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376B1 - 11-(치환된페닐)-에스트라-4,9-디엔유도체 - Google Patents

11-(치환된페닐)-에스트라-4,9-디엔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376B1
KR100445376B1 KR1019960033671A KR19960033671A KR100445376B1 KR 100445376 B1 KR100445376 B1 KR 100445376B1 KR 1019960033671 A KR1019960033671 A KR 1019960033671A KR 19960033671 A KR19960033671 A KR 19960033671A KR 100445376 B1 KR100445376 B1 KR 100445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ra
substituted phenyl
derivative
diene
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784A (ko
Inventor
게브하드 로널드
Original Assignee
악조 노벨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205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4537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악조 노벨 엔.브이. filed Critical 악조 노벨 엔.브이.
Publication of KR97001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5/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and substituted in position 21 by only one singly bound oxygen atom, i.e. only one oxygen bound to position 21 by a sing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17/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having an oxygen-containing hetero ring not condensed wit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6Psychostimulants, e.g. nicotine, c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3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uprarenal hormones
    • A61P5/44Glucocorticosteroids; Drugs increasing or potentiating the activity of glucocortico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3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uprarenal hormones
    • A61P5/46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uprarenal hormones for decreasing, blocking or antagonising the activity of glucocortico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2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having an oxygen-containing hetero ring spiro-condensed wit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 C07J21/005Ketals
    • C07J21/006Ketals at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3/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one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4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 C07J41/0005Normal steroids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not belonging to a hetero ring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linked to the cyclopenta(a)hydro phenanthrene skeleton
    • C07J41/0016Oxi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71/00Steroids in which the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skeleton is condensed with a heterocyclic ring
    • C07J71/0005Oxygen-containing hetero ring
    • C07J71/0026Oxygen-containing hetero ring cyclic ke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ddiction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중에서, A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O 및 S중에서 선택되는 2개의 헤테르 원자를 함유하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5원 또는 6원 고리의 잔기이거나, 또는 A는 C-C 이중결합이 존재하지 않고, 별표로 표시된 위치의 페닐기에 O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1개의 헤테로원자가 연결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5원 또는 6원 고리의 잔기이며; R1은 H 또는 1-옥소(1-4C)알킬; R2는 H, (1-8C)알킬, 할로겐 또는 CF3; X는 (H,OH), O, 및 선택되고; 점선은 선택적인 결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글루코코르티코이드 활성을 지니며,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존적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
본 발명은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의약 제조시 상기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당 기술 분야에는 여러 개의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독일 특허 DE 3307143호는 11, 13, 16 및 17 위치에 각종 치환체를 보유할 수 있는 스테로이드를 개시하고 있다. DE 3307143호에 따르면, 이들 스테로이드 유도체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및 프로게스테롬 수용체에 대해 뛰어난 친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안드로겐 수용체에 대해서도 상당한 친화성을 갖고 있다. 또한, DE 3307143호에늘 상기 스테로이드 유도체가 항글루코코르티코이드 활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 필리버트 등[Agarwal MK(ed): Antihormones in Health and Disease, Front Horm Res Basel, Karger, 1991, vol.19, pp 1-17]은 DE 3307143호에 개시된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가 생체 내에서 그다지 큰 활성을 갖지 않은 항글루코코르티코이드 스테로이드(예컨대, 11-(m-메톡시페닐)- 및 11-(m-메틸티오페닐)-유도체)이거나, 또는 비교적 높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결합 친화성을 갖고 있음(예컨대, 11-(p-메톡시페닐)- 및 11-(p-메틸티오페닐)-유도체)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성질들은 상기 화합물들의 치료 효과를 심각하게 제한한다. 또한, 상기 유도체들은 생체 내 활성이 낮기 때문에 치료용으로 사용할 경우 높은 용량으로 투여해야만 한다. 따라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또한, 높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결합 친화성은 (항)프로게스타겐 활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화합물이 이것의 임상 사용, 특히 장기간의 치료적 사용을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항)호르몬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높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결합 친화성 및 높은 생체내 항글루코코르티코이드 활성을 갖는 한편, 안드로겐 및 프로게스타겐 활성과 같은 기타 다른 호르몬 활성은 낮은 화합물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하기 화학식 1의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가 특이적이고 높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결합 친화성을 나타내며, 생체내 활성이 커서 현저한 항글루코코르티코이드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화학식 1]
상기 식 중,
A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각각 O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2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5원 또는 6원 고리의 잔기이거나, 또는 A는 C-C 이중 결합이 존재하지 않고, 별표로 표시된 위치의 페닐기에 O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1 개의 헤테로원자가 결합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5원 또는 6원 고리의 잔기이고,
R1은 H 또는 1-옥소(C1∼C4)알킬이며,
R2는 H, (C1∼C8)알킬, 할로겐 또는 CF3이고,
X는 (H,OH), O 및 NOH 중에서 선택되며,
점선은 선택적인 결합을 나타낸다.
