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563B1 -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조성물 및 피복제품 - Google Patents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조성물 및 피복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563B1
KR100433563B1 KR10-2000-7009252A KR20007009252A KR100433563B1 KR 100433563 B1 KR100433563 B1 KR 100433563B1 KR 20007009252 A KR20007009252 A KR 20007009252A KR 100433563 B1 KR100433563 B1 KR 10043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sition
coating composition
polyol
aqueous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9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4522A (ko
Inventor
도미하시노부유끼
오기따고이찌로
데라사까기요따로
나까따니야스까즈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4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4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9D1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L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r tetrafluoro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6Roll or c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불소고무 수성 디스퍼션 및 염기성 폴리올계 가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형성된 피막을 갖는 도포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조성물은 1 액형 수성분산액임에도 불구하고 사용가능 시간이 길고 또한 비교적 저온, 단시간으로 충분한 탄성, 내열성을 갖는 고강도의 가황피막을 부여한다.

Description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조성물 및 피복제품{WATER-BASED VULCANIZABLE FLUORORUBBER COMPOSITION AND COATED ARTICLE}
불소고무 수성 도료조성물을 폴리아민계 가황제에 의해 가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공보 소58-53671 호 = 미국특허 제 4,339,553 호). 이 방법으로 얻어진 피막은 일반적으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지만, 밀봉성은 떨어진다. 또한, 그 같은 피막을 사무자동화 (OA) 기기 (예컨대 복사기, 프린터 등) 에 사용되는 롤표면 피복에 사용한 경우, 탄성, 내열성 등이 불충분하다는 결점을 갖는다. 또한, 폴리아민계 가황제를 불소고무 가황용 조성물, 예컨대 도료조성물에 첨가하면 겔화가 진행되는 등의 이유로 조성물의 사용가능 시간이 짧아진다. 따라서, 2 액 이상의 조성물이 제조되어 실용에 제공되고 있으나, 실용가능한 1 액형 조성물은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불소고무를 폴리올계 가황제에 의해 가황하는 경우에는 유기용제를 포함한 1 액형 불소고무 도료조성물을 제조할 수는 있다 (PCT/JP97/02853). 그러나, 최근 VOC 규제 등이 엄격해져서 환경 친화적인 수성 도료가 요망되고 있으나,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성분산액으로서의 1 액형 불소고무 수성도료 조성물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조성물 및 피복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함불소 공중합체 및 특정한 폴리올계 가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조성물 및 그 같은 조성물로 형성된 피막을 갖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성분산액으로서 제조되고, 또한 비교적 저온, 단시간으로 고강도의 가황피막이 얻어지는, 사용가능 시간이 긴 1 액형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불소고무 수성 도료조성물로 형성된 피막을 갖는 물품, 특히 OA 기기용 롤이 갖는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한 불소고무 피복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소고무 수성 디스퍼션 및 염기성 폴리올계 가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형성된 피복층에 의해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피복된 물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되는 각 성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불소고무 수성 디스퍼션
불소고무 수성 디스퍼션은 탄성상 함불소 공중합체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알킬술폰산염 등의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 10 내지 75 중량% 의 농도로 수중에 분산시킨 것이다.
탄성상 함불소 공중합체는 주쇄에 -CH2- 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함불소 공중합체이다. 그 대표예는 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를 함유하는 탄성상 함불소 공중합체이고, 구체예는 주쇄가 다음과 같은 구조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CF2-CH2-, -CH2-CH2-, 및 -CH2-CH(CH3)- 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반복단위, 그리고 -CF2-CF(CF3)-, -CF2-CF2-, 및 -CF2-(ORf)CF- (식중, Rf 는 탄소수 1 내지 6 의 플루오로알킬기임) 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반복단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등이다. 이 같은 탄성상 함불소 공중합체는「다이엘」(상표)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바이톤ㆍ프롬」(상표) (E.I. 듀폰사),「아프라스」(상표)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등의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교성 면에서 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B) 염기성 폴리올계 가황제
본 발명에서 염기성 폴리올계 가황제란 수산기, 특히 페놀성 수산기를 분자내에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 및 고분자 화합물로서, 가황성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염기성 화합물과,
등의 페놀 화합물,
(식중, Z 는 -CH2- 또는 -CH2OCH2-, Y 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R, -CH2OR 또는 -OR (여기에서 R 은 탄소수 1 내지 4 의 알킬기), n 은 0 내지 100 의 정수를 의미함) 로 표현되는 페놀 수지와의 염이다.
