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353B1 -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 Google Patents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353B1
KR101085353B1 KR1020080108642A KR20080108642A KR101085353B1 KR 101085353 B1 KR101085353 B1 KR 101085353B1 KR 1020080108642 A KR1020080108642 A KR 1020080108642A KR 20080108642 A KR20080108642 A KR 20080108642A KR 101085353 B1 KR101085353 B1 KR 101085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layer
straw
seed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5881A (ko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Publication of KR2009004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Abstract

사면녹화용 잔디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용 잔디매트는 복수 개의 볏짚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되, 수용성 접착제 및 토양개량제를 포함하는 식생기반재가 하부면에 도포된 볏짚원단층; 상기 볏짚원단층 상에 멀칭되도록 형성된 분해성수지필름층; 및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황마실을 이용하여 망형구조로 제작된 황마매쉬층;을 포함하고, 상기 볏짚원단층의 하부면에는 잔디의 종자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잔디 종자의 지표면 부착률을 향상시켜 잔디 종자의 부패 또는 고사에 의한 유실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토양에 보습력 및 보비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발아 속도가 느린 들잔디 종자의 조기 발아까지도 촉진할 수 있어서 우수한 녹화효율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면녹화용 잔디매트{Lawn mat for greening a slope}
본 발명은 사면녹화용 잔디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잔디 종자의 지표면 부착률을 향상시켜 잔디 종자의 부패 또는 고사에 의한 유실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토양에 보습력 및 보비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발아 속도가 느린 한국 들잔디 종자의 조기 발아까지도 촉진할 수 있어서 우수한 녹화효율을 가지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에 관한 것이다.
환경이 인류의 복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면서 오염예방과 정화, 청정기술, 환경복원 등과 관련된 환경산업의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세계 환경시장 규모는 99년에만 4,950억 달러에 이르고 있는데, 이는 세계 자동차 시장규모 1조 370억 달러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보통신(8,820억 달러)이나 메모리반도체(1,750억 달러)와 비교해 볼 때 결코 적지 않은 시장이다.
환경 시장 중에서도 최근 전 세계적으로 훼손지의 환경복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환경복원사업 관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대표적인 환경복원사업으로는, 각종 도로 또는 철도, 하천제방, 터널 입구 등을 시공하는 지역에 존재하는 절토사면(切土斜面)이나 성토사면(盛土斜面)에 대 하여 친환경적인 녹화사업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사면에 대한 친환경적인 녹화사업은 우수에 의한 침식방지, 지표면 온도변화의 완화, 식물의 뿌리로 표토를 묶어 동상붕락의 억제 및 완화, 미적 효과, 토양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조경수 또는 잔디 등을 식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중에서도 잔디는 지표면을 피복하는 지피식물 중에서 잦은 깍기와 답압에도 잘 견디며 재생력이 강한 특성을 지닌 다년생의 초본성 식물이기 때문에 사면 녹화용 식물로 사용상 이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잔디 식재 방법으로는, 평떼를 이용하는 평떼 식재법과 줄떼를 이용하는 줄떼 식재법 등의 잔디 뗏장 식재공법이 주로 행해지고 있다. 이는 잔디밭의 조성이 필요한 곳에 즉시 옮겨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잔디뿌리지대의 생장점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잔디 뗏장은 뿌리에 토양이 붙어있으므로 필요한 장소로 운반시 적재공간을 많이 점유하고, 무게가 나가는 단점이 있고, 정식하게 되면 뿌리와 토양의 양에 따라 형성된 잔디밭 표면이 고르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친환경적인 녹화사업을 위하여 실시되고 있는 잔디를 이용한 식생공법 중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공법이나 네트 또는 매트를 이용한 공법이 개발 및 적용되어 왔다.