상기 화합물은, 명백한 부작용 특성을 지시하는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겐 및 안드로겐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을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는 쿠싱 증후군, 당뇨병, 녹내장, 수면 장애, 우울, 불안, 동맥경화증, 고혈압, 비만, 골다공증, 및 진정제에 의한 금단 증후군 및 이들의 복합 증상과 같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의존 질환 또는 증상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헤테로원자(들)가 O이고, 5원 또는 6원 고리는 하나 이상의 불소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며, R1은 H이고, X는 O 또는 NOH인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이다.
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A가 5원 고리의 잔기인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A가 헤테로원자 O를 2 개 함유하는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이다. 보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R2가 메틸이고 점선이 결합을 나타내는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이다.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11β,17β)-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7-(1-프로피닐)에스트라-4,9-디엔-3-온이다.
할로겐이란 용어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를 의미한다. 불소는 고리 A 중의 바람직한 할로겐이고, R2가 할로겐인 경우에는 염소가 바람직하다. R1및 R2의 정의에 사용된 바와 같은 (C1∼C4)알킬 및 (C1∼C8)알킬이란 용어는 각각 1∼4 개 및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의미하며,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t-부틸, 펜틸, 네오펜틸, 헥실, 옥틸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탈수시키고 보호기를 제거한 후, 적절한 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켜 17β-OH를 선택적으로 에스테르화하여 R1이 1-옥소(C1∼C4)알킬인 유도체를 산출시키는 단계, 및 경우에 따라, 3-옥소기를 해당 3-히드록시- 또는 3-옥심 유도체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2]
상기 식 중,
A, R2및 점선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R1은 H이며,
P는 보호된 케토기이다.
3-옥소기는 붕수소화나트륨과 같은 적절한 환원제를 사용하여 환원시키면 3-히드록시-유도체를 형성할 수 있다. 3-옥심 유도체는 피리딘과 같은 적절한 용매중에서 히드록실아민으로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2의 유도체는 스테로이드의 제조에 사용되고 개시된 공지의 방법들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2의 유도체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방법은 에스트라-4,9-디엔-3,17-디온을 원료로 한다. 17-케토기를, 예컨대 붕수소화나트륨을 사용하여 17β-OH, 17α-H로 선택적으로 환원시킨 다음,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오르토포르메이트 및 p-톨루엔술폰산으로 케탈화하여 3-케토기를 보호한 후, 예컨대 피리디늄 클로로크로메이트에 의해 17-히드록시기를 산화시킴으로써 3-케토 보호된 에스트라-5(10),9(11)-디엔-3,17-디온을 제공한다. 이어서, 17 위치를알킨일화(17α-알킨일, 17β-OH 유도체 제공)한 다음, 예컨대 유럽 특허 출원 EP 0 298 02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과산화수소, 트리플루오로아세토페논 및 디클로로메탄 중의 피리딘을 사용하여 5(10) 이중 결합을 에폭시화함으로써 3-케토 보호된 5α,10α-에폭시-17α-알키닐-17β-히드록시-에스트르-9(11)-엔-3-온을 제공한다. 이어서, 이 에폭시 유도체를, 예를 들어 화학식[식 중, X는 리튬과 같은 (알칼리)금속, 또는 할로겐화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브롬화마그네슘임]의 유기 금속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적절한 보호기 및 이 기들을 제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T.W.Gree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Wiley,NY,1981) 참조}. 케토기를 보호하는 데 특히 적합한 보호기는 아세탈, 예컨대 1,2-에틸렌 케탈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장내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인간의 1일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체중 1 kg 당 0.001∼100 m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체중 1 kg 당 0.01∼10 mg이다. 이 화합물은 표준 문헌[Gennaro et al.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8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1990, 특히 Part 8:Pharmaceutical Preparations and Their Manufacture 참조)]에 교시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적당한 보조제와 함께 혼합하여 고형의 투여 단위, 예컨대 환제 및 정제로 압착시키거나, 또는 캡슐이나 좌약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약학적으로 적합한 액체를 사용하여, 화합물을, 예를 들어 주사제 또는 점안액으로 사용하기 위한 용액, 현탁액 및 유탁액의 형태로, 또는 예를 들어 비강 분무제로 사용하기 위한 분무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정제와 같은 투여 단위를 제조하는 데 충전제, 착색제, 중합체 결합제 등과 같은 통상적인 첨가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 화합물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약학적 허용 첨가제라면 어떤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조성물과 함께 투여될 수 있는 적당한 담체로는 적당한 양으로 사용되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11β,17β)-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7-(1-프로핀일)에스트라-4,9-디엔-3-온
a) THF 1 리터 중 중에서 Mg 19.3 g(788 mmol)과 브롬화에틸 58 ㎖(775 mmol)를 반응시켜 제조한 에틸 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0∼5℃로 냉각시켰다. 이 그리냐드 용액에, 프로핀(드라이아이스/아세톤 냉각된 실린더에서 미리 응축시킴) 83 ㎖(1.46 mol)을 서서히 첨가하여 기포를 발생시켰다. 이어서, THF 200 ㎖ 중에 용해시킨 에스트라-5(10),9(11)-디엔-3,17-디온-3-(고리 1,2-에탄디일 아세탈)(EP 0683172 참조) 50 g(159 mmol)을 빙냉 하에 상기 용액에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염화암모늄 포화 수용액에 붓고, 그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2 회 추출하여 반응 종료시켰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 및 증발시켜 미정제 17α-프로핀일-17β-히드록시-에스트라-5(10),9(11)-디엔-3-온-3-(고리-1,2-에탄디일 아세탈) 58.4 g을 얻었다.
