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228B1 -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228B1
KR101054228B1 KR1020110010232A KR20110010232A KR101054228B1 KR 101054228 B1 KR101054228 B1 KR 101054228B1 KR 1020110010232 A KR1020110010232 A KR 1020110010232A KR 20110010232 A KR20110010232 A KR 20110010232A KR 101054228 B1 KR101054228 B1 KR 101054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ide wall
tree
holes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기
윤병선
김태은
Original Assignee
장용기
김태은
윤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기, 김태은, 윤병선 filed Critical 장용기
Priority to KR102011001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01G23/046Transplanting devices using elements to be driven into the ground for making a container around the root bal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측벽부를 가지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전체 면적에 대한 관통공들에 의한 개구율이 34% 내지 65%을 가지며, 상기 측벽부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폐곡선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 또는 베이스부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하며 상호 이격된 연결프레임부들을 구비한다.
본 바령에 따른 컨테이너는 식물의 성장시 뿌리가 측벽부를 따라 기형적으로 성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식 시 종래와 같이 분뜨기, 뿌리돌림 등이 불필요하다.

Description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container for transplantation and pot}
본 발명은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식물의 이식이 용이하고, 한정된 공간 내에서 뿌리의 활착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식이 용이한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이식은 수목을 현재의 위치에서 다른 장소로 옮겨 심는 작업을 일컫는 것으로, 대부분 종류의 나무는 묘목에서 대형나무로 일정한 장소에 안착될 때까지는 최소한 3- 5회의 이식과정을 거치게 된다. 수목 이식의 주된 과정은 가지주 설치, 뿌리 돌림, 굴취 및 운반이다.
가지주 설치는 수고 4.5 m 이상의 수목에 대하여 굴취 시 나무가 쓰러질 우려가 있거나 필요한 경우에는 굴취 전에 가지주를 세우는 작업이며, 뿌리돌림은 원활한 이식 및 활착을 유도하기 위한 사전 조치로써, 뿌리를 잘라 주거나 박피를 실시하는 작업이다. 또한 굴취는 이식하기 위해 수목을 캐내는 작업으로, 수목의 생리와 습성, 이식의 난이도에 따라 굴착 범위의 크기와 시기 및 굴취 방법 등에 차이가 있으나 통상적으로 전정, 구덩이 파기 및 분뜨기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전정은 수형의 기본형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증산 억제 및 운반에 도움이 되도록 가지 솎음을 실시하는 것이다. 분뜨기는 뿌리에서 흙이 떨어지지 않도록 새끼줄, 가마니, 보습재, 기타 보토 재료로 잘 고정시켜 뿌리와 흙의 이완이 없도록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것이다.
이식된 수목의 식재는 가식, 구덩이파기, 심기, 묻기, 물 조임 및 지주 세우기 과정으로 실시된다. 상기 가식은 뿌리의 건조 및 지엽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이며, 상기 구덩이 파기는 분의 크기의 1.5배 이상의 구덩이를 형성시키는 작업이다. 이후 지주 세우기 이후에 멀칭 및 소독과정을 더 실시하기도 한다.
수목의 이식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수목의 뿌리 보호이다. 뿌리는 수목의 생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목식재 후 수목의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수목이식에서 뿌리에 토양이 부착된 상태로 단근하는 분뜨기 작업에서는 수목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뿌리분을 근원직경의 2 내지 5배 또는 거목의 경우 5 내지 7배로 형성시킨다.
