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048B1 -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048B1
KR100449048B1 KR10-2001-0073148A KR20010073148A KR100449048B1 KR 100449048 B1 KR100449048 B1 KR 100449048B1 KR 20010073148 A KR20010073148 A KR 20010073148A KR 100449048 B1 KR100449048 B1 KR 10044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carrageenan
gelatin
food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2186A (ko
Inventor
방계룡
Original Assignee
방계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계룡 filed Critical 방계룡
Priority to KR10-2001-007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048B1/ko
Publication of KR2001011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94Inorganic additives, e.g. si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23L33/28Substances of animal origin, e.g. gelatin or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젤라틴과 카파-카라기난의 혼합물 혹은 젤라틴과 이오타-카라기난의 혼합물에 적정량의 알긴산 나트륨을 첨가한 겔 형성물에 가용성 칼슘화합물을 첨가하면 바로 겔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응고 억제제와 분해제 및 응고제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겔이 혀성되게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젤라틴과 카파-카라기난 혹은 젤라틴과 이오타-카라기난의 혼합물에 알긴산나트륨을 첨가한 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가온 용해 하여 균일한 조성을 갖도록 처리하는 겔 화제조성공정과 종실, 과일즙, 육류, 어류, 야채등 식물의 외형을 변화시켜 기호도를 높일 수 있는 식품을 혼합하는 식품혼합공정, 겔 화제와 직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겔의 생성에 관여하는 첨가제로 테트라 폴리 인산나트륨, 델타 락톤 굴루코네이트 및 황산칼슐등 겔의 생성조건과 겔의 특성을 조절하는 첨가제 혼합공정과 조성한 혼합 졸을 포장용기에 주입하는 충전 포장공정과 충전한 용기를 열탕에서 살균하고 냉수에 침적시키는 살균 냉각공정 및 냉각에 의해 겔 화상태가 진행되는 겔 형성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Jellied food for a diet}
본 발명은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젤라틴과 카파-카라기난 혹은 젤라틴과 이오타-카라기난 혹은 젤라틴과 카파 및 이오타 카라기난의 혼합물에 알긴산나트륨을 첨가한 겔 형성물질에 가용성 칼슘화합물을 첨가하면 바로 알긴산과 카라기난의 겔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테트라 폴리 인산나트륨과 같은 응고억제제와 델터 락톤 글루코네이트와 같은 분해제 및 황산칼슘과 같은 응고제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겔 특성을 개선한 겔을 생성시키는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젤라틴이나 한천등의 겔 형성 물질에 종실의 앙금을 첨가하거나 젤리와 같이 과즙, 과일의 다이스 및 감미료, 산미료, 향료, 색소등을 첨가하여 겔 화시킨 기호식품 등이 있다. 그러나 젤라틴이나 한천은 겔 화 온도가 낮기 때문에 겔을 형성시키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지만 젤라틴으로 제조한 겔은 입안에서의 부드러운 촉감과 우량한 식미(食味) 때문에 한천과 더불어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그래서 젤라틴이나 한천 처럼 냉각시키지 않고 겔 화시킬 목적으로 알긴산나트륨을 겔 화제로 사용하여 즉석에서 겔 식품을 얻는 방법 (특허공고번호 81-506호)이 있지만 알긴산나트륨용액에 종실을 혼합하고 응고억제제로 제 3인산나트륨을, 응고제로 칼슘염을 첨가하여 겔 식품을 제조하였지만 겔 강도를 높이기 위해 알긴산나트륨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알긴산나트륨 특유의 냄새가 제품에서 풍기며 조직이 부드럽지 못하고 탄성이 약한 탓으로 입안에서 아삭거리는 결점이 있다.
또한 겔 화제로 사용한 칼복시 메틸 셀루로즈용액에 가공한 종실 혹은 과일즙 등을 첨가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특허공고번호 84-1101호)에 있어서는 가용성의 칼슘 혹은 알미늄염을 중탄산 염으로 침전시키고 델타 락톤 굴루코네이트의 분해로 생성된 산으로 위 침전을 용해시켜 칼복시메틸 셀루로즈와 작용시켜 겔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한 겔 식품은 입안에서의 촉감은 양호하지만 생성된 굴루콘산이 약산이기 때문에 중탄산 염의 용해가 지연되어 겔 화에 장시간이 소요됨으로 겔 강도가 약한 결점이 있다.