b) 단계 a)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809 ㎖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피리딘 4.8 ㎖, 트리플루오로아세토페논 15.2 ㎖ 및 30% 과산화수소 219 ㎖를 첨가하고, 산출되는 2상계를 상온에서 36 시간 동안 강력하게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물에 붓고, 유기층을 분리시킨 다음, 티오황산나트름 포화 용액으로 2 회 세정하였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 및 증발시켜 반고형의 잔류물을 얻었다. 이를 디에틸에테르로 결정화시켜 5α,10α-에폭시-17α-프로핀일-17β-히드록시-에스트르-9(11)-엔-3-온-3-(고리-1,2-에탄디일 아세탈) 29.4g을 얻었다. m.p. 191℃.
c) 무수 THF 125 ㎖ 중의 4-브로모-1,2-(메틸렌디옥소)벤젠 9.27 ㎖(77.0 mmol)와 Mg 1.9 g(77.6 mmol)로 제조한 3,4-(메틸렌디옥소)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에 CuCl 534 mg을 0∼5℃ 하에 첨가하였다. 0∼5℃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다음, 5α,10α-에폭시-17α-프로핀일-17β-히드록시-에스트르-9(11)-엔-3-온-3-(고리-1,2-에탄디일 아세탈) 9.5 g(25.7 mmol)을 무수 THF 125 ㎖ 중에 용해시켜 첨가하였고, 이때 온도는 10℃ 이하의 온도로 유지시켰다.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염화암모늄 포화 용액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2 회)시킴으로써 반응 종료하였다. 유기층을 합하여 이를 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여과 및 농축시켰다. 그 잔류물을 헵탄으로 분쇄하여, 다음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히 순수한 5α,17β-디히드록시-11β-[1,3-벤조디옥솔-5-일]-17α-프로핀일-에스트르-9-엔-3-온 3-(고리 1,2-에탄디일아세탈)12.25 g을 얻었다.
d) 단계 1.c)에서 얻어진 화합물 5 g(10.2 mmol)을 아세톤 150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0∼5℃로 냉각시킨 다음, 6N H2SO410 ㎖를 첨가하여 그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다음, 냉각된 용액을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에 붓고, 그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2 회). 유기상을 합하여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여과 및 농축시켰다. 용출제로서 헵탄/에틸아세테이트(8/2 v/v%)를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 (11β,17β)-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7-(1-프로핀일)에스트라-4,9-디엔-3-온 3 g을 얻었다. 디에틸 에테르로 결정화하여 결정 2.4 g을 얻었다. m.p. 212.6∼214℃.
실시예 2
3E- 및 3Z-(11β,17β)-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7-(1-프로핀일)에스트라-4,9-디엔-4-온 옥심
실시예 1. d)에서 얻어진 생성물 1.3 g(3 mmol)을 피리딘 33 ㎖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히드록실아민 염산염 1.05 g(15 mmol)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물에 붓고, 묽은 염산으로 중화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시켰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 및 증발 건조시켰다. 미정제 옥심을 실리카겔과 용출제로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7/3 v/v %를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 분리하였다. 이로써 비선도 [α]20 D= +64° (c=0.5, 디옥산)인(3E,11β,17β)-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7-(1-프로핀일)에스트라-4,9-디엔-3-온 옥심 1 g 및 비선도 [α]20 D= +36° (c=0.5, 디옥산)인 (3Z,11β,17β)-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7-(1-프로핀일)에스트라-4,9-디엔-3-온 옥심 400 mg을 얻었다.
실시예 3
(11β,17β)-11-(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17-히드록시-17-(1-프로피닐)에스트라-4,9-디엔-3-온
a) 실시예 1.c)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6-브로모-1,4-벤조디옥산 6.02 g(28 mmol), Mg 729 mg(30 mmol), CuCl 90 mg 및 실시예 1.b)에서 제조한 에폭시드 2.5 g(7 mmol)을 사용하여 5α,17β-디히드록시-11β-[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17α-프로핀일-에스트르-9-엔-3-온 3-(고리 1,2-에탄디일 아세탈) 2.8 g을 얻었다.
b) 실시예 1.d)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상기에서 얻어진 물질을 가수분해한 다음,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1β,17β)-11-(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17-히드록시-17-(1-프로핀일)에스트라-4,9-디엔-3-온 2.22 g을 얻었다. 디에틸 에테르/디이소프로필 에테르로 결정화하여 결정 1.78 g을 얻었다. m.p. 200∼202℃.
실시예 4
(11β,17β)-11-(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7-(1-프로핀일)에스트라-4,9-디엔-3-온
a) 실시예 1.c)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2,2-(디플루오로메틸렌-디옥소)페닐 마그네슘 브로마이드[J. Org. Chem. 37, 673(1972) 참조] 5.2 g과 5α,10α-에폭시-17α-프로핀일-17β-히드록시-에스트르-9(11)-엔-3-온 3-(고리 1,2-에탄디일 아세탈) 2 g을 Cu 촉매화된 그리냐드 반응시켜 11β-(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5-일)-5α,17β-디히드록시-17α-프로핀일-에스트르-9-엔-3-온 3-(고리 1,2-에탄디일 아세탈) 2.7 g을 얻었다.
b) 실시예 1.d)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상기에서 얻어진 물질을 가수분해한 다음,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비선도 [α]20 D= +14°(c=1, 디옥산)인 (11β,17α)-11-(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7-(1-프로핀일)에스트라-4,9-디엔-3-온 1.5 g을 얻었다.
