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411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411B1
KR100404411B1 KR10-2000-0059036A KR20000059036A KR100404411B1 KR 100404411 B1 KR100404411 B1 KR 100404411B1 KR 20000059036 A KR20000059036 A KR 20000059036A KR 100404411 B1 KR100404411 B1 KR 100404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ast
guide
position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301A (ko
Inventor
신야 노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을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 내의 장착 위치에 장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에 관한 것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는,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해 착탈될 때 개폐되도록 주조립체에 장착되는 개방 가능한 덮개 부재와, 주조립체에 제공되어 덮개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1 지지부 및 제1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와, 주조립체에 제공되어 덮개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2 지지부 및 제2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와, 카트리지를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도록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제1 지지부 상에서 지지되는 제1 피지지부 및 제1 가압부에 대해 가압되는 제1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카트리지 안내부와, 카트리지를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도록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제2 지지부 상에서 지지되는 제2 피지지부 및 제2 가압부에 대해 가압되는 제2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카트리지 안내부를 포함하며, 카트리지는 덮개의 폐쇄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장착 위치에 장착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Process Cartridge Mounting Mechanism,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통해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로는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레이저 비임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스기 및 워드 프로세서가 포함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의 형태로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을 하나의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카트리지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로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대전 수단과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로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현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로부터 그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형태에 의하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유지 보수가 수리공 없이 실질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현저하게 양호하다. 이러한 이유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형태는 화상 형성 장치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양호한 화상을제공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서 소정 위치에 올바르게 장착되고, 다양한 전기 접촉부와 같은 인터페이스부 및 구동 전달 기구들도 올바르게 연결된다.
도23 내지 도2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P)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CR)를 착탈하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CR) 내에 감광 드럼과 동축상으로 위치 설정 보스(CB)가 제공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P)에는 위치 설정 보스(CB)를 안내하고 위치 설정하기 위한 안내부(GL)가 제공된다. 조작자가 카트리지(CR)를 장착 안내부(GL)를 따라 소정 위치로 삽입할 때, 공지된 바와 같이, 장치의 주조립체(P) 내에 제공된 정착 부재(도시안됨)는 카트리지(CR)에 접촉되고, 위치 설정 보스(CB) 주위에서의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장치의 주조립체(P)의 덮개 부재(C)에는 주조립체(P) 내에 장착된 카트리지(CR)를 장착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이 제공된다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C) 내측에는 후방 덮개(UC)(도25)가 제공되고 덮개 부재(C)를 폐쇄함으로써 카트리지(CR)가 정규 위치로 가압된다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추가적인 개발예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시에 장착 조작성이 개선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의 장착 위치에 사실상 자동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덮개 부재의 폐쇄 조작과 상호 관련하여 장치의 주조립체의 장착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조립체의 장착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조작성이 개선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방법,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을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 내의 장착 위치에 장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가 제공되는데, 상기 프로세스 장착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해 착탈될 때 개폐되도록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되는 개방 가능한 덮개 부재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어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1 지지부 및 제1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어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2 지지부 및 제2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와,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도록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지지부 상에서 지지되는 제1 피지지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에 대해 가압되는 제1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카트리지 안내부와,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도록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지지부 상에서 지지되는 제2 피지지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대해 가압되는 제2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카트리지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장착 위치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기록 재료의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a) 상기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해 착탈될 때 개폐되도록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되는 개방 가능한 덮개 부재와, (b)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어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1 지지부 및 제1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와, (c)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어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2 지지부 및 제2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와, (d)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서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도록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제1 지지부 상에서 지지되는 제1 피지지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에 가압되는 제1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카트리지 안내부와,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도록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제2 지지부 상에서 지지되는 제2 피지지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서 가압되는 제2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카트리지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장착 위치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되는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해 착탈될 때 개폐되도록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되는 개방 가능한 덮개 부재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어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1 지지부 및 제1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어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2 지지부 및 제2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와,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과,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도록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지지부 상에서 지지되는 제1 피지지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에 대해 가압되는 제1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카트리지 안내부와,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도록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제2 피지지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대해 가압되는 제2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카트리지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장착 위치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개방 및 폐쇄 부재 또는 덮개 부재의 개방 및 폐쇄 조작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한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 및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에 의해 장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또 다른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하기의 설명으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또 다른 목적, 특성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1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사시도.
도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5는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에서 위치 설정부 및 카트리지 안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좌측면에서 위치 설정부 및 카트리지 안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11은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12는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측 안내부로부터 이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리된 우측면 카트리지 안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주조립체측 안내부로부터 이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리된 좌측면 카트리지 안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17은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20은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21은 도1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설정 안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23은 종래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의 카트리지 장착 안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24는 종래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의 카트리지 장착 안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25는 종래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의 카트리지 장착 안내부 및 이면 덮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기록 매체
3 : 이송 수단
4 : 전사 롤러
5 : 정착 수단
6 : 배출부
14 :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 : 개폐 부재
20 : 스토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양호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며 기록 재료의 공급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며 기록 재료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이다. 기존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주조립체에 대해, "좌측 및 우측"은 기록 재료의 이송 방향으로 전술한 기록 매체로부터 도시되며, 명세서 내에서 "우측"은 "제1"로 불려지며, "좌측"은 "제2"로 불려진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부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부 위치를 차지하는 표면을 의미하며, "하부면"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될 때 하부 위치를 차지하는 표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개폐 부재가 개방 위치에 놓여져 있을 때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착탈 기구의 개구를 통해 주조립체의 카트리지 장착 부분 재료에 장착된다.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개폐 부재의 폐쇄 작동의 제1 전반부에서, 장착 부재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 수단은 카트리지 장착부 재료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제1 위치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정보를 위해 작동 가능한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작동의 후반부에서,보유 수단은 카트리지 장착부 재료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폐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기존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착탈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설명될 것이다. 도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배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배열이 먼저 설명될 것이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와 관련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을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일반적인 배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레이저 비임 프린터,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된 정보 광은 감광 드럼(7)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광학 수단으로서 광학 시스템으로부터 전자 사진 감광 부재(감광 드럼:7)에 인가되며, 정전 잠상은 토너 화상(시각화된 화상) 내부의 현상액(토너)으로 현상된다.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시에, 기록 재료(2, 기록 용지, OHP 시트, 섬유 등)는 가압 접촉된 가압 접촉 부재(3c) 및 픽업 롤러(3b)에 의해 카세트(3a)로부터 이송되며, 그리고 나서 기록 재료는 정합 롤러(3e)에 의해 공급된다.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 수단으로서 전사 롤러(4)에 전압 인가에 의해 기록 재료(2) 상에 전사된다. 기록 재료(2)는 공급 안내부(3f)를 따라 정착 수단(5)에 공급된다. 정착 수단(5)은 지지 부재(5c) 및 히터(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원통형 시트를 포함하는 구동 롤러(5a) 및 회전성 부재(5d)를 구비하고 있다.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해 관통하는 기록 재료(2)에 열과 압력을 인가시킨다. 한 쌍의 배출 롤러(3g, 3h)에 의해 기록 재료(2)가 추가로 이송되며, 역전 이송 통로를 거쳐 배출부(6)로 배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공급 수단(3)은 픽업 롤러(3b), 가압 접촉 부재(3c), 정합 롤러(3e) 등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수단은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부재,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세척 수단 등일 수도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 내에서, 감광층을 갖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인 감광 드럼(7)이 회전되며, 감광 드럼(7)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8)에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대전된 감광 드럼(7)은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되도록 노출 개구(9)를 통해 광학 시스템(1)으로부터 방출된 화상 정보에 따라 조절되는 정보 광(광 화상)에 노출되며, 정전 잠상은 현상 수단(10)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 수단(10)은 토너 공급 수단인 회전 가능한 제1 이송 부재(10b1) 및 제2 이송 부재(10b2)에 의해 토너 수용부(10a) 내에서 토너를 공급한다. 고정된 자석(10c)을 포함하는 현상 회전 가능 부재(현상제 운반 부재)인 현상 롤러(10d)는 회전되며, 제공된 마찰 전기를 갖춘 토너층은 현상 블레이드(10e)에 의해 현상 롤러(10d)의 표면 상에 형성되며, 토너는 토너 화상이 시각화 화상으로 현상됨으로써, 정전 잠상에 따라 감광 드럼(7) 상을 통과한다.
토너 화상은 토너 화상으로부터 전사 롤러(4)까지 양극을 갖는 전압의 인가에 의해 기록 재료(2) 상에 전사된다. 그 후, 감광 드럼(7) 상에 잔류하는 토너는 세척 블레이드(11a)에 의해 긁혀지며, 제거된 토너 수용부(11c) 내에 제거된 토너를 수집하기 위한 세척 수단(11)은 감광 드럼(7)으로부터 잔류 토너를 제거한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감광 드럼(7)을 지지하는 세척 프레임(13), 세척 수단(11) 및 대전 롤러(8), 및 토너 수용부(10a) 및 현상 수단(10)을 지지하는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을 포함한다.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은 현상 수단(10)의 현상 롤러(10d)가 소정의 간극으로 감광 드럼(7), 및 현상 롤러(10d)와 감광 드럼(7) 사이의 간극에 소정의 압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와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세척 프레임에 대해 회전되도록 지지된다.
감광 드럼(7), 대전 롤러(8), 현상 롤러(10d), 세척 블레이드(11a) 등은 현상 장치 프레임(12a), 하부 프레임(12b) 및 캡 부재(12c)를 카트리지 형태로 용접함으로써 일체화되는 세척 프레임(13) 및 토너 현상 장치 프레임(12)을 접속시킴으로써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CF)내에 수용되며, 카트리지는 화살표(X) 방향으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4)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회전 가능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한 착탈 기구)
도3 및 도7을 참조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14)에 장착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주조립체(14)로부터 착탈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우측면으로부터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5는 도3에 도시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우측면 및 위치 설정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안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7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위치 설정부의 좌측면에 제공된 카트리지 안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착탈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15)를 개방(덮개를 개방)함으로써 수행된다. 부재(15)가 개방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착탈을 허용하는 개구(W)가 노출된다. 개구(W)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판(43)과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14)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길이방향(감광 드럼(7)의 축선 방향)으로 서로 대향된 측판인 주조립체의 제1 및 제2 고정 부재(좌측 및 우측 내부 판: 40)에 의해 형성된다. 개구(W)는 화살표(X) 방향으로 세척 프레임(13)으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크다. 주조립체(40)의 제1 및 제2 고정 부재의 내부 표면(좌측및 우측) 상에, 카트리지 장착부 요소로서 기능하는 제1 및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착탈 안내부: 41)와 입구 안내부로서 기능하는 전방 안내부(42)가 제공되고, 이들은 각각 대칭으로 배치된다.
