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734B1 - 외치기어의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외치기어의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734B1
KR100415734B1 KR10-2000-0001481A KR20000001481A KR100415734B1 KR 100415734 B1 KR100415734 B1 KR 100415734B1 KR 20000001481 A KR20000001481 A KR 20000001481A KR 100415734 B1 KR100415734 B1 KR 10041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external gear
gear
polishing
film abra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476A (ko
Inventor
미야마에카즈히로
미네기시키요지
토이다타카시
이시카와테츠죠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5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turning or planing tools or tool bits, e.g. gea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00Processes of grinding or polishing;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processes
    • B24B1/04Processes of grinding or polishing;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processes subjecting the grinding or polishing tools, the abrading or polishing medium or work to vibration, e.g. grinding with ultrasonic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using abrasive rolled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superfinishing surfaces on work, i.e. by means of abrading blocks reciprocating with high freque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06Use of materials; Use of treatments of toothed members or worms to affect their intrinsic 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tarders (AREA)
  • Gear Process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치기어(external-tooth gear)의 치면(齒面;tooth surfaces)의 표면거칠기를 향상시켜서 맞물림에 따른 소음발생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으로서, 외치기어(W)의 치면에 대하여 슈(shoe;120)에서 백업함으로써 필름 연마재(110)를 억누르고, 그 상태에서 외치기어(W)를 필름 연마재(110)에 대하여 치형(tooth profile)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고 동시에 외치기어(W)를 잇줄(tooth trace)방향으로 진동시켜서 치면을 연마한다.

Description

외치기어의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olishing external-tooth gears}
본 발명은 내치기어의 내측에서 그 내치기어에 내접 맞물리는 내접외치기어의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치기어의 중심이 외치기어 주위의 내측에 있는 기어전동장치에 사용되는 외치기어의 치면(齒面;tooth surfaces)을 연마하는데 적당한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치기어의 내측에서 그 내치기어에 내접 맞물리는 외치기어를 갖고, 또한 상기 내치기어의 중심이 외치기어 주위의 내측에 있는 기어전동장치(국제분류 F16H 1/32에 해당하는 전동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동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제1축과, 그 제1축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하는 편심체(偏心體)와, 그 편심체에 베어링을 통하여 설치되어 편심회전이 가능하게 된 복수의 외치기어와, 그 외치기어에 외부핀으로 구성되는 내치(內齒)를 통하여 내접 맞물리는 내치기어와, 상기 외치기어에 그 외치기어의 자전성분만을 취출하는 내부핀을 통하여 연결된 제2축을 구비한 내접맞물림 유성기어구조가 있다.
이 구조의 종래예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냈다. 이 종래예는 상기 제1축을 입력축으로 함과 더불어 제2축을 출력축으로 하고, 또한 내치기어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구조를 「감속기」에 적용한 것이다.
입력축(1)에는 소정 위상차(이 예에서는 180°)를 갖고 편심체(3a)(3b)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편심체(3a)(3b)는 각각 입력축(1)(중심 01)에 대하여 편심량(e)만큼 편심되어 있다(중심 02). 각각의 편심체(3a)(3b)에는 베어링(4a)(4b)을 통하여 2매의 외치기어(5a)(5b)가 복수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외치기어(5a)(5b)에는 내부롤러구멍(6a)(6b)이 복수로 설치되고, 내부핀(7) 및 내부롤러(8)가 끼워 넣어져 있다.
외치기어를 2매(복수열)로 하고 있는 것은 주로 전달용량의 증대, 강도의 유지, 회전 밸런스의 유지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치기어(5a)(5b)의 외주에는 트로코이드(trochoid) 치형이나 원호치형의 외치(外齒;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치(9)는 케이싱(12)에 고정된 내치기어(20)와 내접 맞물려 있다. 내치기어(20)는 내주에 축선방향을 따른 복수의 반원형상의 핀 유지구멍(13)을 갖는 핀 유지링(10)과, 상기 핀 유지구멍(13)에 회전하기 쉽도록 유동가능하게 끼워지고 또한 핀 유지구멍(13)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에서 원호상 치형을 형성하는 외부핀(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치기어(5a)(5b)를 관통하는 내부핀(7)은 출력축(2) 부근의 플랜지부에 고착 또는 끼워넣어져 있다.
