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465B1 - 마늘 부산물을 이용한 보물섬 롤 잔디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마늘 부산물을 이용한 보물섬 롤 잔디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465B1
KR101254465B1 KR1020120108548A KR20120108548A KR101254465B1 KR 101254465 B1 KR101254465 B1 KR 101254465B1 KR 1020120108548 A KR1020120108548 A KR 1020120108548A KR 20120108548 A KR20120108548 A KR 20120108548A KR 101254465 B1 KR101254465 B1 KR 101254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grass
garlic
water
tourma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병무
이경재
신정혜
윤환식
김경민
Original Assignee
남해군
보물섬 남해잔디 영농조합법인
(재)남해마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해군, 보물섬 남해잔디 영농조합법인, (재)남해마늘연구소 filed Critical 남해군
Priority to KR1020120108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BPHOSPHATIC FERTILISERS
    • C05B13/00Fertilisers produced by pyrogenic processes from phosphatic materials
    • C05B13/06Alkali and alkaline earth meta- or polyphosphate fertili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대를 이용한 잔디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잔디 하부토(기초토)와 상(부)토 사이에 알칼리수에 침지하여 제조된 마늘대를 배열함으로써 용이하게 뗏장을 뜰 수 있고, 뗏장을 뜰 때 토지 유실을 최소화하며 잔디 재배토에 영양분을 충분히 제공하고 토양이 산성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잔디 재배에 적합한 토양을 제공할 수 있는 잔디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늘 부산물을 이용한 보물섬 롤 잔디의 재배방법{A METHOD FOR GROWING ROLL LAWM OF TREASURE ISLAND USING GARLIC BY-PRODUCT}
본 발명은 마늘 부산물을 이용한 잔디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잔디 하부토(기초토)와 상(부)토 사이에 알칼리수에 침지하여 제조된 마늘대를 배열하고 마늘 부산물을 상토에 혼합함으로써 용이하게 뗏장을 뜰 수 있고, 뗏장을 뜰 때 토지 유실을 최소화하며 잔디 재배토에 영양분을 충분히 제공하고 토양이 산성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잔디 재배에 적합한 토양을 제공할 수 있는 잔디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잔디는 단자엽 식물로 식물 분류 체계상 화본과 작물에 속하며, 7,500여종의 있으나 현재 약 40여종이 재배되고 있는데 들잔디, 금잔디, 켄터키 블루 글라스, 크리핑 밴드 글라스, 벤트 그래스 등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 잔디는 땅바닥에 붙어 옆으로 길게 줄기가 뻗어 가면서 자라는데, 마디마다 뿌리가 내려지는 자생력이 강한 식물이다.
잔디 재배에 있어 크게 세 가지 정도의 기술이 중요하다. 이러한 기술은 잔디 재배시 해결해야될 문제점이기도 하다.
첫째, 노지에서 자란 잔디를 절지하여 뗏장을 이식함에 있어 일정한 크기와 두께로 만들어야 한다. 이는 향후 이식된 잔디가 잘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다.
둘째, 뗏장을 떼서 이식하는 과정에서 토양이 지속적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토양이 유실될 경우 유실된 토지의 활용을 방해하여 지속적으로 배토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셋째, 잔디의 재배토가 중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다량의 관수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배수 및 보수력이 뛰어난 토양에서 재배할 필요가 있다.
잔디는 대부분 노지에 직접 파종하는 방법으로 재배되고 있다. 노지에서 재배시 도구를 사용하여 딱딱한 땅을 부드럽고 고르게 한 후 잔디씨를 파종하는데 이때 약간의 흙과 함께 잔디씨를 고루 섞어 파종한다.