제1 및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41)에는 개구(W)를 한정하는 표면 상에 안내부로서 기능하는 안내홈(41a)이 제공된다. 안내홈(41a)은 장치의 내측을 향해 하방으로 기울어져 기록 요소(2)의 공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카트리지(B)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카트리지(B)가 개구(W)를 통해 장착될 때 카트리지(B)의 제1 및 제2 카트리지 안내부(안내될 부분)(안내 리브: 18b)는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안내홈(41a) 내로 결합된다. 이에 의해, 안내부(4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유지한다.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안내홈(41a)의 후연 에지에 리세스(41a1)와 이 리세스(41a1) 내로 용이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 안내부(18b)의 전방 단부에 돌출부(18b1)를 포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안내부(4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고정적으로 유지한다. 제1 및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각각에, 제1 및 제2 지지부가 a로 표시되고 제1 및 제2 가압부가 b로 표시되고 안내 조절부가 c로 표시된다.
전방 안내부(42)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으로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개구(W)에 대면하는 측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으로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안내홈(41a)과 연속하는 안내홈(42a)이 제공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개구(W)를 통해 삽입될 때 전방 안내부(42)는 안내홈(42a) 내로 카트리지(B)의 카트리지 안내부(18b)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내부(42)는 주조립체측 안내부(41) 내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안내한다.
전방 판(43)은 개구(W)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개구(W)에 대면하는 상부면 상에, 주조립체측 안내부(41)와 전방 안내부(42)의 안내부 오목부(41a, 42a)의 경사와 대체로 동일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43a)이 제공된다.
전사 롤러(4)는 장치의 주조립체(14)를 향해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으로 후방측에 배치된다. 전사 롤러(4)의 축 단부의 근처 위에, 카트리지(B)의 화상 형성 작동 위치(장착 완료 위치(제2 위치))에 카트리지(B)를 올바르게 위치 설정하고 지지하는 위치 설정 안내부(44)가 제공된다. 위치 설정 안내부(44)는 장치의 주조립체(14)의 고정 부재(40)의 제1 및 제2 고정 부재에 고정된다. 안내부(44)는 후에 설명될 카트리지(B)의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위치 설정 보스: 18a)와 결합 가능한 제1 및 제2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44a)와, 이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44a)를 향한 위치 설정부(18a)의 이동 위치를 입력하는 주조립체의 제1 및 제2 조절부(돌출부: 44b)를 포함한다.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44a)의 위치 설정부 입구 개구는 g로 표시된다. 주조립체의 조절부(44b)는 화상 형성 작동 위치를 향해 카트리지(B)의 이동 위치의 상류측에, 즉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44)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조절부(44b)는 위치 설정부(18a)가 맞대어 올라탈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조립체측 안내부(41)는 안내부 오목부(41a)로부터 반대 측 상에 제1 결합 부재(돌출된 안내부)(보스: 41c)와 제2 결합 부재(보스: 41b)를 갖는다. 제2 결합 부재(41b)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으로 안내부 오목부(41a)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제1 결합 부재(41c)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방◎(X)으로 안내부 오목부(41a)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제1 결합 부재(41c)는 제2 결합 부재(41b)보다 크다. 제2 결합 부재(41b)의 전방 단부에 결합 부재(41b)의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1e)가 제공된다. 제1 결합 부재(41c)의 전방 단부에 결합 부재(41c)의 방사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는 스냅 결합 갈고리(41d)가 제공된다.
주조립체(14)의 고정 부재(40)에 서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결합 부재(41b, 41c)와의 활주 가능한 결합을 위해 장착 부재에 대해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는 2개의 안내 레일(40a, 40b)이 제공된다. 안내 레일(40a, 40b)의 폭(짧은 측면을 따라 측정된 내부 직경)은 결합 부재(41b, 41c)의 직경보다 같거나 약간 크다.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2개의 결합 주재(41b, 41c)와 2개의 안내 레일(40a, 40b)에 의해 광학 시스템(1)과 기록 요소(2)용 공급 경로 사이로 이동된다. 제2 결합 부재(41b)가 결합되는 제1 안내 레일(40a)은 선형이고 위치 설정 안내부(44) 위로부터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제1 결합 부재(41c)가 결합되는 제2 안내 레일(40b)에는 개폐 부재(15)의 회전 중심인 회전 축(15a) 주위로 바깥쪽으로 그리고 활형으로 돌출된 제1 주조립체 구멍부(제1 활형부: 40b1)가 제공된다. 레일(40b)은 제1 주조립체 구멍부(40b1)와 연속인 주조립체측안내부(41)의 2개의 결합 부재(41b, 41c) 사이의 갭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제1 안내 레일(40a)의 위치 설정 안내부(44) 측 단부에 인접한 중심(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제2 주조립체 구멍부(제2 활형부: 40b2)를 갖는다.
부재(15)의 반대편 길이방향(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부재(15)를 위한 회전 축(15a)을 갖는 판의 형태로 제1 및 제2 판(섹터 판: 15b)이 제공된다. 섹터 판(15b)에는, 회전(회전축(15a))의 중심 주위로 원형으로 연장된 제1 판 구멍부(활형 오목부: 15c1)와, 이 제1 판 구멍부(15c1)의 측 단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부터 연속되어 형성되고 제1 판 구멍부(15c1)의 방사 방향으로부터 폐쇄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2 판 구멍부(선형 오목부: 15c2)가 제공된다. 제1 판 구멍부(15c1)는 제1 주조립체 구멍부(40b1)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 제2 판 구멍부(15c2)의 전방 단부와 회전 축(15a) 사이의 거리는 제1 주조립체 구멍부(40b1)의 반경과 대략 동일하다.
개폐 부재(15)와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주조립체의 고정 부재(40) 내로 조립된다.
개폐 부재(15)는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으로 섹터 판(15b)을 탄성적으로 변형시키고 주조립체의 고정 부재(40)의 결합 구멍(40c: 도5 참조) 내로 회전 축(15a)을 결합시킴으로써 장치의 주조립체(1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부재(15)는 회전 축(15a) 주위로 도1에 도시된 화살표(Q)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구(W)를 개폐한다.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다음의 방식으로 장착된다. 제2 결합 부재(41b)의전방 단부의 돌출부(41e)는 제1 안내 레일(40a)의 오목부와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어 삽입된 다음 회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돌출부(41e)는 주조립체 고정 부재(40)의 배면 측과 결합되어 리테이너로서 기능을 한다. 그 다음, 제1 결합 부재(41c)는 제2 안내 레일(40b)을 통해 관통되고 부재(15)의 캠 오목부(15c)와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결합 부재(41c)의 전방 단부에 제공된 스냅 결합 갈고리(41c)가 섹터 판(15b)의 배면 측에 고정된다.
한편, 카트리지(B)의 카트리지 프레임(CF)의 측면(좌측 및 우측)에는, 제1 및 위치 설정부(44a)와 결합을 위해, 안내부 오목부(41a)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카트리지 안내부(18b)와 제1 및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41)와 감광 드럼(7)의 회전축의 연장선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위치 설정부(18a)가 제공된다.
제1 및 제2 카트리지 안내부(18b)에 있어서, 지지되는 제1 및 제2부(지지부)가 d로 표시되고 제1 및 제2 가압부가 e로 표시된다. 이들은 제1 및 제2 지지부(a)와 제1 및 제2 가압부(b)에 각각 대응한다.
도8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카트리지에 대한 착탈에 관하여 카트리지(B)의 착탈 작동을 설명한다.
주조립체(14)의 개방 및 폐쇄 부재(15)는 완전히 (완전 개방 상태) 개방될 때, 연속된 전방 안내부(42) 및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다. 전방 안내부(42)의 안내홈(42a) 및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안내홈(41a)은 연속된다. 이런 연속 상태에서, 작업자는 카트리지(B)를 삽입하여 카트리지 안내부(18b)는 이러한 순서로 안내홈(42a, 41a)을 따라 안내된다. 그리고, 카트리지는 안내홈(41a)의 후연 에지에 지지된 안내부(18b)까지 삽입된다. 따라서, 카트리지(B)의 중량은 카트리지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안내부 조정부(c)를 지지하는 안내부(18b)의 지지부(f)까지 삽입된다. 그 다음, 안내부(18b, 도8)의 돌출부(18b1)는 안내홈(41a)의 리세스(41a1)와 결합되어, 안내부(18b)의 지지부는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지지부(a)에 의해 수용된다. 안내부(18b)의 추진부(e)는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추진부(b)에 상응되어 배치되어, 카트리지(B)는 주조립체측 안내부(41)에 대해 고정 배치된다.
이로써, 안내홈(41a)이 전방 안내부(42, 제1 부분)의 안내홈(42a)과 연속될 때 카트리지(B)는 주조립체측 안내부(41)에 장착된다.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으로 안내홈(41a) 내로 하향으로 기울어져 안내홈(41a)이 공급 수단(3)에 의해 안내홈(42a)과 연속되는 위치에서 기록 재료(2)의 공급 방향과 교차된다.
이는 부재(15)가 완전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1 결합 부재(41c)를 제2 판 구멍부(15c2)의 전방 단부 또는 선행 단부에 배치하고, 제2 결합 부재(41b)를 제1 안내 레일(40a)의 하부단(개방측(W) 단부)에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도8에 도시된 대로, 카트리지(B)의 기부면(하부면)으로부터의 안내부(18b)의 높이(h)는 전방판(43)의 경사면(43a)과 안내홈(41a) 간의 간격(1)과 실제 동일하다. 따라서, 카트리지(B)의 기부면이 판(43)의 경사면(43a) 상에 배치될 때, 카트리지 안내부(18b)는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안내홈(41a)에 의해 임의로 안내된다.