염기성 화합물로는 암모늄, 포스포늄, 알칼리금속 (예컨대 리튬, 나트륨, 칼륨 등), 및 알칼리토 금속 (예컨대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바륨 등) 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히드로퀴논,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F, 레졸형 페놀 수지의 염이 도막물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가황제로는 염기성 폴리올과 통상의 폴리올의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C) 가황 촉진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임의성분인 가황 촉진제로서 다음과 같은 화합물을 배합할 수 있다.
제 4 급 암모늄염
식 : NR4X 또는 R3N-R'-NR3ㆍ2X
(식중, X 는 산기 또는 수산기이고, R 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탄소수 1 내지 20 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 의 할로겐화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 의 아릴기이고, 또한 2 개 이상의 R 이 공동으로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R' 는 탄소수 2 내지 21 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8 내지 12 의 페닐렌디알킬렌기임)
로 표현되는 제 4 급 암모늄염.
상기 산기는 예컨대 할라이드, 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티오설페이트, 사이파이드, 폴리설파이드, 하이드로젠사이파이드, 티오시아네이트, 카보네이트, 바이카보네이트, 나이트레이트, 카르복실레이트, 보레이트, 포스페이트, 바이포스페이트, 포스파이트, 퍼클로레이트, 바이플루오라이드, 아르세네이트, 페리시아나이드, 페로시아나이드, 몰리브데이트, 세레네이트, 세레나이트, 우라네이트, 텅스테이트 등이 있다.
제 4 급 암모늄염의 구체예는 트리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트리에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디메틸데실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트리에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밀리스틸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메틸테트라데실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트리메틸테트라데실암모늄클로라이드, 코코넛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알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1,4-페닐렌디메틸렌비스트리메틸암모늄디클로라이드, 1,4-페닐렌디메틸렌비스트리에틸암모늄디클로라이드, 에틸렌비스트리에틸암모늄디브로마이드 등의 알킬 및 아르알킬 제 4 급 암모늄염, 8-메틸-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클로라이드, 8-메틸-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아이오다이드, 8-메틸-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하이드로옥사이드, 8-메틸-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메틸설페이트, 8-메틸-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브로마이드, 8-프로필-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브로마이드,8-도데실-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클로라이드, 8-도데실-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하이드로옥사이드, 8-에이코실-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클로라이드, 8-테트라코실-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클로라이드, 8-벤질-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클로라이드, 8-벤질-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하이드로옥사이드, 8-펜에틸-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클로라이드, 8-(3-페닐프로필)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클로라이드 등의 제 4 급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염 등이다.
또한 가황 촉진제로서 하기 제 3 급 아민의 무기 또는 유기산과의 제 4 급염을 사용할 수 있다.
제 3 급 아민
식 : NR3또는 R2N-R'-NR2
(식중, R 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탄소수 1 내지 20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탄소수 6 내지 20 의 아릴기이고, 또한 2 개 이상의 R 이 공동으로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R' 는 탄소수 2 내지 21 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8 내지 12 의 페닐렌디알킬렌기임)
로 표현되는 제 3 급 아민.
제 3 급 아민의 구체예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프로필아민, 트리n-부틸아민, 트리이소부틸아민, 메틸디에틸아민, 디메틸에틸아민, 디메틸n-프로필아민, 디메틸n-부틸아민, 디메틸이소부틸아민, 디메틸이소프로필아민, 디메틸-sec-부틸아민, 디메틸-tert-부틸아민, 트리알릴아민, 디알릴메틸아민, 알릴디메틸아민, 벤질디메틸아민, 벤질디에틸아민, N-알릴피페리딘, N-에틸피페리딘, N-부틸피페리딘, N-메틸피롤리딘, N-시클로헥실피롤리딘, N-n-부틸피롤리딘, N-에틸피롤리딘, N-벤질피롤리딘, 2,4,6-트리메틸피리딘 등이다.
