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638B1 -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 Google Patents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638B1
KR100657638B1 KR1020040007615A KR20040007615A KR100657638B1 KR 100657638 B1 KR100657638 B1 KR 100657638B1 KR 1020040007615 A KR1020040007615 A KR 1020040007615A KR 20040007615 A KR20040007615 A KR 20040007615A KR 100657638 B1 KR100657638 B1 KR 100657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ic
vegetative
slope
frame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374A (ko
Inventor
함흥식
Original Assignee
함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흥식 filed Critical 함흥식
Priority to KR102004000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638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 B66C2700/037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m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 격자형으로 직조되어 다수의 구멍(220)이 형성되도록 한 고정틀(2)과; 상기 구멍(220)에 삽입 고정되며 통기성을 갖도록 하며 내부에 묘목(50)이 식재된 토낭(40)으로 구성되는 토낭 단위체(4);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틀(2)은 로프를 격자형으로 엮어서 다수의 구멍(220)이 형성되게 한 상부격자틀(22)과, 상기 상부격자틀(22)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된 하부격자틀(24)을 중첩시킨 후 중첩된 구멍 테두리(222)의 모서리 상하부를 연결로프로 묶어서 상부 및 하부격자틀(22)(24)이 일체가 되게 하여 이루어진 식생 토낭체(A)를 사면에 고정시킴으로써 녹화효과와 사면안정효과가 조기에 나타나도록 한 것이다.
사면, 녹화, 토낭, 격자, 묘목, 고정틀

