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158B1 - 지엽류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158B1
KR100417158B1 KR10-2002-7006547A KR20027006547A KR100417158B1 KR 100417158 B1 KR100417158 B1 KR 100417158B1 KR 20027006547 A KR20027006547 A KR 20027006547A KR 100417158 B1 KR100417158 B1 KR 100417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motor
paper sheet
pulse numb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3477A (ko
Inventor
이와이타다히로
야마기시노보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Publication of KR2002007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20Assisting by photoelectric, sonic, or pneumatic indica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6Members reciprocated in rectiline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4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 B65H2301/42146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by introducing articles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10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50Timing
    • B65H2513/512Starting;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51Encoders, e.g. lin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30Control systems architecture or components, e.g. electronic or pneumatic modules; Details thereof
    • B65H2557/33Control systems architecture or components, e.g. electronic or pneumatic modules; Details thereof for digital control, e.g. for generating, counting or comparing pul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지엽류의 하나인 지폐(A)를 지폐 반송로(2)를 따라 반송시키는 모터(11)로 된 지폐 반송수단(4)과, 지폐 반송로(2)에 설치된 지폐 검출센서(15)와, 지폐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에 모터(11)의 구동을 정지시켜 지폐(A)를 지폐 검출센서(15) 하류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지엽류 반송장치(1)에 있어서, 제어수단(25)은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의 상류에 위치하는 지폐 반송로(2)의 특정구간을 통과하는 시간(T1)에 기초하여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의 모터(11)의 구동시간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지엽류 반송장치{PAPER SHEET FEEDER}
일반적으로 자동 판매기, 환전기, 게임기기 등의 각 기기 본체 내에는 지폐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지폐를 지폐 반송로를 따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지폐의 안내 도중에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여 진권인 것으로 판별된 지폐를 계속해서 지폐 반송로 하류의 스태커로 안내하는 지폐 반송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도 8은 종래의 지폐 반송장치를 나타낸 요부 개념 단면도이다.
이 종래의 지폐 반송장치(31)에는 지폐 삽입구(2a)를 통해 삽입된 지폐(A)를, 거의 역U자 형태의 지폐 반송로(2)를 따라 반송시키는 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 지폐 반송수단(4)과, 지폐 반송로(2)에 설치된 지폐 검출센서(15)와,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지폐(A)를 지폐 검출센서(15) 하류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어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이 중 지폐 반송수단(4)은 지폐 반송로(2)를 따라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는 무단의 지폐 반송벨트(5)와 이 지폐 반송벨트(5)를 회전 구동하는 풀리(6,7,8,9)로된 지폐 반송벨트 구동수단(10)과, 지폐 반송벨트 구동수단(10)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모터의 구동 펄스수를 검출하는 인코더(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참조부호 13은 지폐 반송벨트(15)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로서 지폐 반송벨트(5)에 의한 지폐 반송력을 보강하는 보강롤러이다.
또한 지폐 검출센서(15)는 지폐 반송로(2)로 돌출된 레버(16)로 이루어지며 이 레버(16)의 후단은 축(17)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폐 검출센서(15)에서는 지폐(A)의 선단이 레버(16)를 통과하면 상기 지폐(A)의 선단이 레버(16)의 선단을 눌러 이 레버의 선단을 축(17)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이 회전을 검출하여 ON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송출한다. 또한 지폐(A)의 후단이 레버(16)을 통과하면 레버(16)의 선단은 축(17)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므로 이 회전을 검출하여 OFF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송출한다.
한편 상기 지폐 검출센서(15)의 상류로서, 지폐 반송벨트(5)가 설치된 위치의 지폐 반송로(2)에는 지폐 검출센서(15)와는 별개의 지폐 검출센서인 지폐 식별센서(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폐 식별센서(18)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포토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폐 검출센서(15)의 하류에 위치하는 지폐 반송로(2)에는 진권인 지폐(A)를 내부로 수용하는 스태커(1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태커(19)와 지폐 검출센서(15)와의 사이에는 스태커(19)내에 수용된 지폐(A)가 다시 지폐 반송로(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폐류 역송방지 레버(20)가 개재되어 있다.
이 지폐류 역송방지 레버(20)의 후단은 지폐 반송장치(31)에 설치된 축(2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또한 지폐 역송방지 레버(20)의 선단은 스태커(19)의 상단인 지폐 반송로(2)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지폐류 역송방지 레버(20)의 하류에 위치하는 지폐 반송로(2)에는 누름부(22a)로 된 지폐 이동수단(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반송로(2)의 상류인 지폐 삽입구(2a) 부근에는 입구센서(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에는 입구센서(3)로부터 지폐(A)의 삽입정보가 입력되고 지폐 식별센서(18)로부터는 지폐(A)의 주행위치 정보 및 지폐(A)의 진위 식별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에는 지폐 검출센서(15)에서도 지폐(A)의 주행위치 정보가 입력되며 지폐 반송수단(4)의 인코더(미도시)로부터는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의 구동 펄스수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수단에는 자동 판매기의 거래 처리 정보도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은 입력된 지폐(A)의 진위 식별정보에 따라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별함과 아울러 이 판별 결과 및 그 밖의 각종 정보를 토대로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의 구동 및 지폐 이동수단(22)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폐 반송장치(31)의 동작을 도 9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대기 상태에서 상기 종래의 지폐 반송장치(31)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은입구센서(3)가 ON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201), 입구센서(3)가 ON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수단은, 지폐(A)가 지폐 삽입구(2a)를 통해 삽입되어 이 지폐(A)의 선단이 입구센서(3)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를 정전(正轉) 구동시킨다(스텝 202). 그러면 지폐 반송벨트 구동수단(10)의 풀리(6,7,8,9)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폐 반송벨트(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지폐(A)는 상기 지폐 반송벨트(5)의 구동력에 의해 지폐 반송로(2)를 따라 상방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 지폐(A)의 선단이 풀리(6)을 통과하면 상기 지폐(A)는 지폐 반송로(2)를 따라 하방을 향하여 반송된다.
한편 제어수단은 스텝 202에서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를 구동시킨 후 지폐 식별센서(18)가 ON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을 개시하여(스텝 203) 상기 지폐 식별센서가 ON된 것으로 판단하면 지폐(A)의 선단이 지폐 식별센서(18)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지폐 식별센서(18)에 의해 지폐(A)에 대해 식별 정보의 기록 처리를 수행하여(스텝 204) 지폐(A)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지폐(A)가 진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의 정전구동을 계속 유지하면서 지폐(A)를 지폐 반송로(2)의 하류로 더 반송시킴과 동시에 지폐 식별센서(18)가 OFF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205).
상기 스텝 205에서 지폐 식별센서(18)가 OFF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수단은 지폐(A)의 후단이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를 정지시키고(스텝 206) 이에 따라 지폐(A)를 지폐 반송로(2)내에 일시보류하는 소위 지폐 에스크로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207). 또한 이 지폐 에스크로 상태에서는 지폐(A)의 선단은 이미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하고 있으며 상기 지폐 검출센서(15)는 ON되어 있다.
한편 이 지폐 에스크로 상태 중에 자동 판매기의 상품 구입 버튼이 눌려지면 제어수단은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 판매기로부터 상품을 배출시킴과 아울러 지폐 반송로(2)내에 일시보류(에스크로)하고 있던 지폐(A)를 스태커(19)내로 수용시키는 수금동작으로 이행한다.
