부재는 방사상으로 재배치된 위치에서 원래의 위치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복원된다. 탄성부재는 그래서 출력부재가 적은 힘으로 클러치기구를 단락하도록 하기 위해 높은 조작 확실성으로 그 상호적인 움직임을 반복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출력부재의 변위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가진다. 출력부재의 재배치의 방향으로 배열된 탄성력으로 출력부재는 불쾌한 조작소음을 발생하지 않고 부드럽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그래서, 클러치기구는 전체로서 확실하고 조용하게 조작될 수 있다.
출력부재는 적당하게는 고무처럼 댐핑 또는 쇼크흡수특성을 가진 물질로 된 탄성부재에 의해 출력축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의 특성에 의해 클러치기구에 발생될 수 있는 두드림 소음(striking noise)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되거나 희석되어 버릴 수 있다. 전체로서 파워스티어링장치는 파워스티어링장치의 생산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향상된 방음성을 가진다.
내면과 외면의 하나(마찰결합면)가 내면과 외면사이의 에지(Wedge)에 각 잠금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바른 위치의 테이퍼각을 가져, 테이퍼상 공간에 상응하는 잠금부재의 위치가 입력부재 및 출력부재사이에서 상대운동에 기인하여 변화되더라도 실제적으로 동일한 에지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지각이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잠금부재에 의해 얻어진 쐐기형 행동은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잠금부재는 추가적인 클러치 해제력을 요구하지 않고 테이퍼상 공간의 내면과 외면으로부터 연결해지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출력부재는 입력부재와 편심되게 되고, 그래서 테이퍼상 공간 내에서 잠금부재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예로 위치를 교정하는 테이퍼각은 잠금부재의 위치를 교정하도록 작동되어 실제적으로 일정한 에지 각이 잠금부재와 마찰결합면 사이에 다시 얻어진다. 이렇게 제공된 위치를 교정하는 테이퍼각은 적은 클러치 해지력으로 수행될 수 있는 클러치기구가 부드러운 해지조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좋기로는 테이퍼상 공간부분이 잠금부재의 부분을 그 안으로 수용하는 확대된 부분을 가져 잠금부재가 해지될 때 잠금부재를 내면과 외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확대된 공간은 잠금부재가 단락위치에 있을 때 마찰결합면과 잠금부재 사이의 보다 큰공간 또는 간격을 제공한다. 이러한 배치는 잠금부재와 마찰 결합면 사이의 긍정적이고, 확실한 분리를 보장하고, 따라서 입력부재 및 출력부재사이의 상호 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래서, 클러치기구는 향상된 확실성을 가지고 단락될 수 있다.
또한, 좋기로는 다수의 마찰클러치기구세트의 최소한 하나 이상이 잔여 마찰 클러치기구세트가 단락되기 전에 단락될 수 있는 것이며, 각 마찰클러치기구세트의 최소한 하나 이상의 테이퍼상 공간이 상기와 같은 확대된 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미리 단락될 수 있는 클러치 기구는 항상 잔여 클러치기구의 단락에 앞서 미리 단락된다. 미리 단락될 수 있는 클러치기구의 각 잠금부재는 이것이 마찰결합면을 단락하자마자 테이퍼상 공간의 확대된 부분을 수용한다. 테이퍼상 공간의 확대된 부분에 수용된 잠금부재는 마찰결합면으로부터 확실히 이격(離隔)되어 다수 클러치 기구가 높은 부드러움과 안전성으로 단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형태 및 이점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 의해 이 분야의 통상 전문가에게 보다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자세하게 기술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의 일반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1)는 스티어링휠(2)이 작용될 때 발생된 스티어링시스템 내의 스티어링토크를 검지하는 스티어링토크 검지장치 또는 검지기(3), 스티어링토크 검지장치(3)로부터 검지된 신호에 따른 조절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유닛 또는 제어기(4), 제어기(4)로부터 조절신호에 기초한 스티어링토크에 비례하는 보조토크를 공급하는 전동모터(5), 전동모터(5)로부터의 스티어링시스템으로 보조토크를 전송하는 토크전송유닛 또는 기구(6)와 기계식클러치(40)를 포함한다. 그래서, 이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1)는 피니언(7) 및 래크(8a)를 통해 휠쌍(조향되는 휠)이 조향되도록 작동된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의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제 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티어링시스템은 스티어링휠(2; 제 1도)에 연결된 튜브형 입력축(11), 튜브형 입력축(11)에 삽입되어 그의 상부가 입력축(11)의 상부에 핀(12)에 의해 연결된 토션바(탄성부재; 13), 및 핀(14)에 의해 토션바(13)의 하부에 연결되어 피니언(7)이 형성된 하부를 가진 출력축(15)으로 구성된다.
토션바(13)는 스티어링토크에 정확히 비례하는 비틀림각을 산출할 수 있으며 입력축(11)과 출력축(15)이 그들 사이에서 상호 뒤틀림 배치를 할 수 있는 부재이다. 래크(8a)는 제 2도상의 직각 방향으로 신장하는 래크 축(8)상에 치합(齒合)되어져 피니언(7)과 톱니로 물려진다. 입력축(11), 토션바(13) 및 출력축(15)은 상호간에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스티어링토크 검지기(3)는 입력축(11) 및 출력축(15)사이에서 상호 비틀림각을 검지함에 의해 스티어링시스템 내의 스티어링토크를 검출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이 장치(3)는 전위차계(potentiometer)이다. 전위차계(3)는 저항요소(도시하지 않음)및 저항요소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는 미끄럼 접촉면(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검지기본체(21)와, 검지기본체(21)내에 미끄럼 접촉면을 움직이거나 재배치하도록 피봇하게(pivotally) 가동 가능한 레버(lever)형 추진자(22)를 포함한다.
검지기본체(21)는 스크류에 의해 입력축(11)의 저면부 외주면에 부착되며, 레버형 추진자(22)는 출력축(15)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요홈(15a)내에 전 · 후 연결된다. 이러한 배열로 스티어링토크 검지기(3)는 입력축(11)과 출력축(15) 사이의 상대 비틀림각(각 배치)을 검지할 수 있다.
스티어링토크 검지기(3)는 더욱이 레버형 추진자(22)를 연결요홈(15a)의 일 벽면에 대해 압력 접합하여 추진자(22)의 축회전 운동의 방향에서 흔들림을 방지하는 위치로 유지되게 하는 토션스프링을 가진다.
입력축(11)은 케이블 릴(24; Cable reel)주위에 다수회(예를 들어 3회) 감겨진 전선케이블(25)을 가진다. 이 전선케이블(25)은 그의 일단이 스티어링토크 검지기(3)의 검지기본체(21)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26)상의 컨넥터(27)에 연결된다. 토크전송기구(6)는 부싱(bushing; 33)을 통해 출력축(15)의 상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대적으로 얇은 실린더형 부재에 의해 형성된 휠(33)을 포함한다. 이 실린더형 부재(휠; 33)는 치차기어부(32a)와 실린더형 부재(33)의 축방향을 따라 아래에서 위쪽으로 계속된 환상의 입력부재(32b)를 가진다.
기계식클러치(40)는 입력부재(32b) 내면에 배치되어 제 5도를 참고로 아래에 기술하는 구조를 가진다.
제 2도에서 번호 36, 37 및 38은 베어링을 나타내는 것이며, 39는 먼지커버를 나타낸다.
제 3도는 제 2도의 3-3선 단면도로, 토크전송기구(6)의 단면을 상세히 나타낸다.
제 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크전송기구(6)는 전동모터(5)의 출력축(5a)에 결합된 웜(31) 및 출력축(15)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휠(32)로 구성된 워엄기어 기구이다. 전동모터(5)는 하우징(26)에 볼트로 장착된다.
그래서, 래크(8a)는 스티어링시스템 내의 스티어링토크 {입력축(11)→토션바(13)→출력축(15)}와 전동모터(5)로부터의 보조토크의 조합인 조합토크에 의해 피니언(7)을 통해 구동된다.
제 4도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의 주요부를 분해한 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력축(11)은 하단이 톱니에 의해 위치제어수단 또는 제어기(63)에 연결된다. 위치제어기(63)는 기계식클러치(40)의 일 구조적 성분을 형성하며, 하방으로 신장된 다수의 위치조절부재(64)(도시된 형태에서는 3개)를 가진 환상 또는 링상을 가진다. 그래서, 위치제어수단(63)과 위치조절부재(64)는 제 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2)에 연결된다. 출력축(15)에는 그 상단부에 환상의 출력부재(34)가 제공된다. 출력부재(34)는 입력부재(32b)와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제 5도는 제 2도의 5-5선 단면도로 하우징(26)이 제거된 상태에서 기계식클러치(40)의 단면도를 상세히 나타낸다.
제 5도에 나타나듯이, 기계식클러치(40)는 보조토크의 작용방향이 스티어링 시스템의 조향방향과 동일하게 일어날 때만 전동모터(5)로부터 스티어링시스템에 보조토크를 전송하는 소위 일 방향(one-way)클러치 조합이다. 이 기계식클러치(40)는 원주면상에 배치된 마찰클러치기구의 다수(도시된 형태에서는 3개) 세트로 조합된다.
이 마찰클러치기구는 특정방향으로 보조 스티어링토크를 전송하는 다른 그룹의 클러치기구와 교체 가능하게 배치된 3개의 클러치기구를 포함하는 각 2개 그룹으로 분리된다. 보다 자세히 기술하면, 마찰클러치기구(41, 41, 41)의 제 1그룹은 제 5도에서 화살표 X방향(반시계방향)으로 지시된 방향으로 보조 스티어링토크가 전송되게 연결하도록 하며, 반면 마찰클러치기구(51, 51, 51)의 제 2그룹은 제 5도에 나타난 화살표 X의 반대방향(시계방향)으로 보조 스티어링토크가 전달되게 연결되도록 된다. 각 제 1클러치 기구(41)와 제 2클러치기구(51)의 인접한 것이 결합적으로 클러치 기구의 다수(3개)세트의 하나를 형성한다.
