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235B1 -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 Google Patents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235B1
KR100418235B1 KR10-2001-7007710A KR20017007710A KR100418235B1 KR 100418235 B1 KR100418235 B1 KR 100418235B1 KR 20017007710 A KR20017007710 A KR 20017007710A KR 100418235 B1 KR100418235 B1 KR 100418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ap
writing
performance
pe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6124A (ko
Inventor
오사다다카히로
아미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펜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펜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펜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6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12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pad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는, 예를 들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 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13)을 갖는 필기구(10)에 있어서, 상기 펜 끝(13)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상온에서 고체이고, 또한 잉크 용매에 대하여 용해도가 상온에서 10% 이하인 물질이 코팅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필기구(10)에 의해 장기간 펜 끝을 대기중에 방치하여도 양호한 필기성을 갖는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가 수득된다.

Description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WRITING INSTRUMENT EXCELLENT IN CAP-OFF PERFORMANCE}
종래부터, 마킹펜(marking pen), 싸인펜, 붓 펜 등과 같이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에 잉크를 침투시켜 필기하도록 한 필기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뚜껑을 빼서 펜 끝부분을 장시간 대기중에 방치한 경우는, 펜 끝부분이 건조해져 필기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마킹펜, 싸인펜, 붓 펜 등의 필기구는, 예컨대, 잉크중에 증발억제성 특정 폴리 글리세린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 특정 산성 인산고급알콜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 특정 아인산고급알콜에스테르, 및 특정 데카글리세린 스테아린산 에스테르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므로써 실현되었다(일본 특허공고 공보 제 소화 62-34352 호, 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 소화 61-261380 호 등참조).
그러나, 증발억제효과가 높은 첨가제는,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10중량% 이하인 것이 대부분이어서, 용해도가 낮다는 점에 문제점이 있고, 특히, 0℃에서의 용해도는 5중량% 이하이며, 저온에서 보존되거나, 저온·고온의 반복에 의해 잉크중에서 상기 첨가제의 침전이 발생하여, 잉크 통로내에서 막힘을 야기하여 필기성을 저하시키거나, 캡오프 성능이 시간 경과에 따라 열화되는 등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제 평성 7-242094 호에는, 필기구를 제조한 후, 최초로 필기 되기까지의 기간 동안 필기부로부터 용매 휘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미사용 상태에서의 필기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장기간 방지하기 위해서, 다공성 심 재료를 포함하는 필기심의 한쪽 단부가 용매에 염료가 용해된 잉크를 흡장한 잉크 흡장체에 삽입되고 다른쪽 단부가 필기부를 형성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필기심의 필기부에 잉크 용매중에서 휘발속도가 느린 벤질 알콜 등의 고비점 용매를 미리 도포 또는 함침시켜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의 건조 방지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보에 개시된 필기구의 건조 방지법은, 필기구의 제조 후로부터 최초 필기되기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건조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또한 잉크 용매중에서 휘발속도가 느린 벤질 알콜 등의 고비점 용매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기한 후의 필기부의 건조방지를 달성하지는 못하고 본 발명과는 그 목적, 작용 및 그 구성(기술사상)이 상이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필기구의 건조 방지법에서 사용되는 벤질 알콜 등은 상온에서 액체이며 용매와는 임의로 혼합되는것이어서, 장기간 방치하면 용액의 확산에 의해 잉크 흡장체내로 혼입되어 효과가 거의 없어진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고, 또한 1회의 필기로 벤질 알콜 등이 유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잉크가 없어질 때까지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따라서,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을 갖는 마킹펜, 싸인펜, 붓 펜 등의 필기구에 있어서는, 저온에서의 보존성이 양호하고, 캡오프 성능이 시간경과시에도 열화되지 않는 필기구가 요구되고, 더구나 뚜껑을 덮는 것을잊어서, 펜 끝 등을 장기간 대기중에 방치한 경우에도 필기 끊김 등이 발생하지 않고, 우수한 필기성이 달성되는 필기구가 요구되는 것이 현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에 비추어서, 이것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고, 저온에서의 보존성이 양호하고, 잉크 통로내에서의 막힘 등도 없고, 장시간 대기중에 펜 끝을 방치해두더라도 양호한 필기성을 실현하는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등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 등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계속한 결과,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마킹펜, 싸인펜, 붓 펜 등의 필기구를 실현하기 위해, 이러한 필기구에 사용된,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에 있어서, 용매중에 용해되기 어려운 증발 억제 작용을 갖는 첨가제를 펜 끝에 코팅하는 것 등에 의해, 상기 목적의 필기구가 수득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는, 하기 제 (1) 내지 (8) 양태로 존재한다.
