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009B1 -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009B1
KR101670009B1 KR1020150186055A KR20150186055A KR101670009B1 KR 101670009 B1 KR101670009 B1 KR 101670009B1 KR 1020150186055 A KR1020150186055 A KR 1020150186055A KR 20150186055 A KR20150186055 A KR 20150186055A KR 101670009 B1 KR101670009 B1 KR 101670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layer
fabric layer
vegetable
nutr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254A (ko
Inventor
김병구
Original Assignee
김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구 filed Critical 김병구
Priority to KR1020150186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0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Abstract

본 발명은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매트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닥면을 형성하고, 작업현장의 지면에서 자라나오는 잡초의 발아 내지 성장을 억제함과 동시에, 지면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토양의 습도를 보존하는 멀칭 부직포층과; 상기 멀칭 부직포층의 위에 존재하고, 외부의 환경 조건에 따라 분해되어지는 표피부와, 상기 표피부의 내부에 봉입되어 있는 영양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영양성분 조절부재와; 상기 멀칭 부직포층의 위에 존재하고, 부분적으로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와 맞닿아 있으며, 외부의 추운 온도로부터 보온 및 보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볏짚이나 야자수 잎, 코코넛 껍질, 보릿대, 옥수수대, 천연섬유,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무공해 섬유질로 짠 그물망 형태의 식물성 표면층과; 상기 멀칭 부직포층과 상기 식물성 표면층을 서로 결속시켜서,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를 최초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식생 매트 전체를 일체형 시트 형상으로 고정시키는 결속수단; 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Vegitation Mat for Preventing Overgrowth with Weed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도로 주변이나 공원 등과 같은 자연녹지를 기획하는 평탄한 녹지공간 또는 하천이나 제방 또는 야산의 경사면 등에 식물을 식재할 경우, 그 식물이 지중에서 잘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는 반면에, 지면에 임의적으로 자라나게 되는 잡초에 대해서는 그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매트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훼손된 자연환경을 다시 원래대로 되돌리고자 하는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이러한 영향은 그동안 산업화의 기치 아래 진행되어 왔던 일련의 개발 정책에 큰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국내의 고속도로 주변이나 공원 등과 같은 자연녹지를 기획하는 평탄한 녹지공간 또는 하천이나 제방 또는 야산의 경사면 등에 대한 분야에 있어서도, 이러한 경향은 예외일 수 없어서, 최근에 들어서서 다양한 형태의 친환경 제품들과 더불어 친환경 시공방법들이 개량되어 오고 있고, 이러한 기술들을 소개하고 있다.
고속도로 주변이나 공원 등과 같은 자연녹지를 기획하는 평탄한 녹지공간 또는 하천이나 제방 또는 야산의 경사면을 시공하는 분야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식생블록을 이용하거나 식생매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식생블록을 이용한 방법은 대체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의 중앙에 식물들이 자라날 수 있는 작은 공간을 형성하고, 그 작은 공간의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여, 그 곳에서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식생블록 자체가 콘크리트 제품으로서, 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오늘날에는 친환경 시공방법으로 취급되지 못하고 있다.
식생매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주로 씨앗 종자를 식생매트의 내부에 포함하고 있거나, 식생매트의 바닥층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씨앗 종자가 잘 발아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씨앗 종자를 포함한 식생매트는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가지고 있는 환경에서는 쉽게 발아하게 되므로, 식생매트를 제조한 이후 빠른 시기 이내에 시공을 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식생매트를 장기간 보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씨앗 종자가 발아할 경우, 미세한 뿌리가 지면을 뚫고 들어가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작업현장의 토질(토양의 성질)은 대부분의 경우 영양성분이 거의 없는 박토에 가까운 것이어서, 씨앗 종자가 발아된 이후에 쉽게 토지에 활착하여 성장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개발된 대부분의 식생매트들은 이와 같은 씨앗 종자를 포함한 기술들로 가득차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참조).