제 4 급 염을 형성하는 무기 또는 유기산의 예로서 HCl, HBr, HF, (C2H5)3NHCl, (C2H5)3NHNO3 , 2(C2H5)3NHSO4 2-, 2(C2H5)3NHCO3 2-, (C2H5)3NHRO, (C2H5)3NHRCOO, (C4H9)3NHCl, (C4H9)3NHNO3 , 2(C4H9)3NHSO4 2-, 2(C4H9)3NHCO3 2-, (C4H9)3NHRO, (C4H9)3NHRCOO-
(식중, R 은 탄소수 1 내지 20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탄소수 6 내지 20 의 아릴기임)
를 들 수 있다.
그리고, 1 급 또는 2 급 아민은 폴리올 가황 이외의 반응을 유발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pKa 8 미만의 것은 가황속도가 느린 까닭으로 도막강도가 낮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추가로 보존안정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유기산을 첨가할 수 있다. 유기산으로는 탄소수 1 내지 12 의 유기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 의 유기산이 사용된다. 탄소수가 9 를 넘는 유기산은 도막중에 잔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한 유기산은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의 모노카르복실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등의 디카르복실산이다.
유기산은 저장중에는 조성물에 함유되는 함불소 공중합체의 폴리올 가황을 억제한다. 그러나, 조성물을 도포, 건조, 소성하면 유기산이 증발 또는 열분해되어 상기 염기성 화합물이 가황반응을 촉진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유기산도「가황촉진제」로 취급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배합비율은 불소고무 100 중량부 당, 염기성 폴리올계 가황제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 가황 촉진제 0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부이다. 가황 촉진제의 양이 상기 하한치 보다 적어지면 가황이 일어나기 힘들어지며, 한편 상한치를 넘으면 가황억제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폴리올계 가황제 및 가황 촉진제에 추가하여 불소고무 조성물에 통상 첨가되는 각종 첨가제, 예컨대 충전제, 착색제, 수산제 (受酸劑)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충전재로는 카본블랙, 화이트카본, 탄산칼슘, 황산바륨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착색제로는 무기안료, 복합산화물 안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수산제로는 산화마그네슘, 산화납, 산화아연, 탄산납, 탄산아연, 하이드로탤사이트 등의 복염을 예시할 수 있지만 수산화칼슘 등과 같이 활성이 높은 것은 겔화를 일으키기 쉬워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염기성 화합물의 pKa 보다 작은 pKa 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수산제의 pKa 가 크면 조성물이 겔화를 일으키기 쉬워진다. 통상 수산제는 그 활성도에 따라 함불소 공중합체 100 중량부 당, 1 내지 40 중량부 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불소 수지나 말단 변성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말단기가 -NH2, -CH2OH 등의 불소고무와 반응시킬 수 있는 관능기인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화합물) 를 불소고무 100 중량부 당, 5 내지 900 중량부의 범위에서 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도막에 비점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불소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불화비닐리덴 (PVdF),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C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EPA),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PF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중합체가 비점착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는 분산성 면에서 수성 디스퍼션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함불소 중합체의 가황용 조성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하고, 가황할 수 있다. 즉 조성물의 성상에 따라 브러시 도포, 분무 코팅, 침지도포, 플로우 코팅, 디스펜서 코팅, 스크린 코팅 등에 의해 조성물을 피도물에 도포하고, 충분하게 건조시킨 후에 150 내지 300 ℃ 에서 10 내지 120 분간 소성한다.
