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778B1 - 부품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778B1
KR100420778B1 KR10-2001-0013647A KR20010013647A KR100420778B1 KR 100420778 B1 KR100420778 B1 KR 100420778B1 KR 20010013647 A KR20010013647 A KR 20010013647A KR 100420778 B1 KR100420778 B1 KR 10042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hole
pin
base plate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0472A (ko
Inventor
가시와자키도시오
이가라시노리유키
나카지마하루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Publication of KR2001009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7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5Vacuum work holders
    • B25B11/007Vacuum work holders portable, e.g. handh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중공 형상의 패드 가드(12)와, 패드 가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관통 구멍(131)을 가지는 패드 핀(13)과, 패드 핀의 선단에 장착되어, 해당 패드 핀의 관통 구멍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141)을 가지는 패드(14)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패드 핀의 관통 구멍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151)을 가짐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벨로즈 패드(15)를 구비한다. 벨로즈 패드의 관통 구멍(151), 패드 핀의 관통 구멍(131) 및 패드의 관통 구멍(141)에 부압(負壓)을 인가하여 패드에 부품을 흡착 지지한다.

Description

부품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COMPONENTS}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 소자 등의 각종 전자부품(이하, 대표적으로 IC라고 칭한다.)을 테스트하기 위한 전자부품 시험장치에 이용하는데 바람직한 부품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 등의 제조공정에서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IC 칩 등의 전자부품을 시험하는 시험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험장치의 일종으로서, 상온 또는 상온보다도 높은 온도 조건 또는 낮은 온도 조건에서 IC 칩을 시험하는 전자부품 시험장치가 알려져 있다. IC 칩의 특성으로서, 상온 또는 고온 또는 저온에서도 양호하게 동작하는 보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부품 시험장치에서 커스터머 트레이에 실린 다수의 시험전 IC 칩은, 해당 시험장치내에 반송되는 테스트 트레이에 옮겨실린 후 시험이 행해지고, 시험후의 IC 칩은 시험결과에 따라 다른 카테고리의 커스터머 트레이에 옮겨실린다. 이러한 IC 칩의 옮겨싣기 조작에 픽 앤드 플레이스라고 칭해지는 부품 지지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부품 지지장치로서, 진공 흡착력을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고, IC 칩과의 접촉부분에는 충격을 흡수하거나 부품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 고무제 패드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IC 칩의 옮겨싣기 조작을 저온 챔버내에서 행하는 타입의 시험장치에서는 저온환경에 의해 고무제 패드가 경직되어 IC 칩의 흡착 미스가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IC 칩과의 접촉부분을 고무 등의 절연체로 구성하면, IC 칩에 모인 정전기를 제거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이 때문에, 도통성이 높은 금속제 패드의 채용이 검토되었지만, 금속제 패드는 IC 칩과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이 크고, IC 칩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이를 회피하기 위해 IC 칩에의 접근 속도를 느리게 할 필요가 생겨, 옮겨싣기 동작의 고속화에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기의 제거효과 및 부품에의 손상 방지 효과에 뛰어난 부품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제1의 관점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된 중공 형상의 패드 가드와, 상기 패드 가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관통 구멍을 가지는 패드 핀과, 상기 패드 핀의 선단에 장착되어, 해당 패드 핀의 관통 구멍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는 패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패드 핀의 관통 구멍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벨로즈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벨로즈 패드의 관통 구멍, 상기 패드 핀의 관통 구멍 및 상기 패드의 관통 구멍에 부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패드에 부품을 흡착 지지하는 부품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이 부품 지지장치에서는 부품에 대해 패드를 가까이 접촉시키고, 이 상태에서 벨로즈 패드의 관통 구멍, 패드 핀의 관통 구멍 및 패드의 관통 구멍에 부압을 인가한다. 이에따라, 패드에 부품이 흡착되는데, 이와 동시에, 관통 구멍에 인가된 부압에 의해 벨로즈 패드가 수축하고, 패드 및 패드 핀과 함께 부품이 흡입되어 올려진다.
