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395B1 -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 - Google Patents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395B1
KR100440395B1 KR1020030048683A KR20030048683A KR100440395B1 KR 100440395 B1 KR100440395 B1 KR 100440395B1 KR 1020030048683 A KR1020030048683 A KR 1020030048683A KR 20030048683 A KR20030048683 A KR 20030048683A KR 100440395 B1 KR100440395 B1 KR 100440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dhesive
layer
fabric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배
Original Assignee
전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배 filed Critical 전영배
Priority to KR1020030048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22Features for removal or adhesion, e.g. ta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용 송장 등의 라벨의 전지(상층 인쇄면)를 분리 회수하는 경우 분리된 중지 표면에 일체의 점착력이 잔존하지 아니하도록 사용되는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부 또는 전부를 박리하는 전지를 갖는 라벨 송장에 있어, 박리 후에 접착면의 점착력을 완전히 상실케하는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을 제공하고, 논스틱 층으로 작용하는 무점착층을 전지에서 중지로 전사시켜 잔존하도록 이룸으로 합지할 때 고온 고압의 라미네이팅 공정을 거치지 아니하고 단순히 가압에 의하여 합지 될 수 있도록 이루어 공정의 간략화를 기할 수 있도록 이루며, 사용 중단에 따라 경화되는 왁스를 주 성분으로 논스틱층을 사용치 아니하여 논스틱 재료가 경화되지 아니하므로 공정을 중단하고 재 진행시 준비 시간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고, 고온 고압의 가열 공정을 배제하여 송장 제조에 도포 사용되는 점착제 및 실리콘의 높은 내열성을 요하지 아니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을 제공하고자,
라벨을 이루는 전지의 배면에 통상의 실리콘층을 도포하고 이 실리콘층 표면에 무 점착층을 도포 건조하는 공정을 통하여 전지를 이루고, 중지의 전면에 점착제를 도포 건조하는 공정을 통하여 중지를 이루며, 하지의 전면에 통상의 실리콘 층을 도포하고 이 실리콘 층 표면에 점착제를 도포 건조하는 공정에 의하여 하지를이루어 전지와 중지를 가압하여 압착시키고, 다시 하지를 가압 압착하여 완성된 라벨 송장을 얻는 공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A method for manufacturing label invoice for non stick and label invoice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용 송장 등의 라벨의 전지(상층 인쇄면)를 분리 회수하는 경우 분리된 중지 표면에 일체의 점착력이 잔존하지 아니하도록 사용되는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벨 송장은 물류의 배송에 있어 주문자 정보와 배송자 정보 등을 인쇄한 전지와, 물류 포장 박스에 라벨 송장을 접착시키도록 상기 전지의 저면에 합지하며 상부와 하부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중지와, 중지의 저면 접착제층에 박리가능하도록 표면을 실리콘 코팅하여 이루어진 박리지로 중첩시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라벨 송장은 다양한 유형으로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오래 전의 송장은 주로 배후면 종이에 인자가 가능한 여러장의 인쇄된 종이(배면이 먹지로 처리된 종이)를 중첩시켜 눌러쓰는 필기 또는 도트 프린터와 같은 인쇄기를 통해 가장 표면에 위치한 송장에 인자함으로서 배후면의 종이가 함께 인자되도록 이루어 배송 과정의 각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여러장의 종이를 각각 절취하여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장의 적층된 종이로 이루어진 송장은 근자에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아니하며 이를 대체하는 송장으로서 하나의 인쇄 및 인자 표면만을 갖는 스티커와 유사한 형태의 라벨 송장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라벨 송장은 하나의 표면에 인쇄 양식을 마련하고, 레이져 프린터 등의 고속 인쇄기를 통해 송장을 기재하므로 속도를 향상시키는 잇점은 있으나, 여러 단계의 택배 과정에서 물류의 전달을 확인하는 송장의 일부 절취 문제를 까다롭게 하고 있기도 하다.
