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593Y1 -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593Y1
KR0132593Y1 KR2019940009884U KR19940009884U KR0132593Y1 KR 0132593 Y1 KR0132593 Y1 KR 0132593Y1 KR 2019940009884 U KR2019940009884 U KR 2019940009884U KR 19940009884 U KR19940009884 U KR 19940009884U KR 0132593 Y1 KR0132593 Y1 KR 0132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vehicle
collision detection
collision
driv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940U (ko
Inventor
천진민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09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593Y1/ko
Publication of KR9500329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9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593Y1/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충돌시에 배터리 라인의 단선으로 인해 에어백이 미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에어백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차량의 충돌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차량 밧데리의 전원공급을 제어함으로서 에어백의 작동을 제어하는 에어백 구동회로에 있어서, 차량 전방의 소정부분에 장착된 충돌감지센서로 부터의 충돌 감지신호에 기초하는 전자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에어백 작동을 위한 전류를 제공하는 구동제어부와, 차량 밧데리에 대해 서로 병렬로 연결되며 차량밧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제1 및 제2콘덴서와, 충돌감지센서로 부터의 충돌압력이 미리 설정된 소정레벨 이상이 되면 작동하여 제1 및 제2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서 제1 및 제2콘덴서에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구동제어부에 제공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며, 에어백 작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다단으로 제공하여 밧데리 라인의 단선으로 인한 에어백의 미작동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서 차량 충돌사고시에 발생되는 이차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가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
제2도는 종래 에어백 구동회로의 개략적인 회로도.
제3도는 에어백 구동호로의 출력전압 파형을 도시한 것으로, (a) 및 (b)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구동회로의 출력전압 파형도, (c)는 종래 에어백 구동회로의 출력전압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제어부 20 : 전압조정부
D : 다이오드 SW : 스위치
C1,C2 : 콘덴서
본 고안은 차량의 에어백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충돌시에 배터리 라인의 단선으로 인해 에어백이 미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세계 여러나라, 특히 미국으로 부터의 차량안전장치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최근 시판되는 차량에는, 예를들면 브레이크제어장치(ABS : Anti-skid Brake System), 일명 에어백이라 일컬어지는 충돌 안전장치(GBS : Gas Bag System) 등의 차량 안전장치가 속속 채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안전장치는 승용차 등에 채용되는 추세가 더욱 현저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실질적으로 상기한 안전장치중 충동 안전장치(이하 에어백이라함)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의 개선에 관련된다.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같이, 차량에 장착되는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시에 운전자 등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작동하는 것이다. 즉 차량의 충돌, 예를들면 정면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충돌과 거의 동시에 전방으로 튀어 나가면서 앞유리, 대시보드 또는 핸들 등의 돌출물에 이차작으로 충돌하게 된다. 이와같이 차량의 충돌사고시에 차량 내부에서 이차충돌이 일어나려는 아주 짧은 순간에 에어백이 탑승자와 대시보드 또는 탑승자와 핸들사이에서 작동, 즉 에어백이 순간적으로 부풀어 오름으로서 탑승자의 이차충돌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에어백의 작동은 차량의 충돌시에 충돌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에어백 내부 점화장치에 전류를 흘려 작약을 폭발 시킴으로서 이루어지며, 이와같이 차량 충돌시에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종래 에어백 구동회로의 일예로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태의 것이 있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에어백 구동회로는 다이오드(D), 콘덴서(C), 전압조정부(20) 및 구동제어부(10)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제어부(10)는 두 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이하 트랜지스터라 약칭함)와 그들 사이에 연결되는 작약코일(L)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구동회로는 차량의 운전중에 도시 생략된 차량밧데리로부터 다이오드(D)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는 콘덴서(C1)에 축적된다. 이때, 구동제어부(10)를 이루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Q1,Q2)는 턴오프 상태이며, 이들 트랜지스터(Q1,Q2)는 도시 생략된 전자제어수단으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바이어스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전자제어수단은 차량 전방의 소정부분에 장착되는 충돌감지센서로 부터의 충돌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구동제어부(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구동회로는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충돌감지센서로 부터의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전자제어수단이 구동제어부를 이루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Q1,Q2)를 바이어스 시킴으로서, 작약코일(L)에 차량 밧데리에서 제공되는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따라 작약이 폭발됨으로서 에어백이 순간적으로 부풀어 올라 탑승자의 이차충돌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구동회로는 차량 충돌시의 충격 또는 여러 가지 외적요인으로 인해 차량의 밧데리 라인이 단선되는 경우, 작약코일(L)에 에어백의 폭발에 필요한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작약이 폭발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가 있다.
