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158B1 - 자동차 충돌시 전원 자동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충돌시 전원 자동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158B1
KR0159158B1 KR1019950054064A KR19950054064A KR0159158B1 KR 0159158 B1 KR0159158 B1 KR 0159158B1 KR 1019950054064 A KR1019950054064 A KR 1019950054064A KR 19950054064 A KR19950054064 A KR 19950054064A KR 0159158 B1 KR0159158 B1 KR 0159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ensor
car
crash
fl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465A (ko
Inventor
장정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4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9158B1/ko
Publication of KR970039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028/0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disconnecting the electric power supply, e.g. the vehicle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시 전원 자동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가 충돌하면 배터리의 전원 공급계통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줌으로서 충돌 여파로 야기되는 회로 쇼트현상에 따른 화재 및 불꽃 점화등의 대형사고를 예방케한 것으로서 배터리(1)의 전원라인 출발지점에 리레이(Ry)의 접점(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접점(a)과 배터리(1) 사이에서 카울센서(2)와 인플레이터(3)를 경유 대쉬센서(4)가 연결접지되어 있고 동시에 그 출력단이 상기한 리레이(Ry)의 전원으로 연결된 비교기(5)의 +입력판에 D플립플롭(6)이 연결되고 D플립플롭(6)의 CLK단에 상기한 대쉬센서(4)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는 회로구성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충돌시 전원 자동 차단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2 : 카울센서
3 : 인플레이터 4 : 대쉬센서
5 : 비교기 6 : D플립플롭
a : 접점 Ry : 리레이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시 전원 자동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충돌하면 배터리의 전원 공급계통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줌으로서 충돌 여파로 야기되는 회로 쇼트현상에 따른 화재 및 불꽃점화등의 대형사고를 예방케한 것이다.
자동차 운행에 있어서 안전사고에 대한 배려는 아주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사고의 빈도가 높고 또한 사고에 따른 사망률이 세계 최고적 수준에 다른 우리나라로서는 안전사고 예방에 총력을 경주해야 될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 사고는 대부분 충돌사고에서 비롯된다. 충돌사고는 차체의 앞부분을 변형시킴으로서 엔진의 기름유출과 배터리의 전원공급회로의 쇼트현상 등이 뒤따르게 된다.
그래서 단순한 충돌사고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2차적으로 유출된 기름이 엔진열이나 배터리 전원의 쇼트불꽃으로 점화되어 화재가 발생함으로서 자동차 폭발되는 대형사고로 번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충돌시에 엔진의 기름유출은 물리적인 기구에 의하여 방지하기에는 상당히 난이한 문제이다.
그러나 이 유출된 기름을 발화시키는 것은 전기 배선의 쇼트에 의한 불꽃발생이므로 이 전기쇼트를 제거할 수 있으면 충돌이 있더라도 화재나 폭발은 모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자동차 배터리 전원계통에 충돌에 대비한 아무런 예방조치가 없기 때문에 충돌에 의한 2차적 화재사고를 그대로 감수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사고시에 발생하는 전기점화에 의한 화재사고의 문제점에 감안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사고시에 이 충격을 감지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카울센서와 대쉬센서를 이용하는 것이며 이를 D플립플롭과 비교기 및 리레이접점을 배터리 공급라인에 연결시켜 충격을 감지하면 배터리 공급라인이 차단되게 함으로서 복잡한 배선들끼리의 쇼트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발명의 요지를 그 실시예인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1)의 전원라인 출발지점에 레이(Ry)의 접점(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접점(a)과 배터리(1) 사이에서 카울센서(2)와 인플레이터(3)를 경유 대쉬센서(4)가 연결 접지되어 있으며 동시에 그 출력단이 상기한 리레이(Ry)의 전원으로 연결된 비교기(5)의 +입력단에 D플립플롭(6)이 연결되어 있고 이 D플립플롭(6)의 CLK단에 상기한 대쉬센서(4)의 출력단이 접속되어 있는 회로구성이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자동차에는 통상적으로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한 센서로서 크게 카울센서와 대쉬센서가 있는데 이 센서들이 작동하여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면 에어백이 작동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이 발생하여 상기 양센서와 인플레이터가 작동되게 됨에 따라 D플립플롭(6)의 CLK단자에펄스신호가 입력되어 그 출력은 5V가 됨으로서 비교기(5)를 개통시켜 리레이(Ry)를 여자시키게 된다. 이와동시에 그 접점(a)이 단절됨으로서 배터리(1)에서 공급되는 전원라인이 아예 차단됨으로서 자동차내의 모든 배선이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여 아무리 엉키어 접촉되더라도 쇼트현상이 방지되어 결과적으로 화재나 폭발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을 감지한 센서에 의하여 리레이가 작동, 배터리 전원을 전원라인에서 차단시켜 주는 회로에 요지가 있음으로 회로구성의 수순변경이나 전기소자의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

  1. 배터리의 전원을 단락하는 리레이와, 이 리레이를 단락하는 비교기와 이 비교기를 단락하는 D플립플롭으로 구성되며 이 D플립플롭은 에어백의 카울센서와 대쉬센서로서 단락되게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시 전원 자동 차단장치.
KR1019950054064A 1995-12-22 1995-12-22 자동차 충돌시 전원 자동 차단장치 KR0159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064A KR0159158B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 충돌시 전원 자동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064A KR0159158B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 충돌시 전원 자동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465A KR970039465A (ko) 1997-07-24
KR0159158B1 true KR0159158B1 (ko) 1999-01-15

Family

ID=1944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4064A KR0159158B1 (ko) 1995-12-22 1995-12-22 자동차 충돌시 전원 자동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91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465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0274B2 (ja) 安全保護用断線装置を有するバッテリー搭載電源システム
US5818122A (en) Power supply circuit break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and power supply circuit breaking system for motor vehicle
JPH0345884Y2 (ko)
US6037674A (en) Circuit and method of current limiting a half-bridge driver
KR0159158B1 (ko) 자동차 충돌시 전원 자동 차단장치
KR0164337B1 (ko) 자동차의 자동 전원 차단장치
KR100211570B1 (ko) 자동차 전원 자동 차단장치
KR0178941B1 (ko) 에어백 인플레터 기폭시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KR0152612B1 (ko) 자동차 충돌시의 연료 공급차단 시스템
EP0563943A2 (en) Air bag module
KR0132611Y1 (ko)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
KR100202724B1 (ko) 충돌시 배터리 전원차단 장치
KR100318859B1 (ko) 자동차의 엔진 비상정지장치
KR970039078A (ko) 자동차의 배터리 화재방지장치
KR19990021079U (ko) 전기 자동차용 메인 전원 차단 시스템
KR0164332B1 (ko) 자동차의 연료차단 및 도어록 제어장치
KR0132593Y1 (ko)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
KR19980022840U (ko) 자동차의 배터리전원 차단장치
KR19980045198U (ko) 자동차의 충돌시 전원차단장치
US20050098989A1 (en) Device for controlling multi-stage or dual igniter airbags in motor vehicles
KR0124788Y1 (ko) 리어 범퍼 에어백
KR100228103B1 (ko) 이중 전개가능한 에어 백
US20050162013A1 (en) Device for controlling multi-stage or dual igniter airbags in motor vehicles
KR200150021Y1 (ko) 조수석 무인탑승시 조수석 차단식 에어백 시스템
Cope Battery disconnect devices related to vehicle saf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5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