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025B1 - 안테나 웨이트의 수렴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적응 어레이안테나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웨이트의 수렴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적응 어레이안테나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025B1
KR100446025B1 KR10-2002-0025956A KR20020025956A KR100446025B1 KR 100446025 B1 KR100446025 B1 KR 100446025B1 KR 20020025956 A KR20020025956 A KR 20020025956A KR 100446025 B1 KR100446025 B1 KR 100446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isting
finger
antenna weight
antenna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301A (ko
Inventor
기마타마사유키
요시다쇼우세이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5Independent weighting, i.e. weights based on own antenna recep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04B1/7117Selection, re-selection, allocation or re-allocation of paths to fingers, e.g. timing offset control of allocated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신호 대 간섭비(SIR) 측정 유닛이 신호 처리 유닛에 각각 설치된다. 이 SIR 측정 유닛은 기존 핑거의 신호 대 간섭비를 측정하여 이 측정된 결과를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에 공급한다. 이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안테나 계승 처리 유닛은 선택 핑거에 대응하는 신호 처리 유닛들 중 하나로부터 안테나 웨이트를 추출한다. 안테나 계승 처리 유닛은 이 추출된 안테나 웨이트를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경로 타이밍이 크게 변화된 기존 핑거들 중 하나에 공급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웨이트의 수렴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ADAPTIVE ARRAY ANTENNA 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SHORTENING CONVERGENCE TIME OF ANTENNA WEIGHTS}
본 발명은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경로(또는, 다경로)를 경유해서 도래하는 희망 신호의 RAKE 합성을 수행하기 위한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은 가입자 용량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무선 전송 방식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예를 들면, CDMA 방식에서 사용되는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Wang 등에 의한 "Adaptive Array Antenna Combined with Tapped Delay Line Using Processing Gain for Direct-Sequence/Spread-Spectrum Multiple Access System"(IEICE Transactions, Vol. J75-BII, No. 11, pp. 815-825, 1992), 및 Tanaka 등에 의한 "The Performance of Decision-Directed Coherent Adaptive Diversity in DS-CDMA Reverse Link"(IEICE, Technical Report 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CS96-102, November 1996)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안테나 웨이트(weight)는 역확산 후 추출한 웨이팅 제어 오차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된다. 상기 방식에서는, 수신된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를 최대화하도록 안테나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여 간섭(interference)을 제거하는 적응 제어가 수행된다.
그러나,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안테나 웨이트를 수렴하기 위해서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 웨이트의 수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후의 설명을 통해서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종래의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웨이팅(weighting)/합성 회로의 블록도.
도 3은 핑거를 새로 할당한 때의, 도 1의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기존 핑거의 경로 타이밍이 크게 변화한 때의, 도 1의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핑거를 새로 할당한 때의, 도 5의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웨이트 계승(succession) 처리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기존 핑거의 경로 타이밍이 크게 변화한 때의, 도 5의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11-N 수신 안테나
12 탐색기
13-1 ~ 13-L 신호 처리 유닛
14 가산기
15 판정기
16 참조 신호 생성 회로
17 선택 스위치
18 감산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가 다경로의 각 경로마다 빔을 형성한다. 이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기존 핑거에 관한 기존 상태를 검출하는 기존 상태 검출 유닛(들)을 포함한다.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기존 상태 검출 수단에 접속되어, 기존 상태에 기초하여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선택된 기존 핑거에 사용되는 안테나 웨이트를 차용(borrow)하여,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상기 기존 핑거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차용한 안테나 웨이트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수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한다. 복수의 신호 처리 유닛은 희망 신호에 대한 다경로의 경로에 대응하는 할당된 핑거들을 처리한다. 이 신호 처리 유닛은 수신 신호를 웨이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 웨이트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를 포함한다.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기존 핑거에 관련된 기존 상태를 검출하는 기존 상태 검출 유닛(들)을 포함한다.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기존 상태 검출 유닛(들) 및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에 접속되어, 기존 상태에 기초하여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선택 핑거로서 선택한다.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선택 핑거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들 중 하나로부터 안테나 웨이트를 추출한다.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추출된 안테나 웨이트를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상기 기존 핑거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 중 다른 하나에 초기 안테나 웨이트로서 공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이 있다.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수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한다. 복수의 신호 처리 유닛은 희망 신호에 대하여 가경로의 경로에 대응하는 기존 핑거를 위한 것이다. 신호 처리 유닛은 수신 신호를 웨이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 웨이트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핑거에 초기 안테나 웨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방법은, 기존 핑거의 기존 상태를 검출하는 기존 상태 검출 단계와,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상기 기존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 핑거로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핑거에 대응하는 신호 처리 유닛들 중 하나로부터 안테나 웨이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안테나 웨이트를 새로 할당된 기존 핑거 또는 상기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핑거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우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종래의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는, 수신 안테나의 수가 N(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다경로의 경로수가 L(L은 1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 k(k는 1 이상의 정수) 유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제 k 유저에 대응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어레이 안테나를 형성하는 N개의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 탐색기(12), 다경로의 L 경로에 대응하는 L 신호 처리 유닛(13-1 내지 13-L), 가산기(14), 판정기(discriminator: 15), 참조 신호 생성 회로(16), 선택 스위치(17) 및 감산기(18)를 포함한다.
