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503B1 - 화장판 - Google Patents

화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503B1
KR100433503B1 KR1019960029436A KR19960029436A KR100433503B1 KR 100433503 B1 KR100433503 B1 KR 100433503B1 KR 1019960029436 A KR1019960029436 A KR 1019960029436A KR 19960029436 A KR19960029436 A KR 19960029436A KR 100433503 B1 KR100433503 B1 KR 100433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layer
sheet
wood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보루 와카바야시
세이이치 이시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20664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99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814802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300524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503B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발명은 목질계기초재로 구성되는 화장판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본발명의 목적은 습기의 흡수와 방출에 의한 뒤틀림이 없는 목질계기초재로 이루어지는 화장판을 제공하는 것이고, 또다른 목적은 목질계기초재에 함유된 포름알데히드방출로부터 뒤틀림이 없는 화장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발명은 목질계기초재의 표면에 화장시이트가 접착되어 있는 목질계기초재로 이루어지는 화장판에 있어서, 상기한 목질계기초재의 이면에는 방습시이트가 접착되고, 방습시이트는 박엽지와 방습수지로 이루어진 시이트를 함께 점착함으로써 또는 종이시이트와 금속이나 금속산화물이 증착된 수지시이트 또는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로 피복된 수지시이트를 함께 접착함으로써 형성되며, 포름알데히드포획제가 목질계기초재에 접착된 방습시이트에 첨가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발명의 화장판은 목질계기초재에 투습도가 1g/㎡·24hr 이하의 규소산화물의 증착박막층을 갖는 방습시이트가 접착된 구성이기 때문에 외측으로부터의 수분 습기의 투과가 방지되고 고습도환경아래나 표리면의 습도가 대폭 달라도 목질계기초재의 함수율의 변화가 없고 항상 최량의 상태에서 평면도를 유지할수 있고 뒤틀림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판
본발명은 목질계기초재로 구성되는 화장판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외기의 습도에 의해 발생되는 뒤틀림이나 포름알데히드의 냄새가 없는 화장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장판은 일반적으로 합판, MDF(중밀도섬유판), 하드보드(hardboard),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와 같은 소위 목질계기초재의 판 표면에 지(paper), 열가소성수지 시이트, 열경화성수지함침지등의 화장 시이트를 적층, 고착하여 화장피복층을 형성하여 되는 화장판이 많이 이용되고, 도포용 건축판, 가구류의 표면장식판등 각종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장시이트 부착시에 접착제의 건조속도가 다르거나 보관 또는 장기간의 사용시, 표면부와 이면부의 습도조건이 다른 것에 의해, 종종 목질계기초재에 뒤틀림이 발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만약 목질계기초재의 실제 수분함유량이 같은 외기 조건하에서, 그것의 평형 수분함유량보다 작다면, 화장시이트로 도포되지 않는 면을 통과하는 습기 또는 수분은 반대쪽의 팽창을 야기시킨다 ; 만약, 같은 외기 조건하에서 목질계기초재의 실제 수분함유량이 그 평형수분함유량보다 크면 습기가 방출되어 반대편의 수축을 일으킨다. 반대로, 습기는 표면을 통해서 흡수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통상 그곳은 장식도포층으로 도포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표면과 이면간의 팽창/수축 인자의 차이는 도면 1A및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뒤틀림을 야기시켜서, 화장판을 판매할 수 없게 하고 접합을 어렵게 만든다. 이 도면에서 도면부호(2)와 (3)은 각각 화장시이트와 목질계기초재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이러한 화장판은 플러시 도어(flush door), 드로잉 도어(draw door), 또는 룸 칸막이로 사용되는데, 제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상에 부풀음 또는 뒤틀림이 발생됨에 따라서 화장판의 표면이 박리된다.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즉 표면의 화장판의 이면을 통해서 수분이 방출 또는 흡수됨에 의해서 발생되는 목질계기초재에서의 수분함유량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화장시이트로 도포된다. 종래 화장판의 이면은 페인트되거나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지 및 합성수지의 2층시이트와 같은 합성수지의 막으로 도포된다.
그러나, 페인팅된 이면을 갖는 화장판은 합판 또는 MDF 및 페인팅된 표면에 페인트의 흡수로 인해 균일한 방습 또는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 되기 때문에 균열이 생긴다. 더욱이, 염화폴리비닐,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의 막으로 도포된 이면을 갖는 화장판은 막 자체가 고가이고, 결합시에 난연성, 무취, 에멀션형 접착제보다 고가인 유기계 접착제가 필요하기 때문에 불완전하다. 더 나아가, 종이 및 합성수지의 2층 시이트지로 코팅된 이면을 갖는 화장판은 구부러지는 경향이 있는 그러한 시이트를 목질계기초재에 결합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불완전하다.
습도와 다른 외기인자를 차폐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방법으로서 백킹(backing)하거나 알루미늄 포일 또는 표면에 알루미늄의 증기증착박막층을 갖는 합성수지 시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에멀션형 접착제와 목질계기초재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부식되어 접착력을 약화시킨다. 더욱이, 그러한 시이트를 함유한 폐보드(waste board)는 태울때 금속조각이나 입자를 남기기 때문에 태워 없애는 것에 의해서 제거할 수 없다. 더나아가, 그러한 시이트는 화장판이 도어, 슬라이딩 도어등의 심부재에 결합할 때, 급속건조 고주파 밀봉을 견디지 못한다.
