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118B1 - 랙의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랙의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118B1
KR100438118B1 KR1019960039573A KR19960039573A KR100438118B1 KR 100438118 B1 KR100438118 B1 KR 100438118B1 KR 1019960039573 A KR1019960039573 A KR 1019960039573A KR 19960039573 A KR19960039573 A KR 19960039573A KR 100438118 B1 KR100438118 B1 KR 100438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diameter portion
guide hole
circumferential surface
smal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336A (ko
Inventor
마사미 요네자와
Original Assignee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15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3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pressure yo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F16H55/2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16H55/283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using pressure yo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7Rack and pin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하우징의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에 의해 전후로 안내되는 지지부재를 1쌍의 분할편에 의해 구성한다. 각 분할편의 전단측에 의하여 랙의 배면측을 지지한다. 양 분할편을 랙의 배면 및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을 향하여 힘을 가한다. 상기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은 전후방향에 따르는 축심을 보유하는 제1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된다. 각 분할편의 외주면은 소경부분과 대경부분을 보유한다. 상기 소경부분은 제1가상 원통면보다도 소경의 전후방향에 따르는 축심을 보유하는 제2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대경부분은 제1가상 원통면보다도 대경의 전후방향에 따르는 축심을 보유하는 제3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된다. 각 분할편의 외주면은 대경부분의 원주방향 양단에 있어서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에 접한다.

Description

랙의 지지장치
본 발명은 랙피니온식 스티어링장치의 랙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랙피니온식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는, 조타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온과 이 피니온에 맞물리는 랙을 구비하고, 상기 랙의 왕복이동에 의해 조타용 차륜이 조타된다.
도 8의 (1)은 랙(101)을 지지하는 종래의 지지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지지장치는 랙하우징(102)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03)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구멍(103)의 내주면에 의해 전후(도면에 있어서 좌우방향)로 안내되는 지지부재(104)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구멍(103)의 내주면은 전후방향에 따르는 축심을 보유하는 제1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된다. 지지부재(104)의 외주면은 상기 제1가상 원통면보다 소경의 전후방향에 따르는 축심을 보유하는 제2가상 원통면상에 배치된다. 지지부재(104)의 전단측은 랙(101)의 배면의 곡률을 따라 오목한 지지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면에 의하여 랙(101)의 배면측이 시트(105)를 개재하여 지지된다.
지지부재(10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1쌍의 분할편(104a,104b)으로 구성된다. 각 분할편(104a,104b)의 전단측이 지지면으로 되어 있다. 지지부재(104)의 후단측에 양 분할편(104a,104b)에 걸친 오목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06)내에는 뒤쪽으로 갈수록 가이드구멍(103)의 내주면을 향해 경사진 원추면을 따라 수압면(106a)이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재(107)의 구면에 따르는 외주면(107a)이 수압면(106a)에 맞닿게 된다. 압압부재(107)를 통하여 양 분할편(104a,104b)에 탄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108)이 하우징(102)측에 지지되어 있다. 수압면(106a)은 뒤쪽으로 갈수록 가이드구멍(103)의 내주면을 향해 경사졌으므로, 상기 스프링의 탄력은 양 분할편(104a,104b)을 랙(101)의 배면에 압압하는 분력과 양 분할편(104a,104b)을 가이드구멍(103)의 내주면에 압압하는 분력으로 나눠진다. 압압부재(107)의 뒤쪽에는 변경조절가능한 간극(δ)을 통하여 제한부재(109)가 하우징(102)측에 부착되어 있다. 압압부재(107)가 제한부재(109)에 맞닿게 됨으로써 지지부재(104)의 랙(101)에 대한 뒤쪽으로의 이동거리가 설정범위로 제한된다.
지지부재(104)에 의하여 랙(101)의 톱니를 피니온의 톱니에 압압함으로써 백러시를 없애고 원활한 회전전달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재(104)가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랙(101)의 구부러짐이나, 톱니 절단시의 가공공차 등을 흡수하고 있다. 지지부재(104)의 랙(101)으로부터 뒤쪽으로의 이동거리를 압압부재(107)를 통하여 설정범위로 제한함으로써, 그 이동거리가 과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것에 의해 랙(101)과 피니온과의 맞물림 불량을 방지하고 있다. 각 분할편(104a,104b)을 가이드구멍(103)의 내주면에 압압함으로써 지지부재(104)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피니온의 회전에 대한 랙(101)의 이동의 추종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랙(101)의 톱니와 피니온의 톱니와의 충돌음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랙의 지지장치에서는 피니온의 회전에 대한 랙의 이동의 추종성의 저하나, 랙의 톱니와 피니온의 톱니와의 충돌음이 커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은 랙피니온식 스티어링장치에서 조타필링의 저하나 이상음의 원인이 된다.
