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855B1 - 호안공작물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호안공작물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855B1
KR100432855B1 KR1020030050992A KR20030050992A KR100432855B1 KR 100432855 B1 KR100432855 B1 KR 100432855B1 KR 1020030050992 A KR1020030050992 A KR 1020030050992A KR 20030050992 A KR20030050992 A KR 20030050992A KR 100432855 B1 KR100432855 B1 KR 100432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gabion
receiving space
coating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봉
이종재
Original Assignee
태흥산업 주식회사
우암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흥산업 주식회사, 우암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태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방이나 절개지 등에 호안공작물을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돌망태(10)의 수용공간내에 석재(20)를 채워넣은 상태에서 토양(30)을 채워넣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토양(30)이 석재(20)들 사이의 틈새로 유실되는 것이 억제되고, 토양(30)에 식물종자(40)가 파종된 상태에서 토양(30)과 식물종자(40)가 토양피복(50)으로 견고하게 덮여씌워지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우천시 빗물에 의해 토양(30)과 식물종자(40)가 쓸려나가서 유실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토양피복(50)에 의해서 식물종자(40)의 발아·활착·생장이 촉진되므로, 호안공작물의 조림(造林)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진다.
더욱이, 칸막이(17)의 높이가 둘레면부(12,13,14,15)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호안용 돌망태(10)를 이용하게 되면, 호안공작물을 구축하기 위해 중장비를 매개로 하여 석재(20)와 토양(30)을 운반할 때 칸막이(17)와의 간섭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칸막이(17)의 높이를 석재(20)층 높이와 동일하게 하여 이를 석재(20)층의 기준높이로 이용하면, 석재(20)의 층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석재(20)층의 높이조절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Description

호안공작물 구축방법{Revetment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제방이나 절개지 등에 호안공작물을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안공작물을 구성하는 토양의 유실이 방지되고, 이에 파종된 식물종자가 잘 발아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된 호안공작물 구축방법과, 이에 이용되는 호안용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호안공작물은, 해안(海岸)·호안(湖岸)·하안(河岸) 등의 제방이나, 절개지 등의 경사면에 구축되어 이의 침식을 방지하는 것으로, 호안공작물의 재료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구축되고 있다.
종래에는 콘크리트를 제방이나 절개지에 직접 타설 양생하여 피복을 입히는방식이 이용되었지만, 이러한 호안공작물은 자연친화적이지 못하고, 지반침하시 갑작스런 붕괴가 초래되어 안전이 크게 위협되는 심각한 문제가 초래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콘크리트 재질의 호안블럭을 제방이나 절개지 등의 경사면에 구축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지반침하시 해당 호안블럭도 침하되므로 지반침하를 가시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갑작스런 호안공작물의 붕괴로 인한 대형 참사를 방지할 수 있지만, 이 역시 자연친화적이지 못하여 주변 환경과 생태계를 파괴하는 문제가 초래된다.