한편, 합판, 중밀도섬유판, 파티클보드 또는 기타 등의 목질계기초재는 접착제와 상기 기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고, 접착제, 멜라민 또는 레솔시놀수지계 접착제등이 저가로 좋은 접착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접착제는 개시부터 유리포름알데히드를 함유할 뿐만 아니라, 수지가 분해할때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한다. 포름알데히드가 포르말린 냄새이라고 부르는 자극적인 향을 갖는 유독성 물질이기 때문에, 목질계기초재는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함으로써 위생상 환경에 유해하다.
포름알데히드의 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많은 수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50-28485호 공보에는 화장판을 요소가 포름알데히드포획제로서 첨가된 요소수지계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에 의한 합판의 제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목질계기초재에서 습기의 흡수와 방출에 의한 뒤틀림 및 포름알데히드의 방출을 동시에 막는 수법은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물론 포름알데히드포획제를 함유하는 목질계기초재에 상술한 바와 같은 방습시이트를 접착함으로써, 목질계기초재에서 습기의 흡수와 방출에 의한 뒤틀림 및 포름알데히드의 방출을 동시에 막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목질계기초재로부터 포름알데히드의 방출을 막는 종래기술중 어떠한 것도 목질계기초재 그자체로 포름알데히드포획제의 침투를 포함하고 있고, 이것은 목질계기초재의 제조에서 특별한 추가 공정을 요한다. 더구나, 포획제의 침투후 포획제에 대한 용매를 제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목질계기초재의 제조시에 더욱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어떤 경우에 포름알데히드는 종래의 어떠한 수법에 의해서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방습시이트가 포획제를 함유하는 목질계기초재에 접착한다 해도 이들 불편한 점은 피할 수 없다.
본발명의 목적은 습기의 흡수와 방출에 의한 뒤틀림이 없는 목질계기초재로 이루어지는 화장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목질계기초재에 함유된 포름알데히드방출로부터 뒤틀림이 없는 화장판을 제공하는 것이고, 그 목적을 위해 목질계기초재에 붙일 수 있는 유효한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에 따라 목질계기초재의 표면에 화장시이트가 접착되어 있는 목질계기초재로 이루어지는 화장판에 있어서, 상기한 목질계기초재의 이면에는 방습시이트가 접착된다. 방습시이트는 박엽지와 방습수지로 이루어진 시이트를 함께 점착함으로써 또는 종이시이트와 금속이나 금속산화물이 증착된 수지시이트 또는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로 피복된 수지시이트를 함께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에 따라 포름알데히드포획제가 목질계기초재에 접착된 방습시이트에 첨가된다. 이 방습시이트는 습기의 침투를 막을 뿐만 아니라 포름알데히드를 포착한다.
방습시이트는 지층 및 방습수지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포름알데히드포획제는 지층 또는 방습수지층에 함유될 수 있다. 방습시이트는 지층과 고정피복층으로 함께 결합된 방습수지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포름알데히드포획제는 고정피복층에 함유된다.
방습시이트는 지층, 및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이 증착되어 있는 수지층 또는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로 덮여져 있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포름알데히드포획제는 지층에 함유된다. 수지층 그 자체가 방습이 안된다 하더라도, 그위에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증착하는 것에 의해 또는 그것을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로 피복하는 것에 의해 방습이 된다.
더욱더, 본발명에 따라 목질계기초재를 사용하는 화장판에 있어서, 방습시이트는 포름알데히드포획제를 함유하는 접착제로 목질계기초재에 접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의 화장판의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부호(101)은 화장판, 도면부호(102)는 화장시이트, 도면부호(103)은 목질계기초재, 도면부호(104)는 종이질시이트(chartaceous sheet), 도면부호(141) 및 (143)은 박엽지시이트, 도면부호(142)는 열가소성합성수지층, 및 도면부호(105)는 접착제층을 각각 나타낸다.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판(101)은 2개의 박엽지시이트(141)(143)을 그들 사이에 개재한 압출(extrusion)피복층과 함께 접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종이질시이트(104), 접착제층(105), 및 화장시이트(102)로 이루어지고, 이들 층은 밑에서부터 이 순서대로 접착된다. 본실시예의 화장판은 방습층으로서 2개의 박엽지시이트(141)(143)을 그들 사이에 개재한 압출피복층과 함께 접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종이질시이트(104)가 제공되고, 이 종이질시이트는 화장판(101)의 이면에 접착제층(105)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목질계 화장판에서 방습층으로서 작용하는 종이질시이트(104)에 있어서 박엽지시이트(141)(143)으로서, 예를 들면 건축재용 인쇄용지, 순백지, 또는 합성수지를 혼합시켜 25∼40g/㎡의 층간강도를 강화시킨 박엽지(소위 강화된 인쇄지)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25∼35g/㎡가 바람직하다. 서로 접착된 2개의 박엽지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다.
종이질시이트(104)를 이루고 있는 2개의 박엽지시이트(141)(143)을 함께 접착하기 위한 열가소성합성수지층(142)로서, 목질계기초재가 뒤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충분한 방수성을 갖는 한, 원칙적으로 친수성수지외에 어떤 합성수지라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등의 폴리올레핀,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합성수지층(142)는 두께가 1∼50㎛이다.
