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228B1 -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와, 중량물 반송차 및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와, 중량물 반입방법 및 중량물 반출방법 - Google Patents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와, 중량물 반송차 및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와, 중량물 반입방법 및 중량물 반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228B1
KR100407228B1 KR10-1999-0010822A KR19990010822A KR100407228B1 KR 100407228 B1 KR100407228 B1 KR 100407228B1 KR 19990010822 A KR19990010822 A KR 19990010822A KR 100407228 B1 KR100407228 B1 KR 100407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heavy
container
coi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8365A (ko
Inventor
이와사키노부오
츠루타코우이치
아오키타투히코
이토우노부아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스틸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스틸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 스틸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umbo rolls; for rolls of floor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24Roll hand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송용기(콘테이너 등)에 직접 코일형 중량물을 쉽게 반입할 수 있음과 아울러, 코일형 중량물에 손상을 입히는 일이 없고, 또한 중량물의 고정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중량물 반출입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발명은, 상기 반출입 방법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팰리트, 반송차 및 반출입 스테이지를 제공한다.
본 반입방법은, 반출입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콘테이너내로 중량물을 적재한 팰리트를 반입하는 것이고,
중량물이 적재되고 고정된 팰리트를 반송차 상에 배치시키고, 다음에 반송차를 부상시켜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제1단계;
반송차에 의하여 콘테이너내로 중량물을 반입하는 제2단계;
반송차의 배기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감소시켜, 지지대를 일시적으로 하강시키고, 팰리트의 다리부를 착지시켜, 중량물을 반송차로부터 하적하고, 이어서, 반송차를 후퇴시켜서, 팰리트의 적재대 하방의 공간으로부터 지지대를 반출하는 제3단계; 및
반송차를 테이블 상으로 되돌아가게 제4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상기 팰리트는 적재된 중량물을 고정하는 코일 고정 부재를 구비함과 아울러,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갯수가 1개인 경우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1개의 크기가 수송용기 내부의 평면의 크기와 대략 일치하고,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갯수가 2개 이상인 경우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을 조합한 크기가 수송용기 내부의 평면의 크기와 대략 일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반송차는, 중량물이 적재된 팰리트를 지지대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기체를 분출시켜 지지대를 바닥면에서 부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조종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지지대의 자세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반입방법에 의하면 하물 적재 및 하물 하적을 위해 복잡하거나 또는 대규모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이 반송차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중량물의 수송용기로의 반입을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와, 중량물 반송차 및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와, 중량물 반입방법 및 중량물 반출방법{PALLET FOR COIL-SHAPE HEAVY ARTICLE, HEAVY-ARTICLE CARRYING VEHICLE, STAGE FOR INTRODUCING/DISCHARGING HEAVY ARTICLE TO AND FROM TRANSPORTING RECEPTACLE, METHOD OF INTRODUCING HEAVY ARTICLE AND METHOD OF DISCHARGING HEAVY ARTICLE}
본 발명은, 강재 등의 중량물(heavy article)을 콘테이너 등의 수송용기에 의하여 수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팰리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코일형 강판 등의 중량물의 하물을 콘테이너 등의 수송용기에 의하여 수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하물(荷物)의 고정이 쉽고, 하물의 손상이 방지되며, 반송차(특히 부상식 반송차)에 의한 이동에 적합하고, 값이 싼 코일형 중량물 팰리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송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콘테이너 바닥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콘테이너 내로 중량물을 반입할 수 있는 반송차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및 중량물 반출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섀시 상에 배치된 수송용기(특히 콘테이너)에 반송차 등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반입하기 위한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및 섀시 상에 배치된 콘테이너 등의 수송용기로의 중량물 반입방법 및 수송용기로부터의 중량물 반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취급되는 강판(이하, 코일로 한다)은, 일반적으로 하역되는 하물에 비하여 대중량(해외향: 약 5∼10t, 국내향: 약 10∼30t)이고, 대형 포오크리프트에 의하여 이동시키거나, 대형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위에서 매달리게 하여 이동시키는 일이 많다.
또한, 코일의 수송방법은, 해상수송을 실시하는 경우는 재래 선박을 사용한 하물운송 방법이 많다. 이 방법에 의한 수송의 경우는, 손상이나 녹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청지나 철판 등을 사용하여 하나 하나를 빈틈없이 패킹한 코일을 단위로 하역을 실시한다.
그러나, 대량 하물을 취급하는 화물선은 한번에 대량의 화물을 수송하는 대량 수송용의 재래선으로, 수송된 대량의 하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큰 공간이 필요하였다. 또한, 수송수단이 변경될 때마다 하물의 고정("래싱"(lashing)이라고 함)과 같은 조작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이런 상황하에서, 코일의 콘테이너화 수송이 요구되어 왔다. 이는 하물을 콘테이너 내에 수납하여 취급하면, 하물이 콘테이너에 의하여 보호됨으로써,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하물을 콘테이너 단위로 취급함으로써, 하역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수송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상품에 대한 이자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콘테이너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지만, 첫째, 보유수가 많고, 값이 싸며, 확보도 쉬운 것이 드라이 콘테이너(dry container)이다. 이 드라이 콘테이너는 콘테이너 내부의 기밀성(氣密性)이 높고, 따라서, 밀폐 시에 콘테이너 내부를 저습도로 유지할 수 있으면, 밀폐 중에 있어서도 저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코일에 결로(結露)가 발생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녹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드라이 콘테이너의 개구부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어, 하물을 매달아 이동시키는 크레인 등은 코일을 드라이 콘테이너 내에 도입할 수 없다. 또한, 대중량의 코일을 취급할 수 있는 대형 포오크리프트의 경우에도 포오크리프트 본체가 드라이 콘테이너의 개구부 보다 크므로, 코일을 드라이 콘테이너 내부의 깊숙한 곳까지 수납할 수 없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천정이 없는 플랫 콘테이너(flat container)나, 천정을 개방할 수 있는 오픈 톱 콘테이너(open top container) 등의 콘테이너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콘테이너들은 기밀성이 낮으므로, 외부의 습기가 콘테이너 내부로 바람직하지 않게 유입된다. 따라서, 녹 형성 방지를 위하여 빈틈없이 패킹할 것이 요구된다. 더욱이, 드라이 콘테이너에 비하여 고가이며, 유통량이 적으므로,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오픈톱 콘테이너는 통상적으로 천정의 개폐가 드라이 콘테이너와 비교하여 곤란한 면이 있다.
더욱이, 드라이 콘테이너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라도, 패킹재에 목재 등의 수분을 포함하기 쉬운 것을 사용하면, 패킹재 내의 수분이 증발되어, 이 증기가 천정 등에 응축됨으로써, 이들이 코일에 떨어져 녹을 발생하기 쉽게 된다.
또한, 보통의 코일은, 코일의 축을 수평 방향으로 하여 수용되므로, 코일이 구르기가 쉽고,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이나 벽 등에 로우프나 목재 등을 사용하여 고정되나, 이러한 조작에는 많은 일손과 과도하게 긴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강판 코일 등의 중량물의 수출 등에 있어서, 그 물류에 드라이 콘테이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아래와 같은 순서를 따라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우선, 포오크리프트 등으로 드라이 콘테이너의 내부에 중량물을 반입하여 바닥면에 직접 적재하도록 한다. 이어서, 콘테이너를 크레인, 대형 포오크리프트 등의 콘테이너를 들어올릴 수 있는 기계로 들어올려서 섀시(콘테이너를 적재 운반하기 위한 차대)위로 적재한다. 이어서, 섀시를 조차장(marshalling yard, 선적되어야 하는 수입 콘테이너를 배치해 두는 장소)까지 운반한다.
상기 순서에 있어서, 섀시 상에 적재된 공간의 드라이 콘테이너 등의 수송용기 내로 코일 등의 중량물을 직접 반입할 수 있다면, 수송시간, 인건비 등을 크게 절약할 수 있게 된다.그러나, 섀시는 서스펜션(suspension)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섀시 상의 드라이 콘테이너에 중량물을 반입하면, 중량물을 1개 반입할 때 마다 드라이 콘테이너 바닥면의 높이가 내려간다. 따라서, 반입시켜야 하는 중량물이 놓여지고 포오크리프트 등이 주행하고 있는 콘테이너 프레이트 스테이션(container freight station)의 바닥면의 높이와 드라이 콘테이너 바닥면의 높이 사이에 단차(stepped portion)가 발생하게 되어, 바닥면 위를 주행하는 포오크리프트 등의 반송차를 사용하여 중량물을 반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반송차의 차륜의 직경이 작게 될수록, 또한, 반송차의 최저 지상고(minimum road clearance)가 낮아질수록 심각해진다. 그러나, 포오크리프트 등의 반송차를 사용하여 콘테이너 내로 중량물을 반입하는 경우는, 반송차 자체의 크기가 콘테이너 내로 반입될 수 있는 정도로 제한되므로, 최저 지상고를 크게 취할 수 없고, 차륜의 크기도 크게 할 수 없다. 또한, 이 반송차의 크기의 제한으로 기인하는 문제로는, 반송차의 크기가 제한되는 결과, 반송차에 의하여 반입할 수 있는 중량물의 중량이 제한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에어 부상식 반송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단차 부분의 통과시에 바닥면과 반송차 저면과의 거리가 급격히 변화하게 되어, 반송차 저면이 접지될 가능성이 있다.
종래에, 박판 코일의 해외로의 수출시에는, 후술하게 되는 이유에 기인하여 콘테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각 코일을 단위로 하여 별개로 선적, 하적되고, 창고에 보관되었다.
이 때문에, 텅(tongue) 등을 사용하여 매달아 올리는 조작시에 발생하는 손상, 하물끼리의 간섭에 의한 손상, 및 수송 중 혹은 중계창고(relay warehouse) 내에서의 녹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코일을 방청지나 강판을 사용하여 하나하나 빈틈없이 패킹하여 왔다. 이와 같이 빈틈없이 패킹하는 조작은 상당한 노동력과 시간을 요구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일을 선적 또는 하적시키는 중에 코일에 손상이 발생한다. 또한, 선적 중에는 코일이 직접 적층되므로, 그 적층 중량에 의하여 코일이 변형되는 또 다른 문제도 발생한다.
더욱이, 콘테이너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일반의 정기 선편을 이용할 수 없고, 재래선에 의한 전용의 선편을 사용한 대량의 코일의 일괄 수송이 실시되어 왔다. 이 때문에, 일정량의 코일이 쌓일 때까지 수송이 실시되지 않고, 따라서, 수송을 완료하는 데 요구되는 기간이 바람직하지 않게 길어지며, 물류 과정 중에 대량의 중간재고가 수반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콘테이너를 사용한 수송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밀폐식인 드라이 콘테이너는 입구가 측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코일을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서 콘테이너 위쪽에서 짐을 적재할 수 없다. 한편, 위쪽이 개방되는 오픈 톱 콘테이너나 플랫 트랙 콘테이너에서는, 기밀성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녹 형성 방지를 위하여 코일의 패킹을 단순화할 수 없고, 따라서, 상기 패킹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다. 또한, 오픈 톱 콘테이너나 플랫 트랙 콘테이너는 비용이 고가이고, 유통량도 적으므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없고, 순조로운 물류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코일의 수송에 있어서, 밀폐성이 있고, 비용이 싸며, 유통량도 대량 확보가 쉬운 드라이 콘테이너를 사용하고, 코일의 반입에 있어서는, 크레인 대신에포오크리프트를 사용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드라이 콘테이너의 개구는 직육면체인 드라이 콘테이너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반대쪽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개구에서 드라이 콘테이너의 깊숙한 곳까지 코일을 반입시키기 위해서는, 포오크리프트 등의 반송차 자체의 크기가 콘테이너 내로 들어갈 수 있는 정도로 제한된다. 이 때문에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취급할 수 있는 하물의 중량이 콘테이너 내로 들어가는 크기의 반송차가 들어올려지는 중량 정도로 제한된다.
또한, 바닥면에 있어서는, 포오크리프트 등의 반송차의 타이어의 접지점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콘테이너 내로 들어간 반송차에 의하여 콘테이너의 저면이 파괴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더욱이, 포오크리프트는 그의 전면부에서 하물을 지지하는 것이므로, 중량 밸런스를 취하기 위하여 후방에 카운터 밸런스(counter balance)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각 접지점에 작용하는 중량이 과도하게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특개평 8-208195호 공보 등에서, 포오크리프트의 포오크 하부에 구르는 로울러를 설치하여, 하물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하여, 소형의 포오크리프트에서도 대중량의 하물을 취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역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차륜이 증가된 이 발명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차륜을 사용하고 있는 이상, 각 차륜의 접지점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된다. 더욱이, 콘테이너 내로 코일을 반입한 후, 코일이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필요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포오크리프트의 대신에 반송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포오크리프트인 이상 카운터 밸런스를 보유하므로, 과도한 중량이 콘테이너 바닥면에 작용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는, 박판 코일에 한정되지 않고, 기계장치 등의 중량물의 수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일형 중량물인 강판을, 측면에 개구부가 구비된 드라이 콘테이너에 쉽게 반송할 수 있고, 하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하물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본 발명은, 상기 관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콘테이너에 의한 중량물의 수송이 가능하고, 콘테이너 바닥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콘테이너 내로 중량물을 용이하게 반입할 수 있는 중량물 반송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상기 관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반송차 등을 사용하여 섀시 상에 배치된 콘테이너 등의 수송용기에 직접 중량물을 반입할 수 있도록 하는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및 섀시 상에 배치된 콘테이너 등의 수송용기로의 중량물 반입방법 및 수송용기로부터의 중량물 반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반송차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반송차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반송차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반송차의 후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상태의 반송차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부상하고 있는 상태의 에어베어링의 종단면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에어베어링의 이면도이다.
도 11은, 레귤레이터의 본체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레귤레이터의 본체부분의 수평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A-A단면을 우측절반으로, B-B단면을 좌측절반으로 표시된 단면도이다.
도 14는, 코일을 적재하고, 밴드로 고정된 상태의 팰리트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팰리트에 적재된 코일에 밴드를 걸친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팰리트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팰리트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팰리트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가이드판과 가이드판 설치구멍의 관계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가이드판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코일을 텅(tongue)으로 매단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코일이 팰리트에 놓여진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섀시(chassis) 상의 콘테이너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텅에 의하여 코일을 이송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반송차 상에 팰리트를 적재한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섀시 상의 콘테이너에 팰리트를 적재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반송차를 접지시켜 결합 부재를 제거하고 있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섀시 상의 콘테이너의 개구문이 차단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9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외관을 표시하는 설명사시도이다.
도 30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적재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1은, 적재부와 다리부 등을 서로 분리가능하게 한 다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2는, 다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3은, 다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4는, 다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5는, 크기가 다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를 결합시킨 상태를 표시하는모식도이다.
도 36은,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의 측면도이다.
도 37은,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의 평면도이다.
도 38은, 데크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의 후면도이다.
도 39는, 반송차의 평면도이다.
도 40은, 반송차의 측면도이다.
도 41은, 반송차의 후면도이다.
도 42는, 다른 상태의 반송차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팰리트의 사시도이다.
도 44는, 팰리트의 평면도이다.
도 45는, 팰리트의 정면도이다.
도 46은, 팰리트의 측면도이다.
도 47은, 측면의 선단 가이드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팰리트의 측면도이다.
도 48은, 결합 부재에 의하여 콘테이너 및 섀시를 지지하는 순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9는, 결합 부재에 의하여 콘테이너 및 섀시를 지지하는 순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0은, 결합 부재에 의하여 콘테이너 및 섀시를 지지하는 순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1은, 코일을 텅으로 매달아서 팰리트에 배치하는 공정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2는, 코일이 팰리트에 적재되고 밴드가 걸쳐진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3은, 코일이 팰리트에 적재되고 밴드가 걸쳐진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4는, 텅에 의하여 코일을 이송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5는, 반송차 상에 팰리트를 적재하고, 결합 부재를 삽입하는 공정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6은, 반송차 상에 팰리트를 적재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7은, 섀시 상의 콘테이너에 팰리트를 적재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중량물 반송장치 11: 지지대
12,12a∼d : 에어베어링 13 : 핸들부
14, 14a∼d, 14ac, 14bd, 14cd, 14ab : 에어배관부
15 : 위치 결정 부재 2, 2x∼z : 팰리트
2m : 적재부 2f : 다리부
2s : 하부 개방 공간 21 : 밑판
22a, 22b : 다리부 23 : 보조다리부
231p, 231b : 보조다리부재 24p, 24q : 캠버 부재
25, 25p, 25q : 이동 억제 부재 가이드, 노치
26a∼c : 이동 억제 부재 27 : 슬라이드 레일
28 : 이동 억제 부재 29 : 적층지지부
3 : 결합 부재 4 :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41 : 스테이지 본체 42 : 지지기둥
43 : 테이블 5 : 수지시이트
61 : 결합 밴드 62 : 고정 밴드
7 :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71 : 스테이지 본체
72 : 지지기둥 C, Cx∼z : 박판 코일
S : 섀시 B : 콘테이너
제1발명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는,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수송용기 내로 수용되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에 있어서,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가, 팰리트 본체, 및 팰리트 본체상에 배치되고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과 접하여 코일형 중량물을 지지하는 적재부를 구비하고, 팰리트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그의 하방 또는 한쪽 측방이 개방되어 있는 하부 개방 공간을 보유하며,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상부에는 코일형 중량물을 팰리트 본체에 고정하는 코일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갯수가 1개인 경우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1개의 크기가 수송용기 내부의 평면의 크기와 대략 일치하고,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갯수가 2개 이상인 경우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을 조합한 크기가 수송용기 내부의 평면 크기과 대략 일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형 중량물(coil-shape heavy article)」은, 띠 형상물이 코일 형상으로 감겨진 것을 나타낸다. 이 띠 형상의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강철,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합성수지 등을 예로서 열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의 중량, 폭, 감긴 횟수 등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중량물의 중량은, 예컨대, 100㎏ 이상으로 할 수 있고, 100㎏∼100ton 정도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100㎏∼50ton 정도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는 1ton∼20ton 정도이다. 이러한 중량 범위는 하기 설명하는 발명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수송용기」는,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를 구비하는 것이라면 좋다. 이 수송용기로는, 예컨대, 콘테이너, 콘테이너 같은 수용용기를 구비한 트럭 혹은 화차(freight car, 즉, 콘테이너 같은 수용용기가 트럭 혹은 화차의 섀시 상에 고정되어 있는 것) 등이 열거된다. 이러한 정의는 이하의 발명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 때, 상기 「적어도 그의 하방 또는 한쪽 측방이 개방되어 있는」것이란, 것은, 반드시 그 방향의 전부가 개방되어 있는 필요가 있다는 뜻은 아니고, 「전방」, 「후방」, 「우방」 및 「좌방」중 어느 1개의 방향에서 개방되어 있으면 된다는 의미이다. 즉, 예컨대, 「하부 개방 공간」은 「하방」과 「후방」만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라도 좋다.이 하부 개방 공간은 본 팰리트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차 또는 반송차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으로 하거나, 코일형 중량물을 본 팰리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공간, 또는 그외의 임의의 용도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갯수가 1개인 경우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1개의 크기가 수송용기 내부의 평면 크기와 대략 일치하고,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갯수가 2개 이상인 경우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을 조합한 크기가 수송용기 내부의 평면 크기와 대략 일치하는 것」이란, 본 팰리트의 저면을 직사각형상으로 간주한 경우, 본 팰리트의 크기 및 형상은 수송용기의 저면과 대략 일치하는 형상 및 크기로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2개 이상의 팰리트들을 조합해서 얻어지는 저면 형상이, 상기 수송용기의 저면과 대략 일치하는 형상 및 크기로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상기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팰리트들은, 수송용기 저면의 장변(또는 단변)을 2등분, 3등분, 4등분, 5등분 등으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6, 2/6, 3/6 등의 크기의 팰리트(도 14참조)나, 2/5, 3/5 등의 균일하게 분할되어 얻어지는 크기가 아닌 팰리트들을 조합해도 좋다. 또한, 장변 방향을 3등분하고, 단변 방향을 2등분하여 저면의 1/6 크기인 팰리트, 즉, 장변 방향 및 단변 방향의 양방향을 분할하여 얻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팰리트들을 서로 조합하여도 좋다.
제2발명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팰리트의 구조를 갖고, 적재부가 경사면을 보유하고 있으며, 경사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이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 고정 부재는 코일을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밴드 및/또는 코일의 양단측에 설치되는 이동 억제 부재인 것이다.
상기 적재부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본체로부터 착탈가능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들 상기 적재부 및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본체 간의 착탈수단은, 예컨대 나사 또는 그외의 임의의 연결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양자를 연결하는 구조 등을 예로서 열거할 수 있다.