(1)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을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펜 끝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상온에서 고체이고 또한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10% 이하가 됨과 동시에, 펜 끝에서 항상 재생되고 필기시에 찢어지는 재생 피막을 형성하는 물질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2) 코팅 물질의 융점이 40 내지 95℃인 상기 제 (1) 양태의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3) 코팅 물질이 글리세린 유도체, 알킬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에스테르, 파라핀 왁스, 미정질 왁스, 폴리올레핀 밀납, 펜타에리쓰리톨 유도체 및 레시틴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에 기재된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4) 코팅량이 펜 끝에 대하여 중량비로 0.01 내지 20중량%인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3 양태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된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5) 필기구의 잉크중에,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상온에서 고체이며, 또한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0.01 내지 10%가 되는 물질이, 잉크 전체에 대해 0.01 내지 10중량% 첨가된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4 양태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6) 잉크중에 첨가된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이 글리세린 유도체, 알킬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에스테르, 파라핀 왁스, 미정질 왁스, 폴리올레핀 밀납, 펜타에리쓰리톨 유도체 및 레시틴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5 양태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7)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6 양태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기구가, 잉크를 직접 저장하는 용기인 잉크 탱크부를 갖는 동시에, 일시적으로 잉크를 보유하는 수집기 부재를 가져서, 잉크 탱크부로부터 펜 끝으로의 도출이 직접 또는 중계심을 거쳐서 수행되는 직액식 필기구인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8)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6 양태중 어느 한 양태에 기재된 필기구가, 용기내 잉크를 흡장한 잉크 흡장체를 가지고, 상기 잉크 흡장체로부터 펜 선단부로의 잉크 도출이 직접 또는 중계심을 거쳐서 수행되는 필기구인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본 발명은 장기간 펜 끝을 대기중에 방치하더라도 양호한 필기성을 갖는 캡오프(cap-off)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1n은, 본 발명의 섬유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2a 내지 2j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필기구를 직액식 필기구에 적용한 예를 단면형태로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필기구를 밸브기구를 갖춘 필기구에 적용한 예를 단면형태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잉크를 중면 등의 잉크 흡장체에 흡장시킨 타입의 본 발명의 필기구의 예를 단면 형태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7는 잉크를 중면 등의 잉크 흡장체에 흡장시킨 타입의 본 발명의 필기구의 다른 예를 단면형태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필기구를 노킹식 필기구에 적용한 예를 단면형태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펜 끝의 구성을 설명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상술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는,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을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펜 끝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상온에서 고체이며 또한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10% 이하임과 동시에, 펜 끝에서 항상 재생되고, 필기시에는 찢어지는 재생 피막을 형성하는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는,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을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펜 끝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융점(mp)이 40 내지 95℃이며 또한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10% 이하인 상기 특성의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는,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을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펜 끝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상온에서 고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융점(mp)이 40 내지 95℃이고, 또한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10% 이하인 물질이 코팅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필기구의 잉크중에,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상온에서 고체이며 또한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0.01 내지 10%인 물질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이하, 이들의 3종의 실시형태를 단지「실시형태」라고 한다)에 사용되는 코팅 물질은,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상온(25℃, 이하 동일)에서 고체이며, 또한 잉크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인 것이고, 이들의 용해도의 하한값은 O%을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O.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다.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상온에서 액체인 것 또는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10%를 넘는 것은 용해, 확산작용에 의해 잉크 용매중에 용출되어, 장기간 보존시 효과가 저하되거나, 펜을 사용하여 잉크가 감소함에 따라 효과가 없어지는 등,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10% 이하라는 것은 코팅 물질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매(후술하는 잉크 성분인 유기 용제로 이루어진 용매)에 대하여 그 용해도가 상온에서 10% 이하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코팅 물질은 상기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또한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융점이 40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이 40 내지 95℃인 코팅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즉 제 2 실시형태의 필기구에서는, 잉크중에 필요 이상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이 용출되지 않기 때문에 유리 등의 비흡수면에 필기했을 때의 필기 묘선의 건조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코팅 물질은, 상기 특성, 즉 상온에서 고체인 것,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40 내지 95℃인 것, 또한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10% 이하가 되는 특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상기 특성을 갖는 디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트리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펜타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헥사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및 데카글리세린 디스테아레이트 등의 글리세린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인산에스테르 등의 알킬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헥사스테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파라핀왁스; 미정질왁스; 펜타에리쓰리톨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 디스테아레이트 등의 펜타에리쓰리톨 유도체; 레시틴; 화학자당 에스테르; 폴리올레핀밀납; 아스코브산 스테아레이트 및 소르브산 스테아레이트 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고체(더욱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40 내지 95℃임)인 것, 또한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는 10% 이하이며, 또한 필기에 의한 펜 끝의 물리적 마찰이나 잉크 유출 등에 의해 캡오프 성능을 부여하는 물질이 분리되기 어렵다는 면에서 보다 단단하고 용해성도 보다 낮은 편이 내구성이나 효과도 향상된다는 점에서, 디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펜타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인산에스테르, 레시틴, 파라핀 왁스, 미정질 왁스 및 폴리올레핀 밀납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특성을 갖는 각종 코팅 물질의 구체적인 예를 상술한 바와 같이 (디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로부터 소르비탄산스테아레이트까지) 예시했지만, 이러한 각종 코팅 물질에 있어서, 추가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중에서 융점이 40 내지 95℃의 범위내에 들어가는 것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펜 끝에서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상기 특성을 갖는 물질의 코팅 방법은,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에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필요량의 코팅이 형성된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상기 특성을 갖는 물질을 용해한 용매에 용해시켜 이것을 펜 끝에 침지 처리 또는 분무 처리한 후, 승온 또는 실온에서 건조시킴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용해도가 극단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승온된 용해액에 침지시키고 냉각시킴으로써 코팅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방법은 손쉽고 저렴한 방법으로서 우수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특성을 갖는 물질을 용해하는 용매로서는, 예컨대, 메틸 알콜, 에틸 알콜, n-프로필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i-프로필 알콜)등의 알콜류;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류;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부틸, 에틸렌 글리콜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헥산, 헵탄 및 메틸 사이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류; 클로로포름 및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의 염소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특성을 갖는 물질의 펜 끝에서의 코팅량은, 펜 끝에 대하여 중량비로 0.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 중량%이다.