결국, 송장 전지를 복수 이상으로 절단하여 구성하고 물류 배송 과정에서 상기 절단 구성된 송장 일부를 떼어내어 물류의 전달을 확인하는 근거 자료로 사용하고 있는바, 종전에는 떼어낸 송장의 부착 위치에 접착제의 점성이 그대로 남아 끈적임을 유발하여 그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등 회손이 심하게 이루어져 왔다.
상기 떼어낸 송장 위치의 점성을 없애고자 여러 유형의 접착제 조성물이 안출되었다.
그 하나는 압착 풀 즉, 일종의 풀과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중지 표면에 전지를 부착시켜 압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압착 풀을 이용하여 전지를 부착시킨 경우에는 송장인 전지 일부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그 접착력에 따라 송장이 찢어져 회손되는 경우가 빈발하며, 접착력을 약하게 하면 배송 과정에서 전지가 탈락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로 사용되는 다른 하나의 접착제로서는 일명 핫멜트로서 이는 왁스를 주 성분으로 하여 실리콘과 에틸렌-비닐, 하이드로 카본수지를 혼합한 조성물로서 논스틱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혼합 용융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중지의 상부에 도포한 후 건조시키고 건조된 중지를 전지와 합지하여 다시 가열, 가압 로울러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핫멜트 조성물을 용융시켜 합지시키는 공정을 통해 전지의 박리시 논스틱으로서 기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핫멜트형 논스틱 조성물은 파라핀을 주 조성물로 하고 있어 도포시나 압착시 반드시 가열 공정을 통하여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도포된 핫멜트 조성물을 일단 건조시킨 후 다시 전지와 합지할 때 가열시켜 핫멜트를 용융상태로 만든 후 가압하여 압착시키고 건조하는 등의 공정 수행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핫멜트 조성물 역시 파라핀에 의해 경화가 이루어지므로 공정의 중단과 재 작업시 불편함이 따르므로 효율적인 제조 공정의 수행이 어렵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1995-9968호의 스티카 원단의 점착제를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라벨 송장도 공지되어 있다.
이는 스티커의 중지 상부에 도포된 점착제 층에 백색잉크를 부분적으로 인쇄하여 백색잉크가 인쇄된 부분은 접착 기능을 상실하게하고 나머지 부분만이 점착제로서 기능하도록 하여 전지 분리를 용이하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 기술에 따르면 논스틱 조성물을 사용치 아니하고 점착제의 표면에 또 다른 비 접착성 백색잉크를 도포하여 중지와 전지의 상호 접착 면적을 극감시켜 전지의 박리를 돕는것이나 백색잉크를 도포하는 공정, 백색 잉크를 건조시킬 때 점착제의 내열성이 높은 것으로 유지하여야 하는 단점과 함께 분리될 전지가 백색잉크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점착 상태를 유지하므로서 이탈의 우려가 있고, 이를 방지하고자 전지의 분리 부분을 다이컷팅(die cutting)하여 절취선을 부가적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물론 전지를 제거하고 나면 중지의 점착제 부분은 점착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완전한 형태의 논스틱으로서 기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전지를 다이컷팅하여 절취선을 마련하는 공정 등 여러 공정을 수반하므로 제조가 복잡하고 완성된 스티커 원단에서도 그 논스틱으로서의 기능이 불완전한 단점이 있다.
