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786B1 -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786B1
KR100415786B1 KR10-2001-0040274A KR20010040274A KR100415786B1 KR 100415786 B1 KR100415786 B1 KR 100415786B1 KR 20010040274 A KR20010040274 A KR 20010040274A KR 100415786 B1 KR100415786 B1 KR 100415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seasoning
powder
presen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784A (ko
Inventor
조규연
Original Assignee
조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연 filed Critical 조규연
Priority to KR10-2001-004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786B1/ko
Publication of KR2002007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새우젖과 같은 어떠한 종류의 젖갈류에 고추가루, 양파, 파, 마늘, 생강 등을 잘 분쇄하여 골고루 섞어 1차 가공한 뒤, 식물성 기름을 적정 온도까지 가열하여 1차 가공재료를 부어 5분 정도 볶다가, 분말 콩가루, 다시다, 다시마 가루, 멸치 가루 등의 향신료를 잘 혼합하여 식혀서 만드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양념소스의 간은 젖갈류를 이용하여 맞추고, 1차 가공재료를 볶는 기름은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큰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순두부나 두부의 양념에 있어서 다양한 맛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순두부 자체의 풍부한 영양분들인 단백질, 나이아신, 탄수화물,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B1, B2, BC들을 맛깔스러운 요리와 함께 섭취할 수 있어 많은 수요가 예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제조되어진 양념소스를 사용하면 순두부나 두부의 맛을 편리하게 낼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두부를 좋아하지 않는 외국인들도 부담없이 요리하여 먹을 수 있어 많은 이용이 예상되는 효과적인 발명이다.