우선, 시드스프레이공법은 잔디의 종자 및 배합토를 혼합한 후 직파기를 통해 사면에 살포하여 녹화하는 방법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비가 저렴하다. 그러 나, 관수작업 및 강우시에 지표면의 세굴 현상으로 인하여 종자 및 배합토가 쉽게 유실되거나 일부 영역에 집중되기 때문에 건조한 기후에서는 발아율이 저조한 문제가 있다. 또한, 시드스프레이 공법에 의해 파종된 종자 및 사면의 토양의 보온, 보습 및 보비를 위하여 거적이 덮여지기도 하나, 재질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지표면의 세굴과 슬라이딩 발생을 방지하기가 어려워 녹화효율이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그리고, 각종 네트 또는 매트를 이용한 식생공법의 경우, 종자 및 식생기반재로 이루어진 식생층 및 황마(jute), 코이어(coir) 등의 천연섬유재를 사용하여 그물망(mesh net) 형태로 제작하여 인장강도를 부여한 네트(net)를 포함하여 사면에 피복함으로써, 사면의 표피 세굴 또는 슬라이딩을 방지하고 토사를 억류시킴으로써 사면의 안정화에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네트 또는 매트 내에 종자와 이를 발아시킬 수 있는 양분을 포함하는 식생기반재를 함유하고 있는 네트 또는 매트를 제공함으로써, 절개지 또는 절·성토 사면뿐만 아니라 암반지역의 녹지조성에도 유용하여 식생공법으로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통상의 식생매트(100)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식생매트를 포설하여 시공한 사면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의 식생매트(100)는 인장강도를 부여하도록 식생매트의 최하단을 이루는 네트(110), 상기 네트(110) 상에 식생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제 1 식생지층(120)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식생지층(120) 표면에 종자가 산포되어 점착제 중에 매립되어 있는 종자발아층(130), 상기 종자발아층(130) 표면에 점 착제에 의해 적층되어 있는 제 2 식생지층(140)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통상의 식생매트(100)가 시공되는 사면의 지표면(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지 않고 불균일한데 반하여 종자가 점착되어 있는 상기 제 1 식생지층(120)은 평평하기 때문에 종자의 지표면 부착률이 낮아서 종자는 발아 및 생육과정에서 시공되는 토사에 뿌리가 토착하지 못하고 유실되어 고사하거나 식생지층 사이에서 부패하기 때문에 다량의 종자를 사용하여도 발아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식생매트(100)와 지표면(200) 사이에 상당량의 공간(60)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공간 속으로 통풍이 행해지면서 식생매트가 쉽게 건조해지는 문제가 있다. 잔디매트(100)가 건조되면 수분이 증발되기 때문에 식물종자가 발아하지 못하고 고사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0977 호에서는 코코넛섬유 네트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용 식생매트가 개시되었다.
도 3은 상기 종래의 식생매트(3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식생매트(300)는 시공시 표층으로 되는 코코넛섬유네트(310)와 상기 코코넛섬유 네트(310)의 이면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종자부착시트(320)로 구성되며, 상기 종자부착시트(320)는 생분해성 종이(321)의 이면에 종자(322)를 접착제로 접착한 것이다. 상기 고안에 따르면, 종자(322)가 부착된 면이 시공 대상면을 향하도록 시공됨에 따라 기존 다량으로 사용되던 종자(322)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종자(322)의 발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식생매트(300)는 코코넛 섬유 네트(310)를 피복함에 따라 시공대상 토양의 토양수분을 보존하기 어렵고, 시공대상 토양에 대한 보온 또는 보비력이 낮기 때문에 종자(322)가 조기 발아하지 못하여 사면의 녹화 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다.
한편, 국내에서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잔디는 대부분 외국 도입종인데, 국내의 기후 특성에 적응된 종류가 아니기 때문에 잔디 조성후의 세심한 관리가 뒤따르지 못할 경우, 생육이 급속히 쇠퇴하고, 주위 환경과의 부조화를 초래하고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반하여, 한국 잔디류는 한국에서 자생하여 자라기 때문에 주위 환경과 조화로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난지형 잔디이나 생태적 적응지가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되어 다른 한지형 양잔디 및 다른 난지형 잔디보다도 환경 적응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국내의 기후에 가장 적합한 잔디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한국 잔디류에는 한국 들잔디( Zoysia japonica Steud. ), 금잔디( Zoysia matrella ), 비로드잔디( Zoysia tenufolia ), 갯잔디( Zoysia sinica ), 왕잔디( Zoysia macrostachya ) 등 5∼6 종의 잔디가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잔디인 한국 들잔디( Zoysia japonica Steud. )는 중국 동부, 한국 및 일본이 그 원산지로서, 한지형 잔디에 접근하는 내한성과 타 난지형 잔디가 가지고 있는 내서성을 동시에 가진 유일한 잔디이다.