다경로의 L 경로에 대응하는 신호 처리 유닛(13-1 내지 13-L)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신호 처리 유닛(13-1 내지 13-L)은 지연 유닛(131-1 내지 131-L), N개의 역확산 회로(132-1-1 내지 132-L-N),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 내지 133-L),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 초기 웨이트 생성기(135-1 내지 135-L), 채널 추정 회로(136-1 내지 136-L), 복소 공액 회로(137-1 내지 137-L), 제 1 승산 회로(138-1 내지 138-L) 및 제 2 승산 회로(139-1 내지 139-L)를 포함한다.
탐색기(12)는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사용하여 각각 다경로의 L 경로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을 검출한다. 탐색기(12)는 지연 유닛(131-1 내지 131-L), 및 초기 웨이트 생성기(135-1 내지 135-L)에 다경로의 L 경로의 지연 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을 모두 통지한다. 다경로의 각 경로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의 타이밍은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에 공통으로 사용되도록 지연 유닛(131-1 내지 131-L) 중 대응하는 것에 설정된다. 이것은 수신 신호가 상관을 갖도록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가 서로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으로,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는 동일한 지연 프로파일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지연 유닛(131-1 내지 131-N)은 각각 N개의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다경로의 L 경로에 대응하여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로서, 수신 신호는 제 1 내지 제 L 경로로 구별된다. 지연 유닛(131-1 내지 131-L)으로부터 출력된 수신 신호는 역확산 회로(132-1-1 내지 132-L-N)에 의해 역확산된다. 이 역확산 신호는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 내지 133-L) 및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에 공급된다.
초기 웨이트 생성기(135-1 내지 135-L)는 탐색기(12)에 의해 경로가 새로 할당되거나 또는 경로 타이밍이 크게 변화한 때에, 초기 웨이트를 각각 생성하여 이 초기 웨이트를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에 설정한다.
도 2는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 내지 133-L) 중 하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 내지 133-L)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 내지 133-L)는 각각 N개의 승산기(21-1 내지 21-N) 및 가산기(22)를 포함한다.
설명의 간단화를 위하여, 신호 처리 유닛(13-1)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나머지 신호 처리 유닛(13-2 내지 13-L)도 신호 처리 유닛(13-1)과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에서, 승산기(21-1 내지 21-N)는 역확산 회로(132-1-1 내지 132-1-N)에 의해 역확산된 수신 신호와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에 의해 생성된 안테나 웨이트를 승산한다. 가산기(22)는 이 승산기(21-1 내지 21-N)의 승산 결과를 서로 가산한다. 따라서, 역확산된 신호는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에서 웨이트되고 합성된다. 이 웨이트되고 합성된 신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 추정 회로(136-1) 및 제 1 승산 회로(138-1)에 모두 공급된다.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는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로부터 공급된 수신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희망 신호에 대해 큰 이득을 얻고 간섭을 억제하도록 어레이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을 형성한다.
도 1로 돌아가서, 채널 추정 회로(136-1)는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의 출력을 사용하여 채널 왜곡을 추정한다. 이 추정된 채널 왜곡은 복소 공액 회로(137-1) 및 제 2 승산기(139-1)에 모두 공급된다.
복소 공액 회로(137-1)는 채널 추정 회로(136-1)에 의해 추정된 채널 왜곡의 복소 공액을 생성한다. 제 1 승산 회로(138-1)는 이 복소 공액 회로(137-1)에 의해 생성된 복소 공액과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의 출력을 승산함으로써, 채널 왜곡을 보상한다.
가산기(14)는 제 1 승산 회로(138-1)의 출력과 신호 처리 유닛(13-2 내지 13-L)의 출력을 가산함으로써, RAKE 합성을 행한다. 가산기(14)의 합성된 출력은 판정기(15) 및 감산기(18)에 모두 공급된다.
판정기(15)의 출력은 제 k 유저의 수신 심볼로서 출력할 뿐만아니라, 이것을 기지의(known) 파일럿 신호 이외의 신호의 수신 시에 참조 신호로서 공급하는 선택 스위치(17)에도 공급한다.
참조 신호 생성 회로(16)는 기지의 파일럿 신호를 생성한다.
선택 스위치(17)는 파일럿 신호의 수신 시에는 참조 신호 생성 회로(16)의출력을 선택해서, 이것을 감산기(18)에 공급한다. 한편, 선택 스위치(17)는 기지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신호의 수신 시에는 판정기(15)의 출력인 수신 심볼을 선택해서 이것을 감산기(18)에 공급한다.