이 착탈형 팰리트에 의하면, 콘테이너의 크기에 맞춘 다리부, 코일의 크기에 맞춘 적절한 코일지지부를 구비한 적재부 등을 임의로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억제 부재로서는, 예컨대, 이동 억제 부재 가이드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신장 부재(elongated member,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은 コ자 형상물 26a,26b 또는 막대 형상물 등)로 할 수 있고, 도 23 및 도 2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직립 부재(erect member, 28a,28b)로 할 수 있다. 슬라이드 가능한 이동 억제 부재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해서, 보통, 한쌍의 적재부의 사이에 그 경사면의 하단 보다 낮은 위치에 한쌍의 적재부가 마주보는 방향과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레일이, 한쌍의 적재부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에서, 한쌍의 적재부의 선단부를 초과하는 범위까지 연장되어 있고, 슬라이드 레일에는 한쌍의 이동 억제 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직립되어 있고, 이동 억제 부재는 각각 그 경사면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까지 이르는 높이인 것이다.
본 팰리트의 형상은 적재하는 코일형 중량물의 형상 및 코일형 중량물의 적재하는 방향에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지만, 예컨대 4개의 다리를 우물정자형상으로 조합해서 얻어지는 다리부에 적재부를 설치한 형상으로 하거나, 평판 형상인 대부재에 적재부를 설치한 형상, 또는 상자형상 등으로 하는 것을 열거할 수 있다.
제3발명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팰리트에 있어서, 상기 팰리트 본체에는 4개 이상의 기둥형상의 적층지지부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코일형 중량물이 적재되지 않는 경우에는, 팰리트 본체의 상하로 다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이 적층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이 적층지지부의 갯수는 보통 4개이지만, 이 갯수는 더 추가시킬 수 있고, 상기 4개의 적층 지지부의 배열은 보통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팰리트들을 상하로 적층시키는 것이 목적이므로, 다른 팰리트들도 모든 적층지지부가 각각 대응하는 위치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적층지지부의 상면 및 하면의 형상은 서로 빗나가기 어려운 것이라면 좋고, 예컨대, (1) 양쪽이 모두 평면인 것, (2) 한쪽이 볼록면(볼록구면 등)이고 다른쪽이 이 볼록면에 대응하는 오목면(오목구면 등)인 것, 또는 (3) 상면은 결합용 볼록부를 구비하고, 하면은 이에 대응하는 결합용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 등으로 할 수 있다.
제4발명의 중량물 반송차는, 팰리트를 들어올리기 위한 지지대, 및 지지대 하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바닥면을 향해 기체를 분출하는 복수의 배기 노즐 등을 구비하여, 중량물이 적재된 팰리트를 지지대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기체를 배출시켜 지지대를 바닥면에서 부상시킬 수 있고,상기 복수의 배기 노즐에 각각 설치되어 배기 노즐의 배기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및 복수의 밸브의 개도(開度)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조종 레버 등을 구비하고, 조정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지지대의 자세 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의 중량물 반송차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반송차에 있어서, 배기 노즐이 4개이고, 4개의 배기 노즐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4개의 배기 노즐을, 진행방향을 향하여 우전측에 설치되는 것을 우전측 노즐, 우후측에 설치되는 것을 우후측 노즐, 좌전측에 설치되는 것을 좌전측 노즐, 좌후측에 설치되는 것을 좌후측 노즐로 한 경우, 우전측 노즐과 우후측 노즐과의 세트, 좌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과의 세트, 우전측 노즐과 좌전측 노즐과의 세트, 및 우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과의 세트인 4개의 세트가 서로 연결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4개의 노즐을 지지대의 전후좌우로 위치하는 4개의 세트로 구분하여 배치하고 있으므로, 좌우노즐 세트의 기체분출량을 조작함으로써, 지지대의 로울각(전후방향의 축에 대한 좌우의 경사각)을 제어할 수 있고, 전후 노즐의 세트의 기체분출량을 조작함으로써, 지지대의 피치각(좌우방향의 축에 대한 전후의 경사각)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좌우의 자세 제어가 쉽게 된다.
또한, 노즐의 세트의 위치가 각각 지지대의 전후좌우가 아닌 경우에도, 각 노즐 세트의 기체분출량을 제어함으로써 마찬가지의 자세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자세 제어에 있어서 대응하는 1세트의 배기 노즐에 연결되는 배관 중의 적어도 1개의 세트는 연결 배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 배관에는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자세 제어에 있어서 대응하는 1세트의 상기 배기 노즐」이라는 것은, 예컨대, 좌우대칭의 위치로 배치된 1세트의 배기 노즐이나, 전후의 위치로 배치된 1세트의 배기 노즐인 것이다. 즉, 반송차의 자세 제어에 있어서, 반송차가 좌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좌측 노즐의 배기유량을 증가시키고, 우측 노즐의 배기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반송차의 자세를 제어한다. 반송차가 앞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전측 노즐의 배기유량을 증가시키며, 후측 노즐의 배기유량을 감소시킨다. 이런 관계에 있는 1세트의 노즐이 「자세 제어에 있어서 대응하는 1세트의 상기 배기 노즐」인 것이다.
더욱이, 우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과의 세트, 좌전측 노즐과 우후측 노즐과의 세트의 각 연결 배관의 연결을 추가하여도 좋다.
제6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출입 스테이지는, 섀시 상에 고정되고 적재된 수송용기의 개구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수송용기의 개구에 인접하여 모서리 금속 부재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섀시의 높이 및 수송용기의 높이를 고정하도록 구조된 지지기둥, 및 지지기둥이 수송용기의 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었을 때, 개구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수송용기 내로 중량물을 반입하기 위한 반송차가 대기하기 위한 테이블 등을 보유하고,상기 테이블은, 테이블 상에 놓여진 물품의 중량을 독자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지지기둥이 수송용기의 개구에 인접하여 설치되었을 때, 테이블 상면의 높이를 수송용기 바닥면의 높이와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수송용기의 개구문에 인접하여 설치되어」라는 것은,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가 수송용기에 직접 구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지면이나 바닥면 등에 설치되고, 그 설치위치가 「수송용기의 개구면에 인접하여」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모서리 금속 부재」란, 섀시와 수송용기의 고정, 선박에서의 수송용기끼리의 고정, 및 크레인 및 갠트리크레인 등을 사용한 매다는 조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수송용기의 각 정점(상하)에 설치되어 있는 금속 부재인 것이다. 「높이를 고정한다」라는 것은, 물건의 높이방향의 「위치」가 일정하게 되도록 고정한다는 것이다. 또한, 「테이블 상에 놓여진 물품의 중량을 독자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라는 것은, 섀시나 수송용기가 테이블 상에 놓여진 것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이 아닌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제7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스테이지에 있어서, 지지기둥이 밑부분의 폭 보다 선단부의 폭이 확대되어 있는 결합 부재를 보유하는 것이고,상기 결합 부재를 수송용기의 개구에 인접한 위치의 상면 모서리에 설치된 모서리 금속 부재의 긴 구멍으로 삽입하고, 삽입 방향을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만큼 회전시킴으로써, 결합 부재의 선단을 모서리 금속 부재에 결합시키고, 결합 부재를 소정 높이로 지지함으로써 모서리 금속 부재의 높이 저하를 방지하고, 섀시 상의 수송용기, 및 수송용기가 고정되어 있는 섀시의 높이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 때, 「결합 부재」는, 선단부의 두께가 모서리 금속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의 폭(두께)보다는 좁고, 그 수평 폭이 모서리 금속 부재의 긴 구멍의 폭(두께)보다는 크며, 그 밑부분이 모서리 금속 부재의 긴 구멍내에서 회전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인 것이면 어떤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선단부가 삼각형판으로 되어 있는 것 같은 형상이어도 좋고, 홈베이스형상인 오각형판으로 되어 있는 것 같은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제8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스테이지에 있어서, 지지기둥이 결합 부재를 보유하는 것이고,상기 결합 부재를 수송용기의 개구에 인접한 하측 좌우의 모서리에 설치된 모서리 금속 부재의 긴 구멍에 삽입하고, 결합 부재를 소정 높이로 지지함으로써, 모서리 금속 부재의 높이의 저하를 방지하고, 섀시 상의 수송용기, 및 수송용기가 고정되어 있는 섀시의 높이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 때, 「하측 좌우의 모서리」라는 것은, 섀시 상에 적재된 수송용기의 개구에 대한 방향에서, 수송용기의 하측의 좌우의 다리부를 의미한다.
제9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청구항 8에 기재된 스테이지에 있어서, 지지기둥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의 수직 방향으로 결합 부재를 출납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 및 슬라이드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 승강수단 등을 구비한 것이다.
제10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청구항 9에 기재된 스테이지에 있어서, 슬라이드부 승강수단이 슬라이드부를 하부에서 로울러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제11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스테이지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을 2개 이상 구비하고, 슬라이드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의 상하방향의 2곳 이상에서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예컨대, 하기와 같은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가요성을 보유하며, 적어도 마주보도록 배치된 테이블 선단부와 수송용기 바닥면 단부의 간극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누출 방지 시이트를 구비하는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이다.
이러한 상태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테이블 단부와 수송용기 바닥면 단부의 간극을 넘는 누출 방지 시이트를 구비하므로, 기체를 분출함으로써 부상하는 반송차를 사용하는 경우, 반송차에서 분출되는 기체가 테이블 단부와 수송용기 바닥면 단부의 간극으로부터 하방으로 누출되어 반송차의 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누출 방지 시이트는 가요성을 보유하는 시이트로 되어 있으므로, 강성이 있는 판 등으로 가로 막는 경우와 다르며, 테이블 상면 및 수송용기 바닥면의 사이에 쉽게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기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누출 방지 시이트를 배치한 후에는 평온한 모양으로 테이블 상면 및 수송용기 바닥면이 서로 연결되므로, 부상식 반송차가 분출하는 기체의 흐름이 흐트러지는 일이 없고, 따라서, 반송차의 자세가 흐트러지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누출 방지 시이트를 권취할 수 있는 시이트 권취 리일을 구비하는 수송용기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누출 방지 시이트가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가 수송용기 측에 설치되기 전에 누출 방지 시이트가 테이블 전단에서 아래쪽으로 늘어져 버린다. 따라서, 스테이지를 수송용기의 측으로 설치한 후에, 테이블 전단과 수송용기와의 사이로 늘어진 누출 방지 시이트를 들어올려서 수송용기 바닥면으로 건내야 할 필요가 있어 번잡하다.
그러나, 상기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시이트 권취 리일을 구비하므로, 스테이지를 수송용기 측에 설치하기 전에는 누출 방지 시이트를 시이트 권취 리일에 권취하여 두고, 스테이지를 수송용기측으로 설치한 후에는 테이블 상으로 끌어내어서 수송용기 바닥면으로 건낼 수 있다.
또한, 아래와 같은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즉, 시이트 권취 리일은 상기 테이블의 상면 보다 하방에 설치되며, 누출 방지 시이트는, 상기 테이블에 설치된 슬릿을 통하여 또는 테이블 후단으로부터 테이블 상으로 끌어내거나, 또는 시이트 권취 리일에 권취되는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이다.
이러한 상태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시이트 권취 리일이 테이블 하방에 설치되며, 누출 방지 시이트는 슬릿을 통하여 또는 테이블 후단에서 인출되거나 또는 권취되므로, 시이트 권취 리일이 테이블 상에서의 중량물의 반입 작업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다.
더욱이, 아래와 같은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즉, 기체(압축공기)를 반송하기 위한 송기 호오스(air supply hose), 및 송기 호오스를 권취하는 호오스 리일 등을 구비하는 형태의 수송용기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이다.
이러한 형태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송기 호오스와 호오스 리일 등을 구비하므로, 기체를 분출함으로써 부상하는 반송차를 사용하여 반송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 반송차에 연결된 송기 호오스가 지면상을 돌아서 움직이는 일이 없어 안정적이다.
또한, 호오스 리일을 구비하므로, 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호오스를 권취하여 둘 수 있고, 작업에 의해서 사용하는 호오스의 길이가 짧게 되는 경우(예컨대, 수송용기 입구 부근으로 하물을 반입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부분을 권취하여 둘 수 있다. 따라서, 송기 호오스의 불필요한 부분에 작업자의 발이 걸리거나 하는 일이 없어 안전하며, 송기 호오스의 불필요한 부분이 짓밟히는 것 등에 의하여 공기 공급이 차단되는 우려가 적어진다.
제12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청구항 6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테이지에 있어서, 테이블이 자세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제13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청구항 6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테이지에 있어서, 수송용기가 콘테이너인 콘테이너용 스테이지이다.
제14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은, 청구항 6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섀시 상에 배치된 수송용기 내로 코일형 중량물을 반입하는 중량물 반입방법으로서,본 중량물 반입방법은,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는 적재대, 및 적재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여 적재대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다리부 등을 구비하는 팰리트를, 중량물 반송차에 의하여 반송함으로써, 팰리트 상에 적재되고 고정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수송용기내로 반입하는 것이며,상기 팰리트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팰리트이고,상기 중량물 반송차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중량물 반송차이며,
반송차를 테이블 상에 배치시키고, 반송차의 지지대 상에 미리 결합 부재를 배치시키며, 팰리트의 적재대 하부의 공간에 반송차의 지지대 및 결합 부재가 위치하도록 하고, 팰리트의 다리부가 반송차의 지지대 및 결합 부재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하여, 중량물이 적재되고 고정된 팰리트를 반송차 상에 배치시키고, 이어서, 반송차를 부상시켜, 결합 부재 및 팰리트를 통하여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제1단계;
반송차에 의하여 수송용기 내로 중량물을 반입하는 제2단계;
반송차의 배기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0으로 하여 지지대를 일시적으로 하강시켜 팰리트의 다리부를 착지시키고, 팰리트의 적재대 하면과 반송차의 지지대 상면 사이의 간극을 확장시킨 후, 중량물을 반송차로부터 하적하고, 이어서, 반송차의 지지대와 적재대 하면 사이에 배치된 결합 부재를 제거한 후, 반송차를 후퇴시켜서, 팰리트의 적재대 하방의 공간으로부터 지지대를 반출하는 제3단계; 및
반송차를 테이블 상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제4단계를 차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로의 중량물 반입 방법.
제15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은, 청구항 6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섀시 상에 배치된 수송용기에 코일형 중량물을 반입하는 중량물 반입방법으로서,본 중량물 반입방법은,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는 적재대, 및 적재대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여 적재대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다리부 등을 구비하는 팰리트를, 중량물 반송차에 의하여 반송함으로써, 팰리트 상에 적재되고 고정된 코일형 중량물을 수송용기내로 반입하는 것이며,
상기 팰리트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팰리트이고,상기 중량물 반송차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중량물 반송차이며,
반송차를 스테이지의 테이블 상에 배치시키고, 팰리트의 적재대 하부의 공간에 반송차의 지지대가 위치하도록 하고, 팰리트의 다리부가 반송차의 지지대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하여, 중량물이 적재되고 고정된 팰리트를 반송차 상에 배치시키고, 이어서, 반송차의 지지대 상에 결합 부재를 배치시킨 후, 반송차를 부상시켜 결합 부재 및 팰리트를 통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제1단계;
반송차에 의하여 수송용기내로 중량물을 반입하는 제2단계;
반송차의 배기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0으로 하여 지지대를 일시적으로 하강시켜 팰리트의 다리부를 착지시키고, 팰리트의 적재대 하면과 반송차의 지지대 상면 사이의 간극을 확장시킨 후, 중량물을 반송차로부터 하적하고, 이어서, 반송차의 지지대와 적재대 하면 사이에 배치된 결합 부재를 제거한 후, 반송차를 후퇴시켜서, 팰리트의 적재대 하방의 공간으로부터 지지대를 반출하는 제3단계;및
반송차를 테이블 상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제4단계를 차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로의 중량물 반입 방법.
제16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은, 결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청구항 6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섀시 상에 배치된 수송용기에 코일형 중량물을 반입하는 중량물 반입방법으로서,본 중량물 반입방법은,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는 적재대, 및 적재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여 적재대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다리부 등을 구비하는 팰리트를, 중량물 반송차에 의하여 반송함으로써, 팰리트 상에 적재되고 고정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수송용기내로 반입하는 것이며,
상기 팰리트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팰리트이고,상기 중량물 반송차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중량물 반송차이며,
반송차를 테이블 상에 배치시키고, 팰리트의 적재대 하부의 공간에 반송차의 지지대가 위치하도록 하고, 팰리트의 다리부가 반송차의 지지대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하여, 중량물이 적재되고 고정된 팰리트를 반송차 상에 배치시키고, 이어서 반송차를 부상시켜, 팰리트를 통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제1단계;
반송차에 의하여 수송용기내로 중량물을 반입하는 제2단계;
반송차의 배기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0으로 하여 지지대를 일시적으로 하강시켜 팰리트의 다리부를 착지시키고, 팰리트의 적재대 하면과 반송차의 지지대 상면 사이의 간극을 확장시킨 후, 반송차를 후퇴시켜서, 팰리트의 적재대 하방의 공간으로부터 지지대를 반출하는 제3단계; 및
반송차를 테이블 상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제4단계를 차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로의 중량물 반입 방법.제17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은, 청구항 14에 기재된 반입방법에 있어서, 팰리트의 적재부가 경사면을 보유하고 있고, 경사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이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 고정 부재는 코일을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밴드 및/또는 코일의 양단측에 설치되는 이동 억제 부재인 것이다.
제18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은, 청구항 14에 기재된 반입방법에 있어서, 팰리트 본체에는 4개 이상의 기둥형상의 적층지지부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코일형 중량물이 적재되지 않는 경우에는, 팰리트 본체의 상하로 다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이 적층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제19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은, 청구항 14에 기재된 반입방법에 있어서, 배기 노즐이 4개이고, 4개의 배기 노즐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4개의 배기 노즐을, 진행방향을 향하여 우전측에 설치되는 것을 우전측 노즐, 우후측에 설치되는 우후측 노즐, 좌전측에 설치되는 것을 좌전측 노즐, 좌후측에 설치되는 것을 좌후측 노즐로 한 경우, 우전측 노즐과 우후측 노즐과의 세트, 좌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과의 세트, 우전측 노즐과 좌전측 노즐과의 세트, 및 우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과의 세트인 4개의 세트가 서로 연결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제20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은, 청구항 14에 기재된 반입방법에 있어서, 수송용기가 콘테이너인 것이다.
제21발명의 중량물 반출방법은, 청구항 6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섀시 상에 배치된 수송용기로부터 코일형 중량물을 반출하는 중량물 반출방법으로서,본 중량물 반출방법은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는 적재대, 및 적재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여 적재대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다리부 등을 구비하는 팰리트를, 중량물 반송차에 의하여 반송함으로써, 팰리트 상에 적재되고 고정된 상기 중량물을 수송용기로부터 반출하는 것이며,
상기 팰리트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팰리트이고,상기 중량물 반송차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중량물 반송차이며,
테이블 상에 대기시킨 반송차를 수송용기내로 진입시키는 제1단계;
팰리트의 적재대 하부의 공간내로 반송차의 지지대를 삽입하고, 이어서, 반송차의 배기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0으로 하여 지지대를 일시적으로 하강시켜 적재대 하면과 지지대 상면 사이의 간극을 확장시킨 후, 반송차의 적재대 하면과 지지대 상면 사이의 간극에 결합 부재를 배치시키고, 이어서, 반송차의 배기 노즐로부터의 기체분출량을 증가시켜 지지대를 상승시켜, 결합 부재 및 팰리트를 통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제2단계;
반송차를 테이블 상으로 되돌아가게 하여 중량물을 수송용기내로부터 반출시키는 제3단계;
중량물을 반송차로부터 하적하는 제4단계를 차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로부터의 중량물 반출방법.
제22발명의 중량물 반출방법은, 결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청구항 6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섀시 상에 배치된 수송용기로부터 코일형 중량물을 반출하는 중량물 반출방법으로서,본 중량물 반출방법은,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는 적재대, 및 적재대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여 적재대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다리부 등을 구비하는 팰리트를, 중량물 반송차에 의하여 반송함으로써, 팰리트 상에 적재되고 고정된 상기 중량물을 수송용기로부터 반출하는 것이며,
상기 팰리트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팰리트이고,상기 중량물 반송차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중량물 반송차이며,
테이블 상에 대기시킨 반출차를 수송용기내로 진입시키는 제1단계;
팰리트의 적재대 하부의 공간내로 반송차의 지지대를 삽입하고, 이어서, 반송차의 배기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0으로 하여 지지대를 일시적으로 하강시켜 적재대 하면과 지지대 상면 사이의 간극을 확장시킨 후, 반송차의 배기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증가시켜 지지대를 상승시켜, 팰리트를 통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제2단계;
반송차를 테이블 상으로 되돌아가게 하여 중량물을 수송용기내로부터 반출시키는 제3단계;
중량물을 반송차로부터 하적하는 제4단계를 차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로부터의 중량물 반출 방법.
