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914U - 휴즈 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 - Google Patents

휴즈 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914U
KR19980035914U KR2019960048903U KR19960048903U KR19980035914U KR 19980035914 U KR19980035914 U KR 19980035914U KR 2019960048903 U KR2019960048903 U KR 2019960048903U KR 19960048903 U KR19960048903 U KR 19960048903U KR 19980035914 U KR19980035914 U KR 199800359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fuse
harness
fuse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8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운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8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5914U/ko
Publication of KR199800359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91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즈 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자동차의 휴즈 박스는 휴즈 및 릴레이의 이상 유무를 육안과 경험에 의존하여 테스트를 함으로써 이용의 불편과 초보자로부터는 긴급조치를 어렵게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던 바, 본 고안의 장치는 엔진룸의 휴자 박스(10)의 외곽부분에 테스트를 하기 위한 퓨즈(30) 및 릴레이(40)가 꼽힐 수 있는 하니스(20)를 설치하고, 하니스(20)의 접지 단자로부터 테스트용 스위치(80)를 연결하여 온/오프 상태에 따라 휴즈(30) 또는 릴레이(40)의 이상 유무가 발광 다이오드(70)를 통해 점등 및 소등되어 구별될 수 있게 설치 구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는 엔진룸의 휴즈 박스가 휴즈 및 릴레이 테스터기를 겸비하여 설치함으로써 초보 운전자 및 정비자에게 편리를 제공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즈 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
본 고안은 휴즈 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엔진룸에 설치된 휴즈 박스에 휴즈 및 릴레이를 꼽아 테스트할 수 있는 하니스를 제공하여 정비 초보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한 휴즈 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니스(Harness)라 함은 여러 가지의 전선의 길이를 가진 절연 전선의 다발을 말하게 되며, 특정의 장치에 즉시 배선할 수 있도록 각 소선의협을 만들고 단자를 붙여 적당히 정리한 배선의 다발을 말하게 되나 본 고안과 같이 부품이 쉽게 꼽힐 수 있는 단자가 미리 준비된 일종의 장치를 일컫기도 한다.
또한, 차량의 크래쉬 패드하단 운전석부근에 설치된 휴즈 박스와 엔진 룸에 설치된 휴즈 박스는 차량의 전장품에 과부하가 발생할 경우 각 전장품의 수명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휴즈를 한데 모아 관리 및 확인이 편리하게 한 장치로써, 실내의 휴즈 박스는 휴즈만 20여개 정도 꼽혀 있고 엔진룸의 휴즈 박스에는 20여개의 휴즈와 10여개의 릴레이가 꼽혀져 사용되고 있다.
휴즈의 용도는 일반인도 널리 아는 바와 같이 정격전류 이상이 회로에 흐르게 되면 해당 휴즈는 단락되어 회로를 차단하므로써 관련 전장품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며, 릴레이는 비교적 큰 전류가 흐르는 회로와, 여러 개의 단자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품으로 대개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2개의 단자가 스위치 역할을 하는 다른 2개의 단자와 작용하여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작용을 하며, 상기 휴즈는 단락 유무를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어두운 야간 상황에서는 단락 유무를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릴레이는 내부가 밀폐되어 있어 육안으로는 단자의 단락 유무를 확인할 수 없고, 전문 정비자의 경험과 테스터기를 통한 테스트만이 릴레이의 고장 및 정상 유무를 분별할 수 있게 되는 부품이다.
그러나, 종래의 휴즈 박스에 꼽히는 각각의 휴즈 및 릴레이는 별도의 테스트 장치 및 장비가 구비되지 않아 초보자의 경우 고장 발생시 당황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고장나지도 않은 릴레이를 정비업소로부터 교환하여 필요이상의 요금지출을 초래하는 등의 많은 불편을 해소하지 못하였다.
즉, 종래 자동차의 휴즈 박스는 휴즈 및 릴레이의 이상 유무를 육안과 경험에 의존하여 테스트를 함으로써 이용의 불편과 초보자로부터는 긴급조치를 어렵게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엔진룸의 휴즈 박스에는 휴즈와 릴레이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기 위한 테스터기(하니스)를 설치하여 운전자 및 정비자가 필요시 간편하게 휴즈와 릴레이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휴즈박스 및 점검용 하니스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휴즈 및 릴레이의 사시도로써,
(가)도는 휴즈를
(나)도는 릴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휴즈 및 릴레이 점검용 회로도.
도 4는 릴레이의 사용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룸의 휴즈 박스20 : 하니스(릴레이 및 휴즈 점검용)
22 :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24 : 휴즈 점검용 하니스
26 : 릴레이용 접지 단자28 : 휴즈용 접지 단자
29 : 릴레이의 다른 접지 단자30 : 휴즈
40 : 릴레이50 : 시동키 박스
60 : 휴즈 꼽는 위치62 : 릴레이 꼽는 위치
70 : 발광 다이오드80 : 테스트용 스위치
90 : 램프92 : 스위치
94 : 모터B+ : 배터리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는 엔진 룸의 휴즈 박스의 외곽부분에 테스트를 하기 위한 휴즈 및 릴레이가 꼽힐 수 있는 하니스를 설치하고, 하니스로부터 테스트용 스위치를 연결하여 꼽혀진 휴즈 또는 릴레이의 이상 유무가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점등 및 소등되어 구별할 수 있게 하여 설치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 룸의 휴즈 박스(10)의 외곽부분에는 테스터를 하기 위한 휴즈 및 릴레이를 꼽을 수 있는 단자가 각각 구비된 하니스(20)를 예시한 도 1과 같이 구별설치하고, 상기 하니스(20)의 릴레이용 접지 단자(26)와 휴즈용 접지 단자(28)를 병렬 연결하여 발광 다이오드(70)를 통해 접지되게 하고, 상기 릴레이의 다른 접지 단자(29)는 테스트용 스위치(80)를 직렬 연결하여 접지되게 함으로써, 꼽혀진 휴즈(30) 또는 릴레이(40)가 배터리(B+)의 전원을 인가하여 테스트용 스위치(80)에 의해 접지될 경우 발광 다이오드(70)가 발광하여 통전되는 정상 상태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게 설치 구성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 룸의 휴즈 박스(10)의 외곽부분에 설치된 하니스(20)는 테스트를 위한 휴즈(30) 및 릴레이(40)가 각각의 위치에 꼽혀 테스트의 준비가 완료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릴레이의 다른 접지 단자(29)로부터 연결되어 접지되는 테스트용 스위치(80)는 휴즈(30) 및 릴레이(40)가 꼽힌 상태에서 온 상태로 작동될 경우 통전되는 전류를 접지하여 릴레이(40)의 코일단자를 자화하게 되며, 자화된 릴레이(40)의 코일은 스위치단자를 온시켜 릴레이(40)가 작동되게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하니스(20)의 릴레이용 접지 단자(26)와 휴즈용 접지 단자(28)를 병렬 연결하여 접지하는 발광 다이오드(70)는 상기 릴레이(40)가 정상 작동시 발광하여 표시하게 되며, 휴즈(30)가 꼽힐 경우에는 휴즈(30)가 정상이면 테스트용 스위치(80)의 상태에 관계없이 즉시 점등하여 정상 상태를 표시하게 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는 엔진룸의 휴즈 박스가 휴즈 및 릴레이의 테스터기를 겸비하여 설치함으로써 초보 운전자 및 정비자에게 편리를 제공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엔진룸의 휴즈 박스 외각에 설치되고 테스트를 하기 위한 휴즈 및 릴레이를 꼽을 수 있게 하는 하니스와, 상기 하니스에 형성된 릴레이에 접지단자와 휴즈의 접지 단자가 병렬 연결되어 접지되고, 접지상태에 따라 발광하여 퓨즈 및 릴레이의 이상유무를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가, 상기 하니스에 형성된 릴레이의 다른 접지단자로부터 연결되어 테스트용 스위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즈 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
KR2019960048903U 1996-12-13 1996-12-13 휴즈 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 KR199800359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903U KR19980035914U (ko) 1996-12-13 1996-12-13 휴즈 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903U KR19980035914U (ko) 1996-12-13 1996-12-13 휴즈 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914U true KR19980035914U (ko) 1998-09-15