감산기(18)는 선택 스위치(17)의 출력인 참조 신호에서 가산기(14)의 RAKE 합성 출력을 감산하여 공통 오차 신호를 생성한다. 제 2 승산기(139-1)는 이 공통 오차 신호와 채널 추정 회로(136-1)에 의해 추정된 채널 왜곡을 승산한다. 제 2 승산기(139-1)의 승산 결과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에 공급된다.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는 이 안테나 웨이트를 제어하여 공통 오차 신호의 제곱 평균을 최소화한다. 이 안테나 웨이트의 제어는 제 2 승산기(139-1)에 의해 채널 왜곡과 승산된 공통 오차 신호, 및 역확산 회로(132-1-1 내지 132-1-N)로부터 출력된 안테나 수신 신호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테나 웨이팅 적응 제어기(134-1)에서 사용되는 적응 갱신 알고리즘은, 예를 들면 최소 제곱 평균(LMS) 알고리즘이다.
도 3은 핑거(또는, 경로)를 새로 할당한 때의, 도 1의 종래의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핑거를 새로 할당한 때의 흐름도에 따르면, 새로 할당한 핑거에 대응하는 초기 웨이트 생성기(135-1 내지 135-L)의 대응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 안테나 웨이트가 기존의 핑거에 상관없이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의 대응하는 것에서의 초기 안테나 웨이트로서 설정된다(스텝 S301).
도 4는 핑거의 경로 타이밍이 크게 변화한 때의 도 1의 종래의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핑거의 경로 타이밍이 크게 변화한 때의 흐름도의 스텝 S401 및 S402는 본 발명의 스텝 S701 및 S702와 동일하다(도 7 참조). 이 흐름도에 따르면, 핑거 경로 타이밍의 변화량이 XT칩이상인 경우, 초기 웨이트 생성기(135-1 내지 135-L)의 대응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 안테나 웨이트가 안테나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의 대응하는 것에서의 초기 안테나 웨이트로서 설정된다(스텝 S403).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초기 웨이트 생성기(135-1 내지 135-L)에 의해 생성된 초기 웨이트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방법으로는 2가지가 공지되어 있다. 이 중 한가지 방법은 무지향성 웨이트 같은 소정의 초기 웨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다른 한가지 방법은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사용하여 추정된 초기 웨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사용하여 추정된 추정 초기 웨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몇가지 방법이 기술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행함으로써 구해진 결과를 사용하는 한 방법이 있다. 또한, MUSIC 또는 ESPRIT 같은 도래 방향 추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희망 신호의 도래 방향을 추정함으로써 구해진 결과를 사용하는 또 하나의 방법이 있다. MUSIC은, 예를 들면 R. O. Schmidt에 의한 "Multiple Emitter Location and Signal Parameter Estimation"(IEEE Trans. Vol. AP-34, No. 3, pp. 276-280, March 1986)에 개시되어 있다. ESPRIT는, 예를 들면 R. Roy 등에 의한"ESPRIT-Estimation of Signal Parameters via Rotational Invariance Techniques"(IEEE Trans. Vol. ASSP-37, pp. 984-995, July 1989)에 기재되어 있다. 멀티-빔을 이용해서 수신 품질이 높은 빔을 선택함으로써 구해진 결과를 사용하는 또 다른 하나의 방법이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유사한 구성부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도 5는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수신 안테나의 수는 N(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다경로의 경로수는 L(L은 1 이상의 정수)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 k(k는 1 이상의 정수) 유저에 관하여 고려하기로 한다.
도 5의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제 k 유저에 대응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어레이 안테나를 형성하는 N개의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 탐색기(12), 다경로의 L 경로에 대응하는 L 신호 처리 유닛(13'-1 내지 13'-L), 가산기(14), 판정기(15), 참조 신호 생성 회로(16), 선택 스위치(17), 감산기(18) 및 안테나 웨이트 계승(succession) 처리 유닛(51)을 포함한다.
다경로의 L 경로에 대응하는 신호 처리 유닛(13'-1 내지 13'-L)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신호 처리 유닛(13'-1 내지 13'-L)은 지연 유닛(131-1 내지 131-L), N개의 역확산 회로(132-1-1 내지 132-L-N),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 내지133-L),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 초기 웨이트 생성기(135-1 내지 135-L), 채널 추정 회로(136-1 내지 136-L), 복소 공액 회로(137-1 내지 137-L), 제 1 승산 회로(138-1 내지 138-L), 제 2 승산 회로(139-1 내지 139-L) 및 신호 대 간섭비(SIR) 측정 유닛(52-1 내지 52-L)을 포함한다.
탐색기(12)는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사용하여 각각 다경로의 L 경로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을 검출한다. 탐색기(12)는 지연 유닛(131-1 내지 131-L), 초기 웨이트 생성기(135-1 내지 135-L) 및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에 다경로의 L 경로의 지연 시간에 대응하는 타이밍을 통지한다. 다경로의 각 경로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의 타이밍은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에 공통으로 사용되도록 지연 유닛(131-1 내지 131-L) 중 대응하는 것에 설정된다. 이것은 수신 신호가 상관을 갖도록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가 서로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으로,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는 동일한 지연 프로파일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지연 유닛(131-1 내지 131-N)은 각각 N개의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다경로의 L 경로에 대응하여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로서, 수신 신호는 제 1 내지 제 L 경로로 구별된다. 지연 유닛(131-1 내지 131-L)으로부터 출력된 수신 신호는 역확산 회로(132-1-1 내지 132-L-N)에 의해 역확산된다. 이 역확산 신호는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 내지 133-L) 및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에 공급된다.