피도물의 표면은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충분히 탈지, 세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도물과 조성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란계 프라이머, 실리콘계 프라이머 등에 의해 프라이머층을 피도물 표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형성된 피복층의 위에 추가로 표면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표면층은 상기 불소 수지 및/또는 말단 변성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부터 일반적인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성상 함불소 공중합체의 가황용 조성물은 수성 폴리아민 가황용 조성물과 비교하여 1 액형의 수성분산액임에도 불구하고 보존안전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용제계 폴리올 가황용 조성물에 비하여 함불소 공중합체의 고형분을 고농도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피복하는 물품ㆍ기재로는 철, 스테인리스강, 구리, 알루미늄, 진유 등의 금속류 ; 유리판, 유리섬유의 직포 및 부직포 등의 유리제품 ; 폴리프로필렌,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의 범용 및 내열성 수지의 성형품 및 피복물 ; SBR, 부틸고무, NBR, EPDM 등의 범용고무, 및 실리콘 고무, 불소고무 등의 내열성 고무의 성형품 및 피복물 :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의 직포 및 부직포 :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형성되는 피복은 내열성, 내용제성, 윤활성, 비점착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인 용도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OA 기기용 롤 (예컨대 정착롤, 압착롤) 및 반송벨트 ; 시트 및 벨트 ; O-링, 다이어프램, 내약품성 튜브, 연료호스, 밸브 밀봉재, 화학 플랜트용 가스켓, 엔진가스켓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Pig 페이스트 A 의 제조:
충전재 (MT 카본블랙) 20 중량부 및 수산제 (교와 가가꾸 고교 (주) 제조 MA-150 ; 주성분 : MgO) 3 중량부를 계면활성제 (닛뽕유시 (주) 제조 HS-208 ; 20 % 수용액 ; 주성분은 C8H17-p-Ph-O-(CH2CH2O)n-OH(n=8)) 2 중량부와 함께 순수 48 중량부에 분산시켜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이것을 이하「Pig 페이스트 A」라고 한다.
도료조성물의 제조 :
불소고무 (다이킨 고교 (주) 제조 다이엘 G-501 AN : 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디스퍼션의 고형분 100 중량부 당, Pig 페이스트 A73 중량부와 증점제 (아사히덴카 고교 (주) 제조 아데카놀 UH-140S ; 주성분 : 고분자 비이온 계면활성제)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분산시킨다. 이 수성분산액에 염기성 폴리올계 가황제인 비스페놀 AF 나트륨염 2.2 중량부 및 가황 촉진제인 DBU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옥틸산염 (선아프로 (주) 제조 U-CAT SA102)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도료조성물을 제조한다.
얻어진 도료조성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성물의 안정성 및 도막의 인장특성을 측정한다.
안정성
도료를 폴리에틸렌병에 넣고 25 ℃ 분위기하에서 정치한다. 2 일, 7 일, 2 주간, 1 개월 및 3 개월후에 도료의 성상을 관찰한다.
인장특성
도료를 금속제 배트에 따르고 실온에서 5 일간, 및 80 내지 100 ℃ 에서 2 일간 건조시킨 후, 200 ℃ 에서 60 분간 소성한다. 생성된 필름을 벗기고 JIS 4 호 덤벨 형상으로 펀칭하여 인장속도 500 ㎜/min 으로 인장시험을 실시한다.
실시예 2
비스페놀 AF 나트륨염 대신에 나트륨퀴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수순을 반복하여 도료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 3
비스페놀 AF 나트륨염 대신에 알칼리 수용액 페놀 수지 (아사히 유끼자이 고교 (주) 제조 DKK-1)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수순을 반복하여 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4
다이엘 G-501 AN 디스퍼션 대신에 다이엘 G-701BP 디스퍼션 (다이킨 고교 (주) 제조 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디스퍼션)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수순을 반복하여 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5
다이엘 G-501 AN 디스퍼션 대신에 다이엘 G-701BP 디스퍼션 (다이킨 고교 (주) 제조 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디스퍼션) 을 사용하고, 비스페놀 AF 나트륨염 대신에 나트륨퀴논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수순을 반복하여 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6
다이엘 G-501 AN 디스퍼션 대신에 다이엘 G-701BP 디스퍼션 (다이킨 고교 (주) 제조 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디스퍼션) 을 사용하고, 비스페놀 AF 나트륨염 대신에 알칼리 수용성 페놀 수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수순을 반복하여 도료를 제조한다.
비교예 1
비스페놀 AF 나트륨염 대신에 비스페놀 A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수순을 반복하여 도료를 제조한다.
