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307B1 -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 - Google Patents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307B1
KR102557307B1 KR1020210128142A KR20210128142A KR102557307B1 KR 102557307 B1 KR102557307 B1 KR 102557307B1 KR 1020210128142 A KR1020210128142 A KR 1020210128142A KR 20210128142 A KR20210128142 A KR 20210128142A KR 102557307 B1 KR102557307 B1 KR 102557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vegetation
land
soil
tona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5743A (ko
Inventor
김대현
김도선
Original Assignee
김대현
김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현, 김도선 filed Critical 김대현
Priority to KR102021012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307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에 대한 것으로, 섬유로 구성되며, 유연한 재질로된 상면부;, 섬유로 구성되며, 유연한 재질로된 상기 토지와 접하게 배치되는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모서리가 결합되며 형성되고, 토양 혼합물(10)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Vegetation soil bag for exterminating alien plants and drainage channe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과 이를 이용한 배수로에 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토종식물 종자를 이용하여 외래식물을 퇴치하면서도 토지 기반을 보다 단단하게 하고, 식생토낭을 이용하여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좋은 자연친화적인 배수로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고정력을 향상시킨 식생토낭에 관한 것으로서, 주머니의 일측에 연장되는 날개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짐공을 형성하여, 상기 식생토낭을 축조한 후 되메움되는 토사가 식생토낭의 높이와 상기 날개부의 면적을 더한 만큼 토사압력이 작용하여 수직하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또한 상기 날개부에 형성된 다짐공으로 토사의 일부가 유입되어 하방의 지면 또는 토사와 일체화되어 수평 또는 경사하중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으로써, 축조된 식생토낭의 버팀력 또는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흙이 채워지는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의 일측에 구성되고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길이가 연장 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절개지에 축조되는 식생토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낭의 날개부에는, 되메움되는 토사의 일부가 유입되어 하방의 지면 또는 토사와 일체화되도록 하여 상기 식생토낭이 수평 또는 경사하 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짐공;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식생토낭을 사용하여 축대나 제방 또는 옹벽을 축조할 때 좌우로 인접한 식생토낭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연결하거나 절토부와의 이격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판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연결판 자체에 수분 보유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장기간의 가뭄에도 불구하고 식생토낭에서 생장중인 식물이 말라죽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외곽에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12)가 형성되고 바닥면(14)은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트레이 형태의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 구비된 복수의 스파이크와;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 구비된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에 담기는 토양보습제;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에 대한 것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개구부가 마련되는 메인 주머니; 메인 주머니의 내부에 배치되는 식생 주머니; 및 식생 주머니에 배치되는 씨앗을 포함하는 식생 토낭으로서, 메인 주머니의 일부 테두리 영역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홀부; 및 씨앗들이 배치되어 마련되는 씨줄을 더 포함하며, 홀부는 고정핀에 의한 위치 고정에 사용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은: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되며 상면과 하면에 다수의 고정쐐기들이 형성되어 토낭이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결속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결속판 준비 단계 이후에, 상기 결속판에 가로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속판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장방형의 판상체로 마련된 배수재 지지대를 상기 결속판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배수재 지지대 결합 단계 이후에, 상기 배수재 지지대와 함께 상기 결속판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지반의 수분이 흡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배수재 지지대에 의해 처짐이 방지되도록 지지 되는 배수재를 상기 배수재 지지대의 상면에 밀착되게 결합하는 단계; 상기 결속판, 배수재 지지대, 배수재가 결합된 결속플레이트 조립체를 다수 개 준비하여 시공 지반에 나란히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 설치 단계 이후에, 상기 결속플레이트 조립체의 상부에 토낭을 설치하는 토낭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664736 (등록일자:2016년 10월 10일) KR 20-2018-0000352 (공개일자:2018년 02월 05일) KR 10-2180115 (등록일자:2020년 11월 11일) KR 10-2176194 (등록일자:2020년 11월 03일)