이에 반하여, 상기 씨앗 종자를 포함한 식생매트의 단점을 고려하여, 식생매트를 이용하되, 이미 발아하여 성장한 식물체를 모종으로 하고, 상기 모종 식물체를 상기 식생매트에 식재하는 기술이 시행되고 있다. 이 방식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938809호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으로 소개되고 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938809호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은 지면에 접촉되어지고 식물의 영양원으로 사용되어질 식물성 바닥층과, 상기 식물성 바닥층의 위에 존재하고 철망으로 구성된 지지철망층과, 상기 식물성 바닥층과 상기 지지철망층을 고정시키는 철망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그 내부에 씨앗 종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제조에서 시공에 이르기까지 장시간 보관시에도 제품의 성능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으며, 외부에서 어느 정도 자라난 성체 모종을 식재하므로, 식물의 활착이 매우 좋고, 나중에 이르기까지 성장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938809호의 기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시공구간의 내부 토지에서 자라나게 되는 잡초들이 성장하게 될 경우, 그 잡초들을 나중에 제거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잡초는 그 토질에서 자라난 식물종으로서 생명력이 매우 강하고 질겨서, 이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동일한 토질에서 영양성분들을 먼저 흡수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식재된 식물종이 자라나는데 필요한 영양성분들이 쉽게 고갈되어지게 되어, 외부에서 식재된 식물종이 잘 자라나지 못하거나 병약한 상태로 자라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종래의 씨앗 종자를 포함한 식생매트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되고 있는 것인 바, 씨앗이 발아하게 된 시점에서는 이미 잡초들이 지면에서 자라나서 성장해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될 것이므로, 더욱 심각한 부작용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식생매트의 설치 이후에 그 내부 지면에서 자라나오게 될 잡초들의 성장을 저지하거나 발아를 억제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해결과제라고 할 것이다. 또한, 시공된 지면의 내부에서 자라나게 식물로서, 시공 당시에 외부에서 식재되어 있는 모종 식물이 식재된 이후에 더욱 건강하고 활기차게 성장하도록 보조해주기 위해서는, 시공 이후에도 식재된 특정 부위에 대한 지속적인 영양관리가 필요한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412817호 "친환경 생태계 보호용 식생매트" (2006. 3. 2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42037호 "잡초방제용 직파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2004. 7. 1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18279호 "훼손지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물매트" (2006. 8. 24.);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07-30370호 "짚코 원단 네트와 그의 제조방법" (2007. 3. 1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74457호 "황토 코아 식생매트" (2010. 8.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38809호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 (2010. 1. 1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5353호 "사면 녹화용 잔디매트" (2011. 11. 15.).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속도로 주변이나 공원 등과 같은 자연녹지를 기획하는 평탄한 녹지공간 또는 하천이나 제방 또는 야산의 경사면 등에 식물을 식재할 경우, 시공 이후에 시공된 지면에서 임의적으로 자라나게 되는 잡초에 대해서는 그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반면에, 외부에서 식재된 식물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영양성분을 공급함으로써 그 외부 식재 식물이 잘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식생매트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작업현장의 지면에서 자라나오는 잡초의 발아 내지 성장을 억제함과 동시에, 지면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토양의 습도를 보존하는 멀칭 부직포층과; 상기 멀칭 부직포층의 위에 존재하고, 외부의 환경 조건에 따라 분해되어지는 표피부와, 상기 표피부의 내부에 봉입되어 있는 영양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영양성분 조절부재와; 상기 멀칭 부직포층의 위에 존재하고, 부분적으로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와 맞닿아 있으며, 외부의 추운 온도로부터 보온 및 보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볏짚이나 야자수 잎, 코코넛 껍질, 보릿대, 옥수수대, 천연섬유,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무공해 섬유질로 짠 그물망 형태의 식물성 표면층과; 상기 멀칭 부직포층과 상기 식물성 표면층을 서로 결속시켜서,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를 최초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식생 매트 전체를 일체형 시트 형상으로 고정시키는 결속수단; 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칭 부직포층과 상기 식물성 표면층의 사이에는 전분과 셀룰로오스와 같이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분해성 수지와 천연물에서 유래한 합성수지로서의 폴리락산을 이용하여 만든 PLA 섬유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는 시공현장이 아닌 별도의 공장에서 제작되어 시공현장으로 운반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을 선정하고, 그 지역의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형성하는 작업장 지역의 정지단계(S 310)와;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를 제조하여 작업현장인 평탄면 또는 경사면 위에 배치하고, 지면에 완전히 밀착되어지도록 하는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의 시공현장 배치단계(S 320)와;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를 고정수단에 의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의 고정단계(S 330)와;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의 