비교예 2
폴리올계 가황제 및 가황 촉진제 대신에 폴리아민계 가황제 (유카 쉘 (주) 제조 에포메이트 F-100) 2 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 (닛뽕유니카 (주) 제조 A-1100) 9 중량부 각각과, 추가로 순수 7.5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수순을 반복하여 도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및 2 의 도료조성물 및 시험결과를 표 1 에 정리한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불소고무디스퍼션:다이엘 G-501AN다이엘 G-701BP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충전제:MT-카본블랙 20 20 20 20 20 20 20 20
수산제: MA-150 3 3 3 3 3 3 3 3
증점제:아데칸올 UH-140S 1.5 1.5 1.5 1.5 1.5 1.5 1.5 1.5
폴리올계 가황제:비스페놀 AF-Na 염나트륨퀴논DKK-1비스페놀 A 2.2 2.2 2.2 2.2 2.2 2.2 2.2 ------------
가황 촉진제: SA-102 0.5 0.5 0.5 0.5 0.5 0.5 0.5 ---
폴리아민계 가황제:에포메이트 F-100 --- --- --- --- --- --- --- 2
실란 커플링제:A-1100 --- --- --- --- --- --- --- 9
안정성(비정치) 7일만에겔화 3개월이상없음 2주일만에 겔화 7일만에겔화 3개월이상없음 3개월이상없음 즉시겔화 2일만에겔화
도막의 100% 인장응력(㎏f/㎠) 13 14 20 15 12 23 --- 69
도막의 파단강도(㎏f/㎠) 67 57 68 43 40 69 --- 110
도막의 파단신도(%) 590 820 780 570 1000 740 --- 240
실시예 7
실시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도료로 작성한 도막에 대하여 밀착성, 비점착성 및 인장특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밀착성
도료를 기재위에 분무 코팅하고, 80 내지 100 ℃ 로 충분하게 건조시킨 후, 200 ℃ 에서 60 분간 소성한다.
도막표면에 JIS K 5400-1990 의 8.5.2 에 규정된 바둑판모양의 눈 100 개를 작성하고, 이 면에 점착테이프 (니치반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를 충분하게 밀착시킨 후 즉시 잡아떼어낸다. 새로운 점착테이프를 사용하여 박리시험을 총 10 회실시한 후 잔존하는 눈의 개수를 센다.
기재로는 알루미늄판 (A-1050), 폴리이미드필름, 실리콘 고무 시트, 및 불소고무 시트를 사용한다. 알루미늄판은 미리 블라스팅처리하고, 프라이머로서 실란화합물 (LORD Chemlok Y-4310 ; 10 중량% 수용액) 을 도포해 둔다. 실리콘 고무 시트에도 미리 프라이머로서 GLP-103SR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 주성분 실리콘계 수지) 을 도포해 둔다.
비점착성
밀착성시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성한 도막의 표면에 순수 또는 n-세탄을 한방울 적하하고, 고니오 미터기 (쿄와 카이멘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를 이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한다.
인장특성
인장특성은 실시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실시예 8
실시예 6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도료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막의 밀착성, 비점착성 및 인장특성을 측정한다.
비교예 3
비교예 2 의 도료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막의 밀착성, 비점착성 및 인장특성을 측정한다.
비교예 4
도료로서 용제계 폴리올 가황 불소고무 도료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조 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도료) 를 사용하여 밀착성 및 비점착성 측정을 위한 도막을 작성하기 위하여 도료를 바코터에 의해 기재에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막의 밀착성, 비점착성 및 인장특성을 측정한다.
실시예 9
Pig 페이스트 B 의 제조 :
충전재 (티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타록스 R-516L : 주성분 Fe2O3) 3 중량부 및 수산제 (교와 가가꾸 고교 (주) 제조 MA-150) 3 중량부를 계면활성제 (닛뽕유시 (주) 제조 HS-208 ; 20 % 수용액) 2 중량부와 함께 순수 43 중량부에 분산시켜 페이스트를 조제한다. 이것을 이하「Pig 페이스트 B」라고 한다.