본 발명은 식생토낭을 이용하여 지면을 단단하게 다지고, 단풍잎돼지풀, 가시박, 환삼덩쿨 등과 같은 외래식물을 물리적이 아닌 자연적으로 퇴치하는 식생토낭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군 사격장 주변의 납, 구리 등 중금속의 확산을 차단하는 식생토낭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토낭을 이용하여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좋은 배수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토지에 배치되는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에 대한 발명이며, 섬유로 구성되며, 유연한 재질로된 상면부;, 섬유로 구성되며, 유연한 재질로된 상기 토지와 접하게 배치되는 하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의 모서리가 결합되며 형성되고, 토양 혼합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토지에 배치되는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토지에 배치되는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에 의하여 상기 내부공간은 복수의 셀로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셀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토양 혼합물;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토지에 배치되는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는 상기 토지와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앞에서 제시한 발명을 이용한 식생 배수로에 대한 발명이며, 상기 구획부를 절곡하여 상기 복수의 셀이 "U" 형상으로 배치되고,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상기 "U" 형상의 오목한 부분인 유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식생토낭을 이용하여 지면을 단단하게 다지고, 단풍잎돼지풀, 가시박, 환삼덩쿨 등과 같은 외래식물을 물리적이 아닌 자연적으로 퇴치하는 식생토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군 사격장 주변의 납, 구리 등 중금속의 확산을 차단하는 식생토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생토낭을 이용하여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좋은 배수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의 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의 적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의 적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을 포함한 적용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낭을 이용한 배수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 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에 대한 것으로, 토지에 배치되는 식생토낭에 있어서, 섬유로 구성되며, 유연한 재질로된 상면부(100);, 섬유로 구성되며, 유연한 재질로된 상기 토지와 접하게 배치되는 하면부(200);, 상기 상면부(100)와 상기 하면부(200)의 모서리가 결합되며 형성되고, 토양 혼합물(10)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생토낭은 섬유로 구성된 상면부(100)와 하면부(200)를 포함하고, 상면부(100)와 하면부(200)의 모서리가 결합되어 토양 혼합물(10)이 구비될 수 있는 내부공간(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생토낭은 후술할 바와 같이 내부공간(300)에 다양한 토양 혼합물(10)이 포함되고, 종자(400)가 포함되어 토지와 접하게 배치된 하면부(200)를 침투하여 종자(400)에서 자란 식물들이 토지에 뿌리를 내려서 지면과 식생토낭이 자연적으로 단단히 결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00) 및 하면부(200)는 부직포로 형성된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00) 및 상기 하면부(200)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실시예 1-4)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00) 및 상기 하면부(200)의 상기 모서리는 박음질로 결합된다.
(실시예 1-5)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300)에 포함되는 종자(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6)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00) 및/또는 상기 하면부(200)의 내측표면에 결착되는 내피(110);를 포함한다.
(실시예 1-7)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종자(400)는 상기 상면부(100) 및/또는 상기 하면부(200)와 상기 내피(110) 사이에 위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면부(100)와 하면부(200)는 직사각형 형상의 폴리에틸렌 소재의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고, 상면부(100)와 하면부(200)의 모서리는 실로 박음질하여 결합되어질 수 있다. 상면부(100)와 하면부(200)의 모서리가 결합되면서 구비되는 내부공간(300)에는 토양 혼합물(10)과 종자(400)가 포함되어질 수 있다. 종자(400)는 내부공간(300)에 토양 혼합물(10)과 함께 골고루 분포되어질 수 있다. 상면부(100)와 하면부(200)의 소재는 특정한 소재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소재로 치환되어질 수 있다.
상면부(100)와 하면부(200)의 내측표면에는 내피(110)가 구비될 수 있고, 내피(110)와 상면부(100) 및 하면부(200)의 사이에 종자(400)가 위치되어질 수 있다. 종자(400)는 주변환경에 따라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씨앗이며, 내부공간(300)에 포함되어 있는 토양 혼합물(10)과 수분, 햇빛 등이 구비되면 충분히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 1-8)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00)는 빛 투과 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200)는 빛 차단 섬유로 형성된다.