종이질시이트(104)를 얻기 위하여, 박엽지시이트(141)(143) 및 열가소성합성수지필름(142)가 접착제로 또는, 접착제없이 열로 접착된다. 아니면, 성형적층법에 따라 열가소성합성수지층(142)를 용융압출시켜 2개의 박엽지시이트(141)(143)에 선단접착한다. 열가소성합성수지(142)가 사용되는 형태에 따라 적절한 접착법이 선택된다. 종이질시이트(104)가 3층 즉, 박엽지시이트(141), 열가소성합성수지층(142), 및 박엽지시이트(143)로 이루어짐에 있어서, 본발명 실시예에서처럼 성형적층법은그것에 따라 3층이 동시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요구되는 처리회수를 최소화한다. 더욱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등의 폴리올레핀수지,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가 본발명실시예에서와 같이 열가소성합성수지층으로 사용됨에 있어서, 열가소성합성수지층은 성형적층법에 따라 최상의 선단접착을 한다.
목질계기초재(103)로서 합판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습기의 침투로 중대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재가 거기에 비슷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그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합판외 그러한 재는 어떠한 것이라도 목질계기초재(103), 예를 들면 목피, 집성목재, 파티클보드, MDF, 하드보드, 및 어떤 형태의 섬유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종이질시이트(104)를 목질계기초재(103)에 접착하기 위하여, 폴리비닐아세테이트수지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계, 요소수지계 등의 통상의 에멀션형접착제, 또는 우레탄수지계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이유는 그것의 난연성, 무취 및 적당한 가격 때문이다.
3층구조의 결과로서, 목질계기초재(103)의 이면을 통한 습기의 흡수 및 방출이 열가소성합성수지층(142)에 의해 방지되고, 또한 열가소성합성수지층(142)의 양측에 있는 박엽지시이트(141)(143)는 목질계기초재(103)의 이면에 접착제로 접착하기에 적합한 안정한 접착강도를 부여하여, 통상의 적층설비에서 접착을 쉽게 해준다. 더욱더 화장판이 설치되는 표면에 접착제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접착강도가 얻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라 방습층으로 작용하는 종이질시이트의 양측은 박엽지로 이루어진다. 결과로서 목질계기초재 또는 접합표면에 종이질시이트의 접착은 적당한 가격, 안전한 에멀션형접착제의 사용으로 쉽게 행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화장판의 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실시예 1
30g/㎡ 강화지의 시이트는 T다이 압출성형기로 압출된 두께 20㎛의 폴리에틸렌필름으로 압출도포됨과 동시에, 30g/㎡ 강화지의 다른 시이트가 필름에 접착된다. 그 시이트는 그다음에 칠롤(chill roll)로 냉각된다. 이렇게 하여, 2개의 박엽지층으로 이루어진 종이질시이트가 얻어진다. 다음에, 장식용 합판을 얻기 위하여 두께 80㎛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의 화장시이트가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접착제 80g/c㎡로 두께 2.0mm의 합판에 접착된다. 다음에, 방습층이 있는 장식용 합판을 얻기 위하여 상기한 종이질시이트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션형접착제로 이 장식용 합판의 이면에 접착된다. 이 방습층이 있는 장식용 합판을 온도 25℃ 및 습도 70%의 환경에서 1주일간 방치했지만, 어떠한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비교예 1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화장시이트로 도포되어 있지만, 그 이면에는 종이질시이트로 도포되어 있지 않은 또다른 장식용 합판을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온도 25℃ 및 습도 70%의 똑같은 환경에서 1주일간 방치하고, 30mm이상의 높이에서 볼록한 뒤틀림이 나타나는 것을 알아냈다. 따라서 이 장식용 합판은 실제 쓸모가 없다.
본발명 실시예의 화장판에 있어서, 2개의 박엽지시이트가 그들 사이에 위치한 압출도포층과 함께 접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종이질시이트는 장식용 합판의 이면에 방습층으로서 접착되어 있다. 결과로서, 열가소성합성 수지층은 장식용 합판의 이면을 통한 습기의 침투를 방지하여, 뒤틀림의 전개를 제거한다.
더욱이, 화장판의 이면에 접착된 방습층이 2개의 박엽지시이트가 열가소성합성수지의 심층의 양측에 접착되어 있는 3층구조를 갖기 때문에, 심층의 열가소성합성수지는 습기를 막을 뿐만 아니라, 양측의 박엽지시이트는 난연성, 무취 및 적당한 가격의 에멀션형접착제로 화장판의 이면 및 접합표면에 접착하기에 적합한 안전한 접착강도에 도움을 준다. 더욱더, 본발명의 화장판은 플러시 도어, 드로잉 도어, 또는 룸 칸막이 등에 쉽게 접착되어 생산품에 확실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제3도는 제2실시예의 화장판의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2실시예의 화장판에서 사용되는 방습시이트의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제5도는 제2실시예의 화장판에서 사용되는 화장판의 적층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제6도는 제2실시예의 화장판으로 제조된 문의 일부절단측면도이고, 제7도는 제2실시예의 화장판의 환경시험을 위한 셋팅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면부호(201)은 화장판, 도면부호(202)는 목질계기초재, 도면부호(203)은 접착제층, 도면부호(204)(204')는 방습시이트, 도면부호(205)는 화장시이트, 도면부호(206)은 투명증착필름, 도면부호(261)은 합성수지필름층, 도면부호(262)는 실리콘산화물의 증착박막필름, 도면부호(207)은 지층, 도면부호(208)은 디자인인쇄층, 도면부호(209)는 심재, 및 도면부호(210)은 문을 각각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제3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화장판(201)은 목질계기초재(202), 접착제층(203)으로 기재(202)의 표면에 접착된 화장시이트(205), 및 접착제층(203)으로 기재(202)의 이면에 접착된 방습시이트(204)로 이루어진다. 