초기 웨이트 생성기(135-1 내지 135-L)는 각각 초기 웨이트를 생성하고, 이초기 웨이트를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에 설정한다.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 내지 133-L)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웨이팅/합성 회로(133-1 내지 133-L)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N개의 승산기(21-1 내지 21-N) 및 가산기(22)를 포함한다.
설명의 간단화를 위하여, 신호 처리 유닛(13-1)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나머지 신호 처리 유닛(13-2 내지 13-L)도 신호 처리 유닛(13-1)과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에서, 승산기(21-1 내지 21-N)는 역확산 회로(132-1-1 내지 132-1-N)에 의해 역확산된 역확산 신호와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에 의해 생성된 안테나 웨이트를 승산한다. 가산기(22)는 이 승산기(21-1 내지 21-N)의 승산 결과를 서로 가산한다. 따라서, 역확산된 신호는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에서 웨이트되고 합성된다. 이 웨이트되고 합성된 신호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 추정 회로(136-1), 제 1 승산 회로(138-1) 및 SIR 측정 유닛(52-1) 공급된다.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는 다경로의 경로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빔을 생성한다. 즉,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는 수신 안테나(11-1 내지 11-N)로부터 공급된 수신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희망 신호에 대해 큰 이득을 얻고 간섭을 억제하도록 어레이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을 형성한다.
채널 추정 회로(136-1)는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의 출력을 사용하여 채널 왜곡을 추정한다. 이 추정된 채널 왜곡은 복소 공액 회로(137-1) 및 제 2승산기(139-1)에 모두 공급된다.
복소 공액 회로(137-1)는 채널 추정 회로(136-1)에 의해 추정된 채널 왜곡의 복소 공액을 생성한다. 제 1 승산 회로(138-1)는 이 복소 공액 회로(137-1)에 의해 생성된 복소 공액과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의 출력을 승산함으로써, 채널 왜곡을 보상한다.
가산기(14)는 제 1 승산 회로(138-1)의 출력과 신호 처리 유닛(13-2 내지 13-L)의 출력을 가산함으로써, RAKE 합성을 행한다. 가산기(14)의 합성된 출력은 판정기(15) 및 감산기(18)에 모두 공급된다.
판정기(15)의 출력은 제 k 유저의 수신된 심볼로서 출력할 뿐만아니라, 이것을 기지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신호의 수신 시에도 참조 신호로서 공급하는 선택 스위치(17)에도 공급한다.
참조 신호 생성 회로(16)는 기지의 파일럿 신호를 생성한다.
선택 스위치(17)는 파일럿 신호의 수신 시에는 참조 신호 생성 회로(16)의 출력을 선택해서, 이것을 감산기(18)에 공급한다. 한편, 선택 스위치(17)는 기지의 파일럿 신호 이외의 신호의 수신 시에는 판정기(15)의 출력인 수신된 심볼을 선택해서 이것을 감산기(18)에 공급한다.
감산기(18)는 선택 스위치(17)의 출력인 참조 신호에서 가산기(14)의 RAKE 합성 출력을 감산하여 공통 오차 신호를 생성한다. 제 2 승산기(139-1)는 이 공통 오차 신호와 채널 추정 회로(136-1)에 의해 추정된 채널 왜곡을 승산한다. 제 2 승산기(139-1)의 승산 결과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에 공급된다.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는 이 안테나 웨이트를 제어하여 공통 오차 신호의 제곱 평균을 최소화한다. 이 안테나 웨이트의 제어는 제 2 승산기(139-1)에 의해 채널 왜곡과 승산된 공통 오차 신호, 및 역확산 회로(132-1-1 내지 132-1-N)로부터 출력된 안테나 수신 신호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SIR 측정 유닛(52-1 내지 52-L)은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 내지 133-L)의 출력을 사용하여 임의로 평균한 시간의 기간동안 신호 대 간섭비(SIR)를 측정한다. SIR 측정 유닛(52-1 내지 52-L)은 이 측정 결과를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에 공급한다. 이 임의의 시간의 기간은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에 의해 사용된 적응 갱신 알고리즘 루프의 시정수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탐색기(12)에 의해 핑거를 새로 할당한 때, 또는 기존의 핑거 중 소정 핑거의 경로 타이밍이 크게 변화한 때,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은 SIR 측정 유닛(52-1 내지 52-L)에 의해 측정된 SIR들 중 최대 SIR을 갖는 기존 핑거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의 대응하는 것으로부터 안테나 웨이트를 차용하거나 또는 추출한다. 이 추출된 안테나 웨이트는 새로 할당한 핑거 또는 경로 타이밍이 크게 변화한 기존 핑거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 중 대응하는 것에 설정된다. 측정된 SIR들 중 최대의 SIR을 갖는 기존 핑거의 안테나 웨이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신 품질이 양호한 안테나 웨이트(또는, 강한 경로)가 고 정밀도를 갖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에 대한 적응 갱신 알고리즘은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으로부터 공급된 안테나 웨이트나, 또는 초기 웨이트 생성기(135-1 내지 135-L)로부터 공급된 안테나 웨이트를 초기 안테나 웨이트로서 사용하여 적응 갱신을 수행한다.
