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856B1 - 드럼식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식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856B1
KR100416856B1 KR10-2001-0021982A KR20010021982A KR100416856B1 KR 100416856 B1 KR100416856 B1 KR 100416856B1 KR 20010021982 A KR20010021982 A KR 20010021982A KR 100416856 B1 KR100416856 B1 KR 100416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shing
detergent
foaming detergent
fo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530A (ko
Inventor
히사노고지
히라노다카유키
니시와키사토루
다자와다카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4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06F2103/22Content of detergent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세제에 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구비하고, 이 선택실행을 「일반 세제」 선택 스위치(63)의 조작에 의해 가능하며, 또한 드럼내의 거품의 이상발생을, 그에 수반하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검지하도록 한 것으로,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문제없이 세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식 세탁기{DRUM WASHER}
본 발명은 세탁물을 세제 및 세탁수와 함께 드럼내에 수용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세탁물을 세제 및 세탁수와 함께 드럼내에 수용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세탁시에는 세제를 포함한 세탁수가 활발하게 교반되고 그에 의해 세제가 통상의 비저발포세제였던 경우에는 매우 많은 거품이 발생하고, 이 발생한 많은 거품 때문에, 세탁물을 드럼의 회전에 의해 위에서부터 떨어뜨려 두드림에 의해 세탁하므로, 드럼내의 거품이 세탁물을 완충적으로 받아, 두드림의 충격력을 너무 완화시킴으로써 충분한 세탁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세탁 직후의 탈수시에는 드럼과 이것을 포위한 수조 사이에 고인 거품이 드럼의 회전을 저해하여, 드럼의 회전속도가 올라가지 않고 충분한 탈수가 불가능하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었다.
이 때문에,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거품발생이 적은 저발포 세제의 사용이 장려되고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저발포 세제는 첨가되어 있는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의해 발포성을 억제했으므로, 저발포이고 거품의 소거성, 소위 거품제거성도 좋아, 오염이 적은 세탁물을 시간을 들이지 않고 세탁하는 스피드 코스나, 절수사양의 전자동 세탁기에 최적이라고 되어 있는 레벨의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에서는 저발포 세제의 사용이 장려되고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오염물질의 분리가 좋거나 향기가 좋고 저렴하다는 등의 이유에서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고 싶은 사용자에게 불만을 초래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따라서 그 목적은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문제없이 세탁할 수 있는 드럼식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조작패널의 정면도,
도 2는 드럼식 세탁기 전체의 정면도,
도 3은 드럼식 세탁기 전체의 종단 측면도,
도 4는 드럼식 세탁기 전체의, 외부상자 배면판을 떼어낸 상태의 배면도,
도 5는 드럼식 세탁기 전체의, 외부상자 천정판을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세제 케이스의 평면도,
도 7은 전기적 구성의 블럭도,
도 8은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드럼회전속도와 드럼회전모드를 도시한 파형도,
도 9는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드럼회전속도와 드럼회전모드를 도시한 파형도,
도 10은 필요 세제량 표시부분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작용설명을 위한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세제 케이스 수납부 부분의 정면도,
도 13은 세제 케이스의 평면도,
도 14는 작용설명을 위한 플로우차트,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 14 부분 상당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작용설명을 위한 플로우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드럼식 세탁기 전체의 종단측면도,
도 18은 작용설명을 위한 플로우차트,
도 19는 도 4 상당 축소도,
도 20은 거품의 이상발생의 모습을 도시한 드럼식 세탁기 전체의 축소 종단 측면도,
도 21은 거품 이상 발생시의 거품 검지수단 출력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발생한 밀도가 다른 거품을 검지한 거품검지수단의 출력과 세탁의 경과시간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및
도 23은 거품의 이상발생의 판정레벨을 세탁의 경과시간마다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드럼 32: 열교환기
52: 밸브
63: 「일반세제」선택 스위치(세제 사용코스 선택수단)
69: 표시부(세제량 표시수단) 86: 마이크로 컴퓨터(수위결정수단)
111: 에어트랩(거품검지수단) 113: 압력센서(거품검지수단)
114: 에어튜브(거품검지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첫번째로, 세탁물을 세제 및 세탁수와 함께 드럼내에 수용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세제에 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구비하고, 이들의 선택실행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선택하여 세탁을 함으로써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문제없이 세탁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는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보다 수위를 낮게 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내용이면 좋다.
이것에서는 세탁시의 세탁수량이 감소됨에 의해 거품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는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보다 드럼의 회전속도를 낮게 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내용이어도 좋다.
이것에서는 세탁시의 세탁수의 교반의 빈도가 감소함으로써 거품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는 세탁후의 헹굼을,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최다 헹굼횟수보다 횟수를 많게 하여 실행하는 내용이어도 좋다.
이것에서는 세탁시에 발생한 거품을 배출하는 횟수가 증가함으로써 거품의 배출이 촉진된다.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는 세탁직후에 급수하면서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거품을 배출하는 거품제거운전을 실행하는 내용이어도 좋다.
이것에서는 세탁시에 발생한 거품의 빠른 배출이 촉진된다.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는 세탁중, 시종 세탁물을 두드림 세탁하는 회전속도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내용이어도 좋다.
이것에서도 세탁시의 세탁수의 교반의 빈도가 감소함으로써 거품의 발생이 억제된다.
한편, 필요 세제량을 표시하는 세제량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이 세제량 표시수단에 의한 필요 세제량의 표시가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선택으로 전환되는 것도 좋다.
이것에서는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 각각 맞는 필요 세제량을 알 수 있어, 세제량을 잘못 투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세제량의 표시를 하는 세제량 표시수단과, 세탁 수위를 결정하는 수위결정수단을 구비하고, 세탁물량을 단시간에 1차 검지함으로써 세제량 표시수단에 의한 필요 세제량을 표시하고, 그 후에 그보다 긴 시간을 들여 2차 검지함으로써 수위결정수단에 의한 세탁 수위의 결정을 하는 것도 좋다.
이것에서는 필요 세제량을 빠르게 검지할 수 있고 또한 세탁수위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할 수 있으므로, 세탁수량을 착오없이 하여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물을 세탁하고, 헹군 후에 건조시키기 위한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이 열교환기에 헹굼중 또는 탈수중에 급수하는 것도 좋다.
이것에서는 열교환기 내에 들어간 거품의 배출을 헹굼중 또는 탈수중에 할 수 있고 그와 함께 열교환기내에 고인 린트(lint) 등 퇴적물의 배출도 할 수 있으므로 그 후의 건조시의 열교환(제습)을 효율좋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두번째로, 세탁물을 세제 및 세탁수와 함께 드럼내에 수용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그 드럼내의 거품의 이상발생을 그에 수반되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검지하는 거품검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세제의 종류나 양을 잘못 투입한 경우의 드럼내의 거품의 이상발생을, 그에 따른 압력의 변화로부터 검지할 수 있어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거품의 이상발생을 검지했을 때에는 드럼내의 물을 감소시키는 배수를 하면 좋다.
이것에서는 거품의 이상발생의 검지이후, 세탁수량이 감소됨으로써 그 이상의 거품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거품의 이상발생을 검지했을 때에는 드럼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서는 거품의 이상발생의 검지이후, 세탁수의 교반의 빈도가 감소함으로써 그 이상의 거품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거품의 이상발생을 복수회 검지했을 때에는 드럼내의 물을 전부 배출하게 배수를 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서는 거품의 이상발생의 검지가 그 복수회 미만의 횟수로 끝나지 않는 상황에서는 세탁수가 전부 없어짐에 따라, 그 이상의 거품의 발생이 보다 확실하게 억제된다.