이때 뿌리분은 새끼줄, 고무줄, 녹화마대, 거적 또는 짚과 같은 결속소재로 뿌리분의 외주면을 동여매며, 이를 그대로 식재하게 된다. 그러나, 결속소재로 새끼줄이나 로프를 사용하는 경우, 새끼줄이나 로프는 탄성이 없어 뿌리분을 단단하게 감는 것이 힘들 뿐만 아니라 감긴 새끼줄이나 로프들 사이에 틈새가 많기 때문에 상기 틈새로 토양이 누출되므로 뿌리분으로부터 토양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다. 또한, 새끼줄은 1년 이내의 짧은 기간에 분해되기 때문에 식재 후 수목의 뿌리가 이식된 토양에 완전히 활착하기 전까지 뿌리분을 지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로프의 경우에는 대다수 잘 분해되지 않는 소재이므로, 이식목에 더욱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결속소재로 고무줄을 사용하는 경우, 고무줄은 탄성이 커서 식재 후 뿌리가 활착되기 전까지 뿌리분을 지지하기에는 안정적이지만 장기간 분해되지 않음에 따라 오히려 뿌리의 활착에 장애가 되며, 미생물에 의한 토양의 활성화가 저해되어 수목의 생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가로수나 조경수는 이식하는 과정에 식물생육에 필요한 세근과 가지를 대부분 단근하여 식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으로 인하여 수분과 영양분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하고 고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산림형성이나 조경형성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새로운 수목 이식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09-0109300에는 식목 이식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게시된 식목 이식용 용기는 나무의 뿌리가 있는 소정의 부위를 수용하여 그 내부에서 잔뿌리가 활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구성되어 땅에 심겨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과 하부에 무작위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홀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식용기는 홀형성부위 이 외의 용기 내벽을 따라 기형적으로 뿌리가 성장된다. 이러한 뿌리의 노출은 이식 시 뿌리의 활착을 더디게 하며, 공기와 외광에 노출됨으로써 식물의 성장이 억제되거나 고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개 특허 제 제 2006-0125970호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0123104호에는 이식망이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이식망은 뿌리 주위를 묶는 새끼를 대체하여 일정한 골격만을 갖는 망 형태의 도구를 이식하는 과정에 나무 뿌리를 상기 망 내부에 삽입하여 이식함으로써 추후 나무를 캐낼 때 더욱 손쉽게 이식과정을 진행 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이식망은 나무의 성장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식을 위한 나무의 뿌리를 감싸는 것으로, 나무의 뿌리가 손상되는 근본적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목의 뿌리 손상 없이 그대로 이식할 수 있는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목의 성장 시 뿌리가 컨테이너 내의 한정된 흙의 내부에서 활착될 수 있도록 된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목의 이식 시 흙다짐을 통하여 구멍을 넓힐 수 있는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측벽부를 가지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측벽부에 형성된 관통공들에 의한 개구율이 34 내지 65%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변부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폐곡선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 또는 베이스부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하며 상호 이격된 연결프레임부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측변부는 폐곡선을 이루는 상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상하부프레임부를 연결하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 또는 하부 프레임부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하며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 연결프레임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프레임부의 일측이 베이스부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 프레임에 각각 상기 측벽부를 펼치거나 폐곡선을 이루도록 결합 및 분리하는 체결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프레임부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는 수목을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기른 상태에서 컨테이너와 같이 이식시킬 수 있다. 이식 후 뿌리의 활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수목의 이식을 위하여 뿌리를 잘라 박피를 설치하는 뿌리돌림을 할 필요가 없으며, 별도의 분뜨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뿌리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담긴 토양에 의해 수목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뿌리가 토양의 외부 즉, 콘테이너의 측벽부 내면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있어 빛에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에 수목이 심기어 성장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의 상하부 프레임에 노치부가 형성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컨테이너의 측벽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에 심긴 뿌리의 활착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에 의해 이식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12는 식목된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진,
도 13은 식목된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이식하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진,
도 14는 이식이 완료된 식목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진.
