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522B1 -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 - Google Patents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7522B1 KR101237522B1 KR1020100088510A KR20100088510A KR101237522B1 KR 101237522 B1 KR101237522 B1 KR 101237522B1 KR 1020100088510 A KR1020100088510 A KR 1020100088510A KR 20100088510 A KR20100088510 A KR 20100088510A KR 101237522 B1 KR101237522 B1 KR 1012375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mat
- base member
- cover member
- biodegradation r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충진공간이 마련되기 위해 결합수단에 의해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가 마련된 매트부와, 충진공간에 충진되고, 베이스부재 및 커버부재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생분해 속도조절부재가 포함된 식생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은 매트 내부에 베이스부재 및 커버부재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하는 생분해 속도조절부재가 마련되어 있어 매트 내부에서 발아되어 식생되는 식물의 성장이 매트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은 매트 내부에 베이스부재 및 커버부재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하는 생분해 속도조절부재가 마련되어 있어 매트 내부에서 발아되어 식생되는 식물의 성장이 매트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내부에 내재된 씨앗의 발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토지 개발로 황폐화된 곳을 가꾸거나 휴식장소를 마련하기 위해 절개지, 하천변, 건물 옥상 등에 녹지 공간을 가꾸고 있다.
일반적으로 녹지공간을 가꾸기 위해서는 꽃 또는 식물을 파종하기 위해서 포트(합성수지 또는 일반종이컵)에 흙을 넣고 구멍 내에 씨를 파종하거나 또는 조금 큰 나무를 식재하여 적당한 크기가 될 때까지 키우고 녹화할 때에는 포트를 식재식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식생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식물이 식재되어 식생될 수 있도록 식물의 씨앗이 내지된 매트형태의 식생매트가 이용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449343호에는 '식생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식생매트는 식물의 활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식생기반재와, 상기 식생기반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기반재를 보호하는 상부매트와, 상기 식생기반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기반재를 보호하는 하부매트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매트와 상기 하부매트는 식생기반재를 감싸는 내피와, 상기 내피 위에 형성되는 외피를 각각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상부매트와 상기 하부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 사이에 종자를 포함하여 상기 종자가 원활하게 발아되어 식생이 정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식생매트는 상부매트 및 하부매트가 설치지역 토양에 의해 생분해되는 속도가 느려 매트 내부에서 발아하여 성장하는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여 발아된 싹이 고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 제초제의 과다 사용을 방지하고, 농촌의 일손을 절약하기 위해 농작물 재배 지역을 덮을 수 있도록 농업용 멀칭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멀칭시트는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제품을 사용하고 있어 추수 후 멀칭시트의 회수비용이 발생하고, 미회수시 토양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식생매트 내부에 매트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내부에서 발아되어 식생되는 식물의 성장이 매트에 의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생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생분해 속도 조절 물질에 의해 식생매트의 생분해 속도가 늦춰져서 농작물 재배지역에서 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멀칭시트로 사용할 수 있는 식생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는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충진공간이 마련되기 위해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가 마련된 매트부와,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되고,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생분해 속도조절부재가 포함된 식생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식생부재에 내재되는 식생식물의 씨앗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식생부재는 상기 씨앗이 발아하여 용이하게 식생될 수 있도록 식생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 속도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생분해 속도를 촉진시키는 균주, 효소 또는 미생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생분해 속도조절부재는 상기 매트부가 설치되는 설치지역에 식생하는 잡초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생분해를 억제시키기 위해 불소, 목초액 또는 키토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생분해 속도조절부재는 상기 매트부가 설치되는 설치지역에 식행하는 잡초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도록 태양광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생분해를 억제시기기 위해 불투명한 생석회, 옻, 멸균토, 활성탄 또는 멸균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는 상기 매트부가 비탈면에 설치시, 상기 비탈면이 강우나 유수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매트부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비탈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싱 또는 바느질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커버부재가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제1결합부와,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미싱 또는 바느질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커버부재가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은 고온의 열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커버부재가 상호 융착되는 열융착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육묘구조물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분리조립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육묘상자와, 상기 육묘상자에 각각 설치되고,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충진공간이 마련되기 위해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되고,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생분해 속도조절부재가 포함된 식생매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는 매트 내부에 베이스부재 및 