실시예 5
(11β,17β)-11-[6-(2.3-디히드로벤조푸란일)]-17-히드록시-17-(1-프로핀일)에스트라-4,9-디엔-3-온
a) 실시예 1.c)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6-브로모-2,3-디히드로벤조푸란(하기 참조) 4.8 g(24 mmol), Mg 583 mg(24 mmol), CuCl 120 mg 및 실시예 1.b)에서 제조한 에폭시드 2.22 g(6 mmol)을 사용하여, 디에틸 에테르로 결정화시킬 수 있는 백색의 비결정형 물질로서 5α,17β-디히드록시-11β-(2,3-디히드로벤조푸란-6-일)-17α-프로핀일-에스트르-9-엔-3-온 3-(고리 1,2-에탄디일 아세탈) 2.1 g을 얻었다.
b) 실시예 1.d)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상기 얻어진 물질을 가수분해한 다음,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의 비결정형 물질로서 (11β,17β)-11-[6-(2,3-디히드로벤조푸란일)1-17-히드록시-17-(1-프로핀일)에스트라-4,9-디엔-3-온 1.46 g을 얻었다; [α]20 D= +48° (c=1, 디옥산)
6-브로모-2,3-디히드로벤조푸란
a) 2,3-디히드로-6-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옥시-벤젠
6-히드록시쿠마란[J. Am. Chem. Soc. 70, 3620(1948)] 4.8 g(10 mmol) 및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23.6 g(192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400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60℃로 냉각시키고, 트리플릭 무수물 8.52 ㎖를 무수 디클로로메탄 120 ㎖에 용해시켜 서서히 적가하였다. -60℃에서 45 분 동안 교반한 후, 이 반응물을 탄산수소나트륨 포화 용액에 부어 냉각시켰다.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다음,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켜 미정제 트리플레이트를 얻었다. 이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로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9/1 v/v%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로 정제하여 순수한 트리플레이트 8.4 g을 얻었다.
b) 2,3-디히드로-6-트리메틸스탄일-벤젠
상기 제조된 트리플레이트 8.04 g(30 mmol)을 디옥산 135 ㎖ 중에 용해시키고, 헥사메틸이주석 15 g(45 mmol), 염화리튬 3.81 g(90 mmol) 및 Pb(Φ3P)4(Φ=페닐) 700 mg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17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Pb(Φ3P)4500 mg 분량을 더 첨가하고, 15 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GC 분석하여 그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였다. 이것에 1 M 플루오르화칼륨 수용액 45 ㎖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규조토 상에서 여과하여 반응 종료하였다. 증발시킨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3-디히드로-6-트리메틸스탄일-벤젠 8.1 g을 얻었다.
c) 6-브로모-2,3-디히드로벤조푸란
2,3-디히드로-6-트리메틸스타닐-벤젠 8.1 g(28.5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100 ㎖에 용해시켰다. 이 혼합물을 얼음 중에서 냉각시킨 뒤, 오렌지색이 남아있을 때까지 디클로로메탄 중의 Br2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였다(약 1 당량 첨가). 이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용출제로서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95/5 v/v %를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6-브로모-2,3-디히드로벤조푸란 4.5 g을 얻었다.
실시예 6
11β,17α-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9,21,27-트리노르콜레스타-4,9-디엔-20(22)-인-3-온
a) THF 230 ㎖ 중의 4-브로모-1,2-메틸렌디옥소벤젠 57.64 ㎖(465 mmol) 및 마그네슘 11.52 g(473 mmol)로 제조한 3,4-(메틸렌디옥소)페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 용액을 0∼5℃에서 무수 THF 465 ㎖ 중의 CuCl 2.1 g 및 5α,10α-에폭시-에스트르-9(11)-엔-3,17-디온 3-(고리-1,2-에탄디일아세탈) 46 g 용액에 적가하였다. 0.5℃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 후, 그 혼합물을 염화암모늄 포화 용액상에 부어 반응 종결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건조시켜, 미정제 5α-히드록시-11β-(1,3-벤조디옥솔-5-일)-에스트르-9(10)-엔-3,17-디온 3-(고리-1,2-에탄디일아세탈)을 얻었다. 이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비결정형의 발포체로서 순수한 생성물 56.3 g을 얻었다.
b) 무수 THF 100 ㎖ 중의 7.1 ㎖의 헥신(60 mmol) 용액을 -50℃에서 1.4 M n-BuLi 35.8 ㎖로 처리한 다음, a)에서 얻어진 생성물 4.52 g(10 mmol)을 무수 THF 50 ㎖ 중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가하였다. 이 용액을 -20℃로 가온시키고, 2 시간 후 TLC로 그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통상적인 작업에 의해, 다음 단계에 사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순수한 5α,17β-디히드록시-11β-(1,3-벤조디옥솔-5일)-17α-헥시닐-에스트르-9(10)-엔-3,17-디온 3-(고리-1,2-에탄디일-아세탈) 4.9 g을 얻었다.