Description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 및 그 제조방법{SPICES AND CONDIMENTS FOR UNCURDLED BEAN CURD OR BEAN CU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새우젖과 같은 어떠한 종류의 젖갈류에 고추가루, 양파, 파, 마늘, 생강 등을 잘 분쇄하여 골고루 섞어 1차 가공한 뒤, 식물성 기름을 적정 온도까지 가열하여 1차 가공재료를 부어 5분 정도 볶다가, 분말 콩가루, 다시다, 다시마 가루, 멸치 가루 등의 향신료를 잘 혼합하여 식혀서 만드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양념소스의 간은 어패류를 이용하여 제조된 젖갈류를 이용하고, 1차 가공재료를 볶는 기름은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질의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고 아미노산의 함유율도 높은 콩은 함유하고 있는 지방이 불포화 지방산 즉, 리놀렌산이며, 리놀렌산은 체내의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므로, 심장병은 물론이고 비만증, 고혈압, 동맥경화를 비롯한 각종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하여 최근에는 동양은 물론이고 서양에서 더욱 각광받고 있는 건강식품중에 하나이다.
이와 같은 콩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의 식품으로 가공되는데,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는 가공형태가 역시 두부 또는 순두부라 할 수 있으며, 대체적인 제조단계는 콩불리기, 콩갈기, 콩물 걸러내기, 콩물 끓이기, 간수맞추기, 두부 만들기 등의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두부는 가격이 저렴하고 영양이 풍부하며, 맛이 담백하고 부드러워 많은 사람들의 식사로 자리매김하였으나, 두부나 순두부의 맛을 보다 다양하게 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두부나 순두부를 간장양념해서 먹거나, 고추가루, 소금, 간장, 미원, 양파, 파를 첨가해서 끓여서 찌게나 반찬으로 사용했으며, 그 맛이 천편일률적이고 단조로워 보다 폭넓은 이용은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었다.
그리고, 위와 같이 조리해서 먹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조리과정이 필요한데, 근래와 같은 고도의 산업 발전 사회에서는 맞벌이 가정들이 많아 간편한 요리를 찾는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순두부나 두부의 맛을 다양하게 낼수 있으면서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는 양념소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두부나 두부의 맛을 다양하게 낼 수 있는 편리한 양념소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술될 구성 및 작용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는 전체 양념소스 100g 당 41g의 고추가루와, 양파11g, 파3g, 마늘1g, 생강0.5g으로 된 양념류를 분쇄하여 제조한 분말 양념류; 상기 분말 양념류에 상기 전체 양념소스 100g 당 29.5g - 34.5g 으로 혼합되어 간을 맞추기 위하여 첨가된 새우젖; 및 상기 양념류와 젖갈류가 혼합된 혼합양념을 볶기 위하여 상기 전체 양념소스 100g 당 9g - 14g으로 포함되며 유채유, 면실유, 옥수수유, 콩기름 중 어느 하나로 된 식물성 기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그리고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체 양념소스 100g당 41g의 고추가루와, 양파 11g, 파 3g, 마늘 1g, 생강 0.5g으로 된 양념을 혼합하여 분말 양념류로 분쇄 제조하는 분쇄 단계; 상기 분쇄 단계를 거친 상기 분말 양념류에 새우젖을 상기 전체 양념소스 100g당 29.5g - 34.5g의 양으로 혼합하여 액상 양념류를 제조하는 액상 단계; 상기 액상 단계를 거친 상기 액상 양념류에 상기 전체 양념소스 100g당 9g - 14g의 양으로 포함되며 유채유, 면실유, 옥수수유, 콩기름 중 어느 하나로 된 식물성 기름을 70℃ 의 상태로 가열한 후 상기 액상 양념류를 상기 식물성 기름에 첨가하여 5분 동안 가열하여 볶는 단계; 상기 볶는 단계를 거친 상기 액상 양념류에 향신료를 혼합하여 식히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양념의 양을 100g이라고 할때, 각종 양념류인 고추가루 41g, 양파 11g, 파 3g, 마늘 1g, 생강 0.5g 을 잘 분쇄하여 골고루 섞어 혼합 양념을 1차적으로 가공하는 분쇄단계를 거친다. 이때의 각종 양념류는 취향에 따라 그 정량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가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분쇄 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혼합양념의 간을 맞추기 위하여 젖갈류를 전체 양념의 양 100g 당 29.5g - 34.5g 정도되며, 부피로는 대략 14ml - 18ml 첨가하여 액상으로 제조하는 액상 단계를 거친다.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대표적으로 새우젖을 사용하게 되며, 기타 각종 어패류를 이용한 젖갈류를 얼마든지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젖갈류를 이용하여 간을 하는 이유는 소금에 비해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B1, B2, BC가 풍부하여 다양한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그리고, 유채유, 면실유, 옥수수유, 콩기름 등과 같은 식물성 기름을 70℃정도로 끓인후, 혼합양념에 젖갈류를 첨가시킨 것을 이 기름에 넣어 대략 5분정도 볶는 볶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혼합양념에 추가되는 식물성 기름이 전체 양념의 100g 당 무게로는 9g - 14g, 부피로는 대략 10ml - 15㎖ 정도가 되며, 바람직하게 13㎖ 정도가 적절하다.
이와 같이 혼합양념을 볶는 이유는 양념의 변질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존을 하기 위함이며, 포화지방산인 동물성 기름에 비해 인체에 보다 유익한 불포화지방산을 사용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이후 식히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식히는 단계는 제조된 전체 양념류를 상온 상태에서 식힐 수 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각종 향신료를 섞어서 식힐 수 있다. 이때 향신료는 식물성 기름에 혼합양념으로 볶은 것의 열이 내리도록 식히며, 콩분말 10g, 참깨 0.3g, 겨자 0.1g, 소가루 또는 닭가루 0.6g, 다시다 1g, 야채 시즈닝 분말 0.3, 로스트 비프맛 테이스트 0.2g, 복합 씨즈링익스 트익트 0.2g, 오렌지향 0.04g, 사과향 0.03g, 레몬향 0.03g, 파인애플향 0.03g, 포도당 0.5g 등의 각종 향신료를 첨가하여 잘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단계들로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를 제조하면, 젖갈류의 다양한 영양분이 포함되며, 혼합양념을 볶는 재료로서 불포화 지방산인 식물성 기름을 사용함에 따라 양념소스의 보존기간이 연장되게 된다.
그리고, 위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젖갈류와 식물성 기름 및 각종 양념류의 혼합비율을 정량적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며, 본 발명에서 나타내고 있는 정량외에 중량을 일부 가변하여 혼합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얼마든지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잘 알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순두부나 두부의 양념에 있어서 다양한 맛을 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순두부 자체의 풍부한 영양분들인 단백질, 나이아신, 탄수화물,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B1, B2, BC들을 맛깔스러운 요리와 함께 섭취할 수 있어 많은 수요가 예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미리 제조되어진 양념소스를 사용하면 순두부나 두부의 맛을 편리하게 낼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두부를 좋아하지 않는 외국인들도 부담없이 요리하여 먹을 수 있어 많은 이용이 예상된다.