도료조성물의 제조 :
불소고무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다이엘 G-501AN ; 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디스퍼션의 고형분 100 중량부 당 Pig 페이스트 B 51 중량부와 증점제 (아사히 덴카 고교 (주) 제조 아데카놀 UH-140S) 3.5 중량부를 첨가하고, 나아가 FEP 디스퍼션 (다이킨 고교 (주) 제조, 고형분농도 52 중량%) 192 중량부와 증점제 (닛뽕유시 (주) 제조 비이온 DS-60HN) 1 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분산시킨다. 이 수성분산액에 염기성 폴리올계 가황제인 알칼리 수용액 페놀 수지 (DKK-1) 2.2 중량부 및 가황 촉진제인 DBU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옥틸산염 (선아프로 (주) 제조 U-CAT SA102)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도료조성물을 제조한다.
얻어진 도료로 작성한 도막에 대하여 밀착성, 비점착성 및 인장특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밀착성 및 비점착성
도료를 기재위에 분무 코팅하고, 80 내지 100 ℃ 로 충분하게 건조시킨 후, 300 ℃ 에서 15 분간 소성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실시예 7 에 기재한 방법으로 밀착성 및 비점착성을 측정한다.
인장특성
도료를 알루미늄박 위에 분무 코팅하고, 80 내지 100 ℃ 에서 충분히 건조시킨 후, 300 ℃ 에서 15 분간 소성한다. 알루미늄박을 염산으로 녹이고, 얻어진 도막을 JIS 4 호 덤벨형상으로 펀칭하고, 인장속도 500 ㎜/min 으로 인장시험을 실시한다.
실시예 10
다이엘 G-501AN 디스퍼션 대신에 다이엘 G-701BP 디스퍼션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 의 수순을 반복하여 도료조성물을 제조하고, 도막의 밀착성, 비점착성 및 인장특성을 측정한다.
비교예 5
도료로서 FEP 첨가 수성 폴리아민 가황 불소고무 도료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도료, 불소고무 대 불소 수지의 고형분비 = 1 : 1) 를 사용한 실시예 9 의 수순을 반복하여 도료조성물을 제조하고, 도막의 밀착성, 비점착성 및 인장특성을 측정한다.
실시예 11
실시예 9 에서 제조한 도료를 기재위에 분무 코팅하고, 80 내지 100 ℃ 에서 충분하게 건조시킨 후, FEP 분체 도료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를 도장하고, 300 ℃ 에서 15 분간 소성한다. 얻어진 도막의 밀착성과 비점착성을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측정한다.
실시예 9 내지 11 및 비교예 3 내지 5 의 측정결과를 표 2 에 정리한다.
성질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9 실시예10 비교예5 실시예11
밀착성(바둑판눈시험)기재 : 알루미늄기재 : 폴리이미드기재 : 실리콘 고무기재 : 불소고무 100/100100/100100/100100/100 100/100100/100100/100100/100 100/100100/100100/100100/100 100/100100/100100/100100/100 100/100100/100100/100100/100 100/100100/100100/100100/100 100/100100/100100/100100/100 100/100100/100100/100100/100
비점착성 (접촉각)순수n-세탄 9540 9744 9339 9641 10555 10655 10451 10655
인장특성100%인장응력(㎏f/㎠)판단강도(㎏f/㎠)파단신도(%) 2068780 2369740 69110240 4090290 5585320 6085290 120140210 ---------

Claims (14)

  1. 불소고무 수성 디스퍼션, 페닐기 및 2 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과 염기성 화합물의 염인 염기성 폴리올계 가황제, 및 제 3 급 아민과 무기 또는 유기산의 제 4 급 염에서 선택되는 가황 촉진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성분들의 배합 비율은, 불소고무 100 중량부당 염기성 폴리올계 가황제 0.1 내지 10 중량부 및 가황 촉진제 0.01 내지 10 중량부인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도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염기성 폴리올계 가황제가 페닐기 및 2 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과, 암모늄, 포스포늄,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염기성 화합물과의 염인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도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염기성 폴리올계 가황제가 히드로퀴논,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F 및 레졸형 페놀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폴리올과, 암모늄, 포스포늄,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염기성 화합물과의 염인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도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고무가 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와 이와 공중합할 수 있는 1 종 이상의 다른 불소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의 탄성 공중합체인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도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를 추가로 함유하는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도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중합체인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도료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인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도료 조성물.
