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066A -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 - Google Patents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066A
KR20200025066A KR1020180101864A KR20180101864A KR20200025066A KR 20200025066 A KR20200025066 A KR 20200025066A KR 1020180101864 A KR1020180101864 A KR 1020180101864A KR 20180101864 A KR20180101864 A KR 20180101864A KR 20200025066 A KR20200025066 A KR 20200025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ag
sack
sewing
tona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115B1 (ko
Inventor
나항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피아
Priority to KR1020180101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1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5Devices for setting seeds in po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토낭은, 주머니 형상으로 개구부가 마련되는 메인 주머니; 메인 주머니의 내부에 배치되는 식생 주머니; 및 식생 주머니에 배치되는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 토낭으로서, 메인 주머니의 일부 테두리 영역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홀부; 및 씨앗들이 배치되어 마련되는 씨줄을 더 포함하며, 홀부는 고정핀에 의한 위치 고정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씨앗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며, 구축 작업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구축 후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는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을 제공하여 토낭의 구축 효율이 좋으며 그 구조를 견고하게 만들고, 식생에 의한 녹화 효율이 높다.

Description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SOIL BAG FOR PLANT GROWTH AND WORK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생 토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 친화적으로 식물이 자라나는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에 관한 것이다.
토낭은 흙이나 모래 또는 자갈을 수용하도록 섬유재로 제조된 주머니 양상의 자루이다. 이러한 토낭은 진지와 같은 군사 시설, 옹벽, 수로의 구축이나 경사면 보호, 수해로 무너진 지역을 보수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토낭은 천연 마재나 비닐과 같은 합성섬유 혹은 부직포를 봉제하여 외피를 만든다. 이러한 토낭의 내부에는 자연 녹화를 위한 씨앗이 수용되도록 내피가 마련된다. 씨앗은 외피와 내피 사이에 산포되어 있다.
토낭은 작업지역에서 흙이나 모래와 같은 충진재가 투입된 후 개구가 봉해져 목적 양상에 적합하게 다양하게 적층되거나 연결되어 구축된다. 토낭의 벽체 구축에는 토낭들을 상호 연결하도록 토낭에 박히는 뾰족한 돌기들이 있는 연결판이 사용된다.
이러한 토낭은 구축 양상에 따라 토낭에 수용되는 충진재의 양이 달라진다. 작업자는 토낭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부피를 확인하고 토낭의 개구를 봉한다. 토낭의 충진에서는 작업자에 따라 토낭에 충진되는 충진재의 부피 차이가 발생된다. 토낭 부피의 차이로 벽체가 견고하지 않거나 문제가 생길 수 있었다.
이처럼 기존 토낭은 충진재를 일정하게 충진하기 어려웠다.
또한 기존 토낭은 산포된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토낭에 관수 파이프를 연결하여 영양제나 물을 공급하였다. 이러한 기존 토낭은 씨앗이 산포되어 있으므로, 관수 파이프의 연결 위치에 따라 일부 씨앗에 영양제와 물 공급이 집중되고 고르게 공급되지 못하였다.
더불어 기존 토낭은 뾰족한 돌기들이 있는 연결판에 의해 토낭들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토낭의 구축 시에 토낭이 미끄러져 위치 변경되기 쉬우므로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구축 작업 후에 토낭들 중 일부가 어긋날 가능성이 있었다.
특히 우천 시에는 토낭이 쉽게 미끄러져 위치를 고정하여 적층하거나 토낭들을 상호 연결하기가 상당히 어려움이 많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친환경 식생 토낭과 그 구축 공법에 관한 기술은, 특허 제10-1870137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식생 토낭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충진재를 일정하게 투입하기 용이하며, 씨앗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며, 구축 작업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구축 후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는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토낭은, 주머니 형상으로 개구부가 마련되며, 외면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눈금줄이 있는 메인 주머니; 상기 메인 주머니의 내부에 배치되는 식생 주머니; 및 상기 식생 주머니에 배치되는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 토낭으로서, 상기 메인 주머니의 일부 테두리 영역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부는 고정핀에 의한 위치 고정에 사용된다.