한편, 거품의 이상발생의 판정레벨은 세탁 경과시간에 따라 달리하면 좋다.
이것은 거품 밀도의 차이에 따라 거품의 이상발생의 레벨이 세탁 경과시간에 따라 다른 것에 대하여 그 각각의 판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드럼이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서는 거품의 이상발생에 의한 압력의 변화가 현저해지는 방향으로 드럼이 회전될 때 거품의 이상발생을 검지하면 좋다.
이것에서는 거품의 이상발생의 상태가 드럼의 회전방향에 따라 다른 것에서,그 거품의 이상발생의 검지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식 세탁기 전체의 외곽을 이루는 외부상자(1)의 전면부에는 중앙부에 문(2)을 설치하고 상부에 조작패널(3)을 설치하고 있다. 이 중, 문(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상자(1)의 전면부의 중앙부에 형성한 세탁물 출입구(4)를 개폐하는 것으로, 외부상자(1)의 전면부의 이면측에는 상부에 조작회로유닛(5)을 설치하고 하부에 제어회로유닛(6)을 설치하고 있다.
외부상자(1)의 내부에는 수조(7)를 설치하고 있다. 이 수조(7)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축방향이 전후(도면중 좌우)가 되는 횡축상으로, 또한 앞으로 올라가는 경사형상으로 설치하고 좌우 한쌍(도 4 참조)의 탄성지지장치(8)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
수조(7)의 내부에는 드럼(9)을 수조(7)와 동축형상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 드럼(9)은 세탁, 탈수 및 건조에 공용의 조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몸체부의 거의 전역에 작은 구멍(10)을 다수 구비하고(도 3에 일부만 도시), 몸체부의 내주부에는 배플(11)을 복수 구비하고 있다(도 3에, 하나만 도시).
수조(7) 및 드럼(9)은 모두 전면부에 세탁물 출입용 개구부(12,13)를 구비하고 있고, 그 중 수조(7)의 개구부(12)를 상기 외부상자(1)의 세탁물 출입구(4)에, 벨로우즈(14)에 의해 수밀하게 연결하고, 드럼(9)의 개구부(13)를 수조(7)의 개구부(12)를 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드럼(9)의 개구부(13)의 주위부에는 밸런싱(15)을 설치하고 있다.
수조(7)의 배면부에는 드럼(9)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장치로서 모터(16)를 설치하고 있다. 이 모터(16)는 이 경우, 아우터 로터형이고 그 스테이터(16a)를 수조(7)의 배면부의 중앙부에 설치한 베어링 하우징(17)의 외주에 부착하고, 베어링 하우징(17)의 내부에, 로터(16b)의 중심부에 부착한 회전축(16c)을 삽입 통과시키고 이것을 베어링(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베어링 하우징(17)으로부터 수조(7)내에 돌출한 회전축(16c)의 전단부에 드럼(9)의 배면부의 중심부를 부착하고 있다.
수조(7)의 하면부에는 수류기(19)를 부착하고 있고 이 수류기(19)의 내부에 세탁수 가열용 히터(20)를 설치하고 수류기(19)의 후면부에는 배수밸브(21)를 통하여 배수호스(22)를 접속하고 있다. 이 경우, 배수밸브(21)는 전자석이나 모터의 구동력으로 개방되는 전동식의 것이다.
한편, 수조(7)의 상면부에는 뒤쪽에 송풍장치(23)를 설치하고 앞쪽에 가열장치(24)를 설치하고 있다. 이 중, 송풍장치(23)는 케이싱(25)의 내부에 송풍팬(26)을 설치하고, 이 송풍팬(26)을 회전구동하는 모터(27)를 케이싱(25)의 외부에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사이를 벨트전동기구(28)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한편, 가열장치(24)는 케이스(29)의 내부에 온풍용 히터(3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케이스(29)의 입구부가 송풍장치(23)의 케이싱(25)의 출구부에 연결 통과되어 있다.
또한, 수조(7)의 전면부에는 덕트(31)를 설치하고 있다. 이 덕트(31)는 일단부(一端部)가 상기 가열장치(24)의 케이스(29)의 출구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수조(7)의 개구부(12)의 주위부를 관통하여 드럼(9)의 개구부(13)를 향하고 있다.
수조(7)의 배면부에는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32)를 설치하고 있다. 이 열교환기(32)는 상부로부터 물이 주입됨으로써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을 물에 의해 열교환하여 냉각하여 응축시켜 제습하는 수냉식의 것이고 전체는 중공형상으로, 내부에는 지그재그형상의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벽(3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열교환기(32)는 드럼(9)의 회전중심인 상기 모터(16)의 회전축(16c)에 대하여 동심원형상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모터(16)를 피하여 도 4의 좌측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열교환기(32)는 하부에 출수구 겸용의 공기입구(34)를 구비하고, 상부에 공기출구(35)와 수입구(36)를 구비하고 있고, 이 중 공기입구(34)를 수조(7)의 내측하부에 연결시키고, 공기출구(35)를 상기 송풍기(23)의 케이싱(25)의 입구부에 연결 통과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상자(1)의 내부 상부의 좌측 뒤(도면중 좌측상부)의 모퉁이부에는 펌프대(37)를 설치하고 있고 이 펌프대(37)상에 급수펌프(38)를 부착하고 있다. 이 급수펌프(38)는 마중물 공급구(39)로부터 마중물이 공급되어 흡수구(40)로부터 욕조물 등 수돗물 이외의 물을 도시하지 않은 흡수호스를 통하여 흡입하고, 이 흡입한 수돗물 이외의 물을 토수구(41)로부터 토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급수펌프(38)의 전방(도면 중 하방)에 있어서 상기 외부상자(1)의 내부상부의 좌측의 전면부(도면중 좌측하부)에는 주수케이스(42)를 설치하고 있다. 이 주수케이스(42)는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 1 및 제 2의 2개의 수돗물 공급로와, 수돗물 이외 공급로를 구비하고 있고, 그 출구는 공통이고 상기 수조(7)내에 위쪽으로부터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주수 케이스(42)의 수돗물 이외의 공급로에는 상기 급수 펌프(38)의 토수구(41)를, 접속호스(43)를 통하여 접속하고 있다. 주수케이스(42)의 제 1 수돗물 공급로에는 상기 급수 펌프(38)의 마중물 공급구(39)를 접속호스(44)를 통하여 접속하고 있다.
상기 외부상자(1)의 내부상부의 급수펌프(38)의 우측의 이웃하는 부분에는 배수장치(45)를 설치하고 있다. 이 배수장치(45)는 수돗물을 분배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급수호스를 통하여 수도의 수도꼭지에 접속되는 하나의 입수구(46)에 대하여 제 1 내지 제 3의 3개의 출수구(47,48,49)를 구비하고 있고, 출수구(47∼49)의 각각에 급수밸브인 밸브(50,51,52)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밸브(50∼52)는 상기 배수밸브(21)와 동일한 전동식의 것이다.
그러나, 밸브(50)는 접속호스(53)를 통하여 상기 주수케이스(42)의 제 1 수돗물 공급로에 접속하고 있고, 밸브(51)는 접속호스(54)를 통하여 상기 주수케이스(42)의 제 2 수돗물 공급로에 접속하고, 밸브(52)는 접속호스(55)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기(32)의 입수구(36)에 접속하고 있다.
