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183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장착 기구 및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장착 기구 및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183B1
KR100448183B1 KR10-2001-0075232A KR20010075232A KR100448183B1 KR 100448183 B1 KR100448183 B1 KR 100448183B1 KR 20010075232 A KR20010075232 A KR 20010075232A KR 100448183 B1 KR100448183 B1 KR 100448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guide
process cartridge
main body
photosensitiv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3174A (ko
Inventor
데라다이찌로
아마노기요시
노다신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3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폐 부재, 상기 개폐 부재의 개폐 작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제1 본체측 가이드, 및 제2 본체측 가이드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감광 드럼 상에서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감광 드럼의 축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와;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제1 본체측 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제1 본체측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돌출된 제1 카트리지 가이드와; 감광 드럼의 축방향 타단부에서 장착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와;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제2 본체측 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제2 본체측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돌출된 제2 카트리지 가이드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결정하도록 장치의 본체 내에 마련된 제1 본체 위치결정부와 결합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 일단부에서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 있고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향 돌출된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결정하도록 장치의 본체 내에 마련된 제2 본체 위치결정부와 결합하고,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 타단부에서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 있고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향 돌출된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장착 기구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PROCESS CARTRIDGE, MOUNTING MECHANISM FO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장착 기구(착탈 기구)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식 프로세스를 통해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레이저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워드 프로세서 또는 복합기(다기능 프린터 등) 등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유닛 형태의 카트리지 또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를 일체로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로 전자사진 감광 드럼,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현상 수단과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일체로 포함한 카트리지로 될 수 있고, 그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서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을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타입이 사용되어 왔으며, 그 유닛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타입을 이용함으로써, 유지 보수 작업이 서비스맨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에 의해 실제 수행될 수 있고, 따라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타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널리 이용된다.
그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이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만족스런 화상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다양한 전기 접점 및 구동 전달부와 같은 인터페이스부의 정확한 접속을 이루도록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도60 및 도61을 참조하면,(도60의) 프로세스 카트리지(PC)와 (도61의)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PR) 내에 마련된 가이드 홈(GL)이 도시되어 있다. 도62는 그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PC)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60 내지 도62에 도시된 대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PR)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PC)의 착탈에 있어서, 위치결정 보스(C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PC) 내에 마련된 감광 드럼 형태로 전자사진 감광 부재의 축 상에 마련되고, 한편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PR)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결정 보스(CB)를 안내하여 위치결정하기 위한 가이드 홈(GL)을 갖추고 있다.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PC)를 장착 가이드(CL)(카트리지 장착 가이드)를 따라 소정 위치로 삽입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PR) 상에 마련된 맞닿음부(P)는 위치결정 보스(CB) 주위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PC)와 맞닿게 된다. 그러한 구조의 장치가 실행되어 왔다.
도62에 도시된 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PC)는 프로세스 카트리지(PC)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PR)의 외부에 있을 때 감광 드럼의 표면을 덮고, 프로세스 카트리지(PC)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PR) 내에 장착될 때 감광 드럼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기능을 하는 드럼 셔터(DS)를 갖추고 있다. 드럼 셔터(DS)의 개폐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PR) 내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PC)의 삽입 작동 또는 취출 작동과 연동하여 실행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PC)를 장착 방향으로 압박하기 위한 압박 수단이 제시되고 실행되어 왔으며, 대전 수단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PR)의 개폐 덮개(C) 상에 마련된다.
도62에 도시된 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PC)의 외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후방 덮개(UC)가 덮개(C)의 내부에 고정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PC)가 덮개(C)를 폐쇄함으로써 정해진 위치로 압박되는 또 다른 제안이 제시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을 더욱 발전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의 장착 조작성이 향상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본체의 장착 위치에 자동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폐 부재의 폐쇄 작동과 연동하여 장치의 본체의 장착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의 본체의 장착 위치에 자동적으로 착탈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의 본체에 대한 착탈 조작성이 향상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5는 이동 가이드 및 가이드 스토퍼의 사시도.
도6의 (A), (B), (C)는 이동 가이드와 장착 가이드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7은 우측 내부 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고정 가이드와 내측 베어링의 사시도.
도8은 캠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9는 연결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10은 개구와 폐쇄 덮개와 전방 가이드의 사시도.
도11은 커플링 캠을 포함한 대기어와 베어링의 분해 사시도.
도12a 및 12b는 스러스터 로드의 사시도.
도13은 고정 가이드와 스크루 코일 스프링의 사시도.
도14는 푸싱 아암과 인터로크(연동)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15는 푸싱 아암과 인터로크(연동)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1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사시도.
도1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18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19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2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2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22는 개구(W)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돌기와 후방 캡 돌기의 종방향으로의 위치상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23은 덮개의 개폐 과정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에 대한 방해를 도시한 도면.
도24는 덮개의 개폐 과정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에 대한 방해를 도시한 도면.
도25는 덮개의 개폐 과정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에 대한 방해를 도시한 도면.
도2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동,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27은 도26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28은 도26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좌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29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동,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30은 도29와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31은 도29와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좌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3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동,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33은 도32와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34는 도32와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좌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3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운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36은 도35와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37은 도35와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좌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 내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38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39는 도38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40은 도38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좌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4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42는 도41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43은 도41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좌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4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45는 도44와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46은 도44와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좌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4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48은 도47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49는 도47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보았을 때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좌측 내부 플레이트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50의 (a), (b), (c)는 커플링 캠의 회전에 의한 대기어의 전진 및 후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5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송 동안 스러스터 로드(thruster rod)에 대한 방해를 도시하는 도면.
도5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의한 커플링 캠의 회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5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의한 커플링 캠의 회전을 도시하는 도면.
도5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의한 푸싱 아암의 요동 동작 및 상호 관련 스위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5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의한 푸싱 아암의 요동 동작 및 상호 관련 스위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5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의한 푸싱 아암의 요동 동작 및 상호 관련 스위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5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의한 푸싱 아암의 요동 동작 및 상호 관련 스위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58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의한 푸싱 아암의 요동 동작 및 상호 관련 스위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59는 덮개가 폐쇄된 채로 작동 상태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지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60은 종래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내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가이드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61은 종래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내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가이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62는 종래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내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가이드와 후방 덮개를 도시하는 도면.
도63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6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6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사시도.
도6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67은 도65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68은 도65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69는 도65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70은 도65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71은 도65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72는 도65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7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착탈 가이드의 사시도.
도7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착탈 가이드의 정면도.
도7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7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도.
도7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7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7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8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8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8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착탈 가이드의 사시도.
도8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착탈 가이드의 정면도.
도8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8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측면도.
도8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8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8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8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90은 종래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가이드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91은 종래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내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가이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92는 종래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내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가이드와 후방 덮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 시스템
2 : 기록 매체
4 : 전사 롤러
7 : 감광 드럼
8 : 대전 롤러
10 : 현상 수단
11 : 세척 수단
12 : 드럼 셔터
14 :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
15 : 개폐 덮개
18a : 위치결정 가이드
18b : 장착 가이드
40a, 40b : 가이드 레일
41 : 이동 가이드
45 : 코일 스프링
50 : 캠 플레이트
52 : 푸싱 아암
54 : 연동 스위치
55 : 스러스터 로드
83a : 구동력 전달부
85 : 커플링 캠
101 : 광학 시스템
103a : 픽업 롤러
108 : 대전 롤러
110 : 현상 수단
111 : 세척 수단
114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120 : 회전 제어부
141 : 착탈 가이드
141g : 지지부
141f : 단차부
142 : 전방 가이드
143 : 전방 플레이트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라, 개폐 가능한 개폐 부재, 상기 개폐 부재의 개폐 작동에 연동하여 이동 가능한 제1 본체 가이드, 및 제2 본체 가이드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돌출된 제1 카트리지 가이드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는 제1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가 제1 본체 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본체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향해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는 제1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피지지부 및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상류측을 향해 밑으로 경사진 경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피지지부와 상기 경사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은 제1 본체 가이드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1 카트리지 가이드와;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 타단부에서 장착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와; 상기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돌출된 제2 카트리지 가이드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는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가 제2 본체 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향해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는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피지지부 및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상류측을 향해 밑으로 경사진 경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피지지부와 상기 경사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은 제2 본체 가이드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 카트리지 가이드와; 상기 감광 드럼의 상기 축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 있고 상기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제1 본체 위치결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결정하는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와;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 타단부에서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 있고 상기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제2 본체 위치결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결정하는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잘 알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은 기록 매체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기록 매체의 급송 방향과 교차하는(대략 직각) 방향인,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로부터 착탈되는 방향(대략 직각인 방향)이다. "좌측" 및 "우측"은 기록 매체를 기록 매체의 급송 방향으로 상부에서 보았을 때 왼쪽 및 오른쪽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부면, 하부면 또는 측면은 각각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로 장착될 때 상부 위치를 취하는 표면 또는 측면,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로 장착될 때 하부 위치를 차지하는 표면 또는 측면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2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다. 도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 때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반적인 구성과 이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먼저 설명되고,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구성에 관한 설명이 이뤄질 것이다.
(전반적인 구성)
이 실시예에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A)(이하, "화상 형성 장치"로 칭함)는 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형태이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화상 담지 부재로서 드럼의 형태인 전자사진 감광 부재(7)(이하, "감광 드럼"으로 칭함)를 포함한다. 감광 드럼(7)은 대전 롤러(8)의 형태인 대전 수단에 의해서 균일하게 대전된 후, 이에 의해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7)상에 형성되는 광학 수단(광학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정보를 기초한 정보광에 노출된다. 정전 잠상은 현상제(이하, "토너"로 칭함)에 의해서 토너 화상으로 가시화된다.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기하여, 기록 매체(2)(기록 용지, OHP 시트, 직물 등)는 픽업 롤러(3b) 및 이에 가압 접촉되는 가압 접촉 부재(3c)에 의해서 카세트(3a)로부터 화상 전사 스테이션으로 한 장씩 급송된다.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 롤러(4)로의 전압의 전사의 인가에 의해서 전사 스테이션에서 기록 매체(2) 상으로 전사된다. 이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운반하고 있는 기록 매체(2)는 급송 가이드(3f)를 따라서 정착 수단(5)으로 급송된다.
이 실시예에서, 정착 수단(5)은 구동 롤러(5a) 및 회전 가능한 정착 부재(5d)를 포함한다.
회전 가능한 정착 부재(5d)는 히터(5b)를 포함하고 지지 부재(5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원통형상의 시이트를 포함한다. 회전 가능한 정착 부재(5d)는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해 그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 매체(2)에 열과 압력을 인가한다. 정착된 토너 화상을 갖는 기록 매체(2)는 배출 롤러(3d)에 의해서 급송되어, 역방향 급송 경로를 통해 배출부(6)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급송 수단(3)은 픽업 롤러(3b), 가압 접촉 부재(3c), 배출 롤러(3d) 등으로 구성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는 급송 수단(3), 정착 수단(5)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80)을 포함한다. 구동 수단(80)은 (도시되지 않은) 모터(구동원)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하여, (도시되지 않은) 기어 열을 통해 회전 가능한 부재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공급되는 구동력은 (도시되지 않은) 기어 열을 통해 대기어(83)(도11)로 전달되고, 대기어(83)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 전달된다. 대기어(83)와 프로세스 카트리지(B) 사이의 구동 전달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02875203호 및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0-240103호에 개시된 커플링 수단에 의해 작동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수단은 대체로 정삼각형 단면을 갖고 대기어(83)의 회전중심 축과 동축인 비틀린 리세스와, 대체로 정삼각형 단면을 갖는 비틀린 돌기[구동력 수용부(7a1); 이하, "드럼 커플링(7a1)"으로 칭함]가 제공된 대기어 커플링(83a)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드럼 커플링(7a1)은 감광 드럼(7)의 일단부에 고정된 (도시되지 않은) 기어 플랜지 상의 감광 드럼(7)의 회전중심 축과 동축으로 형성된다. 커플링 수단은 대기어 커플링(83a)을 감광 드럼(7)의 종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합 및 해제된다.
커플링의 결합에 의해, 대기어(83)의 축과 감광 드럼(7)은 정렬되어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되고, 구동력 전달로 감광 드럼(7)의 종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커플링 수단의 결합 및 해제를 위한 구동력 연결 수단이 제공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수단은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전기적으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과,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 및 감광 부재 상에 존재하는 잔여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을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층을 갖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인 회전 가능한 감광 드럼(7)을 포함한다. 감광 드럼(7)의 표면은 대전 롤러(8) 형태의 대전 수단으로 전압의 인가에 의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따라서, 전기적으로 대전된 감광 드럼(7)은 노광 개구(9)를 통해 광학 시스템(1)으로부터 공급된 화상 정보(광 화상)에 노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전 잠상은 감광 드럼(7)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정전 잠상은 현상 수단(10)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 수단(10)에서, 토너는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회전 가능한 급송 부재(10b)에 의해 토너 수용부(10a)로부터 현상 롤러(10d)[회전 가능한 현상 부재(현상제 담지 부재)]로 작용되어진다. 현상 롤러(10d)는 내부에 고정 자석(10c)을 포함한다. 고정 자석(10c)을 고정 상태에서 유지하면서 현상 롤러(10d)를 회전시키고 현상 롤러 상에 형성된 현상제 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된 두께와 마찰전기식 전하를 갖는 현상제의 층은 현상 롤러(10d) 상에 형성된다. 현상 롤러(10d)의 표면 상의 토너는 정전 잠상에 따라서 감광 드럼(7) 상으로 전사되어, (가시화된) 토너 화상이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다.
전사 롤러(4)는 토너 화상의 극과 반대되는 극의 전압으로 공급되어, 토너 화상은 기록 매체(2)상으로 전사된다. 그에 따라, 감광 드럼(7)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잔여 토너는 세척 수단(11)의 세척 블레이드(11a)에 의해 제거된다. 제거된 토너는 수용기 시트(11b)에 의해 수용된다. 수용된 토너는 제거 토너 수용부(11c)에 수집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세척 수단(11)과 대전 롤러(8)를 지지하는 세척 프레임(11d), 현상 수단(10)과 토너 수용부(10a)를 지지하는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0f)을 포함한다.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0f)은 세척 프레임(11d)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현상 수단(10)의 현상 롤러(10d)가 소정의 평행한 갭을 가지고 감광 드럼(7)의 표면과 대향될 수 있다.
현상 롤러(10d)의 양 단부에는 현상 롤러(10d)와 감광 드럼(7) 사이의 소정의 갭을 유지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스페이서가 제공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0f)의 양 측면에는 홀더 부재(10g)가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 유닛을 세척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매달기 위한 연결부를 갖는 현수 아암이 제공된다. 현상 유닛과 세척 유닛 사이에 소정의 갭을 유지하기 위해, 소정의 압력이 가해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서로 용접되는 현상 장치 프레임(10f1)과 캡 부재(10f2)로 구성되는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0f)과 세척 프레임(11d)을 포함하고, 이러한 프레임들은 결합하여 카트리지 프레임(CF)을 구성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프레임(CF)의 대향 종방향 단부들에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하, "화상 형성 장치"로 칭함)의 본체(14)로 화살표 X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 및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이하, "장착 가이드(18b)"로 칭함]와, 감광 드럼(7)의 회전 중심과 동축이고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제공되는 위치결정 수단(제1 본체 위치결정부와 제2 본체 위치결정부)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 및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이하, "위치결정 가이드(18a)"로 칭함]가 제공된다.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원통형 보스의 형태이고, 구동측 원통형 보스가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구동측 위치결정 가이드(18a)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연장되는 장착 보조 가이드(18a1)가 제공된다. 장착 보조 가이드(18a1)의 후단부는 가압되도록 외부면(18a2) 안으로 형성되고 위치결정 가이드(18a)와 동축인 원호 형태이다.
가이드되는 장착 가이드(18b)는 후술하는 제1 본체측 가이드(41) 및 제2 본체측 가이드(41)[이하, "이동 가이드(41)"로 칭함]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18b1)[이하, "저면(18b1)"으로 칭함]와, 삽입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선단부를 차지하는 장착 가이드(18b)의 선단부(18b2)를 갖는다. 선단부(18b2)는 저면(18b1)을 포함하는 원호부와 상부면(18b6)을 포함하는 원호부를 갖고, 전자는 후자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후단부에서 저면(18b1)의 바닥 모서리부(18b3)는 저면(18b1)과 예각을 이루는 경사면부(18b4) 안으로 형성된다. 상부면의 후단부는 상부면(18b6)과 직각인 직교면(18b5)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무게 중심은 장착 가이드(18b)의 선단부와 후단부 사이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 가이드(18b)의 후단부에서 지지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항상 전방측 하부 위치를 차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 가이드(18b)는 위치결정 가이드(18a) 위의 세척 프레임(11d)의 단부면 상에 제공되고, 장착 가이드의 선단부(18b2)는 장착 방향에 대해 위치결정 가이드(18a)와 동축인 감광 드럼(7)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 평면의 하류에 위치된다. 그러나, 장착 가이드(18b)는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0f) 상 또는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0f)의 단부에 제공된 홀더 부재(10g)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세척 프레임(11d)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 셔터(12)가 제공되고, 드럼 셔터(12)는 전사 롤러(4)에 대향되도록 노광 개구(9b)와 전사 개구(9a)를 동시에 덮을 수 있다.
드럼 셔터(12)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셔터(12)는 감광 드럼(7)과 전사 롤러(4)가 서로 접촉되는 전사 개구(9a)를 덮을 수 있는 드럼 보호부(12a)를 갖는다. 드럼 셔터(12)는 회전축(12b)을 갖고 세척 프레임(11d)의 노광 개구(9b)에 인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12b)은 각각의 회전축(12b)의 대향 단부에서 세척 프레임(11d)과 활주접촉하기 위한 활주부(12b1)와, 활주부(12b1) 사이의 노광 개구(9b)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활주부(12b1)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경부(12b2)와, 대경부(12b2)상에 제공되고 드럼 셔터(12)가 폐쇄될 때 노광 개구(9b)를 폐쇄하는 노광 셔터부(12b3)를 갖는다.
좌우측 위치의 각각에 배치된 연결부(12c)의 일단부는 회전축(12b)의 대경부(12b2)의 외측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드럼 보호부(12a)의 단부에 연결된다.
회전축(12b)의 대경부(12b2)의 우측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캠부(12d)(도3 참조)가 배치된다. 드럼 셔터(12)의 우측의 연결부(12c)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리브(12e)가 제공된다. 리브(12e)는 고정 가이드(44)(도7 참조)의 셔터 가이드(44c)에 의해 수용되고 개방 상태에서 드럼 셔터(12)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드럼 셔터(12)의 상술한 부분은 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 우측의 장착 가이드(18b)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장착 가이드(18b), 리브(12e) 및 캠부(12d)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종방향으로 외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열된다.
드럼 셔터(12)는 (도시되지 않은)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감광 드럼(7)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의 외부에 있을 때, 드럼 셔터(12)는 도2에서 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전사 개구(9a)를 유지한다.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본체(14)의 내부에 있고 화상 형성 작업이 가능한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드럼 셔터는 감광 드럼(7)을 노출하도록 개방 위치를 취하고, 전사 롤러(4)는 도2에서 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개구(9a)를 통해 서로 접촉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 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하기 위한 기구가 기술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는,
(1)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유지하는 동안에, 광학 시스템(1) 및 급송 수단(3) 사이에서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41)와,
(2) 개폐 부재(15)[이하, "개폐 덮개(15)"로 칭함]를 개방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전반부 및 개폐 덮개(15)를 폐쇄하기 위한 후반부에서, 이동 가이드(41)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40a, 40b)을 갖는 한 쌍의 내부 플레이트(40) 및 한 쌍의 캠 플레이트(50)와,
(3) 한 쌍의 캠 플레이트로 개폐 덮개(15)의 회전 운동을 일대일로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 플레이트(51)와,
(4)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위치(S)(이하, "화상 형성 가능 위치" 또는 "화상 형성 위치"로 칭함)로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푸싱 아암(52)과,
(5)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드럼 셔터(12)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드럼 셔터 개폐 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는,
(6) 개폐 덮개(15)를 개방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전반부 및 개폐 덮개(15)를 폐쇄하기 위한 후반부에서, 길이 방향의 관점에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커플링 수단을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우측으로부터 결합 또는 해제하기 위한 연결 수단과,
(7) 개폐 덮개(15)의 폐쇄의 완료를 검출하고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도록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연동 스위치(54)를 더 포함한다.
개폐 덮개(15)를 폐쇄하기 위한 공정에서, 먼저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카트리지 장착 부재로서 이동 가이드(41)의 운동에 의해 운반되고, 그후 커플링 수단은 푸싱 아암(52)이 이동하는 동안 연결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그에 따라, 연동 스위치(54)가 작동된다. 개폐 덮개(15)를 개방하기 위한 공정에서, 먼저 연동 스위치(54)가 작동되고, 그후 연결 수단과 푸싱 아암(52)이 결합해제되고, 마지막으로 이동 가이드(41)가 이동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이하의 기술에서, 먼저 기구의 다양한 부품 구성이 기술되고, 그후 다양한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 안으로 장착하기 위한 방법이 기술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이동이 개폐 덮개(15)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기술된다.
(구성 부품의 설명)
(본체측에서의 이동 가이드 및 제1 및 제2 가이드)
한 쌍의 이동 가이드(41)는 차례로 좌우 내부 플레이트(40)에 부착되고, 좌우 내부 플레이트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장치 본체를 좌우 반씩 나누는 플레이트에 대해 대략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도5에서, 각각의 이동 가이드(41)는 가이드로서 가이드 홈(41a)이 구비되고, 이것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대향한 표면에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가이드(18b)에서 체결된다. 각각의 이동 가이드(41)는 또한 제1 및 제2 보스가 구비되고, 이것은 장치 본체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자세를 조절하도록 있고, 가이드 홈(41a)이 위치된 표면에 대향한 표면 상에 있다. 제1 및 제2 보스(41b 및 41c)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는 방향(X)으로 가이드 홈(41a)의 각각 상류 및 하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제1 보스(41b)에는 보스(41c)의 주연면과 동축선에 놓여진 관통 구멍(41b2)이 제공된다. 또한, 단부면이 관통 구멍의 반경 방향에 대해 내부로 돌출된 스냅식 끼워맞춤(snap-fit) 갈고리(41b1)가 제공된다. 제2 보스(41c)는 보스(41c)의 단부 상에 놓여져 있으며 보스(41c)의 반경 방향에서 외부로 돌출된 갈고리(41c1, 41c2)가 제공된다. 이러한 갈고리(41c1, 41c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위치로 이동된 후, 후술되어질 캠 플레이트의 회전 중심과 제2 보스(41c)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정렬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홈(41a)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하류 및 상류의 두 부분을 가지며, 하류부는 상류부로부터 다소 오목하게 들어가 두 부분 사이에 단을 형성한다. 가이드 홈(41a)의 하류부의 표면(41a1)은 이동 가이드(41)가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이동하는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가이드(18b)가 놓이는 보유면이고, 하류부의 표면(41a1)보다 더 높은 상류부의 표면(41a2)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 내에 삽입되거나 그로부터 나올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면이다. 보유면(41a1) 및 가이드 면(41a2)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어,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4) 내에 삽입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보유면(41a1) 내로 가이드됨을 보장한다.
도6을 참조하면, 보유면(41a1)과 가이드 면(41a2) 사이의 단차부는 프로세스 보유면(41a1)에 의해 지지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중에 적용되는 이송 부하에도 불구하고 소정 위치에 이동되도록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가이드(18b)의 후단부(18b3)를 밀어주는 기능을 한다. 단차부는 경사부(41a4)를 갖고, 이것의 이론상의 연장부는 보유면(41a1)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고, 이것은 경사부(41a4)와 보유면(41a1) 사이에 있는 수직면(41a3)은 보유면(41a1)과 대략 수직이다. 경사부(41a4)는 보유면(41a1)에 의해 지지된 장착 가이드(18b)가 전사 롤러(4)의 저항에 의해 보유면(41a1)으로부터 승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승강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도6의 (B)참조).
도6의(A)에서, 보유면(41a1) 상에 가이드 면(41a2)으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가이드(18b)를 가이드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보유면(41a1)의 선단부의 모서리에서 경사부(41a4)와 가이드 면(41a2) 사이의 교차부까지의 거리(1g)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장착 가이드(18b)의 저면(18b1)의 길이(1c)는 다음의 식을 충족해야만 한다.
1g >1c
다시 말해서, 보유면(41a1)의 길이는 장착 가이드(18b)의 저면(18b1)보다 더 길다. 도6의 (C)에서, 만약 가이드 면(41a2) 및 보유면(41a1)이 경사부(41a4)만으로 연결되면, 보유면(41a1)은 δ의 길이만큼 더 길고, 장착 가이드(18b)의 저면(18b1)보다 불필요하게 더 길다. 이러한 경우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송 부하를 받기 쉬운 것과 같이 이동 가이드(41)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서로에 대해 활주하는 거리는 과도하게 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보유면(41a1)의 길이는 수직면(41a3)의 추가만큼 길이에서 감소되도록 적응되어 장착 가이드(18b)의 후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송 저항을 받기 쉬운 것처럼 더욱 빨리 가압될 수 있다.
가이드 홈(41a)의 상부벽의 하향 대면은 보유면(41a1)에 대략 평행하다. 이것은 상부면(41a5 및 41a6)과 연결하는 완만히 경사진 상부면(41a7)과 상부면(41a5 및 41a6)을 갖는다. 상부면(41a5 및 41a6)은 보유면(41a1) 및 가이드 면(41a2)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유면(41a1) 및 가이드 면(41a2)으로부터의 거리가 각각 장착 가이드(18b)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가이드(18b)의 두께보다 다소 더 크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했던 한 쌍의 이동 가이드(41)의 구성에 있어서, 좌우 이동 가이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좌우 반씩으로 나누는 수직 평면에 관해 서로에 대해 대칭적 위치에 있다. 그러나, 우측 이동 가이드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이 구비되고, 따라서 우측 이동 가이드의 제2 보스(41c)에는 타이밍 보스(41d)가 구비되고, 이것은 제2 보스(41c)의 축선 방향으로 갈고리(41c1 및 41c2)를 초과해서 연장한다.
다음, 카트리지 이송 수단, 특히 이동 가이드 이동 수단을 구성하는 가이드 레일, 캠 플레이트 및 연결 플레이트가 설명될 것이다. 카트리지 이송 수단(이동 가이드 이동 수단)의 구조는 후술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것은 선택적인 것이다.
(내부 플레이트의 가이드 레일)
도7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4)의 우측의 내부 플레이트(40)를 도시한다. 우측의 내부 플레이트(40)는 카트리지 이송 수단(카트리지 장착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스(41b 및 41c)가 각각 활주식으로 체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다.