또한 일본특허 제 1240154호는 카라기난에 알긴산칼륨을 첨가한 겔 화제를 제조하였으나 겔 탄성이 약하기 때문에 부스러지는 경향이 있으며 내열성이 불량하여 가열후에는 겔 강도가 감소되는 결점이 있다. 최근에는 한천과 같이 홍조류에서 추출한 카라기난을 이용한 여러 가지 겔 식품이 제조되고 있으나 카라기난의 특성상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알로에 퓨레(puree). 글루코만난(곤약), 데키스트린 혹은 로커스트빈검등을 혼합하여 사용하지만 글루코만남을 첨가했기 때문에 겔 강도와탄성이 현저히 높으며 젤라틴을 이용한 겔 식품과 비교할 때 적절한 겔 강도와 탄력성 및 부드러운 조직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함을 개선하기 위해 젤라틴과 알긴산나트륨의 혼합졸에 카파-카라기난 혹은 이오타-카라기난 혹은 카파 및 이오타-카라기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겔 형성물에 식품을 혼합하여 겔을 형성시킬 때 가용성 칼슘화합물을 첨가하면 바로 겔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응고 억제제와 분해제 및 응고제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생성된 겔의 특성을 개선시킨 겔 식품으로서 첨가한 식품과 겔 형성물이 일체가 된 균일한 겔이 형성되며 가열하면 단일 알긴산의 겔은 졸이 되지 않지만 알긴산과 젤라틴 및 카라기난이 일체가 된 졸이 형성되고 냉각시키면 다시 균일한 겔이 형성되면서 가열처리후에도 이장성(弛張性)으로 인한 결함이 없는 적절한 겔 강도와 입안에서의 보드라운 감촉과 향미발산성등 우수한 겔 특성을 가지는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젤라틴, 카파-카라기난, 이오타-카라기난 및 알긴산나트륨의 혼합물을 가온 용해한 교질용액을 콜로이드 밀로 처리하여 균일한 졸을 조성하는 겔 화제 조제공정, 젤리식품과 같이 외형을 변화시켜 음식물의 기호 도를 높일 수 있는 한정된 겔 식품의 원료가 되는 식품 혼합공정, 겔의 생성조건과 겔의 특성을 조절하는 첨가제 혼합공정(응고억제제, 분해제, 응고재등), 조성한 혼합 졸을 포장용기에 주입하는 충전 포장공정, 충전한 용기를 열탕에서 살균한 후 냉수에 침적하는 살균 냉각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온도하강에 따라 겔 화가 진행되면서 겔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백분율은 중량%이며 겔 식품 총중량에 함유된 각성분의 %이다.
겔 화제 조제공정
겔 화제는 젤라틴과 카파-카라기난 혹은 이오타-카라기난 및 알긴산나트륨의 혼합물을 물로 팽윤(澎潤)시킨 후 가온 용해한 졸을 보통의 콜로이드 밀(날개 원주속도3000rpm)로 처리하여 균일한 교질용액을 얻는다.
겔 화제는 젤라틴 1.2 내지 2.6%, 카파-카라기난 0.4 내지 0.8% 및 알긴산나트륨0.8% 내지 1.6%의 혼합물혹은 젤라틴 1.2 내지 2.6%, 이오타-카라기난 0.4 내지 0.6% 및 알긴산나트륨0.8% 내지 1.6%의 혼합물혹은 젤라틴 1.2 내지 2.6%, 카파-카라기난 0.2-0.4, 이오타-카라기난 0.2 내지 0.4%의 혼합물 및 알긴산나트륨0.8% 내지 1.6%의 조성을 가지며 70℃ 내지 80℃의 온 욕상에서 가열 용해시켜 교질용액을 만든다.
식품 혼합공정
콜로이드 밀로 균일하게 분산된 겔 화제와 겔 화시킬 식품을 가변속 교반기(회전속도 5-60rpm)가 부착된 밀폐용기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겔 화시킬 식품의 요건은 과일즙을 겔 화시킨 젤리식품처럼 음식물의 외형을 변화시킴으로서 음식의 기호도를 높이고 시품고유의 향미를 보유하면서도 관능적으로 미각을 돋굴 수 있는 식품이라야 한다. 이와 같은 식품으로는 각종 과일즙과 다이스 및 색(sac)을 원료료 한 겔 식품, 탈삽(脫澁)도토리분말로 만든 속성 도토리 묵, 탈피한 팥 분말로 만든 속성 양갱, 율무분말로 만든 속성 율무 묵, 마늘과 파 및 가미(加味) 육류로 만든 유사우육산적, 가미참치와 옥수수와 양파 및 토마도 페이스트로 만든 야채참치, 분쇄한 명란을 이용하여 만든 유사연어 알(속칭 이크라), 생선 알과 낙지먹물로 만든 유사 캐비아, 햄버거 등에 넣는 손에 묻지 않는 토마토 케첩이나 마가린을 겔 화시킨 것, 탈수두부와 육류, 야채 및 조미료를 혼합하여 만든 야채 두부등이 있다.
첨가제 혼합공정
첨가제는 응고억제제인 테트라 폴리 인산나트륨과 분해제인 델타 락톤 굴르코네이트와 응고제인 황산칼슘등이며 이들 첨가제를 순차적으로 겔 화제와 식품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용해한다. 용해는 교반기가 부착된 밀폐형 용기에 넣어 대략 60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용해한 후 교반중에 생성된 기포를 진공펌푸에 연결하여 제거하고 포장용기에 충전한다.
응고억제제 첨가
본 명세서에서 응고억제제란 축합인산염인 테트라 폴리 인산나트륨으로서 이것은 첨가한 가용성 칼슘화합물에서 생성된 칼슘 이온을 봉쇄하여 콜로이드상의 불용성 침전을 생성시켜 칼슘이온이 겔화제와 반응하여 겔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한다.일반적으로 K-카라기난 혹은 I-카라기난 혹은 알긴산 나트륨 졸에 칼슘 이온이 생성하는 화합물을 첨가하면 바로 겔이 형성되어 작업을 불가능하게 함으로 겔의 생성을 억제 혹은 지연 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 목적에는 유기산의 나트륨염 혹은 올도 인산염 혹은 축합인산염이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테트라 폴리 인산염을 사용하며 이것의 첨가량에 따라 겔 화시간은 수분에서 수십 시간으로 변한다. 본 발명에서는 0.13% 내지 0.15%의 헤사 메타 인산염을 첨가한다.