본 발명에서 패드를 부품에 가깝게 접촉시켰을 때 부품에 작용하는 힘은 패드 및 패드 핀의 자체 무게와 벨로즈 패드의 신축력뿐이다. 따라서, 고속으로 패드를 접근시켜도 부품에 작용하는 힘이 작아 부품에 손상을 줄 우려가 적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부품에 작용하는 힘이 작으므로 패드를 도전성이 있는 금속재료 등으로 구성할 수 있어 정전기의 제거 효과가 크다.
또한, 부품을 해방하는 경우에는, 벨로즈 패드의 관통 구멍, 패드 핀의 관통 구멍 및 패드의 관통 구멍에 지금까지 인가해 있던 부압을 해제하던지, 혹은 반대로 정압(正壓)을 작용시킨다. 이에 따라, 지금가지 수축되어 있던 벨로즈 패드가 신장되어 패드 및 패드 핀이 밀려내려 부품이 해방된다.
(2) 본 발명의 제2의 관점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된 중공 형상의 패드 가드와, 상기 패드 가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관통 구멍을 가지는 패드 핀과, 상기 패드 핀의 선단에 장착되어, 해당 패드 핀의 관통 구멍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는 패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핀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패드 핀을 그 선단방향으로 힘을 주는 탄성체와, 상기 패드 핀의 기단측에 기밀실을 형성하는 시일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밀실, 상기 패드 핀의 관통 구멍 및 상기 패드의 관통 구멍에 부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패드에 부품을 흡착 지지하는 부품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이 부품 지지장치에서는, 부품에 대해 패드를 가깝게 접촉시키고, 이 상태에서 기밀실, 패드 핀의 관통 구멍 및 패드의 관통 구멍에 부압을 인가한다. 이에따라, 패드에 부품이 흡착되는데, 이와 동시에, 관통 구멍에 인가된 부압에 의해 탄성체가 수축하고, 패드 및 패드 핀과 함께 부품이 흡입되어 올려진다.
본 발명에서 패드 및 패드 핀은 탄성체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고무제 패드를 이용하지 않고 부품을 확실하게 흡착 지지할 수 있어, 특히 저온 환경에서의 사용에 알맞은 것으로 된다.
또한, 패드를 부품에 가깝게 접촉시켰을 때 부품에 작용하는 힘은 패드 및 패드 핀의 자체 무게와 탄성체의 반력뿐이다. 따라서, 탄성체의 탄성계수를 적절히 조정하면, 고속으로 패드를 접근시켜도 부품에 작용하는 힘이 작아 부품에 손상을 줄 우려가 적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부품에 작용하는 힘이 작으므로 패드를 도전성이 있는 금속재료 등으로 구성할 수 있어, 정전기의 제거 효과가 크다.
또한, 부품을 해방하는 경우에는 기밀실, 패드 핀의 관통 구멍 및 패드의 관통 구멍에 지금까지 인가하고 있던 부압을 해제하던지, 혹은 반대로 정압을 작용시킨다. 이에따라, 지금까지 수축되어 있던 탄성체가 신장하여, 패드 및 패드 핀이 밀려내려 부품이 해방된다.
