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478Y1 - 자동차의 릴레이 고장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릴레이 고장 식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478Y1
KR0128478Y1 KR2019950039906U KR19950039906U KR0128478Y1 KR 0128478 Y1 KR0128478 Y1 KR 0128478Y1 KR 2019950039906 U KR2019950039906 U KR 2019950039906U KR 19950039906 U KR19950039906 U KR 19950039906U KR 0128478 Y1 KR0128478 Y1 KR 0128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ocket
turned
light emitting
iden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99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185U (ko
Inventor
이현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99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478Y1/ko
Publication of KR9700311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1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4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기장치를 구성하는 각 전기회로의 휴즈박스의 일측에 다수개로 접속구성되어 온, 오프 동작에 의해 각 전자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릴레이가 정상상태인가를 확인할 수 있는 고장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릴레이의 작동상태를 실험할 수 있는 별도의 릴레이소켓을 릴레이박스에 접속연결시키고, 상기 릴레이소켓의 각 출력단자에는 발광소자를 접속시켜 릴레이를 릴레이소켓에 꽂았을 경우 릴레이가 정상동작을 하면 램프가 점등되고, 릴레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램프가 소등되어 릴레이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릴레이의 고장여부를 신속하게 확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릴레이 고장 식별장치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차체 일측부에 장착된 휴즈박스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제2도 (a)는 다섯핀을 구비한 릴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 고장 식별장치를 나타낸 동작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즈박스 20 : 릴레이
30 : 전원공급부 40 : 점등표시부
50 : 스위치 60 : 릴레이소켓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릴레이(Relay)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기장치를 구성하는 각 전기회로의 휴즈박스 일측에 다수개로 접속구성되어 온, 오프 동작에 의해 각 전자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릴레이가 정상상태인가를 확인할 수 있는 고장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의 릴레이는 휴즈박스의 일측에 다수개로 접속 구성되어 입력되는 전류에 의해 릴레이의 내부에 구비된 코일이 온 동작하여 자장을 발생하게 되면, 상기 코일에서 발생된 자장이 근접하는 스위치를 온 절환시켜 릴레이에 접속된 전장품을 구동시키게 된다.
즉, 릴레이는 입력부에 접속된 장치 또는 수단의 작동에 의해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출력부에 접속된 장치 또는 수단을 연동시켜 작동되게 하거나, 입력부의 제어신호로 출력부가 작동되게 하는 것이다.
첨부한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차체 일측부에 장착된 휴즈박스를 도시한 것으로, 휴즈박스(10)의 일측에는 자동차내에 장착된 각종의 전장품으로 공급되는 자동차용 배터리전원이 다수의 휴즈(12)를 거치게 되고, 또한 전장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수의 릴레이(20)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휴즈(12)의 경우에는 전장품으로 공급되는 배터리전원의 과전류나 전장품의 과부하 등으로 휴즈(12)가 개방(open)되어 끊어지면, 휴즈(12)는 투명한 유리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망실된 휴즈(12)를 교체할 수 있으나, 릴레이(20)의 경우에는 내부를 용이하게 알 수 없는 불투명한 상태로 되어 있어 릴레이(20)가 개방되었거나 망실되었더라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었고, 다수의 릴레이(20)의 작동상태를 인식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테스터기 등으로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에 장착된 전장품이 정상동작을 하지 않을 경우 릴레이의 작동상태를 실험할 수 있는 별도의 릴레이 상태 실험장치를 구비시켜 신속하게 릴레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릴레이의 작동상태를 실험할 수 있는 별도의 릴레이소켓을 휴즈박스의 근접부에 접속연결시키고, 상기 릴레이소켓의 각 출력단자에는 발광소자를 접속시켜 릴레이를 릴레이소켓에 꽂았을 경우 릴레이가 정상동작을 하면 램프가 점등되고, 릴레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램프가 소등되어 릴레이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 고장 식별장치 회로도로서, 자동차내의 각종 배선 또는 기기와 전원단의 사이를 접속하는 릴레이(20)와, 휴즈박스(10)의 근접부에 장착되며 몸체에는 릴레이(20)가 삽입되는 홈이 구비된 릴레이소켓(60)과, 상기 릴레이소켓(60)에 접속되며 저항(R1,R2)과 발광다이오드(LED1,LED2)로 이루어져 릴레이소켓(60)에 끼워진 릴레이(20)가 정상상태일때 점등되는 점등표시부(40)와, 상기 릴레이소켓(60)의 다른 일측단에 접속되며 저항(R3) 및 다이오드(D1)로 이루어져 바이어스 전압(Vcc)을 릴레이소켓(60) 및 발광다이오드(LED1,LED2)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0)와, 상기 전원공급부(30)와 릴레이소켓(60)사이에 접속되어 릴레이소켓(60)에 끼워진 릴레이(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20)는 5핀단자를 일예로하며, 이는 전원(Vcc)공급이 이루어지는 릴레이 구동단자(+,-) 및 이 릴레이 구동단자(+,-)로 인가되는 전원유무에 따라 접점이 절환되는 노말오픈단자(NO; Normal open), 노말클로우즈단자(NC; Normal close) 그리고 공통단자(COM)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구성의 배선관계를 설명하면, 전원공급부(30)의 출력전압은 스위치(50)를 거쳐 릴레이 구동단자(+,-)로 인가되도록 함과 동시에 전원공급부(30)의 출력전압이 공통단자(COM)와 접속시키며, 상기 점등표시부(40)의 발광다이오드(LED2)가 노말오픈단자(NO)와 연결되고, 발광다이오드(LED1)가 노말클로우즈단자(NC)와 연결됨과 동시에 릴레이 구동단자(-)는 어스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접속된 릴레이소켓(60)은 자동차의 전장품에 이상상태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릴레이(20)는 상기 릴레이소켓(60)에 끼워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릴레이소켓(60)에 정상상태의 릴레이(20)가 끼워졌을때 초기에는 스위치(50)가 오프 상태이므로, 공통단자(COM)와 노말클로우즈단자(NC)가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로인하여 발광다이오드(LED1)에 전원이 인가되어 점등되게 되고, 상기 상태에서 스위치(50)를 온 절환시키면 상기 공통단자(COM)와 노말클로우즈단자(NC)가 단절되고, 상기 공통단자(COM)와 노말오픈단자(NO)가 접속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LED1)는 소등됨과 동시에 발광다이오드(LED2)가 점등되게 된다.