또한, 안내홈(41a, 42a)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져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안내부(18b)가 안내홈(41a, 42a)에 의해 안내될 때, 카트리지(B)는 카트리지(B)의 중량에 의해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후방을 향하게 된다.
안내홈(41a, 42a)의 경사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안내홈(41a, 42a)의 경사가 너무 작게 되면, 카트리지(B)는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후방측을 향하지 않게 된다. 정반대로 그 경사가 너무 크게 되면, 작업자가 주조립체측 안내부(41)를 따른 삽입의 중도에 카트리지(B)를 해제할 때 충격이 현저해진다. 이들을 고려하여, 경사각은 수평 방향으로부터 10°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안내홈(41a, 42a)의 경사각은 수평 방향으로부터 약 40°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덮개 부재(15) 조작의 개폐와 상호 관련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주조립체측 안내부(41)가 카트리지(B)에 의해 밀리게 되면,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안내부(18b)에 대한 카트리지(B)의 기부면의 높이는 안내홈(41a)과 판(43)의 경사면(43a) 간의 거리에 대해 변경된다. 이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된다. 또한, 주조립체측 안내부(41)가 상당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면, 카트리지(B)의 안내부(18b)는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하부면 위를 통과하게 되고 그 결과 카트리지(B)는 장치의 주조립체(14) 내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안내홈(41a)에 연속되고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X)으로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상류 위치에서 주조립체 고정 부재(40)에 고정된 전방 안내부(42)가 마련된다. 전방 안내부(42)를 제공함으로써, 그 문제점이 해결되고, 안내부(18b)는 주조립체측안내부(41)의 안내홈(41a) 내로 확실히 안내된다. 전방 안내부(42)가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필연적인 것은 아니다.
도8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안내부(18b)가 개폐 부재(15)의 폐쇄 작용의 프로세스에 따라 주조립체측 안내부(41)에 의해 지지되는 카트리지(B)의 운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부재(15)가 회전축(15a) 주위의 회전에 의해 폐쇄될 때, 제1 결합 부재(41c)는 제2 판 구멍부(15c2)의 전방 단부측에서 제1 주조립체 구멍부(40b1)를 따라 이동된다. 선행 기재된 바와 같이, 제1 주조립체 구멍부(40b1)는 부재(15)의 회전축(15a)에 그 중심을 갖고 캠 홈(15c)의 제2 판 구멍부(15c2)의 전방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제1 결합 부재(41b)는 제1 안내 레일(40a)을 따라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의 후방측을 향해 또한 이동된다. 이 때에,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방측을 향해 이동하고, 이에 의해 카트리지(B)의 자세는 화상 형성 작업을 위해 후방측을 향하도록 변경된다.
부재(15)의 추가 폐쇄 작용으로 인해, 카트리지(B)는 수평 자세에 근접하는 한편, 장치의 주조립체(14)의 후방측에서는 화상 형성 작업 위치에 근접하게 된다. 그후, 카트리지(B)의 위치 설정부(18a)의 외주부는 (도10의) 화상 형성 작업 위치로의 카트리지(B)의 운동 궤적 내에서 주조립체의 위치 설정부(44a)의 상류 위치에 마련된 주조립체측 조절부(돌기)(44b)에 맞닿게 된다.
부재(15)가 더 폐쇄될 때,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화상 형성 작업 위치에 더 근접하게 되고, 안내홈(41a)의 리세스(41a1)는 안내부(18b)의 돌기(18b1)를 밀어낸다. 즉, 주조립체측 안내부(41) 측면에서의 가압부(b)는 카트리지 안내부(18b) 측면에서 가압부(e)를 압축하여 위치 설정부(18a)는 위치 설정 안내부(44)의 주조립체측 조절부(44b) 위에 걸려 있게 된다. 위치 설정부(18a)는 위치 설정부(18a)가 주조립체측 조절부(44b) 위에 놓인 후에 주조립체측 조절부(44b)의 정점(44b1)과 주조립체의 위치 설정부(44a) 간의 차이를 통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중량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그후, 안내홈(41a) 내에서 안내부(18b)에 의해 지지된 카트리지(B)는 주조립체의 위치 설정부(44a)에 의해 감광 드럼(7)의 회전축의 축 상에 마련된 위치 설정부(18a)에 의해 지지된다. 선행 기재된 바와 같이, 주조립체(14)의 주조립체 고정 부재(40)에 고정된 주조립체 내의 위치 설정부(44a)에 의해 감광 드럼(7)의 축 상에 마련된 위치 설정부(18a)를 지지함으로써, 카트리지(B)는 주조립체(14) 내에 정확히 배치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의 감광 드럼(7)에 대한 정확한 위치 설정을 필요로 하는 광학 시스템(1), 전사 롤러(4)등에 적절히 정렬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주조립체측 안내부(41) 및 개폐 부재(15)의 운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0에 도시된 대로, 카트리지(B)의 위치 설정부(18a)가 주조립체측 조절부(44b) 위에 걸려있을 때,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리세스(41b1)에 의한 카트리지(B)의 가압은 실제 완료된다. 이 때에, 제1 결합 부재(41c)는 제1 주조립체 구멍부(40b1)와 제2 주조립체 구멍부(40b2) 간의 접점(교차부)에서 노출된다. 제2 결합 부(41b)는 제1 안내 레일(40a)의 상부단(장착 방향으로의 프로세스카트리지(B)의 후방측 단부)에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안내홈(41a)이 카트리지(B)의 화상 형성 작업 위치에서 이송 수단(3)에 의해 기록 재료(2)의 이송 방향에 실제 평행한 위치를 취하게 된다. 즉,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의 자세와는 상이하다.
이에 의해, 부재(15)는 더 폐쇄된다. 그후, 도11에 도시된 대로 제2 판 구멍부(15c2)의 경사로 인해 제1 결합 부재(41c)는 제2 주조립체 구멍부(40b2)로 이동하게 된다. 선행 기재된 대로, 제2 주조립체 구멍부(40b2)는 제1 안내 레일(40a) 상에 그 중심을 갖게 되고,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제1 및 제2 결합 부재(41c, 41b) 간의 간격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제1 결합 부재(41c)가 제2 주조립체 구멍부(40b2)의 하부단에 맞닿게될 때,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운동은 정지된다.
이러한 점에 이르기까지, 덮개 부재(15)는 단 한번의 총 회전각을 통해 회전하게 된다. 부재(15)의 회전량은 다음의 이유로 인해 제한된다. 일예로, 카트리지(B)가 부재(15)를 그 완전 폐쇄 위치로 폐쇄함에 의해 주조립체측 안내부(41)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 위치 내로 가압될 때, 도8에 도시된 대로 작업자는 카트리지(B)가 삽입된 후에 카트리지(B)를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운동 방향으로 밀어낸다. 그후, 부재(15)는 폐쇄 개시되게 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는 덮개 부재(15)의 총회전각의 약 1/2 회전만큼 이동된다. 그후, 작업자가 재생측을 향해 카트리지(B)를 압축하는 경우에도, 부재(15)와, 부재(15)가 완전 폐쇄 위치에서 접촉되는 장치의주조립체(14)의 외부 케이싱부 간에 여전히 충분한 간극이 남아있게 된다.
카트리지(B)의 위치 설정부(18a)가 주조립체측 조절부(44b) 위에 걸려있을 때 저항이 인가되고, 부재(15)의 폐쇄 작동의 프로세스에서 카트리지(B)를 적절한 위치(화상 형성 작업 위치)로의 장착을 나타내는 딸깍 소리의 느낌을 작업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업자는 카트리지(B)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선행 기재된 대로,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운동이 완료될 때, 제1 결합 부재(41c)는 (도12의) 제1 판 구멍부(15c1) 내로 이동된다. 선행 기재된 제1 판 구멍부(15c1)는 부재(15)의 회전축(15a) 주위로 활형 형태이고, 폭(짧은 측면을 따른 내경)은 제1 결합 부재(41c)의 외경 보다 약간 더 크다. 따라서,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운동 완료 후에 부재(15)가 더 폐쇄될 때, 제1 결합 부재(41c)는 제1 판 구멍부(15c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재(15)는 주조립체측 안내부(41) 또는 카트리지(B)에 접촉함이 없이 연속 회전하게 되고, 도12에 도시된 대로, 개구(W)를 (완전 폐쇄 위치로) 완전히 폐쇄시킨다.
부재(15)가 이렇게 완전 폐쇄될 때, 화상 형성 지시가 장치의 주조립체(14)의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 내에 생성된다. 그후, (도시되지 않은) 주 모터는 구동되고, 감광 드럼(7)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 전달 수단을 통해 구동된다. 그후, 카트리지(B)의 전방단에 마련된 회전 스토퍼(20)는 (도1의) 장치의 주조립체(14) 내에 마련된 회전 스토퍼의 지지부(19)에 맞닿게 된다. 이 경우에, 카트리지(B)는 회전 스토퍼(20)에 의해 장치의 주조립체(14) 내에 배치되고 위치설정부(18a)는 주조립체의 위치 설정부(44a)에 의해 지지된다.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안내홈(14a) 내에서 부상하도록 되는 안내부(18b)가 마련된다. 즉, 안내부(18b)는 안내홈(14a)을 구성하는 벽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도13 및 도14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조립체(14)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B)의 우측 및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8b)가 주조립체측 안내부(41)로부터 분리된 상태(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카트리지(B)의 위치 설정부(18a)가 위치 설정부(44a)에 의해 지지되는 이유는 카트리지(B)가 양질의 고정밀 화상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의 주조립체(14) 내에 고정밀도로 바람직하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장치의 주조립체(14) 내의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위치는 보증되지 않고, 따라서 카트리지(B)를 정확히 위치 설정하도록 주조립체측 안내부(41)를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않다.
부재(15)를 개방함으로써 카트리지(B)를 주조립체측 안내부(41)로부터 제거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작동은 전술한 작동과는 반대이다.