커버부재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하는 생분해 속도조절부재가 마련되어 있어 매트 내부에서 발아되어 식생되는 식물의 성장이 매트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생석회, 숯, 옻, 멸균토, 키토산, 활성탄, 불소, 목초액과 같은 베이스부재 및 커버부재의 생분해를 억제하는 물질을 생분해 속도조절부재로 사용하여 오랜 시간동안 설치 대상 지역을 덮을 수 있어 상기 설치 대상지역에 식생하는 잡초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멀칭시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탈면에 설치되어, 강우나 유수에 의해 비탈면이 붕괴되거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에 대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생매트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식생매트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를 이용한 육묘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를 이용한 육묘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를 이용한 육묘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생매트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식생매트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를 이용한 육묘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를 이용한 육묘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를 이용한 육묘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식생매트(10)는 베이스부재(21)와, 베이스부재(21)의 상부에 충진공간(23)이 마련되기 위해 결합수단(24)에 의해 베이스부재(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22)를 구비한 매트부(20)와, 충진공간(23)에 충진되고,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생분해 속도조절부재(미도시)가 포함된 식생부재(3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재(21)는 토양에 의해 생분해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소재인 식물성 천연섬유 중 하나인 100% 면으로 제조되는 부직포로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부재(21)의 재질은 천연섬유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레이온, 코코넛 섬유, 황마와 같은 토양에 의해 생분해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베이스부재(21)는 생분해성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생매트(10)의 설치후, 이를 별도로 수거하거나 해체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부식에 의해 퇴비화가 이루진다.
또한, 식생매트(10)가 설치되는 지역의 잡초가 베이스부재(21)에 의해 성장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별도로 제초제를 살포할 필요가 없어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커버부재(22)는 베이스부재(21)의 상부에서 식생부재(30)가 충진될 수 있는 충진공간(23)이 형성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21)와 결합되고, 토양에 의해 생분해될 수 있도록 면으로 형성된 부직포와 같은 생분해성 소재로 형성된다. 이때, 커버부재(22)의 재질은 면으로 형성된 부직포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레이온, 코코넛 섬유, 황마와 같은 토양에 의해 생분해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이때, 커버부재(22)는 후술되는 씨앗(31)이 발아되어 식물의 잎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섬유조직이 식물의 잎이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는 정도의 조밀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재(22)는 결합수단(24)에 의해 커버부재(22)에 결합되어 식생부재(30)가 베이스부재(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식생부재(30)로 공급되는 수분을 유지하여 후술되는 씨앗(31)의 발아율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커버부재(22)는 씨앗(31)의 발아 및 성장을 도울 수 있도록 비료성분을 비롯한 각종 보조제들이 함유되어 있는 액상 비료가 도포된 후 건조시키는 건조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22)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버부재(22)는 씨앗(31)들에 대응되는 각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홀(2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7)은 씨앗(31)의 발아 후, 식물의 잎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연장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관통홀(27)은 식생부재(30)에 내재된 씨앗(31)을 통해 발아되는 식물의 잎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씨앗(31)의 반경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24)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결합수단(24)은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싱 또는 바느질에 의해 베이스부재(21)와 커버부재(22)가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제1결합부(25)를 구비한다. 다수의 제1결합부(25)는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재(21)의 상부에 식생부재(30)를 도포하고, 식생부재(30)의 상부에 커버부재(22)를 덮은 다음,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싱장치를 이용하거나 손바느질하여 베이스부재(21)와 커버부재(22)가 상호 결합되는 제1결합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미싱이나 바느질에 의해 형성된 제1결합부(25)에 의해 베이스부재(21)와 커버부재(22)가 상호 결합되므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견고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수단(24)은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결합부(26)를 더 구비한다. 도 4에는 제2결합부(26)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결합부(26)는 미싱 또는 바느질에 의해 베이스부재(21)와 커버부재(22)를 상호 결합한다. 다수의 제2결합부(26)는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결합부(25,26)가 상호 교차 구조를 이루며 베이스부재(21)와 커버부재(22)를 상호 결합시키므로 식생매트(10)에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대해 보다 더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결합수단(24)은 고온의 열에 의해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를 상호 융착시켜 결합시키는 열융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는 고온의 열에 의해 용이하게 융착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비닐과 같은 생분해성질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생부재(30)는 매트부(20)의 충진공간(23)에 충진되며, 내부에는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생분해 속도조절부재(미도시)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생분해 속도조절부재는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가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의 생분해 속도를 촉진시키는 균주, 효소 또는 미생물이다.