Family

ID=5398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8903U KR19980035914U (ko) 1996-12-13 1996-12-13 휴즈 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591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8035239A1 (en) Electrical testing kit for school bus
US4451822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checking a plurality of electric indicator lights
US20030080621A1 (en) Automotive electrical system protection device
KR19980035914U (ko) 휴즈 박스에 설치되는 릴레이 점검용 하니스
US20130169426A1 (en) Motor vehicle with a high-voltage source
JPS58139835A (ja) 自動車の電気回路用駆動、安全及び診断装置
CN109001588B (zh) 车辆保险丝盒故障指示器
KR100462836B1 (ko) 자동차 커넥터의 고장상태 표시장치
KR100333907B1 (ko) 자동차용 복합형 기능박스
KR101826076B1 (ko) 스마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구조 검사 시스템
KR200322664Y1 (ko) 배전반용 램프 온오프 테스트장치
JPH0677409U (ja) Pt試験用端子の電圧有無表示装置
KR100346457B1 (ko) 자동차의 릴레이와 퓨즈 시험용 회로박스
KR19990007452U (ko) 카오디오 배선 점검기
KR200238880Y1 (ko) 2중퓨즈설치시스템
KR0128478Y1 (ko) 자동차의 릴레이 고장 식별장치
RU22405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и отображения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ого отказа в автомобилях
KR100272628B1 (ko) 차륜잠김 방지장치의 전자 제어 회로
KR100186987B1 (ko) 차량용 카드식 퓨즈장치
KR19980054219A (ko) 자동차용 램프단선 검출회로 및 검출장치
KR19980022809U (ko)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
ITRM940632A1 (it) Impianto lampeggiatore direzionale e di emergenza per veicoli
KR100796022B1 (ko) 지능형 전원분산모듈 시험장치
KR19980014741U (ko) 자동차의 퓨즈단락 경고장치
KR20050042395A (ko) 차량 정션 박스의 자동 차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