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411B1 - 블록부재및패널구조체 - Google Patents

블록부재및패널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411B1
KR100436411B1 KR1019970012095A KR19970012095A KR100436411B1 KR 100436411 B1 KR100436411 B1 KR 100436411B1 KR 1019970012095 A KR1019970012095 A KR 1019970012095A KR 19970012095 A KR19970012095 A KR 19970012095A KR 100436411 B1 KR100436411 B1 KR 100436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block
block body
support members
blo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988A (ko
Inventor
토시죠오 하세
Original Assignee
니혼 코시츠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코시츠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코시츠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2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54Slab-like translucent elements
    • E04C2/546Slab-like translucent elements made of glass br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2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of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고, 제조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충분한 강도를 보유한 채 쉽게 조립될 수 있고, 조립시 우수한 외관을 가질 수 있는 블록부재 및 패널구조체를 제공한다. 블록부재는 중앙점과 네면을 보유한 직사각형의 블록본체(21)로 이루어지고, 블록본체는 각 네면의 외주면(21c)에 플랜지부 (24)를 포함하고, 플랜지부는 블록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며, 플랜지부는 외주면보다 얇은 두께를 보유하고, 각 플랜지부는 플랜지부(24)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변형부(25)를 보유하며, 변형부는 블록본체의 인접하는 면이 서로 만나는 블록본체의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블록부재는, 변형부(25)와 지지부재의 장착구멍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플랜지부(24)의 전후면을 따라 배열된 지지부재 쌍에 의해 고정된다.

Description

블록부재 및 패널구조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블록부재 및 패널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글래스브릭(glass brick), 글래스블록(glass block), 또는 그러한 것과 같은 블록부재와, 건축구조물에서 파티션(partition) 또는 스크린(screen)으로서 사용하는데 알맞은 블록부재와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패널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 유형의 패널구조체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프레임 내부에서, 글래스블록 사이에 개재된 접합시멘트(joint cement)와 같은 접착제의 도움으로, 글래스블록을 적층하여 구성했다. 다른 패널구조체는 글래스블록 사이에 개재된 접합시멘트와 같은 접착제의 도움으로, 글래스블록을 건축구조물의 일부에 직접 적층하여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조방법에 따르면, 접착제는 글래스블록을 서로 고착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이것은 양생과 제작 모두 장기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구조체가 적용된 건축구조물과 그 주위는, 접합시멘트가 접착제로 사용될 때 빈번히 바람직하지 않게 더럽혀진다. 상기 프레임이 사용될 때, 주어진 건축구조물에 관하여, 패널구조의 크기를 개조, 또는 변경이 쉽게 수행될 수 없음을 특히 주의해야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다양한 제안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면, 글래스패널을 사용한 파티션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50-3384호에 기재되어 있고, 글래스블록 패널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52-30739호에 기재되어 있다.
전자의 공보의 패널유닛(panel unit)의 구조에서, 패널유닛은 수지재료의 격자쌍을 포함한다. 격자쌍은 내부 오목부를 형성한다. 글래스판(glass plate)은 오목부에 끼워져 격자쌍에 의해 고정된다. 패널유닛의 양단은 패널유닛의 양측에 배치된 직립한 두 개의 지주(support column)에 각각 형성된 대응 결합홈에 결합된다.
상기 제안에 따르면, 글래스판은 격자쌍 사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격자쌍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접합시멘트와 같은 접착제가 완전히 배제될 수 있다. 이것은 제작기간의 감소에 기여한다. 또한 이것은 건축구조물과 그 주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패널유닛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음을 주의한다. 그러므로, 패널유닛의 크기 변경이 가능할지라도, 크기를 더욱 알맞게 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것은 패널유닛의 사용 또는 적용의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또한, 글래스판이 간단히 격자쌍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패널유닛의 중앙부에 글래스판의 지지강도가 바람직하지 않게 감소된다. 이는 강한 진동 또는 물리적 충격으로 인해 패널유닛으로부터 글래스판이 제거되는 것을 야기한다.
격자쌍은 수지재료대신 주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데 효과적일 수도 있지만, 그러나 상기 격자는 매우 무겁게 되어, 제작되는 동안 상기 제한과 같은 새로운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후자의 공보에서 밝혀진 제안에 대한 글래스블록 패널의 구조에서, 홈을 보유한 수직 및 수평바는 알루미늄 프레임 내부에 배치된다. 그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보유한 글래스블록은 프레임과 수평 및 수직바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수평바와 수직바 사이에 배치된다. 고무패킹은 각각의 홈과 각각의 플랜지부 사이에 배치된다. 프레임, 수평바, 및 수직바는 나사와 같은 수단에 의해 그들의 연결부에서 서로 고정된다.