Claims (7)

  1.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에 있어서,
    전체 양념소스 100g 당 41g의 고추가루와, 양파11g, 파3g, 마늘1g, 생강0.5g으로 된 양념류를 분쇄하여 제조한 분말 양념류;
    상기 분말 양념류에 상기 전체 양념소스 100g 당 29.5g - 34.5g 으로 혼합되어 간을 맞추기 위하여 첨가된 새우젖; 및
    상기 양념류와 젖갈류가 혼합된 혼합양념을 볶기 위하여 상기 전체 양념소스 100g 당 9g - 14g으로 포함되며 유채유, 면실유, 옥수수유, 콩기름 중 어느 하나로 된 식물성 기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1-0040274A 2001-07-06 2001-07-06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415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274A KR100415786B1 (ko) 2001-07-06 2001-07-06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274A KR100415786B1 (ko) 2001-07-06 2001-07-06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784A KR20020077784A (ko) 2002-10-14
KR100415786B1 true KR100415786B1 (ko) 2004-01-24

Family

ID=2771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274A KR100415786B1 (ko) 2001-07-06 2001-07-06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0413A (zh) * 2011-12-31 2014-04-30 福建省东山县海魁水产集团有限公司 一种冻脆皮虾的制作方法
CN104489583A (zh) * 2014-12-10 2015-04-08 马昱 一种不上火火锅底料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363A (ko) * 1992-12-04 1994-07-15 권영호 혼합 볶음 소오스의 제조방법
KR970005109A (ko) * 1995-07-03 1997-02-19 최재호 김치담그는 종합양념젓 제조방법
KR19990024246A (ko) * 1998-12-24 1999-03-25 이공범 즉석 김치용 양념장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73079A (ko) * 1999-04-06 1999-10-05 고원윤 게장양념조성물및그제조방법
KR20000049643A (ko) * 2000-04-20 2000-08-05 조석형 기능성 젓갈양념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363A (ko) * 1992-12-04 1994-07-15 권영호 혼합 볶음 소오스의 제조방법
KR970005109A (ko) * 1995-07-03 1997-02-19 최재호 김치담그는 종합양념젓 제조방법
KR19990024246A (ko) * 1998-12-24 1999-03-25 이공범 즉석 김치용 양념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321971B1 (ko) * 1998-12-24 2002-08-13 이공범 즉석김치용양념장및그제조방법
KR19990073079A (ko) * 1999-04-06 1999-10-05 고원윤 게장양념조성물및그제조방법
KR20000049643A (ko) * 2000-04-20 2000-08-05 조석형 기능성 젓갈양념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784A (ko) 200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042B1 (ko) 고추를 함유한 양념장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00345A (zh) 一种薄荷腐乳银鱼酱及其制备方法
CN107751917A (zh) 牛肉复合风味高汤调料、其制备方法及应用
CN109717462A (zh) 一种鲜椒牛肉酱及其制备方法
KR101564177B1 (ko) 불향주꾸미 볶음 및 그 제조방법
JP2009017894A (ja) 乾燥半調理加工済み食品
KR20150085238A (ko) 청양고추 함유 쌈장 및 그 제조방법
CN109222052A (zh) 一种辣椒酱及其制备方法
KR101988129B1 (ko) 꽈리고추 케찹 제조방법
KR100415786B1 (ko) 순두부 또는 두부의 양념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571267B1 (ko) 추어매운탕의 제조방법
KR20220011766A (ko) 김치 순댓국 제조 방법
KR20080017885A (ko) 쇠고기 육수 조미분과 가쓰오부시 조미분을 이용한 복합조미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07838B1 (ko) 홍삼 수육 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홍삼 수육 조림
KR20180119818A (ko) 귤을 이용한 닭갈비용 소스 및 이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
KR20220156717A (ko) 표고버섯 향미가 강화된 향미오일 제조와 조성물
CN1334030A (zh) 油辣椒制品及其制作方法
KR102015193B1 (ko) 고소애와 귀뚜라미를 첨가한 데리야끼 소스 제조방법
CN110250479A (zh) 一种大盘鸡调味料及其制备方法
JP2002325552A (ja) 調味用組成物の製造方法、調理食品又は調理食品用基材
KR20210002195A (ko) 해산물 풍미의 오일 베이스 소스를 제조하는 방법
CN107373318A (zh) 一种羊肉臊子焖搅团及其制作方法
CN1080539C (zh) 鸡汁鲜菇辣糊
JP2003225066A (ja) 赤んタレ味噌
JP3909067B2 (ja) 調味用流動状食品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