그런데, 도 1에는 상기 조작 패널(3)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이 조작패널(3)은 「전원」 스위치(56), 「스타트/일시정지」 스위치(57)를 구비한 것 이외에는 각종 선택스위치(58∼63)를 구비하고 있고, 특히 그 중의 「코스」 선택스위치(60)에 의해 각종 코스가 선택되고, 그 선택한 코스에 대하여 그것을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로 하거나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로 하는 것이 「일반 세제」 선택 스위치(63)에 의해 선택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그 선택에 대해서 설명하면, 「코스」 선택스위치(60)만을 조작하면 각종 코스가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로 선택되어, 「코스」선택스위치(60)와 「일반세제」선택스위치(63)를 조작하면, 각종 코스가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로 선택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조작의 순서는 「코스」 선택스위치(60)와 「일반세제」 선택스위치(63) 중 어느 것이 먼저이어도 좋다. 또한, 「코스」 선택스위치(60)와 「일반세제」 선택스위치(63)를 조작한 후에도, 그 후에 「일반세제」 선택스위치(63)를 다시 조작하면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선택이 해제되고,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가 선택된다. 또한, 그 상태로부터 「일반세제」 선택스위치(63)를 조작하면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선택이 해제되고,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가 선택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일반세제」선택스위치(63)는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선택하는 세제 사용코스 선택수단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그밖에 조작패널(3)은 각종 표시부(64∼71)를 구비하고, 그 중 표시부(65)가 상술한 「코스」선택스위치(60)에 의해 선택된 코스를 표시하고, 표시부(70)가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 중 선택된 코스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표시부(70)는 발광체 예를 들어 LED이고, 발광에 의해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선택을 표시하고, 소광에 의해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선택을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표시부(71)는 필요 세제량의 색인표시를 하는 것으로 표시부(69)가 필요 세제량을 표시, 특히 후술한 바와 같이 숫자·그림 표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그 표시부(71) 및 표시부(69)는 세제량 표시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경우 표시부(69)는 코스의 각종 코스의 남은 시간이나, 예약시간, 온수의 설정온도 및 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겸하고 있다.
그밖에, 조작패널(3)에는 선택스위치(72∼75)와, 표시부(76∼79)가 존재하고 있고, 그 중 선택스위치(72∼75)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각 행정의 실행을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부(76∼79)는 그 각 선택시간이나 선택횟수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조작패널(3)의 좌측의 이웃하는 부분에는 세제 케이스(80)를 예를 들어 서랍식으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세제 케이스(80)는 전면부에 인출 조작용 손잡이부(81)와, 이것을 평상시에는 폐쇄하는 덮개(82)를 구비하고 있고, 이 덮개(82)는 손잡이부(81)에 거는 손가락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세제 케이스(8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부에서 후측(도면중 상측)에 분말세제 저장부(83)와, 액체세제 및 표백제 저장부(84), 및 유연제 저장부(85)를 구비하고, 그것이 상기 주수 케이스(42)에 수납되고 상기 제 1 수돗물 공급로에 분말세제 저장부(83)와 액체세제 및 표백제 저장부(84)가 설치되고, 제 2 수돗물 공급로에 유연제 저장부(85)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도 7은 마이크로 컴퓨터(86)를 도시하고 있고, 이 마이크로컴퓨터(86)는 상기 제어회로유닛(6)에 포함되고 드럼식 세탁기의 운전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마이크로 컴퓨터(86)에는 상기 조작패널(3)의 「전원」 스위치(56)를 제외한 각종 스위치(57∼63,72∼75)로 이루어진 조작입력부(87)로부터 각종 조작신호가 입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조작입력부(87)는 상기 조작회로유닛(5)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조작패널(3)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각종 조작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밖에, 마이크로 컴퓨터(86)에는 수조(7)내의 저장수위를 검지하도록 설치한 수위검지수단인 수위센서(88)로부터 수위검지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모터(16)의 회전을 검지하도록 설치한 회전센서(89)로부터 회전검지신호가 입력되고, 또한 수조(7)내의 세탁수의 오염을 검지하는 오염센서(90)로부터 오염검지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드럼(9)내의 세탁물의 건조를 검지하는 건조센서(91)로부터 건조검지신호가 입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86)는 그들의 입력 및 미리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16)를 구동하는 인버터 회로(92)에 구동제어신호를 부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모터(16)는 상술한 아우터 로터형임과 동시에, 예를 들어 직류의 브러시리스 모터로 이루어져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86)는 인버터 회로(92)를 통하여 상기 모터(16)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밖에, 마이크로 컴퓨터(86)는 알림수단인 부저(93)와, 상기 조작패널(3)의 각종 표시부(64∼71,76∼79)로 이루어진 표시유닛(94), 상기 세탁수 가열용의 히터(20), 배수밸브(21), 송풍장치(26)의 모터(27), 온풍용 히터(30),급수펌프(38), 배수장치(45)의 밸브(50∼5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95)에 구동제어신호를 부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의 운전코스에는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가 있고 그 선택실행이 가능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선택하고 그후에 「스타트/일시정지」 스위치(57)를 조작하면,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가 실행되고,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선택하고, 그 후에 「스타트/일시정지」 스위치(57)를 조작하면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가 실행된다.
이 중,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는 세제로 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것이고,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는 세제로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어떤 코스에서도 행정은 기본적으로는 세탁, 탈수, 헹굼, 탈수, 건조의 순서로 실행된다.
이하에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차이를 설명한다.
1. 세탁수위
세탁수위, 즉 세탁행정에서의 수조(7)내의 수위는 마이크로 컴퓨터(86)가 세탁행정전에 드럼(9)내에 수용한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그 검지결과로부터 결정하는 것으로, 그 세탁물량의 검지는 세탁물을 수용한 드럼(9)을 소정 입력으로 모터(16)에 의해 회전시켰을 때의 부하량을, 모터(16)의 회전수, 더 나아가서는 드럼(9)의 회전수도 검지함으로써 실시한다. 이 세탁물량의 검지결과로부터 결정되는 두 코스의 수위는 이하와 같다.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
수위 100㎜ 80㎜
80㎜ 60㎜
60㎜ 40㎜
극소 40㎜ 40㎜
즉,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각 세탁수위에 대하여,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각 세탁수위는 한단씩 낮게 결정되는 것이고, 단 극소수위는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경우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각 세탁수위는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각 세탁수위의 예를 들어 20〔%〕씩 낮게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으로부터 마이크로 컴퓨터(86)는 수위결정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2. 드럼회전속도와 드럼회전모드
도 8은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세탁행정에서의 드럼(9)의 회전속도와, 드럼(9)의 회전모드를 도시하고 있고, 이 경우 드럼(9)의 회전속도를 40∼50〔rpm〕까지 올려 그것을 소정시간 지속한 후 60∼80〔rpm〕까지 올리고, 이것을 소정시간 지속한 후 정지시키는 패턴을 반복한다.
이 경우, 40∼50〔rpm〕의 드럼(9)의 회전속도는 드럼(9)내의 세탁물이 드럼(9)의 회전에 의해 올라갔다 떨어지는 것이 반복되는 속도로서, 요컨데 세탁물이 두드림 세탁되는 회전속도이다. 또한, 60∼80〔rpm〕의 드럼(9) 회전속도는 드럼(9)내의 세탁물이 드럼(9)의 회전에 의해 드럼(9)의 몸체부 둘레벽에 달라붙어 원심력에 의해 짜지는 속도이다. 따라서, 이 경우 세탁물의 두드림 세탁과 짜는 세탁이 번갈아 실시된다.