이에 근래에는, 호안블럭에 조림(造林)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여, 이에 식물종자를 파종하거나 묘목 등을 식재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지만, 이에 따르면 해당 호안블럭에 일일히 식물종자를 파종하거나 묘목 등을 식재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렵게 되어 호안공작물 설치비용이 크게 증가되고, 부분적인 조림을 구현할 수 밖에 없으므로(콘크리트 부분은 조림을 할 수 없다) 환경개선이 제약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36343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금속재질의 그물망구조물인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공작물을 구축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이에 따르면, 경사면에 돌망태를 형성하는 베이스(10)를 설치하고, 베이스(10)의 각각의 측부에 돌망태를 형성하는 측방부재(20)를 고정시켜 석재(S)를 담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한 후, 수용공간에 석재(S)를 채우고, 식물이 생장가능한 지지부재(M)로 석재(S)를 덮고, 흙(E)으로 지지부재(M)를 덮은 후에 돌망태를 형성하는 덮개(30)를 덮어서 이를 돌망태의 측방부재(20)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석재(S)를 기본 구조물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자연친화적이고, 지지부재(M)에 흙(E)을 덮고 이 흙(E)에 식물을 파종하거나 식재하므로, 호안구조물이 자연스럽게 조림된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은, 석재(S)를 수용공간에 채우고, 흙(E)이 석재(S)들 사이의 틈새로 유실되지 않도록 지지부재(M)를 덮은 후, 지지부재(M)에 흙(E)을 덮고, 이 흙(E)에 식물을 파종하거나 식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빗물 등으로 인해서 흙(E)이 쉽게 유실되고, 식물들이 제대로 생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초래 되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상기 지지부재(M)는 흙(E)이 석재(S)들 사이의 틈새로 유실되지 않도록 하면서, 공기와 수분이 통할 수 있는 재질의 것으로 정의되어 있는데, 만일 지지부재(M)가 분해되지 않는 다공성 재질의 것으로 제조되었다고 한다면, 식물의 뿌리가 지지부재(M)에 의해 하방향으로 뻗어나가지 못하게 되므로 식물 생장이 제약되어 조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식물의 뿌리가 지지부재(M)의 구멍을 관통하여 생장하게 되면, 지지부재(M)가 식물 뿌리의 생장에 의해 파손되면서 지지부재(M)에 얹혀진 흙(E)들이 석재(S)들 사이의 틈새로 유실되므로, 호안구조물의 형태가 크게 손상되고, 식물의 뿌리가흙(E)의 유실로 인해서 외부로 노출되어 식물이 말라죽게 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반면, 상기 지지부재(M)가 분해되는 다공성 재질의 것으로 제조되었다고 한다면, 상기 지지부재(M)의 파손시와 같이 지지부재(M)의 분해로 인해서 흙(E)이 석재(S)들 사이의 틈새로 유실되므로, 호안구조물의 형태가 크게 손상되고, 식물의 뿌리 노출로 인해서 식물이 말라죽게 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더욱이 종래 방식은, 상기 흙(E)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바람이나 우천시의 빗물에 의해서 흙(E)과 이에 파종된 식물종자가 쓸려나가서 유실되는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호안공작물을 구성하는 토양의 유실이 방지되고, 이에 파종된 식물종자가 잘 발아하여 생장할 수 있도록 된 호안공작물 구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돌망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공작물 구축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돌망태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공작물 구축방법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돌망태의 또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공작물 구축방법의 또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돌망태, 11 ; 베이스부,
12 ; 전면부, 12a,12b ; 모서리부,
13 ; 후면부, 13a,13b ; 모서리부,
14 ; 좌면부, 15 ; 우면부,
16 ; 덮개부, 17 ; 칸막이,
18 ; 연결부재, 20 ; 석재,
30 ; 토양, 40 ; 식물종자,
50 ; 토양피복, L1,L2,L3 ; 접는선,
L4 ; 절개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돌망태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와 둘레면부 및 칸막이들을 상호 조립하여 다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 돌망태의 각 수용공간내에 석재를 채워넣는 단계 ; 돌망태의 수용공간내에 토양을 채워넣어서 적정 높이로 매립하는 단계 ; 돌망태의 수용공간에 채워진 토양에 식물종자를 파종하는 단계 ; 돌망태의 수용공간에 토양피복을 투입하여, 토양의 노출면과 이에 파종된 식물종자를 투입된 토양피복으로 덮어씌우는 단계 ; 상호 맞대어진 덮개부와 둘레면부, 덮개부와 칸막이들을 고정하여, 덮개부로 토양피복을 덮어씌우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호안용 돌망태를 도시한 것으로, 베이스부(11)와 둘레면부(12,13,14,15) 및 덮개부(16)가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서 철사 등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구조의 돌망태(10)를 도시하고 있다.