이와 유사하게 다음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b1) 5α,17β-디히드록시-11β-(1,3-벤조디옥솔-5-일)-17α-펜틴일-에스트르-9(10)-엔-3,17-디온 3-(고리-1,2-에탄디일아세탈). b2) 5α,17β-디히드록시-11β-(1,3-벤조디옥솔-5-일)-17α-옥틴일-에스트르-9(10)-엔-3,17-디온 3-(고리-1,2-에탄디일아세탈) 및 b3) 5α,17β-디히드록시-11β-(1,3-벤조디옥솔-5-일)-17α-이소펜틴일-에스트르-9(10)-엔-3,17-디온3-(고리-1,2-에탄디일아세탈).
c) b)에서 얻어진 생성물 1.2 g을 아세톤 60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0∼5℃로 냉각시키고 6N H2SO4용액 2.4 ㎖를 첨가하였다. 1 시간 후, 혼합물을 1 NNaOH 용액으로 중화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시킨 후, 용매를 건조 및 증발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순수한 (11β,17α)-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9,21,27-트리노르콜레스타-4,9-디엔-20(22)-인-3-온 660 mg을 얻었다; [α]20 D= 26° (c=1, 디옥산).
이와 유사하게 다음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c1) (11β,17β)-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7-(1-펜틴일)에스트라-4,9-디엔-3-온, [α]20 D= 25.8° (c= 1, 디옥산); c2) (11β,17β)-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7-(1-옥티닐)에스트라-4,9-디엔-3-온, [α]20 D= 13.4° (c=0.5, 디옥산): c3) (11β,17β)-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9,21-디노르콜레스타-4,9-디엔-20(22)-인-3-온, [α]20 D= 22.7° (c=0.5, 디옥산).
실시예 7
(11β,17α,20E)-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9,21,27-트리노르콜레스타-4,9,20(22)-트리엔-3-온
a) LiAlH4342 mg(9 mmol)을 무수 THF 35 ㎖에 현탁시켰다. 빙냉 하에 실시예 6b)에서 얻어진 물질 1.6 g의 용액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황산마그네슘 포화 용액 1.75 ㎖를 주의깊게 첨가함으로써 반응종결하고, 1 시간 동안 계속 교반한 후, 고형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였으며, 그 혼합물을 규조토 상에서 여과시켰다. 증발시킨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미정제 생성물 20E-5α,17β-디히드록시-11β-[1,3-벤조디옥솔-5-일]-17α-(1-헥센일)-에스트르-9(10)-엔-3,17-디온 3-(고리-1,2-에탄디일아세탈) 700 mg을 얻었다.
b) 실시예 1d)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상기에서 얻어진 물질을 (11β,17α,20E)-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9,21,27-트리노르콜레스타-4,9,20(22)-트리엔-3-온으로 전환시켰고, 이는 비결정형의 고체로서 얻었다: [α]20 D= 75.7° (c=1, 디옥산).
실시예 8
(11β,17α,20Z)-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9,21,27-트리노르콜레스타-4,9,20(22)-트리엔-3-온
a) 실시예 6b)에서 얻어진 물질 1.9 g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에 용해시켰다. 린들라 촉매 171 mg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흡수 반응이 멈출 때까지 수소 대기 중에서 진탕시켰다. 그 혼합물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하고 증발시켜, 거의 순수한 20Z,5α,17β-디히드록시-11β-[1,3-벤조디옥솔-5-일]-17α-(1-헥세닐)-에스트르-9(10)-엔-3,17-디온 3-(고리-1,2-에탄-디아세탈)을 얻었다.
b) 실시예 1d)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상기 얻어진 물질을 목적하는 (11β,17α,20Z)-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9,21,27-트리노르콜레스타-4,9,20(22)-트리엔-3-온으로 전환시키고, 이것은 비결정형의 고체로서 얻었다:[α]20 D= 107° (c=0.5, 디옥산).
실시예 9
(11β,17α)-11-(1,3-벤조디옥솔-5-일)-21-클로로-17-히드록시-19-노르프레그나-4,9-디엔-20-인-3-온
a) 디에틸에테르 중의 메틸리튬 2.2 M 용액 12 ㎖를 0℃로 냉각시켰다. 이 용액에 트랜스-1,2-디클로로에틴 1.32 g을 5.5 ㎖ 디에틸에테르에 용해시켜 서서히 첨가하고, 이때 온도는 10℃ 이하로 유지시켰다. 주위 온도에서 1.5 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고, 이 시간 동안 LiCl의 백색 현탁액이 형성되었다. 그 다음, 실시예 6a)에서 얻어진 스테로이드 1.5 g을 무수 톨루엔 중에 용해시켜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2.5 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 반응의 완료는 TLC로 확인하였다. 그 혼합물을 염화암모늄 포화 용액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건조 및 증발시켜, 반응 종결하였고, 이로써 미정제 5α,17β-디히드록시-11β-[1,3-벤조디옥솔-5-일]-17α-클로로에틴일-에스트르-9(10)-엔-3,17-디온 3-(고리-1,2-에탄디일아세탈) 1.5 g을 백색 유리로서 얻었다.
b) 앞에서 얻어진 물질들을 실시예 1d)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미정제 (11β,17α)-11-(1,3-벤조디옥솔-5-일)-21-클로로-17-히드록시-19-노르프레그나-4,9-디엔-20-인-3-온으로 전환시켰다. 이를 디에틸 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하여 정제 화합물 464 mg을 얻었다; m.p. 209℃.