분해제의 첨가공정
본 명세서에서 분해제란 델터 락톤 글루코네이트를 말한다. 델터 락톤 글루코네이트는 용액내에서 분해하여 락톤산과 글루콘산으로 분해하며 실온에서 1% 용액의 초기 PH는 4.2이지만 한시간 후에는 3.5로 변한다. 이때 생성된 산은 축합 인산염과 칼슘 이온(ion)이 작용하여 생성된 칼슘의 콜로이드상(狀)침전을 가용성 염으로 분해시켜 알긴산나트륨과 결합하여 불용성 겔을 형성시키며 첨가량은 0.16% 에서 0.32% 이다.
응고제의 첨가공정
본 발명에서 응고제란 겔 화제와 반응하여 불용성의 겔을 형성하는 가용성 칼슘화합물로 젖산칼슐, 글루콘산칼슐, 황산칼슘등이 있다.일반적으로 카파-카라기난, 이오타-카라기난 혹은 알긴산나트륨은 칼슘 등의 금속염에 의하여 불용성의 겔을 형성하는 특성이 있지만 첼라틴은 냉각에 의해서만 겔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온에서 카라기난과 알긴산이 겔화 되면서 젤라틴도 함께 겔 화된다. 단일 알긴산의 겔은 일단 겔 화되면 가열해도 졸로 변하지 않지만 카라기난과 젤라틴 겔은 졸로 변한다. 그러나 본 식이요법을 위한 겔식품에서는 겔 화제의 조성과 응고억제제 및 응고제의 투입량을 조절함으로서 가열할 때 졸로 변화시킬 수도 겔 상태를 유지시킬 수도 있으며 겔 형성물질의 겔 화 시간은 첨가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서 수분에서 20여 시간까지 조절되며 겔 강도도 조절 할 수 있다. 즉 동일 양의 황산칼슘에 첨가하는 테트라 폴리 인산나트륨의 양이 많으면 겔 화시간이 길어지며 겔 화시간이 길어지면 겔 강도는 약해진다.본 발명에서는 칼슘화합물로 0.15% 내지 0.28%의 황산칼슘을 첨가한다.
위 겔 화제가 수용매 중에서 겔을 형성하는 것은 높은 응집력과 망목상(網目狀)의 조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위와 같이 처리하여 생성된 겔의 강도는 젤라틴만을 사용하여 겔 화시킬 때처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젤라틴이나 카라기난과 알긴신나트륨을 이용하여 겔 식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냉각시키지 않고 임의의 온도에서 겔 화시킬 수있다. 겔 형성믈의 겔 화시간은 응고억제제와 응고제의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서 수분 에서 수십시간 까지 조절 할 수 있다.
충전 포장공정
위에 적은 바와 같이 가공된 식품을 혼합한 겔 화제에 응고억제제, 분해제 및 응고제를 첨가하여 용해한 후 이 교질용액을 포장용기에 충전하고 밀봉한다.겔 형성물에 첨가하는 식품은 신선도가 낮거나 열에 불 안전한 식품을 첨가했을 때 밀봉 후 발생한 개스 때문에 용기가 부풀어 지는 요인이 생기거나 겔 조직의 연속성이 끊어져 식미가 불량한 겔이 형성된다.
살균 냉각공정가공된 식품을 함유한 겔 생성물을 포장용기에 충전한 후 밀봉하여 80내지 90℃의 열탕에서 20 내지 30분간 살균공정을 거친 후 10내지 15℃ 의 냉수에 침적하여 냉각시키면 온도하강에 따라 겔 화가 진행되면서 겔이 형성된다. 이렇게 살균과 냉각공정을 거쳐 생성된 겔은 품질의 장기 보전을 위해 3내지 5℃로 유지하여 제품의 특성을 보전한다.