코팅량이 O.O1 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또한 20중량%을 넘으면, 펜 끝의 잉크 통로가 확보되지 않고, 잉크가 나가는 것이 어려워져, 끊김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펜 끝의 재질, 구조 및 제법 등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천연섬유, 동물 모섬유, 폴리아세탈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폴리페닐렌 수지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평행 섬유 다발 및 펠트 등의 섬유 다발을 가공하거나 이들의 섬유 다발을 수지가공한 섬유심, 상기 각종 플라스틱재의 축방향으로 잉크 홈을 형성한 플라스틱심, 상기 각종 플라스틱 분말 등을 용융 결합한 다공성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펜 끝을 들 수 있고, 그 형태도 판상체, 섬유집속체, 소결체 및 발포체 등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사용된 섬유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의 구체적인 형상으로는, 예컨대 도 1a 내지 도 1n에 제시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각종 플라스틱재의 축방향에 잉크 홈을 형성한 도 2a의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의 잉크 홈의 형태로서는, 예컨대 도 2b 내지 2j에 제시된 구성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특성의 물질을 펜 끝에 코팅을 하여 목적하는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를 수득하기 위해서, 펜 끝으로서 섬유심을 사용한 경우는, 바람직하게는, 기공율이 30 내지 75%이고, 슬릿 직경이 대략 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펜 끝으로서 플라스틱심을 사용한 경우가 바람직하고, 평균 슬릿 직경으로 20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공율 및 슬릿 직경은 상기 특성의 물질을 펜 끝에 코팅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상기 수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슬릿 직경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 것이다.
슬릿직경=기공율×실의 반경(1-기공율)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필기구로 사용되는 잉크로서는, 보통 마킹펜, 싸인펜, 붓 펜 등에 사용되는 유성 잉크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컨대, 착색제, 유기용제, 상기 유기 용제에 가용성인 수지, 기타 필기구용 첨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유용성 염료 및 안료 등이 있고, 유용성 염료로서는 유기용제에 가용성인 일반 유용성 염료이면 대개 사용가능하다. 예컨대, 염료로서는 오라졸 엘로(Orazol Yellow) 2GLN, 오라졸 레드(Orazol Red) 3GL, 오라졸 블루(Orazol Blue) 2GLN, 네온자폰 블루(Neonzapon blue) FLE, 스피리트 블랙(Spirit black) SP, 파리패스트 레드(Parifast Red) 1308, 오일 블루(Oil Blue) BA, 오일 엘로(Oil Yellow) 185, 오일 레드(Oil Red) TR71, 오일 블랙(Oil black) S, 빅토리아 블루(Victoria Blue), 로다민(Rhodamine) 6JHSA 및 플렉스 엘로(Flex Yellow) 105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안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아조계 안료, 축합 폴리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금속 착염 안료, 티오인디고 안료, 염료 레이크 안료, 형광 안료 등의 유기안료, 카본 블랙, 산화 티타늄 등의 무기 안료를 들 수 있고, 또한 표면을 수지코팅으로 가공한 가공 안료, 예컨대, 마이크로리스(Microlys) A 타입, AS 블랙, AS 블루 및 IK 레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염료 및/또는 안료는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그 사용량은 착색제의 종류나 다른 잉크 성분에 따라 다르지만, 전체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로서는, 에틸 알콜, 프로필 알콜 및 이소프로필 알콜 등의 저급 알콜;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메틸 에틸케톤 및 메틸 이소부틸케톤등의 저급 지방족 케톤; 초산에틸 및 초산부틸 등의 저급 지방산의 저급 알콜 에스테르; 헥산 및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산 및 에틸사이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탄화수소; 글리콜의 알킬알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모노메틸에틸 글리콜 에테르 등을 선택할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사용량은 잉크 전체량에 대해서 5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 중량%가 바람직하다.
수지는, 피막형성제, 코팅면으로의 부착제, 잉크의 점도 조정제 및 착색제의 분산제로서 사용되고,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천연수지,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로진, 에스테르 검, 말레인산 변성 로진, 페놀 변성 로진 등의 로진계 수지; 에틸 셀룰로즈, 니트로셀롤로즈 등의 셀롤루즈계 수지; 폴리비닐 부틸알,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수지 등의 비닐계 수지; 석유계 수지; 케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알데히드와 요소의 축합물; 말레인산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전량에 대하여 O.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이다.
그 밖의 필기구용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음이온계, 비이온계, 양이온계 등의 계면활성제, 방부제, 살균제, 방청제, 윤활제, pH 조제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첨가물질은 상술한 코팅 물질과 기본적으로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상온에서 고체이며 또한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 더욱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이다.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첨가물질중에서 상온에서 액체인 것 또는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10%를 넘기는 것은 용해 및 확산 작용에 의해서 잉크 용매중에 용출되어 버리고, 장기간 보존에 의해 더욱 효과가 저하되거나, 펜을 사용하고 잉크가 감소함에 따라 더욱 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O.01 내지 10%이면, 잉크 첨가 물질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용매(상술한 잉크 성분이 되는 유기용제로 이루어진 용매)에 대하여, 그 용해도가 상온에서 0.01 내지 10%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한 첨가물질로는,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첨가물질중에서 융점이 40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5℃이며, 또한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0.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첨가물질은, 상기 특성, 즉 상온에서 고체인 것,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40 내지 95℃인 것, 또한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O.01 내지 10%인 특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상기 특성을 갖는 디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트리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펜타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헥사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및 데카글리세린 디스테아레이트 등의 글리세린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 인산 에스테르 등의 알킬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헥사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에스테르; 파라핀왁스; 미정질 왁스; 펜타에리쓰리톨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 디스테아레이트 등의 펜타에리쓰리톨 유도체; 레시틴; 화학자당 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밀납; 아스코브산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산 스테아레이트 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고체(더욱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40 내지 95℃임)인 것, 또한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는 O.01 내지 10% 인 것으로서, 디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펜타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 인산에스테르 및 레시틴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성을 갖는 첨가물질의 잉크로의 첨가량은, 전체량에 대하여 중량비로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O.1 내지 1중량%이다.
