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571B1 -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571B1
KR100456571B1 KR10-2002-0047462A KR20020047462A KR100456571B1 KR 100456571 B1 KR100456571 B1 KR 100456571B1 KR 20020047462 A KR20020047462 A KR 20020047462A KR 100456571 B1 KR100456571 B1 KR 100456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leaf spring
soft iron
connection terminals
chemis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385A (ko
Inventor
이병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7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571B1/ko
Priority to JP2002367341A priority patent/JP3684416B2/ja
Priority to US10/331,248 priority patent/US6836206B2/en
Publication of KR2004001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0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fus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fuse
    • H01H85/32Indicating lamp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rotectiv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0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fus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fuse

Landscapes

  • Fus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에 설치된 퓨즈의 하우징 상부에 케미라이트를 수납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케미라이트가 발광가능하도록 그 하단에 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접속 단자를 연결하는 연철의 단선에 의해 상기 작동수단이 작동하여 케미라이트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즈 점검 시, 휴즈의 단선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Fuse short confirming devic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설치된 퓨즈의 하우징 상부에 케미라이트를 수납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케미라이트가 발광가능하도록 그 하단에 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접속 단자를 연결하는 연철의 단선에 의해 상기 작동수단이 작동하여 케미라이트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즈 점검 시, 휴즈의 단선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근래에 양산되는 자동차에는 안전성 및 편의성이 증대된 각종 전자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비중은 나날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과전류가 흐르면 발열 단선하는 동시에 회로를 개방하여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퓨즈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으며, 각종 안전 장치의 기능적인 특성으로 퓨즈의 정상 동작 여부 또한 중요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퓨즈의 단선 체크는 자동차의 상시 점검 사항으로 분류되어 지며, 이러한 특성을 갖는 자동차용 퓨즈는 일반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배선을 통해 전원단과 접지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11a,11b)와,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11a,11b)를 상호 연결시키되, 과전류가 흐르면 단선되어 분리시키는 연철(12)과, 별도의 기기(테스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상기 연철(12)의 단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의 통전 단자(13a,13b)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퓨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퓨즈(10)가 자동차에 장착되면 복수의 접속 단자(11a,11b)가 자동차의 소정 배선을 통하여 전원단과 접지단에 각각 연결되어 자동차의 상시 전원이나 시동 후, 이그니션 전원에 의하여 퓨즈(10)가 통전된다.
이때, 복수의 접속 단자(11a,11b)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철(12)에 정상적인 전류가 흐르면 연철(12)은 초기 상태를 유지하여 퓨즈(10)가 정상적으로 통전되나, 과전류가 흐르면 연철(12)이 발열 단선되어 복수의 접속 단자(11a,11b)를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접속 단자(11a,11b)에 소정의 배선을 통하여 연결된 회로로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퓨즈(10)의 단선 체크 시는 별도의 기기(테스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통전 단자(13a,13b) 상호간의 연결 상태를 체크하여 연철(12)의 단선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퓨즈의 단선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테스터 등의 별도의 기기를 준비하여 체크하였으므로 다소간의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전용 테스터가 아닌 범용 테스터를 사용함에 따라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소정의 배선을 통하여 전원단과 접지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되, 과전류가 흐르면 단선되어 접속 단자를 분리시키는 연철과, 별도의 기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상기 연철의 단선 여부를 확인할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의 통전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용 퓨즈의 하우징 상부에 케미라이트를 수납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케미라이트가 발광가능하도록 그 하단에 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접속 단자를 연결하는 연철의 단선에 의해 상기 작동수단이 작동하여 케미라이트의 화학물질이 서로 반응하여 발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즈 점검 시, 휴즈의 단선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3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퓨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퓨즈 11a,11b : 접속 단자
