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958B1 - 단선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단선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958B1
KR101245958B1 KR1020120082759A KR20120082759A KR101245958B1 KR 101245958 B1 KR101245958 B1 KR 101245958B1 KR 1020120082759 A KR1020120082759 A KR 1020120082759A KR 20120082759 A KR20120082759 A KR 20120082759A KR 101245958 B1 KR101245958 B1 KR 101245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onnection
diagnostic
unit
metal bar
tweez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환
유봉수
송기석
Original Assignee
박진환
송기석
유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환, 송기석, 유봉수 filed Critical 박진환
Priority to KR1020120082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장품 등에서 전선의 단선 여부를 진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는, 상단이 서로 결합되고 하단이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금속 바(bar)로 이루어지는 진단 핀셋부; 진단 핀셋부의 상단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단선 여부에 따라 발광 동작 또는 발음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동작을 하는 단선 알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선 진단 장치는 단선 진단 작업시, 한손으로 쥐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선 진단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DISCONNECTION OF WIRE}
본 발명은 전장품 등에서 전선의 단선 여부를 진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장품 등에서 전선의 단선 여부를 진단하는 단선 진단 장치는, 전원공급 장치, 회로 기판, 알림 장치 등이 수납되는 박스 형태의 케이스와, 진단을 위한 한 쌍의 진단 바(bar)와, 각각의 진단 바를 케이스에 연결시키는 케이블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선 진단 장치는, 진단하고자 하는 전선, 전기부품 등의 양단에 진단 바 각각을 접촉시키고 케이스의 전원공급 장치에서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는지 측정하여 단선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단선 진단 장치는, +극과 -극의 진단 바가 서로 별개로 구비되어, 두 개의 진단 바를 한손으로 쥐는 데에 불편함이 있으며 이 경우, 대상 진단 위치에 진단 바의 끝단을 정확하게 접촉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손으로 각각의 진단 바를 쥐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진단 작업의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진단 바에 연속되는 케이블 및 케이스는, 단선 진단 장치의 휴대성을 저하시키며, 진단 작업 간에 장해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단선 진단 작업시, 한손으로 쥐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단선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선 진단 작업시, 대상 진단 위치에 진단 바의 끝단을 정확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단선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단 작업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선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는, 상단이 서로 결합되고 하단이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금속 바(bar)로 이루어지는 진단 핀셋부; 진단 핀셋부의 상단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단선 여부에 따라 발광 동작 또는 발음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동작을 하는 단선 알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진단 핀셋부의 금속 바 각각은, 상부 금속 바와, 상부 금속 바에 대하여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상단이 상부 금속 바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는 하부 금속 바를 포함하고, 상부 금속 바의 하단과 하부 금속 바의 상단 사이에 이격도를 유지하도록 상하 탄성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진단 핀셋부의 금속 바 각각은, 상부 금속 바와, 상부 금속 바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하부 금속 바를 포함하고, 양측의 하부 금속 바 사이에 이격도를 유지하도록 좌우 탄성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진단 핀센부의 양 금속 바의 상단은 서로 절연되고, 전원 공급부는 직류 전원으로 이루어져, +극 전원과 -극 전원이 진단 핀셋부의 양 금속 바 각각에 연결되며, 단선 알림부는 전원 공급부의 +극 전원 또는 -극 전원 중 어느 하나와, 진단 핀센부의 양 금속 바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 공급부는 원판형 전지를 포함하여 진단 핀셋부의 양 금속 바 사이에 장착되거나, 진단 핀셋부의 일 금속 바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단선 알림부는 LED 램프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진단 핀셋부의 타 금속 바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단선 진단 장치는 단선 진단 작업시, 한손으로 쥐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선 진단 장치는 단선 진단 작업시, 대상 진단 위치에 진단 바의 끝단을 정확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진단 작업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선 진단 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선 진단 장치는 단선 여부를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투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사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투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사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투시 확대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투시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는, 진단 핀셋부(110), 전원 공급부(120) 및 단선 알림부(130)를 포함한다.