입력축(1)이 1회전하면 편심체(3a)(3b)가 1회전한다. 이 편심체(3a)(3b)의 1회전으로 외치기어(5a)(5b)는 입력축(1)의 주위에서 요동회전을 행하려고 하지만, 내치기어(20)에 의해서 그 자전이 구속되기 때문에 외치기어(5a)(5b)는 이 내치기어(20)에 내접하면서 거의 요동만을 행하게 된다.
이제, 예를 들면 외치기어(5a)(5b)의 톱니수를 N, 내치기어(20)의 톱니수를 N+1로 한 경우, 그 톱니수의 차는 1이다. 그 때문에 입력축(1)의 1회전마다 외치기어(5a)(5b)는 케이싱(12)에 고정된 내치기어(20)에 대하여 1톱니분 만큼 어긋나게 된다(자전한다). 이것은 입력축(1)의 1회전이 외치기어(5a)(5b)의 -1/N의 회전으로 감속된 것을 의미한다.
이 외치기어(5a)(5b)의 회전은 내부롤러구멍(6a)(6b) 및 내부핀(7)(내부롤러(8))의 틈에 의해서 그 요동성분이 흡수되어, 자전성분만이 그 내부핀(7)을 통하여 출력축(2)으로 전달된다.
그 결과, 결국 감속비 -1/N(마이너스는 역회전을 나타낸다)의 감속이 달성된다.
또한, 이 내접맞물림 유성기어구조는 현재 여러가지의 감속기 혹은 증속기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조에서는 제1축을 입력축, 제2축을 출력축으로 함과 더불어 내치기어를 고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제1축을 입력축, 내치기어를 출력축으로 함과 더불어 제2축을 고정하여도 감속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의 구조에 있어서 입, 출력축을 역전시킴으로써 「증속기」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이 종류의 내접맞물림 유성기어기구를 소형화, 고부하능력화하기 위해서는 교합부(meshing parts)나 섭동부(sliding parts)를 갖는 부품 중, 내치기어(20)는 고강도특성을 갖고, 외치기어(5a)(5b), 외부핀(11), 내부롤러(8), 내부핀(7), 베어링(4a)(4b), 편심체(3a)(3b)는 고강도특성과 고경도특성을 갖도록만들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통상은 그와 같은 특성을 갖는 금속재료로 상기의 부품을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고강도특성, 고경도특성을 갖는 금속재료는 통상 비교적 높은 마찰계수를 갖기 때문에 이들의 금속재료를 사용한 슬라이딩(sliding) 접촉면은 기름이나 그리스(grease)로 윤활하여 둘 필요가 있고, 윤활(潤滑)은 접촉면에 유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틈을 전동기구의 접촉면끼리의 사이에 만들어 둘 필요가 있다. 이 틈은 동력전달시의 탄성변형이나 부품의 가공오차를 흡수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이와 같은 틈은 기구전체의 헐거움(play)이나 백래시(backlash)를 만들게 되어 한쪽측의 회전이 금방 다른쪽측의 회전으로 바뀌어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응답의 지연을 이하 각도(角度)백래시라 한다.
이와 같은 각도백래시는 전동기구가 예를 들면 산업용 로봇의 관절과 같은 정역회전을 수반하는 위치제어기구로서 사용되었을 때에는 그 제어정밀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 각도백래시를 없애기 위해서는 상기 틈을 작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 틈을 작게 하는 것은 윤활유 유지의 면에서 보면 바람직하다고는 말할 수 없어, 결국 각도백래시의 저감과 윤활특성 향상은 상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른 한편, 슬라이딩 부분에 인산염피막 등의 화성처리 피막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부분의 마찰계수를 저하시키는 것도 공지이다. 이 화성처리 피막은 그 자체가 저마찰계수인 것이 아니라 미소한 요철에 다량의 윤활유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저마찰계수로 되는 것이다.