개폐 부재(15)가 도12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될 때 제1 결합 부재(41c)는 제1 판 구멍부(15c1)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부재(15)의 개방 작동의 전반부에서는 부재(15)의 개방 작동만이 일어난다. 부재(15)가 더 개방되면, 결합 부재(41c)가 제2 판 구멍부(15c2) 및 제2 주조립체 구멍부(40c2)에 의해 도11과 도10의 순서로 제1 주조립체 구멍부(40b1) 쪽으로 상승된다. 이 때에, 카트리지 안내부(18b)는 안내 홈(41a)에 인접하며, 이로써 위치 설정부(18a)가 위치 설정부(44a)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다. 부재(15)가 더 개방되면, 제1 결합부재(41c)가 제1 판 구멍부(15c1)의 전방 단부 및 제1 주조립체 구멍부(40b1)에 의해 카트리지의 착탈을 위한 개구(W) 쪽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되면, 제2 결합 부재(41b)는 조작자가 카트리지(B)를 파지할 수 있게 되는 위치로 제1 안내 레일(40a)에서 이동하게 된다. 도8에 도시된 것처럼, 부재(15)가 완전히 개방되면 안내 홈(41a)은 안내 홈(42a)에 접하게 된다 (제1 위치). 그러면, 카트리지(B)는 조작자에 의해 개구(W)로부터 발출될 수 있게 된다.
이 때에, 제1 결합 부재(41c)는 더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제1 판 구멍부(15c1)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서, 제1 및 제2 결합 부재(41c, 41b)는 안내 레일(40a, 40b) 상에서 부재(15)의 폐쇄 작동에 의해서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이동한다. 부재(15)의 폐쇄 작동의 전반부에서, 카트리지(B)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수 있는 제1 위치로부터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작동을 할 수 있는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부재(15)의 폐쇄 작동의 후반부에서, 부 조립체측 안내부(41)의 결합 부재(41b)는 폐쇄 개구가 개폐 부재(15)의 완전 폐쇄 위치로 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캠 홈(15c) 내에서 활주한다.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부재(15)의 개방 작동에 의해서, 주조립체 안내부(41)의 하나의 결합 부재(41b)는 부재(15)의 캠 홈(15c) 내에서 활주하며, 이로써 부재(15)가 개방 스트로크의 절반으로 개방될 수 있다. 주조립체 안내부(41)의 두개의 결합 부재(41b, 41c)는 부재(15)의 개방 작동의 후반부에서 안내 레일(40a, 40b) 상에서 활주하고, 주조립체 안내부(41)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카트리지(B)는 개폐 부재(15)의 개폐 작동과 관련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조립체(14) 안에 깊이 위치하더라도, 카트리지(B)의 착탈 작동이 용이하다. 카트리지(B)의 이동은 부재(15)의 개방 작동의 전반부와 폐쇄 작동의 후반부에서 수행되며, 카트리지(B)의 착탈은 폐쇄 작동의 전반부와 개방 작동의 후반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조립체(14) 안에 깊이 배치되더라도, 카트리지(B)를 착탈할 때 조작자의 손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게 해주는 공간을 장치의 주조립체(14)에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치의 주조립체(14)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실용성을 유지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B)가 주조립체(14) 안에 깊이 위치하더라도,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A)의 유닛 배치의 자유도가 개선된다.
또한, 주조립체 안내부(41)는 광 시스템(1)과 공급 수단(3) 사이에서 이동하고, 제1 위치에서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에서 안내 홈(41a) 쪽으로 하방[공급 수단(3)에 의한 기록 매체(2)의 공급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제1 자세)와, 상기 제1 위치의 자세와는 상이한 자세를 취한다.
따라서, 카트리지(B)는 광 시스템(1)과 공급 수단(3)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카트리지(B)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주조립체 안내부(41)에 장착되면, 카트리지(B)는 주조립체 안내부(41)의 하방 경사에 기인한 중량에 의해서 안내 홈(41a)의 후방측에 인접하게 된다. 주조립체 안내부(41)가제2 위치로 이동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이 위치에 안착된다.
주조립체 안내부(41)가 제1 위치에 있고 주조립체 안내부(41)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카트리지(B)의 안내부(18b)는 안내 홈(41a)에 의해 보유된다. 주조립체 안내부(41)가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카트리지(B)는 위치 설정부(18a)에 의해 화상 형성 작동 위치에서 주조립체의 위치 설정부(44a)에 의해 정확하게 위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카트리지(B)는 화상 형성 작동을 위해 정밀도를 갖고 소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주조립체 안내부(41)를 이동시키기 위해 캠 홈(15c)을 갖는 섹터판(15b)은 부재(15)에 일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의해 요구되는 부품 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조립 단계의 수의 증가도 억제되어 비용 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카트리지(B)는 주조립체 안내부(41)에 의해 지지된 카트리지 안내부(18b)와, 주조립체의 위치 설정부(44a)에 의해 지지된 위치 설정부(18a)를 구비하며, 이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제1 및 제2 주조립체 안내부(41; 좌측 및 우측)와 위치 설정부(44a)들이 카트리지(B)의 종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B)의 길이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위치 설정 안내부(44)는 카트리지(B)의 위치 설정부(18a)에 결합 가능한 위치 설정부(44a)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 쪽으로 위치 설정부(18a)의 이동 궤적을 가로질러 위치 설정부(44) 쪽으로 주조립체 안내부(41)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위치 설정부(44a)의 상류에 배치된 주조립체 조정부(44b)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주조립체 안내부(41)의 이동에 의해 이동된 위치 설정부(44)가 주조립체 조정부(44b)에 인접하고, 위치 설정부(18a)를 위치설정부(44a) 쪽으로 안내하도록 주조립체 조정부(44b) 위에 놓인다. 이 위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주조립체 안내부(41)로부터 주조립체의 위치 설정 안내부(44)의 위치 설정부(44a)로 조절될 수 있다.
전방 안내부(42)는 장착 방향(X)에서 주조립체 안내부(41)의 상류에 위치하고, 따라서 제1 위치에 위치한 주조립체 안내부(41)가 카트리지(B)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 실시예)
앞의 제1 실시예에서, 착탈 기구는 개폐 부재(15)에 일체로 장착된 섹터판(15b)을 갖고 있고, 이 섹터판(15b)은 주조립체 안내부(41)를 안내하기 위한 캠 홈(15c)을 구비하고 있다. 주조립체 안내부(41)를 안내하기 위한 캠 홈(50a)을 갖는 캠 판(50) 및 개폐 부재(15)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서 설계 자유도를 개선할 수 있는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의 실시예에서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들에는 앞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냈다.
도15는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캠 판(50)은,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제1 판 구멍부로서의 호형 홈 구멍(50a1)과 제2 판 구멍부로서의 선형 홈(50a2)을 포함하는 캠 홈(50a)과, 주조립체 고정 부재(40)의 결합 구멍(40c)과 회전식으로 결합가능하고 캠 판(50)의 회전 중심으로서 기능하는 회전 샤프트(50b)와, 회전 샤프트(50b)의 축방향에 있는 연결 구멍(50c)을 구비한다. 개폐 부재(15)는 주조립체 고정 부재(40)의 결합 구멍(40c)으로부터 먼 위치에서회전 샤프트(도시 생략)와 회전가능 결합을 위하여 지지 구멍(15e)을 구비하고, 카트리지(B)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표면에 연결 구멍(15d)을 구비한다. 지지 구멍(15e) 및 연결 구멍(15d)은 회전 샤프트(50b)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들을 갖고 있다. 캠 판(50)은 연결판(51; 연결 부재)을 통해서 부재(15)에 연결된다. 연결판(51)은 안내 레일(40a, 40b)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서 주조립체 고정 부재(40) 내에 배치된다. 연결 샤프트(51a, 51b)들은 연결판의 대향 단부들에 마련되어 있다. 일단에 있는 연결 샤프트(51a)는 부재(15)의 연결 구멍(15d)에 회전식으로 결합된다. 타단에 있는 연결 샤프트(51b)는 캠 판(50)의 연결 구멍(50c)에 회전식으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 착탈 기구는 주조립체 안내부(41) 및 캠 판(50)에 의해 슬라이더 기구를 구성하고, 캠 판(50)과 부재(15)와 연결판(51) 및 장치의 주조립체(14)에 의해 2차 곡면 크랭크 기구를 구성한다. 따라서, 캠 판(50)은 연결판(51)을 통해서 부재(15)의 개폐 작동을 수용하고, 부재(15)의 개폐 작동과 관련되게 회전 샤프트(50b)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부재(15)의 개폐 작동과 관련된 캠 판(50)의 회전 작동에 의해서, 주조립체 안내부(41)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한다.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서, 두개의 결합 부재(41b, 41c)들은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의 부재(15)의 폐쇄 작동에 의해 안내 레일(41a, 40b) 상에서 활주한다. 부재(15)의 폐쇄 작동의 전반부에서, 카트리지(B)는 장착 가능한 제1 위치로부터 화상 형성 작동을 받게 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부재(15)의 폐쇄 작동의 후반부에서, 하나의 결합 부재(41b)는 부재(15)의 완전 폐쇄 위치로의 폐쇄 작동을 허용하도록 캠 홈(50a)에서 활주한다.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의 부재(15)의 개방 작동에 의해서, 하나의 결합 부재(41b)가 부재(15)의 개방 작동이 개방 작동의 전반부로 되게 허용하도록 캠 홈(15) 내에서 활주한다. 부재(15)의 개방 작동의 후반부에서, 두개의 결합 부재(41b, 41c)들은 주조립체 안내부(41)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안내 레일(40a, 40b)상에서 활주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제공된다. 부재(15)를 갖는 외부 케이싱 유닛이 예를 들어 수요자의 특정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변경되거나 또는 외부 케이싱이 모델 체인지에 의해 변경되면,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14)의 카트리지 착탈 기구는 연결판(51)과 부재(15)의 연결 구멍(15d)의 위치의 축간 거리가 변경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1 및 제2 실시예의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서는 부재(15) 또는 캠(50)이 크랭크를 구성하고, 슬라이더 크랭크 기구와 주조립체 안내부(41)가 슬라이더로 되어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주조립체 안내부(41)는 부재(15) 또는 크랭크로서의 캠 판(50)의 회전에 의해 직접 이동된다. 따라서, 힘의 손실이 적고 구조가 안정적이다.