상기 생분해 속도조절부재는 Altermaria circinans, Altermaria cucumerina, Altermaria iridis, Altermaria radicina, Altermaria solani 등과 같은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식생부재(30)의 내부에는 식생식물의 씨앗(31)이 다수개가 매립되어 있으며, 식생부재(30)는 상기 씨앗(31)이 발아하여 용이하게 식생될 수 있도록 식생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식생부재(30)는 항균성이 있는 황토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식생부재(30)는 식물이 성장하는 데 요구되는 수분 및 양분이 저장가능한 식생토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씨앗(31)에서 발아된 식물의 뿌리가 식생매트(10)가 설치된 지역의 토양에 뿌리 내릴 때까지, 상기 식물에 수분 및 양분을 공급하여 식물의 성장률을 향상시킨다.
식생부재(30) 내부의 씨앗(31)이 발아하면 뿌리는 하방으로 연장되며, 잎은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식생부재(30) 내의 생분해 속도조절부제에 의해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의 생분해 속도가 촉진되어 식물의 뿌리 및 잎이 연장되어 성장 시,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는 토양에 의해 분해되어 식물의 뿌리 및 잎의 성장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생분해 속도조절부재는 매트부(20)의 생분해를 억제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생분해 속도조절부재는 생분해성 소재로 형성된 베이스부재(21) 및 커버부재(22)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도록 생석회, 숯, 옻, 활성탄, 불소, 목초액, 멸균토 및 키토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생분해 속도조절부재인 생석회, 숯, 옻, 멸균토, 활성탄, 불소, 목초액 및 키토산은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항균효과에 의해 미생물에 의한 베이스부재(21)의 분해를 방지하여 베이스부재(21)가 장시간 분해되지 않고 보존되므로 식생매트(10)가 설치된 지역에 식생하는 잡초의 성장을 억제한다.
또한, 앞서 언급된 속도조절부재 중 생석회, 숯, 옻, 멸균토, 활성탄 및 멸균토는 불투명하여 햇빛이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여 식생매트(10)가 설치된 지역에 식생하는 잡초가 광합성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잡초의 성장을 억제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식생매트(10)는 매트부(20)에 설치되어 매트부(20)를 보강하는 보강부재(41)와, 상기 보강부재(41)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2)를 더 구비한다.
보강부재(41)는 충진공간(23)에 대응되는 베이스부재(21)의 상면에 설치되며, 씨앗(31)에서 발아된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매쉬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재(41)는 소정의 강도를 갖고, 친환경적인 소재인 황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보강부재(41)가 베이스부재(21)의 상면에 도시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보강부재(41)의 설치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부재(21)의 하면 또는 커버부재(22)의 상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42)는 보강부재(41)를 관통하게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앙카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개의 고정부재(42)는 베이스부재(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식생매트(10)는 비탈면과 같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지면에 설치시, 보강부재(41)에 의해 상기 비탈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비탈면이 강우나 유수에 의해 붕괴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상기 언급된 식생매트(10)를 이용한 육묘구조물(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육묘구조물(100)는 메인프레임(200)과, 메인프레임(200)에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육묘상자(300)와, 각 육묘상자(300)에 설치되는 식생매트(400)를 구비한다.
메인프레임(20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개의 제1지지봉(210)과, 상기 제1지지봉(210)에 대해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지지봉(220)을 구비한다.
제1지지봉(210)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육묘상자(300)의 결합핀(3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제1결합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지지봉(210)의 하단에는 제1지지봉(210)이 지면에 용이하게 직립될 수 있도록 제1지지봉(210)의 단면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된 제1발판(2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2개의 제1지지봉(210)은 육묘상자(300)의 폭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위치되어 있다.
제2지지봉(220)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제1지지봉(210)의 연장길이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지지봉(220)은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제2결합홀(543)(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제2지지봉(220)의 하단에는 제2지지봉(220)이 지면에 용이하게 직립될 수 있도록 제2지지봉(220)의 단면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된 제2발판이 설치되어 있다.