전동기구의 맞물림, 슬라이딩 접촉면에 상기 공지의 화성처리 피막을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화성처리 피막은 그 자체가 마모되기 쉽고 피막이 단시간에 벗겨져 버리는 결점이 있다.
일본국 특허출원 소60-271649호(일본국 특허공고 평2-36825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1623717호)에서는 전동기구 접촉면의 틈을 작게 하고 또한 윤활유의 유지를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접촉면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치형의 연삭마크(grinding mark)의 잇줄(tooth trace)방향 및 그 연삭마크의 잇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치형방향)에 요철면을 형성하고, 또한 이 요철의 높이보다도 낮은 막두께로 화성처리 피막을 실시한 접촉면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공지의 이들 방법은 모두 외치기어와 내치기어의 치형 접촉면의 마찰계수를 윤활유의 존재(유지)에 의해 작게 함으로써 고효율, 긴수명을 달성하려고 하는 것으로, 접촉면을 매끈하게 한다는 발상을 갖는 것은 아니었다. 특히 화성처리 피막은 그 자체가 저마찰인 것이 아니라 요철이 있는 피막의 사이에 윤활유를 유지함으로써 저마찰을 얻는다고 하는 것이므로, 지나치게 평활하면 윤활유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접촉면의 표면거칠기는 반드시 양호하지는 않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동기구에서는 윤활유의 유지에 의해서 마찰계수를 저감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기어의 치면(접촉면)의 표면거칠기를 적극적으로 높이는 것은 행하고 있지 않았다. 이 때문에 외치기어와 내치기어의 외부핀의 교합부가 미끄러짐을 수반하면서 굴러 접촉하려고 할 때에 접촉면의 거칠기에 의해서 슬라이딩 소음 및 롤링 소음을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서 슬라이딩 소음이 커지는 것 때문에 외치기어와 내치기어의 틈을 지금보다 작게 하는 것은 어렵고, 그것이 앞에서 서술한 각도백래시 증대의 원인으로도 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외치기어 톱니의 맞물림에 수반하는 소음발생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접촉부분의 부착을 이른바 유체윤활에 의해서 방지하고, 아울러 각도백래시를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외치기어의 연마방법 및 그 방법의 실시에 사용하는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형태를 나타낸 연마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연마장치에서 사용하는 필름 연마재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형태의 연마방법을 실시하기 전의 공정에서 행하는 연삭가공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마방법을 행하기 전의 가공면의 거칠기 데이터를 나타낸 특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마방법을 행한 후의 가공면의 거칠기 데이터를 나타낸 특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연마대상의 워크(work)를 포함하는 내접맞물림 유성외치기어기구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 외치기어 110 : 필름 연마재
120 : 슈(압압부재) 130 : 정압압착장치
110a : 폴리에스테르필름 110d : 미립자 연마제(硏磨劑)
본 발명은 외치기어의 연마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치기어의 치면에 대하여 압압부재로 백업함으로써 필름 연마재를 억누르고, 그 상태에서 기어의 톱니와 필름 연마재를 치형방향(톱니의 늘어선 방향, 즉 외치기어의 원주방향)에 상대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 종류의 요동내접맞물림구조의 외치기어는 일반적으로 톱니 치저(齒底)부분을 포함하여 원호치형이나 트로코이드 치형과 같은 매끄러운 치형으로 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치면의 치형방향의 기복이나 거칠기를 감소시켜 표면의 평활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 톱니와 톱니가 맞물리는 것으로 미끄러짐에 수반하는 롤링 접촉을 하였을 때에 슬라이딩 소음이나 롤링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특성은 이 종류의 요동내접맞물림구조에 요구되는 특성으로서 매우 큰 의의를 갖는다.