이 실시예의 카트리지 착탈 기구는 주조립체 안내부(41)의 이동 궤적과 주조립체 안내부(41)에 의해 이동되는 카트리지(B)의 이동 궤적의 자유도에서 장점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앞의 제1 실시예에서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들에는 앞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냈다.
도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착탈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6에서, 개폐 부재(15)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회전축(15a) 둘레에 맞는 제1 판 구멍부(15c1)와 제1 판 구멍부(15c1)로부터 연속적이고 개폐 부재(15)의 방사 방향에 대해 폐쇄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2 판 구멍부(15c2)를 포함하는 캠 홈(15c)이 마련된 구획 판(15)을 갖는다. 부재(15)에는 구획 판(15b)의 구획 형상의 중심에 인접한 전방 단부에서, 회전축(15a)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구멍(15e)이 마련된다(도17).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카트리지(B)의 안내부(18b)가 개구(W) 측면에서 안내된 안내 홈(41a)이 마련된다. 안내 홈(41a)으로부터 대향된 측면에는 제1 및 제2 결합 부재(41c, 41b)가 마련된다. 장치의 주조립체(14)의 내부 판(62)에는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결합 부재(41b, 41c)와 결합함으로써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이동 궤적을 검출하기 위한 유지 수단으로서 제1 및 제2 안내 레일(40c, 40d)이 마련된다. 안내 레일(40c, 40d)은 주조립체측 안내부(41)에 의해 안내된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조립체(14)에서 내부를 피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안내 레일(40c, 40d)에 대향된 내부 판(62)의 측면에는, 부재(15)의 캠 홈(15c)과 제1 결합 부재(41c)를 연결하는 캠 부재로서 연결 캠 판(60)이 마련된다. 연결 캠 판(60)의 자세를 유지하는 축인 캠 축(61)이 내판(62)에 고정된다.캠 축(61)은 내판(62)을 관통해서 연결 캠 판(60)쪽으로 돌출된다. 연결 캠 판(60)은 판의 주조립체(60d)의 일 단부에 제1 결합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결합 구멍(60a)이 마련되며, 타단부에 부재(15)의 캠 홈(15c)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돌출된 안내부로서 보스(60b)가 마련된다. 보스(60b)의 전방 단부에는, 스냅 끼움 클로(60b1)가 리테이너를 위해 마련된다. 연결 캠 판(60)은 결합 구멍(60a) 내에서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제1 결합 부재(41c)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보스(60b)는 부재(15)의 캠 홈(15c)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한다.
캠 홈(60c)은 연결 캠 판(60)의 판의 주조립체(60d) 내에서 결합 구멍(60a)과 보스(60b) 사이에 형성된다. 캠 홈(60c)은 내부 판(62)에 고정된 캠 축(61)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17 내지 도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서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이동과 부재(15)의 개폐 작업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은 주조립체측 안내부(41)에 카트리지(B)를 장착하는 것과, 주조립체의 위치 설정부(44a)와 카트리지(B)의 위치 설정 보스(18b)와의 결합과, 장치의 주조립체(14)에서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순차적인 외관에 관한 본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이들에 관한 설명은 단순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도17은 부재(15)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완전 개방 위치).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카트리지(B)는 개구(W)로 삽입된다. 이 때, 제1 결합 부재(41c)는 제2 안내 레일(40d)의 부재(15) 측단부에 접한다. 제2 결합 부재(41b)와 제1 안내 레일(40c)의 개폐 부재 측단부 사이에는 작은 유격이 존재한다. 이 경우, 캠 판(60)의 일단부는 제1 결합 부재(41c)와 결합 구멍(60a)에 의해 지지된다. 연결 캠 판(60)의 타단부에서, 보스(60b)가 제1 판 구멍부(15c1)의 전방 단부에 접한다.
부재(15)가 폐쇄되면,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판(60)은 장치의 주조립체(14)의 후방측 쪽으로 이동되면서 제2 판 구멍부(15c2)의 단부와 보스(60b) 사이의 접촉을 유지한다. 일단부(60c1)로부터 절곡부(60c2)까지 캠 홈(60c)의 부분은 연결 관계가 유지된 상태에서 연결 캠 판(60)의 이동 중에 내부 판(62)의 캠 축(61)의 궤도에 대응한다.
부재(15)가 도19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20에 도시된 위치까지 더욱 폐쇄될 때,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이동은 최종 단계로 접근한다. 이 때, 내부 판(62)의 캠 축(61)과 캠 홈(60c) 사이의 접촉은 캠 홈(60c)의 절곡부(60c2)로부터 타단부(60c3)가지 변화한다. 캠 축(61)이 절곡부(60c2)와 타단부(60c3) 사이에서 이동할 때, 연결 캠 판(60)은 제1 결합 부재(41c)에 대해 결합 구멍(60a) 위에서 회전한다. 연결 캠 판(60)의 타 단부측에 마련된 보스(60b)는 제2 판 구멍부(15c2)의 전방 단부로부터 제2 판 구멍(15c2)과 활형 홈 구멍(15c1) 사이의 연결 측면(교차 측면)까지 이동된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60b)가 활형 구멍(15c1)까지 이동되면,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안내 레일(40c, 40d) 상에서의 동작을 완료한다. 이로써, 카트리지(B)는 위치 설정 안내부(44)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이 때, 개폐 부재(15)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폐쇄 작업의 전체 행정의 1/2에 있게 된다. 부재(15)가 더욱 폐쇄되면, 보스(60b)는 제1 판 구멍부(15c1) 내에서 활주한다. 따라서, 부재(15)는 연결 캠 판(60)으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고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폐쇄 위치로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트리지(B)가 부재(15)의 폐쇄된 위치로부터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는 위치로의 당김 작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은 상술한 공정과 반대된다. 부재(15)가 폐쇄된 위치(도21)와 도20에 도시된 위치까지의 사이에 있을 때, 연결 캠 판(60), 주조립체측 안내부(41) 및 카트리지(B)는 이동되지 않으며 부재(15)만이 개방된다. 이것은 제1 판 구멍부(15c1)가 부재(15)의 회전 중심 둘레에서 원형이고 반경은 부재(15)의 회전축(15a)과 보스(60b)를 모으는 라인의 거리와 같다. 도20에 도시된 위치까지, 부재(15)가 개방되면, 보스(60b)는 제1 판 구멍부(15c1)에 접촉되고, 그 후 제2 판 구멍부(15c2)에 접촉해서, 개구(W)쪽으로의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이동을 개시한다. 그 후, 주조립체측 안내부(41) 상에 수반된 카트리지(B)는 위치 설정 안내부(44)로부터 결합 해제되어서 주 조립체측 안내부(41)와 이동하기 시작한다. 보스(60b)와 캠 홈(15c) 사이의 접촉은 제2 판 구멍부(15c2)의 전방 단부측쪽으로 변화한다(도20 및 도19). 그 후, 부재(15)의 개방 작업과의 상관 관계에서,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안내 레일(40c, 40d) 상에서 활주한다(도17 및 도18).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15)가 완전히 개방되면(완전 개방 위치), 카트리지(B)는 여기에 다가갈 수 있는 위치로 당겨진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이것을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안내 홈(41a)을 따라 당기고, 이로써 카트리지(B)는 취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 착탈 기구에서,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두결합 부재(41b, 41c)는 부재(15)의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작업에 의해 두 갱의 안내 레일(40c, 40d) 상에서 활주한다. 부재(15)의 폐쇄 작업의 제1 반부에서, 카트리지(B)는 카트리지(B)가 제2 위치에 착탈 가능한 위치로부터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작업을 받을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부재(15)의 폐쇄 작업의 뒷 부분에서, 캠 축(61)은 캠 홈(60c)에서 활주하고, 보스(60b)는 부재(15)가 완전 폐쇄 위치로 가는 폐쇄 동작을 허용하기 위해 캠 홈(15c) 내에서 활주한다.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부재(15)의 개방 작업에 의해, 캠 축(61)은 캠 홈(60c) 내에서 활주하고, 보스(61)는 부재(15)의 캠 홈(15c) 내에서 활주해서 부재(15)가 개방 동작의 제1 반부까지 개방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부재(15)의 개방 작업의 나머지 반부에서, 2개의 결합 부재(41b, 41c)는 안내 레일(40a, 40b) 상에서 활주해서 주조립체측 안내부(41)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착탈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마련될 수 있으며, 부재(15)의 개폐 작업과의 상관 관계에서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이동은 연결 캠 판(60)을 거쳐 수행된다. 따라서, 주조립체측 안내부(41)의 이동 궤적과 주조립체측 안내부(41)에 의해 이동된 카트리지(B)의 이동 궤적은 제한되지 않아서, 설계의 폭이 증가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우선,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한 장착 기구에 대해 요약하기로 한다.