가이드 레일(40a 및 40b)의 폭(가이드 레일이 연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크기)은 이동 가이드(41)가 쉽게 활주하도록 각각 보스(41b 및 41c)의 직경보다 다소 크거나 동일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내부 플레이트(40)는 대략 1mm 두께 금속성 플레이트이고, 가이드 레일(40a 및 40b)은 구멍이고, 이것은 버링(burring)에 의해 형성되고, 이것의 리브는 화상 형성 장치의 외향으로 돌출한다. 가이드 레일(40a 및 40b)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버링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만약 가이드 레일(40a 및 40b)이 단지 펀칭에 의해 형성되면, 이동 가이드(41)의 보스(41b 및 41c)가 활주하는 가이드 레일(40a 및 40b)의 각각의 표면은 거칠어지고, 또한 보스(41a 및 41b) 상에 작용하는 접촉 압력이 증가하여 금속성 플레이트의 두께만큼 넓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동 가이드(41)가 반복적으로 가이드 레일 상에 활주할 때 보스(41b 및 41c)는 각각 가이드 레일(40a 및 40b)의 에지와 접촉하는 영역을 가로질러 셰이빙될 것이고, 이것은 때때로 장치 본체에서 소정 위치로부터 이동 가이드(41)의 체결해제를 가져올 것이다. 이것이 간단한 펀칭 대신에 버링이 사용되는 이유이다. 다시 말해서, 버링은 보스(41b 및 41c)가 가이드 레일(40a 및 40b) 각각에 의해 미리 셰이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보스(41b 및 41c)가 활주하는 표면을 가로질러 더 부드러우며 더 넓은 가이드 레일(40a 및 40b)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 레일(40a 및 40b)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버링의 사용은 가이드 레일(40a 및 40b)에 의한 보스(41b 및 41c)의 조기 절삭에 대한 대책이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40a 및 40b) 및 이동 가이드(41)의 한 쌍의 보스(41b 및 41c)의 마련으로, 이동 가이드(41)는 광학 시스템(1)과 기록 매체(2)에 대한 이송 경로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제1 보스(41b)와 체결하는 제1 가이드 레일(40a)은 개폐 덮개(15) 측면 및 경사부(40a2) 상에 있고 가이드 레일(40a)의 더 깊은 단부에 위치되는 거의 수평부(40a1)를 갖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서 하향으로 경사진다. 두 개의 부분(40a1 및 40a2)은 완만히 만곡된 부분에 의해 연결된다. 제2 보스가 체결하는 제2 가이드 레일(40b)은 제1 가이드 레일(40a) 측면 상에 위치되는 수직 직선부(40b2)와 상향으로 벌지(bulge)하는 원호부(40b1)를 갖는다. 두 개의 부분(40b1 및 40b2)은 완만히 만곡된 부분에 의해 연결된다. 더욱이, 내부 플레이트(40)에는 후술되어질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축(50a)이 양산하는 구멍이 구비되고, 이것은 후술될 것이다. 구멍(40c)의 축선 라인은 원호부(40b1)의 곡률의 중심과 일치한다. 내부 플레이트(40)에는 또한 구멍(40c) 근처에 위치된 원호 구멍(40d)이 구비되고, 이것의 곡률 중심은 구멍(40c)의 축선 라인과 일치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멍(40c)은 또한 버링에 의해 형성된다. 원호 구멍(40d)에는 개폐 덮개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원호 구멍(40d)의 더 깊은 단부가 있는 조립 용이부(40d1)가 구비되고, 그것의 곡률 반경으로 다소 더 넓다. 이러한 조립 용이부(40d1)는 캠 플레이트(50)가 내부 플레이트(40)에 부착될 때 캠 플레이트(50)(도8)의 조립 용이 갈고리(50e)가 관통해서 설정되는 곳에 있다. 조립 용이 갈고리(50e)가 원호 구멍(40d)의 조립 용이부(40d1)를 관통해서 설정된 후에 캠 플레이트(50)는 개폐 덮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캠(50)이 회전될 때 조립 용이 갈고리(50e)의 후방면은 캠 플레이트(50)가 회전축(50a)의 축선 방향으로 내부 플레이트(40)로부터 체결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원호 구멍(40d)의 상부 에지와 접촉한다.
(캠 플레이트)
내부 플레이트(40)의 외향 표면으로, 즉 이동 가이드(41)가 장착되는 곳에 대향한 표면으로 회전축(50a)이 구비되는 캠 플레이트(50)가 부착되고, 이것의 회전축은 제 2가이드 레일(40b)의 원호부(40b1)의 곡률의 중심과 일치한다.
도8에서, 캠 플레이트(50)에는 원호부(50b1)(이하, "원호 구멍"으로 칭함) 및 직선부(50b2)(이하, "직선형 홈 구멍"으로 칭함)를 갖는 캠 구멍(50b)이 구비된다. 캠 구멍(50b)의 원호부(50b1)의 곡률 중심은 회전축(50a)의 축선 라인과 일치한다. 캠 구멍(50b)의 직선부(50b2)(직선형 홈 구멍)는 개폐 덮개(15)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캠 구멍(50b)의 원호부(50b1)의 내향 단부로부터 연속적이고, 캠 구멍(50b)의 곡률 반경 방향에서 외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캠 구멍(50b) 내에서,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는 내부 플레이트(40)의 제2 가이드 레일(40b)을 관통해서 설정된 후에 체결한다. 캠 구멍(50b)의 원호부(50b1)의 반경은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원호부(40b1)의 반경보다 더 작고,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직선부(40b2)의 바닥 단부에서 구멍(40c) 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 캠 구멍(50b)의 직선부(50b2)(직선형 홈 구멍)의 팁과 회전축(50a) 사이의 거리는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원호부(40b1)의 반경보다 다소 더 크다. 캠 구멍(50b)의 원호부(50b1)와 직선형 홈 구멍(50b2)의 폭은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의 직경보다 다소 크다.
개폐 덮개(15)가 개방되는 방향에 대해 캠 구멍(50b)의 원호부(50b1)의 선단부에서, 조립 용이부(50b3)는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의 팁상의 갈고리(41c1 및 41c2)가 장치의 조립동안 설치되는 것을 통해서 구비된다. 조립 용이부(50b3)는 캠 구멍(50b)의 원호부(50b1)의 반경 방향으로 캠 구멍(50b)의 외향 및 내향 둘 다, 원호부(50b1)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도록 모양이 갖춰진다. 조립 용이부(50b3)의 이러한 두 개의 연장부의 하나 또는 둘 다는 장치의 조립동안 캠 구멍(50b)의 반경 방향으로 원호부(50b1)에 대해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가 조립 용이부(50b3)의 외향 부분을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의 직경보다 다소 협소하다. 더욱이, 캠 플레이트(50)에는 개폐 덮개(15)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조립 용이부(50b3)의 하류 단부에 인접해 있고 내부 플레이트(40)에 대향한 표면에 대향한 표면에 있는 임시 보유 리브(50c)가 구비된다.
내부 플레이트(40)의 가이드 레일(40a 및 40b)는 버링에 의해 형성된 구멍들이며, 그들의 리브는 캠 플레이트(50)를 향해 돌출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40a 및 40b)을 수용하기 위해, 캠 플레이트(50)는 가이드 레일(40a 및 40b)의 리브가 캠 플레이트(50)를 향해 돌출한 거리와 동일한 높이만큼 캠 구멍(50b) 주위에 겹쳐진다. 전술된 임시 보유 리브(50c)는 캠 플레이트(50)의 이러한 겹친 부분 위에 위치되어 이동 가이드(41)의 갈고리(41c1)가 장치의 조립 동안 이러한 임시 보유 리브(50c)에 갈 때 캠 플레이트(50)는 이러한 겹친 부분에 의해 굽혀진다.
캠 플레이트(50)에는 회전축(50a)이 존재하는 표면에 대향한 표면 상에 조립 용이부(50b3), 즉, 캠 구멍(50b)의 후단부에 인접한 연결 보스(50d)가 또한 구비된다. 연결 보스(50d)의 단부는 갈고리(50d1)를 구성한다. 회전축(50a) 근처에 전술된 조립 용이부(50b3)가 있다. 조립 용이 갈고리(50e)는 캠 플레이트(50)의 체결해제를 방지하는 내부 플레이트(40)의 원호 구멍(40d) 내에 끼워진다.
캠 플레이트(50)의 구성과 관련된 상기 설명은 좌 및 우 캠 플레이트 모두에 공통된 것이다.
다음으로, 구동 수단 측(이하, "우측"으로 칭함)의 캠 플레이트(50)가 설명될 것이다. 우측 캠 플레이트(50)는 연결 보스(50d)가 제공된 측면과 같이 동일한 측면 상에 있고, 캠 구멍(50b)의 반경 방향에 관하여 캠 구멍(50b)의 내향 측면 상에 있는 상승 위치가 제공된다. 이 상승 위치의 상부면(50f)은 캠 구멍(50b)이 존재하는 표면의 조금 외부에 있다. 상부면(50f)에는 제2 보스(50g)가 제공된다. 상부면(50f)에 의한 간격은 연결 보스(50d)의 높이 보다 더 높게 상승되어 있다. 제2 보스(50g)의 단부에는 보스(50g)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 한 쌍의 갈고리(50g1, 50g2)가 제공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구동되지 않는 측의 캠 플레이트(50)(이하, "좌측 캠 플레이트"로 칭함)에는, 캠 구멍(50b)의 직선부(직선형 홈 구멍)(50b2)와 캠 구멍(50b)의 반경 방향에 대해서 캠 구멍(50b)의 외향 측면 상의 근처에 위치된 제2 캠(50h) 및 개폐 덮개(15)가 닫는 회전 방향에 대해서 캠 플레이트(50)의 상류 측면 상에 있는 접촉면(50i)이 구비된다. 제2 캠(50h)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에 정확하게 위치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푸싱 아암(52)을 구동하기 위한 캠 플레이트(50)의 일부분이고,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개폐 덮개(15)가 대략적으로 덮는 방향에서, 캠 플레이트(50)의 주 구조의 원호 형상의 외주의 에지로부터 연장한 완만한 원호형의 아암 구동부(50h1)와,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축(50a)의 축방향 선의 것과 일치하는 곡률의 중심인, 완만한 원호형의 아암 보유부(50h2)를 갖는다. 이러한 부분(50h1, 50h2)들은 홈의 형태이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내부 플레이트(40)를 직면한 열린 측면이다. 제2 캠(50h)은 가이드 레일(40b)의 내향으로 돌출한 리브를 수용하기 위한 캠 플레이트(50)의 내향으로 층이 진 부분보다 본체 장치의 내향으로 더 침투한다. 푸싱 아암(52)은 제2 캠(50h)과 본체 장치의 내향으로 돌출한, 캠 플레이트(50)의 층이 진 부분 사이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갭에 고정한다. 접촉면(50i)은 회전축(50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캠 플레이트(50)의 두께 방향에 대해서 높이는 제2 캠(50h)의 바닥 벽의 높이와 동일하다.
(연결 플레이트)
캠 플레이트(50) 및 개폐 덮개(15)는 네 개의-조인트 연동기를 함께 형성하는, 연결 플레이트(51)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 플레이트(51)는 길이 방향 단부 중의 하나에 위치되고, 캠 플레이트(50)의 연결 보스(50d)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구멍(51a) 및 다른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된 축(51b)을 갖고, 한 쌍의 스냅식 끼워맞춤 갈고리(51b1)를 갖는다. 구멍(51a)에는 연결 플레이트(51)와 캠 플레이트(50)를 연결할 때 캠 플레이트(50)의 연결 보스(50d)의 갈고리(50d1)가 연결 플레이트(51)상에 걸리는 것을 막기 위한 리세스(51a1)가 제공된다. 리세스(51a1)는 축(51b)의 축방향에 대해서 연결 플레이트(51)의 한 측면에서부터 다른 측면까지 연장한다. 한 쌍의 스냅식 끼워맞춤 갈고리(51b1)는 구멍(51a)과 축(51b)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게다가, 축(51b)에는 구멍(51a)과 축(51b)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수직인 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된 한 쌍의 매개부가 제공되고, 따라서 축(51b)의 원주 방향에 대하여 한 쌍의 스냅식 끼워맞춤 갈고리(51b1) 사이의 간격의 가운데 위치하고, 연결 플레이트(51)의 구멍(51a)과 축(51b)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 방향에서 축(51b)에 작동하는 부하에 대해 축(51b)을 강화한다.
(덮개와 덮개 보강부)
도10을 참조하면, 개폐 덮개(15)에는 중심 보스(15a)를 갖는 한 쌍의 힌지(15b)와 연결 플레이트(51)의 축(51b)이 고정하는 연결 구멍(15c)을 갖는 한 쌍의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연결 구멍(15c)을 갖는 한 쌍의 플레이트와 한 쌍의 힌지(15b)는 개폐 덮개(15)의 길이 방향 단부 근처에 개폐 덮개(15)의 후방 측면 상에, 일대일로 있다. 개폐 덮개(15)에는 또한 개폐 덮개(15)의 강성을 증가하기 위한 보강부(16)가 제공되고, 개폐 덮개(15)의 내향 표면에 고정된다. 보강부(16)에는 보강부(16)의 길이 방향 단부 근처에 위치된 한 쌍의 돌기(16a)가 제공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화상 형성 장치를 장착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대략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기능을 한다.
(정면 가이드)
또한 도10을 참조하면, 고정된 좌 및 우측 내부 플레이트(40) 사이에 전방 가이드(43)가 있다. 전방 가이드(43)에는 개폐 덮개(15)의 한 쌍의 중심 보스(15a)가 일대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지지 구멍(43a)이 제공된다. 전방 가이드(43)에는 또한 전방 가이드(43)의 길이 방향 단부 근처에 일대일로 위치된,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리브(43b) 및 한 쌍의 접촉 리브(43c)가 제공된다.
각 측면 가이드(43b)는 내향 표면의 위치가 이동 가이드(41)에 상응하는 내향 표면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가이드(18a)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 그 자체를 안내할 뿐만 아니라, 다른 측면 가이드(43b)와 동일하게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한다. 각 접촉 리브(43c)는 개폐 덮개(15)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측면 가이드(43b)의 내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저면(10f4)을 연결한다.
(구동 수단)
도7 및 도11을 참조하면, 우 및 좌측 내부 플레이트(40)에는 전사 롤러(4) 보다 높게 위치된 내측 베어링(84)이 제공된다. 내측 베어링(84)의 설비와 함께, 구동력을 감광 드럼(7)에 전송하기 위한 대기어 커플링(83a)을 갖는 대기어(83)는 회전 가능하게 내부 플레이트(40)에 의해 지지된다.
대기어(83)의 대기어 커플링(83a)의 대향 측면은 (도시되지 않은)내부 플레이트(40)에 부착되어 기어 덮개에 고정된 외측 베어링(8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내측 베어링(84)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대기어 커플링(83a)이 결합 가능한 위치[장치 본체에 있어서 마지막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 제2 위치]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유지하기 위한 원호형의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가 제공된다. 원호형의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의 위치는 장치 본체에 있어서 마지막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에 상응하고, 원호형의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의 곡률의 중심은 대기어(83)의 축선과 일치한다. 원호형의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가이드(18a)를 포획한다. 또한, 내측 베어링(84)의 대기어(83) 측면에는 원통부(84b) 및 캠면(84c)(84c1, 84c2) 둘 다 제공된다. 캠면(84c)은 원통부(84b)의 반경 방향에 대해서 외부로 직면한다.
내측 베어링(84)의 캠면(84c) 측면 상에, 원통형 커플링 캠(85)은 제공된다. 커플링 캠(85)은 원통부(84b)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캠면(84c)과 접촉한 캠면(85a)(85a1, 85a2)을 갖는다. 커플링 캠(85)이 회전함에 따라, 캠면의 기능에 기인하여 축 방향에서 움직이도록 대기어(83)를 허용한다. 게다가, 커플링 캠(85)에는 커플링 캠(85)의 반경 방향에 대해서 커플링 캠(85)의 원통 주연 표면의 외향 에지 상에 위치된 보스(85b)가 제공된다. 보다 상세히, 커플링 캠(85)에는 커플링 캠(85)의 원통 주연 표면의 대기어(83) 측면에 부착되는 주연 방향의 리브(85c)가 제공되고, 커플링 캠(85)의 반경 방향에서 돌출한다. 보스(85b)는 커플링 캠(85)의 축방향에서 돌출하는, 외부 주연 방향에 부착된다. 보스(85b)의 팁은 갈고리(85b1)가 제공된다. 외측 베어링(86)과 대기어(83) 사이에서, 내측 베어링(84)으로 향하여 가중되는 대기어(83)를 유지하는 스프링(87)이 있다.
(스러스터 로드)
도12a 및 도12b는 스러스터 로드(55)를 도시한다. 스러스터 로드(55)는 제2 보스(50g)를 우측 캠 플레이트(50)에 연결하는 연결 로드 및 커플링 캠(85)의 보스(85b)를 구성한다. 이것은 우측 내부 플레이트(40)상에 있고, 제2의 네 개-조인트 연동기를 형성한다. 도12a 및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러스터 로드(55)에는 두 개의 관통 구멍, 즉, 열쇠형상 구멍(55a) 및 긴 구멍(55b)이 제공된다. 열쇠형상 구멍(55a)은 통과되기 위한 커플링 캠(85)의 갈고리(85b1)에 맞는 크기와 구성을 갖고, 보스(85b)는 거기서 활주 가능하게 고정된다. 긴 구멍(55b)은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가 활주 가능하게 놓여진 관통 구멍이다. 긴 구멍(55b)은 세 부분, 즉, 열쇠형상 구멍(55a) 측면 상의 단부의 중심과 열쇠형상 구멍(55a)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략 수직 하향으로 연장하는 직선부(55b1), 직선부(55b1)의 바닥 단부로부터 대각선 하향으로 연장하는 경사부(55b2) 및 경사부(55b2)의 바닥 단부로부터 대각선 하향으로 연장하는 원호부(55b3)를 갖는다. 원호부(55b3) 아래에서, 보스(55c)가 위치되고, 보스(55c)의 팁은 갈고리(55d)가 제공된다.
긴 구멍(55b)의 직선부(50b1) 위에서, 상승면(55f)은 측면 상에 놓여지고 열쇠형상 구멍(55a)에 대향 방향으로 열려있는 U-형 홈과 같이 나타나는 스러스터 로드(55)의 길이 방향에서 리세스되어 제공된다. 게다가, 상승면(55f) 위에서, 보강부(55g)는 상향으로 열린 리세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부분들은 스러스터 로드(55)의 일체 부분이다.
(고정 가이드)
도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내측 베어링(84)을 둘러싸는 고정 가이드(44)가 있다. 고정 가이드(44)는 내측 베어링(84)의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를 넘어서 연장하고 내부 플레이트(40)의 제1 가이드 레일(40a)의 내향 단부를 넘어서 연장하여 그 영역을 향해 열려있는, 대략 문자 "E"의 형태이다.
고정 가이드(44)에는,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를 둘러싸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 단부 중의 하나에 위치된 맞닿음면(18C)과 접속될 수 있는 맞닿음부(44a), 맞닿음부(44a)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위치에 대해서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의 하류부 측면 상보다 더 높이 위치되고, 화상 형성 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제공된 맞닿음면(18d)에 의해 연결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를 고정하는 회전 제어부(44b) 및 회전 제어부(44b)보다 더 높이 위치되고, 상술된 드럼 셔터(12)를 열거나 닫기 위한 메카니즘의 성분 중 하나를 구성하는 셔터 가이드(44c)가 제공된다.
게다가, 도13을 참조하면, 고정 가이드(44)에는 대략 E-형 고정 가이드(44)의 세가지 수평부 중에서 중심부에 위치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이 제공되고,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서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 의 상류 측면 상에,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상에 가압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가이드(18a)를 유지하기 위해 존재한다. 그러므로, 내부 플레이트(40)가 접촉하여 위치된 고정 가이드(44)의 표면에는, 리세스(44d)와 역할을 하기 위해 위치되고 허용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이 제공된다. 리세스(44d)에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코일된 부분이 고정된 보스(44d1),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고정 아암부(45b)가 제거되는 것을 막는 갈고리(44d2)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작용 아암(45c)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갈고리(44d3)와 조절 리브(44d4)가 제공된다.
또한, 고정 가이드(44)에는 우측 플레이트(40)에 상대적으로 고정 가이드(44)를 정확히 위치시키고 거기에 고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리브(44e1)가 제공되고, 회전 제어부(44b)에 상응하여, 회전 제어부(44b) 상의 표면에 대향하는 표면 상에 위치된다. 위치결정 리브(44e1)는 (도시되지 않은) 우측 내부 플레이트(40)의 위치결정 구멍 속으로 결합함으로써, 수직 방향에 대해서,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 상대적으로 고정 가이드(44)를 정확히 위치시킨다. 위치결정 리브(44e1)의 팁에는 고정 가이드(44)가 위치 내부 플레이트(4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갈고리(44e2)가 제공된다. 게다가, 고정 가이드(44)는 우측 내부 플레이트(40)에 고정된 고정 가이드(44)를 유지하기 위한 세 개의 고정 갈고리(44f) 및 고정 가이드(44)가 수평으로 활주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 가이드(44)가 우측 내부 플레이트(40)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유지하는 것을 확신하고, 적당한 모양을 유지하기 위한 돌기(44g)가 제공된다.
(이송 수단 프레임)
전사 롤러(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은 기록 매체가 이송되어 가로지르는 표면을 제공한 이송 수단 프레임(90)(도28)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송 수단 프레임(90)은 전사 롤러(4)의 축 방향에 대해서, 전사 롤러(4)의 좌단부 위에 인접한 위치결정부(90a)와 대기어(83)의 회전 가능한 축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가 제공된다. 위치결정부(90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작동을 실행 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보스(18a)를 유지한다. 이 위치결정부(90a)와 이후에 설명될 푸싱 아암(52)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측에 정확히 위치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함께 구성한다.
(푸싱 아암)
도14 및 도15를 참조하면, 좌측 내부 플레이트(40)는 위치결정부(90a)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보스(18a)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푸싱 아암(52)이 제공되고, 그 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개폐 덮개(15)의 닫기 운동으로 배열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메카니즘, 운동에 의해 이동된다.
푸싱 아암(52)은 좌측 내부 플레이트(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푸싱 아암(52)의 회전축(52a)은 좌측 내부 플레이트(40)의 구멍(40g)에서 회전 가능하게 맞물린다. 게다가, 푸싱 아암(52)은 좌측 내부 플레이트(40)의 팬형상 구멍(40h)을 통과하여 밀려진 탄성 가압부(52b)가 제공된다.
푸싱 아암(52)은 회전축(52a)의 기저부 주위에 끼워맞춤되는 나선형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53)과 함께 제공되고, 탄성 가압부(52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경로를 침범하는 것을 막기 위해 푸싱 아암(52)을 상향 가압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탄성 가압부(52b)의 팁은 푸싱 아암(52)을 진동시키기 위한 보스(52c)와 함께 제공되고, 캠 플레이트(50)의 제2 캠(50h)과 맞물린다. 게다가, 푸싱 아암(52)은 푸싱 아암(52)을 좌측 내부 플레이트(40)에 부착시키기 위해 탄성 가압부(52b)의 기저부와 회전축(52a)의 주위에 각각 위치한 갈고리(52d1, 52d2)와 함께 제공된다. 갈고리(52d1, 52d2)는 좌측 내부 플레이트(40)의 팬형상 구멍(40h)과 열쇠형상 구멍(40i)을 관통하고, 푸싱 아암(52)이 좌측 내부 플레이트(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한 고정 장치로서의 기능을 하는 열쇠형상 구멍(40i)과 팬형상 구멍(40h)의 후면측에 래치 결합된다.
게다가, 푸싱 아암(52)은 전술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이 배치되는 리세스(52e)와,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작용 아암(53b)이 제거되는 것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리브(52f)와, 좌측 내부 플레이트(40)의 스프링 앵커부(40j)에 의해 지지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고정 아암(53c)이 고정된 후에 회전 범위 내에서 나선형 코일 스프링(53)이 거의 완전하게 덮여진 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크기인 보호 리브(52g)와, 스프링 앵커부(40j)에 부착되기 전에 푸싱 아암(52)에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고정 아암(53c)을 임시로 보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임시 보유 리브(52h)를 구비한다. 이들은 회전축(52a)의 기저부 근처에 있다.
(연동 스위치)
도14 및 도15에서, 좌측 내부 플레이트(40)는 플레이트(40)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는 연동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는 개폐 덮개(15)의 폐쇄 최종 단부에서 회로 기판 상에 제공된 (도58의) 마이크로 스위치(91)를 가압한다. 연동 스위치(54)가 마이크로 스위치(91)를 가압함에 따라, 전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다양한 부품들을 통해 유동하여 화상 형성 작동을 준비한다.
연동 스위치(54)는 주축의 기능을 하는 회전축(54a)과, 마이크로 스위치(91)를 가압하는 레버(54b)와, 캠 플레이트(50)의 접촉면(50i)상에서 가압됨에 따라 탄성 굴곡되는 탄성부(54c)와, 연동 스위치(54)를 내부 플레이트(40)에 부착하기 위한 갈고리(54d)를 포함한다. 좌측 내부 플레이트(40)는 회전축(54a)에 상응하는 위치의 구멍(40k)과, 레버(54b)의 작동 범위 밖에 위치한 구멍(40l)을 갖는다.
(조립 방법)
다음에, 전술한 다양한 구성 요소들의 조립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도5, 도7 및 도15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동 가이드(41)는 다음 방식으로 내부 플레이트(40)에 부착된다. 우선, 제2 보스(41c)의 팁에 위치한 갈고리(41c1, 41c2)가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원호부(40b1)에 정렬되고 원호부(40b1)를 관통한다. 그 다음에, 이동 가이드(41)는 회전한다. 갈고리(40c1, 40c2)는 이동 가이드(41)가 회전함에 따라, 제2 가이드 레일(40b)의 리브를 래치 결합하여, 제2 보스(41c)가 내부 플레이트(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는다. 그 다음에, 이동 가이드(41)의 제1 보스(41b)는 제1 가이드 레일(40a)을 관통한다. 다음에, 이동 가이드(41)는 제1 가이드 레일(40a)의 경사부(40a2)쪽으로 이동되고, 분리 방지 장치로서의 가이드 스토퍼(46)는 제1 보스(41b)의 관통 구멍(41b2) 내에서 끼워맞춤된다.
도5를 참조하면, 가이드 스토퍼(46)는 가이드 스토퍼(46)의 중심에 위치되고 관통 구멍(41b2)에 끼워맞춤되는 원통형부(46a1)와, 또한 가이드 스토퍼(46)의 중심에 위치되고 원통형부(46a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축부(46a2)와, 축부(46a2)의 삽입체로 원통형부(46a1)에 연결되는 저부(46b)를 포함한다. 가이드 스토퍼(46)는 또한 저부(46b)의 세로 단부로부터 일 대 일로 수직으로 돌출된 한 쌍의 측벽을 또한 포함한다.
그러므로, 가이드 스토퍼(46)의 원통형부(46a1) 및 축부(46a2)는 관통 구멍(41b2) 내로 끼워맞춤되고, 스냅식 끼워맞춤 갈고리(41b1)는 원통형부(46a1) 및 축부(46a2) 사이의 단차부에 래치 결합되고, 한 쌍의 측벽(46c)은 버링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 레일(40a)의 리브 외향 측면에서 내부 플레이트(40)와 접촉하도록 결합된다. 이동 가이드(41)의 제1 보스(41b)가 가이드 레일(40a)의 경사부(40a2)를 통해 끼워맞춤될 때, 제1 보스(41b)의 원주형 방향에 대한 스냅식 끼워맞춤 갈고리(41b1)의 위치가 경사부(40a2)가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제1 보스(41b)가 구성된다. 그러므로, 스냅식 끼워맞춤 갈고리(41b1)의 존재는 조립 효율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전술한 구조의 장치의 제공으로, 이동 가이드(41)가 좌측 또는 우측 내부 플레이트의 내향측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이러한 힘을 받기 쉽더라도, 스냅식 끼워맞춤 갈고리(41b1)는 가이드 스토퍼(46)의 원통형부(46a1)와 래치 결합하여 유지되고, 한 쌍의 측벽은 내부 플레이트(40)와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어 이동 가이드(41)가 내부 플레이트(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는다.
가이드 스토퍼(46)의 각각의 측벽(46c)은 버링에 의해 형성된 제1 가이드(40a)의 리브보다 실질적으로 크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제1 가이드 레일(40a)이 버링에 의해 형성될 때 제1 가이드 레일(40a)의 리브 상에 남아있는 발열과 접촉하여 나타나는 가이드 스토퍼(46)의 저부(46b)가 깎여 나가는 것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동 가이드(41)를 내부 플레이트(40)에 부착한 후에, 도8 등에 도시된 캠 플레이트(50)가 부착된다.
제2 보스(41c)가 가이드 레일(40b) 직선부(40b2)의 저부 단부와 접촉하는 위치에 이동 가이드(41)가 있을 때, 제2 보스(41c)의 갈고리(41c1, 41c2)의 방향은 구멍(40c)과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축선에 정렬하여 연장된다.