상기 메인 주머니와 식생 주머니는 복수의 부직포를 접어 봉제하여 제작되되, 상기 부직포를 접어 마련되는 접힘부; 상기 접힘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봉제 처리된 제1봉제부; 및 상기 접힘부와 제1봉제부의 접하는 개구가 봉제 처리되어 마련된 제2봉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부는 제1봉제부와 제2봉제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봉제부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힘부를 봉제 처리한 제3봉제부; 및 상기 제3 봉제부에 위치하는 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주머니는 상기 부직포를 방염 처리하기 위한 방염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주머니와 내부 주머니에 접하며, 씨앗에 제공되는 영양제로 마련되는 영양제 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씨앗들이 배치되어 마련되는 씨줄 혹은 상기 외부 주머니와 식생 주머니에 접하며, 씨앗과 영양제로 마련되는 혼합 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토낭은, 상기 외부 주머니의 외부에 고정되며, 영양제나 물을 투입할 수 있는 외부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주머니는 외면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눈금줄이 있으며, 상기 눈금줄은케이블 타이를 삽입하여 위치 고정할 수 있는 양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 토낭의 작업공법은, (a) 상기 메인 주머니의 복수의 눈금 중 하나에 맞게 식생 주머니에 충진재를 투입하고 밀봉함으로써 충진재가 포함된 다수의 식생 토낭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식생 토낭을 구축 구조에 따라 정해지는 자리에 배치하며, 그 홀부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상기 식생 토낭을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다수의 식생 토낭의 인접한 식생 토낭들을 연결판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식생 토낭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생 토낭의 밀봉은 케이블 타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생 토낭은 인접한 것끼리 상기 홀부를 겹쳐 배치하고, 고정핀에 의해 함께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식생 토낭은 사면, 옹벽, 수로 및 진지 형상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진재를 일정하게 투입하기 용이하며, 씨앗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며, 구축 작업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구축 후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는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을 제공하여 토낭의 구축 효율이 좋으며 그 구조를 견고하게 만들고, 식생에 의한 녹화 효율이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생 토낭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구부 내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 토낭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 토낭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 토낭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 토낭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식생 토낭의 연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생 토낭의 구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면의 방향과 위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들의 도면에서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것들은,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며, 생략된 구성요소들은 실시 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생 토낭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사용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토낭은, 주머니 형상으로 개구부(11)가 마련되며 외면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눈금줄(12)이 있는 메인 주머니(10), 메인 주머니(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식생 주머니(20), 식생 주머니(20)에 배치되는 씨앗(21)을 포함한다.
이러한 식생 토낭은 메인 주머니(10)의 일부 테두리 영역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홀부(30)와, 내용물을 채울 수 있는 기준선들로 사용되는 눈금줄(12)을 포함한다.
눈금줄(12)은 메인 주머니(10)와 식생 주머니(20)를 결합한 상태에서, 메인 주머니(10) 상에서 여러 줄의 박음 라인의 표시될 수 있으며, 라인 형상의 테이핑 도포나 원형 도포를 사용하는 점선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눈금줄(12)은 설치 상황이나 구조에 따라 내용물을 채우기 기준선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다양하게 미리 표시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이를 기준으로 하여 메인 주머니(10)의 내부에 내용물을 채울 수 있다.
상기 홀부(30)는 고정핀(91) 또는 케이블 타이(92)에 의한 위치 고정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 토낭은, 메인 주머니(10)의 내부에 식생 주머니(2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흙이나 모래 또는 자갈 등이 혼합된 내용물을 채운 상태에서 방벽이나 경사벽 또는 수로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식생 토낭은 설치된 후에, 식생 주머니(20)에 있는 씨앗(21)이 발아되어 자라므로, 자연스럽게 녹화를 이루게 되며, 식물 뿌리들이 퍼지면서 그 뿌리들이 엉키어 설치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식생 토낭들은 인접한 것끼리 홀부(30)가 고정핀(91) 또는 케이블 타이(92)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생 토낭들은 설치됨에 따라 상호 연결되어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 토낭은, 메인 주머니(10)와 식생 주머니(20)가 부직포로 제작된다. 부직포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강성을 제공하며, 물의 흡수나 식물 뿌리의 뻗음이 가능한 구조이다.
이러한 메인 주머니(10)와 식생 주머니(20)는 복수의 부직포를 접어 봉제하여 제작한다.