본 발명은 수목을 성장시키기 위한 한정된 토양을 수용하여 수목을 성장 및 이식 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10)는 다수의 제1 관통공(21)이 형성된 베이스부(20)와, 베이스부(2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다수의 제 2관통공(31)들이 형성된 측벽부(30)를 가지는 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제2관통공(31)이 측벽부(30)에 형성됨에 따른 측벽부(30)의 개구율은 34% 내지 65%이다. 그리고 상기 제1관통공(21)이 베이스부(20)에 따른 베이스부(20)의 개구율은 측벽부의 개구율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데, 베이스부는 완전히 오픈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관통공(31)에 의한 측벽부(30)의 개구율의 34% 이하인 경우 식목의 뿌리가 측벽의 내벽측벽들을 따라 하방으로 활착되어 뿌리가 꺽이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65% 이상되는 경우 컨테이너의 외주면에 담긴토양의 측면 즉, 측벽부(30)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 외광(햇빛)에 노출되어 나무가 고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후술한 본 발명인의 실험을 통하여 명확히 알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20)는 본 발명의 수목 성장 및 이식을 위한 컨테이너(10)의 하면부 즉, 바닥부를 이루는 것으로, 컨테이너(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 즉, 원판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20)에 형성된 제 1관통공(21)은 방상으로 형성된다. 이 제 1 관통공(2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0)의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베이스리브(22)들이 형성되고, 이 베이스 리브(22)들이 지지리브(23)들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리브(22)를 연결하는 지지리브(23)들은 베이스부의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거나 불연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벽부(30)는 상기 베이스부(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수목을 성장시킬 수 있는 토양이 담기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다수의 관통공 즉, 제 1 관통공(31)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수직 프레임부(32)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32)들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폐곡선 즉, 링형상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부(33)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33)와 수직 프레임부(32) 또는 베이스부(20)의 가장자리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하며 상호 이격된 연결 프레임부(34)들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프레임부(32)는 베이스부(20)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의 상부 프레임부(33)를 연결하는 수직리브(32a)들과, 이 수직리브(32a)를 연결하는 수평리브(32b)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 프레임부(32)에 형성된 제 2관통공(31)은 수직리브(32a)와 수평리브(32b)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부(34)는 일측단부가 상부 프레임(33)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단부가 수직 프레임부(32)의 수직리브(32a) 또는 베이스부(2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것으로, 파상 또는 사행형상의 경사리브(34a)(34b)들이 불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프레임부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소정의 폭을 가지는 스트립 또는 망상의 스트립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벽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측벽부는 상기 베이스부(20)와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부(35)와, 상기 폐곡선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부(33)와, 상기 상하부프레임부(33)(35)를 연결하며 다수의 제2관통공(31)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수직 프레임부(32)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33)와 수직 프레임부(32) 또는 하부 프레임부(35)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하며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 연결프레임부(34)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하부 프레임부(33)(35)는 각각 일측이 단락되어 전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하 프레임의 양단부에는 체결유닛이 설치되어 이들을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다. 상기 체결유닛(40)은 상기 상하 프레임부(33)(35)의 일측 단부에 체결공(41)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41)과 대응되는 상하부 프레임(33)(35)의 타측 단부에는 체결공(41)과 결합되는 훅(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똑딱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체결밴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20)과 측벽부의 하부 프레임부(3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부분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 프레임부(33)(35)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의 일측에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노치부(36)가 형성되어 이식이 완료된 후, 이 노치부(36)를 통하여 찢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성장 및 이식 컨테이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다른 식물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식목 즉, 나무를 기르기 위해서는 컨테이너(10)에 식물에 성장에 용이한 토양을 담는다. 이 과정에서 상기 측벽부(20)의 연결프레임부(34)들의 사이 또는 수직 프리임부(32)에 형성된 제 2관통공(31)들로부터 흙이 완전히 누설되지 않고 담기게 된다. 즉, 상기 수직 프레임부(32)에 의해 상부 프레임부(33)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사선방향으로 배열되는 연결프레임부(24)들이 토양의 무게에 의해 멀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토양이 담기면, 이 토양에 식물을 심는다.
