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611Y1 -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2611Y1 KR0132611Y1 KR2019930022415U KR930022415U KR0132611Y1 KR 0132611 Y1 KR0132611 Y1 KR 0132611Y1 KR 2019930022415 U KR2019930022415 U KR 2019930022415U KR 930022415 U KR930022415 U KR 930022415U KR 0132611 Y1 KR0132611 Y1 KR 01326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 controller
- battery
- positive electrode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돌센서(11)와 에어백(13)으로 구성된 에어백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돌센서(11)로 부터 충돌신호를 검출하여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에어백 콘트롤러(20)와, 상기 콘트롤러(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류신호를 전달받아 밧데리(40)의 양극 단자기둥(41)과 양극판(4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43)을 단속하는 스위칭부(30)로 구성하여 에어백이 터지는 차량의 충돌사고의 발생시 이를 상기 콘트롤러(20)가 검출하고 스위칭부(30)가 밧데리(40)의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시킴으로써 충돌로 인해 누출된 연료에 전기가 쇼트되어 제2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차단 장치가 에어백 시스템에 적용된 상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에어백 콘트롤러 30 : 스위칭부
31 : 솔레노이드 32 : 플런저
33,36 : 제1 및 제2홀더 35 : 도체
40 : 밧데리 41 : 양극단자 기둥
42 : 양극판 43 : 전선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 시스템에 적용되어 에어백이 터지는 사고가 발생할 때 누전으로 인한 제2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전원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은, 자동차의 정면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그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앞 범퍼에 근접된 위치에 충돌센서(1)가 구비되고, 운전대(2)에 에어백(3)이 설치되며, 충돌센서(1)와 에어백(3)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가 정면충돌하여 충돌센서(1)가 작동하게 되면, 에어백(3)의 점화장치로 전류신호가 전달되어 에어백(3)의 모듈내에 충전된 가스발생제(일반적으로 고체상태)를 폭발시키게 되는 것이고, 폭발로 인해 발생한 가스의 팽창압력으로 에어백(3)이 팽창하여 운전자의 머리를 포함한 상체와 운전대와의 사이 위치에서 부풀게 됨으로써 충격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에어백 시스템은 미소한 접촉사고시에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의 신체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정도의 충돌시 동작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안전장치에도 불구하고 제2의 사고를 당하게 된다.
즉, 에어백이 동작될 정도의 사고라면 차 앞부분이 크게 손상될 것이고, 대부분의 승용자동차는 엔진이 차 앞부분에 위치해 있으므로 사고로 인해 엔진이 파손될 경우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가 누출되고, 이 누출된 연료에 전기가 쇼트되어 사고차량에 화재를 일으키는 제2의 사고가 종종 발생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에어백 시스템에 의해 일차적으로 운전자가 보호받아도 제2의 사고에 대한 대비책이 없어 사고를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의 충돌사고로 인해 에어백이 작동될 때 밧데리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누전에 의한 화재등의 제2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전원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충돌센서와 에어백으로 구성된 에어백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전원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돌센서로 부터 충돌신호를 검출하여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에어백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콘트롤러로부터 전류신호를 전달받아 밧데리의 양극 단자기등과 양극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을 단속하는 스위칭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원차단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원 차단장치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원 차단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에어백 시스템은 자동차 전방에 충돌센서(11)가 설치되고, 운전대(12)에는 에어백(13)이 구비되며, 상기 충돌센서(11)와 에어백(13)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백 시스템에 밧데리로부터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 차단장치는 상기 충돌센서(11)로 부터의 충돌신호를 검출하는 에어백 콘트롤러(20)와 이 콘트롤러로부터 전류신호를 전달받아 밧데리(40)의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칭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트롤러(20)는 충돌센서(11)와 에어백(13)사이의 회로라인에 접속되어 충돌센서(11)로 부터의 충돌신호를 검출하여 전류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스위칭부(30)로 전류신호를 보내게 된다. 스위칭부(30)는 밧데리(40)의 양극단자기둥(41)과 양극판(42)을 연결하는 전선(43)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에어백 콘트롤러(20)로부터 전류신호를 전달받아 동작하는 솔레노이드(31)와, 상기 솔레노이드(31)에 의해 밧데리(40)의 전선(43)을 단속하는 플런저(32)를 구비하고 있다.
플런저(32)는 제1홀더(33)내에서 탄력적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스프링(34)으로 탄력설치되고, 일측에 밧데리(40)의 양극단자 기둥측 전선(43)일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32)의 타측은 양극판측 전선(43)과 접속된 도체(35)와 밀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체(35)는 제2홀더(36)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32)는 전선(4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전성 금속재로 제조되고, 제1 및 제2홀더(33)(36)는 절연 재질로 제조되어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31)는 콘트롤러(20)로 부터 전달되는 전류신호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푸쉬로드(31a)를 구비하고, 이 푸쉬로드(31a)는 제2홀더(36)의 관통구멍(36a)에 삽입되어 그 끝단이 플런저(32)의 끝단과 맞닿게 되어 있으며, 푸쉬로드(31a)의 좌,우 이동으로 플런저(32)가 연동하게 된다.