잉크로의 첨가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추가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또한 10중량%을 넘기면, 필기 묘선의 건조 시간이 길어지고 장기간 보존하거나 저온·고온이 반복됨에 따라 잉크속에 침전이 발생하여 잉크 통로내에서 막힘을 야기하거나 필기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필기구에서는,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코팅 물질을 코팅함과 동시에, 또한 잉크중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잉크 첨가물질을 첨가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의 필기구에 비교하여, 추가로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필기구의 구조는, 보통 마킹펜, 싸인펜, 붓 펜 등에서 사용하는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을 갖는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필기구용 캡을 갖는 필기구 또는 필기구용 캡을 갖지 않는 필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장시간 대기중에 펜 끝을 방치해 두더라도 양호한 필기성을 실현하는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를 달성할 수 있고, 예컨대, 종래에 있어서의 도 3 내지 도 7의, 필기구용 뚜껑을 갖는 필기구 등의 구조, 또는, 간단한 밀봉 기구를 갖춘 마킹펜, 싸인펜, 붓 펜 등의 구조 및 도 8의 필기구용 뚜껑이 불필요한 노킹식 싸인펜, 마킹펜, 붓 펜 등의 구조를 들 수 있다.
도 3는, 직액식 필기구이며, 상기 직액식 필기구(10)는 잉크를 중면 등에 흡장시키지 않고 직접 저장하는 용기인 잉크 탱크부(11)를 가지고, 또한 잉크 탱크부(11)의 앞 부분에는 잉크 탱크부(11)내의 공기가 온도 상승 등에 의해서 팽창한 경우에 잉크 탱크로부터 압출되는 잉크를 펜 끝이나 공기구멍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보유하는 잉크 보유체(수집기 부재)(12)가 내장되어 있고, 수집기 부재(12)의 앞부분에는 섬유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13)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잉크 탱크부(11)로부터 펜 끝(13)으로의 잉크의 도출은 수집기 부재(12)의 중심공(12a)에 부설된 잉크 통로를 설치한 중계심(14)을 거쳐서 잉크 탱크부(11)으로부터 잉크를 펜 끝(13)으로 도출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도 3의 (15)는 폴더(folder) 부재이며, (16)는 잉크 탱크부(11)의 후부에 부착된 후부 용기이며, (17)은 뚜껑이다. 또한, 중계심(14)을 거치지 않고, 펜 끝(13)의 후부를 잉크 탱크부(11)내에 직접 배치하여 잉크를 도출시킬 수 있다.
도 4의 필기구(20)는, 교반 볼인 강철 볼(21)을 내장한 밸브식 필기구이며, 잉크를 중면 등에 흡장시키지 않고 직접 저장하는 용기인 잉크 탱크부(22)를 포함하고, 밸브 기구(23)를 거쳐서 섬유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24)으로 잉크가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25)는 폴더 부재이며, (26)는 밸브기구(23)와 폴더 부재(25)사이에서, 펜 끝(24)의 후부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 이며, (27)는 뚜껑이다.
도 5 및 도 6은 모두 잉크를 중면 등의 잉크 흡장체에 흡장시킨 타입의 필기구이다. 각각의 해당 필기구(30a) 및 (30b)는, 용기인 용기 몸체(31a) 및 (31b) 내에 잉크를 중면 등의 섬유체에 흡장한 잉크 흡장체(32a) 및 (32b)를 포함하고, 잉크 흡장체(32a) 및 (32b)의 앞 부분에서는 섬유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33a) 및 (33b)의 후단부(34a) 및 (34b)가 접촉됨으로써, 잉크 흡장체(32a) 및 (32b)의 잉크가 펜 끝(34a) 및 (34b)으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35a) 및 (35b)은 용기 몸체 (31a) 및 (31b)의 후단부에 부착된 마개이며, (36a) 및 (36b)는 뚜껑이다. 또한, 도 5및 도 6의 차이점은, 용기 몸체(31a) 및 (31b), 펜 끝(33a) 및 (33b)의 형상 및 마개(35a) 및 (35b)의 구조가 약간 상이한 것이다.
도 7는, 상기 도 5와 같이, 잉크를 중면 등의 잉크 흡장체에 흡장시킨 싸인펜 타입인 필기구이다. 상기 필기구(40)는 용기인 용기 몸체(41)내에 잉크를 중면 등의 섬유체에 흡장한 잉크 흡장체(42)를 포함하고, 잉크 흡장체(42)의 앞 부분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43)의 후단부 (43a)가 접촉됨으로써 잉크 흡장체(42)의 잉크가 펜 끝(43)으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44)는 용기 몸체(41)의 후단부에 부착된 마개이며, (45)는 폴더부재이며, (46)는 뚜껑이다.