클러치기구(41, 51)의 제 1 및 제 2 그룹은 보조토크 입력부재(32b), 출력부재(34), 입력 및 출력부재(32b, 34)사이에 한정되며 이들의 원주방향의 공간인 다수의 테이퍼상 공간(61)(기술된 예에서는 6개), 각 테이퍼상 공간(61)내에 배치된 롤러의 형상으로 입력 및 출력부재(32b, 34)를 연결 및 단락하는 다수개의 잠금부재(62), 잠금부재(62)를 위치제어하는 다수(여기서는 3개)의 위치조절부재(64), 및 각 잠금부재(62)를 위치조절부재(64)쪽으로 {각 테이퍼상 공간(61)의 테이퍼된 말단방향쪽으로} 압력 접합하는 압력코일스프링의 형태로 된 다수개의 압접부재(65)로 구성된다.
출력부재(34)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이등변인 삼각형 형상을 하여 세면이 바깥쪽으로 곡선을 이루고 꼭지점이 깎여진 형상을 한다.
테이퍼상 공간(61)은 입력부재(32b)의 환상의 실린더형 내면(32c)과 출력부재(34)의 결합면(다각의 외면; 34b)사이로 한정되어 테이퍼상의 원주단을 가진다. 위치조절부재(64)는 입력부재(32b)와 출력부재(34)사이로 한정된 환상공간 내에서 동심적으로 신장되어 배치되고 동일한 간격으로 원주적으로 배치된다. 위치조절부재(64)는 원주방향으로 동시에 이동 가능하다.
이렇게 구성된 기계식클러치(40)로 원주방향에서의 위치조절부재(64)의 운동에 감응하여 잠금부재(62)는 테이퍼상 공간(61)을 한정하는 마찰 결합면과 쐐기연결로 삽입 및 삽출되기 때문에 입력부재(32b) 및 출력부재(34)는 선택적으로 연결 및 단락되어 전동모터(5)로부터 보조 스티어링토크를 출력축(15)에 전달한다. 마찰 결합면은 입력부재(32b)의 상술한 실린더형 내측면(32C; 이후 "입력측 마찰 결합면" 이라 함)과 출력부재(34)의 다각외측면(34b)의 결합면(32b'; 이후 "외측결합면" 이라 함)을 포함한다.
다수(3개)클러치기구 세트의 선택된 하나{(41, 51; 이후 "선택된 제 1 및 제 2클러치기구(41a, 51a)"라 칭함)}는 잔여클러치세트보다 먼저 단락상태로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더욱 자세하게, 선택된 제 1 및 제 2클러치기구(41a, 51a)의 각 잠금부재(62 , 62)사이에 배치된 위치조절부재(64)의 하나{이후 "선택된 위치조절부재(64a)"라 함}는 잔여 위치조절부재(64)의 원주길이 L2보다 큰 원주길이 L1을 가진다. 선택된 위치조절부재(64a)는 일반적으로 이등변 삼각형의 출력부재(34)의 하나의 깎여진 코너 또는 꼭지점으로 방사상으로 통상 배치되고, 잔여 위치조절부재(64)는 동일각을 가진 이등변 삼각형의 출력부재(34)의 다른 두 코너와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출력부재(34)는 입력부재(32b)에 대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 목적을 위해 출력부재(34)는 출력축(15)상에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출력부재(34)는 원형단면의 출력축(15)이 그 안에 장착되는 일반적으로 타원형의 통공(34a)을 가진다. 토션바(13)와 출력축(15)을 연결하는 핀(14)은 또한 타원형의 통공(34a)의 주축에 있는 그의 축과 함께 출력부재(34)를 직경방향으로 가로질러 신장된다. 압축코일스프링(35)으로 구성된 탄성부재는 핀(14)주위에 느슨하게 장착되어 출력부재(34)와 출력축(15)사이에서 출력부재(34)의 통공(34a)을 한정하는 내주벽면이 출력축(15)의 외주면에 대해 눌려지도록 작동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탄성부재(35)는 타원형 통공(34a)의 주축을 횡으로 가로질러 신장하도록 출력축(15)의 외주면과 통공(34a)의 내주벽면사이에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탄성부재(35)로 탄성부재(35)의 탄성력은 출력축(15)에 대해 출력부재(34)의 운동방향의 반대방향(타원형 통공(34a)의 주축을 따라)으로 작용한다. 그래서, 출력부재(34)는 출력축(15)을 향해 눌려진다. 출력부재(34)는 또한 후술하는 방법으로 선택된 위치조절부재(64a) 폭의 중앙부분으로 압력 접합한다. 단지 하나의 클러치기구{예, 선택된 제 1클러치기구(41a) 또는 선택된 제 2클러치기구(51a)} 가 단락될 때만 출력부재(34)가 방사상방향으로 확실히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다른 클러치기구(41, 51)의 잠금부재(62)를 연결하도록 적용된 출력부재(34)의 출력측 결합면(34b')은 출력부재(34) 운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밑으로 경사진 것을 가진다. 이렇게 형성된 출력측 결합면(34b')으로, 선택된 클러치기구(41a 또는 51a)가 단락될 때 출력부재(34)는 잠금부재(62)로부터 특별한 저항을 받지 않고 방사상방향으로 부드럽게 재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다른 두개 또는 잔여 클러치기구(41 또는 51)의 연차적인 확실한 단락을 보장한다.
다음으로 제 1도 및 제 6∼제 9도를 참고로 기계식클러치(40)의 조작을 기술한다.
조향휠(2; 제 1도 참고)이 작동되지 않을 때는 스티어링 토크검지수단(3)으로부터 어떤 신호도 발생되지 않고, 그래서 제어유닛(4)으로부터 어떠한 보조명령 신호도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동모터(5)는 정지 또는 비작동 상태를 유지하고, 그래서 모든 클러치기구(41, 51)는 제 6도와 같이 단락상태(중립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스티어링휠(2)이 일 방향(예로 제 6도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가벼운 조작{예, 스티어링휠(2)상의 스티어링토크가 적음}으로 조향될 때, 전동모터(5)는 보조토크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입력축(11; 제 2도 참고)에 연결된 위치조절부재(64)와 출력부재(34) 사이에 상대적인 위치 또는 상으로 관찰되는 실체적인 변화는 없다. 이 경우에, 위치조절부재(64)는 반시계방향으로 미세하게 재배치되나, 위치조절부재(64)의 각도 변위의 신장은 여전히 제 1클러치기구(41)를 연결시키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래서, 출력부재(34)는 스티어링시스템의 스티어링토크에 의해 회전 또는 조향 {입력축(11)→토션바(13)→출력축(15)}하여 잠금부재(62)와 입력부재(32b)사이의 마찰력 또는 전동모터(5)에 의해 공급된 비자발적 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출력축(15)을 구동한다.
바꾸어서, 스티어링휠(2)이 일 방향(예로 제 6도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큰 수동조향력(예, 스티어링휠(2)상의 스티어링토크가 큼)으로 조향될 때, 전동모터(5)는 보조토크를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위치조절부재(64)와 출력부재(34)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상이 크게 변하게 되고, 제 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경우 위치조절부재(64)는 화살표 X로 지적된 반시계방향으로 크게 재배치된다. 위치조절부제(64)의 이 각변위로 제 1클러치기구(41)의 잠금부재(62)는 압력 접합부재(65)의 힘에 의해 상응 테이퍼상 공간(61)의 테이퍼상 원주단으로 재배치되고, 이 결과 입력부재(32b)와 출력부재(34)는 입력부재(32b)와 잠금부재(62)사이 및 잠금부재(62)와 출력부재(34)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통해 연결상태로 된다. 그래서 모든 제 1클러치기구(41)는 연결상태로 된다.
이 경우에, 전동모터(5)는 회전되기 때문에 입력부재(32b)는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되고, 그래서 전동모터(5)로부터 발생된 보조토크는 입력부재(32b)로부터 제 1클러치기구(41)를 통해 출력부재(34)에 전달된다. 출력부재(34)는 제 7도의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티어링시스템 {입력축(11)→토션바(13)→출력축(15)} 내의 스티어링토크와 전동모터(5)로부터의 보조토크의 조합인 회전력 또는 토크에 의해 출력축(15)을 구동시킨다.
이후, 전동모터(5)로부터 보조토크의 전달이 계속되는 동안, 어떤 이유에 의해 제 1클러치기구(41)가 단락되어야 할 때,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조향휠(2; 제 1도 참고)이, 제 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조향 또는 회전될 때, 위치조절부재(64)는 입력부재(32b)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화살표 Y로 나타냄)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된다. 이때, 선택된 위치조절부재(64a)는 다른 2개 또는 잔여 위치조절부재(64, 64)와 대응하는 오른쪽 인접 잠금부재(62, 62)사이의 연결에 앞서 오른쪽 인접 잠금부재(편의를 위해 62a로 지칭)와 접촉하게 되고, 연이어 이것은 잠금부재(62a)를 화살표 Y방향으로 압접부재(65)의 힘 및 입력부재(32b)와 출력부재(34)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대항해 눌려진다.
