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304B1 -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304B1
KR100436304B1 KR10-2001-0062894A KR20010062894A KR100436304B1 KR 100436304 B1 KR100436304 B1 KR 100436304B1 KR 20010062894 A KR20010062894 A KR 20010062894A KR 100436304 B1 KR100436304 B1 KR 100436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racket
vehicle body
fastener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473A (ko
Inventor
키쿠치타다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지도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 후소 트럭 앤드 버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지도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미츠비시 후소 트럭 앤드 버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지도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8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mounted on a bracket,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ting of the lamps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11)의 배면부에 설치된 브래킷(30)을 통해 램프(11)를 차체(10)에 장착하는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브래킷(30)은 수지제의 브래킷 본체(40)와, 브래킷 본체(40)에 마련된 셀 블록형의 제 1 파스너부재(41)와, 착탈 가능한 제 2 파스너부재(42)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제 1 파스너부재(41)는 차체(10)에 형성된 장착구멍(50)에 제 1 방향(F1)으로부터 소정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걸어 멈춤부(51)가 탄성적으로 넓게 개방됨으로써 장착구멍(50)으로부터의 분리를 이룰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2 파스너부재(42)는 제 1 방향(F1)과는 다른 제 2 방향(F2)으로부터 브래킷 본체(40)를 램프(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 2 나사부재(63)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LAMP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램프를 차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나사나 스쿠류 그로밋(gromet) 등의 파스너부재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파스너부재는 램프 디자인면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램프 디자인면 이 외의 영역에 배치된 램프장착 시트에 고정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렇지만, 램프 주위 부품과의 관계 등으로부터, 파스너부재나 장착시트를 램프 디자인면의 외측에 마련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이하에 서술하는 종래예 1 내지 3의 장착구조가 채용된다.
차량에 있어서의 종래예 1은, 일본 특허 공개 2000-318511호 공보에 예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램프 디자인면의 일부에 구멍을 형성하며, 이 구멍으로부터 삽입되는 나사 부재를 차체측의 램프장착 시트에 나사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램프를 차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한다.
차량에 있어서의 종래예 2는, 일본 특허 공개 평 11-78672호 공보에 예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걸어 멈춤부를 갖는 핀 형상 그로밋을 램프의 이면측에 돌출설치하여 램프를 차체에 장착할 때 핀 형상 그로밋의 걸어 멈춤부를 차체측의 구멍에 밀어 넣음으로서 걸어 멈춤부를 끼워 램프를 차체에 장착한다.
차량에 있어서의 종래예 3은, 일본 특허 공개 평 10-138828호 공보에 예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차체측에 L 형 브래킷을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하고, 이 L 형브래킷의 아암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차내측(디자인면의 밖)으로부터 나사 부재를 L 형 브래킷의 구멍에 나사결합함으로써 램프를 고정한다.