육묘상자(300)는 내부에 식생매트(4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이 마련되며, 식생매트(400)에 식생하는 식물이 용이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상측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육묘상자(300)는 메인프레임(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구속부를 더 구비한다. 제1구속부는 결합블럭(311)과 결합핀(312)을 구비한다.
결합블럭(311)은 육묘상자(300)의 좌우측면에는 각각 2개씩 설치되며, 제1지지봉(210) 또는 제2지지봉(220)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결합핀(3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3결합홀(313)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핀(312)은 제1 및 제2결합홀(543)(211)과, 결합블럭(311)의 제3결합홀(313)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지지봉(210,220)에 육묘상자(300)를 고정시킨다. 제1구속부를 통해 다수의 육묘상자(300)를 제1 및 제2지지봉(210,2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지지봉(210,220)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홀(543)(211)에 대한 결합핀(312)의 삽입위치에 따라 육묘상자(300)의 높이 또는 인접된 육묘상자(300)들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식생매트(400)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1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생매트를 이용한 육묘구조물(5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며, 식생매트(530)를 이용한 육묘구조물(500)은 메인프레임(510), 육묘상자(520) 및 식생매트(530)를 구비한다.
메인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개의 제1수직봉(511)과, 상기 제1수직봉(511)에 대해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수직봉(512)과, 제1수직봉(511)들을 지지하는 제1보강봉(513)과, 제2수직봉(512)들을 지지하는 제2보강봉(514)과,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을 지지하는 제3보강봉(515)과, 상기 봉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516)를 구비한다.
제1수직봉(511)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제1수직봉(511)이 지면에 용이하게 직립될 수 있도록 제1수직봉(511)의 단면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된 제3발판(511a)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수직봉(511)은 육묘상자(520)의 폭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수직봉(512)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제1수직봉(511)에 대해 육묘상자(52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우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1수직봉(511)의 연장길이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제2수직봉(512)의 하단부에는 제2수직봉(512)이 지면에 용이하게 직립될 수 있도록 제2수직봉(512)의 단면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된 제4발판(512a)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2수직봉(512)은 육묘상자(520)의 폭에 대응되게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보강봉(513)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양단은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1수직봉(511)들에 연결부재(516)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제1보강봉(513)이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1보강봉(513)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수직봉(511)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제2보강봉(514)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양단은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제2수직봉(512)들에 연결부재(516)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제2보강봉(514)이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2보강봉(514)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수직봉(512)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제3보강봉(515)은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양단은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연결부재(516)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제3보강봉(515)이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3보강봉(515)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516)는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봉들을 상호 연결하는 상단연결편(517)과, 상단연결편(517) 하측의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설치되어 상기 봉들을 상호 연결하는 하부연결편(518)을 구비한다.
상단연결편(517)은 제1수직봉(511) 또는 제2수직봉(512)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에는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의 단면에 대응되는 제1삽입홀(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상단연결편(517)의 상측에는 상단연결편(517)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되,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제1돌출편(517a)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편(517a)들의 측단면에는 제1보강봉(513), 제2보강봉(514) 또는 제3보강봉(5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보강봉(513), 제2보강봉(514) 또는 제3보강봉(515)의 단면에 대응되는 제2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단연결편(517)은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의 상단에 각각 설치되어 제1수직봉(511)에 제1보강봉(513) 및 제3보강봉(515)을 연결하고, 제2수직봉(512)에 제2보강봉(514) 및 제3보강봉(515)을 연결한다.
한편, 상단연결편(517) 및 제1돌출편(517a)의 외주면에는 고정나사에 의해 제1 및 제2수직봉(511,512), 제1보강봉(513), 제2보강봉(514)과 제3보강봉(515)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나사가 관통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연결편(518)은 제1수직봉(511) 또는 제2수직봉(51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3삽입홀(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하부연결편(518)의 외주면에는 하부연결편(518)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되,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제2돌출편(518a)이 형성되어 있다.
제2돌출편(518a)들의 측단면에는 제1보강봉(513), 제2보강봉(514) 또는 제3보강봉(5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보강봉(513), 제2보강봉(514) 또는 제3보강봉(515)의 단면에 대응되는 제4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하부연결편(518)은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설치되어 제1수직봉(511)에 제1보강봉(513) 및 제3보강봉(515)을 연결하고, 제2수직봉(512)에 제2보강봉(514) 및 제3보강봉(515)을 연결한다.