이러한 잠금부재(62a)의 배치로, 선택된 제 1클러치기구(41)는 단락된다. 그러나, 이 예에서 잔여 잠금부재(62, 62)는 여전히 오른쪽 인접 잠금부재(62, 62)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의 벡터 Z1, Z2 는 다른 2개 또는 잔여 잠금부재(62, 62)로부터 출력부재(34)로 제 8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작용한다. 이어서, 출력부재(34)는 두 벡터 Z1, Z2 의 힘 또는 합벡터로부터 기인한 화살표 Z3으로 나타낸 불균형한 하중을 받게된다. 이 불균형하중의 영향에 의해, 핀(14)을 따라 인도되는 출력부재(34)는 탄성부재(35)의 힘에 대항해 선택된 위치조절부재(64a)쪽으로 미소하게 움직인다. 이러한 출력부재(34)의 배치로 그 안에 잔여 잠금부재(62)를 수용하는 테이퍼상 공간(61)은 입력 및 출력부재(32b, 34)상에 작용하는 잔여 잠금부재(62)의 쐐기상 힘이 감소되는 결과 서서히 펴지거나 확대된다.
그 후 바로, 잔여 위치조절부재(64, 64)는 각각 잔여 잠금부재(62)와 접촉하고, 따라서 이들을 제 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래의 중립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눌려진다. 따라서, 다른 2개 또는 잔여 제 1클러치기구(41)들이 단락된다. 출력부재(34)는 탄성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중립위치로 자동적으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에, 잔여 잠금부재(62)는 마찰 없이 유지되므로, 잔여 위치조절부재(64)에 의해 이들 잠금부재(62)를 이동하는데 필요한 수동적 힘(클러치 단락력)은 단지 압접부재(65)의 접합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적은 수준까지 감소될 수 있다. 그래서, 입력부재(32b)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더라도, 제 1클러치기구(41) 3세트는 3개의 제 1클러치기구(41)의 단지 하나{선택된 클러치기구(41a)}를 단락하는데 필요한 힘을 초과하지 않는 적은 클러치 단락력으로 부드럽고 확실하게 단락될 수 있다.
제 2클러치기구(51)는 제 1클러치기구(41)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대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스티어링휠(2)의 회전에 감응하여 제 2클러치기구(51)는 또한 상술한 제 6도내지 제 9도의 방법으로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될 수 있다.
제 10∼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클러치(40)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 10도는 전기 제 1실시예의 제 2도에 대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또는 대응한 부분을 나타내는 특성은 제 2도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실시예에서의 기계식클러치(40)는 출력축(15)이 제 1실시예의 압축코일스프링(35)의 기능에 상당하는 탄성부재로 작용하는 혀모양의 탄성축 스트립(15b)을 형성하기 위해 축방향의 슬릿S로 쪼개진 상단부(전단부)를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 탄성축 스트립(15b)은 출력축(15)의 몸체와 출력부재(34)사이에서 상호방향으로 압력 접합하도록 작용한다. 탄성축 스트립(15b)의 탄성력은 입력부재(32b)에 대한 출력부재(34)의 운동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한다.
제 11도는 제 10도의 11-11선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서, 출력부재(34)는 세 꼭지점이 절단되고 세면은 외부 쪽으로 휘어진 단면인 일반적인 등변삼각형 형상이다.
출력축(15)의 슬릿 상단부(전단부)는 직경에 대해 반대부분을 잘라 내거나 삭제하여 슬릿 S면에 대해 오른쪽 귀퉁이에서 신장된 평행 평판면 쌍을 형성한다. 출력부재(34)는 평판면(15c)을 포함하는 출력축(15)의 슬릿 상단부의 형상과 대조되는 통공(34a)을 가진다. 평판면(15c)은 출력부재(34)가 방사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출력부재(34)를 가이드 한다.
세개의 위치조절부재(64)는 동일한 원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원주상으로 배치된다. 각 위치조절부재(64)는 출력부재(34)의 일반적 이등변삼각형의 깎여진 꼭지점의 대응부분과 통상 방사상 배치로 된 경도적 중심선 O1-O3로부터 반대방향에서 원주로 신장되는 2개의 치차부를 가진다. 클러치기구(41, 51)의 특정세트(41a, 51a) 주위에 위치된 치차부의 하나는 다른 치차부보다 원주길이가 크다(L3〉L4). 더욱 자세하게는, 세개의 위치조절부재(64)중 2개{선택된 위치조절부재(64a, 64a)}는 각각 경도중심선 O1과 O2로부터 서로 다른 것으로 향해 신장되는 마주하는 치차부를 가지며, 이들 치차부(이후 "장 치차부"라 함)의 원주길이 L3은 다른 치차부(이후 "단치차부"라 함)의 원주길이 L4보다 크다. 장치차부는 선택된 제 1 및 제 2 클러치기구(41a, 51a)의 잠금부재(62)를 위치제어한다. 잔여 위치조절부재(64)의 치차부는 단 치차부의 원주길이 L4와 같은 원주길이를 갖는다.
출력부재(34)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선택된 제 1클러치기구(41a)와 선택된 제 2클러치기구(51a)사이 {또는 선택된 제 2위치조절부재(64a, 64a)사이}내부에 위치한 부분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축(15)의 평판면(15C)과 통공(34a)의 대응 평평벽부는 출력부재(34)의 변위의 방향과 평행 되게 신장한다. 출력축(15)은 톱니연결에 의해 토션바(13)에 연결된다.
상기 구성의 제 2실시예는 분리되어 제공된 핀(14)과 탄성부재(35)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파워스티어링장치는 그 구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손쉽고 저비용으로 조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 5도의 제 1실시예보다 유리한 점이 있다.
제 2실시예의 기계식클러치(40)의 조작은 제 1도 및 제 12∼15도를 참고로 보다 자세히 기술한다.
조향휠(2; 제 1도 참고)이 작동되지 않을 때, 모든 제 1 및 제 2 클러치기구(41, 51)는 제 12도와 같이 단락상태(중립상태)에 있게 된다.
스티어링휠(2)에 작용한 스티어링토크가 적고 전동모터(5)에 어떤 보조토크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 위치조절부재(64)와 출력부재(34) 사이의 상대위치 또는 상은 변경되지 않아 이러한 한도에서 제 1클러치기구(41) 또는 제 2클러치기구(51)의 연결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출력부재(34)는 제 2도의 스티어링시스템의 스티어링토크에 의해 회전{입력축(11)→토션바(13)→출력축(15)}하여 잠금부재(62)와 입력부재(32b)사이의 마찰력 또는 전동모터(5)에 의해 공급된 비자발적 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출력축(15)을 구동한다. 바꾸어서, 스티어링휠(2)상에 작용하는 스티어링토크가 크고 전동모터(5)가 보조토크를 발생하고 있을 때, 위치조절부재(64)와 출력부재(34)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상이 크게 변하게 되고, 제 1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경우 위치조절부재(64)는 화살표 X로 지시된 반시계방향으로 크게 변위 된다. 위치조절부재(64)의 이 각 변위로 제 1클러치기구(41)가 연결상태로 된다. 그래서, 출력부재(34)는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티어링시스템 내의 스티어링토크와 전동모터(5)로부터의 보조토크의 합인 조합토크에 의해 출력축(15)을 구동한다.
이후 어떤 이유에 기인하여, 전동모터(5)로부터의 보조토크의 전달이 지속되는 동안 스티어링휠(2)은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 위치조절부재(64)는 제 1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력부재(32b)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화살표 Y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위치조절부재(64)의 선택된 하나(64a)는 다른 2개 또는 잔여위치조절부재(64a, 64)와 대응하는 오른쪽 인접 잠금부재(62, 62)사이의 연결에 앞서 오른쪽 인접 잠금부재(62a)와 접촉하고, 연이어 선택된 위치조절부재(64a)는 제 1클러치기구(41)의 선택된 하나(41a)를 단락함에 의해 잠금부재(62a)를 화살표 Y방향으로 누른다.
이때, 잔여 위치조절부재(64a, 64)가 여전히 오른쪽 인접 잠금부재(62, 62)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의 벡터 Z1, Z2 는 다른 2개 또는 잔여 잠금부재(62, 62)로부터 출력부재(34)로 제 14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작용한다. 이어서 출력부재(34)는 벡터 Z1, Z2 로부터 기인한 화살표 Z3으로 지시된 불균형한 하중을 받게된다. 이 불균형하중의 영향에 의해, 출력축(15)의 평판면(15c)을 따라 출력부재(34)가 인도되는 동안 탄성축 스트립(15b)의 탄성력에 대해 화살표 Z3 의 방향으로 미소하게 움직인다. 이러한 출력부재(34)의 변위로, 그 안에 잔여 잠금부재(62)를 수용하는 테이퍼상공간(61; 제 11도 참조)은 서서히 펼쳐지거나 확대되고, 그래서 입력 및 출력부재(32b, 34)상에 작용하는 잔여 잠금부재(62)의 쐐기상 힘이 감소된다.
그 후 바로, 잔여 위치조절부재(64a, 64)는 각각 잔여 잠금부재(62)와 접촉하고, 따라서 이들을 화살표 Y방향으로 눌려지고, 제 1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두개 또는 잔여클러치기구(41)는 단락된다. 출력부재(34)는 탄성축 스트립(15b)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중립위치로 자동적으로 되돌아간다.
그래서, 입력부재(32b)가 지속적으로 회전되더라도 세개 클러치기구(41)모두는 제 1클러치기구(41)의 단지 하나{선택된 클러치기구(41a)}를 단락하는데 필요한 힘을 초과하지 않는 적은 클러치 분리력으로 부드럽고 확실하게 단락될 수 있다.
