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809U -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809U
KR19980022809U KR2019960036172U KR19960036172U KR19980022809U KR 19980022809 U KR19980022809 U KR 19980022809U KR 2019960036172 U KR2019960036172 U KR 2019960036172U KR 19960036172 U KR19960036172 U KR 19960036172U KR 19980022809 U KR19980022809 U KR 199800228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wiring
socket
short circuit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6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809U/ko
Publication of KR19980022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809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74Testing of fu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배선 및 퓨즈의 단락을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는 제 3소켓(17)에 끼워져 고장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램프(16)와, 타단에는 상기 표시램프(16)의 제 3소켓(17)에 저항(R1)을 통해 연결되고, 제 1소켓(13)에 끼워져 고장부위에 접촉시키는 접촉단자(12)와, 중앙일측에는 상기 접촉단자(12)쪽으로 제 2소켓(15)에 끼워져 저항(R2)을 통해 구동전원이 공급되어 발광되는 조명등(14)이 구성된 검사기(10)를 제공함으로서, 자동차용 배터리로부터 각종 전장품으로 연결된 배선이나 퓨즈의 단락여부를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를 검사하는 검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배터리로부터 각종 전장품으로 연결된 배선이나 퓨즈의 단락여부를 검사하는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배터리에는 자동차의 운용에 필수적인 각종 전장품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으로 케이블 및 전선 등으로 배선되어 있다. 이러한 배선은 자동차용 배터리로부터 퓨즈 및 릴레이박스를 통해 해당하는 각종 전장품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배선은 각종 전장품의 과부하나 특성변화 등으로 인하여 퓨즈가 개방되거나 케이블이나 전선이 단선되어 전장품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차의 운용에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용 배터리로부터 퓨즈 및 릴레이박스를 통해 전장품으로 배선되는 상태에서 케이블이나 전선 및 퓨즈 등이 단선이나 단락 또는 개방되었을 때에 고장을 확인하기 위하여 퓨즈박스를 열어보거나 각각의 배선상태를 점검하여야 했다. 이때, 배선상태를 점검할 때에 퓨즈박스나 케이블이나 전선 등의 배선이 어두운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플래쉬나 랜턴 등을 이용하여 배선위치를 비추어 점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또한 단순한 고장에도 서비스업체에 자동차를 의뢰하여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용 배터리로부터 전장품으로 배선 및 퓨즈가 단락된 상태를 점검하거나 간단한 고장을 점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단락여부를 검사하는 기능을 나타낸 회로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조명등기능에 관한 회로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검사기12: 접촉단자
13, 15, 17: 소켓14: 조명등
16: 표시램프R1, R2: 저항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배선 및 퓨즈의 단락을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는 제 3소켓에 끼워져 고장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램프와, 타단에는 상기 표시램프의 제 3소켓에 저항을 통해 연결되고, 제 1소켓에 끼워져 고장부위에 접촉시키는 접촉단자와, 중앙일측에는 상기 접촉단자쪽으로 제 2소켓에 끼워져 저항을 통해 구동전원이 공급되어 발광되는 조명등이 구성된 검사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다.
검사기(10)는 일단에는 배선 및 퓨즈의 단락지점을 접촉시키는 접촉단자(12)가 구성되고, 타단에는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램프(16)가 구성되며, 검사기(10)의 일측에는 상기 접촉단자(12)를 향하여 점등되어 조명시키는 조명등(14)이 구성된다.
검사기(10)의 접촉단자(12), 표시램프(16) 및 조명등(14)은 각각 소켓(13, 15, 17)에 끼워져 고정되고, 접촉단자(12)는 저항(R1)을 통해 표시램프(16)의 제 1소켓(13)에 연결된다. 각 소켓(13, 15, 17)은 (-)단자에 연결되어 (-)전위를 갖는다. 표시램프(16)는 (+)단자에 연결되고, 조명등(14)은 저항(R2)을 통해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접촉단자(12)와 제 3소켓(17)사이에 구성된 저항(R1)과, 조명등(14)과 (+)단자사이에 구성된 저항(R2)은 과전압 및 과전류가 무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저항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관한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를 검사하는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검사기(10)로 배선이나 퓨즈의 단락여부를 진단하기 위하여 접촉단자(12)를 고장난 부위나 고장이 의심되는 부위에 접촉시키면, 접촉단자(12)는 제 1소켓(13)을 통해 저항(R1)을 거쳐 표시램프(16)가 끼워져 있는 제 3소켓(17)에 연결되고, 제 3소켓(17)에 끼워져 있는 표시램프(16)는 (+)단자를 통해 구동전원이 인가되어 점등 또는 소등된다.