전자 사진 감광 부재(7)와 상기 감광 부재(7) 상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8, 10, 11 중 적어도 하나)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14)의 장착 위치에 장착하기 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는 장치의 주조립체(14)에 장착되고 상기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조립체(14)로부터 착탈될 때 개폐되는 개방 가능한 덮개 부재(15)와, 장치의 주조립체에 마련되고 상기 덮개 부재(15)의 개폐 작업과 상관 관계를 이루며 이동 가능하고 제1 지지부(a) 및 제1 가압부(b)를 포함하는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41)와, 장치의 주조립체에 마련되고 상기 덮개 부재(15)의 개폐 작업과 상관 관계를 이루며 이동 가능하고 제2 지지부(a) 및 제2 가압부(b)를 포함하는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41)와, 상기 카트리지(B)를 상기 장착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CF)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B)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부(a) 상에서 지지될 제1지지부(d) 및 상기 제1 가압부(b)로 가압될 제1 가압부(e)를 포함하는 제1 카트리지 안내부(18b)와, 상기 카트리지(B)를 상기 장착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CF)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B)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부(a) 상에서 지지될 제2 지지부(d) 및 상기 제2 가압부(b)로 가압될 제2 가압부(e)를 포함하는 제2 카트리지 안내부(18b)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B)는 상기 덮개 부재(15)의 폐쇄 작업과 상관 관계를 이루며 장착 위치에 장착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프로세스 카트리지(a)가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기록 재료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a) 장치의 주조립체(14)에 장착되고 상기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조립체(14)로부터 착탈될때 개폐되는 개방 가능한 덮개 부재(15)와, (b) 장치의 주조립체에 마련되고 상기 덮개 부재(15)의 개폐 작업과 상관 관계를 이루며 이동 가능하고 제1 지지부(a) 및 제1 가압부(b)를 포함하는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41)와, (c) 장치의 주조립체에 마련되고 상기 덮개 부재(15)의 개폐 작업과 상관 관계를 이루며 이동 가능하고 제2 지지부(a) 및 제2 가압부(b)를 포함하는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41)와, (d)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7) 상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8, 10, 11 중 적어도 하나)과, 상기 카트리지(B)를 상기 장착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CF)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B)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부(a) 상에서 지지될 제1지지부(d) 및 상기 제1 가압부(b)로 가압될 제1 가압부(e)를 포함하는 제1 카트리지 안내부(18b)와, 상기 카트리지(B)를 상기 장착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CF)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B)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부(a) 상에서 지지될 제2 지지부(d) 및 상기 제2 가압부(b)로 가압될 제2 가압부(e)를 포함하는 제2 카트리지 안내부(18b)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B)는 상기 덮개 부재(15)의 폐쇄 작업과 상관 관계를 이루며 장착 위치에 장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되고 상기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조립체로부터 장착또는 해제될 때 개폐되는 개방 가능한 덮개 부재(15)와,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고 상기 덮개 부재(15)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할 수 있고 제1 지지부(a)와 제1 가압부(b)를 포함하는 제1 주조립체 측면 안내부(41)와,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고 상기 덮개 부재(15)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할 수 있고 제2 지지부(a)와 제2 가압부(b)를 포함하는 제2 주조립체 측면 안내부(41)와, 전자 사진 감광 부재(7)와, 감광성 부재(7)에 작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수단(8, 10, 11 중의 하나)과, 카트리지 프레임(CF)과, 카트리지 프레임(CF)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B)에 제공되어 상기 카트리지(B)를 상기 장착 위치로 안내하고 상기 제1 지지부(a) 상에 지지되는 제1 지지된 부분(d)과 상기 제1 가압부(b)로 가압되는 제1 피가압부(e)를 포함하는 제1 카트리지 안내부(18b)와, 카트리지 프레임(CF)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B)에 제공되어 상기 카트리지(B)를 상기 장착 위치로 안내하고 상기 제2 지지부(a) 상에 지지되는 제2 지지된 부분(d)과 상기 제2 가압부(b)로 가압되는 제2 피가압부(e)를 포함하는 제2 카트리지 안내부(18b)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B)는 상기 덮개 부재(15)의 폐쇄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장착 위치에 장착된다.
제2 카트리지 안내부(18b)를 이동하고, 제1 가압부(b)로 제1 피가압부(e)를 가압함으로써, 그리고 제2 가압부(b)로 제2 피가압부(e)를 가압함으로써, 카트리지(B)는 부재(15)의 폐쇄 작동과 상호관련하여 장착 위치로 장착된다.
다른 태양에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18b는 상기 제1 지지부(a)에 제공되는 안내 조절부(c)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f)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f)는 상기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18b)의 전방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18b)는 상기 제1 지지부(a)에 제공되는 안내 조절부(c)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f)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f)는 상기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18b)의 전방 단부에 제공된다.
다른 태양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압부 (e)및 제1 피지지부(d)는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 피가압부(e) 및 제2 피지지부(d)도 일체로 성형된다.
다른 태양에서, 카트리지 프레임(CF)에 일체로 성형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18b)는 카트리지 프레임(CF)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된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외향 돌출되고, 카트리지 프레임(CF)에 일체로 성형된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18b)는 카트리지 프레임(CF)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 구비된 카트리지 프레임(CF)으로부터 외향 돌출된다.
다른 태양에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CF)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카트리지(B)를 장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1 위치 설정부(18a)가 구비하고, 카트리지 프레임(CF)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카트리지(B)를 장착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제2 위치 설정부(18a)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위치 설정부(18a) 및 제2 위치 설정부(18a)는 주조립체 내에 구비된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44a, 44a)에 결합된다.
다른 태양에서, 상기 감광성 부재(7)는 드럼 형태이고, 제1 위치설정부(18a) 및 제2 위치 설정부(18a)는 감광성 드럼과 동축이다.
다른 태양에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18b) 및 제2 카트리지 안내부(18b)는 상기 카트리지(B)가 장착 위치에 장착될 때, 제1 카트리지 안내부(18b)가 수직 방향으로 제1 위치 설정부(18a) 위에 있고 제2 카트리지 안내부(18b)가 제2 위치 설정부(18a) 위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태양에서, 덮개 부재(15)가 소정의 각도로 폐쇄된 후, 상기 제1 가압부(b)는 제1 피가압부(e)를 가압하고, 제2 가압부(b)는 제2 피가압부(e)를 가압한다.
다른 태양에서, 상기 카트리지(B)의 장착 위치로의 작동 완료 후, 제1 가압부(b) 및 제1 피가압부(e)는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가압부(b) 및 제2 피가압부(e)는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는 상기 제1 위치 설정부(18a) 및 상기 제2 위치 설정부(18a)가 장착 위치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주조립체측 조절부(44b)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위치 설정부(18a) 및 제2 위치 설정부(18a)는 상기 주조립체측 조절부(44b)에 접촉되고, 상기 제1 가압부(b)는 상기 제1 피가압부(e)를 가압하고, 상기 제2 가압부(b)는 상기 제2 피가압부(e)를 가압하여 제1 위치 설정부(18a)와 제2 위치 설정부(18a)는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44a, 44a)에 진입한다.
다른 태양에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44a, 44a)의 입구에 배치된 돌출부(44b) 또는 스프링(45)의 형상이다.
다른 태양에서, 상기 카트리지(B)의 장착 위치로의 장착은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한 상기 덮개 부재(15)의 폐쇄의 완료 전에 완료된다.
다른 태양에서, 장착 위치로의 상기 카트리지(B)의 장착은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로의 상기 덮개 부재(15)의 폐쇄 작동과 상호 관련되어 완료되고, 소정의 각도를 넘는 폐쇄 작동에서 상기 카트리지(B)는 이동하지 않고, 폐쇄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로의 상기 덮개 부재(15)의 개방 작동에서 상기 카트리지(B)는 이동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넘는 개방 작동에서 상기 카트리지(B)는 인출 위치로 이동한다.
다른 태양에서,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41) 및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41)는 장착 위치를 향해 대체로 하향 경사져 있다.
다른 태양에서, 상기 덮개 부재(15)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되어 제1 주조립체 고정 부재(40)에 대해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판(15b)과, 상기 제1 판(15b)에 제공되는 제공되고 제1 반경을 갖는 활형인 제1 활형 슬롯(15c1)과,
상기 제1 판(15b)의 상기 제1 활형 슬롯(15c1)의 단부로부터 제2 반경을 향해 반경방향 및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슬롯(15c2)과, 상기 주조립체 고정 부재에 형성된 제1 활형 슬롯(40b1)과, 상기 주조립체 고정 부재의 상기 제1 활형 슬롯(40b1)의 단부로부터 제1 반경을 향해 반경방향 및 내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슬롯(40b2)과, 상기 제1 판(15b)의 상기 제1 활형 슬롯(15c1), 상기 제1 판(15b)의 제2 슬롯(15c2), 상기 주조립체 고정 부재의 제1 활형 슬롯(40b1), 및 주조립체 고정 부재의 제2 슬롯(40b2)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제1 주조립체 측부 안내부(41)는 상기 제1 판(15b)의 상기 제2 슬롯(15c2) 내에 있는 상기 제1 결합 부재(41c)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되고, 그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방향으로 상기 덮개 부재(15)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판(15b)의 상기 제1 활형 슬롯(15c1) 내에서 이동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41c)가 주조립체의 상기 제2 슬롯(40b2)에 도달했을 때, 상기 제2 슬롯(15c2)은 상기 제1 결합 부재(14c1)가 휴지기에 있는 상태로 이동되어, 그 결과 덮개 부재(15)는 상기 제1 주조립체 측부 안내부(41)의 이동 없이 폐쇄된다.
다른 태양에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18b)가 상기 제1 주조립체 측부 안내부(41) 상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18b)가 상기 제2 주조립체 측부 안내부(41)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카트리지(B)는 상기 덮개 부재(15)의 개방 작동과 상호 관련되어 인출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덮개 부재(15)가 개방된다. 이는 제2 주조립체 측부 안내부(41)를 카트리지 삽입 위치(카트리지 장착 및 해체 위치 또는 제1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조작자가 카트리지(B)를 파지하고 제1 주조립체 측부 안내부(41)상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제1 카트리지 안내부(18b)를 둔다. 조작자는 또한 제2 주조립체 측부 안내부(42)상에 제2 카트리지 안내부(18b)를 둔다. 제1 및 제2 카트리지 안내부(18b)는 조작자의 가압력 및/또는 카트리지(B)의 중량에 의해 제1 및 제2 주조립체 측부 안내부(41)상에서 후방측을 향해 활주한다. 카트리지(B)는 안내 조절부(c)에 대해 제2 카트리지 안내부(18b)의 접촉부(f)의 접촉에 의해 정지한다. 이때, 제1 피가압부(e)는 제1가압부(b)에 대향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피가압부(e)는 제1 가압부(b)에 대향한다. 덮개 부재(15)가 소정 각도를 통해 닫힐 때, 위치 설정부(18b)는 주조립체 측부 조절부(45)에 접촉한다. 이는 카트리지(B)에 이동 하중을 인가한다. 덮개 부재(15)의 더 이상의 폐쇄 작동과 관련하여, 제1 가압부(b)는 제1 피가압부(e)를 가압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가압부(b)는 제2 피가압부(e)를 가압한다. 이로써, 카트리지(B)는 더욱 후방으로 이동된다. 카트리지 위치 설정부(18a)는 주조립체 위치 설정부(44a)와 결합한다. 따라서, 카트리지(B)는 본 장치의 주조립체(14)의 장착 위치로 장착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조립체(14)로부터 인출될 때, 작용은 다음과 같다. 덮개 부재의 개방 작동과 관련하여, 제1 및 제2 주조립체 측부 안내부(41)는 카트리지 삽입 위치(카트리지 장착 및 해체 위치 또는 제1 위치)로 이동된다. 조작자는 카트리지(B)를 파지하고 주조립체(14)로부터 인출한다.