잔디 씨가 발아하게 되면 적당한 크기로 뗏장을 떠서 이식하게 되는데 이때 일정하지 않은 잔디 뿌리 부분으로 인하여 이식 후 토양과 잔디 뿌리 부분이 들뜨는 스폰지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잔디의 원활한 이식을 위해 일정한 두께의 뗏장을 뜰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한편, 잔디는 1모작으로 재배시마다 땅을 한층 더 파내어야 하므로 토양의 유실이 불가피하며, 결국은 토지가 죽거나 황폐화되어 귀중한 토양자원을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잔디를 재배함에 있어 질석, 암면, 진주암, 니탄 등에 옥수수, 야자껍질, 피트모스, 톱밥 등을 혼합하여 기초 소재로 조성해 활용하고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식이섬유를 덩어리 모양으로 분쇄하여 기질로 조합한 후 무기화학비료를 적당한 농도로 영양액을 뿌려주어 식물이 성장하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인공토양을 사용하는 경우는 펄라이트와 진주암을 고온에서 팽창시켜 유기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슬러지를 이용하거나, 비료 등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소규모의 장식용 정원에는 활용가능하나 잔디조성에는 부적합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잔디의 생육을 위해서는 많은 수분을 제공하여야 하며 토양내 미생물에 의한 병충해 감염의 우려가 있어 잔디 조성에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토양에서 생육하는 잔디의 경우 연간 1m2의 면적당 0.8톤 정도의 수분이 요구되므로 일정 수준의 수분이 유지되어 보습 효과가 있게 되면 관수 및 용수에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잔디 재배토는 중성이 적합하므로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석회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석회의 사용은 토양의 투수성 불량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선행기술로 잔디 이식의 편이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육모판에 잔디를 재배하는 방법(공개번호 2002-0022481), 미리 격막 포트 형태의 구조물을 만들어 잔디 떼를 이식하기 편리한 방법(공개특허 20-2008-0000522호), 잔디 재배 토양의 고결로 인한 답압문제와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입도 5 mm 미만의 감람석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재배용 배토사를 이용하는 잔디재배방법(공개번호 2002-0047063 및 2002-0028154) 및 볏집, 왕겨, 팽창연화왕겨, 탄화왕겨 등 벼의 부산물을 토양과 혼합하여 토양의 유실과 산성화를 방지하는 방법(공개번호 10-2007-0008360)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바이오세라믹 배양포를 이용한 잔디 배양방법 특허(공개번호 10-2006-0104730)에서는 바이오 세라믹 배양포를 이용하여 별도의 토양없이 잔디를 재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잔디 재배 전용 도자기 흙판을 제작하는 방법특허(공개번호 10-2010-0133199)에서도 도자기판에 직접 잔디를 재배하여 별도의 이식 없이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롤잔디와 관련하여서는 스티로폼으로 규격화한 성형 묘판에 환산암재, 증류목초액 또는 숯가루를 혼합하여 안착시킨 후 부직포상으로 압착성형한 식물성 매쉬를 적층하여 구성한 후 난지용 잔디씨와 한지용 잔디씨를 1:3의 비율로 혼파하여 규격화된 사계절 잔디를 재배하는 방법을 제시한 공개특허(1999-0037616)가 있다. 또 롤 잔디의 습식재배방법(공개번호 10-2012- 0008222)에서는 배수구가 없는 재배용기에 배지네트를 설치하고, 상부에 기능성 상토를 도포한 후 그 위에 다시 하부면에 잔디씨앗이 파종된 수용성 자장필름이 고정된 씨앗네트를 설치하고 재배용기에 물을 공급한 후 롤 잔디를 재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 특허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잔디 재배시 요구되는 문제점을 일부 해결할 수는 있으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없는 바 잔디 재배에 대한 새로운 기술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 식물재료인 마늘 부산물을 이용함으로써 뗏장을 보다 용이하게 뜰 수 있고 유실되는 토양의 양을 줄이면서 잔디 재배에 적합한 토양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잔디 재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잔디 재배방법은, 알칼리수에 침지한 마늘대를 잔디 재배를 위한 기초토 상에 배열한 후 상(부)토를 덮고 잔디씨를 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알칼리수에 침지한 마늘대를 건조한 후 상기 기초토 상에 배열하되 상기 마늘대를 5~15㎝ 두께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칼리수를 상기 상토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마늘대 또는/및 흑마늘 제조 후 잔사를 상기 상(부)토와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수는 소금물, 토르마린 수 또는 숯 침지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는데, 상기 소금물의 농도는 3~6%일 수 있다.