이의 조립상태를 설명해 보면, 우선 와이어 형태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베이스부(11)의 테두리에 전·후·좌·우면부(12,13,14,15)의 테두리를 각각 맞대어 연결한 후에, 이것을 구축위치로 이용하여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놓는다. 이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면부(12,13,14,15)를 수직으로 세워올려서, 와이어 형태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호 맞대어진 둘레면부(12,13,14,15)의 테두리를 연결하면, 석재(20)와 토양(30), 식물종자(40) 및 토양피복(50)이 수용되는, 상면이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16)는 최종적으로 와이어 형태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전·후·좌·우면부(12,13,14,15)의 테두리에 맞대어 고정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공작물 구축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호안용 돌망태를 이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호안공작물 구축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차적인 단계로 이루어진다.
제1단계 ; 돌망태(10)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1)와 둘레면부(12,13,14,15)를 상호 조립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도 1b 참조).
제2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내에 석재(20)를 채워넣는 단계(도 2a 참조). 여기서, 상기 석재(20)는 용도에 적합한 적절한 크기의 것들을 이용하고, 석재(20)층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둘레면부(12,13,14,15)의 높이를 기준으로 대략 이의 0.5배 ~ 0.7배 정도로 하였다.
제3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내에 토양(30)을 채워넣어서 적정 높이로 매립하는 단계(도 2b 참조). 여기서, 상기 토양(30)은 식물이 잘 자랄수 있는 영양이 풍부한 지질의 것이 바람직하며, 토양(30)층의 높이는 식물종자(40)가 발아하여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뿌리내릴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한다. 상기 토양(30)을 돌망태(10)에 채워넣게 되면 석재(20)들 사이의 틈새로 토양(30)이 자연스럽게 채워지게 된다.
제4단계 ; 돌망태(10)에 채워진 토양(30)에 식물종자(40)를 파종하는 단계(도 2c). 여기서, 상기 식물종자(40)로는 발아·활착·생장이 우수한 수종의 종자나, 혹은 잔디와 같은 피복성식물의 종자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식물종자(40)의 파종방법은 해당 종자(40)에 상응하는 적절한 파종법을 택하여 실시한다.
제5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에 토양피복(50)을 투입하여, 토양(30)의 노출면과 이에 파종된 식물종자(40)를 투입된 토양피복(50)으로 덮어씌우는 단계(도 2d). 여기서, 상기 토양피복(50)은, 우천시 토양(30)이 빗물 등으로 인해서 쓸려나가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토양(30)으로부터의 수분증발을 방지하며, 파종된 식물종자(40)의 발아·활착·생장이 촉진되도록 보온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토양피복(50)으로는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모든 것들이 적용될 수 있지만, 환경을 고려해 볼 때 분해가 용이한 재질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보수성과 보비성 및 보온효과가 탁월한 코코넛 섬유를 광분해가 용이한 폴리사(Polyment-mesh)를 매개로 하여 신축성있고 질긴 멍석형태로 엮어서 제조한 것을 상기 토양피복(50)으로 이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종자(40)가 발아·활착될 때까지는 토양피복(50)이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피복(50)에 의해서 토양(30)과 식물종자(40)의 유실이 방지되고, 식물종자(40)의 발아·활착이 촉진되다가, 발아·활착된 식물종자(40)에 의해서 토양(30)이 안정화된 후에는 토양피복(50)이 자연스럽게 분해되어서 유기질비료로서 토양(30)에 흡수된다.