그러므로, 캠 플레이트(50)의 조립 용이 구멍(50b3)은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와 정렬되고, 회전축(50a)은 구멍(40c) 내로 삽입된다. 회전축(50a)이 구멍(40c) 내로 삽입되고, 캠 플레이트(50)가 내부 플레이트(40)와 접촉함에 따라, 조립 용이 구멍(50b3)이 제2 보스(41c)와 정렬되도록 조립 용이 구멍(50b3)이 위치되기 때문에, 조립 용이 갈고리(50e)는 원호 구멍(40d)의 조립 용이부(40d1)와 정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캠 플레이트(50)는 개폐 덮개(15)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캠 플레이트(50)가 회전됨에 따라, 임시 보유 리브(50c)는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 갈고리(41c1)의 후면측을 통과하고, 갈고리(41c1, 41c2)는 캠 구멍(50b)의 에지와 접촉하고, 조립 용이 갈고리(50e)는 원호 구멍(40d)의 에지에서 보유된다. 그 결과, 캠 플레이트는 내부 플레이트(40)에 적절하게 고정된다.
제조 오차에 기인하는 구성 요소 크기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갭이 임시 보유 리브(50c)의 표면과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의 상부에 위치한 갈고리(41c1, 41c2) 사이에 제공되고, 임시 보유 리브(50c)의 높이는 이러한 간격보다 약간 크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임시 보유 리브(50c)는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의 갈고리(41c1)에 의해 포획되어, 캠 플레이트(50)의 조립 용이 구멍(50b3)이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와 정렬되도록 충분히 회전하는 것을 막는다. 그러므로, 보스(41c)는 캠 플레이트(50)의 조립 용이 구멍(50b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우측 캠 플레이트(5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우측 내부 플레이트(40)에 부착된다. 우선, 스러스터 로드(55)는 커플링 캠(85)에 연결되고, 스러스터 로드(55)의 긴 구멍(55b)은 제2 보스(50g)의 갈고리(50g1, 50g2)와 정렬된다. 그 다음에, 우측 캠 플레이트(50)는 우측 내부 플레이트(40)에 부착된다. 그 후, 스러스터 로드(55)는 긴 구멍(55b)이 갈고리(50g1, 50g2)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되도록 회전된다. 그 다음에, 커플링 캠(85)은 캠 플레이트(50), 커플링 캠(85) 및 스러스터 로드(55)를 포함하는 4개의 조인트 연동 장치를 완성하도록 내측 베어링(84)의 원통부(84b) 주위에서 끼워맞춤된다.
그 다음에, 캠 플레이트(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가이드(41)와 캠 플레이트(50)를 내부 플레이트(40)에 부착하는 공정을 완성하도록 회전된다.
도13을 참조하면,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이 고정 가이드(44)의 리세스(44d)에 위치된 후에, 위치결정 리브(44e1) 및 고정 가이드(44)의 고정 갈고리(44f)가 (도시되지 않은) 위치결정 구멍 및 우측 내부 플레이트(40)의 (도시되지 않은) 연결 구멍과 정렬되고 이에 끼워맞춤된다. 그 다음에, 고정 가이드(44)는 활주된다. 고정 가이드(44)가 활주됨에 따라, 위치결정 리브(44e1)의 갈고리(44e2)와 고정 갈고리(44f)는 그의 후방 표면에 의해 위치결정 구멍과 연결 구멍의 에지에 래치 결합된다. 게다가, 활주 조절 돌기(44g)는 고정 가이드(44)가 활주하는 방향에 따라 내부 플레이트(40)에 대해 고정 가이드(44)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상응하는 연결 구멍 내에 끼워맞춤된다.
도14 및 도15를 참조하면, 푸싱 아암(52)이 좌측 내부 플레이트(40)에 부착되기 전에,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은 푸싱 아암(52)에 부착된다.
특히,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코일부(53a)는 회전축(52a) 주위에 끼워맞춤되고, 작용 아암(53b)은 리브(52f) 하에서 설정된다. 그 다음에, 고정 아암(53c)은 보호 리브(52g)의 후면측에 있는 임시 고정 아암 레스트(52h)에 놓여진다.
푸싱 아암(52)은 탄성 가압부(52b)가 대경부(40h1), 즉, 팬형상 구멍(40h)의 저부 단부에 정렬될 때, 갈고리(52d2)가 열쇠형상 구멍(40i)의 대경부(40i1)에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푸싱 아암(52)이 전술한 상태에 있을 때, 좌측 내부 플레이트(40)의 스프링 앵커부(40j)는 보호 리브(52g) 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푸싱 아암(52)이 전술한 상태 하에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고정 아암(53c)은 그의 팁을 보유함으로써 임시 고정 아암 레스트(52h)에서 스프링 앵커부(40j)로 이동된다. 그 결과,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 내에 저장된 탄성력이 해제되고, 푸싱 아암(52)을 상향 피봇시켜서 탄성 가압부(52b)의 기저부에 위치한 갈고리(52d1)와 회전축(52a)에 인접하여 위치한 갈고리(52d2)가 팬형상 구멍(40h)과 열쇠형상 구멍(40i)의 에지에 각각 래치 결합하여, 푸싱 아암(52)을 부착하는 공정이 완료된다.
이러한 공정 중에, 푸싱 아암(52)이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에 의해 상향 회전됨으로써, 맞닿음부(52b3), 즉 탄성 가압부(52b)의 팁부가 팬형상 구멍(40h)의 상단부(40h2)와 접촉하여 탄성 가압부(52b)의 기저부에 위치한 견인면(52b2)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경로 위의 상향으로 탈출하도록 허용하고, 그 다음에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푸싱 아암(52)이 준비 상태로 진입함에 따라,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고정 아암(53c)이 푸싱 아암(52)의 보호 리브(52g)뒤에 숨겨지는 위치로 이동한다.
다양한 구성요소가 좌측 및 우측 내부 플레이트(40)에 부착된 후에, 예컨대 급송 수단(3), 전사 롤러(4), 정착 수단(5) 등이 부착되는 이송 수단 프레임(90) 유닛과 광학 시스템(1) 유닛 등과 같은 다양한 유닛은 좌측 및 우측 내부 플레이트(40)에 부착된다. 그 다음에, 개폐 덮개(15)를 포함하는 외부 트림과 쉘은 화상 형성 장치를 완성하기 위해 부착된다.
전술한 조립의 마지막 단계 동안에, 좌측 내부 플레이트(40)의 팬형상 구멍(40h)의 대경부는 푸싱 아암(52)이 화상 형성 장치가 완전하게 조립된 후에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송 수단 프레임(90)의 위치결정부(90a)에 의해 메워진다.
개폐 덮개(15)를 부착하기 위해, 개폐 덮개(15)의 각각의 힌지(15b)의 중심 보스(15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으로 힌지(15b)가 탄성 변형되는 것에 의해 전방 가이드(43)의 상응하는 지지 구멍(43a) 내로 끼워진다. 전방 가이드(43)는 좌측 및 우측 내부 플레이트(40)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캠 플레이트(50)와 개폐 덮개(15)에 플레이트(51)를 연결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27을 참조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15)와 캠 플레이트(50)의 개폐 덮개(15)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은 캠 플레이트(50)와 개폐 덮개(15)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 보스(50d)와 연결 구멍(15c)을 노출시킨다. 연결 보스(50d)의 갈고리(50d1)는 캠 플레이트(50)의 반경 방향에 따라 외향으로 지시된다. 연결 플레이트(51)의 구멍(51a)의 리세스(51a1)는 축(51b)쪽으로 연장된다. 그러므로, 연결 플레이트(51)가 캠 플레이트(50)의 반경 방향에 따라 외향으로 지시함에 따라, 갈고리(50d1)와 리세스(51a1)는 서로 결합한다. 그 결과, 연결플레이트(51)는 캠 플레이트(50)에 부착된다.
그 다음에, 축(51b)은 연결 플레이트(51)의 회전에 의해 연결 구멍(15c)을 관통한다. 축(51b)이 연결 구멍(15c)을 관통함에 따라, 스냅식 끼워맞춤 갈고리(51b1)는 축(51b)이 분리되는 것을 막도록 연결 구멍(15c)의 에지를 래치 결합한다.
그 결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4)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 개폐 덮개(15)와 캠 플레이트(50)는 연결 플레이트(51)에 의해 연결된 4개의 조인트 연동 장치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의 장치의 제공으로, 연동 메커니즘은 개폐 덮개(15)를 폐쇄하기 위한 공정의 전반부와 개폐 덮개(15)를 개방하기 위한 공정의 후반부 동안에 이동 가이드(41)가 캠 플레이트(50)에 의해 이동되는 메커니즘으로 된다.
(장치 본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다음에, 도16 내지 도25를 참조하면, 공정은 조작자에 의해 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하거나, 또는 이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분리하도록 수행되고, 화상 형성 장치(A)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메커니즘을 장비하는 것이 설명될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A)가 완전히 개방됨에 따라(완전 개방 상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 또는 착탈되는 개구(W)가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 가이드(41)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따라 대각선 하향으로 기울어진다. 상류측에는, 좌측 및 우측 내부 플레이트(40)에 일 대 일 대칭으로 고정된 좌측 및 우측의 보조 가이드(42)가 있다.
도17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보조 가이드(42)는 이동 가이드(41)의 후단부와 연결되는 착탈식 조력부(42a)와, 이동 가이드(41)의 상부면(41a6)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며 동일 평면상에 있는 표면을 가지는 상단 규제부(42b)를 가진다.
착탈식 조력부(42a)에는 가이드 면(41a2)과 인접해 있는 전방 가이드 면(42a1), 전방 가이드 면(42a1)과 인접해 있고 전방 가이드 면(42a1)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수평인 진입 가이드 면(42a2), 및 전방 가이드 면(42a1)과 진입 가이드 면(42a2)의 아래에 위치되고 이동 가이드(41)의 저면을 향해 연장되며 전방 가이드 면(42a1)보다 급격한 경사를 가지는 바닥 가이드 면(42a3)이 제공된다.
또한, 상단 규제부(42b)에는 이동 가이드(41)의 상부면(41a6)과 실질적으로 연속되고 동일 평면상에 있는 상단 규제면(42b1), 및 상단 규제면(42b1)과 인접해 있으며 실질적으로 바닥 가이드 면(42a3)과 평행이고, 상단 규제면(42b1)으로부터 사선으로 상향 연장된 상단 진입 가이드 면(42b2)이 제공된다.
전술한 전방 가이드(43)의 측면 가이드(43b)에는 실질적으로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면(41a2)에 평행하며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면(41a2)보다 약간 큰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43b1), 및 개폐 덮개(15)측상에 있고 경사면(43b1)과 인접해 있는 수평면(43b2)이 제공된다.
따라서, 개폐 덮개(15)가 개방될 때 드러나는 개구(W)를 통해 드러나는 좌우 각각의 내부 플레이트(40)의 내향 표면상에, 두 개의 가이드 홈, 즉, 상단 가이드(G1) 및 바닥 가이드(G2)가 있다. 상단 가이드(G1)는 진입 가이드 면(42a2) 및 상단 진입 가이드 면(42b2)의 형상 때문에 진입측이 더 넓고, 상단 규제부(42b), 보조 덮개(42)의 착탈식 조력부(42a), 및 이동 가이드(41)에 의해 형성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하향 연장된다. 바닥 가이드(G2)는 바닥 가이드 면(42a3) 및 수평면(43b2)의 형상 때문에 진입측이 더 넓고, 착탈식 조력부(42a), 이동 가이드(41) 및 측면 가이드(43b)에 의해 형성되며,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하향 연장된다.
도10을 참조하면, 개폐 덮개(15)의 중앙 보스(15a)는 개폐 덮개(15)의 바닥측상에 있다. 그러므로, 개폐 덮개(15)는 보강부(16)가 개구(W)를 향해 상향 대면하도록 하면서, 하향 개방된다. 보강부(16)의 각각의 돌기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하향 연장되는 느슨한 가이드 면(16a1)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카트리지 프레임(CF)의 양 측벽상에 하나씩 있으며 감광 드럼(7)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축선상에 있는 한 쌍의 위치결정 가이드(18a), 및 리브의 형태를 취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 또는 착탈되는 방향에 대해 연장된 한 쌍의 장착 가이드(18b)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또한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길이 방향 단부 근방의 하향으로 대면하는 표면상에 위치된 한 쌍의 돌기(10f3)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개구(W)를 통해 삽입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가이드(18b) 및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각각 개구(W)의 측벽상의 상단 및 바닥 가이드(G1 및 G2)와 함께 정렬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착 가이드(18b)가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홈(41a)의 최심부와 닿을 때까지 삽입된다. 이 프로세스 동안, 보강부(16)의 돌기(16a)는 개구(W)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를 소정 각도로 조절한다. 다시 말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가이드(18b) 및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각각 상단 및 바닥 가이드(G1 및 G2)로 더 쉽게 안내되도록 하는 러프 가이드(rough guide)로서의 기능을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느슨한 가이드 면(16a1)으로부터 개폐 덮개(15)측상의 진입 가이드 면(42a2)의 최고 지점까지의 거리(h1)와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하향으로 대면하는 표면으로부터 장착 가이드(18b)의 저면(18b1)과 선단부(18b2) 사이의 교차점까지의 거리(h2)가 이하의 부등식을 만족하게 설정되도록 구조적 배열이 이루어진다.
h1 < h2
또한, 개폐 덮개측상의 진입 가이드 면의 최고 지점으로부터 측면 가이드(43b)의 수평면의 더 높은 지점까지의 거리(h3)와 장착 가이드(18b)의 저면(18b1)과 선단부(18b2) 사이의 교차점으로부터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저면까지의 거리(h4)가 이하의 부등식을 만족하게 설정되도록 또 다른 구조적 배열이 이루어진다.
h3 > h4
이러한 구조적 배열의 제공으로,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바닥 벽이 느슨한 가이드 면(16a1), 즉, 돌기(16a)의 상부면을 따르게 하는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면서,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가이드(18b) 및 위치결정 가이드(18a)가 상단 및 바닥 가이드(G1 및 G2)의 입구로 자연스럽게 각각 안내된다. 이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14) 내에 장착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14) 내로 삽입되기 시작하는 위치,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작동자에 의해 들여 올려질 수 있는 위치이다.
도19를 참조하면, 장착 가이드(18b)가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면 위로 활주하기 시작할 때까지, 돌기(16a)는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후단부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홈(41a)의 내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자중에 의해 보다 쉽게 이동되게 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대해 하향으로 기울어진 채로 있게 한다.
돌기(16a)가 보강부(16)의 길이 방향 단부의 근방에 위치하고 중앙부가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이유는, 장착이나 착탈시, 또는 종이 걸림을 처리할 때 사용자가 쉽게 손을 넣기에 충분히 넓은 간격으로 고정하기 위해서이다. 다시 말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을 위한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 및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간격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을 동시에 만족하기 위해, 개폐 덮개(15)가 개방될 때 노출되는 개구(W)를 만들기 위한 구조가 만들어진다.
이제, 도22를 참조하여, 돌기(16a)와 프로세스 카트리지(B) 사이의, 개구(W)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으로의 관계가 기술될 것이다.
보강부(16)의 두 개의 돌기(16a)의 외향측 사이의 간격이 L1, 좌측 돌기의 외향 표면과 좌측 보조 가이드의 내향 표면 사이의 간격이 L2, 우측 돌기의 외향 표면과 우측 보조 가이드의 내향 표면 사이의 간격이 L3,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두 개의 돌기(10f3)의 내향측 사이의 간격이l1, 좌측 돌기의 내향 표면과 카트리지 프레임(CF)의 좌측벽 사이의 간격이l2, 및 우측 돌기의 내향 표면과 카트리지 프레임(CF)의 측벽 사이의 간격이l3일 때, 이하의 관계식이 만족된다.
(1) L1 <l1
(2) L2 ≒l2 + (l1-L1)/2 + ((L1+L2+L3)-(l1+l2+l3))/2
(3) L3 ≒l3 + (l1-L1)/2 + ((L1+L2+L3)-(l1+l2+l3))/2
따라서, 부등식 1이 만족되면, 보강부(16)의 길이 방향 단부의 근방에 위치된 한 쌍의 돌기(16a)가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바닥벽상의 돌기(10f3) 사이에 끼워지고, 근사식 2 및 3으로부터, 돌기(10f3)를 돌기(16a)와 느슨하게 정렬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개구(W)와 정렬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 가이드(G1)의 저면인 전방 가이드 면 및 가이드 면(41a2)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하향으로 기울어지고, 장착 가이드(18b)의 후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무게 중심에 해당하는 지점을 지나서 연장된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가이드(18b) 및 위치결정 가이드(18a)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보강부(16) 돌기(16a)의 사용으로 상단 및 바닥 가이드(G1 및 G2)로 안내될 때, 자중에 의해 이동 가이드(41)의 내부로 자동적으로 안내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하향으로 기울어진다.
도19를 참조로 하여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면 가이드(43b)의 경사면(43b1), 즉, 바닥 가이드(G2)의 저면은 가이드 면(41a2) 보다 약간 큰 경사를 가진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더 깊이 삽입됨에 따라,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측면 가이드(43b)의 경사면(43b1)을 떠난다. 이러한 이유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개구(W)를 통해 삽입되면서 장착 가이드(18b)가 이동 가이드(41)에 의해 포획되도록 구조화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면(41a2)에 의해 포획된 이후에 더 깊이 삽입되면서, 장착 가이드의 선단부(18b2)는 이동 가이드(41)의 경사진 상부면(41a7)와 접촉하게 된다(도20). 장착 가이드(18b)의 선단부(18b2)는 매끄럽고 원호형이며, 경사진 상부면(41a7)의 바닥측은 가이드 면(41a2) 보다 낮은 보유면(41a1)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가이드 홈(41a)의 내향으로 삽입되면서, 경사진 상부면(41a7)의 기능으로 인해, 그 경사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자세가 변화한다. 따라서,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이드(41) 내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이 종료되면서, 장착 가이드(18b)의 선단부(18b2)가 보유면(41a1)의 최심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점에 입각한 기술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작동자에 의해 이동 가이드(41) 내로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사선 하향으로 장치 본체에 삽입된다.
도20 및 도21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자세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경사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때, 전방 가이드(43)의 접촉 리브(43c)의 단부가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저면(10f4)과 접촉하게 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접촉 리브(43c)와 저면(10f4)이 서로 접촉 상태를 유지한 채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하향으로 기울어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 가이드(41) 내로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저면과 접촉 리브(43c) 사이의 접촉점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무게 중심에 대해 후단측상에 있게 될 수 있도록 구조화된다. 그러므로, 이동 가이드(41)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 삽입이 완료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측,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후단측이 되는 측이 상승되는 자세를 취한다. 따라서,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W)를 통해 삽입된 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장착 가이드(18b)의 선단부(18b2)의 바닥측이 가이드 홈(41a)의 보유면(41a1)의 보다 깊은 단부에 의해 지지되고,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저면(10f4)은 전방 가이드(43)의 접촉 리브(43c)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이유로, 장착 가이드(18b)의 후단부의 바닥 모서리부(18b3)가 상승된다. 장착 가이드(18b)의 후단부의 바닥 모서리부(18b3)가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면(41a2)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접촉 리브(43c)가 구조화된다.
이제, 가이드 면(41a2)의 경사에 대해 기술될 것이다.
만약 가이드 면(41a2)의 경사가 너무 완만하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자중에 의해 이동 가이드(41) 내부로 가이드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고, 그러므로, 사용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안으로 밀어야만 한다. 반면에, 가이드 면(41a2)의 경사가 너무 급격하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삽입하는 동안에 사용자가 이를 놓자마자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너무 빨리 장치 본체 내로 미끄러져 내려간다. 결과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동 가이드(41)의 최심단부에 도달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 및/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4)에 손상을 주기에 충분한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 면(41a2)의 경사는 수평면에 대해 15 내지 50 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면(41a2)의 경사는 수평 방향에 대해 약 26 도로 설정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가이드 홈(41a)의 가이드 면(41a2)이 보조 가이드(42)의 전방 가이드 면(42a1)과 접촉하는 지점(제1 위치)으로부터 이동 가이드(41) 내로 삽입된다. 이동 가이드(4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하향으로 기울어진 자세(제1 자세),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동 가이드(41) 내로 장착되는 지점, 즉, 가이드 면(41a2)이 전방 가이드 면(42a1)과 인접한 지점보다 위에 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가이드 홈(41a) 내로 장착되는 방향(X)이 기록 매체(2)가 급송 수단(3)에 의해 이송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자세를 취한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로 인한 것이다. 즉, 도27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는 개폐 덮개(15)가 완전 개방될 때,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가 캠 구멍(50b)의 직선부(홈 구멍)(50b1)의 단부에 있고, 제1 보스(41b)는 개폐 덮개(15)측상의 제1 가이드 레일(40a)의 단부에 있도록 구조화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이동 가이드(41)는 그 이동이 개폐 덮개(15)의 개방 또는 폐쇄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 가이드(41)는 이동 가이드(41)의 후단부(덮개측 상의 단부)가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로 안내하여,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홈(41a)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가이드(18b)를 결합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동 가이드(41)의 후단부와 접촉하는 착탈식 보조부(42a)를 갖는 보조 가이드(42)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에 관하여 이동 가이드(41)의 상류측 상에 내부 가이드(40)에 고정되어 제공된다. 위에서 설명된 문제점은 이러한 보조 가이드(42)에 의해 해결되며, 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가이드(18b)가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홈(41a)에 안내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동 가이드(41) 내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서, 그 이동이 개폐 덮개(15)의 개방 또는 폐쇄 이동에 연동된다. 따라서, 개폐 덮개(15)가 부분적으로 폐쇄되었을 때, 이동 가이드(41)는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로 이동되고, 따라서 보조 가이드(42)의 착탈 보조부(42a)와 이동 가이드(41) 사이에 간극이 생성된다. 따라서, 개폐 덮개(15)가 약간 폐쇄되었을 때, 위에서 설명된 간극은 장착 가이드(18b)가 착탈 보조부(42a)로부터 이동 가이드(41)까지 용이하게 활주하기에 충분히 작다. 그러나, 이러한 간극은 소정의 범위로 넓어지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가이드(18b)가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홈(41a) 내로 결합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간극이 더욱 넓어지면 장착 가이드(18b)가 이러한 간극을 관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다른 공간 내로 미끄러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개폐 덮개(15)가 부분적으로 폐쇄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16)가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개폐 덮개(15)가 상당한 각도로 폐쇄되었을 때, 보강부(16)의 돌기(16a)는 상단 규제부(42b)에 더욱 인접하게 되어,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6a)와 상단 규제부(42b) 사이의 공간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기에 너무 작게 만든다. 도24를 참조하면, 개폐 덮개(15)가 부분적으로 폐쇄되었지만 여전히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 가능할 때, 돌기(16)는 개폐 덮개(15)의 회전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되거나 착탈되는 정상 경로 내로 밀어 넣어지고, 또한 수평 방향에 대한 보강부(16)의 느슨한 가이드 면(16a1)의 경사가 증가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정상 각도보다 가파른 각도로 삽입되지 않는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개폐 덮개(15)가 부분적으로 폐쇄되었을 때,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면(41a2)이 보조 덮개(42)의 정면 가이드 면(42a2)에 접촉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돌기(16a)의 느슨한 가이드 면(16a1)을 따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저면이 되는 방식으로 정상 각도보다 가파른 각도로 장치 본체 내로 삽입되면, 장착 가이드(18b)의 선단부(18b2)는 이동 가이드(41)의 후단부(41e)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에,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측면 가이드(43b)의 경사면(43b1)에 접촉하고,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저면은 보강부(16)의 돌기(16a)에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이러한 방식으로 조절된다.
개폐 덮개(15)가 3(6)개의 접점을 갖는 위치로부터 더욱 폐쇄될 때, 즉 장착 가이드(18b)의 선단부(18b2)가 이동 가이드(41)의 후단부(41e)와 접촉될 때,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측면 가이드(43b)의 경사면(43b1)과 접촉하고,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저면은 돌기(16a)와 접촉하며, 이동 가이드(41)는 화상 형성 장치 내부로 이동하고, 보강부(16)의 돌기(16a)는 상향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일으킨다. 따라서, 장착 가이드(18b)의 상부면 후단부가 장착 가이드(18b)의 직교면(18b5)에 접촉하는 장착 가이드(18b)의 모퉁이는 보조 가이드(42)의 상부 가이드 면(42b2)에 접촉하여 개폐 덮개(15)가 더욱 인접하는 것을 방지한다(도25 참조). 다시 말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 내로 삽입되어 그것의 개폐 덮개(15)는 부분적으로 폐쇄되고, 개폐 덮개(15)가 폐쇄될 수 없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 내에 부적절하게 장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 내에 삽입되어 그것의 개폐 덮개(15)는 부분적으로 폐쇄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동 불가능하여 개방 방향으로 개폐 덮개(15)를 회전시킴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에서 뽑힐 수 있다. 특히, 개폐 덮개(15)가 개방 방향으로 회전될 때, 이동 가이드(41)는 개구(W)를 향하여 이동하고 장착 가이드(18b)의 선단부(18b2)를 밀어내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외부로 가압한다. 그 후에, 개폐 덮개(15)가 더 개방될 때,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면(41a1)과 보조 가이드(42)의 전방 가이드 면(42a1) 사이의 전술된 간극이 더 작아지고, 가이드 홈(41a)에 놓여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할 준비가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상세한 설명)
(개폐 덮개 이동에 연동된 이동 가이드의 이동)
다음에, 도26 내지 49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놓였을 때 이동 가이드(41)가 개폐 덮개(15)의 폐쇄 이동의 전반부 중에 이동하는 방식이 설명될 것이다. 도26, 도27 및 도28은 이동 가이드(41)의 이동 시간에 대해 동일하고, 도29, 도30 및 도31; 도32, 도33 및 도34; 도35, 도36 및 도37; 도38, 도39 및 도40; 도41, 도42 및 도43; 도44, 도45 및 도46; 도47, 도48 및 도49도 그러하다. 도26, 도29, 도32, 도35, 도38, 도41, 도44 및 도47은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면에서 관측될 때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27, 도30, 도33, 도36, 도39, 도42, 도45 및 도48은 화상 형성 장치의 외부에서 관측될 때 우측 내부 플레이트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28, 도31, 도34, 도37, 도40, 도43, 도46 및 도49는 화상 형성 장치의 외부에서 관측될 때 좌측 내부 플레이트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을 도시한다.
개폐 덮개(15)가 중심 보스(15a)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폐쇄될 때, 캠 플레이트(50)는 연결 플레이트(51)에 의해 개폐 덮개(15)에 연결되고, 도28 내지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조인트 연동기의 종동부를 구성하여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는 제2 안내 레일(40b)의 제1 원호부(40b1)을 따라 캠 플레이트(50)의 캠 구멍(50b)의 직선부(직선형 홈 구멍)의 상부 단부에 의해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원호부(40b1)의 곡률 중심은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축(50a)에 일치하고, 제1 원호부(40b1)의 반경은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축(50a)으로부터 캠 플레이트(50)의 캠 구멍(50b)의 직선부(직선형 홈 구멍)의 상부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짧다. 따라서,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는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제1 원호부(40b1) 및 캠 구멍(50b)의 직선부(50b2; 직선형 홈 구멍)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유지되어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이동 가이드(41)의 제1 보스(41b)도 제1 안내 레일(40a)의 수평부(40a1)를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된 방향(X)에 대해 내부로 이동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홈(41a)의 더 깊은 단부에 연결된 장착 가이드(18b)를 갖고 장치 본체 내에 있으며,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저면은 전방 가이드(43)의 접촉 리브(43c)에 접촉한다(도21 참조).
이동 가이드(41)가 화상 형성 장치의 더 깊은 내부로 이동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이동 가이드(41)를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저면(10f4)은 접촉 리브(43c)로부터 분리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이동 가이드(41)의 보유면(41a1)과 장착 가이드(18b)의 저면에 의해 지지되기 시작한다(도29 참조).
이동 가이드(41)는 보유면(41a1)에 의해 장착 가이드(18b)를 지지하고, 도29 내지 도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그 방식이 변화하는 동안에 내부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 가이드(41)의 이동 중에, 감광 드럼(7)이 실제로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시계 방향으로 그 방식이 변화하는 동안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이송된다. 이동 가이드(41)가 그 방식이 변화하는 동안 이동할 때, 측벽(46c)의 내부면이 버링으로 형성된 제1 안내 레일(40a) 리브의 외측에 접촉하여 유지되면서, 회전하는 동안 제1 보스(41b) 주위에 끼워맞춤된 안내 스토퍼(46)는 이동 가이드(41)를 따른다.