또, 표면거칠기가 작아지게 됨으로써 접촉면간의 유체윤활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부착의 우려가 없고 톱니와 톱니의 틈을 작게 할 수 있어 덜컹거리는 소음을 줄임과 더불어 각도백래시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치기어의 톱니를 잇줄방향으로 성형지석으로 연마한 후, 상기 필름 연마재를 사용한 치형방향의 압압연마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렇게 하면, 보다 효율적인 연마를 행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연마재를 이용한 치형방향의 압압연마를 실행할 때에, 또한 상기 외치기어의 톱니를 필름 연마재에 대하여 잇줄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진동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그렇게 하면 한층 표면거칠기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압압부재의 압압면을 기어 치형의 요곡면(凹曲面)보다 작은 곡률(曲率)의 철곡면(凸曲面)으로 형성하고, 그 철곡면에 의해서 필름 연마재를 외치기어의 치면에 억누르도록 하여도 된다. 그렇게 하면 특히 치형 곡부(谷部)의 치면 연마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필름 연마재를 상기 외치기어의 축심(軸心)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하고, 외치기어를 그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것으로, 연마대상의 외치기어의 톱니를 필름 연마재에 대하여 치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이 종류의 외치기어의 치형은 치저부분을 포함하여 원호치형이나 트로코이드 치형과 같은 매끄러운 곡선의 치형이기 때문에 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들의 치형곡선에 따른 치면을 치형방향으로 확실히 연마할 수 있다.
또한, 필름 연마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필름에 산화알루미늄, 실리콘카바이드, 다이아몬드 등의 미립자 연마제(硏磨劑)를 코팅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 외치기어의 연마장치는, 외치기어의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치기어의 치면을 연마하기 위한 필름 연마재(硏磨材)와, 외치기어의 축심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된 압압부재를 갖고, 그 압압부재를 통하여 상기 필름 연마재를 기어의 치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억누르는 압착기구와, 기어의 톱니를 필름 연마재에 대하여 치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는 연마구동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소정압력으로 필름 연마재를 치면에 억누르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공압실린더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연마구동기구로서는 장척의 필름 연마재를 길이방향으로 송출(인장) 이동하는 필름 송출장치나 워크인 외치기어를 지지하여 회전시키는 기어회전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외치기어를 구동하는 경우는 잇줄, 치형의 양방향 모두 미세하게 왕복회전구동하는 것을 간단히 할 수 있기 때문에 왕복 슬라이딩에 의한 연마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외치기어의 톱니를 필름 연마재에 대하여 잇줄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진동시키는 진동기구(oscillation mechanism)를 구비하면 한층 연마효과를 높일 수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마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하는 연마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고, 도 2는 그 주요부의 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연마하는 대상인 워크(work)는 도 7, 도 8에서 나타낸 내접맞물림 유성외치기어기구의 외치기어(5a)(5b)와 같은 종류의 외치기어(W)이다.
이 외치기어(W)는 외주에 트로코이드 치형을 갖는 것으로, 수평한 구동축(101)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101)은 외치기어(W)를 지지한 상태로 그 치형방향(외치기어(W)의 원주방향 : 도 2 참조)으로 왕복회전구동됨과 더불어 잇줄방향(외치기어(W)의 축방향 : 도 2 참조)으로 미소진동(오실레이션)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102는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장치(연마구동기구), 103은 미소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장치이다.
구동축(101)에 의해서 지지된 외치기어(W)의 외주에는 외치기어(W)의 치면을 연마하기 위한 필름 연마재(110)가 덮여지고, 필름 연마재(110)는 외치기어(W)의 거의 반주(半周)를 덮고 있다.
필름 연마재(110)는 도 3에 그 단면을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필름(110a)의 표면에 열경화성 접착제(110b)(110c)를 사용하여 산화알루미늄, 실리콘카바이드, 다이아몬드 등의 연마입자(미립자 연마제)(110d)를 코팅한 것으로, 연마입자(110d)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쪽이 연마측이다.
도 1로 되돌아 가서, 외치기어(W)의 윗쪽 및 아랫쪽에는 필름 연마재(110)를외치기어(W)의 치면에 억누르기 위한 압착기구의 압압부재로서의 슈(shoe;120)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슈(120)는 공기압실린더기구 등을 내장한 정압압착장치(130)의 암(131)에 지지되어 있고, 일정압력(P)으로 필름 연마재(110)를 외치기어(W)의 치면에 억누르는 백업부재로서의 역할을 다한다.