상기 제안에 따르면, 전자의 공보에서와 같이 접합시멘트와 같은 접착제가 완전히 배제된다. 제작기간을 줄일 수 있고, 건축구조물과 그 주변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진동과 기계적 충격으로 인한 글래스블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작단계 중, 고무패킹이 프레임, 수직바, 및 수평바의 홈과 글래스블록의 플랜지부 사이에 놓여야 한다. 이것은 조립작업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제작효율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저하된다. 특히, 글래스블록에 대해 대향하도록 배열된 수평바와 수직바인 프레임부가 글래스블록(플랜지부 형태)의 프로파일(profile)에 대응하는 홈이 파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파일은 다르지만 외부치수가 동일한 다른 글래스블록은 사용될 수 없다. 이것은 호환성의 문제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출원인은 이전에 도 9∼도 15에 도시된 패널 구조체를 제안했다. 이들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알루미늄 또는 강철부재와 같은금속재료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 1 또는 수직 지지부재를 나타낸다. 수직지지부재 (1)는 예를 들어 평삭반(planer)형 상판(top plate)(2), 같은 방향으로 상판의 양측 에지(edge)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측판(3, 3), 그리고, 각각의 측판의 측면에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플랜지부(4, 4)를 포함한다. 상판(2)과 더불어 측판(3, 3)은 실질상 U자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판(2)에는 소정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위치한 복수의 구멍(2a)이 형성되어 있다. 상판(2)에 인접한 각각의 측판 (3, 3)에는 후술할 제 2 또는 수평지지부재에 수용되기 위한 복수의 슬릿 (slit)(3a)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3a)은 구멍(2a)들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각각의 플랜지부(4, 4)에는 후술할 제 3 지지부재에 장착되기 위한 복수의 구멍(4a)이 형성되어 있다. 측판의 일단에 배치된 슬릿(3a)이 개구단을 가지도록 형성될지라도, 측판의 중앙부에 배치된 슬릿(3a)과 실질상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수직지지부재(1)는, 수직지지부재(1)의 각 쌍의 상판(2)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지지부재(1)쌍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수평지지부재 (5)는 수직지지부재(1)의 각각의 슬릿(3a)에 삽입되어, 격자와 같은 형태를 이룬다. 수평지지부재(5)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강철과 같은 금속재료로, 연장된 망(web)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구멍(6)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수직지지부재(1)의 구멍(2a)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있다. 우선, 수직지지부재(1)는, 구멍(2a, 4a)과 슬릿(3a)을, 예를들면, 타출작업(stamping)에 의해 금속박판(sheet metal)으로 형성되고, 그리고나서, 금속박판을, 예를들면, 압연이나 프레스작업으로 소정방향으로 구부려, 도 14에 도시된 형태를 얻는다.
참조부호 7은 블록부재를 나타낸다. 블록부재는 글래스블록, 글래스브릭, 및 글래스패널 등을 포함한다. 블록부재의 재료는, 예를 들면, 글래스와 수지재료 외의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부재(7)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격자형태로 배열된 수직지지부재(1)와 수평지지부재(5)에 의해 지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부재의 전후면은 양단에서 수직지지부재(1)의 플랜지부(4, 4)에 의해 지지되고, 블록부재(7)의 반대측면은 수직부재(1)의 측면(3, 3)에 의해 지지된다. 블록부재(7)의 상면과 바닥면은 수평지지부재(5)의 상부에지(5a)와 하부에지(5b)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격자와 같은 형태로 조립되어진 수직지지부재(1)와 수평지지부재(5)는 장착수단(8, 9)에 의해 단단하게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와 같은 장착수단(8)은 수평지지부재(5), 수직지지부재(1)의 구멍(2a), 대향하는 수직지지부재(1)의 구멍(2a), 및 수평지지부재(5)의 구멍(6) 속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그리고나서, 너트와 같은 장착수단(9)이 장착수단(볼트)(8)과 나사 체결된다. 그러므로, 지지부재(1, 1)쌍은 서로 가깝게 되고, 그로 인해, 블록부재(7)의 전후면이 플랜지부(4, 4)에 의해 그 단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하여, 수직 및 수평지지부재(1, 5)가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패널구조체가 조립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실질상 직립한 위치로 배향되어 있는 복수의 수직지지부재(1)는 전열과 후열로 배열되고, 실질상 블록부재(7)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각 열에서 서로 떨어져 배치된다. 수평지지부재(5, 5)는 수직지지부재(1)의 최하부 슬릿(3a)에 삽입된다. 그리고나서, 볼트(8)는 전열의 수평지지부재(5)의 구멍(6), 수직지지부재(1)의 구멍(2a), 후열의 수직지지부재(1)의 구멍(2a), 그리고 수평지지부재(5)의 구멍(6)을 통해 삽입된다. 그리고나서, 볼트는 임시 결합을 위해 너트와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의 블록부재 (7)는, 블록부재(7)의 하부면이 수평지지부재(5, 5)의 상부에지(5a)에 놓일 때까지 상기한 바로부터 수직지지부재(1, 1) 사이에 삽입된다. 추가할 블록부재(7)는 상기 방법에서 제 1 블록부재(7)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더 추가할 블록부재(7)는 상기 추가블록부재(7)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로인해 제 1단계(제 1수평열)에서의 블록부재는 모두 적당한 방법으로 배치된다. 그리고나서, 수평지지부재(5)는 수직지지부재(1)의 최하부 슬릿(3a) 옆의 슬릿(3a) 속에 삽입된다. 볼트(8)는 수직지지부재 (1)의 각 구멍(2a) 속에 삽입된다. 