그리고,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며 병충해에도 잘 견딜 뿐만 아니라 장기 적인 기후 안전성, 자생력 및 내마모성이 적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에 가장 적절한 잔디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한국 들잔디는 국내에서 그 이용 범위가 매우 넓어 주로 절토사면 또는 성토사면, 하천제방, 도로주변, 묘지 등의 피복용으로 사용되고 또한 주택과 공원의 조경용 식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축구장, 골프장, 야구장 등의 운동장에도 점차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한국 들잔디는 느린 발아속도 및 녹화효율이 낮아서 빠른 식생이 요구되는 지역에는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자의 지표면 부착률을 향상시켜 종자의 유실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토양의 보습력 및 보비력을 향상시켜 종자의 조기 발아를 촉진시킴에 따라 우수한 녹화 효율을 갖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볏짚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되, 수용성 접착제 및 토양개량제를 포함하는 식생기반재가 하부면에 도포된 볏짚원단층; 상기 볏짚원단층 상에 멀칭되도록 형성된 분해성수지필름층; 및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황마실을 이용하여 망형구조로 제작된 황마매쉬층;을 포함하고, 상기 볏짚원단층의 하부면에는 잔디의 종자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토양개량제는 목초액, 활성탄, 숯, 근권 미생물제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성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 PVA),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 소디움(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 CMC), 폴리비닐 피롤리디논(polyvinyl pyrrolidinone ; PVP),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우즈(hydroxyethyl-cellulose medium ; HEC), 테라콘트롤 또는 산화전분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잔디의 종자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톨 훼스큐, 벤트그라스, 한국 잔디, 버뮤다그래스, 카펫그래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잔디의 종자는 한국 들잔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은 생분해성비닐 또는 광분해성비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에는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되, 상기 분해성수지시트층의 타공율은 20∼35%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에는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되, 상기 타공의 직경은 5∼7 mm이고, 타공 간의 피치는 20∼40 mm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황마매쉬층은 가로방향으로 사행하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동일한 향사축을 갖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패턴형성줄, 상기 패턴형성줄의 향사부, 배사부 및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고정하며 가로방향으로 직행하는 고정줄로 이루어지되, 상기 패턴형성줄의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하부 패턴형성줄의 향사부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황마매쉬층의 상부에는 황마로프 화이버를 가로 및 세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네트 형태로 배치하고 니들 펀칭에 의해 상기 황마로프 화이버가 하부의 볏짚원단층과 결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용 잔디매트는 잔디 종자의 지표면 부착률을 향상시켜 잔디 종자의 부패 또는 고사에 의한 유실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토양에 보습력 및 보비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발아 속도가 느린 한국 들잔디 종자의 조기 발아까지도 촉진할 수 있어서 우수한 녹화효율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녹화용 잔디매트(400)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잔디매트(400)는 볏짚원단층(410), 분해성수지필름층(420), 황마매쉬층(430) 및 잔디의 종자(440)를 포함한다.
볏짚원단층(410)은 사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잔디매트(400)의 최하층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는 식생기반재(미도시)가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식생기반재가 도포된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는 종자(440)가 부착되어 있다. 이는 잔디매트(400)를 사면에 시공시, 상기 볏짚원단층(410)이 사면의 토양을 향하도록 시공함으로써 볏짚(411)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종자(440)의 토양에의 밀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볏짚(411)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사면의 토양과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부착된 종자(440)는 사면의 토양에 매립될 수 있게 된다.