제23발명의 중량물 반출방법은, 청구항 21에 기재된 반출방법에 있어서, 팰리트의 적재부는 경사면을 보유하고 있고, 경사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이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 고정 부재는 코일을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밴드 및/또는 코일의 양단측에 설치되는 이동 억제 부재인 것이다.
제24발명의 중량물 반출방법은, 청구항 21에 기재된 반출방법에 있어서, 팰리트 본체는 4개 이상의 기둥형상의 적층지지부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코일형 중량물이 적재되지 않는 경우에는, 팰리트 본체의 상하로 다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이 적층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제25발명의 중량물 반출방법은, 청구항 21에 기재된 반출 방법에 있어서, 배기 노즐은 4개이고, 4개의 배기 노즐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4개의 배기 노즐을, 진행방향을 향하여 우전측으로 설치되는 것을 우전측 노즐, 우후측으로 설치되는 것을 우후측 노즐, 좌전측으로 설치되는 것을 좌전측 노즐, 좌후측으로 설치되는 것을 좌후측 노즐로 한 경우, 우전측 노즐과 우후측 노즐과의 세트, 좌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과의 세트, 우전측 노즐과 좌전측 노즐과의 세트, 및 우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과의 세트인 4개의 세트가 서로 연결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제26발명의 중량물 반출방법은, 청구항 21에 기재된 반출방법에 있어서, 수송용기가 콘테이너인 것이다.
상기 「결합 부재」는 별체로 준비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한, 반송차가 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 필요에 따라서, 이것을 지지대 상에 배치하거나 또는 지지대 상에서 제거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팰리트」는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수송용기내로 수용됨과 아울러 수송용기의 평면형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규격화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이 팰리트는 전후좌우 각측에 전측 접촉부, 후측 접촉부, 좌측 접촉부 및 우측 접촉부를 구비하며, 이 전후좌우 각측의 접촉부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이 길이 방향으로 전후 또는 전후좌우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경우, 인접하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의 전후좌우 접촉부가 서로 2점 이상에서 접하는 형상이고, 전측 접촉부의 선단면에서 후측 접촉부의 선단면까지의 전후방향의 거리는 수송용기 내부의 전후방향의 치수의 자연수 분의 1이고, 우측 접촉부의 선단면에서 좌측 접촉부의 선단면까지의 좌우방향의 거리는 수송용기 내부의 좌우방향의 치수의 자연수 분의 1인 것이다. 아래의 각 발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때, 수송용기에 대하여 「전후방향」이란 것은, 수송용기의 안쪽으로의 길이방향이고, 깊숙한 곳으로 향하는 방향이 「앞」인 것이다. 또한, 수송용기에 대하여 「좌우방향」이란 것은 수송용기의 깊숙한 곳으로 향해서 좌우의 방향이다. 또한, 팰리트에 대하여 「전후방향」이란 것은, 팰리트를 소정 방향으로 수송용기내로 수용할 때에, 수송용기의 안쪽으로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이다. 「앞」이 깊숙한 곳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또한, 「좌」 및 「우」라는 것은, 팰리트를 소정 방향으로 수송용기내로 수용할 때, 수송용기의 깊숙한 곳으로 향하는 방향과 좌우가 일치하는 방향이다.
「2점 이상에서 접하는 형상」은, 서로 2개소 이상의 곳에서 접하게 되는 형상이라도 좋고, 면과 선 또는 면끼리 접촉하는 형상이라도 좋다.
거리가 「치수의 자연수 분의 1이다」라는 기재는, 「실제의 정확한 치수의 자연수 분의 1과 동등한 거리」에서 「이 보다 최대 15% 작은 거리」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팰리트의 치수를 「실제 정확한 치수의 자연수 분의 1과 동등한 거리」에서 「이 보다 10% 작은 거리」까지의 값으로 하면, 수송용기내에서의 팰리트끼리의 간극이 보다 작아지고, 보다 안정되게 팰리트를 적재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 「자연수」에는 1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송차에 있어서, 노즐의 세트의 위치가 각각 지지대의 전후좌우가 아닌 경우에도, 각 세트의 기체분출량의 제어를 연동시킴으로서, 마찬가지의 자세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 노즐 중에서, 자세 제어를 위한 대응하는 한쌍의 배기 노즐에 이르는 배관 중에서 적어도 1세트는 연결 배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 배관은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자세 제어를 위한 대응하는 한쌍의 배기 노즐」이란 것은, 예컨대, 좌우대칭의 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배기 노즐이나, 전후의 위치로 배치된 한쌍의 배기 노즐이다.
즉, 반송차의 자세 제어에 있어서 반송차가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좌측의 노즐의 배기유량을 증가시키고, 우측의 노즐의 배기유량을 감소시킨다. 반송차가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우측의 노즐의 배기유량을 증가시키고, 좌측의 노즐의 배기유량을 감소시킨다. 반송차가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전측의 노즐의 배기유량을 증가시키고, 후측의 노즐의 배기유량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관계에 있는 1세트의 노즐이 「자세 제어를 위한 대응하는 한쌍의 배기 노즐」이다.
더욱이, 우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과의 세트, 좌전측 노즐과 우후측 노즐과의 세트의 사이에 연결 배관을 사용한 연결을 추가해도 좋다.
[실시예]
아래에서, 도 1∼도 57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중량물 반송차,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및 콘테이너로의 중량물 반입방법 및 콘테이너로의 중량물 반입방법 및 콘테이너로부터의 중량물 반출방법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된 팰리트, 중량물 반송차, 팰리트,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및 이들을 사용한 반송방법은 하기한 바와 같다.
(1) 팰리트
본 실시예의 팰리트(2)는, 박판 코일의 수송에 있어서 코일을 효율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팰리트이다. 이 팰리트(2)는, 도 1∼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코일을 적재하는 캠버 부재(24p,24q), 캠버 부재(24p,24q) 및 밑판(21)을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여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다리부(22a,22b), 다리부(22a, 22b)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다리부(22a,22b)의 더욱 양외측에 있어서 바닥면과 접지하여 팰리트(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보조다리부(23), 다리부(22a,22b)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보조다리부(23)의 보조완부(231p,231q) 상면에 설치되는 이동 억제 부재 가이드(25p, 25q), 및 이동 억제 부재 가이드(25p,25q)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코일(C)의 양단면의 위치를 제한하는 이동 억제 부재(26a,26b) 등을 구비한다. 또한, 중량물이 놓이게 되는 적재부(2m)는 밑판(적재부 본체)(21), 및 한쌍의 캠버부(코일지지부)(24p,24q) 등으로 이루어진다.
다리부(22a,22b)는 각각 종횡 100㎜에서 두께 2.3㎜, 길이 1450㎜인 파이프이고, 도 1∼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1200㎜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다리부(22a,22b)의 각각의 길이는 그 방향에 대한 팰리트의 최대 치수로 된다. 그 치수가 콘테이너(B)의 바닥면의 길이의 대략 1/4로 되어 있으므로, 4개의 팰리트(2)를 각각 다리부(22a,22b)의 단면에서 서로 접하도록 하여 콘테이너(B)내의 전후방향(다리부(22a,22b)의 긴쪽 방향)으로 배열하면, 전체의 길이는 콘테이너(B)의 바닥면의 길이와 대략 일치한다.
이 때문에, 특별히 콘테이너(B)내에 있어서 팰리트(2)의 래싱(고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콘테이너(B)에서 팰리트가 전후방향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다.
다리부(22a,22b)의 상면에는 밑판(21)이 설치되고, 밑판(21)상에, 도 1∼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각이 직각인 오각형 단면을 보유하는 막대 형상 부재인 캠버 부재(24p,24q)의 단면형상은 직삼각형의 2개의 예각의 정점을 직선으로 잘라낸 것과 같은 오각형이다. 아래에서, 이 직삼각형의 직각을 이루는 2변 중 긴쪽의 변으로 되는 변을 「장변」이라 하며, 직삼각형의 직각을 이루는 2변 중에서 짧은 쪽의 변으로 된 변을「단변」, 직삼각형의 빗변으로 된 변을「사변」이라고 한다.
캠버 부재(24p,24q)의 단면은 장변 250㎜, 단변 173㎜, 장변과 바라보는 변이 50㎜, 단변과 바라보는 변이 50㎜이고, 캠버 부재(24p,24q)의 길이는 1400㎜이다.
캠버 부재(24p,24q)는, 각각 그 오각형 단면의 장변을 밑으로 하여, 오각형 단면의 빗변이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팰리트(2) 상에 적재되는 코일(C)은, 도 25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원이 마주보는 빗변에 각각 접하도록 하여 캠버 부재(24p,24q) 상에 놓여지게 된다.
캠버 부재(24p,24q)는, 바깥 껍질이 강판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밴드 삽입 통로(241)를 포함하고 있다. 캠버 부재(24p,24q)의 오각형 단면의 빗변의 상당하는 면(이하 「경사면」이라고 함)에는, 도 5∼도 7 및 도 25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밴드 삽입 통로(241)에 통하는 밴드 삽입 구멍(242a,242b)이 설치되어 있다.
밴드 삽입 구멍(242a,242b)은, 캠버 부재(24p,24q)의 각 양단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한쪽(242a)은 캠버 부재(24p,24q)에 따른 방향에 긴 구멍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캠버 부재(24p,24q) 각각에 있어서, 양단의 한쌍의 밴드 삽입 구멍(242a,242b)의 간격은 900㎜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한쌍의 밴드 삽입 구멍(242a,242b)의 간격은 캠버 부재(24p,24q)에 적재되는 코일(C)의 폭 보다 짧다.밴드 삽입 구멍(242a,242b)의 간격이 코일(C)보다 크면, 밴드 삽입 구멍(242a,242b)을 양단으로 하는 밴드 삽입 통로(241)에 밴드를 걸칠 때, 밴드가 코일(C)의 중심 구멍의 내측면을 상변, 밴드 삽입 통로(241)를 하변(상변 보다 길다)으로 하는 사다리꼴을 이루게 된다. 이 경우 밴드의 장력을 증가시키면, 사다리꼴의 하변에 상당하는 캠버 부재(24p,24q)의 양단이 바람직하지 않게 들어올려진다. 즉, 밴드 삽입 구멍(242a,242b)의 주위의 캠버 부재(24p,24q)의 표면이 변형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팰리트(2)에 있어서는, 밴드 삽입 구멍(242a,242b)의 간격이 코일(C)의 폭보다 좁으므로, 밴드는 코일(C)의 단면에 따른 직사각형(정확하게는 하변은 밴드 삽입 통로(241)이다)을 이루게 되고, 이러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 밴드 삽입 구멍(242b)에 있어서는,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밴드 삽입 통로(241) 밑면에 가이드판 연결 구멍(243)이 설치되어 있고, 밴드 삽입 통로(241) 밑면에서 밴드 삽입 통로(242b)을 통하여 캠버 부재(24p) 또는 (24q)의 표면으로 통하게 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가이드판(244)을 가이드판 연결 구멍(243)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가이드판(244)을 설치함으로써,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밴드 삽입 구멍(242b)내에서 밴드 선단을 꺼낼 때에, 밴드 선단이 가이드판(244)을 따라서 캠버 부재(24p) 또는 (24q)의 표면으로 나오기 때문에, 밴드에 의한 코일(C)의 고정이 쉽게 된다.
한편, 다리부(22a,22b)의 상면에는, 도 2∼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캠버 부재(24p, 24q)를 끼워 넣게 하여, 이들과 접하여 평행하게 보조완부(231p,231q)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22a,22b)를 가로지르도록 하여 설치되는 보조다리부(23)는 보조완부(231p, 231q) 및 후술하는 보조다리부재(232a,232b)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 보조완부(231p,231q)는 세로 75㎜, 가로 45㎜, 두께 3.2㎜ 및 길이 2290㎜의 파이프이다.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2a,22b)의 상면, 및 마주보는 캠버 부재(24p,24q)의 오각형 단면의 단변에 상당하는 외측면에 측면이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다리부(22a,22b)와 완부(231p,231q) 등이 우물정자 형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보조완부(231p,231q)의 길이는 그 방향(다리부(22a,22b)와 수직인 방향)에 대한 팰리트의 최대 치수로 된다. 그 치수가 콘테이너(B)의 바닥면의 폭과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특별히 콘테이너(B)내에 있어서 팰리트(2)의 래싱(고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콘테이너(B)내에서 팰리트가 좌우방향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다. 또한, 다리부(2f)의 하방 및 전후방 측면으로 반송차를 삽입할 수 있는 하부 개방 공간(2S)을 설치할 수 있고, 팰리트(2)를 반송장치(1)상에 쉽게 적재할 수 있다.
보조완부(231p,231q)의 양단부의 하면에는, 도 1∼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보조다리부재(232a,232b)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다리부재(232a,232b)는 각각 세로 100㎜, 가로 50㎜, 두께 1.6㎜ 및 길이 810㎜의 파이프이다. 보조다리부재(232a,232b)는, 보조완부(231p,231q)의 양단부의 하면에 있어서 다리부(22a,22b)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보조완부(231p,231q)의 상면에는, 도 1∼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보조완부(231p,231q)를 따라서 이동 억제 부재 가이드(25p,25q)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 억제 부재 가이드(25p,25q)는 「L」자 형상 단면을 보유하는 두께 4㎜, 길이 490㎜의 강재로서, 「L」자의 밑변을 위로 하여 그 등허리를 캠버 부재(24p, 24q)와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동 억제 부재 가이드(25p,25q)는 다른 치수의 구성이라도 좋고, 예컨대, 「コ」 자 단면을 보유하는 형상이라도 좋다.
이동 억제 부재 가이드(25p,25q)의 상면의 돌출 부분(「L」 자의 밑변에 상당)에는, 도 14 및 도 16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긴쪽 방향의 소정 위치에 노치(notch)(2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251)는 이동 억제 부재 가이드(25p,25q)의 양단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양단의 한쌍의 간격이 900㎜∼1900㎜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간격은 다른 치수이어도 좋다.
노치(251)에는, 「コ」자 형상 부재로 되어 있는 이동 억제 부재(26a,26b)가 끼워넣어진다. 이동 억제 부재(26a,26b)는 세로 100㎜, 가로 50㎜, 두께 1.6㎜의 각 파이프를 「コ」자 형상으로 구성하여 설치된 부재이다. 이 이동 억제 부재(26a,26b)는 이동 억제 부재 가이드(25p,25q)의 양단에 인접한 노치(251,251)에 「コ」 자의 양단을 끼워 넣도록 하여, 이동 억제 부재 가이드(25p,25q)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팰리트(2)으로의 코일(C)의 적재 및 고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 및 도 2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코일(C)은 그 원통측면이 캠버 부재(24p,24q)와 접하도록 하여 캠버 부재(24p,24q)상에 놓여지며, 밴드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 밴드는 코일(C)의 중심 구멍을 통과하여 밴드 삽입 구멍(242a)에서 캠버 부재(24p,24q) 내부의 밴드 삽입 통로(241)로 들어가고, 이것을 통과하여 반대측의 밴드 삽입 구멍(242b)에서 재차 캠버 부재(24p,24q) 외부로 나와서, 코일(C)의 중심 구멍에서 나오는 밴드의 꼬리부와 연결되며, 원형을 이루도록 코일(C)을 캠버 부재(24p,24q)에 고정하고 있다.
이 밴드에 의한 고정은, 후술하는 이동 억제 부재(26a,26b)에 의하여 코일(C)가 충분히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라면 실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5 및 도 28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보조완부(231p,231q)의 밑을 통과하는 밴드에 의하여 코일(C)의 중심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보조완부(231p,231q) 등도 묶여진다.
따라서, 코일(C)은 우선 캠버 부재(24p,24q)의 양 경사면으로 전후로부터 끼워 넣어지므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일이 없다. 또한, 밴드에 의하여 캠버 부재(24p,24q)와 고정되고, 보조완부(231p,231q)와도 더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하방향으로도 움직이는 일이 없다.
도 2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동 억제 부재(26a,26b)가, 이동 억제 부재 가이드(25p,25q)의 양단에 인접한 노치(251)에서, 코일(C)의 양단면이 끼워넣어지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코일(C)은 좌우방향(코일(C)의 축방향)으로도 움직이는 일은 없다. 즉, 코일(C)은 팰리트(2)상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2) 중량물 반송차
도 12∼도 15에 표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반송차(1)는, 박판 코일(C)을 팰리트에 적재하여 반송하는 반송차이다.
반송차(1)는 팰리트를 적재하기 위한 지지대(11), 지지대 하면에 설치된 4기의 에어베어링(12a∼12d), 지지대 후부에 연결되어 있는 핸들부(13), 및 에어배관부(1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대(11)는, 도 12 및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각 세로 40㎜, 가로 80㎜, 두께 3.2㎜, 길이 1450㎜의 2개의 파이프를 420㎜의 간격으로 5개의 각 파이프로 사다리형상을 이루도록 연결하여 설치되는 한쌍의 포오크부(111)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반송차(1)의 진행방향으로 향해서 우측의 포오크부(111)를 포오크부(111R), 좌측의 포오크부(111)를 포오크부(111L)라고 칭한다. 본 반송차에 있어서는, 진행방향에 대하여 좌우한쌍있는 부재의 부호의 경우는 마찬가지로 R,L로 구별하는 것으로 한다.
포오크부(111R,111L)는 서로 30㎜의 간격으로, 각 종횡 60㎜, 두께 3.2㎜, 길이 약 1400㎜의 파이프인 기초 부재(112)로, 평면을 이루도록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포오크부(111R,111L) 및 기초 부재(11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내에서 「Ⅱ」자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반송차(1)에 있어서는, 포오크부(111R,111L)를 구성하는 4개의 각 파이프중에서 양 외측의 2개의 파이프의 각 외측면의 선단은 중앙부로 향한 경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코일의 반출방법에 있어서, 팰리트(2) 하방으로 포오크부(111R,111L)를 삽입하는 것이 쉽다.
에어베어링(12a∼12d)은 공기를 분출하여 반송차를 바닥면에서 부상시키는 장치이고,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포오크부(111R,111L)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각각 2기씩 병설되어 있다. 아래에서, 에어베어링(12a∼12d)을 제각기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에어베어링(12)으로서 총칭한다.
에어베어링(12)은, 도 17 및 도 18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판(121)상에 설치된 외경 420㎜의 실질적으로 도우넛모양인 풍선부(122)를 구비하고, 도우넛모양의 중앙공 부분에는 직경 약 50㎜의 원기둥 모양의 착지 팰리트(123)가 설치되어 있다. 도우넛 모양의 풍선부(122)에는 중앙공에 인접하여 4개, 외주에 인접하여 균등한 간격의 미소한 에어분출공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풍선부(122)가 수축할 때에는, 착지패드(123)가 기판(121)에 대하여 최대로 돌출하고, 풍선부(122)가 팽창할 때에는, 도 17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우넛 모양의 풍선부(122)가 기판(121)에 대하여 최대로 돌출한다.
단, 본 실시예의 반송차(1)에 있어서, 반송차(1)에 설치된 다리부가 착지패드(123) 보다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풍선부(122)가 수축할 때에는 반송차(1)가 상기 다리부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착지패드(123)에 의하여 반송차(1)가 지지되는 일이 없다.
이 에어베어링(12)은, 풍선부(122)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팽창되고, 그 에어분출공에서 공기를 뿜어내는 것이다. 에어베어링(12)은 도 17 및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것이므로, 도우넛 모양의 풍선부(122)의 중앙공측의 면과 착지패드(123) 상면과 바닥면 등에 의하여, 에어베어링(12) 하부에는 대략 원뿔 형상을 이루는 공간이 설치된다. 이 공간을 향해서 에어분출공으로부터 공기가 분출되고, 분출되는 공기는 바닥면과 풍선부(122) 등의 접촉 부분의 간극으로부터 외주를 향해서 뿜어나오게 된다. 에어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서, 에어베어링(12)은 바닥면에서 부상되어, 에어베어링(12)이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11)를 바닥면에서 부상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에어베어링(12)에 의하여 반송차(1)와 바닥면과의 사이에 엷은 공기막이 형성된다. 이 공기막에 의하여 반송차(1)와 바닥면과의 마찰이 작아져서, 반송차(1)가 중량물을 반송하는 경우에도 작은 힘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핸들부(13)는, 도 12∼도 15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각 종횡 60㎜, 두께 3.2㎜의 파이프를 단변 370㎜, 장변 840㎜의 L자형으로 짜맞춘 지지기둥재(131R,131L)를 760㎜의 간격을 두어서 제1빔부재(132) 및 제2빔부재(133)에 연결시킨 것이다. 제1빔부재(132)는, 지지기둥재(131R,131L)의 장변의 선단에서 100㎜의 위치에 있어서 지지기둥재(131R,131L)에 연결되어 있고, 제2빔부재(133)는 마찬가지로 지지기둥재(131R, 131L)의 장변이지만 제1빔부재(132) 보다 205㎜ 단변에 접근하는 위치에 있어서 지지기둥재(131R,131L)에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제1빔부재(132) 및 제2빔부재(133)에는, 각종 제어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제어박스(134)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부(13)는, 도 12 및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내로 접지된 지지대(11)에 대하여 지지기둥재(131R,131L)의 장변이 연직 상방으로 향하게 되는 자세에서, 단변의 단부에 기초 부재(112)와 연결되어 있고, 기초 부재(112)에 연결되어 포오크부(111R,111L)의 반대측으로 위치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에어배관부(14)는, 제어박스(134) 좌측면에 설치된 매니폴드(141)로부터, 마찬가지로 제어박스(134)의 상면에 설치된 ON/OFF 스위치(144)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ON/OFF 스위치(144)로부터 마찬가지로 제어박스(134)의 상면에 설치된 레귤레이터(142)(도 12, 도 13 및 도 15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음)까지 연장되어 있고, 레귤레이터(142)에서 4개로 갈라져서, 도 12∼도 1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에어베어링(12a∼12d)에 연결되어 있다. 매니폴드(141)에 연결되는 배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레귤레이터(142)에 의하여 유량을 조정하게 되고, 각 에어베어링(12a∼12d)으로 각각 공급된다.