12 : 연철 13a,13b : 통전 단자
14 : 케미라이트(chemical light) 14a : 외피
14b : 모세 유리관 15 : 판 스프링
16 : 와이어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소정의 배선을 걸쳐 전원단과 접지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11a, 11b)와,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11a, 11b)를 상호 연결시키되, 과전류가 흐르면 단선되어 접속 단자(11a, 11b)를 분리시키는 연철(12)과, 별도의 기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상기 연철(12)의 단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의 통전 단자(13a, 13b)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용 퓨즈(10)에 있어서,
상기 퓨즈(10)의 하우징 상부에 케미라이트(14)가 수납되어 설치되고, 상기 케미라이트(14)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수단이 퓨즈와 연계되는 구조로 그 하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케미라이트(14)의 모세 유리관(14b)이 파열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판 스프링(15)과, 상기 판스프링(15) 및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11a, 11b)에 연결된 연철(12)이 서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계수단인 와이어(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판 스프링(15)은 외피(14a)와 더불어 그 일부분으로 일체 형성되고, 그 중간부분이 구획되어 와이어에 의해 당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세 유리관(14b)은 판 스프링(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용이하게 파열될 수 있도록 상기 판 스프링(15)의 중간부분에 만곡된 형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소정의 배선을 통해 전원단과 접지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11a,11b)와,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11a,11b)를 상호 연결시키되, 과전류가 흐르면 단선되어 접속 단자를 분리시키는 연철(12)과, 별도의 기기(테스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상기 연철(12)의 단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의 통전 단자(13a,13b)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용 퓨즈(10)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퓨즈(10)의 하우징 상부에 케미라이트(14)가 수납되어 설치되고, 상기 케미라이트(14)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하여 퓨즈(10)의 단선을 확인가능하도록 하는 작동수단이 퓨즈와 연계되는 구조로 그 하단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케미라이트(14)는 겉으로 보이는 외피(14a)속에, 파손이 용이한모세 유리관(14b)으로 이루어진 동시에 그 안에 액티베이터(Activator)가 구비되어 있는 앰풀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모세 유리관(14b) 속에 있는 화학물질로는 D.M.P, 부탄올, 과산화수소 등이고, 외피 속에는 D.B.P, 옥살리클로라이드, 염료 등의 화학물질이 들어 있으며, 이를 옥살레이트(Oxalate)라고 한다.
화학적으로 발광하는 약품과 발광 반응 등의 구체적인 내용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알려진 기술들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모세 유리관(14b)이 파열되어 그 속의 화학물질이 외피(14a) 속의 옥살레이트와 반응을 하면 빛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갖는 케미라이트(14)를 발광시키기 위한 작동수단은 상기 모세 유리관(14b)이 파열될 수 있도록 하는 판 스프링(15)과, 상기 판스프링(15) 및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11a,11b)에 연결된 연철(12)이 서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계수단인 와이어(16)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판 스프링(15)은 외피(14a)의 일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간부분이 구획되어 와이어(16)에 의해 당겨져 있으며, 그로인해 상방으로 탄성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외피(14a) 내에 내장된 모세 유리관(14b)은 판 스프링(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용이하게 파열될 수 있도록 상기 판 스프링(15)에 만곡된 형태로 부착되어 있으며, 결국 상기 액티베이터와 옥살레이트가 혼합되기 시작하여 화학 반응에 의해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피(14a)에는 판 스프링(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판 스프링(15)의 중간부분이 당겨지더라도 외피(14a)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되어 있어 판 스프링(15)이 당겨지고 남은 빈 부분을 메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퓨즈(10)의 단선 여부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상기 퓨즈(10)의 연철(12)이 단선되지 않은 정상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연철(12)과 판 스프링(15) 사이에 연결된 장력 유지용 와이어(16)에 의해 상기 판 스프링(15)이 탄성복원력을 유지하면서 그대로 위치되어 있고, 상기 퓨즈(10)의 연철(12)이 단선된 비정상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연철(12)과 판 스프링(15)을 연결한 와이어(16)의 장력이 제거되면서 판 스프링(15)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귀되고, 