상기 토르마린 수는, 토르마린을 400~500℃에서 1~3시간 가열한 후 상기 토르마린 중량 대비 8~12배의 물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숯 침지수는, 숯에 숯 중량 대비 35~45배의 물을 가하여 혼합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늘 재배 후 남게 되는 마늘대를 기초토 위에 배열함으로써 기초토와 상토 사이에 공극을 제공하여 뗏장을 용이하게 뜰 수 있으며, 알칼리수에 침지한 마늘대를 세절한 것과 흑마늘 제조 후 남는 잔사 등과 같은 마늘 부산물을 잔디 재배토(상토)에 혼합함으로써 토양에 충분한 유기물과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유실되는 토양의 양을 줄일 수 있고 마늘대의 보수력을 활용하여 잔디 재배에 적합한 토양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부토(기초토), 마늘대 및 상부토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초토(하부토), 마늘대 및 상(부)토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잔디 재배방법을 위해 먼저 건조된 마늘대를 준비한다(S110). 마늘대는 마늘을 재배하고 난 후 마늘구의 상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부분 건조한 후 퇴비 제조에 이용되거나, 반추동물의 사료로 활용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알칼리수를 제조한다(S120). 제조된 알칼리수는 하부토와 상토 사이에 배열되는 마늘대를 중화시키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세절된 마늘대와 흑마늘 잔사로 산화될 수도 있는 재배토(상토)를 중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알칼리수는 화학약품을 일절 사용하지 않으며, 소금을 물에 용해한 소금물을 사용하거나, 400℃ 이상의 고온에서 가열한 토르마린으로 제조된 토르마린 수 또는 숯을 물과 혼합하여 두었다가 여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칼리수는 잔디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토양의 pH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토르마린과 숯은 물의 pH를 조절하는데 사용한 후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먼저, 알칼리수 중 하나인 소금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험예 1]
소금물의 농도에 따른 소금물의 pH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소금 % 1 3 5 10 15 20
pH 6.10±0.03 6.22±0.02 6.29±0.02 6.69±0.03 7.55±0.01 8.01±0.03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소금의 농도에 따른 소금물의 pH를 측정한 결과, 소금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pH 값은 증가한다. 토양을 중화시키기 위해서는 소금물의 농도가 진한 것이 유리할 수 있지만,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마늘대와 재배토(상토)를 적당하게 중화시키면서도 소금양이 최소량 사용될 수 있는 소금물의 농도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볼 때, 소금물의 % 농도가 3~6% 정도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토르마린 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토르마린(Tourmaline)은 천연광물 암석의 하나로서 철, 마그네슘, 알칼리금속, 알루미늄, 봉규산염 등의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열을 가하면 약 100℃ 정도에서 먼지를 끌어들이는 초전기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일명 전기석이라고도 한다. 또한 토르마린은 인체의 모세혈관을 크게 하여 혈액순환 촉진, 세포의 활성화, 신진대사, 위장운동의 활성화, 온열효과, 피로회복, 신경통, 기미, 냉대하, 항산화 작용, 음이온 방출 및 원적외선 방사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토르마린을 분말화한 토르마린 분말은 원산지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아래 표 2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이루어져 있다.
Figure 112012079307070-pat00001
이러한 토르마린은 상기에서 언급한 일반적인 물성, 성질, 각종 분야별 기능, 효과 등이 널리 알려지고 있어 이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르마린 수는 토르마린을 400~500℃에서 1~3시간 가열하여 토르마린을 활성화한 후 상기 토르마린 중량의 8~12배의 물을 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충분한 시간 동안 가열할 경우 다량의 음이온이 방출된다.