각각의 볼트(8)는 너트(9)에 의해 임시적으로 약하게 체결된다. 블록부재(7)의 반대쪽 측면이 수직지지부재(1)의 측판(3, 3)과 결합되면서, 블록부재(7) 전후면의 반대쪽 단부가 수직지지부재(1)의 플랜지부(4, 4)와 고정되기 위해 적당한 배열 및 조정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나서, 전열 및 후열의 수직지지부재(1) 및 수평지지부재(5)는 최하 단계에서 볼트(8)와 너트(9)쌍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그 후, 제 2수평열의 블록부재(7)는 상기한 바로부터 수직지지부재(1, 1)쌍 사이로 삽입되어, 블록부재(7)의 하부면이 수평지지부재(5, 5) 쌍의 상부에지(5a) 상에 장착된다. 상기 작업은 유사한 방법으로 반복된다. 이로 인해, 새로운 블록부재(7)가 제 2수평열의 제 1블록부재(7)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더 추가하는 블록부재(7)는 새로운 블록부재(7)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방법에서, 제2수평열의 모든 블록부재(7)는 알맞게 배열된다. 그리고 나서, 수평지지부재(5)는 최하측으로부터 제 3슬릿(3a)내에 삽입된다. 볼트(8)는 수직지지부재(1)의 각각의 구멍(2a, 6)에 삽입된다. 각각의 볼트(8)는 대응하는 너트(9)에 의해 임시적으로 약하게 체결된다. 블록부재의 제 1수평열의 경우에서처럼, 적당한 배열과 조정작업은, 블록부재(7)의 양측면이 수직지지부재(1)의 측판(3, 3)과 결합되면서, 블록부재(7)의 전후면의 양단부가 수직지지부재(1)의 플랜지부(4, 4)와 결합되도록 수행된다. 그리고 나서, 전후열의 수직지지부재(1) 및 수평지지부재(5)는 볼트(8) 및 너트(9)쌍에 의해 최하단 옆에 서로 결합된다. 유사한 작업을 반복하여 도 10에 도시된 패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안에 따르면, 측판(3, 3)에 슬릿(3a)이 있는 수직지지부재(1)와, 수평지지부재(5)는 수직지지부재(1)의 슬릿(3a) 내에 수평지지부재(5)를 삽입함으로써, 격자형태로 형성된다.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부재(7)는 상기 각각의 격자부 내에 배치된다. 전후면의 양단부와 블록부재(7)의 양단면은 수직지지부재(1)와 측면 (3)쌍의 플랜지부(4, 4)에 의해 지지된다. 블록부재(7)의 하부면 및 상부면은 수평지지부재(5)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패널은 블록부재(7)의 주어진 프로파일에 관계없이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접합시멘트와 같은 접착제가 불필요하고, 건축구조물과 그 주위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재(1)와 수평지지부재(5)는 장착수단(8, 9)에 의해 그것들의 겹친 부분에서 일체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블록부재(7)의 지지능력과 패널의 기계적 강도가 각각 향상되고 증가된다. 따라서, 진동이나 기게적 충격에 의해 블록부재(7)가 수직지지부재(1) 또는 수평지지부재(5)로부터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블록부재(7)는 격자형태로 배열된 수직지지부재(1)와 수평지지부재(5)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패널의 크기는, 수직지지부재(1) 및/또는 수평지지부재(5)에 대한 적당한 길이가 선택되면, 블록부재의 크기에 의해 바람직하게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적용가능한 범위가 확대되고, 제작동안의 유연성이 향상되며, 제작기간의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최근, 패널구조체가 설계의 효과를 유용하게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패널구조체는 건축구조물의 파티션 또는 스크린 외에도 다양하게 적용된다. 패널구조체의 수요가 증가되고, 따라서 용이한 적용과 비용의 감소가 크게 요구된다.
상기 제안에 따르면, 블록부재(7)는 격자형태로 결합된 망 형태의 수직지지부재(1)와 수평지지부재(5)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블록부재(7)는 실제로, 수직지지부재(1)의 플랜지부(4)에 의해 우측 및 좌측의 전후면에, 고정되고 지지된다. 따라서, 플랜지부(4)는 블록부재(7)의 전후면의 우측 및 좌측에서만 노출된다. 이는 우수한 외관을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된다.
수직지지부재(1)는 슬릿(3a)을 포함하고, 실질상 C자형상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형상 또는 형태는, 망 형태의 수평지지부재(5)와 다르다. 이는 지지부재의 종류(type)를 부득이하게 증가시키고, 성가신 제조공정을 필요로 한다. 또한, 제조비용의 감소가 어렵다. 구체적으로는, 패널구조체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수직지지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더욱 복잡한 과정이 요구되고, 따라서 제조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블록부재(7)는 다음의 방법으로 지지된다. 우선, 망 형태의 수직지지부재(1)와 수평지지부재(5)는 각각의 수평지지부재(5)를 대응하는 수직지지부재(1)의 슬릿(3a) 내에 삽입함으로써 격자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나서, 블록부재(7)가 수평지지부재(5)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각각의 블록부재(7)는 수직지지부재(1)의 플랜지부(4)에 의해, 전후면의 좌측 및 우측면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패널구조체는 종래에 비해 효과적으로 제조되고 구성된다. 그러나, 더욱 효과적이고 쉽게 적용가능한 패널구조체가 요구되기 때문에, 상기 패널구조체에 대한 더 많은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과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충분한 강도를 보유한채 쉽게 조립되며, 조립시에 우수한 외관을 갖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블록부재와 패널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의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1발명은 중앙점과 네면을 보유한 아치형의 블록본체로 이루어진 블록부재를 제공하고, 여기서 블록본체는 각각의 네면의 외주면의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플랜지부는 블록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각 플랜지부는 플랜지부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변형부를 보유하고, 변형부는 블록본체의 중앙점에 대해 대칭적으로 플랜지부에 형성된다.