Description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 soil-sack and greening method of cutting surface the ground use that }
도 1은,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고정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토낭 단위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B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공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고정틀 4 : 토낭 단위체
22 : 상부격자틀 24 : 하부격자틀
40 : 토낭 50 : 묘목
본 발명은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묘목이 식재된 토낭을 다수로 연결시켜서 된 토낭체를 사면 에 고정시켜 묘목이 쉽게 고착될 수 있어 사면의 유실을 방지하고 경관이 미려하도록 한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
인구가 증가하고 도시화, 산업화가 급격하게 진행됨에 따라, 도로, 댐, 플랜트 등과 같은 토목분야의 산업기반시설은 물론이고, 주택 및 생활 편의시설 등과 같은 건축분야의 건설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공사는 대부분 산림지역을 포함하여 행해지므로 시공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절토·성토면(이하 '사면'이라 함)이 발생되기 마련이며, 이러한 절토·성토면을 장기간 방치할 경우 상기 사면에서 발생되는 먼지로 인해 인체 및 자연환경을 해칠 수 있고, 빗물로 인해 사면이 유실될 우려가 있으며, 아울러 생태학적으로도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사면에 대해서는 최대한 조속히 사면복원을 실시해야 하는데, 최근들어 코어 네트를 이용한 씨드 스프레이(seed spray) 공법과 녹생토, 씨앗부착거적덮기, 씨악부착백, 암절개지 천공 후 식물식재 등 다양한 법면 녹화공법이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시공되는 녹생토 등의 유사한 공법은 즉, 사면에 코팅 철망을 고정시킨 후 씨앗이 함입된 토탄슬러지를 콤프레셔를 통해 고압으로 분사하여 사면에 고착시키게 되면 씨앗이 자연발아되어 성장함으로써 사면에 식생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씨앗이 발아하여 성장하면서 최초 초본류의 군락이 형성된 후 관목군락(灌木群落)이 되고, 다시 양수림(陽樹林)으로 바뀌며, 이곳에 음수(陰樹)가 침입하여 최후에는 그 지방의 기후조건과 평형을 이룬 음수림이 되는 자연적인 천이를 거쳐야만 하므로 시간이 매우 오래 소요되고 초본류 단계에서는 통기(通氣)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녹생토 등 유사공법은 토양개량 및 미생물 활성화 관련기술 미흡으로 원지반의 토양유사성이 떨어지고 종자의 휴면 및 발아처리의 어려움, 적용식물의 종류제한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토양정착시 이용되는 코팅철망은 식물뿌리 착근과 수목 근경 비대시 생육에 커다란 장해가 되며 부식되지 않는 소재이므로 환경적으로 사용을 지양해야 할 소재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전에 열악한 환경에 견딜 수 있고 세근의 발생이 많도록 재배된 화관목이나 자생화 산림수 묘목을 다수의 토낭이 구비된 토낭체에 식재한 후 이를 사면에 시공함으로써 녹화효과와 사면안정효과가 조기에 나타나도록 한 식생 토낭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내구성이 뛰어난 자연소재로 토낭체를 제조함으로써 시공후에 묘목이 뿌리를 내릴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식생 토낭체는,
격자형으로 직조되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한 고정틀과;
상기 구멍에 일체로 고정되며 통기성을 갖도록 하고 내부에 녹화기반토를 담은 토낭으로 구성된 토낭 단위체와;
열악한 환경에 적응이 활발한 묘목(훈련목)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면녹화공법은,
시공 사면의 상태와 적용수종, 시공면적, 식생토양을 결정하는 단계;
시공면적에 적당한 크기로 식생 토낭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식생 토낭체에 묘목을 식재하고 토낭을 묶는 단계;
시공 사면의 상단에 앵커볼트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앵커볼트에 토낭체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킨 후 전개시키는 단계;
상기 전개된 토낭체의 타단을 앵커볼트로써 사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토낭체에 물을 분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고정틀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토낭 단위체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B에 대한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공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상기 고정틀(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닐라삼(manila hemp)을 소재로 한 로프(rope)를 격자형으로 엮어서 다수의 구멍(220)이 형성되게 한 상부격자틀(22)과, 상기 상부격자틀(22)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된 하부격자틀(24)을 중첩시킨 후 중첩된 구멍 테두리(222)의 모서리 상하부를 로프로 묶어서 상부 및 하부격자틀(22)(24)이 일체가 되게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토낭 단위체(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닐라삼을 소재로 한 토낭(土囊)(40)을 상기 구멍(220)에 삽입한 후 그 구멍테두리(222)와 고정시켜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고정틀(2)의 구멍(220) 숫자에 따라 적정한 갯수로 설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토낭(40)은 통수성과 통기성이 좋고 묘목(50)의 뿌리가 뻗어 내릴 수 있으면서도 내부의 녹화기반토가 유실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망체형상으로 직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사용된 상기 마닐라삼은 가볍고 강하며 수분에 대하여 내구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천연식물로 제조된 것이므로, 자연상태에서도 일정기간, 즉 묘목이 뿌리를 내려서 완전히 사면에 고착될 정도의 시간동안 묘목을 지지해줄 수 있으며, 자연상태에서 분해되어서도 식물의 비료가 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적합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소재이면서도 매우 환경친화적인 소재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생 토낭체(A)를 마닐라삼을 소재로 사용했지만, 이외에도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틸렌(P.E)을 주원료로한 로프 및 토낭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식생 토낭체(A)를 이용한 본 발명의 사면녹화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공 사면(100)의 상태와 시공면적을 조사한 후 지형과 기후를 고려하여 적합한 수종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종은 대개 초본이나 야생화형, 관목형, 산림형으로 구분된다.
이후 시공면적에 적당한 크기로 상기 식생 토낭체(A)를 제조하게 되는데, 먼저 격자형으로 로프를 엮어 고정틀(2)을 식재될 묘목(50)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당한 크기의 구멍(22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구멍(220)마다 토낭(40)을 설치한 후 각 토낭(40)에 녹화기반토를 충입한 다음 묘목(50)을 식재하고 토낭의 입구를 묶어 밀봉시키게 되는데, 우선 녹화기반토를 토낭의 절반 정도까지 채운 후 묘목을 심고 나머지 녹화기반토를 채워 식재를 완료하게 된다.
이렇게, 묘목이 식재된 식생 토낭체(A)는 일측단부터 서서히 말아서 보관이 이동이 용이한 롤(roll) 형태가 되게 한다.
한편, 상기 시공 사면(100)의 상단부에는 상기 식생 토낭체(A)의 일단이 걸려질 수 있도록 다수의 앵커볼트(60)를 박아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롤 형태의 식생 토낭체(A)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사면에 놓고 일단을 상기 앵커볼트(60)에 걸어서 고정되게 한 후 하방으로 천천히 전개시켜준다.
이렇게 전개가 완료된 상기 식생 토낭체(A)를 상하좌우 4방향에서 팽팽하게 당겨서 토낭(40) 저면이 사면에 밀착되게 한 후 각 끝단과 중간부위에 다수의 앵커볼트(60)를 박아 고정시킨다.(도 1 참조)
이와같이 시공이 완료된 식생 토낭체(A)에 대해 물을 분무시켜서 토낭의 묘목에 충분히 수분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본 발명의 사면녹화공정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은 내구성이 좋으면서 자연친화적인 소재인 토낭에 묘목을 식재하여 사면에 고착되도록 함으로써 녹화효과와 사면안정효과가 조기에 나타날 수 있어 사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식생 토낭체가 자연소재이므로 환경보호의 효과도 제공받을 수 있다.