복수 개의 볏짚(411)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볏짚원단층(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볏짚(411) 및 황마실(412)을 이용하여 직조되되, 상기 볏짚(411)은 상호 평행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황마실(412)은 상기 복수 개의 볏짚(411)을 교차하도록 직조되어 자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종자(440)의 발아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용 잔디매트(400)를 사면에 시공하였을 때, 종자(440)의 지표면 부착률을 향상시켜 착근 효율을 높이게 되므로 종자(440)의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종자의 발아 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에 따라 종자(440) 발아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볏짚(411)이 갖는 보습 및 보온성으로 종자(440)의 발아를 촉진하고 성장을 도모하며, 사면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여 가뭄을 극복할 수 있다. 그리고, 볏짚원단층(410)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효되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각종 유기물과 수분을 함유하게 되고, 알칼리성을 갖게 되어 산성화된 토양을 중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토양 내에서 자연스럽게 분해되므로 미관상으로나 환경적으로 무해하다.
이러한,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는 식생기반재(미도시)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식생기반재는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유연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만 도포된다. 따라서,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존재 하는 공극을 메울 수 있게 되어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종자(440)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식생기반재는 관수 시 사면에 녹아 내려 사면을 이루는 토양에 흡취될 수 있어 상기 토양을 개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자(440)의 조기 발아를 촉진하고, 종자(440)가 발아하여 형성된 잔디의 생육에 장기적으로 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생기반재는 사면에 식생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종자(440)의 발아와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는 양분공급원으로서, 수용성 접착체 및 토양개량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면을 이루는 절, 성토 토양은 산성 토양인데, 산성 토양을 중화시킬 수 있도록 토양개량제를 포함하고, 토양개량제를 상기 볏짚원단층(410)에 부착할 수 있도록 수용성 접착제를 포함한다.
수용성 접착제는 안정적으로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공극을 메우고, 관수 시 녹아 내려 토양에 흡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식생기반재에 포함된다.
상기 수용성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 PVA),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 소디움(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 CMC), 폴리비닐 피롤리디논(polyvinyl pyrrolidinone ; PVP),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우즈 미디움(hydroxyethyl-cellulose medium ; HEC), 테라콘트롤, 산화전분 수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친환경 및 발아력 개선을 위하여 산화전분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성 접착제는 상기 식생매트(400)에 관수 시 용이하게 녹아서 토 양에 흡취되어 토양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고, 종자(440)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토양개량제는 산성토양을 중화시키기 위하여 활성탄, 목초액 또는 숯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잔디의 생육 및 유용 토양 미생물의 생육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토양의 부패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병충해 방제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토양개량제는 근권 미생물로 이루어진 미생물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근권 미생물은 잔디의 생장기간 내에 근권에서 안정적으로 정착 및 증식하는 미생물로서, 종자(440)의 표면 또는 토양 내에서 생존하면서 탄수화물과 아미노산이 풍부한 종자(440) 분비물을 이용하여 증식하고, 뿌리 표면에서 생장하는 뿌리를 따라 계속 이동하고 증식하면서 근권의 유해 세균 및 곰팡이의 밀도를 저하시켜 병해를 줄여줌으로써 잔디의 생육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근권 미생물은 식물 생장을 촉진시키는 물질, 즉,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함으로써, 뿌리에 의한 양분 흡수를 촉진시켜 뿌리털 발육증진, 뿌리 및 줄기의 생장을 촉진하게 된다. 