그로인해 케미라이트(14)의 모세 유리관(14b)에 충격력을 전달하여 파열시킴으로써, 결국 액티베이터와 옥살레이트가 혼합되기 시작하여 화학 반응에 의해 발광하여 불빛이 퓨즈(10)면에 투영되어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퓨즈 점검을 위해 퓨즈박스를 열었을 시, 캐미라이트의 야광 불빛에 의해 손쉽게 퓨즈의 단선을 확인할 수 있어 주/야간 정비 시, 효과적으로 퓨즈의 단선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정의 배선을 걸쳐 전원단과 접지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11a, 11b)와,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11a, 11b)를 상호 연결시키되, 과전류가 흐르면 단선되어 접속 단자(11a, 11b)를 분리시키는 연철(12)과, 별도의 기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상기 연철(12)의 단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의 통전 단자(13a, 13b)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용 퓨즈(10)에 있어서,
    상기 퓨즈(10)의 하우징 상부에 케미라이트(14)가 수납되어 설치되고, 상기 케미라이트(14)가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수단이 퓨즈와 연계되는 구조로 그 하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케미라이트(14)의 모세 유리관(14b)이 파열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판 스프링(15)과, 상기 판스프링(15) 및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11a, 11b)에 연결된 연철(12)이 서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계수단인 와이어(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판 스프링(15)은 외피(14a)와 더불어 그 일부분으로 일체 형성되고, 그 중간부분이 구획되어 와이어에 의해 당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 유리관(14b)은 판 스프링(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용이하게 파열될 수 있도록 상기 판 스프링(15)의 중간부분에 만곡된 형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
KR10-2002-0047462A 2002-08-12 2002-08-12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 KR100456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462A KR100456571B1 (ko) 2002-08-12 2002-08-12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
JP2002367341A JP3684416B2 (ja) 2002-08-12 2002-12-18 自動車用ヒューズの断線診断装置
US10/331,248 US6836206B2 (en) 2002-08-12 2002-12-30 Apparatus diagnosing a breaking of a fuse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462A KR100456571B1 (ko) 2002-08-12 2002-08-12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385A KR20040015385A (ko) 2004-02-19
KR100456571B1 true KR100456571B1 (ko) 2004-11-10

Family

ID=3149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462A KR100456571B1 (ko) 2002-08-12 2002-08-12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36206B2 (ko)
JP (1) JP3684416B2 (ko)
KR (1) KR1004565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420B1 (ko) 2012-03-14 2012-08-16 주식회사 지지테크 자동차용 퓨즈 단선 표시패드
KR101245958B1 (ko) 2012-07-27 2013-03-22 박진환 단선 진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2654A1 (de) * 2001-08-31 2003-04-0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Sicherungsbauelement mit optischer Anzeige
DE10245393A1 (de) * 2002-09-28 2004-04-08 Wickmann-Werke Gmbh Mittels Lichtbogen selbst-konfigurierendes Bauelement
US7812704B2 (en) * 2003-07-08 2010-10-12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se with fuse state indicator
US7839258B2 (en) * 2008-08-06 2010-11-23 Wen-Tsung Cheng Fuse assembly with a capability of indicating a fusing state by light
US8169291B2 (en) * 2010-01-06 2012-05-01 Wen-Tsung Cheng Combination-type fuse
US8164411B2 (en) * 2010-01-06 2012-04-24 Wen-Tsung Cheng Fuse structure with power disconnection light indicating function
CN113628941A (zh) * 2021-08-17 2021-11-0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产生荧光标识的保险丝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7837A (en) * 1976-01-31 1978-11-28 Wickmann Werke Aktiengesellschaft Indicating device for fuse-links more particularly miniature fuse-links
JPH0417231A (ja) * 1990-05-10 1992-01-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ヒュージブルリンク
JPH04179020A (ja) * 1990-07-13 1992-06-25 Chan Ro In 自動車用ヒューズ組立体
KR19980046169U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퓨즈조립체
KR20030027579A (ko) * 2001-09-29 200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퓨즈상태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369A (en) * 1903-02-02 1903-08-25 D & W Fuse Company Electric fuse or cut-out.
US809978A (en) * 1904-05-25 1906-01-16 Peru Electric Mfg Company Electric safety-fuse.