구동 수단이 위치된 우측 상에, 전술된 커플링 수단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구동력 수용부가 장치 본체의 구동력 전송장치 기구에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유지하기 위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이 배치된다. 그 탄성에 의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위치에서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러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은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 상에 가압된 위치결정 가이드(18a)를 유지하여, 전사 롤러(4)가 감광 드럼(7) 상에 가압하여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4s)에 의해 생성된 압력과 커플링부에 의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구동력 수용부는 장치 본체의 대응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덮개(15)가 더 폐쇄될 때, 도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수평이 되는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상 장치 본체(14)의 더 내부에 위치된 화상 형성 위치로 더욱 인접하게 이동한다. 장치의 우측면 상에서,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주연면은 화상 형성 위치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 경로의 상류측으로 밀어 넣어지는 그러한 방식으로 고정 가이드(44)의 리세스(44d) 내에 배치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작용 아암(45c)의 접촉부(45c1)와 접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가이드(41)의 보유면(41a1)의 길이는 장착 가이드(18b) 저면(18b1)의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개폐 덮개(15)가 전술된 위치에서 더 인접될 때, 도38에 도시된 것처럼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탄성에 의해 더 내부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홈 내의 장착 가이드(18b) 및 후단 측면 상의 장착 가이드(18b)의 바닥 모서리부(18b3)는 가이드 홈(41a)의 수직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 후에, 개폐 덮개(15)가 더 폐쇄될 때, 장착 가이드(18b)의 후단부의 바닥 모서리부(18b3)는 가이드 홈(41a)의 수직면(41a3)에 의해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작용 아암(45c)은 상향 만곡되어,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 에 대항하여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경로 외부로 가압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 내로 더 밀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도41 참조).
그리고 나서, 위치결정 가이드(18a)가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만곡부(45c2)를 통과한 직후에,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잠재된 탄성은 위치결정 가이드(18a)를 내측 베어링(84)의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 내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위치결정 가이드(18a) 상에 작용한다.
도44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은 작용 아암(45c)의 밴드부(45c2)에 의해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주연면에 접촉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 또는 착탈하는 동안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주연면이 밴드부(45c2)를 지날 때 이 밴드부(45c2)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밴드부(45c2)의 곡률 반경은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대략 3 mm 내지 4 mm).
또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작용 아암(45c)이 위치결정 가이드(18a)에 의해 상향으로 만곡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에 대한 작용 아암(45c)이 의도된 위치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 가이드(44)의 리세스(44d)는 만곡부(46c2) 후방의 작용 아암(45c)의 부분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에 대해 작용 아암(45c)의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 갈고리(44d3) 및 조절 리브(44d4)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의 설비와 함께, 작용 아암(45c)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 위치로 조절되는 리세스(44d), 조절 갈고리(4d3) 및 조절 리브(44d4)의 저면에 의해 한정된 간극 내에서 변형한다.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작용 아암(45c)은 소정의 압력(대략 0.98N 내지 4.9N)의 인가와 함께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 상에 가압된 위치결정 보스(18a)를 유지한다.
위치결정 가이드(18a)가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이 변형하는 동안 지나는 지점 근처에서, 이동 가이드(41)의 제1 보스(41b)는 제1 가이드 레일(40a)의 수평부(40a1)에서부터 제1 가이드 레일(40a)의 경사부(40a2)까지 이동한다(도38 내지 도44).
제1 보스(41b)가 제1 가이드 레일(40a)의 수평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감광 드럼(7)은 거의 수평적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제1 보스(41b)가 제1 가이드 레일(40a)의 경사부(40a2)로 전달됨에 따라, 감광 드럼(7)은 통로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서 대각선 하향으로 지시하는 통로의 Dr부(도44 참조)로 이동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7)은 전사 롤러(4)를 향해 이동된다.
상술된 구조의 배치의 설비와 함께, 전사 롤러(4)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장치 본체의 내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인가된 이러한 힘 성분은 감광 드럼(7)이 전사 롤러(4)와 접촉하여 전사 롤러(4)를 하방으로 가압하기 시작한 후 전사 롤러(4) 스프링(4s)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Tr)(도44 참조)과 감광 드럼(7)의 경로 방향 사이의 각을 증가시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기재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서 볼 때, 전방 단부가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안내 레일(40a)을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은 개폐 덮개(15)의 회전에 연결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에 의해 전사 롤러를 효율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감광 드럼(7)이 전사 롤러(4)를 가압할 때,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홈(41a)과 장착 가이드(18b) 사이의 관계가 설명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개폐 덮개(15)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동안, 장착 가이드(18b)는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홈(41a)의 보유면(41a1)에 의해 지지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러한 이동 중,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기 접촉부(92) 뿐만 아니라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에 의해 발생되는 힘(저항)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인가되고, 이동 가이드(41)의 수직면(41a3)이 장착 가이드(18b)의 후단부의 바닥 모서리부(18b3)와 접촉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이동시킨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송 단부를 향해 감광 드럼(7)은 전사 롤러(4)와 접촉하여 스프링(4s)에 대해 전사 롤러(4)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스프링(4s)이 전사 롤러(4)에 인가하는 압력은 이동 가이드(41)의 보유면(41a1)으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가이드(18b)의 좌측 방향으로 감광 드럼(7)에 작용한다. 이러한 압력이 인가되어, 장착 가이드(18b)가 보유면(41a1)과 가이드 면(41a2) 사이의 단차부를 넘어가는 경향이 있다. 장착 가이드(18b)가 보유면(41a1)과 가이드 면(41a2) 사이의 단차부를 넘어간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저항 하중에 대해, 이동 가이드(41)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이 가능한 위치로 보내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도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홈(41a)은 보유면(41a1)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보유면(41a1)과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41a3)과, 수직면(41a3)의 상단부로부터 대각선 상방으로 연장되고 가이드 면(41a2)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가이드 면(41a2)에 접촉하는 경사부(41a4)가 제공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내향 전사 중,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과 전기 접촉부(92)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저항 받기 때문에, 이동 가이드(41)의 수직면(41a3)은 장착 가이드(18b)의 후단부의 바닥 모서리부(18b3)와 접촉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이동시킨다. 그 후, 감광 드럼(7)은 이동 가이드(41)의 수직면(41a3)에 의해 유발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에 의해 전사 롤러(4)와 접촉하고, 감광 드럼(7)에 의해 전사 롤러(4)에 인가되는 힘에 반응하는 힘이 가해진다. 그 결과, 장착 가이드(18b)는 가이드 홈(41a)의 단차부를 넘어가게 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장착 가이드(18b)의 후단부의 바닥 모서리부(18b3)에 접촉하고 저면(18b1)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는 장착 가이드(18b)의 경사면부(18b4)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41a3)의 상단부로부터 다각선 상방으로 연장된 경사부(41a4)와 접촉한다. 따라서, 장착 가이드(18b)가 가이드 홈(41a)의 단차부를 넘어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경사부(41a4)가 경사면부(18b4)를 포획한다. 이것은 이동 가이드(41)가 스프링(4s)에 의해 전사 롤러(4)에 인가된 힘에 대해 내측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가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개폐 덮개(15)의 회전에 연결된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송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송에 관한 상술된 설명에서, 우측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에 의해 포획/보유부(84a)를 가압한다.
그러나, 상기 장치의 좌측부에서는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경로로 압입하는 탄성 가압 수단이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소정량의 유극이 이동 가이드(41)의 보유면(41a1)과 장착 가이드(18b)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좌측 위치결정 가이드(18a)가 이송 수단 프레임(90)의 위치결정부(90a)에 근접한 후에도 좌측 위치결정 가이드는 전사 롤러(4)와 감광 드럼(7) 사이의 접촉압과 다양한 전기 접촉부에 의해 발생되는 접촉압으로 인해 위치결정부(90a)에 의해 즉시 포획되지 않는다(도49 참조).
좌측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프레임(90)의 위치결정부(90a)에 안내되어, 이 후에 설명될 푸싱 아암(52)의 이동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우측 위치결정 가이드(18a)가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에 의해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를 가압하고 있지만, 결국 우측 위치결정 가이드는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탄성에 대해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로부터 분리된다. 드럼 커플링(7a1)과 대기어 커플링(83a)의 회전축이 커플링 수단에 의해 유발되는 두 커플링들 사이의 결합에 의해 서로에 대해 일치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 내에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는 우측부에 고정된다.
우측 위치결정 가이드(18a)가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에 의해 가압된 후, 이동 가이드(41)의 제1 오목부(41b)는 제1 안내 레일(40a)의 경사부(40a2)로 전사하고, 감광 드럼(7)이 전사 롤러(4)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한다. 이것 프로세스 카트리지 이송을 실질적으로 종결시킨다.
이하, 상술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이송 중 발생하는 개폐 덮개(15)의 회전에 연결된 이동 가이드(41)와 캠 플레이트(50)의 이동이 설명될 것이다.
위치결정 가이드(18a)가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을 상방으로 미는 거리가 최대인 영역 부근에서, 이동 가이드(41)의 제2 오목부(41c)는 내부 플레이트(40)의 제2 안내 레일(40b)의 제1 원호부(40b1)와 제2 원호부(40b2)가 완만한 곡선으로 서로를 연결하는 제2 안내 레일(40b)에 있으며, 이동 가이드(41)의 제1 오목부(41b)는 내부 플레이트(40)의 제1 안내 레일(40a)의 경사부로 이동하려고 하는 위치에 있다(도41, 도42 및 도43 참조).
개폐 덮개(15)가 상술된 위치보다 더 폐쇄되면, 캠 플레이트(40)의 캠 구멍(50b)과 내부 플레이트(40)의 제2 안내 레일(40b)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범위가, 캠 구멍(50b)의 반경 방향의 관점에서, 캠 플레이트(50)의 캠 구멍(50b)의 직선부(50b2, 직선형 홈 구멍)의 내향 측부와 제2 안내 레일(40b)의 직선부(40b2) 사이의 영역으로 변하며, 이동 가이드(41)의 제2 오목부(41c)는 이 영역 내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동 가이드(41)의 제1 오목부(41b)는 이동 가이드(41)의 제2 오목부(41c)가 직선부(40b2)의 바닥 단부로 이동될 때, 경사부(40a2)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 후, 제2 오목부(41c)가 직선부(40b2)의 바닥 단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이 종결된다(도47, 도48 및 도49 참조).
그 결과, 이동 가이드(4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위치에 도달할 때, 사실상 수평이 된다. 즉, 이동 가이드(41)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에서 가정된 상태와는 다른 상태를 취한다. 제1 안내 레일(40a)은 상술된 바와 같이, 이동 가이드(41)의 제1 오목부(41b)의 이동 거리보다 약간 더 길다. 따라서,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의 완료시 제1 안내 레일(40a)의 경사부(40a2)의 단부와 제1 오목부(41b)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따라서, 경사부(40a2)의 단부와 제1 오목부(41b) 사이의 접촉에 의한 이동 가이드(41)의 압축 변형을 발생하지 않는다.
(드럼 셔터의 개폐 기구)
지금까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개폐 덮개(15)의 회전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방식이 설명되었다. 다음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에 연결된 드럼 셔터(12)의 개폐 이동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 셔터(1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동 가이드(41)에 장착되는 단계 중에는 개방 또는 폐쇄되지 않는다(도17 내지 도21 참조). 대신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개폐 덮개(15)의 회전에 의해 장치 본체 내에서 이동되는 단계에서 개방 또는 폐쇄된다(도26 내지 도47 참조).
이러한 배치는 드럼 셔터(12)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41; 이동 가이드) 내에 장착되는 단계에서 개방될 때 드럼 셔터(12)의 개구에 의해 발생된 저항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동 가이드(41) 내에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인가되는 하중에 부가되고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내향 이동이 장착 가이드(18b)가 가이드 홈(41a)의 내향부에서 보유면(41a1)에 의해 포획되기 전에 정지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도록 제작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 장치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사용자에 의해 장치 본체로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 삽입 방향의 관점에서 음 하중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구조 설계가 제거되었다. 즉, 드럼 셔터(1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상기 장치 내에서 이동되는 단계에서 개폐 덮개(15)의 폐쇄 이동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개폐 덮개(15)의 폐쇄 이동에 의해 이동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 드럼 셔터(12)는 회전되어 전사 개구(9a)와 감광 드럼(7)에 대한 노광 개구(9b)를 노출시켜, 화상 형성을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준비시킨다.
도3을 참조하면, 드럼 셔터(12)를 개방하여 유지하기 위한 리브(12e)는 세척 수단 고정 프레임(11d)의 상부 상에 있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세로 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세로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볼 때, 리브는 이동 가이드(41)에 대향하는 세척 수단 고정 프레임(11d)의 표면의 외각의 내향 측부 상에 있다.
고정 가이드(44)의 셔터 가이드부(44c; 제2 접촉부)와 접촉하는 리브(12e)의 표면은 세척 수단 고정 프레임(11d)과 대향하고, 드럼 셔터(12)가 개방될 때 노출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의 외측에 있을 때, 즉 드럼 셔터(12)가 폐쇄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있을 때 개방되는 드럼 셔터(12)의 상태를 제어하는 리브(12e; 제2 돌기저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수직인 방향 또는 수평인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세척 수단 고정 프레임(11d)의 외각 내에 있다. 따라서, 리브(12e)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수송되는 동안 발생하는 충격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 또는 착탈되는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조절되는 방식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도26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개폐 덮개(15)의 폐쇄 이동에 의해 이동될 때, 드럼 셔터(12)의 캠부(12d; 제1 돌기저부)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의 좌, 우측 내부 플레이트 사이에서 광학 시스템(1)을 지지하는 광학 시스템 플레이트(1f; 제1 접촉부)와 접촉한다. 그 결과, 드럼 셔터(12)는 셔터 스프링의 탄성에 저항하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전사 개구(9a)와 노광 개구(9b)를 노출시키기 시작한다.
드럼 셔터(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연결부(12c; 지지부)에 부착된 리브(12e)는 세척 수단 고정 프레임(11d)의 상부면으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그 결과, 셔터 가이드(44c)와 접촉되었던 리브(12e)의 표면이 노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 내로 더욱 깊이 이동됨에 따라, 광학 시스템 플레이트(1f)의 모서리부와 접촉했던 드럼 셔터(12)의 캠부(12d)는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시스템 플레이트(1f)의 저면과 접촉을 유지하면서 캠부(12d)의 단부에 위치한 최고점(12d1)과 함께 계속 이동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내부로 이동될 때, 리브(12e)는 고정 가이드(44)의 셔터 가이드(44c)와 접촉하여 드럼 셔터(12)가 더욱 개방되도록 한다. 그 결과, 캠부(12d)의 최고점(12d1; 접촉 위치)은 광학 시스템 플레이트(1f)의 저면으로부터 멀리 이동된다(도32 참조).
셔터 가이드(44c)는 세척 수단 고정 프레임(11d) 위에 배치되어 중첩되며, 리브(12e)를 포획하기에 충분히 넓다. 도26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상류측으로부터 기울어진 셔터 가이드(44c)는 하류측에서 좀더 높은 제1 경사면(44c1)과, 상승면(44c2)과, 하류측에서 좀더 낮은 제2 경사면(44c3)과, 수평면(44c4)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최하류 표면인 수직면(44c5)을 갖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셔터 가이드(44c)는 캠부(12d)를 광학 시스템 플레이트(1f)와 접촉 유지시켜 드럼 셔터(12)를 회전시키고, 세척 수단 고정 프레임(11d)으로부터 멀리 이동한 리브(12e)를 포획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셔터 가이드(44c)가 리브(12e)가 상승하는 경로 외측에 있는 고정 가이드(44)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도32를 참조하면, 리브(12e)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에 의해 셔터 가이드(44c)로 이동됨에 따라 리브(12e)를 쉽게 떠올릴 수 있도록 상류측에서 더 낮은 제1 경사면(44c1)을 포획한다. 제1 경사면(44c1)에 의해 포획된 후, 리브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에 의해 제1 경사면(44c1)에 활주되어 드럼 셔터(12)가 개방되는 각도를 증가시킨다.
개폐 덮개(15)가 폐쇄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동되어 장치 본체를 형성하는 화상의 내향으로 더욱 이동될 때, 드럼 셔터(12)의 리브(12e)는 드림 셔터(12)를 더욱 넓게 개방하여 셔터 가이드(44c)의 상승부(44c2), 또는 최상부와 접촉하게 된다. 드럼 셔터(12)의 이동 중에, 드럼 셔터(12)의 좌측 전방 모서리에 장방형 노치(12f)(도4)가 존재하여 드럼 셔터(12)가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촉부(92)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35 참조).
그 후에, 리브(12e)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하류부측에서 하부에 있는 셔터 가이드(44c)의 제2 경사면(44c3)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드럼 셔터(12)는 순간적으로 폐쇄 방향으로 단거리를 이동한다. 이러한 제2 경사면(44c3)은 드럼 셔터(12)가 전기 접촉부(92)를 피할 수 있게 하는 길이를 제공하는 상승부(44c2)와, 리브(12e)가 최종적으로 이동하고 상승면(44c2)보다 아래에 있는 수평면(44c4)을 연결한다.
그 후에, 도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이드(41)의 제1 보스(41b)가 제1 가이드 레일(40a)의 경사부(49a2) 상에서 이동할 때, 드럼 셔터(12)의 리브(12e)는 수평부(44c4)에 의해 지지되어, 따라서 동일한 레벨에서 유지된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사 롤러(4)를 향해 하향으로 이동하여, 드럼 셔터(12)가 개방되는 각도를 증가시킨다.
결국에, 개폐 덮개(15)의 회전에 연동된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은 중단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수송을 종료한다. 이러한 단계에서, 도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셔터(12)의 리브(12e)는 셔터 가이드(44c)의 수평면(44c4)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의 각도로 드럼 셔터(12)를 개방된 채 유지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내에 적절히 위치되고 화상 형성을 위해 준비된 상태로 전사 개구(9a) 및 노광 개구(9b)는 노출된다.
개폐 덮개(15)의 폐쇄 이동에 연동된 이동 가이드(41)의 이동 직후에, 개폐 덮개(15)의 폐쇄 이동 전체의 제1 반부에서 종료하며,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는 내부 플레이트(40)의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직선부(40b2)의 하부 단부에 있으며, 그 후 캠 플레이트(50)의 캠 구멍(50b)의 원호부(50b1)로 이동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캠 구멍(50b)의 원호부(50b1)는, 그의 만곡부의 중심이 회전축(50a)의 회전축과 일치하며; 그의 외부 에지의 반경이 회전축(50a)으로부터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직선부(40b2)의 하부 단부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며; 그의 폭(반경 방향에 대한 치수)은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큰 캠 구멍(50b)의 부분이다. 따라서, 개폐 덮개(15)가 이동 가이드(41)의 이동 완료 후에 폐쇄될 때, 캠 구멍(50b)의 원호부(50b1)의 에지가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에 의해 안내되면서, 캠 플레이트(50)는 회전하도록 허용되며, 따라서 개폐 덮개(15)는 완전히 폐쇄된다.
이하, 개폐 덮개(15)의 폐쇄 이동 전체의 상기 반부에 연동된 이동, 다양한 기구들이 설명될 것이다.(개폐 덮개(15) 이동에 연동된, 구동력 전달 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의 동작)
전술된 바와 같이, 우측 내부 플레이트(40)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을 포함하는 구동 수단과, 커플링 수단을 결합시키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커플링 수단 제어 수단이 제공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 내에 장착되는 방향에 거의 직각을 이루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으로 커플링 수단 제어 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것처럼 커플링 수단은 결합되거나 해제된다.
커플링 수단은 내측 베어링(84), 외측 베어링(86) 및 대기어(83)를 갖고 있다. 내측 베어링(84)은 대기어 커플링(83a)에 의해 대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내부 플레이트(40)에 고정된다. 외측 베어링(86)은 내부 플레이트(40)에 고정된 기어 덮개(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며, 대기어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대기어(83)는 내향 및 외측 베어링(84, 86)(도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대기어 커플링(83a)에는 트위스트된 구멍이 제공되는데, 그의 단면은실제로 정삼각형의 형태이다. 대기어 커플링(83a)의 회전축은 대기어(83)의 회전축과 일치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감광 드럼(7)의 길이 방향 단부의 하나에 고정된 기어 플랜지(도시되지 않음)에는 드럼 커플링(7al)이 제공되는데, 그의 회전축은 감광 드럼(7)의 회전축과 일치하며, 트위스트된 정삼각형 필러(pillar) 형태이다. 드럼 커플링(7a1)은 우측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중공 내에 있으며, 또한 드럼 커플링(7a1)의 회전축은 우측 위치결정 가이드(18a)(도3)의 축방향 라인과 일치한다.
도11, 도50의 (a), (b) 및 (c)를 참조하면, 커플링 수단 제어 수단은 내측 베어링(84)의 캠면(84c)(84c1 및 84c2)과, 내측 베어링(84)과 대기어(83) 사이에 위치된 커플링 캠(85)과, 대기어(83)와 외측 베어링(86)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87)을 포함하며, 대기어(83)가 내측 베어링(84)을 향해 가압되어 유지되도록 한다.
커플링 캠(85)은 내측 베어링(84)의 원통부(84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캠면[85a(85a1, 85a2, 85a3)]이 제공된다. 내측 베어링(84)의 캠면(84c)은 원통부(84b)의 축방향 라인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된 2개의 부분, 서로에 대해 인접한 부분(84c1)과 부분(84c2)을 가진다. 캠면(84c)의 부분(84c1)은 내부 플레이트(40)의 내향 표면에 대해 평행하며, 내부 플레이트(40)의 내향 표면[내측 베어링(84)의 내향 표면]으로부터 대기어(83)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커플링 캠(85)을 향해 소정의 높이로 상승된다. 캠면(84c)의 부분(84c2)은 원통부(84b)의 주연 표면 상의 설정 지점을 상승된 평행부(84c1)에 연결한 경사면이다. 또한 커플링 캠(85)의 캠면(85a)은 2개의 부분(85a1, 85a2)을 가진다. 캠면(85a)의 부분(85a1)은 내부 플레이트(40)의 내향 표면에 대해 평행하며, 내부 플레이트(40)의 내향 표면으로부터 캠면(84c)의 상승된 평행부(84c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의해, 기저부(85a3)로부터 내부 플레이트(40)의 내향 표면을 향해 상승된다. 캠면(85a)의 부분(85a2)은 경사면이며 상승된 평행부(85a1) 및 캠면(85a)의 기저부(85a3)를 연결한다.
도50(c)에서, 상승면(84c1)이 하부 부분(85a3)을 접촉시키는 이러한 방식으로 커플링 캠(85)이 내측 베어링의 원통부(84b) 주위로 끼워 맞춤될 때, 내측 베어링(84)에 대해 작은 양으로 움직이면서 내부 플레이트(40)에 접근하며, 대기어(83)의 커플링(83a)은 스프링(87)의 탄성으로 인해 화상 형성 장치 내로 들어가도록 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드럼 커플링(7a1)과 결합될 준비가 된다.
도50(b)에서, 커플링 캠(85)이 회전될 때, 경사면(84c2, 85a2)은 서로 접촉하게 되며 서로에 대항하여 활주하기 시작한다. 그 결과, 커플링 캠(85)은 내부 플레이트(40)로부터 이격되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커플링 캠(85)의 배면(85d)은 스프링(87)의 탄성에 대항하여 내부 플레이트(40)로부터 이격되어 이동하는 방향으로 대기어(83)를 밀어내기 시작하여, 대기어 커플링(83a)이 드럼 커플링(7a1)으로부터 해제되기 시작하게 한다. 또한, 커플링 캠(85)의 회전으로 인해 커플링 캠(85)의 상승면(85a1)이 상승면(85c1)과 접촉하기 시작할 때, 커플링 캠(85)은 상승부(85a1)와 기저부(85a3)의 높이가 동일한 거리에 의해 내부 플레이트(40)로부터 이격되어 이동하는데, 대기어(83)의 커플링(83a)이 드럼 커플링(7a1)으로부터 완전히 해제되는 후퇴부로 대기어(83)를 차례로 이동한다. 대기어(83)가 그의 후퇴부에 있을 때, 대기어의 단부면은 내부 플레이트(40)의 내향 표면으로부터 만입되며,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이동 경로로부터 후퇴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커플링 수단은 커플링 수단 제어 수단에 의해 감광 드럼(7)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동되는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결합되거나 해제되며, 즉 구동력 전달을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커플링 수단 제어 수단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의 각 단계는 항상 적절한 순서로 실행되어야 한다. 커플링 수단으로서의 대기어 커플링(83a)이 결합되도록 준비될 때, 대기어 커플링(83a)과 결합한 드럼 커플링(7a1)이 위치되는 중공 내에서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경로에 부분적으로 있다. 따라서, 대기어 커플링(83a)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전에 결합이 준비된다면,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중에 대기어 커플링(83a)과 충돌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첨언하면, 커플링 수단의 해제 전에 장치 본체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빼내도록 시도된 경우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피동측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의 커플링과 장치 본체측에의 커플링 사이의 결합으로 인해 이동될 수 없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이송하고 커플링 수단 제어 수단을 구동하는 2개의 공정이 개폐 덮개(15)의 회전 이동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 완료 후, 개폐 덮개(15)의 폐쇄 이동 중에 커플링 수단이 커플링 수단 제어 수단에 의해 결합 준비가 되는 반면에, 커플링 수단 제어 수단에 의한 커플링 수단의 해제 후, 개폐 덮개(15)의 개방 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제거 준비가 되는 것을 보장하는 기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전술된 2개의 공정이 적절한 순서로 실행될 것을 보장하기 위한 기구가 설명될 것이다.
개폐 덮개(15)가 완전히 개방될 때(도27), 커플링 캠(85)의 캠면은 상승면(84c1) 및 상승면(85a1)에 의해 서로 접촉하여 있으며, 대기어는 후퇴부에 있어 내부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내측 베어링(84)과 커플링 캠(85)의 상승면의 접촉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며, 2개의 상승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경사진다. 스러스터 로드(55)는 커플링 캠(85)의 보스(85b)와 결합되어 보스(85b)가 스러스터 로드(55)의 열쇠형상 구멍(55a)에 끼워 맞춰지며, 긴 구멍(55b)의 원호부(55b3)의 단부 근처에서 우측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와 접촉된다. 내부 플레이트(40)의 표면으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 스토퍼 리브(60)는 보강부(55g)의 리세스 내에 있다. 긴 구멍(55b)의 원호부(55b3)는 스러스터 로드(55)가 전술된 상태에 있을 때에 원호부(55b3)의 만곡부의 중심이 회전축(50a)의 축방향 라인과 사실상 충돌하도록 구성된다.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의 단부에 위치된 갈고리(50g1, 50g2)는 긴 구멍(55b)의 외측에 유지되어, 항상 스러스터 로드(55)의 이동 중에 제2 보스(50g)와 스러스터 로드(55) 사이의 해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인장 스프링(56)은 긴 구멍(55b)의 원호부(55b3) 아래에 위치된 보스(55c)와 내부 플레이트(40) 사이에서 신장된다. 제2 보스(50g)는 긴 구멍(55b)의 원호부(55b3)의 상부벽과 접촉하여 유지된다.
지금까지, 이동 가이드(41)가 개폐 덮개(15)의 회전 폐쇄 이동에 의해 이동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해 이동되는 공정이 설명되었다. 다음으로, 커플링 수단 제어 수단으로서의 커플링 캠(85)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가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원호부(40b1)에서 이동하는 한편,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는 스러스터 로드(55)의 긴 구멍(55b)의 원호부(55b3)에서 이동한다. 원호부(55b3)의 만곡부의 중심은 회전축(50a)의 축방향 라인과 실제로 충돌한다. 따라서, 제2 보스(50g)의 이동 중에 스러스터 로드(55)는 개폐 덮개(15)가 완전히 개방될 때를 가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커플링 캠(85)은 대기어(83)(도27 내지 도42)를 이동시키도록 회전되지 않는다.