겔 형성공정본 발명의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에는 1.2 내지 2.6%의 젤라틴과 0.4 내지 0.8%의 카파-카라기난 및 0.8 내지 1.6%의 알긴산나트륨이 겔 화제로 사용된다. 그중 카라기난과 알긴산나트륨은 칼슘이온에 의해 겔이 형성되지만 젤라틴은 그렇지 않다. 또한 젤라틴과 카라기난의 겔은 약 40℃에서 졸로 변 하지만 알긴산의 겔은 100℃ 에서도 외형이나 중량에 변화가 없다. 또한 알긴산의 겔이나 카라기난의 겔은 겔 화제의 농도와 과잉의 칼슘염을 첨가하였을 때 이장성(弛張性)으로 인한 부스러짐이나 아삭거리는 결함이 있지만 젤라틴 겔은 아무리 젤라틴의 농도를 높혀도 위와 같은 결함이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겔 특성을 이용하여 젤라틴, 카파-카라기난 및 알긴산나트륨로 된 겔 화제로 겔을 형성시킬 때 이들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서 하절기(약 25-28℃)의 젤라틴이나 카라기난 겔이 졸 화를 억제하고 알긴산 겔의 이장성으로 인한 결함을 제거하며 가열처리를 한 후에도 젤라틴이나 카라기난의 용출이 없고 젤라틴과 카라기난 및 알긴산나트륨이 일체 가된 균일한 겔이 형성되었다. 여기에서 카라기난 만을 겔 화시킬 때 필요한 칼슘양 만을 첨가하여도 알긴산 겔이 형성되며 이것은 알긴산 겔의 내부에 젤라틴과 카라기난이 작용에 의해 고정되어 혼합물이 아닌 균일한 겔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또한 젤라틴과 카라기난 및 알긴산나트륨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서 겔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알긴산 나트륨의 첨가량은 겔의 강도, 겔 화 시간 및 생성된 겔의 졸 화 온도에 변화를 주며 알긴산나트륨의 첨가량이 적으면 겔 강도가 약하고 겔의 졸 화 온도가 하락하며 첨가량이 많으면 100℃ 에 가열하여도 변화가 없다. 또한 카라기난과 젤라틴의 첨가량은 알긴산 겔의 유연성, 탄력성 및 입안에서의 졸 화 시간에 영향을 주며 젤라틴과 카파-카라기난의 첨가량에 대해 22 내지 33%의 알긴산나트륨을 첨가하여 형성된 겔은 35℃ 내외의 온도에서 졸 화되기 때문에 입안에서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와 같은겔 화제의 조성은 과일즙 등의 겔 식품에 이용된다. 또한 젤라틴과 카파-카라기난의 첨가량에 대해 35내지 43%의 알긴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생성된 겔은 60℃ 전후의 온도에서 졸이 되며 이와 같은 조성은 시판 인스턴트 곰국(겔 상태가 아님)등과 같이 액체상태의 식품운반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일단 겔 화시킨 다음 먹을 때 곰국처럼 액체상태의 졸로 변화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알긴산 나트륨의 첨가량이 약 45%를 초과하면 생성된 겔은 100℃에 가열하여도 겔의 형태나 중량에는 변화가 없으며 첨가한 젤라틴이나 카라기난은 용출(溶出)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겔 화제의 조성은 두부에 야채와 고기를 넣어 겔을 형성시킨 가칭 가미(加味)야채두부의 제조에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알긴산나트륨의 첨가량을 감소시키고 젤라틴과 카라기난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겔의 졸 화 온도가 하락되며 또한 알긴산나트륨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졸 화 온도는 상승한다.첨가제와 겔의 특성겔 식품의 제조과정에서 겔 화제인 젤라틴, 카파-카라기난 및 알긴산 나트륨의 혼합 졸에 황산칼슘을 첨가하면 알긴산나트륨과 카파-카라기난은 응고제의 칼슘이온과 즉시 결합하여 교반기 속에서 바로 겔이 형성되어 겔의 생산을 불가능하게 함으로 일정시간 겔의 형성을 지연시킬 필요가 생긴다. 이 목적으로 응고억제제인 테트라 폴리 인산나트륨를 첨가한다. 겔 화제에 응고억제제인 델타 락톤 굴루코네이트와 용해제인 델타 라톤 글루코네이트를 넣은 후 여기에 응고제인 황산칼슘을 첨가하면 칼슘화합물의 일부가 용해되면서 칼슘이온이 생성되며 이 함유 칼슘염은 미리 첨가한 인산염에 의해 불용성인 코로이드상태로 분산되어 겔 화제와의 반응이 봉쇄되지만 델타 락톤 굴루코네이트의 분해에 의해 생성된 굴루콘산은 서서히 위 콜로이드상태의 함유 칼슘염을 가용성의 칼슘염으로 변화시키고 생성된 칼슘이온은 겔 화제와 반응하여 겔을 형성시키며 다른 한편에서는 생성된 글루콘산의 일부가 겔 화제와 직접 반응하여 겔을 형성시킨다. 또한 응고억제제인 테트라 폴리 인산나트륨과 분해제인 델터 락톤 글루코네이트 및 응고제인 황산칼슘등 첨가제의 첨가량과 겔 특성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테트라 인산나트륨과 델터 락톤 글루코네이트의 일정량에 대해 황산칼슘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겔의 형성시간이 짧아지지만 다른 첨가제의 일정량에 대해 테트라 폴리 인산나트륨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겔 형성시간이 길어지며 테트라 폴리 인산나트륨와 황산칼슘의 일정량에 대해 델터 락톤 글루코네이트의 첨가량을 줄이면 겔 화 시간이 길어지지만 이것을 첨가하지 않으면 겔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0.13% 내지 0.25%의 헤사 메타 인 산염을 첨가한다. 