식생 토낭은 부직포를 접어 마련되는 접힘부, 접힘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봉제 처리된 제1봉제부(41)와, 접힘부와 제1봉제부(41)의 접하는 개구가 봉제 처리되어 마련된 제2봉제부(42)를 포함한다.
홀부(30)는 제1봉제부(41)와 제2봉제부(42)에 위치하며, 제1봉제부(41)에 더 배치될 수 있다.
홀부(30)는 징(31)이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식생 토낭은 접힘부(40)를 봉제 처리한 제3봉제부(43)와, 제3봉제부(43)에 위치하는 홀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봉제부(43)의 홀부(30)도 징(31)이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 토낭은 식생 토낭들끼리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고리(5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고리(51)는 홀부(30)와 같은 위치에 박음질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의 징(31)과 고리(51)가 혼합되어 메인 주머니(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 토낭은, 메인 주머니(10)의 상부에 내용물을 넣은 상태에서 개구부(11)를 접고 묶음할 수 있는 묶음 띠(5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묶음 띠(52)는 메인 주머니(10)의 상부 양측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의 식생 토낭은 외부 주머니와 내부 주머니에 접하며, 씨앗(21)에 제공되는 영양제로 마련되는 영양제 줄(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영양제 줄(61)은 씨앗(21)이 자랄 수 있는 영양물질을 포함하는 것이다. 식생 주머니(20)의 씨앗(21)들은 영양제 줄(61)의 영양을 공급받아 잘 자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 토낭은 씨앗(21)으로 마련된 씨앗 줄(62)이나 외부 주머니와 식생 주머니(20)에 접하며, 씨앗(21)과 영양제로 마련되는 혼합 줄(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씨앗 줄(62)은 씨앗(21)들이 배치되어 마련되는 줄로서,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기준선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씨앗(21)이 발아되므로 녹화를 이루는 영역이다. 혼합 줄(63)은 씨앗(21)과 영영 제가 혼합된 줄로서, 영양제가 씨앗(21)에 잘 공급될 수 있는 영역을 마련함으로써 씨앗(21)들이 잘 자랄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 토낭은, 외부 주머니의 외부에 고정되며, 영양제나 물을 투입할 수 있는 외부 공급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공급부(70)는 주머니의 내부로 배치됨으로써 외부에서 호스를 꽂는 경우 내부로 물이나 영양제가 쉽게 공급되어 건조한 날씨에 식생 토낭을 설치한 경우에, 씨앗(21)의 발아와 성장을 도울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의 메인 주머니(10)는 부직포를 방염 처리하기 위한 방염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염제는 화염에 잘 타지 않는 성질을 제공한다. 방염제는 섬유나 목재에 사용되는 방염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 토낭은, 메인 주머니(10)의 눈금줄(12)은 케이블 타이(92)를 삽입하여 위치 고정할 수 있는 양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눈금줄(12)은 드문드문 지그재그 양상의 지그재그 박음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의 식생 토낭은 정해진 양의 내용물을 케이블 타이(92)로 묶음할 수 있으며, 눈금줄(12)에 케이블 타이(92)를 끼울 수 있는 박음질 구조는 눈금줄(12)에 케이블 타이(92)를 끼워 메인 주머니(10)의 개구부(11)를 묶음하여 밀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식생 토낭의 구성요소는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식생 토낭에 배치 가능한 눈금줄(12), 홀부(30), 징(31), 고리(51), 영양제 줄(61), 씨앗 줄(62), 영양제와 씨앗(21)의 혼합 줄(63), 외부 공급부(70), 묶음 띠(52), 케이블 타이(92)가 끼워질 수 있는 눈금줄은 두 가지 이상 혼합되어 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생 토낭의 작업공법은, (a) 메인 주머니(10)의 복수의 눈금 중 하나에 맞게 식생 주머니(20)에 충진재를 투입하고 밀봉함으로써 충진재가 포함된 다수의 식생 토낭을 마련하는 단계, (b) 식생 토낭을 구축 구조에 따라 정해지는 자리에 배치하며 그 홀부(30)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식생 토낭을 고정하는 단계, (c) 다수의 식생 토낭의 인접한 식생 토낭들을 연결판(95)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단계, 및 (d) 식생 토낭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식생 토낭의 작업공법은, 주로 식생 토낭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눈금을 형성하는 눈금 줄들 중 하나가 설치 구조에 따른 내용물의 부피에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눈금을 보고 식생 토낭에 내용물을 채운 후, 케이블 타이(92)를 이용하여 개구부(11)를 밀봉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눈금에 의해 내용물을 적절히 식생 토낭에 채우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토낭이 일정한 부피로 제작되어 토낭들의 구축 구조가 견고하게 만들어진다. 식생 토낭들은 또한 홀부(30)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호 연결되어 위치 고정되거나 고정핀이 지면부에 박힘으로써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식생 토낭들은 또한 뾰족하게 돌기들이 있는 연결판(95)에 의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구축 구조가 견고하다. 연결판(95)은 플라스틱 판재에 뾰족한 돌기들이 배치된 것으로서 양측으로 돌기들이 인접한 토낭들에 나누어 박힘으로써 토낭들이 연결될 수 있다.