본발명 실시예의 화장판(201)은 규소산화물이 증착되고, 습기 및 물에 뛰어난 비투과성을 갖는 박막층(262)으로 이루어진 방습시이트가 목질계기초재(202)에 접착제층으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 실시예의 목질계 화장판에 있어서 방습층으로 작용하는 방습시이트(204)는 표면에 규소산화물의 증착박막층(262)를 갖는 합성수지필름(261)인 투명증착필름(206) 및 지층(207)로 이루어진다. 방습시이트(204)의 층들은 기본적으로 어떠한 순서로도 접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규소산화물의 증착박막층(262), 합성수지필름층(261), 및 지층(207)을 목질계기초재(202)로부터 이 순서대로 접착할 수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필름층(261), 규소의 증착박막층(262), 및 지층(207)이 이 순서로 접착됨에 있어서, 규소산화물의 방습증착박막층을 해치지 않고 접착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3도에 나타낸 구조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방습시이트(204)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제4도에 나타난 방습시이트(204')의 구조에서, 지층(207)은 표면에 규소산화물의 증착박막층(262)를 갖는 합성수지필름(261)인 투명증착필름(206)의 양측에 접착된다. 양측에 지층(207)을 제공함으로써, 규소산화물의 증착박막층(262)이 보호되고, 방습시이트가 에멀션형접착제로 화장판의 이면 또는 화장판이 접합되는 표면에 접착될 때 충분한 접착강도가 쉽게 얻어진다. 끝으로, 방습시이트(204)(204')로서 투습도 1g/㎡ · 24hr이하인 규소산화물(262)의 증착박막층에 접착된 지층(207)을 갖는 시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층들은 어떠한 순서로도 안전하게 접착될 수 있다.
방습시이트(204)의 방습층으로서 작용하는 투명증착필름(206)의 베이스로서 사용되는 합성수지필름(261)으로서는 셀로판,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나일론등의 합성수지필름이 사용된다. 특히 규소산화물의 증착박막층(262)의 증착공정, 지층(207)과의 접착등에 권취공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유연하고 또한 치수안정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하고 내열성이 높은 것일수록 양호하다. 특히 2축연신폴리에스테르필름이 가장 바람직하다. 베이스필름의 두께로서는 5∼300㎛가 사용되지만 통상은 5∼10㎛의 범위가 적당하다. 5㎛이하의 경우에는 필름이 지나치게 유연해서 접착가공시의 장력에 의해 신장이나 주름이 생기기 쉽고 그 때문에 증착층의 균열이나 박리가 생기기 쉽고 부적당하다.
투습성, 투수성에 대한 고도의 배리어성을 갖는 피막으로서 규소산화물의 증착박막층(262)이 합성수지필름(261)의 상면에 형성된 투명증착필름(206)이 아주 적당히 사용되고 규소산화물의 증착박막층의 증착막의 두께는 100∼300nm의 사이가 사용되지만 300nm이상의 두께로서는 이와 같은 유연한 필름의 경우 균열 박리가 생기기 쉽고 그 경우 방습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에 300nm이하가 바람직하다.
방습시이트(204) 및 화장시이트(205)에 사용되는 지층(207)으로서는 평량 20∼50g/㎡의 건재용인쇄용지, 순백지, 혹은 합성수지를 혼합시켜서 층간강도를 강화시킨 박엽지(소위 강화인쇄지)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20g/㎡이하의 경우에는 지나치게 유연하고 접착가공시 주름이 생기기 쉽고 50g/㎡이상의 경우 지층으로부터의 박리 및 습기가 침투하기 쉽게 되는 불합리한 점이 생긴다.
화장시이트(205)로서는 제5도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합성수지필름(261)의 표면에 규소산화물의 증착박막층(262)이 형성된 투명증착필름(206)의 규소산화물의 증착박막층(262)의 면에 접착제(203)를 거쳐서 회화인쇄층(208)이 형성된 지층(207)과 투명증착필름(206)의 합성수지필름(261)면에 마찬가지로 지층(207)을 적층한 것이 투습도도 1g/㎡·24hr 이하로서 양호하고 이면이 목질계기초재와의 접착이 우수한 지층으로 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다.
목질계기초재(202)의 대표적인 것은 합판이지만 물의 침투나 흡습 방습 및 수분이 침투해서 곤란한 것이면 같은 모양의 구조로 하므로서 문제가 해소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목질계기초재(202)로서는 그와 같은 것을 일체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합판이외에 예를 들면 목피, 집성목재, 파티클보드, MDF, 하드보드, 기타 각종 섬유판등을 들 수 있다.
방습시이트 (204) 및 화장시이트(205)와 목질계기초재(202) 및 심재(209)와의 첨부에는 일반적인 접착제, 예를들면 아세트산폴리비닐계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수지, 요소계수지, 우레탄수지계등의 에멀션형접착제가 화기에 대해 안전하고 냄새도 없고 가격적으로도 값싸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본실시예에서는 목질계기초재(202)의 표리면에 대해서의 설명밖에 행하지않았으나 목질계기초재의 측면이나 문등의 단면으로부터 수분의 침투, 흡습 방습도 방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한 방습시이트를 접착제로서 접착시키도록 해도되고 방습효과도 한층 향상되게 된다.
제2실시예의 장식판의 일례를 다음에 설명한다.