그러나 과잉의 인산염이 때에는 칼슘이온 사이의 이온회합(會合) 혹은 공유결합에 의한 가용성 착체(可溶性 錯體)의 형성으로 겔 화 억제 효과가 상실됨으로 본 발명에서는 0.29%이하의 축합인산염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델터 락톤 글루코네이트의 첨가량은 0.13% 에서 0.19% 이며 황산칼슘의 첨가량은 0.15% 내지 0.28%이다.본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에서는 겔 화 시간이 짧을수록 겔 강도가 높아지며 겔 강도가 높을수록 이장성에 의한 불량한 겔이 형성되며 부스러지는 성질과 씹을 때 아사거리며 입안에서의 촉감이 불량하지만 젤라틴과 카파-카라기난의 첨가량을 조절하면 이 결함을 해소된다.겔 식품의 제조과정에서 겔 화제인 젤라틴과 카파-카라기난과 알긴산 나트륨의 혼합 졸에 테트라 폴리인산나트륨와 델타 락톤 굴루코네이트를 넣은 후 여기에 응고제인 황산칼슘을 첨가하면 낭용성 칼슘화합물인 황산칼슘의 일부가 용해되면서 칼슘이온이 생성되며 이 함유 칼슘염은 첨가한 인산염에 의해 코로이드상태로 분산되어 겔 화제와의 반응이 차단되지만 델타 락톤 굴룬코네이트의 분해에 의해 생성된 굴루콘산은 서서히 위 콜로이드상태의 함유 칼슘염을 가용성의 칼슘염으로 변화시키고 이것은 겔 화제와 반응하여 겔을 형성시키며 한편 글루콘 산의 일부는 겔 화제와 직접 반응하여 겔을 형성시킨다.또한 겔 형성시간은 응고제인 칼슘화합물과 용해제인 델타 락톤 굴루코네이트의 일정량에 혼합하는 응고억제제인 헥사 메타 인산나트룸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겔 형성시간이 길어지며 첨가량이 적을 수록 겔 형성시간이 짧아지며 겔 강도는 겔 형성시간이 길 수록 겔 강도는 낮아지며 겔 형성시간이 짧을수록 겔 강도는 높아진다. 즉 알긴산나트륨의 교질용액에 일정량의 황산칼슘 현택액을 첨가하면 바로 겔이 형성되지만 동일한 알긴산나트륨의 교질 용액에 헥사 메타 인산나트륨와 델터 락톤 글루코네이트를 첨가한 후 위와 같은 양의 황산칼슘을 첨가해도 교질용액은 겔 화되지 않지만 일정시간이 지난 후 겔 화가 진행된다. 이때 동일한 조건에서 헥사 메타 인산나트륨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겔 화되기까지 시간이 길어진다. 이와 같이 겔 형성시간은 첨가하는 칼슘화합물의 양과 데트라 폴리 인산나트륨의 첨가량에 따라 변하며 첨가량을 변화시킴으로서 겔 형성시간은 수분에서 십여 시간까지 임의로 조절되며 이것은 생산공정에서 일관작업을 수행하는데 매우 중요한 조건이다.본 발명의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에서 제조된 겔 식품의 최적의 조건은 첨가한 응고제의 전량이 반응에 관여해서 생성된 겔 식품에 황산칼슘의 침전이 없어야하며 반응억제제와 용해제 및 응고제를 첨가완료 한 후 60분 이내에 겔이 형성될 것과 생성된 겔의 PH가 6.5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런 상태에서 생성된 겔은 약 35℃ 전후에서 일부분이 졸로 변하며 이와 같은 겔 특성은 겔 식품을 입에 넣었을 때 체온에 의해 입안에서 녹으면서 보드라운 촉감을 주게된다.이러한 조건은 첨가하는 응고억제제와 분해제 및 응고제의 엄격한 첨가량에 의해 결정된다.
본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본 실시 예 1은 표 1의 배합비에 의해 조쇄한 사과와 사과즙을 겔 화시킨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 예 2는 오렌지즙과 색 겔 화시킨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사과쥬스에 젤라틴, 카파카라기난 및 알긴산나트륨를 첨가하여 가온 용해한 후 콜로이드 밀로 처리하여 균일하게 분산된 졸 상의 겔 화제를 가변속 교반기(회전속도 5-60rpm)가 부착된 밀폐용기에 넣고 여기에 테트라 폴리 인산나트륨, 델타 락톤 굴루코네이트 및 황산칼슘의 순으로 시차를 두고 첨가한 후 60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고 완전히 용해되면 60rpm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면서 갈아놓은 사과를 참가하여 균일하게 혼합 하고 열량이 표시된 용기에 충전(充塡)하고 밀봉한 후 80 내지 85℃의 열탕에서 20내지 30분간 가열 살균한 후 10 내지 15℃의 냉수에 침적(沈積)하여 냉각시킨다. 표 1의 실시 예 2는 표 1의 배합비에 의해 무가당 오렌지 즙과 오렌지 색을 겔 화시킨 것이며 식이섬유소 섭취를 위해 오렌지의 색(sac) 100gr를 첨가하고 실시 예 1과 실시 예 2에 첨가하는 감미료는 설탕이나 과당대신에 열량이 적은 이소 말토올리고당을 첨가하여 섭취하는 열량을 감소시킨다. 표 1의 실시 예 1과 실시 예 2의 열량은 모두 100kcal이다.