종래의 랙의 지지장치에 있어서는, 피니온의 회전에 대한 랙의 이동의 추종성이 저하되거나, 랙의 톱니와 피니온의 톱니와의 충돌음이 증대하는 원인으로서 이하의 것이 규명되어 있다.
즉, 종래의 지지장치에 있는 가이드구멍(103)의 내주면은 전후방향에 따르는 축심의 제1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지지부재(104)의 외주면은 제1가상 원통면보다 소경의 전후방향축심의 제2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8도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4)를 구성하는 각 분할편(104a,104b)이 가이드구멍(103)의 내주면에 스프링(108)의 탄력에 의해 압압되는 경우, 각 분할편(104a,104b) 각각의 외주면은 가이드구멍(103)의 내주면에 1개소(P)에서만 접촉한다. 그 때문에 상기 접촉개소(P) 이외에서는 각 분할편(104a,104b)의 외주면과 가이드구멍(103)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W)이 생긴다. 그와 같은 간극(W)이 생기면, 각 분할편(104a,104b)은 가이드구멍(103)의 내주면과의 접촉개소(P)를 기점으로 하여 도면 중의 화살표로 표시하는 것 같이 회전하고자 한다. 그 때문에 지지부재(104)에 의한 랙(101)의 지지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 결과, 피니온의 회전에 대한 랙(101)의 이동의 추종성이 저하되거나, 랙(101)의 톱니와 피니온의 톱니의 충돌음이 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랙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니온에 톱니가 맞물리는 랙의 지지장치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이드구멍에 상기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에 의해 전후로 안내되도록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1쌍의 분할편에 의해 구성되고, 각 분할편의 전단측에 의하여 랙의 배면측이 지지되며, 양 분할편을 랙의 배면및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에 향하여 힘을 가하는 탄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양 분할편은 스프링의 탄력 수압면을 갖고, 상기 수압면은 스프링의 탄력이 양 분할편을 랙의 배면을 누르는 분력과 가이드 구멍의 내주면을 누르는 분력으로 나눌 수 있도록 경사되고, 상기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은 전후방향에 따르는 축심을 보유하는 제1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되고, 각 분할편의 외주면은 소경부분과 대경부분을 보유하고, 상기 소경부분은 상기 제1가상 원통면보다 소경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축심을 보유하는 제2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대경부분은 상기 제1가상 원통면보다 대경의 전후방향에 따르는 축심을 보유하는 제3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되어 각 분할편의 외주면이 상기 대경부분의 둘레방향 양단에서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각 분할편의 외주면의 대경부분의 원주방향 양단을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에 압압할 수 있다. 즉, 각 분할편을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둔 2개소이상에서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에 압압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각 분할편이 가이드구멍의 내주면과의 접촉개소를 기점으로 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재에 의한 랙의 지지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각 분할편을 소결금속으로 하여 각 분할편의 소경부분과 대경부분이 원활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분말을 성형틀 내에서 압축하여 소결하여 각 분할편을 형성하는 경우, 각 분할편의 형상이 복잡하면 성형틀의 설계가 어렵게 되고, 또 응력집중이 생기기쉽게 되어서 강도가 저하되고, 또한, 밀도가 불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가열시의 수축율도 불균일하게 되어서 치수정밀도가 저하된다.