한편, 하부연결편(518) 및 제2돌출편(518a)의 외주면에는 고정나사에 의해 제1 및 제2수직봉(511,512), 제1보강봉(513), 제2보강봉(514)과 제3보강봉(515)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나사가 관통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육묘상자(520)는 내부에 식생매트(5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521)이 마련되며, 식생매트(530)에 식생하는 식물이 용이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상측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육묘상자(520)의 하면에는 식생매트(530)에 식생된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구(5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육묘상자(520)는 메인프레임(5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제2구속부(523)를 더 구비한다. 제2구속부(523)는 제1구속블럭(524)과 걸쇠(525)를 구비한다.
제1구속블럭(524)은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구속블럭(524)의 외주면에는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삽입된 제1구속블럭(524)이 결합나사에 의해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나사가 관통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제1결합홀(528)이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홀(528)에 이격된 위치의 제1구속블럭(524) 외주면에는 후술되는 걸쇠(525)가 걸릴 수 있도록 연결고리(529)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구속블럭(524)은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다수개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때, 육묘상자(520)를 평행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수직봉(511,512)들에 각각 설치된 4개의 제1구속블럭(524)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1구속블럭(524)이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각각 2개씩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1구속블럭(524)의 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설치되는 육묘상자(520)의 개수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걸쇠(525)는 육묘상자(520) 상면의 사방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연장되게 형성된다. 걸쇠(525)의 단부에는 제1구속블럭(524)의 연결고리(529)에 걸릴 수 있로록 후크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상호 동일한 높이의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설치되는 4개의 제1구속블럭(524)의 각 연결고리(529)에 육묘상자(520)에 설치된 4개의 걸쇠(525)가 각각 걸려 육묘상자(520)는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고정시킨다.
식생매트(530)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1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육묘구조물은 제2구속부(523)에 의해 메인프레임(510)에 육묘상자(520)를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하거나 또는 육묘상자(5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식생매트(530)에 식재된 식물의 식생조건에 따라 육묘상자(520)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9에는 제2구속부(54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구속부(540)는 제2구속블럭(541)과, 거치부재(542)를 구비한다.
제2구속블럭(541)은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2구속블럭(541)의 외주면에는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삽입된 제2구속블럭(541)이 결합나사에 의해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나사가 관통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제2결합홀(543)이 형성되어 있다.
제2구속블럭(541)은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다수개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때, 육묘상자(520)를 평행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수직봉(511,512)들에 각각 설치된 4개의 제2구속블럭(541)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2구속블럭(541)이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각각 2개씩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2구속블럭(541)의 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및 제2수직봉(511,512)에 설치되는 육묘상자(520)의 개수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거치부재(542)는 제2구속블럭(541)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며, 육묘상자(5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육묘상자(520)의 하면 모서리가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부채꼴로 형성된다.