US2164658A (en) * 1936-07-02 1939-07-04 Leon P Lyon Fuse indicator and puller
US2175250A (en) * 1938-06-01 1939-10-10 Du Pont Electric fuse having combustible elements comprising lead salts of nitrophenols
US2989739A (en) * 1957-08-14 1961-06-20 Ibm Blown fuse indicator
US3190987A (en) * 1961-03-29 1965-06-22 Mc Graw Edison Co Protectors for electric circuits
US3764796A (en) * 1972-10-05 1973-10-09 Us Navy Chemical lighting device
US3844248A (en) * 1973-05-22 1974-10-29 J Parker Devices and processes for warning against impending rockfalls in underground excavation
US3940604A (en) * 1973-12-12 1976-02-24 American Cyanamid Company Device for emergency lighting
US3938465A (en) * 1974-03-26 1976-02-17 Lyons John H Signal device
JPS5244749Y2 (ko) * 1975-12-11 1977-10-12
US4064428A (en) * 1976-11-01 1977-12-20 American Cyanamid Company Chemical light device
US4186426A (en) * 1977-12-19 1980-01-29 American Cyanamid Company Emergency lighting device
US4475283A (en) * 1982-04-01 1984-10-09 Littelfuse, Inc. Combination fuse puller and fuse condition indicator
US4499447A (en) * 1983-06-17 1985-02-12 Guim Multi-Tech Corporation Blade terminal fuses with integrity indicator
GB8517590D0 (en) * 1985-07-12 1985-08-21 Bosley S S Indicating fuse
US4771724A (en) * 1987-06-18 1988-09-20 American Cyanamid Company Remote activation of a chemiluminescent lightstick
US4959756A (en) * 1989-03-15 1990-09-25 Dodson James W Chemiluminescent light element dispensing and activating apparatus
US4972300A (en) * 1989-08-21 1990-11-20 American Cyanamid Company Emergency lighting device
DE69111333T2 (de) * 1990-08-30 1996-04-04 Omniglow Corp Chemilumineszentes Lichtelement.
US5430622A (en) * 1994-02-28 1995-07-04 Kuo; Ming-Shish Light emiting torch
US5446629A (en) * 1994-03-31 1995-08-29 Omniglow Corporation Emergency light fixture
US5781095A (en) * 1997-04-25 1998-07-14 Littelfuse, Inc. Blown fuse indicator for electrical fuse
US5821849A (en) * 1997-07-17 1998-10-13 Littelfuse, Inc. Flexible blown fuse indic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7837A (en) * 1976-01-31 1978-11-28 Wickmann Werke Aktiengesellschaft Indicating device for fuse-links more particularly miniature fuse-links
JPH0417231A (ja) * 1990-05-10 1992-01-2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ヒュージブルリンク
JPH04179020A (ja) * 1990-07-13 1992-06-25 Chan Ro In 自動車用ヒューズ組立体
KR19980046169U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퓨즈조립체
KR20030027579A (ko) * 2001-09-29 200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퓨즈상태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420B1 (ko) 2012-03-14 2012-08-16 주식회사 지지테크 자동차용 퓨즈 단선 표시패드
KR101245958B1 (ko) 2012-07-27 2013-03-22 박진환 단선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84416B2 (ja) 2005-08-17
JP2004079501A (ja) 2004-03-11
US6836206B2 (en) 2004-12-28
US20040027227A1 (en) 2004-02-12
KR20040015385A (ko)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571B1 (ko)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
US20090015976A1 (en) Power feed system for vehicle
EP1529696B1 (en) Squib
US6278919B1 (en) Apparatus for diagnosing and indicating operational failure in automobiles
CA2294506A1 (en) Electrical tester for small motor vehicles
JPH0742878Y2 (ja) 乗員保護装置の故障検出装置
US6588532B1 (en) Rescue assist safety system
TW472007B (en) Apparatus for diagnosing and indicating operational failure in automobiles
JP2023544917A (ja) 電気自動車用充電ポートのプラグ、および、車両の暴走防止対策方法
KR102360155B1 (ko) Icu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JP2001045648A (ja) 回路遮断装置
CN109001588B (zh) 车辆保险丝盒故障指示器
WO2004058539A1 (en) Display for checking connector of automobile
JP3729650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故障検出装置
KR100435901B1 (ko) 광섬유를 이용한 휴즈 단락 확인장치
KR100251797B1 (ko) 차륜잠김방지 장치의 전자제어 회로
KR100346457B1 (ko) 자동차의 릴레이와 퓨즈 시험용 회로박스
RU22405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и отображения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ого отказа в автомобилях
KR100506719B1 (ko) 자동차용 정션 박스
JPS58132897A (ja) 車両電装機器の制御装置
CN113628941A (zh) 一种可产生荧光标识的保险丝装置
KR0159158B1 (ko) 자동차 충돌시 전원 자동 차단장치
KR19980031059A (ko) 미등 고장시 경고 및 비상 점등장치
KR20010002096A (ko) 자동차용 복합형 기능박스
KR19980035914U (ko) 휴즈 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