이로써, 카트리지(B)는 덮개 부재의 폐쇄 작동과 관련하여 카트리지 삽입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덮개 부재의 개방 작용과 관련하여, 카트리지(B)는 장착 위치로부터 카트리지 삽입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조작자가 본 장치의 주조립체의 전방측(조작자에게 가까운 측)에서 카트리지(B)를 삽입함으로써, 카트리지는 덮개 부재(15)를 폐쇄함으로써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이동된다. 더욱이, 조작자가 덮개 부재(15)를 개방함으로써, 카트리지는 후방측으로부터 (조작자에게 가까운) 전방측으로 이동된다.
(추가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 설정부(18a)를 주조립체 고정 부재(40, 62) 상에 제공된 위치 설정 안내부(44)의 주조립체 위치 설정부(44a)와 결합시키기 위하여 주조립체측 조절부(44b)는 위치 설정부(18a)의 위치 설정부(44a)로의 이동 궤적으로 진입한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 설정부(18a)를 주조립체 위치 설정부(44a)와 더욱 효과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위치 설정 안내부(44)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절곡부(45a)(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형으로 절곡됨)를 갖는 탄성 부재)이 제공될 수 있어, 절곡부(45a)가 위치 설정부(18a)의 이동 궤적으로 진입하도록 한다.
이러한 위치 설정 안내부(44)에서, 주조립체측 안내부(41)(도22의 (a))를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에 의해 위치 설정부(18a)가 위치 설정 안내부(44)의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44a)로 접근할 때, 위치 설정부(18a)의 외경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절곡부(45a)의 절곡점에 접촉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이동에 의해, 위치 설정부(18a)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절곡부(45a)가 상방으로 탄성 변형되게 하여 위치 설정부(18a)의 이동 궤적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한다. 위치 설정부(18a)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절곡점(45b)의 옆을 통과할 때, 절곡부(45a)의 수축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에 저장된 복원력(탄성력)은 위치 설정부(18a)를 위치 설정 안내부(44)의 위치 설정부(44a)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도22의 (c)).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아암부(45c)는 소정 압력으로 위치 설정부(18a)를 주조립체 위치 설정부(44a)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 설정 돌기(2)가 감광 드럼(7)에 대한 전사 롤러(4)의 접촉력에 의해위치 설정 안내부(44)로부터 상승되게 한다. 이러한 위치 설정 안내부(44)를 사용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위치 설정부(18a)는 위치 설정 안내부(44)에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단색 화상을 형성하는 형태의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양호하게는 단색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뿐만 아니라, 다중 현상 수단을 구비하고 다색 화상(예컨대, 2색 화상, 3색 화상 또는 전색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자 사진 감광 부재는 감광 드럼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첫째, 감광 재료를 위하여, 비정질 실리콘, 비정질 셀레늄, 산화 아연, 산화 티타늄 또는 유기 광전도성 재료 등의 광전도성 재료가 포함될 수 있다. 감광 재료가 상부에 피복되는 기부의 형태를 위하여, 드럼형 등의 회전 형태 또는 벨트형 등의 평탄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호하게는 2성분 토너를 사용하는 자성 브러시 현상 방법, 캐스케이드(cascade) 현상 방법, 터치-다운(touch-down) 현상 방법, 클라우드(cloud) 현상 방법 등의 여러 공지의 현상 방법과 함께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텅스텐 와이어가 알루미늄 등의 금속 차폐부에 의해 와이어의 3개의 측면이 둘러싸이고 텅스텐 와이어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양극 또는 음극 이온이 생성되며 양극 또는 음극 이온을 감광 드럼의 표면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되는 코로나 방전법 등의 다른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대전 수단은 전술된 롤러형 이외에도, 블레이드형(대전 블레이드), 패드형,블록형, 로드형 또는 와이어형일 수 있다.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코너를 세척하는 수단은 블레이드형, 모피 브러시형, 자성 브러시형 등일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 수단을 내장한다. 한 형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유닛 또는 카트리지로서의 대전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형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유닛 또는 카트리지로서의 현상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종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유닛 또는 카트리지로서의 세척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종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유닛 또는 카트리지로서의 적어도 2개의 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한다.
예컨대,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로 단일화된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세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유닛 또는 카트리지로서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더욱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유닛 또는 카트리지로서 적어도 현상 수단 및 전자 사진 감광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사용자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착탈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실제로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구나, 상기 실시예들에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레이저 빔 프린터로 예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이 전자 사진 LED 프린터,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팩시밀리 또는 전자 사진 워드프로세서 등의 다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명백하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상세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개량 목적 또는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할 수 있는 수정 또는 변경을 포함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작업성이 향상된다.

Claims (43)

  1. 전자 사진 감광 드럼 및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을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 내의 장착 위치에 장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이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되고, 상기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해 장착되거나 해제될 때 개폐되는, 개방 가능한 덮개 부재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1 지지부 및 제1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2 지지부 및 제2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와,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으로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주조립체에 제공된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와 결합 가능한 제1 위치 설정부와,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제1 위치 설정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제1 피지지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에 대해 가압되는 제1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카트리지 안내부와,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으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주조립체에 제공된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와 결합 가능한 제2 위치 설정부와,
    상기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제2 위치 설정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제2 피지지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대해 가압되는 제2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카트리지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 및 상기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를 이동시키면서 장착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제1 지지부에 제공된 안내 조절부에 맞닿고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의 전방 단부에 제공되는 맞닿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제2 지지부에 제공된 안내 조절부에 맞닿고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의 전방 단부에 제공되는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압부 및 상기 제1 피지지부는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 피가압부 및 상기 제2 피지지부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과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에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제1 위치 설정부가 제공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에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제2 위치 설정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제2 위치 설정부는 주조립체에 제공된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부재는 드럼형이고,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제2 위치 설정부는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 및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에 장착될 때 제1 카트리지 안내부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위에 있고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가 상기 제2 위치 설정부 위에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소정의 각도로 폐쇄된 후,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피가압부를 가압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피가압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장착 위치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완료 후,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피가압부는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가압부와 상기 제2 피가압부는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10. 제5항, 제6항,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주조립체에는 장착 위치로의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상기 제2 위치 설정부의 진입을 제한하는 주조립체측 조절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제2 위치 설정부는 상기 주조립체측 조절부에 접촉되며, 제1 위치 설정부 및 제2 위치 설정부가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에 진입하도록,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피가압부를 가압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피가압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의 입구에 배치된 돌출부 또는 스프링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12. 제1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장착 위치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한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의 완료 전에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13.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장착 위치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은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로의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 작동과 상호 관련되어 완료되고, 소정의 각도를 넘는 폐쇄 작동에서, 상기 카트리지는 이동되지 않으며, 폐쇄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로의 상기 덮개 부재의 개방 작동에서, 상기 카트리지는 이동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넘는 개방 작동에서, 상기 카트리지는 인출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14.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 및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는 장착 위치를 향해 실질적으로 하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15.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제1 주조립체 고정 부재에 대해 회전 중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제1 판과, 상기 제1 판에 제공되고 제1 반경을 갖는 활형인 제1 활형 슬롯과, 상기 제1 판의 상기 제1 활형 슬롯의 단부로부터 제2 반경을 향해 반경방향 및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슬롯과,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상기 제2 반경과 동일하게 일정한 거리로 연장되어 상기 주조립체 고정 부재에 형성된 제1 활형 슬롯과, 상기 주조립체 고정 부재의 상기 제1 활형 슬롯의 단부로부터 제1 반경을 향해 반경방향 및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슬롯과, 상기 제1 판의 상기 제1 활형 슬롯, 상기 제1 판의 제2 슬롯, 상기 주조립체 고정 부재의 제1 활형 슬롯, 및 주조립체 고정 부재의 제2 슬롯 내에서 이동 가능한 제1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는 상기 제1 판의 상기 제2 슬롯 내에 있는 상기 제1 결합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되고,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방향으로 상기 덮개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판의 상기 제1 활형 슬롯 내에서 이동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주조립체의 상기 제2 슬롯에 도달될 때,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정지된 상태로 이동되어, 덮개 부재는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의 이동 없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에 지지되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덮개 부재의 개방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인출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17.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기록 재료의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a)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되고, 상기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해 장착되거나 해제될 때 개폐되는, 개방 가능한 덮개 부재와,
    (b)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1 지지부 및 제1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와,
    (c)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2 지지부 및 제2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와,
    (d)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으로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주조립체에 제공된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와 결합 가능한 제1 위치 설정부와,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제1 위치 설정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제1 피지지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에 대해 가압되는 제1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카트리지 안내부와,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으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주조립체에 제공된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와 결합 가능한 제2 위치 설정부와,
    상기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제2 위치 설정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제2 피지지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대해 가압되는 제2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카트리지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 및 상기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를 이동시키면서 장착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제1 지지부에 제공된 안내 조절부에 맞닿고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제1 카트리지 안내부의 전방 단부에 제공되는 맞닿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제2 지지부에 제공된 안내 조절부에 맞닿고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의 전방 단부에 제공되는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압부 및 제1 피지지부는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 피가압부 및 제2 피지지부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과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에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제1 위치 설정부가 제공되고,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에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제2 위치 설정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제2 위치 설정부는 주조립체에 제공된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부재는 드럼형이고,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제2 위치 설정부는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 및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에 장착될 때 제1 카트리지 안내부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위에 있고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가 상기 제2 위치 설정부 위에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소정의 각도로 폐쇄된 후,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피가압부를 가압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피가압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장착 위치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완료 후, 상기 제1 가압부 및 제1 피가압부는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가압부 및 제2 피가압부는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6. 제21항, 제22항,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는 장착 위치로의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제2 위치 설정부의 진입을 제한하는 주조립체측 조절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제2 위치 설정부는 상기 주조립체측 조절부에 접촉되며, 제1 위치 설정부 및 상기 제2 위치 설정부가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에 진입하도록,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피가압부를 가압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피가압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의 입구에 배치된 돌출부 또는 스프링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8. 