표면에 군데군데 식물의 식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식물의 식재구멍에 식물을 식재하는 식물 식재단계(S 340)와; 상기 모종식물이 식재된 이후에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 위에 물을 뿌려서 상기 모종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초기 영양성분을 공급하는 마무리단계(S 350); 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는 그 내부에 씨앗 종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씨앗 종자가 시공작업 이전에 발아될 염려가 전혀 없고, 제품의 생산 이후 장기간 보존 및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는 외부에서 어느 정도 발아되어 잔뿌리 등이 잘 발달되어 있는 외부 식물을 식재하는 것이므로, 식생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 그 지면의 내부에서 잘 활착할 수 있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는 식생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 외부의 햇빛을 차단하고 지면의 위로 올라온 잡초들이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도록 방해함으로써, 결국에는 잡초들이 사멸되어지도록 유도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는 상기 잡초들의 성장을 억제하는 반면에, 식생매트의 내부에 존재하는 영양성분들을 상기 식재구멍을 통하여 계속적이고 지속적으로 내려보냄으로써, 지중에 식재된 모종 식물들이 잘 활착하여 굳건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은 고속도로 주변이나 공원 등과 같은 자연녹지를 기획하는 평탄한 녹지공간에 적용할 수도 있고, 하천이나 제방 또는 야산의 경사면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을 적용할 경우, 식재된 모종 식물이 매우 잘 활착할 수 있고, 지속적인 성장을 계속할 수 있으므로, 시공 구간에 대한 식물의 성공 확률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특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을 적용할 경우, 시공 구간에 대한 식물의 성공 확률이 매우 양호하므로, 일반 대중들이 선호하면서도 시공에 의한 성공확률이 낮았던 식물들에 대해서도, 모종 식재에 의한 주변환경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에 관한 분해상태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에 관한 다른 분해상태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에 관한 조립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조립도이며,
도 5는 시공작업 이후, 본 발명의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고속도로 주변이나 공원 등과 같은 자연녹지를 기획하는 평탄한 녹지공간 또는 하천이나 제방 또는 야산의 경사면 등에 식물을 식재할 경우에 사용되어지는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에 관한 분해상태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는 시공시에 지면에 접촉되어지는 부위로서 바닥면을 형성하고 있는 멀칭 부직포층(11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은 작업현장의 지면에서 자라나오는 잡초가 발아되는 것을 막아주거나 그 잡초가 성장하는 것을 억제해주게 된다.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은 작업현장의 지면에 밀착되어 햇빛을 차단하고, 지면에서 올라온 잡초들이 계속 성장하고자 할 경우, 차단벽으로서 기능하게 되므로, 잡초들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낮과 밤이 반복적으로 계속될 경우, 낮에는 햇볕에 의해 지면을 가열시키고 햇빛과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게 되므로, 그 아래쪽에서 발아된 잡초들은 점차적으로 말라서 죽거나 성장이 멈추고 고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은 작업 현장의 지면을 위에서 내리누르면서 감싸안고 있는 상태이므로, 지면의 토양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시공 이후에 집중적인 호우가 내릴 경우, 지면의 유실을 방지하는 효과는 크다고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은 지면 내부의 토양의 습도를 보존하게 된다. 습도의 보존은 외부에서 식재된 식물이 자라나는데 필요한 수분을 흡수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또한,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은 식물의 시공 이후에 서서히 분해되어 식재된 식물의 영양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은 외부에서 유래된 미생물에 의해 분해작용이 시작되어지지만, 급속하게 분해되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너무 급속하게 분해될 경우, 지면에서 올라온 잡초들이 쉽게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을 뚫고 나와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식재된 식물이 그 작업 현장에서 완전히 활착되어 성장한 이후에 분해작용이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분해 시간은 식생 매트의 영양성분 조절부재(120)의 분해시간에 비하여 더 늦게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는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위에 존재하는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는 외부의 환경 조건에 따라 분해되어지는 표피부(122)와, 상기 표피부(122)의 내부에 봉입되어 있는 영양물질(1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영양물질(124)은 알칼리성 조개껍질을 분말화시킨 패각분말, 황토, 활성탄, 섬유질 코코 피트, 토양 개량제, 발효퇴비, 미생물 제제, 화학비료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는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위에 존재하고 있으며, 가늘고 긴 형태로 배열되어 있거나, 봉지 형태로 군데군데 배치되어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피부(122)는 외부에서 물 또는 빗물이 공급될 경우 그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영양물질의 영양성분들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분해되어 파열되어지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표피부(112)는 예컨대 종이 재질, 또는 생분해성 천연섬유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는 모종 식물의 식재 작업 이후에 상기 모종 식물이 잘 자라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계속적으로 영양성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는 작업자들이 모종식물을 식재하기 이전 또는 식재하는 도중에는, 상기 표피부(122)가 그 내부에 상기 영양물질(124)을 그대로 봉입한 상태로 있으므로, 시공 과정에서 특별한 작동관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시공 작업을 마무리한 직후, 또는 그 이후에 외부에서 물을 뿌려주거나 빗물이 적시게 될 경우,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는 상기 표피부(122)를 통하여 그 내부의 영양물질(124)을 외부로 약간씩 방출하게 되고, 외부로 방출된 상기 영양물질(124)의 영양성분들은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에서 낮은 곳으로 흘러가다가, 작업자가 모종 식물을 식재하기 위하여 뚫어놓은 식재구멍(112)을 통해 지면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도 3 참조). 