도 8는, 잉크를 중면 등의 잉크 흡장체에 흡장시킨 싸인펜 타입의 뚜껑-불필요 노킹식 필기구이다. 상기 필기구(50)는 용기(51)내에 잉크를 중면 등의 섬유체에 흡장한 잉크 흡장체(52)를 갖는 내부 용기(53)을 갖추고, 잉크 흡장체(52)의 앞 부분에는 섬유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54)의 후단부(54a)가 접촉됨으로써 잉크 흡장체(52)의 잉크가 펜 끝(54)으로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55)는 용기 몸체(51)의 후단부에 달린 노킹부이며, 상기 노킹부(55)를 전방으로 눌러서 펜 끝(54)이 용기(51)밖으로 나와서 필기상태가 되고, 해제 버튼(55a)을 조작함으로써 펜 끝(54)이 용기(51)내로 들어가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필기구는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상온에서 고체,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40 내지 95℃이고, 또한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는 10% 이하인 상기 각각의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펜 끝의 표면부에 대단히 무른 피막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피막에 의해 잉크 성분에 포함된 휘발 성분인 용제 등의 증발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피막은 필기시의 필압에 의해서 찢어져 필기가 가능해지고, 더구나 상기 피막의 형성은 상기 코팅량에 의해 약간 다를 수도 있지만, 펜끝에 코팅된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이 다음 필요량 정도만 잉크중에 용출되어, 다음에 펜 끝이 공기중에 노출되었을 때, 잉크 용매와의 상호작용으로 펜 끝 표면에 새로운 피막이 형성되어, 이러한 피막형성→필기→피막형성→필기······는 수회 반복되어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필기구는 장시간 대기중에 펜 끝을 방치해두더라도 양호한 필기성을 실현하는 캡오프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잉크 성분에 캡오프 성능을 부여하는 성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저온에서의 보존성이 양호하며 잉크 통로내에서의 막힘 등도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필기구에서는 추가로 잉크중에 필요 이상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이 용출되지 않기 때문에, 유리 등의 비흡수면에 필기했을 때의 필기묘선의 건조시간이 빨라진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필기구에서는,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코팅 물질이 코팅됨과 동시에, 추가로 잉크중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첨가물질을 필기성 등을 열화되지 않는 첨가량으로 첨가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의 필기구의 효과를, 추가로 상승시키는 상승효과, 즉 장시간 대기중에 펜 끝을 방치해 두더라도 추가의 양호한 필기성을 실현하는 캡오프 성능도 우수하게 된다(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추가로 실시예 등에서 상술한다).
본 발명의 필기구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예컨대, 본 발명의 필기구는 상기 실시형태의 잉크를 중면 등에 흡장시키지 않고 직접 저장하는 직액식 필기구, 밸브기구를 갖춘 필기구, 잉크를 중면 등의 잉크 흡장체에 흡장시킨 타입의 필기구로 한정하지 않고,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에 상기 특성의 각종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 또한 잉크중에 캡오프 성능 부여 첨가물질을 첨가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붓 펜, 카트리지식 펜, 화장품 등의 도포 기구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장시간 뚜껑을 열어놓은 상태로 대기중에 펜 끝을 방치해두더라도 양호한 필기 성능을 실현하는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필기구용 캡이 필요없는 노킹식 마킹펜, 싸인펜, 붓 펜 등의 구조의 필기구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근거하여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4, 및 비교예 1 내지 4, 6 내지 11〕
펜 끝으로서, 도 9에 나타난 펜 끝을 사용했다. 이 펜 끝을 도 5의 필기구에 조립하여 제조한 마킹펜(잉크의 양 4.5 g)을 사용했다.
펜 끝은 아크릴 섬유의 슬라이버로 이루어진 섬유심이며, 중량 0.19g, 길이 37 mm, 직경 4.0 mm (기공율 약60%)인 것을 사용했다.
코팅 물질로서, ① 헥사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트(융점 57 ℃), ②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융점 53 ℃), ③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인산에스테르(융점 56 ℃), ④ 미정질 왁스(융점 67 ℃, 니폰 세이로 캄파니 리미티드(Nippon Seiro Co. Ltd.)에서 제조한 [Hi-Mic-2045]) 및 ⑤ 파라핀 왁스(융점 61 ℃, 니폰 세이로 캄파니 리미티드에서 제조한 [파라핀 왁스 140])을 사용하였다.
또한, 용매(에틸 알콜, n-프로필 알콜, i-프로필 알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로 이루어진 용매)에 대한 상기 ① 내지 ⑤ 성분의 용해도는 상온에서 ①는 0.4%이고, ②는 9%이고, ③은 0.1%이고, ④는 0.1%이하이고, ⑤는 O.1% 이하 였다.
코팅방법은, 상기 소정량의 코팅 물질을 용매인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하고, 상기 조제액에 상기 섬유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을 침지시키고, 5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실온에서 밤새 냉각하고, 메쉬형 용기에 부어서 용매를 제거했다. 이어서, 실온에서 1시간, 이어서 50℃에서 3시간, 추가로 실온에서 3시간 건조한 펜 끝을 샘플로 하여, 상기 펜 끝을 도 5의 필기구에 조립하여 제조한 마킹펜(잉크의 양 4.5 g)을 조립하였다. 이러한 마킹펜에 대하여, 하기 시험을 했다.
또한, 코팅량은, 상기 ① 내지 ⑤의 코팅제의 펜 끝에서의 부착량을, 처리 전후의 펜 끝의 중량 차이로 나타내고, 처리 전의 펜 끝의 중량에 대한 중량%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등에는, 상기 처리율로 1%, 2% 및 3%의 것을 사용했다.
또한, 잉크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으로 이루어진 ① 내지 ⑩을 사용했다.
〔비교예 5〕
사용 부재인 펜 끝, 마킹펜 등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14 및 비교예 1 내지 4, 6 내지 11와 같은 것을 사용했다.
펜 끝의 처리 등은, 벤질 알콜(융점 15.5℃)에 상기 섬유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을 침지한 후, 벤질 알콜이 건조하지 않도록 즉시 상기 펜 끝을 도 5의 필기구에 조립하여 제조한 마킹펜(잉크의 양 4.5 g)을 제조하였다. 침지량은, 벤질 알콜의 건조나 펜 끝의 형상편차 때문에 편차가 있지만, 약 0.2 g이었다. 이렇게 조립된 마킹펜을 실온에서 하루 방치한 후, 하기 시험을 하였다.