예기치 않은 외부력이 스러스터 로드(55)를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스러스터 로드(55)에 작용할지라도, 제2 보스(50g)가 긴 구멍(55b)의 원호부(55b3)에서 이동하는 동안에 보강부(55g)의 보강면(55b3)은 도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리브(60)와 접촉하게 되어, 커플링 캠(85)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러스터 로드(55)를 전진시키지 않을 것을 보장한다. 보강부(55g)의 보강면(55b3)이 스토퍼 리브(60)를 지나가도록 하기 위해, 도27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스러스터 로드(55)는 보강면(55g1)의 상부 단부가 스토퍼 리브(60)의 하부 단부 아래에서 이동하기 위해, 커플링 캠(85)의 보스(85b)가 스러스터 로드 및 커플링 캠(85)을 연결하도록 끼워 맞춤되는 열쇠형상 구멍(55a)의 축방향 라인 주위로 회전하여야 한다. 그러나, 스러스터 로드(55)의 이러한 회전은 캠 플레이트의 제2 보스(50g)가 원호부(55b3) 또는 구멍(55b)의 경사부(55b2)에 있는 동안에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보강면(55g1) 및 스토퍼 리브(60)는 서로 접촉하여 유지하도록 되어, 이동 가이드(41)가 이동하는 동안에 커플링 캠(85)이 회전하기 시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36에서,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가 원호부(40b1)와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직선부 사이의 경계에 근접하게 될 때, 우측 이동 가이드(41)에만 제공되는 타이밍 보스(41d)는 상승면(55f) 아래에 위치되고 개폐 덮개(15)를 향해 개방되는 U자형 홈에 진입하며, 그 후,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는 긴 구멍(55b)(도42)의 경사부로 이동한다.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가 긴 구멍(55b)의 경사부(55b2)에 있는 동안에, 스러스터 로드(55)가 전진하는 것은 스토퍼 리브(60)에 의해 방지된다. 따라서, 커플링 캠(85)의 회전은 아직 개시되지 않았다.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가 스러스터 로드(55)의 직선부(55b1)와 경사부(55b2) 사이의 교점에 도달함에 따라, 인장 스프링(56)의 탄력성에 의해 구멍(55a)과 같은 열쇠형상 구멍의 축선에 대해 스러스터 로드(5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긴 구멍(55b)의 직선부(55b1) 내로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를 안내한다. 결과적으로, 스러스터 로드(55)는 보강부(55g)가 스토퍼 리브(60)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가 도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직선부(40b2) 위에 있을 때,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의 단부에 위치된 타이밍 보스(41d)는 스러스터 로드(55)의 상승면(55f)과 접촉한다. 따라서, 스러스터 로드(55)의 보강부(55g)가 스토퍼 로드(60)를 통과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도48을 참조하면,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가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직선부(40b2)로 하향으로 이동할 때까지 캠 플레이트(50)는 개폐 덮개(15)의 폐쇄 운동에 의해 회전되고,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의 단부에서 타이밍 보스(41d)는 또한 아래로 이동하고 상승면(55f)으로부터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스러스터 로드(55)의 보강부(55g)는 스토퍼 리브(60)를 통과하게 되고, 스러스터 로드(55)의 직선부(50b1)의 상단부가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에 맞닿을 때까지 인장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당겨진다.
타이밍 보스(50d)가 상승면(55f)과 접촉하게 되는 때와 서로 분리되는 때 사이의 기간 동안, 스러스터 로드(55)는 커플링 캠(85)을 회전시킨다.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커플링 캠(85)이 회전되는 각도는 커플링 캠(85)과 내측 베어링(84)이 각각의 상승면(85a1, 84c1)에 의해 서로 접촉한 채로 남게되는 범위 내에서 정해진다. 따라서, 대기어 커플링(83a)은 이동을 시작할 수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가이드(41)가 개폐 덮개(15)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동안, 스러스터 로드(55)를 구동시키는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는 스러스터 로드(55)의 긴 구멍(55b)의 경사부(55b2) 및 원호부(55b3) 내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스러스터 로드(55)는 이동하지 않는다. 추가로, 스러스터 로드(55)의 이동은 스토퍼 리브(60)가 보강부(55g)의 내부에 있는 조건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개폐 덮개(15)의 회전과 연관된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커플링 수단으로서의 대기어(83)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결합되도록 준비가 되지 않으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이송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52를 참조하면, 개폐 덮개(15)가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이 완료된 이후에 또한 폐쇄됨에 따라, 캠 플레이트(50)의 연장 구멍(50b)의 캠 구멍(50b, 캠 홈)의 원호부(50b1)가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를 따라 회전한다. 따라서, 이동 가이드(41)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2 위치에 남게되고, 스러스터 로드(55)의 긴 구멍(55b)의 직선부(55b1) 단부는 인장 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와 접촉하게 되고, 스러스터 로드(55)와 커플링 캠(85)을 포함하는 4절 연동 장치를 확립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이 완료된 이후에, 커플링 캠(85)은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커플링 캠(85)이 스러스터 로드(55)에 연결됨으로써 커플링 캠(85)의 보스(85b)가 하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개폐 덮개(15)가 또한 회전됨에 따라, 커플링 캠(85)과 내측 베어링(84) 사이의 접촉 상태가 경사면(85a2, 84c2) 사이의 접촉으로 절환되고, 대기어(83)는 대기어(83)와 외측 베어링(86) 사이에서 스프링(87)으로부터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대기어 커플링(83a)은 내부 플레이트(40)의 구멍 내로 침투되도록 가압된다. 위치결정 가이드(18a)와 동축이고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중공 내에 위치된 드럼 커플링(7a1)의 단부에 위치된 나선형 돌기와 대기어 커플링(83a)의 침투 단부에 나선형 구멍이 회전 상태가 일치하지 않을 때, 대기어 커플링(83a)의 침투 단부가 드럼 커플링(7a1)의 단부와 접촉하게 됨에 따라 내부 플레이트(40)의 구멍 내로 대기어 커플링(83a)의 침투부가 정지한다.
그 후, 개폐 덮개(15)가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커플링 캠(85)의 캠면(85a)의 기저부(85a3)가 내측 베어링(84)의 캠면(84c)의 상승면(84c1)과 접촉하는 것이 가능할 때까지 커플링 캠(85)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다. 개폐 덮개(15)가 완전히 폐쇄되는 때에, 커플링 캠(85)과 내측 베어링(84)의 경사부(84c2, 85a2)는 서로 분리되어 도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채로 남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커플링(7a1)의 단부와 접촉하게 됨에 따라 대기어 커플링(83a)의 단부가 내부 플레이트(40)의 구멍 내로 침투하는 것을 멈추게 된다. 그러나, 개폐 덮개(15)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하지 않고 폐쇄될 때, 대기어(83)는 내측 베어링(84)과 접촉하게 될 때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대기어 커플링(83a)은 내부 플레이트(40)의 내향 측으로 실제적인 거리로 돌출된다.
이것은 개폐 덮개(15)의 폐쇄 운동의 절반 동안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이송하는 과정과 개폐 덮개(15)의 다음 절반 동안 구동력 전달을 위해 결합되는 수단을 제어하는 커플링 수단에 의해 커플링 수단을 준비하는 과정이 정확한 순서대로 실행되도록 보장하기 위한 메카니즘의 설명으로 종결된다.
(좌측 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결정 수단의 구동)
전술된 바와 같이, 개폐 덮개(15)의 회전과 관련된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이송되는 동안, 좌측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이송 수단 프레임(90)의 위치결정부(90a) 내에 있지 않는다. 이것은 하기 이유로 인해서이다. 이송 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 위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좌측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위치결정부(90a)에 가압되어 유지되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동 가이드(41)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이송만으로는 다양한 전기 접점(92)과 전사 롤러(4)에 의해 발생되는 접촉 압력에 대항하여 좌측 위치결정 가이드(18a)를 위치결정부(90a)에 결합시킬 수 없다.
좌측 내부 플레이트(40)의 외향측 상에,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캠 플레이트(50)에 의해 구동되는 푸싱 아암(52)이 제공된다. 푸싱 아암(52)은, 좌측 내부 플레이트(40)의 팬형상 구멍(40h)을 통해 내부 플레이트(40)의 내향측으로 돌출되고 위치결정부(90a)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되는 탄성 가압부(52b)를 구비하여, 진동하도록 허용한다.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측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연장되는 장착 보조 가이드(18a1)를 구비한다. 이 장착 보조 가이드(18a1)의 후방 단부는 푸싱 아암(52)의 탄성 가압부(52b)와 접촉되는 접촉부(18a2)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부(18a2)는 그 곡률 중심이 위치결정부(18a)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원호형으로 만들어진다. 이런 구조적 배열에 의해, 위치결정 가이드(18a)가 위치결정부(90a) 내에 장착될 때, 탄성 가압부(52b)에 대한 부분(18a2)의 위치 관계의 가변성은 최소화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송 중에, 푸싱 아암(52)은 후퇴된 채로 남겨져서, 푸싱 아암(52)의 탄성 가압부(52b)는 위치결정 가이드(18a)와 위치결정부(18a1)의 경로 외측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푸싱 아암(52)이 캠 플레이트(50)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작용하는 외부 힘, 예를 들어 전사 롤러(4) 및 전기 접점(92)으로부터의 접촉 압력에 추가로 화상 형성시 감광 드럼(7)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기록 매개체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의해 위치결정부(90a)의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에, 탄성 가압부(52b)는 카트리지 이송이 완료된 이후 위치결정부(90a) 내로 위치결정부(18a)를 인입시켜서 위치 유지부가 된다.
탄성 가압부(52b)를 유지부로부터 후퇴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푸싱 아암(52)이 회전해야 하는 각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뒤에 있는 장착 보조 가이드(18a)는 주연면 상에 위치된 압력 포획부(18a2)를 구비하여, 푸싱 아암(52)의 탄성 가압부(52b)를 회전축(52a)으로부터 이격되게 유지시킨다.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주연면과 접촉하게 푸싱 아암(52)의 탄성 가압부(52b)를 배치하도록 푸싱 아암(52)이 회전해야 하는 각도가, 탄성 가압부(52b)가 위치결정 가이드(18a)와 장착 보조 가이드(18a1)의 경로에서 이격되게 유지되도록 증가된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탄성 가압부(52b)의 전방에 위치된 캠 플레이트(50)에 의해 구동되는 보스(52c)의 후퇴부와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축(50a) 사이의 거리는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아암 구동부(50h1)의 단부는 캠 플레이트(50)의 반경 방향에 대해 외향 방향으로 연장되어야 하고, 문제점인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을 위해 보다 큰 공간을 요구한다.
장착 보조 가이드(18a1)의 상부면은 경사면(18a3)이고,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주연면을 향해 경사진다. 이 경사면(18a3)은 압력 포획면(18a2)이 탄성 가압부(52b)와 접촉하여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경로로부터 탄성 가압부(52b)의 회전 반경 내향측 상 영역 안으로의 장착 보조 가이드(18a)의 돌기가 최소가 되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후퇴시 탄성 가압부(52b)와 장착 보조 가이드(18a1)의 경로 사이의 간격이 고정된다.
즉, 압력 포획부(18a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에 장착된 방향에 대해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의 상류측 상에 위치되고, 또한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로부터 떨어져 위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에 적절한 카트리지 위치(S)로 이동됨에 따라, 장치 본체(14)의 탄성 가압부(52b)로부터의 압력하에 있게 된다. 또한, 압력 포획부(18a2)는 중심이 감광 드럼(7)의 축선과 일치하는 아크의 형태로 형성된다. 카트리지 프레임(CF),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 및 압력 포획부(18a2)는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에 장착되는 방향에 대해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의 상류측 상에, 그리고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로부터 이격되게 압력 포획부(18a2)가 위치된다. 개폐 덮개(15)가 폐쇄됨에 따라, 장치 본체(14)의 탄성 가압부(52b)로부터의 압력하에 있게된다.
푸싱 아암(52)의 이동은 적절한 순서에 수행되어야 하는 수단을 제어하는 커플링 수단의 이동과 유사하다. 즉, 개폐 덮개(15)의 폐쇄 운동 동안 푸싱 아암(52)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송이 완료된 이후에 회전을 시작하는 것과, 개폐 덮개(15)의 개방 운동 동안 푸싱 아암(52)의 회전이 완료된 이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동하기 시작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특히, 개폐 덮개(15)의 폐쇄 운동 동안, 푸싱 아암(52)은 회전하여 이동 가이드(41)의 운동이 완료된 이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소정 위치로 이동되고, 그후 위치결정부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유지시킨다. 푸싱 아암(52)의 이러한 기능들은 다음에 설명된다.
푸싱 아암(52)이 후퇴 상태가 되어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탄성 가압부(52b) 상에 지지될 때, 캠 플레이트(50)가 제2 위치에 이동 가이드(41)를 이동시킨 후에 보스(52c)는 제2 캠(50h)의 아암 구동부(50h1)의 개방 단부의 경로를 거의 횡단하는 지점에 있게된다.
따라서, 개폐 덮개(15)가 이동 가이드(41)의 운동이 완료된 훨씬 이후에 폐쇄됨에 따라, 캠 플레이트(50)의 제2 캠(50h)의 아암 구동부(50h1)는 푸싱 아암(52)의 보스(52c) 내에 유지된다. 개폐 덮개(15)의 폐쇄 운동 동안, 보스(52c)는 제2 캠(50h)의 외향벽에 접촉하고,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탄성력에 대항하는 제2 캠(50h)의 아암 구동부(50h1)에 대한 시계 방향으로 푸싱 아암(52)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캠 플레이트(50)가 회전함에 따라, 보스(52c)는 아암 구동부(50h1) 내로 더 깊숙이 이동한다. 푸싱 아암(52)의 이러한 회전에 의해, 푸싱 아암(52)의 탄성 가압부(52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보조 가이드(18a1)에 보다 근접하게 이동된다.
이 시점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이송 수단 프레임(90)의 위치결정부(90a) 내에 아직 끼워져 있다. 따라서,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주연면 상의 장착 보조 가이드(18a1)는 푸싱 아암(52)의 탄성 가압부(52b)의 압력 인가면(52b1)의 회전 경로의 외측에 있다.
캠 플레이트(50)의 추가적인 회전으로 인해 푸싱 아암(52)이 회전축(52a)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 푸싱 아암(52)의 회전 방향에 대해 탄성 가압부(52b)의 상류측 상에 있고 푸싱 아암(52)의 회전의 반경 방향에 대해 외향 방향으로 더 경사진 견인면(52b2)은 소정의 위치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위치의 관점에서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주연면의 상류측 상에 장착 보조 가이드(18a1)와 접촉하게 된다(도55 참조).
견인면(52b2)이 장착 조력 보조 가이드(18a1)의 압력 포획부(18a2)와 경사면(18a3)을 연결하는 장착 조력 보조 가이드(18a1)의 둥근 모서리부(18a4)와 접촉한 후에 탄성 가압부(52b)가 더 회전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위치결정 가이드(18a)를 위치결정부(90a) 안쪽으로 끼워 맞춤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견인면(52b2)에 의해 가압되고, 장착 조력 보조 가이드(18a1)의 둥근 모서리부(18a4)는 회전축(52a) 측부 상에서 탄성 가압부(52b)의 접촉면(52b1)과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접촉면(52b1)이 장착 조력 보조 가이드(18a1)의 주연 표면 상의 압력 포획부(18a2)와 접촉하게 될 때,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위치결정부(90a) 안쪽으로 끼워 맞춤되어 도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장치 내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을 종료한다.
위치결정 가이드(18a)를 탄성 가압부(52b)에 의해 위치결정부(90a) 안쪽으로 푸쉬한 후에도, 푸싱 아암(52)은 탄성 가압부(52b)가 압력 포획부(18a2)의 경로로 완전히 들어가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적절히 지지 및 유지할 때까지 회전을 계속한다(도57 참조).
다음으로, 캠 플레이트(50)가 더 회전할 때, 보스(52c)는 아암 구동부(50h1)를 지지 이동하고 아암 보유부(50h2) 안쪽으로 이동하는데, 그 곡률 중심은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축과 일치한다. 결과적으로, 푸싱 아암(52)의 회전은 정지한다.
다음으로, 캠 플레이트(50)가 푸싱 아암(52)의 보스(52c)가 아암 보유부(50h2)의 캠면과 접촉하게되는 것을 보장하게 되는 지점으로 더 회전하고, 그 지점은 개폐 덮개(15)의 완전 폐쇄 위치와 대응한다(도58 참조).
이 지점에서, 푸싱 아암(52)의 탄성 가압부(52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압력 포획부(18a2)와 접촉하고, 또한 완전히 위치결정 가이드(18a)의 경로 내에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이동이 균일해진다. 다시 말해, 위치결정부(90a) 내에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선정 가이드(18a)의 이동이 허용되는 방향은 탄성 가압부(52b)와 회전축(52a)을 연결하는 선의 방향뿐이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위치결정부(90a)에서 제거하려는 시도가 있을 때, 탄성 가압부(52b) 상에 작용하는 반력이 대략 회전축(52a)쪽으로 향하여 푸싱 아암(52)을 회전시키는 데 실패한다. 푸싱 아암(52)의 회전 없다면, 탄성 가압부(52b)는 압력 포획부(18a2)에서 언래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위치결정부(90a)에서 계속 유지되어 적절히 위치결정된다.
푸싱 아암(52)의 보스(52c) 및 캠 플레이트(50)의 제2 캠(50h)이 상호 접촉하는 동안의 그들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면,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의 준비가 되었을 때 즉 개폐 덮개(15)의 완전 폐쇄 후에, 보스(52c)는 제2 캠(50h)의 아암 보유부(50h2) 내에 있는데, 그 곡률 중심은 지지되는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축(52a)의 축선과 일치한다. 따라서, 푸싱 아암(52)을 회전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질 때도, 푸싱 아암(52)이 캠 플레이트(50)를 회전시키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개폐 덮개(15)도 개방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도 불리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연동 스위치의 작동)
지금까지, 개폐 덮개(15)의 폐쇄 이동과 연동된 본체 장치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배치와, 커플링 수단 제어 수단의 이동에 의한 결합에 대한 커플링 수단의 준비와, 푸싱 아암(52)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측 위치결정 가이드의 위치결정부 내에서의 위치결정 및 유지에 대해 기술되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개폐 덮개(15)가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종료한다. 따라서, 개폐 덮개(15)가 완전히 폐쇄될 때, 연동 스위치(54)가 작동되어, 화상 형성 장치가 화상 형성 준비되도록 전류의 흐름을 허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회로 보드 상의 마이크로 스위치(91; 도58)는 요동 레버(91a)에 의해 가압될 때, 화상 형성 장치는 켜진다. 도54 내지 도58을 참조하면, 연동 스위치(54)는 좌측 내부 플레이트(4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것은 레버(54b)에 의해 (도54 내지 도57에서 미도시된) 마이크로 스위치(91)의 요동 레버(91a)와 접촉하게 하고, 마이크로 스위치(91)의 진동에 의해 상향 가압 유지된다.
좌측 캠 플레이트(50)에는 접촉면(50i)이 제공되는데, 이 접촉면은 캠 플레이트(50)의 회전 방향에 대한 좌측 캠 플레이트(50)의 선단부에 위치한 제2 캠(50h)의 곡률 반경에 대해 내측 상에 위치한다. 접촉면(50i)은 연동 스위치(54)의 탄성부(54c)와 접촉한다.
개폐 덮개(15)가 폐쇄되고 좌측 캠 플레이트(50)가 푸싱 아암(52)의 보스(52c)를 제2 캠(50h)의 아암 보유부(50h2)로 안내할 때, 접촉면(50i)은 연동 스위치(54)의 탄성부(54c)와 접촉하게 된다. 그 다음, 캠 플레이트(50)가 푸싱 아암(52)의 보스(52c)를 아암 보유부(50h2)의 외측 벽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연동 스위치(54)는 마이크로 스위치(91)의 탄성에 반대하여 회전축(54a) 주위로 회전하여, 레버(54b)가 요동 레버(91a)를 마이크로 스위치(91)와 결합하도록 하향 가압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는 켜진다.
캠 플레이트(50)의 회전 운동의 마지막 스테이지 중에 연동 스위치(54)의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캠 플레이트(50)가 개폐 덮개(15)의 폐쇄에 의해 회전하는 각도의 변화를 고려할 때, 캠 플레이트(50)의 접촉면(50i)은 부분적으로 연동 스위치(54; 도58) 접촉부에 있는 것처럼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동 스위치(54)의 접촉부는 탄성적으로 되어서 접촉부 또는 탄성부는 캠 플레이트(50)의 가침입을 인용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위치결정 방법)
화상 형성 장치의 켜짐은 개폐 덮개(15)의 폐쇄에 연동된 다양한 장치의 최종 이동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개폐 덮개(15)의 완전한 폐쇄는 화상 형성을 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준비시킨다. 그 다음, 구동 수단(80)의 모터가 회전할 때, 구동력은 대기어(83)로 전달되어 대기어(83)를 회전시킨다. 대기어(83)가 회전하므로, 대기어 커플링(83a)의 비틀린 구멍은 드럼 커플링(7a1)의 비틀린 돌기와 회전상이 일치하게된다. 비틀린 구멍과 돌기가 회전상이 일치하므로, 대기어 커플링(83a)은 대기어(83)와 외측 베어링(86)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87)에 의해 진보된다. 다음으로, 두 개의 커플링의 상호 견인을 유발하는 방향으로 양 커플링의 비틀림에 의해 힘이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드럼 커플링(7a1)의 비틀린 돌기의 단부는 대기어 커플링(83a)의 비틀린 구멍의 저면과 접촉하게 되고 접촉 유지되어, 커플링의 상호 견인하는 방향으로 양 커플링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에 대해 양 커플링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대기어 커플링(83a)의 비틀린 구멍의 단면과 드럼 커플링(7a1)의 비틀린 돌기의 단면은 모두 정삼각형의 형태이고, 비틀린 구멍 및 비틀린 돌기의 축선은 대기어 커플링(83a) 및 드럼 커플링(7a1)과 각각 일치하여, 비틀린 구멍의 3개의 측벽이 비틀린 돌기의 3개의 측부 모서리와 접촉할 때 대기어 커플링(83a) 및 드럼 커플링(7a1)의 회전축이 상호 정렬하게 되어 구동력이 부드럽게 전달되도록 한다.
구동력이 커플링 수단의 결합에 의해 전달되기 시작하고 대기어 커플링(83a) 및 드럼 커플링(7a1)의 회전축이 상호 정렬한 후에, 커플링 수단 제어 수단이 위치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우측 단부의 위치는 커플링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도59를 참조하면, 커플링 수단이 결합할 때까지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나선 형상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탄성을 이기고 카트리지 포획/보유부(84a)로부터 분리되고, 장착 가이드(18b) 또한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홈(41a)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커플링 수단의 결합의 결과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구동되기 시작할 때, 다시 말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회전력을 받기 시작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트레일 측부에서 보았을 때의 카트리지 프레임의 우측 단부 상의 맞닿음면(18d)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한 선단부 상의 맞닿음면(18d)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회전 방향에 대해 전방의 면들은 고정 가이드(44)의 회전 제어부(44b)와 접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는 구동력이 커플링 수단의 결합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 전달되기 시작한 후에만 회상 형성 장치 내에 고정되도록 화상 형상 장치가 구성된다.
구동력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 전달되기 시작한 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7)의 우측 단부에 동축상으로 부착된 드럼 커플링(7a1)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되고, 대기어 커플링(83a)은 화상 형성 장치의 우측 내부 플레이트(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선정 가이드(18a)의 주연 표면 상의 압력 포획부(18a2)가 푸싱 아암(52)의 탄성 가압부(52b)에 의해 가압 유지될 때 축선이 감광 드럼(7)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위치결정 가이드(18a)가 이송 수단 프레임(90)의 위치결정부(90a) 내에 끼워 맞춤되고 그 안에서 유지되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측 단부는 적절히 위치결정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선단부에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트레일 측부에서 보았을 때 우측 단부에 있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맞닿음면(18d)은 고정 가이드(44)의 회전 제어부(44b)와 접촉 유지된다. 다시 말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3개의 지점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적절한 위치에서 적절히 유지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전술한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감광 드럼(7)과 동축인 위치결정부[위치결정 가이드(18a) 및 드럼 커플링(7a1)]가 화상 형성 장치 측부 상의 위치결정 수단[운반 프레임의 위치결정부(90a)와 대기어 커플링(83a)]에 의해 지지되기 시작할 때,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해 운반되는 동안 이동 가이드(41)에 의해 지지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가이드(18b)는 이동 가이드(41)의 보유면(41a1)을 떠난다.
전술한 바로부터 명확하듯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위치결정 수단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 측부 상에 위치결정부를 지지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되고 유지되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7)에 대한 위치 관계가 매우 정확히 보장되어야 하는 광학 시스템(1) 및 전사 롤러(4)와 같은 부품에 대해 매우 정확히 위치된다.
(개폐 덮개(15)의 개방 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장치의 이동)
다음으로, 개폐 덮개(15)의 개방에 의해 연동 스위치(54)의 해제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꺼짐 과정, 개폐 덮개(15)를 더 개방시킴으로써 푸싱 아암(52) 및 커플링 수단의 해제 과정, 개폐 덮개(15)를 더 개방시킴으로써 이동 가이드(41)를 이동시키는 과정 및 이동 가이드(41)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취출하는 과정이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전술한 단계는 역순으로 수행된다.
도53, 도58 및 도59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개폐 덮개(15)는 개방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좌측에서, 개폐 덮개(15)가 개방될 때, 캠 플레이트(50)는 연동 스위치(54)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연동 스위치(54)가 마이크로 스위치(91)의 탄성에 의해 들어올려지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다양한 작동 유닛에 대한 전류는 단전된다. 또한, 탄성부(54c)는 캠 플레이트(50)의 접촉면(50i)으로부터 해제된다(도55 내지 도58 참조).
다음으로, 푸싱 아암(52)은 커플링 수단으로부터 해제된다. 먼저, 좌측 푸싱 아암(52)의 해제가 기술될 것이다.
캠 플레이트(50)가 연동 스위치(54)의 탄성부(54c)가 접촉면(50i)으로부터 해제될 때까지 회전할 때, 푸싱 아암(52)의 보스(52c)는 제2 캠(50h)의 아암 보유부(50h2)의 호형 표면으로부터 해제된다(도56 참조). 푸싱 아암(52)의 기저부에 부착된 나선 형상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탄성이 탄성 가압부(52b)와 압력 포획부(18a2) 사이의 마찰을 극복하여 푸싱 아암(52)을 들어올림으로써 푸싱 아암(52)을 해제시킬 정도로 강하지 않으므로, 캠 플레이트(50)는 반경 방향에 대한 제2 캠(50h)의 아암 구동부(50h1)의 내향 벽부에 의해 보스(52c)와 단순히 접촉한다. 다음으로, 푸싱 아암(52)은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에 의해 상향 이동하도록 가압된다.
보스(52c)와 제2 캠(50h)의 아암 구동부(50h1)의 내향 벽부의 이러한 해제 후에, 푸싱 아암(52)의 탄성 가압부(52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압력 포획부(18a2)로부터 해제된다. 탄성 가압부(52b)의 상부 단부에 있는 맞닿음부(52b3)에 의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53)의 작용에 의해 푸싱 아암(52)은 내부 플레이트(40)의 팬형상 구멍(40h)의 상부 단부(40h2)와 접촉 위치하게 되고, 탄성 가압부(52b)는 위치결정 가이드(18a)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압력 포획부(18a2)의 경로로부터 이탈하는 후퇴 위치로 이동한다(도54 및 도55 참조).
결과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압력 포획부(18a2)는 감광 드럼(7)을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감광 드럼(7) 및 전사 롤러(4)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위치결정부(90a)로부터 이동한다.
좌측부 상의 푸싱 아암(52)의 해제와 동시에, 커플링 수단이 해제된다.
개폐 덮개(15)가 개방될 때, 스러스트)에 의해 캠 플레이트(50)에 연결된 커플링 캠(85)은 대기어 커플링(83a)을 감광 드럼(7)의 회전축의 방향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도52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스러스터 로드(55)는 긴 원호 구멍(55b)의 단부에 의해 우측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열쇠형상 구멍(55a)에 의해 커플링 캠(85)의 보스(85b)에 연결된다. 긴 구멍(55b)의 단부는 인장 스프링(56)에 의해 제2 보스(50g) 상에 가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스러스터 로드(55)의 긴 구멍(55b)의 직선부(55b1)의 방향은 직선부(55b1)의 상단부와 열쇠형상 구멍(55a)을 연결하는 라인에 사실상 수직하다.