제 2클러치기구(51)는 제 1쿨러치기구(41)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대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스티어링휠(2)의 회전에 감응하여 제 2클러치기구(51)는 또한 제 12∼15도를 참고로 상술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될 수 있다.
제 16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기계식클러치(40)를 나타낸 것이다. 제 16도에서 제 2실시예에서 사용된 부분과 같거나 또는 상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기호로 나타내며,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16도에 도시한 기계식클러치(40)는 제 11도에 도시한 제 2실시예의 기계식클러치 변형이다. 변형된 기계식클러치(40)는 출력부재(34)가 고무처럼 댐핑 또는 충격흡수특성을 가진 물질로 만들어진 탄성부재(71)를 통해 출력축(15)을 지지한다는 특징이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탄성부재(71)는 평판면(15C)을 포함하는 출력축(15)의 비환형(非環形)상단부의 외측면과 출력부재(34)내 타원형 통공(34a)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부재(71)는 제 5도에 나타난 압축코일스프링(35)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중공탄성부(71a)와 제 11도에 나타난 혀모양의 탄성축부(15b)를 포함한다. 중공탄성부(71a)는 출력축(15)과 출력부재(34)사이에서 작용하여 입력부재(32b)에 대한 출력부재(34)의 운동방향에 평행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호방향으로 누른다.
상기한 제 3실시예는 기계식클러치(40)의 조작소음(특히 스트라이킹 소음)을 탄성부재(71)에 의해 흡수 또는 희석한다는 이점이 있다.
기계식클러치(40)의 조작은 제 12도 내지 15도에 나타난 제 2실시예의 것과 같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제 17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기계식클러치를 나타낸 것으로, 제 11도에 도시한 제 2실시예의 기계식클러치의 변형이다. 제 17도에도 제 11도에 나타난 제 2실시예에 사용된 부분과 같거나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부호로 나타내며, 따라서 이들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계식클러치(40)는 세개의 꼭지점이 깎여지거나 라운드 되고 세면은 외부로 휘어진 단면형상의 일반적인 등변삼각형 형상을 가진 출력부재(34)를 가진다. 출력부재(34)는 제 5도에 도시한 제 1실시예를 참고로 상술한 구조의 장점에 의해 입력부재(32a)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게 장착된다.
세개의 제 1클러치기구(41)의 선택된 하나(41a)와 세개의 제 2클러치기구(51)의 대응하는 하나(51a)는 각각 잔여클러치기구(41, 51)의 연결 및 단락에 앞서 연결 및 단락할 수 있는 특정클러치를 형성한다.
보다 자세히 기술하면, 세개의 위치조절부재(64)는 동일한 원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원주상으로 배치된다. 각 위치조절부재(64)는 출력부재(34)의 일반적 등변삼각형의 깎여진 꼭지점의 대응부분과 방사상으로 배치된 경도적 중심선 O1-O3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원주에 신장된 2개의 치차부를 가진다. 선택된 제 1클러치기구(41a) 또는 선택된 제 2클러치기구(51a) 주위에 위치한 치차부의 하나는 다른 치차부보다 원주길이가 크다(L3〉L4). 더욱 자세하게는, 위치조절부재(64)중 2개{선택된 위치조절부재(64a, 64a)}는 경도중심선 O1과 O2로부터 각각 다른 것으로 향해 신장된 마주하는 치차부를 가지며, 이들 치차부(이후 "장치차부"라 함)의 원주길이 L3은 다른 치차부(이후 "단치차부"라 함)의 원주길이 L4보다 크다. 장치차부는 선택된 제 1 및 제 2 클러치기구(41a, 51a)의 잠금부재(62)의 위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잔여 위치조절부재(64)의 치차부는 단치차부의 원주길이 L4와 같은 원주길이를 갖는다.
선택된 한 쌍의 제 1및 제 2클러치기구(41a, 51a)는 각각 테이퍼상 공간(61)을 가지는데, 각 테이퍼상 공간(61)은 부분적으로 확대되어 잠금부재(62)를 마찰 결합면으로부터 분리 또는 단락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출력부재(34)의 다각형 외측면(34b)은 2개의 마찰결합면부(34b'; 출력측 결합면)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선택된 제 1및 제 2클러치기구(41a, 51a)의 잠금부(62)가 마찰결합면(32C, 34b')으로부터 단락되도록 허용하는 홈(34C; 후미진부)쌍을 가진다.
추가로, 다른 클러치기구(41, 51)의 잠금부재(62)를 연결하도록 적용된 출력부재(34)의 출력측결합면(34b')은 해지각{출력부재(34)의 운동방향의 반대방향에 테이퍼된 것}을 가진다. 이렇게 형성된 출력측 결합면(34b')으로 인해, 선택된 클러치기구(41a 또는 51a)가 단락될 때 출력부재(34)는 잠금부재(62)로부터 아무런 저항을 받지 않고 방사상방향으로 부드럽게 변위 된다. 이것은 다른 2개 또는 잔여 클러치기구(41 또는 51)의 연속적인 단락을 확실히 보장한다.
제 18도는 제 17도에 도시한 A부분의 상세도로, 선택된 제 1클러치기구(41a)의 테이퍼상 공간(61)의 마찰결합면을 보여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찰결합면은 입력부재(32b)의 실린더형 내측면(입력측 결합면; 32C)과 출력부재(34)의 다각외측면(34b)의 결합면부(출력측 결합면; 34b')를 포함한다.
출력부재(34)가 입력부재(32b)와 동심을 이룰 때, 잠금부재(62)는 제 18도에 도시한 가상선으로 지시된 것과 같이 입력 및 출력측 결합면(32C, 34b')과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잠금부재(62)는 두개의 접점 P1 및 P2를 가지는데, P1은 그 자체와 입력측 결합면(32c)사이에, P2는 그 자체와 출력측 결합면(34b')사이의 것이다.
상기와 같이, 출력부재(34)는 입력부재(32b)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다. 입력 및 출력부재(32b, 34)사이의 이러한 상대적인 운동으로 테이퍼상 공간(61)안의 잠금부재(62)의 위치가 변경된다. 잠금부재(62)의 위치의 변경 또는 변위를 취급하기 위해, 최소한 하나이상의 입력 및 출력측 결합면(32C, 34b')은 테이퍼각 고정부(34d)를 가진다. 테이퍼각 고정부(34d)는 잠금부재(62)가 변하더라도 잠금부재(62)의 쐐기각 (접선 P1, P2)이 실제적으로 일정한 값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테이퍼각 교정부(34d)는 테이퍼상 공간(61)의 테이퍼각을 크게 또는 확장하는 방향(예, 제 18도에서 오른손 방향)으로 실제적으로 평평한 출력측 결합면(34d')의 부분을 절단하여 형성된 경사진면이다. 경사면(34d)은 직경 r을 가진 아치형면이 좋다. 평평한 결합면(34b)과 합체한 아치형면(34d)의 일단은 테이퍼상 공간(61)의 테이퍼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점 P2로부터 어느 정도 보충(offset)된다. 아치형면(테이퍼각 교정부; 34d)은 아치형면(34d)의 중심과 잠금부재(62)의 직경이 변하더라도 접점에서 쐐기각 θ가 실제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선택된 제 2클러치기구(51a)는 또한 출력측 결합면(34b')에 유사한 테이퍼각 교정부(34d; 제 17도 참고)를 가진다.
테이퍼각 교정부(34d)의 조작은 제 19A∼19C도를 참고로 기술한다. 기술 목적을 위해, 하기 상세한 설명은 선택된 제 1클러치기구(41a)에 합체된 테이퍼각 교정부(34d)에 대한 것이다.
제 19A도는 출력부재(34)가 입력부재(32b)와 동심을 이룰 때, 출력부재(34)의 제 1평평면(출력측 결합면; 34b')이 굵은 고딕선으로 나타난 보다 낮은 준위 또는 위치에 배치된 비교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 잠금부재(62)는 두 접점 P1, P2를 가지며, P1은 그 자신과 출력측 결합면(32c)사이 접점이고, P2는 그 자신과 제 1면(34b')사이의 접점이다. 접점 P1, P2에서 잠금부재(62)의 에지각은 θ1이다.
출력부재(34)가 입력부재(32b)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변위될 때, 제 1면(34b')은 굵은선으로 된 보다 낮은 위치에서 가상선으로 된 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한다. 이 제 1면(34b')의 상향운동으로, 잠금부재(62)는 테이퍼상 공간(61)의 테이퍼방향에 반대방향(예; 제 19a도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변위되어 접점 P1, P2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입력측 결합면(32C)이 접점 P1에 접촉하는 접선 S는 이전보다 적은 경사각을 가지므로, 잠금부재(62)는 접점 P1, P2에서 보다 적은 쐐기각 θ2를 가진다. 이러한 보다 적은 쐐기각 θ2를 가지는 잠금부재(62)는 보다 큰 쐐기 작용 또는 힘을 발생하여 입력 및 출력측 결합면(32c, 34b')으로부터 잠금부재(62)를 해지하는데 큰 클러치 해지력이 필요하다.
제 19B도는 상기 비교예의 결점을 극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근본적인 이론을 나타낸 것이다.
제 1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선인 상방으로 배치된 제 1면(34b')은 테이퍼상 공간(61)의 테이퍼각을 팽창 또는 확대하는 방향(본 도에서는 오른손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 2면(34d)과 조합된다. 이 제 2면(34d)은 상방으로 배치된 잠금부재(62)와 연결가능하고, 잠금부재(62)가 입력측 결합면(32c) 및 제 2면(34d)과 연결될 때, 잠금부재(62)는 실제적으로 쐐기 θ1과 동일한 쐐기각 θ3을 가진다. 비록 제 1면(32')이 상방으로 변위되더라도 잠금부재(62)의 쐐기각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잠금부재(62)의 쐐기작용 또한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잠금부재(62)는 추가적인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입력 및 출력측 결합면(32c, 32b')으로부터 단락될 수 있다.