즉, 도 2의 단락여부를 검사하는 기능을 나타낸 회로구성도에서, 접촉단자(12)에 접촉된 고장부위가 단락된 상태라면, 표시램프(16)는 접촉단자(12), 제 1소켓(13), 저항(R1) 및 제 3소켓(17)를 거쳐 폐회로가 구성되지 않아 소등된 상태가 유지되지만, 고장부위가 단락되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라면, 표시램프(16)는 폐회로가 구성되어 점등된다. 따라서, 표시램프(16)의 점등여부에 따라 접촉단자(12)가 접촉된 부위가 단락되었는지 또는 정상적인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조명등기능에 관한 회로구성도에서, 접촉단자(12)가 접촉되는 부위가 어두운 상태일 경우에는 접촉단자(12)를 향해 구성된 조명등(14)은 저항(R2)을 통해 연결된 (+)단자와, 제 2소켓(15)에 연결된 (-)단자가 구동전원에 연결되어 있어 조명등(14)이 접촉단자(12)가 접촉되는 부위를 조명시켜 주므로, 야간이나 어두운 위치의 배선이나 퓨즈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를 검사하는 검사기는 휴대용으로 사용되며, 구동전원으로는 휴대용 건전지나 배터리가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검사기는 자동차내의 배선이나 퓨즈의 단락여부를 검사할 때에 접촉단자를 고장이 의심되는 부위에 접촉시키고, 야간에는 조명등을 통해 조사되는 빛으로 접촉부위를 조명시킬 수 있으며,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를 표시램프의 점등 및 소등으로 판단할 수 있어 간단한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어 자동차의 운용에 편의를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배선 및 퓨즈의 단락상태를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는 제 3소켓(17)에 끼워져 고장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램프(16)와,
    타단에는 상기 표시램프(16)의 제 3소켓(17)에 저항(R1)을 통해 연결되고, 제 1소켓(13)에 끼워져 고장부위에 접촉시키는 접촉단자(12)와,
    중앙일측에는 상기 접촉단자(12)쪽으로 제 2소켓(15)에 끼워져 저항(R2)을 통해 구동전원이 공급되어 발광되는 조명등(14)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
KR2019960036172U 1996-10-29 1996-10-29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 KR199800228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172U KR19980022809U (ko) 1996-10-29 1996-10-29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172U KR19980022809U (ko) 1996-10-29 1996-10-29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809U true KR19980022809U (ko) 1998-07-25

Family

ID=5398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172U KR19980022809U (ko) 1996-10-29 1996-10-29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80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9275A1 (en) * 2002-12-30 2004-07-15 Byung-Yoon Ohm Checking apparatus for checking connector of automobile using optical fiber
KR100823299B1 (ko) * 2006-09-12 2008-04-18 한국산업안전공단 계측장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9275A1 (en) * 2002-12-30 2004-07-15 Byung-Yoon Ohm Checking apparatus for checking connector of automobile using optical fiber
KR100823299B1 (ko) * 2006-09-12 2008-04-18 한국산업안전공단 계측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250A (en) Electrical tester with electrical energizable test probe
US3889248A (en) Faulty battery connection indicator
WO2000015464A1 (en) Electrical tell tale system for trailers
US9046564B1 (en) Circuit testing device
KR20010014055A (ko) 소형 모터 차량용 전기 검사기
CA2202606C (en) Diagnostic tester for lighting system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9980022809U (ko) 자동차용 배선 및 퓨즈의 단락여부 검사기
US3829763A (en) Automotive voltage and continuity tester
US3495214A (en) Vehicle and equipment liquid level indicator
US3074013A (en) Device for indicating short circuits
US6608486B1 (en) Automotive test device for detecting a short circuit in automotive wiring
KR100462836B1 (ko) 자동차 커넥터의 고장상태 표시장치
KR101826076B1 (ko) 스마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구조 검사 시스템
JP3150794U (ja) ワイヤ−ハ−ネス点検装置
KR19990007452U (ko) 카오디오 배선 점검기
KR200410934Y1 (ko) 자동차 퓨즈 단락검사 및 전압체크기
US1912185A (en) Electrical testing apparatus
KR0135615Y1 (ko) 자동차의 전기회로 검사장치
KR19980017370A (ko) 자동차의 퓨즈 단선 표시회로
KR19980014741U (ko) 자동차의 퓨즈단락 경고장치
CN215398418U (zh) 一种汽车用电器盒辅助照明设备
CN2300547Y (zh) 车辆电路故障显示器
RU22405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и отображения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ого отказа в автомобилях
KR200322664Y1 (ko) 배전반용 램프 온오프 테스트장치
CN2374856Y (zh) 机动车油路、电路故障综合检测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