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7737A -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7737A
KR20070117737A KR1020060051741A KR20060051741A KR20070117737A KR 20070117737 A KR20070117737 A KR 20070117737A KR 1020060051741 A KR1020060051741 A KR 1020060051741A KR 20060051741 A KR20060051741 A KR 20060051741A KR 20070117737 A KR20070117737 A KR 20070117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r
concrete
frame
assembly structure
wall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이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이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이건
Priority to KR102006005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7737A/ko
Publication of KR2007011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7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7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simultaneously tying two fac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폼을 설치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바에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해당하는 수평지지대 또는 수직지지대를 각각 나란하게 안착함으로써 프레임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피를 줄임과 아울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프레임바의 내측에 투명아크릴판을 부착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로폼, 프레임바, 수평지지대, 수직지지대, 안착홈, 투명아크릴판

Description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euro type form of concrete form}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유로폼의 연속적인 조립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유로폼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의 설치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유로폼 11: 프레임바
13: 판체부 21: 수평지지대
22: 수직지지대 100: 안착홈
200: 투명아크릴판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로폼을 설치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바에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다수 개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해당하는 수평지지대 또는 수직지지대를 각각 나란하게 안착함으로써 프레임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피를 줄임과 아울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프레임바의 내측에 투명아크릴판을 부착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할 때, 반죽된 콘크리트가 경화하는 시간동안 원하는 형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거푸집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거푸집 내에는 필요한 경우 철근 등을 얽어서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 반죽을 타설하고, 일정 기간동안 양생을 하여 소정의 강도로 콘크리트가 경화된 다음에 거푸집을 제거하며, 계속해서 주기적으로 일정량의 수분을 공급하여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되도록 양생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반죽을 타설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거푸집은 축조하여야 할 건축물의 종류와 높이에 따라 여러 형태와 재질의 거푸집이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아파트 등과 같은 빌딩형의 건축물 등의 경우, 최근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규격화된 유로폼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제작하고 있다.
이렇게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유로폼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건축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종래의 유로폼(10)은 철제 혹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 전체적으로 4각형의 프레임을 이루는 수직 수평의 프레임바(11)와, 상기 프레임바(11)의 내측을 적절한 간격으로 구획하여 지지하는 크로스부재(12)와, 상기 프레임바(11)의 내측에 끼워져서 리벳이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15)에 의해 체결되는 합판으로 이루어진 판체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바(11)에는 유로폼(10) 간의 조립을 위한 죔쇠와 웨지핀 같은 체결수단(16)을 끼워 체결시킬 수 있는 다수의 체결홈(1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바(11)의 가장자리 선을 따라 유로폼(10)이 연속적으로 연결 조립될 때 인접한 유로폼(10) 사이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끼울 수 있는 노칭홈(23)이 형성될 수 있는 다수개 노칭부(19)가 체결홈(14)과 동일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로폼(10)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조립할 경우, 수직 및 수평으로 다수개의 유로폼(10)을 연속적으로 맞닿게 한 다음, 쐐기 및 웨지핀 등과 같은 체결수단(16)을 사용하여 상호 조립시킴과 아울러 거푸집의 내·외측면 즉, 건물의 내·외벽에 해당하는 부분에 유로폼(10)을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양쪽의 유로폼(10)을 플랫타이(17)로 상호 연결 조립함으로써, 거푸집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유로폼(10)을 조립하여 형성된 거푸집의 전·후면에 는 유로폼(1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수평지지대(21)와 수직지지대 (22)가 서로 교차 설치되어 간격유지용 체결구(18)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대(21)와 수직지지대(22)는 각각 소정길이를 갖는 앵글형상으로서 각각 수평 및 수직으로 교차하여 고정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유로폼 조립구조에서는 프레임바의 외측으로 서로 수직되게 겹쳐지도록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를 고정 설치하기 때문에 프레임바의 외측으로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의 직경 합만큼의 설치 공간이 필요함에 따라 유로폼의 설치공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바 외측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해당하는 각각의 수직지지대 또는 수평지지대를 안착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프레임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피를 줄일 수 있고, 프레임바의 내측에 투명아크릴판을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고정 부착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 정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틀 형상인 프레임바의 외측에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를 각각 다수 개 구비하여 각각 체결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바를 고정 지지하는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는 외측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지지대 또는 수직지지대 각각을 나란하게 안착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설치 부피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폼의 설치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10)은 철제 혹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바(11)로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바(11)는 틀 내부를 적절한 간격으로 구획하여 지지하는 크로스부재(1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바(11)는 마주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즉, 상기 프레임바(11)는 테두리에 다수 개를 연결함과 동시에 마주하게 설치되고, 상기 마주하는 프레임바(11)의 사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프레임바(11)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 내측에 투명아크릴 판(200)을 고정 부착한다.