제17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장착 위치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해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의 완료 전에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9. 제17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장착 위치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은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완료되고, 소정의 각도를 넘는 폐쇄 작동에서, 상기 카트리지는 이동되지 않으며, 폐쇄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로의 상기 덮개 부재의 개방 작동에서, 상기 카트리지는 이동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넘는 개방 작동에서, 상기 카트리지는 인출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0. 제17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 및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는 실질적으로 장착 위치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1. 제17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제1 주조립체 고정 부재에 대해 회전 중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제1 판과, 상기 제1 판에 제공되고 제1 반경과 활형을 이루는 제1 활형 슬롯과, 상기 제1 판의 상기 제1 활형 슬롯의 단부로부터 제2 반경을 향해 반경방향 및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슬롯과,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상기 제2 반경과 실제로 동일한 일정 거리로 연장되어 상기 주조립체 고정 부재에 형성된 제1 활형 슬롯과, 상기 주조립체 고정 부재의 상기 제1 활형 슬롯의 단부로부터 제1 반경을 향해 반경방향 및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 슬롯과, 상기 제1 판의 상기 제1 활형 슬롯, 상기 제1 판의 제2 슬롯, 상기 주조립체 고정 부재의 제1 활형 슬롯, 및 주조립체 고정 부재의 제2 슬롯 내에서 이동 가능한 제1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는 상기 제1 판의 상기 제2 슬롯 내에 있는 상기 제1 결합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되고,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방향으로 상기 덮개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판의 상기 제1 활형 슬롯 내에서 이동되며,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주조립체의 상기 제2 슬롯에 도달될 때, 상기 제2 슬롯은 상기 제1 결합 부재가 정지된 상태로 이동되어, 덮개 부재가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의 이동 없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2. 제1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가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 상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가 상기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덮개 부재의 개방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인출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3.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장착되고, 상기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대해 장착되거나 해제될 때 개폐되는, 개방 가능한 덮개 부재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1 지지부 및 제1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조립체에 제공되고, 상기 덮개 부재의 개폐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이동 가능하며, 제2 지지부 및 제2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를 포함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과,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으로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주조립체에 제공된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와 결합 가능한 제1 위치 설정부와,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제1 위치 설정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제1 피지지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에 대해 가압되는 제1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카트리지 안내부와,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으로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에 제공되고, 주조립체에 제공된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와 결합 가능한 제2 위치 설정부와,
    상기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를 향해 안내하기 위해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제2 위치 설정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지지되는 제2 피지지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대해 가압되는 제2 피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카트리지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상기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 및 상기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를 이동시키면서 장착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제1 지지부에 제공된 안내 조절부에 맞닿고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의 전방 단부에 제공되는 맞닿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제2 지지부에 제공된 안내 조절부에 맞닿고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의 전방 단부에 제공되는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압부 및 상기 제1 피지지부는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 피가압부 및 상기 제2 피지지부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6. 제33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는 카트리지 프레임에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 제공된 카트리지 프레임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7. 제33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에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제1 위치 설정부가 제공되고, 카트리지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위치에 위치 설정하기 위한 제2 위치 설정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제2 위치 설정부는 주조립체에 제공된 주조립체측 위치 설정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부재는 드럼형이고,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및 제2 위치 설정부는 상기 감광 드럼과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 및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에 장착될 때 제1 카트리지 안내부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 설정부 위에 있고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가 상기 제2 위치 설정부 위에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0.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가 소정의 각도로 폐쇄된 후,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제1 피가압부를 가압하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2 피가압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1. 제40항에 있어서, 장착 위치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완료 후, 제1 가압부 및 제1 피가압부는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가압부 및 제2 피가압부는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2. 제33항에 있어서, 장착 위치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은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완료되고, 소정의 각도를 넘는 폐쇄 작동에서, 카트리지는 이동되지 않으며, 폐쇄 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로의 덮개 부재의 개방 작동에서, 카트리지는 이동되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넘는 개방 작동에서, 상기 카트리지는 인출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3. 제33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덮개 부재의 개방 작동과 상호 관련하여 인출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제1 카트리지 안내부는 제1 주조립체측 안내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 안내부는 제2 주조립체측 안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2000-0059036A 1999-10-08 2000-10-07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0404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87923 1999-10-08
JP28792399 1999-10-08
JP2000281861A JP3787487B2 (ja) 1999-10-08 2000-09-18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機構、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281861 2000-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301A KR20010067301A (ko) 2001-07-12
KR100404411B1 true KR100404411B1 (ko) 2003-11-05

Family

ID=2655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036A KR100404411B1 (ko) 1999-10-08 2000-10-07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35406B1 (ko)
EP (1) EP1091266B1 (ko)
JP (1) JP3787487B2 (ko)
KR (1) KR100404411B1 (ko)
CN (1) CN1149448C (ko)
DE (1) DE60045434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124B1 (ko) 2005-04-27 2008-04-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7243B2 (ja) * 2000-12-01 2005-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31156B2 (ja) * 2001-03-16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25431B2 (ja) 2001-03-16 2005-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着脱機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45437B2 (ja) * 2003-03-28 2007-07-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70217B2 (ja) 2003-08-29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3793B2 (ja) * 2003-08-29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92991B2 (ja) * 2003-12-26 2009-07-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555748B1 (ko) * 2004-06-1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803994B2 (ja) * 2004-11-12 2011-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35609B2 (ja) * 2006-05-01 2012-09-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241865B2 (ja) * 2006-12-08 2009-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905408B2 (ja) * 2008-04-22 2012-03-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05709B2 (ja) * 2009-01-13 2012-08-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49999B2 (ja) * 2009-02-16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1950148A (zh) * 2010-09-06 2011-01-19 珠海赛纳科技有限公司 处理盒及图像形成装置
KR101720530B1 (ko) * 2010-12-09 2017-03-28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120064766A (ko) * 2010-12-10 201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5817111B2 (ja) * 2010-12-15 2015-11-18 株式会社リコー 開閉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21629B2 (ja) * 2011-03-30 2013-10-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02126B2 (ja) 2015-09-16 2019-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に用いられる部材
CN110355965B (zh) * 2019-06-25 2024-03-19 宁波长飞亚塑料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加热器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8966A (en) 1988-11-10 1991-07-02 Mita Industrial Co., Ltd. Image-forming machine
US5404198A (en) 1989-12-15 1995-04-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828928A (en) 1990-04-27 1998-10-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ountable in an image form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leaning device
US5623328A (en) 1990-04-27 1997-04-2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JPH0490561A (ja) * 1990-08-03 1992-03-2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着脱方法
JPH04333066A (ja) * 1991-05-08 1992-11-2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200150B2 (ja) 1991-05-20 2001-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6282122A (ja) 1992-04-16 1994-10-07 Canon Inc ブレード部材、ブレード部材取り付け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43702A (ja) * 1992-05-22 1994-02-18 Minolta Camera Co Ltd 作像装置
EP0577893B1 (en) 1992-06-30 1997-04-1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JPH0619230A (ja) 1992-06-30 1994-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586033B1 (en) 1992-06-30 1998-03-25 Canon Kabushiki Kaisha Photosensitive drum,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270120B2 (ja)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70121B2 (ja)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157610B2 (ja) 1992-06-30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75439A (ja) 1992-06-30 1994-03-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625729B1 (en) 1993-05-20 1998-11-04 Canon Kabushiki Kaisha A process cartridge
JP3304180B2 (ja) * 1993-12-27 2002-07-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H08254862A (ja) * 1995-03-15 1996-10-01 Fujitsu Ltd 像形成装置
JP3453450B2 (ja) 1995-04-26 2003-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着脱ガイド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3294465B2 (ja) 1995-04-28 200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943528A (en) 1995-04-28 1999-08-24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with a gripping cover feature usable with a process cartridge, a process cartridge using the same, and an apparatus using the process cartridge
JP3774488B2 (ja) 1995-04-28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154642B2 (ja) 1995-04-28 2001-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現像枠体とクリーニング枠体の結合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268162B2 (ja) 1995-04-28 2002-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16056A (ja) 1995-06-30 1997-01-1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72719B2 (ja) 1995-07-11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23754B2 (ja) 1996-08-30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54328A (ja) * 1997-03-10 1998-09-25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54164B2 (ja) 1997-11-07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ル部材
JPH11167333A (ja) 1997-12-02 1999-06-22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63766B2 (ja) * 1997-12-09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47686B2 (ja) 1999-04-02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押込み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124B1 (ko) 2005-04-27 2008-04-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75147A (ja) 2001-06-29
KR20010067301A (ko) 2001-07-12
EP1091266A2 (en) 2001-04-11
EP1091266B1 (en) 2010-12-29
DE60045434D1 (de) 2011-02-10
US6735406B1 (en) 2004-05-11
EP1091266A3 (en) 2003-01-08
CN1149448C (zh) 2004-05-12
CN1294323A (zh) 2001-05-09
JP3787487B2 (ja)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411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기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US20210181671A1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0749053B1 (en) Process cartridge, assembl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5953562A (en) Process cartridge, assembl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and grounding member
CA2725120C (en)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uses cartridge
CA2147944C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0753800B1 (en) Process cartridge, assembling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006776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 through which a process cartridge is mounted
US6714750B2 (en) Process cartridge, mounting mechanism fo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7682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artridge supporting member and preventing members for ensuring mounting of cartridges in associated mounting portions
EP1363168A2 (en) Information storing medium, unit,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16067A (ja) シャッタ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20074083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장착 및 탈착 기구와, 프로세서카트리지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H11174940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94405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9233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84986A (ja) 現像マガジン、画像形成装置、現像マガジン支持方法
JPH0944058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