(3) 상기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부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을 때는 상기 패드의 선단이 상기 패드 가드의 선단보다 돌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패드, 상기 패드 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이에 대신해 상기 패드 가드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상기 부품이 상기 패드 가드의 선단에 접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패드 핀은 회전 멈춤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패드 핀이 회전 멈춤 기구를 포함함으로써 지지된 부품의 각도가 위치 결정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부품 지지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부품 지지장치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하는 부품 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하는 부품 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부품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도5에 도시하는 부품 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품 지지장치 11 : 베이스 플레이트
12 : 패드 가드 13 : 패드 핀
14 : 패드 15 : 벨로즈 패드
131, 141, 151, 162 : 관통 구멍 132 : 플랜지
제1 실시형태
도1은 본 발명의 부품 지지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하는 부품 지지장치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3 및 도4는 도1에 도시하는 부품 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부품 지지장치(1)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구비된 중공 형상의 패드 가드(12)와, 패드 가드(1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관통 구멍(131)을 가지는 패드 핀(13)과, 패드 핀(13)의 선단에 장착되고, 해당 패드 핀(13)의 관통 구멍(131)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141)을 가지는 패드(14)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구비되고, 패드 핀(13)의 관통 구멍(131)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151)을 가짐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벨로즈 패드(15)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도면 외의 XYZ축 구동기구에 장착되고, 해당 베이스 플레이트(11) 전체가 전자부품 시험장치 등의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11)에는 지지 대상물인 IC 칩(2)이 실린 트레이 등과 위치 결정하기위한 위치 결정 핀(111)이나 푸시 핀(112)이 설치되어 있다.
패드 가드(12)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면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도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패드 핀(13)이 내부에 삽입되어 해당 패드 핀(13)이Z축 방향으로만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패드 핀(13)은 내부에 삽입 구멍(131)이 형성되고, 상술한 패드 가드(12)에 삽입된다. 이 패드 핀(13)의 상단에는 비원형(본 예에서는 장원형)의 플랜지(1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장원형의 플랜지(132)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형성된, 마찬가지로 장원형의 관통 구멍(l13)에 끼워져, 해당 패드 핀(13)은 Z축 주위에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단, 도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해당 패드 핀(13)은 패드 가드(12)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해 Z축 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다.
패드 핀(13)의 선단에는 IC 칩(2)에 접촉하는 패드(14)가 기밀하게 끼워지고, 내부에 관통 구멍(1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패드(14)는 지지 대상인 IC 칩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는 벨로즈 패드(15)를 지지하는 블록(16)이 고정되어 있고, 핀(161)을 이용하여 벨로즈 패드(15)의 상단이 고정된다. 블록(16)에는 도면 외의 진공 발생장치(부압 발생장치)에 접속되는 관통 구멍(162)이 형성되고, 또한 벨로즈 패드(15)에도 관통 구멍(1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블록(16)의 관통 구멍(162), 벨로즈 패드(15)의 관통 구멍(151) 및 상술한 패드 핀(13)의 관통 구멍(131), 패드(14)의 관통 구멍(141)이 기밀 상태로 연통되어 있다.
벨로즈 패드(15)는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구성되고, 벨로즈부가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 이 벨로즈부의 하단은 패드 핀(13)의 플랜지(132)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록(16)의 하면과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과의 접합면에서, 블록(16)의 오목부(163)의 직경(폭)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관통 구멍(113)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패드 핀(13)이 상방으로 이동해도 플랜지(132)가 블록(16)에 접하여 상한이 정해지게된다. 즉, 블록(16)이 패드 핀(13)의 스토퍼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패드(14), 패드 핀(13), 패드 가드(12) 및 베이스 플레이트(11)를 도전성이 뛰어난 금속재료로 구성하고, IC 칩에 축적된 정전기를 이들 패드(14), 패드 핀(13), 패드 가드(12) 및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통하여 그랜드로 떨어트리고 있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IC 칩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우선 트레이(3) 등에 실린 IC 칩(2)의 바로 위에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이동시키고, 다음에 패드(14)가 IC 칩(2)에 접촉하기 까지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하강시킨다.