[실험예 2]
토르마린을 400℃와 500℃에서 각각 1시간 및 3시간 가열한 후 토르마린 성분이 충분히 추출될 수 있도록 토르마린 질량 대비 10배의 물을 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상층부의 물을 취하여 각각 pH를 측정한 결과는 표 3과 같았다.
가열 조건 pH
A (400℃, 1시간) 6.68±0.01
B (400℃, 3시간) 6.70±0.00
C (500℃, 1시간) 6.74±0.01
D (500℃, 3시간) 6.75±0.01
상기 표 3을 통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토르마린의 가열 온도가 높고 가열 시간이 길수록 토르마린 수의 pH 값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이 커짐에 따라 중성에 가까워진다.
또 다른 알칼리수인 숯 침지수는, 숯에 숯 중량 대비 35~45배의 물을 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여과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즉, 숯을 대략 분쇄하여 입자의 표면적을 넓힌 후 미량씩 가하면서 pH를 8.0으로 조절한 결과 물 400 mL에 10 g의 숯이 투입되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알칼리수에 건조된 마늘대를 약 12~24시간 침지한 후(S130) 마늘대를 건져내어 건조시킨다(S140). 이와 같이 마늘대를 알칼리수에 침지할 경우 마늘대의 pH 변화에 대해 알칼리수 종류별로 관찰해보았다.
먼저, 소금물이 마늘대를 중화시키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5% 소금물에 침지된 마늘대의 pH를 측정해보았다.
하기 표 4는 흑마늘 잔사와 마늘대의 pH를 측정한 결과인데, 이 표를 통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마늘의 부산물인 흑마늘 잔사와 마늘대는 산성을 띄고 있다.
[실험예 3]
흑마늘잔사 마늘대
pH 4.52±0.01 5.50±0.02
산성을 띄고 있는 마늘대를 길이 0.5~2 cm 내외로 세절하여 5% 소금물에 일정 시간, 바람직하게는 12~24시간 침지한 다음 건조하여 일정량을 취한 후 pH meter로 pH를 측정하고, 디지털 염도계로 염도를 측정하여 염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pH 염도 (%)
6.07±0.02 0.30±0.01
표 5를 통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pH가 약 5.5인 마늘대를 5% 소금물에 일정 시간 침지한 결과 마늘대의 pH가 6.07로 변하였는바, 5% 소금물을 사용할 경우 마늘대를 보다 약산성으로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5% 소금물에 침지한 마늘대의 염도는 약 0.3% 인데, 기지의 사실과 같이 0.3% 이상의 염도에서는 일부 호염성 균을 제외한 미생물의 생육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염도가 0.3%인 마늘대를 상토와 혼합할 경우 자연스럽게 염분이 미량씩 제공되어, 토양에 무기물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항균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토르마린수의 중화효과에 대하여 실험해보았다.
[실험예 4]
500℃에서 3시간 가열한 토르마린으로 제조한 토르마린수에 마늘대를 담구어 pH의 변화 정도를 측정함과 아울러 토르마린수를 토양에 제공할 경우 토양의 pH 변화 또한 측정해보았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았다. 이때 사용된 토양의 pH는 6.15±0.01이다.
마늘대 토양
6.64±0.02 6.85±0.03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pH가 5.5 정도인 마늘대(표 4 참조)를 토르마린수에 일정 시간 침지할 경우 마늘대의 pH가 약 6.64로 증가하였다. 또한, pH가 약 6.15인 토양에 토르마린수를 제공할 경우 그 값이 6.85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토르마린수는 마늘대 및 토양이 중성에 가까운 약산성을 띄도록 중화시키는데 상당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숯 침지수의 중화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숯 침지수 제조방법에서 설명한대로 제조된 pH 8.0의 숯 침지수에 마늘대를 일정 시간 침지한 경우 마늘대의 pH 변화와, 토양에 숯 침지수를 제공한 경우 pH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았다.