각 슈(120)의 압압면은 트로코이드 치형의 요곡면보다도 작은 곡률의 철곡면(외치기어(W)의 회전에 따라서 치면에 추종하는 정도의 곡률(R)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철곡면으로 필름 연마재(110)를 치면에 억누름으로써 치형의 곡부를 확실히 효율적으로 연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외의 장치로서는 회전구동장치(102)나 진동장치(103)을 제어하기 위한 연마제어장치나, 필름 연마재(110)를 송출(인장)이동하기 위한 필름 송출장치, 정압압착장치의 제어장치(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이 장착되어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 외치기어(W)의 톱니의 마무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톱니의 마무리공정에서는 제1공정에서 지석(砥石)에 의한 연삭가공을 실시하고, 제2공정에서 전술의 연마장치를 사용한 연마공정을 실시한다.
제1공정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형형상으로 성형된 지석(201)을 외치기어(W)의 치형에 맞추어서 회전시켜, 외치기어(W)를 잇줄방향(도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톱니를 연삭한다. 이 공정은 가공의 바탕이 되는 것으로 톱니의 피치(pitch) 정밀도나 치형 정밀도는 이 고정으로 확보한다. 이 때, 치면의 치형방향으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칠기와 기복이 남는다.
그래서 다음에 제2공정의 연마를 행한다.
이 공정에서는 우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 연마재(110)를 외치기어(W)의 외형을 둘러싸도록 배치하고, 정압압착장치(130)을 작동시켜서 슈(120)에 의해 필름 연마재(110)를 외치기어(W)의 치면에 일정압력(P)으로 억누른다.
이어서, 그 상태에서 외치기어(W)를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상대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한다). 이것에 의해 필름 연마재(110)에 의해서 치면이 치형방향으로 연마된다. 이 때. 외치기어(W)를 잇줄방향으로 미세하게 진동시키는 것으로 치면의 연마효과를 높인다.
도 6은 제2공정 후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제2공정에 의해 제1공정에서의 치형방향의 기복과 거칠기가 제거된다.
필름 연마재(110)는 소정시간 연마한 단계에서 혹은 외치기어(W)를 소정각도 혹은 소정치수 연마한 단계에서 소정량만큼 송출(인장)하여, 새로운 면에서 연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치기어(W) 및 필름 연마재(110)는 연마에 있어서 결국 상대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외치기어(W)가 잇줄방향만으로 진동하고 있는 사이에 필름 연마재(110)를 송출하는(인장하는)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여 외치기어(W)의 치형방향의 거칠기나 기복이 제거되어 표면거칠기가 향상되기 때문에, 치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미끄러짐을 수반하여 굴러 접촉하는 외부핀(11)(내치외치기어의 톱니에 상당하는 것으로, 도 7, 도 8을 참조할 것)과의 사이를 유체윤활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적정한 유막이 확보되기 쉽게 되고 이에 의해 톱니와 톱니의 틈을 좁혀도 부착이 잘 생기지 않아 각도백래시도 저감할 수 있다.
또, 치형방향의 표면거칠기가 향상되기 때문에 주로 미끄러짐이나 구름에 의한 소음이 저하됨과 더불어 외부핀(11)과 외치기어(5a)(5b)(외치기어(W))의 동하중이 감소함으로써 실질적인 맞물림 비율이 커져 한층 저소음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치기어 치면의 치형방향 표면거칠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치기어 톱니의 맞물림에 따른 소음발생의 저감과, 접촉면의 유체윤활에 의한 유막확보의 실현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치면의 부착을 억제하면서 톱니와 톱니의 틈을 좁힐 수 있어 그 점에서도 소음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 각도백래시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7)

  1. 외치기어(external-tooth gear)의 연마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치기어의 치면(齒面;tooth surfaces)에 대하여 압압부재(押壓部材)로 백업함으로써 필름 연마재를 억누르고, 그 상태에서 외치기어의 톱니와 필름 연마재를 치형(tooth profile)방향에 상대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함으로써 치면을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치기어의 연마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치기어의 톱니를 잇줄(tooth trace)방향으로 성형지석(成形砥石)으로 연마한 후, 상기 필름 연마재를 사용한 치형방향의 압압연마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치기어의 연마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연마재를 이용한 치형방향의 압압연마를 실행할 때에, 상기 외치기어의 톱니를 필름 연마재에 대하여 잇줄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치기어의 연마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 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재의 압압면이 상기 외치기어의 치형의 요곡면(凹曲面)보다 작은 곡률(曲率)의 철곡면(凸曲面)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철곡면에 의해서 필름 연마재를 기어의 치면에 억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치기어의 연마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 에 있어서, 상기 필름 연마재를 상기 외치기어의 축심(軸心)에 대하여 반경(半徑)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하고, 외치기어를 그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것으로 연마대상의 외치기어의 톱니를 필름 연마재에 대하여 치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치기어의 연마방법.