[잉크 조성] [배합 단위: 중량%]
잉트 조성 에틸알콜 75.0 - 74.0 - 74.0 - 74.6 - 73.6 -
n-프로필알콜 - 14.0 - 14.0 - 14.0 - 14.0 - 14.0
i-프로필알콜 7.5 - 7.5 - 7.5 - 7.5 - 7.5 -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 70.0 - 68.0 - 68.0 - 69.8 - 68.8
라로펄(Laropearl) A101*1 - 12.0 - 12.0 - 12.0 - 12.0 - 12.0
알레셋(Alresat) KM400*2 10.0 - 10.0 - 10.0 - 10.0 - 10.0 -
빅토리아 블루 BSA*3 2.5 3.0 2.5 3.0 2.5 3.0 2.5 3.0 2.5 3.0
로다민 6JHSA*4 2.5 1.0 2.5 1.0 2.5 1.0 2.5 1.0 2.5 1.0
플렉스 엘로(Flex Yellow) 105*5 2.5 - 2.5 - 2.5 - 2.5 - 2.5 -
헥사글리세릴트리스테아레이트*6 - - 1.0 - - - 0.4 - 0.4 -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7 - - - 2.0 - - - - - -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린산에스테르*8 - - - - 1.0 - - 0.2 - 0.2
미정질 왁스*9 - - - - - - - - 1.0 -
파라핀 왁스*10 - - - - - 2.0 - - - 1.0
*1: 알데히드와 요소의 축합물(BASF사 제조)*2: 말레인산 수지(훽스트(Hoechst)에서 제조)*3: 염료(제네카(Zeneca)에서 제조)*4: 염료(제네카에서 제조)*5: 염료(제네카에서 제조)*6: 코팅제①(캡오프 성능 제공 첨가제)*7: 코팅제②(캡오프 성능 제공 첨가제)*8: 코팅제③(캡오프 성능 제공 첨가제)*9: 코팅제④(캡오프 성능 제공 첨가제, [Hi-Mic-2045])*10: 코팅제⑤(캡오프 성능 제공 첨가제, [파라핀 왁스 140])
상기 실시예 1 내지 14 및 비교예 1 내지 11에서 수득된 마킹펜에 대하여, 하기 평가법에 의해, 필기성평가, 저온 보존 후의 캡오프 테스트, 필기 후의 캡오프 테스트, 묘선 건조성 테스트 및 이들의 종합평가를 수행했다.
이러한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캡오프 테스트〕
각 마킹펜의 뚜껑을 열고, 캡오프 시간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1시간 내지 1개월)에 근거하여 25℃에 있어서의 필기 성능을 하기 평가기준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하루 이상 경과, 바람직하게는 3일 이상 경과하더라도 ◎인 경우는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평가기준:
◎: 끊김 없이 쓸 수 있음
O: 쓰기 시작하면 약간 끊김
△: 제 1 행에서 끊김 시작
▲: 제 2 행에서 끊김 시작
×: 필기할 수 없음
〔저온 보존 후의 캡오프 테스트〕
각 마킹펜을 0℃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하루동안 천천히 실온으로 되돌리고, 상기 필기성 평가법과 같이 뚜껑을 열고, 캡오프 시간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에 근거하여 필기성을 상기 25 ℃에서의 평가결과와 비교하여, 하기 평가기준으로 평가했다.
◎: 저온 보존 전의 25℃에서의 캡오프 성능과 동등함.
O: 저온 보존 전의 25℃에서의 캡오프 성능과 비교하여, 캡오프 성능이 약간 저하됨.
×: 저온 보존 전의 25℃에서의 캡오프 성능과 비교하여, 캡오프 성능이 현저히 저하됨.
〔필기 후의 캡오프 테스트〕
각 마킹펜을 25℃의 환경하에서 100 m 필기한 후, 상기 캡오프 테스프와 같이 캡을 분리하여, 캡오프시간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 근거하여 필기성을 상기 25℃에서의 평가 결과와 비교하여, 하기 평가기준으로 평가했다.
◎: 필기 전(25℃에서의 캡오프 성능)과 동등이다.
O: 필기 전(25℃에서의 캡오프 성능)과 비교하여, 캡오프 성능이 약간 저하된다.
×: 필기 전(25℃에서의 캡오프 성능)과 비교하여, 캡오프 성능이 현저히 저하된다.
[묘선 건조성 테스트〕
각 마킹펜을 25℃의 환경하에서 유리(20×20×0.5 cm)에 대하여 필기하고, 필기묘선이 완전히 건조하기까지의 시간을 손가락으로 문질러서 측정했다.
또한, 묘선 건조성은, 30초 이하가 양호하고(O), 또한 10초 이하가 대단히 양호함(◎)을 의미하여, 30초를 넘는 것은 묘선 건조성이 나쁜 것(×)이다.
〔종합평가〕
상기 캡오프 테스프, 저온 보존 후의 캡오프 테스프, 필기 후의 캡오프 테스트 및 묘선 건조성 테스트를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하기 평가기준에 의해 종합평가했다.
종합평가기준:
◎: 모든 항목을 만족시키고 있다.
O: 필기 후의 캡오프 테스프는 약간 만족할 수 없지만, 그 이외의 항목은 만족한다.
△: 캡오프 성능, 묘선 건조성은 만족할 수 있지만, 그 이외의 항목은 만족할 수 없다.
×:캡오프 성능, 묘선 건조성을 모두 만족할 수 없다.