상면부(100)와 하면부(200)의 역할은 1차적으로 종자(400)와 토양 혼합물(10)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내부공간(300)에 포함된 종자(400)가 싹을 틔워서 토지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그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면부(10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일반적인 섬유로 형성되고, 하면부(200)는 빛을 차단하는 섬유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는 이유는 상면부(100)로 조사되는 빛은 상면부(100)를 투과하여 종자(400) 및 그 주변에 제공되어야 종자(400)가 싹을 쉽게 틔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토지와 접하는 하면부(200)는 빛이 투과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경우에 따라 빛을 차단하여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도4를 참조하면, 외래식물 퇴치용으로 식생토낭이 이용될 수 있다. 다시말해 제거하여야 할 외래식물들을 제거함에 있어, 물리적으로 가지를 치거나, 뿌리를 뽑는 등의 작업은 외래식물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없을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위해 자연적으로 외래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토종식물을 자라나게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생토낭을 외래식물의 위에 덮어놓게 되면, 빛이 상면부(100)를 투과하여 토종식물의 종자(400)에 햇빛을 제공할 수 있고, 빛이 하면부(200)는 통과하지 못하여 외래식물은 자연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면부(200)의 빛 차단 섬유는 폐 섬유를 재가공하여 이용하거나,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는 수분과 공기는 관통되지만, 흙과 같은 입자들은 관통되지 못하도록 촘촘하게 형성하고, 토양, 그리고 햇빛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재질이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섬유로 구성된다 하더라도, 하면부(200)를 구성할 때, 촘촘함이나 밀도, 두께 등을 상면부(100)와 다르게하여 빛을 비교적 적게 투과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2-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300)을 구획하는 구획부(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500)는 실로 박음질되어 형성된다.
(실시예 2-3)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500)는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2-4)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500)는 상기 상면부(100) 및 상기 하면부(200)의 외면으로부터 형성된다.
(실시예 2-5)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등간격은 7cm 내지 8cm인 것;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생토낭은 내부공간(300)을 구획하는 구획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500)는 내부공간(300)을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획부(500)는 실로 박음직되어 형성될 수 있고, 등간격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또한 구획부(500)를 구성함에 있어, 상면부(100)와 하면부(200)의 외면으로부터 박음질하여 내부공간(300)을 구획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토낭은 폭 50cm 길이 110cm의 규격으로 생산되어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규격에 토양을 가득 채우게되면 64루베 정도가 필요하게된다. 이는 약 100kg의 중량을 구성하여 운반 및 시공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구획부(500)에 의하여 내부공간(300)을 구획하게 되면 각각의 공간에 토양을 가득 채우더라도 20 루베 정도의 토양만이 필요하게 되어 같은 면적을 식생토낭으로 덮더라도 보다 적은 토양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약 40kg의 중량밖에 되지 않아 혼자서도 운반 및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내부공간(300)을 구획하는 구획부(500)가 구비되면, 토지 지반을 다지는 효과는 동일하고, 필요한 토양의 양은 적어질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생산성에 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3-1)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500)에 의하여 상기 내부공간(300)은 복수의 셀(600)로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셀(600)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토양 혼합물(10);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토양 혼합물(10)은 버미큘라이트 및 피트모스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토양 혼합물(10)은 인회석 분말;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버미큘라이트 1중량부에 대하여 피트모스가 1중량부로 구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구획부(500)에 의하여 내부공간(300)이 복수의 셀(600)로 구획되고 모든 각각의 셀(600)에는 토양 혼합물(10)이 포함되어질 수 있다. 토양 혼합물(10)의 기본적인 역할은 종자(400)에 영양분을 제공하고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과 인장성을 보장하면서 지반을 강도높게 다질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토양 혼합물(10)은 버미큘라이트 및 피트모스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인회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미큘라이트는 칠석을 고온으로 구운 것으로 배합토의 재료이다. 이는 통기성과 보수성이 우수하고 무균상태의 배합토의 재료일 수 있다. 피트모스 또한 보수성과 통기성이 좋고 공극률은 유지시키면서 식물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양 혼합물(10)일 수 있다. 또한 인회석은 유기물과 칼슘, 마그네슘, 인산 등을 다수 함유하고 있어 식물성장을 위한 효과적인 비료역할을 할 수 있다. 버미큘라이트와 피트모스는 경우에 따라 여러 비율로 구성되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1의 중량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3-5)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00)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셀(600) 사이에 위치하는 보충토양(20);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생토낭은 구획부(500)에 의하여 복수의 셀(600)이 형성되고, 복수의 셀(600)에 토양 혼합물(10)과 종자(400)들이 채워질 수 있다. 토양 혼합물(10)이 채워진 식생토낭은 셀(600)과 셀(600) 사이에 오목하게 들어간 공간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공간에 보충토양(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충토양은 본 발명의 토양 혼합물(10)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충토양(20)에는 인위적으로 종자(400)를 포함시킬 수도 있고, 또는 자연적으로 외부로부터 식물의 씨앗이 안착되어질 수 있다.