즉 제어수단은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를 다시 정전 구동시켜(스텝 208) 지폐 반송벨트(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지폐(A)를 더욱 하류로 안내함과 동시에 지폐 검출센서(15)가 OFF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을 개시한다(스텝 209). 제어수단은 상기 스텝 209에서 지폐 검출센서(15)가 OFF된 것으로 판단하면 지폐(A)의 후단이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를, 지폐 검출센서(15)에 의한 OFF신호의 입력을 통해 미리 결정되어 있던 소정 펄스만큼 구동시킨 후(스텝 210에서 YES) 정지시킨다(스텝 211). 또한 모터의 구동 펄스수는 지폐 반송수단(4)의 인코더를 통해 카운트한다.
그러면 지폐 검출센서(15)에 의해 후단이 검출된 지폐(A)는 지폐 이동수단(22)의 슬릿(22b) 내로 안내되어 상기 지폐(A)의 후단이 가급적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에, 제어수단은 지폐 이동수단(22)의 누름부(22a)를 구동시키면 지폐(A)가 1장씩 스태커(19)측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고(스텝 212) 이에 의해 지폐(A)를 확실하게 스태커(19)내로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스태커(19) 내로 수용된 지폐(A)의 후단(상단)은 지폐 역송방지 레버(20)의 선단에 결합되므로 스태커(19) 내로 일단 수용된 지폐(A)가 스태커(19)내의 수용되어 있던 다른 지폐(A)에 눌려 지폐 반송로(2)내로 돌출되어 다음에 반송되는 지폐(A)의 수용동작을 방해하여 지폐 막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어수단이 지폐(A)를 진권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수단은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를 역전 구동시켜 지폐 반송벨트 구동수단(10)인 풀리(6,7,8,9)를 통해 지폐 반송벨트(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위권는 지폐 삽입구(2a)를 통해 반각된다.
또한 자동 판매기의 반각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도 제어수단은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를 역전 구동시켜 지폐 반송벨트(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에스크로(일시보류)한 지폐(A)를 삽입구(2a)를 통해 반각시킨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지폐 반송장치(31)에 따르면 상기 지폐 반송장치(31)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 등의 설치 장소의 온도와 같은 환경 변화나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의 전원 전압의 변동에 따라 상기 모터의 부하가 변동되어 지폐(A)의 반송속도(V)를 변동시키기 때문에 지폐 식별센서에 의해 지폐(A)의 통과를 검출한 후 미리 설정한 소정 펄스만큼 구동시킨 후 모터를 정지시키도록 하여도 모터의 구동 정지후의 관성력이 변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지폐(A)의 후단을 일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지폐 반송장치(31)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가 고온의 장소에 설치된경우나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의 전원 전압이 고전압(HV)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의 부하가 상온인 경우에 비해 작아지기 때문에 지폐(A)의 반송속도(V)가 빨라지게 되고 따라서 지폐 검출센서(15)에 의해 지폐(A)의 통과를 검출한 후에 상기 모터를 미리 설정한 소정 펄스만큼 구동시킨 후 정지시켜도 모터의 구동정지 후의 관성력이 상온인 경우에 비해 크기 때문에 지폐(A)의 후단을 일정 위치보다 하류로 과잉 이송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스태커(19)내에 수용된 상기 지폐(A)의 상단이 지폐 역송방지 레버(20)에 결합되지 못하고 지폐 반송로(2)내로 돌출하게 되어 이어서 반송되는 지폐(A)의 수용동작을 방해하여 지폐 막힘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폐 반송장치(31)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가 저온인 장소에 설치된 경우나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의 전원 전압이 저전압(LV)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의 부하가 상온인 경우에 비해 커지기 때문에 지폐(A)의 반송속도(V)가 느려지게 되고 따라서 지폐 검출센서(15)에 의해 지폐(A)의 통과를 검출한 후에 상기 모터를 미리 설정한 소정 펄스만큼 구동시킨 후 정지시켜도 모터의 구동정지 후의 관성력이 상온인 경우에 비해 작기 때문에 지폐(A)를 일정 위치까지 이송시킬 수 없게 되고(이송 부족으로 인해) 이로 인해 지폐(A)를 스태커(19) 내에 확실하게 수용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지폐(A)의 후단을 일정 위치에 정지시킬 수 없는 문제는, 지폐(A)를 일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지폐 반송장치뿐 아니라 다른 지엽류(예를 들어 쿠폰권이나 상품권 등)를 일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지엽류 반송장치(예를 들어 쿠폰권 반송장치나 상품권 반송장치)에서도 마찬가지로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설치 장소의 온도 등의 환경 변화나 지폐 반송수단의 모터의 전원 전압의 변화에 좌우되지 않고 반송하는 지엽류가 그 후단이 일정 위치에 위치하여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엽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 환전기, 게임기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지폐 등의 지엽류(紙葉類)를 반송시키는 지엽류 반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엽류를 소정위치에 위치시키는 지엽류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엽류 반송장치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지폐 반송장치의 요부 개념 단명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폐 반송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지폐 반송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고,
도 4는 지폐 검출센서에 의한 지폐의 후단 검출 후의 모터의 구동시간과 모터에 의한 지폐 반송거리(가로축)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히 도 4(a)는 지폐 검출센서에 의한 지폐 후단 검출 후의 모터의 구동시간을 보정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지폐 검출센서에 의한 지폐 후단 검출 후의 모터의 구동시간을 보정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지폐 반송장치의 요부 개념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의 여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고,
도 7은 에스크로 후의 모터의 구동시간과 모터에 의한 지폐 반송거리(가로축)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히 도 7(a)는 에스크로 후의 모터의 구동시간을 보정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에스크로 후의 모터의 구동시간을 보정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종래 지엽류 반송장치의 일실시예인 지폐 반송장치의 요부 개념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종래의 지엽류 반송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엽류를 지엽류 반송로를 따라 반송시키는 모터로 된 지엽류 반송수단과, 상기 지엽류 반송로에 설치된 지엽류 검출센서와,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한 후에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 하류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지엽류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의 상류에 위치하는 상기 지엽류 반송로의 특정 구간을 통과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한 후의 상기 모터의 구동시간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반송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지엽류의 일예인 지폐를 반송 처리하는 지폐 반송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반송장치를 적용한 지폐 반송장치의 요부 개념 단면도로서 도 8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도시하고 있다.
이 지폐 반송장치(1)에는 지폐 삽입구(2a)를 통해 삽입된 지폐(A)를 역U자 형상의 지폐 반송로(2)를 따라 반송시키는 모터(11)(도 2)로 된 지폐 반송수단(4)과, 지폐 반송로(2)에 설치된 지폐 검출센서(15)와, 상기 지폐 검출센서(15) 통과후에 모터(11)의 구동을 정지시켜 지폐를 지폐 검출센서(15) 하류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어수단(25)(도 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지폐 반송수단(4)은 상기 무단의 지폐 반송벨트(5)와, 상기 지폐 반송벨트 구동수단(10)과, 상기 지폐 반송벨트 구동수단(10)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모터(11)(도2)와, 상기 모터(11)의 구동 펄스수를 검출하는 인코더(12)(도 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폐 반송로(2)에는 종래의 예와 마찬가지로 입구센서(3), 포토센서로 된 지폐 식별센서(18), 스태커(19), 지엽류 역송방지 레버(20), 누름부(22a)로 된 지폐 이동수단(22)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술한 지폐 반송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고 아울러 그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폐 반송장치(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5)의 블럭도이다.