이에 대하여 도 9는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세탁행정에서의 드럼(9)의 회전속도와, 드럼(9)의 회전모드를 도시하고 있고 드럼(9)의 회전속도를 30∼40〔rpm〕까지 올려 그것을 소정시간 지속한 후 정시시키는 패턴을 반복한다.
이 경우, 30∼40〔rpm〕의 드럼(9)의 회전속도도, 드럼(9)내의 세탁물이 드럼(9)의 회전에 의해 올라갔다가 떨어지는 것이 반복되는 속도로서, 요컨대 세탁물이 두드림 세탁되는 회전속도이다. 따라서, 이 경우 세탁물의 두드림 세탁만이 실시되어, 즉 세탁 중 시종 세탁물을 두드림 세탁을 하는 회전속도로 드럼(9)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의 드럼(9)의 회전속도는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세탁행정에서의 드럼(9)의 회전속도 중 어떤 것 보다도 낮다.
또한, 이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서는 세탁행정의 시간을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세탁행정시간 보다 길게 함으로써 세탁률을 양호하게 확보하도록 한다. 이 세탁행정의 시간을 길게 하는 예로서는 상기 세탁물량의 검지결과에 따른 세탁행정의 각 시간에 일률적으로 5분을 추가하거나 또는 각 시간을 30〔%〕 정도씩 연장하는 것이 있다.
3. 헹굼횟수
두 코스의 헹굼행정에서의 헹굼의 횟수는 이하와 같다.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
헹굼횟수 최다 3회 4회
즉,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헹굼행정에서의 헹굼의 최다횟수는 3회이고 이것은 마이크로 컴퓨터(86)가 헹굼행정 중에 오염센서(90)에 의해 수조(7)내의 세탁수의 오염(헹굼도)을 검지하는, 그 검지결과에 따라서 다른 것으로, 3회까지는 수조(7)내의 세탁수의 오염(탁함)이 적어질 때까지 반복헹굼을 실행한다는 것이고, 또는 조작패널(3)의 「코스」 선택스위치(60)에 의해 선택되는 코스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그 각각 최다의 횟수가 3회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에 대하여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헹굼행정에서의 헹굼횟수는 그보다 1회 많게 한다.
4. 거품제거운전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서는 세탁행정과 탈수행정 사이에는 배수밸브(21)를 개방시킴에 의한 배수가 이루어질 뿐이다.
즉, 세탁-배수-탈수…의 순서가 된다.
이에 대하여,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서는 그 세탁행정과 탈수행정 사이의 배수중에 그것과 병행하여 급수하면서 드럼(9)을 예를 들어 30〔rpm〕이하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흐르는 물과 세탁물에 주어지는 적절한 원심력으로 드럼(9)내 및 드럼(9)과 수조(7) 사이로부터 거품을 배출하는 거품제거운전을 실행한다.
즉, 세탁-배수(거품제거)-탈수…의 순서가 된다.
5. 필요세제량 표시
세탁행정에서 필요로 되는 세제량은 마이크로 컴퓨터(86)가 앞의 세탁물량의 검지결과로부터 결정하는 것이고, 또한 그 결정된 세제량을 조작패널(3)의 표시부(71)와 표시부(69)에 표시하게 한다. 이 경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부(71)는 표시부(69)에 의한 표시내용이 필요세제량의 표시인 것을 알리기 위한 색인표시를 하는 것이고, 표시부(69)는 필요세제량을 숫자·그림 표시한다.
도 10의 (a)에는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고」수위에서의 표시부(69)의 표시내용을 도시하고 있고, 「1.0」의 숫자표시에서 계량컵 1잔분의 세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표시하고, 그에 계속되는 거의 「u」의 컵을 닮은 그림 표시에서 그 단위가 컵인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0의 (b)에는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고」 수위에서의 표시부(69)의 표시내용을 도시하고 있고, 「0.8」의 숫자표시에서 계량컵 0.8잔분의 세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표시하고, 그리고 동일하게 그에 계속되는 거의 「u」의 컵과 닮은 그림표시에서 그 단위가 컵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이 표시는 「일반세제」선택스위치(63)을 조작함으로써 전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의 것에서는 세제에 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구비하여 그 선택실행을 가능하게 하고 있고, 그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선택하여 세탁함으로써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상술한 많은 거품 발생에 의한 폐해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세탁할 수 있고, 따라서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한 사용자에게 만족을 줄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는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보다 수위를 낮게 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하고 있고, 그에 의해 세탁시의 세탁수량이 감소되어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는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보다 드럼(9)의 회전속도를 낮게 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하고 있고, 그에 의해 세탁시의 세탁수의 교반의 빈도가 감소하여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는 세탁후의 헹굼을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최다 헹굼횟수보다 횟수를 많게 하여 실행하도록 하고 있고, 그에 의해, 세탁시에 발생한 거품을 배출하는 횟수가 증가하여, 거품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어 헹굼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밖에,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는 세탁 직후에 급수하면서 드럼(9)을 회전시킴으로써 거품을 배출하는 거품제거운전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고, 그에 의해 세탁시에 발생한 거품의 빠른 배출을 촉진할 수 있어 그후의 탈수행정에서의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는 세탁중, 시종 세탁물을 두드림 세탁하는 회전속도로 드럼(9)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고, 그에 의해 세탁시의 세탁수의 교반의 빈도가 감소하여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제량 표시수단인 표시부(69)에 의한 필요 세제량의 표시를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선택으로 전환하도록 하고 있고, 그에 의해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 각각 맞는 필요세제량을 알 수 있어 세제량을 잘못 투입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특히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서 세제를 너무 많이 넣어 거품의 발생이 과다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서의 필요세제량의 표시는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서의 필요 세제량의 표시보다 적게 표시하도록 하고 있고, 그 적게 표시함으로써 세제 사용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거품의 발생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각각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2 실시예]
도 11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86)가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 또는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스타트한 후 세탁물량의 일차 검지를 한다(스텝 A1). 이 세탁물량의 1차검지는 예를 들어 15초의 단시간, 드럼(9)을 회전시켜 실시하는 것이고, 그 검지결과로부터 필요세제량을 결정하고 상기 표시부(69)에 표시하게 한다(스텝 A2).
다음에, 마이크로 컴퓨터(86)는 세탁물량의 2차 검지를 한다(스텝 A3). 이 세탁물량의 2차 검지는 상술한 1차 검지보다 길게, 예를 들어 약 3배인 40초의 시간, 드럼(9)을 회전시켜 실시하는 것이고 그 검지결과로부터 세탁수위의 결정을 한다(스텝 A4).