도3은 이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 때 IC 칩(2)에 작용하는 힘은 패드(14) 및 패드 핀(13)의 자체 무게와 벨로즈 패드(15)의 신축력의 반력뿐이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1)를 고속으로 하강시켰을 때에 IC 칩(2)에 패드(14)가 충돌해도 해당 IC 칩(2)에 작용하는 힘이 작아, 손상을 줄 우려가 적다. 또한, 이와 같이 IC 칩(2)에 작용하는 힘이 작으므로, 상술한 바와같이 패드(14)를 도전성이 있는 금속재료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따라, IC 칩(2)에 축적된 정전기를 패드(14), 패드 핀(13), 패드 가드(12) 및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통하여 그랜드로떨어트릴 수 있어, 정전기에 의한 IC 칩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패드(14)를 IC 칩(2)에 접촉시키면, 이 상태에서 진공을 빼고, 블록(16)의 관통 구멍(162), 벨로즈 패드(15)의 관통 구멍(151), 패드 핀(13)의 관통 구멍(131) 및 패드(14)의 관통 구멍(141)에 부압을 인가한다. 이에따라, 패드(14)에 IC 칩(2)이 흡착된다. 이와 동시에, 관통 구멍(141, 131, 151, 162)에 인가된 부압에 의해, 도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벨로즈 패드(15)의 벨로즈부가 수축하고, 패드(14) 및 패드 핀(13)과 함께 IC 칩(2)이 흡입되어 올려진다. 또한, 패드 핀(13)의 플랜지(132)가 블록(16)의 하면에 접할때까지 벨로즈 패드(15)는 수축한다.
도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IC 칩(2)을 지지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상승시켜, 목적으로 하는 장소에 해당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덛붙여, 지지한 IC 칩(2)을 놓는 동작은 이상의 동작을 반대로 하면 된다. 즉, 목적으로 하는 트레이(3)의 바로 위에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이동시키고, 다음에 IC 칩(2)을 지지한 패드(14)가 트레이(3)의 목적 위치의 조금 위에 오기까지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하강시킨다. 이 상태에서 진공 빼는 것을 정지하고, 지금까지 블록(16)의 관통 구멍(162), 벨로즈 패드(15)의 관통 구멍(151), 패드 핀(13)의 관통 구멍(131) 및 패드(14)의 관통 구멍(141)에 부하해 있던 부압을 해제한다. 이 때, IC 칩(2)의 해방성을 높이기 위해 정압을 인가해도 된다. 이에따라, 지금까지 수축해 있던 벨로즈 패드(15)가 자기 탄성력에 의해 신장하고, 패드(14) 및 패드 핀(13)이 도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밀려내려, IC 칩(2)이 트레이(3)에 접촉하고,여기서 해방되게 된다.
제2 실시형태
도5는 본 발명의 부품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이 부품 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예의 부품 지지장치(1)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것에 대해 벨로즈 패드(15)대신에 스프링(17)을 이용한 것이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형성된 중공 형상의 패드 가드(12)와, 패드 가드(1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관통 구멍(131)을 가지는 패드 핀(13)과, 패드 핀(13)의 선단에 장착되고, 해당 패드 핀(13)의 관통 구멍(131)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141)을 가지는 패드(14)와, 패드 핀(13)과 패드(14)를 덮도록 형성된 패드 홀더(18)와, 패드 핀(13)을 그 선단 방향으로 힘을 주는 스프링(17)(본 발명의 탄성체)과, 패드 핀(13)의 기단측에 기밀실(19)을 형성하는 패킹(20)(본 발명의 시일체)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스프링(17)은 패드 핀(13)의 기단에 부착된 스프링 홀더(21)와 블록(22)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킹(20)은 외주부가 블록(22)과 블록(23)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는 한편, 내주부가 리테이너(24)를 통하여 패드 핀(13)과 스프링 홀더(21)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 패킹(20)의 존재에 의해 패드 핀(13)의 관통 구멍(131)과 블록(25)의 관통 구멍(251) 사이에 기밀실(19)이 형성되게 된다.
본 예에서는 패드(14), 패드 핀(13), 패드 가드(12) 및 베이스 플레이트(11)를 도전성이 뛰어난 금속재료로 구성하고, IC 칩에 축적된 정전기를 이들패드(14), 패드 핀(13), 패드 가드(12) 및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통하여 그랜드로 떨어트리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IC 칩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우선 트레이(3) 등에 탑재된 IC 칩(2)의 바로 위에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이동시키고, 다음에 패드(14)가 IC 칩(2)에 접촉하기 까지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하강시킨다.
