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693B1 - 합지 용지 제조 방법 및 합지 용지 - Google Patents

합지 용지 제조 방법 및 합지 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693B1
KR101402693B1 KR1020120087030A KR20120087030A KR101402693B1 KR 101402693 B1 KR101402693 B1 KR 101402693B1 KR 1020120087030 A KR1020120087030 A KR 1020120087030A KR 20120087030 A KR20120087030 A KR 20120087030A KR 101402693 B1 KR101402693 B1 KR 10140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163A (ko
Inventor
박승구
Original Assignee
박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2677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0269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승구 filed Critical 박승구
Priority to KR102012008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6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07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by assembling, e.g. by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지 용지 제조 방법 및 합지 용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용지공급롤로부터 저면에 박막의 비닐 코팅층을 갖는 사용 용지를, 박리용지공급롤로부터 박리 용지를 각각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공급되는 박리 용지의 상면을 액상의 무점착제의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 용지의 비닐 코팅층과 상기 박리 용지의 무점착제층을 대면하여 압착롤러를 통과시켜 압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압착롤러를 통과한 합지 용지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지 용지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합지 용지가 제시된다.

Description

합지 용지 제조 방법 및 합지 용지{Pasteboard paper manufacturing method and pasteboard paper}
본 발명은 합지 용지 제조 방법 및 합지 용지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2매의 종이류를 적층하여 합지시키고, 합지된 상태에서 종이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박리가 가능하고, 박리된 용지에 점착성이 남지 않도록 구성된 합지 용지의 제조방법 및 그 합지 용지에 관한 것이다.
합지 용지는 일반적으로 도배지, 라벨 또는 상품 송장 등에 많이 사용된다. 이들 합지 용지는 주로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사용 용지와 일면에 비닐 코팅된 박리용지로 구성되고, 상기 사용 용지의 점착층과 상기 박리 용지의 코팅면을 맞대어 합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합지 용지로서, 라벨에 관한 발명이 본 출원인의 출원발명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6-0013759호(공개일 2006년2월14일)의 “라벨용지”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미리 컷팅, 접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쇄 등을 하여 컷팅된 부위를 떼어내어 사용하는 라벨 용지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라벨용지는 인쇄한 후 쉽게 떼어내어 접착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인쇄할 라벨 인쇄부위의 저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그 기판부에는 접착부위가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등으로 코팅되어 있는 구성된 발명이다.
또한, 상품 등의 송장용 합지 용지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440395호(등록일 2004년7월5일)에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방법 및 그 라벨 송장”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운송 물류 포장 박스에 라벨 송장을 접합시키기 위해 박리지인 하지와, 하지 상부에 양면 접착층을 갖는 중지와, 중지 상부에 접합하여 송장의 인쇄면과 물류 운송에 관련된 내용을 인자하도록 이루어진 아트지와 같은 전지로 이루어지며, 전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중지로부터 떼어내고 떼어낸 표면의 접착력을 상실케하는 무 점착층(논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아트지와 같이 인자 및 인쇄 가능한 롤 타입의 전지원단을 마련하고, 원단을 풀어 이송하면서 도포 롤러로서 실리콘을 전지 원단의 배면에 도포하는 실리콘 도포 단계와, 도포된 실리콘을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실리콘층에 컬링(curling) 방지를 위하여 대전방지제를 도포하는 컬링 방지막 도포 공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 전지 원단을 되감아 권취하는 1차 전지 가공 단계로 이루어지는 1차 전지 가공 단계와, 상기 1차 전지 가공 단계를 통해 얻어진 전지 원단을 24시간 경과시킨 후 상기 전지 원단의 배면에 도포된 실리콘 층에 무 점착층을 도포 롤러로서 도포하는 무 점착제 도포 단계과, 도포된 무 점착제를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무 점착층의 표면에 도포 롤러로서 컬링 방지막을 도포하는 공정을 연속으로 이루어 전지 원단을 되감아 권취하는 2차 전지 가공 단계로서 전지를 완성하고, 그라신지 또는 필름류 중 선택된 중지 원단을 마련하고 원단을 풀어 