  6. 외치기어의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치기어의 치면을 연마하기 위한 필름 연마재와,
    외치기어의 축심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된 압압부재를 갖고, 그 압압부재를 통하여 상기 필름 연마재를 외치기어의 치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억누르는 압착기구와,
    외치기어의 톱니와 필름 연마재를 치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는 연마구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치기어의 연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치기어의 톱니를 필름 연마재에 대하여 잇줄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진동시키는 진동기구(oscillation mechanism)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치기어의 연마장치.
KR10-2000-0001481A 1999-01-14 2000-01-13 외치기어의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 KR100415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08021 1999-01-14
JP00802199A JP4172865B2 (ja) 1999-01-14 1999-01-14 外歯歯車の研磨方法及び研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476A KR20000053476A (ko) 2000-08-25
KR100415734B1 true KR100415734B1 (ko) 2004-01-31

Family

ID=11681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481A KR100415734B1 (ko) 1999-01-14 2000-01-13 외치기어의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74223B1 (ko)
EP (1) EP1020661B1 (ko)
JP (1) JP4172865B2 (ko)
KR (1) KR100415734B1 (ko)
CN (1) CN1144640C (ko)
DE (1) DE60018998T2 (ko)
TW (1) TW4495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63202B2 (en) * 1997-12-05 2003-07-17 Universal Entertainment Corporation Game machine informing prize mode information in a series of flow of game
EP1447171B1 (en) 2003-02-12 2006-07-12 Nissan Motor Co., Ltd. Surface finishing apparatus and method
CN100411790C (zh) * 2005-06-22 2008-08-20 全宏齿轮工业股份有限公司 齿轮的磨合装置
DE102007036000B4 (de) * 2007-07-30 2015-12-31 Jahnel-Kestermann Getriebewerke Gmbh & Co. Kg Zahnflankenpolierwerkzeug
US20100242283A1 (en) * 2009-03-30 2010-09-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for finishing a gear surface
EP2647459B1 (de) * 2012-04-02 2017-03-01 Klingelnberg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arbeiten von Kegelrädern unter Einsatz eines exzentrisch bewegten Schleifwerkzeugs
US9029805B2 (en) 2013-02-25 2015-05-12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Method for inspecting contact between mating gears
CN103240467B (zh) * 2013-05-27 2015-05-06 四川省内江庆隆机床有限公司 研齿机的对齿装置及方法
CN105196010B (zh) * 2015-09-01 2018-03-27 河北科技师范学院 滚柱活齿减速机中心轮工作齿廓面加工方法及装置
CN106112134B (zh) * 2016-08-23 2017-12-22 无锡市东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微调功能的汽车齿轮打磨机
CN108381397B (zh) * 2018-03-03 2021-03-02 北京工业大学 一种针对砂带抛光机的接触压力检测系统
CN108869638A (zh) * 2018-06-01 2018-11-23 安徽尚豪齿轮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磨刀机的高减比齿轮组
CN108655930A (zh) * 2018-06-11 2018-10-16 江苏省溧水弹簧厂(普通合伙) 一种钢板弹簧表面处理装置
CN111761444B (zh) * 2020-07-02 2021-08-17 浙江三欢齿轮有限公司 一种齿轮加工用磨床
CN112404605B (zh) * 2020-11-27 2022-03-22 临沂元泰机械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用齿轮打磨装置
CN113275667B (zh) * 2021-05-19 2022-07-29 湖北博英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齿轮磨削装置
CN115194618A (zh) * 2022-09-19 2022-10-18 江苏珀然股份有限公司 一种轮毂打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6170C3 (de) * 1975-12-13 1980-02-07 Jahnel Getriebebau Gmbh, 4630 Bochum Schleif- bzw. Poliervorrichtung für ein Zahnrad
CH667029A5 (de) * 1985-07-01 1988-09-15 Reishauer Ag Verfahren zur steuerung der werkzeug-zustellung bei bearbeitungsbeginn an einer zahnrad-bearbeitungsmaschine.