제 19C도는 제 19B도에 나타난 근본적 이론을 채용하여 된 구조의 특정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평한 출력측 제 1면(34b')은 테이퍼상 공간(61)의 테이퍼각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진 아치형면(34d)에 의해 형성된 제 2면(34d)에 접촉하면서 형성된다. 출력부재(34)가 입력부재(32b)에 대해 방사상 방향(제 19C도에서 상방)으로 변위될 때, 가상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테이퍼상 공간(61)내로 수용된 잠금부재(62)는 상방 및 우측으로 눌려진다. 그러나 이 경우 제 2면(34d)의 장점에 의해 잠금부재(62)의 쐐기각{잠금부재(62)와 입력측 결합면(32c)사이에 형성되고, 잠금부재(62)와 출력측 결합면(32d)사이의 접점}은 잠금부재(62)의 변위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아치형면(제 2면; 34d)은 제 1면(34b')에 합체하는 일단을 가지고, 이 일단이 테이퍼상 공간(61)의 테이퍼방향의 반대방향인 접점 P2로부터 어느 정도 보충된다.
따라서, 쐐기각과 잠금부재(62)의 쐐기작용 결과는 입력부재(32b)에 대한 출력부재(34)의 방사상 변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래서 입력 및 출력측 결합면(32c, 34b')으로부터 잠금부재(62)를 해지하기 위해 필요한 힘(클러치 해지력) 또한 일정하고, 따라서 추가되는 힘은 필요 없다.
선택된 제 2클러치기구(51a)의 테이퍼각 교정부(34d)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되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기계식클러치(40)의 조작을 제 1도 및 제 20∼23도를 참고로 기술한다.
제 1도에서, 스티어링휠(2)이 작동되지 않을 때는 스티어링토크 검지수단(3)으로부터 어떤 신호도 검지되지 않고, 그래서 제어유닛(4)으로부터 어떠한 보조명령신호도 출력되지 않는다. 보조명령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전동모터(5)는 에너지를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어떤 보조토크도 발생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클러치기구(41, 51)는 모두 단락상태(중립상태)에 있게 된다.
스티어링휠(2)에 작용하는 스티어링토크가 적고 전동모터(5)가 보조토크를 발생하지 않는 경우, 입력축(11; 제 2도 참고)에 연결된 위치조절부재(64)와 출력부재(34)사이의 상대적 위치 또는 상은 일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서서히 변한다. 그러나 상변화 정도는 제 1클러치기구(41)의 연결을 일으키기에는 여전히 불충분하다. 따라서, 출력부재(34)는 제 2도와 같이 스티어링시스템의 스티어링토크에 의해 회전 또는 조향 {입력축(11)→토션바(13)→출력축(15)}하여 잠금부재(62)와 입력부재(32b)사이의 마찰력 또는 전동모터(5)에 의해 공급된 비자발적 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출력축(15)을 구동한다.
한편, 스티어링휠(2)에 작용하는 스티어링토크가 크고 전동모터(5)가 보조토크를 발생하는 경우, 위치조절부재{64; 선택된 위치조절부재(64a)포함}와 출력부재(34)사이의 상대적 위치 또는 상은 크게 변한다. 실예로 제 2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치조절부재(64)는 화살표 X로 지시된 반시계방향으로 크게 변위된다. 위치조절부재(64)의 이 각변위로, 제 1클러치기구(41)의 각각의 잠금부재(62)는 압력접합부재(65)의 탄성력에 의해 상응 테이퍼상 공간(61)의 테이퍼상 원주단으로 재배치되고, 궁극적으로 입력부재(32b)와 출력부재(34)사이로 쐐기 고정되어 모든 제 1클러치기구(41)는 연결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전동모터(5)의 회전에 의해 입력부재(32b)는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전동모터(5)로부터 발생된 보조토크는 입력부재(32b)로부터 제 1클러치기구(41)를 통해 출력부재(34)에 전달된다. 그래서, 출력부재(34)는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한 스티어링시스템 {입력축(11)→토션바(13)→출력축(15)}내의 스티어링토크와 전동모터(5)로부터의 보조토크의 합과 같은 조합 토크에 의해 출력축(15)을 구동시킨다.
이후, 전동모터(5)로부터 보조토크의 전달이 계속되는 동안, 어떤 이유에 의해 제 1클러치기구(41)가 단락되어야 할 때, 조향휠(2; 제 1도 참고)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스티어링핸들(2)의 운동으로, 위치조절부재(64)는 제 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재(32b)의 회전방향과 반대인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선택된 하나의 조절부재(64a; 본 도면에서 좌측의 것)는 다른 2개 또는 잔여위치조절부재(64a, 64)와 대응하는 오른쪽 인접 잠금부재(62, 62)사이의 연결에 앞서 오른쪽 인접 잠금부재(이후 "선택된 잠금부재(62a)"로 함)와 접촉하고, 연이어 선택된 위치조절부재(64a)는 선택된 잠금부재(62a)를 화살표 Y방향으로 압력 접합하여 이에 의해 제 1클러치기구(41)의 선택된 하나(41a)는 단락된다.
이 예에서, 잔여 위치조절부재(64a, 64)가 여전히 오른쪽 인접 잠금부재(62, 62)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 22도의 화살표로 지시된 두개의 벡터 Z1, Z2는 다른 2개 또는 잔여 잠금부재(62, 62)로부터 출력부재(34)로 작용한다. 이어서, 출력부재(34)는 두 벡터 Z1, Z2 기인한 벡터 또는 힘인 화살표 Z3으로 지시된 불균형한 하중을 받게 된다. 이 불균형 하중의 영향에 의해, 핀을 따라 인도되는 동안 출력부재(34)는 탄성부재(35)의 힘에 대해 화살표 Z3의 방향으로 미소하게 움직인다. 이러한 출력부재(34)의 배치로, 그 안에 잔여 잠금부재(62)를 수용하는 테이퍼상 공간(61; 제 17도 참고)은 입력 및 출력부재(32b, 34)상에 작용하는 잔여 잠금부재(62)의 쐐기상 힘이 감소되는 결과로 서서히 팽창 또는 확대된다.
바로 그 후, 잔여 위치조절부재(64a, 64)는 각각 잔여 잠금부재(62)와 접촉하고, 따라서 이들을 화살표 Y방향으로 눌려서 제 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두개 또는 잔여 제 1클러치기구(41)는 단락된다. 탄성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 출력부재(34)는 원래 중립위치로 자동적으로 되돌아간다.
잠금부재(62)가 마찰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단지 압력 접합부재(65)의 탄성력을 극복하기에 필요한 적은 힘으로 입력 및 출력부재(32b, 34)로부터 단락될 수 있다. 그래서, 입력부재(32b)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더라도, 제 1클러치기구(41) 3세트 전부는 제 1클러치기구의 단지 하나{선택된 클러치기구(41a)}를 단락하는데 필요한 힘을 초과하지 않는 적은 클러치 단락력으로 확실하게 단락될 수 있다. 제 2클러치기구(51)는 제 1클러치기구(41)와 동일한 방법으로 그러나 반대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스티어링휠(2)의 회전에 감응하여, 제 2클러치기구(51)는 또한 제 20∼23도를 참고로 상술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4 내지 29도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기술한다. 제 4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같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며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4도는 제 5실시예에 따른 기계식클러치(4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기계식클러치(40)는 제 17도에 도시한 제 2실시예의 기계식클러치의 변형이다.
기계식클러치(40)는 세 꼭지점이 깎여지거나 라운드 되고 세면은 바깥으로 곡면된 단면도에서 일반적인 등변삼각형 형태를 가진 출력부재(34)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클러치기구(41, 51)의 선택된 쌍을 위치제어하는데 사용되는 3개의 위치조절부재(64)중 선택된 하나(64a)는 나머지 둘 또는 잔여 위치조절부재(64, 64)의 원주길이 L6 보다 큰 원주길이 L5를 가진다. 선택된 하나의 위치조절부재(64a)는 출력부재(34)의 일반적인 등변삼각형의 세 깎여진 꼭지점중의 하나와 방사상 배열로 통상 배치된다. 잔여 위치조절부재(64, 64)도 또한 통상 출력부재(34)의 등변삼각형의 나머지 둘 또는 잔여 깎여진 꼭지점과 방사상 배열로 배치된다.
제 1및 제 2클러치기구(41a, 51a)의 선택된 쌍은 각각 테이퍼상 공간(61)의 쌍을 가지고, 이들 각 테이퍼상 공간(61)은 선택된 제 1클러치기구(41a) 또는 선택된 제 2클러치기구(51a)가 단락되도록 될 때 잠금부재(62)가 마찰결합면(32c, 34b')으로부터 분리 또는 단락되도록 부분적으로 확대된다.
더욱 자세히는, 출력부재(34)의 다각형 외측면(34b)은 마찰결합면부(34b'; 출력측 결합면)의 2개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선택된 제 1 및 제 2클러치기구(41a, 51a)의 잠금부재(62)가 마찰결합면(32c, 34b')으로부터 단락되도록 허용하는 홈(34c)쌍을 가진다.