상기 커플링 수단은 비틀린 돌기와 비틀린 구멍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그 단면은 사실상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 수단을 대기어 커플링(83a)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결합해제시키기 위해, 비틀린 돌기를 갖춘 드럼 커플링(7a1) 또는 비틀린 구멍을 갖춘 대기어 커플링(83a) 중 어느 하나는 반드시 비틀린 돌기의 비틀린 엣지와 비틀린 구멍의 비틀린 벽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도로 회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큰 힘이 상기 결합해제에 필요하다.
스러스터 로드(55)는 캠 플레이트(50)의 구동력을 커플링 캠(85)에 전달하여 커플링 캠(85)을 회전시키고, 이러한 커플링 캠(85)의 회전은 상기 커플링 수단을 결합해제시킨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 수단을 결합해제시키기 위해 구동력이 캠 플레이트(50)로부터 커플링 캠(85)으로 전달될 때, 스러스터 로드(55)는 도52에 도시된 것처럼, 커플링 캠(85)이 끼워진 열쇠형상 구멍(55a)과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에 접촉하는 긴 구멍(55b)의 직선부(55b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라인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커플링 수단 결합해제 로드(Ff)를 받는다. 상기 커플링 수단 결합해제 로드(Ff)가 긴 구멍(55b)의 단부에 의해 포획될 때 제2 보스(50g)가 긴 구멍(55b)의 단부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긴 구멍(50b)의 단부의 벽면은 커플링 수단 결합해제 로드의 방향에 수직 또는 커플링 수단 결합해제 로드의 경사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취하게 되고, 긴 구멍(55b)의 직선부(55b1)에 의해 포획된 주요 부품은 직선부(55b1)의 상단부 방향을 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긴 구멍(50b)의 단부를 구성하는 직선부(50b1)는 직선부(50b1)의 상단부와 열쇠형상 구멍(55a)을 연결하는 라인에 사실상 수직방향을 취하고, 상기 인장 스프링(56)은 직선부(50b1)의 단부가 제2 보스(50g) 상에 가압되어 유지되도록 장착된다.
내측 베어링(84)의 캠면과 대응 경사면(85a2, 84c2)은 커플링 캠(85)의 회전에 의해 서로 접촉되어 위치되고, 커플링 캠(85)은 상기 경사면의 작용에 의해 그 축방향의 관점에서 상기 장치의 외향으로 이동되어 대기어 커플링(83a)과 드럼 커플링(7a1)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그 후, 커플링 캠(85)의 추가 회전은 커플링 캠(85)의 캠면의 상승면(85a1, 84c1)과 내측 베어링(84)을 서로 접촉하게 한다. 상승면(85a1, 84c1)이 서로 접촉될 때, 대기어 커플링(83a)의 내향 단부는 내부 플레이트(40)의 내면을 지나 상기 장치의 외향으로 이동되어 커플링 수단의 결합해제를 종결시킨다.
개폐 덮개(15)의 개방과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이동에 대한 상기의 설명에서, 캠 플레이트(50)의 이동이 개폐 덮개(15)의 이동과 관련된다는 사실과, 다양한 기구가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는 사실을 설명했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송되는 이동 가이드(41)는 개폐 덮개(15)의 개방이 상기 설명한 지점까지 개방되는 동안 정지된다. 이것은 캠 플레이트(50)가 상기 설명한 지점까지 회전되는 동안, 긴 구멍(50b)의 원호부(50b1)의 상부벽 및 바닥벽은 내부 플레이트(40)의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직선부(40b2)의 바닥 단부 아래에 위치된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의 외주면에 의해 통과된다는 사실에 기인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적절하게 위치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수단인 푸싱 아암(52) 및 커플링 수단이 완전히 결합해제될 때까지,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이동 가이드(41)에 의해 이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개폐 덮개(15)가 상기 설명한 덮개 개방 스테이지의 단부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더 개방될 때, 이동 가이드(41)는 캠 플레이트(50)에 의해 이동되기 시작한다.
캠 플레이트의 회전이 계속되면, 이동 가이드(41)는 캠 플레이트(50)의 긴 구멍(50b)의 원호부(50b1)와 직선부(직선형 홈 구멍; 50b2)의 교차점에서 제2 보스(41c)와 접촉하게 된다. 결국, 캠 플레이트(50)의 추가적인 회전은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를 직선부(직선형 홈 구멍; 50b2)를 내부 플레이트(40)의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직선부(40b2) 안으로 상향 이동하게 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동 가이드(41)는 우선적으로 개폐 덮개(15)의 개방 이동에 의해 이동되기 시작한다.
이제는 상기 설명한 스러스터 로드(55)의 결합해제를 설명한다.
도52에 도시된 것처럼, 커플링 수단은 캠 플레이트(50)의 회전에 의해 결합해제되는 동안, 이동 가이드(41)의 타이밍 보스(41d)는 스러스터 로드(55)의 상승면(55f) 아래의 공간에 진입한다. 캠 플레이트(50)는 커플링 캠(85)의 캠면의 상승면(85a1, 84c1)과 내측 베어링(84)이 서로 접촉하게 되는 지점으로부터 더 회전될 때 이동 가이드(41)를 상승시키기 시작한다. 이러한 지점에서, 내부 플레이트(40)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스토퍼 리브(60)는 상승면(55f) 상의 리세스된 보강부(55g) 상에 도달하여 상향 개방된다(도48 참조).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의 단부에서 타이밍 보스(41d)가 스러스터 로드(55)의 상승면(55f) 상으로 이동할 때, 스러스터 로드(55)는 열쇠형상 구멍(55a)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은 긴 구멍(55b)의 직선부(55b1)와 경사부(55b2)가 조우하는 스러스터 로드(55)의 긴 구멍(55b)의 모퉁이를 캠 플레이트(50)의 제2 보스(50g) 너머로 이동시켜 캠 플레이트(50)에 의해 스러스터 로드(55)의 구동을 종결시킨다. 또한, 상기 스러스터 로드(55)의 회전은 스토퍼 리브(60)를 리세스된 보강부(55g) 내에 안착하게 하여 스러스터 로드(55)의 이동을 조절하기 시작한다(도45 참조).
이후,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는 캠 플레이트(50)에 의해 상승되고, 이동 가이드(41)의 제1 보스(41b)는 제1 가이드 레일(40a)의 경사부(40a2)를 따라 이동하기 시작한다. 결국, 이동 가이드(41)는 상향 이동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점까지 이동 가이드(41)와 접촉하지 않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가이드(18b)의 저면(18b1)은 이동 가이드(41)의 보유면(41a1)과 접촉하게 된다. 결국,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의 본체의 위치결정 수단 대신 이동 가이드(41)에 의해 지지된다.
이동 가이드(41)는 포획면(41a2)의 내향 단부에 의해 장착 가이드(18b)의 단부(18b2)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장치의 본체의 외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당기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기 장치의 본체의 우측면 상에서의 이동 가이드(41)의 이동 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대각선 상향으로 상기 장치의 본체의 외향으로 당기고, 우측 위치결정 가이드(18a)는 우측 고정 가이드(44)에 부착된 나선형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을 상향으로 푸싱한다(도44 참조).
개폐 덮개(15)가 더 개방될 때,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는 내부 플레이트(40)의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제1 원호부(40b1)에 의해 개재되고, 캠 플레이트(50)의 긴 구멍(50b; 캠 홈)의 직선부(직선형 홈 구멍; 50b2)의 인입 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를 통해 장착 또는 착탈되는 개구(W)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1 보스(41b)는 제1 가이드 레일(40a)의 경사부(40a2)로부터 수평부(40a1)를 따라 외향 이동된다. 결국,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수평으로 이송된 감광 드럼(7)을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위치(카트리지 취출 위치)로 이송된다(도26 내지 도44 참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송과 동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0의 카트리지 프레임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 드럼 셔터(1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동안의 단계와 역순으로 이동된다.
이동 가이드(41)의 제1 보스(41b)는 드럼 셔터(12)가 개방되는 각도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상향 이동되는 동안 제1 가이드 레일(40a)의 경사부(40a2)를 오르도록 형성되므로, 일시적으로 약간 협소해진다. 이후,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개구(W) 방향으로 이송되기 시작할 때, 리브(12e)는 고정 가이드(44)의 셔터 가이드(44c)의 제2 경사면(44c3)과 접촉하여 드럼 셔터가 개방되는 각도를 증가시킨다. 이후, 리브(12e)는 상승면(44c2) 상으로 이동되어 드럼 셔터(12)는 전기 접촉부(92)를 피한다. 이후, 리브(12e)는 제1 경사면(44c1) 상에 이동되고 드럼 셔터(12)가 개방되는 각도가 셔터 스프링(도시 생략)의 힘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허용하는 동안 제1 경사면(44c1) 상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함께 개구(W)방향으로 이송된다. 드럼 셔터(12)가 개방되는 각도가 축소될 때, 캠부(12d)의 최고점(12d1)은 광학 시스템 플레이트(1f)의 저면과 접촉하게 되고, 리브(12e)는 제1 경사면(44c1)을 떠난다. 이후, 캠부(12d)의 최고점(12d1)이 광학 시스템 플레이트(1f)의 절곡부의 외부에 도달할 때, 캠부(12d)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력에 의해 큰 각으로 회전된다. 드럼 셔터(12)는 전사 개구(9a) 및 노광 개구(9b)가 드럼 셔터(12)에 의해 완전하게 덮일 때, 캠부(12d)가 광학 시스템 플레이트(1f)를 떠날 때까지 계속하여 밀접해진다.
개폐 덮개(15)의 회전과 관련된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송에 의해 드럼 셔터(12)의 캠부(12d)의 최고점(12d1)이 광학 시스템 플레이트(1f)의 절곡부를 통과하게 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저면(10f4)은 개구(W)의 바닥벽을 구성하는 전방 가이드(43)의 접촉 리브(43c)와 접촉하게 된다(도26 참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접촉 리브(43c)와 접촉하는 자세를 취한다고 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무게중심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접촉 리브(43c) 사이의 접촉면에 대해 감광 드럼(7)측 상에 놓인다. 따라서, 개폐 덮개(1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상기 설명한 자세라 할 때 더 개방되므로, 이동 가이드(41)는 개구(W)에 밀접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개구(W)방향 또는 작업자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개구(W) 방향으로 이동되는 중에,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의 접촉 리브(43c) 및 저면(10f4)의 경사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토너 현상 수단 유지 프레임(10f)측이 장착 가이드(19b)가 받침대로서 기능을 하는 것처럼 상승되는 방식으로 회전된다. 접촉 리브(43c)는 도21에 도시된 것처럼 개폐 덮개(15)가 완전히 개방될 때까지 계속하여 개방되는 형상이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착 가이드(18b)의 외향 바닥 모서리부(18b3)가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홈(41a)의 단차부에 위치된 경사부(41a4)를 지나 이동될 때까지 회전된다.
따라서, 이동 가이드(41)의 가이드 홈(41a)의 가이드 면(41a2)이 완전히 개방되기 전 개폐 덮개(15)의 회전 이동의 최종 단계까지 보조 가이드(42; 제1 위치)의 전방 가이드 면(42a1)에 접촉하여 레벨이 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작업자 방향으로 간단하게 당김으로써 장착 가이드(18b)외부 바닥 모서리부(18b3)가 경사면(41a1) 상에 현수되는 일 없이 개구(W)를 통해 상기 장치의 본체의 외부를 매끄럽게 취할 수 있다.
개폐 덮개(15)가 완전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이동 가이드(41)의 제2 보스(41c)는 캠 플레이트(50)의 긴 구멍(50b)의 직선부(직선형 홈 구멍; 50b2)의 내벽과 접촉하게 위치되고, 개구(W)측 상의 제2 가이드 레일(40b)의 원호부(40b1)의 단부는 개폐 덮개(15)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사용된다.
상기 설명한 것처럼, 개폐 덮개(15)의 전체적인 회전 영역의 제1 반부가 완전 개방된 개폐 덮개(15)를 완전히 폐쇄하는 동안,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 또는 이로부터 착탈될 수 있는 제1 위치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을 위한 기능을 하는 위치로 밀접하게 이송되는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이후, 드럼 셔터(12)는 이동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송에 의해 개방된다. 이후,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작용을 위해 준비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을 위한 위치 근처에서 대기하여 유지된다. 개폐 덮개(15)의 전체적인 회전 영역의 나머지 반부가 완전 개방된 개폐 덮개(15)를 폐쇄하는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는 결합을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을 준비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을 위한 기능을 하는 위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시켜 지지하기 위한 위치결정 수단을 작동시킨다. 이후, 화상 형성 장치 상에서 회전한다. 한편, 개폐 덮개(15)의 전체적인 회전 영역에서 제1 반부가 완전히 폐쇄된 개폐 덮개(15)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동안, 화상 형성 장치는 개폐 덮개(15)의 초기 개방 이동에 의해 턴-오프된다. 이후,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을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위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유지시키는 위치결정 수단 및 커플링 수단은 결합해제된다. 이후, 개폐 덮개(15)의 전체적인 회전 영역의 나머지 반부가 완전히 폐쇄된 개폐 덮개(15)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송에 의해 드럼 셔터(12)를 폐쇄하는 동안 상기 설명한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이동 가이드(41)를 이동시킴으로써 이송된다.
상기 설명한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개폐 덮개(15)의 개방 또는 폐쇄 이동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4)의 깊은 단부 안으로 장착되는 형상을 취하더라도,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 또는 착탈시키기 위한 작동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하나와 관련되어 상술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수 있다.
개폐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진입 개폐 덮개(15)와, 개폐 덮개(15)의 개방 및 폐쇄 이동과 연관되어 움직이는 제1 및 제2 가이드(41)를 갖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4)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7)과,
감광 드럼(7)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싱 수단[대전 수단(8), 현상 수단(10), 세척 수단(11)]과,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일단부에 위치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로 장착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카트리지 프레임(CF)과,
제1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돌출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로 장착될 때 제1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하여 장치 본체(14) 내에 할당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S)를 향해 이송되도록 장치 본체의 제1 가이드(41) 상에 놓이는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와,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타단부에 위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로 장착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카트리지 프레임(CF)과,
제2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돌출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로 장착될 때 제2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하여 장치 본체(14) 내에 할당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S)를 향해 이송되도록 장치 본체의 제2 가이드(41) 상에 놓이는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와,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일단부 상에 있으며 제1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감광 드럼(7)과 동축이고,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부의 단부를 향해 장치 본체(14) 내로 적절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장치 본체(14)의 제1 위치결정부(44a)와 결합하는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와,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타단부 상에 있으며 제2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감광 드럼(7)과 동축이고,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부의 단부를 향해 장치 본체(14) 내로 적절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장치 본체(14)의 제1 위치결정부(90a)와 결합하는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를 포함한다.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서의 감광 드럼(7)의 일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로 장착된 후에 장치 본체(14)로부터 감광 드럼(7)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7a1)를 구비한다.
더욱이, 전술한 구동력 수용부(7a1)는 대체로 비틀린 삼각형 기둥의 형상인 돌기이다.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하여, 구동력 수용부는 대체로 이등변 삼각형인 축선에 수직인 단면을 갖는 비틀린 기둥 형상의 구멍 내로 결합된다.
감광 드럼(7)의 길이 방향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서 보아, 제1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 및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상류측에 있다. 더욱이,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전방 단부 및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전방 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무게 중심의 하류측에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에서 화성 형성을 위해 작동하는 위치에 있을 때,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전방 단부 및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전방 단부는 감광 드럼(7)의 축선과 교차하는 수직선에 대하여 상류측에 있다.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는 편평부(18b1)를 가지며, 이에 의해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가 장치 본체(14)의 제1 가이드(41),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서 상류로 연장되어 대각선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부(18b4) 상에 놓인다. 제1 카트리지 가이드는 부분(18b1)과 경사 면부(18b4)가 만나는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위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장치 본체(14)의 제1 가이드(41)에 의해 가압된다.
더욱이,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는 편평한 부분을 가지며, 이에 의해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가 장치 본체(14)의 제2 가이드(41),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상류로 연장되어 대각선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부(18b4) 상에 놓이고, 부분(18b1)과 경사면부(18b4)가 만나는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위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장치 본체(14)의 제2 가이드(41)에 의해 가압된다.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와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치 본체(14)의 제1 및 제2 가이드(41) 상에 놓인다. 그 다음, 이들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더 삽입됨에 따라 스프링(45)에 의해 발생된 저항을 받는다. 이들이 저항을 받으면,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는 장치 본체(14)의 제1 가이드(41)에 의해 가압되고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는 장치 본체(14)의 제2 가이드(41)에 의해 가압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에서 화상 형성 위치 내에 위치되면,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와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가 각각 장치 본체(14)의 제1 가이드(41)와 제2 가이드(41)로부터 떨어진다.
더욱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14)의 고정 가이드(44)의 회전 제어부(44b)와 접촉하여, 구동력 수용부(7a1)가 장치 본체(14)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할 때 발생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와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 주위에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제1 및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 18a) 둘레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규제부(18d, 맞닿음면)를 구비한다. 규제부(18d)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에서 화상 형성 위치에 있을 때 상방으로 면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카트리지 프레임(CF)의 외부 표면 상에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는 장치 본체(14)의 제1 위치결정부(44a) 내로 결합하고,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는 장치 본체(14)의 제2 위치결정부(90a) 내로 결합한다. 규제부(18d)가 장치 본체(14)의 고정 가이드(44)의 회전 제어부(44b)와 접촉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을 위해 기능하는 위치에 있다.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와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는 원통형이고, 전자가 후자보다 직경이 크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 및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가 각각 장치 본체(14)의 제1 및 제2 가이드(41) 상에 놓인 채로, 개폐 덮개(15)의 개방 이동에 의하여 장치 본체(14)로부터 나올 수 있는 위치로 이송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로부터 나올 수 있는 위치로 이송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저면은 장치 본체(14)의 돌기(16a)와 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로부터 나오는 방향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류측이 상승된다.
전술한 프로세싱 수단은 전자사진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10), 전자사진 감광 드럼(7)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8), 전자사진 감광 드럼(7)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사항을 보충하기 위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내로 장착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는,
(a) 본체(14)와,
(b)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포함하며,
(a) 본체(14)는
제1 가이드(41)와,
제2 가이드(41)와,
제1 위치결정 가이드(44a)와,
제2 위치결정 가이드(90a)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14) 내로 장착하기 위하여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14)로부터 착탈하기 위하여 개폐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진입 개폐 덮개(15)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에 할당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장치 본체(14)의 제1 및 제2 가이드(4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개폐 덮개(15)의 폐쇄 이동과 연관되어 움직이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며,
(b)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7)과,
감광 드럼(7) 상에 작용하는 가압 수단과,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일단부에 위치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로 장착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카트리지 프레임(CF)과,
제1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돌출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로 장착될 때 제1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하여 장치 본체(14) 내에 할당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S)를 향해 이송되도록 장치 본체의 제1 가이드(41) 상에 놓이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향으로 안내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서의 후방 단부에 의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장치 본체(14)의 제1 가이드(41)에 의해 가압되는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와,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타단부에 위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로 장착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카트리지 프레임(CF)과,
제2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돌출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로 장착될 때 제2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하여 장치 본체(14) 내에 할당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S)를 향해 이송되도록 장치 본체의 제2 가이드(41) 상에 놓이는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와,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일단부 상에 있으며 제1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감광 드럼(7)과 동축이고,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부의 단부를 향해 장치 본체(14) 내로 적절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장치 본체(14)의 제1 위치결정부(44a)와 결합하는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와,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타단부 상에 있으며 제2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감광 드럼(7)과 동축이고, 장치 본체(14)에 대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부의 단부를 향해 장치 본체(14) 내로 적절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장치 본체(14)의 제1 위치결정부(90a)와 결합하는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를 포함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와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는 각각 장치 본체(14)의 제1 가이드(41)와 제2 가이드(41) 상에 놓이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개폐 덮개(15)의 이동에 의하여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완전 폐쇄 위치로의 할당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로 이송된다.
장치 본체(14)는 구동력 전달부(83a)를 구비한다. 감광 드럼(7)은 축방향에서 일단부에 부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치 본체(14) 내로의 장착 후에 장치 본체(14)의 구동력 전달부(83a)로부터 감광 드럼(7)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7a1)를 구비한다.
구동력 수용부(7a1)는 대체로 비틀러진 삼각형 기둥 형상인 돌기이다. 구동력 수용부는 구동력 전달부(83a)와 동축인 구동력 전달부(83a)의 비틀린 구멍 내로 결합함으로써 구동력을 수용하고, 비틀린 구멍의 구동력 전달부(83a)의 축선에 수직인 단면은 대체로 이등변 삼각형 형상이다.
감광 드럼(7)의 종방향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서 보아,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 및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상류측에 있다. 더욱이,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전방 단부와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전방 단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무게 중심의 하류측에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에서 화상 형성을 위해 작동하는 위치에 있을 때,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전방 단부와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전방 단부는 감광 드럼(7)의 축선과 교차하는 수직선에 대하여 하류측에 있다.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는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가 장치 본체(14)의 제1 가이드(41) 상에 놓이는 평탄부(18b1)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의 관점에서 상류로 연장되고 대각선 방향으로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부(18b4)를 구비하고, 부분(18b1)과 경사면부(18b4)가 만나는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지점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장치 본체(14)의 제1 가이드(41)에 의해 가압된다.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는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가 장치 본체(14)의 제2 가이드(41) 상에 놓이는 평탄부(18b1)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의 관점에서 상류로 연장되고 대각선 방향으로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부(18b4)를 구비하고, 부분(18b1)과 경사면부(18b4)가 만나는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지점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장치 본체(14)의 제2 가이드(41)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장치 본체(14)에는 스프링(45)이 제공된다.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 및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장치 본체(14)의 제1 및 제2 가이드(41) 상에 놓인다. 다음에, 이들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더욱 더 삽입됨에 따라 스프링(45)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을 받게 된다. 이들이 저항을 받게 되면서,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는 장치 본체(14)의 제1 가이드(41)에 의해 가압되고,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의 후방 단부는 장치 본체(14)의 제2 가이드(41)에 의해 가압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의 화상 형성 위치에 위치될 경우,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 및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는 장치 본체(14)의 제1 가이드(41) 및 제2 가이드(41)로부터 각각 떨어져 있다.
또한, 장치 본체(14)에는 회전 제어부(44b)가 제공된다. 이에 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는 규제부(18d)(맞닿음면)가 제공되고, 이는 장치 본체(14)의 고정 가이드(44)의 회전 제어부(44b)와 접촉하고, 구동력 수용부(7a1)가 장치 본체(14)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함에 따라 발생되고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 및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의 주위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제1 및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b)의 주위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규제부(18d)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카트리지 프레임(CF)의 외부면 상에 있는데, 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의 화상 형성 위치 내에 있을 경우에 상방을 향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는 장치 본체(14)의 제1 위치결정부(44a)와 결합하고,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는 장치 본체(14)의 제2 위치결정부(90a)와 결합한다. 규제부(18d)가 장치 본체(14)의 고정 가이드(44)의 회전 제어부(44b)와 접촉할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을 위한 기능을 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 및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는 원통형이고,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는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 보다 직경이 더 크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개폐 덮개(15)의 개방 이동에 의해 장치 본체(14)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는 위치로 이송되고,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 및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는 장치 본체(14)의 제1 및 제2 가이드(41)에 각각 놓인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는 위치로 이송되는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저면은 장치 본체(14)의 돌기(16a)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로부터 빠져 나오는 방향의 관점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하류측은 상승된다.
전술한 처리 수단은 다음의 수단들, 즉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10)과, 전자사진 감광 드럼(7)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8)과, 전자사진 감광 드럼(7)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11)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한다.
장치 본체(14)에는 스프링(45)이 제공되는데, 이는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가 탄성에 의해 장치 본체(14)의 제1 위치결정부(44a)상에 가압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 본체(14)의 제1 위치결정부(44a)의 입구에 위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진행이 스프링(45)에 의해 저항을 받음에 따라,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의 관점에서 그 후방 단부에 의해 지정된 카트리지 위치를 향해 장치 본체(14)의 제1 가이드(41)에 의해 가압되어서,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는 장치 본체(14)의 제1 위치결정부(44a)에 들어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록 매체(2)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제거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A)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a) 제1 가이드(41)와, (b) 제2 가이드(41)와, (c) 제1 위치결정 가이드(44a)와, (d) 제2 위치결정 가이드(90a)와, (e)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14)에 장착하거나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14)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진입 개폐 덮개(15)와, (f)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의 지정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를 향해 이동되어서, 그 이동이 개폐 덮개(15)의 폐쇄 이동에 연동되도록 본체(14)의 제1 및 제2 가이드(41)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과, (g)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제거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7)과; 상기 감광 드럼(7)에 작용하는 프로세싱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7)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일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프로세트 카트리지(B)가 상기 장치 본체(14)에 장착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카트리지 프레임(CF)과; 상기 제1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돌출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에 장착될 경우에 제1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의 지정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를 향해 이송되도록 장치 본체의 제1 가이드(41) 상에 놓이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안내될 경우에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의 관점에서 후방 단부에 의해 장치 본체(14)의 제1 가이드(41)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와; 상기 감광 드럼(7)의 축방향의 관점에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타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프로세트 카트리지(B)가 상기 장치 본체(14)에 장착되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카트리지 프레임(CF)과; 상기 제2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돌출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에 장착될 경우에 제2 가이드(41)의 이동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 내의 지정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를 향해 이송되도록 장치 본체의 제2 가이드(41) 상에 놓이는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와; 감광 드럼(7)의 축방향의 관점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일단부 상에 있고 제1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고 감광 드럼(7)과 동축을 이루며, 장치 본체(14)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부의 단부를 향해 장치 본체(14)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적절히 위치결정시키도록 장치 본체(14)의 제1 위치결정부(44a)와 결합하는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와; 감광 드럼(7)의 축방향의 관점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타단부 상에 있고 제2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고 감광 드럼(7)과 동축을 이루며, 장치 본체(14)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부의 단부를 향해 장치 본체(14)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적절히 위치결정시키도록 장치 본체(14)의 제2 위치결정부(90a)와 결합하는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18a)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제1 카트리지 가이드(18b) 및 제2 카트리지 가이드(18b)는 장치 본체(14)의 제1 가이드(41) 및 제2 가이드(41)에 각각 놓여지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완전 개방 위치에서 완전 폐쇄 위치까지 개폐 덮개(15)의 이동에 의해 지정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하의 설명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14)에 장착 또는 해제되는 방향에 (시각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는 기록 매체의 표면에 평행하고, 상기 기록 매체가 이송되는 방향에 (시각적으로) 수직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측 및 우측은 위에서 보았을 경우에 기록 매체의 좌측 및 우측과 일치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면 및 저면은 상부 및 하부에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표면을 의미하는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 내에 있는 경우, 상방을 향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63 및 도64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6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그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6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그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순서에 있어서, 먼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채용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이어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거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해제 기구가 설명될 것이다.