(실시예 3-6) 실시예 3-5에 있어서, 보충토양(20)의 상측 외면에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를 포함한 경우, 외부에서부터 자연적으로 씨앗이 보충토양에 안착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보충토양에 인위적으로 종자(400)를 포함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커버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섬유이거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실시예 3-7)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 중에서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셀에는 상기 토양 혼합물이 위치하지 않은 것;을 포함한다.
복수의 셀 중 일부인,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셀에는 토양 혼합물이 내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식생토낭을 이어 붙여서 넓은 범위의 토지를 덮기 위함이다. 복수의 식생토낭을 이어 붙이는 과정에서 토낭과 토낭 사이에 틈이 생겨 외래식물이 그곳을 통해 자라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일 수 있다. 따라서, 토양 혼합물이 내포되지 않은 셀들을 겹쳐서 배치한 후, 고정핀을 이용하여 토지에 고정하는 방법을 통해 불필요한 틈없이 넓은 범위의 토지를 복수의 식생토낭을 이용하여 덮을 수 있다.
(실시예 3-8) 실시예 3-1에 있어서, 모서리에서부터 연장되어 이웃한 상기 식생토낭이 겹쳐지면서 결합될 수 있는 연장부(150);를 포함한다.
복수의 식생토낭을 겹쳐서 넓은 범위의 토지에 식생토냥 모듈을 배치함에 있어, 식생토낭들간에 결합되는 부분인 연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말해, 식생토낭의 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식생토낭간의 결합위치를 제공하는 연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3-9) 실시예 3-8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50)는 모서리 일부에만 형성된다.
연장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식생토낭을 서로간에 결합할 때 이용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형상인 직사각형의 식생토낭에 있어서, 모든 모서리에서부터 연장부(150)가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도 3(c) 및 도 4(b)에서와 같이 두개의 모서리에서만 연장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50)에 토양 혼합물이 포함된 식생토낭의 일부면적이 겹쳐지면서 복수개의 식생토낭이 연결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식생토낭이 연결된 경우, 토양에 의해 덮어지지 않은 공간이 없이 토양 혼합물이 모든 면적을 덮을 수 있어, 외래식물의 퇴치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4-1)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200)는 상기 토지와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평평하게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생토낭의 하면부(200)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식생토낭은 지반을 단단하게 다지거나, 사면을 보강하거나, 또는 주변의 중금속 물질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중금속 물질을 흡수하는 효과는 식생토낭을 군 사격장 주변을 둘러싸게 복수 개를 배치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는 하면부(200)와 토지가 밀착하여 배치되어야 하고, 종자(400)에서 뿌리를 내려 식생토낭과 지반이 효과적으로 결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토지와 맞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하면부(200)를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4-2)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낭을 상기 토지와 고정시키는 고정핀(700);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700)은 상기 식생토낭을 고정하는 결합체(710);, 상기 토지에 침투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체(7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토지에 고정되기 위하여 외측방향의 자체 탄성력이 구비되는 탄성체;로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식생토낭을 토지와 고정시키는 고정핀(7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징핀은 종자(400)가 싹을 틔워서 토지에 뿌리를 내리기까지 토지와의 결합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뿌리를 내린 후에도 식생토낭이 토지에 보다 단단하게 결합되어질 필요가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고정핀(700)은 결합체와 고정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체는 식생토낭의 상면부(100)를 둘러싸면서 형성될 수 있다. 결합체는 식생토낭과 접하는 부분일 수 있다. 고정체는 토지에 침투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고정체는 토지에 보다 효율적으로 고정되기 위하여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이 유지되는 탄성체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토지에 침투한 후 외측면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은 토지와의 결합력 향상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700)은 구획부(500)의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구획부(500)는 토양 혼합물(10)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곳으로, 식생토낭을 토지와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 4-5)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700)은 내부가 비어있고, 하부 끝단에 회전할 수 있는 돌기(731)가 구비되는 수용체(730);, 상기 수용체(73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731)를 회전시키는 삽입체(740);를 포함한다.