이 제어수단(25)은 CPU(중앙처리장치), 주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주된 구성 요소로 하는 주변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5)에는 입구센서(3)를 통해 지폐(A)의 삽입정보가 입력되고 지폐 식별센서(18)로부터 지폐(A)의 주행위치 정보 및 지폐(A)의 진위식별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수단(25)에는 지폐 검출센서(15)로부터 지폐(A)의 주행위치 정보가 입력되고 지폐 반송수단(4)의 인코더(12)로부터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의 구동 펄스수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제어수단(25)에는 자동 판매기의 거래 처리 정보도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수단(25)은 입력된 지폐(A)의 진위 식별정보에 따라 지폐(A)의 진위 여부를 판별함과 아울러 이 판별 결과 및 그 밖의 각종 정보에 따라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수단(25)은 지폐 검출센서(15)의 상류에 위치하는 지폐 반송로(2)의 특정 구간을 지폐(A)가 통과하는 시간(T1)을 측정함과 동시에 이 시간(T1)에 기초하여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에 모터(11)를 구동시키는 시간(보정 펄스수(P))을 산출하고 이 산출 결과에 따라 모터(11)의 구동 및 지폐 이동수단(22)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제어수단(25)의 처리 과정을 도 3의 플로우챠트 및 도 4(후술됨)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대기상태에서 제어수단(25)은 입구센서(3)가 ON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01), 입구센서(3)가 ON되면 지폐(A)가 지폐 삽입구(2a)를 통해 삽입되어 그 지폐(A)의 선단이 입구센서(3)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를 구동시킨다(스텝 102). 그러면 지폐 반송벨트 구동수단(10)의 풀리(6,7,8,9)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폐 반송벨트(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지폐(A)는 상기 지폐 반송벨트(5)의 구동력에 의해 지폐 반송로(2)를 따라 상방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지폐(A)의 선단이 풀리(6)를 통과하면 상기 지폐는 지폐 반송로(2)를 따라 하방을 향해 반송되게 된다.
한편 제어수단(25)는 스텝 102에서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를 구동시킨 후 지폐 식별센서(18)가 ON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03) 상기 지폐 식별센서(18)가 ON된 것으로 판단하면 지폐(A)의 선단이 지폐 식별센서(18)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지폐 식별센서(18)에 의해 지폐(A)에 대한 식별 정보의 기록처리를 수행하여(스텝 104) 지폐(A)의 진위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수단(25)은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의 상류에 위치하는 지엽류 반송로(2)의 특정구간을 통과하는 시간(T1)에 대한 측정을 개시함과 아울러 상기 시간(T1) 내에 모터(11)가 구동된 펄스수(P1)에 대한 측정을 인코더(12)를 통해 개시한다.
또한 지폐(A)의 선단이 지폐 식별센서(18)에 도달한 상태(스텝 104)에서는 모터(11)는 이미 정속 상태에 도달되어 있다.
한편 제어수단은 지폐(A)가 진권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의 정전구동을 계속 유지하면서 지폐(A)를 지폐 반송로(2) 하류로 더 반송시킴과 아울러 지폐 식별센서(18)가 OFF되었는지 판단한다(스텝 105).
상기 스텝 105에 있어서 지폐 식별센서(18)가 OFF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수단(25)은 지폐(A)의 후단이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를 정지시킴과 동시에(스텝 106) 지폐(A)가 상기 특정구간을통과하는 시간(T1)의 측정 및 상기 시간(T1) 내에 구동된 모터(11)의 펄스수(P1)에 대한 측정을 종료한다.
그리고 제어수단(25)은 측정한 구동시간(T1) 및 모터(11)의 펄스수(P1)에 기초하여 모터의 반송속도(V)를
V=P1/T1 (펄스수/시간).....산출식(1)
에 의해 산출한다(스텝 107).
이어서 제어수단(25)은 산출된 모터(11)의 반송속도(V)에 기초하여 이 반송속도(V)로 구동되는 모터(11)를 지폐(A) 후단이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시점에서 바로 정지시킨 경우에 상기 모터(11)가 관성력에 의해 구동되는 펄스수(Pd)(이하, 「측정 펄스수(Pd)」라 칭함)을
Pd=aV+b.....산출식(2)
(단, a, b는 정수)
에 의해 산출한다(스텝 108).
또한 정수 a, b는, 반송속도(V)로 구동되는 모터(11)를 지폐(A)의 후단이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시점에서 바로 정지시킨 경우에 이 모터(11)가 관성력에 의해 구동되는 펄스수(Pd)와 상기 모터(11)의 반송속도(V)와의 관계를 실험을 통해 미리 조사하여 얻어진 정수(定數)이다. 즉 지폐 반송동작이나 지폐 위치결정 동작을 수행할 경우의 모터(11)의 반송속도(V) 범위내에서는 저온, 통상의 온도 및 고온 등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거의 Pd=aV+b(단, a, b는 정수)의 관계식이 성립함이 판명되었다.
이어서 제어수단(25)은 산출식(2)에 의해 산출된 실측 펄스수(Pd)에 기초하여 보정 펄스수(P)를
P=c-Pd.....산출식(3)
(단, c는 정수)
에 의해 산출한다(스텝 109).
또한 정수(c)는, 후단이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와 지폐 역송방지 레버(20)간의 거리를 반송될 때 필요한 모터(11)의 구동 펄스수 즉 지폐 검출센서(15)를 지폐(A)의 후단이 통과한 후에 회전 구동되어야 하는 모터(11)의 구동 펄스수를 미리 산출한 이상 펄스수이다.
상기 산출식(3)에 있어서 이상 펄스수인 정수(c)와 실측 펄스수(Pd)의 차로서 산출되는 보정 펄스수(P)는 지폐(A)의 후단이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 모터(11)의 구동을 바로 정지시킨 경우에 모터(11)의 관성력만을 의존한 회전에 의해 어느 정도 지폐(A)가 이송 부족되는가 또는 어느 정도 이송 과잉되는가를 모터(11)의 구동 펄스수를 기준으로 하여 도시한 값이다.
또한 상기 지폐 반송장치(1)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폐(A)의 후단이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시점에서 모터(11)를 바로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보정 펄스수(P)만큼 구동시킨 후 정지시키도록 하며 이에 따라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에 구동되는 모터(11)의 구동 펄스수가 관성력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이상 펄스수(c)가 되도록 보정한다.
예를 들어 실측 펄스(Pd)가 이상 펄스수(c)보다 작은 경우에는(P>0),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A)의 후단이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시점에서 바로 모터(11)를 정지시키면 지폐(A)가 일정 위치까지 반송되지 못하고 이송 부족이 되는데 이러한 이송 부족 거리를, 모터(11)의 이동 펄스수를 기준으로 몇 펄스있는지 보정 펄스수(P)에 의해 미리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시점에서 모터(11)를 바로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1)를 부족 펄스분 즉 보정 펄스수(P)만큼 더 구동시킨 후 정지시키도록 하면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에 구동되는 모터(11)의 구동 펄스수를 관성력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이상 펄스수(c)로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폐(A)의 후단을 일정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는 지폐 검출센서(15)에 의한 지폐(A)의 후단 검출 후의 모터(11)의 구동시간과 모터(11)에 의한 지폐(A) 후단의 반송거리(가로축)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에는 지폐 검출센서(15)에 의한 지폐(A)의 후단 검출 시점에서 모터(11)를 바로 정지시킨 경우 모터(11)가 관성력에 의해 실측 펄스수(Pd)만큼 구동하여 정지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실측 펄스수(Pd)는 이상 펄스수(c)보다 적기 때문에 지폐(A)의 후단은 이송 부족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또한 도 4(b)에는 관성력만으로는 이송 부족 상태가 되는 모터(11)를 지폐 검출센서(15)에 의한 지폐(A)의 후단 검출 후에 보정 펄스수(P)만큼 더 구동시킨 후 정지시킴으로써 지폐(A)의 후단 검출 후의 모터(11)의 구동 펄스수를 이상 펄스수(c)가 되도록 보정하여 지폐(A)의 후단을 가급적 일정 위치에 위치시켜 정지시키도록 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특히 도 4(a), (b)에서는 실측 펄스수(Pd)가 9펄스, 보정 펄스수(P)가 6펄스, 이상 펄스수가 15펄스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단 상술한 산출식(2)에 의해 구해진 보정 펄스수(P)가 P>N인 경우 제어수단은 보정 펄스수(P)를 P=N으로 변경한다. 또한 이 N은 역송방지 레버(20)로부터 지폐(A)의 후단이 탈락되지 않기 위한 지폐 이송량의 상한값으로서 c<N의 관계에 있다.