실시예 10
(11β,17α)-11-(1,3-벤조디옥솔-5-일)-21-트리플루오로메틸-17-히드록시-19-노르프레그나-4,9-디엔-20-인-3-온
a) 문헌[J. Org. Chem. 19, 6051(1995)]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실시예 6a)에서 제조한 스테로이드 2 g(4.4 mmol), 1-브로모-1-트리플루오로메틸에텐 1.94 g(11 mmol) 및 LDA(n-BuLi 1.6 M 용액 12.5 ㎖ 및 N,N-디이소프로필아민 3.1 ㎖로부터 제조함) 20 mmol를 사용하여 5α,17β-디히드록시-11β-[1,3-벤조디옥솔-5-일]-17α-트리플루오로프로핀일-에스트르-9(10)-엔-3,17-디온 3-(고리-1,2-에탄디일아세탈)로 전환시켰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헵탄/에틸 아세테이트 1/1 v/v %)로 정제한 후의 수율: 2 g.
b)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물질을 실시예 1d)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미정제(11β,17α)-11-(1,3-벤조디옥솔-5-일)-21-트리플루오로메틸-17-히드록시-19-노르프레그나-4,9-디엔-20-인-3-온으로 전환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정제 화합물 800 mg을 비결정형의 물질로서 얻었다. [α]20 D= 38.1° (c=0.5, 디옥산).
실시예 11
이하의 표는,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와 관련하여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S)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수용체 친화성을 제시한 것이다. 화합물들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친화성은 본래 인간의 다발성 골수종 세포 내에 존재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에 대하여 측정하였고, 덱사메타손의 친화성과 비교하였다(문헌[H.J. Kloosterboer et al., J. Steroid Biochem., Vol. 31, 567-571(1988)]에 기술된 절차에 따름). 화합물들의 프로게스테론 친화성은 인간의 유방 종양 세포 중에 존재하는 세포질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에 대하여 측정하여, (16α)-16-에틸-21-히드록시-19-노르프레그-4-엔-3,20-디온의 친화성과 비교하였다(문헌[E.W. Bergink et al., J. Steroid Biochem., Vol, 19, 1563-1570(1983)]에 기술된 절차에 따름).
이 표로부터 본 발명의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가 특이 적이고 높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친화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항글루코코르티코이드 활성은, 예컨대 문헌[H.J. Kloosterboer et al., J. Steroid Biochem., Vol, 31, 567-571(1988)]에 기술된 절차에 따른 여러 가지 시험들에 의해 입증되었다. 사용된 매개변수는 체중, 부신, 흉선 및 비장의 중량이었다. 이러한 시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실시예 1의 화합물은 20 mg/kg의 용량에서 상기 4 가지 매개변수들에 대해 덱사메타손의 효과를 현저하게 억제시켰다.
본 발명은, 높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결합 친화성 및 높은 생체내 항글루코코르티코이드 활성을 갖는 한편, 안드로겐 및 프로게스타겐 활성과 같은 기타 다른 호르몬 활성은 낮은 화합물을 제공하며, 이 화합물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의존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유용하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의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
    화학식 1
    상기 식 중,
    A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O 및 S 중에서 각각 선택되는 2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며,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5원 또는 6원 고리의 잔기이거나, 또는
    A는 C-C 이중결합이 존재하지 않고, 별표로 표시된 위치의 페닐기에 O 및 S 중에서 선택되는 1 개의 헤테로원자가 결합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할로겐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는 5원 또는 6원 고리의 잔기이며,
    R1은 H 또는 1-옥소(C1∼C4)알킬이고,
    R2는 H, (C1∼C8)알킬, 할로겐 또는 CF3이며,
    X는 (H,OH), O 및 NOH 중에서 선택되고,
    점선은 선택적인 결합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헤테로원자(들)가 O이고, 5원 또는 6원의 고리는 하나 이상의 불소 원자에 의해 임의 치환되며, R1은 H이고, X는 O 또는 NOH인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가 5원 고리의 잔기인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가 2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이때 헤테로원자는 O인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2가 메틸이고 점선은 결합을 나타내는 것인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
  6.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1β,17β)-11-(1,3-벤조디옥솔-5-일)-17-히드록시-17-(1-프로핀일)에스트라-4,9-디엔-3-온 또는 화학식 (11β,17β)-11-(2,3-디히드로-1,4-벤조디옥신-6-일)-17-히드록시-17-(1-프로핀일)에스트라-4,9-디엔-3-온을 갖는 것인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
  7.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탈수시키고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
    17β-OH를 선택적으로 에스테르화하여 R1이 1-옥소(C1∼C4)알킬인 유도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경우에 따라, 3-옥소기를 해당 3-히드록시 유도체 또는 3-옥심 유도체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의 제조 방법:
    화학식 2
    상기 식 중,
    A, R2및 점선은 제1항에 정의한 바와 같고,
    R1은 H이며, P는 보호된 케토기이다.