그리고, 그 후 배수장치(45)의 밸브(50)를 개방시킴으로써 수돗물을 주수 케이스(42)의 제 1 수돗물 공급로(세제 케이스(80)의 분말세제 저장부(83), 액체세제 및 표백제 저장부(84))를 통하여 수조(7)내에 공급한다(스텝 A5). 또한, 이 경우 「욕조물」 코스에서는 소정 시간 후, 밸브(50) 대신 급수펌프(38)를 작동시켜 목욕물 등 수돗물 이외의 물을 수조(7)내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세탁물량을 단시간에 1차 검지함으로써 필요 세제량을 표시하고, 그 후에 그보다 긴 시간을 들여 2차 검지함으로써 세탁수위를 결정하는 것에서는, 필요 세제량을 빠르게 알 수 있어 세탁수위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할 수 있으므로, 세탁수량에 착오가 없어,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제 3 실시예에서는 조작패널(3)의 이웃하는 부분의 세제케이스 수납부(101)에 리드 스위치(102)를 조립하고(도 12 참조), 한편 세제 케이스(80)에는 마그넷(103)을 조립하여(도 13 참조), 세제 케이스 수납부(101)에 세제 케이스(80)를 수납하여 세트했을 때, 리드 스위치(102)에 마그넷(103)이 근접함으로써 리드 스위치(102)가 작동하여 세제 케이스(80)의 세트를 검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리드 스위치(102)와 마그넷(103)은 세제 케이스(80)의 설정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그 검지수단으로서는 그 밖에 세제 케이스(80)를세트했을 때 상기 세제 케이스(80)로 억압됨으로써 작동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나, 세제 케이스(80)로 광로가 차단되어 작동하는 광스위치 등이 생각되어진다.
그리고, 그 구성에서 마이크로 컴퓨터(86)는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 또는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스타트한 후에 세제 케이스(80)의 세트가 검지되지 않은 상태(비검지)로부터 검지되는 상태(검지)로 바뀌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한다(스텝 B1).
이 때, 세제 케이스(80)의 세트가 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지되는 상태로 바뀌었다(예)고 판단되면, 세제 케이스(80)가 일단 인출되어 세제가 수납되고, 그 후에 그 세제 케이스(80)가 밀어 넣어져 세트되었다고 판단되고, 상술한 스텝(A5)과 동일한 급수(세제의 투입)를 실시하고(스텝B2), 그 후 세탁을 실시한다(스텝 B3).
이에 대하여, 세제 케이스(80)의 세트가 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지되는 상태로 바뀌어 있지 않다(아니오)고 판단되면, 다음에 세제 케이스(80)의 세트가 검지되지 않은 상태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한다(스텝 B4). 여기에서 세제 케이스(80)의 세트가 검지되지 않은 상태(예)라고 판단되면 운전의 진행을 중지하여 부저(93)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표시부(69)에 이상의 표시를 시킴에 의한 이상알림을 실시한다(스텝 B5). 이것은 그대로 급수를 하면 상술한 주수 케이스(42)를 지나는 물이 단독 또는 세제 케이스(80)에 수납된 세제를 수반하여 세제 케이스(80)의 인출된 세제 케이스 수납부(101)로부터 흩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고 그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스텝(B4)에서 세제 케이스(80)의 세트가 검지되지 않은 상태는 아니(아니오)라고 판단되면, 세제 케이스(80)의 세트가 검지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소정 시간 경과하는 것을 기다려(스텝 B6), 스텝(B2)(급수)로 진행한다. 이것은 세제가 수납된 세제 케이스(80)가 스타트 전부터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고, 또는 소정시간 경과하는 것을 기다리는 동안 세제 케이스(80)가 세제를 수납하여 다시 세트되는 일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그리고 만일 세제가 수납되어 있지 않아도 운전이 중단된 상태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제 4 실시예]
도 15에 도시한 제 4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14 중 2점 쇄선으로 둘러싼 K의 부분을 변경하고 있다. 즉, 스텝(B4)에서 세제 케이스(80)의 세트가 검지되지 않은 상태는 아니(아니오:세제 케이스(80)의 세트가 검지된 상태)라고 판단되었을 때, 소정 시간 경과하는 것을 기다려(스텝(B101)), 스텝(B5)과 같은 이상알림을 실시한다(스텝(B102).
그 후, 세제가 수납된 세제 케이스(80)를 세트한 것이 확인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을 예를 들어 「스타트/일시정지」 스위치(57)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의 판단으로 하고(스텝(B103)), 확인되었다(예)고 판단되면, 스텝(B2)(급수)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세제가 수납된 세제 케이스(80)가 확실하게 세트된 상태에서 운전을 진행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16에 도시한 제 5 실시예에서는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 또는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서 마이크로 컴퓨터(86)가 세탁(스텝C1), 배수(스텝(C2))를 실행한 후에 배수장치(45)의 밸브(52)를 개방시킴으로써 수돗물을 열교환기(32)에 공급하기 시작한다(스텝(C3)). 그 후 드럼(9)을 세탁시보다 고속으로 회전시킴에 의한 탈수를 실행하고(스텝(C4)), 헹굼을 실행한다(스텝(C5)). 이 헹굼은 세탁과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하는 것이고 그 후에 다시 탈수를 실행한다(스텝(C6)).
그리고, 상기 헹굼과 탈수의 조합이 N회 실행되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하고(스텝(C7)), N회 실행되었다(예)고 판단되면 다음에 예열탈수를 실행하는 코스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한다(스텝(C8)). 여기에서, 예열탈수를 실행하는 코스(예)라고 판단되면 히터(30)를 발열시키면서 탈수를 실행하고(스텝(C9)), 그 후에 건조를 실행한다(스텝(C10)).
건조는 상기 열교환기(32)로의 급수를 속행하면서 드럼(9)을 회전시키고 또한 송풍장치(23)의 송풍팬(26)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가열장치(24)의 온풍용 히터(30)를 발열시키는 내용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드럼(9)이 회전되는 상황에서, 드럼(9)내의 공기가 열교환기(32)내를 아래에서 위쪽으로 통과된다. 그리고, 그 열교환기(32)내를 통과한 공기는 그 후 송풍장치(23)의 케이싱(25)내로부터 가열장치(24)의 케이스(29)내에 보내어져 온풍용 히터(30)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온풍화되고, 또한 그 후 덕트(31)를 지나 드럼(9) 내에 되돌려진다. 이 드럼(9)내로 돌아간 공기는 드럼(9)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드럼(9)내의 세탁물로부터습기를 빼앗고, 그 후 다시 열교환기(32)내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통과되는 것이 반복되어 순환된다.