제 25도는 제 24도의 B로 지시된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것으로, 선택된 제 1 클러치기구(41a)의 테이퍼상 공간(61)을 한정하는 마찰결합면(32c, 32b')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찰결합면(32c, 34b')은 제 18도에 나타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출력측 결합면(34b')이 테이퍼상 공간(61)의 테이퍼각을 크게 하는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면(34d)을 가진다. 경사면(34d)은 아치형면이 좋다. 아치형면(34d)의 중심 또는 잠금부재(62)의 직경이 변하더라도 아치형면(34d)은 마찰결합면(32c 및 34b')들 사이의 쐐기각 θ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아치형면(34d)은 테이퍼각 교정부로서 작용을 한다. 테이퍼각 교정부(34d)의 작동은 제 18도의 제 4실시예와 같고,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된 제 2클러치기구(51a)도 또한 출력측 결합면(34b')에 유사한 출력측 결합면(34d; 제 24도 참고)을 가진다.
다음으로, 제 5실시예의 기계식클러치(40)의 조작에 대해서 제 1도 및 제 26∼29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스티어링휠(2)이 작동하지 않을 때, 제 1 및 제 2클러치기구(41, 51)는 모두 제 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락상태(중립위치)로 배치된다.
스티어링휠(2)에 작용하는 스티어링토크가 작고 전동모터(5)가 보조토크를 발생하지 않는 경우, 위치조절부재(64)와 출력부재(34)사이의 상대적 위치 또는 상은 실제적으로 어떠한 변화도 보이지 않으며 그래서 제 1클러치기구(41)는 여전히 단락상태로 유지된다. 출력부재(34)가 회전되어 제 2도에 도시한 스티어링시스템 내에 스티어링토크에 의해 잠금부재(62)와 입력부재(32b)사이에 마찰력 및 전동모터(5)에 의해 발생된 비자발적 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출력측(15)을 구동한다.
한편, 스티어링휠(2)에 작용하는 스티어링토크가 크고 전동모터(5)가 보조토크를 발생하는 경우, 위치조절부재(64)와 출력부재(34)사이의 상대적 위치 또는 상은 크게 변한다. 실예로 제 2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치조절부재(64)는 화살표 X로 지시된 방향으로 크게 변위된다. 위치조절부재(64)의 이 각변위로 제 1클러치 기구(41)의 각각의 잠금부재(62)는 화살표 X방향으로 크게 재 변위되고 제 1클러치 기구(41)는 연결상태로 된다. 이 경우, 출력부재(34)는 화살표 X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티어링시스템의 스티어링토크와 전동모터(5)로부터 보조토크의 합인 조합토크에 의해 출력측(15)을 구동한다.
이후, 전동모터(5)로부터 보조토크의 전달이 계속되는 동안, 어떤 이유에 의해 스티어링핸들(2)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스티어링핸들(2)의 운동으로, 위치조절부재(64)는 제 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재(32b)의 회전방향의 반대인 화살표 Y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선택된 위치조절부재(64a)는 다른 2개 또는 잔여 위치조절부재(64, 64)와 대응하는 오른쪽 인접 잠금부재(62, 62)사이의 연결에 앞서 오른쪽 인접 잠금부(이후 "선택된 잠금부재(62a)"로 칭함)와 접촉하고, 연이어 선택된 위치조절부재(64a)는 선택된 잠금부재(62a)를 화살표 Y방향으로 압력 접합하여 이에 의해 제 1클러치기구(41)의 선택된 하나(41a)는 단락된다.
이 예에서, 잔여 위치조절부재(64, 64)는 여전히 오른쪽 인접 잠금부재(62, 62)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 28도의 화살표로 지시된 두개의 벡터 Z1, Z2는 잔여 제 1클러치기구(41)의 잠금부재(62, 62)로부터 출력부재(34)로 작용한다. 이어서, 출력부재(34)는 두 벡터 Z1, Z2에 기인한 벡터 또는 힘인 화살표 Z3으로 지시된 불균형한 하중을 받게 된다. 이 불균형 하중의 영향에 의해, 핀(14)을 따라 인도되는 동안 출력부재(34)는 탄성부재(35)의 탄성력에 대해 화살표 Z3의 방향으로 미소하게 움직인다. 이러한 출력부재(34)의 변위로 그 안에 잔여 잠금부재(62)를 수용하는 테이퍼상 공간(61; 제 24도 참고)은 서서히 팽창 또는 확대되고, 출력 및 입력부재(32b, 34)상에 작용하는 잔여 잠금부재(62)의 쐐기상 힘이 감소된다.
바로 그 후, 잔여 위치조절부재(64a, 64)는 각각 잔여 잠금부재(62)와 접촉하고, 따라서 이들을 화살표 Y방향으로 눌려져서 제 2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두개 또는 잔여 제 1클러치기구(41)는 단락된다. 출력부재(34)는 탄성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중립위치로 자동적으로 되돌아간다.
그래서, 입력부재(32b)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더라도, 제 1클러치기구(41) 3세트 전부는 제 1클러치기구(41)의 단지 하나{선택된 클러치기구(41a)}를 단락하는데 필요한 힘을 초과하지 않는 적은 클러치 단락력으로 안전하고 확실하게 단락될 수 있다.
제 2클러치기구(51)는 제 1클러치기구(41)와 동일한 방법으로 그러나 반대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스티어링휠(2)의 회전에 감응하여 제 2클러치기구(51)는 또한 제 26∼29도를 참고로 상술한 방법으로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될 수 있다.
제 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34c)의 제공에 기인하여 출력부재(34)의 외측면(34b; 제 24 및 25도 참고)과 잠금부재(62b)사이의 공간이 홈(34c)의 깊이와 같은 정도로 확대된다. 이것은 마찰결합면(32c, 34b')으로부터 잠금부재(62a)의 확실한 분리 또는 단락을 보장하여 입력부재(32b)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출력부재(34)의 변위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제 1 및 제 2클러치기구(41, 51)는 따라서 빠르고 확실하게 단락된다.
탄성부재(13)는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난 토션바에 결코 한정되지 않고 어떤 다른 성분이 제공되어 이 성분이 스티어링토크에 비례한 입력축(11)과 출력축(15) 사이의 상대적 비틀림 변위를 만들 수 있다.
제 1클러치기구(41) 또는 제 2클러치기구(51)의 수는 기술된 실시예인 3개로 한정되지는 않고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출력부재(34)는 입력부재(32b)에 대해 방사상의 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하게 장착된다. 반면, 입력부재(32b)는 출력부재(34)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테이퍼상 공간(61)은 부분적으로 확대되어 입력 및 출력측 결합면(32c, 34b')으로부터 잠금부재(62)의 분리 또는 단락이 용이하도록 한다. 홈(34c)의 위치는 출력부재(34)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입력부재(32b)도 그 실린더형 내측면에 유사한 홈을 가질 수 있다.
선택된 클러치기구(41a, 51a)의 잠금부재(62a)가 단락될 때, 출력부재(34)는 잔여 클러치기구(41, 51)의 잠금부재(62)에 의해 나타난 힘에 의해 방사상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출력부재(34)가 잠금부재(62)에 의한 힘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변위될 때, 잔여 클러치기구의 잠금부재(62)와 출력부재(34)사이에 작용하는 마찰 결합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출력부재(34)는 위치조절부재(64)의 위치에 대한 변위의 방향에 대해 제한되지 않는다.
후자를 안내하기 위해 출력부재(34)와 결합되어 사용된 가이드부재는 도시된 실시예에 나타난 핀(14)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출력축(15)에 대해 출력 부재(34)를 압력 접합하는 탄성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35), 출력축(15)의 혀모양의 탄성축 스트립(15b), 탄성부재(71)의 중공탄성부(71a), 접시(belleville)스프링 등을 포함한다.
테이퍼상 공간(61)은 내측부재(32)의 실린더형 내측면(32c)과 출력부재(34)의 다각형 외측면{마찰결합면부(34b')포함}사이에 한정되는 것이 좋다. 출력부재(34)의 외측면 형상은 제 5, 11, 17 및 24도에 나타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부재(32b)는 출력부재(34)가 실린더형 외측면을 가지는 때에 다각 내측면을 가진다.
잠금부재(62)는 실린더형 외에 나선형이 제공될 수 있고, 이들은 선택적으로 짝이 되는 테이퍼상 공간(61)의 테이퍼상 원주단과 연결 및 단락하여 입력부재(32b) 및 출력부재(34)를 연결 및 단락한다.
기계식클러치(40)에 합체된 압접부재는 결코 압축코일스프링(65)에 한정되지 않고 강체 고무부재 또는 판스프링으로 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클러치기구(41, 51)는 마찰연결클러치를 구성하는 것이 좋고, 따라서 아래에 기술하는 공지의 스프래그(sprag)식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래그식 클러치는 실린더형 내측결합면을 가진 중공실린더형 외측부재 또는 궤도(race){입력부재(32b)에 상당}, 실린더형 외측 결합면을 가지고 바깥궤도와 동심적으로 배치된 중공실린더형 내측부재 또는 궤도{출력부재(34)에 상당}, 외측 부재와 내측부재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스프래그(쐐기작용을 가진 캠), 조향핸들과 연결되어 스프래그 위치를 제어하는 부재{위치조절부재(64)에 상당} 및 내측 및 외측 결합면 사이에서 스프래그를 에지(Wedge)하는 방향으로 각 스프래그를 압력 접합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효과]
본 발명의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는 하기 하는 여러 가지의 이점이 있다.
출력부재는 입력부재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잠금부재의 일부가 출력부재로부터 단락될 때, 개개의 잠금부재로부터 출력부재로 작용하는 힘 또는 압력이 균형을 잃게 된다. 그래서, 잔여 잠금부재는 출력부재를 눌러서 입력 부재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변위되게 된다. 출력부재의 이러한 변위로, 잔여 잠금부재와 출력부재사이에 작용하는 마찰 결합력은 약해지거나 감소되고, 이것은 잔여 잠금부재가 압접부재를 극복하기에 필요한 힘을 약간 초과하는 적은 힘으로 단락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찰클러치기구는 모든 마찰클러치기구를 일시에 단락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아주 적은 힘으로 즉시 단락될 수 있다.