이와 같이 보정 펄스수(P)가 P>N인 경우는 반송속도(V)에 의해 구해진 실측 펄스(Pd)가 이상 펄스수(c)보다 매우 작아 지폐(A)의 이송 부족량이 매우 큼을 나타내고 있으나 지폐 검출센서(15)와 지폐 역송방지 레버(20)와의 거리를 고려할 때 보정펄스수(P)가 P=N이면 실질상 지폐(A)의 후단은 지폐 역송방지 레버(20)(후술)에 결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바, 보정 펄스수(P)를 P=N으로 변경한다. 즉 산출한 보정펄스수(P)가 P>N인 경우에는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 모터(11)를 펄스수(N)만큼 구동시킨 후 정지시킴으로써 지폐(A)의 후단을 가급적으로 일정 위치에 위치시켜 정지시킨다.
또한 P<0인 경우 제어수단(25)은 보정 펄스수(P)를 P=0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P<0가 되는 경우는 반송속도(V)에 의해 구해진 실측 펄스(Pd)가 이상 펄스수(c)보다 큼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지폐(A)의 후단이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 모터(11)을 바로 정지시켜도 지폐(A)가 일정 위치보다 하류로 이송되어 지폐(A)의 이송 과잉이 되는데 이 이송과잉 거리를 모터(11)의 구동 펄스수를 기준으로 하여 몇 펄스있는지 보정 펄스수(P)에 의해 미리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하기 전에 모터(11)의 이송과잉 펄스수만큼 적게 구동시킨 펄스수의 위치에서 모터(11)를 정지시켜야 하지만 제어수단(25)은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에 모터(11)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P<0인 제어는 불가능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보정펄스수(P)를 P=0으로 변경한다. 즉 P<0인 경우에는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시점에서 바로 모터(11)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이에 따라 지폐(A)의 후단을 가급적 일정 위치에 위치시켜 정지시킨다.
한편 스텝 106에 있어서 제어수단(25)이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의 구동을 정지시켰으므로 지폐 반송장치(1)는 지폐(A)를 지폐 반송로(2)내에 일시보류하는 소위 지폐 에스크로 상태로 이행하고 있다(스텝 110). 또한 이 지폐 에스크로 상태에서는 지폐(A)의 선단은 이미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하고 있으며 이 지폐 검출센서(15)는 ON되어 있다.
이러한 지폐 에스크로 상태 중에 자동 판매기의 상품 구입버튼이 눌려지면 제어수단(25)은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 판매기로부터 상품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지폐 반송로(2)내에 일시보류(에스크로)하고 있던 지폐(A)를 스태커(19)내로 수용시키는 수금동작으로 이행한다.
즉, 제어수단(25)은 수금동작으로 이행하면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를 다시 정전 구동시켜(스텝 111) 지폐 반송벨트(5)를 정전시킴으로써 지폐(A)를 더하류로 안내함과 아울러 지폐 검출센서(15)가 OFF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을 개시한다(스텝 112). 이 스텝 112에서 지폐 검출센서(15)가 OFF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수단(25)은 지폐(A)의 후단이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모터(11)를 지폐 검출센서(15)에 의한 OFF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산출한 보정펄스수(P)만큼 구동시킨 후(스텝 113), 정지시킨다(스텝 114)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 반송장치(1)에서는, 제어수단(25)은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의 상류에 위치하는 지폐 반송로(2)의 특정 구간을 통과하는 시간(T1)을 기초로 하여 지폐(A)의 후단이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하는 시점에서의 모터(11)의 반송속도(V)를 미리 산출하고, 이 반송속도(V)를 기초로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시점에서 바로 정지한 경우에 관성력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11)의 실측 펄스수(Pd)를 미리 산출하고, 나아가 이 실측 펄스수(Pd)를 기초로 하여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에 구동되는 모터(11)의 구동 펄스수가 전체적으로 이상 펄스수(c)가 되도록 지폐(A) 후단이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 모터(11)를 정지시킬 때까지의 모터(11)의 구동시간을 보정 펄스수(P)로서 산출하여, 이 보정 펄스수(P)에 따라 모터(11)를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이러한 지폐 반송장치(1)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 등의 설치 장소의 온도 등의 환경 변화나,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의 전원 전압의 변동에 의해 이 모터(11)의 부하가 변동하여 지폐(A)의 반송속도(V)가 변동된 경우에도 모터(11)의 구동정지 후의 관성력의 변동에 관계없이 지폐(A)의 후단을 가급적 일정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폐 반송장치(1)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가 저온의 장소에 설치된경우나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의 전원 전압이 저전압(LV)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의 부하가 상온인 경우에 비해 커지게 되어 지폐(A)의 반송속도(V)가 늦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11) 정지후의 관성력이 작아져 지폐(A)의 후단이 일정 위치까지 이송되지 못하고 이송 부족되는 경우가 있으나 상기 지폐 반송장치(1)에서 상기 모터(11)의 반송속도(V)는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의 상류의 특정구간을 통과하는 시간(T1)에 기초하여 미리 검출되어 있으며 이 검출된 모터(11)의 반송속도(V)를 기초로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시점에서 바로 모터(11)를 정지시킨 경우에 관성력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11)의 실측 펄스수(Pd)를 미리 산출하고 이 실측 펄스수(PD)에 의해 모터(11)가 어느 정도 이송 부족이 되는지를 보정 펄스수(P)로서 검출하고 있으므로 상기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시점에서 모터(11)를 보정펄스수(P)만큼 더 구동시킨 후 정지시키도록 하면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시점으로부터 모터가 정지할 때까지의 구동 펄스수를 관성력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이상 펄스수(P)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터(11)의 관성력이 작아 지폐(A)가 이송부족이 되는 것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지폐(A)의 후단을 가급적 일정 위치에 위치시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지폐 반송장치(1)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가 고온의 장소에 설치된 경우나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의 전원 전압이 고전압(HV)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의 부하가 상온인 경우에 비해 작아지게 되어 지폐(A)의 반송속도(V)가 빨라지고 이에 따라 모터(11) 정지후의 관성력이 커지게 되는데 상기 모터(11)의 반송속도(V)는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의 상류의 특정구간을 통과하는 시간(T1)에 기초하여미리 검출되어 있으며 이 반송속도(V)를 기초로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시점에서 바로 정지한 경우에 관성력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11)의 실측 펄스수(Pd)를 미리 산출하고 이 실측 펄스수(PD)에 기초하여 모터(11)에 의한 지폐(A)의 이송과잉을 보정펄스수(P)로서 검출하고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시점에서 모터(11)의 구동을 바로 정지시키도록 하고(보정 펄스수(P)가 P<0인 경우에는 P=0으로 변경), 이를 통해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에 구동되는 모터(11)의 구동 펄스수를 가급적 이상 펄스수(P)에 근접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모터(11)의 관성력이 커져 지폐(A)의 후단을 일정 위치보다 하류로 과잉 이송하는 것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지폐(A)의 후단을 가급적 일정 위치에 위치시켜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텝 114 후 제어수단(25)이 지폐 이동수단(22)의 누름부를 구동시키면 지폐는 1장씩 스태커(19)측으로 안내되어(스텝 115) 스태커(19)내에 확실하게 수용됨과 아울러 지폐 역송방지 레버(20)에 확실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지폐(A)가 지폐 역송방지 레버(20)에 결합되지 않아 지폐(A)의 수용동작을 방해함으로써 발생되는 지폐 막힘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를 통과한 후에 모터(11)를 구동시키는 시간(보정펄스수(P))를 산출하고 이 산출 결과에 따라 모터(11)의 구동 및 지폐 이동수단(2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지폐 검출센서(15)를 사용하지 않고 지폐(A)의 후단이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하여 정지한 후에 다시 구동되는모터(11)의 구동시간(보정펄스수(P'))를 산출하고 이 산출 결과에 따라 다시 구동되는 모터(11)의 구동 및 지폐 이동수단(2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상술한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지폐 반송장치(50)의 요부 개념 단면도로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폐 반송장치(50)는 전술한 제어수단(25)에 의한 처리 과정과 지폐 검출센서(15)를 사용하지 않는 것만이 전술한 지폐 반송장치(1)와 다를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2의 블럭도에 있어서도 지폐 검출센서(15)의 블럭을 제거함은 물론이다.