그러나, 종래예 1의 경우, 램프 디자인면의 일부에 구멍을 마련하기 때문에외관이 손상되거나, 잡음, 밀폐성, 불순물의 부착, 배광특성 등의 점에서 불리하다. 또한, 차체 램프의 조립작업을 원터치로 행할 수 없어 장착에 손이 많이 간다. 또한, 종래예 2의 경우, 램프를 교환 하기 위해서는, 핀 형상 그로밋을 차체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외력을 주어 차체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장착강도를 높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예 3의 경우, 차체에 미리 고정되어 있는 L 형 브래킷에 램프를 장착하는 작업을, 예컨대 차내의 후 측에서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차량의 생산라인 등에 있어서 램프의 조립 작업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램프를 차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장착강도가 높고 또한, 램프 디자인면을 손상하는 일이 없는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는, 램프의 배면부에 마련된 브래킷을 끼워 램프를 차체에 장착한다. 이 브래킷은 차체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제 1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는 셀 블록 형상의 제 1 파스너부재와, 제 2 방향으로부터 브래킷 본체를 램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 2 파스너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파스너부재를 차체의 장착구멍에 제 1 방향으로부터 눌러 주는 것만으로 램프를 차체에 조립할 수 있다. 제 1 파스너부재는 차체의 장착구멍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그 일부가 탄성적으로 넓게 개방되어 이탈 방지를 이룸으로써 충분한 장착강도를 발휘한다. 램프교환시에는 제 2 방향으로부터 제 2 파스너부재를 브래킷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으로부터 램프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는 브래킷 본체와 제 2 파스너부재를 결합하는 보스부가 합성 수지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 에서는 제 1 파스너부재는 차체에 맞닿은 후, 반발력에 의해 유지되는 스프링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걸어 멈춤부를 장착구멍에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장착구멍의 둘레 테두리부에 탄성적으로 맞닿아 그 반발력에 의해서 결합부품을 느슨하게 하지 않고 차체에 유지할 수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는, 제 2 파스너부재의 나사부의 외경을 보스부의 개구부 내경보다도 크게 했기 때문에 나사 부재를 태핑구멍으로 나사 결합하지 않은 경우, 나사 부재가 보스부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램프와 차체의 일부 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램프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램프를 차체에 장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램프를 차체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5는 램프를 구비한 차량의 일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O : 차체 11 : 램프
12 : 프론트 패널 l13 : 사이드 패널
20 : 램프본체 21 : 렌즈부
22 : 디자인면 23 : 도어
30 : 브래킷 31 : 결합 훅
32 : 슬릿 40 : 브래킷 본체
41 : 제 1 파스너부 42 : 제 2 파스너부
45 : 결합부품 46 : 제 1 나사부재
50 : 장착구멍 51 : 걸어 멈춤부
52 : 스프링부 63 : 제 2 나사부재
64 : 결합 구멍 F1 : 제 1 방향
F2 : 제 2 방향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한 예를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10)에 램프(11)가 장착된다. 도 5중의 F-F 선에 따른 단면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차량의 전측에 위치하는 프론트 패널(12)과, 차량의 측부에 위치하는 사이드 패널(13)을 포함한다. 램프(11)는 이들 프론트 패널(12)과 사이드 패널(13)에 걸쳐 장착된다.
램프(11)는 리프렉터를 포함하는 램프본체(20)와 램프본체(20)의 표면측을 덮는 렌즈부(21)와, 광원으로서의 발광체(도시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다. 렌즈부(21)의 표면은 차량의 외관의 일부를 구성하는 디자인면(22)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중의 부호 23a는 도어(23)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램프(11)는 램프본체(20)의 배면부에 마련된 브래킷(30)과, 프론트 패널(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결합 훅(31)에 의해 차체(10)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결합 훅(31)은 차체(10)의 프론트 패널(12)에 형성된 슬릿(32)에차체(10)의 전측에서 삽입된 후, 도 1의 화살표 A로 도시하는 방향(차량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슬릿(32)의 테두리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차체(10)의 프론트 패널(l12)에 고정된다.
