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034B1 - 식생매트 - Google Patents

식생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034B1
KR100628034B1 KR1020050020252A KR20050020252A KR100628034B1 KR 100628034 B1 KR100628034 B1 KR 100628034B1 KR 1020050020252 A KR1020050020252 A KR 1020050020252A KR 20050020252 A KR20050020252 A KR 20050020252A KR 100628034 B1 KR100628034 B1 KR 100628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vegetation mat
mat
synthetic resin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187A (ko
Inventor
박재희
Original Assignee
박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희 filed Critical 박재희
Priority to KR1020050020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0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Reve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상태로 시공할 수 있고 또한 식생 한 식생매트의 주변과 친환경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네트망내에 양질의 용토를 채운 식생매트를 구성하고, 상기 식생매트내에는 씨앗을 파종 또는 식재하여 일정시간 경과 후 식생식물의 뿌리가 식생매트내에 파종된 철망부와 서로 뿌리 엉김 상태로 활착되므로 상기 식생매트를 연결하여 시공 시 사면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생태적 시각적 경관을 동시에 조성하기 위하여 식생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식생매트. 철망. 합성수지 네트망. 식생식물. 하천. 절개지 및 사면지.

Description

식생매트{Plant mat}
도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인 식생매트를 식생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실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을 절개지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 예의 시공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식생매트. 11...합성수지 네트망.
12...고리부. 13...철망부
14...방근시트
본 발명은 절개사면등에 긴급복구용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에는 합성수지 네트망으로 구성한 외벽체의 내부에 용토와 철망부를 구성하고 이에 식생씨앗 및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식재된 식재식물의 뿌리가 식생매트내에 활착되어 시공시 식생매트의 뿌리가 원지반과 활착되어 사면의 안정성과 상태적 시각적 기능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식생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면 또는 절개지 또는 둔치에 녹화하기 위하여 식물을 파종하거나 또는 식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파종 후 너무 넓은 지역을 골고루 관리하기가 힘들어 약간의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식재된 식물등이 말라죽거나 또는 홍수에 의해 유실되거나 또는 퇴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업에 의하여 시공된 식재식물은 시간이 경과 후에도 뿌리가 제대로 활착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하천의 침수는 초기 생육기에 있는 식물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초기 생육기의 식물은 대부분 유속에 유실되거나 퇴적 시 식물이 죽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상태로 시공할 수 있고 또한 식생 한 식생매트의 주변과 친환경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네트망으로 양질의 용토를 채운 식생매트를 구성하고 상기 식생매트내에는 씨앗을 파종 또는 식재하여 일정시간 경과 후 식생식물의 뿌리가 식생매트내에 활착 되도록 한 식생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식생매트내에 철망부를 구성하여 식생매트내에 파종된 식물의 뿌리가 철망부와 서로 뿌리 엉김 상태로 활착되므로 상기 식생매트를 연결하여 시공 시 사면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생태적 시각적 경관을 동시에 조성하기 위하여 식생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인 식생매트를 식생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이며 도3은 본 발명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실시 예시도 이다 그리고 도4는 본 발명을 절개지 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 예의 시공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과 하측에 장방향의 포대모양으로 구성한 네트망(11)으로 구성한 식생매트(10)와;
상기 식생매트 내의 중앙부위치에 식생매트의 인장력 및 견고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생매트(10)의 중앙부위치에 일체로 외부에 표출 되도록 고리부(12)를 일체로 구성하고, 철사(도시하지않음)등을 사용하여 엮는 방법 등의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설치한 철망부(13)와;
상기 식생매트의 하부에는 식생된 식물의 뿌리가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한 방근시트(14)를 설치하여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00은 용토. 101은 식생씨앗. 102는 식생식물. 103은 절개지 또는 하천둔치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2a~도2d와 같은 방법으로 식생매트를 구성하는 데 그 상태를 살펴보면. 합성수지 네트망(11)으로 구성하는 식생매트(10)내의 중앙부위치에 철사등을 사용하여 엮는 방법으로 철망부(13)를 고정 설치하되 먼저 일정량의 용토(100)를 채워 넣고 철망부(13)를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용토(100)를 채워 넣어 식생매트(10)를 구성한다.
상기 식생매트(10)를 구성한 후에는 합성수지 네트망(11)에 형성된 망의 구멍을 통해 식생씨앗(101) 또는 식재식물(102)을 식재한다.
상기 식생씨앗은 뿌리가 강한 씨앗 또는 식생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씨앗(101) 또는 식생식물(102)을 식재한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도도2a-2d와 같이 식생식물이 식생되고 식생식물된 뿌리가 활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활착된 뿌리는 식생매트의 내부에 구성된 철망부(13)와 서로 뿌리 엉김 상태로 활착되어 식생식물은 식생매트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활착된 뿌리는 식생매트(10)의 하단에 구성된 방근시트(14)에 의하여 외부로 표출되지 않고 식생매트(10)내에서 뿌리 엉김 상태로 활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식생매트(10)를 시공할 때에는 식생매트(10)의 하단에 구성된 방근시트(14)를 분리시킨 후 사면지 또는 절개지 및 하천둔치에 시공하는데 그 시공방식은 도4와 같이 시공하되 식생매트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구성한 고리부(12)를 서로 임의의 철사등의 연결편으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된 상태로 식생 한 식생매트(10)는 식생매트의 하단에 외부로 표출된 식생식물의 뿌리의 인장력에 의하여 절개지 또는 하천둔치(103)의 원지반과 활착되어 안정성을 확보하고 주면의 생태계와 생태적, 시각적 경관을 동시에 친 환경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따라서 식생된 식생매트에 의하여 절개지 는 삭막하지 않게 녹지가 조성되는 것이고 하천둔치는 장마기간에도 주변 생태계와 이미 활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침수에 유실되지 않고 또한 퇴적이 되더라도 이미 원지반과 활착하여 사면의 안전성과 생태적, 시각적 기능을 동시에 해결하여 친환경적으로 복원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절개사면등에 긴급복구용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에는 합성수지 네트망으로 구성한 외벽체의 내부에 용토와 철망부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이에 식생씨앗 및 식생식물을 식재하여 식재된 식재식물의 뿌리가 식생매트내에 활착되어 시공시 빠른 시간내에 식생매트와 원지반과 활착하여 사면의 안정성과 시각적 기능을 동시에 해결하여 친환경적으로 생태적 복원기능을 한번에 해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식생매트에 있어서 외벽체를 상측과 하측에 구성한 합성수지 네트망(11)으로 구성한 식생매트(10)와;
    상기 식생매트내 중앙부위치에 외부에 표출된 고리부(12)를 일체로 구성한 철망부(13)와;
    상기 식생매트의 하부에는 식생된 식물의 뿌리가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한 방근시트(14)를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KR1020050020252A 2005-03-10 2005-03-10 식생매트 KR100628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252A KR100628034B1 (ko) 2005-03-10 2005-03-10 식생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252A KR100628034B1 (ko) 2005-03-10 2005-03-10 식생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187A KR20060099187A (ko) 2006-09-19
KR100628034B1 true KR100628034B1 (ko) 2006-09-26