  8. 제1항 또는 제2항의 11-(치환된 페닐)-에스트라-4,9-디엔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적당한 보조제를 함유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의존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19960033671A 1995-08-17 1996-08-14 11-(치환된페닐)-에스트라-4,9-디엔유도체 KR100445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202229 1995-08-17
EP95202229.1 1995-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784A KR970010784A (ko) 1997-03-27
KR100445376B1 true KR100445376B1 (ko) 2004-11-08

Family

ID=822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671A KR100445376B1 (ko) 1995-08-17 1996-08-14 11-(치환된페닐)-에스트라-4,9-디엔유도체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6011025A (ko)
EP (1) EP0763541B1 (ko)
JP (1) JP3977462B2 (ko)
KR (1) KR100445376B1 (ko)
CN (1) CN1129602C (ko)
AR (1) AR003982A1 (ko)
AT (1) ATE182596T1 (ko)
AU (1) AU711369B2 (ko)
BR (1) BR9603429A (ko)
CA (1) CA2182771C (ko)
CZ (1) CZ287740B6 (ko)
DE (1) DE69603425T2 (ko)
DK (1) DK0763541T3 (ko)
ES (1) ES2137625T3 (ko)
GR (1) GR3031116T3 (ko)
HK (1) HK1002010A1 (ko)
HU (1) HU229023B1 (ko)
IL (1) IL118974A (ko)
NO (1) NO306257B1 (ko)
NZ (1) NZ299181A (ko)
PL (1) PL183468B1 (ko)
RU (1) RU2135514C1 (ko)
SG (1) SG52834A1 (ko)
TR (1) TR199600664A2 (ko)
TW (1) TW464654B (ko)
ZA (1) ZA9665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3146A1 (en) * 1997-09-23 1999-03-24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s N.V. 21-Hydroy-6,19-oxidoprogesterone (210h-60p) as antiglucocorticoid
ATE332696T1 (de) * 1997-10-06 2006-08-15 Univ Leland Stanford Junior Methode zur behandlung von durch glycocorticoidstörungen verursachten psychosen
EP1726307A3 (en) * 1997-10-06 2007-04-0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s for treating psychosis associated with glucocorticoid related dysfunction
NZ507449A (en) 1998-05-15 2003-08-29 Univ Leland Stanford Junior Gluc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dementia
EP1212345B1 (en) * 1999-04-06 2003-08-06 Akzo Nobel N.V. Orally active 7-alpha-alkyl androgens
WO2002064550A1 (en) * 2001-02-14 2002-08-22 Abbott Laboratories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s
EP1285927A3 (de) 2001-08-16 2005-06-29 Schering Aktiengesellschaft Verwendung von Glucocorticoid-Rezeptorantagonisten zur Vorbeugung und Behandlung von Erkrankungen des männlichen Reproduktionssystems
HUP0500070A3 (en) * 2001-10-26 2012-09-28 Pop Test Cortisol Llc Use of (11betha,17betha)-11-(1,3-benzodioxol-5-yl)-17-(1-propynyl)-estra-4,9-dien-3-one for produc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EP1453495A2 (en) * 2001-11-23 2004-09-08 Akzo Nobel N.V.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using gluc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s
CA2504697C (en) * 2002-11-05 2012-03-13 Corcept Therapeutics, Inc. Methods for treating migraine
EP1599208A4 (en) * 2003-02-04 2007-09-12 Corcept Therapeutics Inc ANTIGLUCOCORTICOIDES FOR THE TREATMENT OF POSTPARTAL PSYCHOSIS
TW200820977A (en) 2006-08-08 2008-05-16 Organon Nv Use of gluc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s for treatment of infectious conditions
WO2012106514A2 (en) * 2011-02-03 2012-08-09 Pop Test Cortisol Llc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WO2012129305A1 (en) * 2011-03-23 2012-09-27 Pop Test Cortisol Llc Combination therapy
WO2012135274A1 (en) 2011-03-31 2012-10-04 Pop Test Cortisol Llc Prevention of infection
US20120263660A1 (en) * 2011-04-18 2012-10-18 Pop Test Cortisol Llc Hair Loss Treatment
US8986677B2 (en) 2012-07-30 2015-03-24 Pop Test Cortisol Llc Therapeutic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15187289A1 (en) 2014-06-03 2015-12-10 Pop Test Abuse Deterrent Technology Llc Drug device configur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7530435A (zh) * 2015-03-02 2018-01-02 科赛普特治疗学股份有限公司 使用糖皮质激素受体拮抗剂和生长抑素治疗acth分泌型肿瘤
AU2016235298B2 (en) 2015-03-23 2021-03-11 Evestra, Inc. Novel cytotoxic agents that preferentially target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for the treatment of malignancies and as new contraceptive agents