제6단계 ; 돌망태(10)의 덮개부(16)를 둘레면부(12,13,14,15)에 고정하여, 덮개부(16)로 토양피복(50)을 덮어씌우는 단계(도 2e 참조). 여기서, 상기 돌망태(10)의 덮개부(16)와 둘레면부(12,13,14,15)간의 연결은 와이어 형태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엮어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부(16)로 토양피복(50)을 덮어씌우게 되면, 토양피복(50)이 바람에 날리거나, 빗물에 의해 쓸려나가거나, 혹은 외부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벗겨져나가게 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돌망태(10)의 수용공간내에 석재(20)를 채워넣은 상태에서 토양(30)을 채워넣게 되므로, 석재(20)들 사이의 틈새에 토양(30)이 자연스럽게 채워지게 되므로, 토양(30)이 석재(20)들 사이의 틈새로 유실되는 것이 크게 억제된다. 또한, 상기 토양(30)에 식물종자(40)가 파종된 상태에서, 토양(30)과 식물종자(40)가 토양피복(50)으로 덮여지므로, 우천시 빗물에 의해 토양(30)과 식물종자(40)가 쓸려나가서 유실되는 문제가 크게 억제된다. 또한, 상기 토양피복(50)에 의해서 식물종자(40)의 발아·활착·생장이 촉진되므로, 호안공작물의 조림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진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돌망태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f는 이를 이용한 호안공작물 구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돌망태(10)의 조립작업을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와 둘레면부(12,13,14,15)가 평판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진 그물망구조물에, 이와는 별물로 형성되어진 칸막이(17)를 와이어 형태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적정한 간격으로 배치시켜서 연결하는데, 이때 각 모서리부(12a,12b,13a,13b)는 절개선(L4)을 따라 절개되어진 상태이다.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는선(L1)을 따라서 좌·우면부(14,15)를 접어세우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는선(L2)을 따라서 전·후면부(12,13)를 접어세우면서, 접는선(L3)을 따라서 모서리부(12a,12b,13a,13b)를 접어서 이를 좌·우면부(14,15)의 외측(또는 내측)에 맞대어 놓은 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형태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각 연결부분을 상호 연결하면, 석재(20)와 토양(30), 식물종자(40) 및 토양피복(50)이 수용되는, 상면이 개구된 다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16)는 최종적으로 와이어 형태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전·후·좌·우면부(12,13,14,15)와, 칸막이(17)들에 맞대어 고정된다.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호안공작물 구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 상기 돌망태(10)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1)와 둘레면부(12,13,14,15) 및 칸막이(17)들을 상호 조립하여 다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도 3d 참조).
제2단계 ; 돌망태(10)의 각 수용공간내에 석재(20)를 채워넣는 단계(도 4a참조). 여기서, 상기 석재(20)는 해당 수용공간내에 개별적으로 채워넣되, 그 높이는 가급적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제3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내에 토양(30)을 채워넣어서 적정 높이로 매립하는 단계(도 4b 참조).
제4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에 채워진 토양(30)에 식물종자(40)를 파종하는 단계(도 4c 참조).
제5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에 토양피복(50)을 투입하여, 토양(30)의 노출면과 이에 파종된 식물종자(40)를 투입된 토양피복(50)으로 덮어씌우는 단계(도 4d 참조). 여기서, 상기 토양피복(50)으로는 각 수용공간에 개별적으로 투입되도록 적절한 크기로 제단되어진 것을 이용하였지만, 일체로 제작된 1개의 토양피복(50)으로 돌망태(10)의 모든 상부 개구면을 덮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6단계 ; 상호 맞대어진 덮개부(16)와 둘레면부(12,13,14,15), 덮개부(16)와 칸막이(17)들을 고정하여, 덮개부(16)로 토양피복(50)을 덮어씌우는 단계(도 4e 참조). 여기서, 상기 덮개부(16)와 둘레면부(12,13,14,15), 덮개부(16)와 칸막이(17)들 간의 연결은 와이어 형태의 연결부재를 그 매개로 이용하였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각 수용공간에 개별적으로 투입되도록 제단되어진 토양피복(5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덮개부(16)와 칸막이(17)들이 직접적으로 맞대어지므로, 이들을 연결부재(18)로 손쉽게 연결하면 되지만, 일체로 제작된 1개의 토양피복(50)으로 돌망태(10)의 모든 상부 개구면을 덮은 경우에는, 덮개부(16)와 칸막이(17)들 사이에 토양피복(50)이 끼워진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이들(16,17)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부재(18)가 토양피복(50)을 관통하며 얽어매이도록 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망태(10)는, 수용공간이 칸막이(17)들에 의해서 다수로 분할되어진, 규격이 비교적 큰 돌망태(10)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칸막이(17)는 좌·우면부(14,15)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덮개부(16)가 