즉, 근권 미생물은 병해 방제에 의한 생육촉진 효과 외에 특수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여 잔디의 생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병균 침입에 의한 식물체 자기 방어능력을 배가시켜 병해방지 및 생장촉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근권 미생물로는 슈도모나스, 아조토박터, 바실러스, 라이조푸스 올리고스포러스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 근권 미생물들은 근권에서 증식속도가 빠르고 운동성이 있으며 뿌리 분비물을 선호함과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잔디 생장을 촉진시 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생기반재는 유기물, 비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토니, 하수오니, 제지슬러지, 미생물증식촉진제 및 왕겨, 나무껍질 등의 유기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식생의 생장에 장기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식생기반재를 상기 볏짚원단층(410)에 도포함에 따라, 종자의 조기 발아를 유도하고, 생육 시간을 단축시키게 되므로, 사면에 잔디 초지를 신속하게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식생기반재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400)가 사면에 시공되기 전에 종자(440)의 조기 발아를 도모할 수 있어서 종자(440)의 발아 후 형성된 뿌리가 지표면에 원활하게 활착할 수 있기 때문에 종자(440)가 고사하거나 부패하는 것을 차단하여 종자(440)의 손실율을 줄이고, 종자(440)의 발아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은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상부면을 피복하도록 밀착형성되어 멀칭(mulching)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토양침식방지, 토양수분유지, 지온조절, 잡초 억제, 토양전염성병균방지, 토양오염방지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은 광분해성비닐 또는 생분해성비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수분유지와 지온조절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햇빛 또는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물과 이산화탄소 또는 메탄가스로 완전히 분해되는 자재로 서, 환경친화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분해성비닐필름층(420)에는 종자(440)의 발아공간에 통기성을 부여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타공(4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종자(340)가 발아하고 생육하기 위한 적절한 온도 및 수분을 유지함으로써, 종자(340)의 안정된 발아와 초기 육묘의 안정적인 성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은 20∼35%의 타공율을 갖도록 복수 개의 타공(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의 타공율이 20% 미만일 경우, 종자(440)의 발아 공간에 과도한 온도 및 수분이 존재하게 되어 종자(440)의 부패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자(440)가 발아하였을 때, 초기 육모가 길며 연약하게 성장될 수 있고, 35%를 초과할 경우, 풍수해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의 파손을 일으킬 수 있고 발아공간의 함수율이 낮아질 수 있어서, 종자(440)의 발아를 늦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타공(421)이 형성된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은, 상기 타공(421)의 직경은 5∼7 mm이고, 상기 상호 인접한 타공(421) 간의 피치(pitch)는 20∼40 mm일 수 있다.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이 상기 범위의 타공(421)의 직경과 타공(421) 간의 피치를 가질 경우, 토양의 수분증발을 차단함과 아울러 통기성이 향상되어 종자(440)의 부패를 막고, 종자(440) 발아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풍수해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으며, 종자(440)의 발아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황마매쉬(mesh)층(430)은 본 발명에 따른 잔디매트(400)의 최상층, 즉, 표층 을 이룬다.
상기 황마매쉬층(330)이 잔디매트(400)의 표층을 이룸에 따라 사면의 토양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420)의 분해 시에도 풍수해에 의한 날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황마매쉬층(430)을 이루는 황마매쉬층은 황마실을 이용하여 제작된 망형구조를 가지는 네트(net)이다. 상기 황마매쉬층(430)을 이루는 네트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황마실을 이용하여 제작한 네트이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즉, 상기 황마매쉬층(430)의 구조 또는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하게 황마매쉬층(430)의 구조 또는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황마매쉬층(43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고정줄(435)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상기 도 5의 고정줄(436)의 또 다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황마매쉬층(430)은 가로방향으로 사행형상을 가지는 패턴형성줄(431∼433)과 상기 패턴형성줄(431∼433)의 향사부, 배사부 및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측부를 고정하며 직행하는 형태의 고정줄(434∼436)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턴형성줄(431∼433)과 상기 고정줄(434∼436)이 직조됨에 따라 망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형성줄(431∼433)은 가로방향으로 사행형상을 가지고 