실시예 2
두께 12㎛의 규소증착필름(미쓰비시가세이 제 테크바리어)의 규소증착면에 평량 30g/㎡ 의 박엽지를 우레탄계접착제를 사용해서 건식적층하고 다시 또 규소증착필름의 폴리에스테르필름면에 염화비닐 및 아세트산비닐계의 접착제를 거쳐서 같은 모양으로 평량 30g/㎡ 의 박엽지를 접착시켜 투습도 1g/㎡·24hr 이하의 방습시이트를 제조했다.
다음에 상기한 방습시이트를 아세트산비닐계 에멀션형접착제를 사용해서 두께 3mm의 MDF판에 첨부하고 다시또 두께 12㎛의 규소증착필름(미쓰비시가세이 제 테크바리어)의 규소산화물증착면에 평량 30g/㎡ 의 박엽지를 우레탄계접착제를 사용해서 건식적층하고 규소산화물증착필름의 폴리에스테르필름면에 같은 모양으로 평량 30g/㎡ 의 박엽지에 회화인쇄층을 형성한 인쇄시이트를 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계의 접착제로 적층한 방습화장시이트를 상기한 방습시이트를 접착시킨 MDF판의 표면에 아세트산비닐계의 에멀션접착제로 접착한 목질계화장판을 2매 제조했다.
이어서 플래시문용 심재의 양측에 상기한 목질계화장판을 아세트산비닐계 에멀션접착제로 접착시키고 폭 825mm, 길이 2000mm, 두께 30mm의 문을 제작했다. 양목재 단말면에는 가장자리재를 접착시켰다. 이 문을 제7도와 같이 2방의 경계부에배치하여 환경시험을 행하여 플래시문의 뒤틀림정도를 측정했다.
조건 : 고온다습측 25℃, 80RH%
: 저온저습측 10℃, 30RH%
방치시간 : 72시간
비교예 2
상기한 실시예 2의 방습시이트대신에 투습도 15g/㎡·24hr 의 지층과 지층의 사이에 폴리에틸렌수지를 끼운 복합시이트를 접착시킨 것이외는 실시예2와 같이해서 화장판을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2의 이면측 방습시이트를 제외한 것이외는 실시예2와 같이 해서 화장판을 얻었다.
비교예 2, 3에 있어서도 실시예2와 같이 환경시험을 행하여 뒤틀림정도를 측정했다. 높이의 중앙점에서 뒤틀림의 높이를 측정하여 표1의 결과를 얻었다.
표 1
본발명의 화장판은 목질계기초재에 투습도가 1g/㎡·24hr 이하의 규소산화물의 증착박막층을 갖는 방습시이트가 접착된 구성이기 때문에 외측으로부터의 수분 습기의 투과가 방지되고 고습도환경아래나 표리면의 습도가 대폭 달라도 목질계기초재의 함수율의 변화가 없고 항상 최량의 상태에서 평면도를 유지할수 있고 뒤틀림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다.
특히 표면의 화장시이트도 같은 구성으로 하므로서 본발명의 화장판을 사용해서 제작된 문이나 미닫이는 표리의 환경조건이 대폭으로 다른 용도에 사용되어도 극히 뒤틀림이 적고 유익하게 사용된다.
또 화장판의 양면에 접착되는 방습층을 합성수지필름면에 규소산화물의 중착박막층을 형성한 투명증착필름을 심층으로 하고 양면에 지층을 적층 일체화해서된 3층구조로 하므로서 심층의 투명증착필름에 의한 방습효과에 추가해서 표리면에 있어서의 지층이 목질계기초재 및 플래시문등 심재면에 대해 화기에 대해 안전하고 냄새가 없는 가격적으로도 값싼 에멀션형접착제를 사용해서 양호한 접착강도를 발휘한다.
다음에 제8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해서 본발명의 포름알데히드 포획제를 포함하는 화장판을 설명한다. 제8도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의 화장판(31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발명의 화장판(310)은 목질계기초재(301)의 각각 표리면에 화장시이트(302)과 포름알데히드포획제함유 방습시이트(303a)를 접착하므로서 형성되었다. 상부시이트와 하부시이트는 접착제로 접착되어 각각 접착제층(304), (305)을 형성하고 있다.
목질계기초재(301)는 목질재를 접착제로 결합시킬수 있는 것이면 되고, 합판이나 중밀도섬유판, 파티클보드등이 사용된다. 재료의 접착은 포름알데히드를 하나의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요소수지, 멜라민수지, 페놀수지계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이들 형의 접착제는 유리포름알데히드의 잔류물을 함유하거나 또는 수지분해제로서 유리포름알데히드를 생성하고 만족할 만한 접착성능과 사용이 용이하고 값이 저렴하고 기타의 이점이 있다.
화장시이트(302)의 재료나 구조에는 제한이 없고 따라서 특정한 용도의 요구에 따라 단층이나 복수층으로 어떠한 재료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와 같은 열가소성수지필름상에 그 표면에 페인트로 회화를 인쇄한 것이 사용되고 이것은 페인트와의 접착성, 강도, 성형의 용이성 및 방습효과가 탁월하다.