하방향으로 처지지않도록 이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16)와 칸막이(17)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8)는 덮개부(16)가 상부로 들려올려지지않도록 잡아주고, 덮개부(16)에 의해 덮여진 토양피복(50)의 위치이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3a 내지 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칸막이(17)를 갖춘 돌망태(1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석재(20)의 층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기준높이를 눈대중으로 파악할 수 밖에 없다), 석재(20)와 토양(30)을 돌망태(10)에 채워넣을 때, 칸막이(17)가 이를 운반하는 중장비에 간섭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호안공작물 구축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난이하게 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망태를 이용하여 호안공작물 구축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이러한 제반 문제들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안공작물 구축방법의 또또다른 일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단계 ; 돌망태(10)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1)와 둘레면부(12,13,14,15)및, 둘레면부(12,13,14,15)보다 높이가 낮은 칸막이(17)들을 상호 조립하여 다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도 5 참조). 여기서, 상기 호안용 돌망태(10)는, 베이스부(11)와 둘레면부(12,13,14,15) 및 덮개부(16)로 이루어져서 전체형상이 육면체를 이루되, 둘레면부(12,13,14,15)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칸막이(17)들이 구비되어서, 이들 칸막이(17)에 의해 내부 수용공간이 부분적으로 분할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상기 칸막이(17)의 높이는 칸막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지만, 칸막이(17)의 높이를 돌망태(10)에 채워지는 석재(20)층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여, 석재(20)를 채워넣을 때 칸막이(17)의 높이를 석재(20)층의 기준높이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 ; 돌망태(10)의 각 수용공간내에 석재(20)를 채워넣는 단계(도 6a 참조).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석재(20)의 높이는 칸막이(17)의 높이를 기준으로 하였다.
제3단계 ; 각 칸막이(17)에 연결부재(18)의 한쪽 선단을 연결하고 다른 한쪽 선단인 자유단을 돌망태(10)의 외측에 배치하는 단계(도 6b 참조).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8)는 덮개부(16)가 상부로 들어올려지지않도록 하면서, 덮개부(16)에 의해 덮여진 토양피복(50)의 위치이동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돌망태(10)에 토양(30)을 채워넣을 때, 연결부재(18)의 자유단이 토양(30) 외부로 노출되면서,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토양(30)에 매설되고, 또한 토양(30)을 이송하는 중장비에 간섭되지 않도록, 연결부재(18)를 적절히 배치시킨다.
제4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내에 토양(30)을 채워넣어서 적정 높이로매립하는 단계(도 6c 참조).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칸막이(17)는 석재(20)층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게 되므로, 토양(30)을 운반하는 중장비와 칸막이(17)간의 간섭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제5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내에 토양(30)을 채워넣어서 적정 높이로 매립하고, 돌망태(10)의 수용공간에 채워진 토양(30)에 식물종자(40)를 파종한 후, 돌망태(10)의 외부로 노출되어진 연결부재(18)의 자유단을 수직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기거나, 또는 돌망태(10)의 수용공간내에 토양(30)을 채워넣어서 적정 높이로 매립하고, 돌망태(10)의 외부로 노출되어진 연결부재(18)의 자유단을 수직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긴 후, 돌망태(10)의 수용공간에 채워진 토양(30)에 식물종자(40)를 파종하는 단계(도 6d 참조).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8)는 와이어 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돌망태(10)에 토양(30)을 채워넣어서 연결부재(18)의 일부분이 토양(30)에 매설되었다고 하더라도 연결부재(18)의 자유단을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연결부재(18)의 매설되어진 부분이 작은 힘으로도 수월하게 토양(30)으로부터 빠져나온다.
제6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에 토양피복(50)을 투입하여, 토양(30)의 노출면과 이에 파종된 식물종자(40)를 투입된 토양피복(50)으로 덮어씌우되, 연결부재(18)의 자유단을 토양피복(50)에 관통되게 끼워넣어서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계(도 6e 참조). 여기서, 우선 상기 토양피복(50)을 반으로 접어놓고(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연결부재(18)의 자유단을 토양피복(50)에 관통되게 끼워넣은 후, 접혀진 반을 펼치게 되면, 토양피복(50)과 연결부재(18)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토양피복(50)을 설치할 수 있다.