또한, 거치부재(542)는 육묘상자(520)가 메인프레임(510)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510)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육묘구조물는 실내에서도 식생매트(530)를 사용하여 식물을 식생할 수 있으며, 다수의 육묘상자(520)가 상하방향을 따라 다층구조를 이루므로 공간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식생매트
20: 매트부
21: 베이스부재
22: 커버부재
24: 결합수단
30: 식생부재
41: 보강부재
42: 고정부재
20: 매트부
21: 베이스부재
22: 커버부재
24: 결합수단
30: 식생부재
41: 보강부재
42: 고정부재
Claims (10)
-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충진공간이 마련되기 위해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가 마련된 매트부와;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되고,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생분해 속도조절부재가 포함된 식생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재에 내재되는 식생식물의 씨앗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식생부재는 상기 씨앗이 발아하여 용이하게 식생될 수 있도록 식생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 속도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생분해 속도를 촉진시키는 균주, 효소 또는 미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 속도조절부재는 상기 매트부가 설치되는 설치지역에 식생하는 잡초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생분해를 억제시키기 위해 불소, 목초액 또는 키토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 속도조절부재는 상기 매트부가 설치되는 설치지역에 식행하는 잡초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도록 태양광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생분해를 억제시기기 위해 불투명한 생석회, 옻, 멸균토, 활성탄 또는 멸균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재에 내재되는 식생식물의 씨앗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식생부재는 상기 씨앗이 발아하여 용이하게 식생될 수 있도록 식생토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씨앗의 발아시 상기 식생식물의 잎이 용이하게 상방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부가 비탈면에 설치시, 상기 비탈면이 강우나 유수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매트부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비탈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싱 또는 바느질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커버부재가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제1결합부와;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미싱 또는 바느질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커버부재가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고온의 열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커버부재가 상호 융착되는 열융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분리조립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육묘상자와;
상기 육묘상자에 각각 설치되고,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충진공간이 마련되기 위해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되고,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생분해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생분해 속도조절부재가 포함된 식생매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8510A KR101237522B1 (ko) | 2010-09-09 | 2010-09-09 |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 |
CN2010800690613A CN103096707A (zh) | 2010-09-09 | 2010-11-30 | 植被垫以及利用该植被垫的育苗结构物 |
PCT/KR2010/008539 WO2012033259A1 (ko) | 2010-09-09 | 2010-11-30 |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8510A KR101237522B1 (ko) | 2010-09-09 | 2010-09-09 |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6347A KR20120026347A (ko) | 2012-03-19 |
KR101237522B1 true KR101237522B1 (ko) | 2013-02-26 |
Family
ID=4581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8510A KR101237522B1 (ko) | 2010-09-09 | 2010-09-09 |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7522B1 (ko) |
CN (1) | CN103096707A (ko) |
WO (1) | WO201203325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5536A (ko) | 2016-11-17 | 2018-05-25 | 주식회사 남명 |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폐스크랩과 폐섬유를 이용한 복합 성형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972197B (zh) * | 2012-12-19 | 2013-11-20 | 北京北林绿源生态技术研究院有限责任公司 | 有色金属矿山废弃地植被恢复方法 |
KR101670009B1 (ko) * | 2015-12-24 | 2016-10-27 | 김병구 |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
CN105532302A (zh) * | 2016-01-22 | 2016-05-04 | 杨敏杰 | 一种新型育苗种植垫 |
KR101644045B1 (ko) * | 2016-02-22 | 2016-07-29 | (주)호정산업 | 패각을 이용한 식생매트 |
CA3036094A1 (en) * | 2016-09-12 | 2018-03-15 | Hamama, Inc. | Seed quilts |