즉, 상기 기술 내용을 살펴보면 무점착으로 기능하는 백색잉크 도포부분은 처음부터 접착력을 상실한 것으로서 논스틱으로 기능하지 못하는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305874호의 무점착성 라벨 송장을 살펴보면, 이는 박리되는 후지와, 송장 인쇄면을 이루는 전지와, 상기 후지와 전지 사이에 상하면으로 점착제를 도포한 중지로 이루어져, 중지 상부의 점착제의 표면에 층상으로 형성된 무 점착성 논스틱 폴리머층을 개재하여 전지와 합지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상기 논스틱 폴리머 층은 무 점착석 폴리머 층으로서, 전지를 중지에 합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일단 전지를 중지로부터 떼어낸 뒤에는 점착력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제조 과정에서는 고열 고압에 의해 얇은 박막상의 논스틱 폴리머층을 통과하여 전지가 중지의 점착재에 접착력을 유지케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얇은 박막상의 논스틱 폴리머층은 고열 고압의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해 중지 상부의 점착제가 폴리머층의 미세 기공을 통과하여 전지와 접착력을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한 것으로서 완전하지는 않지만 일부 미세하게 점착제를 통과시키는 박막의 층을 중지 상부에 도포된 점착제 층의 표면에 처리하여 이루지는 것으로 전지를 제거하고 나면 완전한 무점착을 이루지 못하고 미세 기공으로 통과된 점착제에 의해 끈기가 잔존하는 단점이 있고, 초기 전지 박리시에는 점착제로서 중지와 전지가 접착을 유지하므로 다소 무리한 힘을 필요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중지 및 상지의 손상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열 고압의 라미네이팅 공정 등을 거침에 따라 점착제 등 관련 도포재료들 역시 고열에 견디는 특별한 재료로서 준비되어야 하므로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한다.
따라서 핫 멜트와 같은 논스틱 조성물을 제외하면 부분적인 논스틱 층을 구성하는 것에 지나지 아니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여러 단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일부 또는 전부를 박리하는 전지를 갖는 라벨 송장에 있어, 박리 후에 접착면의 점착력을 완전히 상실케하는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논스틱 층으로 작용하는 무점착층을 전지에서 중지로 전사시켜 잔존하도록 이룸으로 합지할 때 고온 고압의 라미네이팅 공정을 거치지 아니하고 단순히 가압에 의하여 합지 될 수 있도록 이루어 공정의 간략화를 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 중단에 따라 경화되는 왁스를 주 성분으로 논스틱층을 사용치 아니하여 논스틱 재료가 경화되지 아니하므로 공정을 중단하고 재 진행시 준비 시간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온 고압의 가열 공정을 배제하여 송장 제조에 도포 사용되는 점착제 및 실리콘의 높은 내열성을 요하지 아니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라벨을 이루는 전지의 배면에 통상의 실리콘층을 도포하고 이 실리콘층 표면에 무 점착층을 도포 건조하는 공정을 통하여 전지를 이루고, 중지의 전면에 점착제를 도포 건조하는 공정을 통하여 중지를 이루며, 하지의 전면에 통상의 실리콘 층을 도포하고 이 실리콘 층 표면에 점착제를 도포 건조하는 공정에 의하여 하지를 이루어 전지와 중지를 가압하여 압착시키고, 다시 하지를 가압 압착하여 완성된 라벨 송장을 얻는 공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전지의 제 1 제조 공정도.
도 2는 도 1에 의하여 제조된 전지의 제조 공정도로서 전지의 제 2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중지의 제조 공정과 전지의 합지를 도시한 제조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하지의 제 1 제조 공정도.