진단 핀셋부(110)는 상단이 서로 결합되고 하단이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금속 바(110a, 110b)로 이루어져, 단선 진단 대상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접촉 수단과, 전원 공급부(120) 및 단선 알림부(130)를 장착시키기 위한 수용 수단의 기능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진단 핀셋부(110)는 두 개의 금속 바(110a, 110b)가 서로 결합되어 일반적인 핀셋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재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그 폭을 좁히거나 넓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는 한손으로 손쉽게 쥘 수 있으며, 손의 악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양 금속 바(110a, 110b)의 끝단 폭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진단 핀셋부(110)의 금속 바(110a, 110b)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전원 공급부(120) 및 단선 알림부(130)가 장착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는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진단 핀셋부(110)는 양 금속 바(110a, 110b)의 상단을 서로 절연되도록 결합한다. 이는 양 금속 바(110a, 110b)의 사이에 전원 공급부(120) 및 단선 알림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 공급부(120)는 진단 핀셋부(110)의 상단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20)는 직류 전원으로 이루어지며, +극 전원과 -극 전원이 진단 핀셋부(110)의 양 금속 바(110a, 110b) 각각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좌측의 금속 바(110a)에 전원 공급부(120)의 +극 전원을 연결하고, 우측의 금속 바(110b)에 전원 공급부(120)의 -극 전원을 연결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 핀셋부(110)의 상부에서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20)는 수은전지와 같은 원판형 전지를 포함하며, 원판형 전지를 고정하고 전기 연결회로를 형성하는 간단한 구조의 케이스를 구성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진단 핀셋부(110)의 좌측의 금속 바(110a) 또는 우측의 금속 바(110b)의 외측면에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 금속 바(110a, 110b) 사이에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단선 진단 장치의 휴대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단선 알림부(130)는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단선 여부에 따라 발광 동작 또는 발음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동작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서 전원 공급부(120)의 -극 전원과, 진단 핀셋부(110)의 우측 금속 바(110b) 사이에 단선 알림부(130)가 연결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선 알림부(130)는 전원 공급부(120)의 +극 전원 또는 -극 전원 중 어느 하나와, 진단 핀셋부(110)의 양 금속 바(110a, 110b)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전기적 연결 구성에 의해 단선 알림부(130)는 전류의 흐름 유무를 감지하여 단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선 알림부(130)는 발광 동작을 하는 LED 램프 또는 발음 동작을 하는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진단 핀셋부(110)의 타 금속 바,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우측의 금속 바(110b)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간단한 구성을 통해 단선 진단 장치의 휴대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동작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진단 핀셋부(110)를 한손으로 쥐고 악력을 조절하여 양 금속 바(110a, 110b)의 끝단 폭을 조절하는 것으로, 단선 진단물의 위치에 그 끝단을 정확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접촉과 동시에, 단선 진단 장치와 단선 진단 대상물은 전기적으로 폐회로를 구성한다. 즉,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극 전원이 연결된 좌측의 금속 바(110a)에 전류가 공급되고, 좌측의 금속 바(110a)로 공급된 전류는 좌측의 금속 바(110a)와 접촉되는 단선 진단 대상물의 일단으로 공급되고, 단선 진단 대상물이 단선된 상태가 아닌 경우, 단선 진단 대상물에 전류가 도통되며, 단선 진단 대상물의 타단과 접촉되는 우측의 금속 바(110b)로 전류가 공급된다. 우측의 금속 바(110b)로 공급되는 전류는 우측의 금속 바(110b)와 연결되는 단선 알림부(130)로 공급되어 단선 알림부(130)가 발광 또는 발음 동작하게 되며, 전류는 전원 공급부(120)의 -극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단선 진단 대상물에 진단 핀셋부(110)를 연결시켜 폐회로를 형성함으로써, 단선이 아닌 경우에는 단선 알림부(130)가 알림 동작을 하게 되고, 단선인 경우에는 단선 알림부(130)가 알림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한편, 단선 알림부(130)는 논리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단선시 알림 동작을 하고, 단선이 아닌 경우 알림 동작을 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는 단선 진단 작업시, 한손으로 쥐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대상 진단 위치에 진단 바의 끝단을 정확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진단 작업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단선 여부를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실시예>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사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투시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는, 진단 핀셋부(210)의 금속 바(210a, 210b) 각각은, 상부 금속 바(210a-1, 210b-1)와, 상부 금속 바(210a-1, 210b-1)에 대하여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상단이 상부 금속 바(210a-1, 210b-1)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는 하부 금속 바(210a-2, 210b-2)를 포함하고, 상부 금속 바(210a-1, 210b-1)의 하단과 하부 금속 바(210a-2, 210b-2)의 상단 사이에 이격도를 유지하도록 상하 탄성체(211)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단선 진단 장치를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할 때, 필기구를 쥐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울어지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좌측 또는 우측의 금속 바(210a, 210b) 중 기울어지는 금속바의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즉, 기울어지는 금속 바는 상부 금속 바의 하단에 하부 금속 바가 삽입되어,길이 조절이 되므로, 단선 진단 대상물에 대하여 양 금속 바(210a, 210b)의 접촉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는 단선 진단 작업시, 한손으로 쥐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대상 진단 위치에 진단 바의 끝단을 정확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사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의 투시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단 핀셋부(310)의 금속 바(310a, 310b) 각각은, 상부 금속 바(310a-1, 310b-1)와, 상부 금속 바(310a-1, 310b-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하부 금속 바(310a-2, 310b-2)를 포함하고, 양측의 하부 금속 바(310a-2, 310b-2) 사이에 이격도를 유지하도록 좌우 탄성체(311)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선 진단 장치와 비교하여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도를 보다 넓힐 수 있는 한편, 양 금속 바(310a, 310b) 끝단의 폭 조절범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선 진단 작업시, 한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는데 나아가, 다양한 크기의 단선 진단 대상물의 단선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 구성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넓이 조절의 구성을 함께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힌지 결합과 상하 삽입 결합 구조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상하 금속 바를 결합시킬 수 있다.