JPS62132068A (ja) * 1985-12-04 1987-06-15 Sumitomo Heavy Ind Ltd 伝動機構の接触面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4920703A (en) * 1986-06-04 1990-05-01 Koganei Seiki Seisakusho Method and apparatus for finishing a tooth surface of a gear
JPH0624682B2 (ja) * 1987-12-26 1994-04-06 株式会社日進製作所 ラッピングフィルムを用いた超仕上げ装置
JP3073179B2 (ja) * 1997-07-10 2000-08-07 株式会社松田精機 フィルム研磨材を用いた超仕上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20661B1 (en) 2005-03-30
DE60018998D1 (de) 2005-05-04
JP4172865B2 (ja) 2008-10-29
DE60018998T2 (de) 2006-02-09
US6174223B1 (en) 2001-01-16
CN1267578A (zh) 2000-09-27
JP2000205377A (ja) 2000-07-25
KR20000053476A (ko) 2000-08-25
EP1020661A2 (en) 2000-07-19
CN1144640C (zh) 2004-04-07
EP1020661A3 (en) 2002-01-30
TW449512B (en) 200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734B1 (ko) 외치기어의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
US6170156B1 (en) Gear tooth smoothing and shaping process
US20030070297A1 (en) Method for fabricating external-tooth gears
KR100754995B1 (ko) 사이클로이드 치형을 갖는 유성기어 감속기의 외치기어 및가공방법
KR100382448B1 (ko) 내치기어용 핀 지지 링의 제조방법, 내접 맞물림 유성기어구조 및 유압모터·펌프
US20020106978A1 (en) Chemical mechanical machining and surface finishing
EP0981420B1 (en) Polishing head for plate materials in granite, hard stone or ceramic with abrasive segments having continuous oscillating tangential motion
JP4278816B2 (ja) 揺動内接噛合遊星歯車伝動機構の角度バックラッシュの低減方法
JP3557355B2 (ja) 内接噛合歯車機構の内歯歯車用ピン保持リングの製造方法
JP2785079B2 (ja) 内接噛合形遊星歯車装置及び該内接噛合形遊星歯車装置の外ピンと接触する外ピン穴接触面の形成方法
JPH0236825B2 (ko)
US6572452B2 (en) Disc for toroidal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working method therefor
JP2000263329A (ja) 外歯歯車の研磨方法及び研磨装置
RU22200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бразивной обработки плоских поверхностей
KR100225137B1 (ko) 내접맞물림 유성기어구조의 내부롤러 및 외부롤러의 제조방법
JP2000130357A (ja) 液圧モータ・ポンプのローラ保持リングの製造方法
WO2022118593A1 (ja) 遊星減速機
WO2022118594A1 (ja) 遊星減速機
JP3985700B2 (ja) ローラバニッシュ加工方法
JP2002168256A (ja) 転がり軸受とその製造方法
JP2001205377A (ja) 回転ローラ体の製造方法、同方法で得た回転ローラ体、並びに同回転内ローラ体を備えた内接噛合遊星歯車構造
JPH045248Y2 (ko)
JP4876740B2 (ja) 微細形状加工装置、微細形状加工方法及び摺動部材
RU220316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ращения шпинделя
JP2003094244A (ja) 被加工面の微細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