상기 식재 구멍(112)을 통하여 지면으로 흘러들어온 영양성분들은 상기 모종 식물의 뿌리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흡수되어지고, 상기 모종 식물의 성장은 더욱 큰 힘을 받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피부(122)의 분해시간은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분해 시간에 비하여 더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면에서 올라오는 잡초를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이 충분하게 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 상기 표피부(122)가 신속하게 분해됨으로써, 지중에 식재되어 있는 모종식물에 대하여 상기 영양성분들을 상대적으로 빨리 공급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모종식물의 생장을 활성화시키고 활착능력을 배가시켜주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는 상기 멀칭 부직포층(120)의 위에 존재하고 있는 식물성 표면층(13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은 볏짚이나 야자수 잎, 코코넛 껍질, 보릿대, 옥수수대, 천연섬유,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은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가지면서도 멀칭 부직포층(120)의 위에 놓여져서, 시공시 지면 위를 덮어 줌으로서, 외부의 추운 온도로부터 지면을 따스하게 보호하고, 지면으로부터 수분이 쉽게 외부로 발산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은 상기 야자수 잎, 볏짚, 보릿대, 옥수수대, 코코넛 껍질, 코아네트, 천연섬유 또는 식물성 직물지 등을 이용하여 하나의 시트를 형성한 단독층을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의 시트들이 겹쳐져서 복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은 식물성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어지면, 미생물들에 의하여 분해되어지고, 식물의 영양원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의 분해시간은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분해 시간에 비하여 더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역시 지면에서 올라오는 잡초를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이 충분하게 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이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분해됨으로써, 지중에 식재되어 있는 모종식물에 대하여 상기 영양성분들을 상대적으로 빨리 공급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모종식물의 생장을 활성화시키고 활착능력을 배가시켜주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은 식재된 모종 식물이 충분하게 성장하는 것을 돕고, 그 성장과정에서 지면을 보호하고,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의 표피부(122)가 완전히 분해되어 그 영양성분이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식재구멍(112)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보장해야 하므로,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의 분해시간은 상기 표피부(122)의 분해 시간에 비하여 더 늦게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는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과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을 서로 결속시켜주는 결속수단(1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결속수단(140)은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과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을 서로 결합시켜줌으로써, 이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고, 하나의 일체적인 시트형상의 조립체로서 묶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140)은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의 위치를 변동시키지 않고 원래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상기 결속수단(140)이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과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을 서로 결합시켜 줄 경우,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는 그 사이에 존재하게 되므로, 최초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원래의 위치에 고정시켜 주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에 관한 다른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에 관한 조립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는 다양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과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의 사이에, 식물성 섬유층(150)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성 섬유층(150)은 전분과 셀룰로오스와 같이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분해성 수지와 천연물에서 유래한 합성수지로서의 폴리락산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식물성 섬유층(150)은 지면에 대한 보온 및 보습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유기물질로 분해되어 작업현장에 식재된 모종 식물에 영양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물성 섬유층(150)으로서는 천연물에서 유래한 폴리락산을 이용한 PLA 