진행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사부, 배사부 및 측부를 가지고,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동일한 향사축을 가지고 복수 개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패턴형성 줄(431)의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하부 패턴형성줄(432)의 향사부가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측부는 2개의 황마실이 겹쳐지게 되므로 황마매쉬층(430)의 인장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줄(43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형성(431∼433)줄의 향사부, 배사부및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측부를 각각 교번하면서 가로방향으로 직행하여 상기 패턴형성줄(431∼433)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줄(434∼436)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줄(435)은 상기 패턴형성줄(431∼433)의 향사부, 배사부 및 길이방향의 중심부에 대응하는 측부를 한 단위로 하여 묶음 다음 가로방향으로 직행하여 다음 단위를 연결하여 묶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줄(435)은 도 6에 도시된 패턴형성줄(431∼433) 중에서 중심 패턴형성줄(432)의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직행하도록 진행되되, 최상부 패턴형성줄(431)의 배사부, 상기 최하부 패턴형성줄(433)의 향사부가 한 단위로 묶여지게 되고, 가로방향으로 직행하며 다음 단위를 연결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줄(435, 436)은 황마실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고정줄(435)을 기본으로 하고, 상기 고정줄을 교번하여 통과시키는 고정줄(436)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황마매쉬층(430)이 잔디매트(400)에 구비됨에 따라, 천연소재인 황마를 재료로 하였기 때문에 분해가 용이하고, 자체의 색이 조경에 적합하여 환경친화 적이고 미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자(440)의 균일한 발아공간을 확보하고, 잔디매트의 인장강도를 높여주어 토양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풍수해로부터의 토양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토양의 세굴 또는 침식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종자(440)가 발아하여 성장하는 기간 동안은 시공대상 토양의 토심이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단시간 내에 지반의 안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견고하고 밀도 높은 잔디 초지를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종자(440)는 상기 식생기반재가 도포된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부착된다.
상기 종자(440)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톨 훼스큐, 벤트그라스, 한국 잔디, 버뮤다그래스, 카펫그래스 등과 같은 잔디류의 종자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태학적 및 미적으로 조화롭고 시공비의 절감을 위하여 한국 잔디 중에서 한국에서 자생종으로 분포율이 높은 한국 들잔디( Zoysia japonica Steud. )를 이용한다. 상기 한국 들잔디는 느린 발아 속도와 낮은 녹화 효율의 단점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디매트(400)로 인하여 한국 들잔디 종자(440)의 조기 발아를 도모하므로 우수한 녹화 효율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종자(440)의 부착은 상기 식생기반재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친환경 및 발아력 개선을 위하여 산화전분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종자(440)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종자(440)는 상기 수용성 접착제와 혼합되어 상기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면녹화용 잔디매트(40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다. 일체로 형성된 잔디매트(400)는 상기 볏짚원단층(410), 분해성수지필름층(420) 및 황마매쉬층(43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여 결합되는 것을 기반으로 상술하였지만, 구현자의 실시 형태 및 생산 공정 등에 따라 니들 펀칭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황마매쉬층(430)의 최상부에 황마로프 화이버(미도시)를 가로 및 세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하고 니들펀칭에 의해 상기 황마로프 화이버가 최하부의 볏짚원단층과 결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자가 발아할 때에, 상기 접착제에 의해 발아공간이 폐색될 수 있는데 비해, 이처럼 니들 펀칭에 의해 결착시키는 경우에는 이러한 단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좀 더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황마로프 화이버란 황마사를 겹겹이 쪼개어 가느다란 실형태로 만든 실다발을 의미하며, 내구성 및 니들펀칭에 의한 결착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처럼 니들펀칭에 의해 결착시키는 경우에는 볏짚원단층의 최하부에만 종자를 부착시키기 위한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면 되고 나머지 층들은 최상부의 황마로프 화이버에 의해 결착되며, 종자는 상기 니들펀칭 공정 이후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화공사 시, 상기 잔디매트(400) 중에서 종자(440)가 부착된 볏짚원단 