도 5는 도 4에 의하여 제조된 하지와 합지된 중지를 최종 합지하여 완성 제품을 얻는 제조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각 공정의 지층을 도시한 라벨 송장의 단면 구조.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라벨 송장을 박리하는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지 12, 32 : 실리콘 층
14 : 무 점착층 20 : 중지
22, 34 : 접착제 30 : 하지
이하,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운송 물류 포장 박스에 라벨 송장을 접합시키기 위해 박리지인 하지와, 하지 상부에 양면 접착층을 갖는 중지와, 중지 상부에 접합하여 송장의 인쇄면과 물류 운송에 관련된 내용을 인자하도록 이루어진 아트지와 같은 전지로 이루어지며, 전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중지로부터 떼어내고 떼어낸 표면의 접착력을 상실케하는 무 점착층(논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아트지와 같이 인자 및 인쇄 가능한 롤 타입의 전지원단을 마련하고, 원단을 풀어 이송하면서 도포 롤러로서 실리콘을 전지 원단의 배면에 도포하는 실리콘 도포 단계와, 도포된 실리콘을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실리콘층에 컬링(curling) 방지를 위하여 대전방지제를 도포하는 컬링 방지막 도포 공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 전지 원단을 되감아 권취하는 1차 전지 가공 단계로 이루어지는 1차 전지 가공 단계와,
상기 1차 전지 가공 단계를 통해 얻어진 전지 원단을 24시간 경과시킨 후 상기 전지 원단의 배면에 도포된 실리콘 층에 무 점착층을 도포 롤러로서 도포하는 무 점착제 도포 단계과, 도포된 무 점착제를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무 점착층의 표면에 도포 롤러로서 컬링 방지막을 도포하는 공정을 연속으로 이루어 전지 원단을 되감아 권취하는 2차 전지 가공 단계와,
그라신지 또는 필름류 중 선택된 중지 원단을 마련하고 원단을 풀어 이송하면서 도포 롤러로서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 단계와, 도포된 점착제를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점착제에 컬링 방지막을 도포하는공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 중지를 마련하고, 상기 2차 전지 가공 단계를 통하여 얻어진 전지의 무 점착층과 중지의 점착층을 대면하여 가압롤러를 통과시켜 합지하는 합지 단계와,
그라신지 또는 노루지 중 선택된 하지 원단을 마련하고 원단을 풀어 이송하면서 원단의 일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 롤러로서 도포하는 실리콘 도포단계와, 도포된 실리콘을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실리콘층 표면에 컬링 방지막을 도포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 하지 원단을 되감아 권취하는 1차 하지 가공 단계와,
상기 1차 하지 가공 단계를 통해 얻어진 하지 원단을 24시간 경과시킨 후 상기 하지 원단의 표면에 도포된 실리콘층에 점착제를 도포 롤러로서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 단계과, 도포된 점착제를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점착층의 표면에 도포 롤러로서 컬링 방지막을 도포하는 공정을 연속으로 이루어 하지를 마련하고, 상기 2차 하지 가공 단계를 통하여 얻어진 하지의 점착층과 전지와 합지된 중지의 배면을 대면하여 가압롤러를 통과시켜 합지하는 최종 합지 단계를 통하여 완성된 라벨 송장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무 점착층의 도포를 전지에 행하고 완제된 송장에서 전지를 박리함에 의해 중지쪽으로 전사되도록 하는 것은 제조 공정에 있어서 중지의 표면에 도포된 점착제에 도포하게되면 점착제 표면이 거칠어 도포 막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힘들어 박리 불량을 초래하므로 전지의 실리콘 층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여기서 전지와 하지 원단에 도포되는 실리콘층은 약 5 ~10 ㎛로 도포하고, 전지의 실리콘층 표면에 도포하는 무 점착층은 약 10 ~ 15 ㎛로 도포하며, 중지 원단에 도포되는 점착제층은 20 ~ 25 ㎛, 하지 원단에 도포되는 점착제는 약 25 ~ 30 ㎛로 도포하여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전지(10)의 배면 실리콘 층(12)은 박리 할 때 실리콘 층(12)의 표면에 도포한 무 점착층(14)이 그 대향 중지(20) 표면의 점착제(22)의 점착력에 의하여 전지로부터 점착제(22) 표면으로 전사되면서 깨끗하게 박리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실리콘 층(12)은 상대적인 접착력을 약화시키도록 도포되는 것이며, 하지(30) 전면에 도포한 실리콘 층(32) 역시 그 표면에 도포한 점착제(34)를 중지(20) 하부에 합지되어 하지를 박리할 때 중지에 점착제(34)를 잔류시키면서 박리되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상기 전지의 실리콘 층과 그 기능은 동일하며 이러한 박리 표면의 실리콘 층 도포 처리는 스티커 류에 있어서는 통상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컬링 방지막은 대전 방지제(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에도 잔류 수분을 함유하여 말림(휨)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전지 배면 실리콘층에 도포 사용되는 무 점착층을 이루는 조성물은 폴리스티롤 (Polystyrol; PS) 또는 폴리스티렌 (Polystyrene; GPPS)과, 송진(Resin), 합성고무(Rubber)를 용제인 톨루엔(Toluene)에 혼합 용해시켜 그 점도가 40~45cps로 이루어진 논스틱이 사용되며, 그 외 공지된 논스틱으로써 압착 풀 등이 적용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점도계로 측정한 조성 용액의 점도는 40 ~ 45 cps 이내가 되도록 이루는것이 필요하며 점도가 낮은 경우에는 조성물 용액이 지나치게 묽어 이를 송장에 도포하는 공정에서 지나치게 얇게 도포되므로 박리시 중지의 접착층이 전지의 배면에 점착되므로 박리를 어렵게하며 박리 후에도 점착 성분이 잔존하는 문제가 발생되며, 반대로 점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송장에 도포하는 공정에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도포되어 투명도가 저하된다.