나아가, 금속 바를 상, 중, 하 삼단으로 구성하고 상부의 금속 바와 중간부 금속 바 사이에는 힌지 결합을 하고, 중간부의 금속 바와 하부의 금속 바 사이에는 상하 삽입 결합을 함으로써, 각각의 동작이 별도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210, 310 : 진단 핀셋부
110a, 110b, 210a, 210b, 210a-1, 210b-1, 210a-2, 210b-2, 310a, 310b, 310a-1, 310b-1, 310a-2, 310b-2 : 금속 바
120 : 전원 공급부
130 : 단선 알림부
211 : 상하 탄성체
311 : 좌우 탄성체

Claims (5)

  1. 상단이 서로 결합되고 하단이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금속 바(bar)로 이루어지는 진단 핀셋부;
    상기 진단 핀셋부의 상단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단선 여부에 따라 발광 동작 또는 발음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알림 동작을 하는 단선 알림부;
    를 포함하는 단선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핀셋부의 금속 바 각각은, 상부 금속 바와, 상기 상부 금속 바에 대하여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상단이 상기 상부 금속 바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는 하부 금속 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속 바의 하단과 상기 하부 금속 바의 상단 사이에 이격도를 유지하도록 상하 탄성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진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핀셋부의 금속 바 각각은, 상부 금속 바와, 상기 상부 금속 바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하부 금속 바를 포함하고,
    양측의 상기 하부 금속 바 사이에 이격도를 유지하도록 좌우 탄성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진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핀센부의 양 금속 바의 상단은 서로 절연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직류 전원으로 이루어져, +극 전원과 -극 전원이 상기 진단 핀셋부의 양 금속 바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단선 알림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극 전원 또는 -극 전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진단 핀센부의 양 금속 바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진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원판형 전지를 포함하여 상기 진단 핀셋부의 양 금속 바 사이에 장착되거나, 상기 진단 핀셋부의 일 금속 바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단선 알림부는 LED 램프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진단 핀셋부의 타 금속 바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진단 장치.
KR1020120082759A 2012-07-27 2012-07-27 단선 진단 장치 KR101245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759A KR101245958B1 (ko) 2012-07-27 2012-07-27 단선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759A KR101245958B1 (ko) 2012-07-27 2012-07-27 단선 진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958B1 true KR101245958B1 (ko) 2013-03-22

Family

ID=4818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759A KR101245958B1 (ko) 2012-07-27 2012-07-27 단선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9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571B1 (ko) 2002-08-12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
KR20060067556A (ko) * 2004-12-15 2006-06-2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퓨즈박스
KR101109617B1 (ko) 2009-12-03 2012-03-13 주식회사 세원전기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571B1 (ko) 2002-08-12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퓨즈의 단선 진단장치
KR20060067556A (ko) * 2004-12-15 2006-06-2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퓨즈박스
KR101109617B1 (ko) 2009-12-03 2012-03-13 주식회사 세원전기 크레인 통스케이블 단선 진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3465B2 (ja) 組み合わせ手工具及び電気試験装置
EP2360050A3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CN202004488U (zh) 电气设备系统及其使用的转接器
DE602006019347D1 (de) Kontaktvorrichtung zum kontaktieren von Leiterfolien
CN202159074U (zh) 一种太阳电池通电测试装置
KR101245958B1 (ko) 단선 진단 장치
CN104316878B (zh) 塑壳电池极柱与盖板间绝缘检测装置及其检测工装
TWD195354S (zh)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CN103163461A (zh) 电池短路试验装置
CN103441390B (zh) 可快速更换插脚的电源插头及具有该电源插头的电子设备
TWM464831U (zh) 探針式電連接器
JP3200060U (ja) 接触端子構造
CN203870223U (zh) 电池检测装置
ES2759362T3 (es) Método y dispositivo para comprobar las conexiones de baterías
JP2008058255A (ja) 検電器
CN204203276U (zh) 供电测试工装
CN204882625U (zh) 平面式飞针测试机夹具
CN203748681U (zh) 用于电子烟的插接式电池杆组件
JP2018143366A5 (ko)
CN200996983Y (zh) 便携式校线装置
JP2019203880A (ja) 携帯型測定器
CN218632151U (zh) 一种电压测试打标装置
CN203134885U (zh) 一种用于网络电缆测线器的电池座
CN203367563U (zh) 连接器及其端子组
CN211905613U (zh) 开路电压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