브래킷(30)은 램프(11)의 단부(11a)를 차체(10)의 사이드 패널(13)에 고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브래킷(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 수지의 일체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브래킷 본체(4O) 및 보스부(62)와 브래킷 본체(40)의 차체(10)와의 결합부에 마련된 셀 블록 형상의 제 1 파스너부재(41)와, 브래킷 본체(40)의 램프(11)와의 결합부에 마련된 착탈가능한 제 2 파스너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파스너 부재(41)는 소위 셀 블록 너트라고 칭하는 수지제의 한 방향 삽입형의 결합부품(45)과 이 결합부품(45)을 브래킷 본체(40)에 고정하는 제 1 나사 부재(46)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부품(45)은 차체(10)에 형성된 사각모양의 장착구멍(50)에 제 1 방향(F1)으로부터 삽입되는 걸어 멈춤부(51)와 장착구멍(50)의 둘레 테두리부(50a)에 대향하는 스프링부(52)와, 제 1 나사 부재(46)가 나사 결합되는 태핑구멍(5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 1방향(F1)은 결합 훅(31)(도 1에 도시)을 슬릿(32)의 테두리에 끼워 결합시키는 경우의 램프(11) 이동방향(A)에 따르고 고 있다. 또 램프의 종류에 따라서는 결합 훅(31)을 이용하지 않고 브래킷(30)만으로 램프를 차체에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결합부품(45)의 걸어 멈춤부(51)는 차체(10)의 장착구멍(50)에 소정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탄성적으로 넓게 개방되며 장착구멍(50)의 둘레 테두리부(50a)의이면측에 걸림으로써 장착구멍(50)으로부터의 이탈 멈춤을 이룰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프링부(52)는 걸어 멈춤부(51)를 장착구멍(50)에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장착구멍(50)의 둘레 테두리부(50a)에 탄성적으로 맞닿으며, 그 반발력에 의해 결합부품(45)을 느슨하게 차체(10)에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파스너 부재(42)는 제 1 방향(F1)과 직교하는 제 2 방향(F2)에 축선이 연장되는 보스부(60)및 그로밋부(61)와 그로밋부(61)의 태핑구멍(62)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나사부재(63)를 갖고 있다. 그로밋부(61)의 외경은 제 2 나사부재(63)를 태핑 구멍(62)에 나사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램프본체(20)의 그로밋 결합구멍(64)에 결합 가능한 치수로 되어 있다.
제 2 나사부재(63)의 볼트부(63a)를 그로밋부(61)의 태핑구멍(62)에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램프(11)가 브래킷(30)에 고정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제 2 나사부재(63)를 느슨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태핑구멍(62)으로부터 너트부(63a)를 분리하면 램프(11)를 브래킷(3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 2 나사부재(63)의 볼트부(63a) 외경은 보스부(60)의 개구부(60a)의 내경보다도 크게하고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부재(63)를 태핑구멍(62)에 나사결합되지 않았을때 나사부재(63)가 보스부(6O)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단지 작업상 문제가 없으면 일반적인 나사 부재를 이용하여 브래킷(30)을 제 2 방향(F2)로부터 램프 본체(20)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또는 전술한 결합부품(45)과 같은 제 2 파스너부재를 이용하여 브래킷(30)을 제 2 방향(F2)로부터 램프본체(20)에 고정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의 브래킷(30)을 이용하여 램프(11)를 차체(1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제 1 파스너부재(41)를 브래킷 본체(40)에 장착하여 둠과 함께, 이 브래킷(30)를 제 2 파스너부재(42)에 의해서 램프본체(20)에 장착하여 놓는다. 그리고 제 1 파스너부재(41)의 결합부품(45)을 차체(10)의 장착구멍(50)에 제 1 방향(F1)으로부터 밀어넣음으로써, 소위 원터치의 간단한 작업에 의해 브래킷(30)을 통해 램프(11)를 차체(10)에 조립할 수 있다.
셀 블록형의 제 1 파스너부재(41)는 차체(10)의 장착구멍(50)에 소정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 장착구멍(50)의 안측에서 걸어 멈춤부(51)가 탄성적으로 넓게 개방됨으로써 장착구멍(50)의 둘레 테두리부(50a)에 걸린다. 즉, 장착구멍(50)에 일단 삽입된 후는 걸어 멈춤부(51)에 의해 이탈 방지가 이루어지게 되며, 충분한 장착강도로 브래킷(30)을 차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제 1 파스너부재(41)는 장착구멍(50)으로 향하여 제 1 방향(F1)으로부터 램프(11)를 차체(10)에 밀어넣는 것만으로 차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램프(11)의 안측에 제 1 파스너부재(41)를 눈에 띄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램프(11)의 디자인면(22)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램프(11)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파스너부재(42)의 나사부재(63)를 제 2 방향(F2)(예컨대, 도어(23)를 개방하여, 차체(10)의 후측)으로부터,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느슨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브래킷(3O)과 램프(11)와의 체결상태가 약해진다. 또한, 나사부재(63)를
회전시켜 가면 나사부재(63)가 그로밋부(61)로부터 분리되지만, 결합 훅(31)에 의해 램프(11)는 프론트 패널(12)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중에 화살표(B)에서 도시하는 방향으로 램프(11)를 이동시킴으로써, 프론트 패널(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 2 파스너부재(42)는 램프(11) 디자인면(22)의 외측에서 제 2 방향(F2)으로부터 탈착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램프(11)의 디자인면(22)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는다.