  9.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말단 변성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추가로 함유하는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도료 조성물.
  10.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피복층에 의해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피복된 물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이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는 비점착층에 의해 더 피복된 물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사무자동화 기기용 롤인 물품.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급 아민이 식 : NR3또는 R2N-R'-NR2(식중, R 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탄소수 1 내지 20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탄소수 6 내지 20 의 아릴기이고, 또한 2 개 이상의 R 이 공동으로 탄소환 또는 복소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R' 는 탄소수 2 내지 21 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8 내지 12 의 페닐렌디알킬렌기임) 로 표현되는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도료 조성물.
  14. 제 11 항에 있어서, 사무자동화 기기용 롤인 물품.
KR10-2000-7009252A 1998-02-27 1999-02-24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조성물 및 피복제품 KR100433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797198 1998-02-27
JP98-47971 1998-02-27
JP15113098A JP4168480B2 (ja) 1998-02-27 1998-06-01 フッ素ゴム水性塗料組成物および被覆物品
JP98-151130 1998-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4522A KR20010034522A (ko) 2001-04-25
KR100433563B1 true KR100433563B1 (ko) 2004-05-31

Family

ID=2638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9252A KR100433563B1 (ko) 1998-02-27 1999-02-24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조성물 및 피복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6764763B1 (ko)
EP (1) EP1065243B1 (ko)
JP (1) JP4168480B2 (ko)
KR (1) KR100433563B1 (ko)
CN (1) CN100379816C (ko)
DE (1) DE69919997T2 (ko)
TW (1) TW459025B (ko)
WO (1) WO1999043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557B1 (ko) 1999-03-10 2006-10-19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루오르 고무 가황용 수성조성물 및 플루오르 고무피복물품
KR100692163B1 (ko) * 1999-10-05 2007-03-12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조성물 및 불소고무 피복물품
JP2001316611A (ja) * 2000-05-11 2001-11-16 Daikin Ind Ltd フッ素ゴム塗料組成物
CN1276957C (zh) * 2001-09-27 2006-09-27 旭硝子株式会社 含氟树脂粉体涂料用组合物
EP1637560B1 (en) * 2003-06-05 2016-08-03 Daikin Industries, Ltd. Water-based fluororubber composition for vulcanization and coated article
US7142803B2 (en) * 2003-12-19 2006-11-28 Ricoh Printing Systems, Ltd.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50203798A1 (en) * 2004-03-15 2005-09-15 Jensen James M. Methods and systems for gathering market research data
ITMI20041251A1 (it) * 2004-06-22 2004-09-22 Solvay Solexis Spa Gel di perfluoroelastomeri
ITMI20041253A1 (it) * 2004-06-22 2004-09-22 Solvay Solexis Spa Gel di fluoroelastomeri
US20070207273A1 (en) * 2006-03-02 2007-09-06 Jeffrey Todd English Rapid drying of fluoropolymer dispersion coating compositions
JP5407233B2 (ja) * 2008-09-09 2014-02-05 Nok株式会社 フッ素ゴム金属積層板
RU2486216C2 (ru) * 2008-12-22 2013-06-27 Сэнт-Гобэн Перформанс Пластикс Корпрейшн Ткань с покрытием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CN101948647B (zh) * 2009-07-10 2015-04-29 3M创新有限公司 含氟聚合物水性涂料组合物和使用该组合物制备的涂覆制品
WO2013108779A1 (ja) * 2012-01-17 2013-07-25 ニチアス株式会社 ガスケット用素材
JP5521018B2 (ja) * 2012-10-31 2014-06-11 ヤマウチ株式会社 熱プレス用クッション材