US11212956B2 (en) | 2016-09-12 | 2022-01-04 | Hamama, Inc. | Growing seed quilts |
KR101957890B1 (ko) * | 2018-10-05 | 2019-03-14 | 주식회사 도광 | 발아환경을 조성한 맞춤형 식생매트 |
CN109162249A (zh) * | 2018-10-24 | 2019-01-08 | 江苏绿之源生态建设有限公司 | 驳岸生态修复垫以及驳岸的防护方法 |
CN112586227A (zh) * | 2020-12-25 | 2021-04-02 | 北京华夏绿洲生态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植被垫、植被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
ES2961537T3 (es) * | 2021-03-22 | 2024-03-12 | Sam Groofing Tech B V | Unidad modular para un tejado verde |
KR102557307B1 (ko) * | 2021-09-28 | 2023-07-19 | 김대현 | 외래식물 퇴치용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배수로 |
KR102674751B1 (ko) * | 2023-10-19 | 2024-06-13 | (주)미래엔피아 | 이끼생육을 위한 습도유지 공기질개선장치겸용 이끼재배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11707A (ko) * | 2007-06-19 | 2008-12-24 | 이미경 | 기능성 훈탄을 이용한 식생기반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0949747B1 (ko) | 2009-04-26 | 2010-03-25 | 주식회사 이에스에코 | 두개의 종자층을 갖는 식생 녹화용 식생 매트 |
KR100953950B1 (ko) | 2008-10-02 | 2010-04-21 | (주)에코원 | 미생물 및 식물 생육이 용이한 식생기반재 및 그 제조방법 |
KR20110002222A (ko) * | 2009-07-01 | 2011-01-07 | 이재환 | 토사침식방지와 조기식생,활착을 위한 무복토 활성탄 식생매트와 그의 제조 방법과 설치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I91643C (fi) * | 1989-10-05 | 1994-07-25 | Biostor Oy | Biologisesti hajoava kalvo ja menetelmä sellaisen valmistamiseksi |
CN2128031Y (zh) * | 1992-07-01 | 1993-03-17 | 王肇嘉 | 植物栽培架 |
DE19632716A1 (de) * | 1996-04-16 | 1997-10-23 | Tils Peter | Verfahren zum Ausbringen von Samen |
CN2307442Y (zh) * | 1997-07-10 | 1999-02-17 | 地方国营绥棱县纤维板厂 | 草地毯 |
CN1382364A (zh) * | 2001-04-20 | 2002-12-04 | 王宽飞 | 一种新型的草皮培育基质与它的盛盘及其生产工艺 |
KR200436615Y1 (ko) * | 2006-10-24 | 2007-09-12 | 전형기 | 조립식 간편 육묘기 |
CN201048485Y (zh) * | 2007-05-26 | 2008-04-23 | 襄樊学院 | 边坡绿化植生毯 |
-
2010
- 2010-09-09 KR KR1020100088510A patent/KR1012375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11-30 CN CN2010800690613A patent/CN103096707A/zh active Pending
- 2010-11-30 WO PCT/KR2010/008539 patent/WO201203325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11707A (ko) * | 2007-06-19 | 2008-12-24 | 이미경 | 기능성 훈탄을 이용한 식생기반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
KR100953950B1 (ko) | 2008-10-02 | 2010-04-21 | (주)에코원 | 미생물 및 식물 생육이 용이한 식생기반재 및 그 제조방법 |
KR100949747B1 (ko) | 2009-04-26 | 2010-03-25 | 주식회사 이에스에코 | 두개의 종자층을 갖는 식생 녹화용 식생 매트 |
KR20110002222A (ko) * | 2009-07-01 | 2011-01-07 | 이재환 | 토사침식방지와 조기식생,활착을 위한 무복토 활성탄 식생매트와 그의 제조 방법과 설치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5536A (ko) | 2016-11-17 | 2018-05-25 | 주식회사 남명 |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폐스크랩과 폐섬유를 이용한 복합 성형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096707A (zh) | 2013-05-08 |
WO2012033259A1 (ko) | 2012-03-15 |
KR20120026347A (ko) | 2012-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7522B1 (ko) |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 | |
US6658790B2 (en) | Method of propagation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 |
KR200436528Y1 (ko) | 수목 보호용 식생매트 | |
US20090320367A1 (en) |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 |
US20060207170A1 (en) | Hair felt | |
JP2018174933A (ja) | 自然薯栽培器及び自然薯栽培システム | |
CZ20012354A3 (cs) | Vegetační prvek k ozelenění umělých nebo přírodních ploch a způsob jeho výroby | |
JP6843333B1 (ja) | パパイヤの増産方法 | |
KR20160143342A (ko) | 농작물 지지대 | |
JP2008173118A (ja) | 植物栽培用袋 | |
JP3477410B2 (ja) | 法面緑化用の植生基盤材と法面の緑化工法 | |
KR102503940B1 (ko) | 부직포 화분 | |
KR960004330B1 (ko) | 잔디 재배용 매트(mat)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17209106A (ja) | 自然薯栽培器及び自然薯栽培システム | |
JPH05292841A (ja) | 植物栽培器 | |
JP2003055972A (ja) | 埋土種子による植物導入方法と植栽棚 | |
JP2004267181A (ja) | 植物自在棒固定鉢 | |
JP2007175040A (ja) | 特定の天然植物の栽培方法およびその栽培に使用する育生保持体 | |
JP2005211056A (ja) | 植物育成用吸水材または植物育成用支柱 | |
JP3589551B2 (ja) | イチゴの育苗容器、イチゴの育苗装置及びイチゴの育苗方法 | |
US20240237591A1 (en) | Biodegradable layered composite | |
JP2004344043A (ja) | 立体型植栽構造物 | |
US20210176923A1 (en) | Organic Hemp Weed Barrier | |
JP3480565B2 (ja) | 法面用植栽ポット | |
JP2001095391A (ja) | 育苗、挿し木用培養マット、ポット型培養土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