위의 실시 예 1과 실시 예 2의 본 발명의 식이요법을 이한 겔 식품은 45℃ 전후의 온도에서 겔이 형성되며 실시예 1은 실시 예 2보다 젤라틴과 알긴산나트륨의 첨가량이 많고 테트라 인산나트륨의 양이 적으나 황산칼슘 첨가량이 많음으로 실시 예1은 실시 예 2보다 겔 화시간이 빠르고 겔 강도가 약간 높으나 일단 형성된 겔은 35℃ 내외의 온도에서 졸 화되기 때문에 체온에 의해 입안에서 졸로 변하면서 부드러운 감촉을 느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겔 화제의 조성은 과일즙 등의 겔 식품에 이용된다. 젤라틴과 카라기난의 첨가량은 알긴산 겔의 유연성, 탄력성 및 입안에서의 졸 화 시간에 영향을 준다.
실시 예 3 및 실시예 4
본 실시 예 3은 아래 표 2와 같은 배합비에 의해 제조한 햄과 야채의 요리를, 실시 예 4는 실시 예 4와 같은 햄과 야채를 겔 화시킨 식품이지만 겔 화제와 첨가제의 첨가량에 변화를 주어 여러 가지 형태의 용기에 넣어 겔 화시켜 다양한 외형을 가진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3은 육수에 젤라틴, 이오타-카라기난 및 알긴산나트륨를 첨가하여 가온 용해한 교질용액을 콜로이드 밀로 처리한 교질용액에 로스햄과 야채를 혼합하여 실시 예 1의 공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겔을 형성시킨 것이며 실시 예 4도 육수에 젤라틴, 이오타-카라기난 및 알긴산나트륨를 첨가하여 가온 용해한 교질용액을 콜로이드 밀로 처리한 교질용액에 로스햄과 야채를 혼합하여 실시 예 1의 공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겔 을 형성시킨 것이다.위의 실시 예 3과 실시 예 4의 본 발명의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에서 실시예 3은 실시 예 4보다 겔화제의 첨가량이 많고 황산칼슘의 첨가량이 많음으로 실시 예 3은 겔 형성시간이 빠르고 겔 강도가 약간 높다.
표 2
실시예 5 및 실시예 6
본 실시 예 5는 하기 표 3과 같은 배합비에 의해 육수에 가미한 우육과 야채를 혼합한 것을, 실시예 6은 하기 표 3의 배합비에 의해 가다랭이 국물에 명태 살을 혼합한 것을 겔 화시킨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 1의 공정과 동일하게 가공한 육류와 첨가물을 혼합하여 용기에 충전한 다음 가열 살균하여 겔 화시켜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을 제조한다. 실시 예 5와 실시 예 6의 겔 화제에 혼합한 카파-카라기난과 이오타-카라기난의 조성은 50대 50의 것을 사용하며 첨가한 젤라틴과 카라기난은 알긴산 겔의 유연성, 탄력성 및 입안에서의 졸 화 시간에 영향을 준다.이렇게 실시 예 5와 실시예 6에 의해 생성된 두 종류의 겔 식품은 겔이 형성도면 35℃ 내외의 온도에서 졸 화되기 때문에 체온에 의해 입안에서 녹음으로 부드러운 감촉과 양호한 식미(食味)를 느낄 수 있으며 실시예 5는 실시 예 6보다 젤라틴과 카라기난의 첨가량이 많으나 테트라 폴리 인산나트륨의 첨가량이 적고 황산칼슘의 첨가량이 많음으로 겔 형성시간이 짧음으로 겔 강도는 실시 예 6의 배합비에서 생성된 겔 보다 높으나 이장성으로 인한 입안에서의 아삭거림이 없고 부드러운 감촉과 식품 고유의 향미를 그대로 유지한다.
토마토 케첩에 2%식염수를 혼합하면 희석되기 때문에 토마토 페이스트를 혼합하여 가변속 교반기(회전속도 5-60rpm)가 부착된 밀폐용기에 넣고 완전히 용해되면 응고억제제와 분해제 및 응고제의 순으로 첨가제를 넣고 용해되면 평단하고 적당한 넓이의 용기에 얕게 넣고 뚜껑을 씌운 후 80 내지 85℃의 열탕에서 살균하고 10 내지 15℃의 냉수에 침적(沈積)하여 냉각시킨다. 또한 실시 예 6은 실시 예 5의 공정과 동일하게 처리한 겔 화제에 2%식염수를 혼합하고 마요네즈에 식염수를 혼합하면 희석되기 때문에 별도로 조제한 샐러드유와 식초 게란 노란 자위로 만든 농축 마요네즈와 시판마요네즈를 가변속 교반기(회전속도 5-60rpm)가 부착된 밀폐용기에 넣은 후 응고억제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고 완전히 용해되면 넓고 평단한 용기에 얕게 넣고 80 내지 85℃의 열탕에서 살균한 후 10 내지 15℃의 냉수에 침적(沈積)하여 냉각시킨다. 이때 첨가한 알긴산나트륨은 유지에 대한 유화력(乳化力)이 강하고 보호콜로이드작용이 크기 때문에 생성된 마요네즈는 장시간의 저장에도 변질이 없으며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생성된 겔 화제는 약 45℃ 전 후의 온도에서 겔로 변하며 본 발명의 젤라틴과 카라기난 및 알긴산 나트륨의 혼합 졸에 토마토 케첩이나 마요네즈를 혼합하여 겔 화시킨 고형 토마토 케첩이나 마요네즈는 젤라틴과 카라기난의 첨가량에 대한 알긴산나트륨의 첨가량이 22내지 33% 이며 이러한 조성에서 생성된 겔은 35℃ 전후의 온도에서 졸로 변하기 때문에 입안에서 체온에 의해 졸 상태로 변하며 부드러운 감촉과 식품 고유의 향미를 그대로 유지하는 겔 식품으로서 이렇게 하여 생성된 겔 식품은 종래의 토마토 케첩이나 마요네즈하고는 달리 유동성이 없는 겔 상의 고형물이기 때문에 손이나 옷을 더럽히지 않는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실시예 7 및 실시예 8본 실시 예 7은 하기 표 4와 같은 배합비애 의해 두부와 야채 및 육류를 겔 화제와 혼합한 식품을 겔 화시킨 것이며, 실시 예 8은 표 4와 같은 배합 비에 의해 탈삽한 삶은 도토리분말을 겔 화제와 혼합하여 겔 화시킨 속성도토리묵을 제조하는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실시 예 7은 실시예 1의 공정과 같이 겔 화제를 가온 용해한 균일한 교질 용액에 표 4의 배합 비와 같이 탈수두부와 육류 및 야채를 혼합하여 겔 화시킨 것이다.주: 표중 * 표는 실시 예 8 임.