도5는 이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데, 본 실시형태의 부품 지지장치(1)에서는 저온 환경하 등에서 경직되는 고무 재료 등을 이용하지 않고 스프링(17)에 의해 패드(14)에 Z축 방향의 가동성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무 재료의 수축에 의한 위치 오차가 발생할 염려가 없어, 정확하게 IC 칩(2)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IC 칩(2)에 작용하는 힘은 패드(14) 및 패드 핀(13)의 자체 무게와 스프링(17)의 탄성력뿐이다. 따라서, 스프링(17)의 탄성 계수를 필요에 따라 조정해 놓으면, 베이스 플레이트(11)를 고속으로 하강시켰을 때, IC 칩(2)에 패드(14)가 충돌해도 해당 IC 칩(2)에 작용하는 힘이 작아, 손상을 줄 우려가 적다. 또한, 이와 같이 IC 칩(2)에 작용하는 힘이 작으므로, 상술한 바와같이 패드(14)를 도전성이 있는 금속 재료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따라, IC 칩(2)에 축적된 정전기를 패드(14), 패드 핀(13), 패드 가드(12) 및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통하여 그랜드로 떨어트릴 수 있어, 정전기에 의한 IC 칩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패드(14)를 IC 칩(2)에 접촉시키면, 이 상태에서 진공을 빼고, 블록(25)의 관통 구멍(251), 기밀실(19), 패드 핀(13)의 관통 구멍(131) 및 패드(14)의 관통 구멍(141)에 부압을 인가한다. 이에따라, 패드(14)에 IC 칩(2)이 흡착된다. 이와 동시에, 관통 구멍(141, 131), 기밀실(19) 및 관통 구멍(251)에 인가된 부압에 의해,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스프링(17)이 수축하고, 패드(14) 및 패드 핀(13)과 함께 IC 칩(2)이 흡입되어 올려진다. 또한, 스프링 홀더(21)의 상단이 블록(22)의 내면에 접하기 까지 스프링(17)은 수축한다.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IC 칩(2)을 지지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상승시켜, 목적으로 하는 장소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덧붙여, 지지한 IC 칩(2)을 놓는 동작은 이상의 동작을 반대로 행하면 된다. 즉, 목적으로 하는 트레이(3)의 바로 위에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이동시키고, 다음에 IC 칩(2)을 지지한 패드(14)가 트레이(3)의 목적 위치의 조금 위에 오기까지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하강시킨다. 이 상태에서 진공을 빼는 것을 정지하고, 지금까지 블록(25)의 관통 구멍(251), 기밀실(19), 패드 핀(13)의 관통 구멍(131) 및 패드(14)의 관통 구멍(141)에 부하하고 있던 부압을 해제한다. 이 때, IC 칩(2)의 해방성을 높이기 위해 정압을 인가해도 된다. 이에따라, 지금가지 수축해 있던 스프링(17)이 자기 탄성력에 의해 신장하고, 패드(14) 및 패드 핀(13)이 도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밀려내려, IC 칩(2)이 트레이(3)에 접촉하여, 여기서 해방되게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기재된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Claims (10)

  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중공 형상의 패드 가드와,
    상기 패드 가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관통 구멍을 가지는 패드 핀과,
    상기 패드 핀의 선단에 장착되고, 해당 패드 핀의 관통 구멍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는 패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패드 핀의 관통 구멍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벨로즈 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벨로즈 패드의 관통 구멍, 상기 패드 핀의 관통 구멍 및 상기 패드의 관통 구멍에 부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패드에 부품을 흡착 지지하며,
    상기 부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을 때는, 상기 패드의 선단이 상기 패드 가드의 선단보다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상기 패드 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가드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상기 부품이 상기 패드 가드의 선단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핀은 회전 멈춤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지지장치.