다음에,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에 대해서 특히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육상 이동 통신의 매크로 셀 환경 하에서는, 이동국에 의해 방출된 무선파가 이동국 주변의 육상 및/또는 빌딩에 의해 반사, 회절 및/또는 산란되어, 대략 동일한 각도로 경로를 거쳐서 기지국에 도달한다. 따라서, 핑거를 새로 할당할 때, 또는 기존 핑거의 경로 타이밍이 크게 변화할 때, 기존 핑거의 안테나 웨이트를 초기 안테나 웨이트로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치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방법에 따르면, 적응 갱신을 개시한 직후에 양호한 수신 품질을 갖는 지향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웨이트의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 중 대응하는 것에 사용되는 적응 갱신 알고리즘에 의해 소모되는 수렴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초기 웨이트 생성기(135-1 내지 135-L) 중 대응하는 것에서의 연산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도 6은 핑거를 새로 할당한 때의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은 탐색기(12)로부터 통지된 타이밍에 기초하여 새로운 핑거의 할당을 검출한다. 핑거를 새로 할당한 때,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은 기존 핑거(들)가 존재하는가 아닌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01). 이 판단은 SIR 측정 유닛(52-1 내지 52-L)의 출력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SIR 측정 유닛(52-1 내지 52-L)의 출력은 기존 핑거의 기존 상태를 나타낸다.
기존 핑거의 존재가 인식되지 않으면,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은 새로 할당된 핑거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에 기존 핑거의 부재를 통지한다. 새로 할당된 핑거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는 새로 할당된 핑거에 대응하는 초기 웨이트 생성기로부터 안테나 웨이트를 수신한다. 즉, 새로 할당된 핑거에 대응하는 초기 웨이트 생성기(135-1 내지 135-L)의 대응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 안테나 웨이트가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의 대응하는 것에 설정된다(스텝 S602).
한편, 기존 핑거의 존재가 인식되면,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은 SIR 측정 유닛(52-1 내지 52-L)에 의해 측정된 SIR들 중 최대의 SIR을 갖는 핑거의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로부터 안테나 웨이트를 추출하거나 또는 차용한다.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은 새로 할당된 핑거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에 상기 추출하거나 차용한 안테나 웨이트를 설정한다. 즉, 추출된 안테나 웨이트는 새로 할당된 핑거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의 대응하는 것에서의 초기 안테나 웨이트로서 설정된다(스텝 S603).
도 7은 기존의 핑거 중 하나의 경로 타이밍이 크게 변화한 때의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은 탐색기(12)로부터 공급된 타이밍에 기초해서 기존 핑거들 중 소정핑거의 경로 타이밍의 변화를 검출한다. 경로 타이밍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은 변화량이 XT칩보다 작지 않은가 또는 작은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01). 이 변화량이 XT칩보다 작다면,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따라서,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핑거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의 대응하는 것의 안테나 웨이트는 계속해서 사용된다(스텝 S702). 이것은 변화량이 적다는 것이 핑거가 계속해서 존재한다는 사실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한편, 변화량이 XT칩보다 작지 않으면,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은 SIR 측정 유닛(52-1 내지 52-L)에 의해 측정된 SIR들 중 최대의 SIR을 갖는 핑거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로부터 안테나 웨이트를 추출한다.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은 이 추출된 안테나 웨이트를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핑거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의 대응하는 것에서의 초기 안테나 웨이트로서 설정한다(스텝 S703).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기존 핑거의 안테나 웨이트는 새로운 핑거가 새로 할당될 때, 또는 기존 핑거들 중 소정 핑거의 경로 타이밍이 크게 변화할 때,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 안테나 웨이트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양호한 수신 품질을 갖는 지향성이 적응 갱신의 개시 직후에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들 중 대응하는 제어기에서 사용되는 적응 갱신 알고리즘에 의해 소모되는 수렴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초기 웨이트 생성기(135-1내지 135-L)의 대응하는 것에서의 연산량도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 내지 133-L)의 출력은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가능한한 양호하게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핑거에 대한 안테나 웨이트를 얻기 위한 선택 기준으로서 사용되어, SIR들 중 최대 SIR을 갖는 기존 핑거가 선택되지만, 신호 전력이 최대인 핑거는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신호 전력이 최대인 핑거를 선택하는 방법을 채택한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신호 전력 측정 유닛(81-1 내지 81-L)은 도 5의 SIR 측정 유닛(52-1 내지 52-L)과 마찬가지로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133-1 내지 133-L)의 출력을 사용하고, 소정 시간의 기간동안 임의로 평균한 신호 전력을 측정해서 이 측정 결과를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에 공급한다. 이 평균 신호 전력은 기존 핑거의 기존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신호의 도래 방향에서 이득이 최대이거나 또는 안테나 웨이트의 놈(norm)이 최대인 기존 핑거는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은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의 안테나 웨이트를 직접 사용하여 신호의 도래 방향에서 이득이 최대이거나 또는 안테나 웨이트의 놈이 최대인 기존 핑거를 선택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신호의 도래 방향과 관련해 이득이 최대이거나 또는 안테나 웨이트 놈이 최대인 핑거를 선택하는 방법을 채택한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신호의 도래 방향과 관련해 이득이 최대인 핑거를 선택하는 방법이 채택되는 경우에, 안테나 웨이트 우도(likelihood) 처리 유닛(91-1 내지 91-L)은 안테나 웨이팅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의 각 안테나 웨이트를 사용하여 임의로 평균한 시간의 기간동안 신호의 도래 방향에서의 이득을 측정하고, 이 측정된 결과를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에 공급한다. 이 측정 결과는 기존 핑거의 기존 상태를 나타낸다.