제 2발명은 중앙점과 네면을 보유한 직사각형의 블록본체로 이루어지고, 블록본체는 각 네면의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플랜지부는 블록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며, 플랜지부가 외주면보다 얇은 두께를 보유하고, 각 플랜지부는 플랜지부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변형부를 보유하며, 변형부가 블록본체의 인접한 면이 만나는 블록본체의 모서리부에 배열된 플랜지부에 형성된다.
셋째 발명은, 변형부가 사실상 아치형인 블록본체를 제공한다.
넷째 발명은, 중앙점과 네면을 보유한 직사각형의 블록본체로 이루어지고, 블록본체는 각 네면의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플랜지부는 블록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플랜지부가 외주면보다 얇은 두께를 보유하고, 각 플랜지부는 플랜지부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변형부를 보유하며, 변형부가 각 플랜지부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다섯째 발명은, 변형부가 사실상 반원형 또는 C형의 단인 블록부재를 제공한다.
여섯째 발명은, 중앙점과 네면을 보유한 직사각형의 블록본체를 각각 포함하고, 블록본체가 각 네면의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플랜지부는 블록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되고, 각 플랜지부는 플랜지부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변형부를 보유하며, 변형부는 블록본체의 중앙점에 대해 대칭적으로 플랜지부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블록부재와;
블록부재의 각 면에 각각의 플랜지부의 전후면을 따라 배열된 한 쌍의 지지부재와, 각 지지부재는 인접한 블록부재의 변형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위치에 대응한 곳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보유하고;
그리고, 볼트와 너트를 보유한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한 쌍의 지지부재가 블록부재의 각 면의 플랜지부의 전후면을 따라 배열됨과 아울러, 지지부재의 구멍과 블록부재의 변형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사용으로 부착수단에 의해 같이 고정시킴으로써, 블록부재의 플랜지부가 지지부재에 고정된 패널구조체를 제공한다.
일곱째 발명은, 중앙점과 네면을 보유한 직사각형의 블록본체로 각각 이루어지고, 블록본체가 각 네면의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플랜지부는 블록본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되고, 플랜지부는 외주면보다 얇은 두께를 보유하며, 각 플랜지부는 플랜지부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변형부를 보유하고, 변형부는 블록본체의 인접한 면이 만나는 블록본체의 모서리부에 배열된 플랜지부에 형성되며;
블록부재의 각 면에 각각의 플랜지부의 전후면을 따라 배열된 한 쌍의 지지부재와, 각 지지부재는 인접한 블록부재의 변형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위치에 대응한 곳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보유하고;
그리고, 볼트와 너트를 보유한 부착수단을 구비하고, 한 쌍의 지지부재가 블록부재의 각 면의 플랜지부의 전후면을 따라 배열됨과 아울러, 지지부재의 구멍과 블록부재의 변형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사용으로 부착수단에 의해 같이 고정시킴으로써, 블록부재의 플랜지부가 지지부재에 고정된 패널구조체를 제공한다.
여덟째 발명은, 인접한 블록부재의 마주 대하는 플랜지부가 지지부재의 공통쌍에 의해 고정된 패널구조체를 제공한다.
아홉째 발명은, 지지부재가 망 형태이고, 각 지지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부착구멍과 블록부재의 변형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대응하는 지점을 보유한 채 형성된 패널구조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P-P선을 따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구조체를 나타내는 정면입면도.
도 4는 도 3의 원 R에 의해 둘러쌓인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3에서 Q-Q선을 따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구조체에서 사용하는 지지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수평지지부재의 주요부분의 평면도, 도 6(b)는 수직지지부재의 주요부분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블록부재가 사용된 패널구조체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구조체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패널구조체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T-T선을 따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U-U선을 따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W-W선을 따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평지지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직지지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블록부재의 제 1실시예를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서, 참조부호 20은 직사각형의 블록부재를 나타낸다. 블록부재는 예를들어 글래스블록, 글래스브릭, 글래스패널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글래스재 외에, 브릭, 세라믹, 수지재료, 또는 목재가 블록부재용 원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블록부재(20)는 평면도(정면도)에서 봤을 때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블록부재는 직사각형, 마름모, 삼각형, 또는 정다각형과 같은 적당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블록부재(20)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본체(21), 블록본체(21)의 일면(전면)(21a)에 얕게 형성된 제 1오목부(22), 블록본체(21)의 반대면(후면)(21b)에 깊게 형성된 제 2오목부(23), 및 블록본체(21)의 각각의 네면의 외주면(21c)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고, 외주면(21c)보다 폭이 좁은 플랜지부 (24)를 포함한다.