그리고 나무가 심긴 컨테이너(10)들을 도 1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가 묻히지 않도록 지면위에 놓고, 식물을 성장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기와 지면상에 놓인 컨테이너(10)의 토양에서 성장하는 나무뿌리는 외부로 자라지 않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의 내부에서만 성장하게 된다. 즉, 측벽부에 형성된 제 2관통공(32)에 의해 컨테이너(10)에 담겨 측벽부에 의해 지지되는 토양의 표면은 외광(햇빛)에 의해 노출되므로 노출된 부위로 뿌리가 나오지 않게 된다. 특히 측벽부의 개구율은 34% 내지 65% 이무로 측벽부에 의해 지지되는 토양의 대부분이 노출되므로 컨테이너에 담긴 토양의 외부로 뿌리가 노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개구율을 갖는 측벽부을 가지는 컨테이너에 담긴 토양에서 자라는 나무는 뿌리가 토양의 내부에서만 자라게 되므로 동절기나 혹한에서도 죽지 않고 성장하게 된다. 특히 나무의 뿌리가 컨테이너를 이루는 수직 프레임부(32)를 이루는 수직리부(32a) 및 수평리브(32b) 또는 연결프레임부(34)를 이루는 경사리브(34a)(34b)를 따라 자랄 수 있으나 이들의 내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즉, 길의 지각 방향으로 소정의 곡율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빛의 유입이 용이하여 성장이 억제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적은 충격에도 수직리부(32a) 및 수평리브(32b) 경사리브(34a)(34b)들이 분리되어 뿌리가 이들을 따라 활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에 심긴 나무의 성장이 이루어지는 동안 이를 이식하기 위해서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를 식목을 위한 장소로 이송 시킨 후 나무를 심기 위한 구덩이를 파고, 컨테이너와 같이 묻는다. 이 과정에서 땅을 다지기 전에 컨테어너(10) 내의 토양을 다지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의 내부의 토양이 다져지면서 반경방향으로 확장 되고, 이 확장력에 의해 연결프레임부(34)들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나무가 자라면서 이들 사이로 뿌리가 뻗어 나갈 수 있는 충분한 간격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와 같이 묻어 식목을 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의 재질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분해성 합성수지재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식을 위한 현장에 도착하여 컨테이너를 분리하고 식목하기 위해서는 상부 프레이부(33)과 하부 프레임부(35)에 마련된 체결유닛(40)을 이용하여 측벽부를 펼쳐 컨테이너(10)를 나무가 심긴 토양으로부터 분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10)는 컨테이너에 담긴 토양을 이용하여 식물을 성장시키고, 식물이 심긴 상태에서 운반하여 이식시킬 수 있으므로 식물의 이식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나무를 이식시키기 위하여 가지솎음, 분뜨기, 뿌리돌림 등을 실시할 필요가 없으며, 나무를 이식시킨 후 가지주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특히 온대성 수종의 대부분은 늦은 가을에 구과 형성이 이루어지나 난대수종의 대부분은 여름에서 초가을에 구과 형성이 이루어지고, 이식을 잘 받지 않아 고사율아지게 되는데, 본원 발명의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성장시킨 후 이식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은 다년 간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컨테이너의 측벽부 개구율과 뿌리가 토양에서 활착되는 관계를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 1,
본 발명인은 45 리터의 컨테이너의 측벽부 개구율을 30% 로 형성한 제1시험군과 측벽부 개구율이 50%인 제2시험군과 축벽부 개구율이 60%인 제 3시험군과, 측벽부 개구율이 제 70%인 제 4시험군으로 각각 10 본씩 제작하여 준비하고, 여기에서 상기 관통공의 크기는 빛의 유입을 고려하여 사각형과 슬롯의 형상을 조합하여 형성하였다.