CN103418538B (zh) * 2013-08-29 2014-12-24 张家港市友成高新材料有限公司 料筒的内表面加工工艺
CN104356563B (zh) * 2014-11-17 2016-05-25 中昊晨光化工研究院有限公司 耐高温高压及水蒸汽的氟橡胶混炼胶
KR102270374B1 (ko) 2016-10-24 2021-07-01 생-고뱅 퍼포먼스 플라스틱스 코포레이션 중합체 조성물, 재료 및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4021A (ja) * 1993-03-17 1994-09-20 Daikin Ind Ltd フッ素ゴム塗料組成物および基材表面の改質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9696B2 (ko) * 1973-04-21 1981-07-10
DE3030556A1 (de) 1979-08-14 1981-03-26 Daikin Kogyo Co., Ltd., Osaka Fluorelastomer-anstrich- und -ueberzugsmittel auf wasserbasis
JPS56147840A (en) 1980-04-16 1981-11-17 Daikin Ind Ltd Production of fluorine rubber-vulcanizing composition
JPS57135871A (en) 1981-02-13 1982-08-21 Daikin Ind Ltd Fluororubber-containing water paint and product coated therewith
DE3135878C2 (de) 1981-09-10 1993-10-2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Kühlung eines an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Luftansaugrohr angeordneten Kraftstoffeinspritzventiles
JPS5884216A (ja) 1981-11-14 1983-05-20 Daikin Ind Ltd 発熱ロ−ル
JPS6250133A (ja) 1986-08-15 1987-03-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ツ素ゴム水性塗料を塗布した塗装品
JPH0653831B2 (ja) * 1988-05-23 1994-07-20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含フッ素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730154B2 (ja) 1989-03-22 1998-03-25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フッ素ゴム配合物溶液
US5339157A (en) 1993-02-19 1994-08-16 At&T Bell Laboratories Rapidly tunable integrated optical filter
JP2850940B2 (ja) * 1994-02-08 1999-01-27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含フッ素共重合体組成物
JPH1025447A (ja) 1996-07-09 1998-01-27 Taihei Kasei Kk 含フッ素ポリマー塗料組成物
US6252006B1 (en) 1996-08-23 2001-06-26 Daikin Industries Ltd. Fluororubber coating composition
EP1000988B1 (en) 1997-08-06 2005-03-30 Daikin Industries, Ltd. Water-based fluororubber coating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4021A (ja) * 1993-03-17 1994-09-20 Daikin Ind Ltd フッ素ゴム塗料組成物および基材表面の改質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2017A (zh) 2001-04-18
JPH11310748A (ja) 1999-11-09
EP1065243B1 (en) 2004-09-08
EP1065243A4 (en) 2001-08-08
JP4168480B2 (ja) 2008-10-22
DE69919997D1 (de) 2004-10-14
DE69919997T2 (de) 2005-09-15
EP1065243A1 (en) 2001-01-03
WO1999043749A1 (fr) 1999-09-02
US20040214944A1 (en) 2004-10-28
KR20010034522A (ko) 2001-04-25
CN100379816C (zh) 2008-04-09
TW459025B (en) 2001-10-11
US6764763B1 (en) 2004-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563B1 (ko) 불소고무 가황용 수성조성물 및 피복제품
EP1167442B1 (en) Water-based vulcanizable fluororubber composition and article coated with fluororubber
JP3480960B2 (ja) フッ素ゴム塗料組成物および基材表面の改質方法
KR100500207B1 (ko) 불소고무 도료 조성물
KR20030011839A (ko) 불소 고무 도료 조성물
JP4802433B2 (ja) フッ素ゴム加硫用水性組成物およびフッ素ゴム被覆物品
JP4586216B2 (ja) フッ素ゴム被覆物品
EP1000988B1 (en) Water-based fluororubber coating composition
JP4569003B2 (ja) フッ素ゴム塗料組成物および被覆物品
JP2001288320A (ja) フッ素ゴム加硫用水性組成物およびフッ素ゴム被覆物品
EP1138718A1 (en) Aqueous composition for vulcanization of fluoro rubber and article coated with fluoro rubber
KR20040094744A (ko) 불소 고무 도료용 조성물
JP2000263715A (ja) フッ素樹脂被覆物品
JP7381938B2 (ja) 塗料組成物及び塗装物品
WO2002000782A1 (fr) Composition a base d'eau pour vulcanisation de caoutchouc fluore et article revetu de caoutchouc fluore
JPH06248147A (ja) フッ素ゴム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