WO2016160969A1 (en) 2015-03-30 2016-10-06 Corcept Therapeutics, Inc. Use of glucocorticoid receptor antagonists in combination with glucocorticoids to treat adrenal insufficiency
WO2017023694A1 (en) * 2015-08-03 2017-02-09 Pop Test Oncology Ll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EP3400233A4 (en) * 2015-08-03 2020-02-26 Pop Test Oncology LL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AU2016305092B2 (en) 2015-08-13 2022-01-27 Corcept Therapeutics, Inc. Method for differentially diagnosing ACTH-dependent Cushing's syndrome
WO2017112904A1 (en) 2015-12-23 2017-06-29 Oric Pharmaceuticals, Inc. Inhibitors of glucocorticoid receptor
JP6906525B2 (ja) * 2015-12-23 2021-07-21 オリック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ク. グルココルチコイド受容体の阻害剤
JP6995757B2 (ja) * 2015-12-23 2022-01-17 オリック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ク. グルココルチコイド受容体の阻害剤
EP3405101B1 (en) 2016-01-19 2020-12-23 Corcept Therapeutics, Inc. Differential diagnosis of ectopic cushing's syndrome
PL3523315T3 (pl) 2016-10-07 2021-10-18 Oric Pharmaceuticals, Inc. Inhibitor receptora glukokortykoidowego
EP3641780A4 (en) 2017-06-20 2021-02-24 Corcept Therapeutics, Inc. TREATMENT METHODS OF NEURO-EPITHELIAL TUMORS USING SELECTIVE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8231B (en) * 1981-01-09 1982-11-24 Roussel Uclaf New 11 -substituted steroid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their use as medicaments, the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the new intermediates thus obtained
FR2522328B1 (fr) * 1982-03-01 1986-02-14 Roussel Uclaf Nouveaux produits derives de la structure 3-ceto 4,9 19-nor steroid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s
DE3708942A1 (de) * 1987-03-18 1988-09-29 Schering Ag 19,11ss-ueberbrueckte steroide,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praeparate
DE3717169A1 (de) * 1987-05-19 1988-12-01 Schering Ag 19,11ss-ueberbrueckte steroide,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praeparate
WO1995004536A1 (en) * 1993-08-04 1995-02-16 Akzo Nobel N.V. Antiglucocorticoid steroids for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CA2149496C (en) * 1994-05-19 2006-12-19 Ronald Gebhard 11,21-bisphenyl-19-norpregnan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9602269A3 (en) 1997-12-29
BR9603429A (pt) 1998-05-12
PL183468B1 (pl) 2002-06-28
AU6211996A (en) 1997-02-20
AR003982A1 (es) 1998-09-30
IL118974A (en) 2001-09-13
DE69603425T2 (de) 2000-01-20
RU2135514C1 (ru) 1999-08-27
CA2182771C (en) 2007-04-24
KR970010784A (ko) 1997-03-27
TR199600664A2 (tr) 1997-03-21
HK1002010A1 (en) 1998-07-24
AU711369B2 (en) 1999-10-14
TW464654B (en) 2001-11-21
HU229023B1 (en) 2013-07-29
CA2182771A1 (en) 1997-02-18
ES2137625T3 (es) 1999-12-16
ATE182596T1 (de) 1999-08-15
MX9603476A (es) 1997-07-31
NZ299181A (en) 1997-09-22
CZ287740B6 (en) 2001-01-17
EP0763541B1 (en) 1999-07-28
PL315733A1 (en) 1997-03-03
EP0763541A1 (en) 1997-03-19
DK0763541T3 (da) 2000-02-28
NO963427L (no) 1997-02-18
GR3031116T3 (en) 1999-12-31
NO306257B1 (no) 1999-10-11
CN1147520A (zh) 1997-04-16
CN1129602C (zh) 2003-12-03
CZ238696A3 (en) 1997-05-14
US6011025A (en) 2000-01-04
DE69603425D1 (de) 1999-09-02
JPH09104696A (ja) 1997-04-22
ZA966555B (en) 1997-02-19
HU9602269D0 (en) 1996-10-28
SG52834A1 (en) 1998-09-28
NO963427D0 (no) 1996-08-16
IL118974A0 (en) 1996-10-31
JP3977462B2 (ja) 2007-09-19
HUP9602269A2 (en)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376B1 (ko) 11-(치환된페닐)-에스트라-4,9-디엔유도체
CA1338906C (en) 11 beta-substituted progesterone analogs
US5620966A (en) 11,21-bisphenyl-19-norpregnane derivatives
EP0277676B1 (en) New ll-aryl steroid derivatives
KR100341169B1 (ko) 17-스피로메틸렌스테로이드
KR100287513B1 (ko) 17-스피로푸란-3'-일리덴 스테로이드
US6072068A (en) 16-hydroxy-11-(substituted phenyl)-estra-4,9-diene derivatives
CA1326014C (en) 11.beta.-alkynl-estrenes and -estradienes, their production, and pharma ceuti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m
CA1297472C (en) 11-aryloestrane and 11-arylpregnane derivatives
KR0160280B1 (ko) 19-하이드록실라제 억제제로 유용한 19-치환된 프로게스테론 유도체
US5446178A (en) Process for preparing 19,11β-bridged steroids
MXPA96003476A (es) Derivados de 11-(fenilo sustituido)-estra-4,9-die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