이송하면서 도포 롤러로서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 단계와, 도포된 점착제를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점착제에 컬링 방지막을 도포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 중지를 완성하고, 상기 2차 전지 가공 단계를 통하여 얻어진 전지의 무 점착층과 중지의 점착층을 대면하여 가압롤러를 통과시켜 합지하는 합지 단계와, 그라신지 또는 노루지 중 선택된 하지 원단을 마련하고 원단을 풀어 이송하면서 원단의 일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 롤러로서 도포하는 실리콘 도포단계와, 도포된 실리콘을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실리콘층 표면에 컬링 방지막을 도포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이루어 하지 원단을 되감아 권취하는 1차 하지 가공 단계와, 상기 1차 하지 가공 단계를 통해 얻어진 하지 원단을 24시간 경과시킨 후 상기 하지 원단의 표면에 도포된 실리콘층에 점착제를 도포 롤러로서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 단계과, 도포된 점착제를 열풍 챔버를 통과시켜 건조하는 건조 단계와 건조된 점착층의 표면에 도포 롤러로서 컬링 방지막을 도포하는 공정을 연속으로 이루어 하지를 완성하여, 상기 2차 하지 가공 단계를 통하여 얻어진 하지의 점착층과 전지와 합지된 중지의 배면을 대면하여 가압롤러를 통과시켜 합지하는 최종 합지 단계를 통하여 완성된 라벨 송장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특허발명은, 전지는 아트지의 배면 실리콘 층을 도포하며, 실리콘 층의 표면에 무점착층을 도포하여 이루어지고, 중지의 전면에는 점착제를 도포하여 이루며, 하지는 전면에 실리콘 층과 이 실리콘 층 표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이루어 상기 전지와 중지가 가압 합지될 때 중지의 전면 점착제와 무점착층이 접합된 상태를 이루고, 전지와 중지가 합지된 상태에서 하지를 가압 합지 완성하여 전지를 떼어낼 때 전지에 도포된 무점착층이 전지로부터 중지의 전면 점착제로 전사되어 점착제 표면에 잔존하게 되어 중지 전면의 점착 기능을 상실하게 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상기 공개발명은 기판부의 상면에 접착부, 라벨인쇄부의 저부에 합성수지 코팅부가 형성된 구성이므로 라벨을 기판부에서 박리시키면 기판부의 접착성분이 그대로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발명은, 인쇄면이 있는 전지의 저면에 실리콘층, 무점착층이 형성되고, 중지의 상면에 점착층이 형성되고, 하지의 상면에 실리콘층, 점착층이 형성되어 이들을 압착하여 각각의 점착층에 의해 합지되도록 구성되고, 전지를 박리시키면, 무점착층이 상기 중지의 점착층에 전사되어 전지와 중지 모두 무점착 특징을 갖도록 한 발명으로서, 그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사용 용지인 전지의 무점착 특성을 위한 필요 없는 구성요소가 너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2매의 종이류를 단순한 공정으로 합지시켜 합지 용지를 제조하는 방법과, 제조된 합지 용지에서 사용 용지를 박리하면 사용 용지 및 박리 용지 모두 무점착 특성을 갖도록 구성된 합지 용지의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6-0013759호(공개일 2006년2월14일)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440395호(등록일 2004년7월5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매의 종이류를 단순한 공정으로 합지시키는 합지 용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지 용지에서 박리 용지를 제거하면 사용 용지 및 박리 용지 양측에 무점착 특성을 갖는 구성의 합지 용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저면에 비닐 코팅부가 형성된 사용 용지와 상면에 액상의 무점착제가 도포된 박리 용지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 용지의 저면과 상기 박리 용지의 상면이 대면되도록 하여 압착롤러로 서로 압착하는 단계와; 상기 압착롤러를 통과한 합지 용지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지 용지 제조 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으로, 박리 용지와, 상기 박리 용지의 상면에 형성된 무점착층과, 상기 무점착층의 상면에 박리가 가능하도록 접착된 비닐 코팅층과, 상기 비닐 코팅층의 상면에 접착된 사용 용지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 용지를 상기 사용 용지로부터 일정 정도의 힘을 가하여 박리시키면 상기 사용 용지의 상기 비닐 코팅층과 상기 박리 용지의 무점착제층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지 용지가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한 공정으로 2매의 종이류를 합지하여 박리가 가능한 상태의 합지 용지를 제조할 수 있고, 합지 용지에서 박리 용지를 제거하면 사용 용지 및 박리 용지 양측에 무점착 특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지 용지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합지 용지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사용 용지의 구성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합지 용지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박리 용지의 구성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합지 용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합지 용지의 박리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지 용지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지 용지 제조 방법은, 일면에 비닐 코팅이 된 사용 용지(100)를 공급하기 위한 사용용지공급롤(10)과, 상기 사용 용지(100)와 합지하기 위한 박리 용지(200)를 공급하기 위한 박리용지공급롤(20)과, 