(전반적인 구성)
도63을 참조하면,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A; 이하, "화상 형성 장치"로 칭함)는 광학 시스템(101)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로 변조된 광 비임을 광학 수단으로서의 광학 시스템(101)으로부터 감광 드럼(107) 상에 조사함으로써, 드럼 형태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107)(이하, "감광 드럼"으로 칭함)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현상제(이하, "토너"로 칭함)로 정전 잠상을 현상함으로써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한편, 카세트(103a) 내의 기록 매체(102; 종이, OHP 시트 및 직물 등)는 픽업 롤러(103b)에 의해 차례로 분리되면서 장치 본체에 공급되고, 가압 부재(103c)는 픽업 롤러(103b) 상에 가압되는 상태를 유지한 다음에, 토너 화상을 형성함과 동시에 정합 롤러(103e)에 의해 차례로 이송된다. 각각의 기록 매체(102)가 이송되는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감광 드럼(107) 상의 토너 화상은 전사 수단으로서의 전사 롤러(104)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기록 매체(102)에 전사된다. 이어서, 기록 매체(102)는 정착 수단(105)으로 이송되어, 급송 가이드(103f)에 의해 안내된다. 정착 수단(105)은 구동 롤러(105a)와, 히터(105b)를 내장한 회전 정착 롤러(105d)를 포함하고, 지지 부재(105c)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이는 기록 매체(102)상의 정착되지 않은 토너 화상과, 상기 기록 매체(102)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기록 매체(102) 상의 정착되지 않은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102)에 정착시킨다. 그 후, 기록 매체(102)는 더욱 더 이송되어, 한 쌍의 기록 매체 배출 롤러(103g) 및 한 쌍의 기록 매체 배출 롤러(103h)에 의해, 기록 매체 역전 통로를 통해 분배 트레이 속으로 해서 장치 본체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픽업 롤러(103b), 가압 부재(103c) 및 정합 롤러(103e) 등은 급송 수단(103)을 구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최소한 하나의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 수단은,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과,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과,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잔류하는 토너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 등이다. 도64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107), 즉 감광 층을 구비한 전자사진 감광 부재가 회전되는 동안, 대전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108)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107)의 주연면이 균일하게 대전되고, 감광 드럼(107)의 대전된 주연면을 화상 데이터로 변조되고 광학 시스템(101)으로부터 조사된 광 비임(광학 화상)에 노출시킴으로써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107)의 대전된 주연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정전 잠상은 현상 수단(110)에 의해 현상되는 구조를 갖는다.
현상 수단(110)은 토너 수용부(110a)의 토너를 토너 저장부(110a)의 외측으로 이송하는 제1 및 제2 회전 가능한 토너 이송 수단(110b2)과, 고정 자석(110c)을 포함하는 현상 롤러(110d)(현상 베어링 부재) 즉 회전 부재와, 현상 블레이드(110e)를 포함한다. 조작시에, 토너 저장부(110a) 내의 토너는 회전하는 현상 롤러(110d)의 인접부로 이송되고 마찰 전기를 갖는 토너 층은 현상 롤러(110)의 외주면 상에서 현상 블레이드(110e)에 의해 형성된다. 그 다음에, 토너 층 내의 토너 입자들은 감광 드럼 상의 정전 잠상에 따라 감광 드럼(107)의 외주면에 전사된다. 결과적으로, 잠상은 토너 화상 또는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된다.
다음으로, 토너 화상은 토너 화상에 반대 극성인 전압을 전사 롤러(104)에 인가함으로써 기록 매체(102)에 전사된다. 그 후에, 감광 드럼(107)의 외주면에 남아 있는 토너 입자들은 세척 수단(111)에 의해 제거되고, 세척 블레이드(111a)에 의해 벗겨지고 토너 포획 시트(111b)에 의해 포획되며 제거된 토너 입자용의 상자(111c) 내에 수집된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감광 드럼(10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세척 수단(111) 및 대전 롤러(108)를 보유하는 세척 수단 고정 프레임(113)과, 현상 수단(110)을 보유하고 토너 저장부(110a)를 수용하는 토너/현상 수단 고정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토너/현상 수단 고정 프레임(112)은 토너/현상 수단 고정 프레임(112)이 세척 수단 고정 프레임(113)에 대해 회전되고 현상 수단(110)의 현상 롤러(110d)가 소정의 갭이 있는 감광 드럼(107)에 평행하게 대향되는 방식으로 세척 수단 고정 프레임(112)에 부착되고, 한 쌍의 스페이서(도시 안됨)는 현상 롤러(110d) 및 감광 드럼(107) 사이에 배치되고, 소정량의 압력이 소정의 갭을 유지하도록 인가된다.
즉, 감광 드럼(107), 대전 롤러(108), 현상 롤러(110d), 세척 블레이드(111a) 등은 카트리지 내에 또는 감광 드럼(107), 대전 롤러(108), 현상 롤러(110d), 세척 블레이드(111a) 등이 화살표(X)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일렉트로-포토그래픽 화상 형성 장치 본체(14)(이하,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 칭함)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현상 수단 고정 프레임(112a), 현상 수단 저부 프레임(112b) 및 리드(112c)를 함께 용접함으로써 형성된 토너/현상 수단 고정 프레임(112)을 접합함으로써 형성된 이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레임(CF) 일체로 배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기구)
다음으로, 도65 내지 도67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에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6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서 상류측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우측면의 사시도이고, 도6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67은 도65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5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회전 가능하게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덮개(115)를 개방함으로써 장착 또는 분해된다. 덮개(115)가 개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 또는 분해하기 위한 개구(W)가 노출된다. 이러한 개구(W)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감광 드럼(107)의 축방향)면에서 차례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단부들에 위치하는 측면 플레이트들로서 상호 대향하는 좌우측 내부 플레이트(140)들과, 개구(W)의 저부 모서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전방 블레이드(143)의해 보조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살표(X)(도68)로 표시된 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로 장착될 수 있게 하는 크기로 제공된다. 내부 플레이트(140)의 내측면들 상에서, 카트리지 장착 부재로서의 한 쌍의 착탈 가이드(141) 및 진입 가이드로서의 한 쌍의 전방 가이드(142)가 제공되고 개구(W)에 수직이고 개구(W)를 좌우측 반부로 분리하는 수직면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착탈 가이드(141)는 착탈 가이드(141)의 내측면에서 개구(W) 측에서 가이드로서 가이드 홈(141a)을 구비한다. 이러한 가이드 홈(141a)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면에서 아래로 경사져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기록 매체(102)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검사하는 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로 삽입될 수 있다. 착착탈탈4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개구(W)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로 삽입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안내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일부로서의 가이드 리브(18b)(도66)는 가이드 홈(141a)으로 끼워지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착탈 가이드(141)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착탈 가이드(141)는 가이드 홈(141a)의 저부 단부인 리세스(141al)(도68)를 구비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가이드 리브(118b)의 선단부인 돌기(118bl)를 리세스(141al)로 끼워맞춤함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 내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가이드(142)는 착탈 가이드(141)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X) 면에서 상류측 상에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X)면에서 착탈 가이드(141)의 가이드 홈(141a)에 대해 연속적이다. 가이드(14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가이드 리브(118b)를 가이드 홈(142a)에 결합시킴으로써 착탈 가이드(141)로 안내될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143)는 개구(W)의 저부 모서리에 있다. 개구(W)에 대면하는 전방 플레이트(143)의 표면(143a)은 착탈 가이드(141) 및 전방 가이드(142)의 가이드 홈(141a)과 사실상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전방 플레이트(143)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개구(W)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로 용이하게 삽입시키는 지지 부재이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에는 전사 롤러(104)와 위치결정 수단으로서의 위치결정 가이드(144)가 제공된다. 전사 롤러(10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X)면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더 깊은 단부에 있다. 위치결정 가이드(144)는 축방향에서 전사 롤러(104)의 상부에 있다. 위치결정 가이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포획하고 화상 형성 위치[최종 프로세스 카트리지 위치(제2 위치)],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의 기능을 하는 위치로 보유한다. 또한, 위치결정 가이드(14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내부 플레이트(14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위치결정부(144a) 및 돌기(144b)를 구비한다. 위치결정부는 고정된 위치인 위치결정 보스(118a)가 결합하는 부분이다. 돌기(144b)는 위치결정부(144)에 대한 위치결정 보스(118a)의 통로로 침투된다. 돌기(144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위치로 이동되는 방향면에서 위치결정 가이드(144)의 상류 부분 상에 있고, 즉 장착/부해 가이드(141)가 제1 위치로부터 후술되는 제2 위치로 이동되는 방향면에서 위치결정 가이드(144)의 상류측 상에 있다. 돌기(144b)는 위치결정 보스(118a)가 돌기(144b)와 접촉하기에 충분히 높게 있으나, 위치결정 보스(118a)가 돌기(144b)를 넘는 것을 방지하도록 높지는 않다.
도67을 참조하면, 착탈 가이드(141)는 가이드 홈(141a)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여 위치하는 표면에 반대로 착탈 가이드(141)의 표면인 가이드들로서 제1 및 제2 보스(141b, 141c)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보스(141b, 141c)는 가이드 홈(141a)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X)으로 각각 하류 및 상류 측에 있다. 또한, 제1 보스(141c)는 제2 보스(141b)보다 더 높게 위치한다. 제1 보스(141b)의 단부에는 제1 보스(141b)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141e)가 제공되고 제2 보스(141c)의 단부에는 제2 보스(141c)의 반경 방향으로 굴곡되는 스냅식 끼워맞춤 갈고리(141c1)가 제공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내부 플레이트(140)에는 착탈 가이드(141)의 보스(141b, 141c)가 하나씩 결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부 고정 수단으로서의 2개의 가이드 레일(140a, 140b)이 제공된다. 가이드 레일(140a, 140b)의 폭(레일의 곡률 반경의 방향에서의 치수)은 보스(141b, 141c)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더 크다. 2개의 가이드 레일(140a, 140b)에서의 2개의 보스(141b)의 결합에 의해, 착탈 가이드(141)는 광학 시스템(101) 및 기록 매체(102)의 운반 경로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즉, 착탈 가이드(14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이동시킨다. 제1 보스(141b)가 끼워맞춤되는 제1 가이드 레일(140a)은 직선이고 위치결정 가이드(144)보다 더 높게 위치한다. 제1 가이드 레일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X)에서 내측 단부가 그 외측 단부보다 더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고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X)으로 분할된다. 제2 보스(141c)가 끼워맞춤되는 제2 가이드 레일(140b)은 제1 원호부(140b1)와 제2 원호부(140b2)를 구비한다. 제1 원호부(140bl)는 곡률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곡률의 중심은 회전축(115a) 또는 덮개(115)의 회전축과 일치한다. 제2 원호부(140b2)는 제1 원호부(140b1)와 연속되고, 제2 원호부(140b2)의 곡률 중심(도시 안됨)은 위치결정 가이드(144) 측 상에서 제1 가이드 레일(140a)의 단부 근처에 위치하고, 원호부(140b2)의 반경은 착탈 가이드(141)의 2개의 보스(141b, 141c)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덮개(115)에는 편평한 부재인 한 쌍의 팬형 플레이트(115b)(이하, "팬형 플레이트"로 칭함)가 제공된다. 팬형 플레이트는 길이 방향에서 차례로 덮개(115)의 단부 상에 있고 덮개(115)에 대한 회전축을 구비한다. 각각의 팬형 플레이트(115b)에는 원호부(115c1)와 직선부(115c2)를 포함하는 캠 구멍(115c)이 제공된다. 원호부(115c1)의 곡률 중심은 회전축(115a)의 회전축과 일치한다. 직선부(115c2)는 덮개(115)의 폐쇄 방향에서 원호부(115c1)의 내측 단부와 연속하고 원호부(115c1)의 반경 방향으로부터 덮개(115)의 폐쇄 방향면에서 내측 방향에 대해 약간 벗어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원호부(115c1)는 내부 플레이트(140)의 제1 가이드 레일(140b)의 제1 원호부(140b1)보다 반경면에서 더 작고 직선부(115c2)의 단부와 회전축(115a) 사이의 거리는 제1 가이드 레일(140b)(도68)의 제1 원호부(140b1)의 반경과 사실상 동일하다. 팬형 플레이트(115b)는 카트리지 장착 부재의 착탈 가이드(141)에 덮개(115)를 연결하는 이동형 연동 부재이다.
덮개(115) 및 착탈 가이드(141)는 다음의 방식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내부 플레이트(140)에 부착된다.
먼저, 회전축(115a)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으로 팬형 플레이트(115b)를 탄성적으로 굴곡시킴으로써 내부 플레이트(140)의 구멍(140c)에 끼워맞춤된다. 결과적으로, 덮개(115)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1에 표시된 화살표(Q)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축(115a)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개구(W)를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착탈 가이드(141)의 제1 보스(141b)의 팁 상의 돌기(141e)는 제1 가이드 레일(140a)의 원호부(긴 부분)와 정렬되고, 돌기(141e)는 제1 가이드 레일(140a)을 통하여 놓인다. 그 다음, 착탈 가이드(141)가 회전한다. 착탈 가이드(141)가 회전함에 따라, 돌기(141e)는 내부 플레이트(140)의 후방측 상에 걸어서, 착탈 가이드(141)가 내부 플레이트(140)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제2 보스(141c)는 제2 가이드 레일(140b)과 덮개(115)의 캠 구멍(115c)을 통하여 놓인다. 그 결과, 제2 보스(141c)의 팁 상의 스냅식 끼워맞춤 갈고리는 팬(fan)과 같은 플레이트(115b)의 후방측 상에 건다.
다른 한편으로, 도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각 단부면에는 안내될 가이드로서 가이드 리브(118b)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를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14) 내에 고정시키는 부분들 중 하나로서 위치결정 보스(118a)가 구비된다. 가이드 리브(118b)는 착탈 가이드(141)의 가이드 홈(141a) 내에 끼워지고, 위치결정 보스(118a)는 위치결정 가이드(144) 내에 끼워진다. 위치결정 보스(118a)의 회전축은 감광 드럼(107)의 회전축과 일치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장착 또는 그로부터의 착탈되는 단계는 도68 내지 도72를 참고로 설명될 것이다.
도68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14)의 덮개(115)가 완전히 개방될 때, 서로 연결된 전방 가이드(142) 및 착탈 가이드(141)가 보인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방 가이드(142)의 가이드 홈(142a)은 착탈 가이드(141)의 가이드 홈(141a)과 연속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즉 전방 가이드(142)의 가이드 홈(142a)이 착탈 가이드(141)의 가이드 홈(141a)과 연속하는 경우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가이드 리브(118b)가 기재된 순서대로 가이드 홈(142a, 141a)과 결합한 상태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가이드 리브(118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 착탈 가이드(141)의 가이드 홈(141a)의 내향 단부와 접촉할 때까지,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14) 내에 삽입된다. 그 결과, 가이드 리브(118b)의 돌기(118b1)(도68)는 가이드 홈(141a)의 리세스(141a) 내에 끼워진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착탈 가이드(141)에 대해 고정된 방식으로 착탈 가이드(141)에 의해 지지된다. 즉, 가이드 홈(141a)이 전방 가이드(142)의 가이드 홈(142a)과 연속하는 위치(제1 위치)에 착탈 가이드(141)가 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착탈 가이드(141) 내에 장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착탈 가이드(141) 내에 장착 가능한 위치, 즉 가이드 홈(141a)이 전방 가이드(142)의 가이드 홈(142a)과 연속하는 위치에 착탈 가이드(141)가 있을 때, 착탈 가이드(141)는 장착 초기 단계에서의 가이드 홈(141a)에 후속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14)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는 방향이 기록 매체(102)가 급송 수단(103)에 의해 이송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그러한 자세(제1 자세)를 가정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X)에 대해 하향 경사지는 것을 요구(허용)한다. 이는, 덮개(115)가 완전히 개방될 때, 팬 형상 플레이트(115)의 캠 구멍(115c)의 직선부(115c2)의 단부가 착탈 가이드(141)의 제2 보스(414c)로 이동하고, 착탈 가이드(141)의 제1 보스(141b)는 (개구(W)측 상의) 제1 가이드 레일(140a)의 단부에 남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가 구성되기 때문이다. 도68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저면으로부터 가이드 리브(118b)의 수직 거리(h)는 착탈 가이드(141)의 가이드 홈(141a)과 전방 플레이트(143)의 경사면(143a) 사이의 거리(l)와 사실상 동일하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저면이 전방 플레이트(143)의 경사면(143a) 상에 정지해 있을 때, 가이드 리브(118b)는 착탈 가이드(141)의 가이드 홈(141a) 내에 자동적으로 안내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141a, 142a)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X)에 대해 하향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일단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가이드 리브(118b)가 가이드 홈(141a, 142a) 내로 안내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자체 무게에 의해 착탈 가이드(141)의 내향으로 안내된다. 이때, 가이드 홈(141a, 142a)의 경사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만일 가이드 홈(141a, 142a)의 경사가 너무 느리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착탈 가이드(141)의 내향으로 안내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달리, 만일 가이드 홈(141a, 142a)의 경사가 너무 급하면, 가이드 리브(118b)가 착탈 가이드(141)의 내향으로 여전히 이동하는 동안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해제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가이드 홈(141a)의 내향 단부를 타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또는 장치 본체에 손상을 가할 만한 충격이 생성될 만큼 충분히 빠르게 하향 활주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는 수평 방향에 대해 10 내지 70도의 범위로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홈(141a, 142a)의 경사는 수평 방향에 대해 40도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 내의 착탈 가이드(141)는 착탈 가이드(141)가 덮개(115)의 개방 또는 폐쇄 운동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착탈 가이드(141)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의해 ALF리면, 착탈 가이드(141)는 이동하여, 전방 플레이트(143)의 경사면(143a)에서부터 가이드 홈(141a)까지의 거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저면에서부터 가이드 리브(118b)까지의 거리 사이의 관계를 교란시켜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성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착탈 가이드(141)가 과도하게 이동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가이드 리브(118b)는 착탈 가이드(141) 아래의 공간으로 활주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14)로 빠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는 전방 가이드(142)가 제공된다. 이는, 착탈 가이드(141)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X)에 대한 상류측 상에서 내부 플레이트(140)에 고정되고, 착탈 가이드(141)의 가이드 홈(141a)에 연결하는 가이드 홈(142a)을 갖는다. 전술된 문제는 가이드 리브(118b)가 착탈 가이드(141)의 가이드 홈(141a) 내에 안내되는 것을 보장하는 이러한 전방 가이드(142)에 의해 해결된다.
다음으로, 도68 내지 도72에, 가이드 리브(118b)에 의해, 착탈 가이드(141)에 의해 지지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덮개(115)의 폐쇄 운동에 의해 이동되는 단계가 설명될 것이다.
도68 및 도69에서, 덮개(115)가 회전축(115a)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폐쇄될 때, 착탈 가이드(141)의 제2 보스(141c)는, 제2 가이드 레일(140b)의 제1 원호부(141b1)를 따라서, 팬 형상의 플레이트(115b)의 캠 구멍(115c)의 직선부(115c2)의 단부에 의해 이동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원호부(140b1)의 곡률 중심은 덮개(115)의 회전축 또는 회전축(115a)과 일치하고, 그 반경은 캠 구멍(115c)의 직선부(115c2)의 단부와 회전축(115a)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덮개(115)가 폐쇄될 때, 착탈 가이드(141)의 제1 보스(141b)는, 제1 가이드 레일(140a)을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X)에 대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14)의 내향으로 또한 이동한다. 그 결과, 착탈 가이드(14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내향 이동하여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을 위한 자세를 보장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자세를 바꾼다.
덮개(115)가 더 폐쇄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보스(118a)의 주연 표면이, (도70의) 화상 형성 위치 쪽으로 이동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궤적에 대해, 위치결정 가이드(144)의 위치결정부(144a)에 대한 상류측 상에 있는 위치결정 가이드(144)의 돌기(144b)와 접촉할 때까지, 점진적으로 수평으로 되는 동안,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14)의 깊은 내의 화상 형성 위치로 접근한다.
덮개(115)가 더 폐쇄되면, 착탈 가이드(141)는 화상 형성 위치로 더 가까이 이동하여, 가이드 홈(141a)의 리세스(141a1)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가이드 리브(118b)의 돌기(118b1)를 밀게 한다. 그 결과, 위치결정 보스(118a)는 위치결정 가이드(114)의 돌기(114b) 위로 가게 된다. 위치결정 보스(118a)는, 돌기(114b) 위로 간 후에, (도7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무게로 인해 위치결정 설정부(144a)와 돌기(144b)의 최고 지점(144b1) 사이의 수직 거리와 동일한 거리가 된다. 그 결과, 이 지점까지 착탈 가이드(141)에 의해, 가이드 홈(141a) 내의 가이드 리브(118b)에 의해, 지지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위치결정 가이드(144)의 위치결정부(144a)에 의해, 위치결정 보스(118a)에 의해 지지되는 데, 이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단부벽으로부터 돌출하고, 그의 축선은 감광 드럼(107)의 회전축과 일치한다. 감광 드럼(107)과 동축인 위치결정 보스(118a)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14)의 내부 플레이트(140)에 고정된 위치결정 가이드(144)에 의해 지지되는 이러한 구조적 배치를 마련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14) 내에 매우 정확히 위치되고, 특히 전사 롤러(104)와 광학 시스템과 같은 부품들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 감광 드럼(107)에 대한 그의 위치결정 관계는 정확한 것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간 동안 덮개(115)와 착탈 가이드(141)의 이동에 관한 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보스(118a)가 위치결정 가이드(144)의 돌기(144b) 위를 갈 때,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114)의 내향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밀기 위한 착탈 가이드(141)의 리세스(144a1)의 이동은 도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실상 끝난다. 이 시점에서, 착탈 가이드(141)의 제2 보스(141c)는 내부 플레이트(140)의 제2 가이드 레일(140b)의 제1 및 제2 원호부(140b1, 140b2) 사이의 접촉점(교점)에 있고, 제1 보스(141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에 대해 제1 가이드 레일의 단부의 내향으로) 내부 플레이트(140)의 제1 가이드 레일(140a)의 상단부에 있다. 그러므로, 착탈 가이드(14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위치에 있을 때 기록 매체(102)가 급송 수단(103)에 의해 이송되는 방향에 가이드 홈(141a)이 사실상 평행한 그러한 자세를 가정한다. 즉, 제2 위치에서, 착탈 가이드(141)는 제1 위치로 가정하는 자세와 다른 자세로 가정한다.
덮개(115)가 더 폐쇄되면, 착탈 가이드(141)의 제2 보스(141c)는, 도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구멍(115c)의 직선부(115c2)의 경사에 의해 제2 가이드 레일(140b)의 제2 원호부(140b2)로 이동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원호부(140b2)의 곡률 중심은 제1 가이드 레일(140a) 내에 있고, 제2 원호부(140b2)의 반경은 착탈 가이드(141)의 제1 및 제2 보스(141b, 141c)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착탈 가이드(141)의 운동은 착탈 가이드(141)의 제2 보스(141c)가 제2 원호부(140b2)의 바닥 단부와 접촉할 때 끝난다.
이 때, 덮개(115)는 총 회전 영역의 약 절반만이 회전하였다. 덮개(115)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컨대, 덮개(115)가 완전히 폐쇄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착탈 가이드(141)의 이동에 의해 화상 형성 위치로의 도중에 계속 가압되는 구조인 경우에, 사용자가 도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로 삽입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착탈 가이드(141)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덮개(113)는 폐쇄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착탈 가이드(141)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이동하도록 덮개(115)의 전체 회전 각도가 요구되는 구조의 경우에,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내부로 더 깊이 밀려고 할 때, 덮개(115)가 폐쇄 상태시 접촉을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팔은 덮개(115)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외측면의 영역의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불쾌한 점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는 덮개(115)의 폐쇄 회전의 전체 범위의 제1 절반만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을 위해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내부로 더 깊이 미는 경우에도, 덮개(115)는 폐쇄 상태시 접촉을 유지하면서, 덮개(115)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외측면의 영역의 사이에 충분한 갭이 유지될 것이며, 이로써, 사용자의 팔은 끼지 않을 것이다.
위치결정 보스(118a)가 위치결정 가이드(144)의 돌기(114b)를 타올라 넘어갈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보스(118a)가 받는 저항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덮개(115)의 폐쇄 이동에 의해 정상 위치(화상 형성 위치)로 장착된 것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딸깍 소리가 나는 느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정상 위치로 장착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착탈 가이드(141)가 그 이동 범위의 가장 깊숙한 곳까지 이동될 때, 착탈 가이드(141)의 제2 보스(141c)는 팬 형상의 플레이트(115b)(도72)의 캠 구멍(115c)의 제2 원호부(115c1)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원호부(115c1)의 곡선 중심은 덮개(115)의 회전축과 일치하고, 제2 원호부(115c1)의 폭(반경 방향에서의 수치)은 착탈 가이드(141)의 제2 보스(141c)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착탈 가이드(141)가 그 이동 범위의 가장 깊숙한 끝부분으로 이동된 이후에 덮개(115)가 더욱 폐쇄될 때, 착탈 가이드(141)의 제2 보스(141c)는, 캠 구멍(115c)의 제2 원호부(115c1)을 따라 이동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 또는 착탈하기 위한 개구(W)가 덮개(115)에 의해 완전히 덮여질 때까지(완전한 폐쇄 상태), 착탈 가이드(141)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덮개(115)의 폐쇄를 종료시킨다.
덮개(115)가 상술한 바와 같이 완전히 폐쇄된 이후에, 화상 형성 명령이 주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을 개시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어진다. 주 모터가 구동되면, 구동력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감광 드럼(107)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서 전방 단부에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회전 제어부(12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도63)의 회전 제어부 파지부(119)와 접촉하게 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는, 회전 제어부(120)가 회전 제어부 파지부(119)와 접촉하게 되는 순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 좌우측 위치결정 가이드(144)에 의해 지지되는 좌우측 위치결정 보스(118) 및 회전 제어부(120)에 적절하게 위치하게 되고, 각 가이드 리브(118b)는 착탈 가이드(141)의 가이드 홈(141a)의 바닥벽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고, 가이드 홈(141a)에 수직 방향으로 부유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우측 위치결정 가이드(144)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좌우측 위치결정 보스(118a, 118b)를 각각 지지하는 이유로는, 고품질의 고 정밀 화상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에 고도로 정밀하게 위치하여야 하며, 착탈 가이드(141)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 이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착탈 가이드(141)가 어디에서 정지하는지를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에, 착탈 가이드(141)의 사용으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고도로 정밀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다음에, 덮개(115)를 개방시킴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부터 착탈 가이드(141)를 제거하도록 하는 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말하면, 상술한 단계의 역으로 진행될 것이다.
도72에 도시된 상태로 덮개(115)가 개방됨에 따라, 착탈 가이드(141)의 제2 보스(141c)는 팬 형상의 플레이트(115b)의 캠 구멍(115c)의 제2 원호부(115c1)에 머무른다. 다시 말하면, 덮개(115)의 개방 작동의 전체 범위의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유일한 것은 덮개(115)가 개방되는 것이다. 도70 및 도71을 참조하면, 덮개(115)가 그 개방 작동의 전체 범위의 중간 지점을 넘어서 개방될 때, 착탈 가이드(141)의 제2 보스(141c)는 캠 구멍(115c)의 직선부(140b2)와 내측 플레이트(140)의 제2 가이드 레일(140b)의 제2 원호부(140b2)에 의해 가이드 레일(140b)의 제2 원호부(140b1)으로 상승한다. 그 결과, 착탈 가이드(141)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단계에서, 착탈 가이드(141)의 가이드 홈(141a)의 벽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가이드 리브(118b)와 접촉하게 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보스(118a)는 분리하여 위치결정 가이드(144)의 위치결정부(144a)로부터 이격 이동하기 시작한다. 덮개(115)가 이 지점으로부터 더욱 개방될 때, 착탈 가이드(141)의 제2 보스(141c)는 제2 가이드 레일(140b)과 팬 형상의 플레이트(115b)의 캠 구멍(115c)의 직선부(115c2)의 단부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 또는 착탈하기 위해 개구(W)를 향하여 이동된다. 제2 보스(141c)가 이동되면, 제1 보스(141b)도 또한 제1 가이드 레일(140a)에서 이동하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위치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덮개(115)가 개방된 상태로 계속 있을 때(완전 개방 상태), 착탈 가이드(141)는 도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가이드(142)의 가이드 홈(142a)과 연속하게 되는 위치(제1 위치)로 이동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개구(W)를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외부로 인출되게 한다.