방습시이트(303a)는 포름알데히드 포획제를 함유하는 방습수지층(331a)의 양측에 박엽지(332), (333)가 접착된 3층구조로 되어있다. 포름알데히드 포획제는 그러한 물질의 분말형태나 활성탄이나 수용성 활석이나 점토의 분말로 형성되고 수지를 성형하기 위해 용융시킬 때 수지에 첨가된다. 대표적인 분말포획제는 요소와 그 유도체 멜라민, 티오세미카르바자이드, 대두분말, 기타가 있고, 대표적인 수용성포획제는 상기한 요소, 암모늄염, 및 기타이다. 수용성이고 강한 포름알데히드 포획성능을 갖는 각종 아민도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그러한 물질은 그들 자체가 특이한 아민냄새를 갖기 때문에 그들을 사용할 때에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화장판이 부적합한 상태에서 사용될 것을 고려하여 방습수지는 투습도가 1g/㎡·24hr 이하인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높은 소수성을 갖는 폴리에틸렌으로대표되는 폴리올레핀수지가 이 목적에 가장 적합하다. 그러나 사용 환경에 따라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수지나 나일론으로 대표되는 폴리아미드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적합한 수지는 제조와 성형의 용이성 및 분말포획제 또는 포획제침지분말과의 혼합성능을 기준으로 선택된다. 여기서는 폴리에틸렌수지가 사용된다. 포획제는 용융수지에 첨가되고 그 수지는 성형적층법에 따라 박엽지(332), (333)에 적층하기 위해 성형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포름알데히드포획제함유 방습시이트(303a)는 예를 들면 비닐아세테이트계 접착제로 표면에 화장시이트(302)가 접착된 목질계기초재(301)의 이면에 접착된다. 이렇게 해서 화장판(310)이 얻어진다.
화장판(310)은 양측이 방습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표면이나 이면을 통한 습기의 침입을 방지하고 따라서 목질계기초재(301)를 환경의 습도에 관계없이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목질계기초재(301)는 그 내부에 습도분포를 유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흡습과 방습에 의한 목질계기초재의 팽창이나 수축이 방지되고 화장판은 뒤틀림이 생기지 않는다.
약간의 습기가 가장자리표면을 통과하지만 방수로 진행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표면은 표면측과 이면측의 면적보다 대단히 적기 때문에 극소량의 습기가 저속으로 거기를 통과한다. 그러므로 환경의 습도가 대단히 높거나 낮지 않는 한 목질계기초재(301)는 팽창하거나 수축하지 않는다. 비록 상당한 양의 습기를 흡수하거나 방출해도 목질계기초재는 그자체로 균일한 습기분포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화장판(310)은 뒤틀리지 않는다.
또한 비록 목질계기초재(301)를 접착시키는 접착제가 처음부터 또는 분해에 의해 생성된 유리 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하고 있으면 포름알데히드는 접착제층(305)과 박엽지층(332)를 통하여 침투해서 이층에 포함된 포획제에 의해 포름알데히드가 포획되는 방습수지층(331a)에 도달한다. 또한 화장판의 가장자리표면은 포름알데히드 포획제에 의해 처리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는 양의 포름알데히드를 주위의 가장자리표면을 통하여 방출시키면서 대부분의 포름알데히드는 넓은범위에 분포된 포획제에 의해 포획된다.
접착제의 분해에 의해 발생되는 유리포름알데히드의 속도는 대단히 낮기 때문에 최초의 유리포름알데히드가 가장자리표면을 통해 방출된 극소량에 의해 포획된 후에 새로이 유리된 유리포름알데히드는 가장자리표면을 통해 주위로 방출되기 전에 포획제에 의해 포획된다.그러므로 제조로부터 특정기간이 지난 후에는 화장판(310)은 더이상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하지 않는다.
화장판(310)의 팽창과 수축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또한 포름알데히드의 방출을 차단하기 위해 화장판(310)의 가장자리표면에 방수처리와 포름알데히드포획제 처리가 행해진다. 화장판(310)의 표면측이 주위가 내부와 같은 곳에 위치해 있고 목질계기초재의 내부와 주위와의 사이에서 습도의 균형이 유지되어 있으면 방습을 위해 사용된 화장시이트(302)은 더이상 방습을 하지않는다.
제9도는 본발명의 제4실시예의 화장판(320)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이후 동일부호로 설명한 부품과 이미 설명한 부분은 이를 생략한다. 본실시예의 화장판(320)은 포름알데히드포획제 함유방습시이트 구조의 화장판(310)과 다르다. 화장판(320)의 방습시이트(303b)는 포획제를 함유하지 않는 방습수지층(331)을 갖고 포획제는 목질계기초재(301)에 대향하는 박엽지(332a)에 함유되어 있다. 다른 형태에서는 본실시예는 화장판(310)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포름알데히드 포획제함유박엽지(332a)의 제조에는 3가지방법이 있다. 첫째 방법에 따르면 박엽지를 제조할 때 수용성포획제를 첨가하고 펄프와 함께 혼합한다. 두번째 방법에 따르면 물에서 포획제용액에 박엽지를 침지시키고 그후 건조시킨다. 세번째 방법에 따르면 미세한 분말상태에 있는 포획제를 박엽지의 표면에 문질러 바른다. 3가지 방법중에서 셋째방법은 박엽지(332a)와 방습수지층 또는 목질계기초재(301)와의 사이의 접착강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첫째방법 및 둘째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판(320)에 있어서, 습기의 흡입과 방출에 의한 목질계기초재(301)의 뒤틀림과 포름알데히드의 방출이 방지된다.
제10도는 본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화장판(330)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실시예의 화장판(330)은 방습시이트(303c)가 포획제를 함유하지않는 방습수지(331)에 또 포름알데히드포획제를 함유하는 고정피복층(334a)과 박엽지(332)에 접착되므로서 형성되는 것이 화장판(310)과 다르다.