레귤레이터(142)의 본체는 도 19∼도 21에 표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다.
레귤레이터(142)의 본체는 제어박스(134)에 장착되며, 그 상면의 원반(142P)의 중앙에 설치된 조이스틱 설치부(142J)에 조이스틱(143)이 장착된다.
원반(142P)은, 지지볼트에 의하여 중앙이 지지되어 있고, 지지볼트와의 연결은, 도 2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볼트 선단의 플랜지를 원반(142P) 중앙 하부에 설치된 오목부 공간이 에워싸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원반(142P)은 지지볼트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에서 자유로운 방향으로 상하 20도까지 경사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각도는 다른 크기로 되어 있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한편, 하면에 설치된 입구(1421)는 ON/OFF 스위치(144)를 통하여 매니폴드(141)와 연결되어 있고, 입구(1421)를 통하여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측면에 설치된 출구(142a∼142d)로부터 압축공기가 배출되며, 각각 에어베어링(12a∼12d)으로 공급된다.
레귤레이터(142)의 본체 내부의 압축공기의 통로는, 원반(142P)에 연결된 4개의 실린더(142S,142S,142S,142S)에 의해 각각 상하로 압축공기의 통로가 확장/축소되어, 각 에어베어링(12a∼12d)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량이 조정된다.
본 실시예의 레귤레이터(142)는, 종래에 각각 독립하여 압축공기의 유량을 조정하고 있던 것을 조이스틱으로 한번에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며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게 한 것이므로, 제조비용이 낮고, 고장도 적다.
또한, 에어베어링(12a∼12d)으로 반송되는 압축공기의 총량의 조정은, 원반 중앙하부에 설치된 조정볼트 및 조정너트를 조정하여 원반(142P)의 본체에 대한 높이, 더 나아가서는 실린더(142S,142S,142S,142S)의 평균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실시된다.
조이스틱(143)은, 도 12, 도 14 및 도 1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박스(134) 상면에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조이스틱(143)을 전방으로 넘어뜨림으로써, 레귤레이터(142)에 의하여, 지지대(11)의 앞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에어베어링(12a,12c)으로의 압축공기의 공급량이 감소되고, 지지대(11)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는 에어베어링(12b,12d)으로의 압축공기의 공급량이 증대된다. 그 결과, 지지대(11)의 자세는 보다 앞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마찬가지로, 조이스틱(143)을 좌측으로 넘어뜨림으로써, 에어베어링(12a,12b)으로의 압축공기의 공급량이 증대되고, 에어베어링(12c,12d)으로의 압축공기의 공급량이 감소된다.
그 결과, 지지대(11)의 자세는 보다 우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조이스틱(143)을 우측으로 넘어뜨리면, 에어베어링(12a,12b)으로의 압축공기의 공급량이 감소되며, 에어베어링(12c,12d)으로의 압축공기의 공급량이 증대된다. 그 결과, 지지대(11)의 자세는 보다 우측으로 처지게 된다.
또한, ON/OFF 스위치(144)는, 도 12 및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박스(134)의 상면으로 조이스틱(143)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ON/OFF 스위치(144)를 ON으로 함으로써, 에어베어링(12a∼12d)으로의 압축공기의 공급이 단절된다. 따라서, ON/OFF 스위치(144)를 조작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반송차(1)의 부상/착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중량물 반송차의 에어배관부의 형상은 도 8에 표시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3)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도 22∼도 24에 표시하는 본 실시예의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는, 섀시 상에 적재된 드라이 콘테이너에 반송차를 사용하여 순조롭게 중량물의 반출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는 스테이지 본체(41), 스테이지 본체(41)에 설치되는 지지기둥(42), 및 테이블(43) 등으로 이루어진다.
스테이지 본체(41)는, 강재를 상자형상(전후 3869㎜, 좌우 3274㎜, 높이 652㎜)으로 짜맞춰서 내부에 빔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의 4개의 모서리에는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차륜용 유압실린더(411)를 사이에 두고 이동용 차륜(412)을 보유한다. 스테이지 본체(41)는 이 유압실린더(411)를 하방으로 신장함으로써 이동용 차륜(412)을 접지시킬 수 있고, 이 이동용 차륜(412)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압실린더(411)를 수축시킴으로써, 스테이지 본체(41)의 밑면이 직접 지면에 접지하여 대중량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테이지 본체(41)는, 이동용 차륜(412)에 대신하여 보올 캐스터, 베어링 등을 장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마찬가지의 작용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대략 상자형상인 스테이지 본체(41)의 전단에는 문모양의 지지기둥(42)이 설치되어 있고, 한편, 스테이지 본체(41)의 상면에는 테이블(43)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기둥(42)는, 스테이지 본체(41)의 전방 좌우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좌측기둥(421L) 및 우측기둥(421R), 및 그 좌측기둥(421L) 및 우측기둥(421R)을 상단으로 연결하는 주빔(422) 등을 보유한다. 이 좌측기둥(421L) 및 우측기둥(421R)의 높이는 3365㎜이다. 이 좌측기둥(421L), 우측기둥(421R) 및 주빔(422)으로 구성되는 지지기둥(42)의 문 모양 구조는 섀시(S) 상에 적재된 콘테이너(B)를 그 섀시(S)마다 에워쌀 수 있는 크기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좌측기둥(421L) 및 우측기둥(421R)은, 각각 스테이지 본체(41)의 좌우상변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그 선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좌보조기둥(423L) 및 우보조기둥(423R)에 의하여 보조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주빔(422) 상에는, 도 2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웜잭(424L), (424R)가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각각 결합 부재(425,4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웜잭(424L,424R)의 간격은 2260㎜이고, 20피트 콘테이너의 개구부의 좌우상변에 배치되는 모서리 금속 부재의 간격과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웜잭(424L,424R)은 우측기둥(421R) 및 주빔(422)을 따라서 배치된 로드를 통하여, 스테이지 본체(41) 우전상면에 설치된 에어모우터(426)에 의하여 구동된다.
더욱이, 웜잭(424L,424R)의 하단에 설치된 결합 부재(425,425)는 각각 상하방향을 축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주빔을 따라서 배치된 로드를 통하여, 좌측기둥(421L)에 설치되며 수동으로 구동되는 래크잭(427)에 의하여 회전된다.
결합 부재(425,425)의 형상은,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호움베이스형상인 오각형의 판형상체에 막대 형상체를 부착하게 된 대략 스페이드 모양의 형상이다. 그 막대형상부를 위로 하여 웜잭(424L,424R)에 부착되며, 막대형상부를 축으로 하여 래크잭(427)에 의하여 회전된다.
한편, 스테이지 본체(41) 상면에 설치되는 테이블(43)은 폭 1818㎜, 길이 3870㎜의 판 형상체이고, 하면의 4개의 모서리에 배치된 지지잭(자세 제어 수단)(431a∼d)에 의하여 스테이지 본체(41)상에 지지되어 있다.
이 테이블(43)은 그 상면의 좌우변을 따라서 가이드(432L,432R)를 보유하고 있다. 이 가이드(432L,432R)는 높이가 95.5㎜, 길이가 3650㎜이고, 그 후단의 위치가 테이블(43) 본체의 후단과 일치하는 위치이고, 전단은 테이블(43) 본체를 초과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에에서는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는 상기 각 치수로 설치되어 있지만, 가이드(432L,432R)에 대해서는, 20피트 콘테이너의 개구부에서 콘테이너의 좌우의 내벽을 따라서 삽입하게 되는 치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지지잭(431a,431d)은 테이블(43)의 앞측으로 배치되어 있고, 연동하여 신축한다. 또한, 지지잭(431b,431c)은 테이블(43)의 후측으로 배치되어 있고, 연동하여 신축한다. 이들을 신축시킴으로서, 테이블(43)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고, 또한, 전후의 지지잭(431a,431d)과 지지잭(431b,431c)의 높이에 차등을 둠으로써, 테이블(43)의 피치각(좌우방향을 축으로 한 각도)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는, 스테이지 본체(41), 좌측기둥(421L), 우측기둥(421R), 주빔(422) 및 테이블(43) 등으로 분해가능한 것이고, 더욱이, 스테이지 본체(41)를 전후방향에서 2개로 분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테이너 내로 수용하여, 코일과 아울러 수송행선지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 반송차(1)와 아울러 수송행선지에 콘테이너로 반송함으로써,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를 보유하지 않는 수송행선지에 있어서도, 팰리트(2)를 사용하여 하물을 수용한 콘테이너를 수용함으로써, 그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4) 코일의 콘테이너로의 반입/반출방법
본 실시예의 코일의 반송방법은, 도 25∼도 3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미리 텅 등으로 코일(C)을 팰리트(2)상에 적재하고, 이것을 밴드에 의하여 고정해 두고, 반송차(1)와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 등에 의하여, 도 3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박판 코일(C)을 팰리트(2)마다 콘테이너(B)내로 반입하는 것이다.
(a) 콘테이너로의 코일의 반입방법
우선, 도 2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섀시(S) 상에 적재된 드라이 콘테이너(B)의 개구를 개방하고,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를 이동용 차륜(412)에 의하여 이동시켜서, 도 22, 도 24 및 도 3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문 모양의 지지기둥(42)으로 섀시(S)의 개구측 단부를 에워싸게 한다. 차륜용 유압실린더(411)를 수축시켜 스테이지 본체(41)를 설치시킨다. 또한,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를 이동시키기 전에, 섀시(S)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랜딩기어(도시하지 않음)를 신장시키고, 바닥면에 착상시켜서, 섀시(S)의 앞부분의 높이를 고정하여 둔다. 단, 이 랜딩기어는, 중량물을 반출입하여도 콘테이너가 기울지 않으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 때, 테이블(43) 상에 미리 수지시이트(5) 및 반송차(1)를 적재시켜 둔다. 이 수지시이트(5)는 공기를 통하지 않는(통기성이 없는) 가요성 시이트이고, 그 폭은 팰리트(2)의 다리부(22a,22b)의 간격보다 좁고(콘테이너(B)의 내측의 폭보다 좁다), 길이는 테이블(43)의 전후방향의 길이와 콘테이너(B)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수지시이트(5)는, 그 후단을 테이블(43)의 후단과 대략 일치시켜 테이블(43)상으로 배치시키고, 그 위에 반송차(1)를 설치시킨다. 테이블(43)을 초과하는 앞쪽의 부분은 권취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43)을 지지하는 지지잭(431a∼d)은 최대로 신장되어 있고, 테이블(43)은 콘테이터(B)의 바닥면의 높이에 대하여 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지기둥(42)으로 섀시(S)의 개구측 단부를 에워싸게 하면, 가이드(432L,432R)는 콘테이너(B)의 바닥면에서 수십㎝ 떨어진 높이에서 콘테이너(B)의 개구내로 삽입된다(도 22참조).
다음에, 결합 부재(425,425)에 의하여 드라이 콘테이너(B)의 개구측 상면의 모서리 금속 부재를 결합시키고, 웜잭(424L,424R)으로 결합 부재(425,425)를 매달아서, 섀시(S)의 서스펜션의 스프링이 최대로 신장될 때까지 콘테이너(B) 및 섀시(S)를 들어올린다(도 22,도 24 및 도 32참조).
그 후, 도 22 및 도 3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잭(431a∼d)을 수축시켜 테이블(43) 윗면의 높이를 콘테이너(B)의 바닥면의 높이와 일치시킨다. 이 때, 가이드(432L,432R)가 콘테이너(B)의 개구내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콘테이너(B)의 바닥면에 접지하도록 지지잭(431a∼d)을 수축시킴으로써, 쉽게 테이블(43) 윗면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도 32에 있어서 가이드(432L,432R) 생략). 그리고, 테이블(43) 윗면이 수평하게 되도록 지지잭(431a∼d)을 조정한다.
감겨져 있는 수지시이트(5)를 콘테이너(B)를 따라서 펼쳐지도록 하고, 도 3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콘테이너(B)를 따라서 늘리고, 도 3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콘테이너(B)내로 확장시킨다. 수지시이트(5)의 선단은 콘테이너(B)의 가장 깊숙한 곳까지 도달하도록 한다.
그리고, 테이블(43) 상의 반송차(1)의 지지대(11) 상에 막대 형상 부재인 결합 부재(3)를 전후방향을 따라서 4개 배치한다(도 31참조).
결합 부재(3)의 높이는, 반송차(1)가 중량물을 적재하여 부상할 때의 지지대(11) 윗면의 높이와 다리부를 일치시키는 경우, 팰리트(2)의 캠버 부재(24p,24q)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높이 보다 높은 치수이다. 그와 동시에, 결합 부재(3)의 높이는, 반송차(1)가 바닥면에 접지된 경우의 지지대(11) 윗면의 높이와 다리부를 일치시킨 경우, 팰리트(2)의 캠버 부재(24p, 24q)의 하부에 설치되는 공간의 높이 보다 낮은 치수이다.
4개의 결합 부재(3)는 반송차(1)의 포오크부(111R,111L) 위로 돌출하여 나오지 않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지만, 2개는 되도록 양외측에 접근하게, 다른 2개는 중앙으로 접근하게 하여 다리부(22a,22b)와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 부재(3)의 수는 팰리트(2)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몇개이어도 좋다.
도 30∼도 3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텅 등에 의하여, 팰리트(2)상에 고정된 박판 코일(C)을 각 팰리트(2)마다 반송차(1)의 지지대(11)상으로 배치한다. 이 때, 4개의 결합 부재(3)는, 팰리트(2)와 지지대(1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박판 코일(C)을 적재한 팰리트(2)는, 팰리트(2)의 캠버 부재(24p,24q)의 하방의 공간에 반송차(1)의 지지대(11)가 위치하도록, 다리부(22a,22b)가 지지대(11)를 가로질러 배치된다. 결합 부재(3)의 상면과 팰리트(2) 하면 사이에는 간극이 있고, 팰리트(2) 및 코일(C)의 중량은 지지대(11)에는 작용되지 않고, 다리부(22a,22b)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결합 부재(3)는 텅 등에 의하여 팰리트(2)를 반송차(1)의 지지대(11)상에 배치한 후에, 캠버 부재(24p,24q)의 하부의 공간(캠버 부재(24p, 24q)와 지지대(11)의 간극)으로 삽입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코일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팰리트(2)의 캠버 부재(24p,24q)상에 밴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차(1)에는 도시하지 않는 에어콤프레서에서 압축공기를 송치하는 호오스가 매니폴드(141)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ON/OFF 스위치(144)는 OFF로 되어 있고, 반송차(1)는 접지하여 있다.
그리고, 이하에 표시하는 (ⅰ)∼(ⅷ)의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코일을 반입한다:
(ⅰ) ON/OFF 스위치(144)를 ON으로 하여 반송차(1)를 부상시킨다. 이어서, 조이스틱(143)을 사용하여 지지대(11)가 수평하게 되도록 자세를 조정한다.
(ⅱ) 반송차(1)의 포오크부(111R,111L)를, 팰리트(2)의 다리부(22a,22b)의 사이, 즉, 보조완부(231p,231q) 및 캠버 부재(24p,24q)의 하방으로 삽입시킨다. 이 때, 반송차(1)를, 포오크부(111R,111L)의 선단이 반송차(1)의 반대측의 보조완부(231q)로부터 돌출되어 나오는 정도까지 삽입시킨다(도 15참조). 구체적으로는, 보조완부(231p)가 도 22∼도 24에 표시하는 반송차(1)의 위치 결정 부재(15)와 접촉할 때까지 반송차(1)를 삽입시킨다. 이 위치 결정 부재(15)는, 보조완부(231p)가 위치 결정 부재(15)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코일을 적재한 팰리트(2)를 포오크부(111R,111L)상에 적재하면, 코일을 적재한 팰리트(2)의 무게 중심이 에어베어링(12a∼12d)의 무게 중심 위치와 대략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ⅲ) ON/OFF 스위치(144)를 OFF로 하여 반송차(1)를 접지시킨다.
(ⅳ) 높이 20㎜, 길이 1100㎜의 결합 부재(3)를 4개, 반송차(1)의 포오크부(111R,111L)와 팰리트(2)의 보조완부(231p,231q) 및 캠버 부재(24p,24q)와의 사이로 삽입한다(도 31참조).
4개의 결합 부재(3)는 포오크부(111R,111L)로부터 돌출되어 나오지 않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지만, 2개는 되도록 양외측에 접근하게, 다른 2개는 중앙으로 접근하게, 다리부(22a,22b)와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결합 부재(3)의 높이는, 반송차(1)가 중량물을 적재하여 부상할 때의 지지대(11) 상면의 높이와 다리부가 일치하는 경우, 팰리트(2)의 캠버 부재(24p,24q)의 하부에 설치되는 공간의 높이 보다 높은 치수이다. 동시에, 결합 부재(3)의 높이는 반송차(1)가 접지된 경우의 지지대(11) 상면의 높이와 다리부가 일치하는 경우, 팰리트(2)의 캠버 부재(24p,24q)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높이 보다 낮은 치수로 되어 있다.
(ⅴ) ON/OFF 스위치(144)를 ON으로 하여 반송차(1)를 부상시킨다. 결과로써, 포오크부(111R,111L)에 의하여 결합 부재(3)를 통하여 팰리트(2)의 보조완부(231p,231q) 및 캠버 부재(24p,24q)가 들어올려지며, 팰리트(2)가 들어올려진다. 이어서, 조이스틱(143)을 사용하여 지지대(11)가 수평하게 되도록 자세를 조정한다.
그 때, 테이블(43) 상 및 콘테이너(B)의 바닥면 상에는 수지시이트(5)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바닥면 상에 요철이 없어지고, 또한, 테이블(43)과 콘테이너(B) 사이의 간극도 없어지며, 에어베어링(12a∼12d)에서 분출되는 압축공기가 효과적으로 반송차(1)를 부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432L,423R)는 (도 22∼도 24참조, 도 32에 있어서 생략), 팰리트(2)의 다리부(22a,22b) 보다 약간 넓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432L,432R)가 테이블(43)상에서 콘테이너(B)내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조작자는 이 가이드를 따라서 팰리트(2)를 반입함으로써 쉽게 콘테이너(B) 내로 팰리트(2)를 반입할 수 있다.
(ⅵ) 핸들부(13)를 압박하여 콘테이너내로 코일을 수납한다(도 32참조).
(ⅶ) 반송차(1)가 콘테이너(B)내의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ON/OFF 스위치(44)를 OFF로 하여 반송차(1)를 접지시킨다. 이 때, 팰리트(2)도 다리부(22a,22b)에 의하여 바닥면에 접지된다. 팰리트(2)는 다리부(22a,22b)에 의하여 자체 중량 및 코일(C)의 중량을 지지하게 되고, 따라서 결합 부재(3)의 상면과 팰리트(2) 하면과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33에 표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결합 부재(3)를 제거하고, 재차 반송차(1)를 부상시킨다. 이 때, 지지대(11)는 팰리트(2) 하부(다리부(22a,22b)의 사이)의 공간내에서 상승하는데 멈추고, 팰리트(2)는 지지대(11)에 의하여 들어올려지는 일은 없다.
(ⅷ) ON/OFF 스위치(144)를 ON으로 하여 반송차(1)를 부상시켜, 팰리트(2)로부터 후퇴시켜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의 테이블(43)상으로 복귀시킨다. 팰리트(2)는 콘테이너(B)내의 소정의 위치에 적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팰리트(2)는, 도 3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2a,22b)에서 수지시이트(5)를 가로지르도록 하여 배치된다.