상기 지폐 반송장치(50)의 제어수단(25)에 의한 처리 과정을 도 6의 플로우챠트 및 도 7(후술)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지폐 반송장치(50)도 상술한 지폐 반송장치(1)와 마찬가지로 대기 상태에 서 제어수단(25)은 입구센서(3)가 ON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스텝 101), 입구센서(3)가 ON되면 지폐(A)가 지폐 삽입구(2a)를 통해 삽입되어 그 선단이 입구센서(3)를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를 구동시킨다(스텝 102). 그러면 지폐 반송벨트 구동수단(10)의 풀리(6,7,8,9)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폐 반송벨트(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지폐(A)는 상기 지폐 반송벨트(5)의 구동력에 의해 지폐 반송로(2)를 따라 상방으로 반송되다가 지폐(A)의 선단이 풀리(6)를 통과하면 상기 지폐는 지폐 반송로(2)를 따라 하방을 향해 반송되게 된다.
한편 제어수단(25)은 스텝 102에서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를 구동시킨후 지폐 식별 센서(18)가 ON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103) 상기 지폐 식별센서(18)가 ON된 것으로 판단하면 지폐(A)의 선단이 지폐 식별센서(18)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지폐 식별센서(18)에 의해 지폐(A)에 대한 식별정보의 기록처리를 수행하여(스텝 104) 지폐(A)의 진위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스텝(104)에서 제어수단(25)은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 상류에 위치하는 지엽류 반송로(2)의 특정구간을 통과하는 시간(T1)에 대한 측정을 개시함과 동시에 상기 시간(T1) 내에 모터(11)가 구동된 펄스수(P1)에 대한 측정을 인코더(12)를 통해 개시한다.
또한 지폐(A)의 선단이 지폐 식별센서(18)에 도달한 상태(스텝 104)에서는 모터(11)는 이미 정속 상태에 도달되어 있다.
한편 제어수단(25)은 스텝 104에서 지폐(A)가 진권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의 정전구동을 계속 유지하면서 지폐(A)를 지폐 반송로(2)의 하류로 더 반송시킴과 동시에 지폐 식별센서(18)가 OFF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5).
상기 스텝 105에서 지폐 식별센서(18)가 OFF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수단(25)은 스텝 106에서 지폐(A)의 후단이 지폐 식별센서(18)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이에 의해 지폐(A)를 일시보류(에스크로 상태)에 도달하게 함과 동시에 지폐(A)가 상기 특정구간을 통과하는 시간(T1)의 측정 및 상기 시간(T1)내에 구동된 모터(11)의 펄스수(P1)에 대한 측정을 종료한다.
이어서 제어수단(25)은 스텝 106에서 지폐 반송수단(4)에 의한 모터(11)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부터 실제로 모터(11)가 그 회전을 정지할 때까지의 펄스수, 즉 모터정지 펄스수(Pst)를 인코더(12)를 통해 측정하고 그 모터정지 펄스수(Pst)를 기억한다(스텝 107).
그 후 제어수단(25)은 스텝 106에서 측정한 구동시간(T1) 및 모터(11)의 펄스수(P1)에 기초하여 모터의 반송속도(V)를
V=P1/T1 (펄스수/시간)......산출식(1)
에 의해 산출한다(스텝 108).
이어서 제어수단(25)은 산출한 모터(11)의 반송속도(V)에 기초하여 상기 반송속도(V)로 구동되는 모터(11)의 구동이 바로 정지된 경우에 이 모터(11)가 관성력에 의해 구동되는 펄스수(Pd)(이하, 「실측 펄스수(Pd)」라 칭함)를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Pd=aV+b.....산출식(2)
(단, a, b는 정수)
에 의해 산출한다(스텝 109).
계속해서 제어수단(25)은 산출식(2)에 의해 산출한 실측펄스수(Pd)에 기초하여 보정펄스수(P')를
P'=c'-Pd-Pst.......산출식(3)
(단 c'는 정수)
에 의해 산출한다(스텝 110).
여기서 정수(c')는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와 지폐 역송방지 레버(20)간의 거리를 반송될 때에 필요한 모터(11)의 구동 펄스수, 즉 지폐(A) 후단이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한 후에 회전 구동되어야 하는 모터(11)의 구동 펄스수를 미리 산출한 이상 펄스수이다.
상기 산출식(3)에 있어서 이상 펄스수인 정수(c')로부터 실측 펄스수(Pd)와 모터정지 펄스수(Pst)를 감산하여 산출되는 보정펄스수(P')는 지폐(A)의 후단이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한 후 에스크로 위치(Pst)에서 정지한 후 다시 모터(11)를 구동시켜 바로 정지시키고 이에 의해 모터(11)의 관성력만으로 지폐(A)를 반송시키면 어느 정도 지폐(A)가 이송 부족되는가 또는 어느 정도 이송 과잉되는가를 모터(11)의 구동 펄스수를 기준으로 하여 도시한 값으로서 상기 지폐 반송장치(1)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폐(A)의 후단이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한 시점에서 에스크로 위치에서 정지한 후 다시 모터(11)를 구동시켜 바로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보정펄스(P')만큼 구동시킨 후 정지시키도록 하며 이에 따라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하여 에스크로 위치에서 정지한 후 다시 구동되는 모터(11)의 구동 펄스수가 관성력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이상 펄수수(c')가 되도록 보정한다.
예를 들어 실측 펄스수(Pd)+모터정지 펄스수(Pst)가 이상 펄스수(c')보다 작은 경우에는(P'>0),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하여 에스크로 위치(Pst)에서 정지한 후 다시 모터(11)를 구동시켜 바로 정지하도록 하면 지폐(A)가 일정 위치까지 반송되지 못하고 이송부족 상태가 되는데 이 이송부족 거리를 모터(11)의 구동 펄스수를 기준으로 몇 펄스있는지 보정펄스수(P')에 의해 미리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을 통과하여 에스크로 위치(Pst)에서 정지한 후 다시 모터(11)를 구동시켜 바로 정지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1)를 부족 펄스분 즉 보정 펄스수(P')만큼 더 구동시킨 후 정지시키도록 하면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하여 에스크로 위치(Pst)에서 정지한 후 다시 구동되는 모터(11)의 구동 펄스수를 관성력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이상 펄스수(c')로서 보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폐(A)의 후단을 일정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은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하여 에스크로 위치(Pst)에서 정지한 후 다시 구동되는 모터(11)의 구동시간과 모터(11)에 의한 지폐(A) 후단의 반송거리(가로축)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a)에는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을 통과하여 에스크로 위치(PsT)에서 정지한 후 다시 구동되는 모터(11)를 바로 정지시킨 경우에 모터(11)가 관성력에 의해 실측 펄스수(Pd)만큼 구동하여 정지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상기 실측 펄스수(Pd)+모터정지 펄스수(Pst)는 이상 펄스수(c')보다 적기 때문에 지폐(A)의 후단은 이송부족 상태로 정지하고 있다.