상기 투명도의 저하는 중지 자체에 인쇄 등을 행하고 그 표면에 점착층과 함께 본 조성물과 같이 무점착으로 기능하는 논스틱을 중첩 형성할 때 논스틱 층을 투과하여 중지의 표면 인쇄 내용을 확인하는데 있어 뿌옇게 탁도가 증가하여 인식을 어렵게한다.
여기서 상기 점도의 단위 통상의 1P(Poise)를 센티 푸아즈(1P = 100CP)로 환산한 것으로 1 cps는 단위 체적당 1cp를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각 원단의 제조 공정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층을 얻게된다.
즉, 전지(10)는 배면 실리콘 층(12)과, 실리콘 층의 표면에 무점착층(14)을 도포하여 이루어지고, 중지(20)의 전면에는 점착제(22)를 도포하여 이루며, 하지(30)는 전면에 실리콘 층(32)과 이 실리콘 층 표면에 점착제(34)를 도포하여 이루어 상기 전지(10)와 중지(20)가 가압 합지될 때 중지(20)의 전면 점착제(22)와 무점착층(14)이 접합된 상태를 이루고, 전지(10)와 중지(20)가 합지된 상태에서 하지(30)를 합지 완성하여 전지(10)를 떼어낼 때 전지(10)에 도포된 무점착층(14)이 전지(10)로부터 중지(20)의 전면 점착제(22)로 전사되어 점착제(22) 표면에 잔존하게되어 중지(20) 전면의 점착 기능을 상실하게 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송장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송장은 물류의 수하인과 물품 정보 등을 기재하는 일면과, 물품의 배달 후 회수하기 위하여 송장번호, 수하인, 송하인 및 인수자 서명 등을 표기한 배달표(인수증)로 구획되어 절취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라벨 송장 역시 상기와 같이 2분할되어 이루어진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며 송장의 구획은 2분할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상기 라벨 송장은 물품을 포장한 박스 표면에 송장 내용을 인쇄하여 후지(30)를 제거하고 중지(20)를 접착시켜 물류 배송을 이루고, 배송지에 도착하면 수하인의 인수 서명을 받은 배달표를 박리하여 회수하게 되는데 이때 전지(10)에 도포 형성된 무 점착층(14)이 점착제(22)의 접착력에 의해 전지(10)로부터 중지쪽으로 전사되면서 박리되고 따라서 중지(20) 표면의 박리된 전지(10) 면적에는 점착제의 접착력이 완전히 사라져 논스틱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지의 배달표 부분을 떼어낸 부분에는 접착력이 완전히 상실된 상태가 되어 먼지 또는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방지되며 일단 떼어낸 배달표는 본래의 위치에 다시 접착되지 아니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여러 송장들은 전지를 떼어낸후 점착 성분이 잔존하여 끈적임이 남아 논스틱으로서 충분하게 기능하지 못하고 있으나 이를 해소하고 또한, 제조시 초기부터 점착 기능을 상실케하는 백색잉크 등을 도포하고 송장의 자연 박리를 방지케하기 위해 절취 점선으로 다이컷팅하여 전지를 잔류케하는 등의 공정을 배제하면서도 견고한 초기 접착력을 유지 할 수 있게된다.