안테나 웨이트의 놈이 최대인 핑거를 선택하는 방법을 채택한 경우에, 안테나 웨이트 우도 처리 유닛(91-1 내지 91-L)은 안테나 웨이팅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 각각의 안테나 웨이트를 사용하여 임의로 평균한 시간의 기간동안 놈을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에 공급한다. 이 측정 결과는 기존 핑거의 기존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경로 타이밍이 최단이거나 또는 경로 기간이 최장인 기존 핑거는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은 탐색기(12)로부터 통지된 타이밍을 사용하여 경로 타이밍이 최단이거나 또는 경로 기간이 최장인 기존의 핑거를 선택한다. 경로 타이밍이 최단인 핑거는 고 수신 레벨의 직접파를 갖을 가능성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경로 타이밍이 최단이거나 또는 경로 기간이 최장인 핑거를 선택하는 방법을 채택한 CDMA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경로 타이밍이 최단인 핑거를 선택하는 방법이 채택되는 경우, 경로 타이밍 비교기(101)는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에 탐색기(12)로부터 공급된 경로 타이밍을 통지한다. 이 경로 타이밍은 기존 핑거의 기존 상태를 나타낸다.
최장 경로 기간을 갖는 핑거를 선택하는 방법이 채택되는 경우, 경로 타이밍 비교기(101)는 경로 기간을 측정해서, 그 결과를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51)에 공급한다. 이 측정 결과는 기존 핑거의 기존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연관해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이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도 실행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CDMA 방식과 다르며 복수의 도래파를 분리할 수 있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FDMA(f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등의 다른 방식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RLS(recursive least square) 알고리즘, SMI(sample matrix inversion) 알고리즘 등의 다른 적응 갱신 알고리즘이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134-1 내지 134-L) 각각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효과는 각 경로마다 각각 빔을 형성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에 있어서, 핑거를 새롭게 할당할 때나 핑거의 경로 타이밍이 크게 변화한 때,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핑거의 안테나 웨이트를 초기치로 사용함으로써, 적응 갱신의 개시 직후에 수신 품질이 높은 지향성을 실현할 수 있고,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 유닛에서 사용되는 적응 갱신 알고리즘의 안테나 웨이트의 수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다경로의 각 경로마다 빔을 형성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존 핑거에 관한 기존 상태를 검출하는 기존 상태 검출 수단, 및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에 접속되어, 선택된 기존 핑거에 사용되는 안테나 웨이트를 차용(borrow)하여,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상기 기존 핑거중 다른 하나에 상기 차용한 안테나 웨이트를 공급하도록, 상기 기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핑거중 하나를 선택하는 안테나 웨이트 계승(succession)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은 각각 상기 기존 핑거들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의 출력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기존 핑거의 신호 대 간섭비를 검출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상기 신호 대 간섭비가 최대인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상기 선택된 기존 핑거로서 선택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선택된 기존 핑거에 사용되는 상기 안테나 웨이트를 상기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상기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상기 기존 핑거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안테나 웨이트로서 제공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은 각각 상기 기존 핑거들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의 출력을 사용하여 상기 기존 핑거의 신호 전력을 검출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상기 신호 전력이 최대인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상기 선택된 기존 핑거로서 선택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선택된 기존 핑거에 사용되는 상기 안테나 웨이트를 상기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상기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상기 기존 핑거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안테나 웨이트로서 제공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은 각각 상기 기존 핑거들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로부터 공급되는 안테나 웨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기존 핑거들의 신호 도래 방향과 관련된 이득을 검출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상기 이득이 최대인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상기 선택된 기존 핑거로서 선택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선택된 기존 핑거에 사용되는 상기 안테나 웨이트를 상기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상기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상기 기존 핑거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안테나 웨이트로서 제공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은 각각 상기 기존 핑거들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로부터 공급된 안테나 웨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기존 핑거의 안테나 웨이트의 놈(norm)을 검출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상기 놈이 최대인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상기 선택된 기존 핑거로서 선택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선택된 기존 핑거에 사용되는 상기 안테나 웨이트를 상기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상기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상기 기존 핑거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안테나 웨이트로서 제공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에 탐색기로부터 공급된 경로 타이밍을 통지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상기 경로 타이밍에 기초하여 지연 시간이 최단인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선택된 기존 핑거에 사용되는 상기 안테나 웨이트를 상기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상기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상기 기존 핑거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안테나 웨이트로서 제공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은 탐색기로부터 공급된 경로 타이밍을 사용하여 상기 기존 핑거들의 경로 기간을 검출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상기 경로 기간이 최장인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상기 선택된 기존 핑거로서 선택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선택된 기존 핑거에 사용되는 상기 안테나 웨이트를 상기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상기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상기 기존 핑거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안테나 웨이트로서 제공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8. 수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 및