마늘대 토양
7.09±0.02 7.35±0.03
표 7을 통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pH 5.5인 마늘대를 숯 침지수에 침지한 결과 중성에 가까운 값으로 변했으며, pH가 약 6.15인 토양 또한 pH가 7.35로 증가되었는바 거의 중성에 가까운 약칼리성으로 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알칼리수에 침지한 마늘대를 건조한 후, 건조된 마늘대(S220)를 잔디 재배를 위한 기존 태양인 뗏장 하부토(기초토)(210) 상에 나란히 배열하되 5~15㎝ 두께로 깐다(S150).이와 같이, 알칼리수에 담구어 pH가 조절된 마늘대(220)를 롤 잔디 재배시 뗏장을 뜨는 가장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상토(230)와 하부 토양(210)과의 공극이 생기게 되므로, 잔디 재배 후 뗏장을 뜨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늘대(220)는 삭으면서 거름 역할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마늘대(220) 상부에 롤잔디 재배 상토(230)를 덮고(S160), 잔디씨를 부린다(S170).
이때, 세절하여 알칼리수에 침지한 마늘대 및/또는 흑마늘 제조 후 부산물인 잔사를 상토(230)에 혼합할 수 있을 것이다. 상토(230)에 혼합된 마늘대는 그 조직이 스폰지와 같아서 보수력을 확보할 수 있고, 마늘대 및 흑마늘 잔사는 상토(재배토)(230)에 양분을 공급하여 잔디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흑마늘 잔사는 흑마늘 제조 후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상토 영양원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혼합하는 것이므로, 그 어떤 방법으로 흑마늘을 제조하든 상관없이 활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토(230)에는 S120 단계에서 제조한 알칼리수를 제공하여 토양의 pH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흑마늘 잔사와 마늘대는 약산성을 띄므로 이들을 상토와 혼합시 토양이 산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알칼리수를 상토(230)에 뿌려주면 토양이 산성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잔디 재배시 토양의 산성도를 확인하면서 알칼리수를 수시로 공급하여 잔디 재배에 적합한 토양조건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늘대를 이용한 본 발명의 잔디 재배방법에 따르면, 뗏장을 뜨는 것이 용이하며, 상토와 기초토(하부토) 사이에 배열된 마늘대는 썩어서 거름이 되므로 토양을 산성화시킬 염려가 전혀 없으며, 알칼리수에 침지시킨 마늘대와 흑마늘 잔사를 재배토와 혼합함으로써 토양(상토)에 양분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고, 알칼리수를 재배토에 적절하게 공급함으로써 잔디 재배에 적절하도록 토양의 산성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이식이 용이하고 뿌리가 튼튼한 롤 잔디를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실험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기초토(뗏장 하부토) 210: 마늘대
220: 상(부)토

Claims (10)

  1. 알칼리수에 침지한 마늘대를 잔디 재배를 위한 기초토 상에 배열한 후 상토를 덮고 잔디씨를 뿌리는 것을 특징으로 잔디 재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수에 침지한 마늘대를 분리 후 건조하여 상기 기초토 상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재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수를 상기 상토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재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수는 소금물, 토르마린 수 또는 숯 침지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재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대를 5~15㎝ 두께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재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물의 농도는 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재배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토르마린 수는, 토르마린을 400~500℃에서 1~3시간 가열한 후 상기 토르마린 중량 대비 8~12배의 물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재배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숯 침지수는, 숯에 숯 중량 대비 35~45배의 물을 가하여 혼합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재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토에 상기 마늘대 및 흑마늘 제조 후 잔사 중 적어도 하나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재배방법.
  10. 제 1항의 재배방법에 의해 재배된 잔디.