상기 박리 용지(200)의 상면에 액상의 무점착제의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하기 위한 무점착제도포부(30)와, 상기 사용 용지(100)의 비닐 코팅층과 상기 박리 용지의 무점착제층을 대면하여 압착시키기 위한 압착롤러(40)과, 상기 압착롤러(40)을 통과하여 합지된 합지 용지(300)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50)와, 상기 건조부(50)에서 건조된 합지 용지(300)를 권취시키기 위한 합지용지권취롤(6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합지 용지 제조 방법은, 상기 사용용지공급롤(10)과 상기 박리용지공급롤(20)로부터 저면에 비닐코팅층이 형성된 사용 용지와 박리 용지를 각각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공급되는 박리 용지의 상면을 액상의 무점착제의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 용지의 비닐 코팅층과 상기 박리 용지의 무점착제층의 대면하여 압착롤러를 통과시켜 압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압착롤러를 통과한 합지 용지를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합지 용지를 권취롤에서 권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액상의 무점착제는 상기 사용 용지의 비닐 코팅층에서 상기 박리 용지를 박리시킬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압착에 의한 접착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압착롤러에 의해 압착되면 상기 사용 용지의 비닐 코팅층에 상기 무점착제층이 압착되어 접착되고, 상기 박리 용지의 표면에 흡수되어 코팅처럼 강하게 접착된다. 상기 합지 용지가 건조된 후에는 상기 사용 용지와 상기 박리 용지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일정 정도의 힘을 가하면, 상기 무점착제층이 상기 비닐 코팅층에는 매끄러운 표면에 접착되어 있고 상기 박리 용지에는 흡수되어 코팅되어 있으므로 상기 비닐 코팅층과 상기 무점착제층은 분리되지만, 상기 무점착제층과 상기 박리 용지는 분리되지 않으므로 상기 사용 용지에서 박리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 용지에서 상기 박리 용지가 박리되면 박리된 부분은 건조된 무점착제층의 박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용 용지의 비닐 코팅층에는 무점착제가 부분적으로도 남아있지 않게 된다. 상기 무점착제는 박리 후에 점착성분이 남아있지 않는 감압접착제(PSA) 또는 건조 후에는 점착성분이 없는 전분 성분 등이 포함된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무점착제층의 두께는 상기 사용 용지 및 상기 박리 용지의 두께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점착제층의 두께는 박리 강도를 감안하여 상기 박리 용지의 두께에 따라서 조정하여 도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합지 용지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사용 용지의 구성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 용지(100)는, 상면에 인쇄 등을 하여 사용하는 사용 용지층(110)과; 상기 사용용지층(110)의 저면에 코팅 된 박막의 비닐 코팅층(12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비닐 코팅층(120)의 두께는 상기 무점착제의 박리 강도와 관계가 있다. 상기 박리 용지를 상기 비닐 코팅층(120)에서 박리시킬 때, 상기 비닐 코팅층(120)이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사용용지층(110)은 마닐라지, 아트지 등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종이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합지 용지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박리 용지의 구성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박리 용지(200)는, 소정 두께의 박리용지층(210)과, 상기 박리용지층(110)의 상면에 도포된 박막의 액상 무점착제층(22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박리용지층(210)은 상기 사용 용지(100)에서 박리시킬 때, 상기 무점착제층의 박리 강도로 인하여 찢어지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다양한 종이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합지 용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C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합지 용지(300)는 저면으로부터 박리용지층(310)과, 상기 박리용지층(320)에 접착되어 건조된 박막의 무점착제층(320)과, 상기 박막의 무점착제층(320)과 접착된 박막의 비닐 코팅층(330)과, 상기 비닐 코팅층(330)과 접착된 사용용지층(34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합지 용지의 박리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합지 용지(300)에서 상기 박리 용지를 잡고 일정 정도의 힘을 가하여 당기면 상기 비닐 코팅층(300)에서 상기 무점착제층(320)이 분리되면서 사용 용지와 박리 용지가 분리되고, 상기 박리 용지는 상기 박리용지층(310)에 상기 박막의 무점착제층(320)이 코팅되어 있는 상태로 박리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무점착제층과 박리용지층 사이에 어떠한 것도 개재하지 않고, 비닐코팅층을 갖는 사용 용지와 박리 용지 사이에 액상의 무점착제를 개재하여 압착에 의해 합지시키고, 합지 용지에서 박리 용지를 분리하면, 박리용지층의 상면에 박막의 무점착제층이 코팅된 상태로 박리되는 합지 용지의 제조방법 및 합지용지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사용용지공급롤
20 : 박리용지공급롤
30 : 무점착제도포부
40 : 압착롤러
50 : 건조부
60 : 합지용지권취롤
100 : 사용용지
200 : 박리용지
300 : 합지용지