이에 대하여, 각 분할편의 소경부분과 대경부분을 원활하게 연결함으로써 각 분할편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성형틀의 설계를 용이하게 하고, 또, 응력집중을 생기기 어렵게 하여 강도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밀도의 균일화에 의해 가열시의 수축율을 균일하게 하여 치수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소경부분의 수는 복수이고, 상기 소경부분의 사이에 대경부분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각 분할편을 확실하게 안정화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랙의 지지장치에 의하면, 피니온의 회전에 대한 랙의 이동의 추종성이 저하되거나, 랙의 톱니와 피니온의 톱니와의 충돌음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랙을 지지하는 분할편을 소결금속제로 하는 경우, 성형틀의 설계를 용이하게 하여 강도저하 및 치수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랙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발명의 실시형태의 랙 지지장치의 배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서포트요오크와 시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서포트요오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서포트요오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시트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시트의 배면도,
도 8의 (1)은 종래의 랙 지지장치의 단면도, 및
도 8의 (2)는 종래의 랙 지지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랙피니온식 스티어링장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도면도시생략)에 연결되는 헤리컬 피니온(1)과, 상기 피니온(1)의 톱니에 맞물리는 톱니(2a)가 전방측(도1에 있어서 좌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헤리컬 랙(2)과, 상기 랙(2)을 덮는 하우징(3)을 구비하고 있다. 랙(2)의 축선에 직각 방향인 랙으로부터 피니온으로 향하는 방향이 전방이 된다. 피니온(1)은 하우징(3)에 베어링(12,13)을 통하여 지지되어 있다. 랙(2)의 양단에 조타용 차륜이 연결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의조작에 의한 피니온(1)의 회전에 의해 랙(2)이 차량폭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차량의 조타가 이루어진다.
하우징(3)에 형성된 가이드구멍(6)에 소결금속제의 서포트요오크(지지부재)(4)가 전후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구멍(6)의 내주면에 의해 서포트요오크(4)는 전후방향으로 안내된다. 가이드구멍(6)의 내주면은 전후방향 축심의 제1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서포트요오크(4)와 랙(2)의 배면의 사이에 합성수지제의 시트(5)가 개재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요오크(4)의 전단측은 랙(2)의 배면의 곡율에 따라 오목한 지지면(4')이 된다. 상기 시트(5)는,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이 지지부재(4)의 지지면(4')에 따르고, 앞면이 랙(2)의 배면에 따르는 곡률을 보유하는 지지면(5')으로 되어 있다. 서포트요오크(4)의 지지면(4')에 가로홈(4a)과 세로홈(4b)이 십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홈(4a,4b)에 삽입되는 열십자형의 볼록부(5a,5b)가 시트(5)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요오크(4)는, 도 4에도 도시하듯이 상하 1쌍의 분할편(20,21)으로 구성되어 있다. 랙(2)의 축선과 전후방향에 직각 방향인 상하방향이 된다. 각 분할편(20,21)의 전단측이 랙(2)의 배면측을 시트(5)를 통하여 지지하는 상기 지지면(4')을 구성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분할편(20,21)의 서로 대향하는 면(20s,21s)은 도면에 있어서, 좌측에서는 상기 가로홈(4a)의 위가장자리에 따르고, 우측에서는 상기 가로홈(4a)의 아래가장자리에 따르고, 중앙에서 그 가로홈(4a)을 가로지른다. 가로홈(4a)의 바닥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상하로 장척의 긴구멍(23,24)이 형성되어 있다. 