층(310)의 하부면이 시공대상 사면을 향하도록 한 다음, 앵커핀 또는 철판팩 등의 결속지지대를 이용하여 사면에 부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볏짚원단층(410)과 황마매쉬층(430)에 의해 형상유지 강도가 강화되므로 잔디 초지가 형성되기까지 사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녹화를 위해 볏짚원단층(410)의 하부면에 부착된 잔디의 종자(440)가 시공 대상 사면에 효과적으로 매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디매트(400)의 우수한 보수력 및 보비력에 의하여 종자(440)의 조기 발아를 도모하여 시공 대상 사면에 착근 효율을 높이기 때문에 뿌리의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잔디매트(400)를 구성하고 있는 재료가 갖는 보습력, 보비력 및 토양개량력으로 인하여 종자(440)의 발아 기간을 단축시키고, 지속적으로 토양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우수한 잔디 초지의 조성 효율, 즉, 녹화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8에는 한국잔디를 이용한 종래의 잔디매트(좌측 및 우측)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잔디매트(가운데)를 사면에 설치하고 2개월이 경과된 이후의 비교사진을 도시하였다. 종래의 잔디매트의 경우에는 종자가 토양과 직접 접촉하지 못하고 보습력 및 보온력이 떨어지므로 생육상태가 좋지 않음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디매트를 시공한 경우에는 생육상태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 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식생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식생매트를 포설하여 시공한 사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식생매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디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황마매쉬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고정줄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상기 도 5의 고정줄의 또 다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공간 100 : 통상의 식생매트
110 : 네트 120 : 제 1 식생지층
130 ; 종자발아층 140 : 제 2 식생지층
200 : 사면 300 : 종래의 식생매트
310 : 코코넛 섬유 네트 320 : 종자부착시트
321 : 생분해성 종이 322 : 종자
400 : 잔디매트 410 : 볏짚원단층
411 : 볏짚 412 : 황마실
420 : 분해성수지필름층 421 : 타공
430 : 황마매쉬층 431∼433 : 패턴형성줄
434∼436 : 고정줄 440 : 잔디의 종자

Claims (10)

  1. 복수 개의 볏짚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되, 수용성 접착제 및 토양개량제를 포함하는 식생기반재가 하부면에 도포된 볏짚원단층;
    상기 볏짚원단층 상에 멀칭되도록 형성된 분해성수지필름층; 및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의 상부면에 적층되고, 황마실을 이용하여 망형구조로 제작된 황마매쉬층;을 포함하고,
    상기 볏짚원단층의 하부면에는 잔디의 종자가 부착되고, 상기 황마매쉬층의 상부에는 황마로프 화이버를 가로 및 세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네트 형태로 배치하고 니들 펀칭에 의해 상기 황마로프 화이버가 하부의 볏짚원단층과 결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개량제는 목초액, 활성탄, 숯, 근권 미생물제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 PVA),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 소디움(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 CMC), 폴리비닐 피롤리디논(polyvinyl pyrrolidinone ; PVP),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우즈(hydroxyethyl-cellulose medium ; HEC), 테라콘트롤 또는 산화전분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의 종자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톨 훼스큐, 벤트그라스, 한국 잔디, 버뮤다그래스, 카펫그래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의 종자는 한국 들잔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은 생분해성비닐 또는 광분해성비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에는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되, 상기 분해성수지시트층의 타공율은 2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성수지필름층에는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되, 상기 타공의 직경은 5∼7 mm이고, 타공 간의 피치는 20∼4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마매쉬층은 가로방향으로 사행하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동일한 향사축을 갖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패턴형성줄, 상기 패턴형성줄의 향사부, 배사부 및 길이방향의 중심부를 고정하며 가로방향으로 직행하는 고정줄로 이루어지되, 상기 패턴형성줄의 길이방향의 중심부에는 하부 패턴형성줄의 향사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10. 삭제
KR1020080108642A 2007-11-02 2008-11-03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KR101085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1801 2007-11-02
KR1020070111801 2007-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881A KR20090045881A (ko) 2009-05-08