한편, 본 발명은 일부 또는 전부를 박리하는 전지를 갖는 라벨 송장에 있어, 박리 후에 접착면의 점착력을 완전히 상실케하는 효과가 있으며, 논스틱 층으로 작용하는 무점착층을 도포하여 합지할 때 고온 고압의 라미네이팅 공정을 거치지 아니하고 단순히 가압에 의하여 합지 될 수 있도록 이루어 공정의 간략화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갖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운송 물류 포장 박스에 라벨 송장을 접합시키기 위해 박리지인 하지와, 하지 상부에 양면 접착층을 갖는 중지와, 중지 상부에 접합하여 송장의 인쇄면과 물류 운송에 관련된 내용을 인자하도록 이루어진 아트지와 같은 전지로 이루어지며, 전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중지로부터 떼어내고 떼어낸 표면의 접착력을 상실케하는 무 점착층(논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아트지와 같이 인자 및 인쇄 가능한 롤 타입의 전지원단을 마련하고, 원단을 풀어 이송하면서 도포 롤러로서 실리콘을 전지 원단의 배면에 도포하는 실리콘 도포 단계와, 도포된 실리콘을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실리콘층에 컬링(curling) 방지를 위하여 대전방지제를 도포하는 컬링 방지막 도포 공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 전지 원단을 되감아 권취하는 1차 전지 가공 단계로 이루어지는 1차 전지 가공 단계와,
    상기 1차 전지 가공 단계를 통해 얻어진 전지 원단을 24시간 경과시킨 후 상기 전지 원단의 배면에 도포된 실리콘 층에 무 점착층을 도포 롤러로서 도포하는 무 점착제 도포 단계과, 도포된 무 점착제를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무 점착층의 표면에 도포 롤러로서 컬링 방지막을 도포하는 공정을 연속으로 이루어 전지 원단을 되감아 권취하는 2차 전지 가공 단계로서 전지를 완성하고,
    그라신지 또는 필름류 중 선택된 중지 원단을 마련하고 원단을 풀어 이송하면서 도포 롤러로서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 단계와, 도포된 점착제를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점착제에 컬링 방지막을 도포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 중지를 완성하고,
    상기 2차 전지 가공 단계를 통하여 얻어진 전지의 무 점착층과 중지의 점착층을 대면하여 가압롤러를 통과시켜 합지하는 합지 단계와,
    그라신지 또는 노루지 중 선택된 하지 원단을 마련하고 원단을 풀어 이송하면서 원단의 일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 롤러로서 도포하는 실리콘 도포단계와, 도포된 실리콘을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실리콘층 표면에 컬링 방지막을 도포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 하지 원단을 되감아 권취하는 1차 하지 가공 단계와,
    상기 1차 하지 가공 단계를 통해 얻어진 하지 원단을 24시간 경과시킨 후 상기 하지 원단의 표면에 도포된 실리콘층에 점착제를 도포 롤러로서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 단계과, 도포된 점착제를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점착층의 표면에 도포 롤러로서 컬링 방지막을 도포하는 공정을 연속으로 이루어 하지를 완성하여,
    상기 2차 하지 가공 단계를 통하여 얻어진 하지의 점착층과 전지와 합지된 중지의 배면을 대면하여 가압롤러를 통과시켜 합지하는 최종 합지 단계를 통하여 완성된 라벨 송장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전지(10)는 아트지의 배면 실리콘 층(12)을 도포하며, 실리콘 층의 표면에 무점착층(14)을 도포하여 이루어지고,
    중지(20)의 전면에는 점착제(22)를 도포하여 이루며,
    하지(30)는 전면에 실리콘 층(32)과 이 실리콘 층 표면에 점착제(34)를 도포하여 이루어
    상기 전지(10)와 중지(20)가 가압 합지될 때 중지(20)의 전면 점착제(22)와 무점착층(14)이 접합된 상태를 이루고,
    전지(10)와 중지(20)가 합지된 상태에서 하지(30)를 가압 합지 완성하여 전지(10)를 떼어낼 때 전지(10)에 도포된 무점착층(14)이 전지(10)로부터 중지(20)의 전면 점착제(22)로 전사되어 점착제(22) 표면에 잔존하게되어 중지(20) 전면의 점착 기능을 상실하게 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점착성 라벨 송장.