플랜지(24)는, 블록본체(21)의 인접하는 면이 서로 교차하는 각각의 모서리부에 아치형의 변형부(25)(제거된 부분)를 보유한다. 따라서, 외주면(21c)으로부터의 플랜지부의 돌출량(돌출된 길이)이 제한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플랜지부의 돌출된 길이는 플랜지부가 모서리부분에 인접함에 따라 감소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부재(20)가 패널화되도록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되면, 인접한 변형부(25)는 공간(26)을 형성한다. 플랜지부(24)의 반대면(24a)이 오목부의 바닥면(23a)과 동일평면으로 보일지라도, 그것은 바닥면(23a)으로부터 오프셋되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구성된 블록부재(20)는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패널구조체에 적용된다. 이들 도면에서, 참조부호 30은 지지프레임본체를 나타낸다. 지지프레임본체(30)는, 예를 들면, 서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지주(31, 31), 지주(31, 31)의 하부에 배치되고 고정된 베이스부재(32), 및 마주보는 지주(31, 31)의 상부에 배치되고 고정된 단부지지부재(33, 33)를 포함한다. 단부지지부재(33, 33)에는, 마주 보는 중앙부에 지지러그(support lug)(33a)가 일체로 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러그(33a)는 중앙부의 전체길이를 따라 확장되고, 블록부재(20)의 플랜지부와 실질상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플랜지부(24)의 거의 두배에 가까운 돌출된 길이를 보유한다. 장착구멍은 블록부재(20)의 외부치수와 실질상 동일한 피지(pitch)에 배열된다.
지지프레임본체(30)에서, 복수의 블록부재(20)는 서로 접하고 있는 플랜지부 (24)를 보유한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된다. 실리콘고무와 같은 코킹합성물(caulking compound)이, 플랜지부(24)의 반대되는 면 사이에 삽입되어 플랜지부 사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복수의 블록부재(20)의 인접하는 모서리부에서, 아치형 변형부(25)에 의해 제한된 공간이 형성된다. 블록부재(20)의 각각의 면의 플랜지부(24)는 블록부재의 전후방으로 각각 배열되고 수평 및 수직으로 연장된, 지지부재(40, 40A)와 망 형태의 수직지지부재(50, 50A)에 의해 고정된다. 플랜지부는 볼트(60)와 너트(예를 들면, 박스(box)너트)(61) 같은 장착수단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수평지지부재(40, 40A)와 수직지지부재(50, 50A)는 각각 복수의 장착구멍 (41, 51)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구멍(41, 51)은 블록부재(20)의 외부치수(플랜지부 (24)를 포함하는 외부치수)와 동일한 피치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지지프레임본체(30)에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지지부재(50, 50A)는 남아있는 수직지지부재(50, 50A)의 것보다 약간 큰 폭을 가지고 있다. 지지프레임본체(30)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은 수평지지부재(40, 40A)와 수직지지부재(40, 40A)는 변형부가 형성되지 않은 블록부재(20)의 각각의 면의 돌출된 길이와 실질상 같거나 두 배 더 넓은 폭을 보유한다. 각각의 블록부재(20)는 수평지지부재(40, 40A)와 수직지지부재(50, 50A)의 각 구멍(41),(51) 속과 각 공간(26)을 통해 볼트(60)로 각각 삽입하고, 그 볼트 (60)를 대응하는 박스너트(61)와 단단히 나사 결합함으로써 확실하게 지지된다.
상기 패널구조체를 조립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수평지지부재(40, 40A)와 수직지지부재(50, 50A)는, 구멍(41, 51)의 사용을 통해 볼트(60)와 박스너트(61)에 의해 그들의 전후면을 따라 베이스부재(32)와 단부지지부재(33, 33)에 임시로 약하게 고정된다. 패널구조체의 전후면에 대한 복수의 수직지지부재(50, 50A)는 각각 단부지지부재(33, 33)를 따라 연장된 수직지지부재(50, 50A)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수직지지부재는 서로에 대해 실질상 병렬로 배열된다. 수직지지부재(50, 50A)는 베이스부재(33)를 따라 연장된 수평지지부재(40, 40A)에 볼트(60)와 박스너트(61)에 의해 임시로 약하게 고정된다. 필요하다면, 코킹합성물을 블록부재(20)의 각각의 면에서 플랜지부(24)의 끝면에 적당량 가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블록부재(20)는, 각각의 블록부재(20)의 하부 플랜지부(24)가 수평지지부재(40, 40A) 사이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베이스부재(32)상의 수평지지부재 (40, 40A) 사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제 1열에 대한 배열이 완료된다. 이 단계에서, 상부를 포함하는 각각의 블록부재(20)의 플랜지부(24)의 전후면이 수평지지부재(40, 40A)와 수직지지부재(50, 50A)에 의해 고정되거나 수평지지부재(40, 40A)와 수직지지부재(50, 50A)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관계에서, 베이스부재(32), 지지러그(33a, 33a)의 양단면, 및 블록부재(20)에 대한 코킹합성물의 적용은, 제 1열의 블록부재(20)의 배열이 완료되었을 때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나서, 볼트(60)는 수직지지부재(50, 50A)의 최하부 구멍(제 1구멍)뿐만 아니라, 수평지지부재(40, 40A)의 각각의 구멍 내에 삽입된다. 각각의 볼트(60)는 대응하는 박스너트(61)와 단단히 나사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 1열의 각각의 블록부재(20)의 하부 플랜지(24)는 수평지지부재(40, 40A)의 최하부 쌍(제 1쌍) 사이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수평지지부재(40, 40A)의 제 2쌍은 제 1열에서 각각의 블록부재(20)의 상부플랜지(24)의 전후면을 따라 배치된다. 볼트(60)는 각각의 수직지지부재 (50, 50A)의 최하부 구멍(제 2구멍) 다음의 구멍(51), 제 2구멍(51)에 대응하는, 수평지지부재(40, 40A)의 각각의 제 2쌍의 구멍(41), 및 변형부(25)에 의해 인접하는 블록부재(20)의 각각의 상부면에 형성된 각각의 공간(26)에 삽입된다. 각각의 볼트(60)는 대응하는 박스너트(61)에 의해 임시적으로 약하게 체결된다. 그리고나서, 블록부재(20)의 제 2열은 서로 인접하며 고정되거나 배치된 플랜지부(24)를 보유한 블록부재(20)의 제 1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블록부재의 제 2열에 대한 배열이 완료된다. 볼트(60)와 박스너트(61)의 각각의 제 2쌍은 서로 체결된다. 