상기 표 2 및 표 3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인 실시예 1 내지 14의 펜 끝에 증발억제제를 코팅하여 형성된 마킹펜은, 본 발명이 아닌 비교예1 내지 11의 펜 끝에 증발억제제를 코팅하지 않는 마킹펜 등과 비교하여, 장기간 펜 끝을 대기중에 방치하더라고 양호한 필기성을 갖는 동시에, 저온보존 후의 캡오프 테스프도 양호한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를 보면, 실시예 1 내지 9는 펜 끝에 융점이 상이한 증발억제제를 코팅하여 제조된 마킹펜이며, 실시예 10 내지 14는 펜 끝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코팅 물질을 코팅함과 동시에, 추가로 잉크중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첨가물질을 첨가하여 형성된 필기구이다.
특히, 실시예 10 내지 14의 펜 끝에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코팅 물질을 코팅함과 동시에, 추가로 잉크중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첨가물질을 첨가하여 형성된 필기구에서는, 실시예 1 내지 9와 비교하여, 장시간 대기중에 펜 끝을 방치해 두더라도 더욱 양호한 필기성을 실현하는 캡오프 성능이 더욱 우수해짐을 알았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내지 11를 보면, 비교예 1 및 3은 펜 끝에 증발억제제를 코팅하지 않고, 또한 잉크 성분도 통상의 성분을 사용했거나, 이러한 경우는 각각 캡오프 2시간 후, 8시간 후에는 필기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2와 비교예 4 및 비교예 6 내지 11는 펜 끝에 증발억제제를 코팅하지 않고, 잉크 성분중에 증발억제제를 용해시킨 것으로, 비교예 1 및 비교예 3와 비교하여 캡오프 성능은 약간 양호하였지만 저온 보존후 및 필기 후의 캡오프 테스트는 모두 성능이 저하되었으며 또한 비교예 4 또는 비교예 9에서는 묘선 건조성도 나빠지는 것을 알았다.
또한, 비교예 5는 종래에 있어서의 고비점 용매(벤질 알콜) 침지 처리한 펜 끝을 사용한 것이고, 이 경우도 캡오프 성능은 좋지 았았고, 저온 보존 후 및 필기 후의 캡오프 테스트는 성능이 저하되고, 묘선 건조성도 나빠짐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러한 필기구는 장기간 펜 끝을 대기중에 방치하더라도 우수한 필기성을 갖는 동시에 시간 경과시에도 안정한 품질을 갖는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펜 끝에 융점이 40 내지 95℃인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코팅 물질로 코팅한 필기구는, 또한 잉크중에 필요 이상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이 용출되지 않기 때문에, 유리 등의 비흡수면에 필기했을 때의 필기 묘선의 건조시간이 빨라진다.
또한, 펜 끝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코팅 물질을 코팅함과 동시에, 또한 잉크중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첨가물질을 첨가하여 제조된 필기구는 장시간 대기중에 펜 끝을 방치해 두더라도 추가로 양호한 필기성을 실현하는 캡오프 성능도 우수하게 된다.

Claims (9)

  1. 섬유심 또는 플라스틱심으로 이루어진 펜 끝을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펜 끝에 펜 끝의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상온에서 고체이며, 또한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10% 이하인 동시에 펜 끝에서 항상 재생되고, 필기시에 찢어지는 재생 피막을 형성하는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오프(cap-off)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코팅 물질의 융점이 40 내지 95℃인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코팅 물질이 글리세린 유도체, 알킬인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에스테르, 파라핀 왁스, 미정질 왁스, 폴리올레핀 밀납, 펜타에리쓰리톨 유도체 및 레시틴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코팅량이 펜 끝에 대하여 중량비로 0.01 내지 20중량%인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필기구의 잉크중에,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중에서 상온에서 고체이며, 또한 잉크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상온에서 O.01 내지 10%인 물질이, 잉크 전체량에 대해서, 0.01 내지 10중량% 첨가된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잉크중에 첨가된 캡오프성을 부여하는 물질이 글리세린 유도체, 알킬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에스테르, 파라핀 왁스, 미정질 왁스, 폴리올레핀 밀납, 펜타에리쓰리톨 유도체 및 레시틴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잉크를 직접 저장하는 용기인 잉크 탱크부를 갖는 동시에, 일시적으로 잉크를 보유하는 수집기 부재를 가지고, 잉크 탱크부에서 펜 끝으로의 잉크의 도출이 직접 또는 중계심을 거쳐서 수행되는 직액식 필기구로 이루어진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용기내에 잉크를 흡장한 잉크 흡장체를 가지고, 상기 잉크 흡장체로부터 펜 끝으로의 잉크의 도출이 직접 또는 중계심을 거쳐서 수행되는 필기구로 이루어진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KR10-2001-7007710A 1998-12-18 1999-12-17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KR100418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109598 1998-12-18
JP98-361095 1998-12-18
PCT/JP1999/007097 WO2000037265A1 (fr) 1998-12-18 1999-12-17 Instrument d'ecriture conservant ses caracteristiques de fonctionnement une fois decapuchon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124A KR20010086124A (ko) 2001-09-07
KR100418235B1 true KR100418235B1 (ko) 2004-02-14

Family

ID=1847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710A KR100418235B1 (ko) 1998-12-18 1999-12-17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74893B1 (ko)
EP (1) EP1145868A4 (ko)
JP (1) JP4458681B2 (ko)
KR (1) KR100418235B1 (ko)
AU (1) AU742153B2 (ko)