섬유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성 섬유층(150)의 위치는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위에 바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의 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멀칭 부직포층(110) - 영양성분 조절부재(120) - 식물성 섬유층(150)의 순서이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멀칭 부직포층(110) - 식물성 섬유층(150) - 영양성분 조절부재(120)의 순서로 되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섬유층(150)의 분해시간은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분해 시간에 비하여 더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역시 지면에서 올라오는 잡초를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이 충분하게 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 상기 식물성 섬유층(150)이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분해됨으로써, 지중에 식재되어 있는 모종식물에 대하여 상기 영양성분들을 상대적으로 빨리 공급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모종식물의 생장을 활성화시키고 활착능력을 배가시켜주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는 다양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의 위에, 철망지지층(160)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철망지지층(160)은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의 위쪽에 위치하고, 전체 식생 매트(100)의 뼈대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철망지지층(160)은 가는 철선들이 서로 이중으로 꼬여져서 형성된 6각 개비온 철망이 바람직하고, 이것을 개량한 5각 개비온 철망도 좋다. 또한, 상기 철망지지층(160)은 4각 능형 철망이나 4각 용접철망의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철망지지층(160)이 형성된 식생 매트(100)는 평탄면에 사용될 수 있지만, 하천이나 야산의 경사면에 식생 작업을 행할 경우에 주로 사용되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를 실시하였을 경우, 그 작용관계를 나타낸 예시도면으로서, 도 5a는 시공작업시 식재구멍을 형성한 상태이고, 도 5b는 식재구멍에 모종식물을 식재한 이후 마무리단계를 완료한 상태를 나타니고 있으며, 그 상태에서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는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는, 도 5에 의하여 확인되는 바와 같이, 지면에 모종 식물을 식재하였을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의 표피부(122)에서 그 내부의 영양물질(124)이 빠져나와서 그 저면에 있는 멀칭 부직포층(110)을 따라 낮은 곳으로 흘러가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식재구멍(112)으로 흘러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과 상기 식물성 섬유층(150)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경우, 그로 인한 유기질 영양성분들은 역시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을 따라 낮은 곳으로 흘러가게 되고, 상기 식재구멍(112)으로 흘러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지면에서 올라온 잡초들은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에 가로 막혀서 그 성장이 둔화되고, 점차적으로 그 아래쪽에서 고사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는 시공현장이 아닌 별도의 공장에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공현장에서 조립할 경우, 작업자들이 조립공정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상 유리한 측면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를 사용할 경우에는, 시공현장으로 운반한 이후, 경사면에 펼쳐놓은 다음, 마무리작업을 수행하면 족하므로, 경사면 시공방법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1). 경사면의 정지단계(S 310):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을 선정하고, 그 지역의 표면을 걷어내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는 토양을 형성하는 작업장 지역의 정지단계(S 3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 지역의 정지단계(S 310)는 통상적인 방법 및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평탄면이나 경사면을 선정하고, 그 지역의 표면을 걷어낸다.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은 대하천이나 소하천 또는 강변이나 개울 등의 제방이나 둑을 포함하고, 또한 고속도로 주변이나 공원 등의 평탄면을 포함한다. 작업 지역에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 블록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이들을 걷어내고, 본래의 토양이 드러날 때까지 흙파기를 계속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경사면의 내부 토양이 드러나면, 이를 고르게 정지하고,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내부 토양을 뒤섞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블록에 의해 대기와의 호흡이 미약하였던 내부 토양을 뒤섞어줌으로써, 내부토양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2).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의 배치단계(S 320):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은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를 제조하여, 작업현장인 평탄면 또는 경사면 위에 배치하고, 지면에 완전히 밀착되어지도록 하는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의 시공현장 배치단계(S 32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은 기본적으로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를 이용한다.