그 시트(5)의 배면에는 상기 볼록부(5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1쌍의 원통형상 돌출부(25,26)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원통형상 돌출부(25)는 한쪽의 분할편(20)의 긴구멍(23)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른쪽의 원통형상 돌출부(26)는 다른쪽의 분할편(21)의 긴구멍(24)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것에 의해, 각 분할편(20,21)은 시트(5)에 대하여 가이드구멍(6)의 내주면을 향하여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원통형상돌출부(25,26)의 지름은 각 긴구멍(23,24)의 짧은 지름보다 약간 크게 되고, 이것에 의해 시트(5)는 서포트요오크(4)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포트요오크(4)의 후단측에 양 분할편(20,21)에 걸리는 오목부(4"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4" )는 상기 제1가상 원통면과 동축심의 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되는 내주면(4f)과, 상하방향에 따르는 바닥면(4g)과, 상기 내주면(4f)과 바닥면(4g)과의 사이에 수압면(4c)을 보유한다. 상기 수압면(4c)은 뒤쪽으로 갈수록 가이드구멍(6)의 내주면을 향해 경사진 원추면에 따른다. 금속제의 압압부재(9)와 압축코일스프링(8)이 오목부(4" )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압압부재(9)는 원판형상이다. 압압부재(9)의 외주면(9' )은 앞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구면에 따른다. 수압면(4c)과 압압부재(9)의 외주면(9' )이 맞닿게 된다. 압압부재(9)에 스프링(8)의 일단이 맞닿게 된다. 상기 스프링(8)의 타단은 하우징(3)에 부착된 커버(7)에 맞닿게 된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8)의 탄력은 압압부재(9)를 통하여 양 분할편(20,21)을 랙(2)의 배면에 압압하는 분력과, 압압부재(9)를 통하여 양 분할편(20,21)을 가이드구멍(6)의 내주면에 압압하는 분력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커버(7)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나사(제한부재)(10)가 압압부재(9)의 후방에 간극(δ)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간극(δ)은 조절나사(10)의 회전에 의해 변경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조절나사(10)에 잠금 너트(11)가 나사결합된다. 압압부재(9)가 조절나사(10)에 맞닿게 됨으로써 서포트요오크(4)의 랙(2)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거리를 설정범위로 제한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분할편(20)의 외주면은 2개의 소경부분(A,C)과, 1개의 대경부분(B)과, 연결부분(D)을 보유한다. 상기 2개의 소경부분(A,C)은, 전후방향에 따르는 축심을 보유하는 제2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대경부분(B)은 그 2개의 소경부분(A,C)의 사이인 전후방향에 따르는 축심을 보유하는 제3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분(D)은 각 소경부분(A,C)과 대경부분(B)의 사이에 배치된다. 대경부분(B)의 원주방향 양단이 가이드구멍(6)의 내주면과의 접촉개소(P1,P2)로 되어 있다.
제2가상 원통면의 반경(R2)은 상기 제1가상 원통면의 반경(R1)보다 작다. 제3가상 원통면의 반경(R3)은 제1가상 원통면의 반경(R1)보다 크다. 제2가상 원통면의 축심(S2)과 제3가상 원통면의 축심(S3)을 포함하는 평면은 상하방향에 따르도록 함과 아울러 제1가상 원통면의 축심(S1)을 포함한다. 제2가상 원통면의 축심(S2)과 제3가상 원통면의 축심(S3)의 사이에는 제1가상 원통면의 축심(S1)이 배치된다.
각 연결부분(D)의 곡률반경은 연결부분(D)과 대경부분(B)의 접속점으로부터 연결부분(D)과 소경부분(A,C)의 접속점을 향함에 따라, 제3가상 원통면의 반경(R3)으로부터 제2가상 원통면의 반경(R2)으로 점차 변한다. 이것에 의해 각 소경부분(A,C)과 대경부분(B)이 원활하게 연결된다.
다른쪽의 분할편(21)의 외주면은 한쪽의 분할편(20)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서포트요오크(4)에 의해 랙(2)의 톱니가 피니온(1)의 톱니에 압압되기 때문에 백래시를 없애서 원활한 회전전달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요오크(4)가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랙(2)의 구부러짐이나 톱니절단시의 가공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서포트요오크(4)의 랙(2)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거리를 설정범위로 제한함으로써 이동거리가 과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랙(2)과 피니온(1)과의 맞물림의 불량을 방지하고 있다.