상술한 단계에서, 착탈 가이드(141)의 제2 보스(141c)는 팬 형상의 플레이트(115b)의 캠 구멍(115c)의 직선부(115c2)의 단부로 이동되며, 덮개(115)가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멈춤부로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있어서, 완전 개방되는 위치에서 완전 폐쇄되는 위치로의 덮개(115)의 폐쇄 이동에 의해, 착탈 가이드(141)의 2개의 보스(141b, 141c)는 각각 2개의 가이드 레일(140a, 140b)의 벽들 상에 활주하면서 2개의 가이드 레일(140a, 140b)을 따라가도록 되어 있다. 덮개(115)의 폐쇄 작동 중의 전반 중에, 착탈 가이드(14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착탈 가이드(141)로부터 제거 가능한 위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을 위해 작용하는 제2 위치로 이동되며, 덮개(115)의 폐쇄 작동 중의 후반 중에, 착탈 가이드(141)의 보스(141c)는 캠 구멍(115c)의 벽들 상에 활주하면서, 덮개(115)의 캠 구멍(115c)을 따라가도록 됨으로써, 덮개(115)는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한편,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완전 개방 위치로의 덮개(115)의 개방 작동에 의해, 착탈 가이드(141)의 보스(141c)는 덮개(115)가 중간 정도 개방되도록 하면서 덮개(115)의 캠 구멍(115c)을 따라가도록 되어 있으며, 덮개(115)의 개방 작동의 후반 중에, 착탈 가이드(141)의 2개의 보스(141b, 141c)는 착탈 가이드(141)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140a, 140b) 상에 활주하면서, 가이드 레일(140a, 140b) 상에 따라가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적 배열의 제공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덮개(115)의 개방 또는 폐쇄 작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상기 화상 형성 위치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더 깊은 끝부분에 있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라도,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용이하게 장착 또는 착탈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덮개(115)의 개방 작동 중 전반과 덮개(115)의 개방 자동 중 후반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 내에 이동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화상 형성 위치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더 깊은 끝부분에 있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라도,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 또는 착탈할 때 손가락 및/또는 팔이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에 구비되는 것이 불필요하며, 더욱이,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더 깊게 밀더라도, 사용자의 팔은 덮개(15)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외부에 의해 끼지 않을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유용성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유지 또는 개선될 수 있으며, 전자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A)내의 다양한 작동 유니트들의 교체의 범위를 더 넓게 제공하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의 더 깊은 끝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이, 착탈 가이드(141)는 광학 시스템(101)과 급송 수단(103)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위치에서, 기록 매체(102)가 급송 수단(103)에 의해 이송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가이드 홈(141a)으로 삽입되는 방향(X)을 형성하도록 대각선으로 하향하는 방향으로 지칭되는 자세(제1 자세)를 상정한다. 제2 위치에서, 착탈 가이드(141)는 제1 위치에서 상정하는 자세와 다른 자세를 취한다. 따라서, 광학 시스템(101)과 급송 수단(103)의 사이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착탈 가이드(141)로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착탈 가이드(141)의 하향 경사 자세에서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가이드 홈(141a)으로 활주하고, 다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착탈 가이드(141)가 제2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 착탈 가이드(141)에 대해 정지 상태에 머무르게 된다.
착탈 가이드(141)가 제1 위치에 있고,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가이드 리브(118b)에 의해, 가이드 홈(141a)에 의해 지지된 체로 남으며, 착탈 가이드(141)가 제2 위치 또는 화상 형성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보스(118a)의 위치는 위치결정 가이드(144)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지지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작동 중에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된다.
또한, 착탈 가이드(141)를 이동시키기 위한 댐 구멍(115c)을 갖춘 팬형 플레이트(115b)가 덮개(115)의 일부로서 제공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대한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이어서 다수의 조립 단계의 증가를 저감한다. 그러므로, 비용 증가가 억제된다.
또한, 공정 카트리지(B)는 착탈 가이드(141) 쌍에 의해 각각 지지된 가이드 리브(118b) 쌍 및 위치결정 가이드(144) 쌍에 의해 각각 지지된 위치결정 보스(118a)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좌우 착탈 가이드(141) 및 좌우 착탈 위치결정 가이드(144)는 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대해 좌우 반쪽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나누는 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게 배치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에 수직 방향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배칠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종방향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측정은 증가되지 않는다.
위치결정 가이드(14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보스(118a)가 연결된 위치결정부(114a) 및 착탈 가이드(141)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위치결정부(144a)에 대하여 상부 측면 상에 있고 위치결정부(144a)에 대해 위치결정 보스(118a)의 이론적인 직선 경로 내에 돌출하는 돌기(144b)가 제공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착탈 가이드(141)의 이동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결정 보스(118a)는 돌기(144b)와의 접촉부로 들어가며, 이어서 위치결정 가이드(144)로 안내되도록 돌기(144b) 위로 가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착탈 가이드(141)로부터 위치결정 가이드(144)로 통과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향(X)에 관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착탈 가이드(141) 내로 안내하기 위한 전방 가이드(142)는 착탈 가이드(141)에 대하여 상부 측면 상에 있다. 그러므로, 착탈 가이드(141)가 제1 위치에 있으며,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 및 피가이드의 실시예)
다음으로, 가이드 및 피가이드의 구조가 설명된다.
제2 위치(작업 위치)에서, 전사 성능이 만족할 만한 수준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감광 드럼(107)과 전사 롤러(104) 사이에 형성된 닙은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송되면서 전사 롤러(104) 및 다양한 전기 접촉부(도시 생략)로부터의 반력을 받도록, 제2 위치 근방에 구성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이러한 반력에 대항하여 제2 위치 내로 밀려져야 한다.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반력에 대항하여 제2 위치 내로 밀려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착탈 가이드(141)의 가이드 홈(141a, 141h)은 단차부(141f)에 의해 도73 및 도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다. 또한, 단차부(141f)의 돌출 모서리부는 지지부(141g)가 제공된다. 착탈 가이드(141)는 착탈 가이드(141)의 이러한 지지부(141g)의 표면이 착탈 가이드(141)의 종방향에 평행하고, 가이드 홈(141a)에 대한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단차부(141f) 및 지지부(141g), 즉, 단차부(141f)의 한 부분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조절한다. 다른 말로, 이러한 지지부(141g)는 카트리지 장착 공간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자세를 조절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조절하는 그러한 조절부이다. 이러한 조절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설명된다.
도75 및 도76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가이드 리브(118b)는 토너/현상 수단지지 프레임(112)을 접하는 바닥 모서리부 상에 있고 착탈 가이드(141)의 지지부(141g)에 대응하는 지지부(118b2)가 제공된다. 가이드 리브(118b) 상의 지지부(118b2)는 착탈 가이드(141) 측면 상에 지지부(141g)와 연결되고 그로부터 연결 해제되는 부분이며, 다른 말로, 지지부(141g)에 의해 조절되는 부분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지지부(118b2)의 단면의 각도는 착탈 가이드(141)의 종방향에 평행인 착탈 가이드(141) 측면 사이의 지지부(141g)의 표면과 가이드 홈(141g) 사이의 각과 동일하며, 예각이다.
도77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 내에 삽입되어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제1 위치에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덮개(115)의 폐쇄 이동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제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전사 롤러(104), 다양한 전기 접촉부(도시 생략) 등으로부터의 반력의 조합에 대상이 된다.
도78 내지 도80을 참조하면, 이러한 반력의 조합은 착탈 가이드(141)만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좌측 뒤편이 되도록 가압하는 방식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작용한다. 그러나, 착탈 가이드(141)가 제2 위치를 향해 이동되기 시작함에 따라, 착탈 가이드(141)의 지지부(141g)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가이드 리브(118b)의 지지부(118b2)와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제2 위치로 이동되기 시작한 착탈 가이드(141) 상에 고정되어 있게된다.
도80을 참조하면, 밀려지는 측면인 가이드 리브(118b)는 화살표 F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는다. F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두 개의 요소로 나누어지는데, 제2 방향을 향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인 화살표 F1로 표시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가이드 리브(118b)를 착탈 가이드(141) 상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인 화살표 F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F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존재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착탈 가이드(141)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전사 롤러(104) 등으로부터의 반력의 조합에 대상이 될지라도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제2 위치 내로 가압되는 것이 보장한다.
착탈 가이드(141)에 고정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는 위에서 설명된 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82 내지 도85에 도시된 구조는 위에서 설명된 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착탈 가이드(141)는 착탈 가이드(141)의 가이드 홈(141a, 141h) 사이에 위치한 포켓(141i)이 제공되고, 반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가이드 리브(118b)는 수직 리브(118c)가 도8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141I) 내에 연결되도록 수직 리브(118c)가 제공된다.
도87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착탈 가이드(141) 및 가이드 리브(118b)에 각기 지지부(141g, 118b2)가 제공되지 않고, 착탈 가이드(141)의 단차부의 표면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가이드 리브(118b)의 대응하는 표면이 각기 착탈 가이드(141) 및 가이드 리브(118b)의 종방향에 수직인 경우에, 가이드 리브(118b)는, 도88 및 도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전사 롤러(104)로부터의 반력을 받음에 따라, 전사 롤러(104)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이동되고, 제2 위치 근처에 이른다. 그러나, 착탈 가이드(141)의 이동은 덮개(115)의 폐쇄 이동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착탈 가이드(141)만이, 프로세스 카트리지(B) 뒤를 떠나, 제2 위치로 이동된다. 다른 말로, 도87에 도시된 구조의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 내로 불안전하게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말하자면, 가이드 리브(118b)와 착탈 가이드(141) 사이에 아무런 갭이 없어서 전자가 착탈 가이드(141)와 완벽하게 맞춰지는 구조의 경우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에서 설명한 불완전한 장착에 대한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배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14)로부터 빼내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작동 효율에 나쁜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소정의 간격이 착탈 가이드(141)와 가이드 리브(118B) 사이에 제공되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이동시키고,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 또는 착탈되는 자세를 제어하기 위하여, 각 착탈 가이드(141)는 두 개의 가이드레일(140a, 140b)에 의해 안내된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이 실시예의 방법에 한정될 필요가 없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착 또는 착탈되는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도 이 실시예의 방법에 한정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이드를 안내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부의 좌우 벽은 카트리지 장착 방향에 관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가이드레일이 제공되고, 경사는 더 깊은 단부를 향하여 감소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카트리지 장착부 내로 이동시키거나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그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활주 또는 연계 기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첨언하면, 착탈 가이드의 이동이 덮개의 이동과 연계되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 오히려, 앞에서의 활주 또는 연계 기구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덮개는 착탈 가이드의 이동에 관계없이 개방 또는 폐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 가능하며, 화상 형성 장치는 이동 가능한 착탈 가이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단색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다중 색상 예를 들어, 2색 화상, 3색 화상 및 전색상 화상 등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현상 수단을 갖는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하다.
전자사진 감광 부재는 감광 드럼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감광 부재는 무정형 실리콘, 무정형 셀레늄, 아연 산화물, 산화물 티타늄, 유기성 광 도전체(OPC) 등의 광 도전체일 수 있다. 감광 부재는 드럼 또는 벨트의 형태를 취하고 있을 수 있다. 드럼 형태의 감광 부재의 경우에 있어서, 광 도전체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제조된 실린더 상에 인가되거나 증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두 가지 성분의 토너를 이용한 자기 브러시 현상 방법(magnetic brush developing method), 캐스케이드 현상 방법(cascade developing method), 터치다운 현상 방법(touch-down developing method), 클라우드 현상 방법(cloud developing method) 등의 다양하게 공지된 현상 방법으로 바람직하게 이용 가능하다.
전술한 대전 수단의 구조는 소위 접촉 형태의 대전 방법으로서, 3측면에서 알루미늄 금속 외장으로 밀폐된 텅스텐 와이어를 포함하는 공지된 대전 수단을 포함하는 공지된 대전 수단으로서, 균일하게 대전된 표면에 감광 드럼의 표면으로 배향된 이러한 텅스텐 와이어에 고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된 양극 또는 음극 이온이 이용 가능하다.
대전 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은 롤러 형태, 블레이드 형태(대전 블레이드), 패드 형태, 블록 형태, 로드 형태, 와이어 형태 등 일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예를 들어,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장치의 본체에 단위체로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대전 수단을 포함하며,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현상 수단을 포함하며,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세척 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을 포함하며, 카트리지는 장치의 본체에 단위체로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대전 수단,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의 형태를 취한 세척 수단 및 현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현상 수단 및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일체식으로 포함한 카트리지일 수 있으며,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사용자에 의해 장치의 본체로부터 장착되거나 착탈된다. 이는 장치의 관리가 사실상 사용자에 의해 수행됨을 의미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레이저 비임 프린터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여겨지나, 본 발명은 이로 제한되지 않으며, 전자사진 복사기, 팩시밀리기, 워드 프로세서 등의 또 다른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헤드가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따르면,
(1) 작동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경사진 하향 방향으로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전사하기 위해 감광 드럼에 압박된 전사 롤러를 구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안으로 삽입시키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감광 드럼이 개폐 부재의 폐쇄 작동에 연동하여 수평 방향으로 대체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그리고 나서 감광 드럼이 전사 롤러 부근에 도달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이 경사진 하향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작동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쉽게 삽입시킬 수 있으며, 전사 롤러는 덮개를 밀폐함으로써 초래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에 의해 가압된다.
(2)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제1 및 제2 카트리지는 제1 및 제2 본체에 의해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 내에 제공된 스프링에 의해 저항을 받을 때 제 1 및 제2 본체는 제1 및 제2 카트리지 가이드의 푸싱 후단부를 안내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3)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덮개가 열린 이동 가이드 상에 장착된 이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덮개의 폐쇄 작동과 연동하여 진행하며, 드럼 셔터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에 응답하여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 부재(이동 가이드)에 장착할 때, 드럼 셔터의 개방에 대한 저항으로 인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중도에서 중지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충분히 깊게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작동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전술한 구조들을 참조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하기의 청구범위의 영역 또는 개선의 취지 내에서 변형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8)

  1. 개폐 가능한 개폐 부재, 상기 개폐 부재의 개폐 작동에 연동하여 이동 가능한 제1 본체 가이드, 및 제2 본체 가이드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돌출된 제1 카트리지 가이드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는 제1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가 제1 본체 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본체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향해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는 제1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피지지부 및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상류측을 향해 밑으로 경사진 경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피지지부와 상기 경사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은 제1 본체 가이드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1 카트리지 가이드와,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 타단부에서 장착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와,
    상기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돌출된 제2 카트리지 가이드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는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가 제2 본체 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향해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는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피지지부 및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상류측을 향해 밑으로 경사진 경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피지지부와 상기 경사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은 제2 본체 가이드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 카트리지 가이드와,
    상기 감광 드럼의 상기 축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 있고 상기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제1 본체 위치결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결정하는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와,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 타단부에서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 있고 상기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제2 본체 위치결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결정하는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상기 축방향 일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본체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받는 구동력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비틀린 돌기의 형태를 취하고 있고,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비틀린 구멍과 결합하여 구동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의 후단부 및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의 후단부는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무게 중심의 상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의 선단부 및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의 선단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무게 중심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의 화상 형성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의 선단부 및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의 선단부는 상기 감광 드럼의 축을 통과하는 수직 평면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 및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는 제1 본체 가이드와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면서 장착 방향으로 이동되며,
    장착 방향에서의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이 본체 내에 제공된 스프링에 의해 저항을 받을 때,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는 후단부에서 제1 본체 가이드에 의해 눌려지며,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는 후단부에서 제2 본체 가이드에 의해 눌려지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와 제1 본체 가이드는 분리되며,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와 제2 본체 가이드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장치의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때, 장치의 본체의 고정부와 맞닿아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와 상기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의 화상 형성 위치에 위치될 때 상부 위치를 차지하는 카트리지 프레임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와 제1 본체 위치결정부가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와 제2 본체 위치결정부가 서로 결합하고 상기 규제부와 고정부가 서로 맞닿을 때, 화상 형성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 및 상기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는 원형이며, 상기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의 원의 직경은 상기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의 원의 직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가 제1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리고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가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개폐 부재의 개방 동작에 의해 취출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취출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저면이 상기 장치의 본체의 돌기와 맞닿아 취출 이동 방향에 대해 하류측이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 및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이며,
    (a) 제1 본체 가이드와,
    제2 본체 가이드와,
    제1 본체 위치결정부와,
    제2 본체 위치결정부와,
    상기 장치의 본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을 허용하도록 개폐 가능한 개폐 부재와,
    상기 개폐 부재의 폐쇄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본체 가이드 및 제2 본체 가이드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을 구비하는 본체와,
    (b)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돌출된 제1 카트리지 가이드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1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가 상기 제1 본체 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향해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는 상기 제1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피지지부 및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을 향해 밑으로 경사진 경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피지지부와 상기 경사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은 상기 제1 본체 가이드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1 카트리지 가이드와,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 타단부에서 장착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와,
    상기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돌출된 제2 카트리지 가이드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가 상기 제2 본체 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향해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는 상기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피지지부 및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을 향해 밑으로 경사진 경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피지지부와 상기 경사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은 상기 제2 본체 가이드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 카트리지 가이드와,
    상기 감광 드럼의 상기 축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 있고 상기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상기 제1 본체 위치결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결정하는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와,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 타단부에서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 있고 상기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상기 제2 본체 위치결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결정하는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를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가 상기 제1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가 상기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 부재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폐쇄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장착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본체 내에 제공된 구동력 전달부와,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 일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본체로부터 상기 감광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받는 구동력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삼각형 단면을 갖는 비틀린 돌기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력 수용부는 삼각형 단면을 갖는 비틀린 구멍과 결합하여 구동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16.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종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의 후단부 및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의 후단부는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무게 중심의 상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의 선단부 및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의 선단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무게 중심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의 화상 형성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의 선단부 및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의 선단부는 상기 감광 드럼의 축을 통과하는 수직 평면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18. 삭제
  19. 삭제
  20.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본체 내에 제공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 및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는 상기 제1 본체 가이드와 상기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면서 장착 방향으로 이동되며,
    장착 방향에서의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이동이 상기 본체 내에 제공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저항을 받을 때,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는 후단부에서 상기 제1 본체 가이드에 의해 눌려지며,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는 후단부에서 상기 제2 본체 가이드에 의해 눌려지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와 상기 제1 본체 가이드는 분리되며,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와 상기 제2 본체 가이드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21.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본체 내에 제공된 고정부와,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상기 장치의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받을 때, 상기 고정부와 맞닿아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과 상기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의 화상 형성 위치에 위치될 때 상부 위치를 차지하는 카트리지 프레임부 상에 제공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와 상기 제1 본체 위치결정부가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와 상기 제2 본체 위치결정부가 서로 결합하고 상기 규제부와 상기 고정부가 서로 맞닿을 때, 화상 형성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22.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 및 상기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는 원형이며, 상기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의 원의 직경은 상기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의 원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가 상기 제1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리고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가 상기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 동작에 의해 취출 방향으로 취출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취출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저면이 상기 장치의 본체의 돌기와 맞닿아 취출 이동 방향에 대해 하류측이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24.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수단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 및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25.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 부를 상기 제1 본체 위치결정부에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본체에서 상기 제1 본체 위치결정부의 진입구에 제공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는 장착 방향에 대해 후단부에서 상기 제1 본체 가이드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는 상기 제1 본체 위치결정부에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26.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a) 제1 본체 가이드와,
    (b) 제2 본체 가이드와,
    (c) 제1 본체 위치결정부와,
    (d) 제2 본체 위치결정부와,
    (e) 상기 장치의 본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을 허용하도록 개폐 가능한 개폐 부재와,
    (f) 상기 개폐 부재의 폐쇄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본체 가이드 및 상기 제2 본체 가이드를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과,
    (g)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으로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감광 드럼 상에서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감광 드럼의 축방향 일단부에서,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돌출된 제1 카트리지 가이드로서,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1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가 상기 제1 본체 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향해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1 카트리지 가이드는 상기 제1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피지지부 및 장착 방향에 대하여 카트리지의 상류측을 향해 밑으로 경사진 경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피지지부와 경사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은 상기 제1 본체 가이드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1 카트리지 가이드와,
    상기 감광 드럼의 축방향 타단부에서 장착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와,
    상기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돌출된 제2 카트리지 가이드로서,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가 상기 제2 본체 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향해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카트리지 가이드는 상기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피지지부 및 장착 방향에 대하여 카트리지의 상류측을 향해 밑으로 경사진 경사면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피지지부와 경사면부가 교차하는 부분은 상기 제2 본체 가이드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 카트리지 가이드와,
    감광 드럼의 상기 축방향 일단부에서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 있고 제1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상기 제1 본체 위치결정부와 결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결정하는 제1 카트리지 위치결정부와,
    감광 드럼의 축방향 타단부에서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 있고 제2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상기 제2 본체 위치결정부와 결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결정하는 제2 카트리지 위치결정부를 구비하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제1 카트리지 가이드가 상기 제1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제2 카트리지 가이드가 상기 제2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 부재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폐쇄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27. 개폐 가능한 개폐 부재 및 상기 개폐 부재의 개폐 작동에 연동하여 이동 가능한 본체 가이드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종방향 단부로부터 외향 돌출된 카트리지 가이드 돌출부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 가이드 돌출부가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카트리지 가이드 돌출부가 본체 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본체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위치를 향해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며, 상기 카트리지 가이드 돌출부는 본체 가이드 상에 지지되는 피지지부 및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 단부에 제공된 피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가압부는 본체 가이드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가압되는, 카트리지 가이드 돌출부와,
    상기 카트리지 가이드 돌출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동축 상에 있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본체에 장착될 때 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본체 위치결정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의 본체에 대해 위치결정하는 카트리지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장착 방향에 대하여 상류 방향을 향해 밑으로 경사진 경사면부, 및 본체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2001-0075232A 2000-12-01 2001-11-30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장착 기구 및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448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67248 2000-12-01
JP2000367248 2000-12-01
JP2001077158A JP3667243B2 (ja) 2000-12-01 2001-03-16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JP-P-2001-00077158 2001-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174A KR20020043174A (ko) 2002-06-08
KR100448183B1 true KR100448183B1 (ko) 2004-09-13

Family

ID=2660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232A KR100448183B1 (ko) 2000-12-01 2001-11-30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장착 기구 및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14750B2 (ko)
EP (1) EP1211576B1 (ko)
JP (1) JP3667243B2 (ko)
KR (1) KR100448183B1 (ko)
CN (1) CN1222846C (ko)
DE (1) DE60143013D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484B1 (ko) * 2004-10-06 2007-03-0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824124B1 (ko) 2005-04-27 2008-04-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11147421B2 (en) 2017-08-09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8415A (ja) * 2001-03-16 2002-09-2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514681A (ja) 2001-10-23 2005-05-19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 電子デバイスのユーザに静的な状態を伝達することによる触覚フィードバックを用いる方法
JP3658381B2 (ja) * 2002-06-04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125954A (ja) 2002-09-30 2004-04-2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システム
JP3809412B2 (ja) * 2002-09-30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03450B2 (ja) * 2002-10-22 2005-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3793B2 (ja) * 2003-08-29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70217B2 (ja) * 2003-08-29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139507B2 (en) * 2004-03-22 2006-11-21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unting and demounting process cartridge
JP4671094B2 (ja) * 2004-05-31 2011-04-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555748B1 (ko) * 2004-06-1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742562B2 (ja) * 2004-10-19 2011-08-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561442B2 (ja) * 2005-03-30 2010-10-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4738875B2 (ja) * 2005-04-19 2011-08-03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140392A (ja) * 2005-11-22 2007-06-07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KR101324184B1 (ko) 2006-11-27 201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력전달유닛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5099841B2 (ja) * 2008-04-18 2012-12-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306050B2 (ja) 2008-06-20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
JP4372214B1 (ja) * 2008-09-29 2009-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49426B2 (ja) * 2008-09-29 2010-09-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875896B2 (en) * 2009-01-20 2014-1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stallation guide
JP6337857B2 (ja) * 2015-08-28 2018-06-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2461061B1 (ko) 2016-08-26 2022-10-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JP6939143B2 (ja) * 2017-06-27 2021-09-2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組立体着脱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US11474449B2 (en) * 2020-06-12 2022-10-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ual opera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2669A (ja) * 1990-03-02 1991-11-11 Canon Inc カートリッジ着脱装置
JPH03252663A (ja) * 1990-03-02 1991-11-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6130742A (ja) * 1992-10-16 1994-05-13 Ricoh Co Ltd 電子写真記録装置
JPH07199568A (ja) * 1993-12-27 1995-08-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8297453A (ja) * 1995-04-26 1996-11-12 Canon Inc 着脱ガイド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174933A (ja) * 1997-12-09 1999-07-02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8966A (en) 1988-11-10 1991-07-02 Mita Industrial Co., Ltd. Image-forming machine
US5221943A (en) * 1989-02-10 1993-06-2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5404198A (en) 1989-12-15 1995-04-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623328A (en) 1990-04-27 1997-04-2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US5828928A (en) 1990-04-27 1998-10-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ountable in an image form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leaning device
JPH0490561A (ja) * 1990-08-03 1992-03-2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着脱方法
JPH04333066A (ja) 1991-05-08 1992-11-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6282122A (ja) 1992-04-16 1994-10-07 Canon Inc ブレード部材、ブレード部材取り付け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43702A (ja) 1992-05-22 1994-02-18 Minolta Camera Co Ltd 作像装置
JP3270121B2 (ja)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DE69330145T2 (de) 1992-06-30 2001-08-30 Canon Kk Prozesskassette und Bildaufzeichnungssystem
JPH0619230A (ja) 1992-06-30 1994-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70120B2 (ja)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75439A (ja) 1992-06-30 1994-03-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577893B1 (en) 1992-06-30 1997-04-1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JP3157610B2 (ja) 1992-06-30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83125A (ja) * 1992-09-04 1994-03-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23648B2 (ja) * 1994-06-27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8254862A (ja) 1995-03-15 1996-10-01 Fujitsu Ltd 像形成装置
JP2875203B2 (ja) * 1995-03-27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駆動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
JP3530625B2 (ja) * 1995-04-26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268162B2 (ja) 1995-04-28 2002-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94465B2 (ja) 1995-04-28 200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774488B2 (ja) 1995-04-28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943528A (en) 1995-04-28 1999-08-24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with a gripping cover feature usable with a process cartridge, a process cartridge using the same, and an apparatus using the process cartridge
JP3154642B2 (ja) 1995-04-28 2001-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現像枠体とクリーニング枠体の結合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16056A (ja) 1995-06-30 1997-01-1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72719B2 (ja) 1995-07-11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23754B2 (ja) 1996-08-30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89504B2 (ja) * 1996-09-26 2005-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63717B2 (ja) * 1996-09-26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40102A (ja) 1997-02-26 1998-09-1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0254328A (ja) * 1997-03-10 1998-09-25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54164B2 (ja) 1997-11-07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ル部材
JPH11161131A (ja) 1997-11-29 1999-06-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167333A (ja) 1997-12-02 1999-06-22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66498A (ja) 1998-08-21 2000-03-03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075763A (ja) * 1998-08-26 2000-03-14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47686B2 (ja) 1999-04-02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押込み機構
JP3787487B2 (ja) * 1999-10-08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機構、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2669A (ja) * 1990-03-02 1991-11-11 Canon Inc カートリッジ着脱装置
JPH03252663A (ja) * 1990-03-02 1991-11-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6130742A (ja) * 1992-10-16 1994-05-13 Ricoh Co Ltd 電子写真記録装置
JPH07199568A (ja) * 1993-12-27 1995-08-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8297453A (ja) * 1995-04-26 1996-11-12 Canon Inc 着脱ガイド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174933A (ja) * 1997-12-09 1999-07-02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484B1 (ko) * 2004-10-06 2007-03-09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7212768B2 (en) 2004-10-06 2007-05-0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24124B1 (ko) 2005-04-27 2008-04-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11147421B2 (en) 2017-08-09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14750B2 (en) 2004-03-30
EP1211576A3 (en) 2005-07-06
JP3667243B2 (ja) 2005-07-06
EP1211576A2 (en) 2002-06-05
DE60143013D1 (de) 2010-10-21
CN1222846C (zh) 2005-10-12
US20020110385A1 (en) 2002-08-15
EP1211576B1 (en) 2010-09-08
JP2002229416A (ja) 2002-08-14
KR20020043174A (ko) 2002-06-08
CN1367411A (zh) 200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8183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용 장착 기구 및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465077B1 (ko)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465078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TWI528120B (zh) 處理匣、電子照相成像設備、和電子照相光敏鼓單元
TWI541618B (zh) 處理匣和電子照相光敏鼓單元
JP200227841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0833214B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006058A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driving system
EP0816950B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6245945B2 (ja) 開閉機構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6097909A (en) Photosensitive drum mount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04411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JP363115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着脱機構
JP3825980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278417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端部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