WO (1) WO20000372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0049B2 (ja) * 2000-06-16 2011-01-12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US6887504B2 (en) * 2000-10-13 2005-05-03 Stephen L. Palmer Marking pen for decorating food
JP2002205486A (ja) * 2000-11-09 2002-07-23 Mitsubishi Pencil Co Ltd キャップオフ性能に優れた筆記具
WO2002051648A1 (fr) * 2000-12-26 2002-07-04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Marqueur pouvant rester longtemps decapuchonne
JP2002192876A (ja) * 2000-12-26 2002-07-10 Mitsubishi Pencil Co Ltd キャップオフ性能に優れた筆記板用マーキングペン
JP2002192877A (ja) * 2000-12-26 2002-07-10 Mitsubishi Pencil Co Ltd キャップオフ性能に優れたマーキングペン
JP3861213B2 (ja) * 2001-06-04 2006-12-20 司フエルト商事株式会社 インキ導入管及びこれを内蔵した筆記具
FR2833520B1 (fr) * 2001-12-18 2004-07-09 Conte Article d'ecriture equipe de moyens supports pour la pointe d'ecriture
CA2536101A1 (en) * 2003-08-18 2005-03-03 Sanford, L.P. Multiple width marking instrument
USD667053S1 (en) * 2009-05-29 2012-09-11 Renart Limited Marker pen
USD667052S1 (en) * 2009-05-29 2012-09-11 Renart Limited Marker pen
US20120087708A1 (en) * 2010-10-06 2012-04-12 Sean Campbell Electrical wire identification marker
WO2016056067A1 (ja) * 2014-10-07 2016-04-14 株式会社エポックケミカル 筆記具用インク貯留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バルブ式筆記具
USD748195S1 (en) * 2014-10-10 2016-01-26 Tonglu Ido Imp & Exp & Co., Ltd. Pen
JP6630473B2 (ja) * 2014-10-16 2020-01-15 株式会社呉竹 ペン及びペン用リフィル
US9498044B2 (en) * 2014-11-18 2016-11-22 Capicolor International Cosmetics Ltd. Cosmetic appl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9826A (en) * 1977-07-12 1979-02-14 Mitsubishi Pencil Co Pen chip sealing method of marking pen
FR2439226A1 (fr) * 1978-10-20 1980-05-16 Sakura Color Prod Corp Composition pour encre effacable pour l'ecriture sur une surface impenetrable
JPS56112980A (en) * 1980-02-12 1981-09-05 Sakura Color Prod Corp Ink composition for marking pen
JPS58108270A (ja) 1981-12-21 1983-06-28 Pilot Ink Co Ltd マ−キングペン用インキ
JPS61261380A (ja) 1985-05-15 1986-11-19 Pentel Kk マ−キングインキ組成物
JPS629437A (ja) 1985-07-05 1987-01-17 Nec Corp マイクロプログラム制御装置
JP2594457B2 (ja) * 1988-04-14 1997-03-26 三菱鉛筆株式会社 マーキングペン用インキ
JPH02232277A (ja) * 1989-03-06 1990-09-14 Mitsubishi Pencil Co Ltd マーキングペン用インキ
JP2892393B2 (ja) * 1989-09-11 1999-05-17 三菱鉛筆株式会社 油性インキ組成物
JP2878585B2 (ja) * 1994-03-03 1999-04-05 株式会社東海 筆記具の乾燥防止方法
US6004388A (en) * 1994-09-16 1999-12-21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Non-aqueous ink for ball point pen, and ball point pen
DE19626842C2 (de) 1996-07-04 2003-05-28 Staedtler J S Gmbh & Co Kg Tinte mit verlängerter "Cap-Off-Tim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H1060335A (ja) * 1996-08-26 1998-03-03 Brother Ind Ltd 記録用水性イ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H10140071A (ja) * 1996-11-11 1998-05-26 Teranishi Kagaku Kogyo Kk マーキングインキ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45868A4 (en) 2004-07-07
KR20010086124A (ko) 2001-09-07
WO2000037265A1 (fr) 2000-06-29
EP1145868A1 (en) 2001-10-17
AU742153B2 (en) 2001-12-20
JP4458681B2 (ja) 2010-04-28
AU1688400A (en) 2000-07-12
US6474893B1 (en) 200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235B1 (ko) 캡오프 성능이 우수한 필기구
KR100660686B1 (ko) 수중유적형 수지 에멀젼을 이용한 수성 볼펜용 잉크와 그잉크를 이용한 수성 볼펜
JP7401431B2 (ja) 筆記具用ゲルインク
KR100470618B1 (ko) 필기구
JP2007509197A (ja) 消去可能染料を含むハイライト化可能なインク、マーキング器具、及びその使用法
MXPA04004769A (es) TINTA METáLICA Y MARCADOR CAPILAR.
JP2006206658A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ボールペン
US7001094B2 (en) Writing utensil having excellent cap-off performance
JP4518629B2 (ja) キャップオフ性能に優れた筆記具
JP2003176438A (ja) 油性マーキングペン用インキ組成物
JP2001205970A (ja) キャップオフ性能に優れた筆記具
JP2004330456A (ja) 油性筆記具
JP2007290196A (ja) 変色性ボールペン
US6955491B2 (en) Marking pen with excellent cap-off performance
JP2002192877A (ja) キャップオフ性能に優れたマーキングペン
JP2007297448A (ja) ボールペン用水性インキ組成物及びそれを内蔵したボールペンレフィル、ボールペン
JP2003039879A (ja) キャップオフ性能に優れた筆記具
JP2002192876A (ja) キャップオフ性能に優れた筆記板用マーキングペン
JP2878585B2 (ja) 筆記具の乾燥防止方法
JP2003026983A (ja) 油性マーキングペン用インキ組成物
JPS61204286A (ja) 機械記録用インク組成物
JP2004082707A (ja) ボールペン
JPH10140071A (ja) マーキングインキ組成物
JPH05239397A (ja) 油性インキ組成物
JP2000219836A (ja) キャップオフ性能に優れた筆記具用インキ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