상기 동작을 4회 반복하여, 도 3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팰리트(2)에 적재된 4개의 박판 코일(C)을 콘테이너(B)로 도입한다. 팰리트(2)의 보조완부(231p, 231q) 사이의 거리는 콘테이너(B)의 내부 폭 보다 수cm 정도 작다. 각 다리부(22a, 22b)의 길이는 콘테이너(B)의 내부 깊이의 1/4 보다 작다. 따라서, 4개의 팰리트를, 상기와 같은 수순으로, 콘테이너(B)내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범위로 배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목재제 팰리트의 못에 의한 래싱을 실시하지 않아도, 콘테이너(B)내에서 팰리트가 움직이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콘테이너(B)내에서 수지시이트(5)를 반출하여 권취한다. 그리고, 지지기둥(42)의 웜잭(424L,424R)을 신장하고, 콘테이너(B) 및 섀시(S)를 섀시(S)의 서스펜션으로 중량을 지지하도록 하여, 결합 부재(425,425)의 결합을 해제한다. 반송차(1)를 테이블(43) 상에 적재한 상태로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를 섀시(S) 및 콘테이너(B)로부터 분리하여, 도 3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콘테이너(B)의 개구문을 차단시킨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섀시 상의 드라이 콘테이너에 박판 코일을 반입한다.
(b) 콘테이너로부터의 코일의 반출방법
콘테이너로부터의 코일의 반출방법은, 콘테이너(B)의 개구의 개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의 설치, 콘테이너(B)의 치켜 올림, 테이블(43)의 조정, 수지시이트(5)의 콘테이너(B)내로의 배치까지는 유사한 조작을 동일하게 수행한다.
이어서, 테이블(43 )상의 반송차(1)를 ON/OFF 스위치(144)를 ON으로 하여 부상시킨다. 그리고, 조이스틱(143)을 사용하여 지지대(11)가 수평하게 되도록 자세를 조정한다.
다음에, 반송차(1)를 섀시(S) 상의 콘테이너(B)내로 진입시켜, 포오크부(111R, 111L)를, 팰리트(2)의 다리부(22a,22b)의 사이, 즉, 보조완부(231p,231q) 및 캠버 부재(24p,24q)의 하방으로 삽입시킨다. 이 때에 반송차(1)는, 포오크부(111R,111L)의 선단이 반송차(1)와는 반대측의 보조완부(231q)로부터 먼저 나오는 정도까지 삽입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보조완부(231p)가 도 12∼도 14에 표시하는 반송차(1)의 위치 결정 부재(15)와 접촉할 때까지 반송차(1)를 삽입시킨다. 이 위치 결정 부재(15)는, 박판 코일(C)을 적재한 팰리트(2)를, 보조완부(231p)가 위치 결정 부재(15)와 접촉하는 상태로 포오크부(111R,111L)상에 적재하는 경우, 박판 코일(C)을 적재한 팰리트(2)의 무게중심이 에어베어링(12a∼12d)의 무게중심 위치와 대략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ON/OFF 스위치(144)를 OFF로서 반송차(1)를 콘테이너(B)의 바닥면에 접지시킨다. 이로부터 상술한 4개의 결합 부재(3)를 반송차(1)의 포오크부(111R,111L)와 팰리트(2)의 보조완부(231p,231q) 및 캠버 부재(24p,24q) 사이에 삽입시킨다(도 31참조). 4개의 결합 부재(3)의 배치는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ON/OFF 스위치(144)를 ON으로 하여 반송차(1)를 부상시킨다. 그 결과, 포오크부(111R,111L)에 의하여 결합 부재(3)를 통하여 팰리트(2)의 보조완부(231p,231q) 및 캠버 부재(24p,24q)가 들어올려지고, 팰리트(2)가 들어올려진다(도 31참조). 그리고, 조이스틱(143)을 사용하여 지지대(11)가 수평하게 되도록 자세를 조정한다.
그 다음, 핸들부(13)를 끌어서 콘테이너(B)내에서 반송차(1)를 후퇴시켜, 코일(C)을 반출한다(도 32참조). 그리고, ON/OFF 스위치(144)를 OFF로 하여 반송차(1)를 테이블(43)상에 접지시킨다. 이때, 팰리트(2)도 다리부(22a,22b)에 의하여 접지된다.
다음에, 텅 등에 의하여 코일(C)을 팰리트마다 소정의 장소로 반송한다(도 30참조). 이상과 같이 하여, 섀시 상의 드라이 콘테이너로부터 박판 코일을 반출한다.
(5) 본 실시예의 효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에 표시하는 부상식 중량물 반송차를 사용하므로, 4개소에서 중량물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4개소에 세트로 구분되어서 설치되어 있는 각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제어함으로써, 중량물 반송차의 지지대를 부상시킨 상태에서 수평면내에 있어서의 2축에 대한 경사각을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고, 지지대의 자세 제어를 유효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조종 레버에 의하여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제어함으로써, 조종 레버의 2축 방향의 경사각, 기울게 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또는 압력 등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테이블에 자세 제어수단을 구비하므로, 테이블을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상으로 반송차 등을 대기시켜, 중량물을 적재하는 경우에도, 테이블의 경사에 의하여 제멋대로 반송차 등이 움직이는 일이 없다. 특히 부상식 반송차이므로, 이동시의 저항이 적고, 쉽게 중량물을 반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코일의 반송방법에 의하면, 측쪽에 입구가 있는 콘테이너에 코일을 반입할 수 있고, 코일의 수송에 있어서 드라이 콘테이너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각각의 코일을 수송하던 경우에 실시되었던 것과 같은, 손상방지를 위한 각 코일의 빈틈없는 패킹이 필요없게 된다. 또한, 드라이 콘테이너는 기밀성을 보유하므로, 방청을 위한 빈틈없는 패킹도 불필요하다. 더욱이, 콘테이너를 섀시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중량물을 반출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반송방법에 있어서는, 특수한 형상의 철제 팰리트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목재제에서와 같은 못 고정에 의한 래싱이 불필요하며, 따라서, 노동력과 시간을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목재는 수분을 포함하므로 밀페된 드라이 콘테이너내에서 수분을 방출하여 코일을 녹슬게 할 우려가 있지만, 본 반송방법에 있어서는 목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그와 같은 걱정이 없다.
그리고, 목재제의 (팰리트)의 경우는 폐기 후에는 쓰레기로 될 수 밖에 없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팰리트는 철제이므로, 폐기 후에도 리사이클이 가능하다.
더욱이, 드라이 콘테이너를 사용함으로써, 해상수송에 있어서 정기편을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소량 다빈도의 코일수송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재래선에 의하여 대량의 코일을 한번에 운반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중간재고가 적게 되고, 수송에 요하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방에서의 하물의 반입이 가능한 오픈 톱 콘테이너, 플랫 래크 콘테이너에 비하여, 드라이 콘테이너는 유통량이 많아 확보가 쉬우며, 게다가 비용도 저렴하기 때문에, 물류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더욱이,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을 지지하는 적재부가, 그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이 배치되어 있는 팰리트를 사용하므로, 코일형 중량물이 구르는 일이 없고, 코일형 중량물을 안정되게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을 마주보는 경사면이 지지하므로, 일정 범위 내에서 다양한 외경의 코일형 중량물에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을 마주보는 경사면이 지지하므로, 코일형 중량물이 다소 동요하여도 최종적으로는 중력에 끌려서 한쌍의 적재부의 중앙 위치 근처로 정착하게 된다. 더욱이, 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에 의하면, 상기에 표시하는 고정 작업을 생략한 상태에 있어서도, 코일의 하물로부터 이탈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손상없이 수송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밴드 및 이동 억제 부재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므로, 중량물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2)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된 팰리트, 중량물 반송차,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및 이들을 사용한 반송방법은 하기한 바와 같다.
(1)팰리트
본 실시예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는, 실시예1의 팰리트와 대략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동 억제 부재, 적층지지부 등을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우선, 본 실시예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에 있어서는, 도 36∼도 39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보조완부(231p,231q)의 선단에 보조다리부재(232a,232b) 대신에 측단 가이드(233a,233b)가 설치되어 있다.
측단 가이드(233a,233b)는, 도 37 및 도 38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보조완부(231p,231q)의 선단에 그 양단이 연결되고, 전후방향으로 걸쳐 있는 막대 형상 부재이다. 이 측단 가이드(233a,233b)의 외측끼리의 간격은, 콘테이너의 내부공간의 폭 치수보다 수㎝ 짧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조다리부재(232a,232b)와 마찬가지로 콘테이너의 내부에 있어서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6 및 도 3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측단 가이드(233a,233b)의 전외측 및 후외측의 모서리가 떨어져서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전후단에 있어서 폭이 좁아져 있으므로, 보조완부(231p)측을 앞으로 하여 콘테이너에 넣는 경우도, 보조완부(231q)측을 앞으로 하여 콘테이너에 넣는 경우에도, 미세한 위치 맞춤을 하지 않고 쉽게 콘테이너내로 넣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부상식 반송차(1)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극히 약한 힘으로 측단 가이드(233a,233b)의 전단부가 콘테이너(B)의 내벽과 접촉하여, 궤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설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를 콘테이너내로 도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밑판(21)의 하방측 다리부에는 노치(231k)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는 결합 밴드(61)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고, 결합 밴드(61)는, 밑판(21) 등의 다리부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절단되기 어렵고, 옆방향으로 벗어나기 어렵다.
한편, 본 실시예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에 있어서는, 코일 선단에 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의 선단 고정 부재는, 슬라이드 레일(27)과 이동 억제 부재(28)로 이루어지며, 좌우로 한쌍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 36, 도 37, 도 39 및 도 40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밑판(21)상의 캠버 부재(24p,24q) 사이의 위치에는, 캠버 부재(24p,24q)에 평행한 방향으로 한쌍의 슬라이드 레일(27a,27b)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슬라이드 레일(27a,27b)은, 서로 50㎝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위치에서 각각 외측으로 향해서 상기 측단 가이드(233a,233b)에 도달할 때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레일(27a,27b)에는 각각 이동 억제 부재(28a,28b)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직립되어 있다. 이들 이동 억제 부재(28a,28b)의 상단은, 캠버 부재(24p,24q)의 상단의 위치에 비하여 낮거나 또는 동등한 높이인 것이다. 또한, 이 상단부는 수직하게 직립되어 있어도 좋고, 외측으로 구부러져 있어도 좋다.
이 이동 억제 부재(28a,28b)는 이동 억제 부재를 관통하여 슬라이드 레일(27a, 27b)에 향하는 볼트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레일(27a,27b)중에 블록이 수용되어 있고, 그 블록의 중앙으로 볼트가 들어가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볼트를 돌려 블록과 결합시킴으로써, 블록은 상방으로 올라가며, 블록과 슬라이드 레일의 상틀의 하면 등이 접촉하여, 이동 억제 부재(28a,28b)를 슬라이드 레일(27a,27b)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코일형 중량물 팰리트(2)는, 이동 억제 부재(28a,28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캠버 부재(24p,24q)의 경사면에 원통측면을 접지시켜서 코일을 배치시킨 경우, 그 코일단면을 이동 억제 부재(28a,28b)에 끼워 넣고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억제 부재(28a,28b)는, 슬라이드 레일(27a,27b)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볼트로 소정의 위치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폭의 코일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레일은, 적재부에 결합되는 위치에서부터 적재부의 단부를 초과하는 범위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한쌍의 이동 억제 부재는 적재부 보다 폭이 좁은 코일형 중량물에도, 적재부보다 폭이 넓은 코일형 중량물에도 대응할 수 있고, 그 단변을 끼워 넣을 수가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는, 도 26∼도 40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22a,22b)상의 보조완부(231p,231q)를 끼우는 위치에 적층지지부(29)를 구비한다.
이 적층지지부(29)는 기둥형상인 부재이고, 다리부(22a,22b)상의 보조완부(231p,231q)를 끼우는 위치에 합계 4개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적층지지부(29)의 하단은 다리부(22a,22b)를 관통하여 오목형상으로 설치된 하단면이 다리부(22a,22b)의 밑면(하단면)과 대략 일치하는 위치로 되어 있고, 한편, 상부는 보조지지기둥(291)에 의하여 캠버 부재(24p,24q)의 전후단면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적층지지부(29)는 그의 하단이 다리부(22a,22b)의 하단면과 대략 일치하는 위치에 있고, 상단의 높이가 캠버 부재(24p,24q)의 상단 보다 수㎝ 높은 위치에 있다. 그리고, 상단면은 볼록구면상으로, 하단면은 오목구면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는 이 적층지지부(29)에 의하여 적층시킬 수 있다. 즉, 바닥면에 배치시킨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의 4개의 적층지지부(29)의 상단으로, 다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의 적층지지부(29)의 하단을 두도록 하여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을 운반한 후에 빈 팰리트들을 다수 적층해서 콤팩트하게 하여 되돌려 보낼 수 있다.
또한,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을 지지하는 적재부는,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코일형 중량물이 구르는 일이 없고, 코일형 중량물이 안정하게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이 마주보는 경사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코일형 중량물이 다소 동요되어도 최종적으로는 중력에 끌려서 한쌍의 적재부의 중앙 위치 근처에 정착하게 된다. 더욱이, 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에 의하면, 상기에 표시하는 고정작업을 생략한 경우에도, 코일의 하물로부터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으며, 손상없이 수송할 수 있다.
(2)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로의 코일형 중량물의 고정방법
본 실시예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에 코일을 고정하는 경우는, 우선, 도 5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패킹이 끝난 코일(C)을 캠버 부재(24p,24q)의 경사면상에 설치되게 한다. 그리고, 도 52 및 도 53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결합 밴드(61)를 사용하여, 코일(C)과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가 일체로 되도록, 코일의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묶어서 고정한다. 이 때, 결합 밴드(61)는 상술한 밑판(21)의 하면각의 노치(231k)를 통과하여 배치된다.
다음에, 이동억부재(28a,28b)를 슬라이드 레일(27a,27b)상을 이동시켜서, 도 5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코일(C)의 양단면이 끼워지도록 배치한다. 이어서, 볼트를 사용하여 그 위치에서 코일(C)를 고정한다.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에 대하여 도 5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동 억제 부재(28a,28b)에 의하여,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의 상면에 적재되고 고정된 코일(C)의 좌우방향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또한, 전후위치로 코일(C)의 곡면을 끼워 넣는 캠버 부재(24p, 24q) 및 결합 밴드(61) 등에 의하여, 코일(C)이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코일(C)을 텅 등으로 들어올려서,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2)마다 이동시킬 수 있다.
(3) 중량물 반송차
도 44∼도 46에 표시하는 본 실시예의 반송차(1)는, 박판 코일(C)을 팰리트에 적재하여 반송하는 반송차이고, 실시예1의 반송차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단, 실시예1의 반송차와는, 일부 배관부(14)의 구성 등이 달라져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반송차(1)에 있어서는, 레귤레이터(142)가 노출되어 제2빔부재(133)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레귤레이터(142)의 각 출구는 에어베어링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 도 4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우측앞의 에어베어링(12a)과 연결되어 있는 레귤레이터(142)의 우측앞의 출구를 출구(142a), 우측뒤의 에어베어링(12b)과 접속되어 있는 우측뒤의 출구를 출구(142b)라고 호칭하는 것으로 하고, 좌측앞의 에어베어링(12c)과 접속되어 있는 좌측앞의 출구를 출구(142c), 좌측뒤의 에어베어링(12d)과 접속되어 있는 좌측뒤의 출구를 출구(142d)라고 호칭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 44∼도 4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우측앞의 에어베어링(12a)과 레귤레이터(142)의 우측앞의 출구(142a) 등을 연결하는 배관을 배관(14a)으로 하고, 에어베어링(12b)과 출구(142b) 등을 연결하는 배관을 배관(14b)으로 하고, 에어베어링(12b)과 출구(142b) 등을 연결하는 배관을 배관(14b)으로 하고, 마찬가지로, 배관(14c), 배관(14d)를 결정한다.
실시예1에 있어서는, 상기 배관(14a,14b,14c,14d)은 각각 독립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의 반송차(1)에는, 도 41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관(14d)과 배관(14b), 배관(14c)과 배관(14a), 배관(14c)과 배관(14d), 배관(14a)과 배관(14b)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을 연결하는 배관(14d,14c,14cd, 14ad)은 유량조절이 가능한 밸브를 보유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반송차의 반송차(1)는 실시예1의 반송차(1)와 마찬가지로, 조이스틱(143)에 의하여 반송차(1)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반송차(1)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베어링의 설치간격의 거리가, 적재되는 중량물의 무게 중심 높이의 거리보다 좁으면 에어를 공급하여 들어올린 경우, 밸런스를 조절하기 곤란하며, 전후좌우로 동요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자세 제어를 자동으로 실시하게 되는 경우에 특히 문제로 되고, 자세 제어의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제어계의 응답이 과민하므로 발생된다.
배관(14ac,14bd)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좌우의 에어베어링으로의 배관 (14a)와 (14c), (14b)와 (14d) 및 전후의 에어베어링으로의 배관 (14c)와 (14d), (14a)와 (14b)를 연결함으로써, 이들 배관 사이에서 기체가 왕래할 수 있도록 하여 유량의 변화를 완화하여, 반송차(1)의 제어계의 응답을 둔화시킨다. 그 결과, 자세 제어가 안정되며 작업자로서도 보다 조작이 쉬어진다.
이들 배관(14ac,14bd,14cd,14ab)에 설치된 밸브를 조정함으로써, 자세 제어형의 응답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 배관(14a,14b,14c,14d)을 서로 연결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47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배관을 유연성이 있는 호오스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로 하면, 반송차(1)의 제조가 쉽게 되고, 또한, 배관의 교환, 청소가 쉽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반송차(1)에 있어서, 도 4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부재(15)를 좌우로 한쌍을 보유하므로, 지지대(11)상의 결정된 위치에 의하여 팰리트(2)가 확실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반송차(1)에 있어서는, 레귤레이터(142)의 입구(1421)로부터 우측으로 배관이 연장되고, 매니폴드(141)가 핸들부(13)의 우단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매니폴드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호오스가 연결된 경우에도, 호오스가 작업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다.
더욱이, 레귤레이터(142)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배관의 중간에 ON/OFF 스위치(144)가 레버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자세 제어를 실시하는 조이스틱(143)과는 떨어진 위치로 ON/OFF 스위치(14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세 제어 때문에 조이스틱(143)을 조작하고 있는 도중에 잘못해서 ON/OFF 스위치(144)에 접속될 우려가 적다.
(4)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도 41∼도 43에 표시하는 본 실시예의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7)는, 실시예1의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지만, 콘테이너를 지지하는 기구 등이 변경되어 있는 것이다.
이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7)는, 스테이지 본체(71), 스테이지 본체(71)에 구비된 지지기둥(72) 및 테이블(73)으로 이루어진다. 스테이지 본체(71)는, 실시예1의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의 스테이지 본체(41)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도 36∼도 3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이트 권취 리일(713)은, 스테이지 본체(41) 상면의 상대적으로 뒷부분에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이트 권취 리일(713)에는 수지시이트(5)가 권취되어 있다. 수지시이트(5)는 폭, 길이 등이 상술한 것과 거의 같은 구성이고, 시이트 권취 리일(713)에 권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방으로 인출되어서, 후술하는 테이블(73)의 슬릿(733)을 통하여 테이블(73)상으로 인출된다.
지지기둥(72)는 스테이지 본체(71)의 전방좌우의 모퉁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좌측기둥(721L) 및 우측기둥(721R)을 보유한다. 이 좌측기둥(721L) 및 우측기둥(721R)의 높이는 1295㎜이고, 실시예1과 같이 섀시 상에 적재된 콘테이너를 넘는 것과 같은 높이를 보유하는 것은 아니다. 이 좌측기둥(721L) 및 우측기둥(721R)은 섀시(S) 상에 적재된 콘테이너(B)가 좌우에서 끼워 넣을 수 있는 거리로 서로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다.
우측기둥(721R)에는 전후 한쌍의 가이드레일(722R,722R)이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48∼도 50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722R,722R)상에는 이들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부(723R)가 구비되어 있고, 슬라이드부는 가이드레일(722R,722R)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또한, 슬라이드부(723R)는 하부에서 로울러로 스크류잭(724R)에 지지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부(723R)에는 내측, 즉 마주보는 좌측기둥(721L)의 방향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는 결합 부재(725)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결합 부재(725)는 대략 원주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측은 모서리가 테이퍼 형상이 되도록 떨어져 있다.
한편, 슬라이드부(723R)를 하부에서 로울러로 지지하는 스크류잭(724R)은 후방에 설치된 에어모우터(726)에 연결되어 있고, 이 에어모우터(726)에 의하여 구동된다. 슬라이드부(723R)는 이 스크류잭(724R)에 의하여 가이드레일(722R,722R)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좌측기둥(721L)측의 스크류잭(724L), 좌우방향으로 걸쳐진 로드를 통하여 역시 상기 스크류잭(724L)의 후방에 설치된 에어모우터(726)와 연결되어 있고, 이 에어모우터(726)에 의하여 구동된다.