또한, 이 때 열교환기(32)내에서는 상술한 순환공기가 열교환기(32)내를 지나는 물에 의해 냉각, 응축되어 제습되는 것이고, 이 제습된 공기가 드럼(9)내로 되돌아 오는 것이 반복됨으로써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이 후, 상기 배수장치(45)의 밸브(52)를 폐쇄시킴으로써 열교환기(32)로의 급수가 종료되고(스텝(C11)) 운전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스텝(C8)에서 예열 탈수를 실행하는 코스는 아니(아니오)라고 판단되면 히터(30)를 발열시키지 않고 탈수를 실행하고 (스텝(C12)), 그 후에 스텝(C11)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한 것에서는 세탁물을 세탁, 헹굼 후에 건조시키기 위한 열교환기(32)에 헹굼중, 탈수중에 급수하는 것이고 그에 의해 수조(7)내로부터 하부의 출수구 겸용의 공기입구(34)를 통과하여 열교환기(32)내로 들어간 거품의 배출이 공기입구(34)로부터 가능하고, 그와 함께 열교환기(32)내에 고인 린트 등 퇴적물의 배출도 할 수 있으므로 그 후의 건조시의 열교환(제습)을 효율 좋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열교환기(32)내로의 급수는 헹굼 중, 탈수중의 어느 한쪽에서만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코스별의 수위설정, 드럼회전속도(행정시간)의 설정, 드럼회전모드의 설정은 세탁시 뿐만 아니라 헹굼시에도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서의 상술한 각 설정은 그 전부가실행되는 것이지만, 그 중 어느 것 또는 하나만이 실행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제 6 실시예]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한 제 6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32)의 배면부에 에어트랩(111)을 설치하고 있다. 이 에어트랩(111)은 하부에서 열교환기(32)의 내부와 연결되는 것이고, 더 나아가서는 상기 열교환기(32)내를 통하여 수조(7)내와 연결되고, 또한 드럼(9)내와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열교환기(32)에는 상술한 건조용의 공기출구(35) 및 입수구(36)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급수계통의 고장 등에 의한 이상 수위상승시에 그 물을 흘러 넘치게 하는 익수구(112)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에어트랩(111)은 그 익수구(112) 보다도 아래쪽에서 열교환기(32)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외부상자(1)의 후측상부에는 압력센서(113)를 설치하고 있고, 이와 상기 에어트랩(111)의 상부를 에어튜브(114)에 의해 연결시키고 있다. 이 경우, 압력센서(113)는 수십〔㎜H2O〕 정도의 미세압의 검지가 가능하므로 상술한 수조(7)내의 저장수위를 검지하는 수위센서(88) 보다 10배 정도 감도가 높은 것이고, 그 압력검지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86)에 입력하고 그에 기초하여 마이크로 컴퓨터(86)는 이하의 제어를 실시한다.
즉,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86)는, 이 경우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 또는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스타트한 후에 압력센서(113)의 출력을 판독하여, 그것을 기준값(P0)으로서 기억한다(스텝(D1)). 다음에, 상술한세탁물량의 검지결과로부터 결정한 수위까지 수조(7)내에 급수하고 동시에 드럼(9)을 저속회전시킴에 의한 교반을 실시한다(스텝(D2)).
그 후, 세탁을 개시한다(스텝(D3)). 이 세탁에서는 드럼(9)을 도 19에 화살표 X로 나타낸 시계방향회전 및 화살표 Y로 도시한 반시계방향의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 세탁중 드럼(9)이 시계방향 회전(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압력센서(113)의 출력을 판독하고, 그것을 세탁 중 측정값(P)으로서 기억한다(스텝(D4)).
여기에서, 세탁을 실시한 결과 드럼(9)내로부터 수조(7)내에 거품이 발생한다. 이 거품은 사용한 세제의 종류의 착오(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서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나 사용한 세제량의 착오(저발포 세제 사용코스 및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서 각각 사용한 세제의 종류에 착오는 없었지만, 양을 많게 넣은)가 있으면, 도 20의 Bu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적으로 많이 발생하고, 수조(7)내로부터 열교환기(32) 하부의 출수구 겸용의 공기입구(34)로부터 열교환기(32)내에 들어가 이윽고 에어트랩(111)의 부분에 도달하여 상기 에어트랩(111)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킨다.
특히, 드럼(9)이 도 19에 화살표 X로 나타낸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에는, 그것에 수반하여 수조(7)내의 물이 열교환기(32) 하부의 출수구 겸용의 공기입구(34)로부터 열교환기(32)내에 들어가고 상기 열교환기(32)내의 거품을 밀어 올린다. 이 때문에, 에어트랩(111)의 내부압력의 변화는 상술한 현상이 없는, 또는 적은, 드럼(9)이 도 19에 화살표 Y로 나타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보다도현저해진다.
상기 에어트랩(111)의 내부 압력의 변화에는 상기 압력센서(113)가 에어튜브(114)를 통과하여 응동하는 것이고, 그러나 이 압력센서(113)의 출력의 판독은 드럼(9)이 시계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마다 실시한다.
도 21은 이 때의 압력센서(113)의 출력(에어트랩(111)의 내부압력))의 변화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세탁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점차 거품의 발생이 많아짐으로써 압력센서(113)의 출력이 증가하고 이윽고 허용값(R)을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에어트랩(111)과 에어튜브(114) 및 압력센서(113)는 수조(7) 및 드럼(9)내의 거품의 이상발생을 그것에 수반하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검지하는 거품 검지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후, 마이크로 컴퓨터(86)는 압력센서(113)의 출력값(세탁중 측정값(P))을 상술한 기준값(P0)으로부터 감하여 그 차(ΔP)를 내고(스텝(D5)), 이어서 그 차(ΔP)가 임계값(KP) 보다 큰지의 여부, 즉 거품이 이상발생의 판정레벨에 도달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한다(스텝(D6)).
상기 스텝(D6)에서, 차(ΔP)가 임계값(KP)보다 크지는 않다(아니오)고 판단되면 거품의 발생은 이상적으로 많지는 않다고 판정하고(스텝(D7)), 그 후 세탁시간이 종료인지 여부의 판단을 하고(스텝(D8)), 세탁시간이 종료가 아니(아니오)라고 판단되는 동안은 스텝(D4)으로 돌아간다.
그에 대하여, 스텝(D6)에서 차(ΔP)가 임계값(KP)보다 크다(예)고 판단되면 거품의 발생이 이상적으로 많다고 판정하고(스텝(D9)), 다음에 그 거품의 이상발생의 검지회수가 복수인지, 이 경우, 3회째인지의 여부의 판단을 한다(스텝(D10)).
상기 스텝(D10)에서, 3회째는 아니(아니오)라고 판단되면 배수밸브(21)를 예를 들어 12초간 개방시킨다(스텝(D11)). 이 배수밸브(21)의 예를 들어 12초간의 개방은 수조(7) 및 드럼(9)내로부터 약 2리터의 배수를 하는 것이고, 이렇게 하여 수조(7) 및 드럼(9)내의 물이 감소된다(수조(7) 및 드럼(9)내에는 물이 남겨진다). 이렇게 하여 스텝(D11)의 후에는 스텝(D4)으로 돌아간다.
한편, 스텝(D10)에서 3회째(예)라고 판단되면 배수밸브(21)를 개방시킨 채 세탁을 속행하고(스텝(D12)) 스텝(D8)으로 나아간다. 이 때, 배수밸브(21)는 개방시킨 상태이므로 수조(7) 및 드럼(9)내의 물은 전부 없어진다(수조(7) 및 드럼(9)내에는 물이 남겨지지 않는다). 또한, 수조(7) 및 드럼(9) 내의 물이 전부 없어져도 세탁물에는 물이 충분하게 스며들어 있고 드럼(9)의 회전을 계속함에 의한 기계력을 세탁물에 계속 부여함으로써, 충분히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스텝(D8)에서 세탁시간이 종료(예)라고 판단되면 그 후 거품의 이상발생의 검지가 소정횟수, 이 경우 1회이상이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하고(스텝(D13)), 1회 이상 있었다(예)고 판단되면 상술한 거품 제거 운전을 실행하여(스텝(D14)) 다음 행정(스텝(D15))으로 진행하고, 1회 이상은 아니었다(아니오)라고 판단되면, 거품제거운전을 실행하지 않고 다음 행정(스텝(D15))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의 것에서는 드럼(9)내의 거품의 이상발생을 그에 수반하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검지하는 거품검지수단(에어트랩(111), 에어튜브(114), 압력센서(113))을 설치하고 있고, 그에 의해 세제의 종류나 양을 잘못 투입한 경우의 드럼(9)내의 거품의 이상발생을, 그에 수반하는 압력의 변화로부터 검지할 수 있어 적절하게 대처를 할 수 있다.