제7단계 ; 상호 맞대어진 덮개부(16)와 둘레면부(12,13,14,15)를 고정하면서, 외부로 노출되어진 연결부재(18)의 자유단을 잡아당겨서 덮개부(16)에 팽팽하게 고정하여 해당 칸막이(17)와 덮개부(16)를 상호 견고하게 연결하는 단계(도 6f 참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칸막이(17)의 높이가 둘레면부(12,13,14,15)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장비를 매개로 하여 석재(20)와 토양(30)을 운반할때 칸막이(17)와의 간섭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칸막이(17)의 높이를 석재(20)층 높이와 동일하게 하면, 석재(20)를 돌망태(10)에 채워넣을 때 칸막이(17)의 높이를 석재(20)층의 기준높이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석재(20)의 층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석재(20)의 높이조절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돌망태(1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11,12,13,14,15,16,17)의 망상구조는 본 실시예와 같이 6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모든 망상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11,12,13,14,15,16,17)간의 연결형태도 공지의 범위내에서 모두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돌망태(10)의 전체 형상이 6면체를 이루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된 바 있는 다양한 형상의 모든돌망태(10 ; 원형 기둥형태나 5면체, 또는 7면이상의 다면체 형태의 것)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돌망태의 수용공간내에 석재를 채워넣은 상태에서 토양을 채워넣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토양이 석재들 사이의 틈새로 유실되는 것이 억제되고, 토양에 식물종자가 파종된 상태에서 토양과 식물종자가 토양피복으로 견고하게 덮여씌워지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우천시 빗물에 의해 토양과 식물종자가 쓸려나가서 유실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토양피복에 의해서 식물종자의 발아·활착·생장이 촉진되므로, 호안공작물의 조림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칸막이의 높이가 둘레면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호안용 돌망태를 이용하게 되면, 호안공작물을 구축하기 위해 중장비를 매개로 하여 석재와 토양을 운반할 때 칸막이와의 간섭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칸막이의 높이를 석재층 높이와 동일하게 하여 이를 석재층의 기준높이로 이용하면, 석재의 층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석재층의 높이조절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Claims (5)

  1. 돌망태(10)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1)와 둘레면부(12,13,14,15) 및 칸막이(17)들을 상호 조립하여 다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
    돌망태(10)의 각 수용공간내에 석재(20)를 채워넣는 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내에 토양(30)을 채워넣어서 적정 높이로 매립하는 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에 채워진 토양(30)에 식물종자(40)를 파종하는 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에 토양피복(50)을 투입하여, 토양(30)의 노출면과 이에 파종된 식물종자(40)를 투입된 토양피복(50)으로 덮어씌우는 단계 ;
    상호 맞대어진 덮개부(16)와 둘레면부(12,13,14,15), 덮개부(16)와 칸막이(17)들을 고정하여, 덮개부(16)로 토양피복(50)을 덮어씌우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공작물 구축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10)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1)와 둘레면부(12,13,14,15) 및, 둘레면부(12,13,14,15)보다 높이가 낮은 칸막이(17)들을 상호 조립하여 다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
    돌망태(10)의 각 수용공간내에 석재(20)를 채워넣는 단계 ;
    각 칸막이(17)에 연결부재(18)의 한쪽 선단을 연결하고 다른 한쪽 선단인 자유단을 돌망태(10)의 외측에 배치하는 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내에 토양(30)을 채워넣어서 적정 높이로 매립하고, 돌망태(10)의 수용공간에 채워진 토양(30)에 식물종자(40)를 파종한 후, 돌망태(10)의 외부로 노출되어진 연결부재(18)의 자유단을 수직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기거나, 또는 돌망태(10)의 수용공간내에 토양(30)을 채워넣어서 적정 높이로 매립하고, 돌망태(10)의 외부로 노출되어진 연결부재(18)의 자유단을 수직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긴 후, 돌망태(10)의 수용공간에 채워진 토양(30)에 식물종자(40)를 파종하는 단계 ;