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를 공장에서 제조하여 작업 현장으로 운반하여 시공구간에 적절하게 배치한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 사용되어지는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면을 형성하고, 작업현장의 지면에서 자라나오는 잡초의 발아 내지 성장을 억제함과 동시에, 지면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토양의 습도를 보존하는 멀칭 부직포층(110)과;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위에 존재하고, 외부의 환경 조건에 따라 분해되어지는 표피부(122)와 상기 표피부(122)의 내부에 봉입되어 있는 영양물질(124)로 구성된 영양성분 조절부재(120)와;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위에 존재하고, 외부의 추운 온도로부터 보온 및 보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볏짚이나 야자수 잎, 코코넛 껍질, 보릿대, 옥수수대, 천연섬유, 또는 건초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무공해 섬유질로 짠 그물망 형태의 식물성 표면층(130)과;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과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을 서로 결속시켜서,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를 최초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식생 매트 전체를 일체형 시트 형상으로 고정시키는 결속수단(140); 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는 작업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예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에 관한 설명 및 그 작용 관계 등에 대해서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반복하여 기재하지 않기로 한다.
3).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의 지면에 대한 고정단계(S 330):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은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를 고정수단에 의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의 고정단계(S 3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를 작업현장의 평탄면 또는 경사면 위에 올려놓고 적절하게 배치한 다음,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의 여러 군데에 대해 앵커(도시되지 않음) 또는 철제 못 등의 고정수단을 박아서 지면에 고정시켜 준다. 지면에 대한 고정방식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서, 특별한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아니하므로, 특별한 제한을 가하지 아니한다.
4). 모종식물의 지면에 대한 식재단계(S 340):
본 발명에 의한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은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의 표면에 군데군데 식물의 식재구멍(112)을 형성하고, 외부에서 성장시킨 모종식물을 상기 식재구멍(112)에 식재하는 모종식물의 식재단계(S 34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종식물의 식재단계(S 340)는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를 지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모종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구멍(112)을 형성한 다음, 외부에서 어느 정도 성장시킨 모종식물을 식재하게 된다. 상기 식재구멍(112)은 외부에서 어느 정도 성장시켜서 트레이에 담긴 모종식물을 지면에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구멍을 말한다. 상기 식재구멍(112)은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기계 공구를 작동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식재구멍(112)은 작업의 능률 및 시공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해머드릴(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해머드릴을 이용하여 상기 식재구멍(112)을 형성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미 공지된 것이고, 이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938809호의 선행기술에 이미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해머드릴에 의해 식재구멍(112)을 형성할 경우,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는 그 부분이 움푹 들어간 형태를 가지게 되고, 그 주변에 있는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로부터 빠져나온 영양물질(124)의 영양성분들이 움푹 들어간 상기 식재구멍(112)으로 흘러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모종식물의 식재단계(S 340)에서 상기 식재구멍(112)이 형성되어지면, 작업자들은 상기 식재구멍(112)에 모종식물을 식재하게 된다. 상기 모종식물은 작업장 주변의 환경에 적합한 화초이거나 야생 식물이거나 때로는 작은 묘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종식물은 작업자들이 상기 식재구멍(112)의 내부에 식물의 씨앗을 직접 파종하여 형성된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5). 시공작업의 마무리 단계(S 350):
본 발명은 상기 모종식물이 식재된 이후에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 위에 물을 뿌려서 상기 모종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초기 영양성분을 공급하는 마무리단계(S 350);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모종식물이 식재된 이후에,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 위에 물을 뿌려준다. 통상적으로 시공작업 이후에 시공된 식생매트의 위에 물을 뿌려주고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 기능적인 차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100)에 물을 뿌려줄 경우, 그 물은 식생매트의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를 적시게 되고, 상기 표피부(122)를 침투하여 상기 영양물질(124)을 적시게 된다. 상기 영양물질(124)은 물에 그의 영양 성분들을 녹이게 되고, 상기 표피부(122)를 뚫고 흘러나와 상기 식재구멍(112)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상기 식재구멍(112)을 통하여 지중으로 흘러들어간 영양성분들은 조금 전에 식재된 모종식물의 뿌리에 수분과 영양성분을 동시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일단, 상기 마무리단계(S 350)에서 한번 물에 젖게 된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는 그 이후 흐물흐물한 상태를 가지게 되고, 각종 미생물들이 서식하여 상기 표피부(122)를 분해시키기 시작한다. 상기 표피부(122)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분해 가속도가 붙게 되고, 점차적으로 그 내부의 영양성분들을 외부로 방출하게 되며, 점점 더 많은 영양성분들이 상기 식재구멍(112)을 통하여 모종식물의 뿌리에 공급되어진다.