특히, 본 구성의 것에서는 거품의 이상발생을 검지했을 때 드럼(9)내의 물을 감소시키는 배수를 하도록 하고 있고(스텝(D11)), 그에 의해 거품의 이상발생의 검지이후, 세탁수량이 감소함으로써 그 이상의 거품의 발생이 억제되고 이상 거품 발생에 의한 폐해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세탁할 수 있다.
또한, 거품의 이상발생을 복수회 검지했을 때에는 드럼(9)내의 물을 전부 배출하게 배수를 하도록 하고 있고(스텝(D12)), 그에 의해 거품의 이상발생의 검지가 그 복수회 미만의 횟수로 끝나지 않는 상황에서는 세탁수가 전부 없어짐으로써, 그 이상의 거품의 발생이 보다 확실하게 억제되고, 따라서 이상 거품 발생에 의한 폐해의 문제를 한층 더 발생시키지 않고 세탁할 수 있다.
또한, 드럼(9)이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황에서 거품의 이상발생에 의한 압력의 변화가 현저해지는 방향으로 드럼(9)이 회전되었을 때 거품의 이상발생을 검지하도록 하고 있고(스텝(D4)), 그에 의해 거품의 이상발생의 검지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밖에, 본 구성의 것에서는 세탁기 운전의 스타트 직후의 압력센서(113)의 출력을 기준값(P0)으로 하고, 그 후의 세탁중의 압력센서(113)의 출력을 세탁중 측정값(P)하여, 그 차이로부터 거품의 이상발생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하고 있고(스텝(D1,D4,D5,D6)), 이에 의해 압력센서(113)의 특성의 편차의 영향을 받지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기준값(P0)의 취득시 세탁중 측정값(P)이 PA>P≥PB의 소정범위내에 없는 경우에는 오검지로서 기준값(P0)을 PB로 한다. 또한, 기준값(P0)보다 세탁중 측정값(P)이 낮은 압력값이었던 경우에는 기준값을 세탁중 측정값(P)으로 갱신한다. 단, 그것도 세탁중 측정값(P)이 PA 이상이었던 경우에는 이상값으로서 갱신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거품의 이상발생을 검지했을 때에는 드럼(9)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도록 해도 좋은 것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거품의 이상발생의 검지 이후 세탁수의 교반의 빈도가 감소함으로써 그 이상의 거품의 발생이 억제되고 이상 거품발생에 의한 폐해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세탁행정의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세정율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제 7 실시예에서는 거품의 이상발생의 판정레벨을 세탁 경과시간에 따라 다르게 하도록 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투입된 세제의 종류나 양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거품의 밀도가 다르고, 그에 의해 거품의 에어트랩(111)에 도달한 위치가 동일해도 에어트랩(111)내에 발생하는 압력의 변화에는 차이가 난다. 도 22는 그것을 도시하고 있고 거품의 밀도가 높은 것일수록 빠른 시간에 에어트랩(111)내에 높은 압력변화가 발생하고, 거품의 밀도가 낮은 것에서는 거품이 조금씩 긴 시간을 들여 에어트랩(111)내에 압력변화를 발생시키므로 그 압력변화가 작고 늦다.
이에 기초하여 거품의 이상발생의 판정레벨(임계값 KP)을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 경과시간에 따라 차례로 다르게 함으로써 각각의 판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 밖에 제품의 조립 완료후에는 에어트랩(111)과 에어튜브(114) 및 압력센서(113)가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고 그 방법으로서 에어트랩(111)이 존재하는 높이 위치 이상으로 수면이 오도록 급수하고, 그 때 압력센서(113)의 출력에 소정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는 검사를 한다. 그 때문에, 에어트랩(111)은 열교환기(32)의 공기출구(35)나 입수구(36) 및 익수구(112) 보다도 아래쪽에서 열교환기(32)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할 필요가 있고, 이에 의해 에어트랩(111)이 존재하는 높이 위치 이하에서 그들의 입구로부터 물이 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경우 에어트랩(111)을 열교환기(32)에 설치함으로써 드럼(9)내의 거품의 이상발생을 열교환기(32)내로의 거품의 침입팽창으로 검지할 수 있다. 특히, 열교환기(32)내에 거품이 침입하여 팽창하면 그 거품은 열교환기(32)내에 연결된 송풍장치(23)내로, 그리고 가열장치(24)내로 침입함으로써 송풍날개(26)나 히터(30)의 부식의 원인이 되거나, 송풍의 저항이 되거나 또한 온풍의 온도상승에 방해가 되는 등 건조 효율의 저하로 이어진다. 그것에 대하여 상기 각 실시예의 경우에는 드럼(9)내의 거품의 이상발생을, 열교환기(32)내로의 거품의 침입팽창으로 검지할 수 있어 상술한 문제의 발생을 직접적으로 없앨 수 있다.
단, 에어트랩(111)은 수조(7)나 벨로우즈(14) 등에 설치해도 좋은 것이고 즉 거품검지수단은 드럼(9)내의 거품의 이상발생을 그것에 수반하는 압력의 변화에 의해 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디에 설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비발포 세제 사용코스」는 구비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그밖에 본 발명은 전술한 것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것으로 하기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문제없이 세탁할 수 있는 것에 의해,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고 싶은 사용자에게 만족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했을 때의 세탁시의 세탁수량이 감소됨으로써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했을 때의 세탁시의 세탁수 교반의 빈도가 감소됨으로써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했을 때의 세탁시에 발생한 거품을 배출하는 횟수가 증가됨으로써 거품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고 헹굼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했을 때의 세탁시에 발생한 거품의 빠른 배출을 촉진할 수 있고, 그 후의 탈수행정에서의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했을 때의 세탁시의 세탁수 교반의 빈도가 감소됨으로써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 각각 맞는 필요 세제량을 알 수 있음으로써, 특히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에서 세제를 너무 많이 넣음으로써 거품의 발생이 과다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필요 세제량을 빠르게 알 수 있고, 그것으로 또한 세탁수위의 결정을 정밀도 좋게 할 수 있으므로, 세탁수량을 착오를 일으키지 않고 거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세탁물을 세탁, 헹굼 후에 건조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에 들어간 거품의 배출을 헹굼 중 또는 탈수 중에 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열교환기 내에 고인 린트 등 퇴적물의 배출도 할 수 있으므로 그 후의 건조시의 열교환(제습)을 효율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세제의 종류나 양을 잘못 투입한 경우의 드럼내의 거품의 이상발생을, 그에 수반하는 압력의 변화로부터 검지할 수 있고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거품의 이상 발생의 검지이후 세탁수량이 감소됨으로써 그 이상의 거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거품의 이상발생의 검지이후, 세탁수의 교반의 빈도가 감소됨으로써 그 이상의 거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거품의 이상발생의 검지가 그 복수회 미만의 횟수로 끝나지 않는 상황에서는 세탁수가 전부 없어짐으로써 그 이상의 거품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거품의 밀도의 차이에 의해 거품의 이상발생 레벨이 세탁 경과시간에 따라 다른 것에 대하여, 그 각각의 판정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에 의하면 거품의 이상발생의 정도가 드럼의 회전방향에 따라 다른 것에서 그 거품의 이상발생의 검지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세탁물을 세제 및 세탁수와 함께 드럼내에 수용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제에 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선택하여 실행을 가능하게 하고,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가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보다 수위를 낮게 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3. 세탁물을 세제 및 세탁수와 함께 드럼내에 수용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제에 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선택하여 실행을 가능하게 하고,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가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보다 드럼의 회전속도를 낮게 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4. 세탁물을 세제 및 세탁수와 함께 드럼내에 수용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제에 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선택하여 실행을 가능하게 하고,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가 세탁후의 헹굼을,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의 최다 헹굼횟수보다 횟수를 많게 하여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5. 삭제
  6. 세탁물을 세제 및 세탁수와 함께 드럼내에 수용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제에 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선택하여 실행을 가능하게 하고,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가 세탁 중, 시종 세탁물을 두드림 세탁을 하는 회전속도로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7. 삭제
  8. 삭제