각 제1,2,3,4시험군에 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유기질 비료를 10중량부 혼합한 토양을 담은 후, 각각의 컨테이너에 후박나무(3년생), 동백나무(3년생), 왕벗나물(2.5년생)를 식목하였다. 그리고 각 시험군별로 컨테이너를 10㎝ 간격으로 이격시켜 놓은 후 3개월 단위로 2년동안 뿌리의 활착성, 측벽부를 통하여 뿌리의 노출정도, 성장속도, 컨테이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한 토양의 유출, 토양의 함수율(매월 측정한 후 6개월 평균치)등을 실험하였다.
2년 후 컨테이너와 같이 이식 후 6개월 후 뿌리의 활착성을 실험하였다. 이 이식은 각각의 조건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해남면 북평면의 전에 일괄 이식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5점 척도법을 이용하였다. 즉, 1점은 고사, 2점은 불량, 3점은 보통, 4점은 양호, 5점은 매우 양호로 정의하고 하기와 같은 표1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시험군 뿌리의
노출
뿌리
의활착성
이식 후
뿌리의활착성
성장
속도
토양의유출 토양의 함수율
제 1시험군 5 3 3 3 5 9.1%
제 2시험군 4 4 5 4 5 8.8%
제 3시험군 3 4 4 4 3 7%
제 4시험군 1 2 2 2 2 5.5%
상술한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4시험군의 경의 컨테이너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토양의 유출이 심하게 나타나 함수율이 급격히 떨어지고, 토양의 내부에 뿌리의 활착성이 떨어질 뿐만아니라 성장이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나타났다. 측벽부의 개구율의 개구율이 30%인 제 1실험군의 경우 종래의 화분과 같이 뿌리가 측벽부의 내면을 따라 기형적으로 성장하는 경향을 나타내 보였으며, 이 식후 뿌리의 활착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제 4시험군에서 10개의 컨테이너 중 4개의 컨테이너에 식목된 후박나무와 왕벗나무가 고사되었다.
실험 2.
본 실험에서는 30 리터의 컨테이너의 측벽부 개구율을 25% 로 형성한 제1시험군과 측벽부 개구율이 40%인 제2시험군과 축벽부 개구율이 65%인 제 3시험군과, 측벽부 개구율이 제 68%인 제 4시험군으로 각각 10 본씩 제작하여 준비하고, 실험 조건은 상기 실험 1의 조건과 동일하게 시행한 후 표 2를 얻었다.
시험군 뿌리의
노출
뿌리
의활착성
이식 후
뿌리의활착성
성장
속도
토양의유출 토양의 함수율
제 1시험군 4 3 4 3 5 9.1%
제 2시험군 2 5 4 5 5 8.8%
제 3시험군 2 4 4 4 3 7%
제 4시험군 2 2 1 2 2 3.5%
상술한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4시험군의 경우 제1실험에서와 같이 토양의 누출이 심하게 나타났으며, 이 식후 활착성이 매우 좋지 않게 나타났다. 그리고 제 2,3시험군의 경우 뿌리가 측벽부 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토양의 상부 측으로 모이는 경향을 모였다. 이 식후 뿌리의 활착성이 황성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 3.
본 실험에서는 40 리터의 컨테이너의 측벽부 개구율을 35% 로 형성한 제1시험군과 측벽부 개구율이 50%인 제2시험군과 축벽부 개구율이 55%인 제 3시험군과, 측벽부 개구율이 제 60%인 제 4시험군으로 각각 10 본씩 제작하여 준비하고, 실험 조건은 상기 실험 1의 조건과 동일하게 시행한 후 표 2를 얻었다.