한편, 더 많은 시간이 지나게 되면,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과 상기 식물성 섬유층(150)이 서서히 분해되어지고, 분해된 식물성 물질은 식물이 흡수하기에 적합한 유기질 영양물질로 존재하게 되고, 역시 상기 식재구멍(112)을 통하여 모종식물의 뿌리에 공급되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시공작업이 마무리된 시점에서는, 외부에서 식재된 모종식물이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로부터 영양성분과 수분을 공급받게 되고, 시간이 점차적으로 흘러감에 따라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과 상기 식물성 섬유층(150)에서 분해된 유기물질을 통하여 영양성분을 계속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받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은 가장 나중에 분해되어지므로, 그 아래쪽에서 올라오는 잡초들의 성장을 방해하고 그 잡초들을 고사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식재된 모종식물이 지중에서 활착하는데 가장 중요한 초기 단계에서부터 적절한 영양성분들을 공급해줌과 동시에, 가장 해로운 잡초들에 대해서는 그 성장을 억제하고 고사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매트 및 그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매트,
110 : 멀칭 부직포층, 112 : 식재구멍,
120 : 영양성분 조절부재, 122 : 표피부,
124 : 영양물질, 130 : 식물성 표면층,
140 : 결속수단, 150 : 식물성 섬유층

Claims (3)

  1. 바닥면을 형성하고, 작업현장의 지면에서 자라나오는 잡초의 발아 내지 성장을 억제함과 동시에, 지면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토양의 습도를 보존하는 멀칭 부직포층(110)과;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위에 존재하고, 외부의 환경 조건에 따라 분해되어지는 표피부(122)와, 상기 표피부(122)의 내부에 봉입되어 있는 영양물질(124)로 구성되어 있는 영양성분 조절부재(120)와;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위에 존재하고, 부분적으로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와 맞닿아 있으며, 외부의 추운 온도로부터 보온 및 보습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볏짚이나 야자수 잎, 코코넛 껍질, 보릿대, 옥수수대, 천연섬유, 또는 건초를 포함한 식물성 재료로 구성되어 무공해 섬유질로 짠 그물망 형태의 식물성 표면층(130)과;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과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을 서로 결속시켜서,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를 최초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식생 매트 전체를 일체형 시트 형상으로 고정시키는 결속수단(140)과;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과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의 사이에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분해성 수지와 천연물에서 유래한 합성수지로서의 폴리락산을 이용하여 만든 PLA 섬유층으로 된 식물성 섬유층(150);을 포함하고 있고,
    이때,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는 시공 작업을 마무리한 직후, 또는 그 이후에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의 위에 물을 뿌려주거나 빗물이 적시게 될 경우, 상기 표피부(122)를 통하여 그 내부의 영양물질(124)을 외부로 방출하게 되고, 외부로 방출된 상기 영양물질(124)의 영양성분들은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에서 낮은 곳으로 흘러가다가, 식재구멍(112)을 통해 지면으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모종식물의 뿌리로 흡수되어지는 것이고,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분해시간은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의 표피부(122)의 분해시간에 비하여 더 느리게 진행되어지고,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분해시간은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의 분해시간에 비하여 더 느리게 진행되어지며,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의 분해시간은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의 표피부(122)의 분해시간에 비하여 더 늦게 진행되어지고,
    상기 식물성 섬유층(150)의 분해시간은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분해 시간에 비하여 더 빠르게 진행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멀칭 부직포층(110)의 분해 시간이 상기 영양성분 조절부재(120)의 표피부(122)의 분해시간과 상기 식물성 표면층(130)의 분해시간에 비하여 더 늦게 진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잡초 발아 억제용 식생 매트.