Claims (5)

  1. 격자형으로 직조되어 다수의 구멍(220)이 형성되도록 한 고정틀(2)과;
    상기 구멍(220)에 삽입 고정되며 통기성을 갖도록 하며 내부에 묘목(50)이 식재된 토낭(40)으로 구성되는 토낭 단위체(4)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틀(2)은 로프를 격자형으로 엮어서 다수의 구멍(220)이 형성되게 한 상부격자틀(22)과, 상기 상부격자틀(22)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된 하부격자틀(24)을 중첩시킨 후 중첩된 구멍 테두리(222)의 모서리 상하부를 연결로프로 묶어서 상부 및 하부격자틀(22)(24)이 일체가 되게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낭 단위체(4)는 토낭(40)을 고정틀의 구멍(220)에 삽입한 후 구멍테두리(222)와 고정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낭(40)과 고정틀(2)은 마닐라삼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5. 시공 사면(100)의 상태와 적용수종, 시공면적, 식생토양을 결정하는 단계;
    시공면적에 적당한 크기로 식생 토낭체(A)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식생 토낭체(A)에 묘목(50)을 식재하고 토낭(40)을 묶는 단계;
    시공 사면(100)의 상단에 앵커볼트(60)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앵커볼트(60)에 식생 토낭체(A)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킨 후 전개시키는 단계;
    상기 전개된 식생 토낭체(A)의 끝단 및 중간부분을 앵커볼트(60)로써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식생 토낭체(A)에 물을 분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
KR1020040007615A 2004-02-05 2004-02-05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KR100657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615A KR100657638B1 (ko) 2004-02-05 2004-02-05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615A KR100657638B1 (ko) 2004-02-05 2004-02-05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808U Division KR200348317Y1 (ko) 2004-02-05 2004-02-05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374A KR20050079374A (ko) 2005-08-10
KR100657638B1 true KR100657638B1 (ko) 2006-12-14

Family

ID=3726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615A KR100657638B1 (ko) 2004-02-05 2004-02-05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066A (ko)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에코피아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380B1 (ko) * 2006-05-16 2006-10-04 김성철 절취사면의 생태복원을 위한 강섬유함유 합성녹화토의시공방법
CN110424419B (zh) * 2019-08-06 2021-05-11 中矿复绿(北京)生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框格梁边坡绿化系统的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066A (ko)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에코피아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
KR102180115B1 (ko) * 2018-08-29 2020-11-17 주식회사 에코피아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374A (ko)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7996B (zh) 一种猕猴桃和茶树立体种植方法
CN103988702B (zh) 一种茶苗黑膜覆盖栽培方法
KR20110128576A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CN110073757A (zh) 一种高陡岩质坡面的绿化方法
CN211531989U (zh) 一种用于生态护坡的植生袋修复坡面系统
JP2006246757A (ja) 緑化工法および在来多年生草本類による緑化構造
KR100657638B1 (ko)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KR101014602B1 (ko) 식생기반매트를 이용한 사면녹화 방법
KR200348317Y1 (ko)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CN1985571A (zh) 一种提高苗木栽植成活率的育苗方法
JP3477410B2 (ja) 法面緑化用の植生基盤材と法面の緑化工法
KR101054228B1 (ko)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
KR20100015267A (ko)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
CN210562230U (zh) 一种高陡边坡绿化种植结构
CN110249888A (zh) 一种猕猴桃快速建园方法
JP3605803B2 (ja) 植栽基体と法面の緑化工法
JP2004159652A (ja) 植生マッ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3047330A (ja) 埋土種子による植物導入方法と植生袋
JP2717368B2 (ja) 法面植栽工法
JP2004278180A (ja) 斜面の緑化工法、並びに緑化防護柵および斜面の緑化構造
JP4387494B2 (ja) 緑化部材
JPS60338Y2 (ja) 護岸植栽用植木鉢
CN105580691A (zh) 一种香榧幼苗移植方法
CN113711830A (zh) 大规格银杏苗木移栽及夏季养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