식생 토낭의 밀봉은 케이블 타이(92)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타이(92)의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와 같이 토낭 자체에 배치된 묶음 띠(52)에 의해 개구부(11)가 밀봉될 수 있다.
식생 토낭은 인접한 것끼리 홀부(30)를 겹쳐 배치하고, 고정핀에 의해 함께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즉 식생 토낭들은 내용물을 채우고, 개구부(11)를 밀봉하여 놓는다. 식생 토낭이 구축되는 양상에 따르면, 식생 토낭들은 옆으로 혹은 상하로 인접할 수 있다. 이러한 식생 토낭들은 홀부(30)의 징(31)이 케이블 타이(92)나 고정 핀(91)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식생 토낭은 사면, 옹벽, 수로 및 진지 형상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식생 토낭들은 흙이나 모래, 혹은 자갈 등이 채워진 상태에서 콘크리트 방벽 작업에 시간과 비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식생 토낭들은 진지로 구축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방염 처리됨으로써 포화에 따른 화염에도 견딜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식생 토낭이나 그 작업공법은, 충진재를 일정하게 투입하기 용이하며, 씨앗(21)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며, 구축 작업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구축 후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토낭의 구축 효율이 좋으며 그 구조를 견고하게 만들고, 식생에 의한 녹화 효율이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식생 토낭에 자외선에 견딜 수 있는 자외선 차단처리를 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염 처리되어 화염에 견딜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메인 주머니 11: 개구부
12: 눈금줄 20: 식생 주머니
21: 씨앗 30: 홀부
31: 징 40: 접힘부
41: 제1봉제부
42: 제2봉제부 43: 제3봉제부
51: 고리 52: 묶음 띠
61: 영양제 줄 62: 씨앗 줄
63: 혼합 줄 70: 외부 공급부
80: 지그재그 박음질 91: 고정 핀
92: 케이블 타이 95: 연결판

Claims (12)

  1. 주머니 형상으로 개구부가 마련되는 메인 주머니;
    상기 메인 주머니의 내부에 배치되는 식생 주머니; 및
    상기 식생 주머니에 배치되는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 토낭으로서,
    상기 메인 주머니의 일부 테두리 영역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홀부; 및
    상기 홀부는 고정핀에 의한 위치 고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주머니와 식생 주머니는 복수의 부직포를 접어 봉제하여 제작되되,
    상기 부직포를 접어 마련되는 접힘부;
    상기 접힘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봉제 처리된 제1봉제부; 및
    상기 접힘부와 제1봉제부의 접하는 개구가 봉제 처리되어 마련된 제2봉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부는 제1봉제부와 제2봉제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봉제부에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를 봉제 처리한 제3봉제부; 및
    상기 제3 봉제부에 위치하는 홀부를 더 포함하는 식생 토낭.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주머니는 상기 부직포를 방염 처리하기 위한 방염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주머니와 내부 주머니에 접하며, 씨앗에 제공되는 영양제로 마련되는 영양제 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씨앗들이 배치되어 마련되는 씨줄 혹은 상기 외부 주머니와 식생 주머니에 접하며 씨앗과 영양제로 마련되는 혼합 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주머니의 외부에 고정되며, 영양제나 물을 투입할 수 있는 외부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주머니는 외면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눈금줄이 있으며, 상기 눈금줄은 케이블 타이를 삽입하여 위치 고정할 수 있는 양상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
  9. 상기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생 토낭의 작업공법으로서,
    (a) 상기 메인 주머니의 복수의 눈금 중 하나에 맞게 식생 주머니에 충진재를 투입하고 밀봉함으로써 충진재가 포함된 다수의 식생 토낭을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식생 토낭을 구축 구조에 따라 정해지는 자리에 배치하며, 그 홀부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상기 식생 토낭을 고정하는 단계;
    (c) 상기 다수의 식생 토낭의 인접한 식생 토낭들을 연결판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식생 토낭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의 작업공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식생 토낭의 밀봉은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의 작업공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식생 토낭은 인접한 것끼리 상기 홀부를 겹쳐 배치하고, 고정핀에 의해 함께 위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의 작업공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식생 토낭은 사면, 옹벽, 수로 및 진지 형상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토낭의 작업공법.