또한 도 7(b)에는 관성력만으로는 이송부족이 되는 모터(11)를,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을 통과하여 에스크로 위치(Pst)에서 정지한 후 다시 구동되는 모터(11)를 보정펄스수(P')만큼 구동시킨 후 정지킴으로써 지폐 식별센서(18)에 의한 지폐(A)의 후단 검출 후의 모터(11)의 회전 구동 펄스수를 이상 펄스수(c')가 되도록 보정하여 지폐(A)의 후단을 가급적 일정 위치에 위치시켜 정지시키도록 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특히 도 7(a), (b)에서는 모터정지 펄스수(Pst)가 2펄스, 실측 펄스수(Pd)가 7펄스, 보정 펄스수(P')가 6펄스, 이상 펄스수(c')가 15펄스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단 상술한 산출식(2)에 의해 구해진 보정 펄스수(P')가 P'>N인 경우 제어수단(25)은 보정 펄스수(P')를 P'=N으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보정펄스수(P')가 P'>N인 경우는, 반송속도(V)에 의해 구해진 실측 펄스수(Pd)+모터정지 펄스수(Pst)가 이상 펄스수(c')보다 매우 작아 지폐(A)의 이송 부족량이 매우 큼을 나타내고 있는데 지폐 식별 센서(18)와 지폐 역송방지 레버(20)간의 거리를 고려할 때 보정 펄스수(P')가 P'=N이면 실질상 지폐(A)의 후단은 지폐 역송방지 레버(20)(도 5)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바 보정 펄스수(P')를 P'=N으로 변경한다.
즉 산출한 보정 펄스수(P')가 P'>N인 경우에는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하여 에스크로 위치에 정지한 후 다시 구동되는 모터(11)를 펄스수(N)만큼 구동시킨 후 정지시킴으로써 지폐(A)의 후단을 가급적 일정 위치에 위치시켜 정지시킨다.
또한 P'<0인 경우에는 제어수단(25)은 보정펄스수(P')를 P'=0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P'<0가 되는 경우는 반송속도(V)에 의해 구해진 실측 펄스(Pd)+모터정지 펄스수(Pst)가 이상 펄스수(c')보다 큼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하여 에스크로 위치(Pst)에서 정지한 후 다시 구동되는 모터(11)를 바로 정지시켜도 지폐(A)가 일정 위치보다 하류로 이송되어 지폐(A)의 이송 과잉이 되는데 이 이송과잉 거리를, 모터(11)의 구동 펄스수를 기준으로 하여 몇 펄스있는지 보정펄스수(P')에 의해 미리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하기 전에 모터(11)의이송과잉 펄스수만큼 적게 구동된 펄스수 위치에서 모터(11)를 정지시켜야 하는데 제어수단(25)은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한 후 모터(11)를 정지시키고 그 후 다시 모터(11)를 구동시켜 그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P<0인 제어는 불가능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보정펄스수(P')를 P'=0으로 변경한다.
즉 P'<0인 경우에는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하여 정지한 후 다시 구동되어야 하는 모터(11)의 그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이에 의해 지폐(A)의 후단을 가급적 일정 위치에 위치시킨다.
한편 도 6의 스텝 106에서 제어수단(25)이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의 구동을 정지시켰기 때문에 지폐 반송장치(50)는 지폐(A)를 지폐 반송로(2)내에 일시보류하는 소위 에스크로 상태로 이행하고 있는데(스텝 111), 이 지폐 에스크로 상태 중에 자동 판매기의 상품 구입버튼이 눌려지면 제어수단(25)은 정상적인 거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자동 판매기로부터 상품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지폐 반송로(2) 내에 일시보류(에스크로)하고 있던 지폐(A)를 스태커(19)내에 수용시키는 수금동작으로 이행한다.
즉 수금동작으로 이행하면 제어수단(25)은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11)를 다시 정전 구동시키고(스텝 112) 지폐 반송벨트(5)를 정전시켜 지폐(A)를 더욱 하류로 안내함과 아울러 스텝 112의 모터(11)의 구동에서 상기 산출한 보정 펄스수(P')만큼 모터(11)를 구동시킨 후(스텝 113) 그 구동을 정지시킨다(스텝 114).
이와 같이 상술한 지폐 반송장치(50)에서 제어수단((25)은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 상류에 위치하는 지폐 반송로(2)의 특정구간을 통과하는 시간(T1)에 기초하여 지폐(A)의 후단이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하는 시점에서의 모터(11)의 반송속도(V)를 미리 산출함과 아울러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하여 에스크로 위치에서 정지할 때까지 회전 구동되는 모터(11)의 펄스수 즉 모터정지 펄스수(Pst)를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수단(25)은 산출한 반송속도(V)에 기초하여 지폐(A)가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하여 에스크로 위치(Pst)에서 정지한 후 다시 구동되는 모터(11)가 바로 구동 정지된 경우 관성력에 의해 모터(11)가 회전 구동되는 실측펄스수(Pd)를 미리 산출하고 또한 이 실측 펄스수(Pd)+기억된 모터정지 펄스수(Pst)에 기초하여, 다시 구동되는 모터(11)의 구동 펄스수가 전체적으로 이상 펄스수(c')가 되도록 다시 구동되는 모터(11)의 구동시간을 보정 펄스수(P')로서 산출하고 이 보정펄스수(P')에 의거하여 모터(11)를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상술한 지폐 반송장치(50)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 등의 설치 장소의 온도 등의 환경 변화나 지폐 반송수단(4)의 모터의 전원 전압의 변동에 의해 상기 모터(11)의 부하가 변동하여지폐(A)의 반송속도(V)가 변동된 경우에도 모터(11)의 구동정지 후의 관성력의 변동에 관계없이 지폐(A)의 후단을 가급적 일정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스텝 114 후 제어수단(25)은 도 5에 도시한 지폐 이동 수단(22)의 누름부를 구동시키면 지폐(1)는 1장씩 스태커(19) 측으로 안내되어(스텝 115) 스태커(19) 내로 확실하게 수용됨과 동시에 지폐 역송방지 레버(20)에 확실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지폐(A)가 지폐 역송방지 레버(20)에 결합되지 않아 지폐(A)의 수용동작을 방해함으로써 발생하는 지폐 막힘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폐 반송장치(50)의 지폐 식별센서(18)를 한쌍의 발광 및 수광소자로 된 한쌍의 포토센서로 구성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지폐 식별센서를 복수쌍의 발광 및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복수쌍의 포토센서에 의해 구성하는 것, 복수의 발광소자와 단일의 수광으로 검출하는 것, 또는 단일의 발광소자와 복수의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것일 수도 있고 그 경우에는 그 중 한쌍의 발광 및 수광소자로 된 한쌍의 포토센서를 선택하여 그것을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지폐 반송장치(50)의 지폐 식별센서(18)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폐 반송장치(1, 50)에서는 지폐(A)가 특정구간을 통과하는 시간(T1)의 측정이나 이 시간(T1)내에 구동되는 모터의 펄스수(P1)의 측정을 모터(11)가 정속(정상)상태에 도달한 후 개시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측정의 개시 시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모터(11)가 정상상태에 도달하기 전인 과도 상태에서 각 측정을 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폐 반송장치(1,50)에서는 제어수단(25)이 지폐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는 모든 지폐(A)에 대해 모터(11)의 보정 펄스수(P)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모터(11)의 구동시간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지폐 반송장치의 제어수단(25)은 지폐 삽입구(2a)로부터 삽입되는 모든 지폐(A)에 대해 모터(11)의 구동시간 제어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제어수단(25)은 지폐 삽입구(2a)를 통해 삽입되는 지폐(A)의 길이가 특정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만 상기 모터의 구동시간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지폐의 길이는 예를 들어 지폐 식별센서(18)에 의한 지폐의 선단부터 후단까지의 검출 시간을 기초로 하여 판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폐반송장치(1, 50)에서는 지폐 식별센서(18)에 의한 지폐(A)의 선단과 후단의 검출시간에 따라 지폐(A)가 특정구간을 통과하는 시간(T1)을 산출하도록 하였으나 이 시간(T1)을 측정하는 센서는 지폐 식별센서(18)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입구센서(3)에 의한 지폐(A)의 선단 검출에서 후단 검출까지의 시간에서 적당한 범위로부터 산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폐 반송장치(1,50)에서는 특정 구간을 지폐가 통과하는 시간(T1)과 상기 시간(T1)내에 구동된 모터(11)의 펄스수(P1)를 측정하고 이에 의해 모터(11)의 반송속도(V)를 산출하고 이 산출한 반송속도(V)에 기초하여 보정펄스수(P, P')를 산출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의 지폐 반송장치에서 반드시 모터(11)의 반송속도(V)를 산출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구센서(3)에 의한 지폐(A)의 후단 검출(입구센서(3)가 OFF)에서 지폐 식별센서(18)에 의한 지폐(A)의 후단 검출(지폐 식별센서(18)가 OFF)까지의 시간(T2)을 측정하고 이 측정한 시간(T2)에 기초하여 지폐(A)가 지폐 검출센서(15) 혹은 지폐 식별센서(18)를 통과한 후의 모터(11)의 