고정피복층은 종이와 수지간의 접착을 강화시키고 수지표면과 종이의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습도강화된 이소시아네이트수지가 고정피복층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여기에는 아민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실시예에서는 방습수지층(331)에 대향하는 박엽지(333)의 표면상에 유사하게 다른 고정피복층을 형성할수 있다.
고정피복층(334a)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분말포획제를 수지용액에 현탁시키거나 또는 요소유도체와 같은 유기용매에 용해가능한 포획제를 수지용액에 용해시키고 그후 그용액을 박엽지(332)에 적용시킨다. 이렇게 해서 포획제함유 고정피복층(334a)이 얻어진다.
포름알데히드함유 목질계기초재(301)는 접착제층(305)과 박엽지(332)를 통해 침투하고 포름알데히드가 이층에 포함된 포획제에 의해 포획되는 고정피복층(334a)에 도달한다. 이러한 구성의 화장판(330)은 또한 뒤틀림을 방지하고 포름알데히드의 방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제11도는 본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화장판(340)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화장판(340)의 방습시이트(303d)는 포름알데히드포획제를 함유하는 박엽지(332a)와 방습수지층(335) 및 박엽지(333)로 구성되어 있다. 화장판(310), (320), 및 (330)의 방습수지층(331a), (331)에 대해 방습수지층(335)은 그자체로 충분히 방습이 되지 않고, 수지(336)의 표면에 방습증착규소산화물층을 형성하므로서 방습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336)로서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수지만이 아니고 셀룰로오스계수지와 같은 친수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2축연신폴리에스테르필름이 사용되었다.
수지(336)는 증착규소산화물층(337)에서 층분리나 균열을 일으키지 않고 적절한 유연성을 갖도록 그 두께가 5∼3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규소산화물층(337)은 균열이나 분리가 발생하지 않고 적절히 방습이 되도록 그 두께가 10∼3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습수지층(335)은 화장판(340)의 이면측을 통해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목질계기초재(301)의 포름알데히드는 접착제층(305)을 통하여 침투하고 박엽지(332a)에 함유된 포획제에 의해 포획된다. 따라서 화장판(340)은 목질계기초재(301)에 의한 습기의 흡입과 방출에 기인하는 뒤틀림과 포름알데히드의 방출을 방지한다.
규소산화물대신에 알루미늄산화물이나 마그네슘산화물과 같은 금속산화물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증착시키므로서 증착층을 수지층(336)에 형성할 수도있다. 수지(336)의 표면은 증착층(337)을 형성하는 대신에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를 피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철과 같은 메탈포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모든 구성은 수증기의 침입을 방지하고 목질계기초재(301)에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
제12도는 본발명의 제7의 실시예의 화장판(35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화장판(350)은 포름알데히드 포획제와 일체로 되어있는 방습시이트대신에 포획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방습시이트(303)와 목질계기초재(301)가 포획제를 함유하고 있는 접착제층(305a)에 일체로 접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방습시이트(303)는 예를 들면 포획제를 추가하는 것외에는 상기한 방습시이트(303a), (303b) 및 (303c)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또는 포획제를 추가하는 것외는 증착규소산화물층을 갖는 방습시이트(303d)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방습시이트(303)는 그것이 방습이 되는 한 어떠한 구조로도 제조할 수 있다.
접착제층(305a)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유기용매에 용해가능한 포획제는 용해되고, 분말포획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접착재료의 용액에 현탁시키고 목질계기초재(301)와 방습시이트(303)는 그용액과 일체로 접착되고 그후 건조시킨다.
화장판(35)은 뒤틀림을 방지하고 포름알데히드의 방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에 추가해서 만일 목질계기초재(301)와 화장시이트(302)와의 사이의 접착제층이 포획제와 일체가 되면 향상된 포름알데히드의 포획효과에 의해 더욱 안전하고 보다 냄새가 없는 화장판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포름알데히드포획제를 접착제에 함유시키는 방법은 방습시이트내에서 지층과 수지층을 함께 접착시키는데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방습시이트를 구성하는 층의 하나 또는 그이상의 층에 포획제가 함유되어 있는 것은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고 방습시이트내에서 각층을 접착하는 접착제에 포획제가 함유되고 포획제는 방습시이트를 목질계기초재에 접착시키는 접착제에 함유되어 있다. 이 방법의 조합된 사용은 방습시이트와 화장판이 포름알데히드를 포획하는 능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본실시예에서의 박엽지로 제조된 지층 및 방습시이트를 구성하는 지층은 지층을 형성하는 것이면 어떤 다른 형의 종이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포름알데히드 포획제함유시이트는 한장씩 제조할 수 있고 또는 연속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본발명의 상기한 기술에 기초하여 많은 변형과 변경이 가능한 것은 명백하다.
제1A도 및 제1B도는 종래 화장판의 사시도.
제2도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의 화장판의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의 화장판의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제2실시예의 화장판에서 사용된 방습시이트의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도는 제2실시예의 화장판에서 사용된 화장시이트의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제2실시예의 화장판으로 제조된 문의 부분측면도.