KR1020180101864A 2018-08-29 2018-08-29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 KR102180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64A KR102180115B1 (ko) 2018-08-29 2018-08-29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64A KR102180115B1 (ko) 2018-08-29 2018-08-29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66A true KR20200025066A (ko) 2020-03-10
KR102180115B1 KR102180115B1 (ko) 2020-11-17

Family

ID=6980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864A KR102180115B1 (ko) 2018-08-29 2018-08-29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1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859B1 (ko) * 2020-04-25 2020-11-25 박미정 방염기능을 갖는 식생축조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307B1 (ko) 2021-09-28 2023-07-19 김대현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307U (ko) * 1985-12-30 1987-07-15
JPH11209960A (ja) * 1998-01-22 1999-08-03 Nexta Corp 筒状網袋
KR100657638B1 (ko) * 2004-02-05 2006-12-14 함흥식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KR101131556B1 (ko) * 2011-06-21 2012-04-04 유수종 토낭을 이용한 옹벽 축조 구조
KR200474093Y1 (ko) * 2014-07-17 2014-08-22 (주)영앤핀치 식생토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307U (ko) * 1985-12-30 1987-07-15
JPH11209960A (ja) * 1998-01-22 1999-08-03 Nexta Corp 筒状網袋
KR100657638B1 (ko) * 2004-02-05 2006-12-14 함흥식 사면녹화용 식생 토낭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KR101131556B1 (ko) * 2011-06-21 2012-04-04 유수종 토낭을 이용한 옹벽 축조 구조
KR200474093Y1 (ko) * 2014-07-17 2014-08-22 (주)영앤핀치 식생토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859B1 (ko) * 2020-04-25 2020-11-25 박미정 방염기능을 갖는 식생축조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115B1 (ko)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210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경사면 녹화구조 및 녹화공법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102226656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사면 녹화공법
KR20200025066A (ko)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
KR100900478B1 (ko) 고정바를 갖는 식생매트 및 시공방법
CN110565586A (zh) 一种用于粉质砂土盐碱地护坡水土保持的施工工艺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CN108289419A (zh) 袋、使用它的系统和方法
CN102783374A (zh) 一种沙地植物生态修复装置及方法
CN201138940Y (zh) 育种生态袋及由这种生态袋组成的护坡
CN205530295U (zh) 边坡
KR20100100509A (ko)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
KR100621174B1 (ko) 녹지조성을 위한 씨앗 발아용 네트
KR100518943B1 (ko)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JP6166570B2 (ja) 建造物における壁面緑化用苗床、壁面緑化用ユニットおよび壁面緑化装置
JP2000054343A (ja) 護岸緑化用植生土のう蛇籠工法
KR101105407B1 (ko)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KR20120057407A (ko) 식생포대 고정장치
CN202535700U (zh) 一种沙地植物生态修复装置
JP2001103834A (ja) パック緑化工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植物栽培パック
KR100583700B1 (ko) 종자가 섞인 식생기반재와 충전식 섬유대를 이용한사면보호공법
US20220228368A1 (en) Vegetated retaining wall block apparatus and method
JP2003278162A (ja) 植生用土のうおよびこれを用いる植生方法
KR101001343B1 (ko) 천연섬유시트 소재의 식생백을 이용한 수목 굴취 방법
JP3262719B2 (ja) 硬質法面の緑化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柵状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