상기 투명아크릴판(2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주하는 프레임바(11)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투명아크릴판(200)은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져 프레임바(11)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채워지는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투명아크릴판(200)은 다수 개 배열되는 프레임바(11) 전체에 고정 부착될 수도 있고, 일부에만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투명아크릴판(200)이 유로폼(10)을 이루는 다수 개의 프레임바(11) 일부에만 고정 설치될 경우, 투명아크릴판(200)이 설치되지 않는 프레임바(11)의 내측은 합판인 판체부(13)를 고정 부착한다.
상기 투명아크릴판(200)이 판체부(13)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高價)이기 때문에 투명아크릴판(200)은 프레임바(11)의 내측 일부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체부(13)와 투명아크릴판(200)이 함께 프레임바(11)에 결합되기 때문에 판체부(13)가 단독으로 프레임바(11)에 결합되는 것보다 설치중량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아크릴판(200)은 리벳이나 볼트 등의 체결부재(15)에 의해 프레임바(11)의 테두리에 체결 고정된다.
물론, 상기 판체부(13)도 체결부재(15)에 의해 프레임바(11)의 테두리에 체 결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바(11)에는 유로폼(10) 간의 조립을 위한 쐐기 및 웨지핀 등과 같은 체결수단(16)을 끼워 체결시킬 수 있는 다수의 체결홈(14)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바(11)의 가장자리 선을 따라 유로폼(10)이 연속적으로 연결 조립될 때 인접한 유로폼(10) 사이에 체결구(17)를 끼울 수 있는 노칭홈(23)이 형성될 수 있는 다수 개의 노칭부(19)가 체결홈(14)과 동일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로폼(10)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조립할 경우, 수직 및 수평으로 다수개의 유로폼(10)을 연속적으로 맞닿게 한 다음, 쐐기 및 웨지핀 등과 같은 체결수단(16)을 사용하여 상호 조립시킴과 아울러, 거푸집의 내·외측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유로폼(10)을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양쪽의 유로폼(10)을 플랫타이(17)로 상호 연결 조립함으로써, 거푸집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로폼(10)의 내측, 즉 마주하는 프레임바(11)의 내측면에는 일부 또는 전체에 투명아크릴판(200)이 구비됨에 따라 유로폼(10)의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채워지는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유로폼(10)을 조립하여 형성된 거푸집의 전, 후면에는 유로폼(1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해 다수 개의 수평지지대(21)와 수직지지대(22)가 서로 수평 및 수직으로 교차 설치되어 체결구(17)를 통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유로폼(10)은 최소한 프레임바(11)의 외측으로 수평지지대(21)와 수직지지대(22)의 직경을 합한 만큼의 공간을 확보해야 함에 따라 설치 공간이 증 가된다.
그래서, 상기 프레임바(11)는 외측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다수 개의 안착홈(100)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홈(100)은 해당 방향인 수평지지대(21) 또는 수직지지대(22)를 각각 안착하게 된다.
일례로서, 상기 안착홈(100)은 프레임바(11)의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 개 배열되도록 도시한다.