    돌망태(10)의 수용공간에 토양피복(50)을 투입하여, 토양(30)의 노출면과 이에 파종된 식물종자(40)를 투입된 토양피복(50)으로 덮어씌우되, 연결부재(18)의 자유단을 토양피복(50)에 관통되게 끼워넣어서 외부로 노출시키는 단계 ;
    상호 맞대어진 덮개부(16)와 둘레면부(12,13,14,15)를 고정하면서, 외부로 노출되어진 연결부재(18)의 자유단을 잡아당겨서 덮개부(16)에 팽팽하게 고정하여 해당 칸막이(17)와 덮개부(16)를 상호 견고하게 연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공작물 구축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030050992A 2003-07-24 2003-07-24 호안공작물 구축방법 KR100432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992A KR100432855B1 (ko) 2003-07-24 2003-07-24 호안공작물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992A KR100432855B1 (ko) 2003-07-24 2003-07-24 호안공작물 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2855B1 true KR100432855B1 (ko) 2004-05-27

Family

ID=3734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992A KR100432855B1 (ko) 2003-07-24 2003-07-24 호안공작물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8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419B1 (ko) 2003-11-27 2006-05-24 (주)제세기업 매트리스형 게비온 시공방법
KR100814749B1 (ko) 2006-12-12 2008-03-19 우암종합건설(주) 기존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복원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06620B1 (ko) * 2008-01-17 2011-01-12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호안녹화공법
KR101363319B1 (ko) * 2012-12-07 2014-02-17 석송희 스톤네트형 식생매트
KR20190052257A (ko) * 2017-11-08 2019-05-16 테라텍 주식회사 옹벽용 섬유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419B1 (ko) 2003-11-27 2006-05-24 (주)제세기업 매트리스형 게비온 시공방법
KR100814749B1 (ko) 2006-12-12 2008-03-19 우암종합건설(주) 기존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복원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06620B1 (ko) * 2008-01-17 2011-01-12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호안녹화공법
KR101363319B1 (ko) * 2012-12-07 2014-02-17 석송희 스톤네트형 식생매트
KR20190052257A (ko) * 2017-11-08 2019-05-16 테라텍 주식회사 옹벽용 섬유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
KR102087905B1 (ko) * 2017-11-08 2020-03-11 테라텍 주식회사 옹벽용 섬유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48533A (ja) 植栽緑化壁
JP2008113577A (ja) 壁面緑化パネルと、その緑化パネルを用いた壁面の緑化工法
KR100432855B1 (ko) 호안공작물 구축방법
KR100577979B1 (ko) 호안구조물 시공방법
KR100363435B1 (ko) 경사면 구축방법
KR20090047094A (ko) 암사면에 대한 녹화시공방법
KR100663207B1 (ko)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 단지의 옹벽 구조
KR100518943B1 (ko)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KR101046650B1 (ko)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KR200367400Y1 (ko) 석재층과 식재층이 구분되는 호안용 돌망태
JP2001040670A (ja) 法面の保護・緑化工法および法面保護・緑化用法枠
KR100859853B1 (ko)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JP2000054343A (ja) 護岸緑化用植生土のう蛇籠工法
KR100814749B1 (ko) 기존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복원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H1118563A (ja) 長芋等の栽培箱と、それを使用する長芋等の栽培方法
KR100628034B1 (ko) 식생매트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KR200395340Y1 (ko) 호안구조물용 다공판
JP3879914B2 (ja) 浮力調整可能な植生フロート装置
KR100317472B1 (ko) 사면 보호용 조경블럭 및 그 시공방법
JPH10280417A (ja) 水辺ブロック植生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3880673B2 (ja) 切土法面の緑化装置及び緑化工法
JP2000045288A (ja) 緑化工法
JP3262719B2 (ja) 硬質法面の緑化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柵状体
KR101571380B1 (ko) 경사면 식생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