시험군 뿌리의
노출
뿌리
의활착성
이식 후
뿌리의활착성
성장
속도
토양의유출 토양의 함수율
제 1시험군 2 4 4 4 3 8.6%
제 2시험군 2 4 4 5 5 7.8%
제 3시험군 3 4 5 4 4 6.5%
제 4시험군 2 3 4 4 4 4.8%
상술한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부의 개구율이 50인 제 2시험군과 측벽부 개구율이 55%인 제 3 시험군과 측벽부의 개구율이 60% 제 4시험군에서 뿌리의 노출이 측벽부 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토양의 내부에서 활착된 상태로 나타났으며, 이식 후 뿌리의 활착성이 왕성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측벽부를 가지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전체 면적에 대한 관통공들에 의한 개구율이 34% 내지 65%이며,
    상기 측벽부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폐곡선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 또는 베이스부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하며 상호 이격된 연결프레임부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
  2. 삭제
  3.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측벽부를 가지는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전체 면적에 대한 관통공들에 의한 개구율이 34% 내지 65%이며,
    상기 측벽부는 폐곡선을 이루는 상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상,하부프레임부를 연결하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 또는 하부 프레임부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하며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 연결프레임부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부의 일측이 베이스부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 프레임에 각각 상기 측벽부를 펼치거나 폐곡선을 이루도록 결합 및 분리하는 체결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하부프레임의 일측에 훅이 형성되고, 상,하부프레임의 타측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훅이 체결공에 결합됨으로써 폐곡선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부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











KR1020110010232A 2011-02-01 2011-02-01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 KR101054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232A KR101054228B1 (ko) 2011-02-01 2011-02-01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232A KR101054228B1 (ko) 2011-02-01 2011-02-01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228B1 true KR101054228B1 (ko) 2011-08-04

Family

ID=4493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232A KR101054228B1 (ko) 2011-02-01 2011-02-01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2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24B1 (ko) * 2012-01-19 2012-11-30 주식회사 녹색조경 녹색 수목용 뿌리 보호 활성부재
WO2013108987A1 (ko) * 2012-01-19 2013-07-25 주식회사 녹색조경 녹색 수목용 뿌리 보호 활성부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265A (ja) * 2000-01-25 2001-07-31 Gunze Ltd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育苗容器並びにその容器を用いた植物体の育苗方法及び緑化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265A (ja) * 2000-01-25 2001-07-31 Gunze Ltd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育苗容器並びにその容器を用いた植物体の育苗方法及び緑化工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024B1 (ko) * 2012-01-19 2012-11-30 주식회사 녹색조경 녹색 수목용 뿌리 보호 활성부재
WO2013108987A1 (ko) * 2012-01-19 2013-07-25 주식회사 녹색조경 녹색 수목용 뿌리 보호 활성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58626B (zh) 培育大树向上长根再移植大树的方法
CN102301895B (zh) 一种樱花的培植方法
CN101790928A (zh) 香樟大树快速高干压条繁殖法
CN102742486A (zh) 大树杆育根移植和大树枝育根育树苗的方法和装置
CN108575509A (zh) 一种在盐碱地提高竹柳种植成活率的方法
CN112840936A (zh) 大规格红玉兰反季节移植方法
KR20070009807A (ko) 영양식생매트 및 그것을 사용한 수목 이식 방법
CN104756690A (zh) 免农药免化肥纯生态重楼高产种植技术
KR101054228B1 (ko) 수목 성장 및 이식용 컨테이너
KR20060125970A (ko) 수목 이식망(移植網) 및 이를 이용한 수목의 이식방법
CN109328575B (zh) 一种油榄仁移栽方法
KR101052626B1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의 재배방법
CN108124722B (zh) 一种诱导银杏根生垂乳发生的方法
CN107889671A (zh) 一种国槐无纺布袋育苗种植方法
JP2015146743A (ja) 苗木の育苗方法
KR102078225B1 (ko) 뿌리식물 재배장치 및 방법
CN108617379B (zh) 一种香樟大苗的拼栽培育方法
KR200394814Y1 (ko) 수목 이식망(移植網)
KR100657638B1 (ko)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US3511032A (en) Harvesting process
CN109673462A (zh) 大油茶树的移栽方法
CN219395765U (zh) 一种提高凤凰木的移植成活率用辅助结构
CN107548871A (zh) 一种无公害李生产方法
KR100484066B1 (ko) 수목이식방법
KR200348317Y1 (ko)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