  9. 세탁물을 세제 및 세탁수와 함께 드럼내에 수용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제에 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저발포 세제 사용코스와, 비저발포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하는 데에 적합한 비저발포 세제 사용코스를 선택하여 실행을 가능하게 하고, 세탁물을 세탁, 헹굼후에 건조시키기 위한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에 헹굼중 또는 탈수중에 급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0. 세탁물을 세제 및 세탁수와 함께 드럼내에 수용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에어트랩, 에어튜브 및 압력센서로 이루어지고, 드럼이 회전할 때 수조내의 물이 열교환기의 하부 출수구로부터 열교환기내로 들어가서, 열교환기내의 거품을 밀어올려, 에어트랩내부의 압력의 변화를 검지하여 거품 이상을 검지하는 거품검지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1-0021982A 2000-12-05 2001-04-24 드럼식 세탁기 KR100416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69966A JP3643772B2 (ja) 2000-12-05 2000-12-05 ドラム式洗濯機
JP2000-369966 2000-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530A KR20020044530A (ko) 2002-06-15
KR100416856B1 true KR100416856B1 (ko) 2004-02-05

Family

ID=1883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982A KR100416856B1 (ko) 2000-12-05 2001-04-24 드럼식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213384A3 (ko)
JP (1) JP3643772B2 (ko)
KR (1) KR100416856B1 (ko)
CN (1) CN117908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221A (ko) * 2002-07-29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DE10234472A1 (de) * 2002-07-29 2004-02-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seitigen von Schaum im Laugenbehälter einer Trommelwaschmaschine
KR100495183B1 (ko) * 2002-11-28 2005-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터브 어셈블리
JP2005137642A (ja) * 2003-11-07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及び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282461B2 (ja) * 2003-12-15 2009-06-24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4600221B2 (ja) * 2005-09-06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4661522B2 (ja) * 2005-10-25 2011-03-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DE102006004589B4 (de) 2006-02-01 2018-11-22 BSH Hausgeräte GmbH Einschub- und Grenz-Füllstandskontrolleinrichtung eines Haushalt-Wäschetrockners und Haushalt-Wäschetrockner
JP4693686B2 (ja) * 2006-04-18 2011-06-01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DE102006027197A1 (de) 2006-06-12 2007-12-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seitigen von Schaum in einer Trommelwaschmaschine und hierzu geeignete Trommelwaschmaschine
KR101395118B1 (ko) * 2007-03-28 201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4950788B2 (ja) * 2007-07-17 2012-06-13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乾燥機
DE102007042968B4 (de) * 2007-09-10 2021-05-12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von Schaum in einer Trommelwaschmaschine und hierzu geeignete Trommelwaschmaschine
DE102007052837A1 (de) * 2007-11-06 2009-05-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handeln von Waschgut in einer Haushaltswaschmaschine mit einer schaumbildenden Flotte
RU2517753C2 (ru) * 2008-12-31 2014-05-27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JP2010172640A (ja) * 2009-02-02 2010-08-12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CN101824726B (zh) * 2009-08-27 2012-07-04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洗衣装置
JP5422518B2 (ja) * 2010-08-26 2014-02-19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TR201101412A2 (tr) * 2011-02-15 2011-09-21 Vestel Beyaz Eşya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Çamaşır yıkama makineleri için köpük tespit etme ve giderme yöntemi.
JP6050633B2 (ja) * 2012-08-10 2016-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ITPR20130025A1 (it) * 2013-03-29 2014-09-30 Indesit Co Spa Elettrodomestico di lavaggio e asciugatura di capi.
DE102015205945A1 (de) * 2015-04-01 2016-10-06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Waschmaschine mit Schaumdetektion durch eine Trommeldrehzahlauswertung sowie hierzu geeignete Waschmaschine
CN106350968B (zh) * 2016-10-17 2019-0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防止泡沫溢出的方法及系统
CN107119426B (zh) * 2017-03-23 2019-08-3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及其脱水过程中的消泡控制方法和装置
CN106978701B (zh) * 2017-03-24 2020-04-1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及其带水脱水控制方法和装置
EP3988696B1 (en) * 2020-10-23 2023-08-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multiple treatment composition receptac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4675A (ko) * 1989-03-28 1990-10-24 이우에 사또시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23515A (fr) * 1954-05-07 1956-09-24 Dispositif électrique pour machines à laver pour empêcher une formation trop intense de mousse dans le cas d'une concentration trop forte en produit de lavage
DE19624637A1 (de) * 1996-06-21 1998-01-02 Henkel Kgaa Waschverfahren für Textilien mit verbesserten Pflegeeigenschaften
TR199601081A2 (xx) * 1996-12-30 1998-07-21 Ar�El�K A.�. Kesikli ve de�i�ken sal�n�ml� tambur hareketleri ile �st�n y�kama performans� elde eden �ama��r y�kama y�ntemi.
DE19906020B4 (de) * 1999-02-16 2006-10-05 Miele & Cie. Kg Verfahren zum Waschen von empfindlichen Textilien in einer programmgesteuerten Haushaltswaschmaschine
ATE279565T1 (de) * 1999-02-17 2004-10-15 Miele & Cie Verfahren zur anzeige von benutzerinformationen in einer programmgesteuerten waschmaschine und waschmaschine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4675A (ko) * 1989-03-28 1990-10-24 이우에 사또시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081C (zh) 2004-12-08
EP1213384A2 (en) 2002-06-12
CN1357663A (zh) 2002-07-10
JP2002166093A (ja) 2002-06-11
EP1213384A3 (en) 2004-02-04
JP3643772B2 (ja) 2005-04-27
KR20020044530A (ko) 200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856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0621279B1 (ko) 세탁기
AU2005203177B8 (en)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4448843B2 (ja) 洗濯機
JP4661522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158120B2 (ja) 洗濯機
JP4600221B2 (ja) ドラム式洗濯機
EP3034669B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053976B2 (ja) 洗濯乾燥機
JP2008110002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5052632A (ja) ドラム洗濯機の制御方法
KR100443817B1 (ko) 드럼식 세탁기
JP5077378B2 (ja) 洗濯機
JP2009056112A (ja) 洗濯乾燥機
JPH09108492A (ja) 洗濯機のフィルター詰まりの検出方法
JP2004008467A (ja) 洗濯機
JP4179933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WO2020054278A1 (ja) 洗濯機
JP3643776B2 (ja) ドラム式洗濯機及びこれの泡検知用エアトラップの詰まり検知方法
JP7032480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083544B1 (ko) 세탁기의 탈수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2273093A (ja) ドラム式洗濯機
CN115867700A (zh) 洗干一体机
KR20060040198A (ko) 세탁기의 거품감지장치 및 거품감지방법
CN111101321A (zh) 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