Family

ID=3763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252A KR100628034B1 (ko) 2005-03-10 2005-03-10 식생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0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810B1 (ko) 2008-05-19 2010-08-06 정정철 볏짚을 이용한 사막녹화방법
KR200453436Y1 (ko) * 2008-07-04 2011-05-02 윤영춘 식생매트
KR101174866B1 (ko) 2010-02-11 2012-08-17 주식회사 동호 호안의 법면보호를 위한 친환경적 매트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383Y1 (ko) * 2009-10-30 2012-05-21 박재희 야자나무의 코코넛을 이용한 식생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810B1 (ko) 2008-05-19 2010-08-06 정정철 볏짚을 이용한 사막녹화방법
KR200453436Y1 (ko) * 2008-07-04 2011-05-02 윤영춘 식생매트
KR101174866B1 (ko) 2010-02-11 2012-08-17 주식회사 동호 호안의 법면보호를 위한 친환경적 매트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187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111B1 (ko) 습지식물의 근경을 이용한 부유형 매트의 제조방법 및 조성방법
KR101157531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잔디식재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08102Y1 (ko)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KR100628034B1 (ko) 식생매트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KR20060105916A (ko)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시공방법
KR20060099188A (ko) 식생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029317B1 (ko) 옹벽용 식생블록
JP2006246757A (ja) 緑化工法および在来多年生草本類による緑化構造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KR100363435B1 (ko) 경사면 구축방법
KR102227676B1 (ko) 식생용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2395350B1 (ko) 식재망태를 이용한 토낭사면 시공방법
KR100859853B1 (ko)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JP2000054343A (ja) 護岸緑化用植生土のう蛇籠工法
KR100432855B1 (ko) 호안공작물 구축방법
KR102293493B1 (ko) 사면 녹화공법
KR100317472B1 (ko) 사면 보호용 조경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0414124Y1 (ko) 야자나무의 코코넛을 이용한 식생매트
JP5981062B1 (ja) 植生マット及び法面緑化方法
KR101418223B1 (ko) 호안식생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433113Y1 (ko) 프랜터형 식생매트
JP4589509B2 (ja) 植生マットおよび植生護岸方法
KR100657638B1 (ko)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KR101374688B1 (ko) 다층 격자구조망을 이용한 법면녹화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