구동시간(보정펄스수(P, P'))을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입구센서(3)와 지폐 식별센서(18)간의 거리(S1)와 지폐 식별센서(18)와 지폐 역송레버(20)간의 거리(S2) 혹은 지폐 검출센서(15)와 지폐 역송방지 레버(20)간의 거리의 비를 미리 알고 있으므로 측정한 시간(T2)으로부터 보정펄스수(P, P')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폐 반송장치(1, 50)에서는 지폐(A)의 후단을 일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어동작을 스태커(19)에 지폐(A)를 확실하게 수용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폐(A)를 지폐 역송방지 레버(20)에 결합시켜 지폐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지폐 반송장치의 제어동작은 지폐(A)를 일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목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라면 상기 지폐 수용동작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폐 반송장치(1, 50)에서는 지폐(A)의 후단을 일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지폐 반송장치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와 같이 지폐(A)의 후단을 일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지폐 반송장치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와 같이 지폐(A)의 후단을 일정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으면 종류(길이)가 다른 지폐(예를 들어 1000엔짜리와 2000엔짜리)를 동일의 스태커(19)내에 수용함과 아울러 지폐 역송방지 레버(20)에 확실하게 결합시켜 지폐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폐 반송장치는 지폐(A)의 후단을 일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지폐 반송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지폐의 선단을 일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지폐 반송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폐 반송장치(1, 50)에서는 지폐(A)를 일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지폐 반송장치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다른 지엽류(예를 들어 쿠폰권이나 상품권 등)를 일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지엽류 반송장치(예를 들어 쿠폰권 반송장치나 상품권 반송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엽류 반송장치에서는 지엽류를 지엽류 반송로를 따라 반송시키는 모터로 된 지엽류 반송수단과, 상기 지엽류 반송로에 설치되는 지엽류 검출센서와,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한 후에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 하류의 소정 위치로 위치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지엽류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의 상류에 위치하는 상기 지엽류 반송로의 특정 구간을 통과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한 후의 상기 모터의 구동시간을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설정 장소의 온도 등의 환경변화나 지폐 반송수단의 모터의 전원 전압이 변동하여 상기 모터의 부하가 변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지엽류의 반송속도가 변동하여 모터의 구동정지 후의 관성력이 변동하는 경우에도 지엽류를 그 후단이 가급적 일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지폐 반송장치, 상품권 반송장치 및 기타지엽류 반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지엽류 반송장치는 지엽류의 후단을 일정 위치에 위치시켜 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지폐 반송장치, 상품권 반송장치 및 기타 지엽류 반송장치에 적합하다.

Claims (5)

  1. 지엽류를 지엽류 반송로를 따라 반송시키는 모터로 된 지엽류 반송수단과, 상기 지엽류 반송로에 설치된 지엽류 검출센서와,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한 후에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상기 지엽류를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 하류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지엽류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의 상류에 위치하는 상기 지엽류 반송로의 특정 구간을 통과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한 후의 상기 모터의 구동시간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반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의 상류에는 이 지엽류 검출센서와는 별개의 지엽류 검출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별개의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하는 상기 지엽류의 선단과 후단의 검출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가 상기 특정구간을 통과하는 시간(T1)을 산출하고,
    또한 상기 모터의 회전수을 인코더를 통해 펄스수로 변환시키고,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시간(T1)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의 후단이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하는 시점에서의 상기 모터의 반송속도(V)를 미리 산출하고,
    또한 상기 산출된 반송 속도(V)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한 시점에서 바로 정지한 경우에 상기 모터의 관성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기 모터의 실측 펄스수(Pd)를 미리 산출하고,
    상기 실측 펄스수(Pd)를 기초로,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한 후에 구동되는 상기 모터의 구동 펄스수가 전체적으로 이상 펄스수(c)가 되도록 상기 지엽류의 후단이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한 후 상기 모터를 정지시킬 때까지의 상기 모터의 구동시간을 보정 펄스수(P)로서 산출하고 이 보정 펄스수(P)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반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지엽류가 상기 특정구간을 통과하는 시간을 T1, 이 시간(T1) 내에 구동된 상기 모터의 펄스수를 P1으로 한 경우 상기 모터의 반송속도 V를
    V=P1/T1 (펄스수/시간)
    에 의해 산출하고
    또한 상기 지엽류의 후단이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한 시점에서 바로 상기 모터를 정지시킨 경우에 상기 모터가 관성력에 의해 구동되는 펄스수 Pd(실측펄스수(Pd))를,
    Pd=aV+b, (단 a, b는 정수)
    에 의해 산출하고,
    또한 상기 산출한 실측 펄스수(Pd)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 펄스수 P를
    P=c-Pd (단, c(상기 이상 펄스수)는 정수)
    에 의해 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반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인코더를 통해 펄스수로 변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하는 상기 지엽류의 선단과 후단의 검출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가 상기 특정구간을 통과하는 시간(T1)을 산출하고,
    또한 이 시간(T1)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의 후단이 상기 지엽류 식별센서를 통과하는 시점에서의 상기 모터의 반송속도(V)를 미리 산출하고
    또한 상기 지엽류가 지엽류 식별센서를 통과한 시점에서 상기 모터를 바로 정지시켰을 때 상기 지엽류의 반송이 정지되는 위치 즉 에스크로 위치(일시보류 위치)(Pst)까지 회전 구동된 상기 모터의 펄스수(모터정지 펄스수)(Pst)를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산출한 상기 반송속도(V)에 기초하여 상기 지엽류가 상기 지엽류 식별센서를 통과하여 상기 에스크로 위치(Pst)에서 정지한 후 다시 구동되는 상기 모터가 바로 구동정지된 경우에 관성력에 의해 상기 모터가 회전 구동되는 실측펄스수(Pd)를 미리 산출하고,
    또한 이 실측 펄스수(Pd)+상기 기억된 모터정지 펄스수(Pst)를 기초로, 다시 구동되는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정지시킬 때까지의 상기 모터의 구동시간을 보정펄스수(P')로서 산출하고 이 보정 펄스수(P')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반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지엽류가 상기 특정 구간을 통과하는 시간을 T1, 이 시간(T1) 내에 구동된 상기 모터의 펄스수를 P1으로 한 경우 상기 모터의 반송속도 V를,
    V=P1/T1 (펄스수/시간)
    에 의해 산출하고,
    또한 상기 지엽류의 후단이 상기 지엽류 검출센서를 통과한 시점에서 상기 모터를 바로 정지시킨 경우 상기 모터가 관성력에 의해 구동되는 펄스수 Pd(실측 펄스수(Pd))를,
    Pd=aV+b (단 a, b는 정수)
    에 의해 산출하고,
    또한 상기 산출한 실측 펄스수(Pd)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펄스수 P'를
    P'=c'-Pd-Pst
    (단 c'(상기 이상 펄스수)는 정수, Pst는 상기 기억된 모터정지 펄스수)
    에 의해 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반송장치.