  2. 삭제
  3. 삭제
KR1020150186055A 2015-12-24 2015-12-24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670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055A KR101670009B1 (ko) 2015-12-24 2015-12-24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055A KR101670009B1 (ko) 2015-12-24 2015-12-24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532A Division KR20150097247A (ko) 2014-02-18 2014-02-18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54A KR20160004254A (ko) 2016-01-12
KR101670009B1 true KR101670009B1 (ko) 2016-10-27

Family

ID=5517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055A KR101670009B1 (ko) 2015-12-24 2015-12-24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5470A (zh) * 2018-06-27 2018-09-28 重庆盛方新材料科技有限公司 植培垫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809B1 (ko) * 2009-08-17 2010-01-28 김병구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
KR100968812B1 (ko) * 2009-11-11 2010-07-14 주식회사 석송 식생매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037B1 (ko) 2001-04-13 2004-07-3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잡초 방제용 직파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18279B1 (ko) 2004-01-28 2006-09-01 주식회사현우그린 훼손지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물매트
KR20070030370A (ko) 2005-09-13 2007-03-16 주식회사 디오예은 짚코 원단 네트와 그의 제조방법
KR200412817Y1 (ko) 2005-12-30 2006-03-31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친환경 생태계 보호용 식생매트
KR101085353B1 (ko) 2007-11-02 2011-11-22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KR100974457B1 (ko) 2008-04-28 2010-08-06 일광콘크리트공업 (주) 황토 코아 식생매트
KR101237522B1 (ko) * 2010-09-09 2013-02-26 김유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809B1 (ko) * 2009-08-17 2010-01-28 김병구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 경사면의 구축방법
KR100968812B1 (ko) * 2009-11-11 2010-07-14 주식회사 석송 식생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54A (ko)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790B2 (en) Method of propagation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CN100384317C (zh) 南方红豆杉种植方法
KR200436528Y1 (ko) 수목 보호용 식생매트
KR100805188B1 (ko) 생태숲 조성공법
CA2789513C (en) Vegetation element for greening artificial or natural surfaces having low and/or high plan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vegetation element
CN109328808A (zh) 一种西北地区边坡生态治理方法
JP4965172B2 (ja) リュウノヒゲ属又はヤブラン属の種苗生産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利用した地被緑化工法
KR20150097247A (ko)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RU2751851C1 (ru) Способ интенсивного выращивания газона с обогащением почвы водой с помощью суперабсорбента при орошении
KR101190009B1 (ko) 펄프솜에 의한 식생기반층을 구비한 식생매트의 제조공법
KR101670009B1 (ko)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205552B1 (ko) 셀형 코어에 의한 식생기반층을 구비한 식생매트의 제조공법
CN105648999B (zh) 秸秆毯及其制造方法与应用
KR101014602B1 (ko) 식생기반매트를 이용한 사면녹화 방법
KR100510082B1 (ko) 유기생태형 무토(無土)잔디
JP2004166701A (ja) 防草・抑草・除草用材の施工方法及び防草・抑草・除草用被覆板、シート体
JP3791693B1 (ja) 種苗育成体
KR20100015267A (ko) 사전적응형 식생매트를 이용한 친환경 경사면 시공방법
KR20200134697A (ko) 사면보호용 식생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사면보호용 식생매트
JP3811664B2 (ja) 芝生地化方法、芝マット製造方法、芝マット
JPH0978586A (ja) 法面保護緑化用マット
JP2002186349A (ja) 緑化基材及びこれを用いた植物の栽培方法。
Decker Producing Sods over Plastic
US20040123520A1 (en) Device and method of moisture retention and fertilization
JPH07236350A (ja) 苗木の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