Claims (5)

  1. 사용용지공급롤로부터 저면에 박막의 비닐 코팅층을 갖는 사용 용지를, 박리용지공급롤로부터 박리 용지를 각각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공급되는 박리 용지의 상면에 액상의 무점착제의 박막으로 이루어진 무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 용지의 비닐 코팅층과 상기 박리 용지의 무점착제층을 대면하여 압착롤러를 통과시켜 상기 사용 용지의 비닐 코팅층에 상기 무점착제층이 압착에 의해 접착시키고, 상기 박리 용지의 표면에 상기 무점착제층이 흡수되어 코팅되도록 접착시켜 상기 사용 용지와 상기 박리 용지를 합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압착롤러를 통과한 합지된 용지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상의 무점착제는 박리 후에 점착성분이 남아있지 않는 감압접착제(PSA) 또는 건조 후에는 점착성분이 없는 전분 성분이 포함된 수용성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무점착제층의 두께는 상기 사용 용지 또는 상기 박리 용지의 두께에 따라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지 용지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점착제는 상기 압착롤러로 압착을 하면 상기 사용 용지의 비닐코팅층에 접착되고, 상기 박리 용지의 상면에 접착되고, 건조후에 상기 박리 용지를 상기 사용 용지로부터 박리시키면 상기 박리 용지의 표면에 코팅층으로 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지 용지 제조 방법.
  3. 삭제
  4. 소정 두께의 박리 용지층과;
    상기 박리용지층의 상면에 직접 접착된 소정의 두께의 무점착제층과;
    상기 무점착제층과 직접 접착된 비닐코팅층과;
    상기 비닐코팅층의 상면에 접착된 사용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리 용지층과 사용 용지층은 압착에 의해 비닐코팅층과 무점착제층이 접착되고 상기 박리 용지층과 무점착제층이 접착되어 합지되고,
    상기 무점착제층을 이루는 무점착제는 박리 후에 점착성분이 남아있지 않는 감압접착제(PSA) 또는 건조 후에는 점착성분이 없는 전분 성분이 포함된 수용성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무점착제층의 두께는 상기 사용 용지 또는 상기 박리 용지의 두께에 따라서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지 용지.
  5. 삭제
KR1020120087030A 2012-08-09 2012-08-09 합지 용지 제조 방법 및 합지 용지 KR101402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030A KR101402693B1 (ko) 2012-08-09 2012-08-09 합지 용지 제조 방법 및 합지 용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030A KR101402693B1 (ko) 2012-08-09 2012-08-09 합지 용지 제조 방법 및 합지 용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163A KR20140021163A (ko) 2014-02-20
KR101402693B1 true KR101402693B1 (ko) 2014-06-03

Family

ID=5026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030A KR101402693B1 (ko) 2012-08-09 2012-08-09 합지 용지 제조 방법 및 합지 용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7944A (zh) * 2017-03-03 2018-09-14 山东太阳生活用纸有限公司 制备超柔保湿纸的系统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0158A (ja) * 1994-05-11 1998-01-06 スルツ,イリー 複合感圧親水性接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47058A (ko) * 2002-11-29 2004-06-05 민준기 무점착성 라벨 송장 및 라벨 송장의 제조방법
KR200373941Y1 (ko) 2004-10-29 2005-01-21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무점착성 라벨 운송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0158A (ja) * 1994-05-11 1998-01-06 スルツ,イリー 複合感圧親水性接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47058A (ko) * 2002-11-29 2004-06-05 민준기 무점착성 라벨 송장 및 라벨 송장의 제조방법
KR200373941Y1 (ko) 2004-10-29 2005-01-21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무점착성 라벨 운송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163A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53744A (ja) 配送伝票
US9974375B2 (en) Fragrance sampler having an integral applicator
JP6040520B2 (ja) 配送伝票
JP2012006184A (ja) 熨斗付き配送伝票
KR101402693B1 (ko) 합지 용지 제조 방법 및 합지 용지
WO2014122795A1 (ja) ラベル
US20110070403A1 (en) Printing carrier consisting of at least two flat partial printing carriers assembled in a coplanar manner, partial printing carrier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017219752A (ja) ラベル
JP7062508B2 (ja) ラベル及びこれが連接してなるラベルシート
JP5957849B2 (ja) 配送伝票
US20160275823A1 (en) Roll-shaped-composite-linerless label
JP2013109251A (ja) グルーラベル
JP5974459B2 (ja) 配送伝票
US20090278343A1 (en) Coplanar-joined printing carrier made from at least two partial printing carriers, the partial printing carriers, and the method for their fabrication
JP5521166B2 (ja) 感熱ラベル長尺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56700B1 (ko) 포장용 지대제조방법 및 장치
JP5961981B2 (ja) 貼り合わせ帳票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100547483B1 (ko) 감열 기록 전지를 갖는 무 점착성 라벨 송장의 제조 방법및 그 라벨 송장
WO2012105203A1 (ja) 擬似接着ラベ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41346U (ja) 改ざん防止ラベル
KR100423582B1 (ko) 피착물에 접착 기능을 부여하는 라미네이트 적층필름
JP5648337B2 (ja) 配送伝票
JP7051644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
JP6912918B2 (ja) ラベルロール品
JPH043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1128

Effective date: 2016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