KR1020030048683A 2003-07-16 2003-07-16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 KR100440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683A KR100440395B1 (ko) 2003-07-16 2003-07-16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683A KR100440395B1 (ko) 2003-07-16 2003-07-16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0395B1 true KR100440395B1 (ko) 2004-07-14

Family

ID=37357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683A KR100440395B1 (ko) 2003-07-16 2003-07-16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3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974B1 (ko) 2010-08-27 2011-02-01 민준기 무점착 송장 라벨과 이의 제조방법
KR101163066B1 (ko) * 2012-02-27 2012-07-05 주식회사 프린트삼영 의약품 기재사항 다면 인쇄방법 및 그 인쇄물
KR20150138635A (ko)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지티티네트웍스 라벨지와 이형지로 이루어진 회수용 태그를 구비하는 택배용 송장의 제조방법
CN115450053A (zh) * 2022-09-19 2022-12-09 吴江旺申纺织厂 一种织物用涂印工艺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974B1 (ko) 2010-08-27 2011-02-01 민준기 무점착 송장 라벨과 이의 제조방법
WO2012026682A2 (ko) * 2010-08-27 2012-03-01 Min Jun-Ki 무점착 송장 라벨과 이의 제조방법
WO2012026682A3 (ko) * 2010-08-27 2012-05-31 Min Jun-Ki 무점착 송장 라벨과 이의 제조방법
CN103052981A (zh) * 2010-08-27 2013-04-17 闵俊基 非粘结性运单标签及其制备方法
KR101163066B1 (ko) * 2012-02-27 2012-07-05 주식회사 프린트삼영 의약품 기재사항 다면 인쇄방법 및 그 인쇄물
KR20150138635A (ko) 2014-06-02 2015-12-10 주식회사 지티티네트웍스 라벨지와 이형지로 이루어진 회수용 태그를 구비하는 택배용 송장의 제조방법
CN115450053A (zh) * 2022-09-19 2022-12-09 吴江旺申纺织厂 一种织物用涂印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61185A (ja) 剥離式ク−ポンラベル
WO2014156744A1 (ja) タイヤ用粘着シート、タイヤ用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タイヤ用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
JP5394661B2 (ja) 粘着シート
JP2009137060A (ja) 情報記録用粘着シート
KR100440395B1 (ko)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 및 그 라벨 송장
WO2014122795A1 (ja) ラベル
JP2013109251A (ja) グルーラベル
KR100547483B1 (ko) 감열 기록 전지를 갖는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및 그 라벨 송장
JP2017219752A (ja) ラベル
JP4459371B2 (ja) 剥離ラベルとその製造方法
JP4121027B2 (ja) ラベル用紙とその加工方法
JP4558688B2 (ja) 情報記録用粘着シート
JP5521166B2 (ja) 感熱ラベル長尺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17578761U (zh) 防伪保护膜
JP2001202022A (ja) 積層型剥離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509359B2 (ja) 貼合せ部を有する帳票
JP2000204331A (ja) 粘着ラベル及び粘着ラベルの加工方法
US6656554B1 (en) Separable label assembly in continuous roll fo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0423582B1 (ko) 피착물에 접착 기능을 부여하는 라미네이트 적층필름
JP6287460B2 (ja) ラベル付き配送伝票
KR101402693B1 (ko) 합지 용지 제조 방법 및 합지 용지
JP6303319B2 (ja) 配送伝票
JP5648337B2 (ja) 配送伝票
US6652944B1 (en) Peelable labe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2006749A (ja) 自己剥離性ラベル用粘着紙、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粘着紙を用いたラ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