  6.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중공 형상의 패드 가드와,
    상기 패드 가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관통 구멍을 가지는 패드 핀과,
    상기 패드 핀의 선단에 장착되고, 해당 패드 핀의 관통 구멍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는 패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핀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패드 핀을 그 선단 방향으로 힘을 주는 탄성체와,
    상기 패드 핀의 기단측에 기밀실을 형성하는 시일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밀실, 상기 패드 핀의 관통 구멍 및 상기 패드의 관통 구멍에 부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패드에 부품을 흡착 지지하며,
    상기 부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을 때는, 상기 패드의 선단이 상기 패드 가드의 선단보다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지지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상기 패드 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지지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가드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압이 인가되었을 때에 상기 부품이 상기 패드 가드의 선단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지지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핀은 회전 멈춤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지지장치.
KR10-2001-0013647A 2000-03-17 2001-03-16 부품 지지장치 KR100420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75271 2000-03-17
JP2000075271A JP2001260065A (ja) 2000-03-17 2000-03-17 部品保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472A KR20010090472A (ko) 2001-10-18
KR100420778B1 true KR100420778B1 (ko) 2004-03-02

Family

ID=1859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647A KR100420778B1 (ko) 2000-03-17 2001-03-16 부품 지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485009B2 (ko)
JP (1) JP2001260065A (ko)
KR (1) KR100420778B1 (ko)
CN (1) CN1166542C (ko)
TW (1) TW5045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15549U1 (de) * 2001-09-21 2001-12-06 Festo Ag & Co Vakuumhandhabungsvorrichtung
DE10159921A1 (de) * 2001-12-06 2003-06-18 Imt Robot Ag Objektgreifer für die Automatisierungstechnik
DE10251393B4 (de) * 2002-11-05 2008-06-05 Inos Automationssoftwar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ließkeilsimulation
JP3917528B2 (ja) * 2003-01-07 2007-05-23 エスペック株式会社 吸着パッド
US6871846B2 (en) * 2003-03-18 2005-03-29 Keith R. Antill Suction-attached support device and method
DE10333068A1 (de) * 2003-07-19 2005-02-10 Bojan, Vasile-Adrian, Dipl.-Ing. Scheibengalvanikvorrichtung
JP4635717B2 (ja) * 2005-05-24 2011-02-23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ークの保持方法および保持装置
EP1901594A4 (en) * 2005-06-30 2014-11-26 Fujitsu Ltd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MICROCOMPONENT
CN101237965B (zh) * 2005-08-05 2010-09-01 平田机工株式会社 工件吸附头
WO2007046152A1 (ja) * 2005-10-18 2007-04-26 Hirata Corporation 吸着ヘッド装置
KR100843222B1 (ko) * 2006-12-22 200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칩의 이송방법
KR100817254B1 (ko) 2007-03-27 2008-03-27 한국뉴매틱(주) 내장 진공펌프를 갖는 레벨 보정기
CN101590649A (zh) * 2008-05-26 2009-12-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吸取装置
CN101641007B (zh) * 2008-07-31 2011-09-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贴片机吸嘴
JP4973704B2 (ja) * 2009-08-18 2012-07-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保持装置および保持装置を有する搬送装置