    희망 신호에 대한 다경로의 경로에 대응하는 할당 핑거들을 처리하며, 상기 수신 신호를 웨이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 웨이트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 처리 유닛을 갖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있어서,
    기존 핑거에 관련된 기존 상태를 검출하는 기존 상태 검출 수단, 및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과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에 접속되어, 상기 기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선택된 핑거로서 선택하고, 상기 선택 핑거에 대응하는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들 중 하나로부터 안테나 웨이트를 추출하여 이 추출된 안테나 웨이트를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상기 기존 핑거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 중 다른 하나에 초기 안테나 웨이트로서 공급하는 안테나 웨이터 계승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유닛은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들을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신호 처리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기존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존 핑거들의 신호 대 간섭비를 측정하는 신호 대 간섭비 측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상기 신호 대 간섭비가 최대인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상기 선택 핑거로서 선택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유닛은 안테나 웨이팅/합성 회로들을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신호 처리 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기존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존 핑거들의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신호 전력 측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상기 신호 전력이 최대인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상기 선택 핑거로서 선택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은 각각 상기 신호 처리 유닛들 설치되어 상기 기존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로부터 공급된 안테나 웨이트를 사용하여 신호 도래 방향에서의 상기 수신 신호의 이득을 측정하는 안테나 웨이트 우도(likelihood)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상기 이득이 최대인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상기 선택 핑거로서 선택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은 각각 상기 신호 처리 유닛들 설치되어 상기 기존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로부터 공급된 안테나 웨이트의 놈을 측정하는 안테나 웨이트 우도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상기 놈이 최대인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상기 선택 핑거로서 선택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신호 처리 유닛에 접속된 탐색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탐색기에 접속되어 상기 기존 상태를 검출하는 대신에 상기 탐색기로부터 공급된 상기 경로 타이밍을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에 통지하는 경로 타이밍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상기 경로 타이밍으로 나타나는 지연 시간이 최단인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상기 선택 핑거로서 선택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신호 처리 유닛에 접속된 탐색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존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탐색기에 접속되어 상기 기존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존 핑거의 경로 기간을 측정하는 경로 타이밍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웨이트 계승 처리 유닛은 상기 경로 기간이 최장인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상기 선택 핑거로서 선택하는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15. 수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 및 희망 신호에 대한 다경로의 경로에 대응하는 기존 핑거들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신 신호를 웨이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 웨이트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안테나 웨이트 적응 제어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 처리 유닛을 포함한 적응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새로 할당된 핑거 또는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핑거에 초기 안테나 웨이트를 제공하고,
    기존 핑거의 기존 상태를 검출하는 기존 상태 검출 단계와,
    상기 기존 핑거들 중 하나를 상기 기존 상태에 기초하여 선택 핑거로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핑거에 대응하는 상기 신호 처리 유닛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안테나 웨이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안테나 웨이트를 상기 새로운 기존 핑거 또는 상기 경로 타이밍이 변화된 핑거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2-0025956A 2001-05-11 2002-05-10 안테나 웨이트의 수렴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적응 어레이안테나 수신 장치 KR100446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41357A JP3601598B2 (ja) 2001-05-11 2001-05-11 適応アンテナ受信装置
JPJP-P-2001-00141357 2001-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301A KR20020086301A (ko) 2002-11-18
KR100446025B1 true KR100446025B1 (ko) 2004-08-30

Family

ID=1898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956A KR100446025B1 (ko) 2001-05-11 2002-05-10 안테나 웨이트의 수렴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적응 어레이안테나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25808B2 (ko)
EP (1) EP1257071B1 (ko)
JP (1) JP3601598B2 (ko)
KR (1) KR100446025B1 (ko)