잠금부재와 입력 및 출력부재와의 사이에 확실한 쐐기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출력부재는 일반적으로 복잡한 형태 및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출력부재는 출력측으로부터 구조적으로 독립된 분리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출력부재는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성으로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가 동일원상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마찰클러치기구의 선택된 한 세트를 위치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위치조절부재의 선택된 한 세트는 잔여위치조절부재의 원주길이보다 크기 때문에, 마찰클러치기구의 선택된 한 세트는 잔여마찰클러치기구에 앞서 단락될 수 있다. 마찰클러치기구의 선택된 한 세트의 단락에 뒤이어, 모든 클러치 기구를 일시에 단락하는데 필요한 힘보다 아주 적은 힘으로 즉시 마찰클러치기구 잔여세트가 단락된다.
마찰클러치기구의 잔여세트의 잠금부재를 연결하도록 적용되는 출력부재의 결합면이 출력부재의 변위 방향에 반대방향인 하방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출력 부재는 마찰클러치기구의 선택된 한 세트가 단락될 때 방사상 방향으로 부드럽고 안정되게 재배치된다. 이러한 배열은 클러치단락조작의 확실성 증진에 효과적이다.
출력부재를 출력축으로 압력 접합하는데 사용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클러치 기구가 완전히 단락될 때, 출력부재는 방사상으로 변위된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복귀한다. 이렇게 제공된 탄성부재로, 출력부재는 적은 힘으로 클러치기구를 단락하기 위해 높은 확실성으로 그의 상호운동을 반복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출력부재의 변위방향에 평행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가지고, 출력부재의 변위방향으로 배열된 탄성력으로 출력부재는 불쾌한 조작소음 없이 원래의 위치로 부드럽고 안정되게 복귀할 수 있다. 그래서 클러치기구는 전체로서 확실하고 조용하게 조작될 수 있다.
출력부재는 출력축 상에 좋기로는 고무와 같은 댐핑 또는 충격흡수특성을 가진 재질로 된 탄성부재에 의해 장착되기 때문에, 클러치기구에서 발생될 수 있는 스트라이킹 소음이 탄성부재에 의해 많은 정도로 흡수 또는 희석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로서 파워스티어링장치는 파워스티어링장치의 생산비를 높이게 되는 방음성을 개선시킨다.
출력부재가 입력부재에 대해 방사상 방향으로 변위될 때, 테이퍼각 교정부는 테이퍼상 공간 내 잠금부재의 위치를 보정하여 잠금부재와 마찰결합면 사이의 쐐기 각이 실제적으로 일정한 값을 갖도록 한다. 테이퍼상 공간 내 잠금부재의 위치가 입력 및 출력부재의 상대운동에 기인하여 변하더라도, 잠금부재의 쐐기각과 쐐기작용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잠금부재는 추가의 클러치 해지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테이퍼상 공간의 마찰결합면으로부터 부드럽고 확실하게 단락될 수 있다.
어떤 이유에 기인하여 출력부재가 입력부재와 편심이 일어날 수 있어 테이퍼상 공간 내 잠금부재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테이퍼각 교정부가 일정한 쐐기각이 잠금부재와 마찰결합면사이에 형성될 때까지 잠금부재의 위치를 교정하도록 작동한다. 그래서, 테이퍼각 교정부는 적은 클러치 해지력으로 수행될 수 있게 부드러운 클러치기구의 해지 조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테이퍼상 공간의 일부는 확대된 부분이기 때문에, 잠금부재가 단락위치에 있을 때, 잠금부와 마찰결합면 사이에 큰공간 또는 간격이 제공된다. 이 배열을 잠금부재와 마찰결합면 사이에 긍정적이고 확실한 분리를 보장하고 또한 입력부재와 출력부재사이의 상대운동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기구는 향상된 확실성으로 단락될 수 있다.
다수 클러치기구세트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은 잔여마찰클러치기구의 단락에 앞서 단락될 수 있고, 테이퍼상 공간의 확대된 부분은 클러치기구의 조기 단락세트인 상기 최소한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조기 단락 가능한 클러치 기구세트는 항상 제 1차로 단락되고, 바로 잔여클러치기구세트의 단락이 따른다. 이 확대된 부분의 특성에 의해 잠금부재가 마찰결합면으로부터 단락되도록 힘을 받을 때, 조기 단락 가능한 클러치기구의 각 잠금부재는 확대된 부분으로 부드럽게 수용된다. 이렇게 확대된 부분으로 수용된 잠금부재로 인해, 다수 클러치기구세트의 클러치 단락조작은 향상된 확실성으로 수행될 수 있다.
명백하게, 본 발명의 여러 개악적 변화 및 변경이 상기의 점에 비추어 가능하며,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 외의 방법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짐은 명백하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제 3도는 제 2도의 3-3선 단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분해한 투시도,
제 5도는 부분 제거한 제 2도의 5-5선 단면도,
제 6도∼제 9도는 본 발명의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의 기계식 클러치의 작동상태도,
제 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의 확대단면 발췌도,
제 11도는 제 10도의 11-11선 단면도,
제 12도∼제 15도는 본 발명의 기계식 클러치의 제 2작동상태도,
제 16도는 본 발명의 요부의 다른 단면도,
제 17도는 본 발명의 요부의 또 다른 단면도,
제 18도는 제 17도의 A부의 확대도,
제 19도는 본 발명의 테이퍼 각도부의 작동상태도,
제 20도∼제 23도는 제 17도의 기계식 클러치의 작동상태도,
제 2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의 단면도,
제 25도는 제 24도의 요부의 확대도,
제 26도∼제 29도는 제 24도의 기계식 클러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2. 스티어링휠 3. 검지기 4. 제어기
5. 전동모터 6. 토크전송유닛(기구) 7. 피니언 8a. 래크 11. 입력축
13. 토션바(torsion bar) 15. 출력축 15b. 스트립 15c. 평판면
21. 검지기본체 22. 추진자 25. 전선케이블 26. 하우징 27. 컨넥터
32b. 보조토크 입력부재 32c. 마찰결합면 33. 실린더형 부재(휠)
34. 출력부재 34a. 통공 35. 탄성부재 40. 기계식클러치
41, 51. 마찰클러치 61. 테이퍼상 공간 62. 잠금부재 64. 위치조절부재
71. 탄성부재

Claims (14)

  1. 스티어링토크에 따른 보조토크를 발생시키는 전동모터(5) 및 스티어링휠(2)에 연결된 출력축(15)을 포함하는 스티어링시스템(11∼15)에 보조토크를 전달하는 복수세트의 마찰클러치기구(41, 51)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세트의 마찰클러치기구(41, 51)는
    상기 전동모터(5)에 연결된 입력부재(32b); 이들 사이에 한정된 환상공간을 가지는 상기 입력부재(32b)와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출력축(15)에 연결된 출력부재(34); 상기 입력부재(32b) 및 상기 출력부재(34)의 내면(32c)과 상기 입력부재(32b) 및 상기 출력부재(34)의 외면(34b)과의 사이에 한정된 복수개의 테이퍼상 공간(61); 상기 테이퍼상 공간(61)에서 각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입력 및 출력부재(32b, 32)를 선택적으로 연결 및 단락하는 복수개의 잠금부재(62); 상기 테이퍼상 공간(61)의 테이퍼된 방향으로 상기 잠금부재(65)를 압력 접합하는 복수개의 압접부재(65); 상기 잠금부재(62)를 위치제어하는 상기 스티어링핸들(2)에 연결된 복수개의 회전 가능한 위치조절부재(64)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부재(64)의 회전은 상기 마찰클러치기구(41, 51)의 상기 잠금부재(62)를 상기 내측면(32c)과 외측면(34b) 사이에서 쐐기형 연결의 안쪽 및 바깥쪽으로 움직여 이에 의해 상기 전동모터(5)로부터 상기 출력축(15)으로 보조토크를 전달하는 상기 입력부재(32b)와 출력부재(34)를 선택적으로 연결 및 단락하고, 상기 입력부재(32b)와 출력부재(34)가 이들이 상호 방사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마찰클러치기구(41, 51)의 복수세트 중 선택된 하나(41a, 51a)가 상기 위치조절부재(64)의 회전에 감응하여 단락될 때, 상기 입력부재(32b) 및 출력부재(34)가 마찰클러치기구(41, 51)의 잔여세트의 상기 잠금부재(62)로부터 가하여진 힘에 의해 상기 방사상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되어, 이 상대적 운동으로 상기 마찰클러치기구(41, 51)의 잔여세트의 상기 잠금부재(62)와 상기 입력 및 출력부재(32b, 34)의 상기 내면 및 외면(32c, 34b)사이의 마찰결합력을 감소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재(34) 및 상기 출력축(15)이 각각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구성된 분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부재(34)가 그들의 방사상 내에 상기 출력축(15)에 대해 변위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축(15)상에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재(64)가 동일 원상에 일정한 간격 배치되고, 상기 마찰클러치기구의 선택된 한 세트(41a, 51a)를 위치제어하는 것에 사용된 상기 위치조절부재(64)의 선택된 하나(64a)가 잔여 위치조절부재(64)의 것 보다 큰 원주길이를 갖도록 하여 선택된 마찰클러치기구의 선택된 하나(41a, 51a)가 마찰클러치기구(41, 51)의 잔여세트에 앞서 단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재(34)가 상기 마찰클러치기구의 잔여세트(41, 51)의 상기 잠금부재(62)와 연결하도록 적용된 결합면(34b')을 갖고, 상기 결합면(34b')이 상기 출력부재(34) 변위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상기 마찰클러치기구의 선택된 세트(41a, 51a)가 단락될 때 방사상으로 상기 출력부재(34)의 부드러운 변위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재(34)를 상기 출력축(15)방향으로 압력 접합하는 탄성부재(35; 15b)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5; 15b)가 상기 출력부재(34)의 변위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재(34)가 탄성부재(71)에 의해 상기 출력축(15)상에 장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15)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출력부재(34)가 상기 출력축(15)을 수용하는 실제적으로 타원형의 통공(34a)을 가지고, 상기 출력축(15) 및 상기 출력부재(15)가 상기 타원형 통공(34a)의 주축을 따라 안쪽으로 신장하는 핀(14)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출력축(15)및 상기 출력부재(34)가 탄성부재(35)에 의해 상호방향으로 압력 접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15)이 혀모양의 탄성축 스트립(15b)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출력축(15)의 단부에 형성된 축방향의 슬릿(S)과, 우측각에서 상기 축방향 슬릿(S)으로 신장하고, 상기 출력축(15)의 상기 단부의 외측면의 직경으로 반대부분을 끊어내서 형성된 한 쌍의 평행 평판면(15c)을 가지고, 상기 출력부재(34)가 상기 혀모양 탄성스트립(15b)과 상기 평판면(15c)을 포함하는 상기 출력축(15)의 상기 단부와 끼워진 통공(34a)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15)이 혀모양의 탄성스트립(15b)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출력축(15)의 단부에 형성된 축방향 슬릿(S)과, 상기 출력축(15)의 상기 단부의 외측면의 직경으로 반대부분을 끊어내어 형성된 한 쌍의 평행 평판면(15c)을 가지고, 상기 출력부재(34)가 상기 혀모양 탄성스트립(15b)과 상기 평판면(15c)을 포함하는 상기 출력축(15)의 상기 단부와 느슨하게 