KR1020120108548A 2012-09-28 2012-09-28 마늘 부산물을 이용한 보물섬 롤 잔디의 재배방법 KR101254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548A KR101254465B1 (ko) 2012-09-28 2012-09-28 마늘 부산물을 이용한 보물섬 롤 잔디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548A KR101254465B1 (ko) 2012-09-28 2012-09-28 마늘 부산물을 이용한 보물섬 롤 잔디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465B1 true KR101254465B1 (ko) 2013-04-16

Family

ID=4844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548A KR101254465B1 (ko) 2012-09-28 2012-09-28 마늘 부산물을 이용한 보물섬 롤 잔디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2195A (zh) * 2014-12-26 2015-04-01 狄正兴 春西瓜茬种植大豆覆土抗旱保苗耕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94B1 (ko) * 2001-10-15 2005-03-23 주식회사 한울 경량화된 뗏장의 생산 방법
JP2005132718A (ja) * 2003-10-08 2005-05-26 Katsuya Yonamine 芝生育成肥料及び芝生の育成方法
KR20070121874A (ko) * 2006-06-23 2007-12-28 배흥섭 갓길용 클로버 뗏장 식재방법
KR101085353B1 (ko) * 2007-11-02 2011-11-22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94B1 (ko) * 2001-10-15 2005-03-23 주식회사 한울 경량화된 뗏장의 생산 방법
JP2005132718A (ja) * 2003-10-08 2005-05-26 Katsuya Yonamine 芝生育成肥料及び芝生の育成方法
KR20070121874A (ko) * 2006-06-23 2007-12-28 배흥섭 갓길용 클로버 뗏장 식재방법
KR101085353B1 (ko) * 2007-11-02 2011-11-22 주식회사 엘티아이조경산업 사면녹화용 잔디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2195A (zh) * 2014-12-26 2015-04-01 狄正兴 春西瓜茬种植大豆覆土抗旱保苗耕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indall et al. Mulch effect on soil properties and tomato growth using micro‐irrigation
CN102577816B (zh) 农作物斜坡育苗方法
CN104996256B (zh) 金花茶轻基质容器育苗方法
CN101731034A (zh) 无公害西葫栽培方法
CN103444305B (zh) 一种促使神秘果种子快繁的栽培的方法
KR101783307B1 (ko) 수경재배용 고형배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그로우백 및 수경재배방법
CN106962096A (zh) 富硒茶叶的种植方法
CN106717829A (zh) 珠子参的种植方法
TWI475953B (zh) Ginseng cultivation method
CN102487720A (zh) 新疆雪莲规模化人工种植方法
CN103694039B (zh) 一种川鄂连蕊茶良种的轻型栽培基质及其容器育苗方法
CN107155595A (zh) 一种大棚辣椒的种植方法
CN105103935A (zh) 一种利用棉籽壳菇渣种植草坪的方法
CN102027852B (zh) 一种在家庭阳台内利用醋糟基质栽培水果黄瓜的方法
Tzortzakis et al. Shredded maize stems as an alternative substrate medium: Effect on growth, flowering and yield of tomato in soilless culture
CN107258267A (zh) 一种大棚黄瓜的种植方法
CN106171706A (zh) 一种富硒有机稻米的生产方法
CN206586000U (zh) 一种稻草帘黑麦草草毯
KR101140041B1 (ko) 척박지에 식재되는 수목의 활착을 촉진하는 멀칭매트
KR101254465B1 (ko) 마늘 부산물을 이용한 보물섬 롤 잔디의 재배방법
CN102144481A (zh) 一种辣椒砷含量控制栽培方法
CN109392648A (zh) 一种鹿角杜鹃优质壮苗培育方法
CN100589694C (zh) 无土草坪的生产方法
CN103891497A (zh) 一种富含硒锌的无公害高山茶的种植方法
CN109757177B (zh) 一种瓜蒌的育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