제7도는 제2실시예의 화장판의 환경시험을 위한 셋팅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8도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의 화장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9도는 본발명의 제4실시예의 화장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10도는 본발명의 제5실시예의 화장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11도는 본발명의 제6실시예의 화장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12도는 본발명의 제7실시예의 화장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Claims (22)

  1. 목질계기초재는 장식시이트가 표면에 접착되어 있고, 종이질시이트가 목질계기초재의 이면에 접착되어 있고, 종이질시이트가 열가소성합성수지의 성형피복층이 그들 사이에 개재된 2개의 박엽지시이트에 함께 접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2.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합성수지의 성형피복층이 폴리올레핀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3. 목질계기초재는 장식시이트가 표면에 접착되어 있고, 방습시이트가 목질계기초재의 이면에 접착되어 있고, 방습시이트가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이 증착된 수지층을 갖고 있고 또는 수지층이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4. 제3항에 있어서, 방습시이트는 목질계기초재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금속이나 금속산화물이 증착된 합성수지필름층과 플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와 지층이 피복된 합성수지필름층이 접착되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5. 제3항에 있어서, 방습시이트는 목질계기초재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지층과 금속이나 금속산화물이 증착된 합성수필름층과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와 지층이 피복된 합성수지필름층이 접착되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6. 제3항에 있어서, 화장시이트는 목질계기초재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금속이나 금속산화물이 증착된 합성수지필름층과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와 지층과 회화인쇄층이 피복된 합성수지필름층이 접착되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7. 제3항에 있어서, 화장시이트는 목질계기초재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지층과 금속이나 금속산화물이 증착된 합성수지필름층과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와 지층과 회화인쇄층이 피복된 합성수지필름층이 접착되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8. 제4항 내지 제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필름층이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9. 제4항 내지 제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층이 20~50 g/㎡ 박엽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10. 제3항에 있어서, 방습시이트가 투습도가 1g/㎡ · 24hr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11. 방습시이트가 포름알데히드포획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12. 제11항에 있어서, 방습시이트가 지층과 방습수지층으로 구성되고, 포름알데히드포획제가 상기한 지층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13. 제11항에 있어서, 방습시이트가 지층과 방습수지층으로 구성되고, 포름알데히드포획제가 상기한 방습수지층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14. 제11항에 있어서, 방습시이트가 지층과 방습수지층과 그들사이에 고정피복층이 함께 접착되어 구성되고, 포름알데히드포획제가 상기한 고정피복층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15. 제11항에 있어서, 방습시이트가 지층과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이 증착된 수지층과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가 피복된 수지층과 지층과 수지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포름알데히드 포획제가 지층 및/또는 접착제층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16. 제12항 내지 제1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습시이트가 수지층의 양측에 두 지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화장판.
  17. 제11항에 내지 제1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질계기초재에 방습시이트를 접착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18. 제17항에 있어서, 방습화장시이트는 방습시이트가 접착된 표면과 반대의 목질계기초재 표면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19. 방습시이트를 목질계기초재에 포름알데히드포획제가 함유된 접착제로 접착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20. 제19항에 있어서, 방습화장시이트 방습시이트가 접착된 표면의 반대측 목질계기초재 표면상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21. 제16항에 있어서, 목질계기초재에 방습시이트를 접착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22. 제21항에 있어서, 방습화장시이트는 방습시이트가 접착된 표면과 반대의 목질계기초재 표면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판.
KR1019960029436A 1995-07-20 1996-07-20 화장판 KR100433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06644 1995-07-20
JP7206644A JPH0929919A (ja) 1995-07-20 1995-07-20 化粧板
JP96-148021 1996-05-17
JP8148021A JPH09300524A (ja) 1996-05-17 1996-05-17 化粧板
JP96-184327 1996-07-15
JP18432796 1996-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503B1 true KR100433503B1 (ko) 2004-08-18

Family

ID=4728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436A KR100433503B1 (ko) 1995-07-20 1996-07-20 화장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33503B1 (ko)
MY (1) MY1287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386B1 (ko) * 2008-03-28 2015-06-1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습 시트, 휨 방지 목질판 및 화장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386B1 (ko) * 2008-03-28 2015-06-1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습 시트, 휨 방지 목질판 및 화장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8715A (en)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503B1 (ko) 화장판
US20180347192A1 (en) Barrier sheet with coated mesh providing skid resistance and vapor permeability
JPH10315423A (ja) 抗菌性を有するホルムアルデヒド捕捉化粧シート及び 化粧板
JP3022332B2 (ja) 耐水耐湿性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74767A (ja) 防湿化粧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防湿化粧板と扉などの建具
JPH10278003A (ja) 突板化粧板
JP2001011250A (ja) 吸放湿性を有する内装化粧材
JPS5837882B2 (ja) 耐水性パ−テイクルボ−ドの製造方法
JP3334475B2 (ja) ホルマリン捕捉防湿シート及び化粧板及び内装用部材
JP6641641B2 (ja) 建材用防湿フィルム
JP3991396B2 (ja) 化粧材
JP4549480B2 (ja) 高周波加熱接着用防湿化粧板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シュパネルの製造方法
JPH11115111A (ja) ホルムアルデヒド捕捉壁紙
JPH11348180A (ja) 木質系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78187A (ja) 化粧材
JPH11190000A (ja) ホルムアルデヒド捕捉壁紙
KR100510202B1 (ko) 포름알데히드 포착제를 함유하는 장식 시이트 및 장식판 및 그제조방법
JP3986680B2 (ja) 防湿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フラッシュパネル
JPH1080980A (ja) ホルムアルデヒドキャッチャー剤含有防湿シートおよび化粧板
JPH10296919A (ja) ホルムアルデヒド捕捉用シート及び化粧板
JPH09322U (ja) 下地用板
JPH10235808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H1120088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H10331539A (ja) フラッシュパネル
TW412482B (en) Method to prepare decoration sheet and decoration board containing formaldehyde capturing ag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