실시 예 7은 육수 32중량%에 탈수두부 40중량%와 젤라턴과 카라기난 및 알긴산나트륨을 혼합하여 가온 용해한 균일한 점조(粘稠)한 교질 용액에 별도로 실시 예 7에 표기한 우육과 양송이 파 당근을 잘게 절단하고 마가링과 조미료를 넣어 볶은 것을 겔 화제와 탈수두부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시 예 1의 공정과 같이 처리한 뒤 450gr 용량의 두부포장용기에 충전하고 밀봉한 후 85℃의 열탕에서 30분간 살균하고 10℃냉수에 침적시켜 겔을 형성시킨다.이렇게 해서 생성된 고기와 야채를 혼합한 겔 식품은 된장과 함께 100℃에서 장시간 끓여도 겔의 형태에는 변화가 없으며 이러한 현상은 젤라틴과 카라기난의 첨가량에 대한 알긴산나트륨의 첨가량의 백분율이 45%이상일 때 나타나며 실시 예 4의 겔 화 두부는 대략 60℃에서 졸로 변하기 때문에 냉장된 식품을 먹기 좋은 온도로 데워먹을 때 필요하지만 겔 식품을 끓여서 먹을 때에는 실시 예 8과 같은 조성의 겔 화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조성의 겔 화제로 만든 두부를 끓는 된장에서 건져 먹었을 때 보드랍고 입안에서 씹는 맛이 좋으면서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두부 맛을 가진 다이어트를 위한 겔 식품을 제조하였다.실시 예 8은 육수 34중량%에 탈삽(脫澁)과 열처리를 한 도토리 분말 36중량%와 젤라틴과 카라기난 및 알긴산나트륨을 혼합하여 가온 용해한 균일한 점조(粘稠)한 교질 용액에 별도로 실시 예 8에 표기한 우육과 양송이 파 당근을 잘게 절단하고 조미료를 넣어 조리한 것을 겔 화제와 탈삽 도토리분말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시 예 1의 공정과 같이 처리 한 뒤 450gr 용량의 두부포장용기에 충전하고 밀봉한 후 85℃의 열탕에서 30분간 살균하고 10℃냉수에 침적시켜 겔을 형성시킨다.도토리 묵은 서민들이 애호하는 겔 식품이지만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지만 본 발명의 다이어트를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도토리묵을 제조 할 수 있으며 묵에 찍어먹는 양념도 미리 첨기하기 때문에 편리한 점이 많다. 이렇게 해서 생성된 고기와 야채를 혼합한 겔 식품은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끓여도 겔의 형태에는 변화가 없으며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한 도토리묵처럼 입안에서의 맛과 감촉이 부드럽고 영양학적으로 뛰어난 도토리 맛을 가진 다이어트를 위한 겔 식품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이요법을 위한 젤 식품은 젤라틴과 카파-카라기난에 이오타-카라기난 및 알긴산나트륨의 혼합 교질용액에 식품을 첨가한 혼합 겔 화제에 응고억제제와 분해제 및 응고제를 첨가하여 용이하게 겔을 형성시킨 다이어트를 위한 겔 식품으로서 젤라틴과 카파-카라기난 및 알긴산의 조성을 변화 시킴으로서 이들 겔이 가지는 장점만을 선택하여 적당한 겔 강도, 탄력성 및 우수한 조직감등 특성을 가지며 입안에서의 유연하고 부드러운 감촉과 식미(食味)가 뛰어나서 식품으로서의 기호도가 매우 높다.본 발명의 다이어트를 위 한 겔 식품은 젤라틴에 카파-카라기난 및 알긴산나트륨으로 된 겔 화제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서 형성된 겔을 다양한 온도에서 졸로 변화시켜 생성된 겔 식품의 용도를 다변화 시키고 또한 첨가하는 식품의 종류를 증가시켜 겔 식품의 기호도 높임으로서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구매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겔 식품이다. 또한 함께 생성된 젤라틴, 카라기난 및 알긴산의 겔을 섭취하면 포만감을 느낌으로 섭취량이 감소되고 체내의 노폐물의 배설을 용이하게 함으로 체중감량을 위한 식이요법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짐으로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Claims (4)

  1. 식품을 혼합한 겔 화제에 응고억제제와 분해제 및 응고제를 혼합하여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을 제조할 때 겔 화제로 1.2 내지 2.6중량%의 젤라틴과 0.8 내지 1.6중량%의 알긴산나트륨 및 0.4 내지 0.8중량%의 카파-카라기난 혹은 0.4 내지 0.6중량%의 이오타 카라기난 혼합물을 사용하고 겔 화제의 수화가 진행된 후 0.15 내지 0.26%의 가용성 칼슘화합물을 첨가하여 겔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1-0073148A 2001-11-19 2001-11-19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 KR10044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148A KR100449048B1 (ko) 2001-11-19 2001-11-19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148A KR100449048B1 (ko) 2001-11-19 2001-11-19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186A KR20010112186A (ko) 2001-12-20
KR100449048B1 true KR100449048B1 (ko) 2004-09-18

Family