이때 도체(35)와 이 도체(35)에 밀접되는 플런저(32)의 타단부위는 확실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됨과 동시에 플런저(32)의 이동시 플런저(32)와 도체(35)가 접속하는 전체의 접촉부위에 대하여 신속하게 이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전원차단 장치의 스위칭부(30)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밧데리(40)의 양극 단자 기둥(41)과 양극판(4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즉, 밧데리(40)의 양극단자기둥측 전선(43)이 접속된 플런저(32)와 양극판측 전선(43)이 접속된 도체(35)가 밀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모든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에어백(13)이 터지는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충돌센서(11)에서 발생된 충돌신호를 에어백 콘트롤러(20)가 검출하여 전류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 전류신호를 스위칭부(30)의 솔레노이드(31)로 보내게 된다. 솔레노이드(31)가 콘트롤러(20)로 부터 전류신호를 받게 되면, 푸쉬로드(31a)가 도면의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런저(32)를 밀게 되므로 플런저(32)는 가상선 상태와 같이 이동하게 되고, 스프링(34)은 압축된다.
따라서, 플런저(32)는 도체(35)로 부터 신속하게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양극단자기둥측 전선(43)과 양극판측 전선(43)은 단락되는 것이므로, 차량의 전기장치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전원차단장치에 의하면 에어백이 터지는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밧데리의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시킴으로써 충돌로 인해 누출된 연료에 전기 누전으로 인한 쇼트로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제2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 충돌센서(11)와 에어백(13)으로 구성된 에어백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의 전원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돌센서(11)로 부터 충돌신호를 검출하여 전류신호를 발생시키는 에어백 콘트롤러(20)와, 상기 콘트롤러(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콘트롤러(20)로 부터 전류신호를 전달받아 밧데리(40)의 양극 단자기둥(41)과 양극판(4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43)을 단속하는 스위칭부(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30)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밧데리(40)상에 설치된 제1 및 제2홀더(33)(36)와, 상기 제1홀더(33)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스프링(34)으로 탄력설치되고 밧데리(40)의 양극 단자기둥측 전선(43)이 접속되는 플런저(32)와, 상기 제2홀더(33)내에 부착되어 밧데리(40)의 양극판측 전선(43)과 접속된 도체(35)와, 상기 콘트롤러(20)로 부터 전류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플런저(32)를 도체(35)에 접촉 또는 이격시키는 솔레노이드(31)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32)와 도체(35)의 접촉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되는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22415U KR0132611Y1 (ko) | 1993-10-29 | 1993-10-29 |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22415U KR0132611Y1 (ko) | 1993-10-29 | 1993-10-29 |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1377U KR950011377U (ko) | 1995-05-16 |
KR0132611Y1 true KR0132611Y1 (ko) | 1998-12-15 |
Family
ID=1936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30022415U KR0132611Y1 (ko) | 1993-10-29 | 1993-10-29 |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261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2644B1 (ko) * | 2001-07-04 | 2004-03-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에어백 전원 차단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31533A (zh) * | 2017-04-21 | 2017-08-11 | 深圳前海互通汽车物联网科技有限公司 | 一种线路剪断器、汽车线路保护装置及远程安全控制系统 |
-
1993
- 1993-10-29 KR KR2019930022415U patent/KR013261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2644B1 (ko) * | 2001-07-04 | 2004-03-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에어백 전원 차단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11377U (ko) | 1995-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75997B2 (en) | Circuit interruption device | |
US10137783B2 (en) | High-voltage vehicle network of a motor vehicle, quick-brea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ng the high-voltage vehicle network | |
JP4330274B2 (ja) | 安全保護用断線装置を有するバッテリー搭載電源システム | |
US5818122A (en) | Power supply circuit break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and power supply circuit breaking system for motor vehicle | |
US5818121A (en) | On-board wiring system for vehicles | |
US5535842A (en) | Safety arrangement for collision-related disconnection of an electrical energy source from a motor vehicle supply circuit | |
KR100214193B1 (ko) | 전기차량의전기시스템 | |
US20040041682A1 (en) | Battery circuit disconnect device | |
KR101333170B1 (ko) | 에너지 저장장치 및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기 결선 차단 또는 단절 방법 | |
CN110137031B (zh) | 烟火式开关 | |
KR0132611Y1 (ko) | 자동차의 전원차단 장치 | |
KR19980013259U (ko)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별 전원차단장치 | |
KR101044013B1 (ko) | 차량용 전원 차단 안전 장치 | |
KR0164337B1 (ko) | 자동차의 자동 전원 차단장치 | |
JP2020124007A (ja) | 電池回路 | |
KR100303037B1 (ko) | 차량충돌시화재예방장치 | |
KR19980022840U (ko) | 자동차의 배터리전원 차단장치 | |
KR100202724B1 (ko) | 충돌시 배터리 전원차단 장치 | |
KR0132587Y1 (ko) | 자동차의 연료공급 차단장치 | |
KR20220157699A (ko) | 파이로 퓨즈 | |
KR20230151639A (ko) | 파이로 퓨즈 | |
KR200197215Y1 (ko) | 비상시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 |
KR19980045198U (ko) | 자동차의 충돌시 전원차단장치 | |
KR19990021079U (ko) | 전기 자동차용 메인 전원 차단 시스템 | |
KR100201615B1 (ko) | 차량의 충돌사고시 화재발생 차단방법 및 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