서포트요오크(4)를 구성하는 각 분할편(20,21)은 그 외주면의 대경부분(B)의 원주방향 양단개소(P1,P2)가 스프링(8)의 탄력에 의해 가이드구멍(6)의 내주면에 압압된다. 그리고, 성형오차 등이 있는 경우, 각 분할편(20,21)의 외주면은 대경부분(B)의 원주방향 양단개소(P1,P2)에서 뿐만 아니라, 상기 원주방향 양단간의 1개소 이상에서 가이드구멍(6)의 내주면에 압압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각 분할편(20,21)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둔 적어도 2개소(P1,P2)에 있어서 가이드구멍(6)의 내주면에 압압된다. 따라서, 서포트요오크(4)는 가이드구멍(6)의 내주면과의 접촉 개소(P1,P2)를 기점으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랙(2)을 안정하게 지지할 수있다. 따라서, 피니온(1)의 회전에 대한 랙(2)의 이동의 추종성이 저하되거나, 랙(2)의 톱니와 피니온(1) 톱니의 충돌음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각 분할편(20,21)의 외주면의 대경부분(B)과 소경부분(A,C)이 원활하게 연결되므로, 각 분할편(20,21)의 형상이 복잡화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소결금속제인 각 분할편(20,21)의 성형틀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응력집중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강도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밀도의 균일화에 의해서 가열시의 수축률을 균일하게 하여 치수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 분할편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대경부분과 소경부분의 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각 분할편의 외주면의 대경부분의 원주방향 양단을 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에 압압할 수 있고,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둔 적어도 2개소에서 각 분할편을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에 압압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각 분할편이 가이드구멍의 내주면과의 접촉개소를 기점으로 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재에 의한 랙의 지지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랙의 지지장치에 의하면, 피니온의 회전에 대한 랙의 이동의 추종성이 저하되거나, 랙의 톱니와 피니온의 톱니의 충돌음이 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랙을 지지하는 분할편을 소결금속제로 하는 경우에, 성형틀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어 강도저하 및 치수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4)

  1. 피니온에 맞물리는 랙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이드구멍에 상기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에 의해 전후로 안내되도록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1쌍의 분할편에 의해 구성되고,
    각 분할편의 전단측에 의하여 랙의 배면측이 지지되며,
    양 분할편을 랙의 배면 및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에 향하여 힘을 가하는 탄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양 분할편은 스프링 탄력의 수압면을 갖고, 상기 수압면은 스프링의 탄력이 양 분할편을 랙의 배면을 누르는 분력과 가이드 구멍의 내주면을 누르는 분력으로 나눌 수 있도록 경사되고,
    상기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은 전후방향에 따르는 축심을 보유하는 제1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되고,
    각 분할편의 외주면은 소경부분과 대경부분을 보유하고, 상기 소경부분은 상기 제1가상 원통면보다 소경의 전후 방향에 따르는 축심을 보유하는 제2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대경부분은 상기 제1가상 원통면보다 대경의 전후방향에 따르는 축심을 보유하는 제3가상 원통면 상에 배치되어 각 분할편의 외주면이 상기 대경부분의 둘레방향 양단에서 가이드구멍의 내주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랙의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분할편이 소결금속제이고, 각 분할편의 외주면의 소경부분과 대경부분이 원활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의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분의 수가 복수이고, 이들 소경부분의 사이에 대경부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의 지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분의 수가 복수이고, 이들 소경부분의 사이에 대경부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의 지지장치.
KR1019960039573A 1995-09-19 1996-09-12 랙의지지장치 KR100438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651695A JP3366785B2 (ja) 1995-09-19 1995-09-19 ラックの支持装置
JP95-266516 1995-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336A KR970015336A (ko) 1997-04-28
KR100438118B1 true KR100438118B1 (ko) 2005-01-27

Family

ID=1743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573A KR100438118B1 (ko) 1995-09-19 1996-09-12 랙의지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46285A (ko)
EP (1) EP0788962B1 (ko)
JP (1) JP3366785B2 (ko)
KR (1) KR100438118B1 (ko)
DE (1) DE6961309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7846A (zh) * 2011-05-09 2014-01-15 谢夫勒科技股份两合公司 齿条式转向机构的压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7703A (en) * 1997-02-25 1999-08-17 Trw Inc. Rack guide
US6119540A (en) * 1997-05-14 2000-09-19 Techco Corporation Yoke apparatus for rack and pinion
JP3676661B2 (ja) * 2000-08-30 2005-07-27 光洋精工株式会社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AU2002313725A1 (en) * 2001-08-08 2003-02-24 Trw Inc. Rack gea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275456B2 (en) * 2002-11-18 2007-10-02 Oiles Corporation Method of production rack guide base body in rack-and-pinion type steering device and rack guide