ID=1971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148A KR100449048B1 (ko) 2001-11-19 2001-11-19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0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258B1 (ko) * 2005-07-14 2007-01-10 김금대 포장용 묵의 제조방법
KR101408293B1 (ko) 2010-10-29 2014-06-17 정칠복 수용성 칼슘을 함유하는 칼슘 두부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259A (ko) * 2002-12-10 2003-01-14 방계룡 개량영양식품의 제조방법
KR100773412B1 (ko) * 2006-11-14 2007-11-05 최동헌 현미묵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556A (en) * 1887-08-16 Joseph steels
JPS62296853A (ja) * 1986-06-18 1987-12-24 Kibun Kk 耐熱性ゲルの製造法
JPS63245644A (ja) * 1987-03-31 1988-10-12 Ezaki Glyco Kk ゼリ−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22817A (ja) * 1994-06-01 1995-12-12 Morinaga Milk Ind Co Ltd 新規な食品の製造法
US5538751A (en) * 1992-05-08 1996-07-23 Unilever Patent Holdings B.V. Thickened foodstuff having improved storage stability and process of making
KR100294462B1 (ko) * 1999-04-07 2001-07-03 손 경 식 산성 디저트용 젤리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556A (en) * 1887-08-16 Joseph steels
JPS62296853A (ja) * 1986-06-18 1987-12-24 Kibun Kk 耐熱性ゲルの製造法
JPS63245644A (ja) * 1987-03-31 1988-10-12 Ezaki Glyco Kk ゼリ−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5538751A (en) * 1992-05-08 1996-07-23 Unilever Patent Holdings B.V. Thickened foodstuff having improved storage stability and process of making
JPH07322817A (ja) * 1994-06-01 1995-12-12 Morinaga Milk Ind Co Ltd 新規な食品の製造法
KR100294462B1 (ko) * 1999-04-07 2001-07-03 손 경 식 산성 디저트용 젤리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258B1 (ko) * 2005-07-14 2007-01-10 김금대 포장용 묵의 제조방법
KR101408293B1 (ko) 2010-10-29 2014-06-17 정칠복 수용성 칼슘을 함유하는 칼슘 두부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186A (ko) 200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6976A (en) Konjak mannan-containing reversible gel
WO2017061628A1 (ja) 食品改質剤
JP7451147B2 (ja) ゲル積層体の製造方法
AU2021450710A1 (en) Scrambled-egg-like food product and cooked-egg-like food product
KR100449050B1 (ko) 한천을 주체로 하는 겔 식품의 제조방법
KR100417020B1 (ko) 다이어트를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
US5569481A (en) Process for producing flake style food
KR100449048B1 (ko) 식이요법을 위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
JP4420873B2 (ja) ゼリー状卵調理冷凍食品の製造方法
JP7027192B2 (ja) クリームコロッケ及びその製造方法
JP6849214B2 (ja) ドリップ抑制剤および冷凍食品
KR100642936B1 (ko) 미감과 영양을 갖춘 겔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449049B1 (ko) 젤라틴과 미역 혹은 다시마를 이용 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
KR20010100093A (ko) 젤라틴을 주체로 하는 겔 식품의 제조방법
JP2001252050A (ja) 全卵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卵加工食品
CN107495124A (zh) 一种利用禽蛋加工副产品制备布丁的方法
JP7425474B2 (ja) 卵白加工食品の製造方法及び卵白加工食品
JP7398487B2 (ja) 成型ウニ
WO2005055743A1 (en) Casing-packed cooked rice and its production process
KR20010111472A (ko) 한천을 이용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
JP6533849B1 (ja) 加工卵黄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70226A (ko) 젤라틴과 알긴산나트륨 및 한천을 이용한 겔 식품의제조방법
JP3118408B2 (ja) 流動性食品の製造方法
JP2005073525A (ja) 半熟状凝固卵白組成物
KR910006616B1 (ko) 알긴산나트륨을 이용한 떡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