따라서, 블록부재(20)의 제 1열의 상부플랜지부와 블록부재(20)의 제 2열의 하부플랜지부(24)는 수평지지부재(40, 40A)의 공통 제 2쌍 사이에 단단히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블록부재(20)의 제 1열의 인접한 면 또는 측면의 플랜지부(24)는 공통 수직지지부재(50, 50A) 사이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작업을 유사하게 반복하여, 도 3에 도시된 조립된 패널구조체를 얻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구조체에 적용된 블록부재(20)는, 그 각각의 면상의 주위 표면(21)에, 변형부(25)가 구비된 일체적인 플랜지부(24)를 보유한다. 따라서, 블록부재의 인접하는 플랜지부(24)는 수평지지부재(40, 40A)와 수직지지부재 (50, 50A)에 의해 동시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부재(20)의 각각의 모서리부에는 아치형 변형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변형부(25)는 플랜지부(24)의 돌출량을 제한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러한 변형부(25)는 블록부재(20)가 인접하여 배치될 때, 공간(26)을 형성하기위해 결합된다. 그러므로, 블록부재(20)의 인접하는 플랜지부(24)는, 볼트(60)를 각각의 공간 (26)에 삽입함으로써, 그리고 볼트(60)를 대응하는 박스너트(61)와 체결함으로써 확실하게 공통으로 고정된다. 블록부재(20)의 인접하는 플랜지부(24)가 확실한 방법으로 효과적으로 공통으로 고정된다는 사실과 아울러, 블록부재(20)의 성형성 (moldability)은 변형부(25)를 구비함으로써 효고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공간(26)은 플랜지부에 어떠한 장착수단도 구비할 필요가 없게 한다. 따라서, 블록부재(20)는 플랜지부(14)가 블록부재(20)의 외주면(21c)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예를 들면, 약 5mm정도 감소되어도, 충분히 확실하게 고정된다.
특히, 수평지지부재(40, 40A)와 수직지지부재(50, 50A)는 망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그것들은 소정의 길이로 평면재료(flat material)를 절단함으로써, 그리고, 소정 피치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히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제작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생산율을 크게 증가시키며, 그리고 패널구조체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지지부재의 생산비용을 감소시킨다.
수평 및 수직지지부재가 상술한 바와 같이 망 형태이기 때문에, 명세서에 앞서 상술한 제안의 조립에 필요로 되는 C자형의 제 1지지의 슬릿에 삽입될 망 형태의 제 2지지가 불필요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및 수직지지부재는 서로에 대해 간단히 겹쳐짐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구조체는 짧은 시간 안에 효과적으로 제작되고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널구조체가 예를 들어 구조물의 외부벽에 적용되면, 실리콘 고무와 같은 다량의 코킹합성물이 인접한 블록부재(20)의 플랜지부(24)에 고정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될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건축물의 내부(실내)로의 어떠한 주수 또는 바람의 침입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패널구조체가 실내에 파티션으로 적용될때, 코킹합성물이 블록부재(20) 사이에 완충재로써 사용되어 블록부재(20)를 강한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부재를 나타낸다. 블록부재(20A)는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부재(21)의 각각의 면의 외주면(21c)에서 플랜지부(24)와 일체로 되어 있다. 각각의 플랜지부(24)의 두께는 외주면(21c)보다 얇다. 특히, 블록본체(21)의 각각의 면의 플랜지부(24)는 외주면(21c)으로부터의 플랜지(24)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반원형의 변형부(25A)를 보유한 채 중앙부에 형성된다. 변형부 (25A)는 반원형 대신에 C자형 또는 삼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블록부재(21A)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패널구조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패널구조체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기본적으로는 같지만, (1) 수평 및 수직지지부재(40, 40A, 50, 50A)가 블록부재(20A)의 중앙부로 옮겨지고, (2) 인접한 블록부재(20A)의 변형부(25)가 플랜지부(24)의 중앙부에서 공간을 형성한다는 것이 다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부재(20A)의 플랜지부(24)는 각각 수평지지부재 (40, 40A)와 수직지지부재(50, 50A)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사용한 패널구조체는 수평지지부재(40, 40A)와 수직지지부재(50, 50A) 사이에 겹쳐진 부분이 고정수단(60, 61)에 의해 서로 동시에 고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사용한 패널구조체보다 강도의 면에서 더 약하다. 이 점은 별도의 문제로 하고, 제 2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사용한 패널구조체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사용한 패널구조체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것이라고 예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블록부재는 상기 사각형 외에 직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변형부가,인접하게 배치된 블록부재에 대해 대칭 관계로 되도록 구비된 플랜지부의 한쪽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변형부의 위치는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L자형의 보조 고정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고정물이, 나사에 의해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반면, 다른 고정물이 패널구조체의 최하단에 위치한 장착수단에 고정되고, 한쪽 지지부재(수평 또는 수직지지부재)는 하부의 지지부재 위에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한쪽 지지부재(수직 또는 수평지지부재)와 겹쳐지고, 그 한쪽 지지부재는, 하부의 지지부재의 두께에 실질상 대응하는 양만큼 구부러질 수도 있다. 따라서, 겹쳐지는 지지부재는, 블록부재의 플랜지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블록부재는 플랜지부와 함께 각각의 면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인접한 플랜지부는 한 쌍의 지지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블록부재에 대한 지지강도를 증가시킨다.