끼워진 통공(34a)을 가지고, 상기 출력부재(34)가 댐핑 특성을 가진 탄성부재(71)를 통해 상기 출력축(15)상에 지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32c)과 상기 외측면(34b)의 하나가 상응하는 테이퍼상 공간(61)내 상기 잠금부재(62)의 위치가 상기 입력부재(32b)와 상기 출력부재(34)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에 기인하여 변하더라도 실제적으로 동일한 쐐기각을 유지하여 상기 각각의 잠금부재(62)를 상기 내측 및 외측면(32c, 34b)사이에 에지하도록 할 수 있는 테이퍼각 교정부(34d)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상 공간(61)의 일부가 그 안에 상기 잠금부재(62)를 수용하여 상기 잠금부재(62)가 단락될 때 상기 내측 및 외측면(32c, 34b)으로부터 상기 잠금부재(62)가 즉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테이퍼각 교정부(34d)에 접촉하는 확대부(34c)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상 공간(61)의 일부가 그 안에 상기 잠금부재(62)를 수용하여 상기 잠금부재(62)가 단락될 때 상기 내측 및 외측면(32c, 34b)으로부터 상기 잠금부재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부(34c)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마찰클러치기구세트(41, 51)의 최소한 하나 이상(41a, 51a)이 잔여 클러치기구(41, 51)에 앞서 단락되고, 상기 마찰클러치기구의 최소한 한 세트이상(41a, 51a)의 상기 테이퍼 공간이 상기 확대된 부분(34c)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KR1019970019177A 1996-05-17 1997-05-17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KR100458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23739 1996-05-17
JP12373996A JP3666764B2 (ja) 1996-05-17 1996-05-17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97/000987 1997-01-07
JP97-00987 1997-01-07
JP98797A JP3701422B2 (ja) 1997-01-07 1997-01-07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471A KR970074471A (ko) 1997-12-10
KR100458378B1 true KR100458378B1 (ko) 2005-04-06

Family

ID=2633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177A KR100458378B1 (ko) 1996-05-17 1997-05-17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99294A (ko)
EP (1) EP0807765B1 (ko)
KR (1) KR100458378B1 (ko)
CA (1) CA2205697C (ko)
DE (1) DE6970127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069A (ja) * 1997-05-12 1998-11-24 Honda Motor Co Ltd ケーブル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6164407A (en) * 1998-12-04 2000-12-26 Trw Inc.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00177607A (ja) * 1998-12-14 2000-06-27 Toyoda Mach Works Ltd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9916295A1 (de) * 1999-04-12 2000-10-19 Schaeffler Waelzlager Ohg Klemmgesperre
DE19920092C2 (de) * 1999-05-03 2002-11-14 Kostal Leopold Gmbh & Co Kg Lenk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3971051B2 (ja) * 1999-05-06 2007-09-05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JP3677772B2 (ja) * 1999-07-19 2005-08-03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20005325A1 (en) * 2000-06-30 2002-01-17 Shigeyuki Yamada One-way clutches
US6481550B2 (en) * 2000-07-25 2002-11-19 Asmo Co., Ltd. Motor having clutch provided with stopper
US6727613B2 (en) * 2001-04-25 2004-04-27 Asmo Co., Ltd. Motor having rotatable shaft coupled with worm shaft
US6547031B1 (en) * 2001-10-16 2003-04-15 Delphi Technologies, Inc. Front wheel steering variable control actuator
US6851510B2 (en) * 2002-02-21 2005-02-0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ear-wheel steering device for vehicle
JP2003252231A (ja) * 2002-02-28 2003-09-10 Aisin Seiki Co Ltd 車両の後輪操舵装置
AU2002950085A0 (en) * 2002-07-09 2002-09-12 David Loughnan Mechanical coupling
CN100422024C (zh) * 2003-12-06 2008-10-01 Zf操作系统有限公司 用于车辆的叠加转向系统
EP1689631B1 (de) * 2003-12-18 2008-01-23 ZF Lenksysteme GmbH Überlagerungslenkung
EP1753967B1 (de) * 2004-05-06 2011-03-09 Hans Heidolph GmbH & Co. KG Rückwirkungsgeschützte getriebebaueinheit und sperrkupplung
DE102005056978A1 (de) * 2005-11-30 2007-05-31 Schaeffler Kg Klemmkörpergesperre
US8087845B2 (en) * 2008-05-22 2012-01-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grated locking assembly for reconfigurable end-effectors
US8702340B2 (en) * 2010-01-27 2014-04-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grated linear and rotary locking device
JP5549425B2 (ja) * 2010-06-30 2014-07-16 横浜ゴム株式会社 操舵操作力検出装置
JP6386903B2 (ja) * 2014-12-19 2018-09-05 株式会社ショーワ アクチュエータ、及び車両用転舵装置
DE102015011415A1 (de) * 2015-08-29 2017-03-02 Borgwarner Inc. Freilauf und Freilaufanordnung mit einem solchen Freilauf
EP3222869B1 (en) * 2016-03-24 2020-05-06 Goodrich Actuation Systems Limited Torque limiting device
US10570966B2 (en) 2016-11-04 2020-02-2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Clutch mechanism for rotary power tool
JP6922716B2 (ja) * 2017-12-15 2021-08-1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20011623A (ja) * 2018-07-19 2020-01-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CN111059170B (zh) * 2019-12-26 2022-08-19 北京工业大学 偏心圆弧滚柱式双向超越离合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4774A (en) * 1960-06-24 1963-04-09 Ford Motor Co Two-way overrunning coupling
JPS6121861A (ja) * 1984-03-23 1986-01-30 Aisin Seiki Co Ltd 電気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US4676331A (en) * 1984-12-20 1987-06-30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Torque detecting apparatus for electrical power steering system
JP2528140B2 (ja) * 1987-09-08 1996-08-28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クラッチ装置
DE3834198A1 (de) * 1987-10-09 1989-04-27 Ntn Toyo Bearing Co Ltd Kupplung
US5027915A (en) * 1987-12-26 1991-07-02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GB2220714B (en) * 1988-07-14 1992-07-08 Ntn Toyo Bearing Co Ltd Clutch
DE69129494T2 (de) * 1991-01-30 1998-12-17 Ntn Corp., Osaka Einrichtung zur übertragung einer drehbewegung
FR2706188B1 (fr) * 1993-06-08 1997-01-24 Ntn Toyo Bearing Co Ltd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rotation.
JP3464015B2 (ja) * 1993-06-08 2003-11-05 Ntn株式会社 回転伝達装置
JP3516315B2 (ja) * 1995-07-05 2004-04-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05697A1 (en) 1997-11-17
US5899294A (en) 1999-05-04
EP0807765B1 (en) 2000-02-09
KR970074471A (ko) 1997-12-10
DE69701270T2 (de) 2000-10-26
CA2205697C (en) 2004-09-21
EP0807765A1 (en) 1997-11-19
DE69701270D1 (de) 200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378B1 (ko) 전동파워스티어링장치
KR100374256B1 (ko) 전동파워 스티어링 장치
JPH0930944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組立方法
JP376454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751418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64855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701422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666764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701423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117072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中立調整方法
JP3795135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781597B2 (ja) クラッチ装置
JP3597279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10104093A (ja) トルクセンサ
JP2001260909A (ja) 操舵トルク検出装置
JP2661665B2 (ja) クラッチ装置
JP3636780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入力トルク検出装置
JPH0914231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2138523A (ja) クラッチ装置
JPH0930119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124727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1123389A (ja) トルク検出装置
JPH01249575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1247274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1308667A (ja) シリアルプリンタのホームポジショニング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