즉, 충돌충격 등으로 인해 밧데리 라인이 단선되는 경우 콘덴서(C1)에 축적된 전류가 트랜지스터(Q1)를 통해 제공되지만, 제3도 (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작약코일(L)에 걸리는 전압(V1)이 작약을 폭발시키기에 불충분한 전압이므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탑승자의 안전에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가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백 작동을 위한 구동신호를 다단으로 제공함으로서 밧데리 라인의 단선으로 인한 에어백의 미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의 충돌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차량 밧데리의 전원공급을 제어함으로서 에어백의 작동을 제어하는 에어백 구동회로에 있어서, 차량 전방의 소정부분에 장착된 충돌감지센서로 부터의 충돌 감지신호에 기초하는 전자제어수단으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에어백 작동을 위한 전류를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차량 밧데리에 대해 서로 병렬로 연결되며 차량 밧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제1 및 제2 축적수단과, 충돌감지센서로 부터의 충돌압력이 미리 설정된 소정레벨이상이 되면 작동하여 제1 및 제2축적수단을 직렬로 연결함으로서 축적수단에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구동수단에 제공하는 스위칭수단으로 이루어진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에어백 구동회로는 차량밧데리로 부터의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제1 및 제2축적수단으로서 두 개의 콘덴서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에어백구동회로를 나타낸다. 동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에어백 구동회로는, 제2도에 도시된 종래 에어백 구동회로에, 도시 생략된 차량 밧데리와 제1콘덴서(C1)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는 제2콘덴서(C2)와, 차량충돌시의 충돌압력에 따라 작동되어 제1 및 제2콘덴서(C1,C2)를 직렬로 연결하는 스위치(SW)를 부가하여 구성한 것에 그 주된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바가 달성된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앞에서 이미 언급한 종래회로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분들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본 고안이 특징으로 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충돌시의 충격으로 밧데리 라인이 단선되고 도시 생략된 충돌감지센서로 부터의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도시 생략된 전자제어수단(ECU)이 구동제어부(10)를 이루는 트랜지스터(Q1,Q2)를 바이어스 시킨 상태라 가정한다.
이때, 스위치(SW)는 차량충돌시의 충돌압력에 따라 온/오프 작동되는 것으로, 차량충돌시의 충돌압력이 미리 설정된 소정레벨이상일 때 작동된다(여기에서의 설정레벨은 차량충돌시에 차량내부에서 탑승자의 이차충돌이 예상되는 레벨임).
따라서, 설정된 레벨 이상의 압력으로 차량이 충돌하여 스위치(SW)가 온 되면, 제1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제1 및 제2콘덴서(C1,C2)에 축적되어 있던 전류가 작약코일(L)에 흐르게 된다. 이때 작약코일(L)에 걸리는 전압(V2)이, 제3도(b)에 도시된 바와같이, 충분히 높아 작약코일(L)에 에어백을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전류가 일정시간 동안 흐르게 됨으로서, 상술한 바와같이 밧데리 라인이 단선된 상태이더라도 에어백이 확실하게 작동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구동회로는 밧데리 라인이 단선되지 않는 경우라도 밧데리 라인을 그대로 이용할 수가 있다. 이때 작약코일(L)에 걸리는 전압파형은 제3도(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충돌시의 충돌충격 등으로 인해 차량 밧데리 라인이 단선 되더라도 작약을 폭발시키기에 충분한 축적에너지를 이용하여 에어백을 작동 시킴으로서, 차량 충돌사고시에 발생되는 이차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충돌 감지신호에 의거하여 차량 밧데리의 전원공급을 제어함으로서 에어백의 작동을 제어하는 에어백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방의 소정부분에 장착된 충돌감지센서로 부터의 충돌 감지신호에 기초하는 전자제어수단으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에어백 작동을 위한 전류를 제공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차량 밧데리에 대해 서로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차량 밧데리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제1 및 제2축적수단과 상기 충돌감지센서로 부터의 충돌압력이 미리 설정된 소정레벨 이상이 되면 작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축적수단을 직렬로 연결함으로서 상기 축적수단에 축적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구동수단에 제공하는 스위칭수단으로 이루어진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축적수단은 각각 콘덴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
KR2019940009884U 1994-05-04 1994-05-04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 KR0132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884U KR0132593Y1 (ko) 1994-05-04 1994-05-04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884U KR0132593Y1 (ko) 1994-05-04 1994-05-04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940U KR950032940U (ko) 1995-12-16
KR0132593Y1 true KR0132593Y1 (ko) 1998-12-15

Family

ID=1938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884U KR0132593Y1 (ko) 1994-05-04 1994-05-04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5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940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6904A (en) Collision determining circuit having a starting signal generating circuit
JPH07228215A (ja) 車両用安全装置の制御回路
US5859583A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6037674A (en) Circuit and method of current limiting a half-bridge driver
US20040174649A1 (en) Power supply device having overvoltage preventing function
AU6891801A (en) Circuit arrangement for power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of a vehicle
KR0132593Y1 (ko) 개선된 에어백 구동회로
JP3502535B2 (ja) 乗員保護装置
US20040164534A1 (en) Noise-resistant circuit and apparatus using same
KR100211570B1 (ko) 자동차 전원 자동 차단장치
KR100202724B1 (ko) 충돌시 배터리 전원차단 장치
KR100210923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시스템
JP3001872U (ja) 乗員保護装置
JP2872053B2 (ja) スクイブ点火回路
KR0124788Y1 (ko) 리어 범퍼 에어백
JPH1159323A (ja) 乗員保護装置
KR19980037717A (ko) 자동차의 에어백 전원 공급장치
JP2000127889A (ja) 乗員保護装置
KR0159158B1 (ko) 자동차 충돌시 전원 자동 차단장치
JP3634016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00207930B1 (ko) 차량용 에어백 작동시스템
JPH07257315A (ja) 乗員保護システム
KR19980037747A (ko) 자동차의 에어백 전원 공급장치
KR0170825B1 (ko) 차량용 에어백시스템의 연료차단장치
JPH101019A (ja) 乗員保護装置の強制起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