플랜지부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변형부는, 대칭적으로 블록부재의 외주부에 형성된다. 복수의 블록부재가 인접하여 배치되면, 변형부에 의해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장착수단을 사용하여 체결작업을 수행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둘레면으로부터의 플랜지의 돌출된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지지부재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과는 반대로, 지지부재가 블록부재와 겹쳐지는 것이 방지된다. 지지부재가 패널구조체에서 점유하는 부분이 감소될 수 있다. 이는 패널구조체의 우수한 외관을 제공한다.
특히, 수평 및 수직지지부재는 모두 망 형태이다. 따라서, 그것들은 플랫재를 소정의 폭으로 절단함으로써 간단하고 쉽게 제작될 수 있다. 지지부재의 길이는 알맞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는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대량 생산성이 상당히 증가된다. 따라서, 지지부재와 패널구조체에 대한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망 형태의 수평 및 수직지지부재는, 제 2 또는 수평지지부재가 제 1 또는 C자형의 수직지지부재의 슬릿에 삽입되는 종래 기술에서의 성가신 작업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는 조립 또는 제작공정동안 각각 간단히 겹쳐질 수 있다. 이는 제작작업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본 기술에서 다뤄진 것들은 여기에 본 발명을 설명할 목적으로 여기에 선택된 상기 실시예에서 많은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 그리고, 모든 결과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등가의 원칙에 대해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이뤄진다.

Claims (9)

  1. 중심점과 네면을 가진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본체를 포함하는 블록부재로서, 상기 블록본체는 각각의 네면의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블록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는 플랜지부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변형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변형부는 블록본체의 중심점에 대해 대칭관계로 플랜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부재.
  2. 중심점과 네면을 가진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본체를 포함하는 블록부재로서, 상기 블록본체는 각각의 네면의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블록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는 외주면보다 두께가 얇고,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는 플랜지부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변형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변형부는 블록본체의 인접하는 면들이 서로 만나는 블록본체의 모서리부에 배치된 플랜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실질상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부재.
  4. 중심점과 네면을 가진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본체를 포함하는 블록부재로서, 상기 블록본체는 각각의 네면의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블록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는 외주면보다 두께가 얇고,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는 플랜지부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변형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변형부는 각각의 플랜지부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실질상 반원형 또는 C자형의 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부재.
  6. 중심점과 네면을 가진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본체를 각각 포함하는 블록부재로서, 상기 블록본체는 각각의 네면의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블록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는 플랜지부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변형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변형부는 블록본체의 중심점에 대해 대칭관계로 플랜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블록부재;
    블록부재의 각각의 면에 있는 플랜지부의 전후면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재로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가지고 있고, 그 위치는 인접하는 블록부재의 변형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위치에 대응하는 한쌍의 지지부재; 및
    볼트 및 너트 쌍을 포함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패널구조체로서,
    상기 지지부재쌍은 블록부재의 각각의 면상에 플랜지부의 전후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지지부재의 구멍과 블록부재의 변형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장착수단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블록부재의 플랜지부가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구조체.
  7. 중심점과 네면을 가진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본체를 포함하는 블록부재로서, 상기 블록본체는 각각의 네면의 외주면에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블록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외주면보다 두께가 얇으며,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는 플랜지부의 돌출량을 제한하는 변형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변형부는 블록본체의 서로 만나는 인접 면에서 블록본체의 중심점에 배치된 플랜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블록부재;
    블록부재의 각각의 면에 있는 플랜지부의 전후면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재로서,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가지고 있고, 그 위치는 인접하는 블록부재의 변형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위치에 대응하는 한쌍의 지지부재; 및
    볼트 및 너트 쌍을 포함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패널구조체로서,
    상기 지지부재쌍은 블록부재의 각각의 면상에 플랜지부의 전후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지지부재의 구멍과 블록부재의 변형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장착수단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블록부재의 플랜지부가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구조체.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블록부재의 마주보는 플랜지부가 한쌍의 공통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구조체.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망형태이고, 각각의 지지부재는 하나 이상의 장착구멍을 가지며, 그 위치는 블록부재의 변형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구조체.