KR101085353B1 true KR101085353B1 (ko) 2011-11-22

Family

ID=4085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642A KR101085353B1 (ko) 2007-11-02 2008-11-03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35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65B1 (ko) * 2012-09-28 2013-04-16 남해군 마늘 부산물을 이용한 보물섬 롤 잔디의 재배방법
CN103340072A (zh) * 2013-06-20 2013-10-09 四川新荷花中药饮片股份有限公司 一种川贝母免除草栽培方法
CN104542220A (zh) * 2015-01-21 2015-04-29 深圳市铁汉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边坡修复用植生网毯及边坡修复方法
KR20160004254A (ko) 2015-12-24 2016-01-12 김병구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870138B1 (ko) * 2017-10-25 2018-06-25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스포어상태의 토양미생물을 코팅한 씨앗을 포함하는 친환경 식생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0137B1 (ko) * 2017-10-25 2018-07-19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친환경 식생토낭을 이용한 사면보강 및 녹화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61B1 (ko) * 2011-01-12 2011-06-30 주식회사 에코탑 Pla를 이용한 식생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125B1 (ko) 1998-07-07 2000-12-15 김홍근 솜털망에 의한 법면 유실 방지방법
KR200382114Y1 (ko) * 2005-01-21 2005-04-18 김연술 식생호안용/조경용 매트
KR100618279B1 (ko) 2004-01-28 2006-09-01 주식회사현우그린 훼손지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물매트
KR200426588Y1 (ko) 2006-07-03 2006-09-13 나성엽 잔디발아용 씨 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125B1 (ko) 1998-07-07 2000-12-15 김홍근 솜털망에 의한 법면 유실 방지방법
KR100618279B1 (ko) 2004-01-28 2006-09-01 주식회사현우그린 훼손지 비탈면 생태복원용 식물매트
KR200382114Y1 (ko) * 2005-01-21 2005-04-18 김연술 식생호안용/조경용 매트
KR200426588Y1 (ko) 2006-07-03 2006-09-13 나성엽 잔디발아용 씨 네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465B1 (ko) * 2012-09-28 2013-04-16 남해군 마늘 부산물을 이용한 보물섬 롤 잔디의 재배방법
CN103340072A (zh) * 2013-06-20 2013-10-09 四川新荷花中药饮片股份有限公司 一种川贝母免除草栽培方法
CN104542220A (zh) * 2015-01-21 2015-04-29 深圳市铁汉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边坡修复用植生网毯及边坡修复方法
KR20160004254A (ko) 2015-12-24 2016-01-12 김병구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870138B1 (ko) * 2017-10-25 2018-06-25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스포어상태의 토양미생물을 코팅한 씨앗을 포함하는 친환경 식생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0137B1 (ko) * 2017-10-25 2018-07-19 영원산업개발 주식회사 친환경 식생토낭을 이용한 사면보강 및 녹화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881A (ko) 200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353B1 (ko)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US20040111964A1 (en) Method of propagation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KR100714674B1 (ko) 식물종자를 포함하는 식생줄, 식생로프 및 식생자재
KR101263091B1 (ko) 식생매트
CN101692769A (zh) 有土草毯
CN104542220A (zh) 一种边坡修复用植生网毯及边坡修复方法
CN1926945A (zh) 用罗布麻根段繁殖技术恢复盐碱地植被的方法
AU2017264836B2 (en) Soil-covering film, the use of a soil-covering film to protect crops against weeds, and a method for the protection of crops against weeds
CN110485441A (zh) 矿山修复用浸网式生态护坡结构及其喷播施工方法
CN202396194U (zh) 植被毯
KR100876008B1 (ko) 카펫형 천연 지피식물에 의한 옥상녹화장치
CN102177799A (zh) 无基质式培育无土草坪的方法
KR101961569B1 (ko) 잔디발아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717545B1 (ko) 무토잔디용 생육포
JP4096121B2 (ja) 緑化用苗芝ピース
JP4965172B2 (ja) リュウノヒゲ属又はヤブラン属の種苗生産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利用した地被緑化工法
KR200457593Y1 (ko) 종자 파종형 생분해성 친환경 식생매트
KR20090084105A (ko) 씨줄 고정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580927B1 (ko) 다공질 필름을 이용한 식생매트 제조방법
CN114128556A (zh) 生长床及其制作方法、边坡修护方法
KR200386677Y1 (ko) 식생 환경매트
CN103583104A (zh) 生物活沙障快速建设方法
KR102361652B1 (ko) 제설제 피해지역용 식생매트
JPH06141669A (ja) 埋設シートによる緑化基礎工法
CN211745867U (zh) 抗旱保湿型免种免维护直铺绿化色块栽培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