한편, 스테이지 본체(71) 상면에 설치되는 테이블(73)은, 실시예1의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의 테이블(43)과 유사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후방에 슬릿(733)을 구비하며, 슬릿(733)의 후방에 데크(73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방에는 플랩(73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테이블(73)이 구비하는 가이드(732L,732R)는, 실시예1의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4)의 경우와는 다르고, 도 41∼도 43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전방이 테이블(73)로부터 초과하는 범위로 돌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슬릿(733)은, 상기 수지시이트(5)를 통과할 수 있는 수㎝ 폭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구멍으로서, 상기 시이트 권취 리일(713)의 상방보다 약간 앞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시이트 권취 리일(713)에서 인출된 수지시이트(5)는, 이 슬릿(733)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인출되며, 테이블(73)의 상면 및 콘테이너(B) 바닥면으로 깔려진다.
데크(734)는 그 상면이 테이블(73)의 상면과 동일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호오스의 권취 리일(735)을,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사다리(73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데크(734)는 작업자가 대기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고, 작업자는 좌우측면의 사다리(736)를 사용하여 데크(734)에 오르내리게 된다.
호오스 권취 리일(735)에는, 중량물 반송차(1)에 압축공기를 반송하기 위한 호오스가 권취되어 있고, 호오스의 한쪽 끝은, 호오스의 권취 리일(735)에 연결되어 있다. 호오스 권취 리일(735)은, 별도의 에어호오스 연결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압축공기 공급원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에어호오스가 그 에어호오스 연결기에 연결된다. 그리고, 호오스의 권취 리일(735)에 권취되어 있는 상기 호오스는 상방에서 인출되어서 중량물 반송차(1)에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공급한다(도 41참조).
테이블(73) 앞부분에는, 도 42에 표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73)의 앞변을 축으로서 회전가능하게 플랩(737)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랩(737)은 테이블(73)과 대략 마찬가지의 폭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7)가 콘테이너에 연결된 경우에, 테이블(73)에서 콘테이너 입구의 바닥면으로 걸쳐진다.
이 플랩(737)에 의하여 테이블(73) 전단과 콘테이너 사이의 간극이 막히게 되고, 상기 수지시이트(5)는 테이블(73)로부터 콘테이너 바닥면에 이르기까지 간극이 없고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수지시이트(5)는, 중량물 반송차(1) 등의 중량을 그 자신으로 지지할 필요가 없다.
(5) 코일의 반송방법 및 코일의 콘테이너로의 반출입방법
본 실시예의 코일의 반송방법은, 실시예1의 코일의 반송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도 51∼도 5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미리 텅 등으로 코일(C)을 팰리트(2)상에 적재하고, 이것을 밴드에 의하여 고정하여 두고, 다음에, 반송차(1)와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7) 등에 의하여 코일(C)을 팰리트(2)마다 콘테이너내로 반입하는 것이다.
(a) 콘테이너로의 코일의 반입방법
우선, 섀시(S)상에 적재된 드라이 콘테이너(B)의 개구를 개방한다.
다음에, 결합 부재(725,725)에 의하여 드라이 콘테이너(B)의 개구측 하부 측면의 모서리 금속 부재를 결합시킨다. 즉, 도 4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잭(724L,724R)으로 슬라이드부(723R,723L)를 가이드레일(722R,722L)을 따라서 상하로 위치하게 하여 드라이 콘테이너(B)의 개구측 하부의 모서리 금속 부재와 결합 부재(725)의 상하 전후 방향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킨다.
이어서,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7)를 이동시켜서, 도 57 및 도 48∼도 5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기둥(72)의 우측기둥 및 좌측기둥(721R,721L) 사이에 드라이 콘테이너(B)의 단부를 끼워 넣도록 한다. 그리고, 차륜용 유압실린더(711)를 수축시켜서 스테이지 본체(71)를 설치시킨다.
또한, 이때, 드라이 콘테이너(B)의 개구측 하부의 모서리 금속 부재와 좌측기둥(721L), 우측기둥(721R)의 걸림부재(725)의 전후방향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스테이지 본체(71)를 설치시킨다.
또한, 테이블(73)을 지지하는 지지잭(731a∼d)은 최대로 신장되어 있고, 테이블(73)은 콘테이너(B)의 바닥면의 높이에 대하여 수㎝ 상방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좌측기둥(721L)과 우측기둥(721R)에서 드라이 콘테이너(B)의 개구측 단부를 끼워 넣도록 하면, 플랩(737)은 콘테이너(B)의 바닥면에서 수십㎝ 떨어진 높이에서 콘테이너(B)의 개구내로 삽입된다.
그리고, 도 149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725)를 콘테이너(B)의 모서리 금속 부재으로 향하여 밀어내어 모서리 금속 부재의 구멍으로 삽입한다.
더욱이, 도 50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잭(724L,724R)으로 슬라이드부(723R, 723L)를 가이드레일(722R,722L)을 따라 밀어올려 섀시(S)의 서스펜션의 스프링이 최대로 신장될 때까지, 콘테이너(B) 및 섀시(S)를 치켜올린다.
다음에, 테이블(73)의 지지잭(731a∼d)을 수축시켜, 테이블(73) 상면의 높이를 콘테이너(B)의 바닥면의 높이와 일치시킨다. 이때, 플랩(737)이 콘테이너(B)의 개구내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콘테이너(B)의 바닥면에 접지하도록 지지잭(731a∼d)을 수축시킴으로써, 쉽게 테이블(73) 상면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73) 상면이 수평하게 되도록 지지잭(731a∼d)을 조정한다.
또한, 플랩(737)은, 테이블(73) 전단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테이블(73)을 콘테이너(B)의 바닥면 보다 낮게 되는 경우에도, 장치가 파괴되는 일이 없다.
그 다음에, 시이트 권취 리일(713)에 권취되어 있는 수지시이트(또한, 시이트 선단은 슬릿을 통하여 스테이지상으로 나와 있다)(5)를 슬릿(733)을 통하여 콘테이너(B)를 따라서 늘리고, 콘테이너(B)내로 확장시킨다(도 57에 있어서 생략).
수지시이트(5)의 선단은 콘테이너(B)의 가장 깊숙한 곳까지 도달하도록 한다.
한편, 테이블(73)상에는 반송차(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차(1)의 매니폴드(141)에는 호오스가 연결되어 있고, 반송차(1)에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반송차(1)는 이 시점에서는 아직도 부상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도 54∼도 57에 표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73)상에 배치된 반송차(1)의 지지대(11)상으로 팰리트(2)상에 고정된 박판 코일(C)을 텅 등에 의하여 팰리트(2)마다 배치한다. 이때에, 박판 코일(C)을 적재한 팰리트(2)는, 팰리트(2)의 캠버 부재(24p,24q)의 하방의 공간으로 반송차(1)의 지지대(11)가 위치하도록, 다리부(22a,22b)가 지지대(11)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5 및 도 56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팰리트(2)와 지지대(11) 상면 사이에 막대 형상 부재인 결합 부재(3)를 전후방향을 따라서 4개 배치한다. 이 때, 실시예1의 경우과 마찬가지로, 결합 부재(3)의 상면과 팰리트(2) 하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고, 팰리트(2) 및 코일(C)의 중량은 지지대(11)에는 가해지지 않고, 다리부(22a,22b)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도 5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경우과 마찬가지로, 반송차(1)에 의하여 박판 코일(C)을 콘테이너(B)내로 반입한다.
또한, 도 55∼도 57에 있어서는, 도 42에 표시하는 반송차가 사용되어 있지만, 도 39∼도 41에 표시하는 반송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관(14ac,14bd,14cd, 14ad)에 설치된 밸브에 의하여, 반송차의 자세 제어의 응답성을 조정하여, 박판 코일(C)을 콘테이너(B)내로 반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콘테이너(B)내로부터 수지시이트(5)를 제거하고, 시이트권취리일(713)에 권취한다. 그리고, 지지기둥(72)의 스크류잭(724L,724R)을 수축시켜, 콘테이너(B) 및 섀시(S)의 서스펜션으로 중량을 지지하도록 하여, 결합 부재(725,725)를 인입하여 그 결합을 해제한다. 이어서, 테이블(73)상에 반송차(1)를 적재한 상태로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7)를 섀시(S) 및 콘테이너(B)로부터 분리시킨 후, 콘테이너(B)의 개구를 차단시킨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섀시 상의 드라이 콘테이너에 박판 코일을 반입한다.
(b) 콘테이너로부터의 코일의 반출방법
콘테이너로부터의 코일의 반출방법에 대해서는, 실시예1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6) 본 실시예의 효과
본 실시예의 코일의 반송방법에 의하면, 실시예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지만, 그 외에 하기한 바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콘테이너 개구부 하측의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 모서리 금속 부재를 사용하여 섀시 및 콘테이너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스크류잭(724L, 724R), 결합 부재(725) 등의 구조를 장치 하부에 배치할 수 있고, 장치 전체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자체를 콘테이너로 반송하는 경우에, 콘테이너에 수납하기 쉽고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7)는, 플랩(737)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테이블(73)과 콘테이너(B) 바닥면 사이에 단차가 생기는 경우에도, 이를 완만한 모양으로 연결할 수 있고, 더욱이, 게다가 수지시이트(5)가 바닥에 배치되므로,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부상하는 반송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밑면이 테이블(73)이나 콘테이너(B) 바닥면과 접촉하거나, 자세가 흐트러지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된 부상형 반송차는 전후좌우의 4개의 배기 노즐의 4개의 세트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적재되는 중량물의 전후좌우의 자세의 제어를 확실하고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로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 용도에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된 별도의 실시형태를 취할 수 있다.
(1) 팰리트에 대하여
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는, 실시예에 표시된 형상 뿐만 아니라, 임의의 형상, 크기 등으로 할 수 있다. 결국, 적재부의 코일지지부는 경사면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하는 코일의 곡면에 따른 만곡면을 구비하는 코일지지부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팰리트 본체에 있어서도, 우물정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평판형상이나 상자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하부 개방 공간에 있어서도, 측쪽을 2쪽 이상 개방하거나, 한쪽만 개방하고 있어도 좋다. 이때, 고정 밴드를 사용하는 경우는, 벽면으로 되는 측면에 홈을 설치하거나 구멍을 뚫는 등과 같이 하여 밴드를 통과시킴으로써 코일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팰리트의 크기는 실시예에 표시된 콘테이너의 안쪽으로의 4등분한 형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2등분, 3등분, 5등분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크기의 팰리트를 사용하는 경우, 가는 코일은 콘테이너내로의 적재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굵은 코일의 경우라도 팰리트로부터 돌출하여 나오지 않도록 적재할 수 있고, 코일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한 팰리트를 사용하여 낭비없이 콘테이너내로 적재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크기의 팰리트들을 조합하여 팰리트내로 수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콘테이너의 안쪽으로의 길이의 6분의 1, 6분의 2(3분의 1) 및 6분의 3(2분의 1)의 크기의 팰리트를 조합시킴으로써, 콘테이너내로 여분의 간극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이 코일을 적재한 팰리트들을 수납시킬 수 있다. 또한, 크기가 각각 5분의 1, 5분의 2 등으로 한 팰리트들을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팰리트는 실시예에 표시된 20피트 드라이 콘테이너 뿐만 아니라, 크기가 다른 40피트 드라이 콘테이너 등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오픈 톱 콘테이너 등에 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팰리트에 놓이는 코일의 중량은, 예컨대 100㎏ 이상으로 할 수 있고, 100㎏∼100ton 정도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더욱이, 100㎏∼50ton 정도의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는 1ton∼20ton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본 팰리트에 놓이는 코일의 기둥길이는, 코일지지부의 길이보다 길어도 좋다. 결국, 코일 좌우의 편단 또는 양단이 코일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나와 있어도 좋다. 본 팰리트는, 접하고 있는 코일지지부의 일부에 코일을 고정할 수 있으면 충분하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이 고정에 지장을 받지 않는 범위에서, 코일의 직경이나 중량을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1에 관한 이동 억제 부재도 コ자 형태 이외의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임의의 설치 방법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막대(26c)를 핀(261c)으로 이동 억제 부재(25)로 고정함으로써 이동 억제 부재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억제 부재를 볼트로 고정시키는 것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는 방법이 열거된다. 또한, 실시예2에 관한 이동 억제 부재도 여러가지의 형상, 크기, 직립 높이 등으로 할 수 있다.
밴드 삽입 통로내의 고정 밴드를 밴드 삽입 구멍으로부터 꺼내는 경우, 도 8 및 도 9에 표시하게 되는 밴드를 꺼내는 기구(244)를 설치함으로써, 고정 밴드를 쉽게 꺼낼 수 있다. 이 밴드를 꺼내는 기구(244)는 평판 형상이고, 밴드 삽입 구멍(241)내로 설치된 고정공(243)으로 삽입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밴드 삽입 통로(241)의 선단부를 경사 형상으로 할 수 있고, 고정 밴드(62)가 불필요한 장소에서 밴드 삽입 통로(241)내를 삽입되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밴드 삽입 구멍의 형상은 사용하는 밴드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고, 개구형상을 직사각형상, 정사각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등을 예로서 열거할 수 있다. 또한, 밴드 삽입 구멍에는 밴드 삽입 구멍으로부터 밴드를 쉽게 꺼내기 위한 밴드 꺼내는 기구를 밴드 삽입 구멍 또는 밴드 삽입 통로에 설치할 수 있다. 이것은 밴드를 꺼내기 쉽도록 경사된 형태라면 특별히 형상이나 크기가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삽입 통로 밑면에서 삽입 구멍 단부를 막대 부재나 판 부재 등으로 연결하여, 가이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밴드 삽입 구멍을 팰리트의 좌우방향으로 긴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 삽입 구멍은 밴드를 꺼내기 쉽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좌우의 밴드 삽입 구멍 사이와 코일의 축 길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등에 의하여, 밴드 삽입 구멍 주변에 밴드가 걸리게 되면, 그 주변으로 부하가 걸리므로 변형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표시하는 구멍이 긴 밴드 삽입 구멍을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팰리트는 이동 억제 부재로 코일의 이동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게 되면 고정 밴드에 의한 코일의 고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좋다. 이때,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팰리트로부터 밴드 삽입 통로 및 밴드 삽입 구멍을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1에서 설치되어 있는 보조다리부(232a,232b)는, 다리부에서 충분히 충중량을 지지할 수 있으면, 도 11 및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완부의 모퉁이를,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테이퍼된 형태로 하면, 콘테이너내에서 반출입할 때에 콘테이너의 벽면에 바람직하지 않은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2에 있어서 사용된 적층지지부를 실시예1에 따른 팰리트에 적용하여도 좋고, 밑판(21)에 설치된 노치(231k)를 실시예1에 관한 밑판에 설치해도 좋다. 더욱이, 실시예1에서 사용된 보조완부(231p,231q)의 다리부가 테이퍼되도록 하여, 실시예2의 팰리트와 마찬가지로 설비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여도 좋다.
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는, 도 1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적재부(2m)와 다리부(2f) 등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가능한 팰리트는, 코일의 크기에 맞춘 적절한 코일지지부를 구비한 적재부를 준비함으로써, 다리부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콘테이너(5)의 크기에 맞춘 다리부를 준비함으로써, 공통된 형상 및 크기의 적재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분리가능한 각각의 적재부 및 다리부의 고정방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예로서 나사 고정 등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본 팰리트는, 반송장치로 반송할 뿐만 아니라,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있는 크레인이나 대형 포오크리프트 등의 반송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반송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하부 개방 공간으로부터 갈고리 등을 삽입시켜 본 팰리트를 지지함으로써, 팰리트상의 코일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안정하게 반송할 수 있다.
더욱이, 다리부의 선단에는, 다리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인접물을 확실하게 지지하고, 본 팰리트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판을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리부의 폭넓은 이동방지판을 설치함으로써, 팰리트가 반송용의 간극의 범상에서 하물이 이탈된 경우에서도, 각 다리부에 설치된 각 이동 방지 부재에 의해서 본 팰리트의 다리부가 서로 엇갈리게 되어 있어 하물의 이탈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2에서 표시하는 밑판(21)에 설치된 노치(231k)를 실시예1에 따른 밑판에 설치해도 좋다. 더욱이, 실시예1에서 사용된 보조완부(231p, 231q)의 모서리가 테이퍼되도록하여, 실시예2의 팰리트와 마찬가지로, 설비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참고예로는, 상기 코일형 중량물 대신에 비코일형상, 즉 단일 성형물 등으로 된 원통 형상 중량물이나 원주 형상 중량물 등과 더불어 1개의 막대 형상 중량물 또는 막대 형상체를 묶어서 얻어지는 집합중량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에 사용되는 팰리트의 적재부의 형상은, 사용되는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2) 팰리트의 설치구조체에 대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상태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를 사용한 아래와 같은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설치구조체를 고려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또는 제2상태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를 수용하는 수송용기, 및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에 적재되는 코일형 중량물 등으로 이루어진 수송용기로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설치구조체로서,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중 1이상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에는 코일형 중량물이 적재되어 있고, 수송용기내에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가 수송용기 내부의 평면형상인 크기와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로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설치구조체이다(도 25, 도 32 및 도 35참조).
(3) 콘테이너 내의 팰리트의 구조에 대하여
본 발명의 스테이지상에서 사용하는 반송차에 의하여 콘테이너내로 반송되며, 수송 중의 콘테이너내에서 중량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팰리트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아래의 각종의 팰리트는 어느 것이나 서로 조합시켜 콘테이너 바닥면에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들을 사용하여 중량물의 반송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콘테이너내에 있어서 팰리트의 위치가 고정되고, 콘테이너내에 있어서 빈틈없는 고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아래의 팰리트들에서는 바닥면에 대하여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므로, 그 공간내로 부상식 반송차를 삽입시키고, 삽입된 반송차의 바닥면에서의 부상의 높이를 변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반송차에 팰리트를 상술한 부상식 반송차 및 본 발명의 스테이지와 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섀시 상의 콘테이너내로 효율적으로 중량물을 반입하고, 또한, 콘테이너내로부터 효율적으로 중량물을 반출할 수 있다.
(ⅰ) 제1상태
제1상태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는,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수송용기내로 수용되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에 있어서,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가, 팰리트 본체, 및 팰리트 본체상에 배치되고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 측면과 접하여 코일형 중량물을 지지하는 적재부를 구비하고, 팰리트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그의 하방 또는 한쪽 측방이 개방되어 있는 하부 개방 공간을 보유하며,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상부에는 코일형 중량물을 팰리트 본체에 고정하는 코일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갯수가 1개인 경우,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1개의 크기가 수송용기 내부의 평면 크기와 대략 일치하고,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갯수가 2개 이상인 경우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을 조합한 크기가 수송용기 내부의 평면 크기와 대략 일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도 1∼도 11참조).
(ⅱ) 제2상태
제2상태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는, 제1상태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에 있어서, 적재부가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본체로부터 착탈가능한 것이다(도 8참조).
(ⅲ) 제3상태
제3상태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는, 제1상태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에 있어서, 코일 고정 부재가 코일을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밴드 또는 코일의 양단측에 설치되는 이동 억제 부재인 것이다.
이 이동 억제 부재로서, 예컨대, 이동 억제 부재 가이드에 착탈이능하게 장착되는 신장 부재(도 1에 표시하는 コ자 형상물 26a,26b 또는 막대 형상물 등)로 할 수 있고, 도 36 및 도 37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직립 부재(28a,28b)로 할 수 있다. 슬라이드 가능한 이동 억제 부재에서는, 보통, 한쌍의 적재부 사이에, 그 경사면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한쌍의 적재부가 마주보는 방향과는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있고, 슬라이드가 한쌍의 적재부에 끼워지는 위치로부터 한쌍의 적재부의 선단부를 초과하는 범위까지 연장되어 있고, 슬라이드 레일에는 한쌍의 이동 억제 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직립되어 있고, 이동 억제 부재가, 경사면의 하단 보다 높은 위치까지 이르는 높이인 것 등으로 할 수 있다.
(ⅳ) 제4상태
제4상태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는, 팰리트 본체에는 4개 이상의 기둥형상의 적층지지부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형 중량물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팰리트의 상하로 다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이 적층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도 36∼도 38참조).
이 적층지지부의 갯수는 보통 4개로 되어 있지만, 이에 더욱 추가하여도 좋고, 이 4개의 배열은 보통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되는 것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다른 팰리트들을 상하로 적층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다른 팰리트들도 모든 적층지지부가 각각 대응하는 위치로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적층지지부의 상면 및 하면의 형상은 서로 벗어나기 어려운 것이라면 좋고, 예컨대, (1) 양쪽이 모두 평면인 경우, (2) 한쪽이 볼록면(볼록구면 등)이고, 다른쪽이 이 볼록면에 대응하는 오목면(오목구면 등)인 경우(도 36참조), 또는 (3) 상면은 평면인 결합용 볼록부를 구비한 것이고, 하면은 이것에 대응하는 결합용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적층지지부는 상기 실시예1의 팰리트에 적용하여도 좋다.