KR1019970012095A 1996-09-18 1997-04-02 블록부재및패널구조체 KR100436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46171 1996-09-18
JP24617196 1996-09-18
JP96-245171 1996-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88A KR19980023988A (ko) 1998-07-06
KR100436411B1 true KR100436411B1 (ko) 2004-10-02

Family

ID=1714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095A KR100436411B1 (ko) 1996-09-18 1997-04-02 블록부재및패널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60260A (ko)
EP (1) EP0831184B1 (ko)
KR (1) KR100436411B1 (ko)
DE (1) DE6971511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1915B2 (en) 1997-01-09 2004-06-22 New England Classic Interiors, Inc. Kits and systems releasably attachable to a wall, and methods employing same
US6374562B1 (en) * 2000-06-28 2002-04-23 New England Classic Interiors, Inc. Adjustably sizeable raised panel system for stairs and method for forming and installing same
US6427399B1 (en) * 1998-10-26 2002-08-06 Hy-Lite Products, Inc. Block window system with border frame
US6892498B1 (en) 2001-12-05 2005-05-17 James D. Roman Interlocking construction system
US7185469B2 (en) * 2003-03-14 2007-03-06 Advantage Architectural Products, Ltd. Modular raised wall paneling system
US20070033881A1 (en) * 2005-08-15 2007-02-15 Love Bethel W Safety and security block window system
US9349153B2 (en) * 2007-04-25 2016-05-24 Digimarc Corporation Correcting image capture distortion
CH711479B1 (de) * 2015-08-31 2018-08-15 Marco Semadeni Dr Bauelement mit Hohlglasbaustein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0536A (ja) * 1989-10-26 1991-06-14 Nikken Sekkei Ltd ガラスブロック壁及びその組立工法
JPH0420632A (ja) * 1990-05-14 1992-01-24 Nobunari Emoto 壁状構築物の製作工法
JPH0468115U (ko) * 1990-10-26 1992-06-17
JPH0547140U (ja) * 1991-11-29 1993-06-22 タキロン株式会社 透光性ブロック
JPH068545U (ja) * 1992-06-29 1994-02-04 タキロン株式会社 透光性ブロ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54424A (fr) * 1927-06-13 1929-04-05 Plaque de verre pour planchers, murs et plafonds
US2182373A (en) * 1938-08-10 1939-12-05 Pittsburgh Plate Glass Co Frangible block mounting
US2198450A (en) * 1939-08-30 1940-04-23 Jack O Chertkof Light transmitting structure
US3205633A (en) * 1963-01-03 1965-09-14 Nusbaum Mortimer Floor or like tile
DE3136542A1 (de) * 1981-09-15 1983-03-31 Westerwald Aktiengesellschaft für Silikatindustrie, 5432 Wirges "glasbausteinwand"
FR2542353B1 (fr) * 1983-03-09 1985-10-25 Manon Gerard Element de verre en particulier brique ou pave de verre
JPS6153958A (ja) * 1984-08-20 1986-03-18 株式会社 サアミ タイル状繊維床材敷設方法
DK155616C (da) * 1984-09-25 1989-09-04 Eminent Plast Rist- eller maatteelement til dannelse af en gulvbeklaedning ved sammenkobling med lignende elementer
DE3568363D1 (en) * 1985-09-26 1989-03-30 Rolf Scheiwiller Set of elements for composite constructions
US5003744A (en) * 1989-07-31 1991-04-02 Innovative Building Products, Inc. Glass-block panels with improved thermal conduction characteristics
US5259161A (en) * 1991-06-03 1993-11-09 Carter Frank P Vertical and horizontal reinforcement and spacing guide for panels constructed of blocks
US5170604A (en) * 1991-08-21 1992-12-15 Tamer Industries, Inc. Wall panel system and fastener therefor
US5448864A (en) * 1993-06-22 1995-09-12 Rosamond; John E. Multi-light glass block panel assembly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0536A (ja) * 1989-10-26 1991-06-14 Nikken Sekkei Ltd ガラスブロック壁及びその組立工法
JPH0420632A (ja) * 1990-05-14 1992-01-24 Nobunari Emoto 壁状構築物の製作工法
JPH0468115U (ko) * 1990-10-26 1992-06-17
JPH0547140U (ja) * 1991-11-29 1993-06-22 タキロン株式会社 透光性ブロック
JPH068545U (ja) * 1992-06-29 1994-02-04 タキロン株式会社 透光性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1184B1 (en) 2002-09-04
DE69715118T2 (de) 2003-04-24
DE69715118D1 (de) 2002-10-10
EP0831184A3 (en) 1998-12-02
EP0831184A2 (en) 1998-03-25
US5860260A (en) 1999-01-19
KR19980023988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310B1 (ko) 판넬 및 판넬구조체
KR100436411B1 (ko) 블록부재및패널구조체
US4979344A (en) Fabricated stone panel unit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JPH07197540A (ja) 建築部材取付用ブラケット
KR200277906Y1 (ko) 구조물의 코너부 시공용 거푸집
KR20070117737A (ko)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JP2509845Y2 (ja) 壁用パネル
JP3043300B2 (ja) ブロック部材及びパネル構体
KR200377459Y1 (ko) 격자형 십자중문 조립체
JP3581186B2 (ja) 通水蓋
JPH0530370U (ja) 門塀や門扉等の門回りパネルの構造
JP322001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H0752855Y2 (ja) 外壁装飾パネルの取付け装置
JPH04194145A (ja) 複合壁面の施工方法
JP2608173B2 (ja) 楔着用外囲体
JPH024206Y2 (ko)
JPS6011222Y2 (ja) 建築物の手摺枠等の構造
JPH0350207Y2 (ko)
JPH10280594A (ja) ノッチ部を有する合成樹脂発泡体とノッチ部に挿入される 部材の組み合わせからなるコンクリート型枠組立用部材
JPH0629282Y2 (ja) 耐震構造
JP3011258U (ja) 建物内装用壁構造体
JP2021113428A (ja) カーポート
JPH0755260Y2 (ja) ガラスブロック窓枠取付装置
JP2506007Y2 (ja) 外壁プレハブパネルの目地構造
KR200250090Y1 (ko) 거푸집용 모서리 판넬 설치 간격 유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