차체(10)에 장착한 브래킷(30)이 파손했을 때나 브래킷(3O)을 교환할 필요가 발생된 경우에는 램프(11)를 브래킷(30)으로부터 분리하며 또한, 제 1 나사 부재(46)를 결합부품(45)으로부터 분리한다. 이 경우, 결합부품(45)을 차체(10)의 장착구멍(50)으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브래킷(3O)을 램프(11)에 장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차체의 구체적 형상이나 램프의 형태를 비롯하여 브래킷을 구성하는 브래킷 본체나 제 1 파스너부재, 제 2 파스너부재 등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요소를 적당히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또한, 상기 제 1 방향(F1)과 제 2 방향(F2)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이외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항 기재의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는 제 1 파스너부재를 차체의 장착구멍에 제 1 방향으로부터 밀어 넣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에 의해서 브래킷을 통해 램프를 차체에 조립할 수 있다. 셀 블록형의 제 1 파스너부재는 차체의 장착구멍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일부가 넓게 개방됨으로서 충분한 장착강도를 발휘할 수 있으며, 램프 디자인면에 영향을 주는 일도 없다. 또한, 램프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제 2 파스너부재를 제 2 방향으로부터 분리하면 좋다. 이 제 2 파스너부재는 램프 디자인면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제 2 방향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면을 손상하는 일이 없다.
또한, 청구항 2항 기재의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는 브래킷 본체와 제 2 파스너부재를 결합하는 보스부가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또한, 청구항 3항 기재의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는 제 1 파스너부재는 차체에 맞닿은 후, 반발력에 의해 유지되는 스프링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걸어 멈춤부를 장착구멍에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장착구멍의 둘레 테두리부에 탄성적으로 맞닿으며 그 반발력에 의해 결합부품을 느슨하게 하는 일 없이 차체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항 기재의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는 제 2 파스너부재의 나사부의 외경을 보스부의 내경보다도 크게 했기 때문에, 나사 부재를 태핑구멍에 나사결합되어 있지 않은 때에 나사 부재가 보스부로부터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램프의 배면부에 마련된 브래킷을 끼워 해당 램프를 차체에 장착하는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브래킷 본체와, 상기 브래킷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차체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제 1방향으로부터 소정위치까지 삽입된 때 일부가 탄성적으로 넓게 열림으로써 상기 장착구멍으로부터의 이탈방지가 이루어져 있는 셀블록형 제 1 파스너부재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제 2방향으로부터 상기 브래킷 본체를 상기 램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제 2 파스너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본체와 상기 제 2 파스너부재를 결합하는 보스부가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스너부재는 상기 차체에 맞닿은 후, 반발력에 의해 유지되는 스프링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스너부재의 나사부 외경을 상기 보스부의 개구부 내경보다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
KR10-2001-0062894A 2000-11-17 2001-10-12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 KR100436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51045 2000-11-17
JP2000351045 2000-11-17
JP2001058479A JP3991601B2 (ja) 2000-11-17 2001-03-02 車両用ランプの取付構造
JPJP-P-2001-00058479 2001-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473A KR20020038473A (ko) 2002-05-23
KR100436304B1 true KR100436304B1 (ko) 2004-06-18

Family