(실시예 4-6)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돌기(731)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실시예 4-7) 실시예 4-6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740)는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재(741);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741)는 외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된다.
고정핀(700)은 식생토낭을 토지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700)은 수용체(730)와 삽입체(740)의 두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용체(730)가 선결적으로 토지에 삽입되면서 식생토낭을 1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후, 삽입체(740)가 수용체(73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수용체(730)에 구비되어 있는 돌기(731)를 외측으로 펼쳐지게하여 식생토낭을 2차적으로 더욱 견고하게 토지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740)는 삽입부재(741)를 구비할 수 있는데, 삽입체(740)가 수용체(73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삽입부재(741)가 돌기(731)를 밀어내어 돌기(731)를 외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실시예 5-1) 실시예 3-1의 식생토낭을 이용한 식생 배수로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500)를 절곡하여 상기 복수의 셀(600)이 "U" 형상으로 배치되고,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상기 "U" 형상의 오목한 부분인 유로;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생토낭은 배수로로 이용될 수 있다. 식생 배수로는 식생토낭의 구획부(500)를 절곡하여 복수의 셀(600)이 "U"형상으로 배치되어질 수 있다. "U"형상의 오목한 부분은 물과 같은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로 구성될 수 있다.
식생 배수로는 기존의 플륨관 배수로에 비하여 토지 지면과의 밀착성, 결합성에 있어 뛰어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륨관 배수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면의 침식이나 플륨관 자체의 부식에 의하여 토지와 플륨관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식생토낭을 배수로로 이용하게 되면, 종자(400)에서 뿌리가 자라서 토지에 침투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배수로와 토지 지면사이의 결합력은 증가하는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식생토낭을 이용한 식생 배수로는 자연과 어우러지면서도 내구성이 확보되는 배수로를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5-2)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낭은 복수개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식생토낭을 서로 결합하는 고정핀(700);을 포함한다.
복수의 식생토낭이 서로 연결되고, 각 식생토낭은 고정핀(700)에 의하여 결합연결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유체가 흘러가는 비교적 긴 길이의 유로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고정핀(700)에 의하여 복수의 식생토낭을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식생토낭은 각 식생토낭의 가장자리 부분을 겹치게 배치한 후, 고정핀(700)을 이용하여 토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5-3)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100) 및 상기 하면부(200)의 내측표면에 결착되는 내피(110);, 상기 상면부(100) 및 상기 하면부(200)와 상기 내피(110) 사이에 위치하는 종자(400);, 상기 내부공간(300)에 위치하는 식물성장촉진제;를 포함한다.
식생토낭을 이용한 식생 배수로는 식생토낭을 배수로가 필요한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식생토낭은 상면부(100)와 하면부(200)의 내측표면에 구비되는 내피(110)와 내피(110) 안쪽에 종자(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생토낭의 내부공간(300)에 식물성장촉진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배수로를 구성하는 식생토낭에서 종자(400)가 짧은 시간내에 토지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상면부 200 : 하면부
110 : 내피 300 : 내부공간
400 : 종자 500 : 구획부
600 : 셀 700 : 고정핀
710 : 결합체 720 : 고정체
730 : 수용체 740 : 삽입체
10 : 토양 혼합물 1 : 유로

Claims (5)

  1. 토지에 배치되는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에 있어서,
    섬유로 구성된 상면부(100);
    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토지와 접하게 배치되는 하면부(200);
    상기 상면부(100)와 상기 하면부(200)의 모서리가 결합되며 형성되고, 토양 혼합물(10)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300);
    상기 내부공간(300)에 포함되는 종자(400);
    상기 내부공간(300)을 구획하는 구획부(500); 및
    상기 상면부(100) 또는 상기 하면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표면에 결착되는 내피(110);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100) 또는 상기 하면부(200)와 상기 내피(110) 사이에 종자가 위치하며,
    상기 상면부(100)는 빛 투과 섬유로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200)는 빛 차단 섬유로 형성되며,
    상기 토양 혼합물(10)은 인회석 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500)에 의하여 상기 내부공간(300)은 복수의 셀(600)로 구획되고, 상기 복수의 셀(600)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토양 혼합물(1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셀(600) 사이에 위치하는 보충토양(20);을 포함하며,
    하나의 상기 셀에는 20루베의 상기 토양 혼합물(10)이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토양 혼합물(10)은 버미큘라이트 및 피트모스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500)를 상기 토지에 고정시키는 고정핀(70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700)은 내부가 비어있고, 하부 끝단에 회전할 수 있는 복수개의 돌기(731)가 구비되는 수용체(730); 및
    상기 수용체(73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731)를 회전시키는 삽입체(740);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체(740)는 복수개의 돌출부재(741)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741)는 외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식생토낭.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200)는 상기 토지와 닿는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평평하게 형성되는 식생토낭.