반대로 릴레이소켓(60)에 비정상적인 릴레이(20)가 끼워지면 스위치(50)가 오프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LED1)가 점등되지 않거나, 또는 초기 발광다이오드(LED1)가 점등상태에서 스위치(50)가 온 절환되었을때 발광다이오드(LED2)가 점등되지 않게되므로 릴레이의 고장여부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릴레이의 작동상태를 실험할 수 있는 별도의 릴레이소켓을 릴레이박스에 접속연결시킨 후 상기 릴레이소켓에 릴레이를 끼워 스위치를 이용하여 릴레이의 동작상태를 실험함으로써 전장품의 이상상태 발생시 릴레이의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저항(R1,R2)과 발광다이오드(LED1,LED2)로 이루어져 릴레이(20)가 정상상태일때 점등되는 점등표시부(40)와, 저항(R3) 및 다이오드(D1)로 이루어져 바이어스 전압(Vcc)을 발광다이오드(LED1,LED2)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0)와, 상기 전원공급부(30)에서 전원을 인가받고 스위치(50)의 스위치여부에 따라 접점 절환되어 점등표시부(40)의 점소등을 반전제어하는 릴레이소켓(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릴레이 고장 식별장치.
KR2019950039906U 1995-12-12 1995-12-12 자동차의 릴레이 고장 식별장치 KR0128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906U KR0128478Y1 (ko) 1995-12-12 1995-12-12 자동차의 릴레이 고장 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906U KR0128478Y1 (ko) 1995-12-12 1995-12-12 자동차의 릴레이 고장 식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185U KR970031185U (ko) 1997-07-24
KR0128478Y1 true KR0128478Y1 (ko) 1998-10-15

Family

ID=1943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9906U KR0128478Y1 (ko) 1995-12-12 1995-12-12 자동차의 릴레이 고장 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4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185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4707B1 (ko) 지능램프 또는 램프용 지능접촉단자
US6278919B1 (en) Apparatus for diagnosing and indicating operational failure in automobiles
AU769184B2 (en) Apparatus for diagnosing and indicating operational failure in automobiles
US6031451A (en) Electrical circuits for turn signal, hazard signal and brake signal lights
KR0128478Y1 (ko) 자동차의 릴레이 고장 식별장치
AU2003221372B2 (en) Adjustable Electrical Tell Tale Modular unit and external monitor
US6813129B2 (en) Self-diagnostic solid state relay for detection of open load circuit
GB2459985A (en) Apparatus for Testing Automotive Relays
KR101728534B1 (ko) 차량의 스마트 정션블록 내 퓨즈 단선 감지 장치
KR200322664Y1 (ko) 배전반용 램프 온오프 테스트장치
KR100435901B1 (ko) 광섬유를 이용한 휴즈 단락 확인장치
KR100335190B1 (ko) 고장확인용 컨트롤릴레이
RU22405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и отображения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ого отказа в автомобилях
KR0125279Y1 (ko) 에어백 시스템에서의 경고동 구동회로
KR100214960B1 (ko) 솔레노이드 코일 단선유무 체크회로
KR100387673B1 (ko) 자동차의릴레이단선알림장치
JP4102615B2 (ja) 信号灯断芯検知回路
KR200266975Y1 (ko) 차단기 동작코일의 단선유무 감지회로
KR980007521U (ko) 자동차용 램프류 점등여부 확인장치
KR100346457B1 (ko) 자동차의 릴레이와 퓨즈 시험용 회로박스
KR19980025376U (ko) 차량용 전장품의 퓨우즈용단 알림장치
KR930001370Y1 (ko) 자동차 배선함용 퓨우즈 플럭장치
JP2598921Y2 (ja) 電圧確認回路
MXPA01006503A (en) Apparatus for diagnosing and indicating operational failure in automobiles
KR19980014741U (ko) 자동차의 퓨즈단락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