KR10-2002-7006547A 2000-09-27 2001-08-24 지엽류반송장치 KR100417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94349 2000-09-27
JPJP-P-2000-00294349 2000-09-27
JPJP-P-2001-00082890 2001-03-22
JP2001082890A JP2002173244A (ja) 2000-09-27 2001-03-22 紙葉類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477A KR20020073477A (ko) 2002-09-26
KR100417158B1 true KR100417158B1 (ko) 2004-02-05

Family

ID=2660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547A KR100417158B1 (ko) 2000-09-27 2001-08-24 지엽류반송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55414B2 (ko)
JP (1) JP2002173244A (ko)
KR (1) KR100417158B1 (ko)
CN (1) CN1238231C (ko)
MY (1) MY126808A (ko)
WO (1) WO2002026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0822B2 (en) * 2001-08-28 2005-04-19 Seiko Epson Corporation Paper feeder,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a position of a terminal edge of a recording material in the recording apparatus
JP4279596B2 (ja) * 2003-05-22 2009-06-17 サンデン株式会社 紙幣識別装置
JP4942330B2 (ja) * 2005-11-21 2012-05-3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2008044708A (ja) 2006-08-14 2008-02-28 Oki Electric Ind Co Ltd 紙葉類分離繰出機構
US20100052237A1 (en) * 2006-10-18 2010-03-04 Lars Karoly Herczeg Document handling apparatus
ATE511447T1 (de) * 2006-11-06 2011-06-15 Seiko Epson Corp Flüssigkeitsbehälter, behälterhalter und flüssigkeitsverbrauchsvorrichtung
KR20080070994A (ko) * 2007-01-29 200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760321A (zh) * 2011-04-25 2012-10-31 李艳 一种验钞机控制装置
CN102760320A (zh) * 2011-04-25 2012-10-31 李艳 一种验钞机控制方法
JP5987271B2 (ja) * 2011-06-06 2016-09-07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CN102581681B (zh) * 2012-01-05 2014-08-20 浙江陀曼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接料控制方法
CN103625980B (zh) * 2012-08-24 2016-12-21 株式会社东京机械制作所 折帖集积装置及折帖集积方法
US9081649B2 (en) * 2012-10-29 2015-07-14 Honda Motor Co., Ltd. Vehicle including movable partition and controller
WO2017187529A1 (ja) * 2016-04-26 2017-11-02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取扱方法
CN106296980B (zh) * 2016-07-29 2019-02-26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叠钞方法、系统以及金融自助设备
CN111874561B (zh) * 2020-07-27 2022-02-18 广州智能装备研究院有限公司 一种传送带区间定位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1328A (en) * 1980-06-30 1982-05-25 Burroughs Corporation Controller for a servo driven document feeder
JPS57180546A (en) * 1981-04-27 1982-11-06 Canon Inc Feed controller
JPS62159296A (ja) * 1986-01-07 1987-07-15 アイエム電子株式会社 紙幣識別・スタツク装置
JPS6417737A (en) * 1987-07-10 1989-01-20 Fujitsu Ltd Correction of medium line changing quantity
US5186449A (en) * 1990-01-23 1993-02-16 Mita Industrial Co., Ltd. Sheet feeder unit
US5195739A (en) * 1991-02-01 1993-03-23 Nippon Conlux Co., Ltd. Apparatus for preventing bills or the like from being pulled out
JP3049342B2 (ja) * 1991-09-26 2000-06-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給紙装置
JPH05286606A (ja) * 1992-04-10 1993-11-02 Konica Corp 原稿自動送り装置を備えた複写機
JPH06102727A (ja) * 1992-09-21 1994-04-15 Konica Corp 複写機
JP2932338B2 (ja) * 1993-11-05 1999-08-0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KR0164259B1 (ko) * 1994-03-10 1999-03-20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처리장치
US5575466A (en) * 1994-11-21 1996-11-19 Unisys Corporation Document transport with variable pinch-roll force for gap adjust
JPH1149399A (ja) * 1997-07-29 1999-02-23 Brother Ind Ltd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シート搬送装置におけるシート搬送量の補正方法
US6126160A (en) * 1999-04-12 2000-10-03 Eastman Kodak Company Sheet feeding control for image rea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55414B2 (en) 2004-06-29
MY126808A (en) 2006-10-31
KR20020073477A (ko) 2002-09-26
JP2002173244A (ja) 2002-06-21
CN1392859A (zh) 2003-01-22
WO2002026606A1 (fr) 2002-04-04
US20020185811A1 (en) 2002-12-12
CN1238231C (zh) 200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158B1 (ko) 지엽류반송장치
EP1678687B1 (en)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valuable papers with centering means
US4521008A (en) Fail safe document dispensing system
US7607662B2 (en) Bill handling apparatus
US6082732A (en) System for detecting superposed sheets
AU693617B2 (en) Single denomination bill dispensing apparatus
CN101234710B (zh) 介质分离机构
EP1746546B1 (en) Banknote feeding apparatus
WO2005088564A1 (ja) 紙葉類取扱装置
WO2005088565A1 (ja) 紙葉類束高さ検出方法、及び紙葉類取扱装置
KR100520043B1 (ko) 지엽류수용장치
JP3844903B2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474817B2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KR950007845Y1 (ko) 현금자동인출기의 불량지폐 검출장치
KR102357061B1 (ko) 지폐처리장치 및 방법
EP1510976A2 (en) An optical sens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024533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투입장치
JPS5847489Y2 (ja) 紙幣選別機の紙幣通路開閉装置
JP3393624B2 (ja) 紙幣処理装置
KR950007850Y1 (ko) 현금자동지급기의 지폐 방출장치
KR100314307B1 (ko) 지폐감별장치 및 지폐인출수단 검출방법
JPH0546134Y2 (ko)
JPH04125237A (ja) 紙葉類自動取扱い装置
JP2004094881A (ja) 紙葉類搬送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MXPA97006515A (es) Aparato distribuidor de billetes de una soladenominac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