  5. 청구항 1의 식생토낭을 이용한 식생 배수로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500)를 절곡하여 상기 복수의 셀(600)이 "U" 형상으로 배치되고,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상기 "U" 형상의 오목한 부분인 유로(1);를 포함하는 식생 배수로.
KR1020210128142A 2021-09-28 2021-09-28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 KR102557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142A KR102557307B1 (ko) 2021-09-28 2021-09-28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142A KR102557307B1 (ko) 2021-09-28 2021-09-28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743A KR20230045743A (ko) 2023-04-05
KR102557307B1 true KR102557307B1 (ko) 2023-07-19

Family

ID=8588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142A KR102557307B1 (ko) 2021-09-28 2021-09-28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3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833B1 (ko) * 2009-03-26 2009-12-1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식생매트
KR101142844B1 (ko) * 2011-11-21 2012-05-08 한국농어촌공사 식생 제어가 가능한 배수로 포장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522B1 (ko) * 2010-09-09 2013-02-26 김유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
KR101664736B1 (ko) 2015-08-13 2016-10-10 권완 고정력을 향상시킨 식생토낭
KR20180000352U (ko) 2016-07-26 2018-02-05 사해통상(주) 식생토낭 연결판
KR102180115B1 (ko) 2018-08-29 2020-11-17 주식회사 에코피아 식생 토낭 및 그 작업공법
KR102176194B1 (ko) 2020-03-30 2020-11-09 박미정 토낭 결속플레이트 배수 축조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833B1 (ko) * 2009-03-26 2009-12-10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식생매트
KR101142844B1 (ko) * 2011-11-21 2012-05-08 한국농어촌공사 식생 제어가 가능한 배수로 포장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743A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62857T3 (es) Sistemas, dispositivos y/o métodos para retener pendientes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101337425B1 (ko) 녹화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US4014135A (en) Modular channel culture device
CN106381837A (zh) 一种湖滨带生态修复结构体系及修复方法
CN111034495A (zh) 收集雨水的植物种植槽组件及其使用方法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JP2001238544A (ja) 植生枠およびその植生枠を備える植生構造体、並びにその植生構造体からなる連続植生構造体および沿道植生構造体
KR102557307B1 (ko)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
KR101879729B1 (ko)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칸막이 철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CN205530295U (zh) 边坡
KR0146016B1 (ko) 경사지의 녹화시공방법
KR100631379B1 (ko) 환경 친화적인 보강토 옹벽용 조적식 식생 블록 및 이를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102395350B1 (ko) 식재망태를 이용한 토낭사면 시공방법
JPS61137922A (ja) 法面土留工法
KR101046650B1 (ko)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23403B1 (ko) 식생 셀
CN108867667B (zh) 滨岸带砂质岸坡生态固护方法
KR101007023B1 (ko) 법면의 녹지조성용 식생네트
CN216532786U (zh) 一种应用于混凝土盖板上的绿化系统
KR100937169B1 (ko) 식생매트, 이를 포함하는 식생매트 유닛과 식생매트의시공방법
GB2449995A (en) Self watering cellular green wall system
WO2000076295A1 (en) Plant suppo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lant support
DE2724308A1 (de) Behaelter zur pflanzenzuc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