FR2858837B1 (fr) * 2003-08-13 2006-11-24 Plastic Omnium Cie Poussoir de cremaillere d'un systeme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4013167A1 (de) * 2004-03-18 2005-10-06 Ina-Schaeffler Kg Zahnstangenlenkung
JP4306531B2 (ja) * 2004-04-30 2009-08-0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ラックピニオン式舵取装置におけるラックガイド基体の製造方法及びラックガイド
US20050257635A1 (en) * 2004-05-24 2005-11-24 Damore Michael J Rack yoke assembly
FR2871769B1 (fr) * 2004-06-16 2007-09-07 Koyo Steering Europ K S E Soc Poussoir pour une direction a cremailler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4053462A1 (de) * 2004-11-05 2006-05-11 Zf Lenksysteme Gmbh Vorrichtung zum Andrücken einer Zahnstange
DE602007002453D1 (de) * 2006-08-21 2009-10-29 Jtekt Corp Lenkvorrichtung
KR100854784B1 (ko) * 2007-02-27 2008-08-27 주식회사 만도 요크 클리어런스 자동 조절장치를 구비한 조향장치
JP5126883B2 (ja) * 2007-11-30 2013-01-23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の摺動受板及びラックガイド
JP5196259B2 (ja) * 2008-09-08 2013-05-1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ラック軸支持装置および車両用操舵装置
DE202010011990U1 (de) * 2010-08-31 2010-11-25 Gapi Technische Produkte Gmbh Druckstücksystem
DE202011109028U1 (de) 2011-12-14 2013-03-15 Gapi Technische Produkte Gmbh Druckstück und Druckstücksystem mit Druckstück
DE102012100851A1 (de) * 2012-02-02 2013-08-08 Zf Lenksysteme Gmbh Vorrichtung zum Andrücken eines Übertragungselements
EP2684770B1 (en) * 2012-07-13 2015-10-14 TRW Automotive GmbH Apparatus for pressing a rack against a pinion of a steering gear assembly
KR102058895B1 (ko) * 2013-08-23 2019-1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요크 유격 보상장치
JP2015147537A (ja) * 2014-02-07 2015-08-20 株式会社ショーワ ラックガイド機構
JP2015202787A (ja) * 2014-04-14 2015-11-16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ラックガイド及びこのラックガイドを具備した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147866B1 (ko) * 2014-04-29 2020-08-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요크 유격 보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5149U (ja) * 1982-09-17 1984-03-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ツクアンド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ギヤ装置
JPH05238397A (ja) * 1992-02-27 1993-09-17 Toyota Motor Corp ラックバー支持装置
JP3212703B2 (ja) * 1992-08-07 2001-09-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ックバー支持装置
US5660078A (en) * 1995-03-21 1997-08-26 Techco Corporation Yoke apparatus for rack and pin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7846A (zh) * 2011-05-09 2014-01-15 谢夫勒科技股份两合公司 齿条式转向机构的压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13094D1 (de) 2001-07-05
JPH0976925A (ja) 1997-03-25
EP0788962A3 (en) 1998-01-07
KR970015336A (ko) 1997-04-28
EP0788962B1 (en) 2001-05-30
DE69613094T2 (de) 2001-09-13
US5746285A (en) 1998-05-05
JP3366785B2 (ja) 2003-01-14
EP0788962A2 (en) 199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118B1 (ko) 랙의지지장치
EP0558761B1 (en) Linear bearing and its production method
JP3280656B2 (ja) 車のステアリング可能な車輪の方向転換装置
KR20180028388A (ko) 파워 시트 길이 조절 시스템 및 제조 방법
JPH05116633A (ja) 自動車のテレスコープ管として構成されたステアリングシヤフト
WO1997013603A2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optischen oberflächen sowie bearbeitungs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3954695B2 (ja) 動圧型多孔質含油軸受の製造方法
JP2007126002A (ja)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148846B2 (ja) ラックピニオンステアリング装置用ラックガイド、ラックピニオン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ラックピニオンステアリング装置用ラックガイドの製造方法
JPH08174126A (ja) ラック軸製造装置
JPH08232944A (ja) 金属板軸受部の製造方法及び金属板軸受部の成形用金型並びに金属板軸受部の成形用パンチ
KR20130096652A (ko) 딤플 성형 버니싱 공구 및 딤플 성형 버니싱 방법
CN1081145C (zh) 齿条助力转向器
JP3390205B2 (ja) 電動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の駆動支持装置
JPH082426A (ja) ラックの支持装置
JP2912100B2 (ja) ラックの支持装置
JP3495431B2 (ja) ラックの支持装置
JP2554549Y2 (ja) 直線案内機構
JP3533281B2 (ja)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H07124676A (ja) ラック軸製造装置
JPH06241228A (ja) 直動機械要素
KR20230142150A (ko) 차량용 조향장치
JPH02154854A (ja) 摺動テーブ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24255A (ja) モータ回転軸、モータ回転軸のスラスト軸受構造、減速機付きモータ及びモータ回転軸の製造方法
KR101202928B1 (ko) 서포트 요크 유격 자동 조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랙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