CN (1) CN123100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8385B1 (en) * 2000-12-04 2004-03-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yntesis receiving method and synthesis receiver
KR100548313B1 (ko) * 2002-07-20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ir 측정기의 알파트랙커 및 알파트랙커의 알파값결정방법
SG108874A1 (en) * 2002-09-17 2005-02-28 Sony Corp Channel equalisation
JP4090331B2 (ja) * 2002-11-20 2008-05-28 三洋電機株式会社 受信方法と装置
JP4170100B2 (ja) * 2003-01-10 2008-10-22 富士通株式会社 適応アンテナを用いる通信機
WO2004079945A1 (ja) * 2003-03-04 2004-09-16 Nec Corporation 初期段階から指向性ビームの受信品質が良好な適応アンテナ受信装置
KR100546357B1 (ko) * 2003-07-30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 다이버시티 및 빔형성을 이용한 디지털 tv신호를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7106780B2 (en) * 2003-09-30 2006-09-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Rake-based CDMA receivers for multiple receiver antennas
US8150469B2 (en) * 2006-02-27 2012-04-03 Kyocera Corporation Adaptive array base station device and adaptive array base station device control method
US7979484B2 (en) * 2007-05-29 2011-07-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accelerating the computation of adaptive weights using matrix inverse calculations
US8195241B2 (en) 2009-12-23 2012-06-05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High-performance cellular telephone receiver
JP5677224B2 (ja) * 2011-07-26 2015-02-2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3530A1 (en) * 1999-11-26 2001-02-22 Nokia Networks Oy Rake receiver
KR20010051613A (ko) * 1999-11-10 2001-06-25 조정남 차세대 코드분할다중접속 무선 통신용 스마트안테나에서의 가중 벡터 생성 방법
JP2001177441A (ja) * 1999-10-07 2001-06-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dma復調装置及びcdma復調方法
JP2002043980A (ja) * 2000-07-24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受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6191A (en) * 1980-04-14 1982-02-16 The Bendix Corporation Low angle radar processing means
KR100271120B1 (ko) 1995-11-29 2000-11-01 다치카와 게이지 다이버시티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JP3302634B2 (ja) 1997-12-16 2002-07-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及び方法
JP2991179B2 (ja) * 1998-01-08 1999-12-20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マルチユーザ受信装置
JPH11266180A (ja) * 1998-03-18 1999-09-28 Fujitsu Ltd 無線基地局のアレーアンテナシステム
JPH11308130A (ja) 1998-04-17 1999-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干渉波抑圧装置
JP3631378B2 (ja) 1998-07-22 2005-03-23 富士通株式会社 レーク受信器
KR20000041527A (ko) * 1998-12-22 2000-07-15 최승원 라그랑제승수법에 의거한 적응 배열 안테나 시스템의 최적의 웨이트벡터 계산을 위한 신호처리 방법 및 장치
US6130643A (en) * 1999-04-14 2000-10-10 Trw Inc. Antenna nulling system for suppressing jammer signals
JP2000307489A (ja) 1999-04-23 2000-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受信装置及び受信タイミング検出方法
US6486828B1 (en) * 2000-07-26 2002-11-26 Western Multiplex Adaptive array antenna nulling
US6507315B2 (en) * 2001-05-03 2003-01-1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characterizing the elements in an array antenn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7441A (ja) * 1999-10-07 2001-06-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dma復調装置及びcdma復調方法
KR20010051613A (ko) * 1999-11-10 2001-06-25 조정남 차세대 코드분할다중접속 무선 통신용 스마트안테나에서의 가중 벡터 생성 방법
WO2001013530A1 (en) * 1999-11-26 2001-02-22 Nokia Networks Oy Rake receiver
JP2002043980A (ja) * 2000-07-24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受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90900A1 (en) 2002-12-19
KR20020086301A (ko) 2002-11-18
EP1257071A3 (en) 2005-03-23
JP2002335233A (ja) 2002-11-22
JP3601598B2 (ja) 2004-12-15
US6825808B2 (en) 2004-11-30
CN1231000C (zh) 2005-12-07
EP1257071A2 (en) 2002-11-13
EP1257071B1 (en) 2013-04-03
CN1385925A (zh)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4584B1 (en) CDMA adaptive antenna receiv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501970B1 (ko) 적응 안테나 수신 장치
JP3092798B2 (ja) 適応送受信装置
KR100428709B1 (ko) 다중 경로 정보 피드백을 이용한 순방향 빔형성 장치 및그 방법
KR10078445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기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기의 송수신 방법
JPH11266180A (ja) 無線基地局のアレーアンテナシステム
KR100446025B1 (ko) 안테나 웨이트의 수렴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적응 어레이안테나 수신 장치
KR2006013632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기
JP2004505539A (ja) 送信信号を受信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WO2005071865A1 (ja) 送信指向性アンテナ制御システム、基地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送信指向性アンテナ制御方法
US6498928B1 (en) Radio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reception timing
EP17283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estimation, related receiv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05055466A1 (ja) マルチビーム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
JP3856126B2 (ja) パスタイミング検出方法、パスタイミング検出装置及び適応アレーアンテナシステム
JP4359778B2 (ja) 初期段階から指向性ビームの受信品質が良好な適応アンテナ受信装置
KR20000057096A (ko) 시분할 방식으로 동작 가능한 cdma 수신기 및 그의제어 방법
JP2002232326A (ja) パス検出方法、パス検出装置及びアレーアンテナ受信装置
JP2003060558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KR100933412B1 (ko)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이동평균 경로지연 오프셋 보정장치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