즉, 상기 안착홈(100) 각각에는 수직지지대(22)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대(21)는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프레임바(11)의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수평지지대(21)는 프레임바(11)와 체결구(17)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100)의 개방된 상면으로 소정 돌출되는 수직지지대(22)의 둘레면은 수평지지대(21)에 의해 눌려지며 연결된 프레임바(11)를 가압하며 지지한다.
물론,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안착홈(100) 내부에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22)는 수평지지대(21)에 의해 안착홈(100)의 내측면으로 밀리는 힘을 받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22)가 안착홈(100) 내부에 매립되기 때문에 프레임바 (11)의 외측으로는 수평지지대(21)의 직경만큼 돌출됨에 따라 설치 공간을 수직지지대(22)의 직경만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평지지대(21)가 프레임바(11)의 안착홈(100)에 안착시 프레임바(11)의 외측에는 수직지지대(22)가 설치되어 수평지지대(21) 각각을 안착홈(100) 내부로 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바 외측을 지지하도록 크로스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또는 수직지지대를 프레임바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함으로써 유로폼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바는 내측에 투명한 재질의 투명아크릴판을 일부 또는 전체에 부착함으로써 마주하는 프레임바 사이에 콘크리트의 타설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로폼은 프레임바에 투명아크릴판을 일부 또는 전체에 부착하기 때문에 종래의 합판보다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사각틀 형상인 프레임바의 외측에 수평지지대와 수직지지대를 각각 다수 개 구비하여 각각 체결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바를 고정 지지하는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는 외측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지지대 또는 수직지지대 각각을 나란하게 안착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설치 부피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는 내측면에 투명아크릴판을 고정 부착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KR1020060051741A 2006-06-09 2006-06-09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KR20070117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741A KR20070117737A (ko) 2006-06-09 2006-06-09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741A KR20070117737A (ko) 2006-06-09 2006-06-09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7737A true KR20070117737A (ko) 2007-12-13

Family

ID=3914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741A KR20070117737A (ko) 2006-06-09 2006-06-09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77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35B1 (ko) * 2016-07-05 2017-03-09 시지이엔씨주식회사 거푸집용 합성수지 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구조체
CN109629718A (zh) * 2018-11-21 2019-04-16 筑梦高科建筑有限公司 立式模壳制作方法
CN113356067A (zh) * 2021-06-21 2021-09-07 重庆市江津钢模有限责任公司 一种支撑性好的路桥钢模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35B1 (ko) * 2016-07-05 2017-03-09 시지이엔씨주식회사 거푸집용 합성수지 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구조체
CN109629718A (zh) * 2018-11-21 2019-04-16 筑梦高科建筑有限公司 立式模壳制作方法
CN113356067A (zh) * 2021-06-21 2021-09-07 重庆市江津钢模有限责任公司 一种支撑性好的路桥钢模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31605A1 (en)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40447A (ko) 성형강판을 이용하여 내부에 t형 돌기를 갖는 기둥 영구거푸집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20130043324A (ko)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KR101302520B1 (ko) 콘크리트 벽체 시공구조
JP4018740B2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200453780Y1 (ko) 거푸집의 코너연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의 코너 시공방법
KR101591224B1 (ko) 조립식 플레이트와 정착 채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JP6577757B2 (ja) 型枠構造物
KR20070117737A (ko)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KR101160763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20160032891A (ko) 더블앵글 박판 조립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
KR20180094673A (ko)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1545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101847105B1 (ko) 강콘크리트 합성 부재용 철골조립체와 영구거푸집 패널의 고정 구조
KR101891322B1 (ko) 포밍관을 이용한 조립식 거푸집
JP3208530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これを用いた構造体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101438030B1 (ko) 지지보강틀을 이용한 강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111349B1 (ko)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KR101440556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JP2012067495A (ja) スリット構造
JP7602677B2 (ja) 建物の基礎構造
KR102555884B1 (ko) 글라스울을 이용하여 내화성능이 향상된 슬래브 구조체
KR101170920B1 (ko) 데크플레이트 연결용 플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01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0707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704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