(ⅴ) 제5상태
제5상태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는, 적재부가 경사면을 보유하고 있고, 경사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이 설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적재부의 사이에는, 경사면의 하단 보다 낮은 위치에, 한쌍의 적재부가 마주보는 방향과는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있고, 슬라이드 레일은 한쌍의 적재부에 끼워지는 위치에서 한쌍의 적재부의 선단부를 초과하는 범위까지 연장되어 있고, 슬라이드 레일에는 한쌍의 이동 억제 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직립되어 있고, 이동 억제 부재는 경사면의 하단 보다 높은 위치에 이르는 높이인 것이다.
(4) 반송차에 대하여
본 발명의 스테이지상에 있어서 사용하는 반송차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이하의 각종 중량물 반송차는 어느 것이나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것이므로, 넓은 바닥면에 의하여 그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륜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차륜과 바닥과의 접지점에 하중이 집중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그 중량에 의하여 바닥면을 파괴할 가능성이 낮다.
또한, 아래의 중량물 반송차는, 기체의 배출에 의하여 지지대를 부상시켜 중량물의 무게중심 바로 아래에서 힘을 작용시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것이므로, 중량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와 중량물이 적재된 상태 사이에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가 크게 변화하지 않고,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종래의 반송차와 같이, 장치의 무게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경우는,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의 밸런스를 확보하기 위하여 자체 중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거나, 또는 포오크리프트를 사용하는 경우, 하물과 반대측으로 카운터 밸런스를 구비할 필요가 있으나, 본 발명의 중량물 반송차에 있어서는, 이러한 여분의 중량이 불필요하며, 따라서, 중량을 감당하는 바닥면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보다 낮다. 또한, 장치 자체도 작게 할 수 있고, 좁은 공간내로 중량물을 운반하는 데도 적합하다.
더욱이, 기체에 의하여 부상시켜서 하물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이므로, 수평방향의 이동시에 마찰저항이 적고, 쉽게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10ton 정도의 중량물이 놓여진 경우에도 인력에 의하여 안정한 상태로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에 의하여 부상시켜서 하물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이므로, 적재하는 중량물의 무게중심위치가 다양하게 달라지게 되는 경우에도, 기체의 유량,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안정하게 하물의 반송을 실시할 수 있다.
보통, 부상식 반송차는 바닥면의 단차를 뛰어넘는 데는 곤란이 따르지만, 본 발명의 스테이지의 경우는, 콘테이너에 중량물을 적재하고 있어도, 스테이지 상면과 콘테이너 바닥면 사이에 단차가 생기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하기 부상식 반송차를 본 스테이지상에 적재하고, 스테이지 상에 중량물을 적재하여, 반송차로 콘테이너내로 반입하는 것으로 하면, 효율적으로 중량물의 반입을 실시할 수 있다. 콘테이너내로부터의 중량물의 반출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ⅰ) 제1상태
제1상태의 중량물 반송차는, 팰리트를 들어올리기 위한 지지대, 및 지지대 하면에 설치되어 소정 압력으로 바닥면을 향해 기체를 분출하는 배기 노즐 등을 구비하여, 중량물이 적재된 팰리트가 지지대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기체를 배출시켜 지지대를 바닥면에서 부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12∼도 16참조).
(ⅱ) 제2상태
제2상태의 중량물 반송차는, 제1상태에 기재된 중량물 반송차로서, 복수의 배기 노즐, 복수의 배기 노즐에 각각 설치되어 배기 노즐의 배기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및 복수의 밸브의 개도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조종 레버 등을 구비하고, 조종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지지대의 자세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도 12∼도 16 및 도 19∼도 21참조).
(ⅲ) 제3상태
제3상태의 중량물 반송차는, 제1 또는 제2상태의 중량물 반송차로서, 복수의 배기 노즐이 4개의 세트로 구분되며, 4개의 세트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도 12∼도 16참조).
제3상태에 있어서, 배기 노즐의 수는 4개 이상이면 좋고, 각 세트 1개씩 합계 4개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노즐을 지지대의 전후좌우에 위치하는 4개의 세트로 구분하여 배치된 경우에, 좌우노즐의 세트의 기체분출량을 조작함으로써, 지지대의 로울각(전후방향의 축에 있어서의 좌우의 경사각)을 제어할 수 있고, 전후의 노즐의 세트의 기체분출량을 조작함으로써, 지지대의 피치각(좌우방향의 축에 있어서의 전후의 경사각)울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노즐의 세트의 위치가 각각 지지대의 전후좌우가 아닌 경우에도, 각 세트의 기체분출량의 제어를 연동시킴으로서, 마찬가지의 자세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기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조종장치에 대해서는, 조종 레버 대신에 트랙보올 등으로 할 수도 있다.
(5) 콘테이너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및 콘테이너로의 중량물 반출입 방법에 대하여본 스테이지에 있어서, 지지기둥은 문 모양으로 한정되지 않고, 콘테이너의 상면 양단의 모서리 금속 부재를 각각 매달아 올리는 2개의 기둥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잭은 각각 독립적으로 신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테이블의 로울각 및 피치각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테이너에 대한 테이블(43)의 위치결정시에는, 가이드(432L,432R) 대신에 테이블(43)의 본체 자체의 선단부분에 의해서 위치결정을 실시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테이블(43) 본체의 선단부분과 콘테이너 등이 접촉하게 된다. 이 때문에, 테이블(43)의 본체와 콘테이너 바닥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고, 테이블(43)과 콘테이너 등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섀시 상의 콘테이너로의 중량물의 반입시에는, 콘테이너 뒷부분(개구측)를 콘테이너 앞부분(개구측에서 보고 깊숙한 곳)에 비하여 높게 하고, 콘테이너 박면을 기울게 하면, 부상식 중량물 반송차에 의한 중량물의 반입시에 경사에 의하여 콘테이너의 깊숙한 곳으로 향해서 작은 힘으로 쉽게 중량물 반송차의 이동을 개시시킬 수 있고, 중량물의 반입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스테이지 상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경사각도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경사각도는 0.2도 이하(0을 포함함, 이하 마찬가지)가 바람직하다. 0.2도를 초과하면 중량물 반송차의 가속도가 커지고, 콘테이너내에서 인력에 의하여 정지시키는 일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콘테이너내의 정지 예정 위치보다도 위쪽에서 중량물 반송차의 기체의 분출량을 교축함으로써 정지시킬 수도 있지만, 정확한 위치로 정지시키는 일은 곤란하다.
또한, 팰리트의 다리부들을 서로 접촉시켜서 중량물 반송차를 정지시킬 수 있지만, 팰리트 파손의 원인으로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경사각도는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내로 되어 있으며, 중량물 및 반송차의 중량에 따라서 보다 크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1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0.4도 이하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섀시 상의 콘테이너로부터의 중량물의 반출시에는, 콘테이너 뒷부분(개구측)을 콘테이너 앞부분(개구측에서 보아 깊숙한 곳)에 비하여 낮게하여, 콘테이너 바닥면을 기울게 하면, 부상식 중량물 반송차에 의한 중량물의 반출시에, 경사에 의해서 콘테이너 개구로 향해서 작은 힘으로 쉽게 중량물 반송차의 이동을 개시시킬 수 있고, 중량물의 반출이 쉽게 된다.
또한, 반송차는 도 8에 표시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의 배출을 제어하는 조종장치에 대해서는, 조종 레버 대신에 트랙 보올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더욱이는, 본 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에 있어서는, 차륜을 보유하는 반송차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지시이트는 콘테이너 1개에 하나씩 배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팰리트 반입 후에 팰리트의 밑에서 수지시이트를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지시이트의 폭을 콘테이너내의 전체에 해당하는 폭으로 할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반송차의 압축공기를 막아낼 수 있다.
또한, 팰리트상에 적재되는 중량물이 박판 코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의 중량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두꺼운 판의 코일, 시이트, 형강(shape steel) 등이다.
중량물은, 예컨대 100㎏ 이상으로 할 수 있고, 100㎏∼100ton 정도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100㎏∼50ton 정도의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는 1ton∼20ton 정도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1 및 2는, 소정의 중량물 반송차를 사용함과 아울러, 소정의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소정의 중량물을 콘테이너로 반출입하는 방법을 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반송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를 사용하지 않고, 이 반송차를 사용하여 소정장소로 중량물을 반송(이동)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표시하는 것 이외의 다른 형태의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및/또는 마찬가지로 다른 상태의 팰리트를 사용하여 중량물을 이동 또는 반송하여도 좋다.
제1발명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에 의하면, 코일형 중량물을 규격화한 모듈로 하고, 측면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콘테이너 내의 고정작업 등의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테이너 내의 공간을 낭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제2발명의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는,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을 지지하는 적재부가,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코일형 중량물이 구르는 일이 없고, 코일형 중량물을 안정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을 마주보는 경사면이 지지하므로, 일정 범위내에서 다양한 외경의 코일형 중량물에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을 마주보는 경사면이 지지하므로, 코일형 중량물이 다소 동요하여도 최종적으로는 중력에 끌려서 한쌍의 적재부의 중앙 위치 근처에 정착하게 된다.
더욱이, 본 팰리트에 의하면, 코일의 하물로부터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고, 손상없이 수송할 수 있다.
제3발명에 따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에 의하면, 적층지지부에 의해서 상하로 팰리트들을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을 반송한 후에는, 빈 팰리트들을 다수 적층시켜 콤팩트하게 하여 되돌려 보낼 수 있다.
제4발명의 중량물 반송차는 기체를 분출시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것이므로, 넓은 바닥면에 의하여 그 중량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륜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차륜과 바닥과의 접지점에 집중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하중에 의하여 바닥면을 파괴할 가능성이 낮다.
또한, 이 중량물 반송차는 기체를 분출시킴으로써 지지대를 부상시켜 중량물의 무게중심 바로 아래에 힘을 작용시켜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것이므로, 중량물이 적재되지 않은 빈 하물 상태와 중량물이 적재된 상태와의 사이에서 전체의 무게중심위치가 크게 변화하지 않고,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종래의 반송차와 같이 장치의 무게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경우,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의 밸런스를 확보하기 위하여 자체 중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거나, 또는, 포오크리프트와 같이 하물과 반대측에 카운터밸런스를 구비할 필요가 있으나, 본 발명의 중량물 반송차에 있어서는, 이러한 여분의 중량이 불필요하고, 중량을 지지하는 바닥면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보다 적다. 또한, 장치 자체도 소형화할 수 있고, 좁은 공간내로 중량물을 반송하는 데도 적합하다.
더욱이, 기체에 의하여 부상시켜서 하물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이므로, 수평방향의 이동시에 마찰저항이 적고, 쉽게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10ton 정도의 중량물이 놓여지는 경우에도, 인력에 의하여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에 의하여 부상시켜서 하물의 중량을 지지하는 것이므로, 적재하는 중량물의 무게중심위치가 다양하게 달라지는 경우에도, 기체의 유량,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안정하게 하물의 반송을 실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중량물 반송차는 복수의 배기 노즐의 각각의 밸브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조종 레버를 구비하므로, 조종자가 쉽게 지지대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제5발명의 중량물 반송차는 배기 노즐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적재되는 중량물의 자세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배기 노즐이 4개소에 각 세트가 구분되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세트의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제어함으로써, 중량물 반송차의 지지대를 부상시킨 상태에서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2축에 대한 경사각을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고, 지지대의 자세 제어를 유효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조종 레버에 의하여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제어할 경우에는, 조종 레버의 2축방향의 경사각, 기울이게 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또는 압력 등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중량물 반송차에 의하면, 자세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에 응답이 과민하게 되는 일이 없고, 제어계가 안정하며, 자세 제어가 쉽고, 게다가, 적재되는 중량물의 좌우전후의 자세의 제어를 확실하고 안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배관은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밸브를 열고 유량을 증대시키면 자세 제어의 응답이 보다 둔하게 되고, 밸브를 좁히고 유량을 감소시키면 응답이 보다 민감하게 된다. 따라서, 자세 제어에 있어서 임의의 응답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중량물 반송차에 의하면, 전후좌우의 4개의 배기 노즐의 4개의 세트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적재되는 중량물의 전후좌우의 자세의 제어를 확실하고 안정하게 할 수 있다.
제6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수송용기의 개구에 인접하여 상면의 높이를 수송용기 바닥면의 높이와 일치시킬 수 있는 테이블을 보유한다. 이 때문에, 테이블 상에 반송차를 대기시켜, 크레인 등의 적재장치에서 반송차 상에 중량물을 적재하고, 반송차에 의하여 측쪽에 개구가 있는 수송용기에 중량물을 반입함으로써, 측쪽에 개구가 있는 수송용기에 대하여, 수송용기가 섀시 상에 적재된 상태로 중량물을 반입할 수 있다.
또한,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테이블 상에 적재된 것의 중량을 독자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설계시에 구비하므로, 설계시에 상정되어 있지 않은 하중이 섀시 및 수송용기에 작용하는 일이 없고, 섀시 및 수송용기의 파손의 우려가 적다.
더욱이,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입출 스테이지는, 섀시 및 수송용기의 높이를 고정하는 지지기둥을 보유하므로, 중량물을 반입하여도 수송용기 바닥면의 높이가 변하지 않고, 테이블 상면의 높이와의 사이에서 단차가 생기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바닥면 위를 주행하는 반송차 등에 의하여, 테이블 상에서 수송용기 내로 안정되게 중량물을 반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의 지지기둥은 모서리 금속 부재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수송용기 및 섀시의 높이를 고정하는 것이므로, 기존의 수송용기 및 섀시를 개조하지 않고 그 높이를 고정한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제7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결합 부재에 의하여 모서리 금속 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복잡한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쉽게 수송용기 및 섀시의 높이를 고정한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수송용기의 상면 모서리에 설치된 모서리 금속 부재를 결합시키는 것이므로, 수송용기가 섀시에 설치될 때에 사용되어 있을 가능성이 낮은 수송용기 상면의 모서리 금속 부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섀시 및 수송용기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보통, 수송용기 상면의 모서리 금속 부재의 위치에 대하여 스테이지의 결합 부재의 위치의 맞춤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수송용기 바닥면이나 수송용기 하면의 모서리 금속 부재의 위치에 대하여 스테이지의 위치 맞춤을 실시하도록 한다.
그러나, 섀시가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경우는, 수송용기가 기울어지는 결과, 수송용기 사면의 모서리 금속 부재의 위치가 하면의 모서리 금속 부재 등에 대하여 상정되는 위치(수송용기 하면의 모서리 금속 부재의 연직 상방)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면의 모서리 금속 부재 등을 기준으로서 스테이지의 위치 맞춤을 실시해도, 수송용기 상면의 모서리 금속 부재의 긴 구멍의 중심위치와 스테이지의 결합 부재의 위치 등이 일치되지 않고, 결합 부재의 모서리 금속 부재로 삽입할 때에, 스테이지 설치 위치의 재조정 또는 결합 부재의 위치의 조정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수송용기의 하측의 모서리 금속 부재에 대해서는 이러한 섀시의 기울기에 기인하는 위치의 벗어남이 작다. 그리고, 제8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수송용기의 하측 좌우의 모서리에 설치된 모서리 금속 부재에 결합 부재를 삽입하고 이것으로 결합시키는 것이므로, 결합 부재의 모서리 금속 부재로 삽입할 때에, 섀시의 기울기에 기인하는 위치의 벗어남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수송용기의 하측 좌우의 모서리 설치된 모서리 금속 부재를 결합시키는 경우, 감시자가 결합 작업 및 결합 상태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작업성이 양호하다.
더욱이, 스테이지에 있어서 지지기둥이나 빔이 불필요하므로, 스테이지 전체 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도 낮출 수 있다.
제9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결합 부재를 출납하는 슬라이드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드부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 승강수단을 구비하므로, 다양한 높이 위치에 있는 수송용기의 모서리 금속 부재의 긴 구멍으로 결합 부재를 삽입하여, 수송용기를 적당한 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제10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에 있어서는, 슬라이드부 승강수단은 슬라이드부를 하부에서 로울러로 지지하고 있을 뿐이므로, 결합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슬라이드부 승강수단으로 휨 모멘트(bending moment)가 전달되는 일이 없다.
또한, 슬라이드부는, 슬라이드부 승강수단에 의하여 지지되고, 가이드레일 상의 상하방향의 2곳 이상에서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므로, 결합 부재에 수송용기의 하중이 작용된 경우에도, 안정되게 결합 부재를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순조롭게 가이드레일 상을 슬라이드할 수 있다.
제11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에 있어서는, 슬라이드부가 각 가이드레일에서 2곳 이상에서 지지되어, 합계 4곳에서 평면적으로 지지되므로, 결합 부재에 수송용기의 하중이 작용되는 경우에도, 3차원적으로 안정되게 결합 부재를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순조롭게 가이드레일 상을 슬라이드할 수 있다.
제12발명의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테이블에 자세 제어 수단을 구비하므로, 테이블을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상으로 반송차 등을 대기시켜, 중량물이 적재되는 경우에도, 테이블의 경사에 의하여 반송차 등이 제멋대로 움직이는 일이 없다.
특히 부상식 반송차의 경우에는, 이동할 때의 저항이 적으므로, 테이블을 수평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3발명의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는, 콘테이너에 사용되므로, 콘테이너의 반출입을 위한 스테이지로서 유용하다.
제14발명 및 제15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에 있어서는, 적재대와 바닥면 사이에서 공간을 보유하는 팰리트 및 결합 부재 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하물 적재 및 하물 하적에 복잡하거나 또는 대규모인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반송차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중량물의 수송용기로의 반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14발명, 제15발명 및 제16발명에 있어서는, 규격화된 팰리트를 사용하므로, 1개 이상의 소정의 갯수로 종횡으로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에, 수송용기내로 간극없이 또는 작은 간극이 생기도록 하여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전후좌우 각측의 접촉부는, 인접하는 팰리트의 마주보는 각측에 있어서 서로 2점 이상에서 접하는 형상이다. 이 때문에 외주 형상이 수송용기 내벽으로 규정되어 있으면, 수송용기내에 적재되고 배열된 팰리트의 배치가 서로 벗어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수송용기내에 있어서 팰리트가 안정적으로 배치되며, 수송용기내에 있어서 특별히 팰리트의 고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그대로 콘테이너 등의 수송용기로의 반송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에 있어서는, 반송차가, 복수의 배기 노즐의 각각의 밸브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조종 레버를 구비하므로, 사람이 쉽게 반송차의 지지대의 자세를 제어하고, 중량물의 반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에 있어서는, 수송용기를 섀시 상에 적재한 상태로 중량물을 수송용기에 효율적으로 반입할 수 있다. 따라서, 수송용기에 의한 중량물의 수송에 있어서, 수송용기를 바닥면상으로 내릴 필요가 없어, 많은 수송시간, 인건비 등이 절약된다.
더욱이, 제17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에 있어서는,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을 지지하는 적재부가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이 배치되어 있는 팰리트를 사용하므로, 코일형 중량물이 구르는 일이 없고, 코일형 중량물을 안정되게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이 마주보는 경사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일정 범위내에서 다양한 외경의 코일형 중량물에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을 마주보는 경사면이 지지하므로, 코일형 중량물이 다소 동요하여도 최종적으로는 중력에 끌려서 한쌍의 적재부의 중앙 위치 근처에 정착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반입방법에 의하면, 코일의 하물로부터의 이탈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손상없이 수송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를 사용하므로, 중량물이 팰리트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제18발명의 반입방법에 의하면, 적층지지부에 의하여 상하로 팰리트들을 적층할 수 있으므로, 중량물을 반송한 후에는, 빈 팰리트들을 다수 적층해서 콤팩트하게 하여 되돌려 보낼 수 있다.
제19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에 의하면, 4개의 배기 노즐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중량물의 자세를 안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후좌우의 4개의 배기 노즐의 4개의 세트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자세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에 응답이 과민하게 되는 일이 없고, 제어계가 안정하며, 자세 제어가 쉽고, 게다가, 적재되는 중량물의 전후좌우의 자세의 제어를 확실하고 안정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배관은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밸브를 열어서 유량을 증가시키면 자세 제어의 응답이 보다 둔하게 되고, 밸브를 좁혀서 유량을 감소시키면 응답이 보다 민감하게 된다. 따라서, 자세 제어에 있어서 임의의 응답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0발명의 중량물 반입방법에 있어서는, 수송용기로서 콘테이너를 사용하므로 콘테이너로의 반입방법으로서 극히 유용하다.