CN102059706B (zh) * 2009-11-16 2013-08-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定位取料装置
TWI391307B (zh) * 2010-01-15 2013-04-01 Advanced Semiconductor Eng 吸頭與應用此吸頭之輸送機台
JP5287741B2 (ja) * 2010-01-21 2013-09-11 富士通株式会社 部品のマウンタ装置及び部品のマウント方法
DE102010038931B4 (de) * 2010-08-04 2013-11-28 Deutsches Institut Für Lebensmitteltechnik E.V. Sauggreifer für Lebensmittel
EP2463065A1 (en) * 2010-12-07 2012-06-13 CAMA 1 SpA Vacuum gripping head for an industrial robot
DE102010055087A1 (de) * 2010-12-18 2012-01-19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Anbringen von elektronischen Bauelementen an Bauelementeträgern
CN102616589A (zh) * 2011-01-31 2012-08-01 威得客国际股份有限公司 真空吸取装置及移动机构
US8662554B1 (en) * 2011-12-20 2014-03-04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Vacuum pick-up end effecter to pick and place a component in a manufacturing process
JP2012121136A (ja) * 2012-02-09 2012-06-28 Seiko Epson Corp 搬送装置
KR101157542B1 (ko) 2012-04-26 2012-06-22 한국뉴매틱(주) 인-라인 진공펌프
WO2014033794A1 (ja) * 2012-09-03 2014-03-06 平田機工株式会社 吸着ノズル及び吸着装置
JP6218395B2 (ja) * 2013-03-05 2017-10-25 日置電機株式会社 吸着機構および吸着装置
US9022444B1 (en) 2013-05-20 2015-05-05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Vacuum nozzle having back-pressure release hole
US9120232B1 (en) 2013-07-26 2015-09-01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Vacuum pick-up end effector with improved vacuum reading for small surface
JP6147222B2 (ja) * 2014-05-09 2017-06-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ワークチャック装置
KR20160007005A (ko) * 2014-07-10 201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송 장치용 패드와 이를 포함하는 대상물 이송 장치, 및 대상물 이송 방법
CN106043872A (zh) * 2016-07-09 2016-10-26 深圳市凯之成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自动化产品贴标生产线
CN106455474A (zh) * 2016-08-23 2017-02-2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研究所 激光器件全自动共晶贴片机更换吸嘴定位治具
CN107350992A (zh) * 2017-05-04 2017-11-17 苏州柔触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柔性夹头及其柔性夹具和柔性夹持笔
US10724572B2 (en) 2017-08-23 2020-07-28 Todd H. Becker Electronically-releasable suction cup assembly secured to an appliance
JP6609293B2 (ja) 2017-08-30 2019-11-20 平田機工株式会社 保持ノズル、保持ヘッド及び移載装置
US11565403B2 (en) * 2018-10-09 2023-01-31 Canon Kabushiki Kaisha Attaching mechanism, robot apparatus, and attaching method
IT201900002273A1 (it) * 2019-02-15 2020-08-15 Atom Spa Dispositivo di presa e movimentazione di semilavorati da un piano di lavoro
US20210122062A1 (en) * 2019-10-27 2021-04-29 Comau Llc Glass Decking System, Adaptable End Effector and Methods
EP4063082A1 (en) * 2021-03-23 2022-09-28 TOMRA Sorting GmbH Robotic system and method for sorting waste with suction gripper
CN113394154B (zh) * 2021-05-18 2022-08-19 桂林芯飞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探测器芯片的吸取装置及方法
CN113716304B (zh) * 2021-09-08 2022-12-13 深圳鼎晶科技有限公司 一种翻转装置及上料装置
CN113977486B (zh) * 2021-10-28 2023-10-20 山东杰锋机械制造有限公司 双盘磨浆机保持磨片同轴度的定位机构及装配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7143A (ja) * 1983-04-22 1984-11-08 Tokyo Sokuhan Kk 部品マウント装置
JPH01281745A (ja) * 1988-05-07 1989-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素子の吸着装置
JPH05152418A (ja) * 1991-11-26 1993-06-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チツプピツクアツプ装置