ID=2660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894A KR100436304B1 (ko) 2000-11-17 2001-10-12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991601B2 (ko)
KR (1) KR100436304B1 (ko)
CN (1) CN1232417C (ko)
BR (1) BR0105222A (ko)
MY (1) MY127092A (ko)
TW (1) TW5055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655A (ko) 2014-12-01 2016-06-09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진동융착을 통한 자동차 램프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480B1 (ko) * 2003-09-01 2005-09-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와 휀더간의 간극 유지 구조
JP4273465B2 (ja) 2006-11-24 2009-06-03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ランプ取付構造
DE102008023139A1 (de) * 2008-05-09 2009-11-12 Daimler Ag Kraftfahrzeugheckleuchte
FR2932437B1 (fr) * 2008-06-17 2010-11-1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indexation d'un bloc optique sur un support adjacent de vehicule automobile
CN101900284B (zh) * 2009-05-27 2012-08-29 市光工业株式会社 车辆用灯具
JP6619846B2 (ja) * 2018-06-01 2019-12-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WO2019230910A1 (ja) 2018-06-01 2019-12-0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8751U (ko) * 1979-12-28 1981-08-04
JPH0456541U (ko) * 1990-09-26 1992-05-14
JPH07127623A (ja) * 1993-11-06 1995-05-16 Kato Hatsujo Kaisha Ltd 外装部品の取付具の構造
JPH11208391A (ja) * 1998-01-30 1999-08-03 Nissan Motor Co Ltd フロントバンパーサイド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8751U (ko) * 1979-12-28 1981-08-04
JPH0456541U (ko) * 1990-09-26 1992-05-14
JPH07127623A (ja) * 1993-11-06 1995-05-16 Kato Hatsujo Kaisha Ltd 外装部品の取付具の構造
JPH11208391A (ja) * 1998-01-30 1999-08-03 Nissan Motor Co Ltd フロントバンパーサイドの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655A (ko) 2014-12-01 2016-06-09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진동융착을 통한 자동차 램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54106A (zh) 2002-06-19
JP3991601B2 (ja) 2007-10-17
JP2002211308A (ja) 2002-07-31
BR0105222A (pt) 2002-06-25
CN1232417C (zh) 2005-12-21
KR20020038473A (ko) 2002-05-23
MY127092A (en) 2006-11-30
TW505587B (en)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6507B2 (en) Post-removable construction of a door lock device
KR100436304B1 (ko) 차량용 램프의 장착구조
JP4338581B2 (ja) 車両用室内照明灯
US6409366B1 (en) Lighting device for a motorcycle
CN111946712B (zh) 汽车用防松螺母
JP4906661B2 (ja) スピーカ取付け構造
JP2002079966A (ja) カウリング付自動二輪車用フラッシャランプ取付構造
JPH0533401Y2 (ko)
JP5559552B2 (ja) 車両用灯具の取付構造
KR970002213Y1 (ko) 자동차의 휠가드 마운팅 클립
KR950010162Y1 (ko) 자동차의 후미등 사이드 마커 램프홀더 고정장치
KR100337817B1 (ko) 커티시램프 취부구조
KR0132970Y1 (ko) 자동차의 도어 풀 핸들 베젤 고정구조
KR200154695Y1 (ko) 자동차용그로밋
JP2001158244A (ja) リッドホルダ構造
KR0141392B1 (ko) 자동차 헤드 램프 체결력 강화 구조
KR950002837Y1 (ko) 자동차 에어컨용 진공호스 커넥터의 고정구
JP2826981B2 (ja) バックバイザーの取付構造
KR200198881Y1 (ko) 번호판등 취부 구조
KR100324673B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핸들 로드 이탈 방지용 부싱
JP2006143129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取付構造
KR200254545Y1 (ko) 낚시용 릴에 있어서 구동핸들의 커버 조립 구조.
KR0115637Y1 (ko) 차량용 리어 챔프커버 체결장치
JPH06293280A (ja) フェンダパネルの取付構造
KR100216702B1 (ko) 프런트 범퍼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