제21발명 및 제22발명의 중량물 반출방법에 의하면, 수송용기가 섀시 위로 적재된 상태로, 수송용기내로부터 중량물을 효율적으로 반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송용기에 의한 중량물의 수송에 있어서, 수송용기를 바닥면 상으로 내릴 필요가 없어 많은 수송시간, 인건비 등이 절약된다.
또한, 사용하는 반송차는,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것이므로, 반송차에 대하여 중량물 반입방법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는, 상기 중량물 반입방법에서 사용하는 팰리트와 유사한 팰리트를 사용하므로, 팰리트에 대하여 상기 중량물 반입방법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의 효과를 보유한다.
더욱이, 제21발명 및 제22발명의 중량물 반출방법에 있어서는, 적재대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보유하는 팰리트, 및 결합 부재 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하물적재 및 하물 하적을 위한 복잡하거나 대규모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반송차를 유효하게 활용하여 중량물의 수송용기로부터의 반출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23발명의 중량물 반출방법에 있어서는, 적재부의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이 배치되어 있는 팰리트를 사용하므로, 코일형 중량물이 구르는 일이 없고, 코일형 중량물을 안정되게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을 마주보는 경사면이 지지하므로, 일정 범위내에서 다양한 외경의 코일형 중량물에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측면을 마주보는 경사면이 지지하므로, 코일형 중량물이 다소 동요되어도 최종적으로는 중력에 끌려서 한쌍의 적재부의 중앙 위치 근처에 정착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반입방법에 의하면, 상기에 표시하는 고정작업을 생략한 상태에 있어서도 코일의 하물로부터의 이탈이발생하는 일이 없고, 손상없이 수송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중량물이 팰리트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제24발명의 중량물 반출방법에 의하면, 적층지지부에 의하여 상하로 이 팰리트들을 적층할 수 있으므로, 중량물을 반송한 후에는, 빈 팰리트들을 다수 적층해서 콤팩트하게 하여 되돌려 보낼 수 있다.
제25발명의 중량물 반출방법에 있어서는, 사람이 쉽게 반송차의 지지대의 자세를 제어하고, 수송용기로부터의 중량물의 반출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배기 노즐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중량물의 자세를 안정한 것으로 할 수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세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에 응답이 과민하게 되는 일이 없고, 제어계가 안정하며, 자세 제어가 쉽고, 게다가, 적재되는 중량물의 좌우전후의 자세를 확실하고 안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자세 제어에 있어서 임의의 응답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6발명의 중량물 반출방법에 있어서는, 수송용기로서 콘테이너를 사용하므로, 콘테이너의 반출방법으로서 극히 유용하다.

Claims (26)

  1.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수송용기내로 수용되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로서,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가, 팰리트 본체, 및 팰리트 본체상에 배치되고 코일형 중량물의 원통 측면과 접하여 코일형 중량물을 지지하는 적재부를 구비하고, 그 팰리트 본체의 하측에 형성되고 적어도 그의 하방 또는 한쪽 측방이 개방되어 있는 하부 개방 공간을 보유하며,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상부에는 코일형 중량물을 팰리트 본체에 고정하는 코일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갯수가 1개인 경우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1개의 크기가 수송용기 내부의 평면 크기와 대략 일치하고,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의 갯수가 2개 이상인 경우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을 조합한 크기가 수송용기 내부의 평면 크기와 대략 일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2. 제1항에 있어서, 적재부가 경사면을 보유하고 있고, 경사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이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 고정 부재는 코일을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밴드 및/또는 코일의 양단측에 설치되는 이동 억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팰리트 본체에는 4개 이상의 기둥형상의 적층지지부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코일형 중량물이 적재되지 않는 경우에는, 팰리트의 상하로 다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이 적층가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
  4. 팰리트를 들어올리기 위한 지지대, 및 지지대 하면에 설치되어 소정 압력으로 바닥면을 향해 기체를 분출시키는 복수의 배기 노즐을 구비하고, 중량물이 적재된 팰리트를 지지대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기체를 배출시켜 지지대를 바닥면에서 부상시킬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배기 노즐에 각각 설치되어 배기 노즐의 배기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복수의 밸브의 개도(開度)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조종 레버를 구비하고, 조종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지지대의 자세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송차.
  5. 제4항에 있어서, 배기 노즐이 4개이고, 4개의 배기 노즐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4개의 배기 노즐을, 진행방향을 향하여 우전측에 설치되는 것을 우전측 노즐, 우후측에 설치되는 것을 우후측 노즐, 좌전측에 설치되는 것을 좌전측 노즐, 좌후측에 설치되는 것을 좌후측 노즐로 한 경우, 우전측 노즐과 우후측 노즐의 세트, 좌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의 세트, 우전측 노즐과 좌전측 노즐의 세트, 및 우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의 세트인 4개의 세트가 서로 연결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송차.
  6. 섀시 상에 고정되고 적재된 수송용기의 개구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수송용기의 개구에 인접하여 모서리 금속 부재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섀시의 높이 및 수송용기의 높이를 고정하도록 구조된 지지기둥, 및 지지기둥이 수송용기의 개구에 인접하게 설치되었을 때, 개구에 인접하도록 설치되고, 수송용기내로 중량물을 반입하기 위한 반송차가 대기하기 위한 테이블을 보유하고,
    상기 테이블은, 테이블 상에 놓여진 코일형 중량물이 적재된 팰리트의 중량을 독자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지지기둥이 수송용기의 개구에 인접하여 설치되었을 때, 테이블 상면의 높이를 수송용기 바닥면의 높이와 일치시킬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7. 제6항에 있어서, 지지기둥이 밑부분의 폭 보다 선단부의 폭이 확대되어 있는 결합 부재를 보유하는 것이고,
    상기 결합 부재를 수송용기의 개구에 인접한 위치의 상면 모서리에 설치된 모서리 금속 부재의 긴 구멍에 삽입하고, 삽입 방향을 축으로 하여 소정 각도 만큼 회전시킴으로써, 결합 부재의 선단을 모서리 금속 부재에 결합시키고, 결합 부재를 소정 높이로 지지함으로써 모서리 금속 부재의 높이 저하를 방지하고, 섀시 상의 수송용기, 및 수송용기가 고정되어 있는 섀시의 높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8. 제6항에 있어서, 지지기둥이 결합 부재를 보유하는 것이고,
    상기 결합 부재를 수송용기의 개구에 인접한 하측 좌우의 모서리에 설치된 모서리 금속 부재의 긴 구멍에 삽입하고, 결합 부재를 소정 높이로 지지함으로써, 모서리 금속 부재의 높이의 저하를 방지하고, 섀시 상의 수송용기, 및 수송용기가 고정되어 있는 섀시의 높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9. 제8항에 있어서, 지지기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 부재를 출납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 및 슬라이드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10. 제9항에 있어서, 슬라이드부 승강수단이 슬라이드부를 하부에서 로울러로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11. 제10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을 2개 이상 구비하고, 슬라이드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의 상하방향의 2곳 이상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블이 자세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13.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송용기가 콘테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
  14.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섀시 상에 배치된 수송용기에 코일형 중량물을 반입하는 중량물 반입방법으로서,
    본 중량물 반입방법은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는 적재대, 및 적재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여 적재대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팰리트를, 중량물 반송차에 의하여 반송함으로써, 팰리트 상에 적재되고 고정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수송용기내로 반입하는 것이며,
    상기 팰리트는 제1항에 기재된 팰리트이고,
    상기 중량물 반송차는 제4항에 기재된 중량물 반송차이며,
    반송차를 테이블 상에 배치시키고, 반송차의 지지대 상에 미리 결합 부재를 배치시키며, 팰리트의 적재대 하부의 공간에 반송차의 지지대 및 결합 부재가 위치하도록 하고, 팰리트의 다리부가 반송차의 지지대 및 결합 부재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하여, 중량물이 적재되고 고정된 팰리트를 반송차 위에 배치시키고, 이어서, 반송차를 부상시켜, 결합 부재 및 팰리트를 통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제1단계;
    반송차에 의하여 수송용기내로 중량물을 반입하는 제2단계;
    반송차의 배기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0으로 하여 지지대를 일시적으로 하강시켜 팰리트의 다리부를 착지시키고, 팰리트의 적재대 하면과 반송차의 지지대 상면 사이의 간극을 확장시킨 후, 중량물을 반송차로부터 하적하고, 이어서, 반송차의 지지대와 적재대 하면 사이에 배치된 결합 부재를 제거한 후, 반송차를 후퇴시켜서, 팰리트의 적재대 하방의 공간으로부터 지지대를 반출하는 제3단계; 및
    반송차를 테이블 상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제4단계를 차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로의 중량물 반입방법.
  15.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섀시 상에 배치된 수송용기에 코일형 중량물을 반입하는 중량물 반입방법으로서,
    본 중량물 반입방법은,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는 적재대, 및 적재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여 적재대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팰리트를, 중량물 반송차에 의하여 반송함으로써, 팰리트 상에 적재되고 고정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수송용기내로 반입하는 것이며,
    상기 팰리트는 제1항에 기재된 팰리트이고,
    상기 중량물 반송차는 제4항에 기재된 중량물 반송차이며,
    반송차를 스테이지의 테이블 상에 배치시키고, 팰리트의 적재대 하부의 공간에 반송차의 지지대가 위치하도록 하고, 팰리트의 다리부가 반송차의 지지대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하여, 중량물이 적재되고 고정된 팰리트를 반송차 상에 배치시키고, 이어서, 반송차의 지지대 상에 결합 부재를 배치시킨 후, 반송차를 부상시켜 결합 부재 및 팰리트를 통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제1단계;
    반송차에 의하여 수송용기내로 중량물을 반입하는 제2단계;
    반송차의 배기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0으로 하여 지지대를 일시적으로 하강시켜 팰리트의 다리부를 착지시키고, 팰리트의 적재대 하면과 반송차의 지지대 상면 사이의 간극을 확장시킨 후, 중량물을 반송차로부터 하적하고, 이어서, 반송차의 지지대와 적재대 하면 사이에 배치된 결합 부재를 제거한 후, 반송차를 후퇴시켜서, 팰리트의 적재대 하방의 공간으로부터 지지대를 반출하는 제3단계; 및
    반송차를 테이블 상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제4단계를 차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로의 중량물 반입방법.
  16.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섀시 상에 배치된 수송용기에 코일형 중량물을 반입하는 중량물 반입방법으로서,
    본 중량물 반입방법은,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는 적재대, 및 적재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여 적재대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팰리트를, 중량물 반송차에 의하여 반송함으로써, 팰리트 상에 적재되고 고정된 상기 코일형 중량물을 수송용기내로 반입하는 것이며,
    상기 팰리트는 제1항에 기재된 팰리트이고,
    상기 중량물 반송차는 제4항에 기재된 중량물 반송차이며,
    반송차를 테이블 상에 배치시키고, 팰리트의 적재대 하부의 공간에 반송차의 지지대가 위치하도록 하고, 팰리트의 다리부가 반송차의 지지대를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하여, 중량물이 적재되고 고정된 팰리트를 반송차 상에 배치시키고, 이어서, 반송차를 부상시켜, 팰리트를 통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제1단계;
    반송차에 의하여 수송용기내로 중량물을 반입하는 제2단계;
    반송차의 배기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0으로 하여 지지대를 일시적으로 하강시켜 팰리트의 다리부를 착지시키고, 팰리트의 적재대 하면과 반송차의 지지대 상면 사이의 간극을 확장시킨 후, 반송차를 후퇴시켜서, 팰리트의 적재대 하방의 공간으로부터 지지대를 반출하는 제3단계; 및
    반송차를 테이블 상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제4단계를 차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로의 중량물 반입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팰리트의 적재부가 경사면을 보유하고 있고, 경사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이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 고정 부재는 코일을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밴드 및/또는 코일의 양단측에 설치되는 이동 억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입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팰리트의 본체에는 4개 이상의 기둥형상의 적층지지부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코일형 중량물이 적재되지 않는 경우에는, 팰리트 본체의 상하로 다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이 적층가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입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배기 노즐이 4개이고, 4개의 배기 노즐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4개의 배기 노즐을, 진행방향을 향하여 우전측에 설치되는 것을 우전측 노즐, 우후측에 설치되는 것을 우후측 노즐, 좌전측에 설치되는 것을 좌전측 노즐, 좌후측에 설치되는 것을 좌후측 노즐로 한 경우, 우전측 노즐과 우후측 노즐의 세트, 좌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의 세트, 우전측 노즐과 좌전측 노즐의 세트 및 우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의 세트인 4개의 세트가 서로 연결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입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수송용기가 콘테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입방법.
  21.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섀시 상에 배치된 수송용기로부터 코일형 중량물을 반출하는 중량물 반출방법으로서,
    본 중량물 반출방법은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는 적재대, 및 적재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여 적재대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팰리트를, 중량물 반송차에 의하여 반송함으로써, 팰리트 상에 적재되고 고정된 상기 중량물을 수송용기로부터 반출하는 것이며,
    상기 팰리트는 제1항에 기재된 팰리트이고,
    상기 중량물 반송차는 제4항에 기재된 중량물 반송차이며,
    테이블 상에 대기시킨 반송차를 수송용기내로 진입시키는 제1단계;
    팰리트의 적재대 하부의 공간내로 반송차의 지지대를 삽입하고, 이어서, 반송차의 배기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0으로 하여 지지대를 일시적으로 하강시켜 적재대 하면과 지지대 상면 사이의 간극을 확장시킨 후, 반송차의 적재대 하면과 지지대 상면 사이의 간극에 결합 부재를 배치시키고, 이어서, 반송차의 배기 노즐로부터의 기체분출량을 증가시켜 지지대를 상승시켜, 결합 부재 및 팰리트를 통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제2단계;
    반송차를 테이블 상으로 되돌아가게 하여 중량물을 수송용기내로부터 반출시키는 제3단계; 및
    중량물을 반송차로부터 하적하는 제4단계를 차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로부터의 중량물 반출방법.
  2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를 사용하여 섀시 상에 배치된 수송용기로부터 코일형 중량물을 반출하는 중량물 반출방법으로서,
    본 중량물 반출방법은, 코일형 중량물을 적재하는 적재대, 및 적재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여 적재대와 바닥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다리부를 구비하는 팰리트를, 중량물 반송차에 의하여 반송함으로써, 팰리트 상에 적재되고 고정된 중량물을 수송용기로부터 반출하는 것이며,
    상기 팰리트는 제1항에 기재된 팰리트이고,
    상기 중량물 반송차는 제4항에 기재된 중량물 반송차이며,
    테이블 상에 대기시킨 반송차를 수송용기내로 진입시키는 제1단계;
    팰리트의 적재대 하부의 공간내로 반송차의 지지대를 삽입하고, 이어서, 반송차의 배기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0으로 하여 지지대를 일시적으로 하강시켜 적재대 하면과 지지대 상면 사이의 간극을 확장시킨 후, 반송차의 배기 노즐의 기체분출량을 증가시켜 지지대를 상승시켜, 팰리트를 통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제2단계;
    반송차를 테이블 상으로 되돌아가게 하여 중량물을 수송용기내로부터 반출시키는 제3단계; 및
    중량물을 반송차로부터 하적하는 제4단계를 차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용기로부터의 중량물 반출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팰리트의 적재부는 경사면을 보유하고 있고, 경사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이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 고정 부재는 코일을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밴드 및/또는 코일의 양단측에 설치되는 이동 억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출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팰리트 본체에는 4개 이상의 기둥형상의 적층지지부가 사각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코일형 중량물이 적재되지 않는 경우에는, 팰리트 본체의 상하에 다른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들이 적층가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출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배기 노즐이 4개이고, 4개의 배기 노즐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4개의 배기 노즐을, 진행방향을 향하여, 우전측에 설치되는 것을 우전측 노즐, 우후측에 설치되는 것을 우후측 노즐, 좌전측에 설치되는 것을 좌전측 노즐, 좌후측에 설치되는 것을 좌후측 노즐로 한 경우, 우전측 노즐과 우후측 노즐의 세트, 좌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의 세트, 우전측 노즐과 좌전측 노즐의 세트, 및 우후측 노즐과 좌후측 노즐의 세트인 4개의 세트가 서로 연결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출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수송용기가 콘테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반출방법.
KR10-1999-0010822A 1998-03-30 1999-03-29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와, 중량물 반송차 및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와, 중량물 반입방법 및 중량물 반출방법 KR100407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42098 1998-03-30
JP10341998 1998-03-30
JP98-103418 1998-03-30
JP98-103420 1998-03-30
JP98-103419 1998-03-30
JP10341898 1998-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365A KR19990078365A (ko) 1999-10-25
KR100407228B1 true KR100407228B1 (ko) 2003-11-28

Family

ID=3232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822A KR100407228B1 (ko) 1998-03-30 1999-03-29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와, 중량물 반송차 및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와, 중량물 반입방법 및 중량물 반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407228B1 (ko)
AT (1) ATE296762T1 (ko)
DE (3) DE69917119T2 (ko)
HK (3) HK10406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25B1 (ko) * 2001-12-13 2008-06-13 치 메이 옵토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재고 물품 운반 시스템용 이동식 지지 장치
KR100825364B1 (ko) * 2006-11-10 2008-04-28 국보기전 주식회사 자동창고에서의 코일 크기 측정 및 적재방법
DE202012103663U1 (de) 2012-08-22 2012-10-12 Ralph Dieter Licht Palette für Transportgut
DE202013102278U1 (de) 2012-08-22 2013-06-10 Ralph Dieter Licht Palette für Transportgut
DE102017113500B4 (de) 2017-06-20 2023-05-17 Logistik Service GmbH Transportsystem
DE102017113499A1 (de) 2017-06-20 2018-12-20 Logistik Service GmbH Transportsystem
CN114314040B (zh) * 2021-12-30 2024-03-26 济南华北升降平台制造有限公司 一种集装箱用重型筒状物装卸机械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0681B (zh) 2005-09-23
HK1040680A1 (en) 2002-06-21
KR19990078365A (ko) 1999-10-25
DE69917119T2 (de) 2005-05-25
DE69925299T2 (de) 2006-03-09
ATE296762T1 (de) 2005-06-15
DE69925299D1 (de) 2005-06-16
HK1040681A1 (en) 2002-06-21
DE69917119D1 (de) 2004-06-17
HK1025295A1 (en) 2000-11-10
HK1040680B (zh) 2005-09-23
DE69925622D1 (de) 2005-07-07
DE69925622T2 (de)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9154B1 (en) Stage for introducing/discharging heavy article to and from transporting receptacle,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heavy article, using the stage
US9701441B2 (en) Mobile platform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JP3431852B2 (ja) 重量物搬送装置及び重量物の搬送方法
US20070012588A1 (en) Freight pallet with detachable base sled
KR100407228B1 (ko) 코일형 중량물용 팰리트와, 중량물 반송차 및 수송용기용 중량물 반출입 스테이지와, 중량물 반입방법 및 중량물 반출방법
US20180127148A1 (en) Transport package
JP3522145B2 (ja) 輸送容器用重量物搬出入ステージ及び重量物搬出入方法
WO2006137542A1 (ja) 搬送物搬送方法及びジャッキ具
JP4322811B2 (ja) コイル状搬送物用のパレット、パレットへのコイル状搬送物の積載構造体、搬送物積載パレットの段積構造体及び使用方法、輸送容器への搬送物積載段積パレットの収容構造体及び搬送方法、並びにコイル状搬送物の輸送方法
EP1571096B1 (en) A transport system
JP3877755B2 (ja) 搬送物の搬送装置、これを用いた輸送容器からの搬送物の搬出方法、及び輸送容器への搬送物の搬入方法
JP4723126B2 (ja) ドライコンテナへの搬送物の搬出入システム
JP3999925B2 (ja) 積み重ね構造を有する金属材搬送用コンテナ
JP4541079B2 (ja) 長尺物用パレットへの長尺物の積載方法並びに長尺物積載パレットの輸送容器への搬送方法
AU759451B2 (en) Pallet for coil-shape heavy article, heavy-article carrying vehicle, stage for introducing/discharging heavy article to and from transporting receptacle, method of introducing heavy article and method of discharging heavy article
JP2508971Y2 (ja) スライドボックスパレット
US2780367A (en) Apparatus for stacking discrete articles
JP2001106229A (ja) 輸送容器用パレット、パレット用ステージ及びこれらを用いた輸送容器への搬出入方法
US20240308763A1 (en) Robotic Cargo Loading Gantry
JP2001316073A (ja) クレーンのコンテナ専用吊具
JPH0360739B2 (ko)
CN220332570U (zh) 一种货车车载组装式托盘和货车
JPH08198457A (ja) コンテナの貨物積み卸し装置
CN114341016A (zh) 包装用于运输和储存目的的长方形物体的包装模块以及应用这种包装模块的方法
JP2003192143A (ja) 長尺物のコンテナ内への収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