JPH05337866A (ja) * 1992-06-04 1993-12-21 Nec Yamaguchi Ltd Icハンドリング装置
KR960025480U (ko) * 1994-12-31 1996-07-22 패키지 픽업장치
JPH11344529A (ja) * 1998-05-29 1999-12-14 Advantest Corp 部品吸着装置、部品ハンドリング装置および部品試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64139B1 (fr) * 1984-05-10 1988-11-18 Peugeot Dispositif pour le montage des soupapes dans la culasse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S62215117A (ja) * 1986-03-17 1987-09-21 新技術事業団 負圧吸着装置
US4763941A (en) * 1987-06-11 1988-08-16 Unisys Corporation Automatic vacuum gripper
JP2579032B2 (ja) * 1990-05-16 1997-02-05 九州日本電気株式会社 吸着パッド
JPH0526284U (ja) * 1991-09-20 1993-04-06 関西日本電気株式会社 吸着装置
JPH0572386U (ja) * 1992-02-12 1993-10-05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Ic搬送装置
JP3325984B2 (ja) * 1993-12-28 2002-09-17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吸着用パッド
JPH08267383A (ja) * 1995-04-04 1996-10-15 Advantest Corp Icハンドラの吸着ヘッド
US6036196A (en) * 1998-10-26 2000-03-14 Lucent Technologies Inc. Collet arrangement for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JP3768038B2 (ja) * 1999-08-06 2006-04-19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の装着ヘッ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7143A (ja) * 1983-04-22 1984-11-08 Tokyo Sokuhan Kk 部品マウント装置
JPH01281745A (ja) * 1988-05-07 1989-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素子の吸着装置
JPH05152418A (ja) * 1991-11-26 1993-06-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チツプピツクアツプ装置
JPH05337866A (ja) * 1992-06-04 1993-12-21 Nec Yamaguchi Ltd Icハンドリング装置
KR960025480U (ko) * 1994-12-31 1996-07-22 패키지 픽업장치
JPH11344529A (ja) * 1998-05-29 1999-12-14 Advantest Corp 部品吸着装置、部品ハンドリング装置および部品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04576B (en) 2002-10-01
CN1332110A (zh) 2002-01-23
US20010040327A1 (en) 2001-11-15
US6663092B2 (en) 2003-12-16
CN1166542C (zh) 2004-09-15
JP2001260065A (ja) 2001-09-25
US6485009B2 (en) 2002-11-26
KR20010090472A (ko) 2001-10-18
US20030030293A1 (en)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778B1 (ko) 부품 지지장치
KR20050072706A (ko) 집적회로 칩을 반송하고 테스트하기 위한 지그 장치
WO1997016737A1 (en) Membrane for holding a probe tip in proper location
KR20000017486A (ko) 테스트 소켓
EP1860448A2 (en) Handler for sorting packaged chips
KR100392103B1 (ko) 반도체 소자 시험용 캐리어 및 반도체 소자 시험방법 및 반도체 소자 시험용 장치
KR100639704B1 (ko) 독립적 동작이 가능한 레치를 갖는 반도체 패키지 수납용인서트
US6344737B1 (en) Picker nest for holding an IC package with minimized stress on an IC component during testing
KR100832012B1 (ko) 푸싱 수단을 갖는 픽 & 플레이스 헤드 장치
KR20180062066A (ko) 반도체 패키지 픽업 장치
JP4037726B2 (ja) 真空プローブ装置及び真空プローブ方法
TWI709454B (zh) 可旋轉之緩衝取放裝置
KR102007802B1 (ko) 마이크로 led용 전사장치
KR20000052405A (ko) 테스트를 위한 집적 회로의 이송 및 활성 온도 제어
KR20000005901A (ko) Ic디바이스의테스트용캐리어보드
JP4940269B2 (ja) 半導体ウェハのテスト装置、半導体ウェハのテスト方法及び半導体ウェハ用プローブカード
JP6681083B2 (ja) 吸着ノズル、部品実装機
JP2002181887A (ja) 電子部品試験装置
KR100484426B1 (ko) 반도체장치용 소켓
KR100610778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102496532B1 (ko) 반도체 패키지의 테스트 장치
KR101729850B1 (ko) 소형 전자 부품 검사 장치
US10816574B2 (en) High insertion count test socket
CN210142158U (zh) 调试治具和测试装置
KR20230051944A (ko) 반도체 패키지의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